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707B1 -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707B1
KR100552707B1 KR1020040023803A KR20040023803A KR100552707B1 KR 100552707 B1 KR100552707 B1 KR 100552707B1 KR 1020040023803 A KR1020040023803 A KR 1020040023803A KR 20040023803 A KR20040023803 A KR 20040023803A KR 100552707 B1 KR100552707 B1 KR 10055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wire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doped
nano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538A (ko
Inventor
진영구
이성훈
이효석
최병룡
김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707B1/ko
Priority to CNB2005100762203A priority patent/CN100365836C/zh
Priority to JP2005110941A priority patent/JP4319163B2/ja
Priority to US11/100,376 priority patent/US7453097B2/en
Publication of KR20050098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non-planar j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regions, e.g. laterally discontinuous light emitting layer or photoluminescent region integr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crystal structure or orientation, e.g. polycrystalline, amorphous or porous
    • H01L33/1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crystal structure or orientation, e.g. polycrystalline, amorphous or porous within the light emitting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d Devic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는, 기판 상의 제1전도층과, 상기 제1전도층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p 도핑부분과 n 도핑부분이 양측에 서로 구분되게 형성된 다수의 나노와이어와, 상기 나노와이어의 상부에 형성된 제2전도층을 구비한다. 상기 도핑부분은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분자를 흡착시켜서 형성된다.

Description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Nanowir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기판 110,210: 제1전도층
120,120',220: 나노와이어 122,222: p형 도핑부분
124: 인트린식 부분 126,226: n형 도핑부분
128: 발광층 130,230,231,232: 절연성 폴리머
140,240: 제2전도층
본 발명은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비용이 낮고 대면적으로 생산이 가능한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광소자로는 질화갈륨(GaN)계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가 많이 연구되어 왔다. 질화갈륨(GaN)계 화합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발광효율은 높으나 기판과의 부정합(mismatch) 문제로 대면적 소자의 생산이 어렵다.
발광소자(light emitting device)로서 나노구조, 예컨대 나노와이어를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본특허공보 H10-326,888호에는 실리콘 재질의 나노와이어를 구비한 발광소자와 이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는 기판에 촉매층, 예컨대 금을 증착한 후, 반응로에 사염화규소(SiCl4) 개스를 흘러보내서 상기 촉매층으로부터 실리콘 나노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실리콘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는 제조비용이 저렴하지만 발광효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미국공개특허 2003/0168964호에는 나노와이어를 p-n 다이오드 구조로 형성하였다. 즉, 나노와이어의 하부는 n-type 나노와이어, 그 상부는 p-type 나노와이어로 형성하고 그들 사이의 접합부로부터 발광을 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p-n 접합구조의 나노와이어를 제조하기 위해서 VLS(vapor phase-liquid phase-solid phase) 방법을 사용하여 다른 조성(components)을 첨가하였다.
상기 p-n 접합구조의 나노와이어는 촉매층에서 성장되면서 n type 나노와이어 및 p type 나노와이어를 순차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양질의 p-n 접합구조를 얻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나노와이어의 표면에 도핑물질을 흡착시킴으로써 나노와이어의 p 타입 및 n 타입 도핑부분을 명확히 구분한 새로운 나노와이어 구조를 가지는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전도층;
상기 제1전도층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p 도핑부분과 n 도핑부분이 양측에 서로 구분되게 형성된 다수의 나노와이어; 및
상기 나노와이어 상에 형성된 제2전도층;을 구비하며,
상기 p 도핑부분 및 상기 n 도핑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분자를 흡착시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제1전도층 상에서 상기 나노와이어들 사이를 채운 절연성 폴리머;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형에 따르면, 상기 p 도핑부분과 상기 n 도핑부분 사이 의 경계면에 발광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형에 따르면, 상기 p 도핑부분과 상기 n 도핑부분 사이에는 도핑되지 않은 인트린식(intrinsic) 부분으로 된 발광층이 형성된다.
상기 p 도핑부분은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전기친화도가 큰 분자가 흡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 도핑부분은 불소함유 분자로 흡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소함유 분자는 F4-TCNQ 분자이다.
상기 n 도핑부분은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이온화 전위가 낮은 분자가 흡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 도핑부분은 리티움, 구리, 아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자로 흡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n 도핑부분은 CuPc, ZnPc, 펜타센(pentacene), BEDT-TTF 중 어느 하나로 흡착된다.
