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121B1 - Dual Composition Tread Band For Tire - Google Patents

Dual Composition Tread Band For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121B1
KR100624121B1 KR1020017007923A KR20017007923A KR100624121B1 KR 100624121 B1 KR100624121 B1 KR 100624121B1 KR 1020017007923 A KR1020017007923 A KR 1020017007923A KR 20017007923 A KR20017007923 A KR 20017007923A KR 100624121 B1 KR100624121 B1 KR 100624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tread
tread band
modulu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82765A (en
Inventor
카레타레나토
나흐미아스난니마르코
Original Assignee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20010082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7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1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1Tyres requiring an asymmetric or a special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41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omprising different tread rubber layers
    • B60C11/005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omprising different tread rubber layers with cap and base layers
    • B60C11/0058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omprising different tread rubber layers with cap and base layers with different cap rubber layers in the ax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41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omprising different tread rubber layers
    • B60C11/005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omprising different tread rubber layers with cap and base layers
    • B60C11/0058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omprising different tread rubber layers with cap and base layers with different cap rubber layers in the axial direction
    • B60C11/0066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omprising different tread rubber layers with cap and base layers with different cap rubber layers in the axial direction having an asymmetric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4Asymmetric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60C11/03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by the void or net-to-gross ratios of the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8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strip form, e.g. metallic combs, rubber strips of different wear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08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tread rubber
    • B60C2011/0016Physical properties or dimensions
    • B60C2011/0025Modulus or tan del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안락성과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할 뿐만이 아니라 개선된 조종 성능을을 제공하는 타이어용 이중 구조 트레드 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트레드 밴드는 비대칭 트레드 디자인을 가지며, 엘라스토머에 대한 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는 제1부분과, 엘라스토머에 대한 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는 제2부분으로 분할되어져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structure tread band for a tire that not only provides improved comfort and a smooth ride, but also provides improved steering performance. The tread band has an asymmetric tread design and is divided into a first portion having a greater modulus of elasticity for the elastomer and a second portion having a larger modulus of elasticity for the elastomer.

타이어, 트레드 밴드, 비대칭, 엘라스토머, 탄성계수Tire, Tread Band, Asymmetrical, Elastomer, Modulus of Elasticity

Description

타이어용 이중 구조 트레드 밴드{Dual Composition Tread Band For Tire}Dual Composition Tread Band For Tire

본 발명은 타이어의 안락성과 조종 특성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용 트레드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대칭 트레드 디자인으로 타이어의 조종성 및 안락 특성을 향상하는 트레드 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ad band for tires that improves tire comfort and steering characteristic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ead band that improves steering and comfort characteristics of tires with an asymmetric tread design.

타이어는 차량과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사이에서 연결 역할을 하며 도로에 가능한 최대한으로 차량에 의해서 발생되는 가속력, 제동력, 지향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져 있다. 이러한 힘들은 타이어의 엘라스토머 화합물과 도로의 거친 표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마찰에 의해서 도로상에서 작용하게 된다. 양호한 조종 특성을 얻기 위하여, 타이어와 도로 사이의 마찰은 다양한 운전 조건, 예들 들면 건조면, 습지면, 설상면, 빙판면에서 운전되는 조건하에서 적당하게 디자인된 타이어에 의해서 최대화되어져야만 한다. 부가적으로, 타이어는 또한 다른 기능적인 특징, 즉 안락하고 부드러운 승차감과 긴 주행 수명을 제공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특성은 또한 타이어가 비정상적인 운전 조건 즉, 타이어가 최적 도로면 이하에서 과도한 속도로 구동될 때나, 주변 온도가 혹서 또는 혹한에 이를 때에도 유지되어져야만 한다.The tires serve as a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and are designed to deliver acceleration, braking and directing forces generated by the vehicle to the maximum extent possible. These forces are acted on the road by the friction that exists between the tire's elastomer compound and the road's rough surface. In order to obtain good steering characteristics, the friction between the tire and the road must be maximized by a properly designed tire under various driving conditions, for example, driving on dry, wet, snow and ice surfaces. In addition, the tire must also provide other functional features: comfortable and smooth ride and long running life. This characteristic must also be maintained even when the tire is driven under abnormal driving conditions, i.e. when the tire is driven at excessive speeds below the optimum road surface, or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reaches extreme or severe temperatures.

타이어의 성능 특성은 타이어 구조의 몇 가지 특징에 의존한다. 타이어의 기계적인 특징중 하나로서 타이어 트레드 밴드상에 제공된 트레드 패턴을 들 수가 있다. 트레드 패턴은 트레드 밴드를 원주방향과 횡단방향 양방향으로 교차시키고 트레드 밴드에서 별개의 고형 블록과 리브를 한정하는 일련의 그루브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블록과 리브는 특정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진다. 이러한 패턴은 타이어의 예상되는 사용에 따라 다양화되어지는데, 예를 들면, 건조한 도로와, 습한 도로 또는 설상 또는 빙판 조건에서 조종성이 최적화되어야만 한다.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tire depend on several features of the tire structure. One of the mechanical features of a tire is the tread pattern provided on the tire tread band. The tread pattern consists of a series of grooves that intersect the tread band in both circumferenti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nd define separate solid blocks and ribs in the tread band. These blocks and ribs are arranged to form a specific pattern. These patterns vary with the anticipated use of tires, for example, maneuverability should be optimized on dry roads, wet roads or on snow or ice conditions.

트레드 패턴은 순접촉비에 의해서 특징지워지는데, 이 순접촉비는 트레드의 표면 부분이 실질적으로 지면과 접촉하는 측정치이다. 상기 순접촉비는 지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트레드 에지 사이의 블록의 면적(순접촉 면적)을 트레드 에지 사이의 블록과 그루브의 전체 면적(총면적)으로 나눔으로서 얻어진다. 순접촉비가 크면 클수록, 동일한 트레드 폭을 갖는 유사한 타이어에 대해서, 보다 많은 고무가 로면과 접촉하게 된다.The tread pattern is characterized by a forward contact ratio, which is a measure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tread being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forward contact ratio is obtained by dividing the area of the block (tread contact area) between the tread edge which is in substantial contact with the ground by the total area (total area) of the block between the tread edge and the groove. The larger the forward contact ratio, the more rubber is in contact with the furnace surface for similar tires having the same tread width.

트레드 패턴의 몇가지 일반적인 형태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타이어에 대해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대칭 트레드 패턴은 가장 일반적인 트레드 패턴으로서, 관찰자가 타이어를 바라보는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보이는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동일한 트레드 밴드를 갖는 이러한 형태의 타이어는 차량의 어느 쪽에도 장착되어질 수 있으며,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있어서도 적당하다. 비대칭 타이어는 또한 보다 일반적인 타이어가 되어가고 있다. 타이어는 타이어의 회전축에 직교한 면에 의해서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트레드 밴드를 가지고 있을 때 비대칭으로 정의된다. 각각의 트레드 밴드 부분은 각각의 특정한 목적에 대해 최적화된 다른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차량에 가장 가까운 트레드 밴드 부분은 습지면 조종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부분은 코너링을 위해 최적화되어질 수도 있다. 비대칭 타이어는 하나의 기설정된 트레드 밴드 부분이 항상 차량의 가장 근접 부분에 장착되어지게 반드시 특정한 방향으로 장착되어져 한다. 마지막으로, 지향성 트레드 밴드를 갖는 타이어가 또한 사용되어질 수가 있다. 트레드 밴드는 트레드 패턴이 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해서 거울 반사형일 때 방향성을 가지며, 타이어는 차량에 대해 바람직한 회전 방향으로 장착되어지도록 설계되어진다.Some general forms of tread patterns are generally known and are used for tires. The symmetrical tread pattern is the most common tread pattern and has a design that looks the sam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the viewer looks at the tire. Tires of this type with the same tread band can be mounted on either side of the vehicle and are suitable for turning in either direction. Asymmetric tires are also becoming more common tires. A tire is defined as asymmetric when it has a tread band divided into two parts by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ire. Each tread band portion has a different design that is optimized for each particular purpose. For example, the tread band portion closest to the vehicle may be optimized for wetland manipulation, while other portions may be optimized for cornering. Asymmetric tires must be mounted in a particular direction so that one predetermined tread band portion is always mounted to the nearest part of the vehicle. Finally, tires with directional tread bands can also be used. The tread band is directional when the tread pattern is mirror reflective to the equator plane of the tire, and the tire is designed to be mounted in the desired direction of rotation relative to the vehicle.

