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877B1 -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877B1
KR100573877B1 KR20030039091A KR20030039091A KR100573877B1 KR 100573877 B1 KR100573877 B1 KR 100573877B1 KR 20030039091 A KR20030039091 A KR 20030039091A KR 20030039091 A KR20030039091 A KR 20030039091A KR 100573877 B1 KR100573877 B1 KR 10057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stopper
guider
mov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3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191A (ko
Inventor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수 filed Critical 정현수
Priority to KR2003003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877B1/ko
Priority to PCT/KR2004/001443 priority patent/WO2004110890A1/en
Publication of KR20040108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65D49/08Spring-load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마개를 열면 개방된 표시가 겉으로 드러나고 또한 출구를 통해 한번 내용물을 빼내면 다시 다른 내용물을 넣거나 교체할 수 없도록 한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는, 용기 주둥이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려 용기 주둥이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을 내경상으로 갖는 마개와, 상기 마개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개의 이동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푸쉬로드와, 상기 푸시로드의 작동을 안내하고 내용물의 인출을 안내하기 위해 용기 주둥이의 내벽을 따라 장착된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를 중심으로 수축 탄성력을 받도록 장착되어 푸시로드의 작동위치에 따라 인장 수축되면서 위치 가변을 통해 표시부를 가동시키는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에 대하여 압축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이더와 가동판 사이에 게재된 탄성부재와, 상기 가동판의 이동과 연동하여 움직이고 외곽 방향성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그 탄성력 작용방향에 따라 팽창하여 마개의 개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펼쳐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이더에 마련된 작동안내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용기 마개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록킹플레이트가 연동하여 용기내 내용물의 유출과 재투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한번 마개를 열면 개방된 상태의 표시가 가능하고, 또한 한번 마개를 개방하면 내용물을 다시 용기에 넣을 수 없도록 할수 있으며, 상품 출하전 봉입단계에서 간단하게 마개를 장착하여 정품 상품의 식별력을 제고시키며, 내용물의 재투입을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통해 봉쇄하여 유사 보조품의 유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용기,병,표시기,스토퍼,록킹장치

Description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Device of material holding in check a receptacle extr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유닛을 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유닛을 용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마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용기 11:주둥이
12:나사산 20:마개
22:푸쉬로드 30.30a:가이더
31:가이드홈 32:이동공간
35:작동안내공간 36:돌출부
40:통로 41:볼
42:출구 43:1차측출구
44:가이드홈 50:가동판
52.53:가이드트랙 60.61:탄성부재
70:표시부 71:슬라이드레일
80:밀폐부재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용기의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마개를 열면 개방된 표시가 겉으로 드러나고 또한 출구를 통해 한번 내용물을 빼내면 다시 다른 내용물을 넣거나 교체할 수 없도록 한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 등의 내용물을 넣어 판매용 상품으로 포장하는 용기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보편적으로 유리, 합성수지, 금속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용기를 성형하고, 그 용기속에 내용물을 넣고 병마개로 봉인하여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마개를 개봉하여 수용된 내용물을 꺼내는 용기로는 술을 담는 유리로된 술병, 화장품을 담는 화장품병, 음식료품을 담는 음식료병, 금속 및 비금속 소재를 사용한 캔 류 등이 있으며, 이들중 유리를 소재로 하는 병종류의 용기는 병과 병마개로 이루어지고, 캔 종류의 용기는 캔 본체와 클립 또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리종류의 병용기는 다른 어떤 소재보다 내용물의 변질이나 변색이 적으 므로 음식료용, 각종 화학제품용 포장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화학적 안정성이 큰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같은 병종류의 용기는 병용기 본체와 병마개로 되어 있으며, 병마개의 개폡아식에 따라 오프너를 사용하여 병마개를 제거하는 것에서부터 병의 주둥이 외면에 나사를 형성하고 병마개의 내면에는 병 주둥이의 나사에 맞물리는 대응되는 나사를 형성시켜 병마개를 돌려서 병용기 본체로부터 탈거시켜 병주둥이를 개방하도록 된 것 등이 있다.
