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964B1 - 휴대용 단말기에서 착발신정보 저장 및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착발신정보 저장 및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964B1
KR100605964B1 KR1020040027454A KR20040027454A KR100605964B1 KR 100605964 B1 KR100605964 B1 KR 100605964B1 KR 1020040027454 A KR1020040027454 A KR 1020040027454A KR 20040027454 A KR20040027454 A KR 20040027454A KR 100605964 B1 KR100605964 B1 KR 100605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ll
call information
incoming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268A (ko
Inventor
최경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964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085Details of flanges for tubular m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간 기준시간이 서로 다른 곳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신호 감지시, 발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착신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착신 시간에 상관없이 착신호 감지 순서에 따라 버퍼에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정보 보기 선택시, 상기 버퍼에 처리된 순서에 따라 착신호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하여, 지역간 서로 다른 기준시간을 가지는 위치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준시간 변경과 무관하게 착신 순서에 따라 착신호를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역간 기준시간이 서로 다른 곳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발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호 감지시, 착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발신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발신 시간에 상관없이 발신호 감지 순서에 따라 버퍼에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호 정보 보기 선택시, 상기 버퍼에 처리된 순서에 따라 발신호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하여, 지역간 서로 다른 기준시간을 가지는 위치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준시간 변경과 무관하게 발신 순서에 따라 발신호를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CALL RECORD, 지역정보, 착신 호 정보, 발신 호 정보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착발신정보 저장 및 표시방법{METHOD FOR STORE AND DISPLAY OF INCOMING/ OUTGOING CALL INFORMATION IN WIRELESS TERMINAL}
도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신측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착신측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체 호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5a와 도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뉴선택에 따른 호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체 호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의(A)와 도7의(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역 선택에 의한 호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의(A)와 도8의(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착신측 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의(A)와 도9의(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발신측 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의(A)와 도10의(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부재중 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호 정보 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 처리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국가 및 또는 지역의 시간정보에 무관하게 상기 호 처리 순서에 따라 호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2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GSM은 유럽형 이동전화방식으로 비동기식이고, CDMA는 미국식 방식으로 동기식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술은 현재의 휴대용 단말기의 방식의 근간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방식을 기초로 한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며 언제 어디서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이러한,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다른 국가나 지역에 관계없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양산된 휴대용 단 말기를 가지고 일본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로밍(roaming)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고 유럽은 GSM방식의 협대역 시분할 다중접속(TDMA) 방식을 적용하여 유럽 17개국을 단일 통화권으로 하여 국가와 지역에 관계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타 국가 및 또는 지역을 이동할 때마다 그 타 국가 및 또는 지역의 시간정보가 단말기에 입력된다.
그러나 같은 날 기준시간이 다른 지역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호 정보들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지역간의 서로 다른 기준시간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같은 날 빠른 시간에 처리한 호 정보들 사이에 같은 날 늦은 시간에 처리한 호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지역의 현재시간이 3시이면 상기 제1지역보다 1시간 늦은 시차가 있는 제2지역의 현재시간은 2시이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지역에 머무르는 동안 상기 제1지역의 시간으로 각각 3시30분과 3시50분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착신 신호 또는 발신 신호를 처리 하였고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지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지역의 시간으로 3시40분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착신 신호 또는 발신 신호를 처리 하였다면 상기 제1지역에서 처리된 착신 신호정보 또는 발신 신호정보들 사이에 제2지역에서 처리된 착신 신호정보 또는 발신 신호정보가 삽입된다.
