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409B1 -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세대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세대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409B1
KR100542409B1 KR1020030088174A KR20030088174A KR100542409B1 KR 100542409 B1 KR100542409 B1 KR 100542409B1 KR 1020030088174 A KR1020030088174 A KR 1020030088174A KR 20030088174 A KR20030088174 A KR 20030088174A KR 100542409 B1 KR100542409 B1 KR 100542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ervice capability
capability
combination
capabil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4664A (ko
Inventor
이경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8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4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5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7Integrating service provisioning from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 네트워크에 있어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능력을 동시 및 병행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서로 다른 서비스 능력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능력까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능력 조합이 가능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인터넷상에서 발생하는 서비스별 사용자의 복수 가입에 따른 혼란 및 가입자 정보의 누수, 각종 정보 스팸에 대한 물리적 및 심적인 장애를 해결하여, 다양한 서비스 조합에 따른 새로운 서비스를 서비스 가입자 특성과 안정 차원에서 각종 가입자 기반 제어가 가능하여, 고 품질의 다양한 서비스 환경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차세대 네트워크(NGN), 서비스 능력, 조합,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

Description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Service combination control method and NGN service system thereb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능력 조합이 가능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의 계층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능력 조합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능력 조합 제어 장치에서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 네트워크 영역
3~5 : 소프트스위치
6~8 : 응용/미디어 서버
9~11 :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
12 :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장치
본 발명은 다양한 서비스능력이 제공되는 차세대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 능력을 동시 및 병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서비스 능력간의 조합으로 새로운 서비스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일반 전화, 무선 전화 및 인터넷 망을 하나의 패킷 구조로 통합한 차세대 네트워크(Next Generation Network ; NGN)에서는 음성 호(VoIP)를 포함한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능력을 수용 할 수 있도록 발전적 구조화를 도입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능력의 대표적인 예로는, 영상회의(Video Conference), VOD(Video On Demand)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서비스능력 단위를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 필요한 장치 및 방식이 결정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통신 서비스 사용자는 하나의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은 다른 서비스 제공자가 공급하는 서비스는 이전 서비스를 중단 혹은 종료하고 새로운 서비스에 다시 접속 절차에 따라 서비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서비스 제공 기술은 하부 네트워크(유선망, 무선망 등)의 독립형태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서비스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서비스 제어 계층을 두고 한 가지 서비스에 대하여 지능제어로 또 다른 서비스를 생성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서비스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서, 통신서비스의 가장 기본적이고 요소적인 것을 추출하여 네트워크 하부와 연계시켜 처리하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점차적으로 차세대 네트워크가 고속화되고 광대역화 되면서, 기존 인터넷 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능력이 다양하게 제어하게 되고 조합형 혹은 각종 번들 형 서비스 도입이 예상되고 있다.
종래에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위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능력을 실현하는데 따른 제약 때문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하나의 서비스에 국한하여 이에 국한된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 각 구성 요소장치를 도입하게 되었고, 이러한 방식은 시스템이 복잡해지며, 관련 네트워크의 자원들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조합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양한 서비스능력이 구비되는 차세대 네트워크 제공 환경에 있어서, 각각의 서비스 능력을 동시 및 병행으로 사용하면서, 서로 다른 서비스 능력을 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각각의 응용/미디어 서버를 통해 서로 다른 서비스 능력을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 다수의 국부 네트워크 영역으로 이루어진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서비스능력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다른 서비스능력에 대한 조합 요청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조합이 요구된 둘 이상의 서비스 능력에 대한 사용자세션 종류와 서비스 세션 동작구성을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확인된 동작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능력들에 대한 세션이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는 제3 단계;
