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363B1 -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363B1
KR100577363B1 KR1020040077820A KR20040077820A KR100577363B1 KR 100577363 B1 KR100577363 B1 KR 100577363B1 KR 1020040077820 A KR1020040077820 A KR 1020040077820A KR 20040077820 A KR20040077820 A KR 20040077820A KR 100577363 B1 KR100577363 B1 KR 10057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enu
user
digit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914A (ko
Inventor
최원민
이주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7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36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8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1/42227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 H04N21/42228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the reprogrammable keys being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keys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로부터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른 현재 디스플레이된 메뉴의 시각적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각적 변화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입체감을 제공하는 입체 음향 신호를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메뉴 네비게이션, 입체 음향,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의 직관성

Description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implementing stereo sound in menu navigation}
도 1은 디지털 정보가전의 진화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방향 입력키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디지털 TV에서 음향 정보가 결합하여 메뉴 네비게이션이 수행되는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TV와 스피커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향 입력키를 누른 경우 출력되는 입체 음향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 입력키를 누른 경우 출력되는 입체 음향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를 회전하는 경우 출력되는 입체 음향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선택에서 입체 음향을 지원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 방향 입력키 601, 602 : 조그셔틀
700 : 스피커 1000 : 디지털 TV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 특정 부류에만 국한된 인터넷이 웹의 구현을 통해 널리 퍼지게 되면서, 디지털 산업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쳐왔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와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는 컨텐츠는 21세기 디지털 산업의 척도가 되고있다. 여기에 인터넷 망의 초고속화,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을 통해 컨텐츠의 멀티미디어화가 이루어지면서, 이제 멀티미디어는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한편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정보 통신의 개념은 유비쿼터스(Ubiquitous) 라는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의미의 라틴어로,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의미한다.
도 1은 디지털 정보가전의 진화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1980년대는 컴퓨팅 네트워크 시대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와 노트북, 메인 프레임 컴퓨터와 워크스테이션 등이 네트워크를 이루며 정보를 교환하였다. 이는 연구소, 또 는 사무실 등 그 사용 영역이 한정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인터넷이 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홈스테이션에 대한 관심이 조금씩 대두되고, 또한 연구소와 사무실에 국한되던 인터넷이 개인과 가정에도 들어오게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무선 네트워크의 발전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또한 유선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는 급격히 성장하게 되었다. 그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유통이 본격화 되고 있으며, 디지털 방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일부 서비스는 상용화에 이르고 있다. 한편, 많은 가전기기들도 유비쿼터스(Ubiquitous) 개념 하에 정보 가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제 디지털 정보는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디지털 TV, 휴대폰, 화상 전화기, 스마트 폰을 통해서도 주고받을 수 있으며, 냉장고와 전자레인지, 에어컨 같은 가전 기기들 사이에도 홈 네트워크와 유비쿼터스의 개념 하에 디지털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디지털 TV는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의 TV의 컨텐츠 제공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의 수신,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onic Program Guide), 양방향 통신, 인터넷 등 디지털 가전의 중심으로서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서버 기능의 담당도 가능하다. 최근 디지털 TV에 인터넷 기능을 추가하며, 인터넷 사용을 위한 자바 가상 머신과 이에 따른 UI(User Interface)도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고화질/고음질, 다채널, 쌍방향 접속, 인터넷 접속을 방송을 통해 제공한다. 쌍방향 접속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방송과 함께 전송하고, 사용자는 이에 대해 능동적으로 참여하 는 인터액티브 서비스(Interactive service)를 가능하게 한다.
인터액티브 TV(Interactive TV)서비스의 확산을 위해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이를 통한 수익 창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자바 기술을 디지털 TV에 적용시켜 HTML보다 다양하고 동적인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이 개발 가능하다.
