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151B1 -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151B1
KR100602151B1 KR1020060031978A KR20060031978A KR100602151B1 KR 100602151 B1 KR100602151 B1 KR 100602151B1 KR 1020060031978 A KR1020060031978 A KR 1020060031978A KR 20060031978 A KR20060031978 A KR 20060031978A KR 100602151 B1 KR100602151 B1 KR 100602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leachate
anaerobic
treatmen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란
Original Assignee
(주)대성그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그린테크 filed Critical (주)대성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060031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91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mod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된 음식물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해, 음식물 침출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정조와, 혐기성미생물에 의해 혐기처리하는 혐기조와, 화학적 처리로 고액분리를 위한 가압부상조와, 탈질반응으로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와,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하여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분해처리하는 생물막조와, 침전을 통해 슬러지를 제거하고 그 상등수를 배출하는 침전조와, 분리막에 의한 여과처리하는 MBR조와, 난분해성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오존산화조와, 수처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하는 방류조를 거쳐 방류되는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수처리 시스템은 축산폐수 등의 농도에 비해 높은 부하를 가지며, 다량의 염분을 포함하고 있어 기존의 생물학적처리 공정으로는 수처리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보완하여 효율적으로 수처리함으로서, 기존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의해 발생되는 침출수에 의한 토양오염, 지하수 및 하천의 오염 등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에 일조하는 효과를 갖는다.
음식물, 침출수, 유량조정조, 혐기조, 무산소조, 오존산화조, 여과조, 침전조, 유기물

Description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DS-GL TS}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침출수 처리과정을 도시한 단계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침출수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상조를 도시한 개략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조의 바이오블럭 담체를 도시한 개략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MBR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 유량조정조 2 : 혐기조 3 : 가압부상조
4 : 무산소조 5 : 생물막조 6 : 침전조
7 : MBR조 8 : 오존산화조 9 : 여과조
10: 방류조
본 발명은 유입된 음식물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해, 음식물 침출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정조와, 혐기성미생물에 의해 혐기처리하는 혐기조와, 화학적 처리로 고액분리를 위한 가압부상조와, 탈질반응으로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와,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하여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분해처리하는 생물막조와, 침전을 통해 슬러지를 제거하고 그 상등수를 배출하는 침전조와, 분리막에 의한 여과처리하는 MBR조와, 난분해성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오존산화조와, 수처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하는 방류조를 거쳐 방류되는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는 대부분 매립형태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의 매립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악취, 가스 및 침출수의 처리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와 같은 악취, 가스는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주거환경 조건을 악화시켜 쾌적한 생활을 유지할 수 없었으며, 또한 침출수에 의해 지하수의 오염 등의 문제점이 많이 생겨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선행기술로 침출수처리 시스템이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은 주로 생물학적 공정을 취함으로써 축산폐수 농도보다 높은 부하를 가지며, 다량의 염분을 포함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 침출수의 처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침출수를 유량조정조, 혐기조, 가압부상조, 무산소조, 생물막조, 침전조, MBR조, 오존산화조, 방 류조를 거쳐 처리함으로써, 토양오염, 지하수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유입된 음식물 침출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정조(1)와,
상기 유량조정조(1)에서 유입된 음식물 침출수를 혐기성미생물에 의해 혐기처리하는 혐기조(2)와,
상기 혐기조(2)에서 혐기처리된 음식물 침출수를 약품탱크(301)에서 제공되는 수처리약품과 혼합하는 스태틱믹서(300)를 거쳐 고액분리가 일어나는 가압부상조(3)와,
상기 가압부상조(3)에서 화학처리된 침출수를 탈질반응으로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4)와,
상기 무산소조(4)에서 질소가 제거된 침출수를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처리하는 생물막조(5)와,
상기 생물막조(5)에서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처리된 침출수를 침전을 통해 슬러지를 제거하고 그 상등수를 배출하는 침전조(6)와,
상기 침전조(6)에서 유입된 침출수를 분리막에 의한 여과처리하는 MBR조(7)와,
상기 MBR조(7)에서 분리막에 의해 수처리된 침출수의 난분해성 물질을 처리 하기 위한 오존산화조(8)와,
상기 오존산화조(8)에서 오존처리된 침출수를 활성탄 필터에 의해 최종처리하는 여과조(9)와,
상기 여과조(9)에서 최종처리된 처리수를 살균처리 후 외부로 방류하는 방류조(10)로 구성되되,
상기 스태틱믹서(300)는 배관내에 좌방향과 우방향으로 180°비틀려 고정된 엘리먼트가 각각 90°로 연결되어 유체가 통과하여 이송될 때 연속적으로 면분할, 방향전환, 뒤섞임의 3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2가지 이상의 액체, 기체, 분체를 혼합시키도록 구성된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을 그 주요 구성으로 한다.