해당하는 서비스 능력에 대한 세션 및 스트림 브리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제3단계의 확인결과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 서비스 능력에 대하여 서비스 세션을 생성하여, 조합할 모든 서비스 능력에 대하여 서비스 능력을 제어하기 위한 세션을 생성하는 제4 단계;
상기 조합할 서비스 능력별로 해당 서비스 능력의 스트림 연결을 조절하기 위한 스트림 브리지를 생성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서비스 능력들의 조합 형태에 따라서 상기 생성된 각 서비스 능력의 스트림 브리지를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림 연결 객체와 바인딩시키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은 상기 조합 요구된 서비스능력에 대한 세션 및 스트림 브리지 생성을, 상기 확인된 동작 구성요소에서, 해당하는 서비스 능력들에 대한 세션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결과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 서비스 능력에 대하여 서비스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에 의하여 세션이 생성된 서비스 능력에 대하여 각각 스트림 브리지를 생성하는 단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조합 제어 방법은 상기 바인딩 처리를, 사용자별 서비스능력 조합 주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해당 사용자가 모두 서비스 능력 조합을 수용하는 조합인 경우, 생성된 서비스 능력에 대한 스트림 브리지를 모든 사용자의 스트림 연결 객체에 바인딩시키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일부 사용자만이 조합을 요구한 경우, 생성된 서비스 능력에 대한 스트림 브리지 조합을 요구한 사용자의 스트림 연결 객체에만 바인딩 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다수 사용자가 서로 서비스능력을 교대로 사용하는 조합인 경우, 생성된 스트림 브리지 사용자의 스트림 연결 객체에 교차 바인딩 시키는 단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조합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 비스능력의 조합 해지가 요구되는 단계; 및, 상기 요구된 서비스능력들의 바인딩을 원래상태로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성수단으로서, 다수의 국부 네트워크 영역으로 구분되는 하나의 고유네트워크 영역을 통하여 다수의 서비스 능력을 제공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각 국부 네트워크 영역별로 고유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능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응용/미디어 서버; 각 국부 네트워크 영역별로 교환 기능을 수행하며, 각 응용/미디어 서버에 대한 멀티미디어 기본 호 제어 능력을 근간으로 여러 서비스능력 제공시 IP 기반의 호 제어를 처리하는 다수의 소프트 스위치; 상기 다수 소프트스위치에 각각 접속되어 각 국부 네트워크 영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능력마다 연결 제어를 수행하는 다수의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 및 상기 다수의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를 통하여 조합할 서비스능력별 서비스 세션과 매핑하여 상기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와 연결되어 서비스 능력별로 스트림 연결을 조절하는 스트림 브리지를 각 서비스 능력별로 생성하여 조합 형태에 맞게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림 연결 객체에 바인딩시키는 서비스능력 조합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다수의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를 각 네트워크영역의 응용/미디어 서버 내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능력 조합 제어장치와 다수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 및 응용/미디어 서버들은 상기 서비스능력 조합제어 장치와 여러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 간의 동작 관계를 상호 유동적인 서버와 클라이언트 방식으로 연결해주는 객체 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능력 조합제어 장치를,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별로 서비스 능력 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서비스 능력의 구성 정보를 유지하는 사용자단말기별로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세션 관리 모듈; 서비스 능력별 세션에서 네트워크의 어느 노드로 서비스 능력을 제공할 지를 파악하여 해당 서비스 연결 에어전트로 명령을 내리는 서비스 능력 단위별로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세션 관리 모듈; 사용자의 서비스 능력 조합 요구 시, 해당 서비스 능력에 대한 사용자 세션 종류와 동작구성을 확인하여, 해당 서비스능력의 세션 및 스트림 브리지를 생성한 후, 조합 조건에 따라 생성된 스트림브리지를 해당 사용자의 스트림제어기와 바인딩시키는 서비스 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근, 차세대 네트워크(NGN)의 서비스 능력은 다중 환경으로 변화되어 다중 네트워크 제공자 하에서 다중 서비스능력 제공자의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능력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차세대 네트워크 시 스템에 있어서, 다양한 서비스 능력들을 각각 제공함과 동시에, 더불어 개개의 서비스 능력을 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 능력을 더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네트워크 자원 낭비를 줄이면서 더 다양한 서비스 능력을 제공토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능력 조합 기능을 구비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여기서, 모든 노드 장치는 물리적으로 IP(패킷) 망으로 연결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각 국부 네트워크 영역(2)에서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소프트 스위치(3~5)와, 상기 다수의 소프트 스위치(3~5) 각각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각각 고유한 서비스능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응용/미디어 서버(6~8)와, 상기 다수 소프트 스위치(3~5)에 각각 접속되어 국부 네트워크 영역(2)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9~11)와, 상기 다수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9~11)를 통하여 각 영역별 서비스 능력을 조합 및 상호 연동시키는 서비스능력 조합 제어장치(12)로 구성된다.
