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714B1 - Call originating service method of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Call originating service method of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714B1
KR100547714B1 KR1020020050548A KR20020050548A KR100547714B1 KR 100547714 B1 KR100547714 B1 KR 100547714B1 KR 1020020050548 A KR1020020050548 A KR 1020020050548A KR 20020050548 A KR20020050548 A KR 20020050548A KR 100547714 B1 KR100547714 B1 KR 100547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ervic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73460A (en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714B1/en
Publication of KR2002007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4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7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 및 사설 공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 호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가 공용되는 기지국을 통해 이동단말로부터의 발신 호 메시지가 있으면 상기 발신 호 메시지가 공중용인지 사설용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공중용 이동통신망 및 사설용 이동통신망중 하나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l service method in a public and privat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if there is an outgoing call message from a mobile terminal through a base station where a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shared, the outgoing call message is public.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all is for private use or transmitting the outgoing call message to one of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determination.

공중용 이동통신 서비스,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 발 호 서비스Public telecommunications services, private telecommunications services, calling services

Description

공중 및 사설 공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 호 서비스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CALL ORIGINATING SERVICE METHOD OF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CALL ORIGINATING SERVICE METHOD OF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a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와 pBTS(8-k)에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구성도,FIG. 2 is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related to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and pBTS 8-k of FIG. 1;

도 3은 도 2의 구체 블록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FIG. 2;

도 4는 도 3의 호 관리장치(50)의 소프트웨어 블록 구성도,4 is a software block diagram of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of FIG.

도 5는 pVLR(64)의 데이터베이스(76)에 저장된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등록된 가입자정보 일 예도, 5 is an example of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ered in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tored in the database 76 of the pVLR 6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 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l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패킷 메시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7 shows a packet message structur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의 발 호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l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in a system that can provide both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은 공중용 이동통신망과 사설용(또는 구내용) 이동통신망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두 망은 상호 연동이 불가능하다. 즉 이동통신 시스템들은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이거나 아니면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만이 가능하게 각각 설계되고 구현되어 있어서 각 망에 등록된 이동단말 가입자는 자신이 등록된 망에서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공중용 이동통신망에 등록된 이동단말 가입자는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으며, 마찬가지로 사설용 이동통신망에 등록된 이동단말 가입자는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었다. 그에 따라 이동단말 가입자가 하나의 이동단말로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 그리고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현될 경우 발신 호가 공중용 이동통신망에서 발신한 호인지 사설용 이동통신망에서 발신한 호인가를 구별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요망된다.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classified into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rivate (or outdo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two networks may not be interoperable.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designed or implemented to be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r only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o that a mobile subscriber registered in each network can receive a service only from a registered network. Therefore, a mobile subscriber registered in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not receive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likewise, a mobile subscriber registered in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not receive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ly, it is desirable for a mobile terminal subscriber to be provided with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in one mobile terminal. If a system capable of providing both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is implemented, a method for distinguishing whether an originating call is a call originating from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ly This is des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가능한 시스템에서의 발 호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l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in a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apabl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 가능한 시스템의 이동단말이 발호 시 공중용 이동통신망과 사설용 이동통신망중 어느 망에서 호 발신을 하였는지를 구별하는 방법 및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a mobile terminal of a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able system makes a call.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 가능한 시스템의 이동단말이 발호 시 공중용 이동통신망과 사설용 이동통신망중 어느 곳에서 호 발신을 하였는지를 구별하고 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istinguishing whether a call originates from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a mobile terminal of a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able system is called, and provides a service accordingly. It is.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공중 및 사설 공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 호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가 공용되는 기지국을 통해 이동단말로부터의 발신 호 메시지가 있으면 상기 발신 호 메시지가 공중용인지 사설용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공중용 이동통신망 및 사설용 이동통신망중 하나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l service method in a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f there is an outgoing call message from a mobile terminal through a base station for which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re shared. Determining whether the outgoing call message is public or private, and transmitting the outgoing call message to one of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determin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참조번호 내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the same reference sign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용 및 사설용 공유 통신서비스 영역인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을 가지고 있으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은 특정 집단의 통신서비스 편의를 제공하는데 유익하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특정 회사가 하나의 빌딩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 빌딩이 속한 영역(area)을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으로 정할 수 있다.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을 정하는 것은 사전에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와의 협의 하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는 사설 기지국(private BTS: 8-k)이 공중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공중 기지국처럼 인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원 출원 명세서에서는 공중용 이동통신시스템에 속해있는 기지국(BTS)들 즉, 도 1에 일 예로 도시된 BTS들(6-1,,,6-k, 8-1)과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는 사설 기지국(8-k)을 구별하기 위해서 상기 사설 기지국(8-k)을 "pBTS(private BTS)로 칭한다. pBTS(8-k)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속해 있는 MS(24)와 함께 무선통신로를 구성하고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를 통해 공중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BSC 예컨대, 도 1의 도시된 BSC(4-m)와 연결된다. 공중/사설 통신서비스 장치(12)는 공중용 이동통신시스템의 BSC(4-m), PSTN/ISDN(16), IP망(Internet Protocol Network)(18)과 접속된다.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는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가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는 MS들에게 예컨대, 도 1의 MS(24)에게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서비스를 수행한다. 만약 MS(24)가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에 등록이 되어 있다면 MS(24)는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는 물론이고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도 제공받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MS(24)에 대한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등록이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장치(12)에 되어 있지 않다면 MS(24)는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는 PSTN/ISDN(16) 및 IP망(18)과의 유선 통신 서비스도 수행한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a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o provide a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which is a public and private shared communication service area, is provided.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is provided. The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is preferably defined to benefit a particular group of communications services. For example, if a particular company is using one building, the area to which the building belongs may be designated as the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Determining the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is preferably done in consultation with a public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is is for the private base station (private BTS) 8-k in the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to be recognized as a public base s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BTS) belonging to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the BTSs 6-1, 6-k, and 8-1 shown as an example in FIG. 1 and a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In order to distinguish the private base station 8-k at 14, the private base station 8-k is referred to as " pBTS (private BTS). The pBTS 8-k is a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BSC of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and performs functions to configure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and manage radio resources with the MS 24 belonging to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is connected to the BSC (4-m), the PSTN / ISDN (16), and the IP network (Internet Protocol Network) 18 of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is connected to MSs in which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 located in the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for example, the MS of FIG. Perform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be selectively provided to the 24. If the MS 24 is registered in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to receive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MS 24 Not only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ut also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but if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egistration for the MS 24 is not in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the MS ( 24 may be provided with only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also performs a wired communication service with the PSTN / ISDN 16 and the IP network 18.

