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259B1 - Stylus pen input and outputing apparatu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 Google Patents

Stylus pen input and outputing apparatu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259B1
KR100566259B1 KR1020030072646A KR20030072646A KR100566259B1 KR 100566259 B1 KR100566259 B1 KR 100566259B1 KR 1020030072646 A KR1020030072646 A KR 1020030072646A KR 20030072646 A KR20030072646 A KR 20030072646A KR 100566259 B1 KR100566259 B1 KR 10056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stylus
stylus pen
pile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7198A (en
Inventor
정의석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259B1/en
Publication of KR20050037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1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2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에서 단말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을 다단계로 인입/입출가능하도록 구성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소정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단계로 상기 펜을 인입/인출시키는 펜 더미와, 상기 펜 더미에서 다단계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단말기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인입/인출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아니라, 펜의 사용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에서 단말기를 흔들거나 뒤집어도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ylus pen in / out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nfigured to be able to draw in / out multiple steps of a stylus pen used in a terminal in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 pen pil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the pen pile drawing in / out the pen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ylus pen, and the stylus provided to be able to draw / draw in multiple stages from the pen pi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en, thereby not only can improve the entry / withdrawal of the stylus pen in the terminal, it can also facilitate the use of the pen, and also easily detached by shaking or flipping the terminal from the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스타일러스 펜, 펜 더미.Stylus pen, pile of pens.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 STYLUS PEN INPUT AND OUTPUTING APPARATU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 STYLUS PEN INPUT AND OUTPUTING APPARATU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플립이 열린 상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ip open state of a conventional portable wireless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ylus pen in / out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를 단말기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ylus pen in / out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rminal;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를 단말기에 적용하여 펜을 다단계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n is drawn out in multiple stages by applying the stylus pen in / out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B-B' 선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를 단말기에 적용하여 펜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en is withdrawn by applying a stylus pen in / out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C-C' 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무선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에서 단말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을 다단계로 인입/입출가능하도록 구성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ylus pen entry / exit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ylus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nfigured to enable a multi-step entry / exit of a stylus pen used for a terminal in a portable digital terminal (PDA). A pen in / out device.

통상적으로, 종래의 휴대 단말기들은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다기능화 되며, 그 크기는 소형화되고, 다기능 중에서 음성 통신, 라디오 청취 및 인터넷에 접속하여 MP3 뮤직을 다운받아 들으며, 또한, 휴대단말기의 키버튼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서로 주고 받는 기능도 추가된 상태이다.In general,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multifunctional according to the needs of consumers, and the size thereof is miniaturized. Among them, the portable terminals are connected to voice communication, radio listening, and the Internet to download MP3 music, and also to press key buttons of the portable terminal. Sending and receiving text messages with each other has also been added.

또한, 휴대 단말기는 점차 보급화 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점자 소형화, 경박 단소화되어감과 동시에 그 기능의 다양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as mobile terminals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terminals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designs have appeared. In addition, as the terminal becomes smaller and lighter and shorter in braille, the variety of functions is more highlighted.

따라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대방과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이외에도 인터넷 기능이나, 문자정보, 그랙픽등의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엘씨디 모듈인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는 점차 넓어지게 되고, 반면에 단말기의 부피는 점차 소형화되어가야만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키패드가 없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제품의 특성상, 상기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한 보조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Therefore,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s with the other party, the wireless terminal is required to process Internet functions, text information, graphics, and the like. Accordingly, an LCD module (Display Unit) is gradually widened, while the volume of the terminal can be reduced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only when the size of the terminal is gradually reduced to use a touch screen without a separate keypad. Also, due to the nature of the product, an auxiliary mechanism for manipulating the touch screen can be used.

상기 보조 기구로는 필기구 형상을 하고 있으며, 단부가 첨예한 팁을 갖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거나 단말기 본체의 후면상에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The auxiliary device may be a writing instrument, and a stylus pen having a sharp tip may be used. The stylus pen may be carried separately by a user or fixed on the rear of the terminal body. do.

또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터치 스크린 방식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사용하는 복합 휴대용 무선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사용된다.In addition, the stylus pen is used in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using a wide LCD module of a touch screen type.

