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308B1 -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fingerprint record in Cabinet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fingerprint record in Cabinet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308B1
KR100564308B1 KR1020030073365A KR20030073365A KR100564308B1 KR 100564308 B1 KR100564308 B1 KR 100564308B1 KR 1020030073365 A KR1020030073365 A KR 1020030073365A KR 20030073365 A KR20030073365 A KR 20030073365A KR 100564308 B1 KR100564308 B1 KR 100564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fingerprint
lock
fingerprint recogni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8137A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김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근 filed Critical 김봉근
Priority to KR102003007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308B1/en
Publication of KR20050038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1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3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인식을 통해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가 자신의 개인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보관함에 적용되는 개폐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지문을 스캐닝하여 이미지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지문인식입력부를 통해 초기 입력된 제1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되면, 락신호 또는 언락신호에 따라 기계적으로 잠기거나 열리도록 작동되는 잠금기구에 락신호를 전송하는 잠금단계와; 상기 지문인식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2이미지데이터를 기저장된 상기 제1이미지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두 데이터가 일치되면 상기 잠금기구에 언락신호를 전송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보관함의 개폐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데이터와 제2이미지데이터가 일치할 경우에는 제1이미지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단계가 더 포함되어, 이전 사용자가 저장해 놓은 자신의 지문이미지에 상관없이 이후 사용자는 각자가 새로운 지문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어, 불특정 다수가 지문인식을 통해 공중 보관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and more particularly,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to be applied to a storage box that can temporarily store their personal item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wherein when a first image data, which is initially input through a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that scans a user's fingerprint and converts the image data, is stored, the lock is operated to be mechanically locked or opened according to a lock signal or an unlock signal. A locking step of transmitting a lock signal to the mechanism; And a second step of comparing the second image data inputt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with the previously stored first image data and checking whether they match. If the two data match, the fingerprint includes a release step of transmitting an unlock signal to the locking mechanism.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a public storage box through recognition, further comprising a data deleting step of deleting the first image data when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second image data coincide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fingerprint image, each user can save a new fingerprint image so that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users can use the public library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Description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fingerprint record in Cabinet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fingerprint record in Cabinet and Control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다른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another control method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또다른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another control method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또다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7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control method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을 통한 개폐시스템이 적용된 공중 보관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ublic storage box to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잠금기구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동도,10 is an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locking mechanism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건장치의 사용상태도,11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lo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은 자물쇠가 장착된 잠금기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ing mechanism equipped with a lock,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도,13 is an ope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lay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14 and 15 are operation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lay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Explanation of terms for main parts of attached drawings-

1 ; 회동구멍 2 ; 가이드라인 3 ; 축대One ; Rotating hole 2; Guideline 3; Axle

10, 10', 10" ; 개폐시스템 20 ; 전원수단10, 10 ', 10 "; switching system 20; power supply means

100 ; 접지부 110 ; 입력창 120 ; 감지수단 100; Ground section 110; Input window 120; Detection means

130 ; 타이밍회로 200 ; 이미지발생부 210 ; 광원 130; Timing circuit 200; An image generator 210; Light source

220 ; 집광기구 230 ; 이미지센선 300 ; A/D변환기 220; Condenser 230; Image line 300; A / D Converter

400 ; 제어기 500 ; 메모리 600 ; 잠금기구 400; Controller 500; Memory 600; Lock mechanism

700 ; 센서 800 ; 카드판독기구 900 ; 표시기구700; Sensor 800; Card reader 900; Indicator

1000 ; 시건장치 1100 ; 제어기구 1110 ; 접지창1000; Locking device 1100; Control mechanism 1110; Ground window

1120 ; 표시기 1200 ; 잠금기구 1210 ; 통신수단1120; Indicator 1200; Locking mechanism 1210; Communication

1220 ; 구동모터 1230 ; 디스크 1220; Drive motor 1230; disk

1240, 1240', 1240" ; 빗장 1240a ; 가이드홈1240, 1240 ', 1240 "; Latches 1240a; Guide Grooves

1250 ; 지지롤러 1260 ; 연결축 1270, L ; 자물쇠1250; Support roller 1260; Connecting shaft 1270, L; lock

1280 ; 센서 1300 ; 표시용손잡이 1310 ; 지지롤러1280; Sensor 1300; Display handles 1310; Support Roller

1320 ; 손잡이홈 1330 ; 지지턱 1340 ; 탄발부재1320; Handle grooves 1330; Support jaw 1340; Bullet

1400 ; 끼움편 A ; 손잡이 C ; 보관함 1400; Fitting A; Handle C; locker

E ; 닫힘표시 F ; 열림표시E; Closing indication F; Open

D ; 도어 D-1 ; 고정구멍 D-2 ; 관통구멍D; Door D-1; Fixing hole D-2; Through hole

D-3 ; 표시구멍 H ; 조립구멍 D-3; Display hole H; Assembling Hole

S ; 공간부 S-1 ; 걸림대 S-2 ; 고정홈 S; Space part S-1; Hanger S-2; Fixing groove

R ; 고정편R; Fixed piece

본 발명은 지문인식을 통해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가 자신의 개인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보관함에 적용되는 개폐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and more particularly,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to be applied to a storage box that can temporarily store their personal items and The control method is related.

일반적인 종래 시건장치는 열쇠 또는 카드키 등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들은 사용자가 항시 소지해야하는 불편과, 열쇠 또는 카드키를 분실했을 시에는 혹시모를 타인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당해 시건장치를 새롭게 교체하거나 셋팅을 다시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상기 시건장치의 사용자로 하여금 좀더 편안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건장치의 개발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In general, the general lock device was able to open and close with a key or a card key. They were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at all times, and in case of losing the key or card key, it was troublesome to replace the setting device or reset the device in order to prevent the intrusion of others. These problems have led the user of the device to develop a more comfortable and reliable device.

이에, 사람에 따라 독특한 특징을 갖는 생체의 특정부분을 시건장치의 키로써 활용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발됨으로서, 보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한편 사용자의 편의가 크게 향상되었다. 일반적으로 상기 생체키로는 지문이 널리 활용 되며 이외에도 정맥위치, 홍채의 형상 등이 있고, 이들을 판독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 또한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어 점차 실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지문을 제외한 다른 생체키는 그 기술개발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실용화 단계에까지는 도달하지 못하였으며, 적지않은 설치비의 부담 또한 문제가 되어, 널리 활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나 지문의 경우에는 지속적인 개발로 생체키로의 활용이 상용화 단계에 이르렀고, 신뢰도 또한 크게 향상되어 지금은 기업체 및 대학 연구소 등의 출입시스템은 물론 개인주택의 출입문에도 설치되어지고 있다.Thus, by developing a system and method that utilizes a specific part of the living body having a unique feature as a key of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erson, the reliability of the security is improved while the user's convenience is greatly improved. In general, as the bio-key, fingerprints are widely used, and in addition, there are vein positions, shapes of irises, and various devices for reading them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However, other biokeys, except for fingerprints, have not reached the stage of practical development for the general public, and the burden of installation cost is also a problem and is not widely used. However, in the case of fingerprints, the use of biokeys has been commercialized due to continuous development, and reliability has been greatly improved. Now, fingerprints are installed in doors of private houses as well as entrance systems of companies and universities.

