KR100627070B1 - Video and audio signal recording device and reproducing device - Google Patents

Video and audio signal recording device and reproduc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070B1
KR100627070B1 KR1020050006087A KR20050006087A KR100627070B1 KR 100627070 B1 KR100627070 B1 KR 100627070B1 KR 1020050006087 A KR1020050006087 A KR 1020050006087A KR 20050006087 A KR20050006087 A KR 20050006087A KR 100627070 B1 KR100627070 B1 KR 10062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cording
signal
audio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9621A (en
Inventor
타키자와쥬니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119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6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0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사진을 이용한 효과적인 비주얼 프리젠테이션을 행할 수 있도록, 음성에 대해 화상을 관련지어 기록 재생할 수 있는 화상 음성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촬상소자로 촬상된 화상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화상 기록 수단과, 입력된 음성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음성 기록 수단과, 음성 신호를 연속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동안에 화상의 캡처 요구가 있으면, 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화상을 받아들여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음성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dio and video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images in association with audio so that an effective visual presentation using photographs can be performed on a digital camera. Image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the image signal picked up by the image pickup device onto the recording medium, the audio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the input audio signal on the recording medium, and if there is a request for capturing the image while continuously recording the audio signal. And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n image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recording the image on the recording medium, and controlling to record a synchronous signal indicating a timing at which the image was recorded. .

Description

화상 음성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Video and audio signal recording device and reproducing device}  Video and audio signal recording device and reproducing device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정면도이다.1A is a front view of a digital camer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b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도이다.1B is a rear view of the digital camer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기록시의 설명에 사용하는 타이밍도이다.Fig. 2 is a timing chart used for explaining the recording of the digital camer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재생시의 설명에 사용하는 타이밍도이다. 3 is a timing chart used for explaining the reproduction of the digital camer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gital camer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동기 신호의 기록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ording a synchronization signal.

도 6은 동기 신호의 기록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recording of a synchronization signal.

도 7은 동기 신호의 기록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recording of a synchronization signal.

도 8은 동기 신호의 기록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recording a synchronization signal.

도 9는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기록의 일예의 설명에 사용하는 흐름도이다. 9 is a flowchart used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recording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도 10은 파일의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used for description of a file.

도 11은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재생의 일예의 설명에 사용하는 흐름도이다. 11 is a flowchart used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reproduction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도 12는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기록의 다른 예의 설명에 사용하는 흐름도이다. 12 is a flowchart used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recording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도 13은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재생의 다른 예의 설명에 사용하는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used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reproduction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 부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jor parts of partial drawings

1: 카메라 본체 2: 렌즈경통1: camera body 2: lens barrel

3: 광학 파인더 4: 스트로보 발광부3: optical finder 4: strobe light emitter

5: 셔터 키 6: LCD 디스플레이5: shutter key 6: LCD display

7: 조작부 8: 스피커7: Control panel 8: Speaker

9: 마이크로 폰 21: 광학계9: microphone 21: optical system

22: 촬상소자 25: 화상 신호 처리 회로22: imaging device 25: image signal processing circuit

27: 메모리 카드 32: 인코더 27: memory card 32: encoder

35: 디코더 42: 입력 유니트35: decoder 42: input unit

본 발명은 특히, 사진을 이용한 효과적인 비주얼 프리젠테이션(visual presentation)을 행함에 있어서 적합한 화상 음성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an audio and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a playback apparatus suitable for performing an effective visual presentation using a photograph.

사진을 효과적으로 사용한 비주얼 프리젠테이션은, 듣는 사람에게 프리젠테이션의 내용에 대한 흥미를 안겨주고, 전달하고 싶은 정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제품 개발을 하고 있는 엔지니어가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경우에는, 제품을 개발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면서 실험 장치나 시작품(試作品)의 사진을 보여줌으로써, 개발 과정에서 발생했던 문제점이나 그에 대한 개선점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사진을 이용한 비주얼 프리젠테이션의 소재를 작성하기 위해, 종래에는 통상적으로 비디오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다.In visual presentations that use photographs effectively, it is important to provide the listener with an interest in the content of the presentation and to accurately and effectively provide the information you want to convey. For example, if the engineer who is developing the product gives a presentation, he explains the background of developing the product and shows the photographs of the experimental device or prototype. Effectively communicate improvements. In order to create a material for visual presentation using such a photograph, a video camera is conventionally used.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중에는, 가령 일본특허공개공보 2004-153429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영상 기록이나 음성 기록이 가능한 것이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진을 이용한 프리젠테이션을 작성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some digital still cameras, for example, as shown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153429, can record moving images or record audio, and it may be considered to create a presentation using a photo using such a digital camera. .

하지만, 프리젠테이션에 사용하는 사진은 정지 화상인 것에 비해, 비디오 카메라는 동영상 촬영을 행한다. 이 때문에,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진을 이용한 프리젠테이션의 소재를 작성하면, 동영상 기록과 동일한 정도의 데이터량이 사용되게 되어 기록 용량이 낭비된다. 또한, 사진을 이용한 프리젠테이션을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에는 정지되어 있는 사진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게 되므로, 삼각대 등으로 카메라를 확실히 고정하면서 일반 재생에서도 화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촬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텔레비전 화면상에 동영상을 재생시킨다는 제약 때문에 스틸 카메라에 비해 정지 화상의 해상도가 좋지 않다.However, video cameras capture moving images, while photographs used for presentations are still images. For this reason, if a video camera is used to creat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ation using a picture, the same amount of data as video recording is used, and the recording capacity is wasted. In addition, when a presentation using a picture is taken with a video camera, the still picture is taken as a video.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 picture so that the image is not shaken even in normal playback while firmly fixing the camera with a tripod or the like. In addition, in video cameras, the resolution of still images is not as good as that of still cameras due to the limitation of playing a video on a television screen.

한편,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는, 촬영한 화상에 대한 코멘트를 음성으로 남길 수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기능은 음성 메모라고 불리운다. 이 음성 메모를 이용하여 사진을 사용한 프리젠테이션의 소재를 작성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ome digital still cameras can leave a comment on the captured image by sound. This feature is called voice memo. It may be considered to creat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ation using the photograph using this voice memo.