트레드 패턴은 자체적으로 다른 운전 조건에 대해서 또한 최적화되어질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트레드 패턴은 보다 나은 내마모성과 건조 조건에서 보다 나은 조종성을 제공하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질 수가 있고, 또는 보다 나은 수막 현상 방지 성능과 습지 또는 설상면에서 보다 나은 견인력을 제공할 있도록 설계되어 질 수가 있다. 트레드 패턴의 상기 디자인은 타이어의 안락하고 부드러운 승차감에 영향을 또한 미친다.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은 타이어의 지향 안정성 유지에 도움을 줄수가 있으며, 도로에서 타이어의 부드럽고 조용한 구름 접촉을 촉진한다.The tread pattern can itself be optimized for other operating conditions as well. For example, the tread pattern may be designed to provide better wear resistance and better maneuverability in dry conditions, or may be designed to provide better anti-mening performance and better traction on wet or snowy surfaces. There is a number. The design of the tread pattern also affects the tire's comfort and smooth ride. The tire tread pattern can help maintain the tire's orientation stability and promote smooth and quiet rolling contact of the tire on the road.

30℃-70℃ 사이의 범위의 정상 타이어 운전 온도와 70℃이상 및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100℃를 초과하는 고온 타이어 운전 온도 모두에서 타이어의 양호한 조종 능력과 내마모성을 조화시키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 고온 타이어 운전 온도는 특히 고속 주행 및 곡선 도로 주행시 타이어 내에서 생성된 열-기계 응력에 기인하며, 이는 타이어의 수명을 감소시키게 된다. 저온에서, 타이어의 엘라스토머 합성 물은 마모가 적지만, 또한 도로와의 마찰은 작게 작용시키고 이에 따라서 조종 성능을 감소시킨다. 고온에서는, 타이어의 엘라스토머 합성물은 조종 성능은 증가되지만 내마모성은 감소된다.It is a difficult task to harmonize the tire's good maneuverability and wear resistance at both normal tire operating temperatures in the range of 30 ° C.-70 ° C. and hot tire operating temperatures above 70 ° C. and in some cases above 100 ° C. The hot tire operating temperature is due to the thermo-mechanical stresses generated in the tires, especially during high speed and curved road driving, which reduces the life of the tire. At low temperatures, the elastomeric composites of the tires have less wear, but also have less friction with the road, thus reducing steering performance. At high temperatures, the elastomeric composite of the tire has increased steering performance but reduced wear resistance.

또한, 타이어는 차량에 부드럽고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양호한 조종 성능을 위해 최적화된 타이어는 보다 단단한 화합물로부터 제조되며, 이는 보다 부드럽고, 보다 유연한 화합물보다는 대체적으로 보다 거칠고 덜한 안락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는 장거리 여행에서 특히 문제로 작용하는데, 거친 승차감은 운전자의 피로를 유발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tires need to provide the vehicle with a smooth and comfortable ride. Tires optimized for good steering performance are made from harder compounds, which generally give them rougher and less comfort than softer, more flexible compounds. This is especially a problem for long trips, because rough riding can cause driver fatigue.

조종 능력과, 안락하고 부드러운 승차감과, 양호한 내마모성과, 저구름 저항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한 타이어의 디자인에 대한 서로 상반하는 필요 조건은 달성하기가 지금껏 어려웠다. 이와 같은 어려움은 종래의 타이어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절충안을 낳게 하였다. 이와 같은 절충안은 타이어, 특히 타이어의 트레드 밴드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재료와 타이어의 트레드 밴드상에서 형성된 트레드 패턴 모두에서 적용되고 있다. 모든 형태의 날씨 조건과 기온에서 양호한 조종 특성을 제공하고 부드럽고 안락한 승차감을 얻기 위한 요구는 따라서 트레드 패턴의 디자인과 트레드 밴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화합물의 선택에서 이상적인 선택을 할 수가 없었다.The conflicting requirements for the design of the tires to simultaneously provide maneuverability, comfortable and smooth ride, good wear resistance and low cloud resistance have been difficult to achieve. Such difficulties have led to various compromises in the design of conventional tires. This compromise applies both to the material used to construct the tread band of the tire, especially the tire, and to the tread pattern formed on the tread band of the tire. The need to provide good steering characteristics and to provide a smooth and comfortable ride in all types of weather conditions and temperatures, thus making the ideal choice in the design of the tread pattern and the choice of compounds used to form the tread band.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성능에 대한 상반되는 필요 조건에 의해 부과된 많은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트레드 밴드의 구성에 있어서 다른 엘라스토머 화합물을 조합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왔다. 예를 들면, 영국 특허번호 제1,588,575호는 건조면 뿐만이 아니라 빙판면, 설상면으로 덮힌 도로상에서 양호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트레드를 갖는 모터 차량 타이어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특허의 상기 타이어 트레드는 분리된 환형의 원주방향으로 연재된 부분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은 서로 인접하며,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각각은 엘라스토머 성분으로 제작되어지며 2차 온도(또한 유리 천이 온도로 공지되어 있음)를 갖으며, 상기 2차 온도는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성분의 2차 온도와는 다르다.In gener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combine different elastomeric compounds in the construction of tread bands to meet the many demands imposed by the conflicting requirements on tire performance. For example, British Patent No. 1,588,575 describes a motor vehicle tire having a tread capable of providing good traction on roads covered with ice, snow, as well as dry surfaces. The tire tread of the patent has separate annular circumferentially extending portions,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have portions of different shapes, each of which is made of an elastomeric component and which has a secondary temperature (also Known a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the secondary temperature is different from the secondary temperature of the component forming the other part.

차량용 타이어 트레드의 작동 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유럽 특허출원번호 제EP 8664446호에 개시되어져 있다. 상기 출원에서, 타이어 트레드가 사용되어지는데 엘라스토머 재료의 100 중량비와, 카본 블랙의 50-100% 중량비와 실리카의 0-50% 중량비를 구비한 혼합물의 40-120 중량비와, 적어도 하나의 일반적인 첨가물 3-40 중량비를 구비한 제1부분 A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트레드는 또한 엘라스토머 재료의 100 중량비와, 실리카의 30-100% 중량비와 카본 블랙의 0-70% 중량비를 구비한 혼합물의 40-120 중량비와, 적어도 하나의 일반적인 첨가물 3-40 중량비를 구비한 제2부분 B를 가지고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 B에서의 실리카의 함유량은 상기 제1부분 A에서의 실리카의 함유량보다 적어도 20% 이상 높다.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ducing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a vehicle tire tread is disclosed in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 EP 8664446. In this application, tire treads are used, comprising: 40-120 weight ratio of a mixture having 100 weight ratio of elastomeric material, 50-100% weight ratio of carbon black and 0-50% weight ratio of silica, and at least one common additive 3 The first part A has a weight ratio of -40. In addition, the tread also contains 100 to 40 weight ratios of elastomeric materials, 40 to 120 weight ratios of mixtures with 30 to 100% weight ratios of silica and 0 to 70% weight ratios of carbon black, and 3-40 weight ratios of at least one common additive. It has the 2nd part B provided. In all cases, the content of silica in the second part B is at least 20% higher than the content of silica in the first part A.

본 출원인은 비대칭 트레드 패턴이 트레드 밴드의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트레드 밴드 부분 각각이 다른 (주기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에너지의 축적 및 원위치를 나타내는)탄성계수를 갖는 엘라스토머 화합물로부터 형성되어 진다면, 상기 트레드 밴드 화합물과 트레드 패턴 사이의 최종적인 시너지 상호 작용이 타이어에 개선된 안락성과 부드러움을 부여할 뿐만이 아니라 건조 도로 조건에서 개선된 조종 특성이 달성되게 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Applicants note that if an asymmetric tread pattern is formed in each of the tread band portions, each of the tread band portions is formed from an elastomeric compound having a different modulus of elasticity (indicating the accumulation and in situ of energy during periodic deformation) It was found that the final synergistic interaction between the band compound and the tread pattern not only gave the tire improved comfort and softness, but also improved steering characteristics in dry road conditions.

