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238B1 -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Google Patents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238B1
KR100557238B1 KR1020030101281A KR20030101281A KR100557238B1 KR 100557238 B1 KR100557238 B1 KR 100557238B1 KR 1020030101281 A KR1020030101281 A KR 1020030101281A KR 20030101281 A KR20030101281 A KR 20030101281A KR 100557238 B1 KR100557238 B1 KR 100557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de
organic light
panel type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2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69313A (en
Inventor
박재용
김관수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1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238B1/en
Priority to DE102004031109.9A priority patent/DE102004031109B4/en
Priority to CNB2004100500282A priority patent/CN100435348C/en
Priority to JP2004191452A priority patent/JP4554289B2/en
Priority to GB0414545A priority patent/GB2409756B/en
Priority to US10/878,519 priority patent/US7385348B2/en
Priority to FR0407231A priority patent/FR2864705B1/en
Priority to TW093132161A priority patent/TWI258321B/en
Publication of KR2005006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3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238B1/en
Priority to GB0623860A priority patent/GB2434244B/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첫째, 어레이 소자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서로 다른 기판 상에 형성하기 때문에 생산수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수명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으며, 둘째, 상부발광방식이기 때문에 박막트랜지스터 설계가 용이해지고 고개구율/고해상도 구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세째, 격벽에 의해 별도의 섀도우 마스크(shadow mask)없이 자동 패터닝된 구조로 유기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네째, 진공도를 높이고,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게터 물질인 흡습성 금속물질을 이용하여 제 1 기판 상의 스토리지 캐패시터부 상에 흡습막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흡습제 실장 공간을 생략하면서도 수분에 의한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패널의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since the array devic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re formed on different substrates, the production yield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product life can be improved. Secondly, because of the top emitting method, it is easy to design thin film transistor, improve high aperture ratio / high resolution, and improve reliability. Third, it is automatically patterned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shadow mask by the partition wall.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can be formed, process efficiency can be increased. Fourth, a moisture absorption film is formed on the storage capacitor part on the first substrate by using a hygroscopic metal material, which is a getter material that can increase the degree of vacuum and remove moisture. By eliminating the space for mounting a separate absorbent while preventing product defects caused by moisture. It can prevent and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panel.

Description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소자 패널에 대한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anel.

도 2a, 2b는 종래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한 화소 영역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상기 도 2a의 절단선 "IIb-IIb"에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2A and 2B are views of one pixel area of a conventional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FIG. 2A is a plan view, and FIG. 2B show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 IIb-IIb " One sec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한 대한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al panel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제 1 기판의 어느 한 화소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의 절단선 "IVb-IVb"에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4A and 4B are views of a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lan view of one pixel portion of a first substrate, and FIG. 4B is a cutaway view of FIG. 4A. Cross section showing a section cut along the line "IVb-IVb".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에에 따른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한 화소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pixel portion region of a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제 1 기판 : 210 게이트 전극 : 218First substrate: 210 gate electrode: 218

게이트 절연막 : 220 반도체층 : 224Gate insulating film: 220 semiconductor layer: 224

액티브층, 오믹콘택층 : 224a, 224bActive layer, ohmic contact layer: 224a, 224b

제 1 커패시터 전극 : 238 소스 전극 : 240First capacitor electrode: 238 Source electrode: 240

드레인 전극 : 242 제 2 콘택홀 : 244Drain electrode: 242 Second contact hole: 244

제 1 보호층 : 246 파워 전극 : 248 First protective layer: 246 power electrode: 248

제 2 커패시터 전극 : 250 파워 배선 : 252Second capacitor electrode: 250 power wiring: 252

제 3 콘택홀 : 254 제 2 보호층 : 2563rd contact hole: 254 2nd protective layer: 256

돌출 패턴 : 258 연결 전극 : 260Protruding pattern: 258 Connecting electrode: 260

전기적 연결패턴 : 262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262

구동용 박막트랜지스터 : Td 스토리지 커패시터 : Cst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Storage Capacitor: Cst

화소 영역 : PPixel Area: P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픽셀 구동부(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소자층)와 발광부(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서로 다른 기판에 형성되고, 두 소자는 별도의 전기적 연결패턴을 통해 연결되는 방식의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Active-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및 그 제조방법에 관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in particular, a pixel driver (array element layer including a thin film transistor) and a light emitting part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device including a light emitting layer) are formed on different substrates. In addition, the two devices are related to a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tive-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are connected through separate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s.

새로운 평판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자체발광형이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대조비 등이 우수하며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박형이 가능하고,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그리고 직류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전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온도범위도 넓으며 특히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One of the new flat panel display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self-luminous, and thus has a better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tha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drive DC low voltage, fast response speed, and all solid, it is strong against external shock, wide use temperature range, and especially inexpensive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특히, 상기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액정표시장치나 PDP(Plasma Display Panel)와 달리 공정이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증착 및 봉지(encapsulation) 장비가 전부라고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s a very simple process unlik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 plasma display panel (PDP), deposition and encapsulation equipment are all.

이하,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소자 패널에 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anel.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기판(10, 60)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고, 제 1 기판(10) 상에는 화면을 구현하는 최소 단위인 화소 영역(P)별로 박막트랜지스터(T)를 포함하는 어레이 소자층(AL)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레이 소자층(AL) 상부에는 제 1 전극(48), 유기발광층(54), 제 2 전극(56)이 차례대로 적층된 구조의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E)가 형성되어 있다. 유기발광층(54)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제 1, 2 전극(48, 56) 중 투광성을 가지는 전극 쪽으로 발광되어, 상부발광 또는 하부발광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한 예로 제 1 전극(48)이 투광성 물질에서 선택되어 유기발광층(54)에서 발광된 빛이 제 1 전극(48)쪽으로 발광되는 하부발광 방식 구조를 제시하였다. As illustrate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0 and 6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T is included on the first substrate 10 for each pixel region P, which is a minimum unit for implementing a screen. An array element layer AL is forme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electrode 48,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54, and a second electrode 56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array element layer AL. The diode element E is form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54 is emitted toward the transmissive electrod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8 and 56, and may be classified into an upper light emitting method or a lower light emitting method. The bottom emission type structure in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54 selected from the translucent material is emitted toward the first electrode 48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제 2 기판(60)은 일종의 인캡슐레이션 기판으로서, 그 내부에는 오목부(62)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62) 내에는 외부로부터의 수분흡수를 차단하여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E)를 보호하기 위한 흡습제(64)가 봉입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ubstrate 60 is a kind of encapsulation substrate, and a recess 62 is formed therein,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s blocked in the recess 62 to absorb moisture from the outside. The moisture absorbent 64 for protecting (E) is enclosed.

