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028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028B1
KR100549028B1 KR1020040022806A KR20040022806A KR100549028B1 KR 100549028 B1 KR100549028 B1 KR 100549028B1 KR 1020040022806 A KR1020040022806 A KR 1020040022806A KR 20040022806 A KR20040022806 A KR 20040022806A KR 100549028 B1 KR100549028 B1 KR 10054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ver member
movable contact
fixed termina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805A (ko
Inventor
다나까도시히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2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 H02P1/3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by star/delta swi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24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 H02P29/027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the fault being an over-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075Computer or microproc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수가 적고, 또한 소형이면서 신뢰성 및 조작성이 우수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의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가동접점 (7) 은, 레버부재 (2) 에 지지되어 케이스 (1) 의 공동부 (1a) 안을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레버부재 (2) 가 회전운동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접점 (7) 이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중 어느 한 쪽에 접한 상태로 되며, 레버부재 (2) 를 회전운동 조작하면, 가동접점 (7) 이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의 양쪽에 접하여,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사이의 스위치 회로가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2-2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레버부재의 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9 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1a: 공동(空洞)부
1f: 스냅 구멍 1g: 외부단자 삽입통과 구멍
2: 레버부재 2a: 본체부
2b: 조작부 2c: 스토퍼벽
3: 웨이퍼 3a: 지지벽
3b: 스프링 지지부 3c: 스프링 수용부
4: 제 1 고정단자 4a: 기부
4b: 접점부 4c: 접속부
5: 제 2 고정단자 5a: 기부
5b: 접점부 5c: 접속부
6: 탄성부재 7: 가동접점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2 개의 고정단자 사이의 스위치 회로를 전환 가능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상인 케이스 (21) 를 갖고, 이 케이스 (21) 는, 내부에 형성한 공동부 (21a) 의 하면측이 측벽 (22) 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상기 공동부 (21a) 의 도시된 바로 앞측의 우측 모서리부에는, 레버 (23) 가 연장 돌출하여 지지되고, 이 레버 (23) 에 형성된 지지부 (23a) 가, 측판 (22) 의 지지부 (22a) 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막대 (도시 생략) 등에 지지되어, 레버 (23) 가 지지부 (23a) 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상기 레버 (23) 는, 지지부 (23a) 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압부 (23b) 와 오른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 (23c) 가 형성되어 형상이 대략 く 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부 (23b) 가 공동부 (21a) 안에 위치하는 동 시에 조작부 (23c) 가 공동부 (21a) 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21) 내부의 공동부 (21a) 에는 슬라이더 (24) 가 배치되고, 이 슬라이더 (24) 는, 코일 스프링 (25)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레버 (23) 의 가압부 (23b) 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 (24) 는, 레버 (23) 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운동 조작되는 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 (25) 을 압축하는 방향의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레버 (23) 는, 지지부 (23a) 로부터 가압부 (23b) 의 선단까지의 치수에 대하여, 지지부 (23a) 로부터 조작부 (23c) 까지의 치수쪽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레버 (23) 의 조작부 (23c) 에 가하는 힘이 작아도, 슬라이더 (24) 를 코일 스프링 (25)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 (24) 에는, 금속판을 구부려 클립형상으로 형성한 가동접점 (26) 이 지지되어, 이 가동접점 (26) 이 슬라이더 (24) 의 슬라이딩과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21) 의 공동부 (21a) 는, 도시된 좌측이 개방되고, 이 개방부분에 웨이퍼 (27) 의 지지부 (27a) 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웨이퍼 (27) 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고정단자 (28, 29) 가,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각각이 절연되어 지지되어 있 다.