이처럼 국가 및 또는 지역의 시간정보에 따라 호 정보가 처리되는 경우 서로 다른 국가 및 또는 지역의 기준시간에 의하여 이전에 처리된 호 정보들 사이에 이후에 처리된 호 정보가 삽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호 처리시, 착신되는 시간과 상관없이 착신되는 호의 순서에 따라 호 처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간 기준시간이 서로 다른 곳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신호 감지시, 발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착신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착신 시간에 상관없이 착신호 감지 순서에 따라 버퍼에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정보 보기 선택시, 상기 버퍼에 처리된 순서에 따라 착신호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하여, 지역간 서로 다른 기준시간을 가지는 위치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준시간 변경과 무관하게 착신 순서에 따라 착신호를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호 처리시, 발신되는 시간과 상관없이 발신되는 호의 순서에 따라 호 처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간 기준시간이 서로 다른 곳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발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호 감지시, 착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발신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발신 시간에 상관없이 발신호 감지 순서에 따라 버퍼에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호 정보 보기 선택시, 상기 버퍼에 처리된 순서에 따라 발신된 착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하여, 지역간 서로 다른 기준시간을 가지는 위치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준시간 변경과 무관하게 발신 순서에 따라 발신호를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 호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 발신자 및 또는 수신자의 전화번호 정보 및 시간정보 등을 모두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하기 부재중호는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에 있어서 착신 신호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대방 가입자의 응답신호를 감지하지 못한 호를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전화기(mobile telephone)가 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RF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 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80은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 처리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국가 및 또는 지역의 시간정보에 무관하게 상기 제어부100에 처리된 순서에 따라 호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각각의 지역코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은 하기와 같은 메모리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메모리는 모든 상태의 호 정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국가 및 또는 지역의 시간정보에 무관하게 상기 제어부100에 처리된 순서에 따라 저장되는 메모리이다. 제2메모리는 착신 상태의 호 정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국가 및 또는 지역의 시간정보에 무관하게 상기 제어부100에 처리된 순서에 따라 저장되는 메모리이다. 제3메모리는 발신 상태의 호 정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국가 및 또는 지역의 시간정보에 무관하게 상기 제어부100에 처리된 순서에 따라 저장되는 메모리이다. 제4메모리는 부재중 상태의 호 정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국 가 및 또는 지역의 시간정보에 무관하게 상기 제어부100에 처리된 순서에 따라 저장되는 메모리이다. 제5메모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정보에 맞게 모든 상태의 호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이다. 상기 지역 정보는 [표1]과 같이 지정되어 제5메모리에 적용된다.
[표1]
지역 정보 지정
지역 이름 지역 코드번호
오스트리아(Austria) 43
벨기에(Belgium) 32
핀란드(Finland) 358
프랑스(France) 33
그리스(Greece) 30
헝가리(Hungary) 36
이탈리아(Italy) 39
네덜란드(Netherland) 31
폴란드(Poland) 48
스페인(Spain) 34
영국(U.K) 44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위치가 영국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지역 코드번호44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지역 코드번호44를 포함하는 모든 호 정보를 상기 제5메모리의 지역 코드번호44에 해당하는 영역에 처리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위치가 핀란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지역 코드번호358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지역 코드번호358을 포함하는 모든 호 정보를 상기 제5메모리의 지역 코드번호358에 해당하는 영역에 처리한다.
제어부100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 발생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지역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호 정보를 해당 버퍼에 순차적으로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16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문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입력부170과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호 정보를 표시한다.