그런데, 음성 메모는 촬영한 화상에 대해 음성을 관련지어 기록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프리젠테이션의 경우에는, 음성에 의한 연속된 설명 중에서 음성에 대해 화상을 관련지어 기록해 갈 필요가 있으나, 음성 메모에서는 이와 같이 음성에 대해 화상을 관련지어 기록해 가는 것이 불가능하다.By the way, a voice memo records audio | voice in association with a photographed imag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ation, it is necessary to record the image in association with the voice in the continuous explanation by the voice, but in the voice memo, it is impossible to record the image in association with the voice in this wa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진을 사용한 효과적인 비주얼 프리젠테이션을 행할 수 있도록, 음성에 대해 화상을 관련지어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한 화상 음성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nd has provided an audio and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a playback apparatus in which images can be recorded and reproduced with respect to audio so that an effective visual presentation using a photograph can be performed. It aim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음성 기록 장치는, 촬상소자에서 촬상된 화상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화상 기록 수단과, 입력된 음성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음성 기록 수단과, 상기 음성 신호를 연속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동안에 화상의 캡처 요구가 있으면, 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화상을 받아들여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mage-audio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mage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an image signal picked up by an image pickup device onto a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the input audio signal on the recording medium. Audio recording means, and if there is a request for capturing an image while continuously recording the audio signal, a synchronization indicating the timing at which the image was recorded while receiving the image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and recording the image on the recording medium.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o record the signal.

이 경우, 상기 동기 신호는 음성 신호의 하위 비트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 신호가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음성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정보에 기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기 신호는 음성 신호로 멀티플렉싱되어 기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기 신호가 동기 파일에 기록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ync signal may be recorded as the lower bit of the voice signal. 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recorded in predetermined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speech signal converted into the frequency domain. In addition, the sync signal may be multiplexed and recorded as a voice signal. The sync signal may also be recorded in a sync file.

상기 동기 신호는 화상을 기록한 것을 식별하는 플러그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동기 신호는 화상을 기록한 것을 식별하는 것과 동시에, 받아들인 화상의 시퀀셜(sequential) 번호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a plug for identifying that an image has been recorded. In addition, the synchronizing signal may include a sequential number of the received image while identifying that the image is recorded.

이 경우, 상기 화상 음성 기록 장치는, 받아들인 화상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셜 번호를 카운트하고, 상기 시퀀셜 번호를 화상 파일명에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ideo and audio recording apparatus can count the sequential numbers indicating the order of the received images, and include the sequential numbers in the image file nam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음성 재생 장치는,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화상 신호를 재생하는 화상 재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음성 재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신호 중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음성 신호를 연속적으로 재생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an image-audio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mage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an image signal read out from a recording medium, audio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an audio signal read out from the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means for detecting a synchronous signal among the signals read out from the recording medium, and controlling to read and reproduce a corresponding image from the recording medium when the synchronous signal is detected while continuously reproducing an audio signal. .

이 경우, 화상 파일명에는 받아들인 화상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셜 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화상 파일명에 포함되는 시퀀셜 번호의 순서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을 독출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mage file name includes a sequential number indicating the order of the received image, and the control means reads out the image from the recording medium in the order of the sequential number included in the image file name when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Can be controlled to play.

또한, 동기 신호에는 받아들인 화상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셜 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동기 신호로부터 얻어진 시퀀셜 번호의 순서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을 독출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also includes a sequential number indicating the order of the received images, and the control means reads out and reproduces the image from the recording medium in the order of the sequential numbers obtained from the synchronization signal when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You can also control it.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Nex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1)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의 전면(1a)에는 렌즈경통(2)과, 광학 파인더(3)와, 스트로보 발광부(4)가 마련된다. 또한, 카메라 본체(1)의 상측면(1b)에는 셔터 키(5)가 마련된다.1A and 1B are front and rear views of the digital camera 1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1A, a lens barrel 2, an optical finder 3, and a strobe light emitter 4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1a of the camera body 1. In addition, a shutter key 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b of the camera body 1.

카메라 본체(1)의 배면(1c)에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파인더(3)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6)와, 조작부(7)와, 음성 재생용 스피커(8)와, 녹음용 마이크로폰(9)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9)은 카메라 본체(1)의 배면(1c)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녹음시에만 카메라 본체(1)로부터 마이크로폰(9)을 세우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마이크로폰(9)을 접어놓을 수 있다.On the back 1c of the camera body 1, as shown in FIG. 1B, an optical finder 3,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display 6, an operation unit 7, and a speaker for audio reproduction 8 And a recording microphone 9 may be installed. The microphone 9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1c of the camera body 1 so as to be rotatable. In this case, the microphone 9 stands up from the camera body 1 only during recording, and when not in use, the microphone ( 9) can be folded.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일반 촬영 모드 이외에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는, 마이크로폰(9)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연속적으로 기록되고, 그 동안에 셔터 키(5)가 눌러지면 그 때의 화상이 음성과 관련지어져 기록된다. 모드의 설정은 조작부(7)를 조작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In the digital camer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can be set in addition to the normal shooting mode.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9 is continuously recorded, and when the shutter key 5 is pressed in the meantime, the image at that time is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the audio. The mode can be set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7.

또한,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로 설정하여 재생한 경우에는, 녹화된 음성이 연속적으로 재생되고, 그 음성에 관련지어져 기록된 화상이 있으면 그 타이밍에서 화상이 재생된다.In the case of playback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the recorded voice is reproduced continuously, and if there is an image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the voice, the image is reproduced at that timing.

즉,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는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된 음성이 입력되면 그 음성이 연속해서 기록된다. 이와 같이 연속된 음성을 기록하면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t1)에서 셔터 키(5)가 눌러지면 그 때의 화상(P1)(도 2의 (C) 참조)이 음성과 관련지어져 기록된다. 그리고, 시점(t2)에서 셔터 키(5)가 눌러지면 그 때의 화상(P2)이 음성과 관련지어져 기록되고, 시점(t3)에 셔터 키(5)가 눌러지면 그 때의 화상(P3)이 음성과 관련지어져 기록된다. 화상을 기록할 때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가 기록된다.That is,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when a continuous voice is input as shown in Fig. 2A, the voice is continuously recorded. As shown in FIG. 2B while recording the continuous audio in this manner, when the shutter key 5 is pressed at the time point t1, the image P1 (see FIG. 2C) at that time is displayed.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voice. Then, when the shutter key 5 is pressed at the time point t2, the image P2 at that time is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sound, and when the shutter key 5 is pressed at the time point t3, the image P3 at that time It is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this voice. When recording an image, as described later, a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the timing at which the image was recorded is recorded.