상기 제 1, 2 기판(10, 60)의 가장자리부는 씰패턴(70)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 Edg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0 and 60 are sealed by a seal pattern 70.

이하, 도 2a, 2b는 종래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한 화소 영역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상기 도 2a의 절단선 "IIb-IIb"에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주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2A and 2B are views of one pixel area of a conventional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FIG. 2A is a plan view, and FIG. 2B i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 IIb-IIb "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components.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기판(10) 상에 버퍼층(12)이 형성되어 있고, 버퍼층(12) 상부에는 반도체층(14)과 커패시터 전극(16)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도체층(14) 중앙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8), 게이트 전극(20)이 차례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층(14)은 게이트 전극(20)과 대응되는 활성 영역(IIc)과, 활성 영역(IIc)의 좌, 우 양측 영역은 드레인 영역(IId) 및 소스 영역(IIe)으로 각각 정의된다. As illustrated, a buffer layer 12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miconductor layer 14 and the capacitor electrode 16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uffer layer 12. (14) The gate insulating film 18 and the gate electrode 20 are formed in order in the center part. The semiconductor layer 14 is defined as an active region IIc corresponding to the gate electrode 20,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ctive region IIc are defined as a drain region IId and a source region IIe, respectively.

상기 게이트 전극(20) 및 커패시터 전극(16)을 덮는 영역에는 제 1 보호층(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보호층(24) 상부의 커패시터 전극(16)과 대응된 위치에는 파워 전극(26)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된 전력공급 배선(28)에서 분기되어 있다. A first passivation layer 24 is formed in an area covering the gate electrode 20 and the capacitor electrode 16, and a power electrode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pacitor electrode 16 on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4. And branched from the power supply wiring 28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파워 전극(26)을 덮는 기판 전면에는 제 2 보호층(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2 보호층(24, 30)에는 공통적으로 반도체층(14)의 드레인 영역(IId)과 소스 영역(IIe)을 노출시키는 제 1, 2 콘택홀(32, 34)을 가지고 있고, 제 2 보호층(30)은 파워 전극(26)을 일부 노출시키는 제 3 콘택홀(36)을 가지고 있다. A second passivation layer 30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covering the power electrode 26. The first and second passivation layers 24 and 30 have a drain region IId of the semiconductor layer 14 in commo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32 and 34 expose the source region IIe,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30 includes the third contact hole 36 partially expose the power electrode 26. .

상기 제 2 보호층(30) 상부에는, 제 1 콘택홀(32)을 통해 반도체층(14)의 드레인 영역(IId)과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40)과, 일측에서는 제 2 콘택홀(34)을 통해 반도체층(14)의 소스 영역(IIe)과 연결되고, 또 다른 일측에서는 제 3 콘택홀(36)을 통해 파워 전극(26)과 연결되는 소스 전극(38)이 형성되어 있다. The drain electrode 40 connected to the drain region IId of the semiconductor layer 14 through the first contact hole 32 and the second contact hole 34 on one side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30. The source electrode 38 is connected to the source region IIe of the semiconductor layer 14 through the third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38 is connected to the power electrode 26 through the third contact hole 36.

상기 드레인 전극(40) 및 소스 전극(38)을 덮는 영역에는, 드레인 전극(40)을 일부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46)을 가지는 제 3 보호층(44)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region covering the drain electrode 40 and the source electrode 38, a third protective layer 44 having a drain contact hole 46 exposing a part of the drain electrode 40 is formed.

상기 제 3 보호층(44) 상부에는 발광부(EA)가 정의되어 있고, 발광부(EA)에는 드레인 콘택홀(46)을 통해 드레인 전극(40)과 연결되는 제 1 전극(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전극(48) 상부에는 제 1 전극(48)의 주 영역을 노출시키며 그외 영역을 덮는 위치에 층간 절연막(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층간 절연막(50) 상부의 발광부(EA)에는 유기발광층(54)이 형성되어 있고, 유기발광층(54) 상부 전면에는 제 2 전극(56)이 형성되어 있다. A light emitting part EA is defined on the third protection layer 44, and a first electrode 48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40 is formed in the light emitting part EA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46.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50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48 to expose the main area of the first electrode 48 and cover the other area, and the light emitting part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50.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54 is formed on EA, and a second electrode 56 is form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54.

상기 반도체층(14), 게이트 전극(20), 소스 전극(38) 및 드레인 전극(40)은 박막트랜지스터(T)를 이루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는 상기 게이트 배선(22) 및 데이터 배선(42)이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와 전력공급 배선(28)이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로 이루어진다. The semiconductor layer 14, the gate electrode 20, the source electrode 38, and the drain electrode 40 form a thin film transistor T,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T includes the gate wire 22 and the data wire (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s is positioned at the point where the cross section 42 is crossed,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is positioned at the point where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s and the power supply wiring 28 cross each other.

상기 도 2b에서 제시한 박막트랜지스터(T)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에 해당된다. The thin film transistor T shown in FIG. 2B corresponds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즉, 전술한 게이트 전극(20)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과 연결되고, 전술한 드레인 전극(40)은 아일랜드 패턴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게이트 배선(22) 및 데이터 배선(42)에서 분기되는 게이트 전극(20) 및 소스 전극(38)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를 이룬다. That is, the above-described gate electrode 20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s, and the above-described drain electrode 40 has an island pattern structure, and is branched from the gate wire 22 and the data wire 42. The gate electrode 20 and the source electrode 38 form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s.

상기 파워 전극(26)을 포함하여 전력공급 배선(28)과 커패시터 전극(16)이 중첩되는 영역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이룬다. The region in which the power supply wiring 28 and the capacitor electrode 16 overlap each other including the power electrode 26 forms a storage capacitor Cst.