상기 도시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고유 네트워크 영역(1)이 존재하고, 상기 고유 네트워크 영역(1)은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서로 다른 서비스가 제공되는 각각의 국부 네트워크영역(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편의상, 각 응용/미디어 서버(6~8)에 의해서 서로 다른 서비스능력 A, B, C가 각각 제공되는 세 개의 국부네트워크 영역 A, B, C 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네트워크 영역(1,2)들은 개방형 구조로 다른 네트워크 영역과 연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국부 네트워크 영역(2)에 각각 구비된 소프트 스위치(3,4,5)는 멀티미디어 기본 호 제어 능력을 근간으로 여러 서비스능력 제공시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호 제어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노드이다.
또한, 각 국부 네트워크 영역(2)에는 고유의 서비스 능력을 제공하는 응용/미디어 서버(6~8)가 존재하며, 이를 통해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국부 네트워크 영역 A에서는 응용/미디어서버(6)를 통하여 영상 회의 (Video Conference)라는 서비스능력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영역 B에서는 응용/미디어서버(7)를 통하여 VOD(Video On Demand) 라는 서비스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상기 각 국부 네트워크 영역(2)에서 제공되는 두 개의 서비스능력을 조합하기 위하여, 각 네트워크 영역 A, B, C에 대한 서비스 연결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 연결 에어전트(9~11)를 각 네트워크영역의 소프트 스위치(3~5)에 연결시킨다.
해당 서비스능력을 사용자가 보는 관점의 세션(Session)으로 처리할 경우, 세션의 연결은 곧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9~11)가 네트워크 구성 자원을 이용하여 서비스능력 연결과 연계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9~11)를 분산 컴퓨터 운용체제로 구현하여, 각 네트워크 영역(2)간의 서비스능력마다 연결 제어의 연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9~11)는 물리적으로 독립시스템으로 구성할 될 수도 있으며 응용/미디어 서버장치(25)에 내에서 별도 컴퓨팅을 가지고 동작하여 구성 될 수도 있다.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장치(12)는 상기 서비스 연결 에어전트(9~11)를 통해 네트워크 영역별로 제공되는 서로 다른 서비스능력을 조합한다. 상기 서비스능력 조합 제어 장치(12)는 서비스능력 단위별로 세션과 매핑되어 서로 다른 서비스 능력 간을 조합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보인 차세대 네트워크의 계층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세대 네트워크 계층구조에서, 가장 최하층인 사용자 단말기층(L4)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21)군, 예를 들어, 전화기, PC, PDA 단말기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1)간의 데이터통신을 가능케하는 네트워크 연결층(L3)에 소프트스위치, 액세스 게이트웨이, 백본 IP망 등으로 이루어진 차세대 네트워크(22)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차세대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층(L3)을 통하여 제공되는 서로 다른 서비스를 연결하는 서비스 기반 연결층(L2)이 더 존재하며, 상기 서비스 기반 연결층(L2)에는 각각 소정의 능력을 제공하는 응용/미디어서버장치들(6~8)과, 상기 응용/미디어서버장치(6~8)들을 연결하는 서비스 연결에이전트(9~1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연결 에어전트(9~11)를 통해 다수 응용/미디어서버장치(6~8)를 연결하여 서비스 능력을 조합하는 서비스 조합/제어층(L1)이 상기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장치(12)에 의해 구현된다.
여기서, 상위 서비스능력은 세션으로 제어하는데, 세션은 서비스기반 연결층(L2)과 매핑되고, 이어서 물리적인 차세대 네트워크(22)로 종단 대 종단(End-to-End),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등의 방식에 의하여 매핑이 된다. 이러한 매핑을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 연결 자원의 제어를 위하여 개방형 세션 기반 프로토콜(23)이 도입된다. 상기 프로토콜(23)은 실시간 연결 정보가 가능하도록 프리미티브 처리를 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능력 조합제어층(L1)과 서비스 기반 연결층(L2) 간의 연결은 분산 컴퓨팅 환경으로 객체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24)을 적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랫폼(24)은 서비스능력 세션 모델에 따른 서비스능력 단위의 각 객체들이 차세대 네트워크의 연결자원과 매핑되는 컴퓨팅 모델과 일치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객체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24)은 서비스능력 조합제어 장치(12)와 다수의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9~11)간의 동작 관계를 상호 유동적인 서버와 클라이언트 방식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서비스능력 조합제어 장치(12)내의 동작요소 객체들이 서비스능력 조합 절차에 따라 수행시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28)의 각 객체와 상호 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객체를 식별하도록 하며, 요청사항을 등록하게 한다.