또한, 상술한 스타일러스 펜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에 장착하거나 주머니등에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부피를 최소화해야 한다. 그러나,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에 잡힐 정도의 크기가 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tylus pen described above should be minimized because it should be mounted on a terminal or carried in a pocket when not in use. However, when used, it should be large enough to be held by the user.

도 1과 같이,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메인 바디인 본체(10)와, 상기 본체(10)상에서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 바디인 플립(20)과, 상기 플립(20)을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힌지 장치(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stylus pen includes a main body 10 that is a main body, a flip 20 that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the main body 10, and a flip 20 mechanically. It consists of a hinge device 30 for connecting.

상기 본체(10)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11)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최상단에는 안테나 장치(40)가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 장치(40)의 하측으로 스피커 장치(50)를 포함하는 이어 피스(ear piece)가 배열된다. 상기 이어 피스 하측으로 터치 스크린 방식의 엘씨디 모듈( LCD module)(60)이 설치되고, 상기 엘씨디 모듈(60) 하측으로 마이크 장치(70)가 설치된다.The main body 10 is composed of an upper casing frame 11 and a lower casing frame 12. An antenna device 40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10, and an ear piece including the speaker device 50 is arranged below the antenna device 40. The LCD module 60 of the touch screen type is installed below the ear piece, and the microphone device 70 is installed below the LCD module 60.

이때, 상기 단말기의 일측에는 휴대의 용이성 때문에 단말기용 걸이가 설치되며, 상기 걸이의 단부에는 상기 터치 스크린 방식의 엘씨디 모듈(60)을 손쉽게 누를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80)이 설치된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terminal hanger for ease of carrying, and the end of the hanger is provided with a stylus pen 80 that can easily press the LCD module 60 of the touch screen method.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은 단말기용 걸이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미도시 되었으나, 단말기의 적소에 형성된 삽입홈내에서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tylus pen may be carried without using a terminal hanger.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t is detachably mounted in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place of the terminal.

이와 같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단말기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뽑을 때 손으로 잡은 부분이 좁아 쉽게 뽑히지기 않으므로, 사용상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tylus pen has a narrow point in hand when being pulled out while being in the terminal, and thus is not easily pulled out.

또한,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단말기에 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버튼 누르면 쉽게 튀어 나오도록 되어 있으나, 기본 버튼을 누른상태에서 거꾸로 흔들면, 그냥 빠져나오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rawback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button, so that the button is easily pushed ou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에서 단말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을 다단계로 인입/입출가능하도록 구성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PDA: Portable Digital Terminal), which is configured to enable the stylus pen to be used in the terminal in multiple stag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ylus pen in / out device of a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PDA)에서 단말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을 다단계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펜 더미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인입/인출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pen pile so that a stylus pen used in a terminal in a multi-step portable PDA (PDA) can be pulled out and withdrawn in a multi-stage manner, and thus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can improve the drawing / drawing of the stylus pen in th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ylus pen in / out device of a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PDA)에서 단말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을 다단계로 인입/인출할 경우 외부에서 흔들거나 뒤집어도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ylus pen for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PDA) in which a stylus pen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prevented from being easily detached even when shaken or flipped from the outside when the stylus pen is used in a multi-step. It is to provide a draw / withdrawal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소정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단계로 상기 펜을 인입/인출시키는 펜 더미와,
상기 펜 더미에서 다단계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구성되고,
상기 펜 더미는, 상기 더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인입/인출시키는 더미 홈과, 상기 더미의 측벽면 상부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누름에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걸림돌기와 상기 더미의 걸림부와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한쌍의 버튼부와, 상기 더미의 상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버튼부의 누름에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걸림돌기와 걸리거나 해제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더미의 내측면 중심 소정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인입/인출시킬 경우 상기 펜을 다단계로 상기 더미 홈에서 일부만을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펜과 접촉하여 걸려 멈추게 하는 한쌍의 고정돌기와, 상기 더미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다단계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stylus pen,
A pen pil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draw / draw the pen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ylus pen;
Consists of a stylus pen which is provided to be pulled in / out in multiple stages in the pen pile,
The pen pile may include a dummy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ummy to draw in / out of the stylus pen, and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a side wall of the dummy, and being caught by the external force and locking the stylus pen with an external force. A pair of button portions for releasing the engaging portion, a lock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ummy and engaging or releasing or engaging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pair of button portions,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ummy predetermined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formed at positions and contacting and stopping the pen so that the pen can be pulled in / out of the dummy groove in a plurality of stages when the stylus pen is pulled in / out; It is provided with a spring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draw / withdraw the multi-step stylus pen The features.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8과 같이,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100)는 펜 더미(200)와, 스타일러스 펜(300)으로 이루어져 있다.2 to 8, the stylus pen in / out device 10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cludes a pen pile 200 and a stylus pen 300.