상기 나노와이어는 ZnO 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제1전극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제1전극층 상에 다수의 나노와이어를 수직으로 형성시키는 제2단계;
상기 나노와이어의 하부를 p 도핑 또는 n 도핑 시키는 제3단계;
상기 나노와이어의 상부를 상기 나노와이어의 하부와 다른 극성의 n 도핑 또는 p 도핑 시키는 제4 단계; 및
상기 나노와이어 상에 제2전극층을 형성하는 제5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전기친화도가 큰 분자 또는 이온화 전위가 낮은 분자를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1전극층 상의 나노와이어 사이에 절연성 폴리머를 채우는 단계; 및
상기 나노와이어의 상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상기 절연성 폴리머를 식각하여 상기 상부에 흡착된 분자를 제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형에 따르면, 상기 제4단계는,
제3단계의 결과물 상에 노출된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상기 나노와이어의 하부에 도핑된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이 도핑되도록 이온화 전위가 낮은 분자 또는 전기친화도가 큰 분자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형에 따르면, 상기 제4단계는,
제3단계의 결과물 상에 소정 높이로 상기 나노와이어의 도핑되지 않은 인트린식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트린식 부분 위의 노출된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상기 나노와이어의 하부에 도핑된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이 도핑되도록 이온화 전위가 낮은 분자 또는 전기친화도가 큰 분자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인트린식 부분 형성단계는,
제3단계의 결과물 상에 노출된 나노와이어를 덮는 절연성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와이어의 상부로부터 상기 인트린식 부분에 해당되는 영역 위의 상기 절연성 폴리머를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트린식 부분 상에서 노출된 나노와이어들 사이에 절연성 폴리머를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단계는,
상기 나노와이어의 상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절연성 폴리머층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성 폴리머층 상에 제2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전도층(제1전극층)(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도층(110) 상에는 다수의 나노와이어(120)가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 사이에는 절연성 폴리머(130)가 채워져 있으며, 상기 나노와이어(120) 상에는 전극층(제2전극층)(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은 p-type 도핑 부분(122), n-type 도핑 부분(126)과, 이들 p-type 도핑부분(122) 및 n-type 도핑부분(126) 사이의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이며 인트린식(intrinsic) 영역(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인트린식 영역은 어느 전극으로도 도핑되지 않은 영역이다.
상기 기판(100)은 실리콘 웨이퍼, 사파이어 웨이퍼 또는 평탄한 금속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층(110)은 알루미늄, 금, 마그네슘 등으로 증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층(140)은 투명전극층, 예컨대 ITO 또는 p 도핑 GaN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는 ZnO, GaN, GaAs, InGaN, CdS, Si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의 재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색이 결정된다. 나노와이어(120)가 ZnO 인 경우 자외선이 방출되며, Si 인 경우 적외선이 방출되며, GaN 인 경우 자외선 또는 청색광이 방출되며, InGaN 인 경우 청색광, CdS 인 경우 녹색광, GaAs 인 경우 적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는 그 직경이 대략 20~100 nm 이며, 그 길이는 대략 1 ㎛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와이어는 p 도핑부분(122), n 도핑부분(126)과 인트린식 영역(124)로 이루어진 pin 접합구조이다.
상기 p-type 도핑부분(122)은 나노와이어(120)의 외주에 p-type 도핑물질이 흡착된 부분이다. 상기 p-type 도핑물질로는 전기 친화도(electron affinity)가 큰 분자, 예컨대 electron acceptor 분자인 F4-TCNQ(tetrafluoro-tetracyano- quinodimetha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type 도핑물질은 해당 나노와이어(120) 표면에서 전자를 뺏으므로, p-type 도핑물질이 흡착된 부분은 그 표면에 정공들이 생성되며 따라서 p-type 도핑 부분(122)이 된다.
상기 n-type 도핑부분(126)은 나노와이어(120)의 외주에 n-type 도핑물질이 흡차된 부분이다. 상기 n-type 도핑물질로는 이온화 전위(ionization potential)가 낮은 분자, 예컨대 리티움, 아연,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electron donor 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CuPc(copper phtalocyanine), ZnPc(zinc phtalocyanine), 펜타센(pentacene)(벤젠 5분자가 붙어있는 방향족 고리 화합물), BEDT-TTF(bis(ethylenddithio)tetrathiafulvalen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n-type 도핑물질은 해당 나노와이어(120) 표면에 전자를 제공하며 따라서 n-type 도핑물질이 흡착된 부분은 그 표면에 자유전자가 생기며 따라서 n-type 도핑 부분(126)이 된다.
