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336B1 -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할당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할당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336B1
KR100584336B1 KR1020040047750A KR20040047750A KR100584336B1 KR 100584336 B1 KR100584336 B1 KR 100584336B1 KR 1020040047750 A KR1020040047750 A KR 1020040047750A KR 20040047750 A KR20040047750 A KR 20040047750A KR 100584336 B1 KR100584336 B1 KR 100584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identifier
length
region
area
mobile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3211A (ko
Inventor
김일환
조성현
윤상보
박원형
강충구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7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336B1/ko
Priority to US11/125,585 priority patent/US7339921B2/en
Priority to EP05013605.0A priority patent/EP1610522B1/en
Publication of KR20050123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3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4Organization of routing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로드 영역으로 구성되는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AC PDU: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구조를 가지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헤더 영역은 미리 설정한 제1길이를 가지며,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1연결 식별자 영역과, 미리 설정한 제2길이를 가지며,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의 연결 식별자와 연접되어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2연결 식별자 영역과,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타입 영역을 포함하며; 이후 임의의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연결 식별자를 할당해야함을 검출하면,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할 연결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의 길이가 상기 제1길이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에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를 포함시키며, 상기 타입 영역에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을 사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MAC PDU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CID, MAC 헤더, 주소지정, Extend CID 서브 헤더, 주소 지정

Description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ON IDENTIFICATION ALLOC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MAC PDU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d 시스템의 MAC PDU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d 시스템의 MAC 헤더를 포함한 프레임의 구조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연결 식별자를 할당하는 기지국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연결 식별자를 회수하는 기지국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이익을 성능 곡선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연결 식별자(Connection Identification, 이하 'CID'라 칭하기로 한다)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th Generation; 이하 '4G'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에서는 약 100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 칭하기로 한다)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4G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이하 'LAN'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이하 'MAN'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BWA: Broadband Wireless Access) 통신 시스템에 이동성(mobility)과 QoS를 보장하는 형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 무선 MAN 시스템의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에 광대역(broadband) 전송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및 OFDMA 방식을 적용한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 통신 시스템은 상기 무선 MAN 시스템에 OFDM/OFDMA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다수의 서브 캐리어(sub-carrier)들을 사용하여 물리 채널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며, 결국 상기 IEEE 802.16 통신 시스템은 OFDM/OFDMA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이다. 특히,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기(Subscriber Station: 이하 'SS'라 칭하기로 한다)에 무선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이다. 또한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을 가지는 상기 SS를 이동 가입자 단말기(MSS: Mobile Subscriber Station, 이하 'MSS'라 칭하기로 한다)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IEEE 802.16d 통신 시스템 구조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은 일반적인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은 다중 셀 구조를 가지며, 즉 셀(100)과 셀(150)을 가지며, 상기 셀(100)을 관장하는 기지국(BS: Base Station)(110)과, 상기 셀(150)을 관장하는 기지국(140)과, 다수의 MSS들(111),(113),(130),(151),(15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들(110),(140)과 상기 MSS들(111),(113),(130),(151),(153)간의 신호 송수신 은 상기 OFDM/OFDMA 방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MSS들(111),(113),(130),(151),(153) 중 MSS(130)는 상기 셀(100)과 상기 셀(150)의 경계 지역, 즉 핸드오프 영역에 존재한다. 즉, 상기 MSS(130)는 상기 기지국(11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기지국(140)이 관장하는 셀(150)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서빙 기지국(serving BS)이 상기 기지국(110)에서 상기 기지국(140)으로 변경되게 된다.
