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181B1 - 고강도 레버 핸들 로크 기구 - Google Patents

고강도 레버 핸들 로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181B1
KR100541181B1 KR1020037009777A KR20037009777A KR100541181B1 KR 100541181 B1 KR100541181 B1 KR 100541181B1 KR 1020037009777 A KR1020037009777 A KR 1020037009777A KR 20037009777 A KR20037009777 A KR 20037009777A KR 100541181 B1 KR100541181 B1 KR 100541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ore
latch bolt
lock
doo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587A (ko
Inventor
대런씨. 엘러
데이비드에이. 소렌센
토드씨. 짐머
Original Assignee
사전트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전트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사전트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3007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6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05B13/108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the lock coaxial with spi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05B55/005Cylindrical or tubula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05B63/10Mortise locks requiring only two cylindrical holes i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 Y10T292/097Operating means
    • Y10T292/0977Cam
    • Y10T292/0982Bolt blocking or disabling means
    • Y10T292/0983Involves rollb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 Y10T292/097Operating means
    • Y10T292/0977Cam
    • Y10T292/0982Bolt blocking or disabling means
    • Y10T292/0985Discrete pivotable or rotatable actu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93For closures
    • Y10T70/5155Door
    • Y10T70/5199Swinging door
    • Y10T70/5246Dead bolts
    • Y10T70/5296Single
    • Y10T70/5319Sliding
    • Y10T70/5341Key operable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93For closures
    • Y10T70/5155Door
    • Y10T70/5199Swinging door
    • Y10T70/5372Locking latch bolts, biased
    • Y10T70/5385Spring projected
    • Y10T70/5389Manually operable
    • Y10T70/5394Directly acting dog for exterior, manual, bolt manipul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93For closures
    • Y10T70/5155Door
    • Y10T70/5199Swinging door
    • Y10T70/5372Locking latch bolts, biased
    • Y10T70/5385Spring projected
    • Y10T70/5389Manually operable
    • Y10T70/5394Directly acting dog for exterior, manual, bolt manipulator
    • Y10T70/542Manual dog-controller concentric with bolt manipulator
    • Y10T70/5429Additional dog-controller key actuated for dogging and undog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93For closures
    • Y10T70/5155Door
    • Y10T70/5199Swinging door
    • Y10T70/5372Locking latch bolts, biased
    • Y10T70/5385Spring projected
    • Y10T70/5389Manually operable
    • Y10T70/5394Directly acting dog for exterior, manual, bolt manipulator
    • Y10T70/542Manual dog-controller concentric with bolt manipulator
    • Y10T70/5442Key-actuated lock releases do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5Rotary or swinging
    • Y10T70/577Locked stationary
    • Y10T70/5792Handle-carried key lock
    • Y10T70/5796Coaxially mounted
    • Y10T70/5801Axially movable bo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832Lock and hand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레버 핸들에 사용하기 위한 로크 기구는 로크 코어와, 이 로크 코어가 도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로크 코어에 견고하게 연결된 래치 기구를 포함한다. 관통볼트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소직경의 로즈를 사용할 수 있다. 정지 및 스프링복귀 기구가 전체적으로 로크 코어내에 위치하므로 로즈를 얇게 할 수 있다. 로크 코어는 수평에서 작은 각도를 이루며 레버 핸들을 위한 정지위치를 한정한다. 좌측구조와 우측구조가 다른 로크를 만들 필요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로크 코어는 수평면 대신에 수직면에 대해 실제로 대칭이 되게 제조되며, 로크 기구의 내측면 및 외측면이 상호교환될 수 있다. 로크 코어의 내부주변과 직접 결합하는 한 쌍의 로킹러그를 포함하는 견고한 로킹부재에 의하여 로크가 레버 핸들을 거쳐 적용되는 악의의 힘에 견딜 수 있다. 로크의 상호교환 가능한 내측면 및 외측면을 로크 코어에 연결하는 칼라를 사용하여 양질의 감촉을 제공하도록 엔드플레이가 거의 완전하게 제거된다.
로크, 레버핸들, 로킹부재, 래치볼트, 로크코어, 래치기구.

Description

고강도 레버 핸들 로크 기구{High strength lever handle lock mechanism}
본 발명은 도어의 관통 구멍(bored openings)에 장착되는 방식의 원통형 로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악의의 기계적 하중이 레버 핸들을 거쳐 로크 기구에 적용될 수 있는 레버 핸들에 사용하도록 설계된 상기 방식의 최고급 및 최강의 로크에 관한 것이다.
도어 핸들이 종래 둥근 손잡이 보다는 레버 핸들로서 형성될 때 도어를 더 열기가 쉽다. 이 때문에, 레버 핸들은 어떤 응용분야에서 선호되며, 장애인 및 노약자가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공공빌딩의 특정 도어에서 적용 가능한 규제하에서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도어 핸들의 레버 형상은 둥근 손잡이에 적용될 수 있는 힘보다 더 큰 힘이 도어의 내부 로크 기구에 가해지도록 허용한다. 대부분의 도어 로크에서, 로크 기구는 도어를 잠글 때 손잡이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둥근 도어 손잡이가 레버 핸들로 교체될 때, 레버 핸들로부터 이용 가능한 더 큰 지레 작용때문에 침입자 또는 도적이 핸들의 레버단에 서거나 뛰어올라서 로크 기구의 내부 부품들을 파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견고한 로킹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해 매입(mortise)형 로크에 비해 내부공간이 더 작은 원통형 로크에서 특히 중대하다.