그런데 종래 지문인식을 통한 개폐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특정 구역의 출입권 또는 특정 도어의 개폐권을 갖는 자의 지문을 상기 시스템에 미리 입력시켜두고, 이후에 지문을 판독/비교하여 기저장된 지문과 일치하면 출입을 허용하거나 도어가 개폐되어지도록 되는데, 이는 곧 지문인식을 통한 개폐시스템은 특정인 만의 사용을 허가하는 곳에서만 사용됨을 의미하였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ystem for opening / closing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a fingerprint of a person having an access right in a specific area or a door opening / closing right in a specific door is inputted in advance to the system, and afterwards, the fingerprint is read and compared to match the previously stored fingerprint. In other words, the door can be opened or closed, which means that the fingerprint opening and closing system is used only where a specific person is allowed to use it.

따라서,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사용하는 공공금고 또는 사물함 등에 이러한 시스템이 장착되지 못하는 이유는 적지않은 설치비에 대한 부담에도 있지만, 특정인만이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종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Therefore, the reason why such a system is not installed in a public safe box or a locker us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is a burden for installation costs, but the cause can be found in the conventiona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that only a specific person can use. hav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인에 의해 하루에도 몇번씩 사용자가 바뀌는 보관함을 열쇠나 개폐용 카드 없이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 보관함 의 개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through a fingerprint recognition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use the locker without changing the number of times a day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without a key or opening and closing card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open / close system for public storag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에 있어서,In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public storage box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손가락이 직접 접촉되는 입력창을 구비한 접지부와, 이 접지부에 맞닿은 손가락으로부터 지문을 스캐닝하는 이미지발생부와, 아날로그이미지를 디지털이미지로 변환하는 A/D변환기가 구비된 지문인식입력부; 이 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지문인식입력부로부터 발생된 제1이미지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면서 락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이미지데이터가 메모리에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지문인식입력부를 통해 제2이미지데이터의 입력이 있으면 제1이미지데이터와 제2이미지데이터를 대조하여 그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제1이미지데이터 및 제2이미지데이터가 일치되면 상기 메모리에 제1이미지데이터 삭제신호를 전송하면서 언락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된 제어기구,A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including a grounding unit having an input window in which a finger is in direct contact, an image generating unit scanning a fingerprint from a finger in contact with the grounding unit, and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image into a digital image; A memory in which this image data is stored; A lock signal is generated while transmitting the first image data generated from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to the memory, and if there is an input of the second image data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while the first image data i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A controller which checks whether the image data and the second image data are matched, and if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second image data match, transmits a first image data deletion signal to the memory and generates an unlock signal; Configured control mechanism,

이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락신호와 언락신호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잠금기구,A lock mechanism mechanically actuated in accordance with the lock signal and the unlo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eans;

상기 제어수단 및 잠금수단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control means and the locking means,

가 포함된 것으로, Contains,

상기 지문인식입력부에 손가락과 입력창 간의 접촉여부와 접촉시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더 포함되며,The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further comprises a sensing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contact between the finger and the input window and the contact time,

열쇠와;With a key;

상기 잠금수단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열쇠를 꽂아 작동시키면 잠금기구 또한 구동되면서 이 잠금기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자물쇠와;A lock which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locking means to lock and unlock the lock mechanism when the key is inserted and operated;

상기 잠금기구의 잠금상태가 강제로 해제상태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로 그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가 더 포함되고,And a sensor for detecting when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chanism is forcibly released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상기 제어기는 센서로부터 전송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제1이미지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삭제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며, The controller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and transmits a deletion signal so that the first image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is deleted.

상기 잠금기구의 잠금 또는 해제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수단이 더 포함된 것이다.It further includes a display means for confirming the locked or released state of the locking mechanism from the outside.

또한, 사용자의 지문을 스캐닝하여 이미지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지문인식입력부를 통해 초기 입력된 제1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되면, 락신호 또는 언락신호에 따라 기계적으로 잠기거나 열리도록 작동되는 잠금기구에 락신호를 전송하는 잠금단계와; 상기 지문인식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2이미지데이터를 기저장된 상기 제1이미지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두 데이터가 일치되면 상기 잠금기구에 언락신호를 전송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보관함의 개폐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In addition, when the first image data initially input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for scanning and converting the user's fingerprint into image data is stored, the lock signal is applied to a locking mechanism which is operated to mechanically lock or open according to the lock signal or the unlock signal. A locking step of transmitting; And a second step of comparing the second image data inputt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with the previously stored first image data and checking whether they match. If the two data match, the fingerprint includes a release step of transmitting an unlock signal to the locking mechanism.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public storage box through the recognition,

상기 제1이미지데이터와 제2이미지데이터가 일치할 경우에는 제1이미지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단계가 더 포함되어, 이전 사용자가 저장해 놓은 자신의 지문이미지에 상관없이 이후 사용자는 각자가 새로운 지문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어, 불특정 다수가 지문인식을 통해 공중 보관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If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second image data coincid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data deleting step of deleting the first image data, so that each subsequent user has a new fingerprint image regardless of his or her fingerprint image stored by the previous user. It is possible to store the public, so that many unspecified people can use the public storage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상기 제1이미지데이터에 상관없이 잠금상태인 상기 잠금기구가 해제상태로 구동되도록, 마스터의 지문을 스캐닝하여 마스터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이를 저장하는 마스터데이터 설정단계가 더 포함되고;A master data setting step of scanning a fingerprint of the master and converting the fingerprint into master data so as to be driven in a unlocked state regardless of the first image data, and storing the master data;

상기 지문인식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2이미지데이터와 상기 마스터데이터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두 데이터가 일치하면 상기 잠금기구에 언락신호를 전송하면서 상기 제1데이터를 삭제하는 마스터데이터 확인단계가 더 포함되며,Confirming whether the second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and the master data is matched and if the two data match the master data confirmation step of deleting the first data while transmitting the unlock signal to the locking mechanism further comprises; ,

상기 잠금기구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자물쇠에 열쇠를 꽂아 작동시키면, 잠금상태의 잠금기구가 해제되도록 하는 해제단계;A release step of releasing a lock mechanism in a locked state when the key is inserted into a lock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lock mechanism;

상기 잠금기구가 해제되면 기저장되어 있던 제1이미지데이터가 삭제되는 제1이미지데이터 삭제단계가 더 포함된 것이다.When the lock mechanism is released, the first image data deleting step of deleting previously stored first image data is further included.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을 통한 개폐시스템이 적용된 공중 보관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보관함(D)의 모습을 먼저 간략히 설명한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ublic storage box is appli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8, briefly explaining the appearance of the storage box (D) first do.

