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408B1 - Segmented Conformable Breathable Films - Google Patents

Segmented Conformable Breathable Fil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408B1
KR100565408B1 KR1020007010230A KR20007010230A KR100565408B1 KR 100565408 B1 KR100565408 B1 KR 100565408B1 KR 1020007010230 A KR1020007010230 A KR 1020007010230A KR 20007010230 A KR20007010230 A KR 20007010230A KR 100565408 B1 KR100565408 B1 KR 100565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mpartment
multicompartment
outer cover
breat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41922A (en
Inventor
케빈 조지 헤트즐러
라바다 캠프벨 보그스
글렌 토마스 밀던홀
마이클 토드 모만
댄 케니쓰 쉬퍼
수즌 엘레인 쇼버
샌디 치-칭 잉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267,412 external-priority patent/US6245401B1/en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10041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9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4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A61F13/51462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being defined by a value or par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A61F13/514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having apertures of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8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sheet, i.e. having zones of different properties o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19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하여 인접하여 연장되고 영구적으로 함께 결합된 적어도 제 1 및 제 2 필름구획을 갖는 단일필름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구획은 상이한 조성을 가지며 이렇게하여 단일필름은 예를 들어, 다양한 수준의 높은 수증기 투과율 및(또는) 탄성과 같은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별개의 구획을 포함한다. 단일필름 및 그의 적층물은 개인 위생용 제품 및 그밖의 다른 다양한 장벽제품에서 외부커버로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ngle film having at least first and second film compartments extending adjacent to each other and permanently joined togeth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have different compositions and thus the single film comprises separate compartments having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for example, various levels of high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and / or elasticity. Single films and laminates thereof are well suited for use as outercovers in personal care products and various other barrier products.

통기성 필름, 다구획화 필름,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엘라스토머, 개인 위생용 제품, 수술 가운Breathable film, multi-compartment film, polyolefin, polyethylene, elastomers, personal care products, surgical gowns

Description

구획화된 순응형 통기성 필름{Segmented Conformable Breathable Films} Segmented Conformable Breathable Films             

본 발명은 통기성 장벽 (breathable barrier)에 관한 것이며, 더욱 특히 본 발명은 신장가능한 통기성 장벽필름 및 이것을 통합시킨 제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thable b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stretchable breathable barrier film and products incorporating the same.

액체 불투과성이며 증기 침투성인 필름은 개인 위생용 제품 (예를 들어, 기저귀 또는 요실금용 의복 (incontinence garments)), 의료용 의복, 산업용 작업복 등을 위한 외부커버 (outer cover)로서의 용도를 포함한 다양한 적용분야를 갖는 중요한 상품이 되었다. 높은 통기성 (즉, 높은 증기 침투성)을 갖는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착용하기에 더 안락한 신체용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직물을 통한 수증기의 이동은 피부에 대해 트래핑된 과도한 수분으로 인해 야기되는 불쾌감을 감소시키고(거나)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필름의 적층물은 다수의 다른 적용분야에서 뿐 아니라 다양한 신체용 제품에서의 용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필름은 제품에 대해 목적하는 장벽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거기에 적층된 다른 재료들은 강도, 마모내성 및(또는) 우수한 감촉과 같은 추가의 목적하는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Liquid impermeable and vapor permeable films have a variety of applications including use as outer covers for personal hygiene products (eg diapers or incontinence garments), medical garments, industrial workwear, and the like. Has become an important commodity. Providing products with high breathability (i.e. high vapor permeability) can provide a body product that is more comfortable to wear, as the movement of water vapor through the fabric causes the discomfort caused by excessive moisture trapped against the skin. Because it can be reduced and / or suppressed. In addition, laminates of such films have been found to have applications in a variety of body products as well as in many other applications. The film can provide the desired barrier properties for the product, while other materials deposited thereon can provide additional desired features such as strength, wear resistance and / or good hand.

다양한 통기성 필름 및 필름적층물이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지만, 특 히 유용한 한가지 적층물은 신장된 충전 미공성 필름을 포함하는 통기성 장벽을 사용한다. 이러한 필름은 일반적으로 입자 또는 다른 물질로 충전시킨 다음에 파쇄하거나 신장시켜 필름 전체에 걸쳐서 미공성 네트워크 (network)를 형성한다. 공극은 충전재로부터 폴리머를 분리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필름 공극 네트워크는 가스와 수증기가 필름을 통과하도록 하는 한편, 액체 및 미립상 물질에 대해서는 장벽으로서 작용한다. 필름 내의 충전재의 양 및 신장의 정도는 직물에 목적하는 수준의 통기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크기 및(또는) 빈도의 미공성 네트워크를 생성시키기 위해서 조절된다. 전형적인 신장된 충전-필름 (filled-film)은 맥코맥 (McCormack)에 공동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855,999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주로 선형인 폴리올레핀 폴리머, 결합제 및 약 30 중량% 내지 80 중량%의 탄산칼슘을 함유하는 충전-필름이 기술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충전-필름은 신장시켜 필름에 목적하는 정도의 다공성을 부여할 수 있다. 신장된 필름은 그후에 부직웹에 적층시켜 부직웹의 강도 및 보존성 (integrity) 및 신장된 필름의 장벽특성을 이용한 적층물을 생성시킬 수 있다.Although a variety of breathable films and film laminates are known in the art, one particularly useful stack uses a breathable barrier that includes an elongated filled microporous film. Such films are generally filled with particles or other materials and then broken up or stretched to form a microporous network throughout the film. The voids are formed by separating the polymer from the filler. Film pore networks allow gas and water vapor to pass through the film, while acting as a barrier to liquid and particulate matter. The amount of filler in the film and the degree of elongation are adjusted to create a microporous network of size and / or frequency that allows the fabric to impart the desired level of breathability. Typical stretched filled-films are described in US Pat. No. 5,855,999, jointly assigned to McCormack, which contains predominantly linear polyolefin polymers, binders, and from about 30% to 80% by weight. Fill-films containing calcium carbonate are described wherein the fill-films can be stretched to impart the desired degree of porosity to the film. The stretched film can then be laminated to the nonwoven web to produce a laminate utilizing the strength and integrity of the nonwoven web and the barrier properties of the stretched film.

착용자의 시각에 따라 더욱 안락한 개인 위생용 제품이 제공될 수 있지만, 통기성이 높은 액체-불투과성 외부커버는 종종 원치않으며 불유쾌한 외부커버의 습기 (dampness)로 인한 문제가 있다. 유체가 배출되어 제품에 의해 흡수된 후에 개인 위생용 제품의 계속적인 사용은 외부커버가 젖었거나 축축한 느낌을 나타내도록 야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유쾌한 젖은 느낌은 일반적으로 액체-불침투성 커버를 통한 액체의 침투 또는 제품으로부터의 누출에 기인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그것을 통해서 통과한 수증기에 의해 야기된 외부커버의 응축으로 인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커버의 습기는 가능한 정도까지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comfortable personal hygiene products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wearer's perspective, but highly breathable liquid-impermeable outercovers are often undesirable and have problems due to the dampness of unpleasant outer covers. Continued use of personal care products after the fluid has been discharged and absorbed by the product can cause the outer cover to feel wet or moist. However, this unpleasant wet feeling is generally not due to the penetration of liquid through the liquid-impermeable cover or leakage from the product, but only due to the condensation of the outer cover caused by the water vapor passing through it. Nevertheless, it is desirable to limit the moisture of the outer cover to the extent possible.

필름 및 필름적층물의 통기성 이외에, 탄성특성을 나타내는 의복 (garment) 또는 제품의 능력은 의복이 더 좋은 신체 순응성 (body conformance)을 나타내도록 한다. 그러나, 특히 미공성 충전-필름의 경우에 목적하는 순응성 및 통기성을 획득한 저가의 필름 및 필름적층물을 제공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우수한 신체 순응성을 획득하기 위해서, 필름의 폴리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신장 및 회복특성 (recovery property)을 가지면서도 또한, 필름 내에서 동공 (pore)의 형성 및 보존이 가능하여야 한다. 더구나, 통기성 필름적층물은 사용시에 (예를 들어, 약 37℃ 또는 체온) 뿐 아니라 장시간에 걸쳐서 및 저장시에도 목적하는 특성을 유지하도록 충분히 안정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조건은 필름 및(또는) 필름적층물의 통기성을 감소시키고(거나) 신장-회복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In addition to the breathability of films and film laminates, the ability of a garment or product to exhibit elastic properties allows the garment to exhibit better body conformance. However, it has proven difficult to provide inexpensive films and film laminates that achieve the desired compliance and breathability, especially in the case of microporous fill-films. In order to achieve good body compliance, the polymer composition of the film should preferably have good stretch and recovery properties, but also be capable of forming and preserving pores in the film. Moreover, the breathable film laminate should be sufficiently stable to maintain the desired properties not only in use (eg, about 37 ° C. or body temperature), but also over long periods of time and during storage. In this regard, it has been found that such conditions can reduce the breathability and / or the stretch-recoverability of the film and / or film stack.

따라서, 우수한 통기성 및 신체 순응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필름 및 그의 적층물이 필요하다. 또한, 후속 공정, 사용, 저장 및(또는) 수송 중에 통상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조건에 적용하였을때 목적하는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열안정성을 갖는 이러한 필름 및 그의 적층물이 필요하다. 또한, 우수한 통기성 및 신체 순응성을 제공하면서도 또한 탁월한 촉감 및 미적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저가의 필름 및 필름적층물에 대한 필요성도 마찬가지로 존재한다. 더우기, 신체용 제 품이 착용자에게 안락한 물품으로 유지되조록 충분한 수증기 침투는 허용하지만, 수증기로부터의 과도한 응축이 외부커버 상에서 용이하게 형성되지 않고 젖었거나 축축한 느낌을 갖는 제품이 생성되도록 하지 않는 흡수성 신체용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films and laminates thereof that can provide good breathability and body compliance. There is also a need for such films and laminates thereof that have sufficient thermal stability to maintain the desired properties when applied to conditions typically encountered during subsequent processing, use, storage and / or transport. There is likewise a need for low cost films and film laminates that can provide good breathability and body compliance while also providing excellent hand and aesthetic quality. Furthermore, an absorbent body that allows sufficient vapor penetration to maintain the body product as a comfortable item for the wearer, but does not allow excessive condensation from water vapor to form easily on the outer cover and result in a product that feels wet or moist. There is a need for a product.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적어도 기계방향 (machine direction) 및(또는) 횡기계방향 (cross-machine direction)으로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연장되는 제 1 필름구획 및 제 2 필름구획을 갖는 단일필름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제 1 필름구획은 제 1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며 적어도 800 g/㎡/24시간의 WVTR을 갖는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에 의해 전술한 필요성들은 충족되었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가 겪었던 문제들은 해소되었다. 제 2 필름구획은 제 1 필름구획의 WVTR 보다 더 작은 WVTR을 가질 수 있으며, 이렇게하여 다양한 지역적 통기성을 갖는 단일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필름구획은 미공성 필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필름구획은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 구획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별한 관점에서, 제 1 및 제 2 필름구획은 둘다 미공성 필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필름구획은 탄성 필름구획으로 포함할 수 있다.A single film having a first film segment and a second film segment extending adjacent to each other at least in the machine direction and / or the cross-machine direction, wherein the first film The above-mentioned needs were met by the multicompartment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first thermoplastic polymer and having a WVTR of at least 800 g / m 2/24 hours and the problems experien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ave been solved. The second film compartment may have a WVTR smaller than the WVTR of the first film compartment, thereby providing a single film having various regional breathability. For example, the first film compartment may be included as a microporous film. The second film compartment may comprise a breathable or non-breathable compartment. In particular aspects, both the first and second film compartments may comprise a microporous film. In addition, the second film compartment may include an elastic film compartment.

본 발명의 추가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다구획 필름은 예를 들어 부직웹, 직물 등과 같은 시트 (sheet)에 적층되거나 고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 및 필름적층물은 개인 위생용 제품, 방호복 (protective apparel), 방호커버 및 감염억제 물품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인 위생용 제품은 (i) 액체투과성 상부시트; (ii)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과 같은 다구획화 필름 또는 필름적층물을 포함하는 액체불투과성 외부커버; 및 (iii) 외부커버와 상부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필름구획은 제품 내에서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신체 순응성, 지역적 수증기 투과율 및(또는) 미감과 같은 목적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compartment film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aminated or adhered to sheets such as, for example, nonwoven webs, textile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films and film lamin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ell suited for use in personal care products, protective apparels, protective covers and infection suppressing articles. For example, the personal car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i) a liquid permeable topsheet; (ii) a liquid impermeable outer cover comprising a multicompartment film or film stack as described herein; And (iii)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topsheet. The first and second film compartments may be selectively disposed within the product to provide the desired properties such as body compliance, local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and / or taste.