상기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래에 TV의 입력방식은 많은 한계를 가져온다. 종래의 채널 변경, 음량 조절 등의 단순한 기능만이 내장된 리모트 컨트롤은 디지털 TV의 기능을 완전히 활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특히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인터넷, 디지털 방송의 수신과 관련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메뉴의 전환이 필요하다. 한편, 디지털 TV는 주로 원거리에서 조정한다는 점에서 리모트 컨트롤이 입력 방식으로 많이 사용되며, 컴퓨터에서의 마우스나 PDA에서의 터치 스크린의 활용은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에서 제공하는 방향 이동이나 특정 버튼의 입력등을 통해서 디지털 TV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도 2는 방향 입력키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리모트 컨트롤(10) 에는 방향 입력키(500)가 있다. 방향 입력키(500)는 도 2에서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커서 또는 포커스, 화면을 이동시킨다.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이 조그 셔틀(601, 602) 이다. 이는 휠을 통해, 상하 또는 좌우와 같이 방향성 있는 입력을 받는다. 조그셔틀을 위에서 본 것은 601이고, 측면에서 본 것은 602이다. 리모트 컨트롤, 키패드, 또는 조그 셔틀을 채택하는 디지털 기기는 이러한 방향 입력키를 통해 단순하면서도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 입력을 통해 디지털 TV의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서 검토해야 할 사항은 유용성(Usability)이다. 유용성에는 크게 두 가지가 존재한다. 사용의 편의성(Easy Use)과 사용의 직관성(Intuitive Use)이다. 사용의 편이성은 어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최소한의 입력을 하거나, 또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디지털 TV에서 사용의 편의성이 문제되는 부분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 또는 조그 셔틀의 방향 입력을 통해 기능을 수행할 경우, 많은 입력을 요할 수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입력 횟수를 줄이면서,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 관건이다.
사용의 직관성은 어떤 기능을 수행하거나 어떤 입력에 대한 결과가 있을 경우, 그 기능 혹은 결과가 사용자가 예측했던 결과가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뉴를 보는 상태에서 왼쪽을 눌렀을 경우, 왼쪽으로 화면이 이동하거나, 왼쪽의 메뉴가 선택되는 것과 같다. 사용자가 어떤 기능을 선택했을 때, 그 결과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기능이도록, 혹은 그러한 출력을 제공하는 것이 사용의 직관성을 높여준다.
디지털 기기에서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메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크게 마우스와 같은 세밀한 포인터 이동이 가능한 입력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리모트 컨트롤 또는 키보드나 키패드의 방향키, 조그 셔틀과 같은 방향 입력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마우스와 같은 입력기는 컴퓨터에 한정되며 다른 디지털 기기에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 방향키와 조그 셔틀의 경우 방향성으로 입력과 네비게이션을 수행하기에 그 한계가 있다.
사용자는 디지털 TV의 정보를 시각과 청각을 통해 수신한다. 디지털 TV는 고화질 외에도 사용자에게 생동감 있는 음향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고화질과 고음질은 사용자로 하여금 디지털 TV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더 현실감 있게 받아들이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화질과 고음질은 디지털 TV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크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디지털 TV의 기능 수행과 음향 정보가 결합하여 메뉴 네비게이션이 수행되는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110과 같이 영화가 선택되어 있으며, 영화명이 111에 나타나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좌향 입력키를 누를 경우, 왼쪽의 메뉴로 셀렉터가 이동하게 된다(S10). 그 결과 뉴스가 선택되며 이에 대한 화면은 112와 같다. 좌향 입력키를 누를 경우 스피커를 통해 비프음(701)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종래에 버튼 입력에 대해 특정 소리(벨 소리, 비프 소리)등이 있어왔으나, 이는 단지 버튼을 눌렀기 때문에 발생하는 소리일 뿐이며, 이러한 소리가 사용자가 메뉴를 이동하거나, 디지털 TV의 특정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의 직관성을 제공해 주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고 있어서 사운드가 제공되는 상황에서 상기의 특정 비프음은 어떤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거나 혹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정보 자체를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디지털 TV는 컴퓨터, 노트북, PDA와 달리 사용자가 일정 거리를 두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해서 시각적인 메뉴 변환이나 기능 선택외에도, 소리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결과를 들려줄 수 있다. 특히, 고음질이 지원되는 디지 털 TV에서는 모든 입력키에 대해 특정 음의 반복적인 출력은 사용자에게 어떤 입력키에 대한 것인지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디지털 TV는 한정된 방향 입력과 이러한 입력에 대한 초보적인 사운드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 혹은 조그 셔틀과 같은 한정된 방향 입력과 사운드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이며 쉽게 디지털 TV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지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메뉴 네비게이션에서의 입체 음향을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의 직관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로부터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른 현재 디스플레이된 메뉴의 시각적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각적 변화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입체감을 제공하는 입체 음향 신호를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장치는 리모트 컨트롤로부터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른 현재 디스플레이된 메뉴의 시각적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출력부, 및 상기 시각적 변화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입체감을 제공하는 입체 음향 신호를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게 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 메뉴
메뉴(Menu)는 어떤 정보, 또는 어떤 하위 메뉴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의 경우 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의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 이 분류 하나하나를 카테고리라고 할 수 있다. 이 카테고리는 메뉴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메뉴는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게 하거나, 혹은 인터액티브 TV를 통해 선택하는 입력 정보를 포함한다.
