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274B1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274B1
KR100592274B1 KR1020040036655A KR20040036655A KR100592274B1 KR 100592274 B1 KR100592274 B1 KR 100592274B1 KR 1020040036655 A KR1020040036655 A KR 1020040036655A KR 20040036655 A KR20040036655 A KR 20040036655A KR 100592274 B1 KR100592274 B1 KR 100592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electrode layer
organic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693A (ko
Inventor
김훈
박진우
권장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274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08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2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2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65D19/002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and each contact surface having a stringer-lik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19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54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19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s
    • B65D2519/00124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층 상부에 증착되는 제 2 전극층의 투과율을 유지하면서도 유기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층과, 상기 제 1 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층과,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의 전기적 구동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층을 갖는 유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층은 상기 유기층의 방향으로부터 순차로 형성된 제 1 금속층, 제 2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도 1은 종래의 투명한 제 2 전극층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한 제 2 전극층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휘도에 따른 광효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전압에 따른 광효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색좌표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한 제 2 전극층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21: 기판 22: 제 1 전극층
23: 유기층 24: 제 2 전극층
25a: 핀홀 25: 제 1 금속층
26: 제 2 금속층 27: 투명 도전층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극 구조가 개선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계 발광 소자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화가 용이하며 광시야각, 빠른 응답속도 등 액정표지 장치에 있어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결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전계발광소자는 발광층을 형성하는 물질이 무기물인가 유기물인가에 따라 무기전계발광소자와 유기전계발광소자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유리나 그밖에 투명한 절연기판에 소정 패턴의 유기막이 형성되고 이 유기막의 상하부에는 전극층들이 형성된다. 유기막은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기막들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프탈로시아닌(CuPc: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등이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전극들에 양극 및 음극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양극전압이 인가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이동되고, 전자는 음극전압이 인가된 전극으로부터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주입된다. 이 발광층에서 전자와 홀이 재결합하여 여기자(exiton)를 생성하고, 이 여기자가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발광층의 형광성 분자가 발광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전극들과 유기막 등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의 방향으로 빛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는 데, 최근에는 이 기판과 대향되는 밀봉부재의 방향으로 발광하거나, 양방향으로 발광하도록 한다. 전자를 전면 발광구조라 하고, 후자를 양면 발광구조라 한다.
도 1은 이러한 전면 또는 양면 발광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글라스재의 기판(11)상에 제 1 전극층(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전극층(12)위로 다층 구조의 유기층(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유기층(13) 위로 금속재로 구비된 제 2 전극층(14)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층(12)은 투명한 ITO나 IZO 등이나, 금속 반사막으로 형성되고, 제 2 전극층(14)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 2 전극층(14)은, 일함수가 낮은 금속 전극층(15)을 얇게 형성한 후, 이 금속 전극층(15) 위에 금속 전극층(15)의 도전성을 보완해주기 위해 투명한 도전재인 ITO나 IZO 등으로 투명 도전층(16)을 형성한다. 따라서, 유기층(13) 내에 포함된 발광층(미도시)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제 2 전극층(14)의 방향으로 화상을 구현하거나, 제 2 전극층(14) 및 기판(11)의 방향으로 동시에 화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극층(15)은 빛의 투과율을 높여주기 위해 대략 100Å 정도의 금속 박막으로 형성하는 데, 이렇게 얇게 성막할 경우에는 균일한 두께의 막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핀 홀(15a)들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핀 홀(15a)들은 금속 전극층(15) 위에 투명한 투명 도전층(16)을 성막할 때에 결함요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투명 도전층(16)은 ITO나 IZO 등으로 스퍼터링 등의 방법에 의해 성막하는 데, 이 때, 상기 핀홀(15a)들로 노출된 유기층(13)이 플라즈마나 기타 에너지를 갖는 파티클(particle)들에 의해 손상을 받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투과율 향상을 위해 금속 전극층(15)을 얇게 형성할수록 더욱 심해진다. 즉, 금속 전극층(15)이 얇을수록, 이 금속 전극층(15)의 막은 더욱 불균일해져 아일랜드(island)형상으로 분포하게 되고, 이 금속 전극층(15)이 유기층(13)을 커버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핀홀(15a)들로 노출된 유기층(13)이 플라즈마 등에 의해 손상을 받게 되면 이 손상부위(D)가 향후 다크 스폿(dark spot)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 전극층(15)을 두껍게 형성할 경우에는, 두꺼운 금속 전극층(15)으로 말미암아 빛의 투과율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떨어진 효율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소비전력을 더욱 높여야 하므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층 상부에 증착 되는 제 2 전극층의 투과율을 유지하면서도 유기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층; 및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의 전기적 구동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층을 갖는 유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층은 상기 유기층의 방향으로부터 순차로 형성된 제 1 금속층, 제 