상기 도 1에서는 일반적인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2을 참조하여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라 칭하기로 한다) 계층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가로축(245)은 OFDMA 심벌 번호(OFDMA symbol number)를 나타내며, 세로축(247)은 서브 채널 번호(sub-channel number)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개의 OFDMA 프레임은 다수개, 일 예로 13개의 OFDMA 심벌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1개의 OFDMA 심벌은 다수 개, 일예로 L+1개의 서브 채널들로 구성된다. 상기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은 상기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서브 캐리어들, 특히 데이터 서브 캐리어들을 전체 주파수 대역에 분산시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frequency diversity gain)을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수신기간에 시간 오프셋(time offset) 및 주파수 오프셋(frequency offset)을 조정하고, 송신 전력(transmit power)을 조정하기 위해 레인징(ranging)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downlink)에서 업링크(uplink)로의 변환은 송신/수신 천이 공백(TTG: 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 이하 'TTG'라 칭하기로 한다)(151) 동안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업링크에서 다운링크로의 변환 과정 역시 상향 링크에서 하향 링크로의 변환 역시 수신/송신 천이 공백(RTG: 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 이하 'RTG'라 칭하기로 한다)(255) 동안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TTG(251) 및 RTG(255) 이후에는 별도의 프리앰블(preamble) 영역들(211,231,233,235)을 할당하여 송수신기간에 동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서는 다운링크 프레임(249)이 프리앰블 영역(211)과, 프레임 관리 헤더(Frame Control Header; 이하 'FCH'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213)과, 다운링크 MAP(DL-MAP, 이하 'DL-MAP'이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215)과, 업링크 MAP(UL-MAP, 이하 'UL-MAP'이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들(217,219)과, 다수의 다운링크 버스트(DL burst, 이하 'DL burst'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들, 즉 DL burst #1 영역(223)과, DL burst #2 영역(225)과, DL burst #3 영역(221)과, DL burst #4 영역(227)과, DL burst #5 영역(229)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리앰블 영역(211)은 송수신 기간에 동기 획득을 위한 동기 신호, 즉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를 송신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FCH(213) 영역은 2개의 서브 채널들로 구성되어 서브 채널, 레인징, 변조 방식 등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DL_MAP 영역(215)은 DL_MAP 메시지를 송신하는 영역이며, UL_MAP 영역들(217,219)은 UL_MAP 메시지를 송신하는 영역들이다. 여기서, 상기 DL_MAP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 엘리먼트(IE: Information Element, 이하 'IE'라 칭하기로 한다)들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04027502217-pat00001
상기 표 1에서, 다운링크 구간 사용 코드(DIUC: Downlink Interval Usage Code, 이하 'DIUC'라 칭하기로 한다)는 현재 송신되는 메시지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변조되어 송신되는지를 나타내며, 연결 식별자(CID: Connection IDentifier, 이하 'CID'라 칭하기로 한다)는 상기 DIUC에 해당하는 SS들 각각의 CID를 나타낸다.
또한, OFDMA 심벌 오프셋(symbol offset)은 DL burst에 할당되는 심벌 자원의 오프셋을 나타내며, 서브 채널 오프셋(subchannel offset)은 DL burst에 할당되는 서브 채널 자원의 오프셋을 나타내며, Boosting은 송신 전력시 증가시키는 전력값을 나타내며, OFDMA 심벌의 개수(No. OFDMA Symbols)는 할당된 OFDMA 심벌들의 개수를 나타내며, 서브 채널의 개수(No. Subchannels)는 할당된 서브 채널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정보는 DIUC별로 SS들 각각에 대한 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표기되며, 따라서 상기 SS들 각각은 상기 DL_MAP 메시지를 모두 복조해야만 상기 SS 자신을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L_MAP 메시지에 포함되는 IE들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04027502217-pat00002
상기 표 2에서, CID는 해당 SS의 CID를 나타내며, 업링크 구간 사용 코드(UIUC: Uplink Interval Usage Code, 이하 'UIUC'라 칭하기로 한다)는 상기 해당 SS가 송신해야하는 메시지가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어떠한 방식으로 변조되어 송신되어야하는지를 나타낸다. 나머지 값들은 상기 표 1에서 설명한 값들과 유사한 값들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서는 업링크 프레임(253)이 레인징 서브 채널 영역(243)과, 다수의 프리엠블 영역들(231,233,235)과, 다수의 업링크 버스트(UL burst, 이하 'UL burst'라 칭하 기로 한다) 영역들, 즉 UL burst #1 영역(237)과, UL burst #2 영역(239)과, UL burst #3 영역(241)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인징 서브 채널 영역(243)은 레인징을 위한 레인징 서브 채널들이 송신되는 영역이며, 상기 프리앰블 영역들(231,233,235)은 송수신기간 동기 획득을 위한 동기 신호, 즉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를 송신하는 영역이다. 상기 DL_MAP 영역을 통하여 각 Connection에 할당하는 CID를 포함한 정보들이 전송된다.
그러면, 여기서,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 이하 'PDU'라 칭하기로 한다)의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반적인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MAC PDU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MAC PDU 헤더(Generic MAC PDU Header)영역과, 페이로드(Payload) 영역과,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이하 'CRC'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으로 구성된다. 상기 헤더 영역을 통해서는 상기 MAC PDU 전송을 위한 헤더 정보가 전송되며, 상기 페이로드 영역을 통해서는 사용자 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CRC 영역을 통해서는 상기 MAC PDU 에러 검출을 위한 CRC 비트(bit)가 전송된다.