도 1은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의 상부 설계도 (top plan view)이다;1 is a top plan view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1A-1A에서 채택된 도 1의 다구획화 필름의 횡단면도이다;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FIG. 1 employed in 1A-1A;

도 2는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의 횡단면도이다;2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의 횡단면도이다;3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의 상부 설계도이다;4 is a top schematic view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4A-4A에서 채택된 도 4의 다구획화 필름의 횡단면도이다;4A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FIG. 4 employed in 4A-4A;

도 5는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의 횡단면도이다;5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의 횡단면도이다;6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의 상부 설계도이다;7 is a top schematic view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7A-7A에서 채택된 도 7의 다구획화 필름의 횡단면도이다;7A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FIG. 7 employed in 7A-7A;

도 8은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적층물의 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mpartment film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을 위한 배플 (baffle)의 상부 설계도이다;9 is a top schematic view of a baffle for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을 위한 배플의 상부 설계도이다;10 is a top schematic view of a baffle for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을 위한 배플의 상부 설계도이다;11 is a top schematic view of a baffle for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을 위한 배플의 상부 설계도이다;12 is a top schematic view of a baffle for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을 위한 배플의 상부 설계도이다;13 is a top schematic view of a baffle for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을 위한 배플의 상부 설계도이다;14 is a top schematic view of a baffle for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을 위한 배플의 상부 설계도이다;15 is a top schematic view of a baffle for a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방호의복 (protective garment)의 정면 평면도 (front flatwise view)이다;FIG. 16 is a front flatwise view of a protective garment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7은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방호의복의 정면 평면도이다.17 is a front plan view of a protective garment includ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정의Justic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포함하는"은 포괄적이거나 제한이 없는 것이며, 추가의 언급되지 않은 요소, 구성적 성분 또는 방법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the term "comprising" is inclusive or unlimited and does not exclude additional non-mentioned elements, constituent components or method step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부직 (nonwoven)" 직물 또는 웹은 편물 또는 직물에서와 같이 식별가능한 방식으로는 아니지만 삽입되어 있는 개개 섬유 또는 실의 구조를 갖는 웹을 의미한다. 부직물 또는 부직웹은 예를 들어, 용융취입 (meltblowing) 방법, 스펀본딩 (spunbonding) 방법, 하이드로엔탱글링 (hydroentangling), 공기-층적되고 (air-laid) 결합된 카드상 웹 (carded web) 방법과 같은 다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왔다.As used herein, the term "nonwoven" fabric or web refers to a web having a structure of individual fibers or yarns inserted therein but not in an identifiable manner as in a knit or woven fabric. Nonwovens or nonwoven webs may be, for example, meltblown methods, spunbonding methods, hydroentangling, air-laid and bonded carded webs. It has been produced by a number of methods such as the metho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스펀본디드 섬유 (spunbonded fibers)"는 분자적으로 배향된 폴리머 물질의 소직경 섬유를 의미한다. 스펀본디드 섬유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4,340,563호 (Appel 등) 및 미국 특허 제 3,692,618호 (Dorschner 등), 미국 특허 제 3,802,817호 (Matsuki 등), 미국 특허 제 3,338,992 및 3,341,394호 (Kinney), 미국 특허 제 3,502,763호 (Hartman), 미국 특허 제 3,542,615호 (Dobo 등), 미국 특허 제 5,382,400호 (Pike 등) 및 공동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756,426호 (1996. 11.26 출원, Marmon 등) 및 미국 특허 출원 제 08/565,261호 (1995. 11. 30 출원, Pike 등)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방사판 (spinneret)의 미세하며, 통상적으로는 원형인 다수의 모세관으로부터 필라멘트로서 압출시킴으로써 형성되며, 여기에서 압출된 필름의 직경은 빠르게 감소된다.As used herein, the term "spunbonded fibers" refers to small diameter fibers of molecularly oriented polymeric material. Spunbonded fiber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 No. 4,340,563 (Appel et al.) And US Pat. No. 3,692,618 (Dorschner et al.), US Pat. No. 3,802,817 (Matsuki et al.), US Pat. US Patent No. 3,502,763 (Hartman), US Patent No. 3,542,615 (Dobo et al.), US Patent No. 5,382,400 (Pike et al.) And commonly assigned US Patent Application No. 08 / 756,426 (filed Nov. 26, 1996, Marmon et al.) And filaments from a plurality of fine, typically circular, capillaries of spinneret, generally melted thermoplastic material, as in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565,261 (filed Nov. 30, 1995, Pike et al.) As formed by extrusion, the diameter of the extruded film is rapidly reduc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용융취입 섬유 (meltblown fibers)"는 일반적으로는, 미세하며 통상적으로는 원형인 다수의 다이 모세관 (die capillary)을 통해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융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필라멘트를 가늘게 하여 그들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수렴성의 고속이며 통상적으로는 뜨거운 가스 (예를 들어, 공기) 스트림 내로 용융된 실 또는 필라멘트로서 압출시킴으로써 형성된 폴리머 물질의 미세한 섬유를 의미한다. 그후에, 용융취입 섬유는 고속 가스스트림에 의해 운반되어 회수표면 상에 침적되어 무작위적으로 분산된 융융취입 섬유의 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3,849,241호 (Butin 등); 미국 특허 제 4,526,733호 (Lau); 미국 특허 제 5,652,048호 (Haynes 등); 및 미국 특허 제 5,366,793호 (Fitts 등)에 기술되어 있다. 융융취입 섬유는 연속성이거나 불연속성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평균직경이 10 미크론 미만이고, 통상적으로는 평균직경이 약 0.5 내지 약 7 미크론 사이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meltblown fibers” generally refers to a thermoplastic material that has been melted through a plurality of die capillary that is fine and usually circular, of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By converging high speed, typically fine fibers of polymeric material formed by extruding as molten yarn or filaments into a stream of hot gas (eg air) that thins the filaments to reduce their diameter. The meltblown fibers can then be carried by the high velocity gas stream and deposited on the recovery surface to form a web of randomly dispersed meltblown fibers. Such method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 No. 3,849,241 to Butin et al .; U.S. Patent 4,526,733 to Lau; US Patent No. 5,652,048 to Haynes et al .; And US Pat. No. 5,366,793 (Fitts et al.). Meltblown fibers may be continuous or discontinuous, generally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less than 10 microns, and typically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between about 0.5 and about 7 micron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다층 부직적층물 (multilayer nonwoven laminate)"은 예를 들어 스펀본드/용융취입/스펀본드 (SMS) 적층물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부직웹 층 및(또는) 다수의 부직층을 포함하는 다층 적층물을 의미한다. 다층 부직적층물의 예는 미국 특허 제 4,041,203호 (Brock 등), 미국 특허 제 5,178,931호 (Perkins 등) 및 미국 특허 제 5,188,885호 (Timmons 등)에 기술되어 있다.As used herein, a "multilayer nonwoven laminate" refers to at least one nonwoven web layer and / or multiple nonwoven layers, such as, for example, spunbond / meltblown / spunbond (SMS) laminates. It means a multilayer laminate comprising a. Examples of multilayer nonwoven laminates are described in US Pat. No. 4,041,203 (Brock et al.), US Pat. No. 5,178,931 (Perkins et al.) And US Pat. No. 5,188,885 (Timmons et a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시트 (sheet)"는 직물, 편직물, 스크림 (scrim), 부직웹 또는 그밖의 유사한 물질일 수 있는 물질의 층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sheet" refers to a layer of material that may be a woven fabric, a knitted fabric, a scrim, a nonwoven web, or other similar materia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기계방향 (machine direction)" 또는 MD는 직물이 생산되는 방향으로의 직물이 길이를 의미한다. 용어 "횡기계방향 (cross-machine direction)" 또는 CD는 직물의 폭, 즉 MD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machine direction" or MD means the length of the fabric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produced. The term "cross-machine direction" or CD means the width of the fabric, ie the direction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M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호모폴리머, 예를 들어, 블럭, 그래프트, 랜덤 및 교호성 코폴리머와 같은 코폴리머, 터폴리머 등 및 이들의 배합물 및 변형체를 포함하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용어 "폴리머"는 분자의 모든 존재가능한 공간적 배열을 포함한다. 이들 배열에는 이소택틱 (isotactic), 신디오택틱 (syndio-tactic) 및 랜덤 (random) 대칭성이 포함되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term "polymer" generally includes homopolymers such as copolymers, such as blocks, grafts, random and alternating copolymers, terpolymers, and the like and combinations and variants thereof, but these It is not limited to. Also, unless specifically limited otherwise, the term "polymer" includes all possible spatial arrangements of the molecule. These arrangeme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sotactic, syndio-tactic, and random symmetr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배합물 (blend)"은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머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한편, 용어 "합금 (alloy)"은 성분들이 불혼화성이지만 상화되어 있는 배합물의 서브클래스 (sub-class)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blend" refers to a mixture of two or more polymers, while the term "alloy" refers to a sub-class of a formulation in which the components are immiscible but are incompatible. clas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초음파결합 (ultrasonic bonding)"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4,374,888호 (Bornslaeger)에 설명된 바와 같이, 직물을 음파호른 (sonic horn)과 앤빌롤 (anvil roll) 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되는 방법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ultrasonic bonding" refers to fabrics that have been used in sonic horns and anvil rolls, for example, as described in US Pat. No. 4,374,888 (Bornslaeger). It means the method performed by passing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점결합 (point bonding)"은 직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이 불연속적인 다수의 결합점에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열점결합 (thermal point bonding)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조각 패턴롤 (engraved pattern roll) 및 스무드 캘린더롤 (smooth calender roll)과 같은 가열된 롤 사이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을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조각롤 (engraved roll)은 어떻게 해서든지 전체 직물이 그의 전체표면에 걸쳐서 결합되지 않도록 하는 패턴을 가지며, 앤빌롤은 통상적으로 편평하다. 결과적으로, 조각롤에 대한 다양한 패턴이 기능적인 이유뿐 아니라 미적인 이유로 개발되었다. 열점결합의 한가지 예는 미국 특허 제 3,855,046호 (Hansen 등)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의장 특허 제 356,688호 (Uitenbroek 등) 및 미국 특허 제 5,620,779호 (Levy 등)에 기술된 패턴과 같은 다른 수많은 결합패턴이 공지되었다.As used herein, the term "point bonding" means that one or more layers of the fabric are bonded at a plurality of discrete points of bonding. For example, thermal point bonding is generally one or more that is intended to bond between heated rolls, such as, for example, an engraved pattern roll and a smooth calender roll. Passing through the layer. Engraved rolls have a pattern that prevents the entire fabric from joining over its entire surface in any way, and anvil rolls are typically flat. As a result, various patterns for engraving rolls were developed for aesthetic as well as functional reasons. One example of hot spot bonding is described in US Pat. No. 3,855,046 to Hansen et al. Numerous other bonding patterns are known, such as, for example, the patterns described in U. S. Patent No. 356,688 (Uitenbroek et al.) And U.S. Patent No. 5,620,779 (Levy et a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장벽 (barrier)"은 액체의 투과에 대해 비교적 불침투성이며 적어도 약 50 mbar의 하이드로헤드 (hydrohead)를 갖는 필름, 적층물 또는 다른 직물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하이드로헤드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밀리바아 (mbar)로 측정된 직물의 액체 장벽특성의 척도를 의미한다. 그러나, 장벽직물의 다수의 적용 분야에서 이들은 약 80 mbar 이상, 150 mbar 또는 200 mbar 까지의 하이드로헤드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barrier” means a film, laminate or other fabric having a relatively relatively impermeable to permeation of liquid and having a hydrohead of at least about 50 mbar. Hydrohead as used herein means a measure of the liquid barrier properties of a fabric measured in millibars (mbar) as described below.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n many applications of barrier fabrics it may be desirable for them to have hydrohead values of at least about 80 mbar, up to 150 mbar or 200 mbar.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통기성 (breathability)"은 1일 당, ㎡ 당, 물의 그람 수 (g/㎡/24시간)로 측정되는, 직물의 면적의 수증기 투과율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VTR)을 의미한다. WVTR은 이하에 지시하는 바와 같이 측정할 수 있으며, 결과는 그람/㎡/일로 기록된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통기가능한 (breathable)"은 적어도 800 g/㎡/24 시간의 WVTR을 갖는 직물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breathability” refers to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VTR) of the area of a fabric, measured in grams of water (g / m 2/24 hours) per m 2 per day. ). WVTR can be measured as indicated below and the results are reported in grams / m 2 / day. Also, as used herein, the term “breathable” means a fabric having a WVTR of at least 800 g / m 2/24 hour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탄성 (elastic)"은 일반적으로 바이어싱 힘 (biasing force)을 가하면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장하거나 연신할 수 있으 며, 바이어싱 힘을 제거한 직후에 실질적으로 그의 원래 크기로 복귀하는 물질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elastic" is generally capable of stretching or stretch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upon application of a biasing force and substantially its original size immediately after removal of the biasing force. Means the material to return 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스크림 (scrim)"은 배면재료 (backing material)로서 사용되는 경량의 직물을 의미한다. 스크림은 종종 피복되거나 적층된 물품을 위한 기본직물로서 사용된다.As used herein, the term "scrim" refers to a lightweight fabric used as a backing material. Scrims are often used as base fabric for coated or laminated article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의복 (garment)"은 착용할 수 있는 비-의료적이거나 비-산업적으로 적응된 모든 형태의 의복을 의미한다. 이것에는 커버롤스 (coveralls), 속옷, 바지, 셔츠, 재킷, 장갑, 양말 등이 포함된다.As used herein, the term "garment" means any form of garment that is non-medical or non-industrially adapted to wear. This includes coversalls, underwear, pants, shirts, jackets, gloves, socks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감염억제 물품 (infection control product)"은 수술가운 및 드레이프 (drapes), 불룩한 모자, 수술용 모자 및 후드와 같은 머리덮개 (head covering), 산업용 작업복, 신발덮개, 부츠커버 및 슬리퍼와 같이 신는 것, 창상 드레싱, 붕대, 멸균 랩, 실험실 코우트, 커버롤스, 앞치마 등과 같이 의료용으로 적응된 물품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infection control product” refers to surgical clothing and drapes, bulging caps, head coverings such as surgical caps and hoods, industrial workwear, shoe covers, By clothing, such as boots and slippers, wound dressings, bandages, sterile wraps, laboratory coats, cover rolls, aprons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방호복 (protective apparel)"은 커버롤스, 앞치마, 작업복, 커버롤스 등과 같은 산업적으로 관련된 제복 또는 의복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protective apparel" refers to industrially related uniforms or garments, such as cover rolls, aprons, work clothes, cover rolls,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개인용 보호물품 (personal care product)"은 기저귀, 용변연습용 속바지 (training pants), 흡수성 속바지, 성인 요실금용 물품, 여성용 위생물품 등과 같이 개인위생에 적응된 물품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personal care product" means an article adapted to personal hygiene, such as diapers, training pants, absorbent underpants, adult incontinence articles, feminine hygiene articles, and the like. d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방호커버 (protective cover)"는 자동 차, 배, 비행기 등과 같은 수송수단을 위한 커버, 종종 실외에 두는 제품 또는 장치 (예를 들어, 그릴 및 잔디용 가구), 마당 및 정원의 장치를 위한 커버, 마루덮개, 텐트 등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protective cover" refers to a cover for a vehicle, such as a car, a ship, an airplane, etc., often an outdoor product or device (eg, furniture for grills and lawns), Covers, floor coverings, tents, etc. for yard and garden devices.

