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555B1 - 복층 도막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복층 도막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555B1
KR100625555B1 KR1020017016228A KR20017016228A KR100625555B1 KR 100625555 B1 KR100625555 B1 KR 100625555B1 KR 1020017016228 A KR1020017016228 A KR 1020017016228A KR 20017016228 A KR20017016228 A KR 20017016228A KR 100625555 B1 KR100625555 B1 KR 100625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phr
coating film
pain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080A (ko
Inventor
고바야시요시꼬
우메무라스스무
시미즈겐따
나까오야스시
나까무라시게루
Original Assignee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05D7/57Three layers or more the last layer being a clear coat
    • B05D7/572Three layers or more the last layer being a clear coat all layers being cured or bak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05D5/067Metallic effect
    • B05D5/068Metallic effect achieved by multi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도물 위에 중간칠도료, 메탈릭도료 및 클리어도료를 3 코트 1 베이크방식으로 도장하여 복층 메탈릭도막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간칠도료로서 길이방향 치수 0.5 ∼ 10㎛, 두께 0.01 ∼ 1㎛ 의 편평형상 탤크분말을 0.5 ∼ 5phr 함유하고, 또한 총안료 함유율이 40 ∼ 100phr 인 중간칠도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도막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층 도막형성방법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COATING FILM}
본 발명은 중간칠도막, 메탈릭도막 및 클리어도막으로 이루어지는 내칩핑성 및 평활성 등이 개량된 복층 도막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간칠도료, 메탈릭도료 및 클리어도료를 순차적으로 도장하고 가열하여 이들의 도막을 동시에 경화시키는 3 코트 1 베이크방식 (3C1B) 에 의한 복층 도막을 자동차 차체의 외면부 등에 형성시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주행중에 세게 튕겨진 작은 돌 등이 이 복층 도막에 닿아 도막이 부분적으로 벗겨지는 현상을 자주 볼 수 있다 (이 현상을 「칩핑(chipping)성」이라고 칭함). 이 칩핑성을 해소하기 위해 예컨대, 도막의 층간에 연질 도막을 사이에 끼우는 것이 제안되고 있지만 도장공정이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칠도료, 메탈릭도료 및 클리어도료를 사용하여 3C1B 에 의해 형성되는 복층 도막의 내칩핑성을 도장공정을 증가시키지 않고 개량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금번 중간칠도료에 특정 크기의 편평형상 탤크분말을 0.5 ∼ 5phr 함유시키고, 또한 총안료 함유율을 40 ∼ 100phr 로 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은 피도물 위에 중간칠도료, 메탈릭도료 및 클리어도료를 3 코트 1 베이크방식으로 도장하여 복층 메탈릭도막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간칠도료로서 길이방향 치수 0.5 ∼ 10㎛, 두께 0.01 ∼ 1㎛ 의 편평형상 탤크분말을 0.5 ∼ 5phr 함유하고, 또한 총안료 함유율이 40 ∼ 100phr 인 중간칠도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도막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복층 도막형성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특징은 중간칠도료로서 길이방향 치수 0.5 ∼ 10㎛, 두께 0.01 ∼ 1㎛ 의 편평형상 탤크분말을 0.5 ∼ 5phr 함유하고, 또한 총안료 함유율이 40 ∼ 100phr 인 도료를 사용하는 점에 있다. 