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247B1 -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high luminance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high luminance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247B1
KR100551247B1 KR20030026197A KR20030026197A KR100551247B1 KR 100551247 B1 KR100551247 B1 KR 100551247B1 KR 20030026197 A KR20030026197 A KR 20030026197A KR 20030026197 A KR20030026197 A KR 20030026197A KR 100551247 B1 KR100551247 B1 KR 10055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unit
ohmic contact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dio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261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92673A (en
Inventor
김봉철
조현룡
권기영
김성한
Original Assignee
(주)옵토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옵토웨이 filed Critical (주)옵토웨이
Priority to KR2003002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247B1/en
Publication of KR2004009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6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247B1/en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고휘도 및 고신뢰성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는, 상반된 도핑 반도체층 사이에 활성층이 개재된 LED 단위체; 소정의 투과성 절연막을 매개로 상기 LED 단위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LED 단위체 상부에 있는 도핑 반도체층에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활성층에서 방출되는 광자를 반사시키는 도전성 반사막; 금속성 박막을 매개로 웨이퍼 본딩 방법에 의해 상기 도전성 반사막과 접합된 서브 마운트 기판; 및 상기 LED 단위체의 하부에 있는 도핑 반도체층에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는 오믹콘택을 형성하여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는 오믹콘택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휘도 이면서도 열적 신뢰성이 높은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플립 칩 공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열 분산 구조를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도입하면서도 생산성은 플립 칩 공정을 적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향상된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high brightness and high reliability. The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LED unit having an active layer interposed between opposite doped semiconductor layers; A conductive reflective film formed on the LED unit via a transparent insulating film to apply a bias current to the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ED unit and reflect photons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A sub-mount substrate bonded to the conductive reflective film by a wafer bonding method through a metal thin film; And an ohmic contact line applying a bias current by forming an ohmic contact applying a bias current to the doped semiconductor layer under the LED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high brightness and high thermal reliability. 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applying the flip chip process, while introducing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into the light emitting diode device,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of applying the flip chip process.

Description

고휘도 및 고신뢰성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HIGH LUMINANCE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high brightness and high reliability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HIGH LUMINANCE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ter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3차원 구조도이다.1 is a three-dimensional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a 및 도2b와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상부 평면도이다.2A and 2B and FIGS. 3A and 3B are top plan views of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구조에 DBR(Distributed Bragg Reflector: 이하, 'DBR'이라 함) 구조층을 적재한 RCLED(Resonance Cavity Light Emitting Diode: 이하, 'RCLED'라 함)의 소자 단면도이다.FIG. 4 is a RCLED (Resonance Cavity Light Emitting Diode) loaded with a DBR (Distributed Bragg Reflector) structure layer in a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도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DBR 구조를 구현한 VCSEL(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s: 이하, 'VCSEL'이라 함)의 소자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vice of a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s (VCSELs) for implementing a DBR structure in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광적출 및 열적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capable of improving productivity while improving light extraction and thermal reliability of the light emitting diode device.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이하, 'LED'라 칭함)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고체 소자의 일종으로서, 일반적으로 2개의 상반된 도핑 반도체층 사이에 개재된 반도체 재료의 활성층을 포함한다. 2 개의 도핑층 양단에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활성층으로 주입된 후 그곳에서 발광성 재결합되어 빛이 발생된다. 활성 영역에서 발생된 빛은 모든 방향으로 방출되고 그 중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표면을 통해 반도체 칩 밖으로 탈출하게 된다. Light emitting diod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Ds") are a type of solid state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and generally comprise an active layer of semiconductor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wo opposing doped semiconductor layers. When a bias is applied across the two doped layers, holes and electrons are injected into the active layer and then luminescent recombination therein to generate light. Light generated in the active region is emitted in all directions, and some of them escape from the semiconductor chip through the exposed surface.

최근, 반도체 재료가 개선됨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효율 또한 향상되고 있다. 새로운 LED는 자외선에서 녹색까지의 스펙트럼에서 효율적인 조도를 허용하는 GaN 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지고 있다. LED가 개선됨에 따라, 교통 신호기, 옥외 및 옥내 디스플레이, 자동차 전조등 및 미등, 종래의 옥내 조명 장치 등 많은 응용 분야에서 종래의 발광체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Recently, as semiconductor materials are improved, the efficiency of semiconductor devices has also been improved. The new LEDs are made of materials such as GaN that allow for efficient illumination in the ultraviolet to green spectrum. As LEDs improve, it is expected to replace conventional light emitters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traffic signals, outdoor and indoor displays, automotive headlights and taillights, and conventional indoor lighting devices.

