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368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rotating sub-housing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rotating sub-ho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368B1
KR100547368B1 KR1020030064334A KR20030064334A KR100547368B1 KR 100547368 B1 KR100547368 B1 KR 100547368B1 KR 1020030064334 A KR1020030064334 A KR 1020030064334A KR 20030064334 A KR20030064334 A KR 20030064334A KR 100547368 B1 KR100547368 B1 KR 100547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uxiliary
body por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3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28073A (en
Inventor
장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64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368B1/en
Publication of KR2005002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보조본체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본체부 일단부측에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카메라모듈을 갖는 보조본체부를 그 본체부의 길이방향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시켜, 키입력 조작성 등의 기능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다양한 취향의 구매자에게 독특한 디자인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어 구매자의 취향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table auxiliary main body, and in particular, an auxiliary main body having a navigation key module and a camera module at one end of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is rotatably provided with an axis about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main bod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input operation and the like, and can provide a product of a unique design to a buyer of various tastes and can actively cope with the taste of a buy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번호 문자키를 구비하고, 외부신호를 입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을 축으로 포개지거나 펼쳐진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폴더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접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본체부의 타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면에 네비게이션키 또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타면에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보조본체부; 및 상기 보조본체부를 본체부의 길이방향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portion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number character key, input and output an external signal; A folder unit rotatably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main body unit is folded or unfolded with an axis; A hinge part for slid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part and the folder part; An auxiliary main body rotatably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navigation key or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on one side and a camera module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rotation means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main body.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부, 보조본체부, 폴더부, 회전수단, 그립부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auxiliary body, folder, rotating means, grip

Description

회전가능한 보조본체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rotating sub-ho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rotating sub-housing             

도1은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typical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열린상태에서 보조본체부의 네비게이션키가 전방을 향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avigation key of the auxiliary main unit in the open state of the folder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열린상태에서 보조본체부의 카메라모듈부가 전방을 향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module unit of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in the open state of the folder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폴더부가 닫힌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배면사시도.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closed folder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폴더부가 닫힌 상태에서 보조본체부의 네비게이션키부가 전방을 향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avigation key portion of the auxiliary main unit in the front state in the closed folder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보조본체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세지를 입력하는 이용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example for inputting a text messag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table auxiliary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세지를 입력하는 이용예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a usage example of inputting a text messag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본체부 11: 번호문자키10: Main Unit 11: Number Character Key

20: 폴더부 21, 22: 표시화면20: Folder 21, 22: Display screen

30: 힌지부 40: 보조본체부30: hinge portion 40: auxiliary body portion

41: 네비게이션키 42: 카메라모듈41: navigation key 42: camera module

43: 촬영버튼43: Shooting button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보조본체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본체부 일단부측에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카메라모듈을 갖는 보조본체부를 그 본체부의 길이방향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시켜, 키입력 조작과 영상촬영조작 등의 기능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다양한 취향의 구매자에게 독특한 디자인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어 구매자의 취향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보조본체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table auxiliary main body, and in particular, an auxiliary main body having a navigation key module and a camera module at one end of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is rotatably provided with an axis about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table auxiliary body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an input operation and an image photographing operation, and can proactively cope with a buyer's taste by providing a product of a unique design to a buyer of various tastes.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람들의 필수품이 되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람들의 기호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has become a necessity of people, and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eing released in various forms to fit the taste of people.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인터넷 접속, 동영상 감상, 영상촬영 등의 기능들이 구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들을 조작하기 위한 네이게이션키들이 구비된다.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provided with functions such as Internet access, video viewing, video recording, and navigation keys for manipulating these functions.