상기 도 1, 도 2a, 2b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의 하부발광방식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어레이 소자 및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기판과 별도의 인캡슐레이션용 기판의 합착을 통해 소자를 제작하였다. 이런 경우, 어레이 소자의 수율과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의 수율의 곱이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수율을 결정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기전계발광 소자 구조에서는 후반 공정에 해당되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공정에 의해 전체 공정 수율이 크게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어레이 소자가 양호하게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1,000 Å 정도의 박막을 사용하는 유기발광층의 형성시 이물이나 기타 다른 요소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불량 등급으로 판정된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A, and 2B, the conventional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s manufactured by bonding an array device and a substrate o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formed and a separate encapsulation substrate. . In this case, since the product of the yield of the array device and the yield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termines the yield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e overall organic proc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yields the overall process yield by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process. There was a problem that is greatly limited. For example, even if the array element is satisfactorily formed, if a defect occurs due to foreign matter or other elements in the form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using a thin film of about 1,000 GPa,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is determined to be a poor grade.

이로 인하여, 양품의 어레이 소자를 제조하는데 소요되었던 제반 경비 및 재료비 손실이 초래되고, 생산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is results in a loss of overall costs and material costs that were required to manufacture the array device of good qualit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yield is lowered.

그리고, 하부발광방식은 인캡슐레이션에 의한 안정성 및 공정이 자유도가 높은 반면 개구율의 제한이 있어 고해상도 제품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부발광방식은 박막트랜지스터 설계가 용이하고 개구율 향상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수명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기존의 상부발광방식 구조에서는 유기발광층 상부에 통상적으로 음극이 위치함에 따라 재료선택폭이 좁기 때문에 투과도가 제한되어 광효율이 저하되는 점과, 광투과도의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박막형 보호막을 구성해야 하는 경우 외기를 충분히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bottom emission method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and stability due to the encapsulation process,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be applied to a high-resolution product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aperture ratio. In terms of product life, the conventional top emission type structure has a narrow material selection range as the cathode is generally locat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so the transmittance is limited and the light efficiency is reduced. When the thin film protection film should be configu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sufficiently block outside air.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생산수율이 향상된 고해상도/고개구율 구조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resolution / high aperture structure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production yiel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픽셀 구동부(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소자층)와 발광부(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서로 다른 기판에 형성되고, 두 소자는 별도의 전기적 연결패턴을 통해 연결되는 방식의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xel driver (array element layer including a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light emitting unit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device including a light emitting layer) are formed on different substrates, and the two devices are formed through separate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panel type OL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자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흡습 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흡습제 실장 공간을 생략할 수 있는 구조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which can omit a separate absorbent mounting space in constituting a moisture absorbing means for removing moisture inside the devic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패널 내부의 진공도를 높이기 위한 금속물질인 게터 물질을 이용하여,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소자가 형성된 기판 상의 박막트랜지스터와 배선 형성부 이외의 영역에 흡습막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getter material, which is a metal material for increasing the degree of vacuum inside the panel, a moisture absorption film is form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wiring forming portion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array element including the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To achieve the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서는,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교차되는 영역은 화소 영역으로 정의되는 다수 개의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파워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파워 배선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및 구동 소자로 이용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화소 영역별로, 상기 배선 들 및 박막트랜지스터 형성부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상기 구동 소자로 이용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전기적 연결패턴과;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대응된 상부에 형성되며, 흡습성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흡습막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되는 제 2 기판 하부에 위치하며, 제 1 전극, 유기발광층, 제 2 전극이 차례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은 전기적 연결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ate wirings, data wirings, and power wirings ar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crossing regions are defined as pixel regions; A thin film transistor used as a switching element and a driving element for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gate line, the data line, and the power line; Storage capacitors formed in regions other than the wirings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forming unit for each pixel region; An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used as the driving element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hygroscopic film formed on an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capacitor and made of a hygroscopic metal material;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substrate to face the first substrate, and the first electr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in turn, and the secon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It provides a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nnected to.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서는, 제 1 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게이트 배선과;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 2 방향으로 데이터 배선과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 개의 파워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어느 한 구동 전극과 파워 배선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발광휘도를 조절하는 구동 소자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소자는 게이트 전극, 반도체층,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소자용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제 1 커패시터 전극과, 상기 파워 배선과 연결되는 제 2 커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 1, 2 커패시터 전극 간에 절연체가 개재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상기 구동 소자로 이용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전기적 연결패턴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되는 제 2 기판 하부에 위치하며, 제 1 전극, 유기발광층, 제 2 전극이 차례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은 전기적 연결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gate wiring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on a first substrate; A plurality of data lines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power wire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ata wir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witching element for controlling a voltage applied from the gate line and a data line, and a driving element for adjusting light emission luminance by using any one of the driving electrodes of the switching element and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line. A thin film transistor comprising a gate electrode, a semiconductor layer,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A storage capacitor having a first capacitor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for the switching element, a second capacitor electrode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and an insul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 electrodes; An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used as the driving element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substrate to face the first substrate, and the first electr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in turn, and the secon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It provides a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nnected to.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서는, 제 1 기판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파워 배선으로 이루어진 금속 배선 그룹과, 상기 금속 배선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다수 개의 박막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픽셀 구동부와; 상기 픽셀 구동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전기적 연결패턴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되는 제 2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전기적 연결패턴을 통해 픽셀 구동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부와; 상기 픽셀 구동부에서, 상기 금속 배선 그룹과 다수 개의 박막트랜지스터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며, 흡습성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흡습막을 포함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xel driver is formed on a first substrate and includes a metal wiring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gate wirings, data wirings, and power wirings, and 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for controlling a voltage applied from the metal wirings. Wow; An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on the pixel driv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light emitting part on the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the light emitting part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o receive current from the pixel driver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The pixel driver provides a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ich is position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metal wiring group and the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and includes a moisture absorption film made of a hygroscopic metal material.