키입력부170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 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7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호 정보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키 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1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키패드170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정보를 처리한 후 RF부110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110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180을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상기 오디오처리부180을 통해 링 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상기 오디오처리부180을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 데이터를 표시부160 상에 표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신측 호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상기 도2를 참조하면 201단계의 대기상태에서 착신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0은 208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정보를 감지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정보는 착신 호 및 부재중 호 정보를 해당 지역정보에 따라 구분하여 메모리130의 제5메모리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211단계에서 통화중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통화중 상태이면 21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발신측 호 정보를 부재중 형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시간 정보에 무관하게 착신한 순서에 따라 메모리130의 제1메모리와 제4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214단계에서 상기 감지한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측 호 정보를 부재중 형태로 상기 메모리130의 제5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후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30의 제4메모리와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발신측 호 정보를 부재중형태로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211단계에서 통화중 상태 여부 판단결과 통화중 상태가 아니면 23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발신측 호 정보를 착신 형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시간 정보에 무관하게 착신된 순서에 따라 상기 메모리130의 제1메모리와 제2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230단계에서 상기 감지한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측 호 정보를 착신형태로 상기 메모리130의 제5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230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30의 제2메모리와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발신측 호 정보를 착신형태로 표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착신측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상기 도3를 참조하면, 301단계의 대기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170을 이용하여 착신측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170을 이용하여 발신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정보를 감지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정보는 발신 호 및 부재중 호 정보를 해당 지역정보에 따라 구분하여 메모리130의 제5메모리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314단계에서 상대 가입자의 응답신호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제어부100이 상기 상대 가입자의 응답신호를 감지하였으면 318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호 정보를 발신 형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시간 정보에 무관하게 발신한 순서에 따라 상기 메모리130의 제1메모리와 제3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318단계에서 상기 감지한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측 호 정보를 발신형태로 상기 메모리130의 제5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318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30의 제3메모리와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착신측 호 정보를 발신형태로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314단계에서 상대 가입자의 응답신호 감지여부 판단결과 상기 제어부100이 상기 상대 가입자의 응답신호를 감지하지 못했다면 상기 제어부100은 321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호 정보를 부재중 형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시간 정보에 무관하게 발신 순서에 따라 상기 메모리130의 제1메모리와 제4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321단계에서 상기 감지한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측 호 정보를 부재중 형태로 상기 메모리130의 제5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32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30의 제4메모리와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착신측 호 정보를 부재중형태로 표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체 호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고 도6의(A)와 도6의(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전체 호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기 호 데이터의 상세정보는 지역정보, 전화번호 정보, 사용자 및 상대 가입자의 등록정보, 시간정보, 및 호의 상태정보 등 일 수 있다.
상기 도4를 참조하면, 401단계의 대기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통화키를 짧게 누르면 상기 제어부100은 4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408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30의 제1메모리을 제어하여 전체 호 리스트를 상기 실시 예 도6의(A)와 같이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상기 전체 호 리스트는 착신호 정보, 발신호 정보 및 부재중호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시간정보에 무관하게 상기 제어부100이 처리한 순서에 따라 상기 메모리130의 제1메모리에 저장된 리스트이다.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체 호 리스트 중 원하는 호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메모리130의 제1메모리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호 데이터의 상세정보를 상기 실시 예 도6의(B)와 같이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도5a-도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뉴선택에 따른 호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7의(A)와 도7의(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역 선택에 따라 호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8의(A)와 도8의(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착신측 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9의(A)와 도9의(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발신측 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0의(A)와 도10의(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부재중 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콜레코드(CALL RECORD)메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시간정보에 무관하게 호 처리 순서에 따라 해당 영역에 처리된 호 정보들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역, 착신, 발신 및 부재중 별로 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메뉴이다.
상기 도5a-도5b를 참조하면, 501단계의 대기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메 뉴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508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30과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메인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인메뉴 중 콜레코드(CALL RECORD)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4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콜레코드(CALL RECORD) 메뉴를 표시한다.