한편 공중용 이동통신망은 통상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이라 칭해지며, 그 공중용 이동통신시스템의 일 예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이동 교환국들(MSC: Mobile Switching Center)(2-1,..,2-n), 복수개의 기지국 제어국들(BSC: Base Station Controller)(4-1,..,4-m), 복수개의 기지국들(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6-1,..,6-k, 8-1,..,8-k), 이동단말들(MS: Mobile Station)(20,22), 및 HLR/VLR(Home Location Register / Visitor Location Register)(10)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MSC들(2-1,..,2-n) 각각에는 복수개의 BSC들(4-1,..,4-m)이 연결되며, 복수개의 BSC들(4-1,..,4-m) 각각에는 복수개의 BTS들(6-1,..,6-k, 8-1,..,8-k)이 연결된다. 특히 pBTS(8-k)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중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BSC(4-m)에 연결된 복수개의 BTS들(8-1,..,8-k)중 하나로서 연결되어 있다. 복수개의 MSC들(2-1,..,2-n) 각각은 자신에 연결된 복수개의 BSC들(예컨대, 4-1,..,4-m)을 PSTN/ISDN(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이나 공중용 이동통신망내 타 MSC과의 접속 제어를 수행한다. 복수개의 BSC들(4-1,..,4-m) 각각은 무선링크 제어, 핸드오프 기능들을 수행하고, 복수개의 BTS들(6-1,..,6-k, 8-1,..,8-k)은 자신의 통신 서비 스영역 즉, 자신의 셀 영역에 속해 있는 MS(20,22,24)와 함께 무선통신로를 구성하고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HLR/VLR(10)에서, HLR은 가입자 위치등록 기능 및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수행하고, VLR은 복수개의 MSC들(2-1,..,2-n)중 대응 MSC가 담당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MS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만약 MS가 다른 MSC가 관리하는 셀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해당 VLR에 저장된 정보는 삭제된다. 본원출원 명세서에서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과 구별을 하기 위해서 공중용 이동통신시스템의 BTS들(6-1,..,6-k, 8-1,..)의 통신 서비스 영역을 공중 전용 셀 영역으로 칭한다. 도 1에서는 그 일 예로 공중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BTS들(6-1,..,6-k, 8-1,..)중 BTS(8-1)의 통신 서비스 영역을 공중전용 셀 영역(15)으로서 표기하였다. 통상 상기 공중 전용 셀 영역(15)은 특정 집단의 통신서비스 편의를 제공하는데 유익하도록 정해진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보다 훨씬 넓다. On the other hand,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and an example configuration of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shown in FIG. 1, wherein a plurality of mobile switching centers (MSCs) ( 2-1, .., 2-n), a plurality of base station controllers (BSC: 4-1, .., 4-m),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BTSs) (6-1, .., 6-k, 8-1, .., 8-k), Mobile Stations (MS) (20,22), and HLR / VLR (Home Location Register / Visitor Location) Register) 10. A plurality of BSCs 4-1, ..., 4-m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SCs 2-1, ..., 2-n, and a plurality of BSCs 4-1, ..., ... 4-m) A plurality of BTSs 6-1, ..., 6-k, 8-1, ..., 8-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pBTS (8-k) is connected as one of a plurality of BTS (8-1, ..., 8-k) connected to the BSC (4-m) of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Each of the plurality of MSCs 2-1, .., 2-n may connect a plurality of BSCs (eg, 4-1, .., 4-m) connected to the PSTN / ISDN (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 Integrated). Control access to other MSCs in the Services Digital Network) or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ach of the plurality of BSCs 4-1, ..., 4-m performs radio link control and handoff function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TSs 6-1, ..., 6-k, 8-1,. .8-k), together with the MSs 20, 22, and 24 belonging to its own communication service area, that is, its cell area, form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and perform functions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In the HLR / VLR 10, the HLR performs a subscriber location registration function and a database function for storing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VLR is in charge of a corresponding MSC among a plurality of MSCs 2-1, .., 2-n. It is a database that temporarily stores information of the MS existing in the cell area. If the MS moves to a cell area managed by another MSC,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VLR is dele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order to distinguish the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the communication service area of the BTSs 6-1, .. 6-6-k, 8-1, .. This is called a public dedicated cell area. 1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ervice area of a BTS 8-1 among BTSs 6-1, ..., 6-k, 8-1, ... of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5). Typically, the public dedicated cell area 15 is much wider than the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that is intended to benefit a particular group of communications services.

