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110B1 - Eixt navigating system using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Eixt navigating system using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110B1
KR100574110B1 KR1020030037649A KR20030037649A KR100574110B1 KR 100574110 B1 KR100574110 B1 KR 100574110B1 KR 1020030037649 A KR1020030037649 A KR 1020030037649A KR 20030037649 A KR20030037649 A KR 20030037649A KR 100574110 B1 KR100574110 B1 KR 100574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xit
mobile phone
location
signal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106802A (en
Inventor
정석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110B1/en
Publication of KR2004010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8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1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용 건물이나 호텔, 대형 쇼핑몰,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대형 공공 건물(지하철 등), 터널 등의 건조물 내에서 비상구의 위치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서 표시해 주는 장치와 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an emergency exit in a building such as an office building, a hotel, a large shopping mall, an apartment, a large public building (subway, etc.), a tunnel, and the like and a display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비상구 위치 표시 기능을 설정 또는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수단, 비상구 표시기 내부 또는 비상구 표시기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소정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비상구 표지기로부터 송출되는 비상구 표지신호 알림 헤더와 해당 비상구 ID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 상기 수신된 비상구 표지신호를 이용해서 단말기의 현 위치를 기반으로 비상구 ID별로 비상구 위치를 인식하는 비상구 위치 인식수단, 상기 인식된 비상구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여 출력해 주는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means for setting or executing an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function, an emergency exit indicator signal notification header and a corresponding emergency exit ID which are installed in an emergency exit indicator or adjacent to an emergency exit indicator to be transmitted from an emergency exit indicator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radio signal.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n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Emergency exit location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emergency exit location for each emergency exit I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received emergency exit indicator signal, The recognized emergency exit location inform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put means for processing the output in a form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휴대폰, 비상구, 위치표시Mobile phone, emergency exit, location mark

Description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 및 방법{EIXT NAVIGATING SYSTEM USING MOBILE PHONE}Emergency exit loc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a mobile phone {EIXT NAVIGATING SYSTEM USING MOBILE PHONE}

도1은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outline of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system using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표시장치의 블럭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display device using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표시방법의 플로우차트Figure 3 is a flowchart of the position display method using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1: 발신기 203: 휴대폰201: Sender 203: Mobile Phone

204: 안테나 205: 신호 감지부204: antenna 205: signal detector

206: 증폭부 207: 마이컴206: amplifier 207: microcomputer

208: 키입력부 209: DSP208: key input unit 209: DSP

210: DAC 211: 표시부210: DAC 211: Display portion

211a: 비상구 위치 표시화면 212: 음성처리부211a: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screen 212: voice processing unit

213: 스피커 214: 마이크213: speaker 214: microphone

215: RF처리부 216: 메모리부215: RF processing unit 216: memory unit

본 발명은 사무용 건물이나 호텔, 대형 쇼핑몰,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대형 공공 건물(지하철 등), 터널 등의 건조물 내에서 비상구의 위치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서 표시해 주는 장치와 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location of an emergency exit in a building such as an office building, a hotel, a large shopping mall, an apartment, a large public building (subway, etc.), a tunnel, etc.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method thereof. .

특히 본 발명은 휴대폰의 위치 추적 시스템을 활용하여 휴대폰 상에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건조물 내에서의 비상구의 위치를 영상 및/또는 음성신호를 이용해서 표시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건조물 내에서 화재 등의 비상 사태 발생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피난, 탈출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of the mobile phone to display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in the building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on the mobile phone by using a video and / or audio signal, in the building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xit location display device using a mobile phone and a method for evacuating and escaping quickly and safely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사무용 건물이나 호텔, 대형 쇼핑몰,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대형 공공 건물(지하철 등), 터널 등의 건조물에는 화재, 지진 등의 비상 사태 발생시에 건조물 내의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비상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비상구는 통상 직사각 박스형의 비상구 표시 문양과 문자를 비상등을 배경으로 하는 조명을 이용해서 표시하고 있다. Buildings such as office buildings, hotels, large shopping malls, apartment buildings, large public buildings (subway, etc.), and tunnels are equipped with emergency exits to safely evacuate people in a building during an emergency such as fire or earthquake. The said emergency exit displays the rectangular box-shaped emergency exit display pattern and a letter using the lighting which makes an emergency light background.

그러나 해당 건조물 내에 상주하는 사람들은 물론 방문객이나, 단순히 이동하는 사람의 경우 그 건조물 내의 비상구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경우는 드물다. 더구나,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당황하게 되고, 화염과 연기에 의해서 가시 거리가 극도로 제한되기 때문에 현재 자신의 위치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비상구가 있는지를 인지하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However, visitors who reside in the building, as well as visitors, or simply movers, rarely know the exact location of the exit in the building. Moreover, whe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s, most people are embarrassed, and since the distance of sight is extremely limited by the flames and smoke, it is almost impossible to know in which direction the emergency exit is located. close.

