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967B1 - 레코드 맵 기록 방법, 그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 Google Patents

레코드 맵 기록 방법, 그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967B1
KR100607967B1 KR1020040028168A KR20040028168A KR100607967B1 KR 100607967 B1 KR100607967 B1 KR 100607967B1 KR 1020040028168 A KR1020040028168 A KR 1020040028168A KR 20040028168 A KR20040028168 A KR 20040028168A KR 100607967 B1 KR100607967 B1 KR 10060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recorded
record map
data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4355A (ko
Inventor
황성희
고정완
이경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853,71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50007914A1/en
Publication of KR2004010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8Verification, i.e. checking data during or after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an identification or authentication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67Addres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85Status of the record carrier, e.g. space bit maps, flags indicating a formatting status or a write permis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20/1873Temporary defect structures for write-once discs, e.g. TDDS, TDMA or TDF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레코드 맵 기록 방법, 그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레코드 맵(record map)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번 기록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한번 기록 디스크의 기록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코드 맵 기록 방법, 그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record map, and write once disc therefor}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코드 맵(record map)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코드 맵 엔트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레코드 맵 엔트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엔트리 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사용 불가능한 블록으로 결정되는 일 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7a 및 7b는 레코드 맵 엔트리에 의해 나타내지는 영역이 사용 불가능한 영역으로 결정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8은 레코드 맵이 기록된 영역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일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임시 결함 정보(TDFL)와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가 기록된 임시 결함 관리 영역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j)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코드 맵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한번 기록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상태를 나타내는 레코드 맵 기록 방법, 그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 디스크 등의 정보저장매체에 있어서,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와 기록되지 않은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비트 맵(bit map)을 광 디스크에 기록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비트 맵은 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 블록(block)과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 블록에 각각 다른 비트 값을 할당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데이터 블록은 광 디스크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단위로서, 에러정정(error correction)의 단위이기도 하다. 데이터 블록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32킬로바이트 또는 64킬로바이트이다.
64킬로바이트 데이터 블록 단위로 비트 맵을 광 디스크에 기록하는 경우, 하나의 데이터 블록에 32기가바이트의 데이터의 기록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 맵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세대 광 디스크의 경우, 하나의 기록층의 기록 용량은 약 25기가바이트이다. 따라서 단일 기록층을 가지는 디스크에 대한 비트맵은 하나의 데이터 블록으로 기록 가능하고, 이중 기록층을 가지는 디스크에 대해서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블록이 비트 맵 기록을 위해 필요하다.
한편, 이미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에 새로운 데이터를 덮어 쓸 수 없는 특성을 가지는 한번 기록 디스크(Write Once Disc)의 경우,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된 특정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업데이트된 정보를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새로운 위치에 기록해야 한다.
따라서, 이중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데이터가 새로이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되어 업데이트된 비트 맵을 기록해야 하는 경우, 적어도 2개의 데이터 블록을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해야 한다. 단일 기록층을 가진 한번 기록 디스크라 하더라도 기록층의 기록용량이 32기가바이트를 넘는 경우에는 적어도 2개의 데이터 블록을 업데이트 된 비트 맵 기록을 위해 할당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비트 맵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 블록과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 블록을 나타내는 경우,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할 데이터 양이 많아 한번 기록 디스크 상의 기록 영역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록 영역을 많이 차지하는 것에 비해, 데이터 블록 단위로 데이터 기록 유무 정보만을 나타낼 뿐 다른 유용한 정보는 나타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나타내는 레코드 맵을 기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 기록 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나타내는 레코드 맵이 기록된 한번 기록 디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레코드 맵 기록 방법은,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블록 단위로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레코드 맵(record map)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레코드 맵을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마련된 소정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레코드 맵 기록을 위한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록/독출부; 및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블록 단위로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고,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레코드 맵(record map)을 생성하고, 상기 레코드 맵을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마련된 소정 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블록 단위로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레코드 맵(record map)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레코드 맵을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마련된 소정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한번 기록 디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레코드 맵(record map)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b는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기록층 L0에는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마련된다. 리드-인 영역은 한번 기록 디스크의 내주에 위치하고 리드-아웃 영역은 한번 기록 디스크의 외주에 위치한다. 데이터 영역은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의 사이에 위치한다. 데이터 영역은 스페어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스페어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있어서 결함에 의한 기록 공간의 손실을 보충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한번 기록 디스크 상에 결함을 허용하면서 기록할 수 있는 최대한의 데이터 용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최초로 설정할 때에는 전체 데이터 용량의 약 5% 정도로 설정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기록층 L0에는 안쪽 영역#0, 데이터 영역#0, 바깥 영역#0이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기록층 L1에는 바깥 영역31, 데이터 영역#1 및 안쪽 영역#1이 외주에서 내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도 1b에 도시한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기록층 L0의 경우에는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데이터가 기록되고 기록층 L1의 경우에는 외주에서 내주 방향으로 데이터가 기록된다.