도 2는 도 1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와 pBTS(8-k)에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도 3은 도 2의 구체 블록 구성도이다. 특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가 제공될 시 그 통신 경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ncludes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and pBTS 8-k of FIG. 1, and FIG.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FIG. In particular, FIG.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communication paths when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 provid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는 사설교환기(PBX: Private Branched eXchange)(30)와, pBSC(private BSC)(40)와, 호 관리장치(CM: Call Manager)(50)로 구성된다. 상기 사설교환기(30)는 스위치(32), E1인터페이스(34)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pBSC(40)는 pCIN(42) 및 TSB(Transcoder & Selector Bank)(44)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사설교환기(30) 및 pBSC(40)의 내부 구성은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가 제공시의 통신 경로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들만으로 도시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의 MS(24,25)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으며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공중/사설 서비스 장치(12)에 서비스 등록이 되어있다고 가정하고, MS(22)는 공중전용 셀 영역(15)에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한 가정 하에서 통신경로(즉 트래픽 채널) ① 즉, MS(24), pBTS(8-k), pBSC(40)의 pCIN(42), TSB(44), E1인터페이스(34), 스위치(32), TSB(44), pCIN(42), pBTS(8-k), MS(25)로 형성되는 통신경로와 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통신경로는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가 제공시의 통신 경로의 일 예이다. 그리고 통신경로(즉 트래픽 채널) ② 즉, MS(25), pBTS(8-k), pBSC(40)의 pCIN(42),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1)의 BSC(4-m), MSC(2-1), BSC(4-m), BTS(8-1), MS(25)로 형성되는 통신경로와 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통신경로는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제공시의 통신경로의 일 예이다. 상기와 같은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통신경로 형성은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의 주제어장치인 호 관리장치(5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First, referring to FIG. 2,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of FIG. 1 includes a private branch exchange (PBX) 30, a pBSC (private BSC) 40, and a call management device (CM). Call Manager) 50. The private exchange 30 includes a switch 32, an E1 interface 34, and the pBSC 40 includes a pCIN 42 and a transcoder & selector bank (TSB) 44.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ivate exchange 30 and pBSC 40 of FIG. 2 is illustrated only by the components necessary to describe the communication path when providing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MSs 24 and 25 in FIG. 2 are located in the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and assume that a service is registered in the public / private service device 12 to receive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assumed to be in the air-only cell region 15. Under the above assumption, the communication path (i.e., the traffic channel), i.e., the MS 24, the pBTS 8-k, the pCIN 42, the TSB 44, the E1 interface 34, the switch 32 of the pBSC 40 Communication paths formed by TSB (44), pCIN (42), pBTS (8-k), and MS (25), and vice versa. One example. And communication path (i.e., traffic channel), i.e., MS 25, pBTS (8-k), pCIN (42) of pBSC (40), BSC (4-m) of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1 Communication path formed by MSC (2-1), BSC (4-m), BTS (8-1), MS (25) and the opposite direction This is an example of a route. Communication path formation for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by the control of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which is the main control device of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는 유선 서비스, IP(Internet Protocol)단말 서비스, 및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유선 서비스는 도 2 및 도 3의 PBX(30)에 의해서, IP(Internet Protocol)단말들간 서비스는 도 3의 게이트 키퍼(gate keeper)(94)에 의해서, 공중용 및 사 설용 이동통신서비스 즉, 무선 호 서비스는 도 2 및 도 3의 호 관리장치(50)에 의해서 수행된다.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d service, an Internet Protocol (IP) terminal service, and a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wired service is provided by the PBX 30 of FIGS. 2 and 3, and the service between IP (Internet Protocol) terminals is provided by the gate keeper 94 of FIG. 3. The wireless call service is performed by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of FIGS. 2 and 3.

도 3에서, PBX(30), pBSC(40)의 INIA(IP Network Interface board Assembly module)(46), 호 관리장치(50)의 LIM(LAN Interface Module) 각각은 LAN(Local Area Network)(90)에 연결된다. 그리고 게이트 키퍼(94)도 상기 LAN(90)에 연결되고, LAN폰(92), 웹 폰, PC(Personal Computer)(도 2에는 미도시함)와 같은 IP단말도 상기 LAN(90)에 연결된다. In FIG. 3, each of the PBX 30, the IP Network Interface board Assembly module (INIA) 46 of the pBSC 40, and the LAN Interface Module (LIM) of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are each a local area network (LAN) 90. ) A gatekeeper 94 is also connected to the LAN 90, and an IP terminal such as a LAN phone 92, a web phone, a personal computer (not shown in FIG. 2) is also connected to the LAN 90. do.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pBSC(40)는 공중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BSC에 대응하는 기능 즉, 무선링크 제어, 핸드오프 기능들을 수행한다. pBSC(40)의 메인 제어부는 도 4와 함께 후술될 것인데, 호 관리장치(50)의 소프트웨어 블록(도 4의 호 관리장치(50)내에 pBSC(56)으로 도시됨)으로 내장된다. 상기 pBSC(40)는 pCIN(private Communication Interconnection Network)(42)를 포함하고 있다. pCIN(42)는 호 관리장치(50)와의 통신경로, PLMN(1)의 BSC(4-m)와의 통신경로, pBTS(8-k)와의 통신경로 및 pBSC(40)내의 각 블록간의 데이터 경로를 제공한다. 즉 pCIN(42)은 메시지 타입, 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주소 및 수신주소를 해석하여 해당 장치 또는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CIN(42)와 PLMN(1)의 BSC(4-m)간 및 pCIN(42)와 pBTS(8-k)간은 E1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pBSC(40)의 pCIN(42)에 연결된 TSB(Transcoder & Selector Bank)(44)는 사설용 이동통신 가입자의 무선서비스를 위해 구비된 것이다. TSB(44)는 PBX(30)과 상기 pBSC(40)간의 통신 데이터 정합을 위한 기능을 수행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TSB(44)는 2.048Mbps/1.544Mbps 비다중화 전송채널정합기능, 음성 코딩 및 디코딩하는 보코더(vocoder)기능(일 예로, PCM(Pulse Code Modulation)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ve coding)),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호에 대한 제어 및 음성 선택 기능, 및 전력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pBSC(40)의 pCIN(42)에 연결된 INIA(4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내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담당한다. PPP(Point to Point Protocol)서버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의 MS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LAN(90)으로 전송하는 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ures 2 and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BSC 40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BSC in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radio link control, handoff functions. The main controller of the pBSC 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conjunction with FIG. 4, which is embedded in a software block of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shown as pBSC 56 in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of FIG. 4). The pBSC 40 includes a private communication interconnection network (pCIN) 42. The pCIN 42 is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BSC (4-m) of the PLMN 1,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pBTS 8-k, and a data path between each block in the pBSC 40. To provide. That is, the pCIN 42 interprets the message type, the source address included in the received message, and the destination address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corresponding device or processor. The pCIN 42 and the PLMN 1 between the BSC (4-m) and the pCIN 42 and the pBTS 8-k are connected by an E1 line. The Transcoder & Selector Bank (TSB) 44 connected to the pCIN 42 of the pBSC 40 is provided for wireless service of a private mobile subscriber. The TSB 44 performs a function for matching communication data between the PBX 30 and the pBSC 40. Specifically, the TSB 44 has a 2.048 Mbps / 1.544 Mbps non-multiplexed transmission channel matching function, a vocoder function for voice coding and decoding (for example, pulse code modulation (PCM) ↔ QCELP (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ve) coding)), control and voice selection for soft hand-off calls, and power control. The INIA 46 connected to the pCIN 42 of the pBSC 40 is responsible for wireless data service in the premi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plays a role of transmitting data packet received from MS of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using Point to Point Protocol (PPP) server and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CP / IP) to LAN 90 .

도 3의 PBX(30)내에 위치하며 상기 PBX(30)의 스위치(32)와 LAN(90)간에 연결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부(36)는 LAN폰(92) 등의 IP단말과 PBX(30)에 연결된 유선단말(도 3에 미도시함)이 스위치(32)에 의해서 연동된 경우에 VoIP기능을 서비스한다. Located in the PBX 30 of FIG. 3 and connected to the switch 32 and the LAN 90 of the PBX 30, th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unit 36 includes an IP terminal such as a LAN phone 92 and a PBX. When the wired terminal (not shown in FIG. 3) connected to the 30 is interlocked by the switch 32, it serves a VoIP function.