상기 제 1 내지 3 특징에 따른 상기 흡습성 금속물질은, 진공도를 높이고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게터(gatter) 물질에서 선택되고, 상기 게터 물질은, 원소주기율표 기준으로 지르코늄(Zr), 티탄(Ti), 하프늄(Hf)을 포함하는 IVA족 물질과, 바나듐(V), 니오브(Nb), 탄탈(Ta), 크롬(Cr), 몰리브덴(Mo), 텅스텐(W)을 포함하는 VA족 물질과, 철(Fe), 루테늄(Ru), 오스뮴(Os)을 포함하는 VIIA족 물질과, 니켈(Ni), 코발트(Co)를 포함하는 VIIIA족 물질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고, 상기 게터 물질은, IB족, IIIB족, IA족, VB족, VIB족, VIIB족, VIIIB족, IB족 물질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ygroscopic metal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features is selected from a getter material for increasing the degree of vacuum and removing moisture, and the getter material is zirconium (Zr), titanium (Ti), Group IVA material containing hafnium (Hf), Group VA material including vanadium (V), niobium (Nb), tantalum (Ta), chromium (Cr), molybdenum (Mo), tungsten (W), and iron (Fe), ruthenium (Ru), osmium (Os) group VIIA material containing any one, and nickel (Ni), cobalt (Co) group selected from any one of the group VIIIA material, the getter material, IB group , Group IIIB, Group IA, Group VB, Group VIB, Group VIIB, Group VIIIB,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B.

상기 제 1 내지 제 3 특징에 따른 상기 흡습막은 증착 공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증착 공정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진공증착(evaporation)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며, 상기 유기발광층은, 상기 화소 영역별로 적, 녹, 청 발광층이 차례대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기발광층은 단색 발광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기판과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 사이에는 컬러필터층 단일 구조 또는 컬러필터층과 색변환층인 CCM(color-changing mediums) 이중 구조 중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isture absorbing film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features is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and the deposition process is selected from one of sputtering and evaporation,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applied to each pixel region. ,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layers are sequentially formed,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made of a single color light emitting material, and a single color filter layer or a color filter layer and a color conversion layer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color-changing medium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dual structure is further included.

상기 제 1 내지 제 3 특징에 따른 상기 제 1 전극은 기판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 하부의 비화소 영역에는 층간절연막과, 역테이퍼 구조로 일정 두께를 갖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자동 패터닝되어 유기발광층 및 제 2 전극은 화소 영역별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전극은, 투광성을 가져 상부발광방식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 1 전극은 양극(anode electrode)이 고, 상기 제 2 전극은 음극(cathode electrode)이며, 상기 제 1 전극은 투명 도전성 물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features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and a partition wal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ith an inverse taper structure are formed in the non-pixel region below the first electr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automatically patterned by the pixel region, and the first electrode is light-transmitted, and the first electrode is an anode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is a cathode, and the first electrode is selected from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는, 독립적인 발광방식의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한 실시예이다.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of an independent light emitting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제 1 실시예 --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한 대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기판(110, 130)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고, 제 1 기판(110) 상부에는 박막트랜지스터(T)를 포함하는 어레이 소자층(A)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레이 소자층(A) 상부에는 박막트랜지스터(T)와 연결되는 일정 두께를 갖는 전기적 연결패턴(120)이 형성되어 있다. As illustrate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0 and 13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array element layer A including the thin film transistor T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0. An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12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 is formed on the array element layer A.

상기 전기적 연결패턴(120)이 갖는 일정 두께는, 상기 전기적 연결패턴(120)에 의해 서로 다른 기판 상에 형성되는 픽셀 구동부와 발광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두께범위에서 선택된다. 즉, 상기 전기적 연결패턴(120)의 두께는 두 기판 간의 셀 갭과 대응되는 값에서 선택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thickness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120 is selected from a thickness range that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pixel driver and the light emitting parts formed on different substrates by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120.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120 may be selected from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cell gap between the two substrates.

그리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는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발광 휘도를 조절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에 해당되며, 비정질 실리콘 물질을 이용한 역스태거형 박 막트랜지스터 구조를 이루고 있다. The thin film transistor T corresponds to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has a reverse staggered thin film transistor structure using an amorphous silicon material.

상기 제 2 기판(130) 하부 전면에는 제 1 전극(132)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전극(132) 하부의 화소 영역(P)간 경계부에 위치하는 비화소 영역(NP ; non-pixel area)에는 층간절연막(138)과, 역테이퍼 구조로 일정 두께를 갖는 격벽(140)이 차례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140) 간 사이 구간에는 격벽(140)에 의해 자동패터닝된 구조로 유기발광층(142), 제 2 전극(144)이 차례대로 형성되어 있다. A first electrode 132 is formed on a lower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130, and a non-pixel area NP is disposed at a boundary between the pixel areas P under the first electrode 132.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38 and the partition wall 14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reverse taper structure are formed in this orde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has a structure automatically patterned by the partition wall 140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40. ), The second electrode 144 is formed in order.

상기 격벽(140)이 가지는 일정 두께는, 상기 격벽(140)에 의해 유기발광층(142) 및 제 2 전극(144)을 화소 영역(P)별로 분리시킬 수 있는 두께범위에서 선택된다. The predetermined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140 is selected from a thickness range i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nd the second electrode 144 may be separated by the pixel area P by the partition wall 140.

상기 유기발광층(142)은, 적, 녹, 청 발광층(142a, 142b, 142c)이 화소 영역(P) 단위로 차례대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2 전극(136, 144)과, 제 1, 2 전극(136, 144) 사이에 개재된 유기발광층(142)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E)를 이룬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has a structure in which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layers 142a, 142b, and 142c are formed in order of pixel regions P,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36 and 144,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36 and 144 form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E).

그리고, 상기 제 1 전극(132)은 투광성을 가지는 물질에서 선택되어, 유기발광층(142)에서 발광된 빛은 제 1 전극(132)쪽으로 발광되는 상부발광 방식으로 화면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예로, 상기 제 1 전극(132)이 양극(anode electrode), 제 2 전극(144)이 음극(cathode electrode)에 해당될 경우, 제 1 전극(132)은 투명 도전성 물질에서 선택되고, 한 예로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132 is selected from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is implemented in a top-emitting manner in which the light is emitted toward the first electrode 132. For example, when the first electrode 132 corresponds to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44 corresponds to a cathode, the first electrode 132 is selected from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t may be made of indium tin oxide (ITO).