조종성과 안락성의 개선은 특히 차량을 향한 트레드 밴드의 내측부가 저탄성계수를 갖는 화합물로 형성되어지고, 습지면에 최적화된 트레드 디자인을 갖을 때 특히 두드러졌다. 또한, 그 반대로 차량으로부터 떨어진 트레드 밴드의 외측부가 고탄성계수를 갖는 화합물로 형성되어지고, 건조 도로의 코너링에 최적화된 트레드 디자인을 갖는다.The improvement in maneuverability and comfort was especially noticeable when the inside of the tread band towards the vehicle was formed of a compound with a low modulus of elasticity and a tread design optimized for wetlands. On the contrary, the outer part of the tread band away from the vehicle is formed of a compound having a high modulus of elasticity, and has a tread design optimized for cornering of a dry road.

본 발명의 제1형태는 비대칭 트레드 패턴을 가지며 안락하고 개선된 조정 특징을 제공하는 타이어이다.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tire having an asymmetric tread pattern and providing a comfortable and improved adjustment feature.

상기 타이어는 2개의 대향 에지를 갖는 레이디얼 카아커스와; 상기 카아커스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트레드 밴드와; 상기 카아커스 및 상기 트레드 밴드 사이에 개재된 벨트 구조물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타이어가 상기 차량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림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타이어의 내측은 상기 차량의 중심선에서 가장 근접하는 반면에, 상기 타이어의 외측은 정상적으로 운전되는 동안에 상기 차량의 중심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게 된다. 상기 트레드 밴드는 제1탄성계수를 갖는 엘라스토머 화합물의 제1부분 및 상기 제1탄성계수와 상이한 제2탄성계수를 갖는 다른 엘라스토머 화합물의 제2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기 트레드 밴드의 제1부분은 상기 트레드 밴드는 23℃에서 측정된, 약 12 MPa-16 MPa 범위의 제1탄성계수를 갖는다. 상기 트레드 밴드의 제2부분은 약 23℃에서 측정된 약 7 MPa-11 MPa 범위의 제2탄성계수를 갖는다.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의 트레드 패턴과 상이한 트레드 패턴을 갖는다.The tire comprises a radial carcass with two opposing edges; A tread band disposed radially outward of the carcass; And a belt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he carcass and the tread band. When the tire is mounted on the rim fixed to the vehicle, the inside of the tire is closest to the centerline of the vehicle, while the outside of the tire is farthest from the centerline of the vehicle during normal operation. do. The tread band has a first portion of the elastomeric compound having a first elastic modulus and a second portion of another elastomeric compound having a second elastic modulus different from the first elastic modulus. The first portion of the tread band has a first modulus of elasticity in the range of about 12 MPa-16 MPa, measured at 23 ° C. The second portion of the tread band has a second modulus of elasticity in the range of about 7 MPa-11 MPa measured at about 23 ° C. The first portion has a tread pattern different from the tread pattern of the second portion.

상기 트레드 밴드의 2개의 부분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는 원주형의 밴드이다.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카아커스의 외측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차량이 조정되어질 때 코너링시에 가해지는 힘에 저항할 수 있고 건조면에서 양호한 조종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최적화된 트레드 패턴을 갖는다. 상기 제2부분은 카아커스의 내측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젖은 또는 우기 조건에서 견인력을 최적화하고 수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트레드 패턴을 갖는다.The two parts of the tread band are columnar bands which may have the same width. The first portion is located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carcass and has an optimized tread pattern that can resist forces applied when cornering when the vehicle is adjusted and provide good steering performance in dry terms. . The second portion is located adjacent to the inner side of the carcass and has a tread pattern that can optimize traction in wet or rainy conditions and prevent water film phenomenon.

상기 트레드 밴드의 제1부분은 트레드 밴드의 제2부분의 탄성 계수보다 적어도 1 MPa 큰 탄성계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3 MPa 큰 탄성계수를 갖는다.The first portion of the tread band has a modulus of elasticity at least 1 MPa greater than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tread band, preferably 3 MPa.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본 발명은 타이어의 조종 및 안락 특성을 개선하는 트레드 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트레드 밴드는 제1탄성계수를 갖고 제1트레드 패턴을 갖는 제1트레드 밴드 부분과 제2탄성 계수를 갖는 제2엘라스토머 화합물로 형성되어 있고 제2트레드 패턴이 형성된 제2트레드 밴드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탄성계수는 23℃에서 제2탄성계수보다 적어도 1 MPa 이상 크다.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relates to a tread band that improves the steering and comfort characteristics of a tire. The tread band is formed of a first tread band portion having a first elastic modulus and a first tread pattern and a second elastomer compound having a second elastic modulus and a second tread band portion having a second tread pattern. Here, the first elastic modulus is at least 1 MPa or more greater than the second elastic modulus at 23 ° C.

상기 트레드 밴드 부분은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져 있다.The tread band por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tire.

본 발명의 계속되는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제1탄성계수를 갖는 제1트레드 밴드 부분을 갖는 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탄성계수를 갖는 제2트레드 밴드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건조 도로에 대해 최적인 제1트레드 패턴을 상기 트레드의 제1부분에 형성하는 단계와, 젖은 도로에 대해 최적인 제2트레드 패턴을 상기 트레 드 밴드의 제2부분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대칭 타이어의 조종성과 안락성에 관한 특징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orming a tire having a first tread band portion having a first elastic modulus, forming a second tread band portion having a second elastic modulus, and for a dry road. And forming an optimal first tread pattern in the first portion of the tread, and forming a second tread pattern in the second portion of the tread band that is optimal for wet roads. A method is provided for improving features relating to comfort.

본 발명의 계속되는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상에 장착되어지도록 디자인된 휠에 관한 것으로서 림과 타이어를 갖는다. 상기 타이어는 제1탄성계수를 갖는 엘라스토머 화합물로 제작된 제1부분과 제1트레드 디자인을 가지며,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엘라스토머 화합물로 제작된 제1부분과 제1트레드 디자인을 갖는 비대칭 트레드 밴드를 갖는다. 제1부분의 탄성계수와 트레드 패턴은 건조 도로에 대해 보다 최적화되어 있으며, 제2부분의 탄성계수와 트레드 패턴은 젖은 도로에 대해 보다 최적화되어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designed to be mounted on a vehicle, having a rim and a tire. The tire has a first portion made of an elastomeric compound having a first elastic modulus and a first tread design, an asymmetric tread band having a first portion made of an elastomeric compound having a different elastic modulus and a first tread design. . The modulus and tread pattern of the first part is more optimized for dry roads, and the modulus and tread pattern of the second part is more optimized for wet roads.

본 발명의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이며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인 것으로 이해되어져야만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embodiments an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are intended to provid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을 더 이해시킬 수 있도록 포함되어 졌고, 본 명세서에 편입되어져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erve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o illus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를 도시하는 축방향 횡단면도이다.1 is an ax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i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비대칭형 타이어 트레드 패턴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asymmetric tire tread pattern.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상기 실시예는 첨부된 명세서에 기술되어져 있으며, 첨부 도면에 예시되어져 있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hich are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specification and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트레드 패턴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는 요구되는 조종 성능과 안락성뿐만이 아니라 내구성과 낮은구름저항이 각각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엘라스토머 화합물로부터 만들어진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트레드 밴드와 함께 공동으로 비대칭 드레드 패턴을 사용함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트레드 밴드의 2개의 부분은 서로 인접한 원주형의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이어의 회전축에 대해 직교하는 면에 의해서 분리되어져 있다. 차량에서 멀어진 타이어의 외측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된 부분으로서 정의되는 외측 트레드 밴드(또는 트레드 밴드의 제1부분)은 보다 단단하고, 차량이 회전할 때 코너링힘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된 트레드 패턴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보다 단단한"이란 표현은 엘라스토머 화합물의 보다 큰 탄성계수를 나타내고, "보다 부드러운"이란 표현은 엘라스토머 화합물의 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나타낸다. 외측 트레드 밴드 부분은 건조 도로면에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트레드 패턴을 가지고 있다.Tir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ving various shapes of tread patterns are jointly asymmetrical with tread bands divided into two parts made from elastomeric compounds each having an elastic modulus that differs in durability and low rolling resistance as well as required steering performance and comfort. It has been shown that it can be obtained by using a dread pattern. The two parts of the tread band are formed in a cylindrical band shap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re separated by a surface orthogona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tire. The outer tread band (or first part of the tread band), defined as the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edge of the tire away from the vehicle, is harder and has a tread pattern designed to resist cornering forces as the vehicle rotates. have. In this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harder" refers to the greater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elastomeric compound, and the expression "softer" refers to the smaller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elastomeric compound. The outer tread band portion has a tread pattern optimized to provide traction on the dry road surface.