보관함(C)은 물품이 보관되는 공간부(S)와, 이 공간부(S)를 개폐하는 도어(D)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D)는 공간부(S)의 입구부 내측에 고정편(R)을 매개로 여닫을 수 있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편(R)은 고정홈(S-2)과, 고정구멍(D-1)에 각각 양단이 내입되는 축대(3)와 관통연결되는 회동구멍(1)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구멍(1)을 중심으로 도어(D)를 따라 이동하면서 공간부(S)에 형성된 걸림 대(S-1)를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라인(2)이 형성된 부채꼴을 이룬다.The storage box C is comprised of the space part S in which an article is stored, and the door D which opens and closes this space part S. FIG. The door (D) is fixed to open and close the fixing piece (R) inside the inlet of the space (S). At this time, the fixing piece (R) is formed with a fixing hole (S-2), and a rotating hole (1) connected through the shaft (3) in which both ends are inserted in the fixing hole (D-1), respectively, The guide line 2 is formed in a fan shape so as to move along the door D around the hole 1 and move along the hook S-1 formed in the space S.

한편, 상기 도어(D)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이 적용/실현된 시건장치(100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시건장치(1000)의 제어기구(1100)는 도어(D)의 전면에 배치되고, 잠금기구(1120)는 후면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이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시건장치(1000)가 장착되는 도어(D)의 일지점에는 조립구멍(H)을 형성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D) is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1000 is applied / realized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since the control mechanism 1100 of the lock apparatus 1000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door D, and the lock mechanism 1120 should be disposed at the rear, the lock apparatus 10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assembly hole (H) 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door (D) to which it is mounted.

미설명부호 'A'는 도어(D)의 열고 닫힘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이다.Reference numeral 'A' is a handle to facilitat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D).

미설명부호 'L'은 열쇠를 꽂아 넣을 수 있는 자물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Unexplained symbol 'L' is a lock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ke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인바, 도 8 및 도 9와 더불어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10)과 그 제어방법 및 개폐시스템(10)이 적용/실현되어진 시건장치(1000)를 함께 설명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is in conjunction with Figures 8 and 9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the control metho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pplication device 1000 is applied / implemented.

주지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기는 손가락에 형성된 지문을 스캐닝하여 이를 기저장되어 있는 지문과 일치여부를 비교하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은, 손가락의 끝을 접촉시키는 입력창(110)을 포함하는 접지부(100)와, 이 접지부(100)에 얹혀진 손가락을 스캐닝하는 이미지발생부(200) 및, 발생된 아날로그이미지를 디지털이미지로 변환시키는 A/D변환기(300)를 포함하는 지문인식입력부와; 입력된 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500)와; 상기 지문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시키 거나 삭제, 및 다른 이미지데이터와 비교하여 락신호 또는 언락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기(400)가 구비된 제어기구, 이 제어기구로부터 전송된 락신호와 언락신호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잠금기구(600), 및 상기 제어기구 및 잠금기구(60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30)를 포함한다.As is well known, the fingerprint reader scans a fingerprint formed on a finger and compares it with a previously stored fingerprint.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opens and closes an input window for contacting the tip of a finger. A ground unit 100 including a 110, an image generator 200 for scanning a finger placed on the ground unit 100, and an A / D converter 300 for converting the generated analog image into a digital image. A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comprising a; A memory 500 in which input image data is stored; A control mechanism having a controller 400 for storing or deleting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ngerprint input unit in a memory and generating a lock signal or an unlock signal in comparison with other image data, and a lo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echanism. And a locking mechanism 600 mechan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unlock signal, and a power supply device 30 for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control mechanism and the locking mechanism 600.

일반적으로, 상기 입력창(110)은 투광성이 우수하면서 미세한 지문의 자취를 정밀하게 스캐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층의 막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입력창(110)에 별도의 감지수단(120)이 더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입력창(110)에 접촉되었는가를 감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상기 이미지발생부(200)가 구동되도록 한다.In general, the input window 110 is made of a multi-layered film formed to be able to accurately scan the trace of the fine fingerprint while being excellent in light transmittance. In addition, a separate sensing means 120 is further connected to the input window 110 to detect whether a user's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input window 110, thereby driving the image generator 200. Be sure to

상기 입력창(110)의 구조 및 구동모습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이 아니고, 그 구조 또한 주지된 기술에 속하므로, 여기서는 보다 입력창(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The structure and driving appearance of the input window 110 is not 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structure also belongs to a well-known technology,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put window 110 will not be given herein.

계속해서, 상기 이미지발생부(200)는 입력창(110)에 접촉된 손가락의 지문을 스캐닝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 지문에 빛을 조명하는 광원(210)과, 상기 입력창(110)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집광시키는 집광기구(220)와, 광원(210)으로부터 조명된 빛이 손가락의 지문에 따라 다르게 반사되는 모습을 잡아 이를 아날로그 이미지화하는 이미지센서(230)를 포함한다.Subsequently, the image generator 200 includes a component for scanning a fingerprint of a finger in contact with the input window 110, and typically, a light source 210 for illuminating light on the fingerprint and the input window. Condensing mechanism 220 for condens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110 and the image sensor 230 for capturing the appearance that the light illuminated from the light source 210 is refle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ingerprint of the finger to analogize it.

이렇게 형성된 아날로그이미지는 A/D변환기(300)를 통해 디지털이미지로 변환되고, 제어기(400)는 이를 이미지데이터로 메모리(500)에 저장시키게 된다.The analog image thus formed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mage through the A / D converter 300, and the controller 400 stores the image in the memory 500 as image data.

한편, 제어기(400)는 이미지데이터들의 비교결과에 따라 락신호 또는 언락신 호를 발생시키며, 이 신호는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잠금기구(600)로 전송되어 이를 상기 신호에 상응하도록 구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 lock signal or an unlock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image data, which is transmitted to the lock mechanism 600 which is mechanically operated to drive it corresponding to the signal.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개폐시스템(10)은 시건장치(1000)로 적용/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시건장치(1000)는 개폐시스템(10)에서, 접지부(100)와 이미지발생부(200) 및 A/D변환기(300)가 구비된 지문인식입력부와, 제어기(400) 및, 메모리(500)로 구성된 제어기구(1100)와; 이 제어기구(1100)에 의해 구동되는 잠금기구(600, 12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applied / implemented to the locking device 1000. The locker system 1000 may include a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including a ground unit 100, an image generator 200, and an A / D converter 300 in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a controller 400, and a memory ( A control mechanism 1100 composed of 500; It consists of locking mechanisms 600 and 1200 which are driven by this control mechanism 1100.