도 3의 호 관리장치(50)는 pBSC(40)와 LAN(90)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호 관리장치(5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호 관리장치(50)는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의 무선 호에 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공중용 이동통신망의 MS에 대한 호 서비스는 공중용 MSC로 메시지를 바이패싱(bypassing)되게 제어한다. 또한 호 관리장치(50)는 무선자원에 대한 운영,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단 pBTS(8-k)에 대한 자원관리는 공중용 MSC(2-1)에서 주관하며 호 관리장치(50)는 참조만 한다. 그리고 호 관리장치(50)는 pBSC 자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의 프로그램 및 PLD(Program Loaded Data) 로딩 기능을 수행한다. 단 pBTS(8-k)에 대한 로딩은 공중용 BSM(Base Station Manager)(미도시됨)에서 담당한다. 또한 호 관리장치(50)는 유,무선 복합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사내 무선 단문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며, 이를 위한 SMS(Short Message Service)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설용 이동통신망 가입자 등록 및 기능을 설정을 위한 기능을 지원하며, 사설용 이동통신망에 가입한 MS의 로밍(roaming)기능을 위한 VLR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호 관리장치(50)는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I(Data Communication Interface)(52), pBTMR(pBTS Message Router)(54), pBSC(private BSC)(56), pMSC(private Mobile Switching Center)(58), PMIC(PBX Mobile Interface Controller)(60), SMC(Short Message service Controller)(62), pVLR(private Visitor Location Register)(64), WSM(Wireless System Manager)(66), 및 LIM(LAN Interface Module)(68)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블록들을 가진다. 도 4에서, DCI(Data Communication Interface)(52)는 pBSC(40)의 pCIN(42)과 호 관리장치(50)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HINA(High Capacity IPC Processor Assembly)를 통한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를 담당한다. pBTMR(pBTS Message Router)(54)은 pBTS(8-k)에서 처리해야 하는 모든 메시지에 대한 경로 지정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BTMR(54)은 내부의 라우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MS의 착,발호 서비스(공중용, 사설용)를 위한 제어(시그날) 메시지 경로를 지정하고 pBTS(8-k)의 유지보수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경로를 지정한다. 또한 상기 pBTMR(54)은 pVLR(64)과 통신한 다. pBSC(private BSC)(56)는 도 2에 도시된 pBSC(40)의 메인 제어부로서 pBTS(8-k)의 제어를 담당한다. pMSC(58)는 공중용 이동통신망과 사설용 이동통신망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있어 pBSC(56)와 PMIC(60)간에 위치하여 기존 공중용 이동통신망의 MSC가 하는 역할에 대응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본적으로 가입자의 호 처리 및 기타 부가 서비스의 분석 및 PBX(30)와의 연동을 위한 제반 인터페이스를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MSC(58)는 가입자의 서비스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기존 공중용 이동통신망 서비스로 처리할지 사설용 이동통신망 서비스로 처리할 지에 대한 기본적인 전략과 이에 대한 처리절차에 대한 정의가 있다. pBSC(56)와의 인터페이스는 기존 공중용 이동통신망에의 처리절차를 따르고 상호 인터페이스는 내부 IPC를 이용한다. PMIC(PBX Mobile Interface Controller)(60)는 유,무선 복합기능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PMIC(60)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으며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 등록된 MS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MS(24), 도 2에 도시된 MS(25)와 PBX(30)에 연결된 유선 단말장치 사이의 호 제어를 처리하는 모듈이다. pMSC(58)는 기존 공중용 MSC와는 다르게 자신이 직접 스위칭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는 pMSC(58)은 소프웨어 블록이므로 공중용 MSC와 같은 스위치가 없다. 따라서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시의 본 발명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에서는 PBX(30)의 스위치(32)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pMSC(58)와 PBX(30) 사이에 상기 PMIC(60)라는 모듈이 존재한다. 상기 PMIC(60)는 pMSC(58)의 스위치 제어 요구에 의해 PBX(30)의 스위치(32)를 제어하는 내용의 명령어를 생성하여 PBX(30)의 제어부(미도시됨)에 인가한다. 그에 따라 PBX(30)의 제어부는 상기 명령어에 상응하는 일련의 스위치 제어를 수행한다. SMC(Short Message service Controller)(62)는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제어 기능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웹 서버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pVLR(private Visitor Location Register)(64)은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등록된 가입자 정보, 사설 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 등록 정보, 각종 기능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상기 pVLR(64)에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76)가 연결되어 있다. WSM(Wireless System Manager)(66)은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장치(12)가 제공하는 이동통신서비스기능의 모든 유지, 보수, 운영을 담당한다. WSM(66)에는 운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운용자 콘솔(console)(78)이 연결되어 있다. LIM(LAN Interface Module)(68)은 LAN(90)을 통한 통신을 담당하는 모듈로서 PMIC(60)내에 도시된 LIM(69), SMC(62)내에 도시된 LIM(70), pVLR(64)내에 도시된 LIM(72), WSM(66)내에 도시된 LIM(74)으로 구성된다. 각 LIM들(69,70,72,74) 각각은 OS(Operating System)를 통해 대응된 각 모듈들 즉 PMIC(60), SMC(62), pVLR(64), WSM(66)과 LAN(90)을 통한 통신을 담당한다.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of FIG. 3 is connected to the pBSC 40 and the LAN 90.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performs a control function for a wireless call of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t this time, the call service for the MS of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s the message to be bypassed to the public MSC. In addition,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performs the operation, maintenance, repair function for the radio resource. However, resource management for pBTS (8-k) is managed by the public MSC (2-1),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is for reference only.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performs a program and a PLD (Program Loaded Data) loading function of the processor controlling the pBSC resource. However, loading for pBTS (8-k) is handled by the public base station manager (BSM) (not shown). In addition,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controls the wired and wireless combined functions. It also supports in-house wireless short service function and performs SMS (Short Message Service) function for this. In addition, it supports a function for registering a subscriber and setting up a function of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s a VLR management function for a roaming function of an MS subscribed to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call management apparatus 5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DCI) 52, pBTS Message Router (pBTMR) 54, and private BSC (pBSC) 56, as shown in FIG. , Private Mobile Switching Center (pMSC) (58), PBX Mobile Interface Controller (PMIC) (60), Short Message Service Controller (SMC) (62), Private Visitor Location Register (pVLR) (64), Wireless System Manager (WSM) ), And software blocks including a LAN Interface Module (LIM) 68. In FIG. 4, the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DCI) 52 is an interface modul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pCIN 42 of the pBSC 40 and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The IPC (High Capacity IPC Processor Assembly (HINA)) is an interface module. It is in charge of Inter Process Communication. pBTS Message Router (pBTMR) 54 is a module that is responsible for routing all messages that need to be processed by pBTS 8-k. More specifically, the pBTMR 54 refers to the internal router table to designate a control (signal) message path for the MS call and call service (public and private) and maintain the pBTS (8-k). Message path for maintenance service. The pBTMR 54 also communicates with the pVLR 64. The pBSC (private BSC) 56 serves as a main control unit of the pBSC 40 shown in FIG. 2 to control the pBTS 8-k. The pMSC 58 is located between the pBSC 56 and the PMIC 60 in supporting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and plays a role corresponding to the role of the MSC of the existing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rocesses the interface for analyzing the call processing and other additional services of the subscriber and interworking with the PBX (30). More specifically, the pMSC 58 analyzes the service request of the subscriber and defines the basic strategy and processing procedure for processing it as an existing public mobile network service or a private mobile network service. . The interface with the pBSC 56 follows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existing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utual interface uses the internal IPC. PMB (PBX Mobile Interface Controller) 60 is a module for controlling a wired or wireless composite function. The PMIC 60 is located in the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and is registered with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egistered MSs such as the MS 24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MS 25 shown in FIG. This module handles call control between wired termi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BX 30. The pMSC 58 does not have a direct switching role unlike the conventional MSC. This is because pMSC 58 is a software block, so there is no switch like a public MSC. Therefore,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providing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es the switch 32 of the PBX 3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e called PMIC 60 exists between pMSC 58 and PBX 30. The PMIC 60 generat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switch 32 of the PBX 30 according to a switch control request of the pMSC 58 and applies it to a controller (not shown) of the PBX 3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of the PBX 30 performs a series of switch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The Short Message Service Controller (SMC) 62 is a module that is in charge of a control function for a short message service and a Short Message Service (SMS) web server function. The private visitor location register (pVLR) 64 is a module for managing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ered for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and information for various function services. The pVLR 64 is connected to a database 76 that stores the information. The wireless system manager (WSM) 66 is responsible for all maintenance,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unction provided by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The WSM 66 is connected with an operator console 78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LAN Interface Module (LIM) 68 is a module responsible for communication over LAN 90, LIM 69 shown in PMIC 60, LIM 70 shown in SMC 62, pVLR 64. LIM 72 shown in the figure, and LIM 74 shown in the WSM 66. FIG. Each of the LIMs 69, 70, 72, and 74 each has a corresponding module through an operating system (OS): PMIC 60, SMC 62, pVLR 64, WSM 66 and LAN 90. It is in charge of communication through).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존에 여러 개의 장비에서 수행되던 프로그램들(BSM, VLR, SMC, SMS 웹(Web) 서버, 데이터 서비스 관리장치 등)을 호 관리장치(50)라는 하나의 장비에서 수행한다. 그에 따라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OS(Operating System)하에서 타스크간 메시지 통신으로 변경해 놓음으로써 시스템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소프트웨어 블록이 내장된 호 관리장치(50)는 상용 컴퓨터를 플랫폼(platform)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grams (BSM, VLR, SMC, SMS web server, data service management device, etc.) that have been previously performed in a plurality of devices are called a call management device 50. Perform on the equipment.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ystem process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changing a complex interface into message communication between tasks under one operating system (OS). The call management apparatus 50 incorporating the above software block can use a commercial computer as a platform.                     