다른 문제는 레버 핸들을 처지게 만드는 경향이 있는 레버 핸들의 불균형 형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 둥근 도어 손잡이는 핸들의 회전축선에 대해 균형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손잡이는 비교적 적은 힘으로 핸들을 정지위치(rest position)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복귀력은 보통 로크에서 래치로드 복귀스프링(latch rod return spring)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나, 레버 핸들은 수평 위치로 복귀시키는데 더 큰 힘을 필요로 한다. 래치로드 복귀스프링에 의해서는 충분한 힘이 제공될 수 없으므로, 대부분의 레버 핸들 디자인은 보조 레버 핸들 복귀스프링을 합체하고 있다.
레버 핸들의 복귀스프링이 크고 로크 내부는 공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레버 핸들 지지스프링은 지금까지 로즈(rose:손잡이 또는 도어 핸들 바로 뒤에서 도어에 부착된 원형 덮개판)내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것이 효과적인 반면에, 레버 핸들의 복귀스프링을 로즈내에 배치하면 두꺼운 로즈를 만들게 되므로 어떤 사람들에게는 매력을 끌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둥근 도어 손잡이의 시각적 대칭은, 핸들이 풀릴 때 손잡이가 정확하게 정지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는 점을 의미한다. 그러나, 레버 핸들이 수평 정지위치로 완전히 복귀하지 않으면, 레버 핸들이 처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한 시각적 처짐(visual droop)은 특히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나 수평 보다 약간 위에 있는 정지위치는 대체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정상적인 마모 또는 부품 허용오차의 결과로서 시각적 처짐을 회피하기 위해 서, 레버 핸들의 정지위치는 수평 보다 약간 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로크를 좌측 스윙용 도어 및 우측 스윙용 도어를 위한 2개의 다른 형태로 제조하지 않고 또는 정지부를 로즈에 배치하지 않고는 레버 핸들을 수평 보다 위의 위치로 북귀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었다.
종래 로크는 로크 상단을 하단쪽으로 신속히 이동시킴으로써 좌측 스윙 도어 또는 우측 스윙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이것은 로크 기구의 로킹쪽을 좌측 스윙 도어와 우측 스윙 도어의 동일한 측면에 두어서, 좌측 스윙 및 우측 스윙 동작을 둘다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멈춤위치가 로크 기구내에 설정된 경우에는, 수평축선 둘레의 이러한 회전은 수평 위(above-level) 멈춤위치를, 받아들일 수 없는 수평 아래(below-level) 위치로 역전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좌측 및 우측 스윙 도어에 대해 독립된 로크를 요청하는 것은 물품 원가를 상승시키고 로크 명령이 잘못되었을 때 혼란과 지연을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정지부는 보통 로즈내에 배치된다. 이것은, 로크가 좌측 또는 우측 스윙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가에 관계없이 로즈 상단을 항상 상단에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로즈가 로크 몸체에 대해 역전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정지부를 로즈내에 배치하는 것은 정지부를 수용하기 위해 로즈를 두껍게 제조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로즈가 핸들 운동을 제한하며 복귀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해 정지부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때, 로즈를 도어에 대해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보통 이것은 관통 볼트에 의해 달성되며, 이 볼트는 도어 양측면에 있는 로즈들을 연결하며 메인 구멍을 통과하여 로크 몸체로 나아간다. 그러나, 관통구멍은 이 구멍을 덮기 위해 대직경의 로즈를 필요로 한다. 그러한 대직경 로즈는 어떤 사람들에게 매력을 끌지 못하고, 이러한 대직경은 로즈의 원가를 증가시킨다.
종래 기술의 레버 핸들의 원통형 로크가 가진 다른 문제는 핸들을 로크 기구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의 결과로서 발생된다. 대체로, 핸들이 샤프트 위로 슬라이딩하며 스프링 장전된 캡쳐부재(spring loaded capture piece)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캡쳐부재는 이 부재를 수용하고 있는 구멍에서 작은 틈새를 가져야 하며, 이러한 틈새는 샤프트와 핸들 사이에 축방향 운동을 허용한다. 이러한 운동은 사용자에게는 "헐거운" 핸들인 것처럼 인식하게 만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때로는, 마찬가지로 샤프트와 로크 기구 사이에도 약간의 상대 운동이 있으며, 이것은 핸들과 도어 사이에 받아들일 수 없는 추가의 축방향 운동을 일으킨다. 핸들과 로크기구 사이에 이러한 축방향 엔드플레이(endplay:샤프트의 끝에서 가장 눈에 띄게 나타나는 축방향의 움직임)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것을 크게 요청하고 있다.