그러나, 종래의 LED는 활성층에서 발생되는 빛을 모두 방출할 수 없어 그 효율이 제한된다. LED가 구동되면, 빛이 활성층으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방출되어 여러 상이한 각도로 방출 표면에 도달한다. 전형적인 반도체 재료는 대기(n = 1.0) 또는 인캡슐레이팅 에폭시(n ≒ 1.5)에 비해 높은 굴절률(n ≒ 2.2 - 3.8)을 갖는다. 스넬(Snell)의 법칙에 의하면, 표면 법선 방향에 대해 일정한 임계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굴절률이 높은 영역에서 굴절률이 낮은 영역으로 이동하는 빛은 굴절률이 더 낮은 영역으로 방출된다. 임계 각도 이상의 각도로 표면에 도달하는 빛은 방출되지 않고 내부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 : TIR)된다. LED의 경우, TIR 빛은 흡수될 때까지 LED내에서 계속 반사되거나, 방출 표면이 아닌 표면 밖으로 탈출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종래의 LED에서 발생되는 빛은 그 대부분이 방출되지 않아, 그 효율을 저하시킨다. However, the conventional LED can not emit all the light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is limited in its efficiency. When the LED is driven, light is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in all directions to reach the emitting surface at several different angles. Typical semiconductor materials have a higher refractive index (n ≒ 2.2-3.8) compared to atmosphere (n = 1.0) or encapsulating epoxy (n ≒ 1.5). According to Snell's law, light traveling from a region of higher refractive index to a region of lower refractive index at an angle smaller than a certain critical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normal direction is emitted to a region of lower refractive index. Light reaching the surface at an angle above the critical angle is not emitted and is total internal reflection (TIR). In the case of LEDs, TIR light may continue to reflect within the LED until it is absorbed or to escape out of the surface rather than the emitting surface. Because of this phenomenon, most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conventional LED is not emitted, which lowers its efficiency.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고품질의 반도체 재료를 이용하여도 LED 내부에서 생성된 광자와 이중에 최종적으로 대기로 방출되는 광자의 비율은 여전히 작은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LED의 낮은 효율을 극복하기 위해 LED의 기하학적 구조를 변형시켜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어 왔다. 그 예로는 일반적인 LED의 형태를 탈피해서 역 피라미드 형태로 LED를 형성하는 방법[Krames, et al., 'High Power Truncated Inverted Pyramid(AlxGal-x)0.5 In0.5P/GaP Light Emitting Diodes Exhibiting) 50% External Qauntum Efficiency', Applied Physics Letters 75 (1999)]과, LED표면에 주름 구조를 적용하는 랜덤 텍스쳐링(Random Texturing) 방법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전자의 방법은 고효율 LED 특성은 얻을 수 있을지 모르나, 고휘도 LED를 위해 최근 시도되고 있는 대면적 LED 구조에는 적용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특히 질화물계 반도체 LED의 경우와 같 이 에피 웨이퍼의 기판에서 보다 활성층 영역에서 가이딩되는 빛이 많은 경우는 큰 효과가 없다. 그리고, 후자의 방법은 LED 표면에 형성된 거침 정도에 따라 LED로 스프레딩되는 전류 흐름이 방해될 수 있어 전류 분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For these reasons, even with high-quality semiconductor materials, the ratio of photons generated inside the LED to the photons finally emitted into the atmosphere still has a small limit. Therefore,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device by modifying the LED geometry to overcome the low efficiency of the LED. An example is a method of forming an LED in an inverted pyramid form by escaping a general LED form [Krames, et al., 'High Power Truncated Inverted Pyramid (Al x Ga lx ) 0.5 In 0.5 P / GaP Light Emitting Diodes Exhibiting) 50 % External Qauntum Efficiency ', Applied Physics Letters 75 (1999)] and random texturing methods that apply wrinkle structures to LED surfaces. However, the former method may obtain high-efficiency LED characteristics, but there is a limitation that cannot be applied to the large-area LED structure that has been recently attempted for high-brightness LEDs, especially in substrates of epi wafers as in the case of nitride-based semiconductor LEDs. In the case where more light is guided in the active layer region,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In addition, the latter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current flow spread to the LED may be disturb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roughnes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ED, which may adversely affect current dispersion.