- 방향 입력
리모트 컨트롤의 방향 입력키, 휴대폰, DVD 플레이어에서의 방향 입력키에서 특정 방향으로 커서 또는 포커스, 셀렉터 또는 화면이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그 셔틀에서 휠을 회전시켜서 화면이나 포커스, 셀렉터를 움직이는 것도 포함한다. 이하 상향으로 조그 셔틀의 휠을 움직이거나 상향 버튼을 누르는 것을 상향 입력이라 한다. 하향 입력, 좌향 입력, 우향 입력 등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그리고 상향 입력을 실행하는 것을 상향 입력키라 하고, 하향 입력키, 좌향 입력 키, 우향 입력키도 마찬가지이다.
- 셀렉터(Selector)
메뉴의 선택에서 현재 포커싱이 되어있는 메뉴를 나타낸다. 이는 메뉴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색을 달리 두어 다른 메뉴와 달리 현재 선택을 위해 대기중임을 보여준다. 또한 선택된 메뉴를 보여줄 수도 있다.
셀렉터가 고정될 경우, 이 셀렉터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메뉴는 상하, 또는 좌우 등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효과를 보여줄 수 있다.
- 음향
디지털 TV는 고음질의 음향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입체감있고, 생동감있는 음향을 제공함을 의미한다. 최근 5.1채널이라 하여, 5개의 스피커와 1개의 서브우퍼에서 울려주는 음향으로 공간감과 이동감을 확실히 느끼게 해준다. 5.1채널에서는 전방의 좌우, 후방의 좌우 그리고 전방 중앙의 총 5개 스피커에서 각기 다른 사운드를 내주고 하나의 서브우퍼를 통해 저역의 음향을 강조해 준다. 다수의 스피커에서 각기 다른 사운드를 내주고 하나의 서브우퍼를 통해 저역의 음향을 강조해 주므로 사용자에게 공간감과 이동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방의 좌우, 후방의 좌우, 그리고 전방 중앙에 하나의 스피커를 두는 5개의 구성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음질을 제공하는 스피커 구성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두 개의 스피커를 통한 기존의 스테레오 스피커의 구성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 입체 음향
사용자에게 입체감과 공간감을 전달하는 음향을 의미한다. 왼쪽에 사물이 있는 듯한 느낌,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사물이 움직이는 느낌을 주는 음향을 의미한다. 이는 스테레오 혹은 서라운드 등 음향 기술을 통해 가능하다. 두 개의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를 변화시켜서 공간감과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음은 전술하였다. 입체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리모트 컨트롤과 같은 방향 입력 수단을 가지는 디지털 장치로서 디지털 TV를 실시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디지털 TV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하며, 입체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기기들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TV와 스피커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TV(1000)와 입체 음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들(710, 720, 730, 750, 760)이 연결되어 있다. 710은 전방좌측 음향을 담당하며 730은 전방우측 음향을 담당한다. 750과 760은 각각 후방좌측 음향과 후방우측 음향을 담당한다. 그리고 720은 전방중앙 음향을 담당한다. 이러한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는 공간감과 입체감이 있는 음향을 감상할 수 있다. 공간감과 입체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피커들에서 출력하는 음향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음향의 특성에는 음향의 고저, 강약 등이 포함된다. 도 4는 최근의 디지털 TV가 5채널을 제공하기 때문에 구성한 도면이며, 본 명세서에서의 다수의 스피커는 입체감 또는 공간감등의 방향감을 제공하는 스피커들의 구성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향 입력키를 누른 경우 출력되는 입체 음향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디지털 TV(1000)은 어떤 채널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메뉴를 보여주고 있다. 현재 선택되어 있는 카테고리는 영화이고, 이 영화 카테고리 내에는 여러 영화명이 나타나있으며, 이 영화들에 대한 설명이 함께하고 있다. 