상기 MAC 헤더 영역은 HT(Header Type, 이하 'HT'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과, EC(Encryption, 이하 "EC"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과, 타입(Type, 이하 "Type"이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과, 예약(RSV: Reserved) 영역과, CRC 지시자(CI: CRC Indicator, 이하 "CI"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과, EKS(EKS: Encryption Key Sequence) 영역과, 길이(LEN: Length) 영역과, CID 영역과, 헤더 체크 섬(HCS: Header Check Sum, 이하 "HCS"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으로 구성된다. 상기 HT 영역은 일반적인 MAC PDU의 전송을 하는지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지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EC 영역은 현재 전송되는 프레임에 암호화가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Type 영역은 서브 헤더(Sub Header)의 타입을 나타낸다. 상기 Type 영역은 일예로 6비트로 표현되며, 상기 6비트 각각은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Figure 112004027502217-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Type 영역은 6비트로 표현되며, 상기 Type 영역의 비트 값에 따라서 상기 서브 헤더의 타입이 결정된다.
즉, 첫 번째로, 상기 Type 영역의 0번 비트(#0)는 자동 재전송 요청(ARQ: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이하 'ARQ'라 칭하기로 한다) 응답(ACK) 전송 을 위한 영역 할당을 나타내는 ARQ_ACK ALLOCATION 서브 헤더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또는 상기 Type 영역의 첫 번째 비트(#0)는 자원 요청을 할당하는 GM(Grant Management) 서브 헤더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두 번째로, 상기 Type 영역의 1번 비트(#1)는 전송하는 서브 헤더 패킷(packet)의 크기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결정되어 있는 서브 헤더 패킷의 크기보다 작을 때 두 개 이상의 패킷들을 연접(concatenation)하여 전송하는 패킹(packing) 서브 헤더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세 번째로, 상기 Type 영역의 2번 비트(#2)는 전송하는 서브 헤더 패킷의 크기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서브 헤더 패킷의 크기보다 클 때 두 개 이상의 패킷들로 나누어 전송하는 FRAGMENTATION 서브 헤더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네 번째로, 상기 Type 영역의 3번 비트(#3)는 확장 타입(Extended Type)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다섯 번째로, 상기 Type 영역의 4번 비트(#4)는 고속(Fast ARQ)를 위한 ARQ 피드백(Feedback) 페이로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여섯 번째로, 상기 Type 영역의 5번 비트(#5)는 매쉬 네트워크(Mash Network)에서 적용되는 패킷을 전송하는 Mesh 서브 헤더의 사용여부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RSV 영역은 향후 사용 용도로 예약된 영역이다. 상기 CI 영역은 상기 MAC PDU의 CRC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EKS 영역은 어떤 암호화키가 사용되는지, 즉, 상기 MAC PDU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키의 종류를 나타낸다. 상기 LEN 영역은 상기 MAC PDU 페이로드 영역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CID 영역은 상 기 MAC PDU가 전송되는 연결(Connection, 이하 'Connection'이라 칭하기로 한다)의 CID를 나타내며, 마지막으로 HCS 영역을 통해서는 상기 헤더 영역의 에러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HCS가 전송된다.
상기, CID 영역을 통해서 전송되는 CID는 16비트길이를 가진다고 가정하기로 하며, 상기 CID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MSS가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상기 MSS과 상기 기지국간의 Connection이 설정되어야만 한다. 여기서, 상기 Connection은 상기 MSS과 기지국간에 정보, 즉 제어 데이터(Control data)와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를 송수신하기 위해 설정되는 MAC 피어(Peer)들 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상기 MSS과 기지국간에 설정되는 Connection의 개수 및 종류는 다수 개이며, 따라서 상기 MSS과 기지국간에 설정되는 Connection들을 구분하기 위한 CID들이 할당된다. 또한 상기 MSS 뿐만 아니라 CID 할당이 가능한 모든 매체에 CID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ID는 상기 기지국이 각 Connection에 대하여 할당한 식별자(Identification: 이하 'ID'라 칭하기로 한다)를 나타내며, 상기 MAC PDU의 헤더영역을 통하여 전송된다. 또한 상기 CID는 상기 기지국과 MSS간 자원 할당 및 프로토콜 제어 등의 모든 MAC 계층의 시그널링(Signaling)들에 사용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CID는 기지국과 MSS간의 신호 송수신에 있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자원이다. 그러나, 현재 상기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6비트의 고정 길이를 가지는 CID를 사용하고 있 으며, 따라서 상기 CID 송수신이 상기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Overhead)로 작용하며, 결과적으로 자원의 효율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CID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로드 영역으로 구성되는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AC PDU: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구조를 가지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더 영역은 미리 설정한 제1길이를 가지며,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1연결 식별자 영역과, 미리 설정한 제2길이를 가지며,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의 연결 식별자와 연접되어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2연결 식별자 영역과,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타입 영역을 포함하며; 이후 임의의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연결 식별자를 할당해야함을 검출하면,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할 연결 식별자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의 길이가 상기 제1길이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에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를 포함시키며, 상기 타입 영역에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을 사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 켜 상기 MAC PDU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로드 영역으로 구성되는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AC PDU: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구조를 