여기서,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9~11)들은 차세대 네트워크의 각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미디어 서버(6~7)에 물리적으로 분산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구성 정보는 서비스 능력 조합제어 장치(12)가 구비하고, 정형화된 객체 인터페이스만을 정의하여 서비스능력 조합제어에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능력 조합제어 장치(12)는 다수의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9~11)간의 그룹 통신을 할 수 있는 센터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은 접속 환경을 통일되게 하면서 상하부 층간의 의 존도를 줄이도록 하는 관계 구조도를 도 2와 같이 제시하였고, 상기 서비스능력 조합제어 장치(12)의 도입으로 종래의 NGN 구조 프레임을 수정하지 않고 적용하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서비스 능력 조합제어 장치(1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상세 블록도로서, 사용자단말기(21a,21b)에서 서비스능력을 조합하는 동작 예도 동시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동작 객체간의 상호 운용 동작 제어는 개방 객체형 연결 방식으로 하고, 사용자 단말기로의 서비스능력 미디어 전송은 스트림 입출력 방식으로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1a,21b)와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장치(12)와의 서비스능력 미디어 전송로(212)는 이러한 스트림의 양방향 전달로이고, 이는 IP기반망의 패킷화된 데이터 형태로 실현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1a,21b)에는 서비스능력 조합제어장치(12)의 제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컴퓨팅 모듈(211)이라는 동작 객체가 구비되며, 이는 임의의 서비스능력이 형성 될 때마다 생성 및 소멸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능력 조합제어 장치(12)는 사용자가 요청한 두 서비스 능력에 대응하는 서비스 능력단위별 세션 관리모듈(33)간을 연결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기(21a,22b)의 스트림 입출력을 제어하는 서비스능력제어부(31)와, 사용자 단말 세션 관리 모듈(33)간을 조정하는 서비스능력 단위별 세션 관리 모듈(32)과, 사용자별로 서비스능력 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서비스능력의 구성특성 정보를 유지하여 사용자 및 서비스 능력별 매핑정보를 유지하는 사용자 단말 세션 관리 모듈(33)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서비스 능력 단위 세션 관리 모듈(32)은 서비스능력별 세션이 차세대 네트워크(1,2)의 어느 노드와 연결하여 서비스능력을 제공하는지를 파악하여 해당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9~11)로 명령을 내린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21a)가 다른 사용자단말기(21b)에게 영상회의를 요청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21a,21b)의 단말 컴퓨팅 모듈(211)간에 서비스 능력단위A 브리지(311)가 생성되고, 전송로(212)를 통하여 서비스능력단위 A 브리지(311)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이와 같은 연결 구조는 두 사용자 단말기(21a,21b)간에 영상 회의를 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한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능력 제공자의 서비스능력을 제안하고 이 서비스능력의 내용을 가지고 회의 주제가 되도록 하려면 서비스능력 조합에 의한 새로운 스트림 브리지가 형성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제어는 서비스 능력 조합제어부(31)에서 수행된다. 상기 제어는 동작 객체와의 관계로 달성된다.
상기 제어부(31)에는 서비스능력 별로 브리지(311,312)를 생성한다. 이 브리지(311,312)는 스트림 제어기(313,314)의 스트림 인터페이스와 서비스능력 단위 브리지 조합 요구에 따라 바인딩되는 방식을 결정한다. 즉, 교차 바인딩(315)은 서비스능력 단위 브리지(311,312)와 스트림 제어기(313,314)와 바인딩 되는 경우의 수에 따라 서비스능력 조합의 형태가 달라진다.