이후 먼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역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4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30과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실시 예 도7의(A)와 같은 지역 리스트를 표시한다. 여기서 지역 리스트는 국가 및 또는 지역의 리스트를 나타내고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국가 및 또는 지역을 미리 지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2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8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30의 제5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지역의 모든 호 정보 리스트를 상기 실시 예 도7의(B)와 같이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지역의 모든 호 정보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호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6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64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30의 제5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실시 예 도9의(B)와 같이 상세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두 번째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신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3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메모리130의 제2메모리와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시간 정보에 무관하게 착신한 순서에 따라 처리된 착신호 리스트를 상기 실시 예 도8의(A)와 같이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신호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착신호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6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6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메모리130의 제2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실시 예 도8의(B)와 같이 상세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세 번째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신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4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4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메모리130의 제3메모리와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시간 정보에 무관하게 발신한 순서에 따라 처리된 발신호 리스트를 상기 실시 예 도9의(A)와 같이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신호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발신호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6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6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메모리130의 제3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실시 예 도9의(B)와 같이 상세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네 번째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부재중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5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5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메모리130의 제4메모리와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시간 정보에 무관하게 부재중 호를 착신 및 발신한 순서에 따라 처리된 부재중호 리스트를 상기 실시 예 도10의(A)와 같이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부재중호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부재중호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6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6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메모리130의 제4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실시 예 도10의(B)와 같이 상세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과정은 국가 및 지역을 선택하여 이에 해당하는 수신, 발신 및 부재중의 상태에 해당하는 통화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국가 및 또는 지역의 시간정보에 무관하게 호 정보가 처리된다. 따라서 상기 국가 및 또는 지역의 시간정보에 따라 호정보가 처리되는 경우 서로 다른 국가 및 또는 지역의 기준시간에 의하여 이전에 처리된 호 정보들 사이에 이후에 처리된 호 정보가 삽입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역, 수신, 발신 및 부재중의 콜레코드(CALL RECORD)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지역간 기준시간이 서로 다른 곳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신호 감지시, 발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착신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착신 시간에 상관없이 착신호 감지 순서에 따라 버퍼에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정보 보기 선택시, 상기 버퍼에 처리된 순서에 따라 착신호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하여, 지역간 서로 다른 기준시간을 가지는 위치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준시간 변경과 무관하게 착신 순서에 따라 착신호를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정보와 발신측 전화번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착신 시간에 상관없이 착신호 감지 순서에 따라 버퍼에 처리하는 과정이,
    착신호 감지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정보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지역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호를 버퍼에 처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착신호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이,
    지역정보에 따른 호 정보 보기 선택시, 상기 지역정보에 따라 버퍼에 처리된 착신호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이,
    통화모드 상에서 상기 착신호 감지시, 발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착신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부재중 상태로 착신 시간에 상관없이 착신호 감지 순서에 따라 버퍼에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부재중호 정보 보기 선택시, 상기 버퍼에 처리된 순서에 따라 부재중호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6. 지역간 기준시간이 서로 다른 곳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발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호 감지시, 착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발신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발신 시간에 상관없이 발신호 감지 순서에 따라 버퍼에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호 정보 보기 선택시, 상기 버퍼에 처리된 순서에 따라 발신된 상기 착신측 가입자의 호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하여, 지역간 서로 다른 기준시간을 가지는 위치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준시간 변경과 무관하게 발신 순서에 따라 발신호를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호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정보와 착신측 전화번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KR1020040027454A 2004-04-21 2004-04-21 휴대용 단말기에서 착발신정보 저장 및 표시방법 KR100605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454A KR100605964B1 (ko) 2004-04-21 2004-04-21 휴대용 단말기에서 착발신정보 저장 및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454A KR100605964B1 (ko) 2004-04-21 2004-04-21 휴대용 단말기에서 착발신정보 저장 및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268A KR20050102268A (ko) 2005-10-26
KR100605964B1 true KR100605964B1 (ko) 2006-08-02

Family

ID=3728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454A KR100605964B1 (ko) 2004-04-21 2004-04-21 휴대용 단말기에서 착발신정보 저장 및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407B1 (ko) * 2006-01-03 2013-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기록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268A (ko)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3619B2 (en) Method for offering TTY/TDD service in a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9990011145A (ko) 휴대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서비스방법
KR10060596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착발신정보 저장 및 표시방법
KR1004627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100713338B1 (ko) 다자간 통신을 서비스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제통화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100574126B1 (ko) 전화번호 기억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
JP3398041B2 (ja) 電話機
KR1006404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발신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KR10060587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번호 전송방법
KR100215726B1 (ko) 모드설정에 의한 자동 착신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10063018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통한 통화수행방법
KR0184470B1 (ko)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통화 방법
KR100430308B1 (ko)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선별 착신 방법
KR1009764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언어 선택시 키톤 음 자동 선택방법
KR19990074831A (ko) 종합통신망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에 따른 무선 핸드셋 착신링 발생 방법
KR1006060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전화번호 자동설정방법
KR20000049579A (ko) 발신자 아이디와 링신호를 이용한 발신자 선별통화기능을갖는 전화기
KR100754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1298966A (ja)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KR1007033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27073B1 (ko) 휴대 단말기의 호 발신 방법
KR100272010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스피드 다이얼링 시 지역번호 자동삭제 및 추가 방법
KR100605956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0628045B1 (ko)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라디오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