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253B1 - 무기 아세테이트의 열분해에 의한 무기나노입자/폴리머복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기 아세테이트의 열분해에 의한 무기나노입자/폴리머복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253B1
KR100599253B1 KR1020040047808A KR20040047808A KR100599253B1 KR 100599253 B1 KR100599253 B1 KR 100599253B1 KR 1020040047808 A KR1020040047808 A KR 1020040047808A KR 20040047808 A KR20040047808 A KR 20040047808A KR 100599253 B1 KR100599253 B1 KR 100599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inorganic
acetate
nanoparticles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3264A (ko
Inventor
김철웅
고재천
김광주
김범식
아이.브이 리마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4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253B1/ko
Publication of KR2005012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3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 아세테이트의 열분해에 의한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머를 고비점 오일상에 용융시킨 후에 여기에 무기 아세테이트가 용해된 빙초산 수용액을 일정 속도로 적하시키면 아세테이트염이 순간적으로 열분해반응을 동반하여 무기산화물 형태의 나노입자가 생성됨으로써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 5 ∼ 30 nm의 크기의 무기나노입자가 고함량 범위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존재하게 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기 아세테이트, 열분해,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

Description

무기 아세테이트의 열분해에 의한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Synthesis of inorganic oxide nanoparticles in a polymer matrix by thermal cracking of inorganic acetate}
본 발명은 무기 아세테이트의 열분해에 의한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머를 고비점 오일상에 용융시킨 후에 여기에 무기 아세테이트가 용해된 빙초산 수용액을 일정 속도로 적하시키면 아세테이트염이 순간적으로 열분해반응을 동반하여 무기산화물 형태의 나노입자가 생성됨으로써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 5 ∼ 30 nm의 크기의 무기나노입자가 고함량 범위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존재하게 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나노기술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과 함께 나노복합체(nano-composites)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나노복합체는 충전재(filler)의 치수(dimension) 중 하나가 1 ∼ 100 nm 범위에 있음으로써 원자 또는 분자수준에서 상호인력이 크게 작용하게 된다. 이로써 나노복합체의 물성(촉매, 기계적, 전자적, 광학적 등)은 전통적인 마이크로(micro) 크기의 복합재료에 적용되던 복합법칙을 따르지 않고 획기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새로운 전자기기 개발 분야에서는 고분자 소재에 광학, 자기 및 화학적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폴리머 내에 무기나노입자를 포함시킨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폴리머를 지지체로 사용하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무기 클러스터(cluster)의 형성에 있어 무기입자를 나노크기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는 촉매, 자성재료 및 가스분리 등에 매우 유용한 적용이 예상된다.
순수한 산화아연 또는 산화니켈과 같은 무기산화물을 나노크기의 입자로 제조하는 선행발명으로서, 고온에서 열분해시키거나 플라즈마 등을 사용하여 구형 및 막대모양의 다양한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R. J. Lauf 등 Ceram. Bull. 63 (1984), L. Wang, J. Phys. Chem. 92 (1988)]이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과량의 저비점 용매인 이소프로판올(2-propanol)을 사용하여 가성소다(NaOH)에 의한 수화반응(hydrolyzation)에 의해 나노막대모양의 산화아연 입자를 제조[L. Guo 등,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C 16 (2001)]하고 있는데, 과량의 저비점 용매 하에서 제조함으로써 용매의 손실 및 휘발성 유기물질(VOC)의 노출을 피할 수 없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원료인 아연 아세테이트염에 안정제인 β-사이크로덱트린을 미리 혼합하고 이를 500 ℃ 정도의 매우 높은 온도에서 열분해시켜 산화아연을 얻는 방법[Yang Yang 등, Chemical Physics Letters, 373 (2003)]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고온의 열분해에 의한 산화아연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 제를 사용한 것으로, 실제 열분해 반응 후에는 안정제는 고온에 의해 분해되어 없어지고 결국 산화아연의 무기나노입자만을 얻게 된다. 즉, 열분해반응을 500 ℃ 정도로 매우 높은 온도에서 실시하는 경우 산화아연의 나노입자는 쉽게 얻을 수 있지만 너무 높은 온도를 유지함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매우 크고, 이때 사용한 안정제 등은 모두 분해되므로 복합체로 얻어지기는 어렵고 무기나노입자만 생성된다.
