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106B1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optical resonator - Google Patents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optical reson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106B1
KR100573106B1 KR1020020076029A KR20020076029A KR100573106B1 KR 100573106 B1 KR100573106 B1 KR 100573106B1 KR 1020020076029 A KR1020020076029 A KR 1020020076029A KR 20020076029 A KR20020076029 A KR 20020076029A KR 100573106 B1 KR100573106 B1 KR 100573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organic
light emitting
reso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48235A (en
Inventor
조상환
도영락
김윤창
안지훈
이준구
이용희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6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106B1/en
Publication of KR20040048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2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1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Abstract

본 발명은 공진 효과를 일으키는 간단한 단일막 구조를 가짐으로써 광취출효율을 향상시키고, 광취출효율을 빛이 투사되는 최종 단계에서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 상에 서로 교차하도록 배설된 제 1 및 제 2 전극층과, 상기 제 1, 2전극층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적어도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과, 상기 유기층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층의 발광 방향으로 최외곽 부재의 내측면에는 단일막으로 형성되어 빛의 광학적 공진이 일어나는 광공진층이 더 구비되고, 상기 광공진층은 그 굴절률이 상기 광공진층을 둘러싼 서로 다른 층들의 각 굴절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by having a simple single film structure that causes a resonance effect, and to compensate for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the final stage of the light projection, the first and second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on the substrat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an electrode layer, an organic layer including at least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layers to emit light, and a sealing portion for sealing the organic layer, wherein the outermost member is disposed in the light emitting direction of the organic layer. The inner surface of the organic resonant layer is formed of a single film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tical resonance of light, the optical resonance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active index is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of the different layers surrounding the optical resonance layer It relates to an electroluminescent element.

Description

광 공진기를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optical resonator}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an optical resonat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optical resonat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PM 타입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M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PM 타입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M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AM 타입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M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AM 타입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M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광 공진층의 두께와 각 화소를 구성하는 유기 발광층의 광취출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5 to 7 are graph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resonant layer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onstituting each pixe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투명 기판 11: 제 1 전극층10: transparent substrate 11: first electrode layer

12: 내부 절연막 13: 유기층12: internal insulating film 13: organic layer

14: 제 2전극층 15: 밀봉부14: second electrode layer 15: sealing portion

20: 광 공진층 20: optical resonance layer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기막에 의해 발생된 광의 취출효율이 개선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improved extraction efficiency of light generated by an organic film.

통상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화가 용이하며 광시야각, 빠른 응답속도 등 액정표지 장치에 있어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결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In general,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a self-luminous display that electrically excites fluorescent organic compounds to emit light, which can be driven at low voltage, is easy to thin, and i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such as wide viewing angle and fast response speed.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next generation display that can solve the defect.

이러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유리나 그밖에 투명한 절연기판에 소정 패턴의 유기막이 형성되고 이 유기막의 상하부에는 전극층들이 형성된다. 유기막은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기막들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프탈로시아닌(CuPc: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등이 이용된다.In the organic EL device, an organic film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glass or other transparent insulating substrate, and electrode layers are form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rganic film. The organic film consists of organic compounds. Materials for forming such organic films include phthalocyanine (CuPc: copper phthalocyanine), N, N-di (naphthalen-1-yl) -N, N'-diphenyl-benzidine (N, N'-Di (naphthalene-1) -yl) -N, N'-diphenyl-benzidine (NPB), 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3), etc. are us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전극들에 양극 및 음극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양극전압이 인가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이동되고, 전자는 음극전압이 인가된 전극으로부터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주입된다. 이 발광층에서 전자와 홀이 재결합하여 여기자(exiton)를 생성하고, 이 여기자가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발광층의 형광성 분자가 발광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여기자는 에너지 상태로 분류하였을 때 하나의 일중항 상태와 세 개의 삼중항 상태를 가진다. 밴드갭 에너지 특성상 일중항의 에너지 상태에서는 발광을 하게 되나 삼중항 상태의 에너지는 발광을 하지 않고 열에너지로 변하게 된다.In the organic EL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the anode and cathode voltages are applied to the electrodes, holes injected from the electrode to which the anode voltage is applied are moved to the light emitting layer via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s are applied to the cathode voltage. It is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via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from the electrode. In this light emitting layer,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to produce excitons, and as the excitons change from the excited state to the ground state, the fluorescent molecules in the light emitting layer emit light to form an image. The excitons, when classified into energy states, have one singlet state and three triplet states. Due to the bandgap energy characteristic, the singlet energy state emits light, but the triplet state energy is changed to thermal energy without emitting light.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광효율은 내부효율(internal efficiency)과 외부효율(external efficiency)로 나누어지는데, 내부효율은 유기 발광 물질의 광전변환 효율에 의존하며, 광취출효율(light coupling efficiency)이라고도 불리는 외부효율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각층의 굴절률에 좌우된다. 이 중 외부효율인 광취출효율의 경우에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음극선관이나 PDP 등 다른 표시장치에 비해 낮은 편이어서, 이로 인해 휘도, 수명 등 표시장치의 특성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많다.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EL device driven as described above is divided into internal efficiency and external efficiency, the internal efficiency of which depends o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and the light coupling efficiency External efficiency, also called efficiency, depends on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layer constituting the organic EL device. Among them, in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which is an external efficiency, the organic EL device is lower than other display devices such as cathode ray tubes and PDPs, and thus, there is much room for improvement in characteristics of display devices such as brightness and lifetime.