상기 잠금기구(600, 1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작동모습을 도10(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잠금기구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동도)을 통해 설명한다.A detailed description and operation of the locking mechanisms 600 and 1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opera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locking mechanism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기구(1100)로부터 전송되는 락신호, 또는 언락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1220)는 디스크(1230)와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디스크(123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빗장(1240)의 일단이 하나의 연결축(126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디스크(1230)의 회전과 함께 이동된다. 이때, 상기 빗장(1240)의 타단은 잠금기구(1200)의 외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빗장(1240)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롤러(1250)에 의해 디스크(123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그 타단이 잠금기구(1200)의 일지점에서 왕복운동만을 할 수 있도록 된다.The driving motor 1220 driven according to the lock signal or the unlo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echanism 1100 is connected to the disk 1230 to rotate it. 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latch 1240 is rotatably connected about one connecting shaft 1260 to the edge of the disk 1230 and moved with the rotation of the disk 1230.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latch 1240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locking mechanism 1200, and the rotation of the disk 1230 by a pair of support rollers 1250 for supporting the latch 1240 on both sides. Nevertheless, the other end can only reciprocate at one point of the locking mechanism 1200.

따라서, 도시된 (a), (b), 및 (c)의 과정에서와 같이 언락신호를 받은 구동모터(1220)는 디스크(1230)를 180도 회전시켜 상기 빗장(1240)을 최대로 끌어 들이게 되고, 이 상태에서 락신호를 받은 구동모터(1220)는 디스크(1230)를 다시 180도 회전시켜 상기 빗장(1240)을 최대로 밀어내면서 도어(D)의 잠금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a), (b), and (c), the driving motor 1220 receiving the unlock signal rotates the disk 1230 by 180 degrees to draw the latch 1240 to the maximum. In this state, the driving motor 1220 receiving the lock signal rotates the disk 1230 again by 180 degrees to allow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D while pushing the latch 1240 to the maximum.

물론 잠금기구(1200)에 대한 상기 일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통해 작동되는 제어기구(1100)와 이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잠금기구(1200)로 이루어진 시건장치(1000)와, 이 시건장치(1000)의 작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이하의 청구범위 내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locking mechanism 1200, a locking device (1000) comprising a control mechanism (1100) and a locking mechanism (1200)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lock device 1000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2를 통해 상기 시건장치(1000)에 의한 개폐시스템(10)의 제어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by the lock device 1000 will be described sequentially through FIG. 2.

S100S100

보관함(C)에 장착된 상기 시건장치(1000)에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한다.The user's fingerprint is input to the locker device 1000 mounted in the storage box C.

상기 사용자가 보관함(C)을 사용하기 위해 자신의 생체키를 시스템(10)에 기억시키는 과정으로, 시건장치(1000)의 제어기구(1100) 쪽 전면에 배치된 접지창(1110)에 손가락을 접촉시켜 개폐시스템(10)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스캐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접지창(1110)은 본 개폐시스템(10)에서의 입력창(110)의 일구성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을 맞대는 부분이다. 이후, 상기 이미지발생부(20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이 스캐닝되어 아날로그이미지가 생성된다. In order to store the user's bio key in the system 10 in order to use the storage box C, the user places a finger on the ground window 1110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ntrol mechanism 1100 of the lock apparatus 1000. By conta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to recognize the user's fingerprint to be scanned. The ground window 1110 is a component of the input window 110 in the opening / closing system 10 and is a portion where a user directly touches a finger. Thereafter, the fingerprint of the user is scanned through the image generator 200 to generate an analog image.

이렇게 생성된 아날로그이미지는 상기 A/D변환기(300)에 의해 디지털이미지데이터(제1이미지데이터, 도면에서는 제1데이터로 표기)로 변환되며, 상기 제어기(400)는 이를 감지한다.The generated analog image is converted into digital image data (first image data, denoted as first data in the drawing) by the A / D converter 300, and the controller 400 detects this.

S200S200

상기 제어기(400)는 이렇게 형성된 제1이미지데이터를 메모리(500)에 저장시키는 한편, 락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상기 잠금기구(600, 1200)로 전송한다.The controller 400 stores the first image data thus formed in the memory 500, generates a lock signal, and transmits the lock signal to the locking mechanisms 600 and 1200.

S300S300

락신호를 받은 상기 잠금기구(600, 1200)는 구동되면서 보관함(C)의 도어(D)를 잠근다.The locking mechanisms 600 and 1200 which receive the lock signal are driven to lock the door D of the storage box C.

S400S400

이후, 용무를 마친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물품이 보관된 상기 보관함(C)의 도어(D)를 열기 위해 자신의 손가락을 상기 접지창(1110)에 맞댄다. 이후의 과정은 상기 S100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중복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단, 이때, 생성되는 이미지데이터는 제2이미지데이터로 한다.Thereafter, the user who finished the work to put his finger against the ground window 1110 to open the door (D) of the storage box (C) where the goods are stored. Since the subsequent process is the same as the above S100,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avoided here. At this time, the generated image data is referred to as second image data.

S500S500

제어기(400)는 상기 제2이미지데이터를 메모리(500)에 기저장된 제1이미지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독하게 된다. 이때, 두 데이터가 일치할 경우 언락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상기 잠금기구(600, 1200)로 전송한다.The controller 400 compares the second image data with the first image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500, and reads whether the second image data matches. In this case, when the two data match, an unlock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locking mechanisms 600 and 1200.

S510S510

반면, 두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2이미지데이터는 삭제되며, 개폐시스템(10)은 상기 S400 이전으로 상태로 셋팅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two data do not match, the second image data is deleted,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is set to the state before the S400.

S600 S600

언락신호를 받은 상기 잠금기구(600, 1200)는 구동되면서 보관함(C)의 도어(D)를 연다.The locking mechanisms 600 and 1200 that receive the unlock signal are driven to open the door D of the storage box C.

