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953B1 -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953B1
KR100624953B1 KR1020040098871A KR20040098871A KR100624953B1 KR 100624953 B1 KR100624953 B1 KR 100624953B1 KR 1020040098871 A KR1020040098871 A KR 1020040098871A KR 20040098871 A KR20040098871 A KR 20040098871A KR 100624953 B1 KR100624953 B1 KR 100624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plates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716A (ko
Inventor
우순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8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953B1/ko
Priority to JP2005315168A priority patent/JP2006156365A/ja
Priority to US11/287,375 priority patent/US20060127751A1/en
Priority to CNA2005101243228A priority patent/CN1783568A/zh
Publication of KR2006005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2개 이상의 양극판과 음극판과, 각 전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 및 상기 양극판들 및 음극판들에 각각 접합되어 있는 제1 전극탭들 및 제2 전극탭들을 구비하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 전지, 내부 저항, 병렬 접속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Lithium secondary battery}
도 1은 종래의 리튬 이차 전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의 내부 저항을 감소시켜 충방전 효율이 향상되고 급속 충방전이 가능한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급속하게 진전됨에 따라서 이들의 구동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전지의 소형화 및 고용량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하게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리튬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이 양극 및 음극에서 삽입(intercalation)/탈리 (deintercalation)될 때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의 가역적인 삽입/탈리 가능한 물질을 양극과 음극의 활물질로 사용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유기 전해액 또는 폴리머 전해액을 충전시켜 제조한다.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니켈 산화물(LiNiO2), 리튬망간 산화물(LiMnO2) 등의 리튬함유 금속산화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리튬 이차 전지의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을 사용하였으나, 리튬 금속을 사용할 경우 덴드라이트(dendrite)의 형성으로 인한 전지 단락에 의해 폭발 위험성이 있어서 리튬 금속 대신 비정질 탄소 또는 결정질 탄소 등의 탄소계 물질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과, 각형과, 파우치형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튬 이차 전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판(13), 음극판(15) 및 세퍼레이터(14)로 구성되는 전극조립체(12)를 전해액과 함께 캔(10)에 수납하고, 이 캔(10)의 상단부를 캡조립체(20)로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캡조립체(20)는 상기 캔(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플레이트(40)와, 상기 캡플레이트(40)의 단자통공(41)에 삽입되는 전극단자(30)와, 상기 캡플레이트(40)의 아랫면에 설치되는 절연플레이트(50)와, 상기 절연플레이트(50)의 아랫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전극단자(30)와 통전되는 터미널플레이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캡조립체(20)는 상기 전극조립체(12)의 상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절연케이스(70)에 의하여 상기 전극조립체(12)와 절연되면서 상기 캔(10)의 상단개구부에 결합되어 캔(10)을 밀봉하게 된다.
상기 캡플레이트(4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단자통공(41)에는 전극단자(30)가 삽입된다. 상기 전극단자(30)가 단자통공(41)에 삽입될 때는 전극단자(30)와 캡플레이트(40)의 절연을 위하여 전극단자(30)의 외면에 튜브형 개스킷(35)이 결합되어 함께 삽입된다. 상기 캡조립체(20)가 상기 캔(10)의 상단부에 조립된 후 전해액주입공(42)을 통하여 전해액이 주입되고 상기 전해액주입공(42)은 마개(43)에 의하여 밀폐된다.
상기 전극단자(30)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60)를 통하여 상기 제2 전극(15)의 제2 전극탭(17) 및 상기 제1 전극(13)의 제1 전극탭(16)중 하나, 예를 들면 제2 전극탭(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탭(16) 및 제2 전극탭(17)이 전극조립체(12)로부터 인출되는 부분에는 전극(13, 15)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테이프(18)가 감겨져 있다. 상기 전극단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전극탭, 예를 들면 제1 전극탭(16)은 상기 캡플레이트(40)의 하면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리튬 이차 전지에서 상기 제1 전극이 양극을 이루고 상기 제2 전극이 음극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전극단자(30)가 음극으로 작용하게 되고 상기 전극단자(30)를 제외한 캡플레이트(40) 및 캔(10)이 양극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12)를 이루는 전극판들(13, 15)은 전극 활물질을 담지할 뿐만 아니라 전류가 이동되는 통로로 작용한다. 상기 전극조립체(12)는 전극판들(13, 15) 사이에 세퍼레이터(14)를 개재하여 젤리롤(jelly-roll)형으로 권취하여 제조되는데, 양산성 및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전극판의 길이방향의 저항을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추는 것이 곤란하여 이차 전지의 낮은 내부 저항화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전극탭이 접합되어 있는 각 2개 이상의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를 포함함으로써 전지의 내부 저항을 감소시켜 충방전 효율이 향상되고 급속 충방전이 가능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는 각각 2개 이상의 양극판과 음극판과, 각 전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 및 상기 양극판들 및 음극판들에 각각 접합되어 있는 제1 전극탭들 및 제2 전극탭들을 구비하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상기 양극판 및 상기 음극판을 교대로 적층하여 권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탭들은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탭들도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는 각각 2개 이상의 양극판(113a, 113b)과 음극판(115a, 115b)과 그 사이에 세퍼레이터(미도시)를 개재하여 이들을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권취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조립체는 세퍼레이터(미도시)를 개재시켜 양극판(113a, 113b) 및 음극판(115a, 115b)을 교대로 적층한 후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미도시)는 양극판(113a, 113b)과 음극판(115a, 115b)을 분리시켜 단락을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분자막 또는 이들의 다중막, 미세다공성 필름, 직포 및 부직포와 같은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113a, 113b)의 적어도 일면에 전극 활물질(122a, 122b)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상기 양극판(113a, 113b)의 무지부(uncoated area)에 제1 전극탭(116a, 116b)이 각각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음극판(115a, 115b)의 적어도 일면에 전극 활물질(120a,120b)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상기 음극판(120a,120b)의 무지부에 제2 전극탭(117a, 117b)이 각각 접합되어 있다.