또한, 일단 비상구의 위치를 초기에 파악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동간에, 비 상 사태의 진행이 계속될수록 화염이나 연기의 증폭과 함께 긴장감과 두려움, 불안, 초초 등의 심리적인 요인이 더불어 작용함으로써 비상구를 따라 안전하게 대피하는 것은 실로 어려운 문제이다. 특히 대형 건조물의 경우는 비상구가 수십개에서 수백개 이상 되기 때문에 이러한 비상구의 위치를 일일이 인지하기도 불가능하고, 하나의 비상구로부터 그 다음 비상구로, 또 그 다음 비상구로 이어지는 안전 통로의 확보는 실제 상황에서 매우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없다.In addition, even if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is determined at an early stage, as the emergency progresses, th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tension, fear, anxiety, and edema act along with the amplification of the flame or smoke as the progress of the emergency continues. Safe evacuation is a real problem. In the case of large buildings in particular, there are dozens to hundreds of emergency exits, so it is impossible to know the location of these exits one by one, and securing a safe passage from one emergency exit to the next and then to the next exit is very practical in practice. This is a difficult problem.

따라서, 지금까지 발생하였던 대형 건조물 등에서의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 발생시 그 건조물 내에서 안전하게 피난, 탈출한 예는 많지 않으며, 사실상 적지않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여 왔다.Therefor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a large-sized building that has occurred so far, there are not many examples of safe evacuation and escape in the building, and in fact, a great deal of human injury has occurred.

이는 비상구를 표시함에 있어 비상구의 자체 조명등 정도로는 그 위치를 충분히 인식할 수 있을 만큼의 가시성을 확보해 주지 못하였던 데에도 큰 원인이 있고, 비상 사태가 발생한 건조물 내의 사람들이 비상구의 위치를 일일이 기억할 수 없다는 실 생활 환경상의 문제점에도 그 원인이 있다.This is largely due to the fact that the emergency exit's self-illumination light did not provide enough visibility to recognize the location, and people in the building where the emergency occurred could remember the location of the exit. There are also causes of real life problems.