하나의 서비스능력단위 B가 VOD(Video On Demand) 라면 서비스능력단위 A와 서비스능력단위 B의 스트림 제어기(313,314)의 스트림 인터페이스는 병렬로 연결된다. 이 경우, 서비스능력이 조합된 동작을 사용자 관점에서 보면 형태는 '두 사용자가 서로 마주 보며 영상 대화를 하면서 동시에 영화 비디오를 감상하고 있다'라는 조합 서비스능력 효과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 능력 조합제어장치(12)의 동작은 교차 바인딩(315)을 중심으로 좌우측 스트림 연결 및 바인딩은 병행하여 이루어지면서 서비스능력의 주관자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더 나아가, 세 가지 이상의 서비스능력에 대한 조합은 사용자의 터미널의 스트림 인터페이스 접속 능력 및 응용 프로그램 수용에 의존되며, 이를 확장하는 개념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내의 동작 객체는 서비스능력 생성/소멸과정을 거치면서 인스턴스 형태로 존재하면서 동작한다. 교차 바인딩의 실시간적인 능력은 조합 제어기 바인딩(315) 부분을 실시간적인 소프트스위치 방식으로 개선하여 해결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구성된 서비스능력 조합제어 장치(12)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사용자단말기(21a)와 다른 사용자단말기(21b)를 각각 사용자 1과 사용자2로 구분하며, 두 사용자1,2가 각각 하나의 서비스능력A, B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능력 조합의 요구가 두 사용자 사이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능력 A는 영상 회의 서비스이고, 서비스 능력 B는 VOD 서비스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1,2가 서비스능력 A를 상호 연동하여 사용 중인 상태(S100,S101)에서, 두 사용자가 상호 교류 하에 다른 서비스능력 B를 서비스능력 A에 조합하기를 요구하면(S102,S103), 상기 서비스능력 조합제어 장치(12)에서 서비스능력 B에 대한 사용자 세션 설정 정보 및 기존의 서비스능력 A에 대한 세션의 구성정보를 확인한다(s104). 즉, 기존에 동작하고 있는 서비스능력A에 대하여 이 서비스능력에 설정된 사용자의 상태 및 서비스능력 세션의 구성 정보로부터 기존 서비스능력 A의 세션 특징을 추출하여 서비스능력 B가 상기 서비스능력 A에 어떤 구성으로 조합될 것인지 초기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합될 서비스능력 A, B에 대하여 세션이 기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s105),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 서비스능력에 대하여 서비스 세션을 생성한다(s107). 상기 실시 예의 경우, 서비스능력 A는 세션이 설정되어 현재 사용중이므로, 새롭게 요구된 서비스능력 B에 대한 세션만을 더 설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조합될 서비스 능력 A,B에 대한 서비스 세션이 모두 생성되면, 서비스 능력 A,B에 대한 조합을 연결하기 위한 기본 수단인 스트림 브리지(311,312)를 서비스능력 A,B 별로 각각 생성한다(s106).
이와 같이 생성된 스트림 브리지(311,312)는 조합 제어기(12)의 제어 대상이 되는 것으로서, 서비스능력 A,B의 동작을 초기화하고, 상기 제어기(12)가 동작하기 위한 서비스능력 종류 및 특징에 따른 구성정보를 파악한다(s108).
상기 파악된 구성정보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능력의 요소마다 조합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능력 요소화 및 객체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특성에 따라 분류되어 미리 구성 정보화되어 조합 제어기(12)로 하여금 브리지를 상호 어떻게 연결/바인딩 할 것 인지를 인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파악된 구성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따른 서비스능력 조합의 주체를 결정하여 조합 제어기(12)가 동작한다.
상기 도 4에 보인 경우는, 한정적으로 사용자 2명이 서비스능력 A, B를 상대로 조합을 실행하는 예로서, 사용자 1,2가 서비스능력 A, B를 조합하여 두 사용자가 모두 조합 서비스능력을 수용하는 경우(s109)는, 두 서비스능력에 대한 스트림 브리지(311,312)를 사용자 측의 스트림 연결 객체, 즉, 스트림 제어기(313,314)에 모두 바인딩 시킨다(s114). 그리고 사용자 1은 조합 서비스능력을 수용하여 서비스능력 A, B를 동시에 사용하고 사용자 2는 기존 서비스능력 A만을 수용하고 있거나(s110), 역으로 사용자1이 서비스능력 A만을 수용하고 사용자2가 서비스능력A, B를 모두 수용하고 있는 경우(s111)는 조합을 요구하는 사용자에게만 해당 스트림브리지(311 또는 312)를 스트림제어기(313 또는 314)로 바인딩시킨다(s115). 마지막으로, 서비스능력 A,B에 대하여 두 사용자가 서로 서비스능력을 교대로 사용하는 형식의 조합인 경우(s112,s113)에는 서비스능력 A, B의 스트림브리지(311,312)를 스트림제어기(313,314)에 교차 바인딩시킨다(s116).