가지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할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헤더 영역은 미리 설정한 제1길이를 가지며,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1연결 식별자 영역과, 미리 설정한 제2길이를 가지며,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의 연결 식별자와 연접되어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2연결 식별자 영역과,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타입 영역을 포함하며; 이후 임의의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연결 식별자를 할당해야함을 검출하면,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할 연결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의 길이가 상기 제1길이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에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를 포함시키며, 상기 타입 영역에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을 사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MAC PDU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MAC PDU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MAC PDU의 타입 영역이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을 사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의 연결 식별자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 자신의 연결 식별자로 검출하는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BWA: Broadband Wireless Access) 통신 시스템, 일 예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d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연결 식별자(CID: Connection Identifier, 이하 "CID"라 칭하기로 한다)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상기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자원 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라 칭하기로 한다)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 이하 'PDU'라 칭하기로 한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MAC PDU는 헤더(MAC Header) 영역과, 페이로드(Payload) 영역과, CRC(Cyclic Redundancy Check) 영역으로 구성된다. 상기 MAC 헤더 영역은 HT(Header Type, 이하 'HT'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과, EC(Encryption, 이하 "EC"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과, 타입(Type, 이하 "Type"이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과, CRC 지시자(CI: CRC Indicator, 이하 "CI"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과, EKS 영역과, 페이로드 CID 타입(Payload CID Type) 영역과, 길이(LEN: Length) 영역과, CID 영역과, 미사용 헤더(Unused Header) 영역과, 헤더 체크 섬(HCS: Header Check Sum, 이하 "HCS"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으로 구성된다.
상기 HT 영역은 일반적인 MAC PDU의 전송과 대역폭 요구에 대한 것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EC 영역은 현재 전송되는 프레임에 암호화가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Type 영역은 서브 헤더(Sub Header)의 타입을 나타낸다. 상기 Type 영역은 일 예로 7비트로 표현되며, 상기 7비트 각각은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Figure 112004027502217-pat00004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Type 영역은 7비트로 표현되며, 상기 Type 영역의 비트 값에 따라서 상기 서브 헤더의 타입이 결정된다.
즉, 첫 번째로, 상기 Type 영역의 0번 비트(#0)는 자동 재전송 요청(ARQ: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이하 'ARQ'라 칭하기로 한다) 응답(ACK) 전송 을 위한 영역 할당을 나타내는 ARQ_ACK ALLOCATION 서브 헤더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또는 상기 Type 영역의 첫 번째 비트(#0)는 자원 요청을 할당하는 GM(Generic MAC) 서브 헤더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두 번째로, 상기 Type 영역의 1번 비트(#1)는 전송하는 서브 헤더 패킷(packet)의 크기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서브 헤더 패킷의 크기보다 작을 때 두 개 이상의 패킷들을 연접(concatenation)하여 전송하는 패킹(packing) 서브 헤더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세 번째로, 상기 Type 영역의 2번 비트(#2)는 전송하는 서브 헤더 패킷의 크기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서브 헤더 패킷의 크기보다 클 때 두 개 이상의 패킷들로 나누어 전송하는 FRAGMENTATION 서브 헤더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네 번째로, 상기 Type 영역의 3번 비트(#3)는 확장 타입(Extended Type)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다섯 번째로, 상기 Type 영역의 4번 비트(#4)는 고속 ARQ(Fast ARQ)를 위한 ARQ 피드백(Feedback) 페이로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여섯 번째로, 상기 Type 영역의 5번 비트(#5)는 매쉬 네트워크(Mash Network)에서 적용되는 패킷을 전송하는 Mesh 서브 헤더의 사용여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0번 비트에서 5번 비트까지는 종래의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도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된다. 즉, 종래의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에서는 MAC 헤더의 Type 영역의 6비트들을 통해서 서브 헤더의 타입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헤더 영역의 예 비 (RSV: Reserved) 영역을 상기 Type 영역에 추가시켜, 총 7비트들을 통해서 상기 서브 헤더 타입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Type 영역의 6번 비트(#6)는 확장된 CID(Extended CID, 이하 "Extended CID"라 칭하기로 한다)를 사용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Extended CID 서브 헤더의 사용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Extended CID를 사용할 경우 상기 페이로드 영역에 상기 Extended CID를 나타내는 Extended CID 영역이 포함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7비트의 Type 영역에서는 종래의 서브 헤더의 타입을 나타내는 역할과 함께 Extended CID 서브 헤더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MAC PDU의 CI 영역은 상기 MAC PDU의 CRC의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EKS 영역은 어떤 암호화키가 사용되는지, 즉, 상기 MAC PDU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키의 종류를 나타낸다.