한편, 이같은 유리병 용기를 포함하여 내용물 유출을 방지하고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목적으로 마개를 사용하는 모든 용기는 마개를 열고 내용물을 꺼내면 용기는 폐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용기보다는 용기 속에 담는 내용물의 상품성이 더 큰 것이다.
그러나, 용기속에 담는 내용물의 상품가치가 높은 경우 용기를 폐기하지 않고 한번 내용물을 유출시켜 폐기 대상이 되어야 하는 용기가 다시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예를들면, 프리미엄급 양주 등은 비교적 고가의 상품가치를 가지고 있는데, 유통과정에서 원액이 아닌 다른 저급 알콜을 새로 출고된 상품인 것처럼 다쓴 유리용기에 담아 유통시키는 사례가 나타났다.
이러한 정품이 아닌 모조품 유통의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제조원측에서는 마개를 한번 열면 개방된 표시가 드러나 다시 유리병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만들거나 또는 마개에 제조원측에서만 넣을수 있는 특수한 모양이나 표기를 하여 수요자로 하여금 정품상품인지의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들을 개발하여 적용하여 왔다.
그러나, 현재 까지도 만족할만한 수준의 결과는 얻지 못했다. 즉, 병과 마개는 구조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같은 개방조건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역으로 유사 모조품을 병에 넣을수 없도록 하는 완벽한 대안을 기술이 개발되지 못했기 때문에,마개를 열고 정품이 아닌 다른 유사 모조품을 병에 넣어서 정품인 것처럼 위조할 수 있는 여지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
특히, 마개에 개봉상태를 알수 있는 특수 기호나 문자 등의 표시를 하여 수요자로 하여금 정품 여부를 가리도록 하는 방법은 전자의 방법에 비해 더 모사품의 유통을 허용하는 결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정품 여부를 수요자가 사전에 상품에 표시된 특수한 표시나 기호 등의 식별방법 등을 인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정품여부를 가릴수 있는 것이므로 수요자가 이러한 판독에 필요한 사전정보에 대한 인지가 불충분하면 그대로 정품이 아닌 유사품의 유통이 허용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 2002년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0084138호 및 2003년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0010386호로 제시되었다.
상기 특허출원 2002-0084138호의 기술은, 병 주둥이 외면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나사가 내면에 형성되고 그 내측에 상기 나사와 반대방향이고 피치가 큰 역나사가 형성된 역나사봉을 갖는 마개와, 상기 역나사봉이 맞물리는 나사가 형성되고 나사방향으로만 상하 이동되고 회전되지 않는 봉 형상의 너트와, 상기 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개를 열게되면 너트에 밀려 하부로 이동하여 일부분이 병 주둥이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열린 상태를 표시하게 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하여 한번 마개를 개방하게 되면 개방된 상태가 확실하게 표시되는 동시에 내용물을 다시 병속으로 넣을 수 없게 하였다.
또 다른 특허출원 2003-0010386호의 기술은, 병 주둥이 외면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나사가 내면에 형성된 마개와, 상기 마개의 중앙 하부에 고정되고 그 내측에 상기 마개의 나사와 반대방향이고 피치가 마개의 나사 피치 보다 큰 역나사가 형성된 역나사봉과, 상기 역나사봉이 맞물리는 나사가 형성되고 나사방향으로만 상하 이동되고 회전되지 않는 봉 형상의 너트와, 상기 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개를 열게되면 너트에 밀려 하부로 이동하여 일부분이 병 주둥이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열린상태를 표시하게 되는 표시수단과, 상기 병 주둥이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너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너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로 구성된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상하를 관통하게 되는 다수개의 공기통로가 형성되되, 그 일정 높이에 수직단면이 하트 모양으로 이루어진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걸림부에 상기 공기통로 보다는 크기가 큰 볼을 설치 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을 내부로 투입할 수 없도록 하였다.