그리고 영화명이 나열된 메뉴 좌측에는 뉴스 채널, 우측에는 다큐멘터리 채널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좌향 입력기를 누를 경우, 메뉴의 중심은 뉴스로 이동하게 되며, 뉴스 채널이 바로 선택되거나, 혹은 뉴스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국내 뉴스, 국제뉴스, 과학 뉴스 등이 영화명이 세로로 배열된 것과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메뉴 선택에 따라 좌측으로 화면이 이동하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감을 입체적으로 음향을 나타내기 위해서 디지털 TV는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이러한 입체감을 제공하기 위해, 좌측의 두 스피커(710. 750)의 음향을 강하게 하고, 우측의 두 스피커(730, 760)의 음향을 약하게 한다. 또는 메뉴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이동감을 제공하기 위해 우측 스피커(730, 760)에서 좌측 스피커(710, 750)으로 음향의 중심이 이동하는 것처럼 나타낼 수 있다. 음향 신호를 달리 주거나, 혹은 음향 신호를 스피커별로 순차적으로 주어 이동감 또는 공간감을 제공한다. 스피커를 통해 제공되는 입체감과 공간감을 통해,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메뉴의 변화를 감지하면서, 동시에 음향을 통해 메뉴가 실제로 이동하거나 변화하는 것을 느끼게 하여, 사용의 직관성을 향상시킨다.
도 5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만약 우측의 다큐멘터리를 선택할 경우에는 우측 스피커의 음향을 강화시키거나, 우측으로 이동하는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 입력키를 누른 경우 출력되는 입체 음향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디지털 TV(1000)은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어떤 채널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메뉴를 보여주고 있다. 현재 선택되어 있는 카테고리는 영화이고, 이 영화 카테고리 내에는 여러 영화명이 나타나있고, 이 영화들에 대한 설명이 함께하고 있다. 그리고 영화명이 나열된 메뉴 좌측에는 뉴스 채널, 우측에는 다큐멘터리 채널이 존재한다. 현재 아폴로라는 영화에 셀렉터가 위치하고 있다. 사용자가 상향 입력기를 누를 경우, 셀렉터는 아이로봇이라는 영화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에게 셀렉터가 이동함을 음향을 통해 알리기 위해, 스피커의 음향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스피커가 상하로 설치된 경우에는 이들 상, 하의 스피커의 위치 조절을 통해 음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평면에 스피커가 위치한다면, 상향 입력에 따른 메뉴 화면의 변화를 전방 혹은 후방의 스피커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6에서는 전방의 좌, 우 스피커 (710, 730)을 사용하여 앞쪽으로 이동하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주도록 한다. 이를 통해 화면이 위쪽으로 움직이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를 회전하는 경우 입체 음향을 출력하는 구성도이다. 전술한 도 5, 6은 상하, 또는 좌우와 같이 2차원적인 메뉴의 이동 혹은 선택에 대해 입체 음향을 제공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도 7은 디지털 TV의 메뉴가 3차원적으로 변화할 경우, 사용자에게 3차원의 입체 음향감을 전달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7의 디지털 TV(1000)은 회전하는 메뉴(120)를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가 좌, 우향 입력키를 통해 메뉴를 이동하면, 원통형의 메뉴(120)은 좌로, 혹은 우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원통을 여러 메뉴들이 감싸는 형태이다. 도 7에서는 뉴스 메뉴가 3차원적 시각에서 가장 사용자에 가깝게 나타나있다. 이 상황에서 사용자가 날씨를 선택하기 위해 원통형의 메뉴를 회전시키기 위해 우향 입력키를 누를 경우, 원통형의 메뉴(120)은 우측으로 회전을 하여, 날씨 메뉴가 3차원적 시각에서 가장 사용자에 가깝게 나타나게 된다. 이를 사용자에게 입체감을 살리도록 음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우측으로 사물이 회전하는 음향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8에서는 좌측의 스피커(710, 750)은 약하게, 그리고 전방우측 스피커(730)에서는 강하게, 그리고 후방우측 스피커(760)에서는 중간 소리를 내도록 한다.