또한, 종래의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의 RSV 영역은 그 값이'0'일 경우에는 페이로드 영역의 CID가 8비트로 연접되고'1'일 경우에는 페이로드 영역의 CID가 16비트가 연접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LEN 영역은 상기 MAC PDU 페이로드 영역의 길이를 나타낸다. 헤더 체크 섬(HCS: Header Check Sum, 이하 "HCS"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을 통해서는 상기 헤더 영역의 에러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HCS가 전송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CID가 8비트로 할당되기 때문에, 종래의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CID 할당을 위한 16비트들중 8비트는 사용하지 않는 헤더 영역이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에 따라서 MAC 헤더를 구성할 경우 CID 길이가 16비트에서 8비트로 감소되므로, 시그널링 오버헤드(signalling overhead)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ID 길이가 확장되어야할 경우 페이로드 영역의 Extended CID 영역을 사용하게 되므로, CID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동적인 CID 할당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MAC 헤더영역의 CID 영역에서는 하기의 ID Type 영역에 따라 MSS의 주소 할당에 사용되는 서브 ID인지 제어 정보등에 사용되는 ID인지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ID Type이 존재한다. 여기서, 상기 ID Type에 따른 사용 여부는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04027502217-pat00005
상기의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ID Type 영역이 '00'인 경우 에는 3가지 형태의 서브 ID들이 존재한다. 첫 번째로, 서브 ID가 '000000'인 경우에는 방송 제어에 사용된다. 두 번째로, 서브 ID가 '000001'인 경우에는 방송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된다. 세 번째로, 서브 ID가 '000010-111111'인 경우에는 다중방송에 사용된 다.
ID Type 영역이 '01'이고 서브 ID가 '000001-111111'인 경우에는 모든 MSS들의 기본 ID들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ID Type 영역이 '10'이고 서브 ID가 '000001-111111'일 때에는 CID가 되고 모든 Connection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ID Type 영역이 '11'이고 서브 ID가 '111111'인 경우에는 공통 ID( Common ID)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ID Type 영역의 사용은, 예를 들면, 초기 레인징(ranging) 요구 등에 사용된다.
상기에서는, 상기 CID 영역을 2비트의 ID Type과 6비트의 서브 ID로 구분한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ID Type와 서브 ID의 크기는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AC 헤더를 포함한 프레임의 구조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에는, MAC 헤더부의 각 영역에 따른 프레임 구조에 따른 ID 할당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MAC 헤더부의 ID 필드에서는 ID Type 필드와 서브 ID 필드로 구분된다. 상기 MAC 헤더의 HT 필드 값과 상기 HT 필드 값에 대응한 프레임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HT 필드 값이'0'인 경우는 일반적인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이하 'PDU'라 칭하기로 한다)의 구조를 갖는다. HT 필드 값이 '1'인 경우에는 대역폭의 요구를 한다.
또한 Type 영역에서 '0XXXXXX'인 경우에는 Extended CID 서브헤더의 확장 없 이 8비트의 CID 영역을 사용한다. 그러나 Type영역이'1XXXXXX'인 경우에는 MAC 헤더 이후에 페이로드 영역을 사용하여 연장함으로서 ID를 상기 CID의 영역과 함께 Extended ID 영역을 확장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 Type 영역에서'0', '1'로 표시되어 CID의 연접 여부를 결정하는 비트는 상기 표 4의 6번 비트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확장된 영역은 하기의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112004027502217-pat00006
상기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Extended 서브 헤더의 구조는'00000000-11111111' 구간의 값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내고 ID의 명칭은 'Extended ID'이고 모든 ID를 확장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확장된 ID영역을 사용하게 되면 ID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비트 수의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HT 필드 값에 대응한 일반적인 PDU 와 대역폭 요구를 포함한 프레임에서 CID의 값이 '100001', '101100', '101111', '101111'인 경우가 일예로 나타나있다. 그리고 Type필드 값에 따른'0XXXXXX'인 경우에는 ID의 확장이 없고, '1XXXXXX'인 경우에 대응하는 Extended CID 서브헤더 값이 '00010011', '00010000'인 경우가 일예로 나타나있다. 상기의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면 서브 ID를 사용하는 경우와 Extended CID 서브헤더를 연접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따라서 구분이 가능한 MSS의 개수는 증가한다.
