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622B1 -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equipment - Google Patents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622B1
KR100576622B1 KR1020040067252A KR20040067252A KR100576622B1 KR 100576622 B1 KR100576622 B1 KR 100576622B1 KR 1020040067252 A KR1020040067252 A KR 1020040067252A KR 20040067252 A KR20040067252 A KR 20040067252A KR 100576622 B1 KR100576622 B1 KR 100576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base body
electrolyte member
fluid passag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2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21285A (en
Inventor
수가이코이찌로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02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4474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33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00839A/en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21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2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6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전자기기용 연료전지로서, 전해질 부재를 수납가능하고 소형이며 견고하고, 가스의 균등공급, 용기 내의 온도구배의 균일화, 고효율의 전기접속, 고효율의 발전이 가능한 신뢰성이 있는 연료전지용 용기 및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료전지용 용기는 제 1 및 제 2 전극(4,5)을 갖는 전해질 부재(3)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갖는 베이스체(6)와, 오목부 저면으로부터 베이스체(6)의 외면에 걸쳐 형성된 제 1 유체유로(8)와, 오목부 저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베이스체(6)의 외면에 도출된 제 1 배선도체(10)와, 베이스체(6)의 오목부 주위의 상면에 설치되는 덮개체(7)와, 덮개체(7)의 하면으로부터 외면에 걸쳐 형성된 제 2 유체유로(9), 덮개체(7)의 하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덮개체(7)의 외면에 도출된 제 2 배선도체(11)와, 제 1 유체유로(8) 또는 제 2 유체유로(9) 중 산화가스가 공급되는 측을 덮도록 베이스체(6) 또는 덮개체(7)에 다공질체(12)가 배치되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el cell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is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lectrolyte member, is compact and robust, and has a reliable fuel cell capable of uniformly supplying gas, uniformizing temperature gradient in a container, high efficiency electrical connection, and high efficiency power generation. To provide a container and a fuel cell. The fuel cell container includes a base body 6 having a recess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lyte member 3 hav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 and 5, and an agent formed 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6 from the bottom of the recess. One fluid flow path 8, one end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recess, and the other end is on the first wiring conductor 10 drawn ou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6, and on the upper surface around the recess of the base body 6. One end is disposed on the lid 7 to be provided, the second fluid flow path 9 form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7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lower face of the lid 7, and the other end of the lid 7 is closed. On the base body 6 or the cover 7 to cover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drawn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side where the oxidizing gas is supplied in the first fluid passage 8 or the second fluid passage 9. The porous body 12 is arrange | positioned.

Description

연료전지용 용기, 연료전지 및 전자기기{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EQUIPMENT}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EQUIPMENT}

도 1A~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의 일형태의 연료전지용 용기를 이용한 연료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A to 1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fuel cell using the fuel cell containe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의 연료전지용 용기를 이용한 연료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A to 2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fuel cell using a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의 또 다른 형태의 연료전지용 용기를 이용한 연료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A to 3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fuel cell using a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종래의 연료전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fuel cell.

본 발명은 전해질 부재를 수용하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소형이고 고신뢰성의 연료전지용 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연료전지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ct and highly reliable fuel cell container made of a ceramic containing an electrolyte member, and a fuel cell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최근, 지금까지보다 저온으로 동작하는 소형 연료전지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연료전지에는 이것에 이용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고체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Fuel Cell:이하, PEFC로 기재한다)나 인산형 연료전지, 또는 고체전해질형 연료전지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In recent years, development of a small fuel cell operating at a lower temperature than ever before has been actively performed. The fuel cell is known to be a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FC), a phosphate fuel cell, or a solid electrolyte fuel cell,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lyte used for the fuel cell.

그 중에서도 PEFC는 작동온도가 80~100℃정도로 저온이고,Among them, PEFC is low temperature with operating temperature of 80 ~ 100 ℃,

(1) 출력밀도가 높고,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고,(1) high power density, small size, light weight,

(2) 전해질이 부식성이 아니고, 또한 작동온도가 낮기 때문에 내식성의 면에서 전지구성재료의 제약이 적으므로 비용저감이 용이하고,(2) Since the electrolyte is not corrosive and the operating temperature is low, the battery components are less restricted in terms of corrosion resistance.

(3) 상온에서 기동할 수 있기 때문에 기동시간이 짧다라는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PEFC는 이상과 같은 특징을 살려 차량용 구동전원이나 가정용 코제너레이션 시스템 등에의 적용뿐만 아니라,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출력이 수W ~ 수십W의 휴대전자기기용 전원으로서의 용도가 고려되어 오고 있다.(3) Since it can be started at room temperature, it has an excellent feature of short starting time. For this reason, the PEFC can be applied not only to vehicle driving power supplies and home cogeneration systems, but also to output power from mobile phone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notebook computers, digital cameras and video cameras. Has been considered for use as a power sour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PEFC는, 크게 나누어서, 예컨대, 백금이나 백금-루테늄 등의 촉매미립자가 부착된 탄소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연료극(캐소드)과, 백금 등의 촉매미립자가 부착된 탄소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공기극(애노드)과, 연료극과 공기극 사이에 끼워장착된 필름상의 전해질 부재(이하, 전해질 부재로 기재함)를 갖고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료극에는, 개질부를 통해 추출된 수소가스(H2)가 공급되고, 한편, 공기극에는 대기중의 산소가스(O2)가 공급됨으로써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소정의 전기에너지가 생성(발전)되고, 부하에 대한 구동전원(전압/전류)이 되는 전기에너지가 생성된다.PEFC is broadly divided into, for example, a fuel electrode (cathode) composed of a carbon electrode with catalyst fine particles such as platinum and platinum-ruthenium, an air electrode (anode) comprising a carbon electrode with catalyst fine particles such as platinum, and a fuel electrode; It is comprised with the film-form electrolyte member (henceforth an electrolyte member hereafter) interposed between the air electrodes. Here, the hydrogen gas (H 2 ) extracted through the reforming unit is supplied to the fuel electrode, while oxygen gas (O 2 ) in the atmosphere is supplied to the air electrode to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ic energy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power generation). Then, electric energy that is a driving power source (voltage / current) for the load is generated.

구체적으로는 연료극에 수소가스(H2)가 공급되면, 다음 화학반응식(1)에 나 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촉매에 의해 전자(e_)가 분리된 수소이온(프로톤;H+)이 발생하고, 전해질 부재를 통해 공기극측에 통과함과 아울러, 연료극을 구성하는 탄소전극에 의해 전자(e_)가 인출되어 부하에 공급된다. Specifically, when hydrogen gas (H 2 ) is supplied to the anode, hydrogen ions (protons; H + ) from which electrons (e _ ) are separated by the catalyst are generated, as shown in the following chemical reaction formula (1). The electrons e _ are drawn out and supplied to the load by the carbon electrode constituting the fuel electrode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electrode side through the electrolyte member.

3H2 → 6H++6e_ … (1)3H 2 → 6H + + 6e _ . (One)

한편, 공기극에 공기가 공급되면, 다음 화학반응식(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촉매에 의해 부하를 경유한 전자(e_)와 전해질 부재를 통과한 수소이온(H+)과 공기중의 산소가스(O2)가 반응하여 물(H2O)이 생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ir is supplied to the cathode, as shown in the following chemical reaction formula (2), electrons (e _ ) passed through the load by the catalyst and hydrogen ions (H + ) passing through the electrolyte member and oxygen in the air Gas (O 2 ) reacts to produce water (H 2 O).

6H+ + 3/2O2 + 6e_ → 3H2O … (2)6H + + 3 / 2O 2 + 6e _ → 3H 2 O. (2)

이와 같은 일련의 전기화학반응[식(1) 및 식(2)]은 대략 80~100℃의 비교적 저온의 온도조건에서 진행하고, 전력 이외의 부생성물은 기본적으로 물(H2O)로만 이루어진다.This series of electrochemical reactions (Equations (1) and (2)) proceeds at relatively low temperature conditions of approximately 80 to 100 ° C, and by-products other than electric power basically consist only of water (H 2 O). .

전해질 부재를 구성하는 이온도전막(교환막)은 술폰산기를 가지는 폴리스티렌계의 양이온교환막, 플루오로카본술폰산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혼합막, 플루오로카본매트릭스에 트리플루오로에틸렌을 그래프트(graft)화한 것 등이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퍼플루오로카본술폰산막(예컨대, 상품명「나피온」듀폰사 제작) 등이 이용되고 있다. The ion conductive membrane (exchange membrane) constituting the electrolyte member is a polystyrene-based cat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sulfonic acid group, a mixed membrane of fluorocarbon sulfonic acid and polyvinylidene fluoride, and a grafted trifluoroethylene on a fluorocarbon matrix. And the like, and perfluorocarbon sulfonic acid membranes (for example, manufactured by Nafion DuPont) are used.

도 4에 종래의 연료전지(PEFC)의 구성을 단면도로 나타낸다. 동 도 4에 있어서 도면부호 21은 PEFC, 도면부호 23은 전해질 부재, 도면부호 24 및 25는 전해질 부재를 끼워지지하도록 전해질 부재(23) 상에 배치되어, 가스확산층 및 촉매층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한쌍의 다공질 전극, 즉 연료극 및 공기극이며, 도면부호 26은 가스분리기, 도면부호 28은 연료유로, 도면부호 29는 공기유로이다. 4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fuel cell (PEFC) in cross section. In FIG. 4, reference numeral 21 denotes a PEFC, reference numeral 23 denotes an electrolyte member, reference numerals 24 and 25 are disposed on the electrolyte member 23 so as to sandwich the electrolyte member, and a pair of functions having functions as a gas diffusion layer and a catalyst layer. It is a porous electrode, that is, a fuel electrode and an air electrode, 26 is a gas separator, 28 is a fuel flow path, and 29 is an air flow path.

가스분리기(26)는 가스분리기(26)의 외형을 형성하는 적층부 및 가스 유입출 프레임과, 연료유로(28)와 공기유로(29)를 분리하는 분리기부와, 이 분리기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해질 부재(23)의 연료극(24) 및 공기극(25)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해질 부재(23)의 연료극(24), 공기극(25)이 전기적으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접속되도록 가스분리기(26)를 통해서 다수 적층하여 전지의 최소단위인 연료전지 스택으로 하고, 이 연료전지 스택을 하우징에 수납한 것이 일반적인 PEFC 본체이다. The gas separator 26 is provided with a stacking portion and a gas inflow / outflow frame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gas separator 26, a separator portion for separating the fuel passage 28 and an air passage 29, and installed to penetrate the separator portion. And electrodes arrang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uel electrode 24 and the air electrode 25 of the electrolyte member 23. A plurality of fuel cells 24 and air electrodes 25 of the electrolyte member 23 are laminated through the gas separator 26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to form a fuel cell stack that is the smallest unit of the cell. The stack housed in the housing is a typical PEFC body.

가스분리기(26)에 형성된 연료유로(28)를 통해 연료극(24)에는 개질기로부터 수증기를 함유하는 연료가스(수소가 많은 가스)가 공급되고, 또한, 공기극(25)에는 공기유로(29)를 통해 대기중으로부터 산화가스로서 공기가 공급되고, 전해질 부재(23)에서의 화학반응에 의해 발전된다. A fuel gas (hydrogen-rich gas) containing water vapor from the reformer is supplied to the anode 24 through the fuel passage 28 formed in the gas separator 26, and the air passage 29 is supplied to the cathode 25. Air is supplied as an oxidizing gas from the atmosphere through the air, and is generated by a chemical reaction in the electrolyte member 23.

관련기술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2001-266910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표 2001-507501호 공보가 있다.Related technologies includ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266910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507501.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전압, 고용량의 전지로서 종래로부터 제안되어 개발되고 있는 연료전지(21)는 스택 구조를 갖고 구성요소가 큰 면적화된, 대중량이며 대 형의 전지이고, 소형 전지로서의 연료전지의 이용은 종래에 거의 고려되고 있지 않다.However, the fuel cell 21 proposed and developed conventionally as such a high-voltage, high-capacity cell has a stack structure and a large area, a large-weight, large-size cell, and a fuel cell as a small cell. Use is rarely considered in the prior art.

즉, 이와 같은 연료전지(21)에 있어서의 종래의 가스분리기(26)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즉, 가스분리기(26)를 이용하여 전해질 부재(23)를 적층한 적층체에 있어서는, 전해질 부재(23)의 측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휴대시의 낙하 등에 의해서 손상을 받기 쉽고, 연료전지(21) 전체의 기계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gas separator 26 in the fuel cell 21 has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in the laminate in which the electrolyte members 23 are laminated using the gas separator 26, the side surfaces of the electrolyte members 23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refore, the fuel cells may easily be damaged by falling during carrying. 21)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overall mechanical reliability.