이렇듯,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광취출효율이 타 표시장치에 비해 낮은 가장 큰 원인은 상기 유기막에 의해 방출되는 광이 임계각 이상으로 출사될 때 ITO 전극층과 같이 굴절률이 높은 층과 기판과 같이 굴절률이 낮은 층 사이의 계면에서 전반사를 일으키게 되어 외부로 취출되는 것이 방해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계면에서의 전반사 문제로 인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 실제 유기 발광층에서 발생되는 빛은 약 1/4 정도만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As such, the biggest cause of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conventional organic EL device is lower than that of other display devices, such as a layer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such as an ITO electrode layer, and a substrate, when light emitted by the organic film is emitted above a critical angle. This is because total reflection occur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layers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and the extraction to the outside is prevented. Therefore, due to the total reflection problem at the interface, only about a quarter of the light gener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 the organic EL device may be extract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광취출효율은 ITO 전극의 두께와 기판의 굴절률에 따라 달라지는 데, 실제 ITO 전극은 ITO의 전기적 특성 및 공정상의 특성 등을 감안할 때, 대략 150 내지 200nm 정도의 두께를 갖게 되며, 이 때에는 약 23% 정도의 광취출효율 밖에 얻을 수 없다.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s described above depends on the thickness of the ITO electrode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but the actual ITO electrode has a thickness of about 150 to 200 nm in consideration of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 characteristics of the ITO. Only about 23% of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obtained.

이와 같은 광취출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일예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소 63-172691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돌출렌즈 등의 집광성을 가지는 기판을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집광을 위한 돌출렌즈는 유기막의 발광에 따른 화소가 매우 작으므로 기판에 형성하기 어렵다.An example of a convention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for preventing such a decrease in light extraction rate is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63-172691. The disclos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es a substrate having light condensation such as a protruding lens. However, such a convex lens for condensing is difficult to form on the substrate because the pixel according to the emission of the organic film is very small.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소 62-172691호에는 투명전극층과 발광층에 제1유전체층을 개재함과 동시에 투명전극측에 상기 제1유전체층과 투명전극 사이 중간의 굴절률을 가지는 제2의 유전체층을 개재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개시되어 있고, 일본 공개 특허공보 평1-220394호에는 기판 상에 하부전극, 절연층, 발광층 및 상부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발광층의 편면에 광을 반사시키는 미러가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개시되어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62-172691 disclos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with a first dielectric layer interposed between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a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dielectric layer and a transparent electrode on a transparent electrode side. A device is disclosed,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1-220394 disclos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 which a lower electrode, an insulating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are formed on a substrate, and a mirror is formed to reflect light on on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layer. Is disclosed.

이러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발광층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측면에 반사를 위한 미러를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결과적으로 생산원가 상승의 원인이 된다.Since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very thin, it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a mirror for reflection on the side surface, and as a result,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11-283751호에는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일층 또는 다수층의 유기층을 가지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구성요소로서 회절격자 또는 존 플레이트를 포함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굴절률의 차이가 나는 경계부근에 회절격자를 형성시켜 빛의 산란효과에 의해 유기층의 빛을 취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회절 격자층은 실 제 제조 공정상 복잡하고, 그 표면 굴곡으로 인하여 박막의 상부층의 패턴 형성이 곤란하며, 표면 굴곡을 메우기 위해서는 별도의 평탄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1-283751 disclos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one or more organic layers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and includes a structure including a diffraction grating or a zone plate as a component. Is disclosed. This is to form a diffraction grating near the boundary where the refractive index is different and to extract the light of the organic layer by the light scattering effect. However, such a diffraction grating layer is complicated in the actual manufacturing process, it is difficult to form a pattern of the upper layer of the thin film due to the surface curvature,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planarization process must be added to fill the surface curvature.