상기 유량조정조는 필요에 따라 그 전단계로 침사조와 스크린조를 둘 수 있다. 상기 스크린조의 경우에는 침출수 중 고형물이 많은 경우에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유량조정조의 저부에는 산기관이 구비되어 있어서, 유량조정조에서의 폭기 상태와 침출수의 양이 일정하도록 유지한다.
상기 혐기조는 유량조정조를 거쳐 이송된 음식물 침출수를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혐기처리한다. 상기 혐기성 미생물은 베이로넬라(Veillonella), 아시다미노코커스(Acidaminococcus), 메가스페라(Megasphaera), 프로피오니박테리윰(Propionibacterium), 유박테리윰(Eubacterium), 비피도박테리 윰(Bifidobacterium), 박테로이디스(Bacteroides), 푸소박테리윰(Fusobacterium), 넵토트리치아(Leptotrichia), 클로스트리디윰(Clostridium)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성 물질을 영양원으로 하여 인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처리는 미생물들이 침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성 미생물을 영양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특별한 장치적 구성이 없더라도 유기성 미생물의 분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가압부상조는 혐기조에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혐기처리된 침출수를 수처리 약품을 통해 처리하는 곳으로, 부상하지 않는 오염원까지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무산소조는 가압부상조에서 수처리약품에 의해 처리된 침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질산성 질소(NO3 -)를 무산소 조건에서 질소 가스(gas, N2)화되는 탈질반응으로 질소를 제거하는 곳으로, 그 반응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다.
2NO3 - + 2(H2) → 2NO2 - + 2H2O
2NO2 - + 3(H2) → N2↑ + 2OH- + 2H2O
상기 생물막조는 상기 무산소조에서 탈질처리된 침출수를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하여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분해처리하는 곳으로, 상기 바이오블럭 담체는 미생물의 증식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침전조는 생물막조에서 처리된 침출수를 압밀에 의해서 침전시켜 발생된 슬러지를 제거한다.
상기 MBR조는 상기 침전조에서 압밀에 의해 침전처리되어 슬러지가 제거된 상등수를 분리막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곳으로, MBR조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산기관에 의해 분리막의 처리효율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존산화조는 상기 MBR조를 거쳐 처리된 침출수를 오존을 접촉시켜 난분해성 물질을 처리하는 곳이다.
이와 같이 오존산화조에서 처리된 침출수는 여과조를 거쳐 최종적으로 방류조로 이송된다. 상기 여과조는 활성탄 필터를 통해 실질적으로 침출수를 최종처리하는 곳으로, 이와 같이 처리된 처리수는 방류조로 이송되어 외부로 방류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도면을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이에 앞서 도면을 간략히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침출수 처리과정을 도시한 단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침출수 시스템을 도 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상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조의 바이오블럭 담체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BR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침출수의 처리 시스템은, 유량조정조(1)와, 혐기조(2)와, 가압부상조(3)와, 무산소조(4)와, 생물막조(5)와, 침전조(6)와, MBR조(7)와, 오존산화조(8)와, 여과조(9)와, 방류조(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여과조(9)를 거친 처리수 중 일부는 반송관을 통해 혐기조(2)로 재이송되어 재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유량조정조(1)는 관을 통해 유입된 음식물 침출수를 집수하고, 상기 유량조정조(1)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산기관에 의해 폭기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며, 일정량을 혐기조(2)로 이송한다.