또한, 휴대전자기기에 연료전지(21)를 탑재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대형연료와는 다른, 콤팩트성, 간편성, 안전성이 우수한 연료전지용 용기가 필요하게 된다. 즉, 범용의 화학전지와 같은 휴대가능한 전원으로서 적용하기 위해서는 작동온도까지의 온도상승을 단시간화하기 위해서, 또한, 열용량을 작게 하기 위해서, 연료전지용 용기를 소형화, 저높이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전지(21)에서는 열용량의 비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스분리기(26)는, 특히 카본판의 표면에 절삭가공으로 유로형성되는 가스분리기(26)의 경우 등, 박육화하면 부서지기 쉽게 되므로 수mm의 두께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소형화, 저높이화가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ount the fuel cell 21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fuel cell container excellent in compactness, simplicity, and safety unlike a conventional large fuel is required. That is, to apply as a portable power source such as a general-purpose chemical cell, it is necessary to miniaturize and reduce the fuel cell container in order to shorten the temperature rise to the operating temperature for a short time and to reduce the heat capacity. However, in the conventional fuel cell 21, the gas separator 26, which occupies most of the ratio of the heat capacity, is easily broken when thinned, such as in the case of the gas separator 26 formed by cutting on the surface of the carbon plate. Therefore, a thickness of several mm is requir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miniaturization and low height are difficult.

또한, 연료전지(21)의 출력전압은 전해질 부재(23)의 표리면의 각 전극(24,25)에 공급되는 가스의 분압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전해질 부재(23)에 공급된 연료가스가 가스유로(28)를 나아가서 발전 반응에서 소비되면 연료극(24)의 면상의 연료가스의 분압이 내려가서 출력전압이 내려간다. 이와 마찬가지로, 공기도 공기유로(29)를 나아가서 소비되면 공기극(25)의 면상의 산소의 분압이 내려가서 출력전압이 내려간다. 따라서, 연료가스를 균등하게 공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전지(21)의 가스분리기(26)는, 특히 카본판의 표면에 절삭가공에 의해 유로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박형화하였을 때에는 유로의 홈이 좁아진다. 그 때문에 유로저항이 커져서, 균일한 가스공급이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voltage of the fuel cell 21 is determined by the partial pressure of the gas supplied to the electrodes 24 and 25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electrolyte member 23. That is, when the fuel gas supplied to the electrolyte member 23 is consumed in the power generation reaction through the gas flow path 28, the partial pressure of the fuel gas on the surface of the fuel electrode 24 is lowered and the output voltage is lowered. Similarly, when air is also consumed through the air passage 29, the partial pressure of oxygen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25 is lowered and the output voltage is lowe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y fuel gas evenly. However, since the gas separator 26 of the conventional fuel cell 21 forms a flow path on the surface of the carbon plate, in particular, the groove of the flow path becomes narrow when thinned. Therefor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flow path resistance becomes large and uniform gas supply is difficult.

또한, 복수의 전해질 부재(23)와 그 대향하는 연료극(24) 및 공기극(25)과 가스분리기(26)의 조합이, 임의로 효율좋게 직렬접속 또는 병렬접속되어 전체의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가 조정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전지(21)에서는 전해질 부재(23)를 끼우는 연료극 및 공기극으로부터 전기를 취출하기 위해서는 외부로 인출하여 접속하는 방법이나, 또는 가스분리기(26)를 도전성 재료로서 서로 겹치게 하여 직렬접속하는 방법밖에 없고, 소형 연료전지에 있어서는 그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olyte members 23 and the opposite fuel electrode 24 and the air electrode 25 and the gas separator 26 are arbitrarily and efficiently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to adjust the overall output voltage and output current. You need to b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fuel cell 21, in order to take out electricity from the fuel electrode and the air electrode in which the electrolyte member 23 is inserted, the method is drawn out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or the gas separator 26 i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s a conductive material. There is only a way to do i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in a small fuel cell.

또한, 가스유로(28)나 공기유로(29)에 먼지 등이 들어가서 가스유로(28)나 공기유로(29)를 막히게 하거나, 가스유로(28)나 공기극(25)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하면 연료극(24)이나 공기극(25)에 가스유로(28)나 공기유로(29)를 통해서 연료가스나 산화가스로서의 공기가 공급되기 어렵게 되고, 전해질 부재(23)에서의 전기화학반응이 저해되기 때문에 발전효율이 열화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f a dust or the like enters the gas flow path 28 or the air flow path 29 to block the gas flow path 28 or the air flow path 29, or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gas flow path 28 or the cathode 25, the anode Since the gas as the fuel gas or the oxidizing gas cannot be supplied to the 24 or the cathode 25 through the gas passage 28 or the air passage 29,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in the electrolyte member 23 is inhibited.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efficiency deteriorated.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완성된 것이고, 그 목적은 전해질 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소형이고, 견고한 연료전지용 용기이며, 또한, 가스의 균등공급, 연료전지용기 내의 온도구배의 균일화, 고효율의 전기접속을 이룰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연료전지용 용기, 그것을 이용한 연료전지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compact and robust fuel cell container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lectrolyte member, and to provide an even supply of gas and a fuel cell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for a fuel cell having high reliability and a fuel cell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한쪽 및 다른쪽 주면(主面)에 각각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는 전해질 부재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한쪽면측에 갖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체;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한쪽 주면에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 저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체의 외면에 걸쳐 형성된 제 1 유체유로;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제 1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 저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체의 외면에 도출된 제 1 배선도체;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오목부 주위의 한쪽면에 상기 오목부를 덮어서 설치되는, 상기 오목부를 기밀하게 밀봉하는 덮개체;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다른쪽 주면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체의 한쪽면으로부터 상기 덮개체의 외면에 걸쳐 형성된 제 2 유체유로;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제 2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체의 한쪽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체의 외면에 도출된 제 2 배선도체; 및 상기 제 1 유체유로 또는 상기 제 2 유체유로 중 산화가스가 공급되는 측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체 또는 상기 덮개체에 배치되는 다공질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body comprising a ceramic having a concave portion on one surface side for accommodating an electrolyte member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n one and the other main surface, respectively; A first fluid passage formed from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opposite the one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A first wiring conductor having one end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facing the first electrode of the electrolyte member, and the other end 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A lid body which hermetically seals the recessed portion provided to cover the recessed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base body around the recessed portion; A second fluid passage formed from one side of the lid body opposite to the other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body; A second wiring conductor having one e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d opposing the second electrode of the electrolyte member and the other end 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lid body; And a porous body disposed on the base body or the cover body so as to cover a side from which the oxidizing gas is supplied in the first fluid passage or the second fluid passage.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질체가 배치된 측의 상기 제 1 유체유로 또는 제 2 유체유로의 내벽에 흡습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oisture absorbent is preferably attached to an inner wall of the first fluid passage or the second fluid passage on the side where the porous body is arrang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습재는 그 두께가 상기 제 1 유체유로 또는 제 2 유체유로의 횡단면에서의 개구면적에 대해서 10%이하의 면적으로 되는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absorbing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s thickness is 10% or less of the opening area in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fluid passage or the second fluid passage.

본 발명은 한쪽 및 다른쪽 주면에 각각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는 전해질 부재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한쪽면측에 갖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체;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한쪽 주면에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 저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체의 외면에 걸쳐 형성된 제 1 유체유로;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제 1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 저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체의 외면에 도출된 제 1 배선도체;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오목부 주위의 한쪽면에 상기 오목부를 덮어서 설치되는, 상기 오목부를 기밀하게 밀봉하는 덮개체;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다른쪽 주면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체의 한쪽면으로부터 상기 덮개체의 외면에 걸쳐 형성된 제 2 유체유로;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제 2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체의 한쪽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체의 외면에 도출된 제 2 배선도체; 및 상기 제 1 유체유로 또는 상기 제 2 유체유로 중 적어도 한쪽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체 및 상기 덮개체에 배치되는 다공질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body comprising a ceramic having a concave portion on one surface side for accommodating an electrolyte member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n one and the other main surface, respectively; A first fluid passage formed from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opposite the one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A first wiring conductor having one end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facing the first electrode of the electrolyte member, and the other end 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A lid body which hermetically seals the recessed portion provided to cover the recessed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base body around the recessed portion; A second fluid passage formed from one side of the lid body opposite to the other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body; A second wiring conductor having one e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d opposing the second electrode of the electrolyte member and the other end 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lid body; And a porous body disposed in the base body and the cover body so as to cover at least one opening of the first fluid passage or the second fluid passag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 및 덮개체는 굽힘 강도가 200MPa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ember and the lid member have a bending strength of 200 MPa or mo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 및 덮개체는 상대밀도가 90%이상인 산화알루미늄질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body and the cover body are made of an aluminum oxide sintered body having a relative density of 90% or mo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 및 덮개체는 두께가 0.2~5㎜인 것을 특징 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body and the cover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0.2 ~ 5mm.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도체는, 상기 베이스체의 오목부 저면으로부터 10㎛이상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ring conductor is formed so as to protrude 10 µm or more from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base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도체는 상기 덮개체의 한쪽면으로부터 10㎛이상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wiring conductor is formed to protrude 10 µm or more from one surface of the li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는 기공의 최대지름이 5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diameter of the pores is 500㎛ or les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는 기공율이 1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sity is 10% or more.

본 발명은 한쪽 및 다른쪽 주면에 각각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는 전해질 부재와, 상술의 연료전지용 용기를 포함하고,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te member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n one and the other main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fuel cell container described above.

상기 연료전지용 용기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전해질 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한쪽 주면과 상기 제 1 유체유로 사이, 및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다른쪽 주면과 상기 제 2 유체유로 사이에서 각각의 유체가 주고받기 가능하도록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전극을 상기 제 1 배선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제 2 전극을 상기 제 2 배선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오목부 주위의 한쪽면에 상기 오목부를 덮도록 상기 덮개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이다. The electrolyte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tainer for the fuel cell, so that the electrolyte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one main surface and the first fluid passage of the electrolyte member and between the other main surface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of the electrolyte member. The concave portion of the base body is disposed so that the fluid can be exchanged, the firs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ing conductor, and the secon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wiring conductor. A fuel cell characterized by providing the lid so as to cover the recessed portion on one side of the periphery.

본 발명은 전원으로서 상술의 연료전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apparatu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above-described fuel cell as a power source.

본 발명에 따르면 한쪽 및 다른쪽 주면에 각각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는 전해질 부재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한쪽면측에 갖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체와, 이 베이스체의 오목부 주위의 상면에 오목부를 덮어서 설치되는, 오목부를 기밀하게 밀봉하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용 용기 내를 기밀하게 밀봉함으로써 기체 등의 유체의 누출이 없고, 이 용기 외에 패키지 등의 용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여 효율 좋게 동작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소형화에도 유효한 것이 된다. 또한, 오목부를 상면에 갖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체와 상기 오목부를 밀봉하는 덮개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내에 복수의 전해질 부재를 수납하여 연료전지로 할 수 있으므로, 전해질 부재가 용기의 외부에 노출되어 손상을 받거나 하는 일이 없고, 연료전지 전체로서의 기계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오목부 및 덮개체로 구성되는 용기 내부에 일단이 배치된 제 1 및 제 2 배선도체 외에는 전해질 부재 자체에 쓸데없는 전기적 접촉을 하지 않으므로 신뢰성 및 안정성이 높은 연료전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료전지용 용기의 구성 재료로서 세라믹을 이용함으로써 각종 가스를 비롯한 유체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연료전지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body made of ceramic having a concave portion on one side thereof to accommodate an electrolyte member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n one and the other main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concave portion is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arou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base body. It is provided with the cover body which seals a recessed part provided in an airtight manner. Therefore, by hermetically sealing the inside of the fuel cell container, there is no leakage of fluid such as gas, an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container such as a package other than this containe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obtain a fuel cell which can operate efficiently and is effective for miniaturization. Further, since a plurality of electrolyte members can be housed in a housing formed of a base body made of ceramic having a recessed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lid body sealing the recessed portion, the electrolyte member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be damaged. The mechanical reliability of the fuel cell as a whole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unnecessary electrical contact to the electrolyte member itself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wiring conductors having one end arranged inside the container including the recess and the cover body, a fuel cell having high reliability and stability can be obtained. Further, by using ceramic a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fuel cell container, a fuel cell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to fluids including various gases can be obtained.