차량을 향하고 있는 내측 에지에 인접한 트레드 밴드의 부분은 내측 트레드 밴드(트레드 밴드의 제2부분)이고, 외측 트레드 밴드의 탄성계수보다 낮은 탄성계수를 갖는 보다 부드러운 화합물로 제작되어져 있다. 내측 트레드 밴드 부분은 수막현상을 회피하고 젖은 도로면에서 견인력을 제공할수 있도록 최적화된 트레드 패 턴을 갖지고 있다.The portion of the tread band adjacent to the inner edge facing the vehicle is the inner tread band (second part of the tread band) and is made of a softer compound having an elastic modulus lower than that of the outer tread band. The inner tread band portion has an optimized tread pattern to avoid hydroplaning and provide traction on wet road surfac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타이어(1)는 직물 또는 금속제 꼰실 또는 와이어로 제작된 강화 코오드와 함께 고무로 피복된 섬유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4)에 의해서 형성되는 강화 구조를 가진 카아커스(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플라이(4)는 섬유가 포함된 엘라스토머 화합물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각의 단부는 비드 와이어(8)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아커스 플라이의 단부(6)는 비드 와이어(8) 주위를 감싸고, 사이드월(10)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 밴드를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어져 있다. 고무로 제조된 충전 요소(12)는 상기 플라이(4)와 위로 향한 단부(6)의 사이에 위치되어져 있다. 비이드 코어(8)와, 충전 요소(12)와 상기 플라이(6)의 위로 향한 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타이어의 부분은 타이어를 도시되지 않은 해당 림에 단단히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타이어의 비드를 형성하고 있다.Figure 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 1 has a carcass 2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formed by at least one ply 4 made of a fiber coated with rubber together with a reinforcing cord made of woven or metal braided yarn or wire. This ply 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lastomer compound containing fibers, each end of which is firmly fixed to the bead wire 8. Preferably, the end 6 of the carcass ply wraps around the bead wire 8 and is turned radially towards the tread band of the tire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wall 10. The filling element 12 made of rubber is located between the ply 4 and the upward end 6. The portion of the tire having the bead core 8, the filling element 12 and the up end of the ply 6 forms a bead of the tire used to secure the tire to the corresponding rim, not shown. have.

타이어의 카아커스는 바람직하게는 래이디얼형 카아커스로서 타이어의 회전축을 따르는 면에 놓여진 강화 코오드를 갖고 있다. 트레드 밴드(34)는 상기 카아커스상에 원주방향으로 제공되어져 있으며, 지면과 접촉하고 있는 타이어의 면을 형성하고 있다. 트레드 밴드의 폭(L)은 트레드 밴드(34) 및 사이드월(10)의 만곡부와의 교차점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어진다. 트레드 패턴은 트레드 밴드상에서 형성되어지며, 복수개의 블록(18, 20)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블록은 해당 노치 및 그루브(22, 24)에 의해 분리되어져 있으며, 이들 그루브는 상기 트레드 밴드의 원주방향과 횡방향 모두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블록에는 다양한 슬릿과 절개부가 제공되어질 수가 있다. 다양한 형상의 이러한 구조적인 요소의 조합은 많은 다른 트레드 패턴을 발생시키며, 이는 타이어의 다른 적용에 대해서 최적화되어질 수 있다.The carcass of the tire is preferably a radial carcass with a reinforcing cord placed on the side along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ire. The tread band 34 is provided on the carcas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forms the surface of the ti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width L of the tread band is def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section of the tread band 34 and the curved portion of the sidewall 10. The tread pattern is formed on a tread ban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locks 18 and 20, which are separated by corresponding notches and grooves 22 and 24, which grooves are circumferentially in the tread band. It is formed across both and transverse directions. In addition, these blocks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slits and cutouts. The combination of these structural elements of various shapes results in many different tread patterns, which can be optimized for different applications of the tire.

타이어(1)는 또한 카아커스(2)의 크라운 부분에 정렬된 벨트 구조(26)물을 구비하고 있고, 이 벨트 구조물은 상기 카아커스(2)와 상기 트레드 밴드(34)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트레드의 거의 전폭에 걸쳐서 타이어의 일측 사이드월에서 타측 사이드 월까지 연재되어 있다. 상기 벨트 구조물(26)은 2개의 반경방향으로 중첩된 층(28, 30)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들 층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제인 강화 코오드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층의 내부에 있는 강화 코오드는 서로 평행하지만, 인접층의 코오드를 각지게 가로지르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 구조물(26)은 또한, 층(28, 30)보다도 더 타이어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부터 배치된 강화 코오드의 부가적인 층(3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층은 바람직하게는 직물제의 꼰실로 제작되거나, 보다 바람직게는 나일론과 같은 열수축 재료로 제작되어 있고, 원주방향으로 배향되어져 있다.The tire 1 also has a belt structure 26 aligned to the crown portion of the carcass 2, which belt structure is interposed between the carcass 2 and the tread band 34. It extends from one sidewall of the tire to the other sidewall of the tire over almost the entire width of the tread. The belt structure 26 has two radially overlapping layers 28, 30, which are preferably formed of a reinforcing cord, which is preferably metal. The reinforcing codes in the interior of each layer are parallel to each other but angularly traverse the codes of the adjacent layers. Preferably, the belt structure 26 also has an additional layer 32 of reinforcing cords arranged radially further away from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ire than the layers 28, 30, which layer is preferred. It is preferably made of woven braid, or more preferably made of a heat shrinkable material such as nylon, and is orien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타이어(1)의 트레드 밴드(3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원주방향의 부분(A, B)을 가지고 있다. 트레드 밴드의 제1부분은 타이어의 외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1탄성계수를 갖는 엘라스토머 화합물로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탄성계수는 높으며, 상기 화합물에 특정한 요소를 추가함으로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는 공지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얻어질 수가 있는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혼합물을 사용하거나 화합물내에서 고무의 다른 형태로된 양을 변화시킴으로서 가능하다. 제1트레드 밴드 부분을 형성하는 엘라스토머 화합물의 실질적인 성분은 요구되는 제1탄성계수가 얻어질 때가지 변화가 가능하다.The tread band 34 of the tire 1 has two circumferential portions A, B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portion of the tread b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ire and is formed of an elastomer compound having a first elastic modulus. The modulus is high and can be obtained in a variety of ways known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by adding specific elements to the compound, for example using carbon black mixtures or other forms of rubber in the compound. It is possible by varying the amount that is made. Substantial components of the elastomeric compound forming the first tread band portion may be varied until the required first modulus of elasticity is obtained.