종래 기술의 문제 및 결점을 염두에 두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하며 악용되지 않게 하는, 레버 핸들용 로크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통구멍을 만들 필요가 없는, 레버 핸들용 로크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얇은 소직경의 로즈판들을 사용하는 레버 핸들용 로 크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들과 로크 몸체 사이에 엔드플레이를 감소시킨 레버 핸들용 로크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에서 거의 완전하게 분해 및 수선될 수 있는 레버 핸들용 로크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부분적으로 자명하고 부분적으로 명세서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은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하며, 본 발명에서 달성되며, 즉 본 발명은 도어의 표면에 뚫린 제1 구멍에 끼워지는 베어링을 구비한 로크 코어와, 도어의 에지로부터 수직으로 제1 구멍을 향해 뚫린 제2 구멍에 끼워지는 래치(latch) 기구를 포함하는 로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래치 기구는 제2 구멍에 끼워지기에 적합한 래치볼트 프레임(latch bolt frame)을 포함한다. 상기 래치볼트 프레임은 강성 연결(rigid connection)에 의해 로크 코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래치볼트 프레임과 로크 코어 사이의 강성 연결은 도어에 대한 로크 코어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것은 로크 코어와 도어 사이에 극히 튼튼한 고착을 제공하므로 관통볼트가 필요없다. 관통볼트가 필요없기 때문에, 로즈는 소직경을 가질 수 있어서 로크 기구의 훌륭한 외양을 만들 수 있다.
래치볼트 프레임은 래치 기구를 둘러싸는 튜브로서 제조될 수 있다. 래치볼트 프레임은 대단히 튼튼하므로 레버 핸들로써 로크 코어에 1000 인치-파운드의 토크를 적용하는 중에도 로크 코어의 상당히 큰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래치 기구는 래치볼트 프레임 내부에서 연장위치와 후퇴위치 사이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래치볼트를 포함한다. 슬리브가 로크 코어의 베어링내에 래치볼트 프레임에 대해 수직으로 장착된다. 상기 슬리브는 베어링에서 외부로 연장하는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레버 핸들이 상기 샤프트부에 장착된다. 슬리브는 레버 핸들에 의해 회전될 때 래치볼트를 연장위치와 후퇴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도록 래치 기구에 작동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로킹부재가 슬리브에 장착되어 있어서 잠금위치와 해제위치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로킹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러그를 포함하며, 양호하게는 슬리브에서 방사상 외부로 돌출하는 2개의 로킹러그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러그는 레버 핸들 및 슬리브가 로크 코어에 대해 상대회전하지 않도록 로크 코어를 잠금위치에 고정시킨다. 로킹러그를 튼튼하게 만들고 슬리브 반경을 지나서 외부로 연장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의 디자인에 비해 로킹러그에 가한 힘이 감소되며, 중대한 악용에 저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로킹부재는 그 단부에서 래치 드라이버(latch driver)를 구비한다. 핸들이 슬리브를 회전시키고, 슬리브가 로킹부재를 회전시키고, 로킹부재가 래치 드라이버를 회전시킨다. 상기 래치 드라이버는 로킹부재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 래치볼트를 구동하기 위해 래치 기구와 결합함으로써 슬리브와 래치 기구 사이의 작동 연결(operative connection)을 형성한다. 래치 드라이버는 로킹부재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래치 기구로부터 분리된다.
가장 양호한 디자인에서, 로킹부재가 또한 이 로킹부재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키 피동부재(key driven piece)를 포함한다. 키 피동부재는, 로킹부재가 잠금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키에 의해 래치로드를 후퇴시키기 위하여 로킹부재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래치 기구와 결합한다.
로크 코어 내부에 있는 복귀스프링은 레버 핸들을 수평 위치, 양호하게는 수평 보다 약간 위로 복귀시킨다. 복귀스프링은 다수의 코일 스프링, 양호하게는 로크 코어의 각 측면에 하나씩 2개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코일 스프링들은 원통형 로크 코어의 내부면과 굴곡 접촉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복귀스프링 기구의 어떤 부분도 로즈내에 배치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로즈가 매우 얇게 되므로 로크 기구에 훌륭한 외양을 제공하게 된다.
가장 강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서, 래치볼트 프레임은 로크 코어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서, 복귀스프링은 2쌍으로 구성된 4개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의 쌍들은 래치볼트 프레임의 양측면에 배치되지만 여전히 로크 코어 내부에 위치한다.
래치볼트의 완전한 후퇴를 가능하게 하면서 레버 핸들이 회전해야 하는 각거리(angular distance)를 감소시키기 위해, 래치 기구는 래치볼트를 후퇴시키는 리트랙터 기구(retractor mechanism)와, 리트랙터 암의 한 단부에서 래치볼트 프레임에 피봇식으로 부착되고 대향 단부에서 래치볼트와 접촉하는 리트랙터 암을 구비하는 래치 후퇴 증폭기(latch retraction amplifier)로서 구성된다. 리트랙터 링크(link)는 리트랙터 기구와 리트랙터 암 사이에서 연장한다. 상기 링크는 리트랙터 암에 작용하여 래치로드의 직선형 운동을 증폭시키므로, 레버 핸들이 45도 이하로 회전될 때에는 래치볼트가 완전히 후퇴위치로 이동한다.