발명의 설명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은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구획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획은 통기가능하다. 도 1 및 1A를 참고로 하여, 다구획화 필름 (10)은 제 1 구획 (12) 및 제 2 구획 (14)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적어도 제 1 구획 (12)는 통기가능하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통기가능한"은 약 800 g/㎡/24 시간의 최소 WVTR을 갖는 수증기에 대하여 침투성이 있는 재료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구획 (12)는 다구획화 필름 (10)의 면적의 적어도 약 5%를 구성하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다구획화 필름 (10)의 면적의 약 25% 내지 약 95%를 차지한다. 다구획화 필름 (10)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 밀리바아의 하이드로헤드 값을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 밀리바아 이상의 하이드로헤드 값을 갖는다. 또한, 더 두꺼운 다구획화 필름이 존재할 수도 있지만, 단일 다구획화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약 50 μ (미크론) 미만의 최대 필름두께를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μ 내지 약 35 μ의 최대 필름두께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구획 (12 및 14)는 예를 들어, 상이한 WVTR 및(또는) 탄성특성과 같은 다양한 특성을 갖는 별개의 필름을 포함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or more compartments, wherein at least one compartment is breathable. Referring to FIGS. 1 and 1A, the multicompartment film 10 is shown having a first compartment 12 and a second compartment 14, where at least the first compartment 12 is ventable. As used herein, the term “breathable” means a material that is permeable to water vapor with a minimum WVTR of about 800 g / m 2/24 hours. Preferably the first compartment 12 constitutes at least about 5% of the area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10, even more preferably from about 25% to about 95% of the area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10. . Multi-compartment film 10 preferably has a hydrohead value of at least about 50 millibars, and more preferably has a hydrohead value of at least about 75 millibars. In addition, although thicker multicompartment films may be present, a single multicompartment film preferably has a maximum film thickness of less than about 50 microns (microns), and more preferably a maximum film thickness of about 10 microns to about 35 microns. Have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12 and 14 may be selected to include separate films having various properties such as, for example, different WVTR and / or elastic properties.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과 같은, 다양한 수준의 통기성 및(또는) 탄성을 나타내는 별개의 필름 구획을 갖는 다구획화 필름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 다. 다구획화 필름은 각각의 인접한 구획들을 예를 들어, 그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 4,553,510호 (Nissel 등)에 기술된 필름 형성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공압출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병행하여 공압출된 필름을 형성시키기 위한 필름다이 (film dies)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Extrusion Dies, Inc., Chippewa Falls, WI). 각각의 필름구획의 목적하는 성분들은 별도로 혼합하여 가열한 다음, 단일 다구획화 필름의 각각의 병행한 구획들로 공압출시킬 수 있다. 필름은 예를 들어, 주조 또는 취입 필름설비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필름 형성방법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공압출된 다구획화 필름은 그후에 필요에 따라서 가공된다. 추가의 관점에서, 단일 필름의 각각의 필름구획들은 별도로 생산된 다음에, 계속해서 서로에 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구획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조하여 각각의 필름의 가장자리가 중첩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필름구획은 그후에 이들을 열, 초음파 또는 접착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중첩한 경계면을 따라 서로에 대해 결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중첩한 부분은 열과 압력의 조합을 이용하여 함께 영구적으로 용접한다.Multicompartmental films having separate film sections that exhibit varying levels of breathability and / or elasticity, as described herein, can be formed by a variety of methods. The multicompartment film can be formed by coextrusion of each adjacent compartments using, for example, the film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described in US Pat. No. 4,553,510 (Nissel et al.),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Can be. Film dies for forming co-extruded films in parallel can us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Extrusion Dies, Inc., Chippewa Falls, Wis.). The desired components of each film compartment can be mixed and heated separately and then coextruded into each parallel compartment of a single multicompartmentation film. The film can be produced by any of a variety of film forming methods known in the art, such as using cast or blown film equipment, for example. The coextruded multicompartment film is then processed as needed. In a further aspect, each of the film compartments of a single film can be produced separately and then continue to attach to each other. For example, a film comprising each compartment can be made and placed so that the edges of each film overlap. The film compartments can then be joined to each other along the overlapping interface by joining them by heat, ultrasound or adhesion. Preferably,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lm are permanently welded together using a combination of heat and pressure.

한가지 관점에서, 단일 다구획화 필름은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필름 게이지 또는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특히 바람직한 필름은 미공성의 신장된 충전-필름이며, 이러한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폴리머 및 충전재를 포함한다. 미공성의 신장된 충전-필름과 관련하여, 신장작업 (stretching)은 필름 두께를 감소시키는 이외에 또한 필름에 다공성을 부여하며, 필름이 통기가능하도록 하는 미공네트워크 (micropore network)를 형성한다. 신장작업은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게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은 MD 및 CD 중의 하나 또는 둘다로 신장되거나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방향 배향설비는 마샬 앤드 윌리암스 컴패니 (Marshall and Williams Company, Providence, Rhode Island)와 같은 판매자로부터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축배향설비는 브뤼크너 지엠비에치 (Bruckner GMBH, Siegsdorf, Germany)로부터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필름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4,153,751호 (Schwarz), 미국 특허 제 5,028,289호 (Rasmussen) 및 공동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 60/108,773호 (1998. 11. 17 출원, Jameson 등) (이들 문헌의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에 기술된 것과 같은 홈롤 (grooved roll) 또는 패턴롤을 이용하여 신장시킬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탄성구획을 사용하는 경우에, 탄성구획을 경화시키고 탄성구획의 퇴축력 (retractive force)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필름이 주름잡힐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신장된 다구획화 필름을 신장되거나 인장된 상태에 있는 동안에 어니일링시키거나 열경화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또한, 개별적으로 예형된 다음에 결합시킨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 필름은 각각의 구획을 영구적으로 함께 결합시켜 단일 다구획화 필름을 형성시키기 전 또는 후에 가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필름을 신장시켜 얇게 만드는 등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aspect, a single multicompartment film can be reduced in film gauge or thickness by stretch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As discussed in more detail below, particularly preferred films are microporous elongated fill-films, which include at least one thermoplastic polymer and filler. In the context of microporous stretched fill-films, stretching not only reduces film thickness but also imparts porosity to the film and forms a micropore network that allows the film to be breathable. Stretching can be accomplished by a variety of mean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film can be stretched or oriented with one or both of MD and CD. For example, the machine direction alignment equipment may be available from commercial vendors such as Marshall and Williams Company, Providence, Rhode Island, and the biaxial orientation equipment may be available from Bruckner GMBH, Commercially available from Siegsdorf, Germany). As a further example, the film is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 No. 4,153,751 (Schwarz), US Pat. No. 5,028,289 (Rasmussen) and commonly assigned US Patent Application No. 60 / 108,773 (filed Nov. 17, 1998, Jameson And the like) (grooved rolls or pattern rolls, such as those described in (the entire contents of these docum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 case of using one or more elastic compartments, the stretched multicompartment film may be stretched or stretched to cure the elastic compartments and to reduce the likelihood of the film wrinkling caused by the retractive force of the elastic compartments. It may be advantageous to anneal or thermally cure while in a closed state. In addition, when using films that are preformed separately and then joined, the films can be processed before or after each compartment is permanently joined together to form a single multi-partitioned film, for example by stretching the film. Thinning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광범한 종류의 폴리머들이 있다. 다구획화 필름은 필름형성에 적합한 어떠한 열가소성 폴리머로부터도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이하게 신장되어 필름 게이지 또는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독으로 또는 다른 폴리머와의 배합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필름형성 폴리머에는 단지 예로서, 폴리올레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EV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EEA), 에틸렌아크릴산 (EA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EMA), 에틸렌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EnBA),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나일론, 에틸렌비닐알콜 (EVOH), 폴리스티렌 (PS), 폴리우레탄 (PU), 폴리부틸렌 (PB),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에테르아미드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가 포함된다.There is a wide variety of polymers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compartment film may be made from any thermoplastic polymer suitable for film formation, and may preferably comprise a thermoplastic polymer that can be easily stretched to reduce the film gauge or thickness. Film forming polymers suitable for us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polymers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by way of example only, polyolefins, ethylenevinylacetate (EVA), ethyleneethylacrylate (EEA), ethyleneacrylic acid (EAA), ethylenemethylacrylic Elate (EMA), Ethylene Normal Butylacrylate (EnBA), Polyest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Nylon, Ethylene Vinyl Alcohol (EVOH), Polystyrene (PS), Polyurethane (PU), Polybutylene (PB) , Polyetheresters, polyetheramides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름구획을 형성시키는데 바람직한 폴리머에는 폴리올레핀이 포함되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범한 종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가 존재하며, 폴리올레핀 폴리머의 특정한 조성 및(또는) 그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고, 따라서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통상적인 폴리올레핀 및 비통상적인 폴리올레핀 둘다가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믿어진다. 여기에서 사용된 것으로, "통상적인" 폴리올레핀은 예를 들어, 지글러-나타 촉매와 같은 전통적인 촉매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의미한다. 적합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머는 광범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상품명 아피니티 (AFFINITY) 및 아스펀 (ASPUN)으로 다우 케미칼 컴패니 (Dow Chemical Co.)로부터 입수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폴리프로필렌은 상품명 에스코렌 (ESCORENE)으로 엑손 케미칼 컴패니 (Exxon Chemical Company)로 부터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메탈로센", "속박된 기하학" 또는 "단일-부위" 촉매에 의해 제조된 탄성 및 비탄성 폴리올레핀도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촉매 및 폴리머의 예는 미국 특허 제 5,472,775호 (Obijeski 등); 5,451,450호 (Erderly 등); 미국 특허 제 5,278,272호 (Lai 등); 미국 특허 제 5,272,236호 (Lai 등); 5,204,429호 (Kaminsky 등); 5,539,124호 (Etherton 등); 및 5,554,775호 (Krishnamurti 등) (이들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에 기술되어 있다. 전술한 오비제스키 (Obijeski) 및 라이 (Lai)의 특허는 전형적인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전형적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엘라스토머는 상품명 아피니티로 다우 케미칼 컴패니 (Dow Chemical Comapny, Midland, Michigan)로부터, 상품명 이그잭트 (EXACT)로 엑손 케미칼 컴패니 (Exxon Chemical Co., Houston, TX)로부터, 및 상품명 인게이지 (ENGAGE)로 듀퐁 다우 엘라스토머스 엘엘시 (Dupont Dow Elastomers, L.L.C.)로부터 시판품을 입수할 수 있다.Preferred polymers for forming one or more film compartme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lyolefins. There is a wide variety of polyolefin polymers, and it is believed that the specific composition and / or method of making the polyolefin polymer is not critical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both conventional and non-conventional polyolefins capable of forming films are seen. It is believed to be suitable for use in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conventional" polyolefin is meant to be prepared by traditional catalysts such as, for example, Ziegler-Natta catalysts. Suitable polyethylenes and polypropylene polymers are widely available, for exampl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s are available from Dow Chemical Co. under the trade names AFFINITY and Aspen, and are commonly used. Polypropylene is available from Exxon Chemical Company under the trade name ESCORENE. In addition, elastic and inelastic polyolefins prepared by "metallocene", "bound geometry" or "single-site" catalysts are also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such catalysts and polymers are described in US Pat. No. 5,472,775 to Obijeski et al .; 5,451,450 to Erderly et al .; US Patent No. 5,278,272 to Lai et al .; US Patent No. 5,272,236 to Lai et al .; 5,204,429 (Kaminsky et al.); 5,539,124 (Etherton et al.); And 5,554,775 to Krishnamurti et al.,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aforementioned Obijeski and Lai patents suggest typical polyolefin elastomers, and typical low density polyethylene elastomers are also available from Dow Chemical Comapny, Midland, Michigan Commercial items can be obtained from Exxon Chemical Co., Houston, TX as EXACT, and from Dupont Dow Elastomers, LLC under the trade name ENGAGE.

또한, 스테레오블럭 (stereoblock) 폴리머도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매우 적합한 것으로 믿어진다. 용어 "스테레오블럭 폴리머"는 목적하는 폴리머 결정도 (crystallinity)에 도달하도록 조절된 지역적 입체규칙성 (regional tacticity) 또는 입체서열화 (stereosequencing)을 갖는 폴리머 물질을 의미한다. 중합반응 중에 입체적 규칙성 (stereoregularity)을 조절함으로써 어택틱-이소택틱 스테레오블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스테레오블럭 폴리머의 형성방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논문에 기술되어 있다: G. Coates and R. Waymouth, "Oscillating Stereocontrol: A Strategy for the Synthesis of Thermoplastic Elastomeric Polypropylene" 267 Science 217-129 (January 1995); K. Wagener, "Oscillating Catalysts: A New Twist for Plastics: 267 Science 191 (January 1995). 스테레오블럭 폴리머 및 그의 제조방법은 또한 미국 특허 제 5,594,080호 (Waymouth 등), 미국 특허 제 5,208,304호 (Waymouth) 및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 0475306 A1호에도 기술되어 있다. 상기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올레핀의 결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독특한 인장율 및(또는) 연신특성을 나타내는 폴리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 코폴리머 및, 특히 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한가지 예로서, 전형적인 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는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가 주로 반결정성인 고프로필렌 모노머/저에틸렌 모노머 연속매트릭스 내에 분자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다단계 반응기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의 예는 미국 특허 제 5,300,365호 (Ogale); 미국 특허 제 5,212,246호 (Ogale) 및 미국 특허 제 5,331,047호 (Giacobbe)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폴리머는 상품명 카탈로이 (CATALLOY) 폴리머로서 하이몬트 인코포레이티드 (Himont, Inc.)로부터 시판품을 입수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stereoblock polymers are also well suited for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reoblock polymer” means a polymeric material having regional tacticity or stereosequencing that is adjusted to reach the desired polymer crystallinity. It is possible to achieve atactic-isotactic stereoblocks by controlling stereoregularity during polymerization. Methods of forming polyolefin stereoblock polymers are known in the art and described in the following papers: G. Coates and R. Waymouth, "Oscillating Stereocontrol: A Strategy for the Synthesis of Thermoplastic Elastomeric Polypropylene" 267 Science 217 -129 (January 1995); K. Wagener, "Oscillating Catalysts: A New Twist for Plastics: 267 Science 191 (January 1995). Stereoblock polymer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re also described in US Pat. No. 5,594,080 (Waymouth et al.), US Pat. No. 5,208,304 (Waymouth) and Europ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0475306 A1, as indicated above, by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of an olefin, a polymer exhibiting unique tensile and / or stretching properties can be provided. In particular, propylene-ethylene copolymers are also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a typical propylene-ethylene copolymer is a molecular in a high propylene monomer / low ethylene monomer continuous matrix in which the amorphous ethylene propylene random copolymer is predominantly semicrystalline. And a multistage reactor product dispersed in an example. No. 5,300,365 (Ogale); U.S. Patent No. 5,212,246 (Ogale) and U.S. Patent No. 5,331,047 (Giacobbe) These polymers are Himont, Inc. under the tradename CATALLOY polymer. You can obtain a commercial item from.).

