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268B1 -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268B1
KR100571268B1 KR1020040046669A KR20040046669A KR100571268B1 KR 100571268 B1 KR100571268 B1 KR 100571268B1 KR 1020040046669 A KR1020040046669 A KR 1020040046669A KR 20040046669 A KR20040046669 A KR 20040046669A KR 100571268 B1 KR100571268 B1 KR 100571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oil
current collector
electrode conductive
region
nega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1509A (ko
Inventor
여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268B1/ko
Priority to JP2005174255A priority patent/JP4987252B2/ja
Priority to US11/157,475 priority patent/US7700221B2/en
Priority to CNB2005100777035A priority patent/CN100483800C/zh
Publication of KR2005012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01M2006/106Elliptic wound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체적인 집전체의 권취 두께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해결 방법의 요지는 음극 도전 포일중 음극 도전 탭이 용접된 영역 및 이것과 인접하여 중첩되는 영역의 외주연에 활물질을 형성하고, 또한 양극 도전 포일중 양극 도전 탭이 용접된 영역 및 이것과 인접하여 중첩되는 영역의 외주연에 활물질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집전체중 도전 탭과 대응되는 부분이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집전체를 캔이나 파우치 등에 쉽게 끼워 넣을 수 있게 된다.
집전체, 양극 도전 포일, 양극 활물질, 음극 도전 포일, 음극 활물질

Description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Current collector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it}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집전체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b는 그 배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1-1선 단면도이다.
도 2a는 세퍼레이터가 개재되어 권취된 집전체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2영역 확대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3-3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음극 도전 포일
111; 제1면
112; 제2면
120_1,120_2,...,120_n-1, 120_n; 제1,2~n-1,n 영역
130_1,130_2,...,130_n-1; 제1,2~n-1 폴딩 라인
140; 음극 활물질
150; 음극 도전 탭
160; 절연 테이프
200; 양극 도전 포일
211; 제1면
212; 제2면
220_1,220_2,...,220_n-1, 220_n; 제1,2~n-1,n 영역
230_1,130_2,...,230_n-1; 제1,2~n-1 폴딩 라인
240; 음극 활물질
250; 음극 도전 탭
260; 절연 테이프
300; 세퍼레이터
400;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410; 집전체
420; 캔
430; 캡 조립체
본 발명은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도전 탭이 용접된 영역 및 이것과 인접하여 중첩되는 영역의 외주연에 활물질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권취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양극 도전 포일과 음극 도전 포일에 각각 활물질을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고, 또한 도전 포일 사이에는 세퍼레이터가 개재되도록 하여 대략 젤리 롤(jelly roll) 형태로 다수회 권취된 집전체를 포함한다. 물론, 이러한 젤리 롤 형태로 다수회 권취된 집전체는 원통형 또는 각형 캔이나, 파우치등에 수납되어 밀봉 처리된다.
더불어, 상기 도전 포일에는 전지 외부로부터 충전 전원이 인가되거나 또는 전지 외부로 방전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도전 탭이 용접되어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다. 즉, 양극 도전 포일에는 양극 도전 탭이, 음극 도전 포일에는 음극 도전 탭이 용접되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양극 도전 탭 및 음극 도전 탭의 표면에는 세퍼레이터의 파손을 방지하고, 각 도전 포일과의 직접적인 쇼트를 예방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의 절연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전 포일은 대략 10㎛ 내외, 활물질은 대략 120㎛ 내외, 도전 탭은 대략 100㎛ 내외, 절연 테이프는 대략 40㎛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도전 탭과 절연 테이프의 합친 두께는 활물질 두께보다 상당히 두껍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집전체를 젤리 롤 형태로 권취하게 되면, 상기 도전 탭과 절연 테이프에 해당되는 권취 영역이 나머지 권취 영역보다 더 두껍게 된다. 즉, 상기 도전 탭과 절연 테이프에 해당되는 권취 영역이 나머지 영역보다 외부로 더 돌출된 구조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두께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집전체를 캔이나 파우치 등에 수납할 때, 상기 돌출된 구조에 의해 집전체가 캔 또는 파우치 등에 쉽게 삽입되지 않고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변형은 전지의 용량 을 떨어뜨리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집전체가 쉽게 캔 등에 삽입되지 않음으로써, 그 집전체를 압착 또는 밀착시킨 상태에서 캔 등에 삽입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도전 탭과 절연 테이프에 대응되는 활물질이 강한 힘으로 눌려짐으로써, 그 부분에서 활물질의 이용도가 현저히 저하된다. 