그리고, 웨이퍼 (27) 의 지지부 (27a) 에는, 공동부 (21a) 측으로 돌출하여, 제 1, 제 2 고정단자 (28, 29) 의 접점부 (28a, 29a) 가 절연부 (27b) 에 의해 절연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점부 (28a, 29a) 사이의 절연부 (27b) 는 접점부 (28a, 29a) 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21) 에 지지부 (27a) 가 지지된 상태의 웨이퍼 (27) 에는, 케이스 (21) 의 공동부 (21a) 의 외측에 위치하는 기부 (27c) 와, 이 기부 (27c) 의 양단부로부터 도시된 하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한 쌍의 프로텍트부 (27d, 27d)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로텍트부 (27d, 27d) 의 사이에 끼워진 기부 (27) 의 중앙 부분으로부터는, 프로텍트부 (27d) 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여 단자도출부 (27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도출부 (27e) 에는, 인서트 성형된 제 1, 제 2 고정단자 (28, 29) 에 형성된 단자부 (28b, 29b) 가 프로텍트부 (27d) 측으로 인출되어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노출되는 각각의 단자부 (28b, 29b) 를 프로텍트부 (27d, 27d) 에 의해 가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단자부 (28b, 29b) 는, 대략 U 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외부로부터 플러그 (도시 생략) 등이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레버 (23) 를 회전운동 조작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25) 의 탄성지지력에 의 해, 슬라이더 (24) 가 도시된 오른쪽에 위치하고, 가동접점 (26) 이 제 1 고정단자 (28) 의 접점부 (28a) 에 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은, 우선, 도 8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에 있는 레버 (23) 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운동 조작한다.
그러면, 레버부재 (22) 의 가압부 (23b) 에 가압된 슬라이더 (24) 가, 도시된 왼쪽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슬라이딩하여 코일 스프링 (25) 이 압축된다.
상기 슬라이더 (24) 의 슬라이딩과 함께 이 가동접점 (26) 도 같은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제 1 고정단자 (28) 의 접점부 (28a) 에 접하고 있던 가동접점 (26) 이,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고정단자 (28) 의 접점부 (28a) 와 제 2 고정단자 (29) 의 접점부 (29a) 의 양쪽에 접하여, 제 1, 제 2 단자 (28, 29) 사이의 스위치 회로가 전환된다.
또한, 레버 (23) 의 조작부 (23c) 에 가해지고 있던 화살표 A 방향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 (25)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슬라이더 (24) 가 도시된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가동접점 (26) 이 제 2 고정단자 (29) 의 접점부 (29a) 로부터 떨어져, 스위치 회로가 초기 상태로 자동 복귀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3-20335호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가동접점 (26) 은, 슬라이 더 (24) 에 지지되어, 레버 (23) 를 회전운동시켜 슬라이더 (24) 를 직선적으로 슬라이딩시켜 스위치 회로를 전환하고 있었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레버 (23) 가 회전운동할 때에, 가압부 (23b) 와 슬라이더 (24) 가 슬라이딩하는 것에 의해 마찰력이 발생하여, 레버 (23) 의 작동력이 무거워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레버 (23) 의 작동력을 작게 하기 위해서, 지지부 (23a) 로부터 가압부 (23b) 의 길이 치수에 대하여 지지부 (23a) 로부터 조작부 (23c) 까지의 길이 치수를 길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외형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품수가 적고, 또한 소형이면서 신뢰성 및 조작성이 우수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케이스 내부의 공동부에 서로 절연되어 배치된 제 1, 제 2 고정단자와,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의 양쪽에 접촉할 수 있는 가동접점과, 상기 케이스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레버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고, 상기 레버부재가 회전운동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 중 어느 한 쪽에 접한 상태로 되며, 상기 레버부재를 회전운동 조작하면,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의 양쪽에 접하여, 제 1, 제 2 고정단자 사이의 스위치 회로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에는, 상기 가동접점이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접점부가 각각 형성되고, 이 각각의 접점부는, 상기 가동접점의 회전운동 궤적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접점에는, 상기 제 1 고정단자의 상기 접점부에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제 1 접점부와, 상기 제 2 고정단자의 상기 접점부에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제 2 접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단자의 접점부는, 상기 제 2 고정단자의 상기 접점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점의 