상기 양극판(113a, 113b) 또는 음극판(115a, 115b)은 양극판 또는 음극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양극판(113a, 113b) 또는 음극판(115a, 115b)이 양극판으로 작용하는 경우, 상기 양극판으로는 스테인레스강, 니켈, 알루미늄, 티탄 또는 이들의 합금,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을 표면 처리시킨 것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중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판(113a, 113b) 또는 음극판(115a, 115b)이 음극판으로 작용하는 경우, 상기 음극판으로는 스테인레스강, 니켈, 구리, 티탄 또는 이들의 합금, 구리 또는 스테인레스강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을 표면 처리시킨 것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중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판(113a, 113b) 또는 음극판(115a, 115b)에 도포되는 전극 활물질(120a, 120b; 122a, 122b)은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활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통상적으로 리튬함유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리튬 칼코게나이드 화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또는 LiNi1-x-yCoxMyO 2(0≤x≤1, 0≤y≤1, 0≤x+y≤1, M은 Al, Sr, Mg, La 등의 금속) 등의 금속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탄소 복합체, 탄소 섬유 등의 탄소 재료, 리튬 금속, 리튬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탭(116a, 116b) 및 상기 제2 전극탭(117a, 117b)은 각각 양극판(113a, 113b) 및 음극판(115a, 115b)의 무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양극판(113a, 113b) 및 음극판(115a, 115b)의 무지부에 대하여 점용접(spot welding), 레이저용접, 초음파용접과 같은 용접이나,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통전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상기 도전성 접착제로는 접착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변성 우레탄수지 등의 합성수지와 합성고무에 도전성이 우수한 은, 니켈 등 금속가루와 카본을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킨 도전성 페이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양극판(113a, 113b)에 각각 접합되어 있는 제1 전극탭(116a, 116b)은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음극판(115a, 115b)에 각각 접합되어 있는 제2 전극탭(117a, 117b)도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와 같이 극성을 달리하는 전극판을 각각 적어도 2매 이상 구비하고 각 전극판에 전극탭을 각각 접합시키고 이들을 병렬 구조로 연결함으로써 각 전극의 저항 값이 하기의 식(1)과 같은 병렬 저항 값을 가지게 되므로 이차 전지의 내부 저항이 감소된다.
1/R = 1/R1 + 1/R2 +···+ 1/Rn (1)
상기 식에서 n은 전극탭의 갯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각 2매 이상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사용하되, 2매 이상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전극탭에 의해 병렬연결함으로써 기존의 동일 용량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비하여 각각의 전극판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1/2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저항은 하기 식(2)와 같이 도체길이에 비례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이루는 전극판들은 길이방향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각 전극판들에서 전기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Figure 112004056041891-pat00001
(2)
상기 식에서, R은 도체저항(Ω), ρ는 저항률, L은 도체길이(m), S는 단면적(m2)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양극판(113a, 113b)에 각각 접합되어 있는 제1 전극탭(116a, 116b)은 별도의 도전성 연결부(124)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24)에 단자 접속을 위한 전극탭(116c)을 별도로 부착하여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연결부(124) 및 단자 접속을 위한 별도의 전극탭(116c)도 점용접, 레이저용접, 초음파용접과 같은 용접이나,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통전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판(115a, 115b)에 각각 접합되어 있는 제2 전극탭(117a, 117b)도 별도의 도전성 연결부(125)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25)에도 단자 접속을 위한 전극탭(117c)을 별도도 부착하여 인출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도전성 연결부를 상기 전극탭에 부착하는 대신에 상기 제1 전극탭(216a, 216b) 중 하나(216a)를 절곡하여 다른 제1 전극탭(216b)에 용접한 후 단자 접속을 위한 별도의 전극탭(216c)을 부착하여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탭(217a, 217b) 중 하나(217a)를 절곡하여 다른 제2 전극탭(217b)에 용접한 후 단자 접속을 위한 별도의 전극탭(217c)을 부착하여 인출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도전성 연결부를 상기 전극탭에 부착하는 대신에 상기 제1 전극탭(316a, 316b) 중 하나(316a)를 절곡하여 다른 제1 전극탭(316b)에 용접한 후 상기 용접된 제1 전극탭(316b)을 단자 접속을 위한 전극탭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탭(317a, 317b) 중 하나(317a)를 절곡하여 다른 제1 전극탭(317a)에 용접한 후 상기 용접된 제1 전극탭(317b)을 단자 접속을 위한 전극탭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도전성 연결부와 단자 접속을 위한 전극탭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 공정이 보다 간소화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한 본원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의 임피던스 개선 효과를 실험적으로 아래의 표 1에서 알 수 있다.