상기 혐기조(2)는 유기성물질을 영양원으로 하여 인을 방출하는 곳으로, 여기에 포함되는 혐기성 미생물은 베이로넬라(Veillonella), 아시다미노코커스(Acidaminococcus), 메가스페라(Megasphaera), 프로피오니박테리윰(Propionibacterium), 유박테리윰(Eubacterium), 비피도박테리윰(Bifidobacterium), 박테로이디스(Bacteroides), 푸소박테리윰(Fusobacterium), 넵토트리치아(Leptotrichia), 클로스트리디윰(Clostridium)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같은 혐기조(2)에선 미생물에 의한 인 방출이 일어나는데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PHB:Polyhydroxybutylate) 형태로 저장하고 폴리포스페이트(Polyphosphate)의 가수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인이 방출된다. 즉 혐기성 미생물이 유기물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몸에 저장했던 인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상조(3)는 음식물 침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수처리약품에 의해 화학처리하는 곳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탱크(301)에서 제공되는 수산화나트륨용액, 황산알루미늄 용액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을 스태틱믹서(static mixer)(300)로 이송되어 침출수와 혼합되고, 스태틱믹서를 거친 수처리 약품이 혼합된 침출수는 가압펌프에 의해 가압탱크(302)에 일시 보관중이던 가압의 공기와 접촉되도록 한다. 이같은 접촉과정은 과량의 공기가 오폐수 내에 용해되어야 바람직한 부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스태틱믹서(300)에서 수처리용 약품과 혼합된 오폐수는 분사장치(31)를 통하여 가압부상조(3)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스태틱믹서(300)는 라인믹서라고도 불리우는 것으로서, 배관내에 좌방향과 우방향으로 180°비틀린 고정된 엘리먼트가 각각 90°로 연결되어 유체가 통과하여 이송될 때 연속적으로 면분할, 방향전환, 뒤섞임의 3가지 역할을 통해 2가 지 이상의 액체, 기체, 분체를 혼합시켜 주는 장치이다.
스태틱믹서(300)에서 수처리용 약품과 혼합된 침출수는 분사장치(31)를 통하여 가압부상조(3)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장치(31)는 고압의 공기를 물과 함께 뿜어내는 것으로서 가압부상조(3)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가압부상조(3)에는 슬러지스크래퍼가 장착되어 있어 스컴을 지속적으로 걷어낸다. 걷어내진 스컴은 슬러지 저장조로 이송된다.
상기 무산소조(4)는 호기성 생물막조(5)에서 반송된 질산성질소를 탈질 미생물(denitrifier)이 유기물을 이용하여 질소가스로 전환시키는 공정으로, 질산성 질소(NO3 -)가 질소 가스(gas, N2)화되는 탈질반응으로 질소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탈질반응에 의해 질소가 제거된 침출수는 호기성 생물막조(5)로 이송된다.
상기 생물막조(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오블럭 담체(50)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여 유기물을 산화, 질산화 그리고 인 섭취를 한다. 생물막조(5)의 저부에는 산기관이 구비되어 있어 호기성 생물막조(5)로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호기성 생물막조(5)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블로어가 외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바이오블럭 담체(50)는 밀도가 0.9 ~ 0.9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120 ∼ 150℃에서 전기히터에 의하여 가열 용융시켜 형성되는 폴리머를 토출시켜 제조한다. 또한 원통형으로 형성된 바이오블럭 담체의 내,외주면에는 주름턱부(51)가 형성되어 있어 미생물의 번식이 보다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이오블럭 담체를 제조하기 위해 폴리에틸렌은 0.9 ~ 0.95 범위의 고밀도를 사용함으로써, 담체로 제조되었을 경우 인장 강도 등의 내구성이 좋으며, 폴리에틸렌 수지를 가열하여 토출시 가열온도는 120℃이하 또는 150℃로 사용할 경우에는 토출이 잘 이뤄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함으로 120 ∼ 150℃의 범위에서 가열 용융시켜 폴리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물막조(5)를 거친 침출수 중 일부는 무산소조(4)로 반송되고 나머지는 침전조(6)로 이송된다.
상기 침전조(6)는 침출수를 압밀로 침전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와 같은 침전에 의해 생성된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압밀은 입자들의 농도가 너무 커서 입자들끼리 구조물을 형성하여 더 이상의 침전은 압밀에 의해서만 생기는 고농도의 부유액에서 일어나는 침전을 말한다. 압밀은 상부의 액체로부터의 침전에 의하여 구조물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입자들의 무게 때문에 일어나게 된다.