또한, 전해질부재의 한쪽 주면에 대향하는 오목부 저면으로부터 베이스체의 외면에 걸쳐 형성된 제 1 유체유로와, 전해질 부재의 다른쪽 주면에 대향하는 덮개체의 한쪽면으로부터 덮개체의 외면에 걸쳐 형성된 제 2 유체유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각각의 유체유로는, 전해질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각각 대향하는 내벽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해질 부재에 공급되는 유체의 균일 공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체경로에 의하면 유체가 전해질 부재에 대하여 수직으로 흐르기 위해서, 예컨대, 유체가 수소가스와 공기(산소)가스인 경우에 전해질 부재가 한쪽 및 다른쪽 주면에 각각 갖는 제 1 및 제 2 전극에 공급되는 각 가스분압이 내려가는 일이 없고, 소정의 안정된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 예컨대, 가스분압이 안정하기 때문에 연료전지용 용기의 내부온도의 분포가 균일화되고, 그 결과, 전해질 부재에 생기는 열응력을 억제할 수 있고, 연료전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체유로는 베이스체와 덮개체에 형성된다. 그 때문에 각 유로의 밀폐성에 우수하고, 본래는 유로적으로 격리되어져야 할 2종류의 원료유체(예컨대, 산소가스와 수소가스 또는 메탄올 등)가 혼합되어 버림으로써 연료전지로서의 기능이 발현되지 않게 되는 일이 없다. 또한, 가연성의 유체가 고온에서 혼합된 후에 인화, 폭발을 일으킬 위험성도 없으므로 안전한 연료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the first fluid flow path is formed from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facing one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d from the one surface of the cover body opposite the other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body. Two fluid flow paths are provided. Therefore, since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flow paths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s facing each other with the electrolyte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uniform supplyability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electrolyte member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such a fluid path, in order for the fluid to flow perpendicularly to the electrolyte member, for example, when the fluid is hydrogen gas and air (oxygen) ga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have one side and the other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There is an effect that a predetermined stable output voltage can be obtained without the respective gas partial pressures supplied being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upplied, for example, the gas partial pressure, is stable, the distribution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for fuel cells becomes uniform, and as a result, the thermal stress generated in the electrolyte member can be suppress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fuel cell can be improved. Can be. In addition, each fluid flow path is formed in the base body and the cover body. Therefore, it is excellent in the sealing property of each flow path, and the two kinds of raw material fluids (for example, oxygen gas, hydrogen gas, methanol, etc.) which should be originally separated in the flow path are mixed, so that the function as a fuel cell is not expressed. There is no work. In addition, there is no risk of ignition or explosion after the combustible fluid is mixed at a high temperature, thereby providing a safe fuel cell.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유체유로 또는 제 2 유체유로 중 산화가스가 공급되는 쪽을 덮도록 베이스체 또는 덮개체에 다공질체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산화가스가 공급되는 측의 유체유로 내에 대기중의 먼지가 들어가 버리는 것을 다공질체에 의해 방지하므로, 산화가스가 공급되는 측의 유체유로를 폐쇄하여 버리거나 먼지 등이 산화가스가 공급되는 측의 전극의 표면에 부착되어 버리는 일이 없게 된다. 그 결과, 산화가스가 공급되는 측의 유체유로 내에 대기중으로부터 산화가스로서의 공기만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반응을 촉진할 수 있고, 고효율의 발전을 행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를 갖는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a porous body is arrange | positioned in a base body or a cover body so that the 1st fluid flow path or the 2nd fluid flow path may cover the side to which the oxidizing gas is supplied. Therefore, since the porous body prevents the dust from entering the atmosphere into the fluid passage on the side to which the oxidizing gas is supplied, the fluid passage on the side to which the oxidizing gas is supplied is closed or dust or the like is supplied to the oxidizing gas supply side. It will not adhere to the surface of an electrode. As a result, since only air as an oxidizing gas can be supplied effectively from the atmosphere into the fluid passage on the side to which the oxidizing gas is supplied, it has the effect of promoting electrical reaction and generating high efficiency power gener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체 및 덮개체 중 적어도 한쪽에 제 1 유체유로 및 제 2 유체유로 중 적어도 한쪽의 개구를 덮도록 다공질체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유체유로나 제 2 유체유로 내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다공질체에 의해 방지할 수 있고, 먼지 등이 제 1 유체유로나 제 2 유체유로를 폐쇄하거나 제 1 전극이나 제 2 전극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유체유로나 제 2 유체유로 내에 원료가스만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고, 고효율의 발전을 행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porous body is arrange | positioned in at least one of a base body and a cover body so that the opening of at least one of a 1st fluid flow path and a 2nd fluid flow path may be cove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first fluid passage or the second fluid passage by the porous body, and the dust or the like closes the first fluid passage or the second fluid passage, or th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s a result, since only the source gas can be effectively supplied into the first fluid passage or the second fluid passage, the electrical reaction can be promoted and the power gen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high efficiency.

또한, 다공질체에 의해서 원료가스의 제 1 유체유로나 제 2 유체유로 내로의 유입속도를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고, 원료가스의 제 1 유체유로나 제 2 유체유로 내로의 유입속도가 원료가스의 공급측에 가까운 부분과 먼 부분에서 불균일한 것을 유효하게 억제하여, 모든 제 1 유체유로나 제 2 유체유로에 균일하게 원료가스를 유입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해질 부재 전체에 균일하게 전기반응을 행할 수 있고, 보다 고효율의 발전을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low rate of the source gas into the first fluid passage or the second fluid passage can be controlled well by the porous body, and the inflow rate of the source gas into the first fluid passage or the second fluid passage is increased. The nonuniformity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in the portion close to the supply side and the source gas can be uniformly introduced into all the first fluid passages and the second fluid passages. As a result, electric reaction can be performed uniformly to the whole electrolyte member, and more efficient power gener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질체가 배치되는 측의 제 1 유체유로 또는 제 2 유체유로의 내벽에 흡습재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전해질 부재에 있어서 전기화학반응으로 생성된 수증기나 물 등을 흡습재에 의해 흡습하므로 공기의 유로의 폐쇄를 방지하여 대기중으로부터 산화가스로서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기화학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고, 고효율의 발전을 행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갖는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absorb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luid passage or the second fluid passage on the side where the porous body is disposed. Therefore, in the electrolyte member, water vapor, water, and the like generated by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are absorbed by the moisture absorbing material, thereby preventing the air passage from being closed and effectively supplying air from the atmosphere as an oxidizing gas. For this reason, electrochemical reaction can be accelerated | stimulated and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generate high efficiency.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료전지는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용기의 오목부에 전해질 부재를 수용하고, 이 전해질 부재의 한쪽 주면과 제 1 유체유로 사이, 및 전해질 부재의 다른쪽 주면과 제 2 유체유로 사이에서 각각의 유체가 주고받기 가능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제 1 전극을 제 1 배선도체에, 및 제 2 전극을 제 2 배선도체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베이스체의 오목부 주위의 상면에 오목부를 덮어서 덮개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용기에 의한 특징을 구비한, 소형이고, 견고하며, 가스의 균등공급, 연료전지용기 내의 온도구배의 균일화, 고효율의 전기접속을 이룰 수 있는 신뢰성의 높은 연료전지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ue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an electrolyte member in a concave portion of a container for a fue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one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and the first fluid passage, and the other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and the second fluid. Each fluid is disposed between the flow paths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to the first wiring conductor and the second electrode to the second wiring conductor, respectively, and is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around the recess of the base body. This is done by covering the part and installing a cover. Therefore, the fuel cell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mpact, robust, and has a reliable fuel capable of uniformly supplying gas, uniform temperature gradient in the fuel cell container, and high efficiency electrical connection. A battery can be obtained.

따라서,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용기 및 연료전지는 콤팩트성, 간편성, 안전성이 우수하고, 유체의 균등공급, 고효율의 전기접속에 의해 장기에 걸쳐서 안정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를 제작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uel cell container and fue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cellent in compactness, simplicity and safety, and can produce a fuel cell that can be stably operated for a long time by equal supply of fluid and high efficiency of electrical connection.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전원으로서 본 발명의 연료전지를 갖고 있는 것이므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용기에 의한 특징을 구비한, 소형이고, 저높이이며, 또한, 장기에 걸쳐서 안정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나 편리성이 우수한 전자기기를 얻을 수 있다. Since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ue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ower source, it is compact, low in height, and stable to operate for a long tim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el cell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excellent safety and convenience.

또한, 전원으로서 갖고 있는 연료전지에, 베이스체 및 덮개체 중 적어도 한쪽에, 외부접속용 단자(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구비시키면 전자기기의 회로기판에 용이하게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게 되고,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특수한 안전설비를 구비한 시설 등이 없이, 용이하게 연료전지를 새 것과 바꿀 수 있 고, 전자기기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fuel cell that is provided as a power sourc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base body and the cover body with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anode terminal and cathode terminal),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easily made to the circuit 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This becomes possible. Therefore, the fuel cell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new one without any facility equipped with special safety equipment, and the convenience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연료전지용 용기의 베이스체 내부에 메탈라이즈(metalize)법 등에 의해 금속층을 각종의 형상, 전기특성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체의 내부에, 저항이나 커패시턴스나 인덕턴스 등으로서 기능하는 전자회로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연료전지에 평행하고, 대용량의 커패시터를 형성함으로써,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부족한 상태가 되었을 경우, 부족한 전류분이 보충되어서 목표출력전류에 따른 전류공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승압회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에 필요한 전압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tal layer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side the base body of the fuel cell container by a metallization method or the like, an electronic circuit element functioning as resistance, capacitance, inductance, or the like inside the base body. Can be formed. Therefore, for example, when a large capacity capacitor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uel cell, when the current output from the fuel cell is insufficient, the insufficient current can be compensated for to secure the current supply according to the target output current. In addition, since the boosting circuit can be formed, a voltage necessary for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ensured.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의 일형태의 연료전지용 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연료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A~도 1C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연료전지, 도면부호 2는 연료전지용 용기, 도면부호 3은 전해질 부재, 도면부호 4는 제 1 전극, 도면부호 5는 제 2 전극, 도면부호 6은 베이스체, 도면부호 7은 덮개체, 도면부호 8은 제 1 유체유로, 도면부호 9는 제 2 유체유로, 도면부호 10은 제 1 배선도체, 도면부호 11은 제 2 배선도체, 도면부호 12는 다공질체이다. 1A to 1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fuel cell containe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uel cell using the same. 1A to 1C,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fuel cell,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fuel cell container,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n electrolyte member,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 first electrode, reference numeral 5 denotes a second electrode, and reference numeral 6 denotes a base. Sieve, reference numeral 7 denotes a cover body, 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first fluid passage, reference numeral 9 denotes a second fluid passage,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first wiring conductor,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second wiring conductor, and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porous body. It is a sieve.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해질 부재(3)는, 예컨대, 이온 도전막(교환막)의 양 주면 상에 애노드측 전극이 되는 연료극(도시 생략)과, 캐소드측 전극이 되는 공기극(도시 생략)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4)은 전해질 부재(3)의 한쪽 주면인 하측 주면에, 연료극에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제 2 전극(5)은 전해질 부재(3)의 다른쪽 주면인 상측 주면에, 공기극에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해질 부재(3)에서 발전된 전류를 제 1 전극(4), 제 2 전극(5)에 흘려보내고, 외부에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In the electrolyte member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fuel electrode (not shown) serving as an anode side electrode and an air electrode (not shown) serving as a cathode side electrode are integrally formed on both main surfaces of an ion conductive film (exchange membrane). It is formed. The first electrode 4 is formed on the lower main surface, which is one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3, to face the fuel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5 is formed on the upper main surface, which is the other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3, to face the air electrode. In addition, the electric current generated by the electrolyte member 3 can flow to the first electrode 4 and the second electrode 5 and can be drawn out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전해질 부재(3)의 이온 도전막(교환막)은, 퍼플루오로카본술폰산수지, 예컨대 상품명 「나피온」(듀폰사 제작) 등의 프로톤 전도성의 이온교환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료극 및 공기극은 다공질상태의 가스확산 전극이며, 다공질 촉매층과 가스확산층의 양쪽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이다. 이들 연료극 및 공기극은 백금, 팔라듐 또는 이들 합금 등의 촉매를 담지한 도전성 미립자, 예컨대, 카본 미립자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소수(疏水)성 수지결합제에 의해 유지한 다공질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The ion conductive membrane (exchange membrane) of the electrolyte member 3 is made of a perfluorocarbon sulfonic acid resin, for example, a proton conductive ion exchange resin such as trade name "Nafion" (manufactured by DuPont). The anode and the cathode are gas diffusion electrodes in a porous state, and have a function of both a porous catalyst layer and a gas diffusion layer. These anodes and cathodes are composed of a porous body in which conductive fine particles carrying a catalyst such as platinum, palladium, or an alloy thereof, such as carbon fine particles, are held by a hydrophobic resin binder such as polytetrafluoroethylene. .

전해질 부재(3)의 하측 주면의 제 1 전극(4) 및 상측 주면의 제 2 전극(5)은 백금이나 백금-루테늄 등의 촉매미립자가 부가된 탄소전극을 전해질 부재(3) 상에 열간프레스하는 방법, 또는, 백금이나 백금-루테늄 등의 촉매미립자가 부가된 탄소전극재료와 전해질 재료를 분산한 용액과의 혼합물을 전해질 상에 도포 또는 전사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The first electrode 4 on the lower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3 and the second electrode 5 on the upper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3 hot press a carbon electrode to which catalyst fine particles such as platinum or platinum-ruthenium are added. Or a method of applying or transferring a mixture of a carbon electrode material to which catalyst fine particles such as platinum or platinum-ruthenium and a solution in which an electrolyte material is dispersed is applied or transferred onto an electrolyte.