정리하면, 종래의 건조물에 설치된 비상구는 그 위치를 오직 사람들의 인식에만 의존하여 긴급피난, 탈출 등의 안전통로를 알려주는 정도에 그치고 있으므로 실제 비상사태가 발생한 상황에서는 비상구의 정확한 위치 인식을 통한 긴급피난, 탈출 등의 안전 통로 확보가 어려웠던 것이고, 이로 인하여 적지않는 인명 사상 등의 피해가 비일비재하였던 것이다.In summary, the emergency exits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building only rely on the people's perception to inform safety routes such as emergency evacuation and escape. It was difficult to secure safety passages such as evacuation and escape, which caused many casualties.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과 같이 각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 상에 해당 건조물 내의 비상구 위치를 영상 및/또는 음성신호를 이용해서 정확하게 표시해 줌으로써 화재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해당 건조물로부터 비상구를 이용한 긴급피난, 탈출의 안전 통로를 확보해 줄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 및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display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in the building using a video and / or audio signal on a mobile terminal carried by each individual, such as a mobile phone to emergency evacuation using the emergency exit from the building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exit location display device using a mobile phone and a location display method using a mobile phone to secure a safe passageway for escap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는, 비상구 위치 표시 기능을 설정 또는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수단, 비상구 표시기 내부 또는 비상구 표시기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소정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비상구 표지기로부터 송출되는 비상구 표지신호 알림 헤더와 해당 비상구 ID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 상기 수신된 비상구 표지신호를 이용해서 단말기의 현 위치를 기반으로 비상구 ID별로 비상구 위치를 인식하는 비상구 위치 인식수단, 상기 인식된 비상구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여 출력해 주는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apparatus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the input means for setting or executing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function, inside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or adjacent to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to transmit a predetermined wireless signal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emergency exit sign signal notification header and the emergency exit location signal including the corresponding emergency exit ID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and the emergency exit by emergency exit ID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by using the received emergency exit signal Emergency exit location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lo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put means for processing the output of the recognized emergency exit location information in a form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에서, 상기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는 인접한 건물이나 인접한 비상구와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고유한 표지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device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unique signal to transmit to prevent confusion with the adjacent building or adjacent emergency exit.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에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수신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의 세기에 따라 해당 비상구로부터 멀어지는지 혹은 해당 비상구에 가까워지는지의 여부를 영상이나 음성신호로 출력해 주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apparatus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means outputs as a video or audio signal whether it is far from or close to the emergency exit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It is characterized by giving.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에서, 상기 출력수단은 비상구의 위치를 휴대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그 방향을 가리키는 영상의 형태로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apparatus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position of the emergency exit in the form of an image indicating the direction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phon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에서, 상기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는 휴대폰의 사용 주파수 대역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mergency exit location display device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exit location indicator sig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frequency band of the mobile phon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에서, 상기 입력수단은 휴대폰이 비상구 위치 표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할당된 핫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apparatus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phone has a hot key assigned to perform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operation.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방법은, 휴대폰을 이용해서 비상구 표시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비상구 표시모드 설정 상태에서 비상구 표시기로부터 송출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이용해서 현재 휴대폰 위치를 기반으로 비상구 위치를 검출 및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비상구 위치를 현재 휴대폰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method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setting the emergency exit display mode using the mobile phone, receiving the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sent from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in the emergency exit display mode setting state Detecting and recognizing an emergency exit location based on a current mobile phone location using the received emergency exit location indicator signal, and displaying the recognized emergency exit location based on a current mobile phone loc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방법에서, 상기 비상구 표시 모드의 설정단계는 휴대폰 키보드 상에 할당된 단축키 또는 휴대폰 키보드 상에 구비된 핫키에 의해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method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of the emergency exit display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by a hotkey provided on the mobile phone keyboard or a hotkey assigned to the mobile phone keyboard.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방법에서, 상기 비상 구 위치 검출 및 인식이 이루어질 때, 상기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그 신호 세기에 따라 비상구에 가까워지는지 혹은 멀어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정보를 구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단계에서 영상이나 음성신호로 비상구에 가까워지는지 혹은 멀어지는지의 여부를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method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etection and recognition is made, the strength of the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is detec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mergency exit is near or away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obtained, and the information is used to output whether or not the emergency exit is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emergency exit with a video or audio signal.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방법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비상구 위치 표시단계에서의 비상구 위치 표시는 사용자의 현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최근접한 비상구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mergency exit location display method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exit location display in the emergency exit location display step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nearest emergency exit is locat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t is characterized b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 및 그 방법을 실시예로써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device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thereof.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 및 그 방법의 개요를 살펴본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ure 1 looks at the outline of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 시스템의 개요를 보여준다. 도1에서 부호 101은 건물을 표시하며, 부호 102, 103은 비상구, 즉 비상계단을 표시하는 비상구 위치 표시기이다. 비상구 위치 표시기(102, 103)는 직사각형 박스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내부에 정전에 대비한 배터리와 함께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고, 패널부에는 비상구임을 도식적으로 표현하는 문양과 문자가 표현되어 있다. 상기 비상구 표시기(102, 103)의 내부 또는 비상구 표시기(102, 103)에 밀접하게 근접한 위치에는 비상구 위치를 핸드폰으로 알려주기 위한 발신기가 구비된다. 이 발신기는 비상구 표시기(102, 103)에 내장될 수도 있고, 비상구 표시기(102, 103)의 근처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는데, 상기 발신기는 비상구 표시기의 위치를 휴대폰에 알려주기 위하여 소정의 약속된 비상구 표지신호(exit flag signal)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무선(RF) 신호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비상구 표지신호는 핸드폰의 주파수 대역 범위에 해당하는 RF신호를 송출하며, 비상구 표지신호는 인접한 건물이나 동일 건물내의 다른 비상구 표시기에 대응하는 발신기와 구별되고 상호 혼선/혼신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유한 정보를 송출한다.Figure 1 shows an overview of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system using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reference numeral 101 denotes a building, and reference numerals 102 and 103 denote emergency exit positions, that is,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s indicating emergency stairs. The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s 102 and 103 form a rectangular box, and a lighting lamp is installed inside the battery in preparation for a power failure, and a pattern and a letter representing the emergency exit are schematically represented on the panel. In the interior of the emergency exit indicators (102, 103)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emergency exit indicators (102, 103) is provided with a transmitter for informing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to the mobile phone. The transmitter may be embedded in the emergency exit indicators 102 and 103, or may be separately installed near the emergency exit indicators 102 and 103, which send the predetermined emergency exit to inform the mobile phone of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An exit flag signal is periodically generated and transmitted a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The emergency exit beacon signal transmits an RF signal corresponding to a frequency range of a mobile phone, and the emergency exit beacon signal is distinguished from a transmitter corresponding to an adjacent building or another emergency exit indicator in the same building, and unique information to prevent cross talk / interference. Send the.

예를 들면 특정한 비상구 표시기 마다 소정의 ID를 부여하고 상기 ID를 디지털 신호로 생성하여 RF 모뎀을 통해 변조한 신호를 송출한다. 이를 위하여 비상구 표지신호는 디지털 신호 스트림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후속되는 신호가 비상구 표지신호임을 알리는 헤더(Header)+해당 비상구 표시기 ID의 신호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신호 포맷을 가진다면 핸드폰에서 수신한 RF신호의 복조 결과 상기 약속된 헤더(Header)가 검출되면 그 신호가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임을 인식할 수 있고, 이후 후속되는 신호를 복호화하여 비상구 표시기의 ID로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비상구 표시기에 내장되거나 근처에 설치되는 발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를 건물이나 비상구 표시기마다 고유한 것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유 주파수를 갖는 경우는 특정 주파수 대역 내에서 소정 주파수의 신호가 검출되면 그 신호를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로 인식하면 된다.For example, a predetermined ID is assigned to a specific emergency exit indicator, the ID is generated as a digital signal, and a modulated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n RF modem. For this purpose, the exit sign signal may be in the form of a digital signal stream, and may have a signal format of a header + a corresponding exit sign ID indicating that the subsequent signal is an exit sign signal. With such signal format, if the promised header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modulation of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cellular phone, the signal can be recognized as an emergency exit location indicator signal, and then the subsequent signal is decoded to the ID of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It can be recognized and processed. Alternatively, the frequency output from transmitters built in or installed near emergency exit indicators can be set unique to each building or emergency exit indicator. In this case, when a signal having a specific frequency is detected within a specific frequency band, the signal may be recognized as an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도1에서 부호 104는 사용자가 휴대하게 되는 핸드폰이다. 상기 핸드폰(104)에는 상기 발신기에서 송출되는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수신, 검출, 복조하고, 상 기 복조된 신호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핸드폰을 기준으로 하여 비상구가 어떤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가리켜 주게 된다. In FIG. 1, reference numeral 104 denotes a mobile phone carried by a user. The mobile phone 104 receives, detects, and demodulates an emergency exit location indicato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and indicates which direction the emergency exit is located based on the user's mobile phone using the demodulated signal.