상기 펜 더미(200)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단계로 상기 펜(300)을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소정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The pen pile 20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stylus pen 300 can be pulled in / out of the pen 300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은 상기 펜 더미(200)에서 다단계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상기 펜 더미(200)에 결합되어 있다.The stylus pen 300 is coupled to the pen stack 200 to enable the multi-step draw / draw from the pen stack 200.

또한, 상기 펜 더미(200)는 더미 홈(201)과, 한쌍의 버튼부(202)와, 한쌍의 고정돌기(204)와, 스프링(205)으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pen pile 200 includes a dummy groove 201, a pair of button portions 202,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204, and a spring 205.

상기 더미 홈(201)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을 인입/인출가능하도록 상기 펜 더미(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The dummy groove 201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n pile 200 to enable the stylus pen 300 to be pulled in / out.

상기 한쌍의 버튼부(202)는 외력에 의해 누름에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의 걸림돌기(301)와 상기 펜 더미(200)의 걸림부(203)와의 걸림을 서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펜 더미(200)의 측벽면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As the pair of button portions 202 are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pens may release the latches between the locking projections 301 of the stylus pen 300 and the locking portions 203 of the pen pile 200. It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dummy 200.

상기 걸림부(203)는 상기 한쌍의 버튼부(202)의 누름에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의 걸림돌기(301)와 걸리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펜 더미(200)의 상일단에 형성되어 있다.The locking portion 203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en pile 200 so as to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301 of the stylus pen 300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pair of button portions 202. have.

상기 한쌍의 고정돌기(204)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을 인입/인출시킬 경우 상기 펜(300)을 상기 더미 홈(201)에서 일부만을 인입/인출시킬 수 있게 상기 펜(300)과 접촉하여 걸려 멈추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펜 더미(200)의 내측면 중심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있다.The pair of fixing protrusions 204 are in contact with the pen 300 so that only a part of the pen 300 may be inserted / drawn from the dummy groove 201 when the stylus pen 300 is inserted / drawn. I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en pile 200 so that it can be stopped.

상기 스프링(205)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을 다단계로 인입/인출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펜 더미(2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The spring 205 is provid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pen dummy 20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stylus pen 300 in a multi-stage retractable / withdrawable.

또한, 상기 펜 더미(200)의 내측에는 상기 스프링(205)을 지지하도록 한쌍의 스프링 지지돌기(206)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spring support protrusions 206 are formed inside the pen dummy 200 to support the spring 205.

또한, 상기 한쌍의 버튼부(202)와, 고정돌기(204)와, 스프링 지지돌기(206)는 서로 대칭으로 맞주보게 제공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button portions 202, the fixing projections 204 and the spring support projections 206 are provided to symmetrically meet each other.

상기 버튼부(202)는 상기 펜 더미(200)의 측벽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작동홀(202a)내에 구비되어 있다.The button portion 202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hole 202a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ide wall of the pen dummy 200.

상기 버튼부(202)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작동홀(202a)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돌기(202b)가 형성되어 있다.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utton portion 202, a separation preventing projection 202b is formed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operation hole (202a).

상기 고정돌기(204)는 상기 펜(300)의 제 1, 2 걸림턱(302a)(32b)에서 이탈 이 용이하도록 서로 맞주보는 반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fixing protrusion 204 has a semi-elliptic shape facing each other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302a and 32b of the pen 300.

또한, 상기 스프링 지지돌기(206)의 끝단에는 상기 펜 더미(200)의 끝단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 경사면(206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guide inclined surface 206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pring support protrusion 206 to guide the end of the pen pile 200.