상기 제 1 접점부가 항상 접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회전운동 조작하면, 상기 가동접점의 상기 제 2 접점부가 상기 제 2 고정단자에 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는, 판형상의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의 각각의 접점부의 판두께 방향을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접촉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가동접점의 상기 제 2 접점부가 상기 제 2 고정단자의 상기 접점부로부터 떨 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공동부 안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할 수 있는 본체부를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공동부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 가능한 웨이퍼가 배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회전운동 조작하면, 상기 본체부의 일부가 상기 웨이퍼에 맞닿아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운동이 정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2-2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레버부재의 요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스위치 장치 (1) 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이 대략 정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1)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케이스 (1) 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된 하측의 일측이 개방된 공동부 (1a)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1) 의 공동부 (1a) 는, 외주부가 서로 대향하는 면적이 큰 제 1 측판 (1b) 과, 면적이 작은 제 2 측판 (1c)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1) 는, 도시된 상측에 형성한 천판 (1d) 에 의해, 공동부 (1a) 의 상측이 차폐되고, 이 천판 (1d) 에 후술하는 레버부재 (2) 가 삽입 통과할 수 있는 레버 삽입통과 구멍 (1e)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로 대향하는 제 1 측판 (1b) 에는, 하부측에 세로로 긴 형상의 스냅구멍 (1f, 1f) 이 관통 형성되고, 이 스냅구멍 (1f, 1f) 보다 상부측에서 외측에는, 소켓 등의 접속부재 (도시 생략) 가 삽입 통과할 수 있는 삽입통과 구멍 (1g, 1g) 이 관통 형성되며, 이 삽입통과 구멍 (1g, 1g) 이 형성된 부분의 공동부 (1a) 안에, 후술하는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의 단자부 (4c, 5c) 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1) 의 공동부 (1a) 안에 배치되고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레버부재 (2) 는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측에 본체부 (2a) 가 형성되며, 이 본체부 (2a) 로부터 비스듬하게 상측으로 연장되어 조작부 (2b)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 (2b) 가 케이스 (1) 의 천판 (1d) 에 형성된 레버 삽입통과 구멍 (1e) 으로부터 도시된 상측으로 삽입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 (2b) 의 근원 부분인 본체부 (2a) 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와 폭 치수를 갖는 스토퍼벽 (2c, 2c) 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 (2a) 의 도시된 안쪽측에는, 후술하는 웨이퍼 (3) 의 지지막대 (3b) 가 삽입 통과할 수 있는 지지구멍 (2d) 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부재 (2) 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구멍 (2d) 이 형성된 부분의 본체부 (2a) 의 내부에, 후술하는 탄성부재 (6) 를 수납할 수 있는 제 1 공동부 (2e)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공동부 (2e) 의 도시된 바로 앞측에는, 후술하는 가동접점 (7) 을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제 2 공동부 (2f) 가 형성되고, 이 제 2 공동부 (2f) 를 구성하는 본체부 (2a) 의 측벽의 하부측에는, 한 쌍의 지지돌기 (2g, 2g) 가 안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공동부 (2f) 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가 위치할 수 있는 제 3 공동부 (2h)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공동부 (2f) 를 구성하는 본체부 (2a) 의 측벽에는, 도시된 세로 방향으로 슬릿홈 (2j)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1) 는, 공동부 (1a) 의 하부측인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부분을 차폐할 수 있는 웨이퍼 (3)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웨이퍼 (3) 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공통 단자인 제 1 고정단자 (4) 와 개별 단자인 제 2 고정단자 (5) 의 일부가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매설되어 지지되고 서로 절연되어 있다.