재생시에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이 연속해서 재생된다.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t1 시점이 되면 그 음성에 대응하는 화상(P1)(도 3의 (C) 참조)이 비춰지고, t2 시점이 되면 그 음성에 대응하는 화상(P2)이 비춰지고, t3 시점이 되면 그 음성에 대응하는 화상(P3)이 비춰진다. 화상을 재생하는 타이밍은 동기 신호에 의해 검출된다.At the time of reproduction, audio is continuously reproduced as shown in Fig. 3A. As shown in FIG. 3B, when the time t1 is reached, the image P1 (see FIG. 3C) corresponding to the voice is illuminated, and when the time t2 is reached,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audio ( P2) is illuminated, and at the time t3, an image P3 corresponding to the sound is illuminated. The timing of reproducing the image is detected by the synchronization signal.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로 설정하면, 음성에 의한 연속된 설명 중에서 음성에 대해 화상을 관련지어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사진을 효과적으로 사용한 비주얼 프리젠테이션을 행할 수 있다.In the digital camer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s set, the image can be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the voice in the continuous explanation by the voice. Such a function can be used to perform a visual presentation effectively using a photograph.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광학계(21)는 렌즈나 아이리스 등의 광학계의 소자로 구성된다. 광학계(21)를 통한 피사체 상광(像光)이 촬상소자(22)의 수광면에 결상된다. 또한,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한 카메라에서는, 렌즈로서 초점이 짧은 것이 사용된다. 일반적인 것에서는, 렌즈에 자동 초점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또 렌즈부에는 광학 줌 기구가 구비된 것도 있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gital camer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FIG. 4, the optical system 21 is comprised with elements of optical systems, such as a lens and an iris. Subject image light through the optical system 21 is imaged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image pickup device 22. In the camera aimed at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a short focal point is used as the lens. In general, the lens is equipped with an auto focusing mechanism. Some lens units are provided with an optical zoom mechanism.

촬상소자(22)는, 그 수광면에 결상된 피사체 상광을 광전(光電) 변환한다. 촬상소자(22)로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상소자나, CMOS(Complementary MOS) 촬상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촬상소자의 전면에는, 색 필터가 배열되어 있다. 색 필터의 배열 구성으로는, R(적색), G(녹색), B(청색)의 원색계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와, Cy(시안), Mg(마젠터), Ye(황색)의 보색계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The imaging element 22 photoelectrically converts the subject image light formed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As the imaging device 22, a CCD (Charge Coupled Device) imaging device or a CMOS (Complementary MOS) imaging device can be used. The color filter is arranged in front of an imaging element. As the arrangement of the color filter, a primary color filter of R (red), G (green), and B (blue) is used, and a complementary color system of Cy (cyan), Mg (magenta), and Ye (yellow) You can use filters.

촬영 시에는, 촬상소자(22)에 1 프레임(frame)분의 화상이 받아들여진다. 촬상소자(22)의 출력이 샘플 홀드 및 AGC(Automatic Gain Control) 회로(23)를 통해서 A/D(Analogto Digital) 컨버터(24)에 공급되며, A/D 컨버터(24)에서 디지털화된다. A/D 컨버터(24)의 출력 신호가 화상 신호 처리 회로(25)에 공급된다.At the time of imaging | photography, the image of one frame is received by the imaging element 22. FIG. The output of the image pickup device 22 is supplied to the A / D (Analogto Digital) converter 24 through the sample hold and the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23, and digitized in the A / D converter 24. The output signal of the A / D converter 24 is supplied to the image signal processing circuit 25.

화상 신호 처리 회로(25)는, 촬상소자(22)부터의 촬상신호에 대해 색 온도 조정, 감마 보정, 에치 강조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한다. 또 화상 신호 처리 회로(25)는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지정된 해상도로 변환시키고, 화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는 처리를 행한다. 화상 데이터의 압축 방식으로는, 가령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JPEG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사용하여 화상 압축하기 위한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규격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압축 방식은 JPEG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기록할 수도 있다.The image signal processing circuit 25 performs image processing such as color temperature adjustment, gamma correction, and etch emphasis on the image pickup signal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22. In addition, the image signal processing circuit 25 converts the resolution of the image data to a specified resolution and performs a process of compressing and encoding the image data. As the compression method of the image data, for example, a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EG) may be used. Here, JPEG i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standard for image compression using a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In addition, the compression method of the image data applied to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JPEG.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mage data can be recorded without compression.

압축 부호화된 화상 신호는, 메모리 컨트롤러(26)를 통해 메모리 카드(27)에 공급되고, 화상 파일로서 메모리 카드(27)에 기록된다. 메모리 카드(27)는 플래쉬 메모리를 사용한 카드형의 착탈 가능한 메모리이다. 또한, 이 예에서는, 기록 매체로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장된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자기 테이프나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에 기록할 수도 있다.The compression-encoded image signal is supplied to the memory card 27 through the memory controller 26 and recorded in the memory card 27 as an image file. The memory card 27 is a card type removable memory that uses a flash memory. In this example, the memory card is used as the recording mediu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also be written to the built-in nonvolatile memory, or to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or an optical disk.

화상의 재생시에는, 메모리 카드(27)의 화상 파일이 오픈되고 화상 데이터가 독출(讀出)된다. 메모리 카드(27)로부터 독출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신호 처리 회로(25)로 보내진다. 화상 신호 처리 회로(25)에서 화상의 신장(伸長) 처리가 행해지며, 화상 신호가 디코딩(decoding)된다. 디코딩된 화상 신호가 LCD 드라이버(33)를 통해서 LCD 디스플레이(6)에 공급되고, LCD 디스플레이(6)에 재생 화상이 비춰진다.At the time of reproduction of the image, the image file of the memory card 27 is opened and the image data is read out. The image data read out from the memory card 27 is sent to the image signal processing circuit 25. The image signal processing circuit 25 performs image decompression processing, and the image signal is decoded. The decoded picture signal is supplied to the LCD display 6 via the LCD driver 33, and the reproduced picture is illuminated on the LCD display 6.

또한, LCD 디스플레이(6)는 촬영시에는 전자 뷰파인더 등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이 LCD 디스플레이에는 각종 설정 상태나 동작 상태가 표시된다.In addition, the LCD display 6 is used as an electronic viewfinder or the like at the time of imaging. The LCD display also shows various setting and operating states.