그밖의 다른 전형적인 시판품 엘라스토머성 물질에는 다음과 같은 폴리머가 포함되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품명 에스테인 (ESTANE) (B.F. Goodrich & Co.) 또는 모르테인 (MORTHANE) (Morton Thiokol Corp.)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 예를 들어, 상품명 하이트렐 (HYTREL) (E.I. DuPont De Nemours & Company)로 이용할 수 있는 것 및 상품명 아르니텔 (ARNITEL) (DMS, Sittard, Holland; 이전에는 Akzo Plastics of Arnhem, Holland로부터 입수할 수 있었음)로 이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엘라스토머성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및 상품명 페박스 (PEBAX) (Elf Atochem, Philadelphia, PA)로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는 엘라스토머성 폴리에테르 아미드. 추가의 예로서, 적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또한 화학식 A-B-A' (여기에서 A 및 A'는 각각 폴리(비닐아렌)과 같이 스티렌성 부위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말단블럭이며, B는 공액디엔 또는 저급알켄 폴리머와 같은 엘라스토머성 폴리머 중간블럭이다)을 갖는 블럭 코폴리머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전형적인 블럭 코폴리머에는 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 엘라스토머성 블럭 코폴리머와 같이 실질적으로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모노머 유니트로 수소화된 이소프렌 모노머 유니트를 갖는 A-B-A-B 테트라블럭 폴리머가 포함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전형적인 엘라스토머는 상품명 크라톤 (KRATON) (Shell Chemical Company)으로 시판품을 입수할 수 있는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 블럭 코폴리머, 및 미국 특허 제 4,663,220호 (Wisneski 등) 및 미국 특허 제 5,332,613호 (Taylor 등) (이들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었다)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은 폴리올레핀/크라톤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Other typical commercially available elastomeric material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polymers, for example: trade names ESTANE (BF Goodrich & Co.) or MORTHANE (Morton Thiokol Corp. Elastomeric polyurethanes such as those available as.); For example, available under the tradename HYTREL (EI DuPont De Nemours & Company) and under the tradename ARNITEL (DMS, Sittard, Holland; previously available from Akzo Plastics of Arnhem, Holland) Elastomeric polyether esters such as those which can be used; And elastomeric polyether amides available commercially under the trade name PEBAX (Elf Atochem, Philadelphia, PA). As a further example, suitable thermoplastic elastomers are also thermoplastic polymer endblocks containing styrenic sites, such as the formula ABA ', where A and A' are each poly (vinylarene), and B is a conjugated diene or lower alkene polymer It is made from a block copolymer having the same elastomeric polymer intermediate block). Also typical block copolymers include ABABs having isoprene monomer units substantially hydrogenated to poly (ethylene-propylene) monomer units, such as styrene-poly (ethylene-propylene) -styrene-poly (ethylene-propylene) elastomeric block copolymers. Tetrablock polymers. As a specific example, typical elastomers are (polystyrene / poly (ethylene-butylene) / polystyrene) block copolymers available commercially under the trade name KRATON (Shell Chemical Company), and US Pat. No. 4,663,220 (Wisneski). And the like, and US Pat. No. 5,332,613 (Taylor et al.),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다구획화 필름의 제 1 구획은 통기가능한 필름을 포함한다. 미공성 및 모놀리식 (monolithic) (즉, 비다공성) 필름 둘다를 포함한 다양한 통기가능한 필름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제 1 구획 또는 구획들을 구성하는 통기가능한 필름은 탄성이거나 비탄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800 g/㎡/일의 WVTR,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00 g/㎡/일 이상의 WVTR,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500 g/㎡/일 이상의 WVTR,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0 g/㎡/일 또는 그 이상의 WVTR을 갖는다. 한가지 관점에서, 제 1 구획은 비탄성이거나, 제 2 구획 보다 탄성이 낮을 수 있으며, 제 2 구획에 비해서 더 높은 통기성 수준을 나타낸다. 모놀리식 또는 비미공성의 통기가능한 필름은 이들이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아미드, EMA, EEA, EVA 등과 같이 고유적으로 우수한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 폴리머 (즉, 필름을 통해서 수증기가 용이하게 확산되도록 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에, 우수한 통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구획화 필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획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통기가능한 미공성 필름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문헌에 기술된 것이 포함되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미국 특허 제 5,695,868호 (McCormack); 미국 특허출원 제 08/724,435호 (1998. 2. 10 출원, McCormack 등); 미국 특허 출원 제 08/722,726호 (1996. 10. 1 출원, McCormack 등); 미국 특허 출원 제 08/882,712호 (1997. 6. 25 출원, McCormack 등); 미국 특허 출원 제 08/883,164호 (1997. 6. 25 출원, McCormack 등); 미국 특허 출원 제 08/929,562호 (1997. 9. 15 출원, Haffner 등); 미국 특허 출원 제 08/843,147호 (1997. 4. 25 출원, Gwaltney 등); 및 미국 특허 출원 제 09/122,326호 (1998. 7. 24 출원, Shawver 등); 미국 특허 제 4,777,073호 (Sheth); 및 미국 특허 제 4,867,881호 (Kinzer) (상기 언급한 문헌들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었다).As mentioned above, the first compartment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comprises a breathable film. Various breathable films are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both microporous and monolithic (ie, nonporous) films. The breathable film constituting the first compartment or compartments may be elastic or inelastic, preferably at least about 800 g / m 2 / day of WVTR, more preferably about 1500 g / m 2 / day or more of WVTR, even more preferably Has a WVTR of about 3500 g / m 2 / day or more, even more preferably about 5000 g / m 2 / day or more. In one aspect, the first compartment may be inelastic, or less elastic than the second compartment, and exhibits a higher level of breathability than the second compartment. Monolithic or nonporous breathable films are polymers that have inherently good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s (ie, water vapor through the film), such as, for example, polyurethane, polyether esters, polyether amides, EMA, EEA, EVA Can be easily diffused, it can exhibit excellent breathability. Examples of breathable microporous films suitable for use in one or more compartments of a multicompartment film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the following literature: US Pat. No. 5,695,868 to McCormack;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724,435 filed Feb. 10, 1998, McCormack et al .;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722,726 (filed Oct. 1, 1996, McCormack et al.);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882,712 filed June 25, 1997, McCormack et al .;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883,164 filed June 25, 1997, McCormack et al .;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929,562, filed Sep. 15, 1997, Haffner et al .;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843,147 filed April 25, 1997, Gwaltney et al .; And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9 / 122,326 filed Jul. 24, 1998, Shawver et al .; US Patent No. 4,777,073 to Sheth; And US Pat. No. 4,867,881 (Kinzer) (the entire contents of the aforementioned docum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제 2 구획은 비통기성 또는 통기성 필름구획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통기가능한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구획은 탄성 또는 비탄성 필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구획은 탄성필름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탄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제 2 구획은 제 1 구획과 관련하여 상술한 것과 유사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구획의 조성 및(또는) 구조는 제 2 구획의 것과는 상이하며, 제 1 및 제 2 구획의 특정한 조성 및(또는) 구조는 단일 다구획화 필름의 목적하는 기능적 및(또는) 미적 특성을 얻도록 서로에 관하여 선택된다. 각각의 구획의 특정한 필름 조성 및(또는) 구조는 최종용도, 비용, 내구성, 강도, 저장 및 제품 수명 기대치 등과 같은 여러가지 고려사항에 따라 선택된다. 그의 다양한 예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second compartment may be a non-breathable or breathable film compartment and preferably comprises a breathable film. In addition, the second compartment may be an elastic or inelastic film. Preferably, the second compartment is an elastic film and comprises one or more elastic polymers. The second compartment may comprise a film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compartment. However, the composition and / or structure of the first compartm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compartment, and the specific composition and / or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is the desired functional and / or aesthetic properties of the single multicompartment film. Are chosen with respect to each other to obtain. The particular film composition and / or structure of each compartment is selected according to various considerations such as end use, cost, durability, strength, storage and product life expectancy. Various examples thereof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한가지 관점에서, 다구획화 필름은 다양한 지역적 통기성을 갖는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1A를 그대로 참고로 하여, 제 1 구획 (12)는 제 2 구획 (14)에 의해 필름의 길이를 따라서 분리되어 있는 통기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구획 (14)는 통기성이거나 비통기성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지역적 통기성을 갖는 단일필름을 얻기 위해서, 제 1 구획 (12)는 제 2 구획 (14)에 비해서 더 높은 WVTR 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인접한 구획의 WVTR은 선택된 필름 조성 및(또는) 그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상이한 수준의 통기성을 갖는 인접한 구획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및 제 2 구획 (12 및 14)는 각각의 구획을 위하여 상이한 필름 조성을 선택함으로써 상이한 WVTR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획 (12)는 제 2 구획 (14) 보다 더 높은 중량백분율의 충전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충전-필름의 신장작업은 제 1 통기성 구획 (12) 및 제 2 통기성 구획 (14)를 갖는 다구획화 필름 (10)을 생성시키며, 여기에서 제 1 구획 (12)의 WVTR은 제 2 구획 (14)의 WVTR 보다 더 높다. 추가로 및(또는) 대신에, 제 1 및 제 2 구획 (12 및 14)는 상이한 형태의 충전재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구획의 WVTR은 다구획화 필름의 목적하는 적용분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고 및 저 통기성 구획을 전략적으로 단일 다구획화 필름 내에 위치시켜 선택된 위치에서 목적하는 통기성 수준을 얻을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ulticompartment film may comprise films having various regional breathability. Fo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1A as it is, the first compartment 12 may comprise a breathable film separated along the length of the film by the second compartment 14. The second compartment 14 may comprise a film that is breathable or non-breathable. In order to obtain a single film with varying regional breathability, the first compartment 12 may be selected to have a higher WVTR compared to the second compartment 14. The WVTR of adjacent compartments may vary depending on the film composition and / or structure thereof selected, thereby obtaining films with adjacent compartments having different levels of breathability. In this regard,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12 and 14 can have different WVTRs by selecting different film compositions for each compartment. For example, the first compartment 12 may have a higher percentage by weight of filler than the second compartment 14. Thus, stretching of the fill-film produces a multicompartment film 10 having a first breathable compartment 12 and a second breathable compartment 14, where the WVTR of the first compartment 12 is the second compartment. It is higher than the WVTR of (14). Additionally and / or instead,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12 and 14 may contain different types of filler material. Thus, the WVTR of each compart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red application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High and low breathable compartments can be strategically located within a single multicompartment film to achieve the desired breathability level at selected locations.

추가의 관점에서, 각각의 구획은 불투명 필름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것은 오염된 흡수제 코어를 차폐시키기 위해서 기저귀와 같은 특정의 제품에서 미적으로 바람직할 수 있다. 균일하게 불투명한 다구획화 필름을 생성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획 내에 불투명화 충전재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충전재의 중량백분율 및(또는) 형태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불투명도를 가지면서 다른 통기성 수준을 선택적으로 얻기 위해서 각각의 구획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 1 구획 (12)는 CaCO3 충전재 입자를 갖는 고통기성의 미공성 LLDP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구획 (14)는 TiO2 충전재 입자를 갖는 덜 통기성이며 덜 다공성인 LLDPE를 포함할 수 있다.In a further aspect, it may be desirable for each compartment to comprise an opaque film. This may be aesthetically desirable in certain products, such as diapers, to mask contaminated absorbent cores. Opaque fillers may be included in one or more compartments as needed to produce a uniformly opaque multi-compartment film. However, the weight percentage and / or shape of the filler can be varied in each compartment to selectively obtain different breathability levels while having substantially uniform opacity.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compartment 12 may comprise a painless microporous LLDPE with CaCO 3 filler particles, and the second compartment 14 is a less breathable and less porous LLDPE with TiO 2 filler particles. It may include.

추가의 예로서, 제 1 및 제 2 구획 (12 및 14)는 상이한 WVTR 수준을 얻기 위해서 상이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구획은 상이한 폴리머 조성을 이용하여 미공성 또는 비미공성 필름 및(또는) 충전 또는 비충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한가지 관점에서, 제 1 구획 (12)는 충전 폴리머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구획 (14)는 제 1 구획 (12)를 구성하는 것과는 상이한 폴리머를 포함하는 충전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단일 다구획화 필름 (10)을 신장시키면 제 2 구획 (14)의 WVTR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통기성이 제 1 구획 (12)에 부여된다. 예를 들어, 제 1 구획 (12)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충전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구획 (14)는 엘라스토머성 폴리에틸렌 충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통기가능한 신장된-얇은 필름은 제 2 구획 (14) 보다 더 높은 WVTR을 갖는 제 1 구획 (12)를 갖게 된다. 충전재의 양 및(또는) 형태는 각각의 구획 내에서 목적하는 WVTR, 불투명도 및(또는) 탄성을 얻기 위해서 폴리머 조성물과의 배합물 내에서 마찬가지로 변화시킬 수 있다.As a furthe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12 and 14 can include different polymers to achieve different WVTR levels. In this regard, each compartment may comprise a microporous or nonporous film and / or a filled or unfilled film using different polymer compositions. In one aspect, the first compartment 12 may comprise a filled polymer film, and the second compartment 14 comprises a filled polymer film comprising a polymer different from what constitutes the first compartment 12, wherein Stretching a single multi-compartment film 10 at imparts a higher level of breathability to the first compartment 12 compared to the WVTR of the second compartment 14. For example, the first compartment 12 may comprise a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fill film, and the second compartment 14 may comprise an elastomeric polyethylene fill film. The resulting breathable stretched-thin film will have a first compartment 12 having a higher WVTR than the second compartment 14. The amount and / or form of the filler may likewise be varied in the blend with the polymer composition to achieve the desired WVTR, opacity and / or elasticity within each compartment.

