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270B1 - Sliding-sw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Sliding-sw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270B1
KR100619270B1 KR1020040059373A KR20040059373A KR100619270B1 KR 100619270 B1 KR100619270 B1 KR 100619270B1 KR 1020040059373 A KR1020040059373 A KR 1020040059373A KR 20040059373 A KR20040059373 A KR 20040059373A KR 100619270 B1 KR100619270 B1 KR 10061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housing
sliding base
sw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3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61272A (en
Inventor
김영춘
하종원
김경신
Original Assignee
(주)유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엔아이 filed Critical (주)유엔아이
Priority to KR102004005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270B1/en
Publication of KR20050061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2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2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 회전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슬라이딩 베이스를 관통하는 실린더 형상의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단부에 체결되는 씨-링(C-ring)로 이루어지는 스윙 플레이트; 상기 스윙 플레이트와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연장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베이스;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단부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출연장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리브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2 가이드 리브 외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과 맞물리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베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which is slidably movable on the first housing and rotates while facing the first housing; A swing comprising a plate portion fixed to the first housing, a cylindrical shaft portion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and penetrating the first sliding base, and a C-ring engaged to an end of the shaft portion; plate; A first sliding base rotatably coupled to face the swing plate and having a pair of first guide ribs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 portions thereof; And a guide rail fixed to the second housing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base and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respectively, to guide rail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rib. Disclosed is a sliding-swing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second sliding base having a guide groove engaged with the guide rail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rib in contact.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게 하였다.The sliding-swing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conveniently enjoy various screens provided through a multimedia service.

단말기, 슬라이딩-스윙, 스윙 플레이트, 슬라이딩 베이스Terminal, sliding-swing, swing plate, sliding base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SLIDING-SW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SLIDING-SW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slidably mov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ing-swing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스윙 모듈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iding-swing module shown in FIG.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딩-스윙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iding-swing module shown in FIG.

도 6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스윙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6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liding-swing module shown in FIG.

도 9 내지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스윙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9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sliding-swing module shown in FIG.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을 대면한 상태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ing-swing terminal of a portable terminal that is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on and rotatably coupled to a pair of housings facing each other.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과 플립이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In general, the term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 counterpart. Such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terminal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a bar-type, the flip-type terminal means that the bar-type housing and the flip is rotatably coupled by the hinge device, the folder-type terminal is a single It means that the folder in the bar-shaped housing is rotatably connected by a hinge device and configured in a folding manner.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단말기는 두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 이동으로 대면한 상태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휴대용 단말기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rotatable terminal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in a facing state while facing each other, and the sliding-type terminal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opened and closed in a facing state with longitudinal movements. The variously classified portable terminal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는 다수의 키패드(2a) 및 마이크 장치(2b)가 구비된 메인 바디(2)를 기준으로 볼 때, 슬라이딩 바디(3)가 상기 메인 바디(2) 길이의 1/2정도까지 하측 또는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개방되는 슬라이딩형 단말기이고, 슬라이딩 바디(3) 전면에 스피커 장치(3a) 및 디스플레이 장치(3b)가 설치된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showing a portable terminal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illustrated portable terminal 1 is based on a main body 2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keypads 2a and a microphone device 2b, wherein the sliding body 3 has a length equal to 1 / the length of the main body 2. It is a sliding terminal that is opened by sliding downward or upward by two degrees, and a speaker device 3a and a display device 3b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sliding body 3.

상기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슬라이딩 바디(3)가 상기 메인 바디(2)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키패드(2a)가 개폐되는 구성이다. The portable terminal 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keypad 2a is opened and closed as the sliding body 3 slides on the main body 2.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형 단말기 이외에도 한 쌍의 하우징이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형 단말기, 개방된 상태의 폴더의 전, 후면이 반전되는 로터리형 단말기 등 새로운 형태의 단말기들이 상용화되는 추세이다.In addition to the sliding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 new type of terminal such as a swing type terminal rotatably coupled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housings face to face, a rotary type terminal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an open folder are reversed is commercialized. .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단순히 그 개폐동작을 다양화한 것에 불과하여, 단말기의 기능이나 활용성에서의 변화는 미미한 실정이다. 더욱이, 새로운 형태의 단말기들이 상용화되고 있음에도 사용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는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merely a diversific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and the changes in the functions and the usability of the terminals are insignificant. Moreover, even though new types of terminals are commercially available, there is a limit to satisfying various tastes of user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단말기의 기능과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swing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utility of the terminal by connecting the pair of housings to be rotatable and at the same time rotatably connected in a facing state In providing a modu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개폐동작을 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 자들의 다양화되어 가는 취향을 만족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swing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satisfies the diversified taste of users by providing a combin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 회전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swing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which is slidably movable on the first housing and rotates while facing the first housing. In the module,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스윙 플레이트;A swing plate fixed to the first housing;