연료전지용 용기(2)는 한쪽면측인 상면측에 오목부를 갖는 베이스체(6)와 덮개체(7)로 이루어지고, 전해질 부재(3)를 오목부의 내부에 탑재하여 기밀하게 밀봉하는 역할을 가지고, 산화알루미늄(Al2O3)질 소결체, 뮬라이트(3Al2O 3ㆍ2SiO2)질 소결체, 탄화규소(SiC)질 소결체, 질화알루미늄(AlN)질 소결체, 질화규소(Si3N4)질 소결체, 유리 세라믹 소결체 등의 세라믹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The fuel cell container 2 is composed of a base body 6 and a lid 7 having a recessed portion on an upper surface side, which is one surface side, and serves to seal the airtight member by mounting the electrolyte member 3 inside the recessed portion. , Aluminum oxide (Al 2 O 3 ) sintered body, mullite (3Al 2 O 3 ㆍ 2SiO 2 ) sintered body, silicon carbide (SiC) sintered body, aluminum nitride (AlN) sintered body, silicon nitride (Si 3 N 4 ) sintered body And a ceramic material such as a glass ceramic sintered body.

또한, 유리 세라믹 소결체는 유리 성분과 필러(filler) 성분으로 이루어지지만, 유리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SiO2-B2O3계, SiO2-B 2O3-Al2O3계, SiO2-B2O3 -Al2O3-MO계(단, M은 Ca, Sr, Mg, Ba 또는 Zn을 나타낸다), SiO2-Al2O3-M1 O-M2O계(단, M1 및 M2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고 Ca, Sr, Mg, Ba 또는 Zn을 나타낸다), SiO2-B2O 3-Al2O3-M1O-M2O계(단, M1 및 M2는 상기와 동일하다), SiO2 -B2O3-M3 2O계(단, M3은 Li, Na 또는 K를 나타낸다), SiO2-B2O3-Al2O3-M3 2O계(단, M3은 상기와 동일하다), Pb계 유리, Bi계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Also, a glass ceramic sintered body is made to Examples, but the glass component and filler (filler) component, glass component, e.g., SiO 2 -B 2 O 3 based, SiO 2 -B 2 O 3 -Al 2 O 3 based, SiO 2 - B 2 O 3 -Al 2 O 3 -MO system (wherein M represents Ca, Sr, Mg, Ba or Zn), SiO 2 -Al 2 O 3 -M 1 OM 2 O system (wherein M 1 and M 2 is the same or different and represents Ca, Sr, Mg, Ba or Zn), SiO 2 -B 2 O 3 -Al 2 O 3 -M 1 OM 2 O-based, provided that M 1 and M 2 are Same), SiO 2 -B 2 O 3 -M 3 2 O system (wherein M 3 represents Li, Na or K), SiO 2 -B 2 O 3 -Al 2 O 3 -M 3 2 O system (However, M 3 is the same as above), Pb-based glass, Bi-based glass and the like.

또한, 필러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Al2O3, SiO2, ZrO2와 알칼리 토류금속 산화물의 복합 산화물, TiO2와 알칼리 토류금속 산화물의 복합 산화물, Al2O3 및 SiO2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을 함유하는 복합 산화물(예컨대, 스피넬, 뮬라이트, 코디어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In addition, as a filler component, for example, Al 2 O 3, SiO 2, 1 kind selected from ZrO 2, and complex oxide, Al 2 O 3 and SiO 2 in the composite oxide, TiO 2 and alkaline earth metal oxides, alkaline earth metal oxide And complex oxides containing the foregoing (eg, spinel, mullite, cordierite) and the like.

연료전지용 용기(2)는 오복부를 갖는 베이스체(6)와 덮개체(7)로 이루어진다. 베이스체(6)의 오목부 주위에 오목부를 덮어서 덮개체(7)를 설치함으로써 오목부를 기밀하게 밀봉한다. 특히, 땜납이나 은납 등의 금속접합재료로의 접합, 에폭시수지 등의 수지재료로의 접합, 오목부 주위의 상면에 철합금 등으로 만들어진 시일링 등을 접합하여 이음매용접이나 전자빔이나 레이저 등으로 용접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 덮개체(7)가 베이스체(6)에 설치된다. 또한, 덮개체(7)에도 베이스체(6)와 마찬가지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두어도 좋다. The fuel cell container 2 is composed of a base body 6 and a lid body 7 having a fouling portion. The recess is hermetically sealed by covering the recess around the recess of the base 6 and providing the lid 7. Particularly, bonding to metal bonding materials such as solder and silver solder, bonding to resin materials such as epoxy resin, sealing rings made of iron alloy and the like on the upper surface around the recesses, and welding by seam welding, electron beam or laser, etc. The cover body 7 is attached to the base body 6 by the method of the above. Moreover, you may form the recessed part similar to the base body 6 also in the cover body 7.

베이스체(6) 및 덮개체(7)는 각각 두께를 얇게 하고, 연료전지(1)의 저높이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계적 강도인 굽힘 강도가 200MPa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body 6 and the lid 7 have a thin thickness, respectively, and the bending strength, which is a mechanical strength, is 200 MPa or more in order to enable the height of the fuel cell 1 to be reduced.

베이스체(6) 및 덮개체(7)는, 예컨대, 상대밀도가 90%이상의 치밀질로 이루어지는 산화알루미늄질 소결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체(6) 및 덮개체(7)의 상대밀도는 95%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경우이면, 예컨대, 우선 산화알루미늄 분말에 희토류 산화물 분말이나 소결조제를 첨가, 혼합하여, 산화알루미늄질 소결체의 원료분말을 조제한다. 이어서, 그 산화알루미늄질 소결체의 원료분말에 유기 바인더 및 분산매를 첨가, 혼합하여 페이스트화하고, 그 페이스트로부터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또는 원료분말에 유기 바인더를 첨가하고, 프레스 성형, 압연 성형 등에 의해, 소정의 두께의 그린 시트를 제작한다. 그리고, 이 그린 시트에 대하여 금형에 의한 천공법, 마이크로 드릴에 의한 천공법, 레이저 광조사에 의한 천공법 등에 의해, 제 1 유체유로(8) 및 제 2 유체유로(9)로서의 관통구멍, 및 제 1 배선도체(10) 및 제 2 배선도체(11)를 배치하기 위한 관통구멍을 형성한다. The base body 6 and the lid 7 are preferably formed of, for example, an aluminum oxide sintered body made of a dense material having a relative density of 90% or more. In addition, the relative density of the base 6 and the lid 7 is more preferably 95% or more. In that case, for example, the rare earth oxide powder or the sintering aid is first added to the aluminum oxide powder and mixed to prepare a raw material powder of the aluminum oxide sintered body. Subsequently, an organic binder and a dispersion medium are added to the raw material powder of the aluminum oxide sintered compact, mixed and pasted, and the paste is prepared by a doctor blade method or an organic binder is added to the raw material powder by press molding, rolling molding or the like. The green sheet of predetermined thickness is produced. And the through-holes as the 1st fluid flow path 8 and the 2nd fluid flow path 9 with respect to this green sheet by the drilling method by a metal mold | die, the drilling method by a micro drill, the drilling method by laser light irradiation, etc., and A through hole for arranging the first wiring conductor 10 and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is formed.

제 1 배선도체(10) 및 제 2 배선도체(11)는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텅스텐 및/또는 몰리브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이면, 예컨대, 무기성분으로서 텅스텐 및/또는 몰리브덴 분말 100질량부에 대해서 Al2O3을 3~20질량부, Nb2O5를 0.5~5질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체 페이스트를 조제한다. 이 도체 페이스트를 그린 시트의 관통구멍 내에 충전하여 관통도체로서의 비어 도체(via conductor)를 형성한다. The first wiring conductor 10 and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are preferably formed of tungsten and / or molybdenum in order to prevent oxidation. In that case, for example, a conductive paste prepared by adding 3 to 20 parts by mass of Al 2 O 3 and 0.5 to 5 parts by mass of Nb 2 O 5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ungsten and / or molybdenum powder as an inorganic component is prepared. do. This conductor paste is filled into the through holes of the green sheet to form a via conductor as a through conductor.

이들 도체 페이스트 중에는 베이스체(6)나 덮개체(7)의 세라믹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산화알루미늄 분말이나, 베이스체(6)나 덮개체(7)를 형성하는 세라믹 성분과 동일한 조성물 분말을, 예컨대, 0.05~2체적%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se conductor pastes,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of the base body 6 and the lid | cover 7 with the ceramic, the composition powder similar to the aluminum oxide powder and the ceramic component which forms the base body 6 and the lid | cover 7 is used, For example, it can also add in the ratio of 0.05-2 volume%.

또한, 베이스체(6)나 덮개체(7)의 표층 및 내층에의 제 1 배선도체(10) 및 제 2 배선도체(11)의 형성은, 관통구멍에 도체 페이스트를 충전하여 비어 도체를 형성하기 전후 또는 그것과 동시에, 마찬가지의 도체 페이스트를 그린 시트에 대해서 스크린 인쇄, 그라비어 인쇄 등의 방법으로 소정 패턴으로 인쇄 도포하여 행해진다.In addition, formation of the 1st wiring conductor 10 and the 2nd wiring conductor 11 in the surface layer and inner layer of the base body 6 and the cover body 7 fills a through-hole, and forms a via conductor. The same conductor paste is printed and applied to a green sheet in a predetermined pattern by a method such as screen printing, gravure printing, or the like before and after or simultaneously with the following.

그 후, 도체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충전한 소정 장수의 시트상 성형체를 위치맞춤하여 적층 압착한다. 그 후, 이 적층체를, 예컨대, 비산화성 분위기 중에서, 소성 최고온도가 1200~1500℃의 온도로 소성하여, 목적하는 세라믹의 베이스체(6)나 덮개체(7) 및 제 1 배선도체(10), 제 2 배선도체(11)를 얻는다. Subsequently, the sheet-shaped molded article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printed and filled with a conductor paste is aligned and laminated and pressed. Then, this laminated body is baked, for example in the non-oxidizing atmosphere at the temperature of 1200-1500 degreeC, and the base body 6, the lid | cover 7, and the 1st wiring conductor of the desired ceramic ( 10)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is obtained.

또한,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체(6)나 덮개체(7)는 그 두께를 0.2mm 이상 5mm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0.2mm미만에서는 강도가 저하하기 쉽기 때문에, 베이스체(6)에 덮개체(7)를 설치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베이스체(6) 및 덮개체(7)에 균열 등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두께가 5㎜을 초과하면, 박형화, 저높이화가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소형휴대기기에 탑재하는 연료전지로서는 부적절하게 되고, 또한, 열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전해질 부재(3)의 전기화학반응 조건에 상당하는 적절한 온도에 재빠르게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base body 6 and the lid | cover 7 which consist of ceramics shall be 0.2 mm or more and 5 mm or less.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0.2 mm, the strength tends to decrease, so that cracks and the like occur in the base body 6 and the cover 7 due to the stress generated when the cover body 7 is provided in the base body 6. It tends to be easy to do. 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exceeds 5 mm, it becomes difficult to reduce the thickness and the height, and thus it becomes unsuitable as a fuel cell to be mounted in a small portable device, and the heat capacity becomes large. Therefore,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conditions of the electrolyte member 3 It tends to be difficult to quickly set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제 1 배선도체(10) 및 제 2 배선도체(11)는 각각 전해질 부재(3)의 제 1 전극(4) 및 제 2 전극(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해질 부재(3)에 의해 발전된 전류를 연료전지용 용기(2)의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도전로로서 기능한다. The first wiring conductor 10 and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4 and the second electrode 5 of the electrolyte member 3, respectively, and are generated by the electrolyte member 3. It functions as a conductive path for drawing current out of the fuel cell container 2.

제 1 배선도체(10)는, 베이스체(6)의 오목부 저면의 전해질 부재(3)의 제 1 전극(4)에 대향하는 부위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베이스체(6)의 외면에 도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 배선도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체(6)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1 배선도체(10)를 제 1 전극(4)에 접촉시키기 쉽도록 베이스체(6)의 오목부의 저면으로부터, 10㎛이상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높이를 얻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체 페이스트를 인쇄 도포하여 형성할 때에, 인쇄 조건을 두껍게 하도록 설정하면 좋다. 또한, 제 1 배선도체(10)는 제 1 전극(4)에 대향시켜 복수 배치하여, 제 1 배선도체(10)에 의한 전기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배선도체(10)의 베이스체(6)의 관통부에 대해서는 50㎛ 이상의 직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end of the first wiring conductor 10 is disposed at a portion of the base member 6 opposite to the first electrode 4 of the electrolyte member 3 at the bottom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ase body 6,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6. It is derived from and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wiring conductor 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body 6, so that the first wiring conductor 10 is easily contacted with the first electrode 4. It is preferable to form so that 10 micrometers or more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face of the recessed part of 6). In order to obtain the height, as described above, when printing and coating the conductor paste, the printing conditions may be set to be thick.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first wiring conductors 10 are disposed to face the first electrodes 4 to reduce electrical losses caused by the first wiring conductors 10, and the base of the first wiring conductors 10 is reduced. About the penetrating part of the sieve 6,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50 micrometers or more in diameter.