2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금속층은 마그네슘과 은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금속층은 110 내지 12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2 금속층은 칼슘, 또는 칼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2 금속층은 40 내지 8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명도전층은 ITO, IZO, ZnO, 또는 In2O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명도전층은 상기 제 2 금속층 상에서 상기 제 2 금속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스 전극 라인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극층은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극층은 투명 전극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이는 수동 구동형(Passive matrix)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나 능동 구동형(Active Matrix)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모두 채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볼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기판(21) 상에 제 1 전극층(22)이 형성되고, 이 제 1 전극층(22)의 상면에 순차로 유기층(23) 및 제 2 전극층(24)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21)은 투명한 글라스재가 채용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리콘 기판이나, 플라스틱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능동 구동형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적용될 경우, 상기 기판(21)은 복수개의 TFT(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층(22)과 제 2 전극층(24)은 상기 유기층(23)에 의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유기층(23)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층(23)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상기 유기층(23)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층이 사용될 수 있는 데, 저분자 유기층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유기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층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고분자 유기층의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하며, 이를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층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층(22)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 2 전극층(23)은 투명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양면 발광형일 경우에는 제 1 전극층(22)과 제 2 전극층(23)은 투명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전면 발광형일 경우에는 제 1 전극층(22)은 반사형 전극이 사용될 수 있고, 제 2 전극층(24)은 투명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전극층(21)은 애노우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상기 제 2 전극층(24)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제 1 전극층(21)과 제 2 전극층(24)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전극층(21)이 애노우드 전극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1 전극층(22)은 투명 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구비될 수 있고,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Ir 및 Cr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전극층(24)은 이를 투명하게 하여 빛이 이 제 2 전극층(24)의 방향으로 투과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2 전극층(24)은 상기 유기층(23)의 방향으로부터 순차로 형성된 제 1 금속층(25), 제 2 금속층(26) 및 투명 도전층(27)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 1 금속층(25)은, 제 2 전극층(24)이 캐소오드 전극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 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a, LiF/Ca, LiF/Al, Al, Mg, Mg 합금을 이용하여 이를 증착하여 40 내지 20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는 데, 바 람직하게는, Mg와 Ag의 합금으로 80 내지 180Å으로 형성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20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110 내지 120Å의 범위는 공정 편차를 고려한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렇게 제 1 금속층(25)을 얇은 박막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막균일도가 떨어져 핀홀(25a)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 핀홀(25a)들을 막고, 제 1 금속층(25)의 도전성을 보완해, 제 2 전극층(24) 전체의 면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상기 제 1 금속층(25)의 상부에 제 2 금속층(26)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 2 금속층(26)은 적어도 각 화소의 발광영역에 대응되는 제 1 금속층(25)에 형성되어 있는 핀홀(25a)들을 막아주어, 발광영역에서 유기층(23)의 손상에 의한 다크 스폿(dark spot)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먼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는 상기 제 2 금속층(26)을 Ca과 같이 투과율이 높은 고투과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Ca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과율이 높은 고투과 금속이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이러한 제 2 금속층(26)은 30 내지 300Å으로 형성할 수 있는 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 금속층(26)을 30Å보다 얇게 형성할 경우에는 막의 균일도가 너무 낮게 되어 제 1 금속층(25)의 핀홀(25a)들을 차폐하는 효과가 떨어지고, 300Å보다 두껍게 하면, 투과율이 너무 떨어져 디스플레이의 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러한 제 2 금속층(26)을 40 내지 80Å으로 형성할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적의 투과율과 도전율을 얻을 수 있다.
제 2 금속층(26)은 증착방식에 의해 성막 가능하므로, 유기층(23)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제 2 금속층(26)의 상부로는 투명 도전층(27)을 형성한다. 이 투명 도전층(27)은 제 2 전극층(24)을 그 투과율을 유지시키고, 견고하도록 하며, 도전성을 보완해 주는 것으로, 투명한 전도성 물질인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으로 형성하며, 대략 800 내지 1200 Å 정도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 금속층(26)으로 말미암아 제 1 금속층(25)의 핀 홀(25a)들이 차폐되어 유기층(23)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유기층(23)을 더욱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도전층(27)을 스퍼터링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경우 플라즈마와 같이 에너지를 갖는 입자들에 의해 상기 유기층(2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제 1 금속층(25)을 MgAg 합금으로 하여, 그 두께를 110Å으로 고정하고, 투명 도전층(27)을 IZO로 하여, 그 두께를 800Å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제 2 금속층(26)으로 Ca을 사용하여 그 두께를 변화시켜가면서 제 2 전극층(24)의 투과율과 면저항을 측정한 것이다.