S700S700

상기 S600의 과정과 동시 또는 그 이전에 상기 제어기(400)는 메모리(500)에 기저장된 제1이미지데이터를 삭제시켜, 해당 지문이 더이상 상기 보관함(C)의 생체키 기능을 하지 못하도록 한다.Simultaneously with or before the process of S600, the controller 400 deletes the first image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500 so that the fingerprint can no longer function as a biokey of the storage box C.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다른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control method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본 발명의 경우, 불특정 다수가 하나의 개폐시스템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1이미지데이터의 생성 및 삭제기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한편으로는 제2이미지데이터 또한 반복적으로 생성되면서 제1이미지데이터와 비교되므로, 제1이미지데이터와 제2이미지데이터의 구분이 확실해야 한다. 이를 위해 메모리에 제1이미지데이터의 저장유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접지창(1110)에 접촉시켰을 때 이 손가락으로부터 얻는 지문에 대한 이미지데이터가 제1이미지데이터인지 제2이미지데이터인지를 구분함으로서, 해당되는 다음 과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이 더 발명되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specified number of the first image data is continuously generated and deleted continuously in order to repeatedly use one open / close system, while the second image data is also repeatedly generated while the first image data Since it is compar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second image data should be clear. To this end, by checking whether or not the first image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mage data of the fingerprint obtained from the finger when the user touches the ground window 1110 is the first image data or the second image data. By dividing, a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following process is further invented.

S110S110

상기 S100 단계 이후, 상기 제어기(400)는 메모리(500)에 제1이미지데이터의 존재유무를 확인하여 제1이미지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S100을 거치면서 생성된 이미지데이터를 제2이미지데이터로 인식하고, S500 과정을 곧바로 수행하도록 한다.After the step S100, the controller 400 checks the existence of the first image data in the memory 500, and if the first image data exists, recognizes the image data generated through the S100 as the second image data. And, the S500 process will be performed immediately.

반면, 메모리(500)에 제1이미지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S100을 거치면서 생성된 이미지데이터를 제1이미지데이터로 인식하고, 그 다음 과정인 S200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image data does not exist in the memory 500, the image data 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S100 is recognized as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next process S200 is performed.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이 적용된 시건장치(1000)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process, the user can more easily use the locking device 1000 to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또다른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control method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으로, 공공장소에서 활용되는 본 개폐시스템(10)의 조작을 쉽고 간편하게 함은 물론, 구조적인 단순함으로 인해 설치비를 상대적으로 낮추고 그 기능은 다양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4 and 5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utilized in public places, easy and simple, as well as the structural simplicity of the installation cost relatively To lower and diversify its functionality.

일반적으로, 최초 입력된 이미지데이터가 잘못되었거나 이를 다른 지문으로 교체하기 위해 처음 입력된 데이터를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손가락이 접촉되는 접지창(1110)이 외곽으로 드러나 있어 타인이 쉽게 손가락을 가져다 댈 수 있고, 이는 상기 감지수단(120)에 의해 감지되어 시건장치(1000)를 수시로 작동시키게 된다. 이는 불필요하게 전기력을 소모하게 되고, 시스템 고장의 요인이 될 수 있다.In general, there is a case where the first input image data is wrong or the first input data has to be canceled in order to replace it with another fingerprint. In addition, since the ground window 1110 to which the finger is in contact is exposed to the outside, others can easily touch the finger, which is sensed by the sensing means 120 to operate the lock apparatus 1000 from time to time. This unnecessarily consumes electric power and can cause system failure.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면서도 구조적인 복잡함을 피할 수 있는 일실시예를 설명한다.An embodiment in which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an be avoided while structural complexity is avoided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10')의 접지부(100)에 타이밍회로(130)를 더 구비시켜, 일정시간 이상 손가락이 접지창(1110)에 머무른 경우에만 개폐시스템(10')이 작동되도록 한다.The timing circuit 130 is further provided in the ground portion 100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is operated only when the finger stays in the ground window 1110 for a predetermined time. do.

또한, 상기 타이밍회로(130)는 지문에 대한 이미지데이터가 생성되었을 때, 일정시간 이하동안 손가락이 접지창(1110)에 머무른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데이터의 입력을 취소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data for the fingerprint is generated, the timing circuit 130 performs a function of canceling the input of the image data when the finger stays in the ground window 111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ess.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S101S101

상기 S100을 통해 제1이미지데이터가 생성되고, 사용자는 제1이미지데이터의 입력을 취소하고자 한다. 제어기(400)는 상기 타이밍회로(130)에 의해 손가락이 접지창(1110)에 일정시간 이하동안 머무른 것으로 감지되면, 이를 상기 제1이미지데이터의 입력취소로 인식한다.First image data is generated through S100, and the user intends to cancel input of the first image data. When the controller 400 detects that the finger stays in the ground window 111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ess by the timing circuit 130, the controller 400 recognizes this as an input cancellation of the first image data.

S102, S103, S104S102, S103, S104

입력취소를 인식한 제어기(400)는 취소신호를 발생시켜 제1이미지데이터를 삭제한다. 이후 S100의 과정으로 되돌아가 시스템이 초기화 된다.The controller 400 recognizing the input cancellation generates a cancellation signal to delete the first image data. After that, the process returns to the process of S100 and the system is initialized.

반면, S100 과정 이후 일정시간동안 접지창(1110)을 통해 아무런 조작이 없으면 타이밍회로(130)는 이를 감지하고 제어기(400)는 제1이미지데이터를 메모리(500)에 저장하는 과정(S110)으로 넘어가게 됩니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manipulation through the ground window 1110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100 process, the timing circuit 130 detects this and the controller 400 stores the first image data in the memory 500 (S110). Will be passed.

S401S401

이 과정은 잠금기구(600, 1200)를 해제하기 위해 제2이미지데이터를 생성시 키는 초기단계로, 상기 S101 과정에서와 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중복설명은 피하기로 한다.(S402, S403, S404)This process is an initial step of generating the second image data to release the locking mechanisms 600 and 1200, as in step S101. Duplicate explanations will be avoided here (S402, S403, S404).

한편, 상기 감지수단(120) 및 타이밍회로(130)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 11(본 발명에 따른 시건장치의 사용상태도)를 통해 설명한다.Meanwhile, an embodiment of the sensing unit 120 and the timing circuit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state of use of the lo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접지창(1110)에 손가락을 얹지면 적외선 센서와 같은 감지수단(120)이 이를 감지하여 지문 스캐닝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적외선 센서는 타이밍회로(130)에 연계되어 접지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제어기(400)는 다음 과정을 결정짓게 된다.In general, when a finger is placed on the ground window 1110, the sensing means 120 such as an infrared sensor detects this and performs a fingerprint scanning operation. The infrared sensor is connected to the timing circuit 130 to measure the ground time, and based on this,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e next process.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센서 이외에 상기 감지수단(120)으로 버튼방식을 이용한다. 즉, 상기 접지창(1110)이 감지수단(120)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버튼방식으로 이루어져서, 손가락이 접지창(1110)에 압력을 가하여 누르면, 접지창(1110)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손가락이 접촉되었음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타이밍회로(130)가 구동되면서 손가락의 접촉시간을 측정하고, 일정시간동안 그 상태가 유지돠면 상기 이미지발생부(200)가 구동하면서 지문을 스캐닝하게 된다. 반면, 일정시간 이하로 그 상태가 끝나면 이미지데이터가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그 이미지데이터를 취소시키고, 이미지데이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500)에 저장시키는 한편 제어기(400) 또한 다음과정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 method is used as the sensing means 120 in addition to the infrared sensor. That is, the ground window 1110 is made of a button method so that the function of the sensing means 120, the finger presses the ground window 1110, the ground window 1110 is moved downward while the finger It detects contact. In this case, the timing circuit 130 is driven to measure the contact time of the finger, and if the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image generator 200 is driven to scan the fingerprint. On the other hand, if the image data has been form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ess, the image data is canceled. If the image data is not formed, the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500 while the controller 400 also Do not perform the following procedure.