또한, 제 2 배선도체(11)는 덮개체(7)의 한쪽면인 하면의 전해질 부재(3)의 제 2 전극(5)에 대향하는 부위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덮개체(7)의 외면에 도 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 배선도체(11)도, 제 1 배선도체(10)와 마찬가지로, 덮개체(7)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2 배선도체(11)를 제 2 전극(5)에 접촉시키기 쉽도록 덮개체(7)의 하면으로부터, 10㎛이상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돌출 높이를 얻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체 페이스트를 인쇄 도포하여 형성할 때에, 인쇄 조건을 두껍게 하도록 설정하면 좋다. 또한, 제 2 배선도체(11)는 제 2 전극(5)에 대향시켜 복수 배치하여, 제 2 배선도체(11)에 의한 전기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배선도체(11)의 덮개체(7)의 관통부에 대해서는 50㎛이상의 직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is disposed at a portion of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opposite to the second electrode 5 of the electrolyte member 3 on one side of the lid 7,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lid 7.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m. Like the first wiring conductor 10, such a second wiring conductor 11 is also formed integrally with the lid body 7, and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5. It is preferable to form it so that 10 micrometers or more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body 7 easily. In order to obtain this protrusion height, as mentioned abov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t so that printing conditions may become thick when printing and apply | coating a conductor paste and forming i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b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electrode 5 to reduce the electrical loss caused by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and cover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diameter of 50 micrometers or more about the penetration part of the sieve 7.

이들 제 1 배선도체(10) 및 제 2 배선도체(11)에는, 그 노출되는 표면에 니켈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좋고, 또한, 내식성 및 납재와의 젖음성이 양호한 금속을 도금법에 의해서 부착시켜 두면 제 1 배선도체(10) 및 제 2 배선도체(11)와, 제 1 배선도체(10) 및 제 2 배선도체(11) 및 외부전기회로와의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선도체(10) 및 제 2 배선도체(11)는, 그 노출되는 표면에 니켈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좋고, 또한, 내식성 및 납재와의 젖음성이 양호한 금속을 도금법에 의해서 부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wiring conductor 10 and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are formed of nickel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wiring conductor 10 and the first wiring conductor when the metal having good corrosion resistance and wettability with a brazing material is attached by pla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nductor 10 and the 2nd wiring conductor 11, the 1st wiring conductor 10, the 2nd wiring conductor 11, and an external electric circuit can be made favorab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wiring conductor 10 and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adhere a metal having good conductivity made of nickel to the exposed surface and having good corrosion resistance and good wettability with the brazing material by the plating method. Do.

또한, 이들 제 1 배선도체(10)와 제 1 전극(4)의 전기적인 접속 및 제 2 배선도체(11)와 제 2 전극(5)의 전기적인 접속은 베이스체(6) 및 덮개체(7)로 전해질 부재(3)를 끼워넣음으로써 제 1 배선도체(10)와 제 1 전극(4)을 압착 접촉시키고, 제 2 배선도체(11)와 제 2 전극(5)을 압착 접촉시켜 전기적 접속시키는 등의 구성에 의해서 행하면 좋다.Moreover,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se 1st wiring conductor 10 and the 1st electrode 4,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2nd wiring conductor 11 and the 2nd electrode 5 are the base body 6 and the cover body ( 7) the electrolyte member 3 is inserted into the first wiring conductor 10 and the first electrode 4 by crimping contact, and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and the second electrode 5 by crimping contact.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erform it by the structure of making it connect.

또한, 제 1 전극(4)에 대향하는 베이스체(6)의 오목부의 저면에는 제 1 유체유로(8)가 배치되어 있고, 제 2 전극(5)에 대향하는 덮개체(7)의 하면에는 제 2 유체유로(9)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유체유로(8)는 베이스체(6)의 오목부의 저면으로부터 베이스체(6)의 외면에 걸쳐 형성되고, 또한, 제 2 유체유로(9)는 덮개체(7)의 하면으로부터 덮개체(7)의 외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유체유로(8,9)는 각각 베이스체(6)나 덮개체(7)에 형성한 관통구멍 또는 홈에 의해서 형성되고, 연료가스, 예컨대, 수소가 많은 개질가스, 또는 산화가스 예컨대, 공기 등의, 전해질 부재(3)에 공급되는 유체의 통로로서, 또는 반응으로 생성되는 물 등의, 반응 후에 전해질 부재(3)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통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first fluid passage 8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recess of the base body 6 facing the first electrode 4, and on the bottom of the lid 7 facing the second electrode 5. The second fluid passage 9 is arranged. The first fluid passage 8 is formed from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base body 6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6,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9 is form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7 from the lid body. It is formed over the outer surface of (7). These first and second fluid flow paths 8, 9 are formed by through holes or grooves formed in the base body 6 and the cover body 7, respectively, and are fuel gases, for example, reformed gas containing a lot of hydrogen, or It is formed as a passage of a fluid supplied to the electrolyte member 3, such as an oxidizing gas, for example, air, or as a passage of a fluid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te member 3 after the reaction, such as water generated by the reaction.

제 1 유체유로(8) 및 제 2 유체유로(9)로서 베이스체(6) 및 덮개체(7)에 형성되는 관통구멍 또는 홈은, 전해질 부재(3)에 균등하게 연료가스나 산화가스 등의 유체가 공급되도록, 연료전지(1)의 사양에 따라 관통구멍의 지름이나 수, 또는 홈의 폭, 깊이, 배치를 결정하면 좋다. Through-holes or grooves formed in the base body 6 and the lid body 7 as the first fluid passage 8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9 are equal to the electrolyte member 3 in the fuel gas, the oxidizing gas, or the like. The diameter and number of through holes, or the width, depth and arrangement of the groove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fuel cell 1 so that the fluid can be supplied.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용기(2) 및 연료전지(1)에 있어서는, 제 1 유체유로(8) 및 제 2 유체유로(9)는 바람직하게는, 전해질 부재(3)에 균일한 압력으로 유체가 흐르게 하기 위하여, 직경 0.1㎜이상의 구경으로 하고,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배치하도록 하면 좋다.In the fuel cell container 2 and the fuel cell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luid passage 8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9 are preferably fluid at a uniform pressure to the electrolyte member 3. In order to flow, it is good to make it diameter diameter 0.1mm or more, and to arrange | position a regular space | interval.

이와 같이 전해질 부재(3)의 제 1 전극(4)이 형성된 하측 주면에 대향시켜 제 1 유체유로(8)를, 제 2 전극(5)이 형성된 상측 주면에 대향시켜 제 2 유체유로(9)를 형성함으로써, 전해질 부재(3)의 하측 및 상측 주면과 제 1 및 제 2 유체유 로(8,9) 사이에서 유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고, 그 유체가 각각의 유로를 통해서 공급 또는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예컨대, 유체로서 가스를 공급할 경우이면, 전해질 부재(3)의 제 1 전극(4) 및 제 2 전극(5)에 각각 공급되는 가스분압이 내려가는 일을 없게 할 수 있고, 소정의 안정된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가스분압이 안정되기 때문에 연료전지(1)의 내부압력이 균일화되고, 그 결과, 전해질 부재(3)에 생기는 열응력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us, the 1st fluid flow path 8 opposes the lower main surface in which the 1st electrode 4 of the electrolyte member 3 was formed, and the 2nd fluid flow path 9 opposing the upper main surface in which the 2nd electrode 5 was formed. By forming a, it is possible to exchange flui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main surfaces of the electrolyte member 3 and the first and second fluid passages 8, 9 so that the fluid can be supplied or discharged through the respective passages. do. For example, in the case of supplying gas as a flui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s partial pressure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4 and the second electrode 5 of the electrolyte member 3 from dropping, so as to provide a predetermined stable output. Voltag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 gas partial pressure supplied is stabilize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cell 1 becomes uniform, and as a result, the thermal stress generated in the electrolyte member 3 can be suppress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fuel cell 1. Can b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체유로(8) 또는 제 2 유체유로(9) 중 산화가스가 공급되는 측의 유로를 덮도록, 베이스체(6)의 외면 또는 덮개체(7)의 외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덮개체(7)의 외면]에 다공질체(12)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유체유로(9)를 통해 산화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제 2 유체유로(9) 내에 대기중의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이 다공질체(12)에 의해서 방지된다. 따라서, 제 2 유체유로(9) 내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일은 없고, 먼지가 제 2 유체유로(9)를 폐쇄해 버리거나, 제 2 전극(5)의 표면에 부착되어 버리는 일이 없게 된다. 그 결과, 제 2 유체유로(9) 내에 대기중으로부터 산화가스로서 공기만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반응을 촉진할 수 있고, 고효율의 발전을 행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A, the base body 6 preferably covers the flow passage on the side to which the oxidizing gas is supplied in the first fluid passage 8 or the second fluid passage 9. The porous body 1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body or the outer surface (outer surface of the cover body 7 in this embodiment) of the cover body 7. As a result, when the oxidizing gas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fluid passage 9, the porous body 12 prevents the entry of atmospheric dust and the like into the second fluid passage 9. Therefore, dust or the like does not enter the second fluid passage 9, and dust does not close the second fluid passage 9 or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5. As a result, since only air can be effectively supplied from the atmosphere as the oxidizing gas into the second fluid passage 9, the electrical reaction can be promoted, and it has the effect of generating high efficiency power generatio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A~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체(6) 및 덮개체(7)의 적어도 한쪽의 외면에 제 1 유체유로(8) 및 제 2 유체유로(9) 중 적어도 한쪽의 개구를 덮도록 다공질체(12)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다공질체 (12)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체유로(8) 또는 제 2 유체유로(9) 중 산화가스가 공급되어 있는 측을 덮도록, 베이스체(6)의 외면 또는 덮개체(7)의 외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덮개체(7)의 외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다공질체(12)는 제 1 유체유로(8)의 개구를 덮도록 덮개체(7)의 외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는, 다공질체(12)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체유로(8)의 개구를 덮도록 베이스체(6)의 외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는, 다공질체(12)는,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체유로(8) 및 제 2 유체유로(9)의 양쪽의 개구를 덮도록 베이스체(6)의 외면 및 덮개체(7)의 외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유체유로(8)나 제 2 유체유로(9) 내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다공질체(12)에 의해 방지할 수 있고, 먼지 등이 제 1 유체유로(8)나 제 2 유체유로(9)를 폐쇄하거나 제 1 전극(4)이나 제 2 전극(5)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유체유로(8)나 제 2 유체유로(9) 내에 원료가스만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반응을 촉진할 수 있고, 고효율의 발전을 행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as shown to FIG. 1A-FIG. 1C, in the 1st fluid flow path 8 and the 2nd fluid flow path 9 i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6 and the lid | cover body 7, The porous body 12 may b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t least one opening may be covered. That is, as shown in FIG. 1A, the porous body 12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6 so as to cover the side to which the oxidizing gas is supplied in the first fluid passage 8 or the second fluid passage 9. Or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 cover 7 (outer surface of the lid | cover 7 in this embodiment). That is, the porous body 1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body 7 so that the opening of the 1st fluid flow path 8 may be covered. Or the porous body 1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6 so that the opening of the 1st fluid flow path 8 may be covered, as shown to FIG. 1B.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C, the porous body 12 includes an outer surface and a lid 7 of the base body 6 so as to cover openings in both the first fluid passage 8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9. Ar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As a result, the porous body 12 can prevent dust and the like from entering the first fluid passage 8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9, and the dust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by the first fluid passage 8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Closing the fluid passage 9 o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4 or the second electrode 5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s a result, since only the source gas can be effectively supplied into the first fluid passage 8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9, the reaction can be promoted and the power gen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high efficiency.

또한, 다공질체(12)에 의해서 원료가스의 제 1 유체유로(8)나 제 2 유체유로(9) 내로의 유입속도를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고, 원료가스의 제 1 유체유로(8)나 제 2 유체유로(9) 내로의 유입속도가 원료가스의 공급측에 가까운 부분과 먼 부분에서 불균일한 것을 유효하게 억제하여 모든 제 1 유체유로(8)나 제 2 유체유로(9)에 균일하게 원료가스를 유입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해질 부재(3) 전체에서 균일하게 전기반응을 행할 수 있고, 보다 고효율의 발전을 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ous body 12 can satisfactorily control the inflow rate of the source gas into the first fluid passage 8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9, so that the first fluid passage 8 of the source gas can be controlled. The inflow rate into the second fluid passage 9 is effectively suppressed from nonuniformity in the portion close to and far from the supply side of the source gas so that the raw material is uniformly applied to all the first fluid passages 8 and the second fluid passages 9. Gas can be introduced. As a result, electric reaction can be performed uniformly in the whole electrolyte member 3, and power generation of high efficiency can be performed.