즉, 활물질의 이용도는 거의 없으면서도 집전체의 두께만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전 탭이 용접되는 영역 및 이것과 인접하여 접촉되는 영역의 외주연에 활물질을 형성함으로써, 권취시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대략 평평한 제1면과 이것의 반대면인 대략 평평한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과 제2면에는 각각 제1,2~n-1,n 영역이 구비되고, 각 영역 사이에는 제1,2~n-2,n-1 폴딩 라인이 형성되어 권취되는 음극 도전 포일과,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의 제1면중 제3,4~n-2,n-1 영역과,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의 제2면중 제2,3~n-1,n 영역에 일정 두께로 코팅된 음극 활물질과,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의 제1면중 제1영역에 용접되어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표면은 절연 테이프로 감싸여진 음극 도전 탭과, 대략 평평한 제1면과 이것의 반대면인 대략 평평한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과 제2면에는 제1,2~n-1,n 영역이 구비되고, 각 영역 사이에는 제1,2~n-2,n-1 폴딩 라인이 형성된 동시에, 상기 음극 도전 포일에 밀착되어 권취되는 양극 도전 포일과,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의 제1면중 제3,4~n-2,n-1 영역과,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의 제2면중 제2,3~n-4,n-3 영역에 일정 두께로 코팅된 양극 활물질과,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의 제1면중 제1영역에 용접되어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표면은 절연 테이프로 감싸여진 양극 도전 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은 제1폴딩 라인을 중심으로 제1,2영역의 제1면이 상호 밀착되어 권취되기 시작하고,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의 제1영역중 제2면이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의 제1영역중 제1면에 밀착되어 함께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의 제1면과 제2면 위에는 세퍼레이터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은 구리 포일일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그래파이트일 수 있다.
상기 음극 도전 탭은 니켈 탭일 수 있다.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은 알루미늄 포일 또는 알루미늄 메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코발트산화물일 수 있다.
상기 양극 탭은 알루미늄 탭일 수 있다.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은 제1면의 제2영역중 일부 영역에도 일정 두께의 양극 활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은 제1면의 제2영역에도 일정 두께의 양극 활물질이 코 팅되어 있되, 제1폴딩 라인을 통해 권취된 후, 상기 양극 탭과 중첩되는 영역의 외주연으로 활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은 제1영역의 폭이 나머지 제2,3~n-1,n 영역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일면에 음극 도전 탭이 용접되어 외부로 연장되고, 양측 표면에는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음극 도전 포일이 구비되고, 일면에 양극 도전 탭이 용접되어 외부로 연장되고, 양측 표면에는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되, 권취시 상기 양극 도전 탭과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외주연에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양극 도전 포일이 구비되며,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의 양면에는 세퍼레이터가 개재되어 함께 권취된 집전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면, 상기 제1면에 연결된 동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면, 상기 제1면 및 제2면에 동시 연결된 제3면 및 상기 제3면과 대향되는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되어 상기 집전체가 결합되는 캔과, 상기 캔의 상부에 용접되어, 상기 집전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캡 조립체와, 상기 캔에 주입된 전해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집전체를 이루는 음극 도전 포일 및 양극 도전 포일에서 도전 탭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활물질을 코팅하지 않음으로써, 집전체의 권취 두께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즉, 상기 도전 탭 및 절연 테이프에 해당되는 권취 영역이 나머지 영역보다 외부로 더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집전체는 캔 또는 파우치 등에 쉽게 삽입되어 작업성이 좋아지고, 또한 변형이 억제되어 전지의 용량을 저하시키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집전체의 펼쳐진 상태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b를 참조하면, 그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의 1-1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집전체는 대략 판 형태의 음극 도전 포일(100)과,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의 양면중 소정 영역에 코팅된 음극 활물질(140)과,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의 일정 영역에 용접된 음극 도전 탭(150)과,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의 일정 영역부터 함께 권취되는 양극 도전 포일(200)과,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의 양면중 소정 영역에 코팅된 양극 활물질(240)과,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의 일정 영역에 용접된 양극 도전 탭(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은 대략 평평하거나 완전히 평평한 제1면(111)과, 이것의 반대면으로서 대략 평평하거나 완전히 평평한 제2면(112)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면(111)과, 이것에 대응하는 제2면(112)에는 대략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를 하는 제1,2~n-1,n 영역(120_1,120_2,...,120_n-1, 120_n)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영역 사이에는 제1,2~n-2,n-1 폴딩 라인(130_1,130_2,...,130_n-2,130_n-1)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음극 도전 포일(100)은 상기 폴딩 라인(130_1,130_2,...,130_n-2,130_n-1)을 통해서 다수회 권취된다. 