스패어 영역은 도 1a 및 1b에 도시한 위치에 한정하여 할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하나 이상 할당될 수 있다. 나아가, 스페어 영역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미리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할당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레코드 맵(record map)을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코드 맵(record map)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코드 맵 #k(k=0,1,...,m)은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된 다른 레코드 맵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정보(Record Map identifier), 레코드 맵 의 업데이트 회수를 나타내는 레코드 맵 업데이트 카운터(Record Map update counter), 레코드 맵에 포함된 엔트리(entry)의 개수(The number of record map entry), 다수의 레코드 맵 엔트리 및 보류 영역을 포함한다.
각각의 레코드 맵 엔트리는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 정보 및 그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엔트리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코드 맵 엔트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코드 맵 엔트리 #i(i=0,1,...,n)는 엔트리 정보, 시작 주소 및 데이터 블록 수를 포함한다.
레코드 맵 엔트리의 엔트리 정보는 레코드 맵 엔트리 #i(i=0,1,...,n)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위치한 기록층 정보, 데이터 기록 유무, 한번 기록 디스크에 마련된 영역들 중 어느 영역에 위치한 데이터 블록들인지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 블록들에 결함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결함 정보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를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 중, 첫 번째 데이터 블록의 주소(시작 주소)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한편,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 중, 첫 번째 데이터 블록의 주소가 아니라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 중, 마지막 데이터 블록의 주소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하나의 레코드 맵 엔트리의 크기는 디스크의 전체 용량이나 기타 조건 에 따라 가변적이지만, 기록 용량이 약 25 기가바이트인 기록층을 두 개 가진 디스크의 경우, 하나의 레코드 맵 엔트리의 크기는 엔트리 정보를 위한 1 바이트, 시작 주소를 나타내기 위한 4 바이트 및 데이터 블록 수를 나타내기 위한 3 바이트를 모두 더하여 8 바이트 정도면 충분하다.
하나의 레코드 맵 엔트리의 크기가 8 바이트이면, 기록단위인 데이터 블록의 크기가 64킬로바이트인 경우, 하나의 데이터 블록에 약 8000개의 레코드 맵 엔트리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뿐 아니라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인 경우에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에 기록된 레코드 맵 엔트리에 의해 한번 기록 디스크 전체의 기록 가능 영역에 대한 데이터 기록 유무를 나타내는 레코드 맵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레코드 맵 엔트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레코드 맵 엔트리 #i(i=0,1,...,n)는 엔트리 정보, 시작 주소 및 마지막 주소를 포함한다.
엔트리 정보 및 시작 주소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첫 번째 데이터 블록의 주소인 시작 주소와 마지막 데이터 블록의 주소인 마지막 주소를 기록한다.
레코드 맵 엔트리에 기록되는 시작 주소와 마지막 주소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블럭은 복수개의 섹터로 되어있고 각 섹터 단위로 물리적인 섹터 주소가 부여된다. 시작 주소라 함은 레코드 맵 엔트리 #i가 나타내 는 영역의 첫 번째 데이터 블록의 첫 번째 섹터의 주소를 말한다.
