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493B1 -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493B1
KR100599493B1 KR1020050040796A KR20050040796A KR100599493B1 KR 100599493 B1 KR100599493 B1 KR 100599493B1 KR 1020050040796 A KR1020050040796 A KR 1020050040796A KR 20050040796 A KR20050040796 A KR 20050040796A KR 100599493 B1 KR100599493 B1 KR 100599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locking
roof rack
roof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규
이근식
염영진
Original Assignee
(주)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원 filed Critical (주)진원
Priority to KR1020050040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8Carriers characterised by article-gripping, -covering,-retaining,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는, 자동차의 루프패널의 상부에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 루프랙과,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루프랙과 연결된 크로스바를 록킹시키는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크로스바가 루프랙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일방향 이동하는 록킹부재와, 고정핀을 통하여 회동함으로써 록킹부재를 일방향 이동시켜 크로스바와 루프랙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작동레버, 록킹부재와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일측의 작동레버의 조작으로도 타측의 록킹부재를 연동시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록킹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크로스바가 루프랙에 탄력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원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의하면, 일측의 록킹장치의 조작으로도 타측의 록킹장치를 연동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고정과 해제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루프캐리어, 크로스바, 록킹

Description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Locking apparatus for roof rack and cross bar of roof carrier}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루프캐리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록킹장치에서 작동레버를 회동시켰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록킹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록킹부재 110... 록킹돌기
120... 견인홀 130... 걸림턱
200... 작동레버 210... 손잡이
220... 견인핀 300... 연결부재
400... 복원수단 410... 탄지부재
420... 지지부재 500... 록킹장치
본 발명은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캐리어(Roof carrier)는 자동차 실내 공간의 협소함에 따른 짐이나 물건 등의 수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루프패널(Roof panel)의 상부에 장착되어 레저스포츠용 물건은 물론 그 외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자동차의 루프캐리어(50)는, 자동차의 루프패널(1)의 상부에 장착되며,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 루프랙(Roof rack)(10)과,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루프랙(10)과 연결된 크로스바(Cross bar)(20)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 루프캐리어(50)에서 크로스바(20)는 적재된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그 폭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크로스바(20)의 로킹 및 해제 구조가 일인의 작동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루프캐리어(50)에서 크로스바(20)는 루프랙(1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해제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루프캐리어(50)는 루프랙(10)과 크로스바(20)의 록킹장치(30)가 크로스바(20)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혼자서는 양측을 모두 해제상태로 유지시킬 수 없는 구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구조로 되어있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크로스바(20)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먼저 한쪽의 록킹장치(30)를 해제한 후 반대쪽으로 돌아가서 다른쪽의 록킹장치(30)를 다시 해제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상기 크로스바 일측의 록킹장치 조작만으로도 타측의 록킹장치를 연동시켜,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크로스바의 고정과 해제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시킨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는, 자동차의 루프패널의 상부에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 루프랙과,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루프랙과 연결된 크로스바를 록킹시키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크로스바가 상기 루프랙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동하는 록킹부재와, 고정핀을 통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록킹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루프랙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작동레버와, 상기 록킹부재와 상기 작동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일측의 작동레버의 조작으로도 상기 타측의 록킹부재를 연동시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록킹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크로스바가 상기 루프랙에 탄력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원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록킹부재는 일단부에 상기 루프랙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록킹돌기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에 따라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견인홀이 관통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록킹부재의 견인홀에는 상기 작동레버가 삽입되어 회동할 때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는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와이어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는 일단부에 상기 고정핀과 이격되며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관통결합된 견인핀과, 타단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조작하여 상기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견인핀이 구비된 상기 작동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록킹부재의 견인홀에 삽입 이탈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원수단은 위치가 고정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록킹부재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지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나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록킹장치에서 작동레버를 회동시켰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500)는, 크로스바(미도시)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크로스바가 루프랙(미도시)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일방향 이동하는 록킹부재(100)와, 크로스바 또는 다른 고정할 수 있는 부재와 고정된 고정핀(240)을 통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록킹부재(100)를 일방향 이동시켜 크로스바와 루프랙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작동레버(200)를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500)는, 상기 록킹부재(100)와 상기 작동레버(200)와 연결되어, 상기 일측의 작동레버(200)의 조작만으로도 타측의 록킹장치(500a ; 도 5a참조)를 연동 시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록킹장치(500)의 일측에 위치하고, 크로스바가 루프랙에 탄력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원수단(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록킹부재(100)는, 일단부에 상기 루프랙에 형성된 삽입홈(140 ; 도5a 참조)에 삽입되는 록킹돌기(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상기 작동레버(200)의 회동에 따라 작동레버(200)의 일단부가 반복적으로 삽입되고 이탈되는 견인홀(120)이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100)의 견인홀(120)에는, 상기 작동레버(200)가 삽입되어 회동할 때 상기 작동레버(200)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턱(130)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200)는, 일단부에 핀홀(230)을 통해 고정결합된 상기 고정핀(240)과 이격되며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관통결합된 견인핀(220)과, 타단부에는 사용자가 고정핀(240)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210)를 포함한다.
