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423B1 - Method for storing data by using a mobile st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storing data by using a mobil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423B1
KR100611423B1 KR1019990057797A KR19990057797A KR100611423B1 KR 100611423 B1 KR100611423 B1 KR 100611423B1 KR 1019990057797 A KR1019990057797 A KR 1019990057797A KR 19990057797 A KR19990057797 A KR 19990057797A KR 100611423 B1 KR100611423 B1 KR 100611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digital
extern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7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56356A (en
Inventor
손상목
강학모
민병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7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423B1/en
Publication of KR20010056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3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423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장비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무선으로 다른 시스템에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장비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외부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장비를 어뎁터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제 1 단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데이터 전송모드로 전환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을 실행시키는 제 2 단계; 외부 시스템에 대한 주소를 입력하고 디지털 장비에 저장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 3 단계; 입력된 주소에 의거하여 선택된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므로써, 디지털 데이터의 백업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로 인해 보다 더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ata storag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storing digital data from a digital device to another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put / output port capable of data transmission, the external system being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a network, and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gital equipment using an adapte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data transmission mode to execute a protocol for data transmission; A third step of inputting an address for an external system and selecting data stored in a digital device; By including the fourth step of transmitting the selected data based on the input address to the external system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ing i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for the backup of the digital data, thereby 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various users.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METHOD FOR STORING DATA BY USING A MOBILE STATION}Digital data storag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METHOD FOR STORING DATA BY USING A MOBILE 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applying a digital data storag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에 대한 수행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digital data storag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외부 기기 110 : 이동통신 단말기100: external device 1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 기지국 130 : 기지국 제어기120: base station 130: base station controller

140 : 이동통신 교환기 200 : 서버140: mobile communication switch 200: serv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장비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버에 전송하므로써 저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toring digital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digit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stored by transmitting digital data from a digital device to a serv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relates to a data storage method.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는 추세인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공간 전파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이동통신 가입자 상호간 또는 이동통신 가입자와 고정 가입자(일반 공중망 가입자)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불특정 지역을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이동통신 기지국과, 다수의 이동통신 기지국을 제어 및 관리하면서 핸드오프 등 무선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와, 이러한 이동통신 기지국 제어기 및 다른 통신망과 연동하여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면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처리 및 데이터 교환에 따른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recent years,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been rapidly spreading,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wirelessly transmitting voice and data using 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es mobile radio waves regardless of the subscriber's position. A communication system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subscribers or between a mobile subscriber and a fixed subscriber (a general public network subscriber), which transmits / receives a message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manages an unspecified area, and manages radio resources. A base station controller which performs various functions necessary for radio call processing such as handoff while controlling and managing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and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while performing a switching role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controller and other communication networks. Overall call processing and data exchange of syste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to perform the function.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가 보편화되면서 다양한 디지털 장비 등의 보급이 확산되는 추세이며, 이와 함께 각 디지털 장비들간의 상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On the other han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ata processing using the digital technolog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come common, the spread of various digital equipment, etc. is spreading, and mutual data transmission between each digital equipment is possible. Was done.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장비는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저장수단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데, 그 저장수단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저장수단의 저장 영역을 초과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저장수단에 기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장비에 백업(backup)하거나 기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해야만 한다.And, such digital equipment is essentially provided with a storage means for storing data, the size of the storage means is limited. Therefore, in order for a user to store more data beyond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means, the user must back up the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o another device or delete the previously stored data.

예를 들어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는 저장되는 이미지의 해상도에 따라 수십 장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데, 만일 40장의 영상 화 면이 저장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미 40장의 영상 데이터가 모두 저장된 메모리 풀(memory full) 상태인 경우에, 사용자가 또 다른 영상 화면을 촬영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삭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다른 외부 기기(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로 이동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For example, a digital camera can typically store dozens of digital image data depending on the resolution of the stored image. If a digital camera is capable of storing 40 image screens, the memory pool already stores all 40 image data. In the case of (memory full) state, when the user wants to capture another image screen and store it, the pre-stored image data is deleted. Therefore, a user may have to move previously stored image data to another external device (eg, a personal computer or a notebook computer).