상기와 같은 주소 지정 방법을 사용하면 기지국이 한 셀(Cell) 혹은 섹터(Sector)에서 MSS를 구분하는데 있어서 상기의 표 5에 나타난 서브 ID만을 사용한 경우 64(
Figure 112004027502217-pat00007
)개의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표 6에 나타난 확장된 ID가 연접되어 사용된 경우에는 16384(
Figure 112004027502217-pat00008
)개의 MSS의 구분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연결 식별자를 할당하는 기지국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6에서 기지국은 동적으로 ID 할당을 하기 위한 레인징 요구 메시지 및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MSS로부터 수신한다(602).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에서는 상기 레인징 요구 및 대역폭 요구 메시지가 새로운 MSS로부터의 메시지인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604). 상기 메시지가 새로운 MSS가 아니라면 상기 기지국은 ID할당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메시지가 새로운 MSS에서의 레인징 요구 및 대역폭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것이라면 페이로드부의 8비트를 사용하여 Extended CID 서브헤더 영역의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608). 상기 판단 과정에 있어서 상기 MSS에게 MAC 헤더의 CID 만으로도 상기 MSS에 주소 할당이 가능하다면 Extended CID 서브헤더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MSS에 주소 지정을 한다(610). 상기 8비트의 Extended CID 서브헤더 영역의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Extended CID 서브헤더 영역을 필요로 할 때 MAP이나 Ranging response 응답을 통하여 8비트 ID와 8비트 Extended CID 서브헤더를 할당하는 과정을 거친다(612). 또한 상기 8비트 ID와 Extended CID 서브헤더의 사용에 따라서 동적 인 CID 할당이 끝나면 CID 할당을 종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Extended CID를 할당하는 도중에 MAC PDU의 CID 영역만으로도 CID 할당이 가능하다면 상기 CID 영역만을 사용하여 CID를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8 비트의 Extended CID를 할당할 때 헤더부의 제어를 통하여 16비트까지 Extended CID 영역의 확장이 가능하다. 그래서 CID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종래의 MAC 헤더 영역의 길이는 48비트의 길이로 존재하였으나 CID의 길이를 8비트로 감소시켜 MAC 헤더 영역의 길이를 40비트로 줄여서 사용한다. 또한 MSS의 요구에 따라서 페이로드 영역의 Extended CID로 확장하여 CID 할당에 사용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연결 식별자를 회수하는 기지국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에서는 ID를 회수하기 위해서 MSS이 우선 동적 서비스 삭제를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701). 또한 상기 동적 서비스 삭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MSS으로부터 동적 서비스 삭제 응답을 송신한다(702). 상기의 메시지 송수신 과정을 거쳐서 기지국에서는 CID의 할당을 종료한다(706).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소지정 방법을 사용할 때 성능 곡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8에서 그래프의 세로축은 오버헤드 이익(Gain)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고 가로축은 CID를 할당할 MSS의 수(N)를 나타낸다. 그래서 상기의 그래프는 MSS의 증가에 따른 사용자 이익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오버헤드 이익은 하기 수학 식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04027502217-pat00009
상기의 수학식 1에서 분모는 종래의 IEEE 802.16d 통신 시스템에서의 오버헤드를 나타낸 것이고 분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분수 값에 백분율을 취한 것이 오버헤드 이익으로 나타나있다. 즉, 오버헤드 이익의 값이 작을 때 오버헤드의 효율은 향상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MSS의 수(N)에 따른 오버헤드의 효율을 고려하면 일반적인 시스템에서의 MSS의 수가 200-600일 경우를 고려하면 시스템 전체 오버헤드의 효율은 약 5% - 16%정도 향상됨을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는 CID를 동적으로 할당함으로써, CID 전송으로 인한 시그널링 오버헤 드를 최소화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CID 전송으로 인한 시그널링 오버헤드 최소화는 상기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자원 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9)

  1.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로드 영역으로 구성되는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AC PDU: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구조를 가지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더 영역은 미리 설정한 제1길이를 가지며,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1연결 식별자 영역과,
    미리 설정한 제2길이를 가지며,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의 연결 식별자와 연접되어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2연결 식별자 영역과,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타입 영역을 포함하며;
    이후 임의의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연결 식별자를 할당해야함을 검출하면,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할 연결 식별자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의 길이가 상기 제1길이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에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를 포함시키며, 상기 타입 영역에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을 사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MAC PDU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의 길이가 상기 제1길이와 상기 제2길이를 가산한 길이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과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을 연접하여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를 포함시키며, 상기 타입 영역에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을 사용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MAC PDU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길이는 상기 제1길이와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하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영역은 상기 제2길이가 상기 제1길이와 동일한 길이인지 혹은 상이한 길이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로드 영 역으로 구성되는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AC PDU: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구조를 가지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할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헤더 영역은 미리 설정한 제1길이를 가지며,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1연결 식별자 영역과,
    미리 설정한 제2길이를 가지며,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의 연결 식별자와 연접되어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2연결 식별자 영역과,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타입 영역을 포함하며;