마지막 주소는 엔트리 정보 중 데이터 기록 유무 정보에 따라 달라진다. 레코드 맵 엔트리 #i가 나타내는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 마지막 주소는 마지막 데이터 블록의 첫 번째 물리적인 섹터 주소를 말하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효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마지막 물리적 섹터의 주소를 말한다. 예컨대, 데이터 블록이 16개의 섹터로 구성되어 있고 마지막 기록 단위 데이터 블록의 16개의 섹터 중, 유효한 정보가 기록된 섹터가 2섹터이고 나머지는 "00h"와 같은 값으로 디스크 드라이브가 첨가한 경우에 그 마지막 주소는 마지막 데이터 블록의 2번째 섹터를 나타내는 물리적인 섹터 주소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엔트리 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엔트리 정보는 bit0 내지 bit7의 총 8개 bit로 이루어져있다. bit0에는 기록 정보, bit1에는 결함 정보, bit2 및 bit3에는 영역 정보, bit4에는 기록층 정보가 기록되고, bit5 내지 bit7은 보류 정보 영역에 해당한다.
bit0의 비트 값이 "0"이면,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고, "1"이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bit1의 비트 값이 "0"이면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사용 가능한 영역임을 나타낸다. 즉, bit0의 비트 값이 "0"인 경우에는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에 기록이 가능함을 의미하고, bit0의 비트 값이 "1"인 경우에는 재생 가능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bit1의 비트 값이 "1"이면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사용 불가능함을 나타낸다. 즉, bit0의 비트 값이 "0"인 경우에는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에 기록이 불가능함을 의미하고, bit0의 비트 값이 "1"인 경우에는 재생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bit2 및 bit3은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속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예컨대, 도 1a에 도시한 단일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bit2 및 bit3의 비트 값이 "00"이면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리드-인 영역에 속하는 영역이고, "01"이면 데이터 영역, "10"이면 리드-아웃 영역에 각각 속하는 영역임을 나타낸다. "11"은 보류 정보에 해당한다.
끝으로,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bit4의 비트 값이 "0"이면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기록층 L0에 위치함을 나타내고, "1"이면 기록층 L1에 존재함을 나타낸다.
도 5의 엔트리 정보 중, 결함 정보를 나타내는 bit1의 비트 값이 "1"인 경우, 즉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사용 불가능한 데이터 블록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영역이 사용 불가능한 영역으로 결정되는 경우는 다음의 두 가지 경우로 분류될 수 있다.
Ⅰ.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아니하고, 그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사용 불가능한 데이터 블록으로 결정되어 bit1의 비트 값이 "1"로 기록되는 경우
도 6은 레코드 맵 엔트리가 나타내는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사용 불가능한 블록으로 결정되는 일 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 영역#(N-1)(11), 데이터 영역#(N)(13) 및 데이터 영역#(N+1)(15)이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 영역#(N-1)(11) 및 데이터 영역#(N+1)(15)에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 데이터 영역#(N)(13)은 영역이 너무 작아 데이터의 기록이 불가능하거나 호스트가 데이터 영역#(N)(13)에 데이터 기록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호스트의 명령에 따라 데이터 영역#(N)(13)에 대응하는 레코드 맵 엔트리#(N)의 엔트리 정보 중, bit1의 비트 값을 "1"로 기록하여 기록이 불가능한 영역임을 표시한다.