다공질체(12)는, 예컨대, 스펀지 고무나 다공질 세라믹 등의 통기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고, 예컨대, 고무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제 1 유체유로(8) 또는 제 2 유체유로(9), 또는 제 1 유체유로(8) 또는 제 2 유체유로(9)의 개구를 덮도록 베이스체(6)나 덮개체(7)의 외면에 접착되어 있다.The porous body 12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having air permeability such as, for example, sponge rubber or porous ceramic, and is, for example, a first fluid passage 8 or a second fluid passage 9 via a rubber adhesive, or It is adhere | attach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6 and the cover body 7 so that the opening of the 1st fluid flow path 8 or the 2nd fluid flow path 9 may be covered.

또한, 다공질체(12)는 제 1 유체유로(8) 또는 제 2 유체유로(9)에 대기중의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효율적으로 산화가스를 유통시키기 위해서는 기공의 최대지름이 5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기공율은 1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기공율이 500㎛이상이면 대기중의 큰 먼지가 제 1 유체유로(8) 또는 제 2 유체유로(9)에 들어가기 쉬워지기 때문에, 제 1 유체유로(8) 또는 제 2 유체유로(9)를 폐쇄해 버리거나, 제 1 전극(4) 또는 제 2 전극(5)의 표면에 부착되기 쉽게 됨과 아울러 대기중의 먼지에 의해 막혀서 산화가스의 유통의 효율이 저하하여, 발전효율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기공율이 10%이하이면 산화가스의 유통의 효율이 저하하여, 발전효율이 저하하기 쉬워진다.In addition, the porous body 12 has a maximum pore diameter of 500 in order to prevent dust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air in the first fluid passage 8 or the second fluid passage 9 and to efficiently distribute the oxidizing ga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icrometer or less, and it is preferable that porosity is 10% or more. When the maximum porosity is 500 µm or more, large dust in the air easily enters the first fluid passage 8 or the second fluid passage 9, so that the first fluid passage 8 or the second fluid passage 9 is It becomes easy to close or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1st electrode 4 or the 2nd electrode 5, and it is clogged by the dust of air | atmosphere, and the efficiency of distribution of oxidizing gas falls, and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alls easily. If the porosity is 10% or less, the efficiency of oxidizing gas distribution decreases, and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ends to decreas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다공질체(12)가 배치된 측의 제 1 유체유로(8) 또는 제 2 유체유로(9)의 내벽에 흡습재가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해질 부재(3)에 있어서 전기화학반응으로 생성한 수증기나 물 등을 상기 흡습재에 의해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유로가 되는 제 1 및 제 2 유체유로(8,9)의 폐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전극(4,5)의 전극의 표면이 물(H2O)로 덮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유체유로(8,9)를 통하여 대기중으로부터 산화가스로서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해질 부재(3)에서의 전기화학반응을 촉진할 수 있어 고효율의 발전을 행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absorbent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luid passage 8 or the second fluid passage 9 on the side where the porous body 12 is disposed.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fluid flow paths 8 and 9 serving as air flow paths can be absorbed and removed by the hygroscopic material such as water vapor and water generated by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in the electrolyte member 3. )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urfaces of the electrod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 and 5 from being covered with water (H 2 O), and to wai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luid flow paths 8 and 9. Since air can be effectively supplied from the middle as oxidizing gas,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in the electrolyte member 3 can be promoted, and high efficiency power generation can be performed.

상기 흡습재로서는 실리카겔, 알루미나, 백토, 활성탄, 종이, 목분 등의 물(H2O)을 흡수하기 쉬운 재료를 이용하면 좋지만, 특히 실리카겔, 알루미나, 백토 등의 무기분말은 분쇄 등에 의해 분말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물(H2O)의 흡수면적을 조절하기 쉽기 때문에 소정의 흡습특성을 얻기 쉽다라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As the hygroscopic material, a material which easily absorbs water (H 2 O) such as silica gel, alumina, clay, activated carbon, paper, wood flour, etc. may be used. In particular, inorganic powders such as silica gel, alumina, clay, etc. since the adjustment of the absorption area by adjusting the water (H 2 O) the easy is preferable in that it is easy to obtain the desired hygroscopic properties.

흡습재를 제 1 유체유로(8) 및 제 2 유체유로(9)의 내벽에 부착시킬 경우, 제 1 및 제 2 유체유로(8,9)를 통하여 대기중으로부터 산화가스로서 공기의 흐름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점에서 모든 제 1 및 제 2 유체유로(8,9)에 흡습재를 부착하는 것이 좋고, 또한, 흡습재의 두께는 산화가스로서의 공기를 공급할 때에 압력손실의 영향을 작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유체유로(8,9)의 횡단면에서의 개구면적에 대해서 10%이하의 면적으로 되는 두께가 바람직하다. When the moisture absorbent material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s of the first fluid passage 8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9, uniformity of the flow of air as oxidizing gas from the atmospher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luid passages 8 and 9 is achieved. It is preferable to attach the moisture absorbents to all the first and second fluid flow paths 8 and 9 in order to maintain the property, and the thickness of the moisture absorbents needs to reduce the influence of pressure loss when supplying air as oxidizing gas. Therefore, a thickness of 10% or less of the opening area in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luid passages 8 and 9 is preferable.

또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흡습재로부터의 수분의 증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도, 제 1 및 제 2 유체유로(8,9)의 내벽 전체에 흡습재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용기(2) 및 연료전지(1)를, 예컨대, 휴대용의 직접형 메탄올 연료전지(DMFC) 등의 소형 타입의 것에 사용하는 경우, 예컨대, 메탄올 10㎖로 수십시간의 운전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그 때의 물(H2O)의 생성량으로서도 메탄올 1g의 소비에 대해 1㎖로 미량이 된다. 그 때문에, 흡습재가 흡수한 물(H2O)은 팬을 이용한 송풍에 의해 충분히 증발시킬 수 있는 수분량이 되고, 연속 운전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omote the evaporation of water from the moisture absorbent by the flow of air, it is preferable to attach the moisture absorbent to the entire inner walls of the first and second fluid passages 8 and 9. As a result, when the fuel cell container 2 and the fuel cell 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in a small type such as, for example, a portable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the fuel cell container 2 and the fuel cell 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example, 10 ml of methanol.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operate for a time, the amount of water (H 2 O) produced at that time also becomes a trace amount of 1 ml with respect to 1 g of methanol. Therefore, the water (H 2 O) absorbed by the hygroscopic material becomes an amount of water which can be sufficiently evaporated by blowing with a fan, and thus there is no problem in continuous operation.

또한, 연료극이 되는 제 1 전극(4) 또는 제 2 전극(5)측에 배치되는 다공질체(12)의 기공에 백금, 루테늄 등의 금속의 미립자를 촉매로서 개재시킴으로써 다공질체(12)를 통과하는 원료가스를 이온화시킬 수 있고, 전기화학반응을 촉진시키게 되어, 발전효율을 크게 할 수 있다. Further, the porous body 12 is passed through the fine particles of metal such as platinum and ruthenium as catalysts in the pores of the porous body 12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4 or the second electrode 5 serving as the fuel electrode. The source gas can be ionized, and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can be promoted, so that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또한, 다공질체(12)를 착탈식으로 함으로써 먼지 등에 의해, 원료가스의 유통성이 저하한 다공질체(12)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서 발전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by making the porous body 12 detachable,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porous body 12 in which the flowability of the raw material gas is reduced by dust or the like, and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이상의 구성에 의해, 도 1A~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해질 부재(3)를 수납할 수 있는, 소형이고 견고한 연료전지용 용기(2)가 얻어지고, 고효율 제어가 가능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1)가 얻어진다.With the above structure, the small and robust fuel cell container 2 which can accommodate the electrolyte member 3 as shown to FIG. 1A-FIG. 1C is obtained, and the fuel cell 1 of this invention which can control high efficiency is possible. )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1)를 전자기기의 전원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콤팩트성, 간편성, 안전성이 우수하고, 유체의 균등공급, 고효율의 전기접속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자기기를 소형, 저높이로, 또한, 장기에 걸쳐 안정되게 작동시킬 수 있고, 또한 안전성이나 편리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fuel cell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ower source of the electronic device, compactness, simplicity and safety are excellent, and evenly supply of fluid and high efficiency electrical connection are possible. Moreover, it can operate stably over a long term, and can be made excellent in safety and convenience.

다음에, 상기 연료전지(1)를 전원으로서 갖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fuel cell 1 as a power sourc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전원으로서 상기와 같은 연료전지(1)를 갖고 있는 것 이므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용기(2)에 의한 특징을 구비한, 소형, 저높이이고, 또한, 장기에 걸쳐 안정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나 편리성이 우수한 전자기기를 얻을 수 있다. Since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fuel cell 1 as a power source,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mall size, a low height, and a long term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el cell contain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which is excellent in the safety and convenience which can operate stably over is provided.

또한, 전원으로서 갖고 있는 연료전지(1)에, 베이스체(6) 및 덮개체(7) 중 적어도 한쪽에, 외부접속용 단자(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구비시키면, 전자기기의 회로기판에 용이하게 전기적 접속가능하게 되고,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특수한 안전설비를 구비한 시설 등이 없이, 용이하게 연료전지(1)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 있고, 전자기기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uel cell 1 having a power source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node terminal and cathode terminal) on at least one of the base body 6 and the cover body 7, the circuit 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Electrical connection is easily possible, and attachment and detachment are possible. Therefore, the fuel cell 1 can be replaced easily with a new one without any facility equipped with special safety equipment, and the convenience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연료전지용 용기(2)의 베이스체(6)의 내부에 메탈라이즈법 등에 의해 금속층을 각종 형상, 전기특성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체(6)의 내부에 저항이나 커패시턴스나 인덕턴스 등으로서 기능하는 전자회로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연료전지(1)에 평행하게 대용량의 커패시터를 형성함으로써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부족한 상태로 된 경우, 부족한 전류분이 보충되어 목표 출력전류에 따른 전류공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승압회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에 필요한 전압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tal layer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side the base body 6 of the fuel cell container 2 by a metallization method or the like, the base body 6 can be formed as a resistance, capacitance or inductance. A functioning electronic circuit element can be formed. Thus, for example, when a large capacity capacitor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uel cell 1, when the current output from the fuel cell is insufficient, the insufficient current can be compensated to secure the current supply according to the target output current. In addition, since the boosting circuit can be formed, a voltage necessary for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ensured.

또한, 이와 같이 베이스체(6)의 내부에 저항이나 커패시턴스나 인덕턴스를 형성할 경우에는, 베이스체(6)는 유리 세라믹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forming resistance, capacitance, or inductance in the inside of the base body 6 in this way,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body 6 consists of glass ceramics.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게임기 등의 완구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 또한, 노트형 PC(퍼스널 컴퓨터)를 비롯한 휴대용인 프린터, 팩스 텔레비전, 통신기기, 오디오 비디오 기기, 선풍기 등의 각종 가전제품, 전동공구 등의 전자기기가 있다. Moreover, as an electronic device of this inven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toys, such as a mobile telephone,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digital camera, a video camera, and a game machine, are also portable, including a notebook PC (personal computer). There are electronic devices such as in-printer, fax television, communication equipment, audio and video equipment, electric appliances such as electric fans, and electric tools.

이들 전자기기는 최근 액정표시장치 등을 이용한 동화상 표시의 기능을 부가한 것이 사용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동화상 표시는 전원의 소비가 매우 크므로, 종래의 축전지를 이용한 전자기기에서는 단시간에 동작 불능으로 되는 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매우 장시간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연료전지(1)를 탑재하고 있어, 동화상 표시를 행하여도 장시간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These electronic devices have recently been used to add a function of moving picture display u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like. Since such a moving picture display consumes a lot of power,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operated in a short time in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conventional storage battery.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el cell 1 capable of supplying power for a very long time. In addition, even if moving pictures are displayed, a long time operation is possible.

예컨대, 휴대전화의 경우, 중앙처리장치(CPU)와, 제어부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리드 온리 메모리(ROM)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데이터를 CPU에 입력하는 입력부와, 안테나와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에 공급함과 아울러 제어부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로부터 송신시키는 무선부와, 제어부로부터의 소리울림신호에 기초하여 소리나는 스피커와,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점등, 소등 또는 점멸하는 발광다이오드(LED)와, 제어부로부터 신호에 의해 정보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제어부로부터의 구동신호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기와,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로부터의 음성신호는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송수화부와,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전원부에 본 발명의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기(2)가 조립됨으로써 연료전지(1) 및 연료전지용기(2)가 콤팩트성, 간편성 및 안전성이 우수하고, 연료의 균등공급 및 고효율의 전기접속에 의한 장시간의 전원공급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휴대전화의 소형, 저높이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there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control unit,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only memory (ROM), an input unit for inputting data manipulated by a user to the CPU, an antenna, The wireless unit which demodulates the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d supplies it to the control unit, modulates the signal supplied from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signal from the antenna, a speaker that sounds based on a sound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lights by the control unit. A light-emitting diode (LED) which is turned off or flashes,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information by a signal from a controller, a vibrator vibrated by a drive signal from the controller, and converts a user's voice into a voic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The voice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 handset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voic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unit. By assembling the fuel cell and the fuel cell contain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ower supply unit, the fuel cell 1 and the fuel cell container 2 are excellent in compactness, simplicity and safety, and can be supplied with equality of fuel and high efficiency electrical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for a long time by the small size, low height and light weight of the mobile phone is possible.