상기 스프링(205)의 상단면에는 상기 스프링(205)의 탄성력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205a)가 구비되어 있다.The top surface of the spring 205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205a for suppor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05.

또한,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은 한쌍의 걸림돌기(301)와, 환형의 고정홈(302)으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stylus pen 300 is composed of a pair of locking projections 301, and an annular fixing groove 302.

상기 한쌍의 걸림돌기(301)는 좌, 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펜 더미(200)의 걸림부(203)와 걸려 상기 펜(300)을 상기 펜 더미(200)의 더미 홈(201)내에서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고, 상기 펜(300)의 일부가 상기 더피 홈(201)내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더미 홈(201)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펜(300)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The pair of locking projections 301 are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s 203 of the pen stack 200 by left and right elastic forces to fix the pen 300 in the dummy groove 201 of the pen stack 200. The pen 300 is formed on the pen 300 so as to be caught or fixed in the dummy groove 201 when a part of the pen 300 is drawn out in the duffy groove 201.

상기 환형의 고정홈(302)은 상기 펜 더미(200)의 고정돌기(204)와 걸리거나 이탈되도록 상기 펜(300)의 중심부에 상기 펜(300)의 길이방향 및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The annular fixing groove 302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pen 300 at the center of the pen 300 to be caught or separated from the fixing protrusion 204 of the pen pile 200.

또한, 상기 한쌍의 걸림돌기(301)는 상기 펜 더미(200)의 걸림부(203)와 서로 대응되도록 대칭으로 제공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locking projections 301 are provided symmetrically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ith the locking portion 203 of the pen pile 200.

또한, 상기 한쌍의 걸림돌기(301)는 좌, 우로 탄성력을 제공되도록 판 스프링(205)으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301 is composed of a leaf spring 205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고정홈(302)의 상일단에는 상기 펜(300)을 상기 펜 더미(200)내로 인입시킴과 동시에 걸려 멈추게 하도록 제 1 걸림턱(302a)이 형성되어 있다.A first locking step 302a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xing groove 302 to allow the pen 300 to be drawn into the pen dummy 200 and to be stopped at the same time.

상기 고정홈(302)의 하일단에는 상기 펜(300)을 상기 펜 더미(200)내에서 인출시킬 경우 상기 펜(300)을 상기 더미 홈(201)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로 인출시킴과 동시에 걸려 멈추게 하도록 제 2 걸림턱(302b)이 형성되어 있다.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groove 302, when the pen 300 is withdrawn from the pen pile 200, the pen 300 is withdrawn from the dummy groove 201 to the out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 second locking jaw 302b is formed to stop the locking.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tylus pen in / out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도 2와 같이,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는 펜 더미(200)와, 스타일러스 펜(30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stylus pen in / out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cludes a pen pile 200 and a stylus pen 300.

도 3 및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을 인출할 경우 상기 펜 더미(200)의 측벽면 상부에 구비된 한쌍의 버튼부(202)를 동시에 누른다.3 and 4, when the user withdraws the stylus pen 300, the user simultaneously presses a pair of button portions 202 provided on the sidewall surface of the pen pile 200.

이와 동시에 상기 한쌍의 버튼부(202)는 상기 펜 더미(200)에 형성된 작동홀(202a)내로 들어가게 되고, 이때,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의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걸림돌기(301)가 상기 한쌍의 버튼부(202)에 의해 상기 펜 더미(200) 내측으로 밀려들어간다.At the same time, the pair of button portions 202 enter the operation hole 202a formed in the pen pile 200, and at this time, the pair of locking projections 301 formed on the stylus pen 300 is connected to the pair. It is pushed into the pen dummy 200 by the button portion 202 of the.

여기서, 상기 한쌍의 걸림돌기(301)는 좌, 우로 탄성력을 제공되도록 판 스프링(205)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pair of locking projections 301 is made of a leaf spring 205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left and right.

이때,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걸림돌기(301)는 상기 펜 더미(200)의 걸림부(203)와 걸려있다가 상기 걸림돌기(30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203)에서 걸림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은 상기 펜 더미(2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205)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locking protrusion 301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203 of the pen pile 200, and the locking protrusion 301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20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ocking protrusion 301. The latch is rel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ylus pen 300 is lif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05 provid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pen pile 200.