Ⅱ. 레코드 맵 엔트리 #i가 나타내는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그 영역이 사용 불가능한 영역으로 결정되어 bit1의 비트 값이 "1"로 기록되는 경우
도 7a 및 7b는 레코드 맵 엔트리에 의해 나타내지는 영역이 사용 불가능한 영역으로 결정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데이터 영역#(M-1)(21) 및 데이터 영역#(M)(23)이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데이터 영역#(M-1)(21)까지만 기록되고 데이터 영역#(M)(23)에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최종적인 레코드 맵에는 데이터 영역#(M-1)(21)에 대응하는 레코드 맵 엔트리#(M-1)의 엔트리 정보 중, bit0의 비트 값이 "1"로 기록되어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임이 표시된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M)(23)에 대응하는 레코드 맵 엔트리#(M)의 엔트리 정보 중, bit0의 비트 값은 "0"로 기록되어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 은 영역임을 나타내고, bit1의 비트 값이 "0"로 기록되어 사용 가능, 즉 기록 가능한 영역임을 나타낸다.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 기록 명령에 따라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 영역#(M-1)(21)의 다음 영역인 데이터 영역#(M)(23)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도 7b는 데이터 영역#(M)(23)에 데이터 기록 도중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파워 다운이 발생하여 기록이 중단된 경우의 데이터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데이터 영역#(M)(23) 중의 일부 영역(23a)까지 데이터 기록하는 도중에 정전 등으로 인한 파워 다운과 같은 비정상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 기록이 제대로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레코드 맵까지도 업데이트 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비정상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레코드 맵을 복구하기 위하여 디스크 상에 기록된 최종적인 레코드 맵의 레코드 맵 엔트리 #(M-1)을 참조하여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데이터 블록(또는 섹터)의 주소를 찾아낸다.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그 마지막 주소 이후의 영역, 즉 데이터 영역#(M)(23)부터 스캔하여 일부 영역(23a)까지 데이터가 기록되었음을 인식하고, 일부 영역(23a)의 데이터 기록 상태를 나타내는 새로운 레코드 맵 엔트리#(M)을 생성한다. 레코드 맵 엔트리#(M)의 엔트리 정보 중 bit0의 비트 값 및 bit1의 비트 값은 모두 "1"로 기록된다. 즉, 레코드 맵 엔트리#(M)에는 일부 영역(23a)에 데이터는 기록되어 있으나 사용할 수 없는 영역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
영역(23b)에 대응하는 레코드 맵 엔트리#(M+1)에는 bit0의 비트 값 및 bit1의 비트 값이 모두 "0"로 기록되어 레코드 맵 엔트리#(M+1)에는 영역(23b)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사용 가능한 영역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기록 도중 파워 다운 등의 비정상적 상황이 발생하여 레코드 맵이 제대로 업데이트되지 않은 경우, 호스트는 데이터 영역#(M)(23)이 데이터 기록 가능한 영역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향후 다시 데이터 영역#(M)(23)에 데이터를 기록할 것을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게 명령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복구된 레코드 맵을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참고함으로써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디스크가 한번 기록 가능한 매체인 경우에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이미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임을 호스트에 알려 호스트로 하여금 다른 영역에 기록할 것을 명령하도록 유도하거나 결함 관리를 이용하여 스페어 영역에 호스트가 기록 명령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레코드 맵이 기록되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영역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레코드 맵이 기록된 영역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레코드 맵 영역은 다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각 데이터 블록에는 하나의 레코드 맵이 기록되어 있다. 레코드 맵 영역은 다른 영역과 구별하여 별도로 한번 기록 디스크에 할당된다.
레코드 맵 영역은 레코드 맵의 성격상 리드 인 영역(또는 안쪽 영역)이나 리드 아웃 영역(또는 바깥 영역)에 할당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리드 인 영역(또는 안쪽 영역)이나 리드 아웃 영역(또는 바깥 영역)의 기록 공간이 부족하여 레코드 맵의 업데이트 회수를 제약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의 사정이 있으면 데이터 영역에 레코드 맵 영역을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의 리드 인 영역에는 결함 관리 영역(DMA1, DMA2), 기록 조건 테스트 영역 및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이 마련된다.
데이터 영역(Data Area)은 스페어 영역(Spare Area 1, Spare Area 2) 및 사용자 데이터 영역(User Data Are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는 임시결함관리를 위해, 데이터 영역의 선두에 Spare Area 1이, 후미에 Spare Area 2가 할당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리드 아웃 영역은 결함관리를 위해 리드 인 영역에 할당된 결함관리 영역 외 별도의 결함 관리 영역(DMA3, DMA4)을 포함한다.