도 5내지 도 7에서 살펴본 메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이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입체적인 음향 전달을 위해 도 5내지 도 7에서 언급한 스피커의 제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든 예시이며, 이외에도 음향의 고저와 같은 음향의 고유한 특성등을 사용하여 입체감을 전달할 수 있다. 최근 5.1채널을 채택하는 디지털 TV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7.1채널까지 채택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여러 채널을 통해 음향을 전달하는 경우, 입체 음향의 전달이 더욱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선택에서 입체 음향을 지원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버튼, 혹은 단축 버튼 등을 누를 경우, 메뉴 화면이 생성된다(S101). 이 메뉴 화면은 현재 디지털 TV가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 혹은 어떤 메뉴나 어떤 채널을 시청하고 있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메뉴 정보는 메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다. 메뉴 화면이 생성되면 화면에 메뉴를 출력한다(S102). 상기 메뉴 화면을 보고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 혹은 조그 셔틀 등을 사용하여 입력을 수행한다(S103). 이 입력이 어떤 종류의 입력인가에 따라 수행 과정은 달라진다. 우선 방향 입력키가 입력된 경우이다(S120). 방향 입력키가 입력되면, 디지털 TV는 해당 입력에 상응하는 입체 음향을 검색한다(S122). 상기 검색 결과 스피커를 통해 입체 음향을 출력한다(S124). 상기 입체 음향을 출력하는 것은 도 5내지 도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정 방향 혹은 사물이 회전하는 음향을 제공하는 예시들을 포함한다.
한편 방향 입력키가 아니라, 확인 입력키를 누를 경우에(S130), 상기 방향키에서 제공하는 입체 음향과는 달라질 수 있다. 확인 입력키 혹은 선택 입력키를 사용자가 누른 경우, 어떤 메뉴가 팝업으로 화면상에 나타나거나, 혹은 메뉴를 화면 뒤쪽으로 사라지고 기능을 수행하는 등의 화면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하는 입체 음향으로는 사물이 사람에게 다가오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음향이거나, 반대로 사물이 사람에게서 후퇴하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음향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확인 입력키를 누른 경우, 해당 메뉴에서 확인 입력키에 해당하는 출력 화면과 이 화면 변화에 해당하는 입체 음향을 검색한다(S132). 그리고 이 입체 음향을 스피커로 출력한다(S134).
기타, 방향키이거나 확인 입력키가 아닌 경우, 예를 들어 숫자 입력키, 음량 조절 입력키, 채널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채널 입력키의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음향을 검색할 수 있다(S142). 검색하여 해당 음향을 스피커로 출력한다(S144). 이전의 방향 입력키 또는 확인 입력키가 아닌 경우 입체 음향이 아닌 단순한 비프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디지털 장치는 디지털 TV, 디지털 셋톱박스, 휴대폰 등을 포함한다. 특히 키패드나 리모트 컨트롤 등의 방향 입력키 또는 조그 셔틀을 사용하는 디지털 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 즉 '~모듈' 또는 '~테이블' 등은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디지털 장치는 입력 수신부(910), 메뉴 저장부(920), 제어부(930), 입체 음향 정보부(940), 음향 출력부(950)와 화면 출력부(960)을 포함한다.
입력 수신부(910)은 사용자로부터 방향 입력을 받는다, 상하, 또는 좌우 등으로 커서나 셀렉터, 메뉴 등을 이동시키도록 입력을 받는다. 또한 메뉴를 실행시키거나 선택하는 입력 신호도 수신한다.