도1에서 부호 105는 기지국이며 106은 통신서버를 표시한다. 상기 통신서버(106)는 등록된 사용자의 핸드폰(104)을 이용한 음성 통화 등의 개인 휴대 전화 시스템 서비스를 담당하며, 이를 위하여 기지국(105)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기지국(105)을 이용해서 핸드폰(104)의 음성 통화 등의 휴대 전화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1에서 부호 107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GPS 위성(107)은 알려진 바와 같이 위성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으로써 사용자 핸드폰(104)과 비상구 표시기(102, 103)의 정확한 위치를 인식하는데 사용될 위치정보를 제공하게 된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05 denotes a base station and 106 denotes a communication server. The communication server 106 is in charge of a personal mobile phone system service such as a voice call using the registered user's mobile phone 104, and for this purpose, the mobile phone using the base station 105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105 A mobile phone service such as a voice call of 104 is performed. Meanwhile, in FIG. 1, reference numeral 107 denote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which is known as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using a user's mobile phone 104 and emergency exit indicators 102 and 103.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to be used to recognize the exact location.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핸드폰(104)을 휴대하고 건물(101)에 진입하면 핸드폰(104)은 비상구 표시기(102)의 위치 표지신호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상구 표시기(102)에 내장되거나 혹은 근처에 설치된 발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이다.As shown in FIG. 1, when a user carries his cell phone 104 and enters the building 101, the cell phone 104 can detect the position indicator signal of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102. The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built in or installed near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102 as described above.

상기 발신기로부터 송출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는 핸드폰(104)으로 수신되고 그 내부에서 복조, 증폭, 복호화 등의 신호처리를 거쳐서 비상구 표시기(102, 103)가 어떤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인식하는데 사용된다. 즉, 사용자 핸드폰(104)의 현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비상구 표시기(102, 103)가 어떤 위치에 있는가를 가리키는 방향을 핸드폰(104)의 표시부를 이용해서 영상 정보로 알려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드폰(104)의 표시부에 나타난 정보를 이용해서 자신의 위치와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어떤 방향에 비상구가 있는가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The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sent from the transmitter is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104 and used to recognize in which direction the emergency exit indicators 102 and 103 are located through signal processing such as demodulation, amplification, and decoding therein. That is, the direction indicating which positions of the emergency exit indicators 102 and 103 are located on the basis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s mobile phone 104 is notified by using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phone 104 as image information.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emergency exit in which direction based on his position and his posi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phone 104.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출력하는 발신기와 이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구 표시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A transmitter for outputting an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and a method of receiving the signal and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상기 위치 인식을 위한 정보는 현재 핸드폰 가입자를 대상으로 해서 서비스되고 있는 핸드폰 위치 추적 시스템을 응용할 수 있다. 알려진 몇 가지의 핸드폰 위치 추적 시스템 중의 하나는 기지국(105)과 핸드폰(104) 사이의 통신을 토대로 해서 핸드폰(104)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알려주는 방법이 있으며, 예를 들면 핸드폰(104)과 가장 근접한 무선 기지국(105)과 핸드폰(104) 간의 신호 강도에 의거하여 등록된 무선 기지국 번호 및 등록된 무선 기지국과 해당 단말기간의 거리를 이용해서 핸드폰(104)의 현재 위치를 인식토록 하는 기법을 들 수 있다. 또한 GPS 위성(107)은 매우 정교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GPS 위성(107)으로부터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해서 핸드폰(104)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for location recognition can be applied to a mobile phone location tracking system that is currently being serviced for mobile phone subscribers. One of several known cell phone location tracking systems is a method of recognizing and informing the location of the cell phone 104 based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105 and the cell phone 104, for example, the mobile phone 104 and A technique for recogniz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phone 104 by using the registered wireless base station numb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gistered wireless base station and the corresponding terminal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nearest wireless base station 105 and the mobile phone 104. Can be. In addition, since the GPS satellite 107 can provide highly sophisticated location information, the GPS satellite 107 may perform accurate recognition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phone 104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satellite 107.