상기 복원수단(400)은, 위치가 고정된 지지부재(420)와, 상기 지지부재(420)와 상기 록킹부재(1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록킹부재(1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지부재(4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지부재(410)는 코일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작동레버(200)와 상기 록킹부재(100)와 각각 고정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부재(300)의 연결구조는, 일단이 일측의 록킹부재(100)와 연결되고, 타단이 타측의 작동레버(200a : 도 5a참조)에 연결되는 구조로 각각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탄지부재(410)와 관통연결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420)와는 관통홀(310)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연결되어 연결부재(300)의 슬라이딩 이동에 간섭이 없도록 하였다.
덧붙여, 상기 지지부재(420)는 관통홀(310) 뿐만 아니라, 홈과 홀 등 연결부재(300)가 간섭받지 않는 다른 변용예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00)는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와이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500)에서 작동레버(200)를 회동시켰을 때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작동레버(200)는, 사용자가 손잡이(210)를 조작하여 상기 작동레버(200)를 고정핀(24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핀(220)이 구비된 상기 작동레버(200)의 일단부가 상기 록킹부재(100)의 견인홀(120)에 반복적으로 삽입 이탈되면서, 상기 록킹부재(100)를 견인하면서 일방향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록킹부재(100)의 일측에는 복원수단(400)인 탄지부재(410)의 일측과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탄지부재(410)의 타측은 위치가 고정된 지지부재(420)와 접촉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200)를 회동시키면, 상기 지지부재(420)와 상기 록킹부재(100) 사이에 개재된 탄지부재(410)는 상기 록킹부재(100)의 이동에 의해 화살표에 표시된 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어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작동레버(200)를 원위치로 회동시켰을때, 상기 탄지부재(410)는, 상기 록킹부재(100)를 탄지부재(410)의 탄성복원력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일방향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420)는, 상기 록킹부재(100)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록킹부재(100)가 일방향 이동할 때 상기 록킹부재(100)의 이동궤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탄지부재(410)를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5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500)는, 일단부에 록킹돌기(110)를 구비하며, 타단부에 연결부재(300)가 고정연결되며, 상면에는 십자형태의 견인홀(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견인홀(120)에는 걸림턱(130)이 구비되어 있는 록킹부재(100)와, 상기 록킹부재(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핀홀(230)에 이격되어 관통결합된 견인핀(2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연결부재(300)가 연결된 작동레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록킹부재(100)에 고정연결된 연결부재(300)에는 탄지부재(410)와 지지부재(420)가 관통연결되어 있다.