로크 코어는, 레버 핸들이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는 로크 코어에 대한 레버 핸들의 각도상 장착 방위(angular mounting orientation)를 한정한다. 래치볼트 프레임은 로크 코어에서의 레버 핸들의 각도상 장착 방위에 대하여 180도 보다 적은 각도에서 로크 코어와 결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래치볼트 프레임이 수평일 때 레버 핸들은 수평면 보다 위에서 영보다 큰 각도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핸들과 로크의 연결부에서 엔드플레이가 제거되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레버 핸들은 슬리브에 대한 레버 핸들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의 샤프트부에 안전하게 장착된다. 슬리브는 이 슬리브를 수용하는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대부를 포함한다. 슬리브의 상기 확대부는 보유칼라(retaining collar)에 의해 베어링의 정면(face surface)에 접촉상태로 유지된다. 슬리브의 확대부는 로크 코어에 대한 슬리브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의 정면과 협동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서, 보유칼라는 하나 이상의 로크 노치를 구비하며, 상기 로크 노치중 하나는 로크핀과 결합하여 보유칼라가 제거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로크핀은 헤드를 포함하고, 로크 코어는 로크핀의 헤드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보유칼라가 로크 코어의 제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로크핀의 헤드가 로크 코어의 오목부에서 외부로 연장하며, 보유칼라가 체결된 후 보유칼라의 로크 노치와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서, 로크 코어는 원통형 센터코어 및 한 쌍의 베어링 캡을 포함한다. 각각의 베어링 캡은 베어링을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캡은 로크 코어를 분해시킬 수 있도록 제거식 체결구(removable fastener)에 의해 로크 코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성 및 요소의 특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특성은 예증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임의의 치수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자체는 구조 및 작동 방법에 대해, 첨부 도면과 관련한 아래의 설명을 참고로 하여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품을 도시하는 부분 분해사시도. 이들 구성부품은 공장에서 공급되며 설치중에 함께 조립되는 기본적인 부품 부분 조립체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부품들이 조립된 형태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사시도. 다른 조립된 구성부품들이 더욱 명백히 보일 수 있도록 레버 핸들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거의 완전한 분해도.
도 4는 수평에 대한 레버 핸들의 상향 각도를 도시하는 도 3의 선 4-4를 취한 측면도.
도 5는 전방 내측면에서 바라본 베어링 캡의 사시도.
도 6은 연장된 래치볼트를 도시하는 래치 기구의 측면도. 래치 리트랙터 기 구를 도시하기 위해 래치볼트 프레임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다.
도 7은 후퇴된 래치볼트를 도시하는 래치 기구의 측면도. 래치 리트랙터 기구를 도시하기 위해 래치볼트 프레임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동일한 모양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지칭하는 도 1 내지 7을 참고하기로 한다.
도 1 및 2에서, 본 발명은 대향측에서 2개의 수나사 베어링(12, 14)을 갖는 로크 코어(10)를 포함한다. 상기 로크 코어(10)는 튜브의 형태로 형성된 래치볼트 프레임(20)을 포함한 래치 기구(18)를 수용하는 전방 구멍(16)을 포함한다. 상기 래치 기구(18)는 래치볼트(22)와, 상기 래치볼트를 후퇴하기 위해 래치볼트 프레임(20)내에 배치된 리트랙터 기구(102)(도 6 및 7)를 포함한다.
래치볼트 프레임(20)으로 구성된 튜브는 로크 코어(10)의 전방에 있는 구멍(16)을 통과하여 중심선(24)을 가로질러 로크 코어의 후방에 있는 제2 구멍(26)과 결합한다(도 3). 확대된 헤드(30)를 갖는 로크핀(28)은 래치 기구(18)를 로크 코어(10)에 단단히 유지하도록 로크 코어(10)를 통과하여 래치볼트 프레임의 후방에 있는 홀(32)을 통해 연장한다. 도 2는 이러한 조립된 구조를 도시한다.
래치볼트 기구의 축선(34)과 핸들 및 로크 코어의 축선(24)이 "T" 형상을 형성한다. 래치볼트 프레임(20)은 로크 코어(10)와 단단히 결합하고, 로크 코어가 설치되어 있는 도어의 구멍에 대해 로크 코어(1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원통형 로크 코어로부터 외부로 연장한다. 로크 코어(10)는 도어의 두 표면 사이에서 직각으로 관통된 구멍에 종래 방식대로 설치된다. 또한, 래치 기구(18)가 도어의 에지로부터 직각으로 더 큰 구멍을 향해 뚫린 더 작은 홀내에 종래 방식대로 설치된다.
래치볼트 프레임과 로크 코어는 둘다 튼튼하게 제조된다. 특히, 튜브형 래치볼트 프레임은 쉽게 구부러지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로크 코어 외부로 래치볼트 프레임의 연장과, 튼튼한 구조, 및 래치볼트 프레임이 로크 코어를 통과하여 로크 코어의 후방과의 핀형 결합이 모두 협동하여 도어 및 로크 기구 사이에 컴팩트 연결(compact connection)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구조는 로크 코어가 도어내에서 회전에 대해 크게 저항하도록 하며, 악용하는 중에 로크 기구에 가해지는 힘이 핸들에서 로크 코어로 전달되고 또 여기서 직접 도어로 전달되도록 허용한다. 이것은 보통 레버 핸들에 가해질 수 있는 악용하는 힘에 저항하기 위해 고급의 레버 핸들 로크에 사용되는 독립된 관통볼트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외측 핸들(36)이 슬리브(40)의 샤프트부(38)에 장착된다. 슬리브(40)의 내측부(42)는 내측 베어링(12)을 회전시킨다(도 3). 슬리브(40)의 내측부(42) 및 샤프트부(38)는 베어링(12)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대부(44)에 의해 분리된다.