그러나, 병 마개를 돌려 개방하게 되면 개방된 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내용물을 다시 병속으로 넣을 수 없게 할 목적으로 제시된 상기 기술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작동 신뢰성을 충분히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또 다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0196228호에 소개된 기술은, 병을 바로 세울을 때 밸브부재가 유입구멍 및 하부 가이드공을 폐쇄함으로서 외부에서 위조된 내용물이나 이물질 투입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한 것이나, 병에 장착 하는 뚜껑부 전체를 병으로부터 쉽게 분리할수 있어 위조방지 장치로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번 마개를 열면 개방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번 마개를 개방하면 내용물을 다시 용기에 넣을 수 없게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이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동작 신뢰성이 높은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는, 용기 주둥이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려 용기 주둥이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을 내경상으로 갖는 마개와,
상기 마개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개의 이동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푸쉬로드와,
상기 푸쉬로드의 작동을 안내하고 내용물의 인출을 안내하기 위해 용기 주둥이의 내벽을 따라 장착된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를 중심으로 수축 탄성력을 받도록 장착되어 푸쉬로드의 작동위치에 따라 인장 수축되면서 위치 가변을 통해 표시부를 가동시키는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에 대하여 압축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이더와 가동판 사이에 게재된 탄성부재와,
상기 가동판의 이동과 연동하여 움직이고 외곽 방향성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그 탄성력 작용방향에 따라 팽창하여 마개의 개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펼쳐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이더에 마련된 작동안내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용기 마개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가동판을 연동하여 용기내 내용물의 유출과 재투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한번 마개를 열면 개방된 상태의 표시가 가능하고, 또한 한번 마개를 개방하면 내용물을 다시 용기에 넣을 수 없도록 할수 있으며, 상품 출하전 봉입단계에서 간단하게 마개를 장착하여 정품 상품의 식별력을 제고시키며, 내용물의 재투입을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통해 봉쇄하여 유사 보조품의 유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분해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유닛을 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유닛을 용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마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과 용기(10)와, 용기 주둥이(11)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12)에 맞물려 용기 주둥이(11)의 나사산(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21)을 내경상으로 갖는 마개(20)와, 마개(2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개(20)의 이동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푸쉬로드(22)와, 푸쉬로드(22)의 작동을 안내하고 내용물의 인출을 안내하기 위해 용기 주둥이(11)의 내벽을 따라 장착된 가이더(30)(30a)와, 상기 가이더(30)(30a)를 중심으로 수축 탄성력을 받도록 장착되어 푸쉬로드(22)의 작동위치에 따라 인장 수축되면서 위치 가변을 통해 표시부(70)를 가동시키는 가동판(50)과, 상기 가동판(50)에 대하여 압축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이더(30)(30a)와 가동판(50) 사이에 게재된 탄성부재(60)와, 상기 가동판(50)의 이동과 연동하여 움직이고 외곽 방향성 탄성부재(61)를 구비하여 그 탄성력 작용방향에 따라 팽창하여 마개(20)의 개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70)와, 상기 표시부(70)의 펼쳐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이더(30)(30a)에 마련된 작동안내공간(3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개(20)로부터 돌출되는 푸쉬로드(22)는 마개(20)와 푸쉬로드(22)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마개(20)와 푸쉬로드(22)를 별개로 구성하여 조립하여 마개(20)의 회전에 따라 푸쉬로드(22)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주둥이(11) 내벽을 따라 장착되는 가이더(30)(30a)는, 상부측 가이더(30)와 하부측 가이더(30a)로 구성할 수 있으며, 푸쉬로드(2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31)과, 가동판(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공간(32)과, 이동공간(32)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판(50)과의 조합을 위한 가이드트랙(33)으로 이루어지며, 용기(10)의 주둥이(11) 내벽면과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한 밀폐부재(80)를 외표면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부측 가이더(30a)는, 용기(10)내 내용물을 밖으로 유출시키고 차단하기 위한 볼(41)이 내장된 통로(40)를 구비하며, 상기 통로(40)는 상부측이 높고 하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진 출구(42)로 형성된다.