상기한 2가지 방법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또 다른 종래의 방법으로는 LED 소자에 마이크로 어레이 구조를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LED의 형태는 육면체인데 일반적으로 반도체는 활성층에서 생성된 빛이 반도체 외부로 탈출할 때 반도체 경계면에서 그 경계면과 빛의 입사 각도에 따른 어느 정도의 반사율이 존재한다. 이렇게 반사된 빛은 다시 반도체 내부로 되돌아오게되고 이렇게 되면 상대적으로 광 손실이 높은 반도체 내부에서의 광 진행 경로가 길어지게 되어 결국 광추출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은 LED의 크기가 커질 경우 더욱 심각해지며 사파이어를 기판으로한 청색 LED의 경우에는 N-GaN와 사파이어의 경계면, 그리고 활성층 사이가 광 도파로(Optical Waveguide)로써의 기능이 매우 크기 때문에 LED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반사 현상으로 인한 광 추출 효율 감소 현상은 사파이어를 기판으로 한 청색 LED에서 매우 심각하다. 마이크로 LED 어레이는 이러한 광 추출 효율 감소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에 LED를 매우 작은 크기로 형성(이하, '마이크로 LED'라 함)하고 이와 같은 마이크로 LED의 배열 형태를 포함하는 하나의 대면적 LED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LED 내부의 활성층에서 생성된 광자의 광추출 경로를 짧게 함으로써 LED 내부에서의 광 흡수율을 낮춰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고, 피조일렉트릭 필드(Piezoelectric Field)를 감소시킴으로써 활성층의 내부 양자 효율(internal quantum efficiency)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마아크로 어레이 구조를 LED에 적용하는 방법은 고효율 소자의 제조에는 적합할 수 있으나, 고출력 소자를 제조하는데는 적절하지 않다. 마이크로 LED 구조에서는 p 오믹 영역의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직렬저항의 성분이 커지게 되어 심각한 전력 손실이 나타나며, 불균일한 전류 분산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좁은 지역으로 전류가 집중되고 이것은 전류밀도 상승을 초래하여 접합부분의 온도 상승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러한 접합부분의 온도 상승은 반도체 LED에서 발광 효율을 감소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Another conventional method that can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above two methods is a method of applying a micro array structure to the LED device. As described above, in general, the shape of the LED is a hexahedron. In the semiconductor, when light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escapes to the outside of the semiconductor, there is a degree of reflectance depending on the interface and the incident angle of the light at the semiconductor interface. The reflected light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semiconductor, and thus the light propagation path in the semiconductor having a relatively high loss of light becomes long, resulting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However, this phenomenon becomes more serious when the size of the LED increases, and in the case of a blue LED based on sapphire, the function of the optical waveguide between the interface between N-GaN and sapphire and the active layer is very large. The decrease in light extraction efficiency due to total reflection occurs at the sapphire-based blue LEDs. The micro LED array is a method of minimizing such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forms a very small size of the L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icro LED') and uses a large area LED including such an array of micro LEDs. To make. This method reduces the light absorption rate inside the LED by shortening the light extraction path of photons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inside the LED, improving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reducing the piezoelectric field, thereby reducing the internal quantum efficiency of the active layer.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quantum efficiency. By the way, the method of applying the micro-array structure to the LED may be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high efficiency device, but is not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high output device. In the micro-LED structure, the area of the p-omic region is reduced, which increases the components of the series resistance, resulting in severe power loss, and may cause non-uniform current dispersion. In addition, the current is concentrated in a small area,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current density,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junction, which is the biggest cause of reducing the luminous efficiency in the semiconductor LED.

상기와 같은 이유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LED를 이용한 조명 제품 개발에서도 LED 동작 중 발생하는 소자의 열적 불안전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열 분산 구조가 소자 패키지 구조 설계의 주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열 분산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시도 중 플립 칩 공정을 적용하여 LED 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분산 작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For the above reasons, in the development of lighting products using LEDs, which are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in order to minimize thermal instability of devices generated during LED operation,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considered to be a major element of the device package structure design. In an attempt to implement such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a method of applying a flip chip process to facilitate the dissipation of heat generated from an LED has been proposed.

일반적인 플립 칩 공정이 적용된 LED는 활성층을 소자가 실장되는 플립 칩용 기판 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LED의 활성층과 플립 칩용 기판과의 경로를 최소화하여 열 분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플립 칩용 기판과 LED 전극과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어 활성층의 접합 온도 상승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질화물계 반도체 LED 소자의 경우는 마이크로 LED 구조를 소자에 도입함과 동시에 플립 칩 공정을 적용하게 되면, 에피 기판으로 사용되는 사파이어가 가시광에서 높은 투명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높은 광추출 효율과 높은 열분산 효율을 동시에 기 대할 수 있다. LEDs to which a general flip chip process is applied are directed toward the flip chip substrate on which the device is mounted, thereby minimizing the path between the active layer of the LED and the flip chip substrate to facilitate heat dissipation, and the flip chip substrate and the LED electrod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and reduce the junction temperature rise of the active lay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nitride semiconductor LED device, when a micro LED structure is introduced into the device and a flip chip process is applied, sapphire used as an epitaxial substrate has high transparency in visible light, and thus high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high heat. Dispersion efficiency can be expected at the same time.