또한,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선행발명으로서, 산화아연의 나노입자를 먼저 제조한 후 이를 고분자와의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마스터 뱃치(master batch) 제조기술과 콤파운딩(compounding) 제조기술에 의해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2003-0066552 및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2003-0012840]이 있다. 즉, 폴리머를 액체상태인 용융(melting) 상태로 유지하고 여기에 나노입자 크기의 산화아연의 무기입자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식으로 산화아연/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무기나노입자를 별도로 제조한 후에 고분자를 용융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조된 무기나노입자를 혼합시키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제조공정이 다단계로 구성되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용융혼합 공정에서 무기입자와 고분자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아 무기물이 자체적으로 뭉쳐지는 응석(coagulation)이 쉽게 일어날 수 있어 실제 고분자 내에 무기입자들의 분산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일반적인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수행함에 있어 용융 상태의 고분자에 무기나노입자를 혼합할 시 불균일한 혼합, 휘발성 용매 상에서의 제조 및 500 ℃ 정도의 고온 열분해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풀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 등의 폴리머를 휘발성이 없는 고비점 오일상에 일정하게 용융시켜 제조한 폴리머 용융액에, 아연아세테이트 또는 니켈아세테이트 등의 무기 아세테이트 수용액을 일정한 속도로 적하시키게 되면, 아세테이트염이 순간적으로 열분해반응을 동반하여 산화아연(ZnO) 또는 산화니켈(NiO)과 같은 무기산화물의 형태로 나노입자화되어 폴리머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존재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게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200 ∼ 350 ℃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무기나노입자가 폴리머 내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복합화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머 내에 무기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존재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를 용융시켜 제조한 폴리머 용융액에, 무기 아세테이트가 용해된 빙초산 수용액을 적하 교반하고, 200 ∼ 350 ℃의 온도에서 무기 아세테이트를 열분해 반응하여 생성된 무기나노입자가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복 합화됨으로써 제조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무기 아세테이트가 순간적 열분해하는 특성을 이용한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200 ∼ 350 ℃의 비교적 낮은 반응온도에서 아세테이트염 수용액이 순간적으로 열분해되면서 무기산화물 형태의 나노입자가 형성되고, 이 나노입자들이 폴리머를 용융시킨 오일과 접촉하여 순간적인 연결체(ligand)를 형성하고 이어서 용융상태인 폴리머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나노 크기의 입자로 안정화됨으로써 고분산된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반응기는 임펠러가 장착된 4구 그라스 반응기이며, 반응기 내부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는 불활성 가스 주입관, 아세테이트염 수용액을 일정하게 주입할 수 있는 관정량 펌프(tubing type constant flow pump)에 연결된 아세테이트염 주입관, 반응시 발생하는 물 등을 반응기 밖으로 배출시켜 응축시킬 수 있는 냉각기로 구성된다. 반응온도는 온도측정기(thermocouple)가 주입되어 있는 반응기를 열가열 맨틀(heating mantle)에 넣고 온도조절기와 연결하여 원하는 온도로 조절한다. 또한, 아세테이트염은 수용액 상태로 정량 펌프를 통해 일정한 속도로 조절하여 반응기로 주입한다. 반응순서는 반응기내로 폴리 머를 일정량 주입한 후에 적절한 형태의 오일을 일정량 주입하고 불활성 가스를 흘려주어 반응기내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하여 불활성화 시킨다. 반응기의 교반속도는 강력한 교반속도를 유지하면서 원하는 반응온도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아세테이트염 수용액을 정량 펌프를 통해 반응기내로 서서히 적하시키면서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한다. 즉, 반응온도에서 아세테이트염 수용액이 순간적으로 열분해되면서 무기산화물 형태의 입자 핵(nuclei)이 형성되고, 이 입자들이 오일과 접촉하여 순간적인 연결체(ligand)를 형성하고 이어서 용융상태인 고분자 메트릭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안정화되며, 분산된 무기입자에 새로운 무기산화물 입자가 도입되어 입자와 입자사이의 합체에 의해 입자의 크기가 커지며,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서 어느 정도의 나노 크기 무기입자로 안정화됨으로써 무기나노입자/폴리머의 복합체가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폴리머는, 열분해 반응온도 범위인 150 ∼ 350 ℃ 범위에서 녹는점(melting point)을 갖고 용융 상태로 존재할 수 있어야 하며, 상기 반응온도 범위에서 열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폴리머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폴리머로는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풀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 