또한, 가동판(50)은, 가이더(30)에 형성된 가이드트랙(33)에 대응되도록 표면위에 형성된 가이드트랙(52)과, 이 가이드트랙(52)의 상대측에 형성되어 표시부(7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양방향 대칭으로 형성된 또 다른 가이드트랙(5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표시부(70)는, 가동판(50)의 이동에 따라 가이더(30)의 작동안내공간(35)을 따라 밖으로 팽창되어 펼쳐질수 있도록 탄성부재(61)에 의해 가이더(30)의 하부에 마련된 돌출부(36)를 중심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가동판(50)의 가이드트랙(53)과 턱결합으로 걸려있다. 그리고, 가동판(50)의 가이드트랙(53)에 안내되는 슬라이드레일(71)을 표면상에 구비하고, 그 끝단은 병주둥이(11)의 하단부 내벽면과 밀착이 용이하도록 구배면(72)을 구비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5는 하부측 가이더(30a)에 형성된 경사출구 이며, 51은 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용기(10)의 주둥이(11)에 장착되어 한번 푸쉬로드(22)가 장착된 마개(20)를 장착하여 돌려 끼우면 마개(20)를 열고 내용물을 유출시킬 수 있지만 다른 내용물의 재투입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를 용기의 주둥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사전에 용기의 주둥이(11) 사이즈를 고려하여 가이더(30)(30a)의 외경 사이즈가 맞추어져 있으며, 가이더(30)(30a)의 내부로는 가동판(50)과 표시부(70)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며, 가이더(30)(30a)에 내장형으로 설치된 가동판(50)은 압축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0)에 의해 접선면에 해당하는 가이드트랙(33)(52)을 통해 서로 접촉되어 있다. 또한, 가동판(50)의 하부측으로는 표시부(70)가 위치하고 있는데, 표시부(70)의 상부면은 가동판(50)측의 가이드트랙(53)과 슬라이드레일(71)을 통해 접촉되어 있으며, 표시부(70)의 하부는 가이더(30a)가 받쳐주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가이더(30a)의 통로(40)에 내장형으로 장착되어 있는 볼(41)은 무게 중력에 의해 내용물 1차측 출구(43)를 막고 있다.
한편, 가이더(30a) 내부에 가동판(50) 및 표시부(70)를 구비하는 유닛을 용기(10)의 주둥이(11) 내벽을 따라 장착하면, 전체 유닛중 가이더(30)의 외벽이 용기(10)의 주둥이(11) 내벽과 닿아 용기(10)의 주둥이(11)에 장착된다. 이때, 가이더(30)(30a)는 용기(10)의 주둥이(11) 내벽으로부터 빠지지지 않도록 별도의 이탈방지용 보조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들들면, 용기(10)의 주둥이(11) 내벽에 일정한 쐐기형 홈을 가공하고 가이더(30)의 외부에는 주둥이(11)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그 홈을 따라 장착될수 있는 리브를 부설하는 구조, 또는 가이더(30)(30a)를 조립할 때 주둥이(11)에 장착이 완료되면 주둥이 속의 용기 내부에서 펼쳐지는 걸림장치를 부설하는 구조 등이 될 수 있다.