다시 도 3을 돌아가면, pBTS(8-k)는, PMCC(pBTS Main Controller Card)(80), PCC(pBTS Channel Card)(82), TRIC(Transmit & Receive Interface Card)(84), 및 PRU(private BTS Radio Unit)(8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pBTS(8-k)에 포함된 구성들은 통상의 공중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BTS 구성과 및 그 동작이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pBTS(8-k)에서, PMCC(80)는 pBTS(8-k)에 대한 전체 제어를 수행하는 블록으로서, 호 설정 및 시스템 성능에 관련된 시그날링 메시지를 처리하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형상을 관리하며 필요한 자원할당을 수행한다. PCC(82)는 무선규격에 합당된 기저대역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TRIC(84)는 PRU(86)와 PCC(82) 사이에서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PRU(86)는 무선부로서 복수개의 안테나들(ANT1-ANTn)에 연결된다. 3 again, the pBTS 8-k includes a pBTS Main Controller Card (PMCC) 80, a pBTS Channel Card (PCC) 82, a Transmit & Receive Interface Card (TRIC) 84, and a PRU. (private BTS Radio Unit) 86. Configurations included in the pBTS 8-k are similar to those of the BTS in a general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ir operations will be omitted. In pBTS (8-k), PMCC 80 is a block that performs full control over pBTS (8-k), handling signaling messages related to call setup and system performance, managing hardware and software geometry, and Perform resource allocation. The PCC 82 performs baseband signal processing conforming to the radio standard. The TRIC 84 is responsible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terface between the PRU 86 and the PCC 82. The PRU 86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ntennas ANT1-ANTn as a radio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는 유선 서비스, IP(Internet Protocol)단말 서비스, 및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하기에서는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장치(12)가 수행하는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d service, an Internet Protocol (IP) terminal service, and a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Hereinafter, the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erformed by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장치(12)는 호 관리장치(50)에 서비스 등록된 MS들에 대해서 무선 자체 기능뿐만 아니라 유선과 연계한 복합 기능서비스를 제공한다. 무선 자체 기능에 관련 서비스로는 발호, 착호, 호 전환(call transfer), 호 포워딩(call forwarding), 구내 무선 데이터 서비스, 구내 무선 SMS 등이 있다. 그리고 유무선 복합 기능 서비스의 일 예로는 유선단말로의 착 호시에 상기 유선단말과 MS에 착신 링을 동시에 울려주는 기능이 있다.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provides a complex function service in connection with a wire as well as a wireless self function for MSs registered in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Services related to the wireless self function include call, call, call transfer, call forwarding, on-premises wireless data service, and on-premises wireless SMS. An example of a wired / wireless combined function service is a function of simultaneously ringing an incoming ring to the wired terminal and the MS when the wired terminal is called.                     