결함 관리 영역(DMA: Defect Management Area)은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 기록시 발생하는 결함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으로서, 통상 리드-인 영역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배치된다. 결함 관리(defect management)란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기록한 사용자 데이터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때 결함이 발생된 부분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다시 기록하여 결함 발생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보충해주는 것을 가리킨다.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한번 기록 디스크가 로딩되면,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 초기화 과정이란, 결함 정보를 포함한 리드-인 영역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있는 정보들을 읽어들여 디스크를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기록하거나 재생해야 하는지 파악하는 동작을 말한다.
따라서, 리드-인 영역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기록된 정보의 양이 많으면 많아질수록 디스크를 로딩하고 난 다음 초기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초기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임시 관리 정보 즉, 임시 결함 관리 정보 및 임시 결함 정보의 개념이 도입되어, 이들을 리드-인 영역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의 결함 관리 영역과 별개로 마련된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에 기록한다.
임시 결함 정보(TDFL: Temporary DeFect List)는 결함이 발생된 영역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정보와 새로이 대체된 영역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정보로 구성된다.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 Temporary Defect Management Structure)는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서,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식별자, 업데이트 카운트, 최종 임시 결함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 정보, 최종 Disc and Drive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결함 클러스터 발생시 대체를 위한 스페어 영역의 크기 정보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에 본 발명에 따른 레코드 맵을 더 포함한다.
도 10은 임시 결함 정보(TDFL)와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가 기록된 임시 결함 관리 영역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각의 TDDS 및 TDFL은 하나의 데이터 블록에 기록된다.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은 TDDS와 TDFL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는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j)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TDDS#j(j=0,1...l)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식별자, 업데이트 카운트, 최종 임시 결함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 정보, 최종 Disc and Drive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결함 클러스터 발생시 대체를 위한 스페어 영역의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하는 TDDS와 본 발명에 따른 레코드 맵을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기록/독출부(1), 제어부(2) 및 메모리(3)를 포함한다. 한번 기록 디스크(1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이다.
기록/독출부(1)는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해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부(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코드 맵을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이미 기록된 레코드 맵을 독출하고, 업데이트된 레코드 맵을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기록하기 위해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나아가, 제어부(2)는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함에 있어서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마련된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을 사용하여 결함 관리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2)는 소정 단위로 데이터를 한번 기록 디스 크(100)에 기록한 다음 기록된 데이터를 검증함으로써 결함이 발생된 부분을 찾아내는 「기록 후 검증 (verify after write)」과정을 수행한다. 제어부(2)는 소정 단위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 검증하여 결함 영역이 어디에 발생하였는지 검사한다. 제어부(2)는 검사 결과 밝혀진 결함 영역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임시 결함 정보(TDFL)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를 생성한다. 제어부(2)는 생성된 임시 결함 정보(TDFL)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를 메모리(3)에 저장해두었다가 소정 분량 모아서, 한번 기록 디tm크(100)에 마련된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에 기록한다.
도 1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구조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코드 맵 기록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코드 맵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한번 기록 디스크(100)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로딩되면(S110),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사용을 위한 초기화 과정이 수행된다.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사용이라 함은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초기화 과정은 리드 인 영역 또는 안쪽 영역에 기록된,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를 한번 기록 디스크(100)로부터 독출하여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메모리(3)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로는, 예컨대 한번 기록 디스크(100) 의 종류, 규격의 버전 정보, 임시 결함 정보, 임시 결함 관리 정보 및 레코드 맵 등의 정보가 있다.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사용을 위한 초기화 과정에 의해 제어부(2)는 기록/독출부(1)를 제어하여,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최종적으로 기록된 레코드 맵을 독출한다(S13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코드 맵은 TDDS와 함께 하나의 데이터 블록에 함께 기록되어 있다. 제어부(2)는 TDMA에 최종적으로 기록된 TDDS 데이터 블록을 독출하고, 그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최종적인 레코드 맵을 추출한 후 메모리(3)에 저장한다.