조립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이 될 수 있다. 먼저 가이더(30)(30a)의 내부에 가동판(50)과 표시부(70)를 설치하고 가이더(30)(30a)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하부측 가이더(30)(30a)의 고정방법은 구체적인 예로서 나타내지는 않앗으나 상하부측 가이더(30)(30a)가 맞닿는 접선면을 중심으로 해당 부분을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제 부품들 즉, 가동판 및 표시부 등을 설치하고 가이더(30)(30a)의 접선면을 본딩 형합 하는 방법, 또는 제 부품을 설치한 뒤 기계적인 결합 등으로 형합 시킬수 있다. 이렇게 가이더 유닛의 조립이 끝나면 가이더 유닛을 병주둥이에 장착함과 동시에 상부측에서 마개(20)를 함께 돌려서 조립한다.
보조장치를 부가하지 않고 가이더(30)(30a)를 용기(10)의 주둥이(11)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또 다른 방법은 주둥이(11)의 내벽과 닿는 가이더(30)(30a)의 면을 마찰력이 큰 소재를 써서 주둥이(11)의 내벽으로부터 가이더(30)(30a)가 빠지지 않게 하는 방법이다. 예를들면, 가이더(30)(30a)의 외표면을 마찰력이 크고 압축이 가능한 고탄성 압축소재로 처리하여 주둥이(11)에 고 압축으로 조립하는 경우 마찰력만으로 가이더(30)(30a)를 주둥이(11)에서 빠지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주둥이(11)의 선단 부분에 내부로 향하는 라운드형 팁을 형성하고 가이더(30)(30a)가 어느정도 수축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조립단계에서 고 압축으로 조립하여 한번 가이더(30)(30a)를 주둥이(11)에 끼워 넣으면 인위적으로 가이더(30)(30a)를 탈거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이와 같이 가이더(30)(30a)를 용기(10)의 주둥이(11)에 조립 하는 경우 가이더(30)(30a)를 공구나 다른 탈거장치 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빼낼수 없도록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가이더(30)(30a)를 용기의 주둥이(11)에 장착한다. 본 발 명에 따른 가이더(30)(30a)는 이러한 다양한 탈거방지를 위한 다양한 장치를 부가하거나 적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로서, 가이더(30)(30a)를 주둥이(11)에 결합할 때 이러한 탈거방지를 위한 표면처리나 소재선택 등을 통해 고압축으로 가이더(30)(30a)를 주둥이(11)에 장착한 경우로서, 인위적으로 가이더(30)(30a)를 주둥이(11)에서 빼낼수 없도록 조합할수 있다.
마개(20)에는 푸쉬로드(22)가 돌설되어 마개(20)를 주둥이(11)의 외벽 나사산(12)을 따라 돌려 끼우면 마개(20) 전체가 나사산(12)을 따라 밑으로 내려가는데, 이때 푸쉬로드(22)는 가이더(30)(30a)에 형성된 가이드홈(31)을 따라 내려가면서, 가동판(50)의 표면을 눌러 가압한다. 이때 푸쉬로드(22)는 마개(20)의 이동과 동시에 가동판(50)을 가압하게 된다.
도 2는 마개(20)를 주둥이(11)의 나사산(12)을 따라 결합을 완료한 상태이다. 마개(20)의 푸쉬로드(22)는 가이더(30)(30a)의 가이드홈(31)을 따라 밑으로 내려간 상태이며, 마개(20)는 주둥이(11)의 나사산(12)에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는 내용물을 담고 마개(20)로 주둥이(11)를 닫아 밀봉한 최종 단계로서, 표시부(70)는 가이더(30)(30a)의 작동안내공간(35)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마개(20)를 주둥이(11)에 돌려 끼우는 과정에서 푸쉬로드(22)의 가압력이 형성되고, 이 가압력에 따라 가동판(50)의 이동현상이 나타나며, 가동판(50)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부(70)의 위치도 변동되지만 도 2와 같이 마개(20)를 결합한 상태에서 표시부(70)는 가이더(30)(30a)의 작동안내공간(35)에 정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마개(20)를 돌리면 마개(20)는 주둥이(11)의 나사산(12)을 따라 하부로 내려가면서 이와 동시에 푸쉬로드(22)는 가이더(30)(30a)의 가이드홈(31)을 따라 내려가면서 선단부를 통해 가동판(50)의 상부면을 가압한다.