본 발명의 실시 예가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장치(12)에 인가되는 모든 메시지를 분석하여 공중용 이동통신망에 해당하는 메시지는 공중용 BSC로 투명하게 전달하고, 사설용 이동통신망에 해당하는 메시지는 호 관리장치(50)내에 있는 모듈로 라우팅한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경로 지정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이 호 관리장치(50)의 BTMR(54)이다. 상기 pBTMR(54)은 발호, 착호, 위치등록, SMS서비스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경로를 지정한다. 상기 pBTMR(54)은 각 이벤트에 대응된 지정된 경로정보가 맵핑된 라우터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는데, 각 메시지가 인가될 때마다 상기 라우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되는 장치 및 모듈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together, and all messages applied to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are analyzed to display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eans to transmit transparently to the BSC for use, and route th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module in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The module performing the role of routing is the BTMR 54 of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The pBTMR 54 analyzes the event message when an event such as call, call, location registration, SMS service, etc. occurs and designates a path accordingly. The pBTMR 54 includes a router table to which designated pa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event is mapped. The pBTMR 54 transmits a message to a corresponding device and module by referring to the router table whenever each message is authorized.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는 MS가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등록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운용자가 도 4에 도시된 운용자 콘솔(78)을 이용해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등록을 요구하면 WSM(66)은 상기 서비스 등록에 관련된 입력화면을 운용자 콘솔(78)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해 준다. 상기 WSM(66)는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등록된 가입자정보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S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유선단말 내선번호, 및 가입자 이름을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운용자가 해당 정보를 입력하면 WSM(55)는 입력된 정보들을 도 5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pVLR(64)의 데이터베이스(76)에 저장되게 한다. Firs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of registering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order for the MS in the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to receive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ill be described. When the operator requests registration of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operator console 78 shown in FIG. 4, the WSM 66 displays an input screen related to the service registration on a monitor of the operator console 78. The WSM 66 displays a screen for inputting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ered for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or example,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a wired terminal extension number, and a subscriber name of an MS. Can be. 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inpu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he WSM 55 causes the inputted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database 76 of the pVLR 64 as shown in FIG. 5.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는 MS 사용자가 발 호시 자신이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 받고자하는지 아니면 공중용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지를 구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MS사용자 발신전화번호에 서비스 구별을 위해 미리 설정한 식별정보를 첨가하도록 하고,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는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호가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요구하는 호인지 아니면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요구하는 호인지를 구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식별정보의 일 예로 MS단말의 키패드에 있는 #키로 정하고 발신번호 앞에 상기 식별정보인 #키를 첨가하도록 한다.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must distinguish whether an MS user in the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wants to receive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r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t the time of a call. . To this end, if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to be provided,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dded to the MS user's outgoing telephone number to distinguish the service, and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makes a call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 whether a call requires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r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 key on the keypad of the MS terminal is set as an exampl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 key, which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dded before the calling numb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 호 서비스를 도 1 내지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 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패킷 메시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서, DEST ADDR 필드는 목적지 어드레스(destination address)가 기록되는 필드이고, SRC ADDR 필드는 발신지 어드레스(source address)가 기록되는 필드이다. 그리고 TYPE 필드는 메시지 MSG(message)의 형태가 제어 메시지(control message)인지 아니면 트래픽 메시지(traffic message)인지를 기록하는 필드이다. LENGTH필드는 메시지 MSG의 길이정보를 기록하는 필드이고, SIG ID(signal ID)필드는 시그날 형태(발신호, 착신 호 등)정보가 기록되는 필드이다. DEST SUB ID(destination sub ID)필드는 상대방 장치에 속해 있는 프로세서들중에 지정된 프로세서의 ID를 기록하는 필드이다. SRC SUB ID(source sub ID) 필드는 자기가 보내는 장치에 속해 있는 프 로세서들중에 지정된 프로세서의 ID를 기록하는 필드이다. MSG필드는 메시지가 기록되는 필드이다. A cal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6, and 7.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message structure. In FIG. 7, the DEST ADDR field is a field in which a destination address is recorded, and the SRC ADDR field is a field in which a source address is recorded. The TYPE field is a field for recording whether the type of the message MSG is a control message or a traffic message. The LENGTH field is a field for recording length information of the message MSG, and a SIG ID (signal ID) field is a field for recording signal type (outgoing call, incoming call, etc.) information. The DEST SUB ID field is a field for recording an ID of a designated processor among processors belonging to the counterpart device. The SRC SUB ID (source sub ID) field is a field for recording the ID of a designated processor among the processors belonging to the sending device. The MSG field is a field in which a message is recorded.

지금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는 MS 사용자가 MS의 키패드에 발신번호(즉 착신측 가입자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전송에 대응된 키를 입력하게되면, 상기 MS는 도 6의 200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BTS(8-K)를 통해 pBSC(40)의 pCIN(42)으로 발신 호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약 MS사용자가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한다면 MS사용자는 발신번호를 입력하기 전에 #키를 먼저 입력할 것이다. pBTS(8-k)로부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장치(12)로 전송되는 발신 호 메시지는 도 7과 같은 패킷 메시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pBTS(8-k)는 도 7의 DEST ADDR필드에는 호 관리장치(50)에 대응된 목적지 주소를 기록하고, SRC ADDR필드에는 자신에 대응된 발신지 주소를 기록한다. 그리고 TYPE필드에는 제어메시지를 기록한다. 그리고 상기 MSG필드에는 발신 호 메시지를 기록한다. If the MS user in the public / private shared cell area 14 now enters the calling number (that is, the called party's telephone number) on the keypad of the MS and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the MS proceeds to step 200 of FIG. As shown in FIG. 1, an outgoing call message is transmitted to pCIN 42 of pBSC 40 via pBTS 8-K. If the MS user wants to be provided with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MS user must enter the # key before entering the calling number. The outgoing call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pBTS 8-k to the public /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12 has a packet message form as shown in FIG. The pBTS 8-k records the destination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in the DEST ADDR field of FIG. 7, and the source address corresponding to itself in the SRC ADDR field. The control message is recorded in the TYPE field. The outgoing call message is recorded in the MSG field.