여기서, 상기 스프링(205)의 상단면에는 상기 스프링(205)의 탄성력을 지지하도록 지지 플레이트(205a)가 구비된다.Here, the support plate 205a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pring 205 to suppor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05.

이 상태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의 상부 일단이 상기 펜 더미(200)의 더미 홈(201)에서 다단계로 인출된다.In this state, the upper end of the stylus pen 300 is drawn out in multiple stages from the dummy groove 201 of the pen pile 200.

이때, 상기 펜 더미(200)의 내측면 중심 소정 위치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을 인출시킬 경우 상기 펜을 상기 더미 홈(201)에서 일부만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펜(300)의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홈(302)에 걸려 일단 멈추게 할 수 있도록 한쌍의 고정돌기(20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돌기(204)는 상기 고정홈(302)에 걸려 일단 멈추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stylus pen 300 is drawn out at a predetermined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en dummy 200, the pe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en 300 so that only a part of the pen may be drawn out from the dummy groove 201. Since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204 are formed to be stopped by the fixing grooves 302, the fixing protrusions 204 are stopped by being caught by the fixing grooves 302.

여기서, 상기 고정홈(302)의 하일단에는 상기 펜(300)을 상기 펜 더미(200)내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로 인출시킴과 동시에 걸려 멈추게 하는 제 2 걸림턱(302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펜(300)이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걸림턱(302b)에 상기 고정돌기(204)가 걸린다.Here,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groove 302, the second locking jaw 302b is formed to draw the pen 300 outwardly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pen pile 200 and to stop the same. As the pen 300 rises, the fixing protrusion 204 is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jaw 302b.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펜(300)의 하부는 상기 펜의 제 2 걸림턱(302b)과 상기 펜 더미(200)의 고정돌기(204)가 서로 걸리고, 상기 펜(300)의 상부는 상기 펜(300)의 걸림돌기(301)와 상기 펜 더미(200)의 더미 홈(201)사이에 걸려 고정됨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10)를 거꾸로 세워서 흔들어도 상기 펜(300)은 단말기 본체(10)에서 빠지지 않는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the lower portion of the pen 300 is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302b of the pen and the fixing protrusion 204 of the pen pile 200, the upper portion of the pen 300 It is caught between the locking projection 301 of the pen 300 and the dummy groove 201 of the pen pile 200, so that the pen 300 can be moved upside down even when the terminal body 10 is turned upside down. I do not fall in).

이 상태에서, 도 7 및 도 8 과같이, 상기 사용자는 상기 펜 더미(200)에서 돌출된 스타일러스 펜(300)의 상부를 잡고 당기면, 상기 펜을 상기 펜 더미(200)에 서 간편하게 이탈시킨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7 and 8, when the user grabs and pulls the upper portion of the stylus pen 300 protruding from the pen pile 200, the user easily detaches the pen from the pen pile 200.

이때, 상기 스프링(205)은 상기 펜 더미(200)의 내측하부에 형성된 상기 한쌍의 스프링(205) 지지돌기(206)에 의해 지지된다.In this case, the spring 205 is supported by the pair of spring 205 support protrusions 206 formed i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pen pile 200.

여기서, 사용자가 다시 스타일러스 펜(300)을 펜 더미(200)의 더미 홈(201)내로 삽입할 경우 상기 펜(300)의 앞부분을 먼저 상기 더미 홈(201)내로 삽입한다.Here, when the user inserts the stylus pen 300 back into the dummy groove 201 of the pen pile 200, the front part of the pen 300 is first inserted into the dummy groove 201.

이때, 상기 펜(300)의 앞부분은 상기 스프링(205) 지지돌기(206)의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 경사면(206a)에 의해 상기 스프링(205)의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스프링(205)으로 가이드된다.At this time, the front portion of the pen 300 is guided to the spring 205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05 by the guide inclined surface 206a formed at the end of the spring 205, the support protrusion 206. .