따라서, 도장공정을 증가시키지 않고 복층 도막의 내칩핑성 및 평활성의 두 성능을 동시에 개량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중간칠도료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수산기 등의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알키드수지 및 아크릴수지 등의 기체(基體)수지, 멜라민수지나 블록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등의 가교제, 특정 크기의 편평형상 탤크 및 그 외의 안료를 함유하고, 이들을 유기용제 및/또는 물에 혼합시킴으로써 얻는 유기용제계 또는 수계의 액상 도료일 수 있다. 중간칠도료에 배합되는 이 그 외의 안료에는 착색안료 및 편평형상 탤크 이외의 체질안료가 포함되고, 이 들 외의 안료크기 (입경) 는 상기의 편평형상 탤크분말과 동일한 정도 또는 그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본 명세서에서, 「phr」이란 per hundred resin 의 약어로서 도료 중에 함유되는 수지고형분 100 중량부 당 배합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편평형상 탤크분말은 수분 함유 규산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 체질안료이며, 형상은 플레이크형상으로 그 크기는 길이방향 치수 0.5 ∼ 10㎛, 바람직하게는 1 ∼ 5㎛, 두께 0.01 ∼ 1㎛, 바람직하게는 0.1 ∼ 0.5㎛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사용하는 편평형상 탤크의 길이방향 치수가 0.5㎛ 보다 작아지면 도막의 내칩핑성이 저하되고, 반면 10㎛ 보다 커지면 도막의 평활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탤크대신에 클레이, 황산바륨, 마이카 등과 같은 분말을 사용한 경우에는 복층 도막의 내칩핑성 및 평활성을 동시에 개량한다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중간칠도료에서의 편평형상 탤크분말의 함유율은 도료 중의 수지고형분 100 중량부 당 0.5 ∼ 5 중량부 (0.5 ∼ 5phr), 바람직하게는 1 ∼ 4 중량부 (1 ∼ 4phr) 의 범위내로 할 수 있고, 그 함유율이 0.5 중량부보다 적어지면 도막의 내칩핑성이 개량되지 않고, 반면 5 중량부보다 많아지면 도막의 평활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중간칠도료에 편평형상 탤크와 함께 배합되는 그 외의 안료로서는, 중간칠도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그 자체 이미 알려진 착색안료나 체질안료가 동일하게 사용가능하며, 그 함유율은 편평형상 탤크와 그 외의 안료와 합계한 「총안료 함유율」이 40 ∼ 100phr, 바람직하게는 60 ∼ 97phr,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 95phr 의 범위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되는 중간칠도료의 총안료 함유율이 40phr 보다 적으면 도막의 내칩핑성이 저하되고, 반면 100phr 보다 많아지면 복층 도막이 기계적으로 잘 부서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중간칠도료는 예컨대, 필요에 따라 양이온 전착도료 등의 초벌칠도료 등을 도장한 자동차 차체용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피도물에 도장할 수 있다. 도장은 그 자체 이미 알려진 방법으로 행할 수 있고, 그 막두께는 경화도막으로 일반적으로 15 ∼ 40㎛, 특히 20 ∼ 35㎛ 의 범위내가 적합하다.
이어서, 이 중간칠도막을 경화시키지 않고 미경화의 중간칠도면에 메탈릭도료를 도장한다.
메탈릭도료로서는 그 자체 이미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수산기 등의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알키드수지 및 아크릴수지 등의 기체수지, 멜라민수지나 블록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등의 가교제, 알루미늄플레이크, 산화티탄 피복운모 등의 메탈릭안료, 또한 필요에 따라 착색안료, 체질안료 등을 사용하고, 이들을 유기용제 및/또는 물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열경화성 메탈릭도료를 들 수 있다. 메탈릭도료는 상기 미경화의 중간칠도면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도장된다. 이 막두께는 경화도막으로 일반적으로 10 ∼ 40㎛, 특히 15 ∼ 35㎛ 의 범위내로 할 수 있다.