그런데, 플립 칩 공정을 LED 소자에 적용할 때 발생되는 가장 큰 문제는 플립 칩 공정의 적용 과정에서 생산성 및 신뢰성의 저하가 우려된다는 점이다. However, the biggest problem that occurs when applying the flip chip process to the LED device is tha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rodu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flip chip process is deteriorated.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플립 칩 공정에서는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이 형성된 완벽한 소자를 제작한 후 소자의 전극과 플립칩용 서브 마운트 기판에 형성된 접촉패드를 정확하게 2차원 정렬하고, 솔더 범프 등이 개재된 상태에서 전극과 접촉패드를 마주보게 하고, 리플로우 공정과 언더필 공정을 적용하여 전극과 접촉패드를 접착시키는 복잡한 단계가 진행되어야 한다. More specifically, in a typical flip chip process, a perfect device having an anode and a cathode is fabricated, and then precisely two-dimensional alignment of the electrode of the device and the contact pad formed on the sub-mount substrate for the flip chip is performed. A complex step of contacting the electrode and the contact pad with the bump and the lik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pplying the reflow process and the underfill process should be performed.

상기와 같은 복잡한 공정이 LED 소자 제조공정에 도입될 경우 개별 LED 소자마다 각각 플립 칩 공정을 적용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의 저하가 초래될 수밖에 없다. 특히, 최근 시도되고 있는 마이크로 LED 어레이 구조가 도입된 LED 소자에 플립 칩 공정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LED의 전극과 플립 칩용 서브 마운트 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플립 칩 공정 과정에서 우선 LED와 서브 마운트의 정확한 2차원적 정렬과 두 기판 사이의 간격이 매우 균일하여야 한다는 매우 엄격한 조건이 요구된다. 만약, 이 두 가지 요건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 플립 칩 공정의 도입에 따른 생산성 저하는 물론이고 소자의 불량율이 높아져 소자의 신뢰성까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When such a complicated process is introduced into the LED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the flip chip process must be applied to each individual LED device,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productivity. In particular, in applying the flip chip process to an LED device having a micro LED array structure, which has been recently attempted, since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electrode of the LED and the sub-mount substrate for the flip chip is very important, the LED is first performed in the flip chip process. The exact two-dimensional alignment of the and sub-mounts and the very tight conditions between the two substrates must be very uniform. If these two requirements are not satisfi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flip chip process is lowered and the defect rate of the device is increased to lower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광추출 효율이 높고 소자의 고신뢰성 보장을 위한 열 발산 구조가 도입되어 있으며, 플 립 칩 공정이 적용될 때보다 생산성이 높은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과 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 high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for ensuring high reliability of the device is introduced, the productivity is higher than when the flip chip process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ode device and its structur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는, 상반된 도핑 반도체층 사이에 활성층이 개재된 LED 단위체; 소정의 투과성 절연막을 매개로 상기 LED 단위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LED 단위체 상부에 있는 도핑 반도체층에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활성층에서 방출되는 광자를 반사시키는 도전성 반사막; 금속성 박막을 매개로 웨이퍼 본딩 방법에 의해 상기 도전성 반사막과 접합된 서브 마운트 기판; 및 상기 LED 단위체의 하부에 있는 도핑 반도체층에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는 오믹콘택을 형성하여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는 오믹콘택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ncluding: an LED unit having an active layer interposed between opposite doped semiconductor layers; A conductive reflective film formed on the LED unit via a transparent insulating film to apply a bias current to the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ED unit and reflect photons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A sub-mount substrate bonded to the conductive reflective film by a wafer bonding method through a metal thin film; And an ohmic contact line applying a bias current by forming an ohmic contact applying a bias current to the doped semiconductor layer under the LED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절연막은 상기 LED 단위체 상부에 있는 도핑된 반도체층 상부를 노출시키도록 패터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insulating film is preferably patterned to expose the upper portion of the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ED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반사막과 상기 LED 단위체의 상부에 있는 도핑된 반도체층 사이에서 오믹콘택을 형성하는 오믹콘택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ohmic contact pad forming an ohmic contact between the conductive reflective layer and the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ED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LED 단위체는 마이크로 LED 어레이 구조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unit is preferably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micro LED array struc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박막과 도전성 반사막 사이에 DBR 구조층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믹콘택 라인과 상기 LED 단위체의 하부에 있는 도핑된 반도체층 사이에 DBR 구조층이 개재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BR structure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metallic thin film and the conductive reflective film. In addition, a DBR structure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hmic contact line and the doped semiconductor layer under the LED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믹콘택 라인은, 각 LED 단위체에 구비된 활성층에 대한 오믹콘택 평면으로의 투영영역을 구획하도록 메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쉬 구조는 정사각형 메쉬 또는 정육각형 메쉬의 2차원적 반복배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믹콘택 라인은 상기 투영영역의 둘레와 실질적으로 접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hmic contact line may be formed in a mesh structure so as to partition the projection area onto the ohmic contact plane with respect to the active layer provided in each LED unit. At this time, the mesh structure may be composed of a two-dimensional repeating arrangement of a square mesh or a regular hexagonal mesh. In some embodiments, the ohmic contact line may substantially contact the circumference of the projection are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믹콘택 라인은, 각 LED 단위체에 구비된 활성층에 대한 오믹콘택 평면으로의 각 투영영역을 적어도 2개 이상 폐루프에 의해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hmic contact line may be formed to partition each projection area onto the ohmic contact plane with respect to the active layer provided in each LED unit by at least two closed loop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이다. 1 is a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먼저 소정의 기판, 예 컨대 사파이어 기판에 에피텍시얼 공정을 적용하여 N형 반도체층(10)과 P형 반도체층(30) 사이에 활성층(20)을 형성하고 포토그라피 공정을 적용하여 개별적인 소형 LED 단위체(A)(마이크로 LED)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N형 반도체층(10)은 실리콘이 도핑된 AlGaN로 형성하고, 상기 P형 반도체층(30)은 마그네슘이 도핑된 AlGaN로 형성하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 in order to implemen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 epitaxial process is applied to a predetermined substrate, such as a sapphire substrate, between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10 and a P-type semiconductor layer 30. The active layer 20 is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 photolithography process is applied to form individual small LED units A (micro LED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10 is formed of AlGaN doped with silicon, and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30 is formed of AlGaN doped with magnesiu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o.