추가의 관점에서, 개선된 신체 순응성을 갖는 단일필름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질 수 있다. 도 1 및 1A를 그대로 참고로하여, 다구획화 필름 (10)은 제 1 또는 제 2 구획 중의 하나가 탄성이고 다른 구획은 통기가능한 구획인 제 1 및 제 2 구획 (12 및 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획 (12)는 비탄성의 통기가능한 구획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에, 제 2 구획 (14)는 탄성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통기성 구획 (12)는 다구획화 필름 (10)의 면적의 적어도 약 25%를 차지하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다구획화 필름 (10)의 면적의 약 50% 내지 약 95%를 차지한다. 탄성 제 2 구획 (14)는 통기성이거나 비통기성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의 예로서, 제 1 구획 (12)는 미공성 LLDPE 충전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구획 (14)는 엘라스토머성 폴리에틸렌과 같은 엘라스토머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비다공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 2 구획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아미드 필름과 같은 탄성 통기성 비다공성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구획은 미공성 폴리올레핀 충전-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구획은 크라톤/폴리올레핀 폴리머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In a further aspect, a single film with improved body compliance can also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1A as it is, multi-compartment film 1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12 and 14, wherein one of the first or second compartments is elastic and the other compartment is a ventable compartment. have. For example, the first compartment 12 may comprise an inelastic, breathable compartment, while the second compartment 14 may comprise an elastic compartment. Preferably, the first breathable section 12 occupies at least about 25% of the area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10, and even more preferably, from about 50% to about 95% of the area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10. Occupy. The elastic second compartment 14 may comprise a breathable or non-breathable film.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compartment 12 may comprise a microporous LLDPE filled film, and the second compartment 14 may comprise a nonporous film comprising an elastomeric polyolefin, such as elastomeric polyethylene. Alternatively, the second compartment may comprise, for example, an elastic breathable nonporous film, such as a polyurethane, polyether ester or polyether amide film. In addition, the first compartment may comprise a microporous polyolefin fill-film and the second compartment may comprise a Kraton / Polyolefin polymer blend.

탄성 필름구획은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 미만의 이력현상 (hysteresis),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미만의 이력현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미만의 이력현상을 갖는다. 비탄성 구획은 약 60% 이상의 이력현상을 갖는 비-엘라스토머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관점에서, 탄성 필름구획은 25 이상의 퇴축/신장 퍼센트를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35 이상의 퇴축/신장 퍼센트,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의 퇴축/신장 퍼센트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비탄성 필름구획은 약 25 미만의 퇴축/신장비율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머의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관점에서, 탄성 구획은 바람직하게는 바이어싱 힘의 적용시에 그의 바이어스를 가하지 않은 이완된 길이의 적어도 약 160 퍼센트인 신장되거나 바이어스를 가한 길이 까지 연신할 수 있으며, 연신력을 제거하면 그의 연신의 적어도 55%가 즉시 회복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필름을 포함한다. 가설적인 예는 적어도 1.60 센티미터 까지 연신할 수 있으며 연신력을 제거하면 1.27 센티미터 이하의 길이로 회복하는 재료의 1 센티미터 샘플이다. 다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필름은 더 큰 신장 및 회복특성을 나타내며, 다수의 고탄성 재료는 바이어스를 가하지 않은 그의 이완된 길이의 160 퍼센트 까지 신장될 수 있으며 연신력을 제거하면 즉시 그의 연신의 약 75% 이상 까지 회복될 수 있다.The elastic film compartment may comprise an elastomer and preferably has less than 60% hysteresis, more preferably less than about 50% hysteresis, even more preferably less than about 40% hysteresis. The inelastic compartment may comprise a compartment comprising a non-elastomeric polymer having at least about 60% hysteresis. In a further aspect, the elastic film compartment may comprise a film of thermoplastic elastomer having a retraction / extension percentage of at least 25, preferably a retraction / extension percentage of at least about 35,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about 50 Has In this regard, the inelastic film compartment may comprise a film of thermoplastic polymer having a shrinkage / elongation ratio of less than about 25. In a further aspect, the elastic section may be stretched to an elongated or biased length, which is preferably at least about 160 percent of the relaxed length unbiased upon application of the biasing force, which, when removed, At least 55% of the stretch comprises a thermoplastic elastomer film that immediately recovers. A hypothetical example is a one-centimeter sample of material that can be stretched to at least 1.60 centimeters and that when removed, recovers to a length of less than 1.27 centimeters. Many thermoplastic elastomer films exhibit greater elongation and recovery properties, and many highly elastic materials can be stretched to 160 percent of their relaxed length without being biased and upon removal of the draw force up to about 75% of their stretch immediately. Can be recovered.

본 발명의 추가의 관점에서, 개개 필름구획은 그들 자체가 단층 또는 다층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로 하여, 제 1 구획 (12)는 다층필름을 포함며, 제 2 구획 (14)는 단층필름을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 (10)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구획 (1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층 (16)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심 또는 중간층 (18)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다층 필름구획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제 08/724,435호 (1998. 2. 10 출원, McCormack 등); 미국 특허 출원 제 08/929,562호 (1997. 9. 15 출원, Haffner 등); 및 미국 특허 출원 제 08/882,712호 (1997. 6. 25 출원, McCormack 등) (상술한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었다)에 기술된 것과 같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제 1 및 제 2 구획 (12 및 14)는 둘다 다층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로 하여, 제 1 구획 (12)는 외부층 (16) 및 코어층 (1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구획 (14)는 외부층 (17) 및 코어층 (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구획 (12 및 14)의 외부층 (16 및 17)은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상이한 조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구획 (12 및 14)의 외부층 (16 및 17)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폴리머 조성을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획이 탄성인 경우에, 탄성구획 상에 연장되어 있는 외부층은 신장가능한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전체적인 필름 두께의 작은 비율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그 자체가 비탄성인 층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이들이 탄성 코어층에 의해 제공된 신장 및 회복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탄성구획 상에 연장되어 있는 외부층은 우수한 신장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1 구획 (12)의 코어층 (18)은 비탄성의 통기가능한 미공성 LLDPE 충전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구획의 코어층 (19)는 탄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구획 (12 및 14)의 외부층 (16 및 17)은 LLDPE 및 EMA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In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dividual film compartments may themselves comprise a monolayer or multilayer film. With reference to FIG. 2, a multicompartment film 10 is shown, in which the first compartment 12 comprises a multilayer film and the second compartment 14 comprises a monolayer film. The first compartment 12 can include one or more outer layers 16 and one or more central or intermediate layers 18.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ultilayer film compartment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724,435 (filed Feb. 10, 1998, McCormack et al.);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929,562, filed Sep. 15, 1997, Haffner et al .; And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882,712 (filed June 25, 1997, McCormack et al.),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12 and 14 may both comprise multilayer films. With reference to FIG. 3, the first compartment 12 may comprise an outer layer 16 and a core layer 18, the second compartment 14 defining the outer layer 17 and the core layer 19. It may include. The outer layers 16 and 17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12 and 14 may comprise the same, similar or different compositions. However, preferably the outer layers 16 and 17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12 and 14 comprise the same or substantially similar polymer composition. In the case where one or more compartments are elastic, the outer layer extending on the elastic compartment preferably comprises an extensible layer. In this regard,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small proportion of the overall film thickness, the layers which are themselves inelastic can be used as they are, because they do not interfere with the elongation and recovery provided by the elastic core layer. However, preferably the outer layer extending on the elastic compartment exhibits good stretchability. For example, the core layer 18 of the first compartment 12 may comprise an inelastic, breathable microporous LLDPE fill film, the core layer 19 of the second compartment may comprise an elastic polyolefin, The outer layers 16 and 17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12 and 14 may comprise a combination of LLDPE and EMA.

본 발명의 추가의 관점에서, 다구획화 필름은 통기성 구획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별개의 탄성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한가지 구체예에서, 통기성 구획은 높은 수준의 통기성을 갖는 실질적으로 비탄성인 구획을 포함한다. 도 4 및 4A를 참고로 하여, 다구획화 필름 (20)은 제 1 구획 (22) 및 그들 사이에 배치된 별개의 제 2 구획 (24)을 포함할 수 있다. 별개의 탄성구획 (24)는 통기성이거나 비통기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통기성 구획 (22)는 다구획화 필름 (20)의 면적의 적어도 약 25%를 차지하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다구획화 필름 20의 면적의 약 50% 내지 약 95%를 차지한다. 또한, 별개의 탄성구획은 적어도 0.1 ㎝의 폭 (필름의 CD에서의 크기)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 ㎝ 또는 그 이상의 폭을 갖는다. 제 2 탄성구획을 분리시키는 통기가능한 구획의 폭은 다구획화 필름의 목적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더 큰 탄성구획 및(또는) 더 밀접하게 그룹화된 구획의 사용은 단일 다구획화 필름의 전체적인 신장 및 회복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제 1 통기성 구획 (22) 및 제 2 탄성구획 (24)는 단층 또는 다층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로 하여, 제 1 통기성 구획은 외부층 (26) 및 중심 코어층 (28)을 포함하는 다층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탄성구획 (24)는 단층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구체예에서, 제 1 통기성 구획 (22)는 미국 특허 출원 제 08/882,712호 (1997. 6. 25 출원, McCormack 등)에 기술된 것과 같은 비탄성 다층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탄성층 (24)는 탄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로 한 추가의 예로서, 제 1 통기성 구획 (22) 및 제 2 탄성구획 (24)는 둘다 다층필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제 1 구획은 외부층 (26) 및 중간층 (28)을 포함하며, 제 2 구획은 외부층 (27)과 중간층 (29)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통기성 구획 (22) 및 제 2 탄성구획 (24)의 외부층 (26 및 27)은 예를 들어, EMA, EEA, EVA 또는 그의 폴리올레핀 배합물과 같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폴리머 조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ulticompartment film may comprise one or more separate elastic compartments positioned between the breathable compartments. In one embodiment, the breathable compartment comprises a substantially inelastic compartment having a high level of breathability.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4A, the multicompartment film 20 can include a first compartment 22 and a separate second compartment 24 disposed therebetween. Separate elastic compartments 24 may be breathable or non-breathable. Preferably, the first breathable section 22 occupies at least about 25% of the area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20, and even more preferably comprises from about 50% to about 95% of the area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20. . In addition, the separate elastic sections have a width of at least 0.1 cm (size in the CD of the film), and preferably have a width of at least about 1 cm or more. The width of the breathable compartment separating the second elastic compart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red properties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The use of larger elastic compartments and / or more closely grouped compartments can improve the overall elongation and recovery properties of a single multicompartmented film. The first breathable compartment 22 and the second elastic compartment 24 may compris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film.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breathable compartment may comprise a multilayer film comprising an outer layer 26 and a central core layer 28, and the second elastic compartment 24 may comprise a single layer film. . In certain embodiments, the first breathable compartment 22 may comprise an inelastic multilayer film, such as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882,712, filed June 25, 1997, McCormack et al., Wherein the second elastic layer 24 may comprise elastic polyethylene. As a furthe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6, both the first breathable compartment 22 and the second elastic compartment 24 may comprise a multilayer film, wherein the first compartment comprises an outer layer 26 and an intermediate layer ( 28, the second compartment comprising an outer layer 27 and an intermediate layer 29. Preferably, the outer layers 26 and 27 of the first breathable compartment 22 and the second elastic compartment 24 will comprise similar or identical polymer compositions such as, for example, EMA, EEA, EVA or polyolefin blends thereof. Can be.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매우 다양한 폴리머가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인접한 구획의 폴리머는 이들이 연속적인 응집성 필름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응집력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상화성이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폴리머 배합물의 사용은 인접한 구획의 응집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그 자체로는 상화성이 없는 반면에,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배합물은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구획과 상화할 수 있다. 특정한 구체예에서, 제 1 구획은 LLDPE 및 폴리프로필렌 임팩트 코폴리머 (impact copolymer) (본 명세서에 그의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962,564호 (1997. 10. 31 출원, Kobylivker 등)에 기술된 바와 같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접한 제 2 구획은 탄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화성 (compatibilization)은 구획 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성 또는 점착성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얻어질 수 있다. 전형적인 결합성 또는 점착성 수지는 미국 특허 제 5,695,868호 (McCormack)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광범한 폴리머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화성 구획 또는 결속구획 (tie segment)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화성 구획을 사용함으로써 불혼화성 폴리머의 별개의 구획을 사용하는 연속적인 응집성 다구획화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로 하여, 다구획화 필름 (30)은 제 1 구획 (32) 및 제 2 구획 (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화성 구획 (36)이 제 1 및 제 2 구획 (32, 34) 사이에 배치된다. 특정한 예로서, 제 1 구획은 미공성 LLDPE 필름을 포함하는 통기성 비탄성 구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구획은 탄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 상화성 구획은 제 1 및 제 2 구획 사이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관점에서, 상화성 구획 그 자체는 이스트만 케미칼 컴패니 (Eastman Chemical Comapny, Longview, Texas)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무정형 폴리프로필렌 점착제인 이스트만 (EASTMAN) 1023PL 수지와 같은 결합성 또는 점착성 수지, 또는 헌츠만 코포레이션 (Huntsman Corporation, Salt Lake City, UT)로부터의 렉스택 (REXTAC) 및 휠스 에이지 (Huls AG, Marl, Germany)로부터의 베스토플라스트 (VESTOPLAST)와 같은 무정형 폴리알파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화성 층의 조성은 목적하는 필름 특성 및 인접한 구획을 구성하는 특정한 폴리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 wide variety of polymers are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Polymers of adjacent compartments should be compatible in that they exhibit sufficient cohesive force to form a continuous coherent film. In this regard, the use of polymer blends can improve the cohesion of adjacent compartments. For example,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by themselves are not compatible, whereas polyethylene / polypropylene blends can be compatible with polyethylene and / or polypropylene compartments. In certain embodiments, the first compartment comprises LLDPE and polypropylene impact copolymer (US Patent Application No. 08 / 962,564, filed Oct. 31, 1997, Kobylivker et al.,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 And the adjoining second compartment may comprise elastic polypropylene. Compatibilization can also be obtained by adding one or more binding or tacky resins in the compartment. Typical bond or sticky resins are described in US Pat. No. 5,695,868 (McCormack). In addition, compatible segments or tie segments may be used to utilize a wide range of polymers. Thus, by using compatible compartments, it is possible to obtain continuous coherent multicompartment films using separate compartments of immiscible polymers. With reference to FIG. 7, the multicompartment film 30 can include a first compartment 32 and a second compartment 34, wherein the compatible compartment 36 is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32. , 34).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compartment may comprise a breathable inelastic compartment comprising a microporous LLDPE film and the second compartment may comprise elastic polypropylene. The compatible compartmen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and may comprise, for example, an ethylene-propylene copolymer. In a further aspect, the compatible compartment itself is a binding or tacky resin, such as EASTMAN 1023PL resin, or Huntsman, an amorphous polypropylene adhesive available from Eastman Chemical Comapny, Longview, Texas. Amorphous polyalphaolefins such as REXTAC from Huntsman Corporation, Salt Lake City, UT and VESTOPLAST from Huls AG, Marl, Germany. The composition of the compatible layer can vary depending on the desired film properties and the particular polymer making up the adjacent compartment.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은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의 필름 및(또는) 직물에 적층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로 하여, 다구획화 필름 (10)은 부직웹 (11)에 결합된다. 다구획화 필름에 부착된 추가의 층의 특정한 조성은 예를 들어, 미감, 강도, 내구성, 촉감 등과 같은 목적하는 특성에 도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구획화 필름은 편직물, 부직물, 발포체, 스크림, 다층 부직적층물 등에 적층될 수 있다. 다구획화 필름 및 다른 직물(들)은 예를 들어, 열결합, 초음파 결합, 접착제 결합 등과 같이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게 공지되어 있는 수단에 의해 함께 적층될 수 있다. 열점결합이 각각의 층을 적층시키는 전형적인 수단이다. 다구획화 필름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획이 탄성구획을 포함하는 경우에, 거기에 적층된 어떠한 추가의 층도 바람직하게는 신장성 재료 또는 직물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의 층 또는 층들은 예를 들어, 신장성 부직물 (예를 들어, 크레이프 부직물 또는 고도로 주름잡힌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물), 메쉬 직물 (meshed fabrics), 엉성하게 직조된 직물, 탄성 복합재료 및(또는) 그밖의 유사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물은 탄성이며 고유적으로 신장성이 있거나 신장성 및(또는) 탄성이 되도록 처리되었으며, 또한 천과 같은 촉감 및 드레이프 (drape)를 갖는 열가소성 섬유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적합한 신장성 및(또는) 탄성 재료의 예는 미국 특허 제 4,965,122호 (Morman 등); 5,114,781호 (Morman 등); 5,336,545호 (Morman 등); 4,720,415호 (Vander Wielen 등); 4,789,699호 (Kieffer 등); 5,332,613호 (Taylor 등); 5,288,791호 (Collier 등); 미국 특허 제 4,663,220호 (Wisneski 등); 5,540,976호 (Shawver 등); 유럽 특허 출원 제 0,712,892 A1호 (Djiaw 등); 미국 특허 출원 제 08/603,961호 (Shawver 등); 미국 특허 출원 제 08/674,365호 (Levy 등); 및 미국 특허 출원 제 08/671,391호 (1999. 1. 11 출원, Griesbach 등) (상술한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것이다)에 기술되어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의 조성은 예를 들어, 탄성, 촉감, 인장강도, 가격 등과 같은 목적하는 물리적 특성을 갖는 물질을 얻기 위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부직층은 예를 들어, 엠보싱, 하이드로엔탱글링, 기계적 연화, 프린팅, 대전방지 처리에 의해서와 같이 처리되거나, 목적하는 미감 및(또는) 기능적 특징을 얻기 위한 몇가지 다른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multicompartmental film of the invention may optionally be laminated to one or more additional films and / or fabrics. Referring to FIG. 8, the multicompartment film 10 is bonded to the nonwoven web 11. Th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additional layer attached to the multicompartment film can be selected to reach the desired properties such as, for example, aesthetics, strength, durability, hand,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multicompartment film can be laminated to knitted fabrics, nonwovens, foams, scrims, multilayer nonwoven laminates, and the like. Multi-compartment films and other fabric (s) may be laminated together by mean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for example, thermal bonding, ultrasonic bonding, adhesive bonding, and the like. Hot spot bonding is a typical means of laminating each layer. If one or more compartments in the multicompartment film comprise elastic compartments, any further layers laminated therein preferably comprise an extensible material or fabric. In this regard, the additional layer or layers can be, for example, stretchable nonwoven fabrics (eg, nonwoven fabrics including crepe nonwoven fabrics or highly corrugated fibers), meshed fabrics, woven fabrics , Elastic composites and / or other similar materials. Preferably, the fabric is elastic and inherently extensible or treated to be extensible and / or elastic, and also comprises one or more layers of thermoplastic fibers having a fabric-like feel and drape. . Examples of suitable stretchable and / or elastic materials are described in US Pat. No. 4,965,122 to Morman et al .; 5,114,781 to Morman et al .; 5,336,545 to Morman et al .; 4,720,415 (Vander Wielen et al.); 4,789,699 (Kieffer et al.); 5,332,613 (Taylor et al.); 5,288,791 to Collier et al .; US Patent 4,663,220 to Wisneski et al .; 5,540,976 to Shawver et al .;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 0,712,892 A1 (Djiaw et al.); US Patent Application No. 08 / 603,961 to Shawver et al .;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674,365 to Levy et al .; And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671,391 (filed Jan. 11, 1999, Griesbach et al.),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composition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need to obtain a material having th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for example, elasticity, tactile feel, tensile strength, pr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outer nonwoven layer may be treated, for example, by embossing, hydroentangling, mechanical softening, printing, antistatic treatment, or in several other ways to obtain the desired aesthetic and / or functional characteristics. Can be.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 및 그의 적층물은 예를 들어, 개인 위생용 제품, 감염억제 물품, 방호복, 방호커버, 의복 등과 같은 광범한 적용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이 통기성 장벽직물을 사용하는 수많은 다른 적용분야에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게는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특정한 예로서,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은 용이하게 전환되어 기저귀 또는 요실금용 의복의 통기성 장벽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미공성 필름 및(또는) 그의 적층물에 의해 제공된 통기성이 대부분의 제품에서 유익하지만, 높은 통기성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 몇가지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기저귀 또는 요실금용 의복과 같은 개인 위생용 제품에서 통기성 장벽 및 흡수제 코어는 일반적으로 의복 내로 배출된 체액을 보유하기 위해 함께 작용한다. 그러나, 유체가 흡수제 코어 내에 보유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의 수증기는 통기성 장벽을 통해서 통과하기 시작한다. 외부커버를 통과하는 증가된 수준의 수증기는 의복의 외부부분 상에 응축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응축물은 단순히 물이지만, 누출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응축물은 의복의 외부부분에 대해 축축하며 불편한 느낌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제품을 취급하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준다. 이러한 부분에 낮은 WVTR을 갖는 통기성 장벽을 제공하는 한편, 나머지 부분에 우수한 통기성을 제공하면 외부커버에 습기가 생길 가능성을 억제하여 착용자의 탁월한 안락감을 갖는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비교적 높은 통기성 및 낮은 통기성을 갖는 구획들을 흡수제 제품 내에 전략적으로 배치시켜 외부커버의 습기를 감소시키고(거나) 제거하는 것을 돕도록 할 수 있다. 추가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CD 방향으로의 신장 및 회복을 갖는 필름을 제공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이것을 통합시켜 탁월한 신체 순응특성을 갖는 필름 및(또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탁월한 신체 순응성은 통기성의 상당한 손실 또는 장벽특성의 손실없이 얻어질 수 있다.The multi-compartment fil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laminates thereof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for example, personal care products, infection suppressing articles, protective clothing, protective covers, garments and the like.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vantageously used in numerous other applications using breathable barrier fabrics. As a specific example,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dily converted and incorporated into the breathable barrier of diapers or incontinence garments. While the breathability provided by the microporous film and / or laminate thereof is beneficial in most products, there are some cases where high breathability may not be desirable. For example, in personal care products such as diapers or incontinence garments, the breathable barrier and absorbent core generally work together to retain the body fluids that have been drained into the garment. However, if the fluid is retained in the absorbent core, considerably high levels of water vapor begin to pass through the breathable barrier. Increased levels of water vapor passing through the outer cover can form condensate on the outer portion of the garment. Condensate is simply water, but can be perceived as a leak. In addition, condensation can cause a damp and uncomfortable feeling on the outer part of the garment, which is offensive to the person handling the product. Providing a breathable barrier with a low WVTR to this portion, while providing excellent breathability to the rest, suppresses the possibility of moisture in the outer cover to provide a garment having excellent comfort for the wearer. In this regard,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relatively high and low breathable compartments may be strategically placed in the absorbent product to help reduce and / or remove moisture in the outer cover. In a fur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having elongation and recovery in the CD direction, whereby it can be incorporated to provide a film and / or product with excellent body compliance. Moreover, excellent body compliance can be obtained without significant loss of breathability or loss of barrier properties.