그리고, 상기 제 1, 2 기판(110, 130)은, 두 기판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씰패턴(150)에 의해 합착되어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0 and 130 are bonded to each other by seal patterns 150 positioned at edges of the two substrates.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구조에 의하면, 첫째, 어레이 소자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서로 다른 기판 상에 형성하기 때문에 생산수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수명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으며, 둘째, 상부발광방식이기 때문에 박막트랜지스터 설계가 용이해지고 고개구율/고해상도 구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세째, 격벽에 의해 별도의 섀도우 마스크(shadow mask)없이 자동 패터닝된 구조로 유기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ccording to the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since the array devic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re formed on different substrates, the production yield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product life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Second, because of the top emitting method, the thin film transistor can be easily designed, high aperture ratio / high resolution can be realized,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Thir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an be automatically patterned without a separate shadow mask by the partition wall. And since the second electrode can be formed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process efficiency.

도면으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풀컬러 구현을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독립발광방식 이외에, 컬러필터층 단일 구조 또는, 컬러필터층 및 색변환층인 CCM(Color-changing Mediums)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풀컬러 구현소자를 구비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풀컬러 구현소자가 구비되는 경우, 유기발광층은 단색발광물질로 이루어진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implement full color, in addition to the independent light emi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full color implementation device having a single color filter layer structure or a dual color structure of CCM (color-changing mediums) as a color filter layer and a color conversion layer is provided. It may include a structure having. When the separate full color implementation device is provid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made of a single color light emitting material.

그러나,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소자와 비교해서,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패널의 단점은 패널 내부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패턴을 실장할 공간을 별도로 구비할 수 없다는 것이다. However, a disadvantage of the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anel,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that a space for mounting a moisture absorption pattern absorbing moisture inside the panel cannot be provided separately.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소자에서는 상부 기판에 별도의 소자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상부 기판의 내부면에 흡습제를 인입하는 구조로 흡습 기능이 갖추어졌으나, 듀얼패널의 경우 두 기판에 각각 픽셀 구동부 및 발광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로 흡습제를 구비할 여유 공간을 갖추지 못하는 단 점이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convention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since a separate device is not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a moisture absorbing function is provided by introducing an absorbent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Since the pixel driving part and the light emitting part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abov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free space separately for the moisture absorbent.

이하,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흡습제 실장 공간없이 흡습제를 구비하는 구조의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한 실시예이다. Hereinaft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a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structure having a moisture absorbent without a separate moisture absorbent mounting space.

-- 제 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제 1 기판의 어느 한 화소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의 절단선 "IVb-IVb"에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4A and 4B are views of a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lan view of one pixel portion of a first substrate, and FIG. 4B is a cutaway view of FIG. 4A.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cross section cut along the line "IVb-IVb".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기판(210) 상에 제 1 방향으로 스위칭용 게이트 전극(212)을 가지는 게이트 배선(2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용 게이트 전극(212) 및 게이트 배선(214)과 이격되게,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을 주 방향으로 하여 아일랜드 패턴 구조로 스위칭용 게이트 전극(212)과 인접한 위치의 연결 배선(216)과, 상기 연결 배선(216)에서 연장형성되어 게이트 전극(218)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a gate wiring 214 having a switching gate electrode 212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210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switching gate electrode 212 and the gate wiring 214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line 216 adjacent to the switching gate electrode 212 in an island pattern structure with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s a main direction. The gate electrode 218 is formed.

그리고, 상기 스위칭용 게이트 전극(212), 게이트 배선(214), 연결 배선(216), 게이트 전극(218)을 덮는 영역에는 게이트 절연막(220)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220) 상부의 스위칭용 게이트 전극(212) 및 게이트 전극(218)을 각각 덮는 위치에는 아일랜드 패턴구조의 스위치용 반도체층(222) 및 반도체층(2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gate insulating film 220 is formed in an area covering the switching gate electrode 212, the gate wiring 214, the connection wiring 216, and the gate electrode 218. The switch semiconductor layer 222 and the semiconductor layer 224 each having an island pattern structure are formed at positions covering the gate electrode 212 and the gate electrode 218, respectively.

상기 반도체층(224)은, 순수 비정질 실리콘 물질로 이루어진 액티브층(224a) 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 물질로 이루어진 오믹콘택층(224b)으로 이루어지며, 도면으로 상세히 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스위칭용 반도체층(222)도 반도체층(224)과 동일한 단면구조를 가진다. The semiconductor layer 224 is composed of an active layer 224a made of pure amorphous silicon material and an ohmic contact layer 224b made of impurity amorphous silicon material.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semiconductor layer for switching ( 222 also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tructure as the semiconductor layer 224.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연결 배선(216)을 일부 노출시키는 제 1 콘택홀(230)을 가진다. The gate insulating layer 220 has a first contact hole 230 partially exposing the connection line 216.

상기 스위칭용 반도체층(222) 및 반도체층(224) 상부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위치하며, 스위칭용 소스 전극(234)을 가지는 데이터 배선(232)과, 상기 스위칭용 소스 전극(234)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제 1 콘택홀(230)을 통해 연결 배선(216)과 연결되는 스위칭용 드레인 전극(236)과, 상기 스위칭용 드레인 전극(236)에서 연장형성된 제 1 커패시터 전극(238)이 형성되어 있다. A data line 232 disposed on the switching semiconductor layer 222 and the semiconductor layer 224 in the second direction and having a switching source electrode 234, the switching source electrode 234, A switching drain electrode 236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216 through the first contact hole 230 and a first capacitor electrode 238 extending from the switching drain electrode 236 are formed. It is.

또한, 상기 반도체층(224)의 양측과 중첩된 위치에는 아일랜드 패턴 구조의 소스 전극(240) 및 드레인 전극(2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ource electrode 240 and the drain electrode 242 having an island pattern structure are formed at positions overlapping both sides of the semiconductor layer 224.

상기 스위칭용 게이트 전극(212), 스위칭용 반도체층(222), 스위칭용 소스 전극(234), 스위칭용 드레인 전극(236)은 스위칭용 박막트랜지스터(Ts)를 이루고, 상기 게이트 전극(218), 반도체층(224), 소스 전극(240), 드레인 전극(242)은 구동용 박막트랜지스터(Td)를 이룬다. The switching gate electrode 212, the switching semiconductor layer 222, the switching source electrode 234, and the switching drain electrode 236 constitute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s, and the gate electrode 218, The semiconductor layer 224, the source electrode 240, and the drain electrode 242 form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도면으로 상세히 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스위칭용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구동용 박막트랜지스터는 스위칭용 박막트랜지스터와 파워 배선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발광휘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erves to control the voltage applied in the gate wiring and the data wiring,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emits light using the voltage applied in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power wiring. It controls the brightness.