이어서, 각 LED 단위체(A)의 상부에 구비된 P형 반도체층(30)의 상부에 P형 오믹콘택 패드(40)를 형성하고, 이 P형 오믹콘택 패드(40)를 노출시키도록 패터닝된 투과성 절연막(5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기판 전면에 도전성 반사막(6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P형 오믹콘택 패드(40)는 Ti, Al, Au, Ni, Pt, Pd, Ag, Rh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투과성 절연막(50)은 SiO2 또는 Si3N4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도전성 반사막(60)은 Ti, Al, Au, Ni, Pt, Pd, Ag, Rh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할 수 있다.Subsequently, a P-type ohmic contact pad 40 is formed on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30 provided on each LED unit A, and patterned to expose the P-type ohmic contact pad 40. The transparent insulating film 50 is formed. Then, the conductive reflective film 60 is formed on the entire substrat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type ohmic contact pad 40 may be formed of Ti, Al, Au, Ni, Pt, Pd, Ag, Rh, or a mixture thereof, and the transparent insulating film 50 may be formed of SiO. 2 or Si 3 N 4 , and the conductive reflective film 60 may be formed of Ti, Al, Au, Ni, Pt, Pd, Ag, Rh, or a mixture thereof.

그리고 나서, 웨이퍼 기판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도전성 반사막(60)에 도전성 전극(70) 및 다이 본딩용 전극(90)이 각 면에 형성되어 있는 서브마운트 기판(M), 예컨대 실리콘 기판을 웨이퍼 본딩 공정으로 접합시킨다. 이 때, 기판의 도전선 반사막(60)과 도전성 전극(70)의 접합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 LED 단위체(A)가 형성되어 있는 에피텍시 웨이퍼의 기판을 제거하고 N형(혹은 P형) 반도체층(10)을 위한 오믹콘택 라인(8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성 전극(70), 다이 본딩용 전극(90) 및 N형 오믹콘택 라인(80)은 Ti, Al, Au, Ni, Pt, Pd, Ag, Rh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wafer-bonding the submount substrate M, for example, the silicon substrate, on which the conductive electrode 70 and the die bonding electrode 90 are formed on each surface, is formed on the conductive reflective film 60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wafer substrate. Join in the process. At this time, the conductive line reflecting film 60 of the substrate and the conductive electrode 70 are bonded. Then, the substrate of the epitaxial wafer on which the micro LED unit A is formed is removed and an ohmic contact line 80 for the N-type (or P-type) semiconductor layer 10 is form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electrode 70, the die bonding electrode 90 and the N-type ohmic contact line 80 is Ti, Al, Au, Ni, Pt, Pd, Ag, Rh or mixtures thereof It can be formed as.

상기한 바에 따라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는 활성층(20)이 서브마운트 기판(M) 방향으로 대하고 있어 플립칩 공정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와 마찬가지로 우수한 열분산 기능을 가진다. 또한, 서브마운트 기판(M)의 접합시 정밀한 2차원적 정렬이 필요치 않는 웨이퍼 본딩 공정이 적용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제조 공정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LED 단위체(A)를 적용함으로써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특히 N형 오믹콘택 라인(80)을 도 1과 같이 형성할 경우 활성층 영역(B)을 최대한 넓힐 수 있다. 도1에서, 참조부호 B는 각 마이크로 LED 단위체(A)의 활성층(20)을 오믹콘택 라인(80)에 의해 오믹콘택이 이루어지는 평면(C)에 가상으로 투영한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The light emitting diod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excellent heat dissipation function similar to the light emitting diode using the flip chip process since the active layer 20 faces the submount substrate M. In addition, a more stabl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secured by applying a wafer bonding process that does not require precise two-dimensional alignment when bonding the submount substrate M. FIG. In addition, by applying the micro LED unit (A) can increas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particular, when the N-type ohmic contact line 80 is formed as shown in Figure 1 it can be as wide as possible the active layer region (B). In FIG. 1, reference numeral B denotes a region in which the active layer 20 of each micro LED unit A is virtually projected onto the plane C where the ohmic contact is made by the ohmic contact line 80.