개인 위생용 제품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에게 면하게 되는 액체투과성 상부시트, 및 액체-불투과성 하부시트 또는 외부커버를 포함한다. 상부시트와 외부커버 사이에는 흡수제 코어가 배치된다. 상부시트와 외부커버는 종종 밀봉되어 흡수제 코어를 감싼다. 본 발명의 다구획화 필름 및 필름 적층물은 특히 개인 위생용 제품의 외부코어로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전형적인 개인 위생용 제품은 단지 예로서 다음과 같은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415,644호 (Enloe 등); 미국 특허 제 4,798,603호 (Meyer 등); 미국 특허 제 5,810,797호 (Menard 등); 미국 특허 제 4,641,381호 (Herren 등); 미국 특허 제 4,701,175호 (Boland 등); 및 미국 특허 제 4,938,797호 (Van Gompel 등) (상술한 문헌들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었다). 또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대하여 이루졌지만,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개념이 다른 형태의 흡수제 제품과 관련하여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가지 특정의 배열과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이하에 언급된 특정의 배열의 추가의 조합 또는 변형이 본 발명의 의의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음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Personal care products generally include a liquid permeable topsheet that faces the wearer, and a liquid-impermeable bottom sheet or outer cover. An absorbent core is disposed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outer cover. The topsheet and outer cover are often sealed to enclose the absorbent core. The multi-compartment films and film lamin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articularly well suited for use as the outer core of personal care products. Typical personal care products ar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in the following documents: US Pat. No. 5,415,644 (Enloe et al.); U.S. Patent 4,798,603 to Meyer et al .; U.S. Patent 5,810,797 (Menard et al.); US Patent 4,641,381 to Herren et al .; U.S. Patent 4,701,175 to Boland et al .; And US Patent 4,938,797 (Van Gompel et al.) (The entire contents of the foregoing docum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addition, alth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as been made for disposable diaper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suitable for use in connection with other types of absorbent products. In addition,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specific arrangements, further combinations or modifications of the specific arrangements mentioned below may be made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can also be understood.

도 9를 참고로 하여, 제 1 구획 (44) 및 제 2 구획 (42)을 포함하는 연속적 다구획화 필름 (40)을 포함하는 기저귀 또는 요실금용 의복을 위한 액체 불투과성 배플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구획 (44)는 통기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구획 (42)는 제 1 구획 (44)에 비해 감소되거나 더 낮은 WVTR을 갖는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구체예에서, 제 1 구획 (44)는 미공성 LLDPE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구획 (42)는 불투명하며 비통기성이거나 통기성이 작은 탄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구획 (42)는 탄성이거나 비탄성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제 1 구획 (44)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판과 같은 통기가능한 탄성 모놀리식 (monolithic)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놀리식 필름은 폴리머가 수증기가 필름을 통해서 용이하게 확산되도록 하는 경우에 우수한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제품의 중심부분을 따라 위치하는 저 WVTR 구획을 이용함으로써, 제품이 외부커버 습기를 발생하는 경향이 감소된다. 추가로 및(또는) 그 대신에, 중심 탄성구획을 이용하여 개선된 신체 순응성을 갖는 제품을 제공한다.With reference to FIG. 9, a liquid impermeable baffle for a diaper or incontinence garment comprising a continuous multicompartment film 40 comprising a first compartment 44 and a second compartment 42 is shown. The first compartment 44 may comprise a breathable film, and the second compartment 42 may comprise a film having a reduced or lower WVTR compared to the first compartment 44. In certain embodiments, the first compartment 44 may comprise a microporous LLDPE film, and the second compartment 42 may comprise an opaque, non-breathable or low breathable elastic polyolefin film. The second compartment 42 may be elastic or inelastic.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compartment 44 may also comprise a breathable elastic monolithic film, such as polyether ester or polyurepan. As mentioned above, such monolithic films can have good breathability when the polymer allows water vapor to diffuse easily through the film. By using a low WVTR compartment located along the center of the product, the tendency of the product to generate outer cover moisture is reduced. Additionally and / or instead, central elastic compartments are used to provide products with improved body compliance.

도 10을 참고로 한 추가의 예로서, 제 1 구획 (52) 및 제 2 구획 (54)을 포함하는 연속적 다구획화 필름 (50)을 포함하는, 기저귀 또는 요실금용 의복을 위한 액체 불투과성 배플이 도시되어 있다. 배플은 다구획화 필름 (50)으로부터 변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기저귀의 "귀 (ear)"는 제 2 부분 (54)에 상응하며, 제품의 중심부분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구획 (52)에 상응한다. 제 1 구획 (52)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탄성이거나 비탄성일 수 있는 모놀리식 또는 다구획화 미공성 필름과 같은 통기성 필름을 포함한다. 제 2 구획 (54)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탄성 폴리우레탄 또는 크라톤/폴리올레핀 배합물과 같이 탁월한 신장 및 회복특성을 갖는 탄성구획을 포함한다. 도 11을 참고로 하는 추가의 예에서, 다구획화 필름 (60)은 구획들이 도 10에서와 같은 제품의 길이에 대립하는 것으로서의 제품의 폭을 가로지르도록 변환될 수 있다. 다구획화 필름 (60)은 제 1 부분 (62) 및 제 2 부분 (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 (62)는 바람직하게는 통기성 필름을 포함하며, 제 2 부분 (64)는 탄성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구획 (64)는 통기성이거나 비통기성인 필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라면 제품의 귀 및(또는) 상부부분의 WVTR이 이들 부분에 구멍을 만들어 주는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a furthe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10, a liquid impermeable baffle for a diaper or incontinence garment comprising a continuous multicompartment film 50 comprising a first compartment 52 and a second compartment 54 is provided. Is shown. The baffle may be converted from the multicompartment film 50, where the “ear” of the diaper corresponds to the second portion 54,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duct being one or more first compartments 52. Corresponds to The first compartment 52 preferably comprises a breathable film, such as a monolithic or multicompartmented microporous film, which may be elastic or inelastic, for example. Second compartment 54 preferably comprises an elastic compartment having excellent elongation and recovery properties, such as, for example, an elastic polyurethane or a Kraton / Polyolefin blend. In a furthe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11, the multicompartment film 60 may be converted such that the sections cross the width of the product as opposed to the length of the product as in FIG. 10. Multi-compartment film 60 may include first portion 62 and second portion 64. The first portion 62 preferably comprises a breathable film and the second portion 64 may comprise an elastic film. The second compartment 64 can be a breathable or non-breathable film.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WVTR of the ear and / or upper portion of the product may be increased by methods such as making holes in these portions.