음성의 기록시에는, 마이크로폰(9)으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A/D 컨버터(31)에 공급되고, A/D 컨버터(31)에서 음성 신호가 디지털화된다. 이 디지털 음성 신호가 인코더(encoder)(32)에 공급되고, 인코더(32)에서 음성 신호가 압축 부호화된다. 음성 데이터의 압축 방식으로는 MP3(MPEG1 Audio Layer-3)가 사용된다. 또한, 음성 데이터의 압축 방식은 MP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기록할 수도 있다. 압축된 음성 신호는 메모리 컨트롤러(26)를 통해서 메모리 카드(27)에 보내지고, 음성 파일로서 메모리 카드(27)에 기록된다.At the time of recording audio, the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9 is supplied to the A / D converter 31, and the audio signal is digitized by the A / D converter 31. This digital audio signal is supplied to an encoder 32, and the audio signal is compressed and encoded by the encoder 32. MP3 (MPEG1 Audio Layer-3) is used as a compression method of voice data. In addition, the compression method of voice data is not limited to MP3. It is also possible to record voice data without compressing it. The compressed audio signal is sent to the memory card 27 through the memory controller 26 and recorded in the memory card 27 as an audio file.

음성의 재생시에는, 메모리 카드(27)의 음성 파일이 오픈 되고 음성 데이터가 독출된다. 메모리 카드(27)로부터 독출된 음성 데이터는 디코더(35)로 보내진다. 디코더(35)에서 음성의 신장 처리가 행해지며, 음성 신호가 디코딩된다. 디코딩된 음성 신호는 D/A 컨버터(36)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스피커(8)로부터 출력된다.At the time of reproducing the audio, the audio file of the memory card 27 is opened and the audio data is read. The audio data read out from the memory card 27 is sent to the decoder 35. At the decoder 35, speech decompression processing is performed, and the speech signal is decoded. The decoded speech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in the D / A converter 36 and output from the speaker 8.

CPU(Central Processing Unit)(41)는, 디지털 카메라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디지털 카메라에는 CPU(41)에 대응된 입력 유니트(42)가 마련된다. 입력 유니트(42)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으로, 셔터 키(5)나 조작부(7)에 배열되는 키를 포함하고 있다. ROM(44)에는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RAM(43)은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The CPU (Central Processing Unit) 41 controls the entire digital camera. The digital camera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42 corresponding to the CPU 41. The input unit 42 accepts an input from a user and includes a key arranged on the shutter key 5 or the operation unit 7. The control program is stored in the ROM 44. The RAM 43 is used as a work area.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일반 촬영 모드 이외에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는, 마이크로폰(9)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메모리 카드(27)에 연속해서 기록된다. 녹음의 개시는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와 동시에 개시될 수도 있고, 다른 사용자 인터페 이스를 마련하여 개시를 지시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로 설정되면, 마이크로폰(9)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연속해서 기록되고 있는 동안에 셔터 키(5)가 눌러지면, 캡처 요구가 발생되어 촬상소자(22)로부터의 화상이 받아들여져서 메모리 카드(27)에 기록됨과 동시에,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가 발생되어 동기 신호가 기록된다. 이 동기 신호에 의해, 음성에 관련지어진 화상이 기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digital camer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can be set in addition to the normal shooting mode.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9 is continuously recorded on the memory card 27. The start of the recording may be started simultaneously with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or another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to indicate the start.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f the shutter key 5 is pressed while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9 is continuously recorded, a capture request is generated and an image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22 is received. At the same time as being recorded in the memory card 27, a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the timing at which the image was recorded is generated to record the synchronization signal. This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es that an image associated with audio is being recorded.

재생시에는, 메모리 카드(27)로부터 음성 파일이 오픈되고 음성이 연속해서 재생되어간다. 연속된 음성이 재생하는 동안에 동기 신호가 검출된다.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는, 그 타이밍에서 메모리 카드(27)로부터 그 화상이 독출되어 재생된다.At the time of reproduction, an audio file is opened from the memory card 27, and the audio is continuously reproduced. A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during continuous speech reproduction. When a synchronous signal is detected, the image is read out from the memory card 27 and reproduced at that tim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녹음하는 동안에 셔터 키(5)가 눌러지면 촬상소자(22)로부터의 화상이 받아들여져 메모리 카드(27)에 기록됨과 동시에,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가 발생된다. 이 동기 신호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igital camer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en the shutter key 5 is pressed while recording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an image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22 is received and recorded in the memory card 27. At the same time, a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the timing at which the image was recorded is generated. This synchronization signal will be described below.

동기 신호는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가장 간단하게는 1비트의 플러그일 수도 있다. 또한, 동기 신호로 인하여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식별함과 동시에, 동기 신호에 예를 들면 화상 파일의 시퀀셜 번호를 기록해 놓을 수도 있다. 또한, 동기 신호에 여러 가지 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for identifying the timing at which the image was recorded, and most simply, it may be a plug of 1 bit. In addition, the timing at which the image was recorded due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identified, and for example, the sequential number of the image file can be recorded 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 addition,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can be recorded 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동기 신호의 기록 방법으로는 이하의 것들이 제공된다.The following are provided as a method of recording a synchronization signal.

(1)음성 신호의 하위 비트로 동기 신호를 기록한다.(1) The sync signal is recorded as the lower bit of the audio signal.

(2)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음성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정보에 동기 신호를 기록한다.(2)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recorded in predetermined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audio signal converted into the frequency domain.

(3)음성 신호로 동기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기록한다.(3) The synchronous signal is multiplexed and recorded by the audio signal.

(4)동기용의 다른 파일을 설치하고, 이 동기용의 다른 파일에 동기 신호를 기록한다.(4) Install another file for synchronization, and record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 the other file for synchronization.

도 5는, 음성 신호의 하위 비트로 동기 신호를 기록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A/D 컨버터(31)의 출력은 인코더(32)로 보내진다. 이 때, A/D 컨버터(31)의 최하위 비트의 출력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에 스위치 회로(50)의 출력을 인코더(32)에 공급한다. 스위치 회로(50)는 보통 때에는 예를 들면, L레벨로 설정되고, 화상을 기록하는 타이밍에서 H레벨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음성 신호의 최하위 비트가 동기 신호가 된다. 재생시에는, 음성 신호의 최하위 비트를 검출함으로써 동기 신호가 검출된다.Fig. 5 shows the recording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with the lower bits of the audio signal. As shown in Fig. 5, the output of the A / D converter 31 which digitizes the audio signal is sent to the encoder 32. At this time, the output of the least significant bit of the A / D converter 31 is not used, and instead, the output of the switch circuit 50 is supplied to the encoder 32. The switch circuit 50 is usually set to L level, for example, and is set to H level at the timing of recording an image. As a result, the least significant bit of the audio signal becomes a synchronization signal. In reproduction, a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least significant bit of the audio signal.