또한, 이러한 음극 도전 포일(100)은 구리 포일 또는 이의 등가물로 형성 가능하지만,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극 활물질(140)은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의 제1면(111)중 제3,4~n-2,n-1 영역(120_3,120_4,...,120_n-1)에 코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140)은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의 제2면(112)중 제2,3~n-1,n 영역(120_2,120_3,...,120_n-1,120_n)에 일정 두께로 코팅되어 있다. 이러한 음극 활물질(140)은 그래파이트(graphite) 또는 이의 등가물로 형성 가능하지만,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극 도전 탭(150)은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의 제1면(111)중 제1영역(120_1)에 용접되어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극 도전 탭(150)의 표면은 절연 테이프(160)로 감싸여져 하기할 세퍼레이터(도시되지 않음)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양극 도전 포일(200)과의 직접적인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음극 도전 탭(150)은 니켈 또는 이의 등가물로 형성 가능하지만,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은 대략 평평하거나 완전히 평평한 제1면(211)과, 이것의 반대면으로서 대략 평평하거나 완전히 평평한 제2면(212)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면(211)과, 이것에 대응하는 제2면(212)에는 대략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 태를 하는 제1,2~n-1,n 영역(220_1,220_2,...,220_n-1,220_n)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영역 사이에는 제1,2~n-2,n-1 폴딩 라인(230_1,230_2,...,230_n-2,230_n-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은 제1영역(220_1)의 폭이 나머지 제2,3~n-1,n 영역(220_2,220_3,...,220_n-1,220_n)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의 제1영역(220_1)은 다른 영역에 비해 대략 20~80%의 폭, 길이 또는 면적비를 갖는다. 물론, 이러한 양극 도전 포일(200)은 상기 폴딩 라인(230_1,230_2,...,230_n-2,230_n-1)을 통해서 다수회 권취된다.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은 알루미늄 포일, 알루미늄 메쉬 또는 이의 등가물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 활물질(240)은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의 제1면(211)중 제3,4~n-2,n-1 영역(220_3,220_4,...,220_n-2,220_n-1)에 코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240)은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의 제2면(212)중 제2,3~n-4,n-3 영역(220_2,220_3,...,220_n-4,220_n-3)에 일정 두께로 코팅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 활물질(240)은 양극 도전 포일(200)의 제1면(211)중 제2영역(220_2)의 일정 영역부터 코팅될 수 있다. 즉, 양극 도전 포일(200)의 폴딩에 의해 하기할 양극 도전 탭(250)과 접촉되는 제1면(211)중 제2영역(220_2)의 일부를 제외한 그 외주연부터 양극 활물질(240)이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이 권취될 때, 양극 도전 탭(250)과 직접 접촉되는 영역에는 양극 활물질(240)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두께 증가는 최소화된다. 즉, 양극 도전 탭 (250)과 절연 테이프(260)에 의한 두께 증가만 있을 뿐 이것과 접촉되는 영역에는 양극 활물질(240)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더 이상의 두께는 증가는 없다. 물론, 이러한 두께 제어에 의해 권취 완료후 집전체의 외부로 볼록 돌출되는 양도 최소화된다. 상기 양극 활물질(240)은 리튬코발트산화물 또는 이의 등가물이 가능하며,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 도전 탭(250)은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의 제1면(211)중 제1영역(220_1)에 용접되어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다. 물론, 상기 양극 도전 탭(250)의 표면에는 절연 테이프(260)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양극 도전 탭(250)에 의한 세퍼레이터(도시되지 않음)의 파손이나 음극 도전 포일(100)과의 직접적인 쇼트는 방지된다. 이러한 양극 도전 탭(250)은 알루미늄 또는 이의 등가물이 가능하며,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a를 참조하면, 세퍼레이터가 개재되어 권취된 집전체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의 2영역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집전체의 권취 도면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음극 도전 포일(100), 세퍼레이터(300) 및 양극 도전 포일(200)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집전체에서는 각 구성 요소가 거의 빈틈이 없이 밀착된 상태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 활물질(140)이 코팅된 음극 도전 포일(100)이 대략 반시계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다. 즉, 음극 도전 포일(100)은 제1면(111)중 제1영역(120_1) 및 제2영역(120_2)이 마주보며 권취되기 시작한다. 물론,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의 제1면(111)중 제1영역(120_1)에는 음극 도전 탭(150)이 용접되어 있고, 이것은 절연 테이프(160)로 감싸여져 있다. 또한,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의 제1면(111)과 제2면(112)은 세퍼레이터(300)로 감싸여져,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이 양극 도전 포일(200)과 직접적으로 쇼트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의 제1면(111)중 제1영역(120_1)과 제2영역(120_2) 사이에도 세퍼레이터(300)가 개재되어 그 제1영역(120_1)과 제2영역(120_2)이 직접 접촉되지는 않는다.