그 후, 이 메탈릭도막을 경화시키지 않고 추가로 클리어도료를 도장한다. 클리어도료로서는 무색 또는 유색의 투명도막을 형성하는 그 자체 이미 알려진 도 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수산기 등의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알키드수지 및 아크릴수지 등의 기체수지, 멜라민수지나 블록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등의 가교제, 또한 필요에 따라 도막의 투명성을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착색안료, 체질안료 등을 사용하고, 이들을 유기용제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열경화성 클리어도료를 들 수 있다. 클리어도료는 상기 미경화의 메탈릭도면에 그 자체 이미 알려진 방법으로 도장되고, 그 막두께는 경화도막으로 일반적으로 20 ∼ 80㎛, 바람직하게는 25 ∼ 50㎛ 의 범위내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중간칠도료, 메탈릭도료 및 클리어도료를 순차적으로 도장하여 미경화의 3 층 도막을 형성하고, 약 100 ∼ 약 180℃, 특히 약 120 ∼ 약 160℃ 의 온도로 10 ∼ 40 분간정도 가열하여 3 층 도막을 동시에 경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복층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중간칠도료로서 길이방향 치수 5 ∼ 10㎛, 두께 0.01 ∼ 1㎛ 의 편평형상 탤크분말을 0.5 ∼ 5phr 함유하고, 또한 총안료 함유율이 40 ∼ 100phr 인 중간칠도료를 사용함으로써, 도장공정을 증가시키지 않고 중간칠도료, 메탈릭도료 및 클리어도료를 사용하여 3C1B 에 의해 내칩핑성 및 평활성이 모두 우수한 복층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부 및 % 는 모두 중량기준이며 도막 두께는 경화도막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 1
양이온 전착도료를 도장하고 가열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강판에 중간칠도료 (폴리에스테르수지ㆍ멜라민수지계; 길이방향 치수 5㎛, 두께 0.5㎛ 의 편평형상 탤크 3phr, 티탄백안료 (입경 0.2㎛) 80phr 및 카본블랙 (입경 0.1㎛) 1phr 을 함유하는 유기용제형) 를 막두께 30㎛ 이 되도록 도장하여 실온에서 2 분간 방치한 다음,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메탈릭도료 (막두께 15㎛) 및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클리어도료 (막두께 40㎛) 를 순차적으로 도장한 후, 140℃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3 층 도막을 동시에 경화시켰다. 얻은 복층 도막은 내칩핑성 및 평활성 (광택감) 이 모두 양호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서, 중간칠도료로서 편평형상 탤크를 배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복층 도막을 형성하였다. 얻은 복층 도막은 실시예 1 에 비해 평활성은 거의 동일하였지만, 내칩핑성이 떨어졌다.
비교예 2
양이온 전착도료를 도장하고 가열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강판에 중간칠도료 (폴리에스테르수지ㆍ멜라민수지계; 클레이 (입경 0.1 ∼ 2㎛) 3phr, 티탄백안료 (입경 0.2㎛) 80phr 및 카본블랙 (입경 0.1㎛) 1phr 을 함유하는 유기용제형) 를 막두께 30㎛ 이 되도록 도장하여 실온에서 2 분간 방치한 다음,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메탈릭도료 (막두께 15㎛) 및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클리어도료 (막두께 40㎛) 를 순차적으로 도장한 후, 140℃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3 층 도막을 동시에 경화시켰다. 얻은 복층 도막은 실시예 1 에 비해 평활성은 거의 동일하였지만, 내칩핑 성이 떨어졌다.
비교예 3
양이온 전착도료를 도장하고 가열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강판에 중간칠도료 (폴리에스테르수지ㆍ멜라민수지계; 황산바륨 (입경 0.1 ∼ 2㎛) 3phr, 티탄백안료 (입경 0.2㎛) 80phr 및 카본블랙 (입경 0.1㎛) 1phr 을 함유하는 유기용제형) 를 막두께 30㎛ 이 되도록 도장하여 실온에서 2 분간 방치한 다음,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메탈릭도료 (막두께 15㎛) 및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클리어도료 (막두께 40㎛) 를 순차적으로 도장한 후, 140℃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3 층 도막을 동시에 경화시켰다. 얻은 복층 도막은 실시예 1 에 비해 평활성은 거의 동일하였지만, 내칩핑성이 떨어졌다.