도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An example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general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상부측에 네비게이션키(1a)가 구비되고 하부측에 번호문자키, 전원키 등의 숫자키(1a)가 구비된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의 일단을 축으로 포개지거나 펼쳐진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액정표시화면(2a)이 구비된 폴더부(2); 및 상기 본체부(1)와 폴더부(2)의 일단측을 접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장치(3)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navigation key (1a) on the upper side and the main body portion (1) having a numeric key (1a) such as a number character key, power key on the lower side; A folder unit 2 rotatably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main body unit 1 is folded or unfolded with an axis and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2a; And a hinge device 3 that slidably connects one end of the main body 1 and the folder 2.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단말기는 각종 키를 조작하여 이용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문자메세지 전송 등의 이용이 널리 이용됨에 따라 번호, 문자 입력에 대한 편의성이 요구되고 있다. The terminal configured in this way is operated by using various keys. In this regard, as the use of text message transmission is widely used recently, convenience for inputting numbers and characters is required.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번호문자키가 네이게이션키 하부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 손을 이용하여 문자메세지 입력 등의 번호문자키를 조작할 경우, 보통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하게 되는데 한 손으로 단말기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시킬 수 있는 조작범위가 제약되어 번호문자키의 아랫부분은 한 손으로 입력하기 어려워 두 손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number character key is located under the navigation key, when using one hand to operate a number character key such as a text message input, the user usually inputs it using his or her thumb. However, the operation range that can be input by using the thumb in the state of holding the terminal body with one hand is limit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number character key is difficult to input with one hand, so that two hands must be used.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를 열지 않고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영상 촬영을 위한 조작버튼이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어 조작이 어려우며, 다양한 기능을 위한 여러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데는 그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without opening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operation button for image capturing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which makes operation difficult, and has various operation buttons for various functions. There is a problem with that limit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단말기 본체부의 상부측에 번호문자키를 위치시키고, 본체부 하부측에 네비게이션키 모듈을 갖는 회전가능한 보조본체부를 구비시켜 키입력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보조본체부의 여유공간에 다양한 기능버튼을 포함한 카메라모듈을 구비시켜 영상촬영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가능한 보조본체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key character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main body portion,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auxiliary main body having a navigation key module on the lower side of the key input operabili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table auxiliary main body which can improve the image capturing functionality by providing a camera module including various function buttons in a free space of the auxiliary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취향의 구매자에게 독특한 디자인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어 구매자의 취향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보조본체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table auxiliary main body which can provide a product having a unique design to a buyer of various tastes and can actively cope with the taste of a buy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면에 다수의 번호 문자키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을 축으로 포개지거나 펼쳐진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폴더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접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본체부의 타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면에 네비게이션키 또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 비하고, 타면에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보조본체부; 및 상기 보조본체부를 본체부의 길이방향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letter keys on one surface; A folder unit rotatably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main body unit is folded or unfolded with an axis; A hinge part for slid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part and the folder part; An auxiliary main body rotatably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having a navigation key or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on one side, and a camera module for taking an image on the other side; And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rotation means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main body.

상기 보조본체부는 일측에 네비게이션키 모듈을 포함하고 타측에 카메라모듈 등의 다른 부가기능모듈을 포함한다.The auxiliary main unit includes a navigation key module on one side and another additional function module such as a camera module on the other sid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보조본체부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수단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와 보조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와 보조본체부가 동일수평면에서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와 보조본체부에 형성된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means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sub-body portion relative to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ub-main body portion firmly fixed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I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fixing mean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to maintain.

상기 네비게이션키가 구비된 면의 대향면 단부측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그립부가 형성된다.On the opposite side end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navigation key is provided, a grip portion for facilitating a user's grip is formed.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서 앞서, 단말기 본체부의 상면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향으로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main body faces is described in all directions.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열린 상태에서 보조본체부의 네비게이션키 모듈부가 전방을 향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열린 상태에서 보조본체부의 카메라모듈부가 전방을 향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폴더부가 닫힌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폴더부가 닫힌 상태에서 보조본체부의 네비게이션 모듈부가 전방을 향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avigation key module of the auxiliary main body facing forward in the open state of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auxiliary view of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open state.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camera module part of a main body faces forward. 4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closed state of a f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navigation module of the auxiliary main body faces forward in a closed state of the f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보조본체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번호 문자키(11)를 구비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단을 축으로 포개지거나 펼쳐진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폴더부(20)와; 상기 본체부(10)와 폴더부(20)를 접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30)와; 상기 본체부(10)의 타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네비게이션키(41)를 구비한 보조본체부(40); 및 상기 보조본체부(40)를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table auxiliary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portion 10 having a number character key 11; A folder part (20) rotatably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main body part (10) is superimposed or unfolded; A hinge part 30 slid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part 10 and the folder part 20; An auxiliary main body 40 rotatably installed at the other end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having a navigation key 41; And rotation means (not show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40 to the axis of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main body portion 10.