또한, 웨이퍼 (3) 로부터는, 지지벽 (3a) 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지지벽 (3a) 에, 후술하는 탄성부재 (6) 를 지지할 수 있는 막대형상의 스프링 지지부 (3b)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부 (3b) 의 하부에는,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수용부 (3c) 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탄성부재 (6) 의 일단부 (6a) 가 탄성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웨이퍼 (3) 의 측면으로부터는, 케이스 (1) 의 스냅구멍 (1f, 1f) 에 걸어맞출 수 있는 돌기부 (3d, 3d)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고정단자 (4) 는, 웨이퍼 (3) 의 도시된 안쪽측에 기부 (4a) 가 매설되어 배치되고, 제 2 고정단자 (5) 는, 웨이퍼 (3) 의 도시된 바로 앞측에 기부 (5a) 가 매설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웨이퍼 (3) 에 매설된 제 1 고정단자 (4) 의 기부 (4a) 에는, 도시된 바로 앞측에 웨이퍼 (3) 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는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접점부 (4b) 가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고정단자 (4) 의 기부 (4a) 는, 도시된 안쪽측에 플러그 등의 접속부재 (도시 생략) 가 접속할 수 있는 단자부 (4c) 가 형성되고, 이 단자부 (4c) 가 대략 U 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웨이퍼 (3) 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웨이퍼 (3) 에 매설한 제 2 고정단자 (5) 의 기부 (5a) 는, 도시된 안쪽측에 제 1 고정단자 (4) 의 접점부 (4b) 와 인접시켜 제 1 고정단자 (4) 의 접점부 (4b) 와 동일 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접점부 (5b) 가 웨이퍼 (3) 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고정단자 (5) 의 접점부 (5b) 의 높이 치수는, 제 1 고정단자 (4) 의 접점부 (4b) 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고정단자 (4) 의 접점부 (4b) 는, 제 2 고정단자 (5) 의 접점부 (5b)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고정단자 (5) 는, 기부 (5a) 를 사이에 끼우고 접점부 (5b) 로부터 떨어진 위치인 도시 바로 앞측에, 플러그 등의 접속부재 (도시 생략) 가 접속할 수 있는 단자부 (5c) 가 형성되고, 이 단자부 (5c) 가 대략 U 자 형상으로 구부러 져 형성되어 웨이퍼 (3) 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는, 각각의 기부 (4a, 5a) 를 사이에 끼우고 각각의 접점부 (4b, 5b) 와 각각의 단자부 (4c, 5c) 가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부 (4c, 5c) 에 플러그 등의 접속부재를 접속했을 때에 발생하는 불꽃 등의 이물이 각각의 접점부 (4b, 5b) 에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의 접점부 (4b, 5b) 는, 레버부재 (2) 의 제 2 공동부 (2f) 에 수납 지지한 후술하는 가동접점 (7) 의 회전운동 궤적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웨이퍼 (3) 의 스프링 지지부 (3b) 에는,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 (6) 가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 탄성부재 (6) 는, 일단부 (6a) 와 타단부 (6b) 가 소정 각도를 갖고 외측으로 도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 지지부 (3b) 에 지지된 상태의 탄성부재 (6) 는, 일단부 (6a) 가 웨이퍼 (3) 의 스프링 수용부 (3c) 에 탄성 접촉하고, 타단부 (6b) 가 레버부재 (2) 의 오른쪽의 스토퍼벽 (2c) 에 탄성 접촉하여, 레버부재 (2) 가 지지구멍 (2d) 을 지점으로 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레버부재 (2) 의 제 2 공동부 (2f) 안에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을 대략 コ 자 형상으로 구부려 형성한 가동접점 (7) 이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점 (7) 은, 양단부에 연결부 (7a, 7a) 를 갖고, 이 연결부 (7a, 7a) 사이에 클립형상을 갖는 판형의 제 1, 제 2 접점부 (7b, 7c)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접점 (7) 은, 레버부재 (2) 의 제 2 공동부 (2f) 안에 수납되면, 지지돌기 (2g, 2g) 에 지지되어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레버부재 (2) 의 제 2 공동부 (2f) 에 지지된 가동접점 (7) 은, 레버부재 (2) 의 회전운동 조작에 의해, 제 1, 제 2 접점부 (7b, 7c) 가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의 판형상의 접점부 (4b, 5b) 를 사이에 끼워 넣어, 원호형상인 접점부 (4b, 5b) 를 따라서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스위치 장치의 조립은, 우선, 레버부재 (2) 의 제 2 공동부 (2f) 에 가동접점 (7) 을 삽입하여 지지한다.
다음으로,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가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매설된 웨이퍼 (3) 의 스프링 지지부 (3b) 에 탄성부재 (6) 를 삽입 통과시켜 지지하는 동시에, 막대형상의 스프링 지지부 (3b) 를 레버부재 (2) 의 지지구멍 (2d) 에 삽입하여 레버부재 (2) 를 웨이퍼 (3) 에 지지한다.
이 때의 레버부재 (2) 의 제 2 공동부 (2f) 에는, 사전에 가동접점 (7) 이 수납되어 지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레버부재 (2) 를 지지한 웨이퍼 (3) 를, 케이스 (1) 의 개방된 하측으로부터 공동부 (1a) 안에 삽입하면, 레버부재 (2) 의 조작부 (2b) 가 레버 삽입통과 구멍 (1e) 으로부터 상측으로 삽입 통과된다.
또한, 동시에 웨이퍼 (3) 의 돌기부 (3d) 가 케이스 (1) 의 스냅 구멍 (1f) 에 걸어맞춰지는 동시에,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점 (7) 의 제 1 접점부 (7b) 가 제 1 고정단자 (4) 의 접점부 (4c) 에 접촉한 초기 상태가 되어, 본 발명 의 스위치 장치가 조립되어 있다.