또한, 작동레버(200)의 일단부에는 위치가 고정된 고정핀(240; 도 3참조)이 각각 관통연결되어 있으며, 지지부재(420)는 탄지부재(410)의 일측에서 위치가 고정되게 배치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에 도시된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 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양측에 록킹장치(500)(500a)를 구비한 크로스바는 양측의 록킹장치(500)(500a)에 의해 루프랙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로스바는 양측의 루프랙의 삽입홈(140)(140a)에 록킹장치(500)(500a)의 록킹돌기(110)(110a)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양측의 록킹장치(500)(500a)는 연결부재(300)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300)는 한 쌍으로서, 그 중 하나는 일측의 록킹부재(100)와 타측의 작동레버(200a)와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일측의 작동레버(200)와 타측의 록킹부재(100a)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일측의 록킹장치의 조작만으로 타측의 록킹작치를 작동시켜 크로스바를 루프랙에 해제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부재(100)는 사용자가 일측의 록킹장치(500)의 작동레버(200)를 위치가 고정된 고정핀(24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이에 따라 견인핀(220)이 구비된 작동레버(200)의 일단부가 회전을 하면서 록킹부재(100)의 견인홀(120)에 삽입되면서 이동하여 상기 록킹부재(100)를 견인하게 되어 도면상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탄지부재(410)는 위치가 고정된 지지부재(420)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록킹부재(100)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레버(200)의 일단부와 연결된 연결부재(300)는, 상기 작동레버(200)의 회동에 따라 작동레버(200)의 회동방향으로 당겨지게 되어 도면상에 표시된 화살표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측의 록킹장치(500)가 작동했을때, 타측 록킹장치(500a)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타측의 록킹부재(100a)는, 일측의 작동레버(200)와 연결되어 일측의 작동레버(200)를 회동시켰을 때 연결된 연결부재(300)에 의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타측의 록킹부재(100a)는 타측의 루프랙의 삽입홈(140a)에서 이탈하게 되며, 이로 인해 타측의 탄지부재(410a)도 일측의 탄지부재(410)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압축되어 일측의 탄지부재(410)와 마찬가지로 타측의 록킹부재(100a)를 반대로 밀어내려고 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일측의 작동레버(200)를 회동시키면, 일측의 록킹부재(100)는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일측의 루프랙과 해제되고, 이에 따라 타측의 록킹부재(100a)는 상기 일측의 작동레버(200)에 연결된 연결부재(300)에 의해 끌어당겨져서, 결과적으로 타측의 록킹부재(100a)도 연동하여 타측의 루프랙과 해제된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상태에서 일측의 작동레버의 조작으로 다시 크로스바를 양측의 루프랙에 고정시키는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5b의 상태에서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의 작동레버(200)를 도면상에 나타난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레버(200)의 일단부에 구비된 견인핀(220)이 회동하여 록킹부재(100)의 견인홀(120)을 이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420)에 의해 지지되고 압축되어진 탄지부재(410)는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100)를 화살표 방 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일측의 록킹부재(100)의 록킹돌기(110)는 일측의 루프랙의 삽입홈(140)에 끼워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일측의 작동레버(200)와 타측의 록킹부재(100a)와 연결된 연결부재(300)는, 일측의 작동레버(200)의 작동으로 인해 느슨하게 되고,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300)와 연결된 타측의 록킹부재(100a)는 타측의 탄지부재(410a)에 의해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타측의 록킹돌기(110a)가 타측의 루프랙의 삽입홈(140a)에 끼워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일측의 작동레버(200)를 원위치로 도면상의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레버(200)의 견인핀(220)이 일측의 록킹부재(100)의 견인홀(120)에서 이탈되어, 일측의 탄지부재(4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록킹돌기(110)가 일측의 루프랙의 삽입홈(14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일측의 작동레버(200)와 타측의 록킹부재(100a)와 연결된 연결부재(300)는 느슨하게 되어, 압축되어 있던 타측의 탄지부재(410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타측의 록킹부재(100a)가 이동함에 따라 타측의 록킹돌기(110a)가 타측의 루프랙의 삽입홈(140a)에 삽입됨으로써, 일측의 작동레버(200)의 조작으로 타측도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500)는, 사용자가 일측의 록킹장치(500) 조작만으로 타측의 록킹장치(500a)를 연동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자동차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바의 고정 또는 해제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일측의 록킹장치의 조작만으로도 타측의 록킹장치를 연동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고정 및 해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둘째, 모터 등의 전자적인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자동차의 루프패널의 상부에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 루프랙과,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상기 루프랙과 연결된 크로스바를 록킹시키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크로스바가 상기 루프랙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동하는 것으로서, 일단부에 상기 루프랙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록킹돌기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에 따라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견인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견인홀에는 상기 작동레버가 삽입되어 회동할 때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구비되는 록킹부재와;