상기에서, 스트림 제어기(313,314)의 역할은 사용자의 주체 및 사용자의 서비스능력 조합의 선호도에 따른 연결 조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생성, 유형에 따른 바인딩 메커니즘, 소멸의 과정을 반복한다. 사용자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스트림 인스탄스(instance)는 여러 개 발생하여 스위칭(switching)형식을 취한다. 그리고 서비스 능력이 셋 이상으로 다수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스트림 브리지는 인스탄스(instance)식으로 발생되어 스트림 제어기의 취급 대상이 된다.
상기와 같이 바인딩 처리가 수행되어, 조합 서비스능력중인 상태가 되면, 주도권을 주고 있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합의 소멸 요청이 있는 지를 실시간 체크하고(s117), 상기 체크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능력 조합의 소멸 요구가 있으면, 앞서 연결된 바인딩을 이전 상태로 전환한다(s119). 반대로, 서비스 능력 조합에 대한 소멸 요구가 없으면, 지속적으로 서비스능력 조합 상태로 유지시킨다(s118).
상기의 단계s100~단계s118의 처리는 반복 수행된다.
만약, 두 서비스능력이 조합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가 또 다른 서비스능력이 조합되길 원할 경우는, 이미 조합된 서비스능력을 하나의 다른 서비스능력 단위로 간주하고, 위의 절차를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구성 정보를 두 명의 사용자와, 두 개의 서비스 능력으로 제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대부분의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장치는 다수의 사용자와 다수의 서비스 능력이 조합되는 다중 제어로 동작하며, 이때, 스트림 제어기들의 동작은 병렬 처리 방식을 유지하여 서비스능력의 조합 소요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세대 네트워크에 있어서 고유 서비스능력을 단위별로 개발하고 상호 단위 서비스능력을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동시에 다른 서비스능력 제공자의 서비스능력과 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능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서비스 능력의 중복 개발을 배제하면서도 사용자가 고도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 받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먼저, 서비스능력 제공자와 네트워크 제공자의 상호 연동성이 강화되면서 새로운 서비스능력을 위한 조합 적용으로 협력체의 서비스능력 제공자는 공동으로 양질의 네트워크 제공자의 시설을 사용하게 되고, 사용자는 고 품질의 통신서비스능력 품질을 받을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2)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능력 생성층이 개선되어, 각종 서비스능력 특히, 멀티미디어 서비스능력 조합기술이 향상되어, 단위 서비스능력 고유 개발의 품질 향상에 중점을 두면서, 추후 서비스능력 조합에 의한 새로운 서비스능력을 창출시키는데 용이하게 된다.
(3) 그리고, 사용자, 서비스능력 제공자 및 네트워크 제공자 간에 공통적인 인터페이스 정의가 이루어져, 서비스능력 및 네트워크의 유지관리의 일원화된 정보수집 및 관리, 서비스능력 관리(장애, 성능, 보안등)에 공동 대처할 수 있는 환경이 구성된다.

Claims (8)

  1. 각각의 응용/미디어 서버를 통해 서로 다른 서비스 능력이 사용자단말기로 제공되는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서비스능력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다른 서비스능력에 대한 조합 요청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조합이 요구된 둘 이상의 서비스 능력에 대한 사용자세션 종류와 서비스 세션 동작구성을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확인된 동작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능력들에 대한 세션이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단계의 확인결과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 서비스 능력에 대하여 서비스 세션을 생성하여, 조합할 모든 서비스 능력에 대하여 서비스 능력을 제어하기 위한 세션을 생성하는 제4 단계;
    상기 조합할 서비스 능력별로 해당 서비스 능력의 스트림 연결을 조절하기 위한 스트림 브리지를 생성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서비스 능력들의 조합 형태에 따라서 상기 생성된 각 서비스 능력의 스트림 브리지를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림 연결 객체와 바인딩시키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사용자에 따른 서비스능력의 조합 형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모든 사용자가 서비스 능력 조합을 수용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스트림 브리지를 모든 사용자의 스트림 연결 객체에 바인딩시키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일부 사용자만이 서비스 능력 조합을 수용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스트림 브리지를 조합을 요구한 사용자의 스트림 연결 객체에만 바인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다수 사용자가 서로 서비스능력을 교대로 사용하는 조합인 경우, 생성된 스트림브리지를 각 사용자의 스트림 연결 객체에 교차 바인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조합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능력의 조합 해지가 요구되는 단계; 및
    상기 요구된 서비스능력들의 바인딩을 원래상태로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조합 제어 방법.