더욱이,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에 코팅된 음극 활물질(140)은 제1면(111)중 제3영역(120_3)부터 형성되기 시작하고, 제2면(112)에서는 제2영역(120_2)부터 형성되기 시작한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140)은 음극 도전 포일(100)의 제1면(111)중 n-1 영역(120_n-1)까지 형성되고, 제2면(112)에서는 n 영역(120_n)까지 형성된다.
한편, 양극 도전 포일(200)은 제1면(211)중 제1영역(220_1)이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의 제2면(212)중 제1영역(220_1)에 세퍼레이터(300)가 개재되어 밀착된다. 또한,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의 제1영역(220_1)은 다른 영역들에 비해 폭 또는 길이가 짧게 되어 있고, 그 제1면(211)중 제1영역(220_1)에 양극 도전 탭(250)이 용접되어 있다. 물론, 상기 양극 도전 탭(250)은 절연 테이프(260)로 감싸여져 있다. 또한,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중 제1면(211)에 코팅된 양극 활물질(240)은 제2영역(220_2)의 일정 부분부터 형성되기 시작한다. 즉, 상기 양극 도전 탭(250)과 중첩되는 제2영역(220_2)의 외주연부터 양극 활물질(240)이 형성되기 시 작함으로써, 상기 양극 도전 탭(250) 및 절연 테이프(260)에 의한 두께 증가가 최소화된다. 실제로 이러한 양극 활물질(240)의 코팅 구조에 의해 집전체 전체에서 대략 100㎛ 정도의 두께 감소효과를 볼 수 있다.
물론, 양극 도전 포일(200)중 제2면(212)에 코팅된 양극 활물질(240)은 제2영역(220_2)부터 형성되기 시작한다. 더욱이,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의 제1영역(220_1)은 음극 도전 포일(100)이 한번 폴딩되고, 두 번째 폴딩될 때부터 함께 권취되기 때문에, 대체로 권취 끝부분에서는 양극 도전 포일(200)이 음극 도전 포일(100)을 감싸는 형태를 한다. 따라서, 각형 캔의 경우에는 캔 자체가 양극이기 때문에, 음극 도전 포일(100)과 캔의 쇼트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은 제1면(211)중 n-1 영역(220_n-1)까지 양극 활물질(240)이 코팅되어 있고, 제2면(212)에서는 n-3 영역(220_n-3)까지 코팅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집전체의 표면에는 양극 도전 포일(200)이 그대로 노출된 형태를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를 참조하면, 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c를 참조하면, 도 3a의 3-3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집전체(410, 상술한 100 및 200을 합쳐 410으로 칭함)와, 상기 집전체(410)가 수납되는 캔(420)과, 상기 캔(420)에 주입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전해액(도면부호로 표시되지 않음)과, 상기 캔(420)을 막아 상기 집전체(410) 및 전해액이 외부로 이탈되 지 않도록 하는 캡 조립체(4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각형 전지 외에 원통형 전지 또는 파우치 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각형 전지를 예를 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집전체(410)는 음극 활물질(140)(예를 들면 그래파이트)이 부착된 음극 도전 포일(100), 양극 활물질(240)(예를 들면 코발트산리튬)이 부착된 양극 도전 포일(200), 및 음극 도전 포일(100)을 감싸서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만 가능하게 하는 세퍼레이터(300)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의 음극 도전 포일(100), 양극 도전 포일(200) 및 세퍼레이터(300)는 대략 젤리 롤(jelly roll) 형태로 다수회 권취되어 캔(420)에 수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음극 도전 포일(100)에는 음극 도전 탭(150)이 용접된 후 절연 테이프(160)로 감싸여져 있고, 상기 양극 도전 포일(200)에는 양극 도전 탭(250)이 용접된 후 절연 테이프(260)로 감싸여져 있다.