상기 스위칭용 박막트랜지스터(Ts) 및 구동용 박막트랜지스터(Td)를 덮는 영역에는, 상기 소스 전극(240)을 일부 노출시키는 제 2 콘택홀(244)을 가지는 제 1 보호층(246)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보호층(246) 상부에는 제 2 방향으로 데이터 배선(232)과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제 2 콘택홀(244)을 통해 소스 전극(240)과 연결되는 파워 전극(248)과, 상기 제 1 커패시터 전극(238)과 중첩되게 위치하는 제 2 커패시터 전극(250)을 가지는 파워 배선(252)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region covering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s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a first protective layer 246 having a second contact hole 244 exposing the source electrode 240 is formed. And a power electrode 248 disposed on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46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ata line 232 in a second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240 through the second contact hole 244. In addition, a power line 252 having a second capacitor electrode 250 positioned to overlap the first capacitor electrode 238 is formed.

상기 제 1, 2 커패시터 전극(238, 250)이 중첩된 영역은 제 1 보호층(246)이 개재된 상태에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이룬다. The reg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 electrodes 238 and 250 overlap each other forms a storage capacitor Cst in a state where the first protective layer 246 is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게이트 배선(214), 데이터 배선(232), 파워 배선(252)이 교차되는 영역은 화소 영역(P)으로 정의된다. An area where the gate line 214, the data line 232, and the power line 252 intersect is defined as a pixel area P. FIG.

그리고, 상기 파워 배선(252), 파워 전극(248), 제 2 커패시터 전극(250)을 덮는 영역에는, 상기 제 1 보호층(246)과 공통적으로 드레인 전극(242)을 일부 노출시키는 제 3 콘택홀(254)을 가지는 제 2 보호층(256)이 형성되어 있고, 제 3 콘택홀(254)과 인접한 화소 영역(P)에는 일정두께를 갖는 돌출 패턴(258)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 패턴(258)을 덮는 영역에는 제 3 콘택홀(254)을 통해 드레인 전극(242)과 연결되는 연결 전극(260)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region covering the power wiring 252, the power electrode 248, and the second capacitor electrode 250, a third contact which partially exposes the drain electrode 242 in common with the first protective layer 246. A second protective layer 256 having holes 254 is formed, and a protrusion pattern 258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in the pixel region P adjacent to the third contact hole 254, and a protrusion pattern ( A connection electrode 260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242 is formed in the region covering the 258 through the third contact hole 254.

상기 돌출 패턴(258) 및 연결 전극(260)은 전기적 연결패턴(262)을 구성한다. The protruding pattern 258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260 constitute an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262.

그리고, 상기 제 2 보호층(256) 상부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부(Cst)를 덮는 영역에는 소자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흡습성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흡습막(26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moisture absorbing film 264 made of a hygroscopic metal material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of the device may be formed in an area covering the storage capacitor part Cst on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56.

본 실시예에 따른 흡습막(264)을 이루는 물질은 증착 공정을 통해 박막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금속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박막트랜지스터 및 금속 배선(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파워 배선) 형성부 이외의 영역에 속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흡습막(264)은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박막트랜지스터나 금속 배선과 중첩된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절연체가 개재된 상태에서 신호 지연 및 화질 불량을 초래하는 기생용량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박막트랜지스터나 금속 배선 형성부 이외의 영역에 형성하는 것이 공정 상 중요하다.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moisture absorption film 26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can be formed into a thin film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and thus, other than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metal wiring (gate wiring, data wiring, power wiring) forming portion. The storage capacitor Cst may be formed in the region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In more detail, since the moisture absorbing film 264 is conductive, if the moisture absorbing film 264 is positioned in the region overlapping with the thin film transistor or the metal wiring, parasitic capacitance that causes signal delay and poor image quality in an insulator is generated.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it is important to form in regions other than a thin film transistor and a metal wiring formation part.

상기 흡습성 금속물질은 일종의 진공도를 낮추고,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물질로 정의되는 게터(gatter) 물질로서, 이러한 게터 물질로는 원소주기율표 기준으로 봤을 때 지르코늄(Zr), 티탄(Ti), 하프늄(Hf)과 같은 IVA족 물질과, 바나듐(V), 니오브(Nb), 탄탈(Ta), 크롬(Cr), 몰리브덴(Mo), 텅스텐(W)과 같은 VA족 물질과, 철(Fe), 루테늄(Ru), 오스뮴(Os)과 같은 VIIA족 물질과, 니켈(Ni), 코발트(Co)와 같은 VIIIA족 물질과, 이밖에도 IB족, IIIB족, IA족, IB족에서 VB족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The hygroscopic metal material is a getter material which is defined as a material capable of lowering a degree of vacuum and removing moisture, and the getter material includes zirconium (Zr), titanium (Ti), and hafnium (based on the periodic table of elements). Group IVA materials such as Hf), Group VA materials such as vanadium (V), niobium (Nb), tantalum (Ta), chromium (Cr), molybdenum (Mo), tungsten (W), iron (Fe), Group VIIA materials such as ruthenium (Ru) and osmium (Os), Group VIIIA materials such as nickel (Ni) and cobalt (Co), and Group VB materials in Groups IB, IIIB, IA and IB Can be.

이러한 물질에서 선택되는 흡습성 금속물질의 형성방법은 스퍼터링(sputtering)이나 진공증착(evaporation)등 모든 증착가능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hygroscopic metal material selected from these materials may use any vapor deposition method such as sputtering or evaporation.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판 구조를 포함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한 실시예이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of a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substr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제 3 실시예 --Thir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에에 따른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한 화소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로서, 상기 제 2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한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rea of one pixel portion of the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기판(310, 370)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고, 제 1 기판(310) 상부에는 게이트 전극(318), 반도체층(324), 소스 전극(340), 드레인 전극(342)으로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T)와, 소스 전극(340) 및 드레인 전극(342)과 동일 공정에서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제 1 커패시터 전극(338)과, 소스 전극(340)과 연결되는 파워 전극(348)과, 상기 파워 전극(348)을 포함하며, 제 1 커패시터 전극(338)과 중첩된 위치에서 제 2 커패시터 전극(350)을 포함하는 파워 배선(352) 형성되어 있다. As illustrate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310 and 37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gate electrode 318, the semiconductor layer 324, the source electrode 340, and the drain ar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310. The thin film transistor T including the electrode 342, the first capacitor electrode 338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ource electrode 340 and the drain electrode 342, and the power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340. A power line 352 including an electrode 348 and the power electrode 348 and including a second capacitor electrode 350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capacitor electrode 338 is formed.