상기 본체부(10)의 번호문자키(11)는 아라비아 숫자와 자음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부(10)의 배면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2)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부 일측에 마이크(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 내에는 상기 번호문자키(11)의 입력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각 기능을 입출력하는 제어부, 즉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다.Number character key 11 of the body portion 10 is composed of Arabic numerals and consonant vowels,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battery 12 for supplying power, the lower one side A microphone (not shown) is provided.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that converts an input signal of the number character key 11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inputs and outputs each function, that is, a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폴더부(20)는 일면에 데이터 또는 화면을 표시하는 메인표시화면(21)을 구비하고, 타면에 보조표시화면(22)을 구비하고, 상부 일측에 스피커(2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폴더부(20)의 표시화면(21)(22)의 표시화면모듈은 본체부(10)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케이블(연성회로기판)에 의하여 연결된다.The folder unit 20 includes a main display screen 21 for displaying data or a screen on one surface, an auxiliary display screen 22 on the other surface, and a speaker 23 on an upper side thereof. In addition, the display screen modules of the display screens 21 and 22 of the folder unit 20 are connected by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and a cable (flexible circuit board) of the main body unit 10.

상기 보조본체부(40)는 일측면에 네비게이션키(41)가 구비되며, 타측면에 다른 부가 기능을 할 수 있는 기능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네이게이션키(41)가 구비되도록 하고, 타측면에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모듈(42)이 구비될 수 있다.The auxiliary main body 40 is provided with a navigation key 41 on one side, and may be provided with a functional part that can perform other additional functions on the other side. As an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navigation key 4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camera module 42 for image capturing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상기 본체부(10)에 대하여 보조본체부(4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수단은 보조본체부(40)가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도록 한 방식이라면 어떠한 구성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그 힌지수단을 통해 상기 본체부(10)의 인쇄회로기판과 보조본체부(40)에 구비된 네이게이션 모듈과 카메라모듈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힌지수단의 몸체부는 중공의 하우징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means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subsidiary body part 4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10 may be any method in which the sub main body part 40 is rotatable about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main body part 10. It may be formed in a configuration, it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navigation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40 of the main body portion 10 through the hinge means. That is, the body portion of the hinge means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hous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0)에 대하여 보조본체부(4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보조본체부(40)가 본체부(10)에 대하여 무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경우, 보조본체부(40)와 본체부(10)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수단은 보조본체부(40)가 본체부(10)에 대하여 180°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means that can limit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main body 4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That is, when the auxiliary main body 40 is provided so as to be infinit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the stopper means may be damaged because the cable connecting the auxiliary main body 40 and the main body 10 may occur. Auxiliary body portion 40 is provided to prevent rotation of more than 180 °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0.

즉,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보조본체부(40)의 일측면으로부터 본체부(10)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와. 상기 본체부(10)에 동일수평면상에서 상기 스토퍼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토퍼는 본체부(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보조본체부(40)에는 동일수평면상에서 상기 스토퍼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stopper means and a stopper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40 toward the main body portion 10 side. The main body 10 may be made of a receiving groove (not shown) that can accommodate the stopper on the same horizontal surface. Here, the stopper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in this case, the auxiliary main body 40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not shown) that can accommodate the stopper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0)와 보조본체부(40)가 동일수평면상에서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위치고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fixing means (not shown) that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40 can firmly maintain a fixed state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즉, 상기 보조본체부(40)가 본체부(10)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은 상태 또는 180°회전된 상태 등 동일수평면상에 위치되는 경우, 그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다양한 실시형태가 있으며, 그 일예로 본체부(10)와 보조본체부(40)의 연결 대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부(10)와 보조본체부(4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라운드형 돌기와, 본체부(10)와 보조본체부(40)중 상기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본체부(10) 또는 보조본체부(40)에 상기 라운드형 돌기에 대응하는 라운드형 홈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설명에서는 보조본체부(40)에 라운드형 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향하는 본체부(10)에 라운드형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That is, when the auxiliary main body 40 is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such as a state that is not rotated or rotated 180 °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0,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provided so as to maintain the fixed state firmly do. There ar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osition fixing means, which is formed on the connection facing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40, any on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40 Round groove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auxiliary body portion 40 of the main body portion 10 or the auxiliary body portion 40 is not formed in the projections to the roun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round projections Is don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round protrusion is formed in the auxiliary main body 40, and a round groove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 opposite to the auxiliary protrusion 40.

계속해서, 상기 보조본체부(40)의 일면, 즉 네비게이션키(41)가 구비된 면의 대향면 단부측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그립부(grip)(44)(도7 참조)가 더 구비된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본체부(10)와 보조본체부(40)가 연결된 측의 대향 단부측에 전체적으로 돌출된 그립면으로 이루어진다.Subsequently, a grip 44 (see FIG. 7)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main body 40,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end side of the side on which the navigation key 41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user's gripping. It is further provided. The grip part comprises a grip surface that protrudes entirely on the opposite end side of the side to which the main body 10 and the auxiliary main body 40 are connected.