가동판(50)의 상부면에 작용되는 푸쉬로드(22)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판(50)은 가압력 작용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더(30)(30a)와 가동판(50) 사이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부재(60)를 인장시킨다.
탄성부재(60)의 인장에 따라 가동판(50)은 하부로 내려가면서 가이드트랙(33)(52)으로 닿아 있던 접선면이 이격되면서 이와 동시에 표시부(70)를 하부로 이동시켜 작동안내공간(35)과 일치되도록 정위치를 유지시킨다. 표시부(70)의 초기 위치는 가이더(30)(30a)의 내벽이지만 가동판(50)의 이동으로 이동에 따라 작동안내공간(35)과 일치하게 된다.
도 3과 같이 마개(20)를 돌려 빼내면 표시부(70)는 탄성부재(61)의 탄성력 작용에 의해 가이더(30)(30a)의 작동안내공간(35)을 따라 외곽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주둥이(11)의 굴절부(13)에 걸려서 정착된다. 이 작동은 초기에 가동판(50)의 하부측 가이드트랙(53)에 표시부(70)가 걸린 상태이지만, 마개(20) 개방에 따른 푸쉬로드(22)의 가압력 해제에 의해 가동판(50)이 상부로 올라가고 이로인해 가동판(50)의 가이드트랙(53)으로부터 표시부(70)의 턱 분리 현상이 나타나 작동안내공간(35)을 따라 펼쳐지는 것이다.
표시부(70)는 구배면(72)이 있기 때문에 이 구배면(72)을 통해 주둥이(11)의 굴절부(1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며, 가동판(50)측의 가이드트랙(53)을 따라 슬라이드레일(71)을 통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이동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표시부(70)의 이동은 가동판(50)에 형성된 가이드트랙(53)의 끝단 돌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가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내용물을 용기(10) 담고 상품으로 출고하기 전 마개(20)를 닫는 밀봉 단계에서 가이더(30)의 유닛을 주둥이(11)에 장착하고 마개(20)를 닫으면 가동판(70)이 하부로 내려간 상태가 되고, 이후 마개(20)를 열면 표시부(70)가 외곽방향으로 확장되어 그 상태로 유지됨으로서 마개(20)의 개봉 상태를 표시하여 쉽게 개봉 상태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가이더(30)(30a)의 탈거는 물론 특정 부분을 제거하여 내용물을 다시 넣을 수 없도록 한다.
한편, 용기에 내용물을 채우고 재투입 방지장치 유닛을 주둥이에 설치한 후 마개(20)를 돌려 개봉하면 마개(20)는 주둥이(11)측 나사산(12)을 따라 개봉되면서 열리는데, 이때 푸쉬로드(22)도 마개(20)의 이동에 따라 윗 방향으로 상승하여 가동판(50)에 대한 가압력은 소멸되지만 가동판(50)은 탄성부재(60)의 탄성력으로 상승된다.
가동판(50)은 마개(20)를 닫아 밀봉하는 과정에서 정착된 탄성부재(60)를 신장 시킨 위치에 정착되지만 마개(20)를 열면 상승되면서 표시부(70)를 가이더(30)(30a)의 밖으로 펼쳐주는데, 표시부(70)의 일단이 주둥이(11)의 굴절부(13)에 걸려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61)의 복원력이 작용되어도 그대로 정 위치에 있게 되어 외부에서 이 상태를 쉽게 식별이 가능하다.
마개(20)를 열어 내용물을 유출시키려면 용기(10)를 기울여서 유출시킨다. 이는 통상적으로 용기(10)내 내용물을 유출시키기 위한 것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용기를 기울일 때 1차측 출구(43)가 닫히고 열리도록 되어 있다. 이는 출구(42)를 통한 내용물의 재투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용기를 기울이면 볼(41)이 통로(40)의 가이드홈(44)을 따라 자유이동 한다. 즉, 기울어짐 각도에 따라 가이드홈(44)내에서 볼(41)의 위치는 변화된다.