침전조(6)에서 일부는 반송관을 통해 혐기조(2)로 반송되어 혐기조(2)에서부터 다시 수처리 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MBR조(7)는 상기 침전조(6)에서 처리된 상등수를 분리막을 이용하여 수 처리하는 곳으로, 상기 분리막은 그 저부에 산기관을 설치하여 와류를 형성하여 막에 형성되는 케이크 층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막의 외둘레로 일정하게 이격된 곳에 메쉬 구조의 스크린(73)을 형성함으로써 입자가 큰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처리하여 분리막의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산기관(70)은 0.1 ~ 3mm의 직경을 갖는 분사관(72)으로, 분사관(72)과 산기통(71) 사이에 이루는 각, θ값이 35 ~ 85°로 산기통과 예각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강한 에어를 쏴 줌으로써, MBR조(7) 내부의 난류를 유도하고, 상승하는 에어는 스크린(73)와의 충돌을 유도하여 침지형분리막 모듈(74)에 발생하는 막오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θ각을 35°이하로 할 경우에는 분리막 모듈로 뿜어지는 에어의 강도가 매우 작아 케이크 층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힘들고, 85°이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와류 및 난류의 형성이 어려우므로 35 ~ 85°의 각도로 에어를 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존산화조(8)는 오존을 이용하여 침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난분해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곳으로, 오존 발생기로부터 유입된 오존을 이용한다. 오존은 3개의 산소원자가 4가지 형상의 공명구조로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며 오존이 자기분해할 때 생성되는 OH 라디칼은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며 오염원 유기물질을 산화시키고, 중금속 등과 반응하여 무해한 화합물로 변화시키는 성질을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오존을 이용하여 염색폐수의 탈색, 고분자 화합물의 저분자화, COD, BOD 감소 등 미생물 후처리로서 고도처리할 수 있다.
상기 여과조(9)는 오존처리조(8)에서 난분해성 물질이 처리된 후 이송된 침출수를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곳으로, A/C필터를 이용하여 침출수를 처리한다. 상기 A/C필터는 여과조(9)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로써, 600 ~ 1,000℃에서 소성 반응을 거친 버미큘라이트 20 ~ 40중량%와 1,100℃에서 소성반응을 거친 퍼라이트 30 ~ 50중량% 및 활성탄 10 ~ 15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여과조(9)를 거친 침출수는 최종적으로 방류조(10)로 이송되어 소독을 한 후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에 따른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의 음식물 침출수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유입된 침출수는 유량조정조(1)에 집수되어 산기관에 의해 폭기되어 혐기조(2)로 이송된다(S10).
이어서, 혐기조(2)로 이송된 침출수는 혐기성 미생물들이 침출수 내의 유기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유기물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처리된 침출수는 약품탱크(301)에서 공급되는 수처리약품과 함께 스태틱믹서(300)에서 혼합되고, 혼합된 침출수는 가압탱크(302)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접촉되도록 하면서 분사장치(31)를 통해 가압부상조(3) 내부로 이송된다(S20).
이어서, 가압부상조(3)로 이송된 침출수는 스태틱믹서(static mixer)를 통해 음식물 침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수처리약품에 의해 화학처리한 후 무산소조(4)로 이송된다(S30).
이어서, 무산소조(4)로 이송된 침출수는 탈질반응에 의해 질소가 제거되고, 그 질소가 제거된 침출수는 다시 생물막조(5)로 유입된다(S40).
이어서, 생물막조(5)로 유입된 침출수는 바이오블럭 담체(50)에 부착되어 있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의 산화, 질산화와 발생된 인을 제거하고, 그 유기물산화, 질산화 및 인의 제거가 이루어진 후 침출수는 침전조(6)로 이송된다(S50).
이어서, 침전조(6)로 이송된 침출수는 압밀로 침전을 일으키고, 그 침전에 의해 생성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켜 슬러지를 제거시키며, 그 슬러지가 제거된 침출수의 상등수는 MBR조(7)로 이송된다(S60).
이어서, MBR조(7)로 이송된 침출수는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73)에 의해 입자가 큰 이물질이 제거되고, 입자가 큰 이물질이 제거된 침출수는 분리막 모듈(74)를 거쳐 막처리가 일어난다. 이와 같이 막처리된 침출수는 오존산화조(8)로 이송된다(S70).
이어서, 오존산화조(8)로 이송된 침출수는 오존과의 접촉을 유도하여 난분해성 물질을 처리하게 되고, 그 오존처리된 침출수는 다시 여과조(9)로 이송된다(S80).