또한, 이러한 경우에 기저장된 데이터의 삭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노트북 컴퓨터를 항상 휴대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디지털 장비에 구비된 저장수단의 크기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메모리 수단을 추가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deletion of previously stored data,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the notebook computer at all times, and in order to expand the size of the storage means included in the digital equipment, additional expensive memory means must be purchased. There is a problem.

만일, 이러한 디지털 장비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휴대가 간편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다른 시스템, 예를 들어 전자우편 서버나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버에 전송하여 디지털 장비의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게 된다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보다 더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If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of the digital device is transferred to another system, for example, an e-mail server or a FTP (File Transfer Protocol) server, the data of the digital device can be backed up by using a mobile terminal. If possible,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nd thus, the user's needs will be more diver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장비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무선으로 다른 시스템에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provides a digital data storag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storing digital data from a digital device to another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urpos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한 이동통 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장비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다른 외부 시스템에 전송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장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디지털 장비를 어뎁터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데이터 전송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을 실행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외부 시스템에 대한 주소를 입력하고 상기 디지털 장비에 저장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 3 단계; 상기 입력된 주소에 의거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data storag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storing digital data stored in a digital device to another externa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gital device has an input / output port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xternal system is connect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via a network, and the method includes: using the adapter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igital device Connecting to the first step;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data transmission mode to execute a protocol for data transmission; A third step of inputting an address for the external system and selecting data stored in the digital equipment; And a fourth step of transmitting the selected data to the external system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ing the selected data based on the input address.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외부기기(100), 이동통신 단말기(110), 기지국(120), 기지국 제어기(130), 이동통신 교환기(140), 서버(20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suitable for applying a digital data storag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base station 120 ),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30,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140, the server 200.

도 1을 참조하면, 외부기기(100)는 디지털 데이터를 기저장하고 있는 디지털 장비를 의미하며, 디지털 카메라, MP3(MPEG layer-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 개인형 정보단말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외부기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접속을 위한 입출력 포트(예를 들어, 시리얼 포트)가 구비되어야 하며, 이 입출력 포트는 어뎁터(Adapter : 연결기)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DM(Diagnostic Monitor) 포트와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 an external device 100 refers to a digital device that pre-stores digital data. The external device 100 may include a digital camera, an MP3 play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example.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100 should be provided with an input / output port (eg, a serial port) for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order to perform the digital data storag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nected to a DM (Diagnostic Monitor)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rough an adapter (adapter).

한편,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110)에는 일반적인 음성 신호의 송수신은 물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뎀 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술한 외부기기(100)와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기기(100)의 데이터를 기지국(120)으로 전송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has a built-in modem function to enabl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as well as the general voice signal, by the user's operation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100 described above The data of the external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20.

기지국(12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신호 및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기(10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지국 제어기(130)로 전송하게 되며, 기지국 제어기(130)는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동통신 교환기(140)로 전송하게 된다.The base station 120 receives the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data of the exter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30.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30 is a base station 120. The data received from)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140.

그리고, 이동통신 교환기(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일반 공중전화망(PSTN)과 접속되어 있으며, 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술한 외부기기(100)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서버(200)와 접속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140 is connected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switch or a general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through a network, and through this network, a server 200 capable of storing digital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100 described above. ) Is connected.

한편, 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110∼140을 포함)을 통해 외부기기(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전자우편 서버 또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버 등을 구성된다.Meanwhile, the server 200 is a system for storing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10 to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 e-mail server or FTP (File Transfer Protocol). A) server and so 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데 이터 저장 방법에 대한 수행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digital data storag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d FIG. 2,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외부기기(100)의 입출력 포트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DM 포트를 어뎁터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태에서(단계 201), 사용자는 외부기기(100)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조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전송 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단계 203).First, in order to perform the digital data storag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 output port of the external device 100 and the DM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re connected using an adapter (step 201). In order to transmit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100 to the server 200, 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operated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the data transmission mode (step 203).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에 접속하여 데이터 전송을 프로토콜을 실행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외부기기(100)의 데이터를 전송할 서버(200)의 주소를 입력한 다음(단계 205), 전송하고자 하는 외부기기(100)의 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단계 207).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esses the data transmission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to execute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Then, the user inputs the address of the server 200 to transmit the data of the external device 100 (step 205), and then selects the data of the external device 100 to be transmitted (step 207).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외부기기(100)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기지국(120)으로 전송하게 되고, 기지국(12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다시 기지국 제어기(130)와 이동통신 교환기(140)를 거쳐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단계 209).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ransmits digital data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100 to the base station 120, and the base station 120 again transmits data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30.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140 transmits to the server 200 connected to the network (step 209).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외부기기(100)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전자우편 서버나 FTP 서버 등으로 전송하여 백업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user can transfer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100 to the e-mail server or the FTP server for backup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 털 장비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무선으로 다른 시스템에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의 백업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로 인해 보다 더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transmit and store digital data from digital equipment to another system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for backup of digital data. There is an effect, and thereb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eet the needs of more diverse users.