비교예 4
양이온 전착도료를 도장하고 가열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강판에 중간칠도료 (폴리에스테르수지ㆍ멜라민수지계; 편평형상 마이카 (길이방향 치수 5㎛, 두께 0.5㎛) 3phr, 티탄백안료 (입경 0.2㎛) 80phr 및 카본블랙 (입경 0.1㎛) 1phr 을 함유하는 유기용제형) 를 막두께 30㎛ 이 되도록 도장하여 실온에서 2 분간 방치한 다음,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메탈릭도료 (막두께 15㎛) 및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클리어도료 (막두께 40㎛) 를 순차적으로 도장한 후, 140℃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3 층 도막을 동시에 경화시켰다. 얻은 복층 도막은 실시예 1 에 비해 평활성 및내칩핑성이 모두 떨어졌다.
비교예 5
양이온 전착도료를 도장하고 가열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강판에 중간칠도료 (폴리에스테르수지ㆍ멜라민수지계; 길이방향 치수 15㎛, 두께 0.5㎛ 의 편평형상 탤크 3phr, 티탄백안료 (입경 0.2㎛) 80phr 및 카본블랙 (입경 0.1㎛) 1phr 을 함유하는 유기용제형) 를 막두께 30㎛ 이 되도록 도장하여 실온에서 2 분간 방치한 다음,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메탈릭도료 (막두께 15㎛) 및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클리어도료 (막두께 40㎛) 를 순차적으로 도장한 후, 140℃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3 층 도막을 동시에 경화시켰다. 얻은 복층 도막은 실시예 1 에 비해 내칩핑성은 거의 동일하였지만, 평활성이 떨어졌다.
비교예 6
양이온 전착도료를 도장하고 가열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강판에 중간칠도료 (폴리에스테르수지ㆍ멜라민수지계; 길이방향 치수 5㎛, 두께 0.5㎛ 의 편평형상 탤크 3phr, 티탄백안료 (입경 0.2㎛) 30phr 및 카본블랙 (입경 0.1㎛) 1phr 을 함유하는 유기용제형) 를 막두께 30㎛ 이 되도록 도장하여 실온에서 2 분간 방치한 다음,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메탈릭도료 (막두께 15㎛) 및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클리어도료 (막두께 40㎛) 를 순차적으로 도장한 후, 140℃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3 층 도막을 동시에 경화시켰다. 얻은 복층 도막은 실시예 1 에 비해 내칩핑성이 떨어졌다.
비교예 7
양이온 전착도료를 도장하고 가열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강판에 중간칠도료 (폴리에스테르수지ㆍ멜라민수지계; 길이방향 치수 5㎛, 두께 0.5㎛ 의 편평형상 탤 크 3phr, 티탄백안료 (입경 0.2㎛) 106phr 및 카본블랙 (입경 0.1㎛) 1phr 을 함유하는 유기용제형) 를 막두께 30㎛ 이 되도록 도장하여 실온에서 2 분간 방치한 다음,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메탈릭도료 (막두께 15㎛) 및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클리어도료 (막두께 40㎛) 를 순차적으로 도장한 후, 140℃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3 층 도막을 동시에 경화시켰다. 얻은 복층 도막은 실시예 1 에 비해 평활성 및 내칩핑성이 떨어졌다.
비교예 8
양이온 전착도료를 도장하고 가열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강판에 중간칠도료 (폴리에스테르수지ㆍ멜라민수지계; 길이방향 치수 5㎛, 두께 0.5㎛ 의 편평형상 탤크 20phr, 티탄백안료 (입경 0.2㎛) 75phr 및 카본블랙 (입경 0.1㎛) 1phr 을 함유하는 유기용제형) 를 막두께 30㎛ 이 되도록 도장하여 실온에서 2 분간 방치한 다음,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메탈릭도료 (막두께 15㎛) 및 열경화형 아크릴수지계 클리어도료 (막두께 40㎛) 를 순차적으로 도장한 후, 140℃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3 층 도막을 동시에 경화시켰다. 얻은 복층 도막의 내칩핑성은 거의 동일하였지만, 평활성은 실시예 1 에 비해 떨어졌다.
도막성능시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8 에서 형성된 복층 도막의 내칩핑성 및 도면 평활성을 이하의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에 나타낸다.