도 12를 참고로 하는 추가의 예로서, 제 1 구획 (72), 제 2 구획 (74) 및 제 3 구획 (76)을 포함하는 연속적 다구획화 필름 (70)을 포함하는, 기저귀 또는 요실금용 의복을 위한 액체 불투과성 배플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구획 (72)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이거나 비탄성일 수 있는 통기성 필름을 포함한다. 한가지 구체예에서, 제 3 구획 (76)은 통기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구획 (72)의 필름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 3 구획은 탄성 통기성 필름을 포함한다. 제 2 구획 (74)는 탄성 필름 및(또는) 상화성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예로서, 제 1 부분 (72)는 충전된 미공성 LLDPE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부분 (74)는 상화성 폴리프로필렌 임팩트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고, 제 3 구획 (76)은 탄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흡수제 코어에 인접한 제품의 귀 또는 상부부분은 이들 영역에서의 WVTR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멍을 뚫을 수 있다. 도 13을 참고로 하는 또 하나의 추가의 예로서, 다구획화 필름 (80)은 제 1 필름구획 (82), 제 2 필름구획 (84) 및 제 3 필름구획 (8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필름구획 (82)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통기성 필름을 포함한다. 한가지 구체예에서, 제 2 필름구획 (84)는 상화성 구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3 부분은 탄성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제 2 필름구획 (84)는 탄성구획을 포함할 수 있고, 제 3 구획 (86)은 임의로 제 1 구획 (82)와 유사한 조성을 포함할 수 있는 통기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 1 구획 (82)는 LLDPE 미공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구획은 탄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3 구획은 마찬가지로 LLDPE 미공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As a fur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12, a diaper or incontinence garment comprising a continuous multi-partition film 70 comprising a first compartment 72, a second compartment 74, and a third compartment 76. A liquid impermeable baffle for this is shown. The first compartment 72 preferably comprises a breathable film that can be elastic or inelastic. In one embodiment, the third compartment 76 may comprise a breathable film an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film of the first compartment 72; Preferably the third compartment comprises an elastic breathable film. The second compartment 74 may comprise an elastic film and / or a compatible compartment.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portion 72 may comprise a filled microporous LLDPE film, the second portion 74 may comprise a compatible polypropylene impact copolymer, and the third compartment 76 may be Elastic polypropylene. As mentioned above, the ear or upper portion of the product adjacent to the absorbent core may be drilled to increase the WVTR in these areas. As another furthe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13, multi-compartment film 80 may include a first film compartment 82, a second film compartment 84, and a third film compartment 86. The first film compartment 82 preferably comprises a breathable film as mentioned above.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film compartment 84 may comprise a compatible compartment, and the third portion may comprise an elastic compartment. In further embodiments, the second film compartment 84 may comprise an elastic compartment and the third compartment 86 may optionally comprise a breathable film that may comprise a composition similar to the first compartment 82. .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compartment 82 may comprise an LLDPE microporous film, the second compartment may comprise an elastic polyethylene, and the third compartment may likewise comprise an LLDPE microporous film.

도 14를 참고로 하는 추가의 예로서, 다구획화 필름 (90)은 다수의 제 2 구획 (94)를 분리시키는 다수의 제 1 구획 (9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구획들은 필름 및(또는) 제품의 전체 폭에 비해서 좁은 구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제품의 전체 폭에 걸쳐서 교대로 존재한다. 특정한 구체예에서, 제 1 구획 (92)는 CaCO3 충전재를 갖는 불투명한 통기성 미공성 LLDPE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구획 (94)는 TiO2 충전재를 갖는 불투명한 비통기성 LLDPE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제 1 구획 (92)가 통기성 미공성 LLDPE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구획은 통기성의 충전된 미공성 탄성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As a furthe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14, multi-compartment film 9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compartments 92 that separate a plurality of second compartments 94. The plurality of compartments may comprise narrow compartments relative to the overall width of the film and / or article, which alternately exist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article. In certain embodiments, the first compartment 92 may comprise an opaque, breathable microporous LLDPE film having CaCO 3 fillers, and the second compartment 94 comprises an opaque non-breathable LLDPE film having TiO 2 fillers. can do.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compartment 92 may comprise a breathable microporous LLDPE and the second compartment may comprise a breathable filled microporous elastic polyethylene film.

도 15를 참고로 하는 추가의 예로서, 제 1 구획 (102) 및 제 2 구획 (104)을 포함하는 연속적 다구획화 필름 (100)을 포함하는, 기저귀 또는 요실금용 의복을 위한 액체 불투과성 배플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구획 (102)는 예를 들어, 충전된 미공성 필름과 같은 불투명한 통기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구획 (104)는 반투명하고(거나) 실질적으로 투명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의 중심부분 아래의 위치와 같이 흡수제 코어에 인접한 위치에 제 2 구획 (104)를 배치시키는 것은 부모나 간호인 (care giver)이 기저귀를 떼지 않고 기저귀가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측정한 예로서, 반투명 구획 (104)는 비충전된 폴리올레핀 필름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특정한 배열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포함하여 다양한 다른 다구획화 필름 구체예와 관련하여 마찬가지로 이용될 수 있다.As a furthe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15, a liquid impermeable baffle for a diaper or incontinence garment comprising a continuous multi-partitioning film 100 comprising a first compartment 102 and a second compartment 104 is provided. Is shown. The first compartment 102 may comprise an opaque breathable film, such as, for example, a filled microporous film. The second compartment 104 may comprise a translucent and / or substantially transparent film. Placing the second compartment 104 at a location proximate the absorbent core, such as a location below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duct, allows a parent or care giver to determine whether the diaper is contaminated without removing it. As an example of measurement, the translucent compartment 104 may comprise an unfilled polyolefin film compartment. This particular arrangement may likewise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variety of other multi-compartment film embodimen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herein.

다구획화 필름 및(또는) 그의 적층물은 마찬가지로 수술가운, 방호작업복 등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의료용 의복은 종종 예를 들어, 혈액 (ASTM 시험 F 1670-97) 및(또는) 혈액-함유 병원체 (ASTM 시험 F 1671-97a)를 방지하는 것과 같이 착용자에게 높은 정도의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속적 필름을 포함함으로써, 목적하는 장벽특성에 손실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우수한 신장 및 신체 순응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6 및 17을 참고로 하여, 수술가운 또는 작업복은 탁월한 WVTR을 갖는 통기성 제 1 구획 (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착용시에 안락한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구획 (114)는 탄성구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의 개선된 신장 및 신체 순응성의 특성을 갖는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구획 (114)는 탄성 통기성 필름을 포함한다. 추가로, 탄성 제 2 구획 (114)는 의복 내에서 예를 들어, 관절 주위 또는 인접한 위치와 같은 위치에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전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Multicompartment films and / or laminates thereof may likewise be converted into surgical gowns, protective workwear and the like. In this regard, medical garments often provide a high degree of protection to the wearer, for example, to prevent blood (ASTM test F 1670-97) and / or blood-containing pathogens (ASTM test F 1671-97a). It is necessary to do By including a continuous film, good stretch and body compliance can be obtained without causing loss of desired barrier properties. Referring to FIGS. 16 and 17, the surgical gown or workwear may include a breathable first compartment 112 having excellent WVTR and may provide a comfortable garment when worn. The second compartment 114 can include elastic compartments and can provide garments with additional improved stretch and body compliance properties. Preferably, the second compartment 114 comprises an elastic breathable film. In addition, the elastic second compartment 114 may be strategically positioned as desired within the garment, for example, at a location such as around or adjacent to the joint.

다양한 특허 및 그밖의 다른 문헌 자료들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었지만, 기술된 명세서는 포함된 자료와 기술된 명세서 내용 사이의 모순이 있는 한도까지 대조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의 특정한 구체예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의의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개조, 변형 및 그밖의 다른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게 명백할 것이다.While various patents and other literature material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written description is to the contrary, to the extent that there is a contradiction between the included material and the contents of the described specification. In addition,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other changes may be made to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e expert who has become.

시험exam

기본중량 (basis weight) : 다양한 재료들의 기본중량은 미국 연방 시험방법 (Federal Test Method) 제 191A/5041호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Basis weight: The basis weight of various materials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Federal Test Method No. 191A / 5041.

하이드로헤드 (hydrohead) : 하이드로헤드 값은 직물의 액체 장벽특성의 척도이며, 하이드로헤드 시험은 액체가 직물을 통과하기 전에 직물이 지탱하는 물의 높이 또는 수압의 양을 (밀리바아로) 측정한다. 더 높은 하이드로헤드 측정치는 이 직물이 낮은 하이드로헤드 값을 갖는 직물에 비해 액체 침투에 대해 더 큰 장벽인 것을 시사한다. 하이드로헤드는 미국 연방 시험표준 191A, 방법 5514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하이드로헤드 데이타는 또한, 이하에 지적한 바와 같이 변형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미국 연방 시험표준과 유사한 시험방법을 사용하여 얻을 수도 있다. 하이드로헤드는 또한, 마리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Mari Enterprises, Inc., Concord, NC)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정수두 시험기 (hydrostatic head tester)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검체를 표준화된 수압에 적용시킨 다음, 세개의 별개의 영역에서 직물의 표면상에 누출의 첫번째 징후가 나타날 때 까지 일정한 비율로 수압을 증가시킨다. (클램프에 인접한 가장자리에서의 누출은 무시한다.) 박막과 같은 얇은 필름 및(또는) 재료는 검체의 너무 빠 른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된다.Hydrohead: The hydrohead value is a measure of the liquid barrier properties of the fabric, and the hydrohead test measures (in millibars) the height of the water or the amount of water pressure the fabric holds before the liquid passes through the fabric. Higher hydrohead measurements suggest that this fabric is a greater barrier to liquid penetration compared to fabrics with low hydrohead values. Hydrohead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US Federal Test Standard 191A, Method 5514. Hydrohead data can also be obtained using test methods similar to the US Federal Test Standards described above, with the exception of modifications as indicated below. Hydroheads can also be measured using a hydrostatic head tester, available from Mari Enterprises, Inc., Concord, NC. The sample is subjected to standardized water pressure and then the water pressure is increased at a constant rate until the first signs of leakage appear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in three separate areas. (Leaks at the edges adjacent to the clamp are ignored.) Thin films and / or materials, such as thin films, are supported to prevent the specimen from breaking too quickly.

WVTR : 샘플재료에 대한 수증기투과율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VTR)은 ASTM 표준 E96-80에 따라 계산하였다. 시험재료 및 셀가드 (CELGARD) 2500 필름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Sommerville, New Jersey)인 대조재료 각각으로부터 직경 3 인치의 원형샘플을 절단하였다. 셀가드 2500 필름은 미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다. 각각의 재료에 대해 3개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시험컵은 트윙-앨버트 인스트루먼트 컴패니 (Thwing-Albert Instrument Company, Philadelphia, Pennsylvania)에 의해 배포된 68-1호 바로메터컵 (Varometer cup)이다. 물 100 밀리리터를 각각의 바로메터컵에 붓고 시험재료 및 대조재료의 각각의 샘플을 각각의 팬의 개방상부에 가로질러서 놓았다. 관련된 시험재료 또는 대조재료는 약 33.17 ㎠의 노출면적을 갖는 6.8 ㎝ 직경의 원에 걸쳐서 주위대기에 노출되도록 남겨두고 바로메터컵을 컵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기계적으로 밀봉시켰다. 컵을 37.7℃(100℉)의 대류형 오븐 (convection type oven) 내에 24시간 동안 놓아두었다. 오븐은 내부에 수증기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븐을 통해 외부공기를 순환시키는 항온오븐이다. 24시간 후에 팬을 오븐으로부터 꺼내어 다시 평량하였다. 예비시험 수증기 투과율 값은 이하의 수학식 I에 의해 계산하였다:WVT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VTR) for the sample material was calculated according to ASTM standard E96-80. A round sample of 3 inches in diameter was cut from each of the test material and a control material that was a CELGARD 2500 film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Sommerville, New Jersey). Celgard 2500 film is a microporous polypropylene film. Three samples were prepared for each material. The test cup is the 68-1 Varometer cup distributed by the Twin-Albert Instrument Company, Philadelphia, Pennsylvania. 100 milliliters of water was poured into each barometer cup and each sample of test material and control material was placed across the top of each pan. The related test or control material was mechanically sealed along the edge of the cup while leaving it exposed to ambient air over a 6.8 cm diameter circle with an exposed area of about 33.17 cm 2. The cup was placed in a convection type oven at 37.7 ° C. (100 ° F.) for 24 hours. The oven is a constant temperature oven that circulates external air through the oven to prevent water vapor from accumulating inside. After 24 hours the pan was removed from the oven and weighed again. The preliminary test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valu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I):

시험 WVTR = (24시간에 걸친 중량손실 g)×315.5 g/㎡/24시간Test WVTR = (weight loss g over 24 hours) x 315.5 g / m 2/24 hours

오븐 내의 상대습도는 구체적으로 조절되지 않았다. 37.7℃(100℉)의 예정된 설정조건 및 주위상대습도 하에서, 셀가드 2500 대조재료의 WVTR은 24시간 동안 500 g/ ㎡인 것으로 정의되었다. 따라서, 대조샘플을 각각의 시험에서 함께 사용하여 예비시험 값을 이하의 수학식 II를 사용하여 설정조건에 대해 보정하였다:The relative humidity in the oven was not specifically controlled. Under predetermined set conditions of 37.7 ° C. (100 ° F.) and ambient relative humidity, the WVTR of the Celgard 2500 control material was defined to be 500 g / m 2 for 24 hours. Therefore, the control samples were used together in each test to calibrate the preliminary test values for the set conditions using Equation II below:

표준화된 WVTR = (시험 WVTR/대조 WVTR)×(500 g/㎡/24시간)Standardized WVTR = (Test WVTR / Control WVTR) x (500 g / m 2/24 hours)

예를 들어, 모던 컨트롤스 인코포레이티드 (Modern Controls, Inc. (MOCON), Minneapolis, MN)로부터 시판품을 입수할 수 있는 퍼마트란 (PERMATRAN)-W 100K 수증기 침투분석시스템과 같은 다른 시험시스템을 사용하여 약 3000 g/㎡/일 이상의 WVTR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For example, other test systems such as the PERMATRAN-W 100K Vapor Penetration Assay System, available commercially from Modern Controls, Inc. (MOCON), Minneapolis, Minn. It may be desirable to measure a WVTR of at least about 3000 g / m 2 / day.