    이후 임의의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연결 식별자를 할당해야함을 검출하면,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할 연결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의 길이가 상기 제1길이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에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를 포함시키며, 상기 타입 영역에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을 사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MAC PDU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MAC PDU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MAC PDU의 타입 영역이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을 사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의 연결 식별자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 자신의 연결 식별자로 검출하는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의 길이가 상기 제1길이와 상기 제2길이를 가산한 길이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과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을 연접하여 상기 결정한 연결 식별자를 포함시키며, 상기 타입 영역에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을 사용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MAC PDU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는 상기 MAC PDU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MAC PDU의 타입 영역이 상기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을 사용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1연결 식별자 영역과 제2연결 식별자 영역을 연접하여 검출한 연결 식별자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 자신의 연결 식별자로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길이는 상기 제1길이와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하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영역은 상기 제2길이가 상기 제1길이와 동일한 길이인지 혹은 상이한 길이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KR1020040047750A 2004-06-24 2004-06-24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할당시스템 및 방법 KR10058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750A KR100584336B1 (ko) 2004-06-24 2004-06-24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할당시스템 및 방법
US11/125,585 US7339921B2 (en) 2004-06-24 2005-05-10 Connection identification allocating system and method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EP05013605.0A EP1610522B1 (en) 2004-06-24 2005-06-23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MAC-PDU comprising a type field indicating whether one or two fields are used for a connection ident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750A KR100584336B1 (ko) 2004-06-24 2004-06-24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할당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3211A KR20050123211A (ko) 2005-12-29
KR100584336B1 true KR100584336B1 (ko) 2006-05-26

Family

ID=3497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750A KR100584336B1 (ko) 2004-06-24 2004-06-24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할당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39921B2 (ko)
EP (1) EP1610522B1 (ko)
KR (1) KR100584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8560A1 (en) * 2007-12-31 2009-07-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hanging the signaling format of messaging control information
KR101216153B1 (ko) * 2007-10-04 2012-12-27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시스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3773A2 (en) * 2004-10-18 2006-04-27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in an orthogon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ofdm access (of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564831B2 (en) * 2004-12-27 2009-07-2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using an extended subheader
WO2006101369A1 (en) * 2005-03-24 2006-09-2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necting to network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1084130B1 (ko) 2005-03-24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전송 방법
US7792108B2 (en) * 2005-04-08 2010-09-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catenated fram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54913B2 (en) 2005-08-18 2012-08-28 Smartsky Networks LLC Terrestrial based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s mesh network
US20070042773A1 (en) * 2005-08-18 2007-02-22 Alcorn Donald L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in-flight aircraft
US8977258B2 (en) * 2005-09-09 2015-03-10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fixed and mobile subscriber station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s
US7933236B2 (en) * 2005-10-27 2011-04-2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a wireless routing architecture and protocol
US7965649B2 (en) * 2005-11-04 2011-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back of subcarrier quality estimation in an OFDM/OFDMA system
CN1964219B (zh) * 2005-11-11 2016-01-20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实现中继的方法和设备
CN1964521B (zh) * 2005-11-11 2010-05-12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一种在无线通信网络中的无线自回传方法及装置
KR100901137B1 (ko) * 2006-01-03 2009-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연결식별자관리 방법 및 장치
US7639712B2 (en) * 2006-01-06 2009-12-29 Fujitsu Limited Low-level media access layer processors with extension buses to high-level media access layers for network communications
US7630402B2 (en) * 2006-01-06 2009-12-08 Fujitsu Limited Media access layer processors for network communications
KR20070079511A (ko) * 2006-02-02 2007-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및 할당 방법
US8089881B2 (en) 2006-03-03 2012-0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spectrum use efficiency in a mesh network
EP1903710A3 (en) * 2006-09-20 2014-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data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323582B (en) * 2006-10-04 2010-04-11 Inst Information Industry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application program for adjusting the number of connection identification
CN101536386B (zh) * 2006-11-10 2012-06-27 富士通株式会社 无线通信***
KR101223235B1 (ko) * 2006-11-16 201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 단말의 와이브로 네트워크 연동 방법 및 그 시스템
US9385881B2 (en) * 2006-12-15 2016-07-05 Thomson Licensing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aggregation in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media access control layer
US7937090B2 (en) 2006-12-26 2011-05-03 Wi-Lan Inc. Shorthand connection identifier with embedded subfield
WO2008132683A1 (en) * 2007-04-27 2008-11-06 Nokia Corporation Header type notification for co-existence of legacy header and new headers on same radio link
US8005091B2 (en) * 2007-07-10 2011-08-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maintaining hybrid connection identifications (IDs) for peer-to-peer wireless networks