이와 같이 기지국과 핸드폰 사이의 통신, GPS 위성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확인 기법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핸드폰(104)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비상구 표시기(102, 103)의 위치를 가리키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phone and the positioning method using the GPS satellite system are widely known,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emergency exit indicators 102 and 103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phone 104 based on the above technique. The device and it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2는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의 실시예를 보여준 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는,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송출하는 발신기(201)를 포함한다. 상기 발신기(20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상구 표시기에 내장되거나, 비상구 표시기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발신기(201)는 정전에 대비하고 발신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BAT)와,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기(202a), 상기 발진기(202a)에서 생성된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변조처리하는 변조기(202b)와, 상기 변조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RF증폭기(202c)와, 상기 증폭된 RF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안테나(202d)를 포함한다.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apparatus using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apparatus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er 201 for transmitting the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The transmitter 201 is built in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as described above, or is install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The transmitter 201 modulates a signal BAT for preparing a power failure and supplying power to the transmitter, an oscillator 202a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signal, and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generated by the oscillator 202a. A modulator 202b, an RF amplifier 202c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modulated signal, and an antenna 202d for transmitting the amplified RF signal.

발기(20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드폰 주파수 대역 범위내의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한다. 즉, 발진기(202a)에서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신호는 변조기(202b)에서 변조되어 RF증폭기(202c)를 통해 증폭된 후 안테나(202d)를 통해서 RF신호로 송출된다. 상기 발신기(201)에서 송출된 RF신호는 핸드폰으로 수신하여 비상구 표시기의 위치를 가리키는 정보로 사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rection 201 generates and transmits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within the cellular phone frequency band range. That is, the oscillator 202a generates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the generated signal is modulated by the modulator 202b, amplified through the RF amplifier 202c, and then transmitted as an RF signal through the antenna 202d.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1 is received as a mobile phone and used as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203)은 RF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204)와, 상기 안테나(204)로 수신된 신호에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 감지부(205)와, 상기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206)와, 상기 증폭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와 핸드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해서 비상구 표시기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마이컴(207)과, 상기 마이컴(207)을 통해서 핸드폰에 사용자의 기기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208)와, 상기 마이컴(207)의 제어를 받아 상기 비상구 위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DSP(Digital Signal Processor)(209) 와, 상기 DSP(209)에서 출력된 비상구 위치신호를 이용해서 비상구의 방향을 가리키기 위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210)와, 상기 DAC(210)에서 출력된 비상구 위치 안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11)와, 상기 마이컴(207)의 제어를 받아 음성신호로 비상구 위치 알람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 처리부(212) 및 스피커(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mobile phone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204 for receiving an RF signal, a signal detector 205 for detecting an emergency exit location signal from a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204, and the detection. An amplification unit 206 for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a micom 207 for recognizing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position using the amplified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phone, and a mobile phone through the micom 207 A key input unit 208 for inputting a user's device operation command to the use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209 for processing the emergency exit position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207, and the DSP 209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210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for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using the emergency exit position signal output from the table, and a table for displaying the emergency exit position guide image output from the DAC 210 Under the control of unit 211, and, the microcomputer 207 comprises an audio processing unit 212 and a speaker 213 for performing a location alarm exit into a voice signal.

또한 상기 휴대폰(203)은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휴대전화 서비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처리부(215)와, 상기 휴대전화 서비스 제어 및 위치 확인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16)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203 is an RF processor 215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bile phone service signals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and a memory unit 216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for the mobile phone service control and positioning control. It includes.

도2에서 부호 211a는 표시부(211)에 표시되는 비상구 위치/방향 알림 영상의 한가지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2에 나타낸 화면(211a)은 일종의 나침반을 그래픽화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중앙 지점)를 기준으로 해서 비상구가 동서남북 어느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지침의 형태로 가리켜 주는 타입이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211a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emergency exit position / direction notificatio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1. The screen 211a shown in FIG. 2 is a graphic of a kind of compass, and is a type that indicates in which direction the emergency exit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f east, west, north, and south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center point) of the user.

도3은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구 위치 표시방법은 비상구 위치 표시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301),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 감지 및 인식단계(S302), 사용자 위치 기준의 비상구 방향 표시단계(S303), 음성 알람 선택 판별단계(S304), 비상구 원근에 따른 알람 출력단계(S305)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method using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lecting an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mode (S301),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detection and recognition step (S302), emergency exit direction display step (S303) based on a user position, Voice alarm selection determination step (S304), it can be seen that the alarm output step (S305) according to the emergency exit perspective.

상기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 동작을 살펴본다.With reference to Figures 2 and 3 looks at the emergency exit location display operation us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발신기(20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상구 표시기에 내장되거나 근 처에 설치되어 소정의 고유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RF신호로 송출한다. First,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er 201 is built in or installed near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unique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as an RF signal.

휴대폰(203)은 상기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검출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과 GPS 위성 등으로 확인한 핸드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비상구가 어느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인식하여 이를 표시부에 영상으로 출력해 주거나, 필요시 사용자와 비상구 사이가 멀어지는지 혹은 가까워지는지의 여부를 음성신호, 즉 알람의 형태로 출력해 준다.The mobile phone 203 detects the emergency exit location signal, recognizes which direction the emergency exit is located on the basis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phone identified by the base station and the GPS satellite, and outputs it as an image on the display unit. If necessary, it outputs in the form of a voice signal, that is, whether the user is near or close to the emergency exit.