pBSC(40)의 pCIN(42)은 도 6의 202단계에서와 같이, pBTS(8-k)로부터 도 7과 같은 패킷 메시지 형태의 발신 호 메시지가 수신되면 호 관리장치(50)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CIN(42)은 도 7과 같은 패킷 메시지가 수신되면 TYPE필드를 검사하고 DEST ADDR필드에 있는 목적지 어드레스정보가 호 관리장치(50)에 대응된 것이고, TYPE필드의 정보가 제어메시지이면 패킷 메시지 즉, 발신 호 메시지를 호 관리장치(50)로 전송한다. 발신 호 메시지는 호 관리장치(50)의 DCI(52)를 통해 pBTMR(54)로 인가된다. pBTMR(54)은 수신되는 메시지의 SIG ID필드를 체크하여 발신 호에 대한 시그날정보이면 도 6의 204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LR(64) 에 발신 MS가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 등록이 되었는지를 분석 의뢰를 한다. pVLR(64)이 그에 대한 결과를 통보하게 되면 pBTMR(54)은 도 6의 206단계에서 발신 MS가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 등록되었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발신 MS가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등록이 되었으면 도 6의 208단계로 진행한다. 208단계에서 pBTMR(54)는 메시지내 MSG필드의 발신번호를 검사하여 상기 발신번호가 사설용 이동통신망 번호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사설용 이동통신망 번호이라면 발신번호 앞에 #키 정보가 첨가되어 있을 것이다. As shown in step 202 of FIG. 6, the pCIN 42 of the pBSC 40 transmits an outgoing call message in the form of a packet message as shown in FIG. 7 from the pBTS 8-k to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More specifically, the pCIN 42 checks the TYPE field when the packet message shown in FIG. 7 is received, and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in the DEST ADDR field corresponds to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If the control message, the packet message, that is, the outgoing call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The outgoing call message is applied to the pBTMR 54 via the DCI 52 of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pBTMR 54 checks the SIG ID field of the received message and if it is the signal information for the outgoing call, as shown in step 204 of FIG. 6, the pBTMR 54 checks whether the originating MS has registered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pVLR 64; Ask for analysis. When the pVLR 64 notifies the result thereof, the pBTMR 54 determines whether the originating MS is registered in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step 206 of FIG. If the originating MS is registered with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08 of FIG. 6. In step 208, the pBTMR 54 checks the calling number of the MSG field in the messag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alling number is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number. If it is a private network number, the # key information will be added before the calling number.

도 6의 206단계의 판단에서 발신 MS가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지 않았다든지 또는 도 6의 208단계의 판단에서 발신번호가 사설용 이동통신망 번호가 아니면 pBTMR(54)은 도 6의 218단계에서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의 218단계에서 pBTMR(54)은 발신 호 메시지가 공중용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로 인식을 하고 공중용 BSC(4-m)으로 전송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BTMR(54)은 발신 호 메시지내 DEST ADDR필드내 목적지 주소를 공중용 BSC(4-m)로 변경하고 DCI(52)를 통해서 pCIN(42)으로 전송한다. pCIN(42)은 발신호 메시지의 DEST ADDR필드에 있는 목적지 주소에 따라 발신호 메시지를 공중용 BSC(4-m)로 전송한다. 공중용 BSC(4-m)은 발신호 메시지를 MSC(2-1)로 보낼 것이고, MSC(2-1)는 발신호 메시지를 이용해서 공지된 공중용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것이다. If the originating MS is not registered in the service at step 206 of FIG. 6 or if the calling number is not the private mobile network number at the judgment of step 208 of FIG. 6, the pBTMR 54 is configured as in step 218 of FIG. 6. Perform the action. In step 218 of FIG. 6, the pBTMR 54 recognizes the outgoing call message as a message for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transmits it to the public BSC (4-m). More specifically, the pBTMR 54 changes the destination address in the DEST ADDR field in the outgoing call message to the public BSC (4-m) and transmits it to the pCIN 42 via the DCI 52. The pCIN 42 sends the originating message to the public BSC 4-m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address in the DEST ADDR field of the originating message. The public BSC (4-m) will send an outgoing message to the MSC 2-1, and the MSC 2-1 will use the outgoing message to perform a known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한편 도 6의 206단계의 판단에서 발신 MS가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고, 그후 도 6의 208단계의 판단에서 발신번호가 사설용 이동통신망 번호이면 pBTMR(54)은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임을 인식하고 도 6의 210단계로 진행한다. pBTMR(54)은 도 6의 210단계에서 발신호 메시지를 호 관리장치(50)의 pBSC(56)로 전송한다. pBSC(56)는 도 6의 212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TSB(44)의 보코더 자원을 할당하며, 발신호 메시지를 pMSC(58)로 전송한다. 발신호 메시지가 수신되면 pMSC(58)는 도 6의 214단계에서와 같이, 발신 MS로부터의 사설용 이동통신망 호출이 있음을 pVLR(64)에 기록하고, PBX(30)의 스위치(32)를 제어하며, 발신번호에 대응된 착신 MS로 칙신 링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후 pMSC(58)은 도 6의 216단계에서와 같이, 착신 MS가 응답을 하게 되면 통화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 6의 212단계 내지 216단계에서의 pMSC(58) 및 pBSC(56)의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되는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외 발신 호 처리시의 pMSC(58) 및 pBSC(56)의 통상적인 처리동작은 공중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MSC 및 BSC들이 수행하는 동작과 유사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alling MS is registered in the service in step 206 of FIG. 6, and then the calling number is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number in the judgment of step 208 of FIG. 6, the pBTMR 54 recognizes that it is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ceed to step 210 of step 6. The pBTMR 54 transmits an outgoing message to the pBSC 56 of the call management device 50 in step 210 of FIG. 6. The pBSC 56 allocates the vocoder resource of the TSB 44, as shown in step 212 of FIG. 6, and transmits an origination message to the pMSC 58. When an outgoing call message is received, pMSC 58 records to pVLR 64 that there is a private mobile network call from the originating MS, as in step 214 of FIG. 6, and switches switch 32 of PBX 30 to PBX 30. It controls and transmits a new ring message to the destination MS corresponding to the calling number. The pMSC 58 then establishes a call when the called MS responds, as in step 216 of FIG. The operations of the pMSC 58 and the pBSC 56 in steps 212 to 216 of FIG. 6 are intended to help understanding the specific conte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normal processing operations of pMSC 58 and pBSC 56 in other outgoing call processing are similar to those performed by MSCs and BSCs in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의 발 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l service in a system capable of providing both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Claims (6)