도 6은,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음성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정보에 동기 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음성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인코더(32; 도 4 참조)에 음성 신호가 압축 부호화된다. 음성 신호가 압축 부호화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변환 회로(51)에 의해, 시간 영역의 신호(TD)가 주파수 영역의 신호(FD)로 변환된다. 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신호(FD) 중 소정의 데이터가 동기 신호로서 사용된다. 재생시에는, 소정의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검출함으로써 동기 신호가 검출된다.6 shows a method of recording a synchronization signal in predetermined frequency information of an audio signal converted into a frequency domain. For example, when recording an audio signal, the audio signal is compressed and encoded by the encoder 32 (see Fig. 4). When the audio signal is compressed and cod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transforming circuit 51 converts the signal TD in the time domain into the signal FD in the frequency domain. do. Predetermined data among the signals FD converted into this frequency domain is used as the synchronization signal. At the time of reproduction, a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by detecting data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region.

도 7은, 음성 신호와 동기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기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7 shows a method of multiplexing and recording an audio signal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패턴의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동기 신호 발생 회로(52)가 마련됨과 동시에, A/D 컨버터(31)의 출력과 동기 신호 발생 회로(52)의 출력을 다중화하여 인코더(32)에 공급하는 멀티플렉서(53)가 마련된다. 일반 기록시에는, A/D 컨버터(31)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인코더(32)에 공급된다. 화상을 기록하는 타이밍에서 동기 신호 발생 회로(52)로부터 동기 신호가 발생되고, A/D 컨버터(31)로부터의 음성 신호와 동기 신호 발생 회로(52)부터의 동기 신호가 다중화되어 인코더(32)에 공급된다. 재생시에는, 소정의 패턴의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동기 신호가 검출된다.As shown in FIG. 7,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52 for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of a specific pattern is provided, and at the same time, the output of the A / D converter 31 and the outpu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52 are multiplexed. A multiplexer 53 for supplying the encoder 32 is provided. In normal recording, the audio signal from the A / D converter 31 is supplied to the encoder 32. At the timing of recording the image, a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52, the audio signal from the A / D converter 31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52 are multiplexed so that the encoder 32 Supplied to. At the time of reproduction, a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by detect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pattern.

도 8은, 동기용의 다른 파일을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음성 파일이나 화상 파일과는 별도로 동기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동기 파일(55)이 마련된다. 이 동기 파일(55)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코드(56)가 기록된다. 또한, 동기 파일(55)에는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코드(56)와 함께, 화상 파일의 파일명이나 시퀀셜 번호를 기록할 수도 있다. 재생시에는, 이 동기 파일(55)을 오픈함으로써 타임 코드(56)로부터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이 검출된다.Fig. 8 shows a method of installing another file for synchronization. A synchronization file 55 for recording a synchronization signal is provided separately from an audio file or an image file. In this synchronization file 55, as shown in FIG. 8, a time code 56 indicating the timing at which the image was recorded is recorded. In the sync file 55, the file name and the sequential number of the image file can be recorded together with the time code 56 indicating the timing at which the image was recorded. At the time of reproduction, the timing at which an image is recorded from the time code 56 is detected by opening this sync file 55.

도 5에 도시한 음성 신호의 하위 비트로 동기 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은, 음성의 기록 포맷과 상관없이 동기 신호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위 비트의 정보가 버려지기 때문에 음질이 떨어지게 되지만, 최하위 비트만 사용한 경우에는 음질 은 약간만 떨어지고, 듣기에는 거의 문제가 없다.In the method of record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with the lower bits of the audio signal shown in Fig. 5, the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recorded regardless of the recording format of the audio signal. The sound quality is degraded because the information of the lower beats is discarded. However, if only the least significant beat is used, the sound quality is slightly degraded, and there is almost no problem in listening.

도 6에 도시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음성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정보에 동기 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에서는, 특정 주파수 정보가 버려지기 때문에 음질에 영향을 받는다. 이 경우, 고주파 영역의 신호를 동기 신호로서 사용하면, 듣기에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In the method of record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 predetermined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audio signal converted into the frequency domain shown in Fig. 6, since the specific frequency information is discarded, the sound quality is affected. In this case, when a signal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is used as the synchronization signal, problems are unlikely to occu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음성 파일에 동기 신호를 기록한 경우에는 그 파일이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 기록된 것을 나타내는 마커(marker)를 붙일 수도 있다. 마커는 예를 들면, 파일 헤더에 기입하는 것이 제공된다. 또한, 특수한 파일명이나 식별자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동기 신호의 기록 방법은 이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synchronization signal is recorded in the audio file, a marker indicating that the file has been recorded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may be attached. The marker is provided for example to write in the file header. In addition, a special file name or identifier can be given. 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recording method may use not only this but other methods.

도 9는,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로 설정하여 기록을 행했을 때의 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예에서는, 동기 신호로서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식별하기 위한 플러그가 사용된다.9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processing when recording is performed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n this example, a plug for identifying the timing at which the image was recorded as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used.

도 9에 있어서,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기록 개시가 지시되면(S1 단계) 화상 파일의 시퀀셜 번호(N)가 「1」로 초기화된다(S2 단계). 그리고, 음성 파일이 작성된다(S3 단계). 이 때의 음성 파일의 파일명은 어떠한 파일명일 수도 있다. 보통, MP3에 압축된 음성 파일이라면 확장자로서 「MP3」가 부가된다. 그리고, 마이크로폰(9)으로부터의 음성이 녹음된다(S4 단계).In Fig. 9, when the start of recording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s instructed (step S1), the sequential number N of the image file is initialized to "1" (step S2). Then, an audio file is created (step S3). The file name of the audio file at this time may be any file name. Usually, "MP3" is added as an extension in the case of an audio file compressed in MP3. Then, the voice from the microphone 9 is recorded (step S4).