또한, 이러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250786호, 특개평8-213174호, 특개평10-177896호에는 광학적 미세공동(optical microcavity) 개념을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는 글라스 기판과 ITO 전극과의 사이에 다층 구조의 반투과 거울을 형성하고, 이 반투과 거울이 반사판으로서의 기능을 겸한 금속 음극과 함께 광공진기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반투과 거울은 고굴절률을 가지는 TiO2층과 저굴절률을 가지는 SiO2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다중층을 형성하고, 이 다중층의 층의 수로서 반사율을 조절하여 광공진기능을 설계한다. 그러나, 이러한 광 공진기는 반투과 거울을 이루는 층의 수가 많을수록 반사특성이 향상되므로 층의 수를 증가시켜야 하지만, 특정 파장에 대한 반사율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적층되는 층의 수와 두께를 정확히 설계해야 하므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을 가진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s. 8-250786, 8-213174, and 10-177896 disclose an organic material using an optical microcavity concept.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disclosed. In the disclos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 transflective mirro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glass substrate and the ITO electrode, and the transflective mirror functions as an optical resonator together with a metal cathode serving as a reflector. In this case, the transflective mirror is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a TiO 2 layer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and a SiO 2 layer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to form a multilayer, and controlling the reflectance as the number of the multilayer layers to provide a light resonance function. Design. However, the optical resonator needs to increase the number of layers because the reflection property is improved as the number of layers forming the transflective mirror increases, but in order to control the reflectance for a specific wavelength,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number and thickness of stacked layers accuratel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ocess of the electroluminescent element is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진 효과를 일으키는 간단한 적층 구조를 가짐으로써 광취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has an object to provid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apable of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by having a simple laminated structure causing a resonance effe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단일막 구조를 통해 광취출효율을 빛이 투사되는 최종 단계에서 보상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EL device capable of compensat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t the final stage of light projection through a simple single layer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서로 교차하도록 배설된 제 1 및 제 2 전극층과, 상기 제 1, 2전극층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적어도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과, 상기 유기층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층의 발광 방향으로 최외곽 부재의 내측면에는 단일막으로 형성되어 빛의 광학적 공진이 일어나는 광공진층이 더 구비되고, 상기 광공진층은 그 굴절률이 상기 광공진층을 둘러싼 서로 다른 층들의 각 굴절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ganic layer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to cross each other, and at least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layers to emit light;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sealing portion for sealing the organic layer, further comprising a light resonance lay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most member in the light emitting direction of the organic layer formed of a single film to cause optical resonance of the light, the light The resonant layer provid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s refractive index is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of the different layers surrounding the photoresonant lay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공진층의 두께는 상기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광하는 각 색광의 피크 파장을 상기 광공진층의 굴절률로 나눈 유효 파장의 반파장에 대한 정수배 중 최소공배수로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may be set to a least common multiple of integer multiples of half wavelength of the effective wavelength divided by the peak wavelength of each color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b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공진층은 TiO2로 구비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유기 발광층 중 녹색 발광층에 대응되는 상기 광공진층의 두께는 60㎚ 내지 100㎚가 되고, 상기 유기 발광층 중 청색 발광층에 대응되는 상기 광공진층의 두께는 30㎚ 내지 50㎚가 되며, 상기 유기 발광층 중 적색 발광층에 대응되는 상기 광공진층의 두께는 20㎚ 내지 40㎚가 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light resonance layer may be provided with TiO 2 ,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corresponding to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60nm to 100nm,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corresponding to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may be 30 nm to 50 nm, and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corresponding to the red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may be 20 nm to 40 nm.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 도 1에는 수동 구동 방식(PM: Passive Matrix type)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나타내었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rganic E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llustrates an organic EL device of a passive matrix type (PM).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투명한 소재로 구비된 투명 기판(10)의 상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제 1 전극층(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층(11)의 상부로 적어도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13)이 형성되며, 상기 유기층(13)의 상부로 상기 제 1 전극층(11)과 교차되도록 소정 패턴의 제 2 전극층(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극층(14)의 상부로는 상기 제 1전극층(11), 유기층(13), 제 2 전극층(14)을 외부로부터 밀봉시키는 밀봉부(15)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기판(10)과 제 1 전극층(11)의 사이에는 단일막으로 형성된 광공진층(20)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An organic layer 13 including at least an organic emission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so as to intersect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on the organic layer 13. 14) is formed. 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art 15 to seal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the organic layer 13,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formed of a single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전극층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자부 및 회로 구성 등은 도시하지 않았으며, 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erminal unit and the circuit configuration to which power is applied to each electrode layer are not shown,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투명 기판(10)은 투명한 글라스재나 플라스틱재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다 라임(Soda Lime)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투명 기판(10)의 상면에는 기판의 평활성과 불순원소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하여 버퍼층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버퍼층은 SiO2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substrate 10 may be a transparent glass or plastic substr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soda lime (Soda Lime) substrat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layer to block the smoothness of the substrate and the infiltration of impurities, and the buffer layer may be formed of SiO 2 or the like.

상기 투명 기판(10) 상에 적층되는 제 1 전극층(11)은 투명 소재의 전도성 물질로 형성할 수 있는 데, ITO(Indium Tin Oxide)로 형성할 수 있고, 포토 리소그래피법에 의해 소정의 패턴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층(11)의 패턴은 서로 소정 간격 떨어진 스트라이프 상의 라인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ITO로 구비된 제 1 전극층(11)은 도시되지 않은 외부 제 1 전극단자에 연결되어 애노드(anode)전극으로서 작용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11 stack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indium tin oxide (ITO), and a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formed by a photolithography method. It may be formed to. The patter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may be formed of lines on a stri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provided with ITO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first electrode terminal (not shown) to serve as an anode electrode.

상기 제 1 전극층(11)이 형성된 투명 기판(10)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층(11)의 사이 공간을 메우도록 내부 절연층(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절연층(12)은 감광성 폴리 이미드나 포토 레지스트를 이용해 포토 리소그래피법으로 소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적어도 화소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 1 전극층(11)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 내부 절연층(12)은 제 1 전극층(11)간의 명확한 분할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이후 적층될 제 2 전극층(14)과 상기 제 1 전극층(11)간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는 기능도 겸비한다.The internal insulating layer 12 may be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is formed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The inner insulating layer 12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by photolithography using photosensitive polyimide or photoresist, and expose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to at leas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ixel. The internal insulation layer 12 is intended for the purpose of clearly divid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and also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an electrical short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to be laminated later. .