    고정핀을 통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록킹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루프랙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작동레버와;
    상기 록킹부재와 상기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일측의 작동레버의 조작으로도 상기 타측의 록킹부재를 연동시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록킹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크로스바가 상기 루프랙에 탄력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원수단을 포함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일단부에 상기 고정핀과 이격되며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관통결합된 견인핀을 포함하고, 타단부에 사용자가 상기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조작하여 상기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견인핀이 구비된 상기 작동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록킹부재의 견인홀에 삽입 이탈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위치가 고정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록킹부재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지부재를 포함하는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20050040796A 2005-05-16 2005-05-16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599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796A KR100599493B1 (ko) 2005-05-16 2005-05-16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796A KR100599493B1 (ko) 2005-05-16 2005-05-16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493B1 true KR100599493B1 (ko) 2006-07-12

Family

ID=3718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796A KR100599493B1 (ko) 2005-05-16 2005-05-16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4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275B1 (ko) * 2005-12-09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로스 바의 슬라이더 락킹 핀 해제장치
KR100722247B1 (ko) * 2006-04-07 2007-05-29 장재홍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KR100785468B1 (ko) * 2007-02-12 2007-12-12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802676B1 (ko) * 2006-12-14 2008-0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루프레일 록킹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0007A1 (en) * 1992-10-28 1994-05-11 The American Team Carrier operable from one side of vehicle
US5924614A (en) 1997-04-03 1999-07-20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assembly having a cross rail assembly longitudinally adjustable from one side of a motor vehicle
US6779696B2 (en) 2001-10-05 2004-08-24 Jac Products, Inc.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cross bar
KR100462114B1 (ko) 2002-11-18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0007A1 (en) * 1992-10-28 1994-05-11 The American Team Carrier operable from one side of vehicle
US5924614A (en) 1997-04-03 1999-07-20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assembly having a cross rail assembly longitudinally adjustable from one side of a motor vehicle
US6779696B2 (en) 2001-10-05 2004-08-24 Jac Products, Inc.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cross bar
KR100462114B1 (ko) 2002-11-18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275B1 (ko) * 2005-12-09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로스 바의 슬라이더 락킹 핀 해제장치
KR100722247B1 (ko) * 2006-04-07 2007-05-29 장재홍 자동차용 루프랙의 측면 단동 릴리즈 시스템
KR100802676B1 (ko) * 2006-12-14 2008-0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루프레일 록킹장치
KR100785468B1 (ko) * 2007-02-12 2007-12-12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1777B1 (en) Coupling device for a baby crib frame structure
US9677581B2 (en) Closure device for connecting two parts
US20140224056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Gearbox And A Parking Brake Of A Motor Vehicle, Using A Common Operating Lever
KR100599493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JP4558803B2 (ja) クロスバーロック装置
US20180099591A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JP2007085032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593857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N110578771B (zh) 绳锁
KR101469322B1 (ko) 완구용 자동차 발사 장치
KR200496600Y1 (ko) Isofix 리테이닝 이중 로킹 메커니즘
US6733220B2 (en) Cargo bar
KR100609489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N109509653B (zh) 开关装置和相关联的开关
KR100605658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N212447322U (zh) 用于手套箱的机械式按钮解锁机构及手套箱
EP2630892A1 (en) Two-way shifting device for tables
KR20080042335A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US8991850B2 (en) Fifth wheel
KR100822998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1651677B1 (ko) 차량용 수납상자 잠금 시스템
KR101831481B1 (ko) 연계 조작 기구
KR100462113B1 (ko)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CN114517614B (zh) 物品箱的开闭结构
KR100785468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