상기 스윙 플레이트와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 베이스; 및A first sliding base rotatably coupled to face the swing plate; And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베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을 개시한다.
Disclosed is a sliding-swing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second sliding base fixed to the second housing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bas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300)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스윙 모듈(300)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딩-스윙 모듈 (3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300)은 스윙 플레이트(301),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 및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를 구비하고, 한 쌍의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iding-swing module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iding-swing module 300 shown in Figure 3, Figure 5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liding-swing module 300 shown in FIG. 3 to 5, the sliding-swing module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ng plate 301, a first sliding base 302, and a second sliding base 303. And a pair of housings are slidably movable and rotatably connected in a facing state.

상기 스윙 플레이트(301)는 플레이트부(311)와 샤프트부(313)로 구성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401; 도 9에 도시됨) 상에 고정된다. The swing plate 301 includes a plate part 311 and a shaft part 313 and is fixed on the first housing 401 (shown in FIG. 9)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플레이트부(311)는 상기 제1 하우징(401) 상에 고정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외주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편(311a)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다. 상기 체결편(311a)에는 체결홀(311b)이 형성되어 스크류 등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401) 상에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플레이트부(311)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지만, 반드시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편(311a)이 상기 플레이트부(311)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구성이나, 이는 상기 플레이트부(311)를 상기 제1 하우징(401)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편(311a)을 연장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부(311) 상에 체결홀을 형성함으로써 고정수단을 제공하거나, 플레이트부(311)의 형상의 다각형으로 할 경우 그 모서리에 각각 체결홀을 형성함으로써 고정수단을 제공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The plate portion 311 has a circular plate shape fixed on the first housing 401 and includes at least one fastening piece 311a extending outwar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astening hole 311b is formed in the fastening piece 311a and is fixed on the first housing 401 by a screw or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ate portion 311 is provided in a circular plate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circular shape may be provid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triangle, square. In addition, although the fastening piece 311a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part 311, this may be variously changed as a means for fixing the plate part 311 to the first housing 401. . That is, when the fastening means is provided on the plate portion 311 without extending the fastening piece 311a, or the fixing means is provided, or when the polygon of the shape of the plate portion 311 to form a fastening hole at each corner It is obvious that the fixing means can be provided by forming.

상기 샤프트부(313)는 상기 플레이트부(311)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실린더 형상을 이루고 그의 단부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체결홈(317)이 형성된다.The shaft portion 313 extends from one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311 to form a cylinder shape, and a fastening groove 317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thereof.

상기 스윙 플레이트(301)는 상기 플레이트부(311)로부터 상기 샤프트부(3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샤프트부(313)의 외주면 상에 돌출되는 스토퍼 돌기(319)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 돌기(319)는 상기 체결홈(317)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의 길이 이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윙 플레이트(301)는 상기 플레이트부(311)로부터 상기 샤프트부(313)의 상단을 관통하는 관통홀(315)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홀(315)은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401)과 제2 하우징(402; 도 9에 도시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미도시)가 지나는 통로를 제공한다. The swing plate 301 includes a stopper protrusion 319 extending from the plate portion 3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313 and protrud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313. The stopper protrusion 319 is preferably extended within a length of the ran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astening groove 317. In addition, the swing plate 301 includes a through hole 315 penetrating the upper end of the shaft portion 313 from the plate portion 311. The through hole 315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a flexible printed circuit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housing 401 and the second housing 402 (shown in FIG. 9)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는 상기 스윙 플레이트(301)와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의 중앙부(302a)는 상기 스윙 플레이트(301)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고, 상기 샤프트부(313)가 관통하는 힌지홀(323)을 구비한다. 상기 샤프트부(313)가 상기 힌지홀(323)을 관통하면, 그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홈(317)이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의 일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홈(317)에 씨-링(C-ring)(391), 이-링(E-ring) 등의 요소가 결합되어 상기 스윙 플레이트(301)와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를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상기 체결홈(317)에 씨-링(391)이 결합되면, 상기 씨-링(391)은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의 일면에 밀착되고, 상기 플레이트부(311)가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의 타면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스윙 플레이트(301)와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샤프트부(3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축(A)이 제공된다.The first sliding base 302 is rotatably coupled to face the swing plate 301 and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he central portion 302a of the first sliding base 302 has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swing plate 301 and includes a hinge hole 323 through which the shaft portion 313 penetrates. When the shaft portion 313 penetrates through the hinge hole 323, a fastening groove 317 formed at an end thereof protrudes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base 302, and the seed groove is formed in the fastening groove 317. Elements such as a ring (C-ring) 391, an E-ring and the like are coupled to rotatably connect the swing plate 301 and the first sliding base 302 to face each other. When the seed ring 391 is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317, the seed ring 391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base 302, and the plate part 311 is moved to the first sliding portio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302. As described above, the swing plate 301 and the first sliding base 302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rovide a hinge axis 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313.