트레드 밴드의 제1부분 A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트레드 패턴이 도시되어져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제1트레드 패턴은 양호한 코너링 성능과 건조 조건에서 타이어의 양호한 조종 특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질 수가 있다. 이는 감소된 그루브 및 노치를 갖는 제1트레드 패턴을 제공함으로서, 보다 많은 엘라스토머 화합물이 정상적인 운전중에 포장 도로와 마찰 접촉을 하도록 함으로서 달성되어질 수가 있다. 지면과 접촉하는 엘라스토머 화합물의 양은 트레드 밴드의 상기한 바와 같이 순접촉비로 기술되어질 수가 있다. 따라서, 순접촉비가 크면 클수록 보다 많은 엘라스토머 화합물이 포장 도로와 접촉하고, 이는 타이어에 대한 건조 조건에서 보다 낳은 조종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며, 양호하게 디자인된 타이어의 마모를 감소시킨다.A first tread pattern is shown in the first portion A of the tread band, as shown in FIG. In a preferred embodiment, this first tread pattern can be optimized to provide good cornering performance and good st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tire under dry conditions. Thi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first tread pattern with reduced grooves and notches, allowing more elastomeric compound to make frictional contact with the pavement during normal operation. The amount of elastomeric compound in contact with the ground can be described by the forward contact ratio as described above for the tread band. Thus, the greater the forward contact ratio, the more elastomeric compound is in contact with the pavement, which results in better steering characteristics under dry conditions for the tire and reduces wear of a well designed tire.

트레드 밴드의 제2부분 B는 제1탄성계수와 다른 탄성계수를 나타내는 특히, 제1탄성계수보다 낮은 탄성계수를 나타내는 제2탄성계수를 갖는 엘라스토머 화합물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제2탄성계수는 상기 화합물에 특정한 고무 성분을 추가함으로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는 공지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얻어질 수가 있거나, 엘라스토머내에 있는 고무 성분의 여러 가지 형태의 양을 변화시키거나, 상기 화합물 자체에 실리카를 부가함으로서 얻어질 수가 있다. The second part B of the tread band is formed of an elastomer compound having a second modulus of elastici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modulus of elasticity, in particular a lower modulus of elasticity than the first modulus of elasticity. The second modulus of elasticity can be obtained by various method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y adding a specific rubber component to the compound, or by changing the amount of various types of rubber components in the elastomer, or It can be obtained by adding silica to itself.                 

이러한 특성을 보다 잘 이용하기 위해서, 제1부분 B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이어의 내측면(38)에 인접한 트레드 밴드의 내측상에 배치되어지고, 이는 상기 타이어가 차량에 장착되었을때 차량을 마주보는 면이 된다.In order to better utilize this characteristic, the first part B is preferably arranged on the inside of the tread ban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38 of the tire, which faces the vehicle when the tire is mounted on the vehicle. It becomes cotton.

또한, 상기 트레드 밴드의 제2부분 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트레드 패턴과는 다른 제2트레드 패턴을 갖는다. 제2트레드 패턴은 습지 조건에서 양호한 조종성을 제공하고, 타이어에 대한 수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이는 보다 많은 개수의 그루브와 노치를 제공함으로서 엘라스토머의 보다 작은 면적이 트레드 밴드의 이와 같은 부분에서 포장 도로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서 달성되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트레드 밴드의 이와 같은 부분의 트레드 패턴은 트레드 밴드의 제1부분상에서 사용되어진 트레드 패턴보다도 낮은 순접촉비를 갖는다. 상기 그루브 및 노치가 보다 많고 클수록, 상기 타이어와 상기 포장 도로사이에서 모인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공간은 더욱 커진다. 낮은 순접촉비를 갖는 트레드 패턴은 타이어의 아래에서 형성되는 물의 층을 방지하여, 블록을 형성하는 트레드 패턴의 부분이 포장 도로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트레드 패턴은 고속에서 포장도로로부터 타이어의 수막 현상을 회피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portion B of the tread band has a second tread pattern different from the first tread pattern,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tread pattern is optimized to provide good maneuverability in wet conditions and to prevent water film on the tires. This is accomplished by providing a larger number of grooves and notches so that the smaller area of the elastomer is in contact with the pavement in this portion of the tread band. In other words, the tread pattern of this portion of the tread band has a lower forward contact ratio than the tread pattern used on the first portion of the tread band. The more and larger the grooves and notches, the larger the space through which water collected between the tire and the pavement can escape. The tread pattern with a low forward contact ratio prevents a layer of water from forming underneath the tire, allowing the portion of the tread pattern forming the block to remain in contact with the pavement. In this way, the tread pattern makes it possible to avoid the water film phenomenon of the tire from the pavement at high speed.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트레드 패턴은 상표명 "200 CHRONO ENERGY"로 공지된 피렐리 타이어로서, 이 타이어는 물분산용의 대형 그루브를 갖는 내측면과, 강화된 직진 안정성 및 제동 접지력을 위한 강한 중앙면과 높은 코너링 접지력을 보장하는 대형 슐더 블록을 갖는 외측면을 가지고 있다.For example, the tread pattern shown in FIG. 2 is a Pirelli tire known under the trade name "200 CHRONO ENERGY", which has an inner surface with large grooves for water dispersion, and a strong for enhanced straightness stability and braking grip. It has a central face and an outer face with a large Schulder block that ensures high cornering traction.

상기 트레드 패턴은 또한 타이어의 강성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타 이어의 강성은 트레드 패턴 디자인과 트레드 화합물 탄성계수의 함수이다. 타이어 트레드 패턴 디자인의 순접촉비가 크면 클수록 타이어의 강성은 강해지게 되는 경향을 갖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에서, 트레드 디자인과 트레드의 성분은 타이어와 외측부의 강성을 크게 하고, 타이어의 내측부 A의 강성을 작게 한다. 시너지 효과는 2개의 트레드 부분에서 다른 트레드 디자인과 다른 트레드 화합물의 탄성계수의 사이에서 나타나며, 타이어의 최종적인 강성 특성은 트레드 밴드를 가로지르는 트레드 패턴 또는 트레드 화합물의 탄성계수만을 변형시켜 얻을 수 있는 승차감과 조종성에서 보다 나은 승차감과 조종성을 제공하게 된다.The tread pattern also affects the stiffness of the tire. In general, tire stiffness is a function of tread pattern design and tread compound modulus. The greater the forward contact ratio of the tire tread pattern design, the greater the tendency of the tire to become rigid. As a result, 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d design and the components of the tread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tire and the outer part, and the inner part of the tire. Reduce the rigidity of A. The synergistic effect occurs between the different tread designs and the elastic modulus of the different tread compounds in the two tread sections, and the final stiffness characteristics of the tire can be achieved by modifying only the tread pattern across the tread band or the elastic modulus of the tread compound. It provides better ride and maneuver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는, 저 탄성계수 화합물이 보다 적은 트레드 디자인과 결합하여 보다 부드럽과 보다 덜 단단한 트레드 밴드를 만들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트레드 밴드의 제2부분에 사용되어 전체 타이어의 운전에 전반적으로 안락하고 부드러운 향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타이어는 트레드 밴드의 제1부분에 의해 제공된 개선된 건조면에 대한 조종 능력을 갖는바, 상기 트레드 밴드는 보다 큰 순접촉비와 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low modulus compounds can be combined with less tread design to create smoother and less rigid tread bands. These compounds are used in the second part of the tread band to provide an overall comfortable and smooth improvement in the operation of the entire tire. At the same time, the tire has improved control over the dry surface provided by the first portion of the tread band, with the tread band having a higher forward contact ratio and a higher modulus of elasticity.

트레드 밴드의 제1, 2부분의 탄성계수 사이의 차이는 23℃에서 측정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MPa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레드 밴드 A의 제1부분은 23℃에서 측정된 12 MPa-16 MPa 범위의 탄성계수를 갖으며, 트레드 밴드의 제2부분은 23℃에서 측정된 7 MPa-11 MPa 범위의 탄성계수를 갖는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irst and second parts of the tread band is preferably at least 1 MPa measured at 23 ° C.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portion of tread band A has an elastic modulus in the range of 12 MPa-16 MPa measured at 23 ° C.,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tread band is 7 MPa-11 measured at 23 ° C. It has an elastic modulus in the MPa range.

본 발명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부분의 탄성계수의 차이는 23℃에서 측정된 적어도 3 MPa이다. 본 발명의 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3℃에서 측정된, 트레드 밴드 제1부분의 탄성계수는 14.3 MPa이고, 트레드 밴드 제2부분의 탄성계수는 9.3 MPa이다.In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difference in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two parts is at least 3 MPa measured at 23 ° C.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irst portion of the tread band is 14.3 MPa and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tread band is 9.3 MPa, measured at 23 ° C.