입력 수신부(910)에서 수신한 입력 신호는 제어부(930)로 보내어진다. 제어부(930)은 입력된 신호에 따라 어떤 정보를 처리하고 출력할 것인지, 혹은 어떤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메뉴 이동에 있어서, 메뉴를 이동하거나, 새로운 메뉴를 보이게 하는 등의 방향 입력 또는 메뉴 활성화 버튼이 입력된 경우, 메뉴 저장부(920)를 통해 메뉴 구성을 검토한다. 현재 메뉴에서 어떤 메뉴를 보여줘야 하는지, 또는 상위 메뉴는 어떤 메뉴인지에 대한 정보를 검토한다. 메뉴 집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어떤 메뉴와 어떤 기능이 결합되는지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이와 함께 현재 수행중인 기능이 무엇인지, 또는 메뉴를 출력함에 있어서 어떤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토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해서 어떤 화면을 출력할 것인지를 생성하여 이를 화면 출력부(960)로 보낸다.
한편 화면 출력부(960)으로 생성된 메뉴 화면을 보내면서, 제어부는 입체 음향 정보부(940)에 저장된 음향 정보를 검색한다. 입체 음향 정보부는 어떤 입력, 또는 어떤 메뉴 전환이 있을 때, 어떤 입체 음향을 출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도 9에서 살펴본, 특정 입력키에 대해 어떤 입체 음향을 보낼 것인가에 대한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입체 음향 정보부(940)이 포함한다. 여기서 어떤 입 체 음향을 보낼 것인지 결정이 되면, 음향 출력부(950)으로 보낸다. 이는 디지털 장치에 부속된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고, 원격에 존재하는 스피커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지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메뉴 네비게이션이 수행시 이에 일치하는 입체 음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는 메뉴의 이동과 이에 일치하는 입체 음향을 통해 직관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리모트 컨트롤로부터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른 현재 디스플레이된 메뉴의 시각적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각적 변화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입체감을 제공하는 입체 음향 신호를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다수의 음향 신호를 상기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음향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사물이 이동하는 입체감을 제공하는,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4. 리모트 컨트롤로부터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른 현재 디스플레이된 메뉴의 시각적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출력부; 및
    상기 시각적 변화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입체감을 제공하는 입체 음향 신호를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다수의 음향 신호를 상기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변화에 대응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입체 음향 정보부를 더 포함하는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음향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 뉴를 포함하는 화면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사물이 이동하는 입체감을 제공하는,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지원하는 구현하는 장치.
KR1020040077820A 2004-09-30 2004-09-30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7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820A KR100577363B1 (ko) 2004-09-30 2004-09-30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820A KR100577363B1 (ko) 2004-09-30 2004-09-30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914A KR20060028914A (ko) 2006-04-04
KR100577363B1 true KR100577363B1 (ko) 2006-05-10

Family

ID=3713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820A KR100577363B1 (ko) 2004-09-30 2004-09-30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7028A2 (en) * 2008-12-29 2010-07-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7028A2 (en) * 2008-12-29 2010-07-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using the same
WO2010077028A3 (en) * 2008-12-29 2010-10-07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using the same
US9077935B2 (en) 2008-12-29 2015-07-07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914A (ko) 200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6971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構成
JP5705131B2 (ja) 異種のタッチ領域を利用した電子機器の動作制御方法及び装置
US20020105534A1 (en) Universal media bar for controlling different types of media
US7812824B2 (en) Contents navigation method and contents navigation apparatus thereof
US79920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composed of plural columns
US9538245B2 (en) Medi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an image
US8015508B2 (en) Method for executing user command according to spatial movement of user input device and image apparatus thereof
US201603500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control targe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080049142A1 (en) Television interfacing
CN103248925A (zh) 电视接收设备及其控制方法
US20040130523A1 (en) User interface and means for controlling same
KR100577363B1 (ko) 메뉴 네비게이션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54444B1 (ko) 디지털 tv의 화면 전환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597563B1 (ko)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US11843816B2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functionalities to a circular button on a remote control device
CN103037267B (zh) 多个智能终端之间切换网络视频的方法、***及智能终端
JPH10112889A (ja) ポインタの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0608600B1 (ko) 셀렉터의 이동 규칙이 정의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301124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090158208A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