상기 제시된 일실시예의 기술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으로 대신하며, 보다 상세한 기술구조는 이미 공지기술이므로 중복설명은 하지 않는다.Technical detail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replac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more detailed technical structures are already known, and thus will not be redundantly described.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또다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control method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본 개폐시스템이 적용된 시건장치(1000)가 이전에 기억된 제1이미지데이터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는 오류가 발생되거나, 장난으로 자신의 지문으로 도어(D)를 잠궈둔 경우, 보관함(C) 관리자는 이를 강제적으로 열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별도의 마스터해제수단이 필요한다.When the lock device (1000) to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is applied does not correctly recognize the previously stored first image data, or locks the door (D) with his fingerprint by mischief, the storage manager (C) Since it must be forced to open, a separate master release means is required for this.

이러한 경우는 관리자의 지문을 마스터데이터로 메모리(500)에 저장시켜두고 제2이미지데이터로서 제1이미지데이터가 아닌 마스터데이터와 일치하는 지문이 확인되면 기존의 제1이미지데이터를 삭제시키고 잠금기구(600, 1200)를 해제시키는 방법과, 마스터카드를 읽는 카드판독기구(800)를 더 보강하여 마스터카드의 특정 데이터가 입력되면 기존의 제1이미지데이터를 삭제시키고 잠금기구(600, 1200)를 해제시키는 방법과, 별도의 마스터열쇠를 통해 풀리는 자물쇠(L)를 잠금기구(600, 1200)에 연계시켜 해당 마스터열쇠로 인해 자물쇠(L)가 풀리면 잠금기구(600, 1200)는 열리고 기존의 제1이미지데이터는 삭제되는 방법 등이 있다.In this case, the fingerprint of the manager is stored in the memory 500 as master data, and when the fingerprint matching the master data is identified as the second image data instead of the first image data, the existing first image data is deleted and the locking mechanism ( And a method of releasing the 600 and 1200, and further reinforcing the card reading mechanism 800 that reads the master card, when specific data of the master card is input, the existing first image data is deleted and the locking mechanism 600 and 1200 are released. And a lock (L) released through a separate master key to the lock mechanism (600, 1200), and when the lock (L) is released due to the master key, the lock mechanism (600, 1200) is opened and the existing first Image data may be deleted.

따라서, S300 과정 이후에, 상기 예시된 방법에 대한 과정(S310)이 이루어지면, 그 일치여부를 확인하여(S320) 잠금기구(600, 1200)를 해제하고(S600), 기저장된 제1이미지데이터를 삭제시키게 된다.(S700)Therefore, after the process S300, if the process (S310) for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made, by checking the match (S320) to release the locking mechanism (600, 1200) (S600), the pre-stored first image data It will be deleted (S700).

이하에서는 상기 마스터열쇠 및 자물쇠(L)가 부가된 마스터해제수단의 일실시예를 도 12(자물쇠가 장착된 잠금기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를 통해 기술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master release means to which the master key and the lock L are add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th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 mechanism equipped with the lock).

잠금기구(1200')에는 자물쇠(1270)가 더 내장된다. 이 자물쇠(1270)는 상기 디스크(1230)와 연결되며, 자물쇠(1270)의 회전과 함께, 구동모터(1220)에 의해 180도 회전될 때와 마찬가지로 회전된다. 즉, 상기 자물쇠(1270)에 상응하는 열쇠를 시건장치(1000)의 자물쇠(L)에 꽂고 회전시키면, 자물쇠(1270)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디스크(1230) 또한 회전하면서 상기 빗장(1240)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The lock mechanism 1200 ′ further includes a lock 1270. The lock 1270 is connected to the disk 1230 and is rotat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lock 1270 is rotated 180 degrees by the drive motor 1220. That is, when a key corresponding to the lock 1270 is inserted into the lock L of the lock device 1000 and rotated, the disk 1230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lock 1270 also rotates to move the latch 1240. will be.

이때, 잠금기구(1200')에는 도어(D)가 잠금상태 인지 해제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센서(1280)가 더 장착되며, 이 센서(1280)는 제어기구(1100)의 명령에 의하지 않은 잠금기구(1200')의 구동여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구(11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구(1100)는 기저장된 제1이미지데이터를 삭제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물쇠(1270)를 통해 강제적으로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도어(D)가 열리더라도 그 다음 사용자는 자신의 비밀번호를 입력시켜 보관함(C)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locking mechanism 1200 ′ further includes a sensor 1280 that detects whether the door D is in a locked state or a released state, and the sensor 1280 is a locking mechanism that does not depend on a command of the control mechanism 1100. Detects whether or not the 1200 'is driven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mechanism 1100, and the control mechanism 1100 deletes the previously stored first image data. Therefore, even if the door D is opened by forcibly releasing the lock state through the lock 1270, the next user can use the storage box C by inputting his / her password.

미설명부호 '1210'은 제어기구(1100)와 잠금기구(1200)와의 통신수단으로, 상기 제어기구(1100)로부터 락 또는 언락신호를 받아 상기 잠금기구(1200)가 기계적으로 작동된다.Reference numeral 1210 denotes a communication means between the control mechanism 1100 and the locking mechanism 1200. The locking mechanism 1200 is mechanically operated by receiving a lock or unlock signal from the control mechanism 1100.

미설명부호 '1120'은 상기 잠금기구(1200)가 잠금상태인지 해제상태인지를 알려주는 표시기로, 상기 시스템(10")의 표시기구(900)가 적용/실현된 것이다.Reference numeral 1120 denotes an indicator indicating whether the locking mechanism 1200 is locked or released, and the display mechanism 900 of the system 10 is applied / implemented.