트레드 밴드의 제1, 2부분의 엘라스토머 화합물에 대한 탄성계수의 실질적인 값은 타이어의 특별한 적용을 맞게 조정되어질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스포츠 차량용 타이어 또는 습지, 또는 진흙 조건에서 운전되어지도록 설계된 타이어는 2개의 값에 관한 차이에 있어서 바람직한 범위를 유지한다.The actual value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for the elastomer compound of the first and second part of the tread band can be adjusted to suit the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tire, for example a tire designed to be operated in sports car tires or wetlands or in mud conditions. Maintains the preferred range for the difference concerning the two valu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레드 밴드의 제1부분의 폭과 트레드 밴드의 제2부분의 폭은 개선된 조종 성능과 개선된 운전 안락성과 부드러움의 요구되는 조화를 달성할 수가 있도록 그 크기가 정해질 수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의 외측면(36)에 인접하게 배치된 트레드 밴드의 제1부분 A는 트레드 밴드의 전체폭의 거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트레드 밴드의 2개의 부분의 사이에서 요구되는 시너지 효과는 트레드 밴드의 총 폭의 25-80% 범위에 있고, 나머지 트레드 밴드는 트레드 밴드의 제1부분에 의해서 차지되어 진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레드 밴드의 제2부분은 총트레드 밴드폭의 50-80%을 차지하고 있다. 제1, 2트레드 부분의 사이에서 분할된 나머지 부분은 조종성과 안락성을 최적화기에 위해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되어질 수가 있다. 모든 실시예에서, 타이어의 사이드월은 트레드 밴드의 엘라스토머 화합물과는 다른 엘라스토머 화합물로 형성되어 있으며, 트레드 밴드의 제1, 2부분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지는 않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first portion of the tread band and the width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tread band are sized to achieve the desired coordination of improved steering performance and improved driving comfort and softness. It can be done. As shown in FIG. 2, the first portion A of the tread band disposed adjacent the outer side 36 of the tire occupies almost 50% of the overall width of the tread band. In general, the required synergy between the two parts of the tread band is in the range of 25-80% of the total width of the tread band, with the remaining tread band being accounted for by the first part of the tread band.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portion of the tread band comprises 50-80% of the total tread bandwidth. The remaining part di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ead part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o optimize the maneuverability and comfort. In all embodiments, the sidewall of the tire is formed of an elastomer compound different from the elastomer compound of the tread band, and is not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parts of the tread ban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트레드 밴드는 외측부와 내측부를 가지 고 있다. 상기 외측부는 화합물 A로 형성되어졌고, 내측부는 화합물 B로 형성되어져 있다. 화합물 A, B의 성분은 표 1에 설명되어져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tread band has an outer side and an inner side. The outer portion is formed of compound A, and the inner portion is formed of compound B. The components of compounds A and B are described in Table 1.

화합물 A-경질Compound A-hard 화합물 B-연질Compound B-soft 단위unit 외측부Outer part 내측부Medial 스틸렌 부타디엔 고무 SBR 1712Styrene Butadiene Rubber SBR 1712 PhrPhr 137.5137.5 86.586.5 천연 고무 NRNatural rubber NR PhrPhr 2525 부타디엔 고무 BRButadiene Rubber BR PhrPhr 1212 카본 블랙 N234Carbon black N234 PhrPhr 8585 8686 가소제Plasticizer PhrPhr 55 2222 산화방지제Antioxidant PhrPhr 33 33 경화제Hardener PhrPhr 2.22.2 1.251.25 가속 DPGAccelerated DPG PhrPhr 0.30.3 sulfur PhrPhr 1.51.5 1.61.6

화합물(A, B)의 측정 특성은 표 2에 기술되어 있다. (주기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에너지의 축적 및 원위치를 나타내는) 탄성계수(E') 및 손실 계수 "tanδ"(tan δ=E"/E', 여기서 E"=주기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열반산을 나타내는 손실계수)는 14mm의 직경과 25mm의 길이의 원통형 시험편상에서 측정되었다. 상기 시험은 70℃에서 100Hz의 사인곡선 변형 진동으로서 비변형 시험편에 비해 3.5%의 변형을 더 받는 25% 미리 압축된 시험편에서 행해졌다. 시험에 앞서서, 상기 시험편은 후속 측정 데이터를 안정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조정 싸이클에 의해서 처리되었다. 예를 들면, 상기 시험편은 트레드 밴드의 부분으로부터 얻어질 수가 있었다.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compounds (A, B) are described in Table 2. Modulus of elasticity (E ') (indicative of the accumulation and in situ of energy during periodic deformation) and loss factor "tanδ" (tan δ = E "/ E', where E" = thermal retardation during periodic deformation Loss factor) was measured on a cylindrical specimen of 14 mm in diameter and 25 mm in length. The test was done on a 25% precompressed specimen at 70 ° C. with a sinusoidal strain vibration of 100 Hz, which was subjected to 3.5% more strain than the unstrained specimen. Prior to the test, the specimens were processed by normal adjustment cycles to stabilize subsequent measurement data. For example, the test piece could be obtained from part of the tread band.

화합물 A-경질Compound A-hard 화합물 B-연질Compound B-soft 단위unit 외측부Outer part 내측부Medial E'23℃E'23 ℃ MPaMPa 14.314.3 9.39.3 E'70℃E'70 ℃ MPaMPa 6.86.8 66 경도Hardness IRHDIRHD 7878 7171 23℃에서 Tan δTan δ at 23 ° C 0.4450.445 0.410.41 70℃에서 Tan δTan δ at 70 ℃ 0.3350.335 0.30.3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타이어는 동일한 트레드 패턴과 다른 화합물을 갖는 타이어와 도로상에서 몇몇 다른 운전시험을 하여 비교되었다. 이와 같은 비교 타이어는 피렐리 회사로부터 상표명 "200 CHRONO ENERGY"로 입수 가능한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을 가지고 있다. 결과는 표 3에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ire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ared by several different driving tests on the road with tires having the same tread pattern and different compounds. Such comparative tires have a tread pattern of tires available under the trade name "200 CHRONO ENERGY" from Pirelli.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외측부 화합물 A(경질)-내측부 화합물 B(연질)Outer Compound A (hard) -Inner Compound B (soft) 외측 및 내측부 화합물 A(경질)Outer and medial compound A (hard) 외측 및 내측부 화합물 B(연질)Outer and medial compound B (soft) 부드러운 조종성Smooth maneuverability 전진성Forward 66 55 5.55.5 차선 변경성Lane changeability 66 5.55.5 55 안락성Comfort 충격 흡수Shock absorber 77 5.55.5 77 배출성Discharge 77 66 5.55.5

1-10의 단계의 표시는 시험 운전자의 의견을 반영시킨 것이다. 표시가 높은수록 그 결과는 양호한 것이다.The indications in steps 1-10 reflect the opinion of the test driver. The higher the indication, the better the result.

상기 표 3는 본 발명의 타이어의 성능이 다른 타이어의 테스트에서보다 상당히 나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Table 3 shows that the tire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better than in other tire tests.