상기 힌지홀(323)의 측벽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각도 범위 이내에 연장되는 가이드 홀(325)이 형성된다. 상기 스윙 플레이트(301)와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가 결합되면, 상기 스토퍼 돌기(319)가 상기 가이드 홀(325)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의 회전 범위는 상기 가이드 홀(325)과 스토퍼 돌기(319)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의 회전 범위는 360도 미만으로 제한됨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 홀(325)이 형성된 각도 범위는 90도로 제한되었다. The sidewall of the hinge hole 323 is formed with a guide hole 325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the swing plate 301 and the first sliding base 302 are coupled, the stopper protrusion 319 is positioned in the guide hole 325, and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sliding base 302 is the guide hole. 325 and stopper projection 319. Preferably,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sliding base 302 is limited to less than 360 degrees, and in this embodiment, the angle range in which the guide hole 325 is formed is limited to 90 degrees.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의 양 측단부에는 각각 제1 가이드 리브(321)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리브(321)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의 일면에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의 양 측단을 감싸게 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리브(321)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321a)이 돌출된다.First guide ribs 321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 ends of the first sliding base 302, respectively. The first guide rib 321 protrudes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base 302 and surrounds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sliding base 303 in a shape facing each other. Guide rails 321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trude from inner surfaces of the first guide ribs 321 facing each other.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말기의 제2 하우징(402)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의 제1 가이드 리브(321)에 의해 양 측단이 감싸지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의 양 측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가이드 리브(331)가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리브(321)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 가이드 리브(331)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331a)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리브(321)의 가이드 레일(321a)과 맞물려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The second sliding base 303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base 302 and has a plate shape fixed to the second housing 402 of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liding base Both side end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guide rib 321 of 302. Second guide ribs 331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protrude from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sliding base 303 to be in sliding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rib 321. Guide grooves 331a ar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rib 3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gage the guide rail 321a of the first guide rib 321 to slide the second sliding base 303. Guide the move.

한편,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에는 별도의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 레일(321a)과 맞물리는 가이드 홈이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의 양 측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의 양 측단이 상기 제1 가이드 리브(321)에 감싸지게 된다. Meanwhile, a separate guide rib is not formed in the second sliding base 303, and guide grooves engaged with the guide rail 321a may be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sliding base 303. In this case,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sliding base 303 are wrapped in the first guide rib 321.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321a)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1 가이드 리브(321)에 가이드 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의 양 측단이 가이드 홈에 맞물려 슬라이딩 접촉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guide rib 321 without separately forming the guide rail 321a, and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sliding base 303 ar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configured.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리브(321)가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의 양 측단부를 감싸게 제공되었으나, 그와는 반대로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의 제2 가이드 리브(331)가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의 양 측단부를 감싸게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guide ribs 321 formed on the first sliding base 302 are provided to surround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sliding base 303 in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contrary, the second sliding base 303 is provided. A second guide rib 331 of the () may be provided to surround both side ends of the first sliding base 302.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와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제1, 제2 가이드 리브(321, 331), 가이드 레일(321a) 및 가이드 홈(331a) 등을 이용함에 있어서, 본 실시 예의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uple the first sliding base 302 and the second sliding base 303,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321 and 331, the guide rail 321a, the guide groove 331a, and the like. In us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의 양면을 관통하는 개구(339)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339)는 상기 스윙 플레이트(301)의 관통홀(315)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401)과 제2 하우징(40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미도시)가 지나는 통로를 제공한 다. An opening 339 is formed in the second sliding base 303 and extends along a length direction and penetrates both surfaces of the second sliding base 303. The opening 339 is a passage through which a flexible printed circuit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401 and the second housing 402 together with the through hole 315 of the swing plate 301. To provide.