기존에 마이크로 LED를 이용한 플립 칩 형태의 발광 다이오드는 마이크로 LED(A) 각각의 P형 오믹콘택 패드(40)와 서로 독립적으로 패터닝된 도전성 전극(70)을 정밀하게 2차원 정렬시켜 접착시켜야 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마이크로 LED 단위체(A)를 소형으로 제작하는데 치명적인 한계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전성 전극(70)을 패터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플립칩 공정과 웨이퍼 본딩 공정을 혼합하여 적용함으로써 10~20㎛ 크기의 마이크로 LED 배열 구조 제작이 가능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도 1과 같은 이상적인 마이크로 LED 배열 형태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제작이 가능해진다. Conventionally, a flip chip type light emitting diode using a micro LED had to precisely two-dimensionally align and adhere the P-type ohmic contact pad 40 of each of the micro LEDs A and the patterned conductive electrode 70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ccordingly, there was a fatal limitation in manufacturing one micro LED unit A compac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conductive electrode 70 is patterned, but also the microchip array structure having a size of 10 to 20 μm is possible by applying a mixture of a flip chip process and a wafer bonding process.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micro LED array can be manufactured.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는 앞서 언급한 마이크로 LED 구조와 플립칩 구조 각각의 장점을 모두 포함하면서 웨이퍼 본딩 공정을 적용하여 보다 안정 적인 제작이 가능하다. The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advantages of the above-described micro LED structure and flip chip structure, and can be manufactured more stably by applying a wafer bonding proces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LED 단위체(A)와 N형 오믹콘택 라인(80)의 상호적인 배열을 최적화함으로써 마이크로 LED 구조가 갖는 높은 광추출 효율을 극대화 하고, 높은 열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해 도2a 내지 도3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B는 N형 오믹콘택 라인(80)이 형성되어 있는 평면, 즉 오믹콘택 평면에 활성층 영역(20)을 투영하여 나타낸 가상의 영역(이하, 투영 영역이라 함)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80과 B를 참조하면 N형 오믹콘택 라인(80)과 활성층 영역(20) 사이의 2차원적 배열 관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ptimizing the mutual arrangement of the micro LED unit (A) and the N-type ohmic contact line 80 as described later to maximize the high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micro LED structure , High thermal stability can be obtain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3B.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B denotes an imaginary reg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ojection region) in which the active layer region 20 is projected onto the plane on which the N-type ohmic contact line 80 is formed, that is, the ohmic contact plane. Referring to reference numerals 80 and B, the two-dimensional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N-type ohmic contact line 80 and the active layer region 20 can be easily confirmed.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상부 평면도이다. 2A and 2B are top plan views of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N형 오믹콘택 라인(80)을 활성층 투영 영역(B)에 대해 그물 형태로 결선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마이크로 LED의 높은 광추출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류 분산도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LED의 이상적인 구조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2a와 같은 구조는 N형 오믹콘택 라인(80)의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광추출 효율이 낮아지고 활성층 투영 영역(B)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N형 오믹콘택 라인(80)의 폭이 수 ㎛ 정도로 매우 좁게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FIG. 2A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N-type ohmic contact line 80 is connected to the active layer projection area B in a net form. This structure is the ideal structure of the micro LED because it can maximize the high light extraction function of the micro LED and also has excellent current dispers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tructure of FIG. 2A increases the area of the N-type ohmic contact line 80,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area of the active layer projection area B is relatively reduc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difficulty that the width of the N-type ohmic contact line 80 must be made very narrow, such as several μm.

도 2b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될 수 있는 N형 오믹콘택 라인(80)의 배치 구조로서, 하나 이상의 LED 단위체(A)의 활성층 투영 영역(B)을 N 형 오믹콘택 라인(80)에 의해 감싸여지도록 N형 오믹콘택 라인(80)이 결선된 구조이다. 도 2a에 비해 전류 분산이 다소 어려울 수 있으나, N형 오믹콘택 라인(80)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활성층 영역(20)을 극대화 할 수 있고 광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FIG. 2B illustrates an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N-type ohmic contact line 80, which may be proposed to solve this difficulty. The active layer projection area B of one or more LED units A may be disposed on the N-type ohmic contact line 80. The N-type ohmic contact line 80 is connected to be surrounded by the structure. Current dispersion may be somewhat difficult compared to FIG. 2A, but the active layer region 20 may be maximized by minimizing the area of the N-type ohmic contact line 80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ay be further improved.