상기 보조본체부(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카메라모듈(42)에 촬영신호를 명령하기 위한 촬영버튼(43)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네이게이션키(41)는 평상시에는 기능의 선택 등을 위한 방향키로서 이용되며, 영상촬영모드에서의 네비게이션키(41)는 카메라모듈(42)의 줌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One side of the auxiliary main body 40 is provided with a shooting button 43 for instructing the shooting signal to the camera module 42. Here, the navigation key 41 is usually used as a direction key for selecting a function or the like, and the navigation key 41 in the image capturing mode is configured to provide a zoom 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42.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보조본체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6 및 도7를 추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table auxiliary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6 and 7 as follows.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보조본체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세지를 입력하는 이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세지를 입력하는 이용예의 측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table auxiliary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inputting a text message, Figure 7 is a text messag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of a use example.

평상시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휴대한다. 이후, 번호문자키(11)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거나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도3과 같이 폴더부(20)를 개방하고, 보조본체부(40)를 회전시켜 도2와 같은 상태로 전환한다. 이 때, 보조본체부(40)의 라운드형 돌기가 본체부(10)의 라운드형 홈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회전하게 되고, 회전이 완료되면 즉 180°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보조본체부(40)의 회전은 스토퍼수단에 의하여 본체부(10)에 대하여 회전은 방지된다. 또한, 상기 보조본체부(40)의 회전이 완료됨과 동시에 보조본체부(40)의 라운드형 돌기가 본체부(10)의 라운드형 홈으로 삽입되어 안정적인 고정을 유지한다.Normally, it is carrie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Then, if you want to enter a number or letters using the number character key 11, open the folder 20, as shown in Figure 3, and rotate the auxiliary main body 4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Switch. At this time, the round protrusion of the auxiliary main body 40 rotates while exiting from the round groove of the main body 10, and when the rotation is completed, that is,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main body 40 is completed. The rotation is prevented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0 by the stopper means. In addition,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main body 40 is completed and at the same time the round protrusion of the auxiliary main body 40 is inserted into the round groove of the main body 10 to maintain a stable fixing.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호 또는 문자키를 입력하고, 이 때, 보조본체부(40)에 그립부(44)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도7와 같은 그립상태로 안정감 있게 입력하게 되며, 번호문자키(11)가 상대적으로 상부측에 위치되어 있어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6 and 7, a number or a letter key is input, and at this time, the grip part 44 is formed in the auxiliary main body 40, so that the user enters the grip state as shown in Fig. 7. It is to be input with a sense of stability, the number character key 11 is located on the relatively upper side can be easily input.

한편,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모드에서는 보조본체부(40)에 구비된 카메라모듈(42)의 카메라렌즈를 피사체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모듈(42)의 카메라렌즈의 반대쪽 면에 구비된 네비게이션키(41)를 이용하여 줌(zoom) 조절한다. 이 때, 상기 카메라모듈(42)의 카메라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은 도2와 같이 폴더부(20)를 연 상태에서는 메인표시화면(21)에 표시되는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 며, 도5와 같이 폴더부(2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는 보조표시화면(2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hooting mode to shoot the image, the camera lens of the camera module 42 provided in the auxiliary main body 40 to face the subject, the navigation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mera lens of the camera module 42 The zoom is adjusted using the key 41. At this time,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lens of the camera module 42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image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screen 21 when the folder unit 20 is opened as shown in FIG. In the state that the folder unit 20 is not open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screen 22.

상기 영상촬영모드에서 보조표시화면(22)를 보고 전화를 걸거나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조작을 네비게이션키(41)로 조작할 수 있다.In the image capturing mode, an operation of viewing a sub display screen 22 and making a call or receiving a call may be operated using the navigation key 41.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부의 상부측에 번호문자키를 위치시키고, 본체부 하부측에 네비게이션키 모듈을 갖는 회전가능한 보조본체부를 구비시켜 키입력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보조본체부의 여유공간에 다양한 기능버튼을 포함한 카메라모듈을 구비시켜 영상촬영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키입력 조작성의 향상으로 최근 SMS 등 문자를 많이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body portion number character key,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rotatable auxiliary body having a navigation key module to improve the key input operability, the auxiliary The camera module including various function buttons can be provided in the free space of the main body to improve the image capturing functionality. Such key input operability can be improved to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who use text messages such as SMS recent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부의 상부측에 번호문자키를 위치시키고, 본체부 하부측에 네비게이션키 모듈을 갖는 회전가능한 보조본체부를 구비시켜 키입력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key input operability by placing the number character key on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body portion, by providing a rotatable auxiliary body portion having a navigation key module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보조본체부의 여유공간에 다른 기능부품들을 구비시킬 수 있어 다양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other functional parts in the free space of the auxiliary main body ha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terminal having a variety of functions.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취향의 구매자에게 독특한 디자인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어 구매자의 취향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roduct of a unique design to buyers of various tastes has an effect that can actively cope with the taste of the buyer.