등의 불소계 폴리올레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머를 용융시켜 교반을 용이하게 하고, 열분해되는 아세테이트염과의 리간드를 형성할 수 있는 열매체로서 고비점 오일을 사용하는 바, 이 또한 상기한 열분해 반응온도 범위에서 분해가 일어나지 않고 용융된 폴리머를 잘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오일은 비점이 200 ∼ 350 ℃ 범위인 고비점 오일으로서, 알파올레핀 오일 또는 고진공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오일은 반응기 내에 주입되는 폴리머 양에 대해 약 10 중량배 정도, 구체적으로는 5 ∼ 15 중량배 주입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복합체는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 무기산화물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존재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로서, 무기산화물은 아연산화물, 니켈산화물 등을 비롯한 통상의 금속산화물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무기산화물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무기나노입자의 전구체(precursor)로서, 상기 열분해 반응온도 범위에서 폴리머 메트릭스나 열매체와는 달리 쉽게 열분해가 일어날 수 있는 아세테이트염을 사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무기나노입자의 전구체로서 아세테이트염은 상온에서 고체상태이다. 아세테이트염은 용액 상태로 반응기내로 주입하기 위해 빙초산 수용액에 용해시켜 사용한다. 빙초산 수용액은 물 80 ∼ 99 중량%와 빙초산 1 ∼ 20 중량%의 범위로 혼합하여 그 농도를 1 ∼ 20 %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열분해 반응 시 교반속도는 용융된 상태로 존재하는 폴리머와 오일과의 분산력을 증대시키고 아세테이트염이 적하되면서 분해되어 생성된 금속산화물 입자의 고른 분산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적절한 교반속도는 300 ∼ 1500 rpm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00 ∼ 1000 rpm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다. 즉, 교반속도가 너무 낮으면 적하되는 아세테이트염이 열분해 될 때 뭉침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너무 강력한 교반속도를 유 지하게 되면 내부 액의 균일한 교반이 어려워 온도조절을 어렵게 한다.
아세테이트염 수용액의 적하속도에 따라 형성되는 나노입자 크기 및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아세테이트염 수용액의 적절한 적하속도는 1 ∼ 10 mL/hr·g-폴리머 정도가 적절하다. 적하속도가 너무 낮으면 나노입자의 크기는 작아지나 반응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적하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 순간적으로 열분해가 일어나면서 고분자 메트릭스에 분산되지 않고 일단 고분자 메트릭스에 도입된 후 이 상태에서 고분자 체인 내에 혼합되어 분해가 일어나기 때문에 입자크기가 커지며 반응 시 아세테이트염으로 분해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와 물이 용융된 고분자 용융액으로부터 순간적으로 빠져 나오면서 반응온도의 조절이 매우 어렵게 한다.
또한, 아세테이트염 수용액의 주입량에 따라 생성되는 무기입자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는 바, 아세테이트염 수용액의 주입량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었을 때 비로서 무기입자의 크기가 증대하고, 이때 폴리머는 아세테이트염의 열분해 반응 결과로 생성되는 무기입자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서 아세테이트염이 열분해하여 무기입자의 핵(nuclei)이 형성되고, 또 다른 아세테이트염이 열분해하여 이미 형성된 핵(nuclei)에 유입되어 입자들이 성장하게 되는데, 이때 폴리머는 이들 무기입자를 둘러 싸 안정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아세테이트염 수용액의 주입량이 과다하면 폴리머 메트릭스는 무기입자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상실하게 되어 무기입자의 크기가 나노 사이즈 이상으로 커질 뿐만 아니라 미반응된 아세테이트염이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아세테이트염의 주입량은 0.1 ∼ 0.4 g/g-폴리머의 함량범위 내에서 적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복합체는 5 ∼ 30 nm의 크기의 무기나노입자가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 최고 20 중량% 범위내에서, 바람직하기로는 10 중량% 범위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어 존재하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5
나노 입자로 분산된 산화아연/폴리에틸렌 복합체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전구체로 아연아세테이트(Zn(CH3COO)2·2H2O)를 사용하였고, 상기 전구체는 2.5% 빙초산 수용액에 용해시켜 10 %(w/w) 농도의 아세테이트염 수용액으로 제조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폴리머로 폴리에틸렌 10 g과 열매체로 비점이 350 ℃인 알파올레핀 오일 100 g을 주입하고 교반기에 의해 교반속도를 1000 rpm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다음 표 1과 같은 반응온도를 유지하였다. 정밀한 온도조절을 위해 PID(propotional indicating controller)에 의해 반응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전구체 수용액은 정량펌프를 통해 5 mL/hr·g-폴리머의 일정한 주입속도 로 반응기에 주입하였다. 이때, 아연아세테이트 전구체의 주입량은 0.1 g/g-폴리머로 일정하게 하였다. 또한, 반응 시 발생하는 열분해 물질 및 물은 냉각기가 장착된 액-액 분리기를 반응기 상부 노즐에 설치하여 반응이 진행되면서 계속적으로 제거하였다. 반응기 도중에 아르곤 가스를 서서히 흘러주어 반응기 내부를 불활성 상태로 만들어 산소와 고온에서 접촉에 의한 반응을 억제시켰다.