도 3a 내지 도 3b는 도 2에 나타낸 배열 형태와 마이크로 LED 구조체(A)의 모양을 변화시킨 구조이다. 도 2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 LED 자체의 모양과 그 배열 형태를 임의의 형태로 변형 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 및 배열의 변형은 마이크로 LED 구조체(A)에 포함되는 활성층 영역(20)을 최대한 넓히는 동시에 적절한 전류 분산을 목적으로 한다.3A to 3B are structures in which the arrangement and the shape of the micro LED structure A shown in FIG. 2 are change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hape of the micro LED itself and its arrangement may be modified in any form, and the modification of the shape and arrangement may maximize the active layer region 20 included in the micro LED structure A. At the same time it aims at widening the proper current distribution.

도4 및 도5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구조를 가진 RCLED(Resonance Cavity LED)와 VCSEL(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s)의 구조를 도시한 소자 단면도이다. 4 and 5 are devic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structures of a RCLED (Resonance Cavity LED) and a VCSEL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s) having the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에 도시된 RCLE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하다가 서브 마운트기판(M)을 웨이퍼 본딩하기 전에 DBR(Distributed Bragg Reflector)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구현 가능하고, 도5에 도시된 VCSEL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하는 과정 중 서브 마운트 기판(M)을 웨이퍼 본딩하기 전 및 기판을 제거한 후에 DBR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The RCLED shown in FIG. 4 can be implemented by forming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ming a distributed bragg reflector (DBR) structure before wafer bonding the sub-mount substrate M. The illustrated VCSEL can be implemented by forming a DBR structure before wafer bonding the sub-mount substrate M and removing the substrate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DBR 구조는 일반적으로 SiO2 혹은 Si3N4 등의 절연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런 물질을 사용하면 서브 마운트 기판(M) 위에 형성된 도전성 전극(70)과 LED 단위체(A)의 P형 반도체층(30)과의 전기적 연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절연 물질을 이용해 DBR 층을 형성할 경우, DBR 층 일부를 제거하여야 한다. The DBR structure may generally use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O 2 or Si 3 N 4 , but when such a material is used, the P-type semiconductor of the conductive electrode 70 and the LED unit A formed on the sub-mount substrate M are used. Electrical connection with layer 30 is not possible. Therefore, when the DBR layer is formed using the above insulating material, part of the DBR layer must be removed.

하지만, AlGaN, InGaN 또는 이들의 혼합물질로 DBR 층을 형성하면 P형 반도체층(3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별도의 공정은 필요치 않다. DBR 층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상기 LED 단위체(A) 상부에 DBR 층을 형성한 후 도전성 반사막(60)을 형성하거나 혹은 서브 마운트 기판 위에 도전성 전극(70)을 형성한 후 그 위에 DBR층을 형성할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도전성 반사막(60)의 기능이 달라진다. 즉, 도전성 반사막(60) 하부에 DBR 층이 형성된 구조이기 때문에 DBR의 기능이 불가능해지므로, 이때에 사용하는 도면부호 60번 층은 도전성 투과막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DBR layer is formed of AlGaN, InGaN, or a mixture thereof, no separate process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30 is required. In the method of forming the DBR layer, after forming the DBR layer on the LED unit (A), the conductive reflective film 60 is formed or the conductive electrode 70 is formed on the sub-mount substrate, and then the DBR layer is formed thereon. In the latter case, the function of the conductive reflective film 60 is different. In other words, since the DBR layer is formed under the conductive reflective film 60, the DBR function becomes impossib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numeral 60 used at this time has the function of the conductive transparent film.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RCLED와 VCSEL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가 채택되어 있어 열적 안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DBR 구조층의 채택에 의해 높은 광추출 효율을 가지게 된다. RCLED and VCSEL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s. 4 and 5 have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not only thermal stability but also has high light extraction efficiency by adopting the DBR structure lay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본 발명은 마이크로 LED 어레이 구조의 도입으로 활성층에서 방출되는 광자의 광추출 경로를 짧게 함으로써 광추출 효율의 향상에 의한 소자의 고휘도를 달성하고, 공정이 단순하면서도 정밀한 2차원 정렬과정이 필요 없어 소자의 불량율이 현저히 작은 웨이퍼 본딩 방법을 적용하여 열 분산 구조를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구현함으로써 고출력이 요구되는 조건에서도 열에 의한 소자의 성능 저하 없이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동작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립 칩 공정을 적용하는 경우보다 효과적인 열분산 구조를 소자에 구현하면서도 생산성은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a high brightness of the device by improving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by shortening the light extraction path of the photons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by the introduction of a micro LED array structure, the process is simple and does not require precise two-dimensional alignment process of the device By applying a wafer bonding method with a significantly low defect rate,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in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thereby providing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capable of operating with high reliability without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due to heat even under conditions requiring high power. . In addition, while implementing a more effectiv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n the device than when applying a flip chip process, the productivity can be further improved.