내측부(42)는 확대부(44)가 베어링(12)의 정면(46)에 접촉할 때까지 베어링(12) 안으로 슬라이딩한다. 슬리브(40)는 외측 보유칼라(48)에 의해 베어링(12)내에 유지된다.
외측 보유칼라는 암나사로 되어 있어서 베어링(12)의 수나사와 나사체결될 수 있다. 외측 보유칼라(48)는 슬리브(40)의 확대부(44)를 베어링(12)의 정면(46)과 회전 가능한 접촉상태로 유지한다. 보유칼라(48)는 수나사(또한 암나사)를 구비하므로 로즈(50)(암나사로 되어 있음)가 그 외부에 체결될 수 있다. 외측 보유칼라(48)는 평평부(52)를 구비하므로 수나사에 손상을 주지 않고 렌치로 조여질 수 있다. 칼라는 베어링(12)의 정면(46)에 필요한 압력으로 슬리브(40)를 충분히 유지하도록 조여진다. 이러한 디자인은 로크 코어(10)에 대한 슬리브(40)의 축방향 운동을 완전히 제거한다.
외부핸들(36)이 고정나사(54) 및 스프링보유 기구(56)에 의해 슬리브(40)의 샤프트부(38)에 유지된다. 스프링보유 기구(56)는 로크 실린더(58)와 협동함으로써 키(60)가 로크 실린더에 삽입되지 않고 회전되는 경우에 핸들(36)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나사(54)는 핸들(36)이 샤프트부(38)에 대해 축방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나사는 핸들(36)과 로크 코어(10) 사이에 엔드플레이를 제거하며, 로크 기구를 위한 양질의 감촉을 제공한다. 스프링보유 기구(56) 및 로크 실린더(58)는 협동하여 레버 핸들(36)이 키없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어의 내측면도 유사하며, 샤프트(64), 확대부(66), 및 베어링(14)의 내부에 끼워지는 내측부(68)를 구비한 내부 슬리브(62)를 포함한다. 내부칼라(70)의 암나사는 베어링(14)의 수나사와 결합하고, 수나사는 내부 로즈(72)를 수용한다. 내부 핸들(74)이 내부 슬리브(62)의 샤프트(64)에 끼워진다. 고정나사(75)가 내부 핸들(74)에 조여짐으로써 내부 핸들을 내부 슬리브(62)에 유지시키며 엔드플레이를 제거한다.
종래 디자인에서, 로크 코어는 내부 샤프트 및 외부 샤프트와 함께 미리 조 립된다. 외부 샤프트는 항상 도어의 잠그는 쪽에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 로크 코어는 두 절반 사이에서 로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면에 대해 대칭이 아니다. 그러나, 종래 디자인은 로크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수평적 대칭은 로크 코어를 우측 스윙 도어 또는 좌측 스윙 도어에 설치하기 위해 상단이 하단을 향해 움직이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대칭은 우측 및 좌측 스윙 도어에 설치될 수 있는 단일 로크를 제조하는데 중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과는 크게 다르다. 로크 코어(10)가 수평면에 대해 대칭이 아니지만, 그 대신에 수직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로크 기구를 우측 또는 좌측 설치용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로크 코어(10)가 수평축선 대신에 수직축선에 대해 회전된다. 종래 기술의 디자인에서, 이러한 회전은 내측 및 외측이 로크 코어에 대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의 내측 및 외측을 변경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디자인에서 이러한 역전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슬리브(62) 및 외부 슬리브(40)가 제거 가능한다. 로크 기구의 내측 및 외측은 내부 핸들 및 외부 핸들이 부착되어 있는 내측 및 외측 보유칼라(70, 48)와 관련된 내부 및 외부 슬리브(62, 40)를 제거함으로써 역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의 수평면에서 수직면으로 기본적인 대칭의 변화는 핸들을 위한 정지부가 로즈 내부에 있는 대신에 로크 코어 내부에 배치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핸들의 정지위치가 약간 위로 상승되는 형태를 유지한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코어(10)와, 핸들의 정지위치를 한정하는 코어 내부의 정지부는 래치 기구(18)의 중심선(34)에 대해 약간 회전되어 있어서 레버 핸들(36, 74)의 중심선들이 각도 θ만큼 수평에 대해 위로 경사지며, 상기 각도는 1도 또는 2도가 양호하고, 가장 양호하게는 3도 미만이다. 종래 기술의 디자인과는 다르게, 본 발명에서는, 핸들이 정지위치에 있을 때 레버 핸들의 각도상 장착방위를 한정하는 것은 로크 코어이다. 래치볼트 프레임이 로크 코어에 들어가 있는 곳에서 래치볼트 프레임의 중심선(34)과 레버 핸들의 중심선 사이의 각도는 180도에서 작은 각도 θ만큼 뺀 각도(180도 - θ)이다.