녹음을 하고 있는 동안에, 캡처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5 단계). 캡처 요구는 녹음을 계속하고 있는 동안에 셔터 키(5)가 눌러지면 발생한다. 캡처 요구가 없으면,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기록 종료가 지시되었지의 여부가 판단되고(S6 단계),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의 종료가 지시되지 않으면, S4 단계 로 되돌아가서 녹음이 계속된다.While record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apture request (step S5). A capture request occurs when the shutter key 5 is pressed while recording continues. If there is no capture reques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end of recording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s instructed (step S6), and if the end of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s not instruc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 and recording continues.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는, 사용자는 프리젠테이션의 음성을 녹음하면서, 그 음성의 설명에 관련지어 셔터 키(5)를 눌러서 화상을 불러들인다. 녹음을 계속하고 있는 동안에 셔터 키(5)가 눌러지면, S5 단계에서 캡처 요구가 있다고 판단된다.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key 5 to retrieve an image in associa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voice while recording the voice of the presentation. If the shutter key 5 is pressed while recording continues,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apture request in step S5.

S5 단계에서, 캡처 요구가 있었다고 판단되면 화상 파일이 작성된다(S7 단계). 이 때, 화상 파일의 파일명은 음성 파일과 관련지어져 정해진다. 또 화상 파일의 파일명에는 화상 파일의 시퀀셜 번호(N)가 포함된다. 또, 통상 JPEG로 압축된 화상 파일이라면 확장자로서 「JPG」가 부가된다.In step S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apture request, an image file is created (step S7). At this time, the file name of the image file is determined in association with the audio file. The file name of the image file includes the sequential number (N) of the image file. In the case of an image file compressed in JPEG, "JPG" is added as an extension.

화상 파일이 작성되면,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가 기록된다(S8 단계). 동기 신호는, 음성 데이터와 화상을 받아들인 타이밍을 관련지은 것이며, 가령 1비트의 플러그일 수도 있다. 그리고, 촬상소자(22)로부터의 1프레임분의 촬상신호가 받아들여지고, 이 촬상신호가 압축 부호화되어 기록된다(S9 단계). 화상의 기록이 완료되면, 파일 번호(N)가 증가한다(S10 단계). 그리고, S4 단계로 되돌아가서 녹음이 계속된다.When the image file is created, a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the timing at which the image was recorded is recorded (step S8). The synchronization signal associates audio data with a timing at which an image is received, and may be, for example, a 1-bit plug. Then, an image pickup signal for one frame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22 is received, and the image pickup signal is compressed and coded and recorded (step S9). When recording of the image is completed, the file number N is increased (step S10). The process then returns to step S4 to continue recording.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캡처 요구가 발생할 때마다 화상이 받아들여져 기록됨과 동시에 동기 신호가 기록되며, 그 화상 파일의 파일명에는 화상을 받아들인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셜 번호(N)가 부가된다.By the above processing, each time a capture request occurs, an image is received and recorded, and a synchronous signal is recorded, and a sequential number (N) indicating the order in which the images are received is added to the file name of the image file.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기록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조작부(7)를 조작하여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의 종료를 지시한다.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의 종료가 지시되면, S6 단계에서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의 종료가 검출되어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기록이 종료된다.When ending the recording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7 to instruct the end of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When the end of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s instructed, the end of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s detected in step S6, and the recording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ends.

도 10은,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 기록을 행했던 경우에, 메모리 카드(27)에 남겨지는 파일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 기록되면, 음성 파일(61)(ABCD.MP3)이 남겨진다. 또한, 받아들여진 복수의 화상 파일(62a, 62b, 62c)이 남겨진다. 음성 파일(61)의 파일명이 가령 「ABCD.MP3」이면, 화상 파일(62a, 62b, 62c)의 파일명은 이것에 관련지어진 것이 되고 시퀀셜 번호가 포함되며, 가령 「ABCD_001.JPG」, 「ABCD_002.JPG」, 「ABCD_003.JPG」가 된다.Fig. 10 shows files left in the memory card 27 when recording is performed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As shown in Fig. 10, when recorded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the audio file 61 (ABCD.MP3) is left.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eceived image files 62a, 62b, 62c are left. If the file name of the audio file 61 is, for example, "ABCD.MP3", the file names of the image files 62a, 62b, and 62c are associated with this and include sequential numbers. For example, "ABCD_001.JPG" and "ABCD_002. JPG "and" ABCD_003.JPG ".

도 11은,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재생 처리를 나타내는 것이다.11 shows playback processing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도 11에 있어서, 재생 개시가 지시되면(S21 단계) 시퀀셜 번호(N)가 초기화된다(S22 단계). 그리고, 메모리 카드(27)로부터 음성 파일이 오픈되고(S23 단계) 음성이 재생된다(S24 단계).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27)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일이 기록되고 있는 경우에는, 음성 파일(61)의 「ABCD.MP3」이 오픈되고 이 음성이 재생된다.In Fig. 11, when the start of reproduction is instructed (step S21), the sequential number N is initialized (step S22). Then, the audio file is opened from the memory card 27 (step S23), and the voice is reproduced (step S24). For example, when a file as shown in FIG. 10 is recorded on the memory card 27, "ABCD.MP3" of the audio file 61 is opened and this audio is reproduced.

그리고,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25 단계). S25 단계에서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파일명에 시퀀셜 번호(N)를 포함하는 화상 파일이 오픈된다(S26 단계). 즉,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27)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일 이 기록되고 있는 경우에는, 처음에 화상 파일(62a)의 「ABC_001.JPG」의 파일명의 화상 파일이 오픈되고, 이 화상이 재생된다(S27 단계). 그리고, 시퀀셜 번호(N)가 증가하여(S28 단계), S24 단계로 되돌아가서 음성의 재생이 계속된다.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step S25). When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in step S25, the image file including the sequential number N in the file name is opened (step S26). That is, for example, when a file as shown in FIG. 10 is recorded on the memory card 27, an image file of the file name of "ABC_001.JPG" of the image file 62a is first opened. The image is reproduced (step S27). Then, the sequential number N is increased (step S28), the flow returns to step S24 to continue the audio reproduction.

이하, 마찬가지로 음성의 재생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 S25 단계에서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S26 단계에서 N번째의 파일명의 화상 파일이 오픈되고, S27 단계에서 그 화상이 재생되며, S28 단계에 시퀀셜 번호(N)가 증가하여 S24 단계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해,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 타이밍에서 파일 번호(N)의 순서로 화상(ABCD_001.JPG, ABCD_002.JPG, ABCD_003.JPG,...)이 순차적으로 재생되어간다.In the same manner, while reproducing audio, likewis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ynchronous signal is detected in step S25, and when a synchronous signal is detected, an image file of the Nth file name is opened in step S26, and the image in step S27. Is reproduced, and the sequential number N is increased in step S28 to return to step S24. As a result, the images (ABCD_001.JPG, ABCD_002.JPG, ABCD_003.JPG, ...) are sequentially reproduced in the order of the file number N at the timing at which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재생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조작부(7)를 조작하여 재생 종료를 지시한다. 재생 종료가 지시되면, S29 단계에서 재생 종료가 검출되고,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재생이 종료된다.When ending the playback,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7 to instruct the end of the playback. If playback end is instructed, playback end is detected in step S29, and playback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ends.