이어서, 여과조(9)로 이송된 침출수는 A/C필터를 이용하여 침출수를 처리한 후 방류조(10)로 이송된다(S90).
이어서, 방류조(10)로 이송된 침출수는 소독을 한 후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 하게 된다(S100).
이와 같은 유량조정조(1), 혐기조(2), 가압부상조(3), 무산소조(4), 생물막조(5), 침전조(6), MBR조(7), 오존산화조(8), 여과조(9), 방류조(10)로 이루어진 침출수 처리과정을 거친 음식물 침출수는 최초 음식물 쓰레기 침출수의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이 기존의 7 ~ 8만 mg/ℓ이었던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처리시스템을 통해 90 ~ 120 mg/ℓ로 줄일 수 있어 외부로 방류하더라도 수질오염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처리된 처리수를 각종 농업용수, 소방용수로 사용함으로써, 수자원의 절약의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량조정조, 혐기조, 가압부상조, 무산소조, 생물막조, 침전조, MBR조, 오존산화조, 방류조를 거쳐 음식물 침출수를 처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의해 발생되는 침출수에 의한 토양오염, 지하수 및 하천 오염 등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에 일조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유입된 음식물 침출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정조(1)와,
    상기 유량조정조(1)에서 유입된 음식물 침출수를 혐기성미생물에 의해 혐기처리하는 혐기조(2)와,
    상기 혐기조(2)에서 혐기처리된 음식물 침출수를 약품탱크(301)에서 제공되는 수처리약품과 혼합하는 스태틱믹서(300)를 거쳐 고액분리가 일어나는 가압부상조(3)와,
    상기 가압부상조(3)에서 화학처리된 침출수를 탈질반응으로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4)와,
    상기 무산소조(4)에서 질소가 제거된 침출수를 바이오블럭 담체(50)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처리하는 생물막조(5)와,
    상기 생물막조(5)에서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처리된 침출수를 침전을 통해 슬러지를 제거하고 그 상등수를 배출하는 침전조(6)와,
    상기 침전조(6)에서 유입된 침출수를 분리막에 의한 여과처리하는 MBR조(7)와,
    상기 MBR조(7)에서 분리막에 의해 수처리된 침출수의 난분해성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오존산화조(8)와,
    상기 오존산화조(8)에서 오존처리된 침출수를 활성탄(A/C) 필터에 의해 최종처리하는 여과조(9)와,
    상기 여과조(9)에서 최종처리된 처리수를 살균처리 후 외부로 방류하는 방류조(1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태틱믹서(300)는 배관내에 좌방향과 우방향으로 180°비틀려 고정된 엘리먼트가 각각 90°로 연결되어 유체가 통과하여 이송될 때 연속적으로 면분할, 방향전환, 뒤섞임의 3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2가지 이상의 액체, 기체, 분체를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바이오블럭 담체(50)는 밀도가 0.9 ~ 0.9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120 ∼ 150℃에서 전기히터에 의하여 가열 용융시켜 형성되는 폴리머를 토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혐기성 미생물은 베이로넬라(Veillonella), 아시다미노코커스(Acidaminococcus), 메가스페라(Megasphaera), 프로피오니박테리윰(Propionibacterium), 유박테리윰(Eubacterium), 비피도박테리윰(Bifidobacterium), 박테로이디스(Bacteroides), 푸소박테리윰(Fusobacterium), 넵토트리치아(Leptotrichia), 클로스트리디윰(Clostridium)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KR1020060031978A 2006-04-07 2006-04-07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KR100602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978A KR100602151B1 (ko) 2006-04-07 2006-04-07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978A KR100602151B1 (ko) 2006-04-07 2006-04-07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2151B1 true KR100602151B1 (ko) 2006-07-19

Family

ID=3718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978A KR100602151B1 (ko) 2006-04-07 2006-04-07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15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545B1 (ko) 2013-02-20 2013-04-03 경상북도 기포바이오세라믹 담체를 이용한 수질오염물질 제거장치
KR101276554B1 (ko) * 2012-12-28 2013-06-24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녹색 건축물에 적용되는 중수도 설치를 위한 수처리 시스템
KR101341306B1 (ko) * 2011-12-23 2013-12-12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
KR101363142B1 (ko) * 2011-12-23 2014-02-2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
CN110117135A (zh) * 2019-05-23 2019-08-13 武汉天源环保股份有限公司 垃圾渗滤液处理方法
CN110590086A (zh) * 2019-11-14 2019-12-20 山东畜牧兽医职业学院 在线反冲洗式养殖污水处理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6897A (ja) 1987-05-29 1988-12-02 Keisuke Kumazawa 高濃度の有機廃水の処理方法