상기 절연성 폴리머(130)는 나노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방지한다. 포토레지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발광소자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나노와이어(120)의 p-type 도핑부분(122)과 연결된 제1전극층(110)에 +전압, 나노와이어(120)의 n-type 도핑부분(126)과 연결된 제2전극층(140)에 - 전압을 인가하면, p-type 도핑부분(122)의 정공(hole)과 n-type 도핑부분(126)의 전자가 인트린식 영역(124)에서 재결합을 한다. 이때 광이 방출된다. 인트린식 영역(124)에서 방출된 광은 투명한 전극층, 예컨대 제2전극층(140)을 통과하여 외 부로 방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p 도핑부분 및 n 도핑부분 모두 분자의 흡착에 의해 도핑된 것을 기술하였으나, 어느 하나의 도핑부분 만 상기 흡착에 의해 도핑되고, 나머지 도핑부분은 종래의 이온 삽입(ion implantation)으로 도펀트(dopant)를 넣어서 도핑시킬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며,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전도층(제1전극층)(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도층(110) 상에는 다수의 나노와이어(120')가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 사이에는 절연성 폴리머(130)가 채워져 있으며, 상기 나노와이어(120') 상에는 전극층(제2전극층)(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는 p-type 도핑 부분(122), n-type 도핑 부분(126)이 서로 접촉되게 형성되며, 이들 접촉영역은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128)을 형성한다. 이러한 발광구조는 제1 실시예의 p-i-n 접합구조와 비교하여 p-n 접합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의 발광소자에서는 나노와이어(120')의 양단에 직류전압을 인가하면 발광층(128)에서 광이 방출된다.
도 3 내지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리콘 기판(200) 상에 제1전도층(210), 예컨대 알루미늄층을 증착한다. 상기 알루미늄층(210) 상에 금속 유기물 기상 에피택시(metal-organic-vapor phase epitaxy:MOVPE) 방법으로 대략 1 ㎛ 길이의 나노와이어들(220)을 형성시킨다. 상기 나노와이어(220)는 diethyl-zinc(DEZn)와 산소를 반응 소스로 사용하여 ZnO 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나노와이어(220)를 형성하는 방법은 종래의 VLS(vapor phase-liquid phase-solid phase) 법, self-assembly 법 및 금속촉매층을 사용하는 방법 등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나노와이어(220)의 외주에 전기 친화도가 큰 p 도핑물질(221), 예컨대 F4-TCNQ(tetrafluoro-tetracyano-quinodimethane) 분자를 도핑시킨다. 상기 p 도핑물질(221)은 나노와이어(220)의 외주에 흡착하면서 나노와이어(220) 표면의 전자를 뺏으며, 따라서 나노와이어(220)는 p 도핑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전도층(210) 상에서 p 도핑된 나노와이어들(220) 사이의 공간에 절연성 고분자, 예컨대 얇은 포토레지스트(230)를 스핀코팅하여 채운다.
도 6을 참조하면, 나노와이(220)의 상부측의 포토레지스트(230)를 산화 플라즈마(oxygen plasma) 또는 습식식각하여 포토레지스트(230) 및 p 도핑물질(221)을 일부 제거한다. 잔존하는 p 도핑물질(221)이 형성된 나노와이어 부분은 p 도핑부분(222)이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p 도핑부분(222) 상부를 얇은 포토레지스트(231)를 스핀 코팅하여 나노와이어(220) 사이를 채운다. 이어서, 포토레지스트(231)를 선택적으로 산화 플라즈마(oxygen plasma) 또는 습식식각하여 상기 p 도핑부분(222)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포토레지스트(231)를 형성한다. 포토레지스트(231)으로 덮힌 나노와이어 영역은 도핑되지 않은 영역으로 인트린식 영역(224)을 형성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231) 상에서 노출된 나노와이어(220)의 외주에 n 도핑물질(223)을 흡착시킨다. n-type 도핑물질(223)로는 이온화 전위(ionization potential)가 낮은 분자, 예컨대 CuPc(copper phtalocyanine), ZnPc(zinc phtalocyanine), 펜타센(pentacene), BEDT-TTF(bis(ethylenddithio)tetrathiafulvalene)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n-type 도핑물질(225)은 해당 나노와이어(220) 표면에 전자를 제공하며 따라서 n-type 도핑물질이 흡착된 부분은 그 표면에 자유전자가 생기며 따라서 n-type 도핑 부분(226)이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231) 상으로부터 노출된 나노와이어(220)의 n 도핑부분(226) 사이를 얇은 포토레지스트(232)를 스핀 코팅하여 채운다. 이어서, 상기 n 도핑부분(226)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나노와이어(220) 사이의 포토레지스트(232)를 선택적으로 산화 플라즈마(oxygen plasma) 또는 습식식각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232) 상에서 노출된 나노와이어(220)를 덮도록 제2전도층(240)을 증착한다.