용기를 세워놓은 상태이면, 볼(41)의 무게로 인해 통로(40)의 1차측 출구(43)를 볼(41)이 폐쇄한 상태이지만, 내용물을 유출시키기 위해 적절한 각도로 기울이면 볼(41)이 가이드홈(44)을 따라 구름운동 하여 기울러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막고 있던 1차측 출구(43)이 열린다. 이렇게 구멍이 열리면 출구(42)를 통한 내용물의 유출이 가능해진다. 즉, 출구(42)를 통해 유출되는 내용물은 가이더(30)와 가동판(50) 사이 이동공간(32)을 따라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가이더(30)(30a)에 형성된 가이드홈(31)을 통해 배출된다. 내용물을 유출시려면 반드시 마개(20)를 열어야 하므로 푸쉬로드(22)는 마개(20)를 여는 과정에서 가이드홈(31)에서 빠져나가 이탈되기 때문에 푸쉬로드(22)에 의한 가이드홈(31)의 막힘은 발생되지 않는다. 내용물을 유출시키고 다시 용기를 바로 세우면 볼(41)이 자중으로 내려가 1차측 통로(43)를 폐쇄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출구(42)를 따라 들어오는 다른 어떠한 내용물의 유입도 차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 마개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가동판이 연동하여 용기내 내용물의 유출과 재투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한번 마개를 열면 개방된 상태의 표시가 가능하고, 또한 한번 마개를 개방하면 내용물을 다시 용기에 넣을 수 없도록 할수 있으며, 상품 출하전 봉입단계에서 간단하게 마개를 장착하여 정품 상품의 식별력을 제고시키며, 내용물의 재투입을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통해 봉쇄하여 유사 보조품의 유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용기 주둥이 외면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나사가 내면에 형성된 마개의 회전에 따라 용기 개봉 상태를 표시하고 내용물의 재투입을 방지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 주둥이(11)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12)에 맞물려 용기 주둥이(11)의 나사산(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21)을 내경상으로 갖는 마개(20)와,
    상기 마개(2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개(20)의 이동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푸쉬로드(22)와,
    상기 푸쉬로드(22)의 작동을 안내하고 내용물의 인출을 안내하기 위해 용기 주둥이(11)의 내벽을 따라 장착된 가이더(30)(30a)와,
    상기 가이더(30)(30a)를 중심으로 수축 탄성력을 받도록 장착되어 푸쉬로드(22)의 작동위치에 따라 인장 수축되면서 위치 가변을 통해 표시부(70)를 가동시키는 가동판(50)과,
    상기 가동판(50)에 대하여 압축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이더(30)(30a)와 가동판(50) 사이에 게재된 탄성부재(60)와,
    상기 가동판(50)의 이동과 연동하여 움직이고 외곽 방향성 탄성부재(61)를 구비하여 그 탄성력 작용방향에 따라 팽창하여 마개(20)의 개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70)와,
    상기 표시부(70)의 펼쳐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이더(30)(30a)에 마련된 작동안내공간(3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0)로부터 돌출되는 푸쉬로드(22)는 마개(20)와 푸쉬로드(22)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0)와 푸쉬로드(22)를 별개로 구성하여 조립하여 마개(20)의 회전에 따라 푸쉬로드(22)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장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30)(30a)는 상부측 가이더(30)와 하부측 가이더(30a)로 구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주둥이(11) 내벽을 따라 장착되는 가이더(30)(30a)는, 푸쉬로드(2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31)과,
    상기 가동판(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공간(32)과,
    상기 이동공간(32)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판(50)과의 조합을 위한 가이드트랙(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30)(30a)는 용기(10)의 주둥이(11) 내벽면과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한 밀폐부재(80)를 외표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30a)는, 용기(10)내 내용물을 밖으로 유출시키고 차단하기 위한 볼(41)이 내장된 통로(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40)는 상부측이 높고 하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진 출구(4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50)은, 가이더(30)에 형성된 가이드트랙(33)에 대응되도록 표 면위에 형성된 가이드트랙(52)과,