Claims (7)

(a) 상반된 도핑 반도체층 사이에 활성층이 개재된 LED 단위체;(a) an LED unit having an active layer interposed between opposite doped semiconductor layers; (b) 소정의 투과성 절연막을 매개로 상기 LED 단위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LED 단위체 상부에 있는 도핑 반도체층에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활성층에서 방출되는 광자를 반사시키는 도전성 반사막;(b) a conductive reflective film formed on the LED unit via a transparent insulating film to apply a bias current to the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ED unit and reflect photons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c) 금속성 박막을 매개로 웨이퍼 본딩 방법에 의해 상기 도전성 반사막과 접합된 서브 마운트 기판; 및(c) a submount substrate bonded to the conductive reflective film by a wafer bonding method through a metallic thin film; And (d) 상기 LED 단위체의 하부에 있는 도핑 반도체층에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는 오믹콘택을 형성하여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는 오믹콘택 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d) forming an ohmic contact for applying a bias current to the doped semiconductor layer under the LED unit and including an ohmic contact line for applying a bias current, 상기 오믹콘택 라인은 각 LED 단위체에 구비된 활성층에 대한 오믹콘택 명면으로의 각 투영영역을 적어도 1개이상의 폐루프에 의해 구획하도록 메쉬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소자.The ohmic contact line is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mesh structure so as to partition each projection area to the ohmic contact bright surface for the active layer provided in each LED unit by at least one closed loop.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과성 절연막은 상기 LED 단위체 상부에 있는 도핑된 반도체층 상부를 노출시키도록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The transmissive insulating layer is patterned to expose the upper portion of the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ED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전성 반사막과 상기 LED 단위체의 상부에 있는 도핑된 반도체층 사이에서 오믹콘택을 형성하는 오믹콘택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And an ohmic contact pad forming an ohmic contact between the conductive reflective film and the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ED uni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금속성 박막과 도전성 반사막 사이에 개재된 DBR 구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And a DBR structur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metallic thin film and the conductive reflective fil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믹콘택 라인과 상기 LED 단위체의 하부에 있는 도핑된 반도체층 사이에 개재된 DBR 구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The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DBR structur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ohmic contact line and a doped semiconductor layer under the LED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쉬 구조는 다각형 메쉬의 2차원적 반복배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The mesh structure is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wo-dimensional repeating array of polygonal mesh. 삭제delete
KR20030026197A 2003-04-25 2003-04-25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high luminance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 KR1005512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6197A KR100551247B1 (en) 2003-04-25 2003-04-25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high luminance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6197A KR100551247B1 (en) 2003-04-25 2003-04-25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high luminance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673A KR20040092673A (en) 2004-11-04
KR100551247B1 true KR100551247B1 (en) 2006-02-09

Family

ID=3737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26197A KR100551247B1 (en) 2003-04-25 2003-04-25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high luminance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2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773B1 (en) 2006-12-28 2014-02-1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iode with unit cells taking individual electric rout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943B1 (en) * 2004-12-14 2012-04-25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773B1 (en) 2006-12-28 2014-02-1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iode with unit cells taking individual electric rout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673A (en)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2766B2 (en) Spherical LED with high light extraction efficiency
JP4796577B2 (e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reflective bonding pad and method for making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reflective bonding pad
KR101503558B1 (en) Wire bond free wafer level led
US6646292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US7781789B2 (en) Transparent mirrorless light emitting diode
US8017967B2 (en) Light-emitting element including a fusion-bonding portion on contact electrodes
TWI390759B (en) Method for fabricating group iii nitride devices and devices fabricated using method
US11929456B2 (en) Solid-state radiation transducer devices having flip-chip mounted solid-state radiation transduc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7210341B (en) LED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4006893A (en) Selective arrangement of quantum well of flip chip light emitting diode led for improved optical output
JP2004521494A (en) Light emitting diode with improved light extra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20002472A (en) Method of making a iii-nitride light-emitting device with increased light generating capability
KR101228130B1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light-emiting device
KR101260000B1 (en) Flip chip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34910A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preparing therof
KR100670929B1 (en) Flip chip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51247B1 (en)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high luminance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
KR101221643B1 (en) Flip chip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47814B1 (en)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high luminance characteristics
KR20090041179A (en)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09064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apparatus
KR101205524B1 (en) Flip chip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