복수의 이동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교환국과, 상기 이동 교환국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공중망 기지국 제어국과, 상기 기지국 제어국들 각각에 연결되어 공중 전용 셀 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공중망 기지국과, 상기 복수의 공중망 기지국 제어국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공중 및 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와, 상기 공중 및 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에 연결되어 공중 및 사설 공용 셀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설 기지국을 포함하는 공중 및 사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 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t least one mobile switching center, a plurality of public network base station control stations connected to each of the mobile switching stations, a plurality of public network base stations connected to each of the base station control stations, and forming a public dedicated cell area; Public and private mobility comprising a public and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ublic network base station control stations and at least one private base station connected to the public and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to form a public and private public cell area. In the call service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상기 공중 및 사설 공유셀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단말로부터 발신을 요구하는 발신 호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 호 메시지가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요구하는 메시지인지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요구하는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If an outgoing call message requesting an outgoing call is received from a wireless terminal through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ming the public and private shared cell areas, the outgoing call message is a message requesting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Determining the cognition, 상기 판단 결과,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요구인 경우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투명하게(transparently) 무선 공중망으로 전달하고,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요구인 경우 대응하는 사설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 호 서비스 방법. And determining that the outgoing call message is transparently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ublic network when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equest is requested, and providing a corresponding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hen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equest is requested. Call service method. 공중 셀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공중망(PLMN)과 공중 및 사설 공유셀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사설망이 연동되어 가입자가 하나의 무선 단말로 공중 이동통신 서비스와 사설 통신 서비스를 모두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공중 및 사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 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connected to a wireless terminal by connecting a wireless public network (PLMN) including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ming a public cell area with a private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ming a public and private shared cell area. In the call service method in the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receive both and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s, 상기 공중 및 사설 공유셀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단말로부터 발신을 요구하는 발신 호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 호 메시지가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요구하는 메시지인지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요구하는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If an outgoing call message requesting an outgoing call is received from a wireless terminal through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ming the public and private shared cell areas, the outgoing call message is a message requesting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Determining the cognition, 상기 판단 결과,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요구인 경우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투명하게(transparently) 무선 공중망으로 전달하고,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요구인 경우 대응하는 사설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 호 서비스 방법. And determining that the outgoing call message is transparently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ublic network when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equest is requested, and providing a corresponding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hen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equest is requested. Call service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발신 호 서비스 요구한 단말이 사설 위치 등록기에 등록된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 호 서비스 방법.3. The call servic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termining further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originating call service requesting terminal is a terminal registered in a private location registe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발신 호 서비스 요구를 위한 발신 호 메시지 내에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 호 서비스 방법.4. The call servic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further compris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outgoing call message for the outgoing call service request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a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발신 호 메시지 내에 발신번호와 함께 기록되는 발 호 서비스 방법.5. The call servic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together with a call number in the call message. 복수의 이동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교환국과, 상기 이동 교환국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공중망 기지국 제어국과, 상기 기지국 제어국들 각각에 연결되어 공중 전용 셀 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공중망 기지국을 포함하는 공중 이동통신망(PLMN)과 연동되어 공중 및 사설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중 및 사설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t least one mobile switching center, a plurality of public network base station control stations connected to each of the mobile switching stations, and a plurality of public network base stations connected to each of the base station control stations to form a public dedicated cell area; In the public and privat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public and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s in connection with the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LMN), 상기 복수의 공중망 기지국 제어국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공중 및 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와,Public and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ublic network base station control stations; 상기 공중 및 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에 연결되어 공중 및 사설 공용 셀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설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공중 및 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사설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발신 호 메시지 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체크하여 공중 이동통신 서비스를 요구하는 메시지인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를 투명하게(transparently) 공중망으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가 사설 이동통신 서비스 메시지인 경우에는 대응하는 사설 교환 서비스를 위한 망접속을 제공하는 공중 및 사설 통신 시스템.At least one private base station connected to the public and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to form a public and private public cell area, wherein the public and private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is included in an outgoing call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private base station; In case of a message requesting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checking information, the message is transparently transmitted to the public network, and when the received message is a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essage, a network connection for a corresponding private exchange service is established. Providing public and private communication systems.
KR1020020050548A 2002-08-26 2002-08-26 Call originating service method of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05477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548A KR100547714B1 (en) 2002-08-26 2002-08-26 Call originating service method of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548A KR100547714B1 (en) 2002-08-26 2002-08-26 Call originating service method of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170A Division KR100362569B1 (en) 2000-05-24 2000-05-24 Call originating service method of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460A KR20020073460A (en) 2002-09-26
KR100547714B1 true KR100547714B1 (en) 2006-01-31

Family

ID=2772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548A KR100547714B1 (en) 2002-08-26 2002-08-26 Call originating service method of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7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408B1 (en) * 2003-10-02 2006-02-2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switching system for transformation of Call ID and method of processing
KR101030820B1 (en) * 2009-02-19 2011-04-25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providing extension switching service by intelligent network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3028A (en) * 1996-07-15 1998-04-30 유기범 Wireless matching device for private exchanger using outgoing mobile phone system
KR20000061038A (en) * 1999-03-23 2000-10-16 조정남 Private exchange system comprising mobile pho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3028A (en) * 1996-07-15 1998-04-30 유기범 Wireless matching device for private exchanger using outgoing mobile phone system
KR20000061038A (en) * 1999-03-23 2000-10-16 조정남 Private exchange system comprising mobile 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460A (en)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569B1 (en) Call originating service method of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0365790B1 (e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KR100342512B1 (en) A method for public call service when call manager has down state in a private wireless network
KR1004509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incidence of subscriber status between public land mobile network and private network
US7120135B2 (en) Wire/wireless unified in-building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JP4133258B2 (en)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rivat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KR100342511B1 (en) A processing method working infomation with public wireless service in private wireless network
KR100342534B1 (en) Service apparatus for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4060769B2 (en) A method for subscriber status matching in a wireless public network and a wired / wireless private network.
KR100547714B1 (en) Call originating service method of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0438435B1 (en) Call terminating service method of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74347B1 (en) Call terminating service method of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29566B1 (en) System capable of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service apparatus therefor
KR100342513B1 (en) Intercommunication method of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KR100450970B1 (en) Mehtod for controlling call service of mobile telephone in private mobile exchange system
KR20020001980A (en) Call transfer method in wire wireless unified in-building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41833A (en) Group calling method in private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326

Effective date: 200510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