상기 제 1, 2 커패시터 전극(338, 350)은 제 1 보호층(346)이 개재된 상태에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이루고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 electrodes 338 and 350 form a storage capacitor Cst with the first protective layer 346 interposed therebetween.

그리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와 연결되어 전기적 연결패턴(362)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보호층(356) 상부의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와 대응된 위치에는 흡습막(364)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n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362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 and a moisture absorption film 36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capacitor Cst on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356. .

그리고, 상기 제 2 기판(370) 하부 전면에는 제 1 전극(372)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전극(372) 하부의 비화소 영역(NP)에는 층간절연막(374)과, 역테이퍼 구 조(제 2 기판면 기준)로 일정 두께를 갖는 격벽(376)이 차례대로 형성되어 있고, 격벽(376) 하부에는, 격벽(376)에 의해 자동패터닝된 구조로 유기발광층(378) 및 제 2 전극(380)이 차례대로 형성되어 있다. A first electrode 372 is formed on an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370,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374 and an inverse taper structure are formed in the non-pixel region NP under the first electrode 372. A barrier rib 376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in turn on the basis of the second substrate surfac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378 and the second electrode (378) have a structure automatically patterned by the barrier rib 376 under the barrier rib 376. 380 is formed in this order.

이때, 상기 제 2 전극(380)은, 전술한 전기적 연결패턴(362)과 접촉되게 위치한다. In this case, the second electrode 380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aforementioned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362.

상기 제 1 전극(372), 유기발광층(378), 제 2 전극(380)은 유기전계발광 소자(E)를 이루며, 상기 제 1 전극(372)은 투광성을 가지는 물질에서 선택되어 상부발광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electrode 372,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378, and the second electrode 380 form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 and the first electrode 372 is selected from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to form a top emission metho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driven.

한 예로, 상기 제 1 전극(372)은 양극, 제 2 전극(380)은 음극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전극(372)을 이루는 물질은 투명도전성 물질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한 예로 ITO를 예로 들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372 is an anode, the second electrode 380 is a cathod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372 may be selected from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ITO Can be.