도 12는,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로 설정하여 기록을 행했을 때의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예에서는, 동기 신호로서 화상 파일의 시퀀셜 번호를 포함하는 것이 사용된다.12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processing when recording is performed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n this example, what includes the sequential number of the image file as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used.

도 12에 있어서,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기록이 지시되면(S51 단계) 화상 파일의 시퀀셜 번호(N)가 「1」로 초기화되고(S52 단계), 음성 파일이 작성된다(S53 단계). 그리고, 마이크로폰(9)으로부터 음성이 녹음된다(S54 단계).12, when recording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s instructed (step S51), the sequential number N of the image file is initialized to "1" (step S52), and an audio file is created (step S53). Then, voice is recorded from the microphone 9 (step S54).

녹음을 하고 있는 동안에, 캡처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55 단계). 캡처 요구는, 녹음을 계속하고 있는 동안에 셔터 키(5)가 눌러지면 발생한다. 캡처 요구가 없으면,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의 종료가 지시되었지의 여부가 판단되고(S56 단계),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의 종료가 지시되지 않으면 S54 단계로 되돌아가서 녹음이 계속된다.While record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apture request (step S55). The capture request occurs when the shutter key 5 is pressed while recording continues. If there is no capture reques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end of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s instructed (step S56). If the end of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s not instruc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54 to continue recording.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는, 사용자는 프리젠테이션의 음성을 녹음하면서 그 음성의 설명에 관련지어 셔터 키(5)를 눌러서 화상을 불러들인다. 녹음을 계속하고 있는 동안에 셔터 키(5)가 눌러지면, S55 단계에서 캡처 요구가 있다고 판단된다.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key 5 to retrieve an image in associa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voice while recording the voice of the presentation. If the shutter key 5 is pressed while recording continues,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apture request in step S55.

상기 S55 단계에서, 캡처 요구가 있었다고 판단되면 화상 파일이 작성된다(S57 단계). 이 때, 화상 파일의 파일명에는 시퀀셜 번호(N)가 포함된다. 또한, 보통 JPEG로 압축된 화상 파일이라면 확장자로서 「JPG」가 부가된다.In step S5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apture request, an image file is created (step S57). At this time, the file name of the image file includes the sequential number (N). In the case of an image file compressed with JPEG, " JPG " is added as an extension.

화상 파일이 작성되면,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가 음성 데이터 중에 기록된다(S58 단계). 이 동기 신호 중에는 화상 파일의 시퀀셜 번호(N)가 포함된다. 그리고, 촬상소자(22)로부터의 1프레임분의 촬상신호가 받아들여지고, 이 촬상신호가 압축 부호화되어 기록된다(S59 단계). 화상의 기록이 완료되면 파일 번호(N)가 증가한다(S60 단계). 그리고, S53 단계로 되돌아가서 녹음이 계속된다.When the image file is created, a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the timing at which the image is recorded is recorded in the audio data (step S58). The synchronous signal includes the sequential number N of the image file. Then, an image pickup signal for one frame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22 is received, and the image pickup signal is compressed and coded and recorded (step S59). When the recording of the image is completed, the file number N is increased (step S60). The process then returns to step S53 to continue recording.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캡처 요구가 발생할 때마다 화상이 받아들여져 기록됨과 동시에 동기 신호가 기록되고, 이 동기 신호에는 화상을 받아들인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셜 번호가 포함된다.By the above processing, each time a capture request occurs, an image is received and recorded, and a synchronous signal is recorded. The synchronous signal includes a sequential number indicating the order in which the images are received.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기록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조작 부(7)를 조작하여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의 종료를 지시한다.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의 종료가 지시되면, S56 단계에서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의 종료가 검출되어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기록이 종료된다.When ending the recording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7 to instruct the end of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When the end of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s instructed, the end of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s detected in step S56 and the recording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ends.

도 13은,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재생 처리를 나타내는 것이다.Fig. 13 shows the reproduction processing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도 13에 있어서, 재생 개시가 지시되면(S71 단계) 메모리 카드(27)로부터 음성 파일이 오픈되고(S72 단계) 음성이 재생된다(S73 단계).In Fig. 13, when the start of playback is instructed (step S71), the sound file is opened from the memory card 27 (step S72) and the sound is reproduced (step S73).

그리고, 음성의 재생 중에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74 단계). 상기 S74 단계에서,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동기 신호 중에서 시퀀셜 번호(N)가 추출되며(S75 단계), 추출된 시퀀셜 번호(N)의 화상 파일이 오픈되어(S76 단계) 화상이 재생된다(S77 단계). 그리고, S73 단계로 되돌아가서 음성의 재생이 계속된다.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during reproduction of the voice (step S74). In step S74, when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the sequential number N is extracted from the synchronization signal (step S75), and the image file of the extracted sequential number N is opened (step S76) to reproduce the image (step S77). ). The flow returns to step S73 to continue playback of the audio.

이하, 마찬가지로 음성의 재생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 S74 단계에서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S75 단계에서 동기 신호로부터 시퀀셜 번호(N)가 추출되고, S76 단계에서 N번째의 파일명의 화상 파일이 오픈되며, S77 단계에서 그 화상이 재생되어 S73 단계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해,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 타이밍에서 파일 번호(N)의 순서로 화상이 순차적으로 재생 되어간다.In the same manner, while reproducing voice, likewis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in step S74, and when a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a sequential number N is extracted from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 step S75, and N in step S76. The image file of the first file name is opened, and the image is reproduced in step S77,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73. As a result, images are sequentially reproduced in the order of the file number N at the timing at which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재생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조작부(7)를 조작하여 재생 종료를 지시한다. 재생 종료가 지시되면, S78 단계에서 재생 종료가 검출되어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에서의 재생이 종료된다.When ending the playback,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7 to instruct the end of the playback. If playback end is instructed, playback end is detected in step S78, and playback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ends.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로 설정하여 기록하면, 음성 신호가 연속적으로 기록되고 있는 동안에 화상의 캡처 요구가 있으면, 촬상소자부터의 화상이 받아들여지고, 기록 매체에 화상이 기록됨과 동시에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가 기록된다. 그리고, 재생시에는 음성 신호가 연속적으로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대응하는 화상이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되어 재생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프리젠테이션 레코딩 모드로 설정하면, 음성에 의한 연속된 설명 중에서 음성에 대해 화상을 관련지어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사진을 효과적으로 사용한 비주얼 프리젠테이션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cording is set i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the image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is accepted if there is a request for capturing the image while the audio signal is continuously recorded. The image i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the timing at which the image was recorded is recorded. In the case of reproduction, if a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while the audio signal is continuously reproduced, the corresponding image is read out from the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e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entation recording mode is set, the image can be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the voice in the continuous explanation by the voice. Such a function can be used to perform a visual presentation effectively using a photograph.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1)