내칩핑성: Q-G-R 그라베로미터 (Q 패널사제조, 상품명) 를 사용하여 직경 15 ∼ 20㎜ 의 대리석 약 500㎖ 를 분무공기압 약 4㎏/㎠, 분위기온도 -20℃ 에서 복 층 도막면에 대해 45°의 입사각도로 분무한 후의 도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Figure 112001033337925-pct00001
는 중간칠도막에 박리가 조금 관찰되지만 전착도막의 박리는 거의 관찰되지 않는 것, △ 는 중간칠도막에 박리가 많이 관찰되고 또한 전착도막의 일부에도 박리가 관찰되는 것, ×는 중간칠도막의 대부분이 박리되고 또한 전착도막에 많은 박리가 관찰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면 평활성: 경면 광택계를 사용하여 입사각 및 수광각의 각각이 20°일때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평활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반사율이 클수록 평활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
1 1 2 3 4 5 6 7 8
내칩핑성
Figure 112001033337925-pct00002
× × ×
Figure 112001033337925-pct00003
Figure 112001033337925-pct00004
도면 평활성 85 90 85 85 60 30 90 75 10

Claims (7)

  1. 피도물 위에 중간칠도료, 메탈릭도료 및 클리어도료를 3 코트 1 베이크방식으로 도장하여 복층 메탈릭도막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간칠도료로서 길이방향 치수 0.5 ∼ 10㎛, 두께 0.01 ∼ 1㎛ 의 편평형상 탤크분말을 0.5 ∼ 5phr 함유하고, 또한 총안료 함유율이 40 ∼ 100phr 인 중간칠도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도막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편평형상 탤크분말이 길이방향 치수가 1 ∼ 5㎛ 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편평형상 탤크분말이 두께가 0.1 ∼ 0.5㎛ 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편평형상 탤크분말을 1 ∼ 4phr 함유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총안료 함유율이 80 ∼ 95phr 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피도물 위가 양이온 전착도료로 초벌칠 도장된 자동차 차체용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의 피도물인 방법.
  7. 제 1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도장된 물품.
KR1020017016228A 2000-05-18 2001-05-18 복층 도막형성방법 KR100625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6096 2000-05-18
JPJP-P-2000-00146096 2000-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080A KR20020025080A (ko) 2002-04-03
KR100625555B1 true KR100625555B1 (ko) 2006-09-20

Family

ID=1865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228A KR100625555B1 (ko) 2000-05-18 2001-05-18 복층 도막형성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73759B2 (ko)
EP (1) EP1291090B1 (ko)
JP (1) JP4791674B2 (ko)
KR (1) KR100625555B1 (ko)
DE (1) DE60115890T2 (ko)
WO (1) WO2001087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993B1 (ko) * 2003-02-13 2010-03-23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동차의 복층 도막 형성방법
US7968151B2 (en) * 2004-07-12 2011-06-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ulti-layer coatings
US20060008588A1 (en) * 2004-07-12 2006-01-12 Marc Chill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ulti-layer coatings
JP2006182954A (ja) * 2004-12-28 2006-07-13 Nippon Paint Co Ltd 自動車内板部用中塗り塗料組成物、自動車内板部用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JP2009029942A (ja) * 2007-07-27 2009-02-12 Kansai Paint Co Ltd 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形成方法
US8512802B2 (en) * 2007-11-28 2013-08-20 Axalta Coating Systems IP Co. LLC Method of producing a polished metal effect finish on a vehicle
JP5362308B2 (ja) * 2008-09-30 2013-12-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複層塗膜形成方法