  5. 다수의 국부 네트워크 영역으로 구분되는 하나의 고유네트워크 영역을 통하여 다수의 서비스 능력을 제공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각 국부 네트워크 영역별로 고유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능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응용/미디어 서버;
    각 국부 네트워크 영역별로 교환 기능을 수행하며, 각 응용/미디어 서버에 대한 멀티미디어 기본 호 제어 능력을 근간으로 여러 서비스능력 제공시 IP 기반의 호 제어를 처리하는 다수의 소프트 스위치;
    상기 다수 소프트스위치에 각각 접속되어 각 국부 네트워크 영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능력마다 연결 제어를 수행하는 다수의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 및
    상기 다수의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를 통하여 조합할 서비스능력별 서비스 세션과 매핑하여 상기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와 연결되어 서비스 능력별로 스트림 연결을 조절하는 스트림 브리지를 각 서비스 능력별로 생성하여 조합 형태에 맞게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림 연결 객체에 바인딩시키는 서비스능력 조합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는 각 네트워크영역의 응용/미디어 서버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능력 조합 제어장치와 다수 서비스 연결 에이전트 및 응용/미디어 서버들은 상기 서비스능력 조합제어 장치와 여러 서비스 연결에이전트 간의 동작 관계를 상호 유동적인 서버와 클라이언트 방식으로 연결해주는 객체 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능력 조합제어 장치는
    서비스 능력을 사용하는 사용자별로 서비스 능력 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서비스 능력의 구성 정보를 유지하여 사용자와 서비스 능력별 매핑을 유지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1 세션 관리 모듈;
    서비스 능력별 세션에서 네트워크의 어느 노드로 서비스 능력을 제공할 지를 파악하여 각각 대응하는 서비스 연결 에어전트로 명령을 내리는 하나 이상의 제2 세션 관리 모듈;
    사용자의 서비스 능력 조합 요구에 따라서, 해당 서비스 능력에 대한 사용자세션종류와 동작구성을 확인하여, 해당 서비스능력의 세션 및 스트림브리지를 생성한 후, 조합 주체에 의한 방식으로 상기 생성된 스트림브리지와 사용자의 스트림제어기를 바인딩시키는 서비스 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1020030088174A 2003-12-05 2003-12-05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세대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100542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174A KR100542409B1 (ko) 2003-12-05 2003-12-05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세대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174A KR100542409B1 (ko) 2003-12-05 2003-12-05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세대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664A KR20050054664A (ko) 2005-06-10
KR100542409B1 true KR100542409B1 (ko) 2006-01-11

Family

ID=3724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174A KR100542409B1 (ko) 2003-12-05 2003-12-05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세대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4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584B1 (ko) * 2007-12-18 2010-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 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664A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0441B1 (en) System and method to inter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s of different protocols
US6728267B1 (en) Service capable network
EP1331785B1 (en) A method for enabling the negotiation of end-to-end QoS by using the end-to-end negotiation protocol (E2ENP)
US200201967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vent and message registration by an association controller
CA2299994A1 (en) Enhanced communication services for data networks
CN110022306A (zh) 一种视频会议呼叫入会的方法及装置
RU2121761C1 (ru)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онного потока в сетях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EP0693837B1 (en) Method of providing connection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0542409B1 (ko) 서비스 능력 조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세대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anter An open service architecture for adaptive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AU759968B2 (en) Service capable network
Kanter Adaptive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chitecture and Protocols.
JP2012085356A (ja) Ipドメイン間の相互接続を構成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CA2249824C (en) Service capable network
Chou et al. Web services for service-oriented communication
KR100539732B1 (ko) 랜 텔레포니를 위한 콜서버의 구조
Campbell et al. Building open programmable multimedia networks
Falchuk et al. An agile server for cross-provider service peering and aggregation
Dianda et al. Programmable service platforms for converged voice/data services
Weinstein et al. A distributed object architecture for QoS-sensitive networking
Campbell et al. Building open programmable multimedia networks
KR100277681B1 (ko) 광역 멀티미디어 통신망에서 서비스 세션 기반의 서비스 컴포지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van Sinderen et al. The application of TINA in multimedia services for the electronic super highway
Hong et al. Networking Architecture for Multimedia Services on a 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
Aurrecoechea et al. Opening network services for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