    상기 가이드트랙(52)의 상대측에 형성되어 표시부(7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양방향 대칭으로 형성된 또 다른 가이드트랙(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70)는, 가동판(50)의 이동에 따라 가이더(30a)의 작동안내공간(35)을 따라 밖으로 팽창되어 펼쳐질수 있도록 탄성부재(61)에 의해 가이더(30)의 하부에 마련된 돌출부(36)를 중심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가동판(50)의 가이드트랙(53)과 턱결합으로 걸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70)는, 가동판(50)의 가이드트랙(53)에 안내되는 슬라이드레일(71)을 표면상에 구비하고, 그 끝단은 가이더(30a)의 내벽면과의 마찰면을 적게 하기 위한 구배면(7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KR20030039091A 2003-06-17 2003-06-17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KR100573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9091A KR100573877B1 (ko) 2003-06-17 2003-06-17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PCT/KR2004/001443 WO2004110890A1 (en) 2003-06-17 2004-06-17 Device for preventing contents from being input again in bo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9091A KR100573877B1 (ko) 2003-06-17 2003-06-17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191A KR20040108191A (ko) 2004-12-23
KR100573877B1 true KR100573877B1 (ko) 2006-04-26

Family

ID=3355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9091A KR100573877B1 (ko) 2003-06-17 2003-06-17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73877B1 (ko)
WO (1) WO2004110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8901A (zh) * 2012-05-22 2012-09-12 褚万青 内部结构具有随机性的防伪包装物和商品防伪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1062U (ko) * 1979-02-21 1980-08-27
US4523687A (en) * 1984-10-29 1985-06-18 John Hullihen Non-refillable pourer
FR2655955B1 (fr) * 1989-12-20 1992-04-10 Alfax Ab Valve pour bouteilles a gaz sous pression non rechargeable et emballage equipe d'une telle valve.
KR100884650B1 (ko) * 2002-12-26 2009-02-20 정현수 병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191A (ko) 2004-12-23
WO2004110890A1 (en)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155B2 (en) Single unit dispensing cap
RU2406670C1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мкости
KR100573877B1 (ko)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CN106628575B (zh) 一种防伪酒瓶及其防伪方法
KR20110075546A (ko) 낙하식 위조방지 마개 조립체
US20190135504A1 (en) Dispensing closure for a fluid container
WO2009047626A2 (en) Anti-adulteration closure device for bottles
KR100830089B1 (ko) 용기용 마개
KR100884650B1 (ko) 병마개
JP2010235194A (ja) 定形錠剤用筒状容器
US10106302B1 (en) Beverage container pouring cap
KR200417215Y1 (ko)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US11414239B2 (en) Fluid container with downwardly sloping bottom wall
JP5179990B2 (ja) 注出栓
KR100679612B1 (ko) 내용물의 위조방지 배출돌기가 구비된 용기
KR102245542B1 (ko) 화장품 용기
KR100503761B1 (ko) 병마개
KR20040011409A (ko) 별도의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병뚜껑
KR102124992B1 (ko) 화장품 용기
US3073469A (en) Non-refillable closure devices for bottles
RU69035U1 (ru) Пробка-дозатор
RU47333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купорки бутылок
KR20040039224A (ko) 체크벨브를 수용한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뚜껑
KR100969408B1 (ko) 인너 패킹형 고정부재를 갖고 있는 내용물 저장용 뚜껑
US2931542A (en) Pop-up spout for non-refillable bott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