이와 동시에, 상기 펜 더미(200)의 고정돌기(204)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300)의 고정홈(302) 상일단에 형성된 제 1 걸림턱(302a)에 걸려 멈추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펜(300)의 걸림돌기(30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펜 더미(200)의 걸림부(203)에 걸려 상기 펜(300)을 고정시킨다.At the same time, the fixing protrusion 204 of the pen pile 200 is caught and stopped by the first catching jaw 302a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groove 302 of the stylus pen 300, and in this state the pen ( The pen 300 is fixed to the locking portion 203 of the pen stack 2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ocking protrusion 301 of the 300.

이때, 상기 펜(300)의 걸림돌기(301)는 상기 버튼부(202)의 후면과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버튼부(202)를 상기 작동홀(202a)로 밀어 상기 펜 더미(200)의 외부로 돌출시킨다.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301 of the pen 30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utton unit 202 and simultaneously pushes the button unit 202 to the operation hole 202a to the outside of the pen stack 200. Extrude

여기서, 상기 버튼부(202)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작동홀(202a)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돌기(202b)가 형성된다.Here, the release prevention projections (202b)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utton portion 202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operating hole (202a).

상기와 같이,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을 다단계로 인입/입출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stylus pen used i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to be able to draw in and out in multiple stages, the use of the stylus pen can be facilita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 인출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stylus pen in / out apparatus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sibility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portable terminal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에 의하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ylus pen in / out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단말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을 다단계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펜 더미를 구성하여 단말기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인입/인출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아니라, 펜의 사용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에서 흔들거나 뒤집어도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can facilitate the use of the stylus pen used in the terminal i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e pen pile may be configured to draw / draw the stylus pen used in the terminal in multiple stages, thereby improving the drawing / drawing of the stylus pen in the terminal, and also facilitate the use of the pe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being shaken or flipped.

Claims (13)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stylus pen, 상기 본체의 소정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단계로 상기 펜을 인입/인출시키는 펜 더미와,A pen pil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draw / draw the pen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ylus pen; 상기 펜 더미에서 다단계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구성되고,Consists of a stylus pen which is provided to be pulled in / out in multiple stages in the pen pile, 상기 펜 더미는, 상기 더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인입/인출시키는 더미 홈과, 상기 더미의 측벽면 상부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누름에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걸림돌기와 상기 더미의 걸림부와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한쌍의 버튼부와, 상기 더미의 상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버튼부의 누름에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걸림돌기와 걸리거나 해제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더미의 내측면 중심 소정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인입/인출시킬 경우 상기 펜을 다단계로 상기 더미 홈에서 일부만을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펜과 접촉하여 걸려 멈추게 하는 한쌍의 고정돌기와, 상기 더미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다단계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 The pen pile may include a dummy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ummy to draw in / out of the stylus pen, and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a side wall of the dummy, and being caught by the external force and locking the stylus pen with an external force. A pair of button portions for releasing the engaging portion, a lock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ummy and engaging or releasing or engaging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pair of button portions,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ummy predetermined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formed at positions and contacting and stopping the pen so that the pen can be pulled in / out of the dummy groove in a plurality of stages when the stylus pen is pulled in / out; It is provided with a spring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draw / withdraw the multi-step stylus pen Stylus pulling / drawing device for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 더미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한쌍의 스프링 지지돌기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The stylus pen insertion / retraction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pair of spring support protrusions are formed on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pen pile to support the springs.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버튼부와, 고정돌기와, 스프링 지지돌기는 서로 대칭으로 맞주보게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The device of claim 1 or 3, wherein the pair of button portions,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spring supporting protrusion are provided to symmetrically meet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펜 더미의 측벽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작동홀내에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button unit is provided in an operation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sidewall of the pen pi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작동홀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The stylus pen retracting / draw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utton unit so as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perating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펜과 이탈가능하도록 서로 맞주보는 반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semi-elliptic shape that faces the pen so as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돌기의 끝단에는 상기 펜 더미의 끝단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 경사면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inclined surface is further formed on the end of the spring support projection to guide the end of the pen pile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tylus pen in / Withdraw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상단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지지하는지지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The stylus pen insertion / retraction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an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s furthe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p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펜 상부에 형성되고, 좌, 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펜 더미의 걸림부와 걸려 상기 펜을 상기 펜 더미의 더미 홈내에서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며, 상기 펜의 일부가 상기 더미 홈내에서 돌출될 경우 상기 더미 홈사이에 걸려 고정되는 한쌍의 걸림돌기와,The pen stylus of claim 1, wherein the stylus pen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n and is engaged with a locking portion of the pen pile by left and right elastic forces to fix or release the pen in a dummy groove of the pen pile. A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fixed between the dummy grooves when a part thereof protrudes in the dummy grooves, 상기 펜의 중심부에 상기 펜의 길이방향 및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펜 더미의 고정돌기와 걸리거나 이탈되도록 환형의 고정홈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Stylus pen insertion / withdrawal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pen in the center of the pen, an annular fixing groove is formed to be caught or separated from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pen pil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걸림돌기는 상기 펜 더미의 걸림부와 서로 대응되도록 대칭으로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The device of claim 10, wherein the pair of locking projections are provided symmetrically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ith the locking portion of the pen stack.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걸림돌기는 좌, 우로 탄성력을 제공되로록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12. The stylus pen retracting / drawing device of claim 10, wherein the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are made of leaf springs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left and the righ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고정홈 상일단에는 상기 펜을 상기 펜 더미내로 인입시킴과 동시에 걸려 멈추게 하는 제 1 걸림턱이 형성되고,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 first locking step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groove of the stylus pen to allow the pen to be drawn into the pen stack and to be stopped at the same time. 상기 고정홈의 하일단에는 상기 펜을 상기 펜 더미내에서 인출시킬 경우 상기 펜을 상기 더미 홈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로 인출시킴과 동시에 걸려 멈추게 하는 제 2 걸림턱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groove, when the pen is drawn out in the pen pile, a second locking jaw is formed to draw the pen outward from the dummy groove to the out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o stop the hanging. Stylus pen entry / exit device for wireless terminals.
KR1020030072646A 2003-10-17 2003-10-17 Stylus pen input and outputing apparatu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0566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646A KR100566259B1 (en) 2003-10-17 2003-10-17 Stylus pen input and outputing apparatu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646A KR100566259B1 (en) 2003-10-17 2003-10-17 Stylus pen input and outputing apparatu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198A KR20050037198A (en) 2005-04-21
KR100566259B1 true KR100566259B1 (en) 2006-03-29