US7974312B2 (en) * 2007-07-31 2011-07-05 Intel Corporation Compressed medium access control (MAC) header structure for MAC overhead reduction in 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systems
US8693406B2 (en) * 2007-08-09 2014-04-08 Intel Corporation Multi-user resource allocation and medium access control (MAC) overhead reduction for 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systems
KR101406458B1 (ko) * 2007-08-31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할당 요청 및 대역폭 할당 시스템및 방법
US7894449B2 (en) * 2007-10-03 2011-02-2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subscriber station identifications and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1446359B1 (ko) * 2007-10-09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맥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생성과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0943758B1 (ko) * 2007-11-01 2010-02-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 생성 방법 및 처리방법
EP2066078A1 (en) * 2007-11-27 2009-06-03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for resource assignment signalling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for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5410448B2 (ja) * 2008-01-07 2014-02-05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送信方法、ユーザ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WO2009108010A2 (ko) * 2008-02-27 2009-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채널 할당방법
KR101467786B1 (ko) * 2008-02-27 201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채널 할당방법
CN102057609B (zh) * 2008-06-05 2014-12-03 诺基亚通信公司 无线通信网络中的接收单元和用于生成自动重传请求反馈消息的方法
WO2010028312A2 (en) * 2008-09-05 2010-03-11 Zte (Usa) Inc. Mac layer packet data unit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0082768A2 (ko) * 2009-01-14 2010-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효율적인 mac 헤더 설계 및 이를 이용한 통신
KR101216100B1 (ko) 2009-11-18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편화 패킹 확장헤더를 수반하는 mac pdu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90982B2 (en) 2010-09-29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US9602298B2 (en) 2010-09-29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a type of control field
US9813135B2 (en) 2010-09-29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US9882624B2 (en) 2010-09-29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US9831983B2 (en) 2010-09-29 2017-11-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rol field and modulation coding scheme information
US9806848B2 (en) 2010-09-29 2017-10-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rol field and modulation coding scheme information
US9077498B2 (en) 2010-09-29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US9374193B2 (en) 2010-09-29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TWI452886B (zh) * 2011-08-07 2014-09-11 Mediatek Inc 映射統一參數的方法
US9949063B2 (en) 2015-06-01 2018-04-17 Apple Inc. Bluetooth low energy triggering NAN for further discovery and connection
WO2021223199A1 (en) * 2020-05-08 2021-11-11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schemes for multi-user payloa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1493B (fi) * 2000-09-22 2003-07-31 Nokia Corp Kontekstitunnisteen määrittäminen otsikkokenttien kompressoinnissa
SE0004736D0 (sv) 2000-12-20 2000-12-20 Ericsson Telefon Ab L M Mapping system and method
US7583623B2 (en) * 2001-03-02 2009-09-01 Ofer Zimmerman Method and system for packing management messages in a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153B1 (ko) * 2007-10-04 2012-12-27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시스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9088560A1 (en) * 2007-12-31 2009-07-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hanging the signaling format of messaging contro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0522B1 (en) 2014-05-07
KR20050123211A (ko) 2005-12-29
US7339921B2 (en) 2008-03-04
EP1610522A1 (en) 2005-12-28
US20050286451A1 (en)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336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할당시스템 및 방법
KR100770865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EP1744511B1 (en) Dynamic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an ofdma system
EP2469956B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764934B1 (en) Method for generating a frame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EP17237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ap ie using reduced cid in broadband ofdma systems
KR101792110B1 (ko) 업링크 시그널링 시스템 및 방법
EP15340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on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84227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バースト割り当て方法及びシステム
US80101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KR100948550B1 (ko)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US77513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traffic and associated control channels
KR20050044219A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US92880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signaling using time-frequency resources
US85206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nd identifying frequency resources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WO2009072791A1 (en) Group scheduling method, method for selectively receiving information elements according to group schedul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06225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情報送信及び受信方法と,これを用いる無線基地局及び無線端末
KR20060016279A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KR20050091593A (ko) 광대역 직교 주파수 다중화 접속 시스템에서의 이동단말을 위한 회선 스트림 정보 요소 구성 방법
KR20050091578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수신 장치 및방법
KR20060038305A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다운링크 채널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090289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shak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94840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