도면으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유기발광층(378)은 화소 영역별로 적, 녹, 청 발광층이 차례대로 형성된 독립발광방식을 이루고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378 has an independent light emitting method in which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layers are sequentially formed for each pixel area.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유기발광층을 단색 발광층으로 구성하고, 별도로 컬러필터층 단일 구조 또는, 컬러필터층과 색변화층인 CCM(color-changing mediums)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풀컬러 구현소자를 구비하여 풀컬러를 구현하는 방식도 포함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composed of a monochromat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full color implementation is realized by a single color filter layer structure or a full color implementation element consisting of a color filter layer and a dual structure of color-changing mediums (CCM). It also includes the way.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들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첫째, 어레이 소자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서로 다른 기판 상에 형성하기 때문에 생산수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수명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으며, 둘째, 상부발광방식이기 때문에 박막트랜지스터 설계가 용이해지고 고개구율/고해상도 구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세째, 격벽에 의해 별도의 섀도우 마스크(shadow mask)없이 자동 패터닝된 구조로 유기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네째, 진공도를 높이고,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게터 물질인 흡습성 금속물질을 이용하여 제 1 기판 상의 스토리지 캐패시터부 상에 흡습막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흡습제 실장 공간을 생략하면서도 수분에 의한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패널의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ince the array element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are formed on different substrates, production yield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Second, the product lifespan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Second, the upper light emitting type makes it easier to design thin film transistors, improves the high aperture ratio / high resolution, and improves reliability. Third, the barrier ribs are used automatically without a separate shadow mask.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can be formed in the patterned structure, process efficiency can be improved. Fourth, the storage capacitor part on the first substrate is made of a hygroscopic metal material, which is a getter material that can increase the degree of vacuum and remove moisture. By forming a moisture absorbing film on the surface, a separate moisture absorbent mounting space is omitted, Product defects can be prevented and the panel spac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Claims (13)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교차되는 영역은 화소 영역으로 정의되는 다수 개의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파워 배선과; A plurality of gate wirings, data wirings, and power wiring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crossing regions defined by the pixel regions; 상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파워 배선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및 구동 소자로 이용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A thin film transistor used as a switching element and a driving element for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gate line, the data line, and the power line; 상기 화소 영역별로, 상기 배선 들 및 박막트랜지스터 형성부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Storage capacitors formed in regions other than the wirings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forming unit for each pixel region; 상기 구동 소자로 이용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전기적 연결패턴과; An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used as the driving element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대응된 상부에 형성되며, 흡습성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흡습막과; A hygroscopic film formed on an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capacitor and made of a hygroscopic metal material;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되는 제 2 기판 하부에 위치하며, 제 1 전극, 유기발광층, 제 2 전극이 차례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disposed under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sequentially formed.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은 전기적 연결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It includes, The second electrode is a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제 1 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게이트 배선과; A plurality of gate wiring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on the first substrate;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데이터 배선과; A plurality of data lines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 2 방향으로 데이터 배선과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 개의 파워 배선과; A plurality of power wire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ata wires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어느 한 구동 전극과 파워 배선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발광휘도를 조절하는 구동 소자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소자는 게이트 전극, 반도체층,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박막트랜지스터와; And a switching element for controlling a voltage applied from the gate line and a data line, and a driving element for adjusting light emission luminance by using any one of the driving electrodes of the switching element and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line. A thin film transistor comprising a gate electrode, a semiconductor layer,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상기 스위칭 소자용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제 1 커패시터 전극과, 상기 파워 배선과 연결되는 제 2 커패시터 전극과, 상기 제 1, 2 커패시터 전극 간에 절연체가 개재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A storage capacitor having a first capacitor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for the switching element, a second capacitor electrode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and an insul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 electrodes; 상기 구동 소자로 이용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전기적 연결패턴과; An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used as the driving element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대응된 상부에 형성되며, 흡습성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흡습막과; A hygroscopic film formed on an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capacitor and made of a hygroscopic metal material;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되는 제 2 기판 하부에 위치하며, 제 1 전극, 유기발광층, 제 2 전극이 차례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disposed under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sequentially formed.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은 전기적 연결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It includes, The second electrode is a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제 1 기판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파워 배선으로 이루어진 금속 배선 그룹과, 상기 금속 배선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다수 개의 박막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픽셀 구동부와; A pixel driver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the pixel driver including a plurality of gate lines, data lines, and power lines, and 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controlling voltages applied from the metal lines; 상기 픽셀 구동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 며 일정 두께를 갖는 전기적 연결패턴과; An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on the pixel driv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되는 제 2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전기적 연결패턴을 통해 픽셀 구동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부와; A light emitting part on the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the light emitting part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o receive current from the pixel driver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tern; 상기 픽셀 구동부에서, 상기 금속 배선 그룹과 다수 개의 박막트랜지스터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며, 흡습성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흡습막In the pixel driver, a moisture absorbing film form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metal wiring group and the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and made of a hygroscopic metal material 을 포함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흡습성 금속물질은, 진공도를 높이고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게터(gatter) 물질에서 선택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The hygroscopic metal material is a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selected from a getter (gatter) material to increase the degree of vacuum and remove moisture.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게터 물질은, 원소주기율표 기준으로 지르코늄(Zr), 티탄(Ti), 하프늄(Hf)을 포함하는 IVA족 물질과, 바나듐(V), 니오브(Nb), 탄탈(Ta), 크롬(Cr), 몰리브덴(Mo), 텅스텐(W)을 포함하는 VA족 물질과, 철(Fe), 루테늄(Ru), 오스뮴(Os)을 포함하는 VIIA족 물질과, 니켈(Ni), 코발트(Co)를 포함하는 VIIIA족 물질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The getter material is an IVA group material including zirconium (Zr), titanium (Ti), and hafnium (Hf) on the basis of the periodic table of the elements, vanadium (V), niobium (Nb), tantalum (Ta), and chromium (Cr). , Group VA material including molybdenum (Mo), tungsten (W), Group VIIA material including iron (Fe), ruthenium (Ru), osmium (Os), nickel (Ni), cobalt (Co) A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selected from any one of Group VIIIA materials.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게터 물질은, IB족, IIIB족, IA족, VB족, VIB족, VIIB족, VIIIB족, IB족 물질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The getter material is a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selected from any one of IB, IIIB, IA, VB, VIB, VIIB, VIIIB, and IB material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흡습막은 증착 공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The moisture absorbing film is a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made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증착 공정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진공증착(evaporation)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The deposition process is a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selected from any one of sputtering or evapora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유기발광층은, 상기 화소 영역별로 적, 녹, 청 발광층이 차례대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a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layers are sequentially formed for each pixel are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유기발광층은 단색 발광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기판과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 사이에는 컬러필터층 단일 구조 또는 컬러필터층과 색변환층인 CCM(color-changing mediums) 이중 구조 중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made of a single color light emitting material,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further comprises any one of a single color filter layer structure or a color filter layer and CCM (color-changing mediums) dual structure of the color conversion layer.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2, 상기 제 1 전극은 기판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 하부의 비화소 영역에는 층간절연막과, 역테이퍼 구조로 일정 두께를 갖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자동 패터닝되어 유기발광층 및 제 2 전극은 화소 영역별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The first electrode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and a partition wal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n inverse taper structure are formed in a non-pixel region below the first electrode, and are automatically patterned by the partition wall to form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layer. Electrode is a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separated by pixel area.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2, 상기 제 1 전극은, 투광성을 가져 상부발광방식으로 구동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The first electrode has a light transmittance, and a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riven by a top emission method. 제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 1 전극은 양극(anode electrode)이고, 상기 제 2 전극은 음극(cathode electrode)이며, 상기 제 1 전극은 투명 도전성 물질에서 선택되는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The first electrode is an anode, the second electrode is a cathode, and the first electrode is selected from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KR1020030101281A 2003-12-30 2003-12-31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5572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281A KR100557238B1 (en) 2003-12-31 2003-12-31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DE102004031109.9A DE102004031109B4 (en) 2003-12-30 2004-06-28 Organic double-plate type luminescent displa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4191452A JP4554289B2 (en) 2003-12-30 2004-06-29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GB0414545A GB2409756B (en) 2003-12-30 2004-06-29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B2004100500282A CN100435348C (en) 2003-12-30 2004-06-29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878,519 US7385348B2 (en) 2003-12-30 2004-06-29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R0407231A FR2864705B1 (en) 2003-12-30 2004-06-30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ITH DOUBLE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093132161A TWI258321B (en) 2003-12-30 2004-10-22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GB0623860A GB2434244B (en) 2003-12-30 2006-11-29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281A KR100557238B1 (en) 2003-12-31 2003-12-31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313A KR20050069313A (en) 2005-07-05
KR100557238B1 true KR100557238B1 (en) 2006-03-07

Family

ID=3725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281A KR100557238B1 (en) 2003-12-30 2003-12-31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2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0085B2 (en) * 2005-09-30 2011-03-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Display panel
KR101399265B1 (en) * 2006-11-30 2014-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73565B1 (en) 2010-02-08 2011-10-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79369B1 (en) * 2011-08-02 2019-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016073B1 (en) * 2012-12-31 2019-10-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107565B1 (en) * 2013-12-18 2020-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171322B1 (en) * 2020-04-28 2020-10-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313A (en)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4289B2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57730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3779972B2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057517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28043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8809873B2 (en) Display device
JP3917131B2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04523B1 (en) Thin Film Transistor for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KR100549984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50025902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529846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18054728A (en) Display device
KR100653265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474001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557732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553247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557238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050066569A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4639662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482166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50068866A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984824B1 (en) Top Emission Type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557237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419972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57727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