여기서, 상기 음극 활물질(140) 및 양극 활물질(240)의 코팅 형태는 상술한 도 1a 내지 도 2b에서 설명한 모든 특징을 포함한다. 즉, 음극 활물질(140)의 경우 음극 도전 포일(100)의 제1면(111)중 제2,3~n-2,n-1 영역(120_2,120_3,...,120n-2,120_n-1)까지 코팅되어 있고, 제2면(112)에서는 제2,3~n-1,n 영역(120_2,120_3,...,120n-1,120_n)까지 코팅되어 있다. 또한, 양극 활물질(240)의 경우 양극 도전 포일(200)의 제1면(211)중 양극 도전 탭(250) 및 절연 테이프(260)와의 중첩 영역 외주연인 제2영역(220_2)의 일정 영역부터 n-1 영역(220_n-1)까지 형성되고, 제2면(212)에서는 제2,3~n-4,n-3영역(220_2,220_3,...,220n-4,220_n-3)까 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집전체(410)에는 음극 도전 탭(150) 또는 양극 도전 탭(250)에 의한 두께 증가가 최소화되고, 따라서 집전체를 캔(420)에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캔(420)은 상부에 개방구(421)가 형성된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한다. 상기 캔(420)은 알루미늄(Al), 철(Fe), 합금 또는 이의 등가물로 형성 가능하며,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해액(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캔(420) 내부에 주입되어, 상기 집전체(410)의 음극 도전 포일(100)과 양극 도전 포일(200)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전해액은 충방전시 전지 내부의 음극 도전 포일(100) 및 양극 도전 포일(200) 사이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리튬 이온의 이동 매체 역할을 하며, 이는 리튬염과 고순도 유기 용매류의 혼합물인 비수질계 유기 전해액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해액은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폴리머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집전체(410)의 상부로서 상기 캔(420)의 개방구(421)에는 순차적으로 절연 케이스(441), 단자 플레이트(442), 절연 플레이트(443)가 더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러한 구성 요소를 반듯이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상기 절연 케이스(441), 단자 플레이트(442) 및 절연 플레이트(443)는 상기 음극 도전 탭(150) 및 양극 도전 탭(250)이 상부로 연장되어 관통될 수 있도록 통공(44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연 플레이트(442)에는 하기할 캡 플레이트(431)를 통하여 전해액을 주입하면, 상기 집전체(410)쪽으로 전해액이 용이하 게 흘러갈 수 있도록 전해액 통공(441b)도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 조립체(430)는 상기 캔(420)의 개방구(421)에 레이저 용접되어 있으며, 이는 대략 직사각판상의 캡 플레이트(431)를 포함한다. 상기 캡 플레이트(431)의 중앙에는 일정 크기의 통공(43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전해액 주입을 위한 전해액 주입구(43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안전 벤트(4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431)의 통공(431a)에는 절연 개스킷(434)이 결합되고, 상기 절연 개스킷(434)에는 전극(음극) 단자(435)가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전극 단자(435)는 상기 음극 도전 탭(150)과 용접되어 방전 또는 충전시 음극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431)의 전해액 주입구(432)와 상기 전극 단자(435) 사이에는 양극 도전 탭(250)이 용접됨으로써, 상기 캡 플레이트(431) 및 캔(420)은 전체적으로 양극이 되도록 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 캡 플레이트(431)의 전해액 주입구(432)에는 전해액 주입후, 그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플러그(436)가 결합 및 용접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집전체를 이루는 음극 도전 포일 및 양극 도전 포일에서 도전 탭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활물질을 코팅하지 않음으로써, 집전체의 권취 두께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도전 탭 및 절연 테이프에 해당되는 권취 영역이 나머지 영역보다 외부로 더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집전체는 캔 또는 파우치 등에 쉽게 삽입되어 작업성이 좋아지고, 또한 변형이 억제되어 전지의 용량을 저하시 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평평한 제1면과 이것의 반대면인 평평한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과 제2면에는 각각 제1,2~n-1,n 영역이 구비되고, 각 영역 사이에는 제1,2~n-2,n-1 폴딩 라인이 형성되어 권취되는 음극 도전 포일;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의 제1면중 제3,4~n-2,n-1 영역과,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의 제2면중 제2,3~n-1,n 영역에 일정 두께로 코팅된 음극 활물질;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의 제1면중 제1영역에 용접되어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표면은 절연 테이프로 감싸여진 음극 도전 탭;
    대략 평평한 제1면과 이것의 반대면인 대략 평평한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과 제2면에는 제1,2~n-1,n 영역이 구비되고, 각 영역 사이에는 제1,2~n-2,n-1 폴딩 라인이 형성된 동시에, 상기 음극 도전 포일에 밀착되어 권취되는 양극 도전 포일;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의 제1면중 제3,4~n-2,n-1 영역과,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의 제2면중 제2,3~n-4,n-3 영역에 일정 두께로 코팅된 양극 활물질; 및,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의 제1면중 제1영역에 용접되어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표면은 절연 테이프로 감싸여진 양극 도전 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은 제1폴딩 라인을 중심으로 제1,2영 역의 제1면이 상호 밀착되어 권취되기 시작하고,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의 제1영역중 