상기 내부 절연층(12)의 상부로는 유기층(13)이 형성되는 데, 상기 유기층(13)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An organic layer 13 is formed on the inner insulating layer 12, and the organic layer 13 may use a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material or a high molecular organic material.

저분자 유기물로 형성된 저분자 유기층의 경우에는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low molecular organic layer formed of a low molecular organic material,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or the like may be formed by stacking a single or a complex structure.

또한,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유기층(13)은 풀 칼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일 경우 상기 유기 발광층을 각 화소의 컬러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 가능하다. 이러한 저분자 유기층은 진공 중에서 유기물을 가열하여 증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그 중 유기 발광층의 형성은 각 화소에 대응되도록 소정 패턴의 슬릿(slit)이 구비된 마스크를 개재하여 각 칼라별로 순차로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usable organic materials are copper phthalocyanine (CuPc), N, N-di (naphthalen-1-yl) -N, N'-diphenyl-benzidine (N, N'-Di (naphthalene-1-) yl) -N, N'-diphenyl-benzidine (NPB), 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3) and the like can be variously applied. When the organic layer 13 is a full color organic EL device, the organic emission layer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lor of each pixel. The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layer may be formed by heating and depositing an organic material in a vacuum, and the form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sequentially performed for each color through a mask having a slit of a predetermined pattern so as to correspond to each pixel. It can be formed by depositing.

한편, 고분자 유기물로 형성된 고분자 유기층의 경우에는 홀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및 유기 발광층(Emission Layer)이 적층될 수 있는 데, 이 밖에도 상기 저분자 유기층의 경우와 같이 다양한 층상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분자 홀 수송층은 폴리에틸렌 디히드록시티오펜 (PEDOT: poly-(2,4)-ethylene-dihydroxy thiophene)이나, 폴리아닐린(PANI: polyaniline) 등을 사용하여 잉크젯 프린팅이나 스핀 코팅의 방법에 의해 상기 투명 기판(10)의 제 1 전극층(11)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분자 유기 발광층은 PPV, Soluble PPV's, Cyano-PPV,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잉크젯 프린팅이나 스핀 코팅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열전사방식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컬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polymer organic layer formed of the polymer organic materia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d an organic emission layer may be stacked. In addition, the polymer organic layer may have various layered structures as in the case of the low molecular organic layer. Of course. The polymer hole transport layer is made of polyethylene dihydroxythiophene (PEDOT: poly- (2,4) -ethylene-dihydroxy thiophene), polyaniline (PANI: polyaniline), or the like by inkjet printing or spin coating. It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of the substrate 10, the polymer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may be PPV, Soluble PPV's, Cyano-PPV, polyfluorene (Polyfluorene), etc., using inkjet printing or spin coating or laser The color pattern can be 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a thermal transfer method.

상기 유기층(13)의 상부로는 제 2 전극층(14)이 상기 제 1 전극층(11)에 교 차되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데, 이 제 2 전극층(14)은 알루미늄/칼슘(Al/Ca)으로 도시되지 않은 외부 제 1 전극단자에 연결되어 캐소오드(cathode)전극으로서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층(14)의 패터닝은 수분에 취약한 유기층(13)으로 말미암아 제 1 전극층(11)과 같이 포토 리소그래피법으로 행하기는 곤란하며, 이에 따라 마스크를 개재하여 직접 소정 패턴으로 증착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부 절연막(12)의 형성 시에 소정 패턴의 캐소오드 세퍼레이터를 형성하여 이 캐소오드 세퍼레이터를 이용한 패턴 형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전극층(14)은 도 1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빛이 유기층(13)으로부터 투명 기판(10)의 방향으로 발광할 경우에는 유기층(13)으로부터 상방으로 발광된 빛의 반사판 역할을 겸하게 된다.In the upper portion of the organic layer 13,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 is formed in a pattern intersec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 is made of aluminum / calcium (Al / Ca). It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first electrode terminal (not shown) to serve as a cathode electrode. The patterning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 is difficult to be performed by the photolithography method like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due to the organic layer 13 which is vulnerable to moisture, and thus can be deposit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directly through a mask. have. In addi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a cathode separator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formed at the time of forming the internal insulating layer 12 to enable pattern formation using the cathode separator. As shown in the arrow direction of FIG. 1,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 functions as a reflector of light emitted upward from the organic layer 13 when light is emitted from the organic layer 13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

상기 제 2 전극층(14)의 상부로는 밀봉부(15)가 구비되는 데, 상기 밀봉부(15)는 내부에 흡습제가 구비된 메탈 캡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밀봉용 수지재를 도포하여 내부로 수분 침투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밀봉부(15)는 이 밖에도 기판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 is provided with a sealing portion 15, the sealing portion 15 may be provided with a metal cap having a moisture absorbent therein, or by applying a sealing resin material Allow moisture to be blocked inside. The seal 15 may also be formed using a substrate.