이때, 상기 샤프트부(313)의 단부는 상기 개구(339)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313)의 단부가 상기 개구(339) 내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313)와 상기 개구(339)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의 슬라이딩 이동의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In this case, an end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313 may be located in the opening 339. As the end of the shaft portion 313 is positioned in the opening 339, the range of sliding movement of the second sliding base 303 may be limited by the shaft portion 313 and the opening 339. .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슬라이딩-스윙 모듈(300)과 상기 슬라이딩-스윙 모듈(300)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400)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400 including the sliding-swing module 300 and the sliding-swing module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1.

도 6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스윙 모듈(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슬라이딩-스윙 모듈(300)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4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슬라이딩-스윙 모듈(300)의 정면도(a)와 측면도(b), 도 9 내지 도 11에는 각각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의 정면도(a)와 측면도(b)가 도시된다.6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liding-swing module 300 shown in Figure 3, Figures 9 to 11 is a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400 having the sliding-swing module 300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operation | movement. 6 to 8 are front views (a) and side views (b) of the sliding-swing module 300, and FIGS. 9 to 11 are front views (a) and side views (b) of the portable terminal 400, respectively. Is shown.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는 제1 하우징(401)과 제2 하우징(402)이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형태의 슬라이딩-스윙 단말기로서, 제1 하우징(401)의 일면에는 제1, 제2 키패드(411a, 411b)와 송화부(413)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402)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21) 및 수화부(423)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키패드(411a)는 상기 제2 하우징(402)의 슬라이딩 이동과 관계없이 항시 개방된 상태로서, 통화/종료키, 검색/선택키 등의 기능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키패드(411b)는 상기 제2 하우징(402)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고, 숫자/문자 입력을 위한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400 is a sliding-swing terminal that can be slidably moved and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housing 401 and the second housing 402 face each other. In addition, second keypads 411a and 411b and a transmitter 413 are installed, and a display device 421 and a receiver 423 are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402. The first keypad 411a is always open regardless of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econd housing 402 and may include function keys such as a call / end key and a search / selection key. The second keypad 411b may be selectively opened as the second housing 402 is slidably moved, and may be composed of keys for numeric / character input.

도 6과 도 9는 상기 제2 하우징(402)이 상기 제1 하우징(401) 상에 겹쳐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2 키패드(411b)는 상기 제2 하우징(402)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1 키패드(411a)는 상기 제2 하우징(402)의 슬라이딩 이동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개방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1 키패드(411a)를 이용해 간단한 메뉴 또는 기능을 검색하는 등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6 and 9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402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housing 401. In this case, the second keypad 411b is closed by the second housing 402, and the second sliding base 303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sliding base 302. Since the first keypad 411a is always open regardless of whether the second housing 402 is sliding or not, the user may use the first keypad 411a to search for a simple menu or function. Can be done.

도 7과 도 10은 상기 제2 하우징이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2 키패드(411b)를 개방시킨 상태로서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302)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 키패드(411a)와 제2 키패드(411b)를 함께 사용하여 메뉴, 기능 검색 뿐만 아니라 상대방 호출번호 입력, 문자 정보 입력 등 좀더 다양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7 and 10 show that the second housing is sli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open the second keypad 411b, and the second sliding base 303 is located above the first sliding base 302. do. In this case, the user may use the first keypad 411a and the second keypad 411b together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such as menu, function search, counterpart call number input, text information input, and the like.

도 8과 도 11은 상기 제2 하우징(402)이 상기 제2 키패드(411b)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는 서비스 업자로부터 제공되는 브이.오.디와 같은 멀티미디어 화면을 종횡비에 맞게 디스플레이 장치(421) 전체 면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한된 디스플레이 장치 면적을 충분히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화면 등을 즐길 수 있다. 또한, 화면 종횡비에 맞게 디스플레이 장치(421)를 위치시키기 위해 단말기를 기울일 필요없이 단말기의 제2 하우징(402)을 회전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8 and 11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402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A while the second keypad 411b is opened. In this case, the user may display a multimedia screen, such as V.D.,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er, o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device 421 in accordance with the aspect ratio. Therefore, the user can fully enjoy the multimedia screen and the like by utilizing the limited display device are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use the second housing 402 of the terminal without rotating the terminal to position the display device 421 to fit the screen aspect ratio.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303)의 슬라이딩 이동은 별도의 구동장치가 구성되지 않아 사용자가 직접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는 형태가 도시되었으나,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국내실용 출원번호 제2004-04569호(2004. 2. 2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슬라이딩 베이스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국내실용 출원번호 제2003-19379호(2003. 6. 1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의 인력과 척력을 이용하여 제2 슬라이딩 베이스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한,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랙 기어, 피니언 기어 등 다양한 형태의 기어 조합을 통해 제2 슬라이딩 베이스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econd sliding base 303 is shown as a form that can be stopped at any position while the user directly sliding movement because no separate drive device is configured, the domestic filed by the applicant As disclosed in Utility Application No. 2004-04569 (February 21, 2004),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sliding base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also the Korean Utility Application No. 2003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As disclosed in -199379 (June 19, 2003),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of the magnetic body can be used to provide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sliding base. In addition, it is apparent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can provide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sliding base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of gears such as rack gears and pinion gea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은 한 쌍의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서로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한 쌍의 하우징이 겹쳐진 상태에서도 일부 기능 키들은 개방되어 간단한 조작이 가능하므로 하우징들의 슬라이딩 이동 여부에 따라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단말 기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liding-swing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air of housings to be slidably moved and at the same time rotat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various screens provided through the multimedia service can be conveniently enjoyed. It was. In addition, even when a pair of housings are overlapped, some function keys are opened to enable simple operation, so that various functions may be set depending on whether the housings are slidingly mov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lement the functions of the various terminal devices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Claims (16)