이 실시예에서, 트레드 밴드의 다른 측에 대한 탄성계수의 다른 값은 화합물에서 사용되어지는 고무의 다른 형태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서 주로 달성되어진다. 화합물을 만드는 구성 요소의 적당한 형태 및/또는 양을 사용함으로서 탄성계수의 다른 값을 얻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ifferent values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for the other side of the tread band are mainly achieved by varying the amount of different forms of rubber used in the compound. I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obtain other values of modulus of elasticity by using suitable forms and / or amounts of components from which the compounds are made.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타이어용 트레드 밴드는 3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질 수가 있다. 3개의 부분은 트레드 밴드의 에지에 위치되어 있고 타이어 의 사이드월에 인접한 2개의 슐더 부분과, 트레드 밴드의 축중심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3개의 트레드 밴드의 부분은 원주형 밴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트레드 밴드 부분은 저탄성계수를 갖는 엘라스토머 합성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다 적은 트레드 패턴 디자인을 갖는다. 2개의 슐더 부분은 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는 엘라스토머 화합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다 큰 트레드 패턴 디자인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자동차 또는 모터 싸이클 타이어에 사용되어질 수가 있으며, 조종성 및 안락성에 대한 이점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read band for tires can be formed in three parts. The three parts include two shiller parts located at the edge of the tread band and adjacent to the sidewalls of the tire, and a central par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tread band axis. The portion of the three tread bands is preferably in the shape of a columnar band. The central tread band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omeric composite with a low modulus of elasticity and has a smaller tread pattern design. The two scholder portions are formed of an elastomeric compound having a higher modulus of elasticity and have a larger tread pattern design. Such an embodiment can be used in automobile or motor cycle tires, providing advantages for maneuverability and comfort.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구조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변형예 및 변화예를 만들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형예 및 변화예가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와 그 동등물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변형예 및 변화예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us,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7)

레이디얼 카아커스(2)와,With radial carcass (2), 상기 카아커스(2)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비대칭 디자인이 제공되어 있는 트레드 밴드(34)와,A tread band 34 disposed radially outward of the carcass 2 and provided with an asymmetrical design, 상기 카아커스(2) 및 상기 트레드 밴드(34) 사이에 개재된 벨트 구조물(26)을 구비하고,A belt structure 26 interposed between the carcass 2 and the tread band 34, 상기 트레드 밴드(34)는,The tread band 34, 엘라스토머 화합물의 제1, 2부분(A, B)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It further has the 1st, 2nd part (A, B) of an elastomer compound, 상기 제1부분(A)에 형성된 제1트레드 패턴은 상기 제2부분(B)상에 형성된 제2트레드 패턴과 다르고, 상기 제1부분(A)의 제1탄성계수는 상기 제2부분(B)의 제2탄성계수와는 다른 트레드 패턴을 갖는 차량용 타이어로서,The first tread pattern formed on the first portion A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tread pattern formed on the second portion B, and the first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portion A is the second portion B. A vehicle tire having a tread pattern different from the second elastic modulus of a) 상기 제1트레드 패턴은 상기 제2트레드 패턴보다 큰 순접촉비를 가지고 있고,a) the first tread pattern has a forward contact ratio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tread pattern, b)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의 제1부분은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의 상기 제2부분보다도 큰 경도를 가지고 있으며,b) the first portion of the elastomeric material has a greater hardness than the second portion of the elastomeric material, c) 상기 제1탄성계수는 23℃에서 측정된 12 MPa-16 MPa 범위이며, 상기 제2탄성계수는 23℃에서 측정된 7 MPa-11 MPa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c) The first elastic modulus is in the range of 12 MPa-16 MPa measured at 23 ℃, the second elastic modulus is in the range of 7 MPa-11 MPa measured at 23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레드 밴드(34)의 제1, 2부분(A, B)은 타이어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을 따라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A first and second portions (A, B) of the tread band (34) is a vehicle tire, characterized in that separated along th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ti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레드 밴드의 제1부분(A)은 차량의 중심선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타이어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이어(1)의 측면(36)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A first tire (A) of the tread b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jacent to the side (36) of the tire (1)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tire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centerline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부분(A)은 일정한 축 너비를 갖는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The first portion (A) is a vehicle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d having a constant axial width.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부분(A)은 상기 제2부분(B)과 동일한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The first tire portion (A) has the same width as the second portion (B).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레드 밴드의 제2부분은 차량의 중심선을 향해있는 타이어(1)의 측면(38)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The second portion of the tread b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jacent to the side (38) of the tire (1) facing the centerline of the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부분(B)은 제1부분(A)의 폭과 제2부분(B)의 폭을 합한 폭의 20%-80% 범위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The second tire portion (B) has a width in the range of 20% -80% of the sum of the width of the first portion (A) and the width of the second portion (B).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부분(B)은 제1부분(A)의 폭과 제2부분(B)의 폭을 합한 폭의 50%-80% 범위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The second tire portion (B) has a width in the range of 50% -80% of the sum of the width of the first portion (A) and the width of the second portion (B).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탄성계수는 23℃에서 제2탄성계수보다 적어도 1 MPa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차량용 타이어.And wherein the first modulus of elasticity is at least 1 MPa greater than the second modulus of elasticity at 23 ° C.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탄성계수는 23℃에서 제2탄성계수보다 적어도 3 MPa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And wherein the first modulus of elasticity is at least 3 MPa greater than the second modulus of elasticity at 23 ° C.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레드 밴드는 상기 제1엘라스토머 화합물과 제2엘라스토머 화합물 중 한 화합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 부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 부분은 교대로 되어 있는 제1엘라스토머 화합물과 제2엘라스토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트레드 밴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The tread b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additional portion formed of one of the first elastomeric compound and the second elastomeric compound, wherein the at least one additional portion is alternately formed with the first elastomeric compound and the second elastomeric compound. A vehicle tire, wherein the tire is arranged to form a tread band. 제1탄성계수를 갖고 트레드 밴드 위에 새겨진 제1트레드 패턴을 갖는 제1엘라스토머 화합물로 형성된 제1트레드 밴드 부분(A)과,A first tread band portion (A) formed of a first elastomeric compound having a first elastic modulus and having a first tread pattern engraved on the tread band, 제2탄성계수를 갖고, 트레드 밴드 위에 새겨진 제2트레드 패턴을 갖는 제2엘라스토머 화합물로 형성된 제2트레드 밴드 부분(B)을 구비하고 있으며,A second tread band portion (B) formed of a second elastomeric compound having a second modulus of elasticity and a second tread pattern engraved on the tread band, 상기 제1탄성계수와 상기 제1패턴은 상기 제2탄성계수와 상기 제2트레드 패턴과는 다른 차량용 타이어(1)의 트레드 밴드(34)에 있어서,In the tread band 34 of the vehicle tire 1, the first elastic modulus and the first pattern are different from the second elastic modulus and the second tread pattern. ⅰ) 상기 제1부분(A)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타이어의 외측(36)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제2부분(B)은 상기 차량 방향으로 타이어의 내측(38)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고,Iii) the first portion A is positioned adjacent the outer side 36 of the tire away from the vehicle, and the second portion B is positioned adjacent the inner side 38 of the tire in the vehicle direction. It is, ⅱ) 상기 제1트레드 패턴은 상기 제2트레드 패턴보다 큰 순접촉비를 갖으며,Ii) the first tread pattern has a larger forward contact ratio than the second tread pattern, ⅲ) 상기 제1탄성계수는 23℃에서 측정된, 제2탄성계수보다 적어도 1 MPa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의 트레드 밴드.Iii) The first elastic modulus is at least 1 MPa greater than the second modulus of elasticity, measured at 23 ° C. 삭제delete 림과,Rim, 상기 림 상에 장착된 타이어(1)를 구비하고 있고,And a tire 1 mounted on the rim, 상기 타이어는,The tire is, 레이디얼 카아커스(2)와,With radial carcass (2), 상기 카아커스(2)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트레드 밴드(10)와,A tread band 10 disposed radially outward of the carcass 2, 상기 카아커스(2) 및 상기 트레드 밴드(34) 사이에 개재된 벨트 구조물(26)을 구비하고 있고,It is provided with a belt structure 26 interposed between the carcass (2) and the tread band 34, 상기 트레드 밴드는 제1탄성계수를 갖는 엘라스토머 화합물의 제1부분(A) 및 상기 제1탄성계수와 상이한 제2탄성계수를 갖는 다른 엘라스토머 화합물의 제2부분(B)을 갖고 있으며,The tread band has a first portion (A) of an elastomeric compound having a first elastic modulus and a second portion (B) of another elastomeric compound having a second elastic modulus different from the first elastic modulus, 상기 제1부분(A)에 형성된 제1트레드 패턴은 상기 제2부분(B)에 형성된 제2트레드 패턴과 상이한 차량용 휠에 있어서,In a vehicle wheel different from the second tread pattern formed in the second part B, the first tread pattern formed in the first part A may include: a) 상기 트레드 패턴은 상기 제2트레드 패턴보다 큰 순접촉비를 갖고,a) the tread pattern has a forward contact ratio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tread pattern, b)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의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의 에라스토머 재료보다 큰 경도를 갖으며,b) the first portion of the elastomeric material has a greater hardness than the elastomeric material of the second portion, c) 상기 제1탄성계수는 23℃에서 측정된 12 MPa-16 MPa 범위이며, 상기 제2탄성계수는 23℃에서 측정된 7 MPa-11 MPa범위이고,c) the first modulus of elasticity is in the range of 12 MPa-16 MPa measured at 23 ° C., the second modulus of elasticity is in the range of 7 MPa-11 MPa measured at 23 ° C., d) 상기 타이어는 상기 차량에 장착되어지며,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타이어의 외측 에지(36)에 인접한 트레드 패턴의 제1부분(A)과 상기 차량을 바라보는 타이어(1)의 내측 에지(38)에 인접한 트레드 밴드의 제2부분(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d) The tire is mounted to the vehicle, the first portion A of the tread pattern adjacent the outer edge 36 of the tire away from the vehicle and the inner edge 38 of the tire 1 facing the vehicle. And a second part (B) of the tread band adjacent to).
KR1020017007923A 1998-12-21 1999-12-20 Dual Composition Tread Band For Tire KR1006241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124194 1998-12-21
EP98124194.6 1998-12-21
US11659899P 1999-01-20 1999-01-20
US60/116,598 1999-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765A KR20010082765A (en) 2001-08-30
KR100624121B1 true KR100624121B1 (en) 2006-09-19