제2면이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의 제1영역중 제1면에 밀착되어 함께 권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의 제1면과 제2면 위에는 세퍼레이터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도전 포일은 구리 포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은 그래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도전 탭은 니켈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은 알루미늄 포일 또는 알루미늄 메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코발트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탭은 알루미늄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은 제1면의 제2영역중 일부 영역에도 일정 두께의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은 제1면의 제2영역에도 일정 두께의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되, 제1폴딩 라인을 통해 권취된 후, 상기 양극 탭과 중첩되는 영역의 외주연으로 활물질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도전 포일은 제1영역의 폭이 나머지 제2,3~n-1,n 영역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체.
  13. 제 1 항에 기재된 집전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면, 상기 제1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면, 상기 제1면 및 제2면에 동시 연결된 제3면 및 상기 제3면과 대향되는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되어 상기 집전체가 결합되는 캔과,
    상기 캔의 상부에 용접되어, 상기 집전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캡 조립체와,
    상기 캔에 주입된 전해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20040046669A 2004-06-22 2004-06-22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0571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669A KR100571268B1 (ko) 2004-06-22 2004-06-22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JP2005174255A JP4987252B2 (ja) 2004-06-22 2005-06-14 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11/157,475 US7700221B2 (en) 2004-06-22 2005-06-20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CNB2005100777035A CN100483800C (zh) 2004-06-22 2005-06-22 电极组件和使用它的锂离子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669A KR100571268B1 (ko) 2004-06-22 2004-06-22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509A KR20050121509A (ko) 2005-12-27
KR100571268B1 true KR100571268B1 (ko) 2006-04-13

Family

ID=3551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669A KR100571268B1 (ko) 2004-06-22 2004-06-22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00221B2 (ko)
JP (1) JP4987252B2 (ko)
KR (1) KR100571268B1 (ko)
CN (1) CN10048380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6213B2 (en) 2015-03-13 2018-01-23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electrode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3636B2 (ja) * 2005-03-29 2012-01-25 三洋電機株式会社 渦巻式電極の角型電池
JP2007188806A (ja) * 2006-01-16 2007-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4630855B2 (ja) * 2006-09-22 2011-0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11999B1 (ko) * 2008-01-28 2009-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특성이 향상된 전지
KR100982003B1 (ko) 2008-04-17 2010-09-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특성이 향상된 전지
JP4835956B2 (ja) * 2008-07-02 2011-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US8715848B2 (en) 2010-01-13 2014-05-06 Panasonic Corporatio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ith insulating member having a broken hollow por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80698B1 (ko) * 2010-03-25 2015-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JP6173692B2 (ja) 2010-12-28 2017-08-02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254890B1 (ko) * 2011-01-31 2013-04-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1199161B1 (ko) 2011-02-11 2012-11-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914562B1 (ko) * 2011-12-09 2018-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02931441B (zh) * 2012-10-31 2015-10-07 湖北宇隆新能源有限公司 一种多极片锂电池卷芯的卷绕方法
JP5278589B1 (ja) * 2012-12-03 2013-09-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マグネシ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池パック
WO2015024004A1 (en) 2013-08-16 2015-02-19 Envia Systems, Inc. Lithium ion batteries with high capacity anode active material and good cycling for consumer electronics
JP6567821B2 (ja) * 2014-12-25 2019-08-28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巻回素子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205388988U (zh) * 2016-03-24 2016-07-20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极片