제1 하우징;A first housing;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 회전하는 제2 하우징;A second housing which is slidably movable on the first housing and rotates while facing the first housing;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슬라이딩 베이스를 관통하는 실린더 형상의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단부에 체결되는 씨-링(C-ring)로 이루어지는 스윙 플레이트;A swing comprising a plate portion fixed to the first housing, a cylindrical shaft portion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and penetrating the first sliding base, and a C-ring engaged to an end of the shaft portion; plate; 상기 스윙 플레이트와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연장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베이스; 및A first sliding base rotatably coupled to face the swing plate and having a pair of first guide ribs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 portions thereof; And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단부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출연장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리브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2 가이드 리브 외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과 맞물리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베이스;It is fixed to the second housing, is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base so as to be slidable, the sliding contact to the guide rail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guide rib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A second sliding base having a guide groove engaged with the guide rai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rib;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Sliding-swing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의 중앙부가 상기 플레이트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중앙부에 샤프트부가 관통하는 힌지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 And a hinge hole through which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liding base protrudes toward the plate portion and a shaft portion penetrates the central portion. 삭제delete 제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힌지홀의 측벽을 따라 90도 이내의 범위만큼 연장되는 가이드 홀; 및A guide hole extending in a range of 90 degrees along a sidewall of the hinge hole; And 상기 샤프트부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홀 내에 위치되는 스토퍼 돌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And a stopp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and positioned in the guide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의 양면을 관통하는 개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 And an opening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liding base and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second sliding base. 제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이스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개구 내에서 샤프트부가 따라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The sliding-swing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portion is moved along the opening as the second sliding base sli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40059373A 2004-07-28 2004-07-28 Sliding-sw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6192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373A KR100619270B1 (en) 2004-07-28 2004-07-28 Sliding-sw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373A KR100619270B1 (en) 2004-07-28 2004-07-28 Sliding-sw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272A KR20050061272A (en) 2005-06-22
KR100619270B1 true KR100619270B1 (en) 2006-09-01

Family

ID=3725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373A KR100619270B1 (en) 2004-07-28 2004-07-28 Sliding-sw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2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8590A1 (en) * 2005-03-16 2006-09-21 Jong Chul Choo Slid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it
KR100753061B1 (en) * 2005-09-22 2007-08-31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Sliding and Rotary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KR100803784B1 (en) 2006-11-24 200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Sliding/swing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KR100812626B1 (en) * 2007-03-07 2008-03-13 주식회사 다이아벨 Slid and swing hinge apparatus
KR101062686B1 (en) * 2008-12-23 2011-09-06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Swing hinge device and portable devic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272A (en)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276B1 (en) Portable terminal and swing hinge module thereof
KR100651497B1 (en)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KR100689511B1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803784B1 (en) Sliding/swing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US7287302B2 (en) Swing hing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KR100651412B1 (en) Swing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0080213A (en) Bar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rotary type hinge device thereof
KR100713421B1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790109B1 (en) Push rod and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therewith
KR100640379B1 (en)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 module thereof
KR100941953B1 (en) One-touch hinge module for folder type cellular phone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KR100619270B1 (en) Sliding-sw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20060132350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rotating apparatus using magnetic force
KR100842527B1 (en)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0773679B1 (en) Mobile phone of foldable and slidable type
EP1484921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753061B1 (en) Sliding and Rotary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KR20090028952A (en) Portable terminal
KR101155242B1 (en) Portable terminal
KR100703352B1 (en) Portable terminal with protruding key pad
KR100663485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374460Y1 (en) Portable phone and sliding assembly for portable phone
KR20090013365A (en)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KR101171395B1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