상기 과정으로 제조한 발광소자는 도 1의 p-i-n 접합구조를 가진다.
한편, 도 2의 p-n 접합구조를 가지는 발광소자의 제조는 도 7의 인트린식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제외하면 상기 설명한 제조방법과 매우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접합(homeogenous junction)을 구비하므로 발광효율이 우수하며, 기판과의 매칭이 양호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대면적으로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평판디스플레이에 직접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전도층;
    상기 제1전도층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p 도핑부분과 n 도핑부분이 양측에 서로 구분되게 형성된 다수의 나노와이어; 및
    상기 나노와이어 상에 형성된 제2전도층;을 구비하며,
    상기 p 도핑부분 및 상기 n 도핑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분자를 흡착시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층 상에서 상기 나노와이어들 사이를 채운 절연성 폴리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 도핑부분과 상기 n 도핑부분 사이의 경계면에 발광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 도핑부분과 상기 n 도핑부분 사이에는 도핑되지 않은 인트린식(intrinsic) 부분으로 된 발광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p 도핑부분은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전기친화도가 큰 분자가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 도핑부분은 불소함유 분자로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함유 분자는 F4-TCNQ 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n 도핑부분은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이온화 전위가 낮은 분자가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n 도핑부분은 리티움, 구리, 아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분자 또는 유기 분자로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n 도핑부분은 CuPc, ZnPc, 펜타센(pentacene), BEDT-TTF(bis(ethylenddithio)tetrathiafulvalene)BEDT-TTF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로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는 ZnO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12. 기판 상에 제1전극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제1전극층 상에 다수의 나노와이어를 수직으로 형성시키는 제2단계;
    상기 나노와이어의 하부를 p 도핑 또는 n 도핑 시키는 제3단계;
    상기 나노와이어의 상부를 상기 나노와이어의 하부와 다른 극성의 n 도핑 또는 p 도핑 시키는 제4 단계; 및
    상기 나노와이어 상에 제2전극층을 형성하는 제5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전기친화도가 큰 분자 또는 이온화 전위가 낮은 분자를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1전극층 상의 나노와이어 사이에 절연성 폴리머를 채우는 단계; 및
    상기 나노와이어의 상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상기 절연성 폴리머를 식각하여 상기 상부에 흡착된 분자를 제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 이어 발광소자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제3단계의 결과물 상에 노출된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상기 나노와이어의 하부에 도핑된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이 도핑되도록 이온화 전위가 낮은 분자 또는 전기친화도가 큰 분자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폴리머층 상에서 노출된 나노와이어들 사이에 절연성 폴리머를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나노와이어의 상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절연성 폴리머층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절연성 폴리머층 상에 제2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제조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제3단계의 결과물 상에 소정 높이로 상기 나노와이어의 도핑되지 않은 인트 린식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트린식 부분 위의 노출된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상기 나노와이어의 하부에 도핑된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이 도핑되도록 이온화 전위가 낮은 분자 또는 전기친화도가 큰 분자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린식 부분 형성단계는,
    제3단계의 결과물 상에 노출된 나노와이어를 덮는 절연성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와이어의 상부로부터 상기 인트린식 부분에 해당되는 영역 위의 상기 절연성 폴리머를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린식 부분 상에서 노출된 나노와이어들 사이에 절연성 폴리머를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나노와이어의 상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절연성 폴리머층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성 폴리머층 상에 제2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제조방법.