촬상소자에서 촬상된 화상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화상 기록 수단;Image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the image signal picked up by the image pickup device onto a recording medium; 입력된 음성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음성 기록 수단; 및Audio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the input audio signal into a recording medium; And 상기 음성 신호를 연속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동안에 화상의 캡처 요구가 있 으면, 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화상을 받아들여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화상을 기록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음성 기록 장치.If there is a request for capturing an image while continuously recording the audio signal, control is made to take an image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record the image on the recording medium, and simultaneously record a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the timing at which the image was recorded.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ideo and audio recording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기 신호는 음성 신호의 하위 비트로 기록하도록 한 특징으로 하는 화상 음성 기록 장치.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recorded as a lower bit of the audio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기 신호는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음성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정보에 기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음성 기록 장치.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recorded in predetermined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audio signal converted into the frequency domai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기 신호는 음성 신호로 멀티플렉싱되어 기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음성 기록 장치.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multiplexed and recorded as an audio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기 신호가 동기 파일에 기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음성 기록 장치.And the sync signal is recorded in a sync fil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기 신호는 화상을 기록한 것을 식별하는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음성 기록 장치.And the plug-in for identifying that the synchronization signal has recorded an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기 신호에는 화상을 기록한 것을 식별하는 것과 동시에, 받아들인 화상의 시퀀셜(sequential)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음성 기록 장치.And a sequential number of the received image, as well as identifying that the image has been recorded, in the synchronizing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받아들인 화상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셜 번호를 카운트하고, 상기 시퀀셜 번호를 화상 파일명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음성 기록 장치.And a sequential number indicating the order of the received images, and including the sequential number in the image file name.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화상 신호를 재생하는 화상 재생 수단과,Image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the image signal read out from the recording medium;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음성 재생 수단과,Audio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the audio signal read out from the recording medium;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신호 중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음성 신호를 연속적으로 재생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음성 재생 장치.And a control means for detecting a synchronous signal among the signals read out from the recording medium and controlling to read and reproduce a corresponding image from the recording medium when the synchronous signal is detected while continuously reproducing an audio signal. An audio and video reproduc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화상 파일명에는, 받아들인 화상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셜 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며, The image file name includes a sequential number indicating the order of the received images.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화상 파일명에 포함되는 시퀀셜 번호의 순서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을 독출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음성 재생 장치.And the control means controls to read and reproduce the image from the recording medium in the order of the sequential number included in the image file name when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동기 신호에는, 받아들인 화상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셜 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동기 신호로부터 얻어진 시퀀셜 번호의 순서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을 독출하여 재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음성 재생 장치.The synchronous signal includes a sequential number indicating the order of the received images, and when the synchronous signal is detected, the image is read out from the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ed in the order of the sequential number obtained from the synchronous signal. Voice playback device.
KR1020050006087A 2004-06-16 2005-01-22 Video and audio signal recording device and reproducing device KR1006270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78228 2004-06-16
JP2004178228A JP4699715B2 (en) 2004-06-16 2004-06-16 Image / audio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621A KR20050119621A (en) 2005-12-21
KR100627070B1 true KR100627070B1 (en) 2006-09-25

Family

ID=3577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087A KR100627070B1 (en) 2004-06-16 2005-01-22 Video and audio signal recording device and reproduc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99715B2 (en)
KR (1) KR1006270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2590B2 (en) * 2006-02-09 2010-11-17 株式会社リコー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890A (en) * 1988-11-30 1990-06-03 삼성전자 주식회사 Learning remote control signal reservation transmission method
KR0165264B1 (en) * 1993-03-08 1999-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receiver having music room function
JP2003319324A (en) * 2002-04-19 2003-11-07 Sony Corp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0097B2 (en) * 1993-03-24 2002-07-0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Electronic camera
JP3991412B2 (en) * 1998-01-09 2007-10-17 ソニー株式会社 Recording device, playback device
JP2001069453A (en) * 1999-08-27 2001-03-16 Hitachi Ltd Still picture camera
JP2001358980A (en) * 2000-06-14 2001-12-26 Ricoh Co Ltd Digital camer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890A (en) * 1988-11-30 1990-06-03 삼성전자 주식회사 Learning remote control signal reservation transmission method
KR0165264B1 (en) * 1993-03-08 1999-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receiver having music room function
JP2003319324A (en) * 2002-04-19 2003-11-07 Sony Corp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05539A (en) 2006-01-05
KR20050119621A (en) 2005-12-21
JP4699715B2 (en)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6640B2 (en) Electronic camera
US7535495B2 (en) Digital camera, control method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KR100755821B1 (en) Divice and method taking the picture of digital camera
JP4208613B2 (en) Imaging device
JP4123352B2 (en) Movie imaging device and movie playback device
JP2005117369A (en) Moving image recorder, moving image reproducer and digital camera
JP4239997B2 (en) Imaging device, still image shooting method during movie shooting, and program
KR100627070B1 (en) Video and audio signal recording device and reproducing device
JP2004207805A (en) Digital still camera
JP4467232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286306B1 (en) Panorama photograph method for digital still camera
JP4565276B2 (en) Camera and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JP2004179823A (en) Digital camera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for digital camera apparatus
JP4085320B2 (en) Digital camera
JP2000236508A (en) Image recorder
JP4637032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4153737A (en) Sound recording method, sound reproducing method and electronic camera
JP2008005280A (en) Video camera device
JP2004228731A (en) Digital camera and program used for the same
KR100242641B1 (en) Video camera with still camera
JP2005117077A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and data reproducing method
JP2005117370A (en) Digital camera
JP2006093985A (en) Imaging apparatus
KR100701052B1 (en) Digital Still Camera
JP2004163485A (en) Speech reproduction system and speech data code, and electronic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