KR100191195B1 (ko) 1996-12-24 1999-06-15 민경훈 고효율 분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331511B1 (ko) 1999-05-20 2002-04-06 이복영 압출 공정에 의한 오염물질 처리용 담체의 제조방법
KR20030048735A (ko) * 2001-12-13 2003-06-25 나경욱 음식물쓰레기 침출수의 처리방법
KR20050053136A (ko) * 2003-12-02 2005-06-08 주식회사 한화건설 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장치
KR100540014B1 (ko) 2005-07-26 2005-12-29 (주)대성그린테크 고농도 폐수처리를 위한 전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405655Y1 (ko) 2005-10-11 2006-01-10 (주)백년기술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용 미생물 접촉여재 및 조립식구조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6897A (ja) 1987-05-29 1988-12-02 Keisuke Kumazawa 高濃度の有機廃水の処理方法
KR100191195B1 (ko) 1996-12-24 1999-06-15 민경훈 고효율 분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331511B1 (ko) 1999-05-20 2002-04-06 이복영 압출 공정에 의한 오염물질 처리용 담체의 제조방법
KR20030048735A (ko) * 2001-12-13 2003-06-25 나경욱 음식물쓰레기 침출수의 처리방법
KR20050053136A (ko) * 2003-12-02 2005-06-08 주식회사 한화건설 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장치
KR100540014B1 (ko) 2005-07-26 2005-12-29 (주)대성그린테크 고농도 폐수처리를 위한 전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405655Y1 (ko) 2005-10-11 2006-01-10 (주)백년기술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용 미생물 접촉여재 및 조립식구조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306B1 (ko) * 2011-12-23 2013-12-12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
KR101363142B1 (ko) * 2011-12-23 2014-02-2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
KR101276554B1 (ko) * 2012-12-28 2013-06-24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녹색 건축물에 적용되는 중수도 설치를 위한 수처리 시스템
KR101249545B1 (ko) 2013-02-20 2013-04-03 경상북도 기포바이오세라믹 담체를 이용한 수질오염물질 제거장치
CN110117135A (zh) * 2019-05-23 2019-08-13 武汉天源环保股份有限公司 垃圾渗滤液处理方法
CN110117135B (zh) * 2019-05-23 2020-07-14 武汉天源环保股份有限公司 垃圾渗滤液处理方法
CN110590086A (zh) * 2019-11-14 2019-12-20 山东畜牧兽医职业学院 在线反冲洗式养殖污水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807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membrane filters
KR101246847B1 (ko) 일종의 쓰레기 삼출액 폐수 처리시스템 및 그 프로세스
Stegmann et al. Leachate treatment
CN102583884B (zh) 一种用于工业园区混合工业污水处理的方法
Siddiqi et al. A critical review of the recently developed laboratory-scale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leachate treatment technologies
AU20012807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membrane filters
KR101026734B1 (ko)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 및 방법
JP6750930B2 (ja) 汚排水浄化システム
KR101339741B1 (ko) 하폐수 내의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602151B1 (ko)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CN104556562A (zh) 一种工业园区废水的深度处理方法
KR101378539B1 (ko) 호기성 입상슬러지를 이용한 역삼투공정의 농축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678202B1 (ko) 폐기물 매립장용 침출수 처리 시스템
KR101688800B1 (ko) 역삼투 농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72395B1 (ko)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38319B1 (ko) 중수 재이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컴파운드 시스템
JP4787814B2 (ja) 有機性汚水の浄化方法とその装置
Li et al. Combined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by biological and membrane filtration technology
KR100656775B1 (ko) 바이오블럭을 이용한 매립장 침출수 처리 시스템
CN212222744U (zh) 高速公路服务区污水再利用装置
KR102122549B1 (ko) 하폐수의 수처리장치
JP2001047089A (ja) 汚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970009649B1 (ko) 철염 촉매 공기 산화와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난 분해성 폐수의 처리 방법
KR100446554B1 (ko) 오수중의 유기물, 질소 및 인 동시 제거 장치
KR100841751B1 (ko) 생물막을 이용한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