KR1020040023803A 2004-04-07 2004-04-07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5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803A KR100552707B1 (ko) 2004-04-07 2004-04-07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B2005100762203A CN100365836C (zh) 2004-04-07 2005-04-07 纳米丝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
JP2005110941A JP4319163B2 (ja) 2004-04-07 2005-04-07 ナノワイヤ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11/100,376 US7453097B2 (en) 2004-04-07 2005-04-07 Nanowir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803A KR100552707B1 (ko) 2004-04-07 2004-04-07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538A KR20050098538A (ko) 2005-10-12
KR100552707B1 true KR100552707B1 (ko) 2006-02-20

Family

ID=3505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803A KR100552707B1 (ko) 2004-04-07 2004-04-07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53097B2 (ko)
JP (1) JP4319163B2 (ko)
KR (1) KR100552707B1 (ko)
CN (1) CN10036583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419B1 (ko) * 2004-04-07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01949B1 (ko) * 2004-04-07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KR100647288B1 (ko) * 2004-09-13 200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60197436A1 (en) * 2005-03-01 2006-09-0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ZnO nanotip electrode electroluminescence device on silicon substrate
EP1949451A4 (en) * 2005-08-22 2016-07-20 Q1 Nanosystems Inc NANOSTRUCTURE AND THIS IMPLEMENTING PHOTOVOLTAIC CELL
US7635600B2 (en) * 2005-11-16 2009-12-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Photovoltaic structure with a conductive nanowire array electrode
EP1791186A1 (en) * 2005-11-25 2007-05-30 Stormled AB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158661A1 (en) * 2006-01-12 2007-07-12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ZnO nanostructure-based light emitting device
KR101198763B1 (ko) * 2006-03-23 2012-1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기둥 구조와 이를 이용한 발광 소자 및 그 형성방법
US7998788B2 (en) * 2006-07-27 2011-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iques for use of nanotechnology in photovoltaics
KR100820182B1 (ko) * 2006-12-06 2008-04-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나노임프린팅 리소그래피를 이용한 나노와이어 소자제조방법
KR100872271B1 (ko) * 2006-12-15 2008-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나노와이어 어레이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US8030664B2 (en) 2006-12-15 2011-10-04 Samsung Led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US8049203B2 (en) 2006-12-22 2011-11-01 Qunano Ab Nanoelectronic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US7663148B2 (en) * 2006-12-22 2010-02-16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III-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with reduced strain light emitting layer
CN102255018B (zh) 2006-12-22 2013-06-19 昆南诺股份有限公司 带有直立式纳米线结构的led及其制作方法
US20080157354A1 (en) * 2007-01-03 2008-07-0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ultiple stacked nanostructure array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2008258297A (ja) * 2007-04-03 200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素子
DE102007031600B4 (de) 2007-07-06 2015-10-15 Helmholtz-Zentrum Berlin Für Materialien Und Energie Gmbh Array aus vertikalen UV-Leuchtemitterdiod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1836285B (zh) 2007-08-21 2014-11-12 加州大学评议会 具有高性能热电性质的纳米结构
FR2922685B1 (fr) * 2007-10-22 2011-02-2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optoelectronique a base de nanofils et procedes correspondants
CN101497426B (zh) * 2008-02-02 2010-12-08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四硫富瓦烯分子基的微米和/或纳米功能材料的制备方法
JP5059695B2 (ja) * 2008-06-17 2012-10-24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ヤ状構造体、ワイヤ状構造体の製造方法、熱電変換素子、及びペルチェ素子
KR100983511B1 (ko) * 2008-09-12 2010-09-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나노 튜브 또는 나노 와이어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5100B1 (ko) * 2008-10-21 2015-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FR2941325B1 (fr) * 2009-01-22 2011-04-2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realisation d'une homojonction pn dans une nanostructure
US20100319759A1 (en) * 2009-06-22 2010-12-23 John Fisher Nanostructur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9202954B2 (en) * 2010-03-03 2015-12-01 Q1 Nanosystems Corporation Nanostructure and photovoltaic cell implementing same
KR101766715B1 (ko) * 2010-10-25 2017-08-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US9240328B2 (en) 2010-11-19 2016-01-19 Alphabet Energy, Inc. Arrays of long nanostructures in semiconductor materials and methods thereof
US8736011B2 (en) 2010-12-03 2014-05-27 Alphabet Energy, Inc. Low thermal conductivity matrices with embedded nanostructures and methods thereof
US20120152295A1 (en) * 2010-12-21 2012-06-21 Alphabet Energy, Inc. Arrays of filled nanostructures with protruding segments and methods thereof
KR20120133173A (ko) * 2011-05-30 2012-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051175B2 (en) 2012-03-07 2015-06-09 Alphabet Energy, Inc. Bulk nano-ribbon and/or nano-porous structures for thermoelectric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9257627B2 (en) 2012-07-23 2016-02-09 Alphabet Energy, Inc. Method and structure for thermoelectric unicouple assembly