[표 1]
(용량 2.6mAh, Φ18*65mmL) (단위:mΩ)
실험 횟수 종래 기술 (전극판 양,음극 각 1매:폭 58mm, 길이 600mm) 본원 발명 (전극판 양,음극 각 2매: 폭 58mm, 길이 300mm)
1 58 45
2 57 44
3 57 45
4 58 44
5 57 44

이처럼 양,음극판의 길이가 감소됨으로써 권취기(Winding Machine)의 택 타임(Tact time)을 단축하는 효과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전극탭이 접합되어 있는 각 2개 이상의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전지의 내부 저항이 감소되어 충방전 효율이 향상되고 급속 충방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대해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각각 2개 이상의 양극판과 음극판과, 각 전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 및; 상기 양극판들 및 음극판들에 각각 접합되어 있는 제1 전극탭들 및 제2 전극탭들을 구비하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조립체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상기 양극판 및 상기 음극판을 교대로 적층하여 권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탭들은 서로 병렬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전극탭들은 서로 병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탭들의 연결부에서 단자 접속을 위한 전극탭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을 위한 전극탭은 상기 제1 전극탭들의 연결부에 별도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탭들의 연결부에서 단자 접속을 위한 전극탭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을 위한 전극탭은 상기 제2 전극탭들의 연결부에 별도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들은 점용접, 레이저용접 또는 초음파용접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들은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은 또는 니켈 페이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들은 니켈, 니켈 합금,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의 매수가 증가할 수록 전극판의 길이방향 길이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040098871A 2004-11-29 2004-11-29 리튬 이차 전지 KR100624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871A KR100624953B1 (ko) 2004-11-29 2004-11-29 리튬 이차 전지
JP2005315168A JP2006156365A (ja) 2004-11-29 2005-10-28 リチウム二次電池
US11/287,375 US20060127751A1 (en) 2004-11-29 2005-11-28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CNA2005101243228A CN1783568A (zh) 2004-11-29 2005-11-28 锂充电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871A KR100624953B1 (ko) 2004-11-29 2004-11-29 리튬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716A KR20060059716A (ko) 2006-06-02
KR100624953B1 true KR100624953B1 (ko) 2006-09-18

Family

ID=3658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871A KR100624953B1 (ko) 2004-11-29 2004-11-29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27751A1 (ko)
JP (1) JP2006156365A (ko)
KR (1) KR100624953B1 (ko)
CN (1) CN17835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02B1 (ko) * 2004-11-15 2008-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교번 배향 구조의 이차전지 팩
JP4670430B2 (ja) * 2005-03-30 2011-04-13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
GB2443852B (en) * 2006-10-25 2008-12-17 Oxis Energy Ltd A Lithium-Sulphur Battery with a High Specific Energy and a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1487862B1 (ko) * 2006-10-25 2015-01-30 옥시스 에너지 리미티드 높은 비에너지를 가진 리튬-황 전지 및 그의 작동 방법
JP5270852B2 (ja) * 2007-03-20 2013-08-21 株式会社東芝 組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
JP5181759B2 (ja) * 2008-03-21 2013-04-10 ソニー株式会社 Icカード
JP5550923B2 (ja) * 2009-03-05 2014-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1165507B1 (ko) 2009-11-27 2012-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5661189B2 (ja) * 2010-10-16 2015-01-28 シェンゼェン ビーワイディー オート アールアンドディ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9543562B2 (en) * 2010-11-01 2017-01-10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199161B1 (ko) 2011-02-11 2012-11-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595613B1 (ko) * 2013-05-06 2016-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 전지
EP2846379B1 (en) 2013-09-09 2018-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143624B1 (ko) * 2014-01-08 2020-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16004079A1 (en) 2014-06-30 2016-01-07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for a cordless power tools
DE102015201655A1 (de) * 2015-01-30 2016-08-04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und Batteriesystem
KR102439847B1 (ko) * 2015-08-25 2022-09-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134649B1 (ko) * 2016-03-21 2020-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245118B1 (ko) * 2016-05-09 2021-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 전지
KR102654626B1 (ko) * 2016-10-27 2024-04-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EP4346003A2 (en) * 2016-11-02 2024-04-03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9044526A1 (ja) * 2017-08-29 2019-03-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池、電池パック、電子機器、電動車両、蓄電装置および電力システム