이러한 표시수단(300)은 다양한 구조로 실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기구(900)가 적용/실현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기술한다.The display means 300 may be realized in various structures.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mechanism 900 is applied /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표시기구(900)에 대한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of the display mechanism 900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표시기(1120)는 램프를 이용한 발광으로 사용여부를 구분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램프는 제어기(400)에 연결되어 도어(D)의 잠금 또는 해제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거나 차단되며, 이로써, 사용자는 다수의 보관함(C)들 중 사용가능한 보관함(C)을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게 된다. The indicator 1120 shown in FIGS. 8 and 9 is used to distinguish whether the light is emitted using a lamp, and the lamp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0 to supply power according to the locked or unlocked state of the door D. FIG. It is supplied or shut off,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a usable storage box C among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C.

표시기구(900)에 대한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of the Display Mechanism 90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에 위치된 빗장(1240')과 마주하는 표시구멍(D-3)을 도어(D)의 일면에 형성시켜, 사용자가 상기 빗장(1240')의 움직임을 표시구멍(D-3)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빗장(1240')의 이동에 따라 표시구멍(D-3)을 통해 외관으로 드러나는 일면에는 열림표시(F)와 닫힘표시(E)를 각각 소정위치에 표기함으로서 사용자는 보다 쉽게 도어(D)의 개폐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3, a display hole D-3 is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door D to face the latch 1240 'positioned inward, so that the user can display the movement of the latch 1240'. (D-3) to be visually confirmed, but the open display (F) and the closed display (E) on one surface exposed to the exterior through the display hole (D-3)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ar (1240 '). By marking at each predetermined position, the user can more easily know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D).

상기 열림표시(F) 및 닫힘표시(E)는 색을 입혀도 되고, '열림', '닫힘' 또는 '사용가능', '사용불가' 등 다양한 글자를 채택하여 표기할 수 있다.The open display (F) and the closed display (E) may be colored, and may be represented by adopting various letters such as 'open', 'close' or 'usable', 'not available'.

표시기구(900)에 대한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of the Display Mechanism 900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일면에 표시용손잡이(1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용손잡이(1300)이는 사용자가 도어(D)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표시기능이 더 부가된 것이다.As shown in FIG. 14 and FIG. 15, the display handle 1300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door D. FIG. The display handle 1300 is a part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D, and a display function is further added.

이러한 표시용손잡이(1300)는 상기 잠금기구(1200)의 구동으로 빗장(1240")이 잠기면 표시용손잡이(1300) 또한 안쪽으로 내입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짚을 수 없도록 되며, 외관상으로도 타인이 사용중임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When the display handle 1300 is locked by the latch 1240 "by the driving of the locking mechanism 1200, the display handle 1300 is also inserted inward so that the user cannot hold it with his or her hand. It is easy to see that.

반면, 잠금기구(1200)의 구동으로 빗장(1240")이 풀리면 표시용손잡이(1300)는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짚어 도어(D)를 열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관함(C)이 비사용중일 경우, 도어(D)는 잠겨있지 않으므로, 상기 표시용손잡이(1300)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외관상으로도 사용가능한 보관함(C)임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atch 1240 ″ is released by the driving of the locking mechanism 1200, the display handle 1300 protrudes to the outside to allow the user to open the door D by hand. In addition, the storage box C is When not in use, since the door (D) is not locked, the display handle (1300) is projected to the outside, it can be easily seen that the storage box (C) that can be used in appearance.

이를 위해, 다음의 구조를 갖다.To this end, it has the following structure.

도어(D)의 일면에는 상기 표시용손잡이(1300)의 출입이 가능한 관통구멍(D-2)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D-2)으로 상기 표시용손잡이(1300)가 유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표시용손잡이(1300)의 양단에는 지지턱(1330)이 형성되고, 이 지지턱(1330)은 안쪽으로 힘을 가하는 탄발부재(1340)와 연결된다. 표시용손잡이(1300)의 배면에는 지지롤러(1310)가 구비된다.One surface of the door D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D-2 through which the display handle 1300 is allowed to enter and exit, and the display handle 1300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D-2 to be movable. do. In this case, support jaws 133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display handle 1300, and the support jaws 1330 are connected to the bullet member 1340 that applies an inward force. A support roller 131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handle 1300.

계속해서, 상기 표시용손잡이(1300)의 배면과 지지롤러(1310)를 매개로 맞물리는 빗장(1240")의 일면은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홈(1240a)이 형성되어, 상기 빗장(1240")의 수평이동으로 인해 표시용손잡이(1300)가 가이드홈(1240a)을 따라 이동되도록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 및 디스크(1220, 1230)의 작동으로 빗장(1240")이 움직이면, 상기 가이드홈(523a)에 맞물린 표시용손잡이(530) 또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탄발부재(1340)의 힘에 의해 안쪽으로 이동되는 것이다.Subsequently, a guide groove 1240a having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atch 1240 "which is engaged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handle 1300 via the support roller 1310, so that the side of the latch 1240" is formed. Due to the horizontal movement, the display handle 1300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1240a. That is, when the latch 1240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disks 1220 and 1230, the display handle 530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523a also protrudes outward while mov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It is moved inward by the force of the member 1340.

앞서 기술된 제3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되는 표지물을 손으로 짚어 도어(D)의 열고 닫힘을 편리하게 하는 손잡이로 하였지만, 이외에도, 보관함(C)의 사용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을 갖는 표지물을 별도로 더 부가하여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state of use of the storage box C in addition to using a handle that facilitat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D by hand-marking the label that the user visually recognizes. Of course, the label having only a function to make it can be added and utilized separately.

미설명부호 '1400'은 보관함(C)의 안쪽에서 상기 빗장(1240')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편이다.Reference numeral '1400' is a fitting piece to which one end of the latch 1240 'is fitted and fixed from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C).

미설명부호 '1320'는 손잡이홈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곳이다.Reference numeral '1320' is a handle groove, where the user's fingers are inserted.

이러한 표시기구(900)는 상기 예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 the display mechanism 900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인식을 통한 개폐시스템이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인에게 이용되어지는 보관함에 장착됨으로서,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만의 신체적 특징인 지문을 이용해 상기 보관함의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고, 이로인해 별도의 열쇠나 개폐용 카드의 소지가 불필요해지므로, 상기 열쇠나 개폐용 카드에 대한 분실위험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이들을 소지함으로서 발생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보안에 대한 신뢰도 또한 크게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to be us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so that a number of users using the fingerprint of their own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door of the storage box Can be opened and closed,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key or opening / closing card, thereby fundamentally eliminating the risk of losing the key or opening / closing card and minimizing the hassle caused by having them. In addition, security reliability can be greatly increased.