비상구 위치를 표시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상태를 본 발명에서는 '비상구 위치 표시모드'로 정의한다. 비상구 위치 표시모드의 실행은 키입력부(208)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핸드폰 메뉴 중에 '비상구 위치 표시모드'라는 메뉴를 추가하고, 키를 이용해서 상기 비상구 위치 표시모드를 선택하게 하거나, 혹은 단축키를 할당하여 핫 키로써 단번에 비상구 위치 표시모드로 이행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키입력부(208)를 통해서 해당 명령이 입력되면 마이컴(207)은 도3에 나타낸 비상구 위치 표시동작을 실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of execut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 emergency exit position is defined as an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mode. Execution of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mode can be selected by the user using the key input unit 208. To this end, a menu called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mode' is added to the existing mobile phone menu, and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mode is selected by using a key, or a hot key is assigned to switch to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mode at once by using a hot key. Method can be used. In any case, when the correspond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208, the microcomputer 207 executes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operation shown in FIG.

안테나(204)는 RF신호를 수신한다. 신호 감지부(205)는 수신된 RF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증폭부(206)에 공급하며, 증폭부(206)는 상기 감지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증폭하여 마이컴(207)에 공급한다. 마이컴(207)은 입력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이용해서 사용자(핸드폰)의 현재 위치로부터 비상구 표시기의 위치를 연산처리하여 DSP(209)에 공급한다. DSP(209)는 사용자 핸드폰의 현재 위치로부터 비상구가 위치한 방향을 가리키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고, 이 디지털 신호는 DAC(210)를 통해서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표시부(211)에 공급됨으로써, 비상구 위 치 표시화면(211a)과 같은 형태의 비상구 위치 안내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Antenna 204 receives the RF signal. The signal detector 205 detects the received RF signal and supplies it to the amplifier 206, and the amplifier 206 amplifies the detected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and supplies it to the microcomputer 207. The microcomputer 207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cell phone) using the input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and supplies it to the DSP 209. The DSP 209 processes a digital signal indica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emergency exit is located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s mobile phone, and the digital signal is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211 as an analog video signal through the DAC 210, thereby displaying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screen. An emergency exit location guide image of the same type as that of 211a is provided.

이와 같은 비상구 위치 표시화면(211a)을 보고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어느 방향에 비상구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 등의 비상 사태 발생시에는 실제로 화염이나 연기 등의 장애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심리적 불안감 등이 원인이 되어 비상구쪽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아니면 비상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By viewing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screen 211a, the user can know in which direction the emergency exit is located based on his position.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s, it may be very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moving toward the emergency exit or away from the emergency exit due to the user's psychological anxiety and the like, as well as a fire or smoke. .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핸드폰을 휴대하고 비상구에 가까이 가고 있는지 아니면 비상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음성신호로 알려주는 알람 기능을 구현하였다. 이 알람기능의 선택 여부는 사용자가 키입력부(208)를 이용해서 사전에 초기값으로 선택할 수도 있고, 사후에 키조작을 이용해서 선택할 수도 있다. 음성 알람이 선택되었다면 마이컴(207)은 상기 감지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의 세기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비상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비상구 가까이 가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이 판단된 정보를 음성처리부(212)를 통해서 스피커(213)로 출력해 줄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n alarm function that informs whether a user carries a mobile phone and is approaching or exiting the emergency exit with a voice signal. Whether or not the alarm function is selected can be selected by the user as an initial value in advance using the key input unit 208 or can be selected later using key operation. If the voice alarm is selected, the microcomputer 207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emergency exit or near the emergency exit by using the detected strength of the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information through the voice processing unit 212. The speaker 213 may output the same.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상기 발신기(201)로부터 수신되는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의 세기를 검출한다. 현재의 신호 세기보다 이전의 신호 세기가 크다면 비상구쪽으로 사용자가 가까이 접근하고 있는 경우로 판정할 수 있고, 현재의 신호 세기가 이전의 신호 세기보다 작다면 사용자가 비상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경우로 판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비상구쪽으로 가까이 접근하고 있는 경우는 스피커(213)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알람 음) 레벨을 증가시키고 그 반대의 경우는 감소 시키는 방법을 통해서 비상구에 가까워지는지의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비상구쪽으로 가까이 접근하고 있는 경우는 스피커(213)로 출력되는 알람의 간격을 짧게(혹은 길게)하고 그 반대로 사용자가 비상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경우는 스피커(213)로 출력되는 알람의 간격을 길게(혹은 짧게) 출력해 줌으로써 비상구에 가까워지는지의 여부를 알려줄 수도 있다.For example, periodically detecting the strength of the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1. If the previous signal strength is greater than the current signal strength,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approaching the emergency exit. If the current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the previous signal strength, the user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emergency exit. Can be. Therefore, if the user is approaching the emergency exit closer to the emergency exit by increasing the voice signal (alarm tone) level output to the speaker 213, and vice versa can tell whether the emergency exit. Alternatively, if the user is approaching the emergency exit, the interval of the alarm output to the speaker 213 is shortened (or longer). On the contrary, if the user is away from the emergency exit, the interval of the alarm output to the speaker 213 is reduced. A long (or short) output may indicate whether you are approaching an emergency exit.