Family

ID=2614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923A KR100624121B1 (en) 1998-12-21 1999-12-20 Dual Composition Tread Band For Tir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19025B2 (en)
KR (1) KR1006241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5795B1 (en) * 1999-10-28 2006-09-06 Pirelli Tyre S.p.A. Low rolling resistance tire for vehicles
CN1326716C (en) * 2002-04-19 2007-07-18 米其林技术公司 Tread with tread design elements which are formed from at least two mixtures of rubber
US7131474B2 (en) 2002-12-12 2006-11-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rubber tread of load bearing central and lateral zones
US6959744B2 (en) 2002-12-20 2005-11-0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rubber tread of diverse zoned rubber compositions
CA2491190C (en) 2004-02-03 2013-02-1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rubber tread of circumferential zones with graduated physical properties
EP1619048B1 (en) 2004-07-15 2013-09-11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Pneumatic vehicle tire
EP1630004B1 (en) 2004-08-24 2011-11-02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Pneumatic vehicle tyre
US20070017617A1 (en) * 2005-07-22 2007-01-25 Lafrique Michel M Tire with tread of cap/semibase construction
JP4566903B2 (en) * 2005-12-20 2010-10-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Motorcycle tires
US7789117B2 (en) * 2006-01-27 2010-09-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circumferential rubber tread having a lateral outboard control element
US8800620B2 (en) * 2006-03-27 2014-08-1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rubber tread composed of a primary and at least one lateral tread portion containing a dispersion of short carbon fibers
US20070221309A1 (en) * 2006-03-27 2007-09-27 Cohen Martin P Tire having belt ply edge protector
US7669625B2 (en) * 2006-11-22 2010-03-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symmetrical pneumatic tire
US8109308B2 (en) 2007-03-27 2012-02-07 Resilient Technologies LLC. Tension-based non-pneumatic tire
JP4163244B1 (en) * 2007-08-08 2008-10-08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US20100154948A1 (en) * 2008-12-22 2010-06-24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tread with groove reinforcement
US8170839B2 (en) * 2009-04-24 2012-05-01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Method of designing a tire tread
JP4527180B1 (en) * 2009-05-29 2010-08-1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
JP5007740B2 (en) * 2009-10-28 2012-08-22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WO2011152813A1 (en) * 2010-06-01 2011-12-08 Cooper Tire & Rubber Company Skew symmetric non-pneumatic tire
JP5206754B2 (en) * 2010-09-09 2013-06-12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US9776456B2 (en) 2011-01-19 2017-10-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Zoned tread for racing tires
US9283817B2 (en) 2011-11-22 2016-03-1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tiffness enhanced tread
JP5992787B2 (en) * 2012-02-15 2016-09-1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
US9573422B2 (en) * 2012-03-15 2017-02-21 Polaris Industries Inc. Non-pneumatic tire
KR101325396B1 (en) * 2012-08-21 2013-11-0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Tread structure for vehicle tire and vehicle tire comprising the same
DE112013006726B4 (en) * 2013-02-25 2019-01-24 The Yokohama Rubber Co., Ltd. tire
US9352615B2 (en) 2013-10-22 2016-05-3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with multi-tread cap
JP5874867B1 (en) 2014-05-26 2016-03-02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DE102015207931A1 (en) * 2015-04-29 2016-11-03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Pneumatic vehicle tire with a tread
US20220063343A1 (en) * 2020-09-01 2022-03-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asymmetrical tread with reduced shoulder heat generation
WO2022207118A1 (en) * 2021-04-01 2022-10-06 Geahchan Wadih Adaptive tires traction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19776A (en) * 1961-12-18 1966-02-09 Ciba Ltd Basic ether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DE1275396B (en) 1963-03-02 1968-08-14 Invest In Patent Dev S A R L Motor vehicle tires with winter tread
IT1087461B (en) 1977-09-23 1985-06-04 Pirelli IMPROVEMENT OF TIRES FOR CARS
JPS56146405A (en) * 1980-04-14 1981-11-13 Yokohama Rubber Co Ltd:The Pneumatic tire
US4319620A (en) * 1980-09-19 1982-03-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having axially varying tread composition
DE3130574A1 (en) * 1981-08-01 1983-02-17 Bayer Ag, 5090 Leverkusen TIRE WITH ASYMMETRICAL TREAD PROFILE
JPS6127707A (en) 1984-07-17 1986-02-07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for two-wheeled vehicle
JPS61111804U (en) * 1984-12-27 1986-07-15
IT1184525B (en) * 1985-04-30 1987-10-28 Pirelli ASYMMETRIC TIRE FOR VEHICLE WHEELS
GB2178380B (en) 1985-06-21 1989-07-12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JPS63215404A (en) 1987-03-05 1988-09-07 Bridgestone Corp Pneumatic radial tire
CA2110069C (en) * 1992-11-30 2000-11-21 Shingo Futamura Pneumatic tire with improved snow and ice traction
IT1290083B1 (en) 1997-03-14 1998-10-19 Pirelli LOW WORKING TEMPERATURE TIRE
JPH1178428A (en) * 1997-09-09 1999-03-23 Yokohama Rubber Co Ltd:The Pneumatic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765A (en) 2001-08-30
US6719025B2 (en) 2004-04-13
US20020033212A1 (en) 200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121B1 (en) Dual Composition Tread Band For Tire
EP1140527B1 (en) Dual composition tread band for tire
KR100293800B1 (en) Safety pneumatic tires
US6070631A (en) High-transverse-curvature tire, in particular for front wheels of motor-vehicles
EP0988159B1 (en) Low cost light weight radial tire
EP1641637B1 (en) Pair of front and rear pneumatic tires for motorcycles and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n both wet and dry ground of a motorcycle equipped with said pair
RU2188130C2 (en) Pneumatic tyre with form factor h/s≤0,6
EP1019257B1 (en) Light weight aramid belted radial tire
KR100637851B1 (en) High-transverse-curvature tire, in particular for use in rear wheels of motor-vehicles
CA1228282A (en) Pneumatic radial tire having a good high-speed running performance
EP2729314B1 (en) Motorcycle tyres
JP4502418B2 (en) Tires with large transverse curvature for motorcycles
JPH07195906A (en) Fire for motorcycle
EP3643515A1 (en) Tire
JP3511299B2 (en) Set asymmetric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JPH0741769B2 (en) Pneumatic radial tire suitable for high-speed driving
JPS62122804A (en) Pneumatic radial tire for passenger's vehicle
JPS62152906A (en) Pneumatic radial tyre for passenger car
KR19990063553A (en) High-curvature tires for two-wheeled veh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669712B2 (en) Pneumatic tire
EP4058305B1 (en) Motorcycle wheel tyre
JP2009126394A (en) Pneumatic tire for motorcycle
EP3887175B1 (en) Motorcycles tyre
US11993100B2 (en) Motorcycles tyre
JP4855746B2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