또한, 최근의 휴대전화가 소형화, 저높이화의 면에서는 충분한 것을 고려하면, 이와 같이 연료전지(1)를 소형, 저높이화함으로써 생긴 공간에, 예컨대, 카메라나 비디오 등의 전화기능 이외의 기능을 갖는 전자부품을 새롭게 조립할 수 있게 되고, 더나은 다기능화를 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a recent mobile phone is sufficient in terms of miniaturization and low height, a function other than a telephone function such as a camera or a video is used in a space created by miniaturizing and reducing the fuel cell 1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newly assemble a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a structure, and further multifunctionaliz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새롭게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대신에, 충격흡수재료나 충격방지부재 등을, 주요한 전자회로를 보호하도록 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낙하 등에 의해 휴대전화본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의 내충격성이나, 우중(雨中)에서의 사용 등의 때의 방수성 등을 종래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assembling electronic components newly, an impact absorbing material, an impact preventing member, or the like may be provided so as to protect the main electronic circuit.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which can make the impact resistance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ellular phone main body by dropping or the like, the waterproofness when using in the rain, etc., more robust than before.

또한, 휴대전화본체 내부의 전기회로부를 작게 할 수 있음으로써 휴대전화본체의 외형에의 제약이 적어지고, 예컨대, 휴대전화를 노인이나 아이에 있어서 파지하기 쉬운 형상으로 하는 것 등의 의장성이 우수한 외부형상으로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circuit part inside the mobile phone main body can be made small, the restrictions o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are reduced. For example, the design of the mobile phone is easy to be gripped by an elderly person or a child. The external shape can be achieved.

또한, 전원부의 구조를, 상기한 바와 같이, 연료전지(1) 및 연료전지용기(2)가 착탈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한 경우에는 예비의 연료전지(1) 및 연료전지용기(2)를 준비해 두면 전지의 완전 방전 등이 발생한 경우에 용이하게 예비의 연료전지(1) 및 연료전지용기(2)로 교환, 또는, 연료전지(1)를 취출하여 연료의 보급이나 교환을 할 수 있으므로, 계속해서 통화 등을 행할 수 있고, 종래의 축전지를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것 등에 비해서 편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In addition, when the structure of the power supply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uel cell 1 and the fuel cell container 2 are detachable as described above, the spare fuel cell 1 and the fuel cell container 2 are prepared. In this case,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or the like, the spare fuel cell 1 and the fuel cell container 2 can be easily replaced or the fuel cell 1 can be taken out to supply or replace fuel. It is possible to make a call and the like, and it is excellent in convenience as compared with using a conventional storage battery as a power source.

또한, 교환된 사용이 끝난 연료전지(1)는 연료를 보급함으로써 곧바로 재이용할 수 있으므로 충전에 비해 쓰기가 편리하여 좋고, 또한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자연 재해 등에 의한 장기에 걸친 정전 등의 긴급 시나 옥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used and used fuel cell 1 can be reused immediately by replenishing fuel, so that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than charging, and the resource can be effectively us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in emergencies such as a power outage over a long period due to a natural disaster or outdoors.

또한, 노트형 PC(퍼스널 컴퓨터)의 경우, 퍼스널 컴퓨터 본체와, 퍼스널 컴퓨터 본체에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를 수납한 제 1 하우징과, 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또는 퍼스널 컴퓨터 본체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수납한 제 2 하우징을 구비하고, 제 2 하우징이 제 1 하우징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제 1 하우징에 설치한다는 기본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에 연료전지(1) 및 연료전지용기(2)가 조립된다. 이 경우, 상기 휴대전화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조립되는 연료전지(1) 및 연료전지용기(2)가 콤팩트성, 간편성 및 안전성이 우수하고, 연료의 균등공급 및 고효율의 전기접속에 의한 장시간의 전원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 노트형 PC(퍼스널 컴퓨터) 본체의 소형, 저높이화, 경량화 및 다기능화가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의 대형화나 고해상도화에 대응하여, 큰 전류를 안정되게, 장기에 걸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며, 디스플레이가 보기 쉽고, 또한, 휴대시의 중량이나 용적상의 부담도 적은 등의 편리성이 높은 노트형 PC(퍼스널 컴퓨터)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notebook PC (personal computer), the personal computer main body, a first housing accommodating a keyboard for inputting predetermined data into the personal computer main body, and the data input by the keyboard or the personal computer main body are processed. A second housing accommodating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data, the second housing being provided to be openable and openable in the first housing, and hav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part in the first housing. The fuel cell 1 and the fuel cell container 2 are assembled to the power supply unit. In this case, similar to the mobile phone, the fuel cell 1 and the fuel cell container 2 assembled in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cellent in compactness, simplicity, and safety, and provide equal fuel supply and high efficiency electrical connection. This enables long-term power supply, which enables the compact, low-profile, light-weight, and multi-functionality of the notebook PC (personal computer) main body. It can also supp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it can be set as a notebook PC (personal computer) with high convenience, such as being easy to see a display, and having a small weight and volume burden at the time of carrying.

또한, 전원부의 구조를 연료전지(1) 및 연료전지용기(2)가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진 구조로 한 경우에는 예비의 본 발명의 연료전지(1) 및 연료전지용기(2)를 구비하여 두면, 옥외나 여객기 등의 이동체 내 등의 2차전지만으로 사용하는 상황에 있어서, 종래에 비해 비약적으로 장시간의 전원공급이 가능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공공의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안전성이 우수하므로, 제약을 받는 일없이 사용할 수 있는, 매우 편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structure of the power supply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uel cell 1 and the fuel cell container 2 are detachable, the fuel cell 1 and the fuel cell contain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advance. In the situation of using only secondary batteries such as outdoors or inside a moving body such as an airlin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for a long time dramatical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oreover, since safety is excellent also when using in a public place in this way, it becomes excellent in the very convenience which can be used without being restrict | limited.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이면, 각종 변경을 행하여도 전혀 지장이 없다. 예컨대, 제 1 유체유로(8)나 제 2 유체유로(9)에 대해서는 연료전지(1) 전체를 박형화하기 때문에 베이스체(6) 또는 덮개체(7)의 측면으로부터의 유입구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특히 휴대전자기기용으로서 소형화를 이루는데에 있어서 유효하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배선도체(10,11)에 대해서는 베이스체(6) 및 덮개체(7)의 외면에 도출되는 타단을, 각각 동일한 측의 측면에 인출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연료전지의 한쪽측면에 배선이나 유로 등을 통합할 수 있고, 소형화와 외부에의 접합부의 보호가 용이하게 되고, 신뢰성이 높은 설계가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장기간 안정된 작동이 가능한 연료전지(1)가 된다.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s long as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even if various changes are made, it does not interfere at all. For example, since the entire fuel cell 1 is thinned in the first fluid passage 8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9, an inlet from the side of the base 6 or the lid 7 may be formed. good. According to this, it becomes effective in achieving miniaturization especiall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1st and 2nd wiring conductors 10 and 11, the other end guide | induc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6 and the lid | cover 7 may b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draw out to the side surface of the same side, respectively. As a result, a fuel cell capable of integrating wiring, a flow path, and the like on one side of the fuel cell, miniaturization and protection of the junction to the outside, a highly reliable design, and stable operation for a long time ( 1) becomes.

또한, 베이스체(6)의 오목부의 내부에는 복수의 전해질 부재(3)를 수용하여 이들을 제 1 및 제 2 배선도체(10,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체적으로 고전압 또는 대전류의 출력을 얻도록 하여도 좋다. Further, a plurality of electrolyte members 3 are accommodated in the recesses of the base body 6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and second wiring conductors 10 and 11 to obtain high voltage or high current output as a whole. You may also do it.

또한, 도 2A~도 2C에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의 연료전지용 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연료전지를 단면도로 나타낸다. 연료전지용 용기(2)는 제 1 유체유로(8') 및 제 2 유체유로(9') 중 적어도 한쪽을, 오목부 저면 또는 덮개체(7')의 하면에 전해질 부재(3)의 하측 주면 또는 상측 주면에 대향도로고, 동일한 길이로 동일한 폭의 홈형상의 복수의 개구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개구부(13)와, 베이스체(6') 및 덮개체(7') 중 적어도 한쪽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의 일단끼리 및 타단끼 리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14)와, 연결부(14)의 한쪽으로부터 베이스체(6') 및 덮개체(7') 중 적어도 한쪽의 외면에 걸쳐 형성된 유체의 도입부(15) 및 다른쪽으로부터 베이스체(6') 및 덮개체(7') 중 적어도 한쪽의 외면에 걸쳐 형성된 유체의 배출부(도시 안함)로 구성됨과 아울러, 베이스체(6') 및 덮개체(7')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개구부(13)를 덮도록 다공질체(12)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부를 갖는 베이스체(6')의 오목부에 전해질 부재(3)를 수용하고, 제 1 및 제 2 전극(4,5)을 제 1 및 제 2 배선도체(10',11')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하여 연료전지(1')를 구성하여도 좋다.2A to 2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fuel cell containers and fuel cell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cell container 2 has at least one of the first fluid passage 8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9' at the lower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3 on the bottom of the recess or the bottom of the lid 7 '. 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the base 13 and the lid 7 'is formed in the opening 13 and the base 6' and the lid 7 'which have a plurality of openings having the same width and the same width having the same length as opposed to the upper main surface. A connecting portion 14 which connects one end of each of the formed openings and the other end to each other, and a fluid formed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to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base 6 'and the lid 7'. In addition to the base portion 6 'and the discharge portion (not shown) formed over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base portion 6' and the lid 7 'from the introduction portion 15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body 6' and The porous body 12 may b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opening part 13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cover bodies 7 'may be covered. Further, the electrolyte member 3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of the base body 6 'having the recess,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 and 5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wiring conductors 10' and 11 '. The fuel cell 1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즉, 다공질체(12)는,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체유로(8') 또는 제 2 유체유로(9') 중 산화가스가 공급되어 있는 측을 덮도록, 베이스체(6')의 외면 또는 덮개체(7')[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덮개체(7')]에 배치되어 있다. 즉, 다공질체(12)는, 제 1 유체유로(8')의 개구를 덮도록, 덮개체(7')에 배치되어 있다. 또는, 다공질체(12)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체유로(8')의 개구를 덮도록, 베이스체(6')에 배치되어 있다. 또는, 다공질체(12)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체유로(8') 및 제 2 유체유로(9')의 양쪽의 개구를 덮도록, 베이스체(6') 및 덮개체(7')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2A, the porous body 12 covers the base body 6 'so as to cover the side to which the oxidizing gas is supplied in the 1st fluid flow path 8' or the 2nd fluid flow path 9 '. ) Or on the cover 7 '(cover 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the porous body 1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over body 7 'so that the opening of the 1st fluid flow path 8' may be covered. Or the porous body 1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se body 6 'so that the opening of the 1st fluid flow path 8' may be covered, as shown to FIG. 2B.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C, the porous body 12 covers the base body 6 'and the lid so as to cover the openings of both the first fluid passage 8'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9 '.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7 ', respectively.

이것에 의하면, 유체의 도입부(15)와 연결부(14)에 의해 복수의 홈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13)로의 유체의 공급이 용이하고, 개구부(13)에 있어서의 복수의 홈형상의 개구는 동일한 길이와 동일한 폭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의 유입속도가 빠를 경우에 있어서도 도입부(15)로부터 배출부까지의 거리가 짧 게 되어, 유로저항이 작아진다. 그 결과, 전해질 부재(3)에 공급되는 유체의 균일 공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대기중으로부터 산화가스로서 공급한 공기를 출입하게 하였을 때, 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된 물(H2O)을 연속적으로 건조 제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it is easy to supply fluid to the opening part 13 formed in the several groove shape by the fluid introduction part 15 and the connection part 14, and the several groove-shaped opening in the opening part 13 is the same. Since they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t the same width as the length, even when the inflow velocity of the fluid is high, the distance from the inlet section 15 to the outlet section becomes short, and the flow path resistance becomes small. As a result, the uniform supplyability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electrolyte member 3 can be improved, and water (H 2 O) generated by a chemical reaction when the air supplied as the oxidizing gas from the atmosphere is allowed to enter and exit. Drying can be removed continuously.