상기 음성 알람은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시에 가시거리가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 청각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안내에 특히 효과적이며,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더욱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알람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211) 상에도 영상이나 문자 등으로 비상구에 가까워지는지 혹은 멀어지고 있는지를 표시해 주는 방법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The voice alarm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guiding the emergency exit location using hearing when a line of sight is not secured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and can have a greater effect in the case of a visually impaired person. In addition, at the same time as the voice alarm, the display unit 211 may also use a method of displaying whether the emergency exit is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image or text.

지금까지는 하나의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즉, 도2에 나타낸 비상구 위치/방향 표시화면(211a)에서 살펴보면 나침반 타입의 비상구 위치 표시정보에서 하나의 지침이 하나의 비상구를 가리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대형 건조물의 경우는 여러 개의 비상구가 있을 수 있고, 또 어떤 비상구의 경우는 안전한 대피나 탈출 통로를 제공하지 못하는 예측 불허의 장애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도 있어야 한다.So far, the method of marking the position of one emergency exit has been described. That is, when looking at the emergency exit position / direction display screen 211a shown in Figure 2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of the one pointing to one emergency exit in the compass typ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information. However, there may be several exits for large buildings, and some exits may have unforeseen obstacles that do not provide safe escape or escape routes.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상기 나침반 타입의 지침을 복수개의 비상구에 대하여 다중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즉, 현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몇 개의 비상구의 위치를 하나의 비상구 위치/방향 표시화면(211a) 상에 다중으로 표시해 주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각각의 비상구 표시기에 대응하는 발신기 로부터의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각의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마다 하나의 지침을 대응시켜 여러 개의 지침으로 비상구 위치를 표시해 주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제1 지침은 제1 비상구가 위치한 방향을 가리키고, 제 2지침은 제2 비상구가 위치한 방향을 가리키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지침의 모양을 다르게 하던가, 혹은 지침의 색상을 다르게 하던가 하여 각각의 비상구가 위치한 방향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의 세기를 검출한 신호를 근거로 해서 사용자와 가까이 있는 비상구는 진하게 표시하고, 사용자와 멀리 떨어져 있는 비상구는 흐리게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경우를 구분하는 방법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ultiplely displaying the compass-type guideline for a plurality of emergency exits is applied. That is, a plurality of emergency exit positions closest to the current user's position are displayed on one emergency exit position / direction display screen 211a. In this method, an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is received from a transmitter corresponding to each emergency exit indicator, and a single instruction is mapped to each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to display emergency exit positions with multiple instructions. For example, the first guideline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mergency exit is located and the second guideline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emergency exit is located. In this method, the direction of each emergency exit is displayed by differently changing the shape of the guideline or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guideline. On the basis of this, the emergency exits near the user may be displayed in dark colors, and the emergency exits far from the user may be displayed in gray.

한편, 도2에서 통상적인 핸드폰 사용환경의 경우는 키입력부(208)를 통해서 핸드폰 기능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며, 사용자 조작과 핸드폰 제어는 마이컴(207)에 의해서 수행되고, 마이크(214)로 입력된 사용자 음성신호는 RF처리부(215) 및 안테나(204)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전송되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안테나(204) 및 RF처리부(215)를 통해서 마이컴(207)에서 처리되어 음성 처리부(212)를 통해 스피커(213)로 출력된다. 그리고 메모리부(216)는 ROM, RAM 등의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지며, 핸드폰 기능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고, 기타 필요한 데이터들이 저장 및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typical mobile phone using environment in Figure 2, the user operation for the mobile phone function is made through the key input unit 208, the user operation and mobile phone control is performed by the microcomputer 207, the microphone 214 The input user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F processing unit 215 and the antenna 204, and th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is processed by the microcomputer 207 through the antenna 204 and the RF processing unit 215 and the voice processing unit ( It is output to the speaker 213 through 212. The memory unit 216 is composed of memory elements such as a ROM and a RAM, and includes software for controlling a mobile phone function, and stores and outputs other necessary data.

본 발명은 사무용 건물이나 호텔, 대형 쇼핑몰,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대형 공공 건물(지하철 등), 터널 등의 건조물 내에서 비상구의 위치를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서 표시해 줌으로써 화재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비상구를 이용한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로를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in a building such as an office building, a hotel, a large shopping mall, an apartment, a large public building (subway, etc.), a tunnel, and the like by us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so that an emergency such as a fire may occur. It can help to ensure a quick and safe evacuation route using emergency exits when they occur.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해서 사용자에게 근접한 비상구가 위치한 방향을 실시간으로 안내해 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비상구에 가까워지는지 혹은 비상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도 영상 및/또는 음성신호를 이용해서 알려줌으로써, 더욱 안전하고 정확한 대피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guides the user in the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is located near the user using a mobile phone, but also whether the user is close to the emergency exit or away from the emergency exit using video and / or audio signals Informing them can lead to safer and more accurate evacuation.