상기와 같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유기층(13)의 발광 방향으로 최외곽 부재의 내측면에는 광공진층(20)이 더 구비된다. 즉, 도 1에서 볼 때, 투명 기판(10)과 제 1 전극층(11)의 사이에 광공진층(20)이 개재되는 것이다.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resonating layer 20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most member in the light emitting direction of the organic layer 13. 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is inter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상기 광공진층(20)은 단일막으로 형성되어 광공진층(20) 내에서 빛의 광학적 공진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굴절률이 상기 광공진층(20)을 둘러싸고 있는 부재들인 상기 투명 기판(10)의 굴절률 및 상기 제 1 전극층(11)의 굴절률보다 큰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유기층(13)으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광공진층(20)에 소정 각도로 입사된 빛은 상기 광공진층(20)이 주변 매질에 비해 밀하기 때문에 전반사되어 상기 광공진층(20) 내에 갖히게 되고, 이렇게 제 1 전극층(11)/광공진층(20) 및 투명기판(10)/광공진층(20)의 계면에서 반사된 빛들의 위상이 일치하게 되면 서로 보강간섭을 일으켜 투명 기판(10)으로 증폭된 빛이 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광취출효율이 증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공진층(20)은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글라스 기판인 상기 투명 기판(10)과, ITO로 이루어진 상기 제 1 전극층(11)보다 굴절률이 높고 투명한 소재인 TiO2를 이용하여 진공 증착 또는 스퍼터링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The optical resonant layer 20 is formed as a single layer to cause optical resonance of light in the optical resonant layer 20,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a member surrounding the optical resonant layer 20 ( It is formed using a material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10)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Therefo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ayer 13 and incident on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at a predetermined angle is totally reflected in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because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is dense compared to the surrounding medium. When the phases of the light reflected at the inte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 light resonance layer 20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 light resonance layer 20 are coincident with each other, a constructive interference occurs. 10) the amplified light comes out, thereby increasing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resonance layer 20 has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which is a glass substrate mainly composed of SiO 2 ,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made of ITO. TiO 2, which is a raw material, can be formed by a method such as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이러한 광취출효율의 증대는 광공진층(20)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crease in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ay be achiev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상기 광공진층(20)의 두께는 상기 유기층(13)의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광하는 적(R), 녹(G), 청(B) 각 색광의 피크 파장을 상기 광공진층의 굴절률로 나눈 유효 파장의 반파장에 대한 정수배 중 최소공배수로 설정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t layer 20 is effective by dividing the peak wavelength of each of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color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ayer 13 b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resonant layer. It can be set to the least common multiple of integer multiples of the half wavelength of the wavelength.

도 5 내지 도 7에는 각 색광에 있어서, TiO2로 이루어진 광공진층(20)의 두께에 따른 광취출효율을 나타낸 것이다.5 to 7 show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made of TiO 2 in each color light.

먼저, 도 5에는 530nm의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광에 있어서 광공진층(20)의 두께에 따른 광취출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투명 기판(10)은 통상의 소다 라임 기판을 사용하였고, 제 1 전극층(11)은 굴절률 1.79인 ITO로 두께가 150nm가 되도록 형 성하였다. 그리고, 이 때 광공진층(20)을 형성하는 TiO2의 굴절률은 2.36이다.First, FIG. 5 shows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in green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30 nm.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used a conventional soda lime substrate,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 11) was formed with ITO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79 to a thickness of 150 nm. At this time, the refractive index of TiO 2 forming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is 2.36.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녹색광의 광취출효율은 광공진층(20)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녹색광의 피크 파장을 광공진층의 굴절률로 나눈 유효 파장의 반파장의 정수배의 주기로 최대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5,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green light depends on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which is the maximum value in a period of an integer multiple of the half wavelength of the effective wavelength divided by the peak wavelength of the green light divided b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It can be seen that.

도 6에는 450nm의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광에 있어서, 광공진층(20)의 두께에 따른 광취출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이 때 제 1 전극층(11)은 굴절률이 1.93인 ITO로 150nm의 두께로 형성한 것이고, 광공진층(20)을 형성하는 TiO2의 굴절률은 2.46이다.6 shows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in the blue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450 nm, wherei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is formed with ITO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93 to a thickness of 150 nm. The refractive index of TiO 2 forming the light resonant layer 20 is 2.46.

도 6에서도 볼 수 있듯이, 청색광의 광취출효율은 광공진층(20)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청색광의 피크 파장을 광공진층의 굴절률로 나눈 유효 파장의 반파장의 정수배의 주기로 최대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6,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blue light depends on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which is the maximum value at a period of an integer multiple of the half wavelength of the effective wavelength divided by the peak wavelength of the blue light divided b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It can be seen that.

도 7에는 620nm의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광에 있어서, 광공진층(20)의 두께에 따른 광취출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이 때 제 1 전극층(11)은 굴절률이 1.66인 ITO로 150nm의 두께로 형성한 것이고, 광공진층(20)을 형성하는 TiO2의 굴절률은 2.31이다.FIG. 7 shows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in red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620 nm, wherei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 is formed with ITO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66 to a thickness of 150 nm. The refractive index of TiO 2 forming the light resonant layer 20 is 2.31.

도 7에서도 볼 수 있듯이, 적색광의 광취출효율은 광공진층(20)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적색광의 피크 파장을 광공진층의 굴절률로 나눈 유효 파장의 반파장의 정수배의 주기로 최대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7,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red light depends on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which is the maximum value at a period of an integer multiple of the half wavelength of the effective wavelength divided by the peak wavelength of the red light divided b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It can be seen that.