구조 면저항(Ω/sq) 투과율(%)
비교예1 MgAg110/Ca200/IZO800 14.41 27.854
비교예2 MgAg110/Ca180/IZO800 8.43 13.212
비교예3 MgAg110/Ca170/IZO800 9.15 16.846
비교예4 MgAg110/Ca150/IZO800 10.17 18.987
비교예5 MgAg110/Ca100/IZO800 12.34 13.782
실시예1 MgAg110/Ca80/IZO800 16.85 29.682
실시예2 MgAg110/Ca60/IZO800 15.74 30.183
실시예3 MgAg110/Ca40/IZO800 15.81 31.734
위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금속층(25)으로 Mg:Ag박막 110Å 형성 후, 제 2 금속층(26)으로 Ca 박막을 40~80Å 형성한 후에, 다시 투명 도전층(27)을 성막하여, 제 2 전극층(24)을 형성한 후, 면저항을 측정한 결과, 15~20Ω/sq의 낮은저항을 얻을 수가 있었으며, 투과율 또한 전면발광용 전극에 사용할 수 있는 결과로 나타난다. 제 1 금속층(25)인 Mg:Ag박막을 110~120Å의 두께로 조절하면 투과율이 30%이상 나오면서 낮은 면저항을 얻을 수 있는 조건이 된다. 또한, Mg:Ag박막 증착 후에 제 2 금속층(26)으로 Ca을 증착하여, 두꺼우면서도 투명한 막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 때, Ca을 40~80Å으로 한정하면, 저항과 투과율의 최적치를 얻을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투명 도전층(27)을 패시베이션막으로 형성하여 견고한 박막전극을 이룬다.
이런 구조를 갖는 제 2 전극층(24)은 광학적으로도 중요하다.
도 3 내지 도 5는 다양한 구조의 제 2 전극층(24)에 있어, 휘도와 광효율의 관계, 전압과 광효율의 관계, 및 색좌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Ⅰ은 Mg:Ag박막을 100Å으로 형성하고, 그 위에 IZO를 800Å으로 형성한 경우이고, Ⅱ는 Mg:Ag박막을 100Å으로 형성한 경우이며, Ⅲ은 Mg:Ag박막을 110Å으 로 형성하고, Ca을 40Å으로 형성한 후, 그 위에 다시 IZO를 800Å으로 형성한 경우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Ⅲ의 경우가 휘도에 따른 광효율이 가장 뛰어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Ⅲ의 경우 전압에 따른 광효율도 가장 뛰어나다. 또한,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Ⅲ의 경우 가장 우수한 색좌표를 나타난다.
본 발명은 반드시, 위 도 2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투명 도전층(27)을 제 2 금속층(26) 위에 별도의 버스 전극 라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버스 전극 라인 상의 투명 도전층(27)은 비발광되는 화소라인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세선(細線)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유기층 상부 전극을 투명 전극으로 형성할 때에, 유기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유기층 상부 전극을 투명한 이중 전극으로 형성할 때에, 이 이중 전극의 컨택트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셋째, 양면 발광형 또는 전면 발광형에 있어, 효율 저하를 감소할 수 있다.
넷째, 유기층 상부 전극을 투명한 이중 전극으로 형성할 때에, 플라즈마나 에너지를 갖는 입자로부터 유기층을 보호할 수 있다.
다섯째, 제 2 전극층의 투과율을 확보하면서도 낮은 면저항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층; 및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의 전기적 구동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층을 갖는 유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층은 상기 유기층의 방향으로부터 순차로 형성된 제 1 금속층, 제 2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으로 구비되며,
    상기 투명도전층은 상기 제 2 금속층 상에서 상기 제 2 금속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스 전극 라인으로 구비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층은 마그네슘과 은의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층은 80 내지 180Å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층은 110 내지 120Å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층은 칼슘, 또는 칼슘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층은 40 내지 80Å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전층은 ITO, IZO, ZnO, 또는 In2O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8. 삭제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층은 반사형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층은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040036655A 2004-05-22 2004-05-22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592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655A KR100592274B1 (ko) 2004-05-22 2004-05-22 유기 전계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655A KR100592274B1 (ko) 2004-05-22 2004-05-22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693A KR20050111693A (ko) 2005-11-28
KR100592274B1 true KR100592274B1 (ko) 2006-06-22

Family

ID=3728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655A KR100592274B1 (ko) 2004-05-22 2004-05-22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03B1 (ko) * 2005-12-26 2007-05-09 광주과학기술원 표면 플라즈마 공명을 이용한 유기 el소자의 제조방법
KR100826002B1 (ko) * 2007-03-28 2008-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US7635864B2 (en) 2007-11-27 2009-12-22 Lg Electronics Inc.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0870654B1 (ko) * 2007-11-27 2008-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693A (ko) 2005-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9450B2 (ja)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US7489075B2 (en) Double-sided light emit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a reflection laye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573132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211949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761924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794396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100592273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353589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8424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708715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GB2570789A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JP2006324537A (ja) 表示装置
KR100563058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1011302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9227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50117039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0705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8750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유기 발광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673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563066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28914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659097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53765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0919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77849A (ko) 전계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