JP5143078B2 (ja) * 2009-04-24 2013-02-13 マツダ株式会社 複層塗膜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2856A (en) * 1960-06-24 1963-09-03 Johnson & Johnson Platy talc beneficiation
US3684197A (en) * 1970-07-22 1972-08-15 William H Ashton Talc beneficiation
JPS5243817A (en) * 1975-10-06 1977-04-06 Nissan Chem Ind Ltd Inorganic coating composition
JPS5556165A (en) * 1978-10-19 1980-04-24 Kansai Paint Co Ltd Chipping-resistant anti corrosive intercoating composition
GB2125421B (en) 1982-08-17 1986-07-23 Nippon Paint Co Ltd Coating composition and coated article
JPH07116405B2 (ja) * 1987-01-19 1995-12-13 日本油脂株式会社 中塗塗料
JPS6485260A (en) 1987-05-30 1989-03-30 Kansai Paint Co Ltd Chipping-resistant intercoating composition
EP0379746B1 (en) 1988-11-30 1994-09-28 Nippon Paint Co., Ltd.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tetrapod-like zinc oxide whiskers
CA2065100A1 (en) * 1991-04-05 1992-10-06 Masami Uemae Aqueous dispersion of acrylic polymer
JP2929332B2 (ja) * 1991-08-30 1999-08-03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調理器具
JP3231435B2 (ja) * 1992-11-09 2001-11-19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樹脂組成物
JPH07207225A (ja) * 1994-01-13 1995-08-08 Shinto Paint Co Ltd 耐チッピング塗膜の形成方法
US5648408A (en) * 1995-06-07 1997-07-15 Ciba-Geigy Corporation Organic stir-in pigments
JPH10216617A (ja) * 1997-02-03 1998-08-18 Nof Corp 3層系塗膜の形成方法
JPH10231454A (ja) 1997-02-19 1998-09-02 Nippon Paint Co Ltd 熱硬化性水性塗料組成物およびその塗装方法
JPH11147069A (ja) * 1997-11-18 1999-06-02 Nippon Paint Co Ltd 3コート1ベーク型高彩度メタリック色塗膜形成方法
JP4316090B2 (ja) * 1999-04-30 2009-08-19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塗膜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91090A1 (en) 2003-03-12
DE60115890D1 (de) 2006-01-19
DE60115890T2 (de) 2006-06-14
EP1291090A4 (en) 2003-07-16
EP1291090B1 (en) 2005-12-14
JP4791674B2 (ja) 2011-10-12
KR20020025080A (ko) 2002-04-03
US6773759B2 (en) 2004-08-10
WO2001087502A1 (fr) 2001-11-22
US20020136837A1 (en)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83285B2 (ja) 光反射性フレークを含有する塗料で被覆された物品又はシート材料
EP1545801B1 (en) Continuous process for applying a tricoat finish on a vehicle
EP1545800B1 (en) Multi-layer coating process to achieve a highly saturated color appearance on a vehicle
JP7322059B2 (ja) テクスチャ加工され、3d印刷された基材用のコーティング
KR20060044668A (ko) 복층 도막 형성 방법
US8512802B2 (en) Method of producing a polished metal effect finish on a vehicle
KR100625555B1 (ko) 복층 도막형성방법
JP4170806B2 (ja) 複層塗膜形成方法、複層塗膜及び物品
JP2008132436A (ja) 塗膜形成方法及び塗膜構造
EP0714959A2 (en) Paints for repairing lustrous agent-containing films and repairing process
WO1999057210A1 (fr) Composition de peinture contenant un pigment de lustrage et procede de formation d'un revetement composite
JP2006239519A (ja) 漆調複層塗膜形成方法及び塗装物品
EP2212031B1 (en) Method of producing a polished metal effect finish on a vehicle
KR100435941B1 (ko) 복층도막의 형성방법
JP2000070833A (ja) 光輝性顔料含有積層塗膜の形成方法
JP2005007219A (ja) 光輝性塗膜の形成方法
JP2002126626A (ja) 多層塗膜形成方法及び多層塗膜並びに水性中塗り塗料組成物
JP2003093965A (ja) 鱗片状光輝性顔料を含む塗料を用いた塗膜形成方法及び得られる塗膜
JP2001314812A (ja) 多色性多層塗膜形成方法
JP2001104871A (ja) 光輝性塗膜形成方法およびロードホイール
JPH06228458A (ja) 中塗塗料
JPH06228461A (ja) 耐チッピング塗料
JPH10216624A (ja) メタリック複層塗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