구 분 반응온도 (℃) 산화아연/폴리머 복합체
나노입자의 함량 (중량%) 나노입자의 크기 (nm)
실시예 1 200 11 23.78
실시예 2 250 10 26.18
실시예 3 275 10 14.59
실시예 4 300 10 10.81
실시예 5 350 9.5 11.06
실시예 6 ∼ 8
상기 실시예 5의 조건으로 열분해 반응시키되, 다만 아연아세테이트 전구체의 주입량을 다음 표 2와 같이 변화시켜 산화아연/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구 분 아연아세테이트 주입량(g/g-폴리머) 산화아연/폴리머 복합체
나노입자의 함량 (중량%) 나노입자의 크기 (nm)
실시예 6 0.373 7 10.1
실시예 7 0.187 5 10.78
실시예 8 0.112 3 10.59
실시예 9 ∼ 12
상기 실시예 5의 조건으로 열분해 반응시키되, 다만 폴리머 메트릭스의 종류 를 다음 표 3과 같이 변화시켜 산화아연/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구 분 메트릭스 폴리머 산화아연/폴리머 복합체
나노입자의 함량 (중량%) 나노입자의 크기 (nm)
실시예 9 폴리프로필렌 10 17.78
실시예 10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10 14.21
실시예 11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10 13.61
실시예 12 폴리아마이드 10 16.83
실시예 13 ∼ 17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열분해 반응시키되, 다만 전구체로서 아연아세테이트 대신에 니켈아세테이트(Ni(CH3COO)2·4H2O)를 사용하여 반응온도에 따른 나노입자의 산화니켈이 폴리에틸렌에 분산된 산화니켈/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구 분 반응온도 (℃) 산화니켈/폴리머 복합체
나노입자의 함량 (중량%) 나노입자의 크기 (nm)
실시예 13 200 10.5 10.35
실시예 14 250 10 8.59
실시예 15 275 10 13.92
실시예 16 300 10 9.28
실시예 17 350 9.5 6.94
실시예 18 ∼ 20
상기 실시예 17의 조건으로 열분해 반응시키되, 다만 니켈아세테이트 전구체의 주입량을 다음 표 5와 같이 변화시켜 산화니켈/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구 분 니켈아세테이트 주입량 (g/g-폴리머) 산화니켈/폴리머 복합체
나노입자의 함량 (중량%) 나노입자의 크기 (nm)
실시예 18 0.373 7.1 7.69
실시예 19 0.187 5 14.19
실시예 20 0.112 3 8.37
실시예 21 ∼ 24
상기 실시예 17의 조건으로 열분해 반응시키되, 다만 폴리머 메트릭스의 종류를 다음 표 6과 같이 변화시켜 산화니켈/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구 분 메트릭스 폴리머 산화니켈/폴리머 복합체
나노입자의 함량 (중량%) 나노입자의 크기 (nm)
실시예 21 폴리플로필렌 10 21.34
실시예 22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10 24.81
실시예 23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10 15.93
실시예 24 폴리아미이드 10 11.08
무기나노입자를 폴리머 용융액에 혼합하여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일반적 제조방법에 의하면, 불균일한 혼합, 휘발성 용매의 사용 및 500 ℃ 정도의 고온 조건을 유지함으로써 열분해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200 ∼ 350 ℃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열분해하는 아세테이트염을 전구체로 사용하여 열분해함과 동시에 무기나노입자를 생성시켜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 무기나노입자가 균일하게 분산 및 복합화된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 무기나노입자가 최고 20 중량%까지 고루 분산된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나노크기의 무기산화물 입자가 고루 분산되어 제조된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는 반사방지 코팅, 태양전지의 투명 전극, 가스 센서, 표면음파 장치, 전자 및 광학-형광 장치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 무기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존재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를 오일에 용융시켜 제조한 폴리머 용융액에, 200 ∼ 350 ℃의 온도 조건에서 무기 아세테이트가 용해된 빙초산 수용액을 적하 교반하여, 무기 아세테이트가 열분해되어 생성된 무기나노입자가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복합화됨으로써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용융액은 폴리머를 비점이 200 ∼ 350 ℃ 범위인 오일에 용융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알파올레핀 오일 및 고진공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아마이드, 폴리올레핀 및 불소계 폴리올레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아세테이트는 폴리머 1 g당 0.1 ∼ 0.4 g의 함량범위 내에서 적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아세테이트는 아연아세테이트 또는 니켈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아세테이트 함유 빙초산 수용액의 적하속도가 1 ∼ 10 mL/hr·g-폴리머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빙초산 수용액은 물 80 ∼ 99 중량%와 빙초산 1 ∼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 5 ∼ 30 nm 크기의 산화물 형태의 무기나노입자가 20 중량% 이내의 함량 범위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나노입자/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040047808A 2004-06-24 2004-06-24 무기 아세테이트의 열분해에 의한 무기나노입자/폴리머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0599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808A KR100599253B1 (ko) 2004-06-24 2004-06-24 무기 아세테이트의 열분해에 의한 무기나노입자/폴리머복합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808A KR100599253B1 (ko) 2004-06-24 2004-06-24 무기 아세테이트의 열분해에 의한 무기나노입자/폴리머복합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3264A KR20050123264A (ko) 2005-12-29