이렇듯, 각 색광에 따라 광취출효율이 다르므로 각 색광의 피크 파장을 상기 광공진층의 굴절률로 나눈 유효 파장의 반파장에 대한 정수배 중 최소공배수에 의해 각 색광에서 공통되게 최대 효율을 나타내는 광공진층의 두께를 설정할 수 있다.As such,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different for each color light, so that the light resonance exhibits the maximum efficiency common to each color light by the least common multiple of the half wavelength of the effective wavelength divided by the peak wavelength of each color light b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The thickness of the layer can be set.

한편, 상기와 같이 각 색광에 따라 광취출효율이 다르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광공진층(20)을 각 화소별로 다른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유기층(13)은 하층으로부터 홀 주입층 및/또는 수송층(131)과, 적, 녹, 청색의 각 유기 발광층(132)(133)(134)과, 전자 수송층 및/또는 주입층(135)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color light 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is different for each pixel It can be formed at a height. In FIG. 2, the organic layer 13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and / or a transport layer 131, a red, green, and blu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2, 133, 134,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 or an injection layer 135,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광공진층(20)은 적색 유기 발광층(132)에 대응되는 제 1 광공진층(201)과, 녹색 유기 발광층(133)에 대응되는 제 2 광공진층(202)과, 청색 유기 발광층(134)에 대응되는 제 3 광공진층(203)으로 구비된다. 이들은 역시 TiO2로 구비되어 각각 그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는 데, 각 광공진층의 패턴에 대응되는 마스크를 개재하여 각 광공진층별로 별도의 증착을 순차로 행하여 각 광공진층을 개별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단일의 막을 형성하여 포토 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패턴을 형성할 때에 노광 마스크의 각 패턴 별로 서로 노광량이 달리 되도록 하여 그 두께가 서로 다르게 패터닝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light resonance layer 2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first light resonance layer 201 corresponding to the re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2, a second light resonance layer 202 corresponding to the gree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3, and a blue organic layer. The third light resonant layer 203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layer 134 is provided. They are also made of TiO2 and have different thicknesses. Each of the light resonant layers can be separately formed by sequentially depositing the light resonant layers through a mask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each light resonant layer. In addition, when a single film is formed to form a pattern by a photolithography method, the exposure amounts may be different for each pattern of the exposure mask so that the thicknesses may be differently patterned.

상기와 같은 광공진층(20)을 형성한 후에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광공진층(201)(202)(203)의 상부에 각각 제 1 전극층(11)을 형성한 후 그 사이를 내부 절연막(12)으로 메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각 제 1 전극층(11)별로 별 도의 광공진층(20)이 형성되는 것이다.After the light resonant layer 2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first electrode layers 11 are formed on the first to third light resonant layers 201, 202, and 203, respectively. It is filled with the insulating film 12. In this structure, a separate light resonant layer 20 is formed for each of the first electrode layers 11.

따라서, 이 때에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색광에 따른 최대 광취출효율을 얻을 수 있는 광공진층의 두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에서 볼 때, 최대 광취출효율은 각 색광의 피크 파장을 상기 광공진층의 굴절률로 나눈 유효 파장의 반파장의 주기로 진동한다. 하지만, 이 최대 광취출효율은 그 절대값이 광공진층의 두께가 증대됨에 따라 점점 줄어드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각 색광에 대응되는 광공진층의 두께는 상기 광취출효율의 진동 중 첫 번째 피크에 해당되는 두께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색 화소인 적색 유기 발광층(132)에 대응되는 제 1 광공진층(201)을 이루는 TiO2의 두께는 20nm 내지 40n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녹색 화소인 녹색 유기 발광층(133)에 대응되는 제 2 광공진층(202)을 이루는 TiO2의 두께는 60nm 내지 100n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청색 화소인 청색 유기 발광층(133)에 대응되는 제 3 광공진층(203)을 이루는 TiO2의 두께는 30nm 내지 50n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t this time, as can be seen in Figures 4 to 6, it is possible to set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to obtain the maximum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each color light. That is, as shown in Figs. 4 to 6, the maximum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scillates at a period of half wavelength of the effective wavelength obtained by dividing the peak wavelength of each color light b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light extraction efficiency tends to decrease gradually as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corresponding to each color light is most preferably set to the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ak of the vibration of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Therefore, the thickness of TiO 2 constituting the first light resonance layer 201 corresponding to the re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2 which is a red pixel is preferably 20 nm to 40 nm, and corresponds to the gree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3 which is a green pixel.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iO 2 constituting the second light resonance layer 202 becomes 60 nm to 100 nm.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iO 2 constituting the third light resonance layer 203 corresponding to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3 which is a blue pixel may be 30 nm to 50 nm.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유기층(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투명 기판(10)의 방향으로 투사되어 화상을 구현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층(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밀봉부(15)의 방향으로 투사되도록 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이 때에는 상기 제 1 전극층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제 2 전극층은 투명한 ITO로 형성된다. 그리고, 밀봉부(15) 는 투명 기판이나 투명 소재의 수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 때에는 상기 광공진층(20)이 밀봉부(15)와 제 2 전극층(14)의 사이에 개재된다.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ayer 13 is proj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0 to implement an imag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emitted light is proj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l 15.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made of aluminum,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is made of transparent ITO. The sealing unit 15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substrate or a resin material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this case, the light resonance layer 20 is interposed between the sealing part 15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