US9082930B1 (en) 2012-10-25 2015-07-14 Alphabet Energy, Inc. Nanostructured thermolectric elem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9082911B2 (en) 2013-01-28 2015-07-14 Q1 Nanosystem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metamaterial device with photovoltaic bristles
US20140264998A1 (en) 2013-03-14 2014-09-18 Q1 Nanosystems Corporation Methods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metamaterial devices with photovoltaic bristles
US9954126B2 (en) 2013-03-14 2018-04-24 Q1 Nanosystem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photovoltaic devices including cavity-containing co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2149331B1 (ko) 2013-08-30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어 구조체와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및 와이어 구조체의 제조방법
CN103715325B (zh) * 2013-12-26 2016-09-14 辽宁师范大学 单根ZnO微米线同质结发光二极管的制备方法
WO2015157501A1 (en) 2014-04-10 2015-10-15 Alphabet Energy, Inc. Ultra-long silicon nano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and transferring the same
US11233332B2 (en) * 2017-05-02 2022-01-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Light absorber
JP7147132B2 (ja) * 2017-05-31 2022-10-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102118907B1 (ko) * 2018-09-07 2020-06-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US11637219B2 (en) 2019-04-12 2023-04-25 Google Llc Monolithic integration of different light emitting structures on a same substrate
US11756983B2 (en) * 2020-12-10 2023-09-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ilicon nano light emitting diodes
CN113161414B (zh) * 2021-04-29 2023-04-14 齐鲁工业大学 一种pn微米线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1870A (en) * 1971-07-27 1976-07-27 Semi-Elements, Inc. Semiconductor device material
US5332910A (en) * 1991-03-22 1994-07-26 Hitachi, Ltd.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with nanowhiskers
JPH06260721A (ja) 1993-03-09 1994-09-16 Hitachi Ltd 半導体レーザ
US5976957A (en) * 1996-10-28 1999-11-02 Sony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silicon quantum wires on a substrate
CA2442985C (en) * 2001-03-30 2016-05-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of fabricating nanostructures and nanowires and devices fabricated therefrom
JP3598373B2 (ja) * 2001-09-03 2004-12-08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基体上に接合して規則化配列したナノ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121631U1 (de) * 2001-11-09 2003-06-18 Friz Biochem Gmbh Molekulares elektronisches Bauelement zum Aufbau nanoelektronischer Schaltungen, molekulare elektronische Baugruppe und elektronische Schaltung
TWI220319B (en) * 2002-03-11 2004-08-11 Solidlite Corp Nano-wire light emitting device
JP3933591B2 (ja) 2002-03-26 2007-06-20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US7192533B2 (en) * 2002-03-28 2007-03-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manufacturing nanowires and electronic device
CN1453884A (zh) 2002-04-25 2003-11-05 诠兴开发科技股份有限公司 纳米线发光元件及显示装置
US6788453B2 (en) * 2002-05-15 2004-09-07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isty Of Jerusalem Method for producing inorganic semiconductor nanocrystalline rods and their use
US20040003839A1 (en) * 2002-07-05 2004-01-08 Curtin Lawrence F. Nano photovoltaic/solar cells
AU2003261205A1 (en) * 2002-07-19 2004-02-09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Nanoscale coherent optical components
AU2003302321A1 (en) * 2002-09-12 2004-06-23 The Trustees Of Boston College Metal oxide nanostructures with hierarchical morphology
JP5122812B2 (ja) * 2003-04-04 2013-01-16 キューナノ エービー Pn接合を有するナノウィス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24419B1 (ko) * 2004-04-07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01949B1 (ko) * 2004-04-07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US20060207647A1 (en) * 2005-03-16 2006-09-21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efficiency inorganic nanorod-enhanced photovolta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91362A (zh) 2005-11-02
CN100365836C (zh) 2008-01-30
JP2005303300A (ja) 2005-10-27
JP4319163B2 (ja) 2009-08-26
US20050224790A1 (en) 2005-10-13
KR20050098538A (ko) 2005-10-12
US7453097B2 (en) 2008-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707B1 (ko)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4419B1 (ko)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919786B2 (en) Nanowire light emitting device
US8664636B2 (en) Nanostructured device
KR100647288B1 (ko)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6838816B2 (en) Light emitting diode with nanoparticles
KR100612894B1 (ko) 나노와이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5959401A (en)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group III nitride compound
US9064998B2 (en)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25913B1 (ko) 수직구조 발광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70030871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ow resistance contact to p-type semiconductor layer of a wide band gap compoun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71142A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21918B1 (ko) 투명 전도성 나노막대를 전극으로 포함하는 발광소자
KR20120029215A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EP1753046A2 (en)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7103350A (ja) シリコン基板上のZnOナノチップ電極電界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02733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CN114141805A (zh) 无侧壁损伤的nano-LED阵列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