제어부(2)는 기록/독출부(1)를 제어하여,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데이터 블록 단위로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한다(S150). 새로운 데이터는 사용자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 데이터가 아닌 기타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관리를 위한 임시결함정보 등의 데이터 일 수도 있다.
제어부(2)는 소정의 레코드 맵 업데이트 시기에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업데이트된 레코드 맵을 생성한다(S170). 제어부(2)는 메모리(3)에 저장된 최종적으로 기록된 레코드 맵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업데이트된 레코드 맵을 생성한다.
레코드 맵의 업데이트 시기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사용을 중지하기 위해 이젝트(eject) 명령을 내리면 레코드 맵을 업데이트한 후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는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새로이 기록된 데이터의 양이 소정양에 도달하면 레코드 맵을 업데이트하도록 미리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프로그래밍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제작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레코드 맵의 업데이트 시기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별도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만약 새로운 데이터가 다시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기록되는 경우, 제어부(2)는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이젝트(eject) 전에 메모리(3)에 저장된, 이전에 업데이트된 레코드 맵을 다시 업데이트한다.
제어부(2)는 기록/독출부(1)를 제어하여, 메모리(3)에 저장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레코드 맵을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마련된 소정 영역, 예컨대 TDMA에 기록한다(S19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번 기록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한번 기록 디스크의 기록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레코드 맵을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블록단위로 데이터 기록 유무 정보 뿐 아니라 데이터 블록들에 대한 그 외 다양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3)

  1.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의 기록 유무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레코드 맵(record map)이 기록되며,
    상기 레코드 맵은 상기 데이터의 기록 유무 상태를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 맵은 다수의 레코드 맵 엔트리를 포함하고,
    상기 각 레코드 맵 엔트리는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에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엔트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 중 첫 번째 데이터 블록의 주소와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 중 마지막 데이터 블록의 주소와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 중 첫 번째 데이터 블록의 주소와 마지막 데이터 블록의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정보는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에 결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속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가 적어도 둘 이상의 기록층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속하는 기록층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 맵을 기록하기 위한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
  8. 한번 기록 디스크에 레코드 맵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블록 단위로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의 기록 유무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레코드 맵(record map)을 생성하되, 상기 레코드 맵은 상기 데이터의 기록 유무 상태를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레코드 맵 생성 단계; 및
    상기 레코드 맵을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마련된 소정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 맵은 다수의 레코드 맵 엔트리를 포함하고,
    상기 각 레코드 맵 엔트리는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에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엔트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 중 첫 번째 데이터 블록의 주소와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 중 마지막 데이터 블록의 주소와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 중 첫 번째 데이터 블록의 주소와 마지막 데이터 블록의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정보는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에 결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속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가 적어도 둘 이상의 기록층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속하는 기록층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가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로딩된 후,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최종적으로 기록된 레코드 맵을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코드 맵 생성 단계는 상기 최종적으로 기록된 레코드 맵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업데이트된 레코드 맵을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 맵을 기록하기 위한 상기 소정 영역은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록/독출부; 및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블록 단위로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고,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레코드 맵(record map)을 생성하고, 상기 레코드 맵을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마련된 소정 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 맵은 다수의 레코드 맵 엔트리를 포함하고,