로크 코어(10)는 좌측 스윙 또는 우측 스윙 도어에 설치되는가에 관계없이 항상 상단의 동일한 면에 설치된다. 내부 및 외부 핸들, 로즈, 칼라 및 슬리브들은 어느 측면을 외측으로 만들기 위해 로크 코어의 어느 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로크 기구가 해제될 때, 레버 핸들(36)을 회전시키면 슬리브(40)가 회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40)는 슬롯(80)을 포함하고, 이 슬롯은 슬리브의 내측부(42)를 직각으로 가로질러 연장한다. 슬롯(80)은 로킹부재(86)의 러그(82, 84)를 수용한다. 상기 러그들은 슬리브(40)에서 외부로 돌출하며 슬롯(80)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슬롯(80)은 로킹부재(86)가 슬리브(40)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로 슬라이딩하도록 허용한다. 로킹부재를 위한 잠금위치는 로킹부재를 핸들(36)에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해제위치에서, 로킹부재(86)는 핸들(36)에서부터 슬리브(40)의 먼 단부에 배치된다.
슬리브(40)가 핸들(36)에 대해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핸들의 회전은 항상 로킹부재(86)를 회전시킨다. 로킹부재(86)는 스플라인 부재(spline member: 92)상의 외부 키홈부(90)와 결합하는 내부 키홈이 형성된 중앙구멍(88)을 포함한다. 스플라인 부재(92)는 슬리브(40)의 샤프트부(38)내에 끼워지며 로킹부재(86) 내부의 키홈이 형성된 중앙구멍(88)과 결합한다. 스플라인 부재는 링홈(96)내에 끼워지는 C-링(94)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된다. 키홈부(98)가 로킹부재(86)의 단부를 지나 외부로 연장하여 대응하는 키홈이 형성된 구멍(100)(도 6 및 7)과 결합함으로써 래치 기구(18) 내부의 리트랙터 기구(102)를 작동시킨다. 키홈부(90, 98)는 로킹부재(86)를 항상 이동시키며 함께 회전하는 래치 드라이버로 구성된 단일부재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2개의 키홈부(90, 98)의 중심을 통해 연장하는 샤프트가 키 단부(104)를 스플라인 단부(106)에 연결시킨다. 상기 키 단부 및 스플라인 단부는 항상 래치 드라이버 부재 및 로킹부재(86)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단일 키 피동부재로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키 피동부재는 로킹부재 및 래치 드라이버에 대해 단일체로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키 단부(104)는 연결부재(110) 및 키 후미부(key tailpiece:111)를 통해 원통형 로크(108)에 의해 구동된다. 키 단부(104)가 회전될 때, 스플라인 단부(106)도 회전된다.
로킹부재(86)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키홈부(98)가 리트랙터 기구의 키홈 형성된 구멍(100)과 결합하므로 핸들의 회전이 리트랙터 기구를 회전시킬 것이다. 로킹부재(86)가 잠금위치에서 벗어날 때, 키홈부(98)가 키홈 형성된 구멍(100)에서 빠져나온다. 이 위치에서, 스플라인 단부(106)만이 키홈 형성된 구멍(100)과 결합하며, 키(112)를 돌려서 래치를 후퇴시킬 수 있다.
로킹부재(86)가 내향(해제) 위치와 외향(잠금) 위치 사이로 축방향 운동하면 로킹러그(82, 84)가 대응하는 로킹러그 슬롯(114, 116)과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제 완전한 로킹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로크 기구는 로킹부재(86)를 잠금위치로 외향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로크된다. 로킹부재는 로크 실린더(108) 및 키(112)에 의해 로크의 외측에서부터 또는 버튼 기구(117)에 의해 내측에서부터 상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로킹부재가 외향 이동함에 따라, 로킹부재가 동시에 리트랙터의 키홈 형성된 구멍(100)으로부터 키홈부(98)를 분리시키고, 2개의 튼튼한 로킹러그를 이동시켜 로킹부재(86)의 로킹러그 슬롯(114, 116)과 결합시킨다. 따라서, 로킹러그들이 레버 핸들(36)을 로크 코어에 연결시키므로, 튼튼한 "T" 디자인이 핸들이 리트랙터로부터 분리될 때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코어(10)가 중심코어 부재(118)와, 베어링(12, 14)과 각각 합체하는 2개의 베어링캡(120, 122)을 포함한다. 베어링캡(120, 122)은 나사(124)에 의해 중심코어(118)에 유지된다. 각각의 베어링캡에는 4개의 나사가 양호하다. 현장에서 용이하게 분해 또는 수리되지 않는 종래 로크 디자인과는 다르게, 본 발명의 디자인의 로크 코어는 나사를 제거함으로써 거의 완전히 분해될 수 있다. 외부 베어링캡(120)은 한 쌍의 스프링(130, 132) 및 스프링 드라이버(134)를 둘러싼다. 외부 베어링캡(120)이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 드라이버는 외부 슬리브(40)의 대응 노치와 결합하는 2개의 내향 핑거(136, 138)를 포함한다. 핑거(136)는 슬리브(40)의 노치(140)와 결합하므로 핸들(36)의 회전이 또한 스프링 드라이버(134)를 회전시킨다.