또한, 도 3A~도 3B에 본 발명의 실시의 또 다른 형태의 연료전지용 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연료전지를 단면도로 나타낸다. 연료전지용 용기(2")에 있어서,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베이스체(6")의 오목부 각각에 전해질 부재(3)를 수용함과 아울러, 인접하는 오목부의 단부간에 걸쳐 제 3 배선도체(16)를 배치하고, 복수의 전해질 부재(3)의 제 1 전극(4) 사이 또는 제 1 전극(4)과 제 2 전극(5)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양단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된 전해질 부재(3)에 전체적인 출력을 취출하도록 제 1 배선도체(10") 및 제 2 배선도체(11")를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하여 연료전지(1")를 구성하여도 좋다.3A to 3B show cross-sectional views of a fuel cell container and a fuel cell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uel cell container 2 ", the electrolyte member 3 is accommodated in each recessed part of the base body 6" which has a some recessed part, and the 3rd wiring conductor 16 is spread over the edge part of the adjacent recessed part. ), And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 of the plurality of electrolyte members 3 or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 and the second electrode 5, and are disposed at both ends. The fuel cell 1 "may be constitut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wiring conductor 10" and the second wiring conductor 11 "to each so as to take out the entire output to (3).

그 때, 다공질체(12)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체유로(8") 또는 제 2 유체유로(9") 중 산화가스가 공급되어 있는 측을 덮도록, 베이스체(6")의 외면 또는 덮개체(7")의 외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덮개체(7")의 외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다공질체(12)는, 제 1 유체유로(8")의 개구를 덮도록, 덮개체(7")의 외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는, 다공질체(12)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체유로(8")의 개구를 덮도록, 베이스체(6")의 외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는, 다공질체(12)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체유로(8") 및 제 2 유체유로 (9")의 양쪽의 개구를 덮도록, 베이스체(6")의 외면 및 덮개체(7")의 외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At that time, as shown in FIG. 3A, the porous body 12 covers the base body 6 which covers the side to which the oxidizing gas is supplied in the 1st fluid flow path 8 "or the 2nd fluid flow path 9". The outer surface of ") or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7 " (outer surface of lid 7 "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hat is, the porous body 12 is the first fluid passage 8 ".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 cover 7 "so that the opening of the cover body may be made. Or the porous body 12 is a base so that the opening of the 1st fluid flow path 8" may be covered, as shown to FIG. 3B. The porous body 12 has openings on both sides of the first fluid passage 8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9", as shown in Fig. 3C.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6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body 7" so that it may cover.

이것에 의하면, 제 1~제 3 배선도체(10",11",16)에 의해 3차원적으로 자유롭게 배선이 가능하므로, 복수의 전해질 부재(3)를 임의로 직렬 접속 또는 병렬 접속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체의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를 효율 좋게 조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전해질 부재(3)에서 전기 화학적으로 생성된 전기를 양호하게 외부로 취출할 수 있는 연료전지용 용기(2") 및 연료전지(1")가 된다. According to this, wiring can be freely three-dimensionally by the first to third wiring conductors 10 ", 11 " and 16, so that the plurality of electrolyte members 3 can be arbitrarily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As a result, since the overall output voltage and output current can be adjusted efficiently, the fuel cell container 2 "and the fuel cell capable of taking out the electrochemically generated electricity from the electrolyte member 3 to the outside favorably. (1 ").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This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various forms, without deviating from the mind or main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and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ation text at all. In addition, all the modifications and changes which belong to a claim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용기 및 연료전지 및 전자기기에 의하면, 전해질 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소형이고, 견고한 연료전지용 용기이며, 또한, 가스의 균등공급, 연료전지용기 내의 온도구배의 균일화, 고효율의 전기접속을 이룰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연료전지용 용기, 그것을 이용한 연료전지 및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uel cell container, the fuel cell and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mpact and robust fuel cell container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lectrolyte member. The fuel cell container also has an equal supply of gas, a uniform temperature gradient in the fuel cell container, and high efficiency. A highly reliable fuel cell container, a fuel cell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an be provided.

Claims (22)

한쪽 및 다른쪽 주면에 각각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는 전해질 부재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한쪽면측에 갖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체;A base body made of ceramic having a concave portion on one surface side for accommodating an electrolyte member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n one and the other main surface, respectively;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한쪽 주면에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 저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체의 외면에 걸쳐 형성된 제 1 유체유로;A first fluid passage formed from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opposite the one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제 1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 저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체의 외면에 도출된 제 1 배선도체;A first wiring conductor having one end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facing the first electrode of the electrolyte member, and the other end 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오목부 주위의 한쪽면에 상기 오목부를 덮어서 설치되는, 상기 오목부를 기밀하게 밀봉하는 덮개체;A lid body which hermetically seals the recessed portion provided to cover the recessed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base body around the recessed portion;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다른쪽 주면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체의 한쪽면으로부터 상기 덮개체의 외면에 걸쳐 형성된 제 2 유체유로;A second fluid passage formed from one side of the lid body opposite to the other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body;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제 2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체의 한쪽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체의 외면에 도출된 제 2 배선도체; 및A second wiring conductor having one e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d opposing the second electrode of the electrolyte member and the other end 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lid body; And 상기 제 1 유체유로 또는 상기 제 2 유체유로 중 산화가스가 공급되고 있는 측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체 또는 상기 덮개체에 배치되는 다공질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And a porous body disposed on the base body or the cover body so as to cover a side on which the oxidizing gas is supplied in the first fluid passage or the second fluid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 및 덮개체는 굽힘 강도가 200MPa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body and the cover body have a bending strength of 200 MPa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 및 덮개체는 상대밀도가 90%이상인 산화알루미늄질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body and the cover body are made of an aluminum oxide sintered body having a relative density of 90%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 및 덮개체는 두께가 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body and the cover body have a thickness of 0.2 to 5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도체는 상기 베이스체의 오목부 저면으로부터 10㎛이상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wiring conductor is formed to protrude 10 mu m or more from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bas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도체는 상기 덮개체의 한쪽면으로부터 10㎛이상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wiring conductor is formed to protrude 10 mu m or more from one side of the l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는 기공의 최대지름이 5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ous body has a maximum diameter of pores of 500 µ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는 기공율이 1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ous body has a porosity of 10%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가 배치된 측의 상기 제 1 유체유로 또는 제 2 유체유로의 내벽에, 흡습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oisture absorbent is attached to an inner wall of the first fluid passage or the second fluid passage on the side where the porous body is dispos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재는, 그 두께가 상기 제 1 유체유로 또는 제 2 유체유로의 횡단면에서의 개구면적에 대하여 10%이하의 면적으로 되는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10.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moisture absorbing material has a thickness of 10% or less of the opening area in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fluid passage or the second fluid passage. 한쪽 및 다른쪽 주면에 각각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는 전해질 부재; 및An electrolyte member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n one and the other main surface, respectively; And 제1항에 기재된 연료전지용 용기를 포함하고,Including the container for fuel cell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연료전지용 용기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전해질 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한쪽 주면과 상기 제 1 유체유로 사이, 및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다른쪽 주면과 상기 제 2 유체유로 사이에서 각각의 유체가 주고받기 가능하도록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전극을 상기 제 1 배선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제 2 전극을 상기 제 2 배선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오목부 주위의 한쪽면에 상기 오목부를 덮도록 상기 덮개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The electrolyte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tainer for the fuel cell, so that the electrolyte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one main surface and the first fluid passage of the electrolyte member and between the other main surface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of the electrolyte member. The concave portion of the base body is disposed so that the fluid can be exchanged, the firs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ing conductor, and the secon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wiring conduct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recess on one side of the periphery. 전원으로서 제11항에 기재된 연료전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fuel cell according to claim 11 as a power source. 한쪽 및 다른쪽 주면에 각각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는 전해질 부재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한쪽면측에 갖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체;A base body made of ceramic having a concave portion on one surface side for accommodating an electrolyte member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n one and the other main surface, respectively;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한쪽 주면에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 저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체의 외면에 걸쳐 형성된 제 1 유체유로;A first fluid passage formed from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opposite the one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제 1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 저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체의 외면에 도출된 제 1 배선도체;A first wiring conductor having one end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facing the first electrode of the electrolyte member, and the other end 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오목부 주위의 한쪽면에 상기 오목부를 덮어서 설치되는, 상기 오목부를 기밀하게 밀봉하는 덮개체;A lid body which hermetically seals the recessed portion provided to cover the recessed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base body around the recessed portion;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다른쪽 주면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체의 한쪽면으로부터 상기 덮개체의 외면에 걸쳐 형성된 제 2 유체유로;A second fluid passage formed from one side of the lid body opposite to the other main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er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body;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제 2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체의 한쪽면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체의 외면에 도출된 제 2 배선도체; 및A second wiring conductor having one e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d opposing the second electrode of the electrolyte member and the other end 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lid body; And 상기 제 1 유체유로 및 제 2 유체유로 중 적어도 한쪽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체 및 상기 덮개체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는 다공질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And a porous body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base body and the cover body to cover the ope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fluid passage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 및 덮개체는 굽힘 강도가 200MPa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base body and the cover body have a bending strength of 200 MPa or mor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 및 덮개체는 상대밀도가 90%이상인 산화알 루미늄질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base body and the cover body are made of an aluminum oxide sintered body having a relative density of 90% or mor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 및 덮개체는 두께가 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base body and the cover body have a thickness of 0.2 to 5 m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도체는, 상기 베이스체의 오목부 저면으로부터 10㎛이상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first wiring conductor is formed to protrude 10 mu m or more from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base bod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도체는 상기 덮개체의 한쪽면으로부터 10㎛이상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second wiring conductor is formed to protrude 10 mu m or more from one side of the li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는 기공의 최대지름이 5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porous body has a maximum diameter of pores of 500 µm or les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는 기공율이 1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용기. The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porous body has a porosity of 10% or more. 한쪽 및 다른쪽 주면에 각각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는 전해질 부재; 및An electrolyte member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n one and the other main surface, respectively; And 제13항에 기재된 연료전지용 용기를 포함하고,A fuel cel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연료전지용 용기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전해질 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한쪽 주면과 상기 제 1 유체유로 사이, 및 상기 전해질 부재의 상기 다른쪽 주면과 상기 제 2 유체유로 사이에서 각각의 유체가 주고받기 가능하도록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전극을 상기 제 1 배선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제 2 전극을 상기 제 2 배선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오목부 주위의 한쪽면에 상기 오목부를 덮도록 상기 덮개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The electrolyte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tainer for the fuel cell, so that the electrolyte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one main surface and the first fluid passage of the electrolyte member and between the other main surface and the second fluid passage of the electrolyte member. The concave portion of the base body is disposed so that the fluid can be exchanged, the firs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ing conductor, and the secon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wiring conduct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recess on one side of the periphery. 전원으로서 제21항에 기재된 연료전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fuel cell according to claim 21 as a power source.
KR1020040067252A 2003-08-26 2004-08-25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5766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02199A JP4484474B2 (en) 2003-08-26 2003-08-26 Fuel cell container and fuel cell
JPJP-P-2003-00302199 2003-08-26
JP2003333897A JP2005100839A (en) 2003-09-25 2003-09-25 Container for fuel cell, fuel cell, and electronic apparatus
JPJP-P-2003-00333897 2003-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285A KR20050021285A (en) 2005-03-07
KR100576622B1 true KR100576622B1 (en) 2006-05-08

Family

ID=3462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252A KR100576622B1 (en) 2003-08-26 2004-08-25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equipmen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76622B1 (en)
CN (1) CN1298069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5789B2 (en) * 2009-06-03 2014-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Fuel cel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0704B2 (en) * 1998-07-31 2004-10-27 京セラ株式会社 Fuel cell
JP3668058B2 (en) * 1999-07-30 2005-07-06 京セラ株式会社 Fuel cell
JP4625585B2 (en) * 2001-01-29 2011-02-02 株式会社東芝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8069C (en) 2007-01-31
KR20050021285A (en) 2005-03-07
CN1591952A (en)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15707A1 (en) Fuel cell casing and fuel cell
US20040142227A1 (en) Fuel cell casing, fuel cell,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634868B1 (en)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equipment
JP4502604B2 (en) Electronics
KR100576622B1 (en)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equipment
JP4693377B2 (en)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device
KR100576623B1 (en)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599224B1 (en)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equipment
JP4518755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fuel cell containers
JP4683831B2 (en)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device
JP4484474B2 (en) Fuel cell container and fuel cell
JP3774443B2 (en) Fuel cell container and fuel cell
JP4828799B2 (en)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device
JP4986374B2 (en)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device
JP2005135774A (en) Container for fuel cell, fuel cell, and electronic equipment
JP4443168B2 (en)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device
JP2005158537A (en)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5158538A (en)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5100839A (en) Container for fuel cell, fuel cell,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4207087A (en) Container for fuel cell, and fuel cell
JP2004355935A (en) Fuel cell container and fuel cell
JP2006278163A (en) Fuel cell container, fuel cell, and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