또한,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의 각각의 단자부 (4c, 5c) 는, 케이스 (1) 의 삽입통과 구멍 (1g) 근방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플러그 등의 접속부재를 삽입통과 구멍 (1g) 에 꽂아 넣으면, 각각의 단자부 (4c, 5c) 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조작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부재 (6)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레버부재 (2) 가 상측으로 회전운동하여, 스토퍼벽 (2c) 이 케이스 (1) 의 천판 (2d) 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가동접점 (7) 의 제 1 접점부 (7b) 는, 제 1 고정단자 (4) 의 접점부 (4b) 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레버부재 (2) 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운동 조작하면,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고정단자 (4) 의 접점부 (4b) 에 제 1 접점부 (7b) 가 접촉한 상태에서, 작은 회전운동량에 의해 가동접점 (7) 의 제 2 접점부 (7c) 가 제 2 고정단자 (5) 의 접점부 (5b) 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가 가동접점 (7) 을 통하여 도통되어,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사이의 스위치 회로가 전환된다.
이 때의 가동접점 (7) 은, 레버부재 (2) 의 제 2 공동부 (2f) 안에서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레버부재 (2) 의 회전운동 조작에 충실하게 추종하여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레버부재 (2) 의 회전운동 조작량이 작아도 확실하게 스위치 회 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회전운동 조작한 레버부재 (2) 는, 관성력에 의해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 다시 회전운동하여 가동접점 (7) 이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의 원호형상의 접점부 (4b, 5b) 를 따라 강하된다.
그리고, 조작부 (2b) 가 소정의 스트로크량 만큼 강하되면, 레버부재 (2) 의 본체부 (2a) 의 일부인 단부가 웨이퍼 (3) 의 내면에 맞닿아 레버부재 (2) 의 회전운동이 정지된다.
그 후, 화살표 B 방향으로 가해지고 있던 레버부재 (2) 의 조작 하중을 해제하면, 레버부재 (2) 는, 탄성부재 (6)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도 4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자동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접점 (7) 의 제 2 접점부 (7c) 가 제 2 고정단자 (5) 로부터 떨어져, 스위치 회로가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레버부재 (2) 에 가동접점 (7) 을 직접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슬라이더 (24) 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레버부재 (2) 의 회전운동에 추종하여 가동접점 (7) 도 확실하게 회전운동시킬 수 있어, 스위치 회로의 전환 타이밍의 편차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가동접점 (7) 의 제 1 접점부 (7b) 가 제 1 고정단자 (4) 의 접점부 (4b) 에 항상 접한 것으로 설명했지만, 가동접점 (7) 의 제 2 접점부 (7c) 가 제 2 고정단자 (5) 의 접점부 (5b) 에 항상 접하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은, 레버부재 (2) 가 회전운동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접점 (7) 이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중 어느 한 쪽에 접한 상태인 것이면 된다.
또한,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를 금속판으로 설명했지만, 제 1, 제 2 고정단자 (4, 5) 는, 예를 들어 판형상의 수지 재료에 금속 도금을 실시한 도전성 부재여도 된다.
또한, 탄성부재 (6) 를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으로 설명했지만, 탄성부재 (6) 는, 레버부재 (2) 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탄성 지지하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레버부재가 회전운동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접점이 제 1, 제 2 고정단자 중 어느 한 쪽에 접한 상태로 되어 있고, 레버부재를 회전운동 조작하면, 가동접점이 제 1, 제 2 고정단자의 양쪽에 접하여, 제 1, 제 2 고정단자 사이의 스위치 회로가 전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부재에 직접 가동접점이 지지되어 스위치 회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예와 같은 슬라이더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를 삭감하여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동접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레버부재를 회전운동 조작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작은 작동력으로 레버부재를 회전운동 조작할 수 있어 조작성이 좋다.
또한, 제 1, 제 2 고정단자에는, 가동접점이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접점 부가 각각 형성되고, 이 각각의 접점부는, 가동접점의 회전운동 궤적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하고 안정적인 스위칭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고정단자의 접점부는, 제 2 고정단자의 접점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가동접점의 제 1 접점부가 항상 접한 상태로 되어 있고, 레버부재를 회전운동 조작하면 가동접점의 제 2 접점부가 제 2 고정단자에 접하도록 했기 때문에, 레버부재의 작은 회전운동량으로 확실하게 스위치 회로를 전환할 수 있는 신뢰성 및 조작성이 우수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동접점은, 제 1, 제 2 고정단자의 각각의 접점부의 판두께 방향을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접점은, 제 1, 제 2 고정단자의 판두께 방향의 양면을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가동접점과 제 1, 제 2 고정단자를 확실하게 접촉시켜 도통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부재는, 가동접점의 제 2 접점부가 제 2 고정단자의 접점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운동 조작 후의 레버부재를 자동 복귀시킬 수 있어 조작성이 좋다.