Claims (2)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장비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다른 외부 시스템에 전송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In the digital data storag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storing digital data stored in digital equipment to another externa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디지털 장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The digital device has an input / output port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외부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되며,The external system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a network, 상기 방법은:The method i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디지털 장비를 어뎁터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igital equipment using an adapt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데이터 전송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을 실행시키는 제 2 단계;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data transmission mode to execute a protocol for data transmission; 상기 외부 시스템에 대한 주소를 입력하고 상기 디지털 장비에 저장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 3 단계;A third step of inputting an address for the external system and selecting data stored in the digital equipment; 상기 입력된 주소에 의거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And a fourth step of transmitting the selected data to the external system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input address and storing the selected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스템은 전자우편 서버 또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system is an e-mail server or a file transfer protocol (FTP) server.
KR1019990057797A 1999-12-15 1999-12-15 Method for storing data by using a mobile station KR1006114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797A KR100611423B1 (en) 1999-12-15 1999-12-15 Method for storing data by using a mobil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797A KR100611423B1 (en) 1999-12-15 1999-12-15 Method for storing data by using a mobile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356A KR20010056356A (en) 2001-07-04
KR100611423B1 true KR100611423B1 (en) 2006-08-09

Family

ID=1962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797A KR100611423B1 (en) 1999-12-15 1999-12-15 Method for storing data by using a mobil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4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33B1 (en) * 2001-09-04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aving the data based on power sour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838A (en) * 1997-07-04 1999-02-05 윤종용 Digital camera integrated mobile phone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information
KR19990085912A (en) * 1998-05-22 1999-12-15 윤종용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ata backup device and method
KR20000044467A (en)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cellular telephone
KR20010029048A (en) * 1999-09-29 2001-04-06 전주범 Method for servic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in a pda
KR20010045359A (en) * 1999-11-04 2001-06-05 조영선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the remote managing function of file and dat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838A (en) * 1997-07-04 1999-02-05 윤종용 Digital camera integrated mobile phone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information
KR19990085912A (en) * 1998-05-22 1999-12-15 윤종용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ata backup device and method
KR20000044467A (en)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cellular telephone
KR20010029048A (en) * 1999-09-29 2001-04-06 전주범 Method for servic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in a pda
KR20010045359A (en) * 1999-11-04 2001-06-05 조영선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the remote managing function of file and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356A (en)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6392B2 (en) Communication device
US2008013405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video calling and method for saving chat messages thereof
KR1015550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screen mobile convergence service
TWM280046U (en) Independent and efficient delivery of services to wireless devices capable of supporting multiple radio interfaces and network infrastructure
KR20030049105A (en) Method for storing backup data on the network and cellular-phone implementing the same
GB2420474A (en) Data-backup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547403A1 (en) Gprs signaling via sms messages
US11503151B2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base station function of DECT cellular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US6741870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communication media
JP4191016B2 (en) Phone terminal call mode switching method
KR100611423B1 (en) Method for storing data by using a mobile station
JP2010016885A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2001016351A (en) Inform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H09135325A (en) Facsimile substitute system
US20030139203A1 (e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program instructions for managing data i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32337B1 (en) method for managing a data of the cellular-phone using an internet virtual space
JP2001177868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ortable telephone set, and incoming call reply method used for the same
KR200600712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sm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ing it
JPH11355424A (en) Telephone system
JP2006340204A (en) Video phon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648985B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reservation function for call switch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657801B2 (en) Videophone relay system
JP4477079B2 (en) Mobile phone equipment
JP2005295574A (en)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666046B1 (en) Methode for processing received message about im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