KR100599253B1 true KR100599253B1 (ko) 2006-07-13

Family

ID=3729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808A KR100599253B1 (ko) 2004-06-24 2004-06-24 무기 아세테이트의 열분해에 의한 무기나노입자/폴리머복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883B1 (ko) 2010-12-06 2013-05-29 한국세라믹기술원 미네랄브릿지 구조를 갖는 고강도 유무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262B1 (ko) 2007-05-15 2010-02-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블랭크 마스크 및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755A (ko) * 2001-03-22 2001-06-05 유재수 구형 미립자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40014786A (ko) * 2002-08-12 2004-02-18 나상권 금속 유기화합물 복합제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755A (ko) * 2001-03-22 2001-06-05 유재수 구형 미립자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40014786A (ko) * 2002-08-12 2004-02-18 나상권 금속 유기화합물 복합제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1478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883B1 (ko) 2010-12-06 2013-05-29 한국세라믹기술원 미네랄브릿지 구조를 갖는 고강도 유무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3264A (ko)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3236B (zh) 奈米級之含金屬奈米粒子及奈米粒子分散物之合成製程
KR100790948B1 (ko)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나노입자
Niu et al. Seed-mediated growth of nearly monodisperse palladium nanocubes with controllable sizes
TW414815B (en) Method of producing elemental carbon
US804819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nanoparticles
WO2005077505A2 (en) Counter current mixing reactor
CN1607181A (zh) 等离子体合成金属氧化物纳米颗粒
Liu et al. Facile synthesis, high fluorescence and flame retardancy of carbon dots
Zhong Nanoscience and nanomaterials: synthesis, manufacturing and industry impacts
Dzido et al. Fabric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in a continuous flow, low temperature microwave-assisted polyol process
KR100599253B1 (ko) 무기 아세테이트의 열분해에 의한 무기나노입자/폴리머복합체의 제조방법
KR20060077982A (ko) 탄소 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섬유
JP2006124787A (ja) 高結晶性ナノ銀粒子スラリー及びその製造方法
Xiong et al. Ultrasound-assisted self-regulation route to Ag nanorods
N Begletsova et al. Synthesis of copper nanoparticles stabilized with cetylpyridinium chloride micelles
KR20160083617A (ko) 반응기,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 전구체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전구체, 그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KR101722992B1 (ko) 금나노유체, 은나노유체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2008037716A (ja) 半導体微粒子の製造方法
KR20100004202A (ko) 전도성 무기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Tepanov et al. Electric discharge in liquids as technique to obtain high-dispersed materials based on metals of IB group
CN1180912C (zh) ***相制备纳米银粒子方法和装置
Zhang et al. Low-temperature synthesis and shape control of ZnO nanorods
KR20170119565A (ko)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KR100595398B1 (ko) 화염분무열분해 반응을 이용한 실리카 나노 분말 제조 방법
KR100586182B1 (ko) 화염분무열분해 반응을 이용한 산화인듐주석 나노 분말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