또한, 레버부재를 회전운동 조작하면, 레버부재의 본체부의 일부가 웨이퍼에 맞닿아 레버부재의 회전운동이 정지되도록 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은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케이스 내부의 공동부에 서로 절연되어 배치된 제 1, 제 2 고정단자와,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의 양쪽에 접촉할 수 있는 가동접점과, 상기 케이스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레버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고, 상기 레버부재가 회전운동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 중 어느 한 쪽에 접한 상태로 되며,
    상기 레버부재를 회전운동 조작하면,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의 양쪽에 접하여, 제 1, 제 2 고정단자 사이의 스위치 회로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에는, 상기 가동접점이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접점부가 각각 형성되고, 이 각각의 접점부는, 상기 가동접점의 회전운동 궤적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에는, 상기 제 1 고정단자의 상기 접점부에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제 1 접점부와, 상기 제 2 고정단자의 상기 접점부에 슬 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제 2 접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단자의 접점부는, 상기 제 2 고정단자의 상기 접점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점의 상기 제 1 접점부가 항상 접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회전운동 조작하면, 상기 가동접점의 상기 제 2 접점부가 상기 제 2 고정단자에 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는, 판형상의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제 1, 제 2 고정단자의 각각의 접점부의 판두께 방향을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접촉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가동접점의 상기 제 2 접점부가 상기 제 2 고정단자의 상기 접점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공동부 안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할 수 있는 본체부를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공동부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할 수 있는 웨이퍼가 배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회전운동 조작하면, 상기 본체부의 일부가 상기 웨이퍼에 맞닿아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운동이 정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40022806A 2003-04-03 2004-04-02 스위치 장치 KR100549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0937A JP4256708B2 (ja) 2003-04-03 2003-04-03 スイッチ装置
JPJP-P-2003-00100937 2003-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805A KR20040086805A (ko) 2004-10-12
KR100549028B1 true KR100549028B1 (ko) 2006-02-02

Family

ID=33464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806A KR100549028B1 (ko) 2003-04-03 2004-04-02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56708B2 (ko)
KR (1) KR100549028B1 (ko)
CN (1) CN1249748C (ko)
TW (1) TWI2360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5613B2 (ja) * 2005-02-22 2010-07-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4906391B2 (ja) * 2006-04-26 2012-03-2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コントローラ
ITVI20060145A1 (it) * 2006-05-15 2007-11-16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posizione con contatti mobili ad azionamento forza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11121A (ja) 2004-11-04
JP4256708B2 (ja) 2009-04-22
CN1249748C (zh) 2006-04-05
TW200506991A (en) 2005-02-16
KR20040086805A (ko) 2004-10-12
TWI236028B (en) 2005-07-11
CN1536595A (zh)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266B1 (ko) 포인팅장치
JPS635868B2 (ko)
JP3732380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EP1895626B1 (en) Connecting device
JP2013187155A (ja) 端子とその接続構造
US3978298A (en) Miniature switch having pivotal actuator with budging contact and position safety structure
JPH0254632B2 (ko)
KR100356902B1 (ko) 전기부품용 소켓
EP2889886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0549028B1 (ko) 스위치 장치
JP4338722B2 (ja) 入力装置
JP4531793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4257832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629819B1 (ko) 푸시 스위치
JP4619196B2 (ja) 押圧スイッチ付き摺動式電子部品
JP3910361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US7880103B2 (en) Microswitch with push-in wire connector
JP6906178B2 (ja) スイッチ装置及び移動体
JP3746991B2 (ja) Icソケット
WO2015060152A1 (ja) 端子装置
KR101268607B1 (ko) 푸시 스위치 유니트
JP4155477B2 (ja) スイッチ
JPH0427059Y2 (ko)
KR20040071058A (ko) 커넥터 장치
KR890000051Y1 (ko) 자동 복귀형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