스프링 드라이버(134)는 또한 코일 스프링(120, 132)을 구동하는 한 쌍의 축방향 연장 태브(tab: 142, 144)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130, 132)은 각각의 베어링캡의 내측 주변부에 형성된 채널내에 놓이며, 2개의 대응하는 스프링 정지부(150, 152)(도 5) 사이에 수용된다. 스프링 정지부는 베어링캡들의 내측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된다. 스프링(130, 132)은 스프링 정지부(150, 152)와 스프링 드라이버의 태브(142, 144) 사이에 힘을 작용하여 태브들을 스프링 정지부와 정렬시킨다.
스프링 드라이버(134)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단부의 스프링 정지부와 다른 단부의 태브 사이에서 스프링(130, 132)을 압축시킨다. 따라서, 스프링 정지부의 위치는 핸들의 정지 위치를 한정한다. 수평면 및 래치 기구(18)의 중심선(34)에 대한 스프링 정지부의 위치와, 핸들의 정지 위치는 나사(124)가 끼워지기 전에 중심코어 부재(118)에 베어링캡들이 설치되는 각도만큼 제조중에 설정된다.
정지위치를 한정하는 스프링 정지부에 부가하여, 베어링캡들은 레버 핸들의 최대 회전을 한정하며 제한한다. 양호하게 상기 최대 회전은 위로 약 45도와 아래로 약 45도이다. 제한 정지부는 베어링캡의 내측에 가공된 2개의 제한채널(156, 158)에 의해 제공된다. 제한채널(156, 158)은 로킹러그 슬롯(114, 116)에 직접 인접해 있다. 로킹부재가 해제위치로 내향 이동할 때, 로킹러그(82, 84)가 로킹러그 슬롯(114, 116)에서 빠져나와, 인접한 제한채널(156, 158)로 들어간다. 상기 채널들은 레버 핸들 및 로킹 부재가 필요한 양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크기이다. 핸들을 최대 허용 회전을 초과하여 회전시킬려고 시도하면, 로킹러그가 제한채널의 단부와 접촉한다. 이러한 제한에 가해진 어떤 과도한 힘은 로크 코어로 전달되며 여기서 로크의 "T" 디자인을 거쳐 도어로 전달된다. 이것은 해제위치 뿐만 아 니라 잠금위치에서 가해진 과도한 힘으로부터 내부의 로크 기구를 보호한다.
대응하는 스프링 드라이버 및 코일 스프링쌍을 포함하는 대향한 베어링캡(122)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치가 발견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로크 코어가 레버 핸들(36, 74)이 정지부의 정지위치로 복귀하는데 필요한 정지부 및 복귀스프링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로크 기구가 로크 부재(86)를 핸들(36)쪽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로킹될 때, 로킹러그(82, 84)가 베어링캡(120)과 결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로킹러그(82, 84)도 역시 로크 코어의 내부의 정지부에 대해 작용한다.
상기 메카니즘은, 정지부 및 복귀스프링 기구가 로즈 조립체(50 또는 72) 내부가 아니라 로크 코어내에 완전히 배치된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의 디자인과는 다르다. 로킹 기구는, 로킹러그(82, 84)가 슬리브에서 외부로 돌출하여 베어링캡과 접촉하기 때문에 대단히 튼튼하다. 따라서, 힘에 저항한 회전이 튼튼하게 가공된 슬리브를 통해 튼튼한 2개의 러그, 로킹 부재로 전달되고, 여기서 로크 코어로 전달된다. 로킹부재에서 코어로 향한 힘의 전달은 슬리브(40)에 대한 외부 주변부에서 실행된다. 로킹러그가 슬리브(40)의 주변부에서 외부로 돌출하기 때문에, 로킹 기구상의 힘이, 로킹 기구가 전체적으로 롤업 스핀들(rollup spindle)(이는 대략 본 발명의 디자인의 슬리브(40, 62)에 해당함)내에 배치되는 종래 기술의 디자인에 비하여 감소된다.
도어내에서의 로크 코어(10)의 회전은 로크 코어를 완전히 관통하는 래치볼트 프레임(20)의 "T" 디자인에 의해 방지된다. 튼튼한 로크 코어의 "T" 디자인과, 로크의 중심선에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서 힘을 전달하는 로킹러그의 조합은 악용에 대해 크게 저항하는 매우 안전한 로킹 기구를 생산해낸다. 로킹 기구는 손상없이 레버 핸들에 의해 슬리브에 1000 인치-파운드의 토크를 적용하여도 용이하게 견디어낼 것이다. 이것을 초과한 토크는 로크를 개방시키지는 않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로크 코어(10)를 수용하는 구멍의 외주 주변부 외부로 지나가는, 로즈(50)로부터 로즈(72)까지 관통볼트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관통구멍 및 관통볼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로즈(50, 72)가 얇아질 수 있고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로즈에 복귀스프링 기구 및 관통볼트를 합체하고 있는 종래 디자인에 비하여 매력적인 로크 기구 디자인을 생산한다.