한편, 상기와 같은 원리의 광공진층은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인 AM(Active Matrix) 구동방식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resonance layer of the principle described above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f the AM (Active Matrix) driving method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same can be applied to.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AM 구동방식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투명 기판(30)의 상부로 박막 트랜지스터가 적층 형성된다. 상기 투명 기판(30)의 표면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기판의 평탄화와 불순물 차단을 위하여 SiO2 등으로 구비된 버퍼층이 더 구비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 a thin film transistor is stack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30 in the AM driving method.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uffer layer made of SiO 2 or the like in order to planarize the substrate and block impuritie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기 투명 기판(30)의 상부에 소정 패턴으로 배열된 p형 또는 n 형의 반도체층(32)이 게이트 절연층(33)에 의해 매립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33)의 상면에는 상기 반도체층(32)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층(34)이 형성되고, 이 게이트 전극층(34)은 제1절연막(35)에 의해 매립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연막(35)과 게이트 절연층(33)에 콘택홀(36a)(37a)이 형성되어 제1절연막(15)의 상부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36) 및 소스전극(37)이 상기 콘택홀(36a)(37a)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층(2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옆에는 상기 소스전극(37)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절연막(35)의 상면에 형성된 제1보조전극(43b)과, 이 제1보조전극(43b)과 대향되며 제 1 절연막(35)에 매립되는 제2보조전극(43a)으로 이루어진 커패시터(43)가 형성되어 박막 트랜지스터와 함께 구동영역을 형성한다. The p-type or n-type semiconductor layer 32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30 is buried by the gate insulating layer 33. A gate electrode layer 34 corresponding to the semiconductor layer 3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33, and the gate electrode layer 34 is buried by the first insulating layer 35. In addition, contact holes 36a and 37a are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layer 35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33 so that the drain electrode 36 and the source electrode 37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 are formed. It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emiconductor layer 22 through the contact holes 36a and 37a to form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uxiliary electrode 43b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35 and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37 is opposite to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faces the first auxiliary electrode 43b. A capacitor 43 made up of the second auxiliary electrode 43a buried in the insulating film 35 is formed to form a driving region together with the thin film transistor.

상기 제1 절연막(35)의 상면으로는 제2절연막(38)이 형성되고, 이 제 2 절연막(38)의 상면에는 상기 드레인 전극(3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극층(39)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층(39)은 ITO로 형성되며, 이 제 1 전극층(39)의 상부로 개구부(40a)가 형성된 평탄화막(40)과, 상기 평탄화막(40)의 개구부 저면의 제1전극층(39)의 상부에는 유기층(41)이 적층되며, 상기 유기층과 평탄화막의 상부에는 제2전극층(42)이 형성되어 화소영역을 이룬다.A second insulating film 38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film 35, and a first electrode layer 39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36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film 38. . The first electrode layer 39 is formed of ITO, and the planarization film 40 having the opening 40a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39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planarization film 40 ( An organic layer 41 is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layer 39,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42 is formed on the organic layer and the planarization layer to form a pixel area.

상기와 같은 배면 발광형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는 상기 제1전극층(39)은 투명한 도전성 재질인 ITO로 이루어지고, 상기 게이트 절연층(33) 및 제1,2절연막(35)(38)도 투명한 SiO2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기층(41) 및 제 2 전극층(42)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전극층(42)의 상부로는 밀봉부(44)가 구비되어 밀봉된다.In the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EL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ectrode layer 39 is made of ITO, which is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33 and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layers 35 and 38 are also transparent SiO. 2 and the like. Since the organic layer 4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42 are also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 upper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42 is provided with a sealing part 44 to seal the sealing part 44.

이러한 AM 타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유기층(41)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투명기판(30)을 통해 발광되는 데,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 기판(30)과 게이트 절연층(33)의 사이에 본 발명의 광 공진층(20)을 형성한다. 이 광 공진층(20)도 굴절율이 투명 기판(30) 및 게이트 절연층(33)보다 높은 TiO2 등으로 형성하며, 그 두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기층(41)의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광하는 적(R), 녹(G), 청(B) 각 색광의 피크 파장을 상기 광공진층의 굴절률로 나눈 유효 파장의 반파장에 대한 정수배 중 최소공배수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 공진층(20)의 두께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험에 의해 각 화소별로 최적 치를 얻어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화소별로 그 높이가 다른 광 공진층(20)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AM typ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ayer 41 is e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30.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arent substrate 30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33 The optical resonant layer 20 of this invention is formed in between. The optical resonant layer 20 is also formed of TiO 2 or the like having a refractive index higher than that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30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33, and the thickness thereof, as described above, emits light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ayer 41. The peak wavelength of each of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color wavelengths may be set to the least common multiple of integer multiples of the half wavelength of the effective wavelength divided b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resonance layer.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resonant layer 20 can be obtained to obtain an optimal value for each pixel by experiment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possible to form the optical resonant layer 20 having a different height for each pixel.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AM 타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빛이 밀봉부(44)의 방향으로 투사되어 화상을 구현한다. 이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밀봉부(44)가 투명한 수지재나 투명 기판으로 구비되어 있어야 하며, 제 2 전극층(42)이 ITO로 형성되고, 제 1 전극층(39)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n AM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light is proj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l 44 to implement an image.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ealing portion 44 should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or a transparent substrate. The second electrode layer 42 is made of ITO,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39 is made of aluminum.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경우에는 광 공진층(20)이 밀봉부(44)와 제 2 전극층(42)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광 공진층(20)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각 화소에 대응되는 두께로 화소별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림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제 2 전극층(42)의 상부로 전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organic EL device as shown in FIG. 4, the optical resonant layer 20 is formed between the sealing part 44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42.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optical resonant layer 20 may be formed for each pixel with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each pixel, and may be formed entirely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42 although not illustrated. have.