Claims (10)

비상구 위치 표시 기능을 설정 또는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수단;Input means for setting or executing an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function; 비상구 표시기 내부 또는 비상구 표시기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소정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비상구 표지기로부터 송출되는 비상구 표지신호 알림 헤더와 해당 비상구 ID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n emergency exit indicator signal header including an emergency exit indicator signal notification header and a corresponding emergency exit ID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an emergency exit indicator installed in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or adjacent to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wireless signal; 상기 수신된 비상구 표지신호를 이용해서 단말기의 현 위치를 기반으로 비상구 ID별로 비상구 위치를 인식하는 비상구 위치 인식수단;Emergency exit position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emergency exit positions for each emergency exit ID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received emergency exit indicator signal; 상기 인식된 비상구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여 출력해 주는 출력수단;Output means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recognized emergency exit position information in a form recognizable by a user;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Emergency exit location display device using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는 인접한 건물이나 인접한 비상구와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구 ID 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The emergency exit location indicator us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mergency exit location indicator signal is classified by emergency exit ID to prevent confusion with an adjacent building or an emergency ex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수신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의 세기에 따라 해당 비상구로부터 멀어지는지 혹은 해당 비상구에 가까워지는지의 여부를 영상이나 음성신호로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means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outputs a video or audio signal whether it is far away from or near the emergency exit as a video or audio signal. Emergency exit location indica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비상구의 위치를 휴대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그 방향을 가리키는 영상의 형태로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unit outputs the position of the emergency exit in the form of an image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ph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는 휴대폰의 사용 주파수 대역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is included in a frequency band used by the cellular ph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휴대폰이 비상구 위치 표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할당된 핫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장치.The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apparatus us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input means has a hotkey assigned for the mobile phone to perform an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operation. 휴대폰을 이용해서 비상구 표시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비상구 표시모드 설정 상태에서 비상구 표시기로부터 송출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를 이용해서 현재 휴대폰 위치를 기반으로 비상구 위치를 검출 및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비상구 위치를 현재 휴대폰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방법.Setting an emergency exit display mode using a mobile phone, receiving an emergency exit location indicator signal sent from the emergency exit indicator in the emergency exit display mode setting state, and using the received emergency exit location indicator signal based on a current mobile phone location Detecting and recognizing, displaying the recognized emergency exit location based on the current mobile phone location; Emergency exit location display method using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표시 모드의 설정단계는 휴대폰 키보드 상에 할당된 단축키 또는 휴대폰 키보드 상에 구비된 핫키에 의해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tting of the emergency exit display mode is performed by a hotkey provided on a mobile phone keyboard or a hotkey assigned on a mobile phone keyboar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위치 검출 및 인식단계에서, 상기 비상구 위치 표지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그 신호 세기에 따라 비상구에 가까워지는지 혹은 멀어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정보를 구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단계에서 영상이나 음성신호로 비상구에 가까워지는지 혹은 멀어지는지의 여부를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emergency exit position detecting and recognizing step, the strength of the emergency exit position indicator signal is detected, and information obta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emergency exit position is near or far from the emergency exit is obtained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and the information is used to determine An emergency exit position display method using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step whether the near or far away from the emergency exit with a video or audio signa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현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비상구 위치 표시단계에서의 비상구 위치 표시는 사용자의 현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최근접한 비상구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구 위치 표시방법.According to claim 7, Emergency exit location display in the emergency exit location display step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using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point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mergency exit is located. How to show location.
KR1020030037649A 2003-06-11 2003-06-11 Eixt navigating system using mobile phone KR1005741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649A KR100574110B1 (en) 2003-06-11 2003-06-11 Eixt navigating system using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649A KR100574110B1 (en) 2003-06-11 2003-06-11 Eixt navigating system using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802A KR20040106802A (en) 2004-12-18
KR100574110B1 true KR100574110B1 (en) 2006-04-25

Family

ID=3738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649A KR100574110B1 (en) 2003-06-11 2003-06-11 Eixt navigating system using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1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078B1 (en) * 2005-02-03 2008-03-06 정은영 Direction lead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IN2014DN09384A (en) 2012-05-25 2015-07-17 Abb Research Lt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802A (en) 200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15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mergency event in a region of interest
JP5514562B2 (en) Location management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TWI413029B (en) Fire induc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985286B1 (en) Smart wireless village broadcasting system
KR102086564B1 (en) Intelligent evacuation guidance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0976150B1 (en) Urgent rescue system using active network communication
KR102101584B1 (en)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1729775B1 (en) Disaster indoor communication system having function of providing evacuation routes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JP2005017027A (en) Escape guiding system and escape guiding method
AU2015202280A1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KR20150045204A (en) guiding and displaying method of smart device based location for traffic facilities and safety equipment
CN105513232A (en) Safe emergency dredging method and system
KR20170025436A (en) ICT based intelligence type shunting incit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100811078B1 (en) Direction lead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KR100574110B1 (en) Eixt navigating system using mobile phone
JP2010033479A (en) In-disaster action support system, wireless terminal and battery charger
KR20110008331U (en) Escape exit guidance lights
KR101859993B1 (en) Emergency call system using beacon and VoIP terminal
JP2004280262A (en) Portable danger notification device, danger notification server and danger degree decision method
CN111351484A (en) Indoor emergency evacuation navigation system
JP2021071925A (en) Evacuation guidance system
KR20020058647A (en) method for guiding a traffic information using a mobile-phone
KR201901244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sponding fire situation of plant
JP2009159390A (en) Location system and location method
KR100550855B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of fire extinguishers or emergency exits using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