Claims (7)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에 있어서,In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public storage box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손가락이 직접 접촉되는 입력창을 구비한 접지부와, 이 접지부에 맞닿은 손가락으로부터 지문을 스캐닝하는 이미지발생부와, 아날로그이미지를 디지털이미지로 변환하는 A/D변환기가 구비된 지문인식입력부; 이 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지문인식입력부로부터 발생된 제1이미지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면서 락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이미지데이터가 메모리에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지문인식입력부를 통해 제2이미지데이터의 입력이 있으면 제1이미지데이터와 제2이미지데이터를 대조하여 그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제1이미지데이터 및 제2이미지데이터가 일치되면 상기 메모리에 제1이미지데이터 삭제신호를 전송하면서 언락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된 제어기구,A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including a grounding unit having an input window in which a finger is in direct contact, an image generating unit scanning a fingerprint from a finger in contact with the grounding unit, and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image into a digital image; A memory in which this image data is stored; A lock signal is generated while transmitting the first image data generated from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to the memory, and if there is an input of the second image data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while the first image data i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A controller which checks whether the image data and the second image data are matched, and if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second image data match, transmits a first image data deletion signal to the memory and generates an unlock signal; Configured control mechanism, 이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락신호와 언락신호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잠금기구,A lock mechanism mechanically actuated in accordance with the lock signal and the unlo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eans; 상기 제어수단 및 잠금수단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control means and the locking means,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public storage box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문인식입력부에 손가락과 입력창 간의 접촉여부와 접촉시간을 감지하 는 감지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public storage box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further comprises a sensing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contact between the finger and the input window.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열쇠와;With a key; 상기 잠금수단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열쇠를 꽂아 작동시키면 잠금기구 또한 구동되면서 이 잠금기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자물쇠와;A lock which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locking means to lock and unlock the lock mechanism when the key is inserted and operated; 상기 잠금기구의 잠금상태가 강제로 해제상태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로 그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가 더 포함되고,And a sensor for detecting when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chanism is forcibly released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상기 제어기는 센서로부터 전송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제1이미지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삭제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And the controller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and transmits a deletion signal to delete the first image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잠금기구의 잠금 또는 해제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public storage box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means for confirming the locked or released state of the locking mechanism from the outside. 사용자의 지문을 스캐닝하여 이미지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지문인식입력부를 통해 초기 입력된 제1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되면, 락신호 또는 언락신호에 따라 기계적으로 잠기거나 열리도록 작동되는 잠금기구에 락신호를 전송하는 잠금단계와; 상 기 지문인식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2이미지데이터를 기저장된 상기 제1이미지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두 데이터가 일치되면 상기 잠금기구에 언락신호를 전송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보관함의 개폐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When the first image data initially input is stor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scanning the user's fingerprint and converting the image into image data, the lock signal is transmitted to a locking mechanism that is mechanically locked or opened according to the lock signal or the unlock signal. A locking step; And comparing the second image data inputt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with the previously stored first image data, checking whether the second image data is matched, and transmitting an unlock signal to the locking mechanism when the two data match.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public storage box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상기 제1이미지데이터와 제2이미지데이터가 일치할 경우에는 제1이미지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단계가 더 포함되어, 이전 사용자가 저장해 놓은 자신의 지문이미지에 상관없이 이후 사용자는 각자가 새로운 지문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어, 불특정 다수가 지문인식을 통해 공중 보관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If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second image data coincid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data deleting step of deleting the first image data, so that each subsequent user has a new fingerprint image regardless of his or her fingerprint image stored by the previous user. It can be stored, th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nspecified many to use the public storage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1이미지데이터에 상관없이 잠금상태인 상기 잠금기구가 해제상태로 구동되도록, 마스터의 지문을 스캐닝하여 마스터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이를 저장하는 마스터데이터 설정단계가 더 포함되고;A master data setting step of scanning a fingerprint of the master and converting the fingerprint into master data so as to be driven in a unlocked state regardless of the first image data, and storing the master data; 상기 지문인식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2이미지데이터와 상기 마스터데이터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두 데이터가 일치하면 상기 잠금기구에 언락신호를 전송하면서 상기 제1데이터를 삭제하는 마스터데이터 확인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Confirming whether the second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nput unit and the master data is matched and if the two data match the master data confirmation step of deleting the first data while transmitting the unlock signal to the locking mechanism further comprises;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잠금기구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자물쇠에 열쇠를 꽂아 작동시키면, 잠금상태의 잠금기구가 해제되도록 하는 해제단계;A release step of releasing a lock mechanism in a locked state when the key is inserted into a lock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lock mechanism; 상기 잠금기구가 해제되면 기저장되어 있던 제1이미지데이터가 삭제되는 제1이미지데이터 삭제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And a first image data deleting step of deleting previously stored first image data when the locking mechanism is released.
KR1020030073365A 2003-10-21 2003-10-21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fingerprint record in Cabinet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KR1005643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365A KR100564308B1 (en) 2003-10-21 2003-10-21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fingerprint record in Cabinet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365A KR100564308B1 (en) 2003-10-21 2003-10-21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fingerprint record in Cabinet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137A KR20050038137A (en) 2005-04-27
KR100564308B1 true KR100564308B1 (en) 2006-03-29

Family

ID=3724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365A KR100564308B1 (en) 2003-10-21 2003-10-21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fingerprint record in Cabinet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3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5098B (en) 2016-03-16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Unlocking screen method, image-pickup method and the device of a kind of electric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137A (en)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652B1 (en) Locking doorknob which recognizes a finger print
JP6389823B2 (en) Door system with contactless access control and contactless door operation
US7463132B2 (en) Door lock and operation mechanism
JP4140313B2 (en) Personal authentication device, locking device
US20060114099A1 (en) Door lock and operation mechanism
US20030141959A1 (en) Fingerprint biometric lock
US20150128667A1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20030023855A1 (en) High security storage unit and biometric entry system
KR100564308B1 (en)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fingerprint record in Cabinet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JPH0828109A (en) Pattern detecting handle, pattern detecting pressing plate, and unlocking device using them
JP5171682B2 (en) Locking / unlocking system and locking / unlocking method
KR100774029B1 (en) Security area's exit and entrance control device
JP2012202072A (en) Electric lock system
JPH08218689A (en) Key housing device
KR100380005B1 (en) Deposit boxes security system
KR100649268B1 (en)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password in Cabinet
JP4488495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JPH11339004A (en) Fingerprint collating machine
KR200189358Y1 (en) Door handle having a fingerprint device
KR102155597B1 (en) A method for controling a operation for a door
JP2971055B2 (en) Lock unit
KR200363941Y1 (en) Door lock apparatus using secret number and fingerprint
KR20170023460A (en) The doorpull shaped doorlock assembly using user's fingerprint and grip pattern
JP2007205132A (en) Card lock system
KR20000054306A (en) Neighboring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