탄성 (elasticity) : 개개 필름구획의 이력현상 및 퇴축/신장 퍼센트는 1 ㎝ (폭) 검체를 사용하여 1 ㎜의 갭길이 (즉, 시험장치 조우 (jaw) 사이의 간격), 7.0 ㎜/분의 크로스-헤드 (cross-head) 스피드 및 50 lb의 로드셀 (lead cell) 값을 갖는 신테크 시너지 (SynTech Synergie) 200 (TestWorks 3.1 software)와 같은 표준시험장치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샘플은 단지 해당하는 필름구획이 조우 사이에 위치하도록 시험장치 조우 사이에 놓았다. 검체를 바이어스를 가하지 않은 원래의 갭길이의 100%를 연신시키고 (2 ㎜ 까지), 그후에 조우를 원래의 갭길이로 복귀시킨다. 검체의 사이클링 (cycling) 중에 검체에 의해 나타나는 로드 (load)를 기록한다. 5개의 샘플의 평균치를 사용하여 특정한 값을 계산한다. 퇴축/신장 퍼센트는 50% 연신 (1.5 ㎜)에서의 로드를 사용하여 계산하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Elasticity: The hysteresis and retraction / extension percentage of the individual film compartments is 1 mm (width) specimen using a gap length of 1 mm (i.e. the spacing between tester jaws), 7.0 mm / min. Evaluation can be made using standard test equipment such as SynTech Synergie 200 (TestWorks 3.1 software) with a cross-head speed and a load cell value of 50 lb. The sample was placed between the tester jaws only so that the corresponding film compartment was located between the jaws. Draw 100% of the original gap length without biasing the sample (up to 2 mm) and then return the jaws to the original gap length. Record the load exhibited by the sample during the cycling of the sample. The average of five samples is used to calculate a specific value. Retraction / extension percentage is calculated using a rod at 50% elongation (1.5 mm) and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Figure 112000019419479-pct00001
Figure 112000019419479-pct00001

필름구획의 이력현상은 "신장에너지 (Energy of Extension)" 및 "퇴축에너지 (Energy of Retraction)"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신장에너지는 100% 연신 (2 ㎜) 까지 진행하는 샘플에 대한 로드/연신커브 (load/elongation curve) 아래의 면적이며, 퇴축에너지는 100% 연신으로부터 원래의 갭길이 (1 ㎜)로 복귀하는데 까지의 로드/연신커브 아래의 면적이다. 로드/연신커브는 상술한 샘플의 사이클링 중에 로드 대 연신으로서 도시한다. 따라서, 이력현상 %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The hysteresis of the film compartment can be calculated using the "Energy of Extension" and "Energy of Retraction", where the elongation energy is for samples traveling up to 100% elongation (2 mm). The area under the load / elongation curve and the retraction energy is the area under the load / extension curve from 100% stretching to return to the original gap length (1 mm). The rod / stretch curve is shown as rod to draw during cycling of the sample described above. Thus, the% hysteresis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Figure 112000019419479-pct00002









Figure 112000019419479-pct00002









Claims (36)

기계방향 및 횡기계방향을 가지며 제 1 필름구획 및 제 2 필름구획을 포함하는 단일필름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필름구획은 상기 단일필름의 적어도 한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 1 필름구획은 제 1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적어도 800 g/㎡/24시간의 WVTR을 가지고, 또한 상기 제 2 필름구획은 제 1 필름구획의 WVTR 보다 적은 WVTR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구획화 필름.And a single film having a machine direction and a transverse machine direction and including a first film segment and a second film segmen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ilm segments extend adjacent to each other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single film. Wherein the first film compartment comprises a first thermoplastic polymer and has a WVTR of at least 800 g / m 2/24 hours, and wherein the second film compartment has a WVTR less than the WVTR of the first film compartment. Multi-compartment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구획이 미공성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다구획화 필름은 적어도 약 50 mbar의 하이드로헤드를 갖는 다구획화 필름.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film compartment comprises a microporous film and the multicompartment film has a hydrohead of at least about 50 mba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구획이 신장된 충전-필름을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3.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2, wherein said first film compartment comprises an expanded fill-fil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구획이 충전재에 인접한 미공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4.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film compartment comprises a microporous network adjacent the fill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구획이 1500 g/㎡/24시간을 초과하는 WVTR을 가지며, 상기 제 2 필름구획은 충전-필름을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5.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film compartment has a WVTR greater than 1500 g / m2 / 24 hours and the second film compartment comprises a fill-fil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름구획이 미공성 필름을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6.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5, wherein said second film compartment comprises a microporous fil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름구획이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충전재를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6.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5, wherein said second film compartment comprises a polyolefin elastomer and a fill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구획이 비탄성 폴리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8.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7, wherein said first film compartment comprises an inelastic polyolefin polym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구획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필름구획은 에틸렌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10.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film compartment comprises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the second film compartment comprises ethylene elastom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구획 및 제 2 필름구획이 다층필름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다구획화 필름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다구획화 필름.8.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film compartment and the second film compartment comprise a multilayer film, and wherein the multi-compartment film has a substantially uniform thicknes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구획이 제 2 필름구획 보다 더 높은 중량퍼센트의 충전재를 갖는 다구획화 필름.7.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film compartment has a higher weight percent filler than the second film compartme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름구획이 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비미공성 필름을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5.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4, wherein said second film compartment comprises a nonporous film comprising an elastic polym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름구획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배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13.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12, wherein said second film compartment comprises an elastic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thane, polyester, polyamide, vinyl acetate, 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제 4 항의 다구획화 필름 및 상기 다구획화 필름의 제 1 표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시트를 포함하는 다층적층물.A multilayer stack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4 and a sheet fixedly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부직웹을 포함하는 다층적층물.15. The multilayer stack of claim 14 wherein the sheet comprises a nonwoven web.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신장성 직물을 포함하며, 상기 다구획화 필름의 상기 제 2 필름구획은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다층적층물.15. The multilayer stack of claim 14 wherein said sheet comprises an extensible fabric and said second film compartment of said multicompartment film comprises an elastomer. 기계방향 및 횡기계방향을 가지며 제 1 필름구획 및 제 2 필름구획을 포함하는 단일필름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필름구획은 상기 단일필름의 기계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단일필름은 적어도 50 mbar의 하이드로헤드를 가지고, 상기 제 1 필름구획은 미공성 필름을 포함하며 적어도 1500 g/㎡/24시간의 WVTR을 가지고, 또한 상기 제 2 필름구획은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And a single film having a machine direction and a transverse machine direction and including a first film segment and a second film segmen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ilm segments extend in the machine direction of the single film, The film has a hydrohead of at least 50 mbar, the first film compartment comprises a microporous film and has a WVTR of at least 1500 g / m 2/24 hours, and the second film compartment comprises an elastomer.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구획이 비탄성 구획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필름구획은 비다공성 필름 구획을 포함하고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18.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film compartment comprises an inelastic compartment and the second film compartment comprises a nonporous film compartment and comprises a polyolefin elastomer.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구획은 비탄성 구획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필름구획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배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film compartment comprises an inelastic compartment and the second film compartment comprises an elastomeric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thane, polyester, polyamide, vinyl acetate, 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Multicompartmentation film included.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구획이 비탄성 폴리올레핀 폴리머 및 충전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미공은 상기 충전재에 인접하며, 또한 상기 제 2 필름구획은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18.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film compartment comprises an inelastic polyolefin polymer and a filler, wherein the pores are adjacent to the filler, and wherein the second film compartment comprises an elastomer.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름구획이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며 불투명화 충전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구획화 필름.21.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20, wherein said second film compartment comprises a polyolefin elastomer and further comprises an opaque filler. 제 17 항의 다구획화 필름 및 상기 다구획화 필름의 제 1 표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시트를 포함하는 다층적층물.A multilayer stack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17 and a sheet fixedly attached to a first surface of the multicompartment film.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부직웹을 포함하는 다층적층물.23. The multilayer stack of claim 22 wherein the sheet comprises a nonwoven web.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신장성 직물을 포함하는 다층적층물.23. The multilayer stack of claim 22 wherein said sheet comprises extensible fabric. (i)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ii) 제 1 항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액체 불투과성 외부커버; 및 (iii) 상기 외부커버와 상기 상부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제 코어를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 제품.(i) a liquid permeable topsheet; (ii) a liquid impermeable outer cover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1; And (iii)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topsheet. (i)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ii) 제 7 항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액체 불투과성 외부커버; 및 (iii) 상기 외부커버와 상기 상부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제 코어를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 제품.(i) a liquid permeable topsheet; (ii) a liquid impermeable outer cover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7; And (iii)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topsheet. 삭제delete (i)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ii) 제 15 항의 다층적층물을 포함하는 액체 불투과성 외부커버; 및 (iii) 상기 외부커버와 상기 상부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제 코어를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 제품.(i) a liquid permeable topsheet; (ii) a liquid impermeable outer cover comprising the multilayer laminate of claim 15; And (iii)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topsheet. (i)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ii) 제 17 항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액체 불투과성 외부커버; 및 (iii) 상기 외부커버와 상기 상부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제 코어를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 제품.(i) a liquid permeable topsheet; (ii) a liquid impermeable outer cover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17; And (iii)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topsheet. (i)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ii) 제 24 항의 다층적층물을 포함하는 액체 불투과성 외부커버; 및 (iii) 상기 외부커버와 상기 상부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제 코어를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 제품.(i) a liquid permeable topsheet; (ii) a liquid impermeable outer cover comprising the multilayer laminate of claim 24; And (iii)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topsheet. 제 1 항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수술가운.Surgical gown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1. 제 17 항의 다구획화 필름을 포함하는 수술가운.Surgical gown compris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of claim 17. 제 15 항의 적층물을 포함하는 수술가운.Surgical gown comprising the laminate of claim 15. 열가소성 폴리머 및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 1 필름구획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제 2 필름구획을 공압출시키고 인접한 상기 제 1 및 제 2 필름구획을 포함하는 단일필름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Coextruding a first film compartment comprising a thermoplastic polymer and a filler and a second film compartment compris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and forming a single film comprising the adjacent first and second film compartments; And 상기 다구획화 필름을 신장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필름구획의 필름 두께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 1 필름구획 내에 상기 충전재에 인접한 공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성 통기성 필름의 제조 방법.Stretching the multi-compartment film to reduce the film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film compartments and to form voids adjacent the filler within the first film compartment.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다구획화 필름이 신장조건 하에서 열에 의해 어니일링되는 방법.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said multi-compartment film is annealed by heat under stretching conditions.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구획이 비탄성 폴리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는 방법.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said first film compartment comprises an inelastic polyolefin polymer.
KR1020007010230A 1998-03-18 1999-03-17 Segmented Conformable Breathable Films KR10056540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36198P 1998-03-18 1998-03-18
US60/078,361 1998-03-18
US9/267,412 1999-03-12
US09/267,412 US6245401B1 (en) 1999-03-12 1999-03-12 Segmented conformable breathable films
US09/267,412 1999-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922A KR20010041922A (en) 2001-05-25
KR100565408B1 true KR100565408B1 (en) 2006-03-30

Family

ID=2676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230A KR100565408B1 (en) 1998-03-18 1999-03-17 Segmented Conformable Breathable Films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064320A1 (en)
JP (1) JP2003524662A (en)
KR (1) KR100565408B1 (en)
CN (1) CN1117118C (en)
AR (1) AR014742A1 (en)
AU (1) AU738271B2 (en)
BR (1) BR9907098A (en)
WO (1) WO199904759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64971B2 (en) * 1997-11-14 2003-09-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layer cover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MXPA02004364A (en) * 1999-11-01 2002-11-07 Kimberly Clark Co Styrenic block copolymer breathable elastomeric films.
US6794024B1 (en) 1999-11-01 2004-09-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yrenic block copolymer breathable elastomeric films
AU2001263120A1 (en) * 2000-05-15 2001-11-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argeted elastic laminate
GB2399787B (en) * 2000-05-15 2004-12-01 Kimberly Clark Co Targeted elastic laminate
US20030109842A1 (en) * 2001-12-12 2003-06-12 Louis Raymond Gerard St. Separated targeted elastic zone for improved process and product function
JP5030775B2 (en) * 2005-06-15 2012-09-19 大王製紙株式会社 Pants-type disposable diapers
US8348915B2 (en) * 2006-05-30 2013-01-08 Sca Hygiene Products Ab Initial product adaptable to serve as a garment and its method of manufacturing
FR2965212B1 (en) * 2010-09-23 2012-09-28 Aplix Sa REINFORCED RESISTANT ELASTIC LAMINATE
US8895126B2 (en) * 2010-12-31 2014-11-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gmented films with high strength seams
US8623481B2 (en) * 2012-02-10 2014-01-07 Multisorb Technologies, Inc. Film with oxygen absorbing regions
US9944043B2 (en) 2012-10-02 2018-04-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272655B2 (en) 2012-10-02 2019-04-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m with alternating stripes and strand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40248471A1 (en) * 2013-03-01 2014-09-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m with Layered Segment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2015153979A1 (en) * 2014-04-03 2015-10-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ertured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70027738A (en) * 2014-06-30 2017-03-10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Striped multilayer film
US11202722B2 (en) * 2017-09-29 2021-12-21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Extensible dressings
JP7058110B2 (en) 2017-11-21 2022-04-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Elastic materials, manufacturing methods of elastic materials, elastic members, and clothing products
AU2021245915A1 (en) * 2020-03-31 2022-11-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Zoned and/or layered substrat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3510A (en) * 1983-09-19 1985-08-06 Nissel Frank R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co-extruding a sheet
US4842596A (en) * 1986-12-31 1989-06-27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breathable elastic fabric composite and personal article incorporating same
CA2116081C (en) * 1993-12-17 2005-07-26 Ann Louise Mccormack Breathable, cloth-like film/nonwoven compos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3691A (en) 2001-05-02
AU3009799A (en) 1999-10-11
WO1999047590A1 (en) 1999-09-23
BR9907098A (en) 2000-12-05
AR014742A1 (en) 2001-03-28
KR20010041922A (en) 2001-05-25
AU738271B2 (en) 2001-09-13
CN1117118C (en) 2003-08-06
EP1064320A1 (en) 2001-01-03
JP2003524662A (en) 200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5401B1 (en) Segmented conformable breathable films
KR100565408B1 (en) Segmented Conformable Breathable Films
US6045900A (en) Breathable filled film laminate
EP0948429B1 (en) Breathable laminate including filled film and continuous film
AU735677B2 (en) Elastic film laminates
KR101563043B1 (en) Apertured segmented films
AU739163B2 (en) Microporous films having zoned breathability
JP2007503327A (en) Microporous breathable elastic film
USH1978H1 (en) Monolithic films having zoned breathability
MXPA00002558A (en) Elastic film laminates
MXPA00002627A (en) Breathable filled film lamin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