    상기 각 레코드 맵 엔트리는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에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엔트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 중 첫 번째 데이터 블록의 주소와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 중 마지막 데이터 블록의 주소와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 중 첫 번째 데이터 블록의 주소와 마지막 데이터 블록의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 정보는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에 결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속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가 적어도 둘 이상의 기록층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들이 속하는 기록층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6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가 로딩된 후,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최종적으로 기록된 레코드 맵을 독출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고, 상기 최종적으로 기록된 레코드 맵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최종적으로 기록된 레코드 맵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업데이트된 레코드 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코드 맵을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마련된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40028168A 2003-05-28 2004-04-23 레코드 맵 기록 방법, 그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KR100607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53,716 US20050007914A1 (en) 2003-05-28 2004-05-26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a record map and write-once disc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029 2003-05-28
KR20030034029 2003-05-28
KR1020030046546 2003-07-09
KR20030046546 2003-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355A KR20040104355A (ko) 2004-12-10
KR100607967B1 true KR100607967B1 (ko) 2006-08-03

Family

ID=3737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168A KR100607967B1 (ko) 2003-05-28 2004-04-23 레코드 맵 기록 방법, 그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787A (ko) * 2003-09-16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기록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광 디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805A (ko) * 1997-09-16 1999-04-26 이데이 노부유끼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디스크형 기록 매체
KR20040028469A (ko) * 2002-09-30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WO2005027105A1 (en) * 2003-09-16 2005-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recording status information on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therefor
KR20050074651A (ko) * 2002-12-11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중첩기록 관리방법 및관리정보 기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805A (ko) * 1997-09-16 1999-04-26 이데이 노부유끼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디스크형 기록 매체
KR20040028469A (ko) * 2002-09-30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KR20050074651A (ko) * 2002-12-11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중첩기록 관리방법 및관리정보 기록방법
WO2005027105A1 (en) * 2003-09-16 2005-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recording status information on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355A (ko) 200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749B1 (ko) 임시 결함 관리 영역을 사용한 결함 관리 방법, 그 장치및 그디스크
KR100739673B1 (ko) 임시 결함 관리 영역을 사용한 결함 관리 방법
JP4986614B2 (ja) ディスク欠陥を管理する方法、装置及びそのディスク
KR100739675B1 (ko) 정보 저장 매체의 결함 관리 방법, 정보 저장 매체드라이브 장치 및 그 정보 저장 매체
RU2288513C2 (ru) Дисковое запомин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временной структурой описания диска (tdds) и с временным списком дефектов (tdfl)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ефектом в этом дисковом запоминающем устройстве
CA249777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data-recording status of a write-once recording medium, and write-once recording medium therefor
JP2006520513A (ja) データ領域管理の可能な追記型ディスク、追記型ディスクのデータ領域の管理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950526B1 (ko) 호환성을 고려한 결함 관리 방법, 그 디스크 드라이브 및그 디스크
KR100607967B1 (ko) 레코드 맵 기록 방법, 그 장치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KR100930239B1 (ko) 갱신가능한 결함 관리 영역을 사용한 결함 관리 방법, 그장치 및 그 디스크
KR100677112B1 (ko) Drive & Disc Information 기록된임시 결함 관리 영역을 사용한 결함 관리 방법, 그 장치및 그 디스크
KR100677641B1 (ko)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데이터 재생 장치
US2005000791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a record map and write-once disc therefor
KR100936024B1 (ko) 기록 방지 정보가 기록된 임시 결함 관리 영역을 사용한결함 관리 방법, 그 장치 및 그 디스크
KR100936026B1 (ko) 결함 관리를 위한 스페어 영역 관리가 가능한 디스크, 그 스페어 영역 관리 방법 및 재생 방법
KR100694046B1 (ko)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 그 방법, 데이터재생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KR100896683B1 (ko) 갱신가능한 결함 관리 영역을 사용한 결함 관리 방법, 그장치 및 그 디스크
KR100900969B1 (ko) 임시 결함 정보 영역과 임시 결함 정보 관리 영역을 사용한 결함 관리 방법, 및 그 디스크
KR100728044B1 (ko) 기록 장치 및 그 디스크
KR100896687B1 (ko)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및 디스크
KR100888601B1 (ko) 디스크 및 결함 관리 장치
KR100958587B1 (ko) 결함 관리 방법
KR20040065005A (ko) 임시 결함 관리 영역을 사용한 결함 관리 방법, 그 장치및 그 디스크
KR20040089966A (ko) 호환성을 고려한 결함 관리 방법, 그 디스크 드라이브 및그 디스크
KR20050022810A (ko)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 그 한번 기록 정보저장매체에저장된 데이터 기록상태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그 드라이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