US11469412B2 (en) 2018-05-02 2022-10-11 Lg Energy Solution, Ltd. Anode for lithium metal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lithium metal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2023530532A (ja) * 2020-06-02 2023-07-19 寧徳時代新能源科技股▲分▼有限公司 電極アセンブリの作成装置及び電極アセンブリの作成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6211B2 (ja) 1993-05-26 1998-09-30 株式会社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チウム電池の製造方法
KR20030095519A (ko) * 2002-06-12 2003-12-24 주식회사 코캄엔지니어링 리튬 2차 전지용 크루드 셀의 전극탭 처리 방법 및 그에따른 크루드 셀 및 이를 채용한 리튬 2차 전지
JP3511476B2 (ja) 1998-03-18 2004-03-29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4241328A (ja) 2003-02-07 2004-08-26 Mitsubishi Chemicals Corp 平板積層型電池及び平板積層型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5567B1 (ko) * 1968-06-06 1973-07-30
JPH07249405A (ja) * 1994-03-10 1995-09-26 Haibaru:Kk 電 池
JPH07249429A (ja) * 1994-03-10 1995-09-26 Haibaru:Kk 電 池
JP3952093B2 (ja) * 1996-12-17 2007-08-01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電池
JPH1173994A (ja) * 1997-08-29 1999-03-16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US6379840B2 (en) * 1998-03-18 2002-04-30 Ngk Insulators,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JPH11339758A (ja) * 1998-05-25 1999-12-10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電極巻回型電池
JP3685626B2 (ja) * 1998-09-14 2005-08-24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445171B2 (ja) * 1998-11-04 2003-09-08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3754220B2 (ja) * 1999-03-01 2006-03-08 三洋電機株式会社 筒型二次電池
US7332242B2 (en) * 2000-09-01 2008-02-19 Itochu Corporation Lithium-based battery having extensible, ion-impermeable polymer covering on the battery container
JP2002175839A (ja) * 2000-12-08 2002-06-21 Nec Tokin Tochigi Ltd 密閉型電池
KR100472504B1 (ko) * 2002-06-17 2005-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강구조가 개선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0477750B1 (ko) * 2002-09-23 200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6211B2 (ja) 1993-05-26 1998-09-30 株式会社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チウム電池の製造方法
JP3511476B2 (ja) 1998-03-18 2004-03-29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KR20030095519A (ko) * 2002-06-12 2003-12-24 주식회사 코캄엔지니어링 리튬 2차 전지용 크루드 셀의 전극탭 처리 방법 및 그에따른 크루드 셀 및 이를 채용한 리튬 2차 전지
JP2004241328A (ja) 2003-02-07 2004-08-26 Mitsubishi Chemicals Corp 平板積層型電池及び平板積層型電池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98871 - 628880
162413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716A (ko) 2006-06-02
CN1783568A (zh) 2006-06-07
JP2006156365A (ja) 2006-06-15
US20060127751A1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953B1 (ko) 리튬 이차 전지
US10559843B2 (en)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pack, and vehicle
US8067112B2 (en) Stacked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its fabrication utilizing a folded configuration
JP5087434B2 (ja) 双極リチウムイオン再充電可能電池
US8313851B2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KR100731452B1 (ko) 원통형 전지의 극판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US20130177787A1 (en) Current collec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P2249425A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20080099890A (ko) 바이폴라 셀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70032456A (ko) 비수 전해질 전지 및 전지 팩
US7592097B2 (en) Electrochemical cell designs with anode plates and connections which facilitate heat dissipation
JP3331649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17104028A1 (ja) 非水電解質電池及び電池パック
JP2000100475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気化学電池
WO2004097971A1 (en) Stacked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its fabrication
KR101515672B1 (ko) 2 이상의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에 의한 전기 화학 소자
KR100509435B1 (ko)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26513B1 (ko) 권취형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일체형 이차전지
JP2006092973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614398B1 (ko) 각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514214B1 (ko) 분리된 2겹의 격리막을 이용한 적층형 리튬이차전지 및 그제조방법
KR100601561B1 (ko) 권취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
KR100514215B1 (ko) 다열 접착을 이용한 적층형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
WO2003100901A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its fabrication
JP2006080020A (ja) 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