Claims (9)

일면에 다수의 번호 문자키를 구비한 본체부; A main body unit having a plurality of letter keys on one surface; 상기 본체부의 일단을 축으로 포개지거나 펼쳐진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폴더부; A folder unit rotatably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main body unit is folded or unfolded with an axis;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접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A hinge part for slid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part and the folder part; 상기 본체부의 타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면에 네비게이션키 또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 보조본체부; 및 An auxiliary main body rotatably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navigation key or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on one surface thereof; And 상기 보조본체부를 본체부의 길이방향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Rotating means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body portion axis;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본체부는 The auxiliary body part 일측에 네비게이션키 모듈을 포함하고 타측에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는 It includes a navigation key module on one side and a camera module on the other side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보조본체부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수단을 더 포함하는Further comprising a stopper means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main body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스토퍼수단은,The stopper means, 상기 보조본체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보조본체부 또는 본체부 중 다른 하나로 연장되는 스토퍼; 및A stopper extending from one of the auxiliary main body part or the main body part to another of the auxiliary main body part or the main body part; And 상기 스토퍼가 돌출되지 않은 보조본체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The stopper is formed in any one of the main body portion or the main body portion is not protruding to include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stopper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부와 보조본체부는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상기 본체부와 보조본체부가 동일수평면에서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와 보조본체부에 형성된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It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fixing mean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firmly maintained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위치고정수단은The position fixing means 상기 본체부와 보조본체부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라운드형 돌기; 및A round protrusion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f any on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sub main body part; And 상기 본체부와 보조본체부 중 상기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대향면에 상기 라운드형 돌기에 대응하게 형성된 라운드형 홈으로 이루어지는Comprising a round groove formed on the other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auxiliary main body portion opposite to the projection is not formed corresponding to the round projec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본체부는 네비게이션키가 구비된 면의 대향면 단부측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그립부가 형성되는The auxiliary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grip portion to facilitate the user's grip on the end side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provided with the navigation key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본체부는 영상촬영모드에서 상기 네이게이션키가 카메라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The auxiliary main unit may operate as a user interface through which the navigation key controls the camera module in the image photographing mode.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KR1020030064334A 2003-09-17 2003-09-1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rotating sub-housing KR100547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334A KR100547368B1 (en) 2003-09-17 2003-09-1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rotating sub-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334A KR100547368B1 (en) 2003-09-17 2003-09-1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rotating sub-hou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073A KR20050028073A (en) 2005-03-22
KR100547368B1 true KR100547368B1 (en) 2006-01-26

Family

ID=37385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334A KR100547368B1 (en) 2003-09-17 2003-09-1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rotating sub-ho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36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073A (en) 2005-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8073B (en) Portable, at least two modes of use including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d mechanism therefor
US699980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digital camera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0713360B1 (en) Portable phone with hinge stylus and sub-inputting unit
JP4087423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4650997B2 (en) Multi-function mobile phone
US20080242359A1 (en) Mobile terminal
US20060063570A1 (en) Portable apparatus
JP2005198281A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pictorial communication performance
JP2004235687A (en) Portable radio terminal
JP2005198062A (en) Folding mobile phone
JP2002341998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character input device
KR101328053B1 (en) Wireless mobile terminal
KR20090073901A (en) Portable terminal
JP2007516628A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folding and rotatable storage member
KR10054736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rotating sub-housing
JP3811401B2 (en) Mobile device
JP2003018261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JP4107194B2 (en) Folding mobile phone
CN110062069B (en) Deformable terminal display device
KR10048678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olding type key-pad module
KR20060032881A (en) Mobile phone having a pluraility of screens and control method of menu list indication using same
KR2005003612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cover for auto-conversion of photograph mode
JP2001358811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KR20040110185A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multimedia message service
US20100124944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and pivotable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