EP3236513A1 (de) * 2016-04-22 2017-10-25 HILTI Aktiengesellschaft Elektrodenanordnung für eine batteriezelle
CN106058296B (zh) * 2016-08-05 2019-02-05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二次电池电芯
KR102277352B1 (ko) * 2016-08-24 2021-07-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180028837A (ko) * 2016-09-09 2018-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N107171028A (zh) * 2017-07-07 2017-09-15 安普瑞斯(无锡)有限公司 一种卷绕式电芯及电池
US11094925B2 (en) 2017-12-22 2021-08-17 Zenlabs Energy, Inc. Electrodes with silicon oxi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ion cells achieving high capacity, high energy density and long cycle life performance
JP7122581B2 (ja) * 2017-12-25 2022-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二次電池
CN112151788A (zh) 2019-06-26 2020-12-29 珍拉布斯能源有限公司 具有高性能电解质和氧化硅活性材料的锂离子电池
US11973178B2 (en) 2019-06-26 2024-04-30 Ionblox, Inc. Lithium ion cells with high performance electrolyte and silicon oxide active materials achieving very long cycle life performance
WO2021024940A1 (ja) * 2019-08-06 2021-02-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電池パック、電子機器、電動工具、電動式航空機及び電動車両
EP4362213A1 (en) * 2021-06-23 2024-05-01 Ningde Amperex Technology Ltd.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484A (ja) 1999-05-19 2001-02-09 Nec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982B1 (ko) 1993-12-09 1996-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JPH1154111A (ja) * 1997-08-05 1999-02-2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二次電池用電極シート及び二次電池
JP3763233B2 (ja) * 1998-07-21 2006-04-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偏平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9927556T2 (de) * 1998-07-21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Flache Zellen
JP2001155779A (ja) 1999-11-30 2001-06-08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電池
JP4075034B2 (ja) * 2001-08-06 2008-04-16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86233A (ja) * 2001-09-07 2003-03-20 Mitsubishi Electric Corp 平板型電池およびその製法
JP3891047B2 (ja) * 2002-06-10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
KR100661680B1 (ko) * 2002-07-25 2006-12-2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484A (ja) 1999-05-19 2001-02-09 Nec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6213B2 (en) 2015-03-13 2018-01-23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electrod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509A (ko) 2005-12-27
JP4987252B2 (ja) 2012-07-25
US20060003221A1 (en) 2006-01-05
CN100483800C (zh) 2009-04-29
US7700221B2 (en) 2010-04-20
CN1713418A (zh) 2005-12-28
JP2006012808A (ja)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268B1 (ko)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0958649B1 (ko) 전지부와, 이의 감는 방법과, 이를 채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 전지
US7585589B2 (en)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CN101271985B (zh) 可再充电电池及其制造方法
JP4628682B2 (ja) 電池部ユニット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2次電池
CN100466337C (zh) 电极组件以及利用该组件的锂离子二次电池
KR100846955B1 (ko) 원통형 이차전지
US9023500B2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EP2445048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599793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100599641B1 (ko) 이차 전지
CN107615558B (zh) 卷绕型电池
JP3970837B2 (ja) 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利用した二次電池
KR20040005243A (ko)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이차전지
KR102172843B1 (ko) 이차 전지
KR20050110459A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및 집전판
JP2005071996A (ja) 電極タップを缶の短辺部に位置させた二次電池
KR100472510B1 (ko) 젤리-롤형의 전지부와, 이의 와인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리튬이차전지
KR100440935B1 (ko) 각형밀폐전지
KR100525828B1 (ko) 버튼형 리튬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9863B1 (ko) 이차 전지
CN110534799B (zh) 电池及电池盖板组件
KR100948847B1 (ko)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20040042373A (ko) 원통형 이차전지
KR20040022919A (ko)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