본 발명은 이렇게 상기 유기층의 발광 방향으로 최외곽 부분에 광 공진층을 형성하여 유기층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중간 층상 구조들을 통과하면서 손실된 광 손실을 최종단계에서 보상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optical resonant layer on the outermost part in the light emitting direction of the organic layer, thereby obtaining the effect of compensating the light loss lost in the final step while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ayer passes through the intermediate layer structures.

따라서, 본 발명의 광 공진층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투명 기판의 외측면에 편광판이나 반사방지막 등이 부착되어 있을 경우 그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refore, although not shown, the optical resonant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when a polarizing plate or an antireflection film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따르면, 다음 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간단한 구조의 광공진층을 구성하여 발광되는 빛을 증폭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광취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amplify the light emitted by configuring a light resonance layer of a simple structure, thereby increasing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둘째,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미소공진시키는 광 공진층을 단일막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소자 층상 설계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전체 제조 공정이 간단해 질 수 있다.Second, by forming a single layer structure of the optical resonant layer that microresonat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device layer design structure can be made simpler, and the overall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셋째, 발광되는 빛이 최종적으로 지나가야 할 부분에 광공진층을 배치시킴으로써 광손실을 마지막 단계에서 보상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ird, by arranging the light resonance layer in the part where the emitted light finally passe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compensating the light loss in the last step.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드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기판 상에 서로 교차하도록 배설된 제 1 및 제 2 전극층과, 상기 제 1, 2전극층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적어도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과, 상기 유기층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having a first and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to cross each other, an organic layer including at least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layers to emit light, and a sealing part for sealing the organic layer In the device, 상기 유기층의 발광 방향으로 최외곽 부재의 내측면에는 단일막으로 형성되어 빛의 광학적 공진이 일어나는 광공진층이 더 구비되고, 상기 광공진층은 그 굴 절률이 상기 광공진층을 둘러싼 서로 다른 층들의 각 굴절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most member in the light emitting direction of the organic lay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ght resonant layer is formed as a single film to cause optical resonance of the light, the optical resonant layer has a different layer of refractive index surrounding the light resonant layer An organic E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공진층의 두께는 상기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광하는 각 색광의 피크 파장을 상기 광공진층의 굴절률로 나눈 유효 파장의 반파장에 대한 정수배 중 최소공배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And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is set to a least common multiple of an integer multiple of an effective wavelength obtained by dividing the peak wavelength of each color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b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광공진층은 TiO2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The light resonance layer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TiO 2 .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유기 발광층 중 녹색 발광층에 대응되는 상기 광공진층의 두께는 60 내지 1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corresponding to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60 to 100nm.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유기 발광층 중 청색 발광층에 대응되는 상기 광공진층의 두께는 30 내지 5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corresponding to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30 to 50nm.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유기 발광층 중 적색 발광층에 대응되는 상기 광공진층의 두께는 20 내지 4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The thickness of the light resonance layer corresponding to the red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20 to 40nm.
KR1020020076029A 2002-12-02 2002-12-02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optical resonator KR1005731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029A KR100573106B1 (en) 2002-12-02 2002-12-02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optical reson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029A KR100573106B1 (en) 2002-12-02 2002-12-02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optical reson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235A KR20040048235A (en) 2004-06-07
KR100573106B1 true KR100573106B1 (en) 2006-04-24

Family

ID=3734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029A KR100573106B1 (en) 2002-12-02 2002-12-02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optical reson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1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737B1 (en) 2004-12-13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0741100B1 (en) * 2005-12-20 2007-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evice
KR100811502B1 (en) * 2007-01-23 2008-03-07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Oled display device
KR101117737B1 (en) 2010-03-02 2012-02-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1365671B1 (en) * 2010-08-26 2014-0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102199495B1 (en) * 2018-05-21 2021-01-06 한국과학기술원 Color Purifying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235A (en) 2004-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7796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431125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63046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0683693B1 (en) Light emitting device
US8013514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photonic crystal layer incorporating voids in a vacuum state
KR100778818B1 (en) Electroluminescence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470627B2 (en) Optical substrate, light 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US7898167B2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external light coupling efficiency and brightness
US20060181204A1 (en)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JP2006173109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765954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1048962A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KR100683670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omprising optical micro-cavity
JP2006092809A (en) Sheet display
KR100573106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optical resonator
KR10135878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6083122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1060592A (en) Organic el element,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panel
KR100615185B1 (en)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10211360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anufactucring method of the same
JP4893816B2 (en) OPTICAL SUBSTRATE, LIGHT 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M
CN110034236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070875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050046920A (en) Electro-luminesce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