Family

ID=3724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646A KR100566259B1 (en) 2003-10-17 2003-10-17 Stylus pen input and outputing apparatu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2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627A1 (en) * 2015-08-11 2017-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665B1 (en) * 2009-01-30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2092010B1 (en) 2018-06-19 2020-03-24 (주)금오전자 Stylus pen hol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627A1 (en) * 2015-08-11 2017-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0817078B2 (en) 2015-08-11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198A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995B1 (en) Mobile terminal having a additional keypad
US6064734A (en) Telephone with sliding keypad
KR100713360B1 (en) Portable phone with hinge stylus and sub-inputting unit
US7343182B2 (en) Automatic sliding mechanism
KR100760278B1 (en) Wireless headset
KR100724850B1 (en) Sim card mount/demount guid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689031B1 (en) Wireless headse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H04281628A (en) Portable radio equipment
TWM282435U (en) Mobile phone structure
KR100566259B1 (en) Stylus pen input and outputing apparatu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0767435B1 (en) Wireless headset for having earphone of push button type
KR100725628B1 (en) Wireless headset
KR102585986B1 (en) Griptok for portable telephone with a magnifying glass
US20050049018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H11136329A (en) Folded-type electronic device
KR100548610B1 (en) Mobile terminal with stylus pen antenna
KR100509889B1 (en) Slide-type mobile phone
CN2907106Y (en) Slide-cover mobile phone
CN209962220U (en) Keyboard with writing board
EP4350470A1 (en) Accessory for handheld device
KR100810385B1 (en) Antenna served as stylus in portable radiotelephone
CN210046689U (en) Portable device with data line and knife
KR100575775B1 (en) Side-key of mobile phone
KR20060068244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battery including push-push type fixing apparatus
KR100659051B1 (en) Cellular phone substituted battery for f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