외부 핸들(36) 및 로크 실린더(58)를 포함하는 로크의 외부 부품들이 외부 슬리브(40)에 장착된다. 상기 부품들이 외측 보유 칼라(48)를 제거함으로써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 보유 칼라(48)는, 이 외측 보유 칼라(48)에 성 모양의 에지(castellated edge)를 만들어내는 로킹 노치(146)와 대응하는 대향 로킹 태브(148)의 하나 이상의 세트와 함께 제조되며, 여기서 외측 보유 칼라가 외부 베어링캡(120)의 표면과 접한다. 상기 로킹 노치들은 로킹핀(28)의 헤드(30)를 수용할 정도로 충분히 깊다.
로킹핀의 샤프트는 조립된 로크 코어(10)의 폭 보다 약간 길다. 내부 칼라(70)가 성 모양의 에지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칼라가 설치될 때, 칼라는 로킹핀(30)의 헤드(30)에 힘을 가하여 외부 베어링캡(120)의 표면에서 위로 돌출시킨다. 상기 표면은 로킹핀(28)의 헤드(30)가 초기에 외부 칼라(48)가 접하게 될 표면의 평면 바로 아래에 놓이도록 허용하는 오목부를 가진다.
기구를 조립하기 위해, 로크 코어(10)가 도어의 구멍내에 삽입된다. 핸들이 정지위치에 있을 때 핸들을 위해 필요한 약간 상향의 각도를 만드는 방향으로 정지부가 배향되도록 로크 코어(10)가 상단에 대해 정확한 측면이 삽입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에 래치 기구(18)가 도어의 자신의 구멍에 삽입되며, 로크 코어의 구멍(16)으로 밀려 들어가 후방측으로 나오며, 여기서 로크 코어의 후방에 있는 제2 구멍(26)에 정착된다. 다음에, 로킹핀(28)이 도어의 외부측에서 로크 코어내로 밀려 들어가며 래치볼트 프레임(20)의 후방을 통과하여 이 프레임을 제위치에 고정시킨다.
로킹핀(28)은 헤드(30)가 외부 베어링캡(120)의 표면 아래에 놓일 때까지 내부로 밀린다. 도어의 어느 한쪽이 로킹측이 되기 때문에, 로크 코어(10)의 양측면은 로킹핀(28)의 헤드(30)를 수용하도록 오목부를 구비한다.
다음에, 외부 슬리브(40)가 외부 베어링 즉, 로킹핀(28)의 헤드(30)와 동일한 측면에서 삽입된다. 베어링(12, 14)은 동일하며 둘다 우측 또는 좌측 스윙 도어가 필요한지에 따라 어느 로킹 칼라를 수용할 것이다. 다음에, 외측 보유 칼라(48)가, 로킹 태브(148)가 외부 베어링캡(120)의 표면에 접촉할 때까지 나사로 조여진다. 상기 태브들은 표면 아래에 놓이기 때문에 헤드(30) 위로 지나갈 수 있다. 외부 칼라가 조여지면, 내부 슬리브(62)가 나머지 베어링내에 설치된다. 내측 보유 칼라(70)가 조여질 때, 내측 보유 칼라는 로킹핀(28)의 단부에 접촉하여 헤드(30)를 오목부 밖으로 밀어내고, 외측 보유 칼라의 성 모양 에지에 있는 로킹 노치(146)와 로킹 결합하게 된다. 이것은 외측 보유 칼라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외부 및 내부 로즈(50, 72)가 핸들을 동반하며 부착된다. 마지막으로, 고정나사(54, 75)가 엔드플레이를 완전히 제거하도록 조여진다. 종래 손잡이 핸들은 보통 45도 이상의 큰 회전을 하며 래치볼트를 후퇴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한 채널의 각도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이 큰 회전각도로 작동할 것이다. 둥근 손잡이를 잡아 손목을 회전시킴으로써 손잡이를 회전시킬 때에는 더 큰 회전각도가 사용자에게 편안하다. 그러나, 레버 핸들을 작동시킬 때에는 손의 운동이 다르므로, 45도 보다 큰 회전 각도로 레버 핸들을 회전시키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하다.
더 작은 각도는, 리트랙션 기구가 래치볼트를 더욱 신속하게 후퇴시켜야 한다는 것을 뜻하며, 즉 둥근 손잡이 핸들에 필요한 것 이상으로 핸들 회전 범위에 대해 더 멀리 후퇴시켜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필요조건은 래치볼트에서 래치 후퇴 증폭기에 의해 충족된다.
도 6 및 7에서, 리트랙터 기구(102)는 키홈 형성된 구멍(100)을 갖는 종래 캠(160)을 구비한다. 종래 기술의 디자인과 같이, 또한 대응하는 제2 캠 및 제2 키홈 형성된 구멍이 래치 기구(18)내에 제1 캠(160) 및 제1 키홈 형성된 구멍(100)에 대칭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내부 및 외부 핸들이 래치볼트를 독립적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 레버 핸들(36)이 회전될 때, 키홈부(98)가 캠(160)을 도 6에 도시된 위치에서부터 도 7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시킨다. 상기 캠(160)은 래치볼트(22)의 후미부(162)에 작용하여 이를 후퇴시킨다. 종래 디자인에서, 이러한 후퇴는 직접 래치볼트 후미부가 이동되는 거리와 동일한 거리를 후퇴하는 래치볼트 헤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디자인에서, 헤드의 직선형 후퇴 이동은 리트랙터 암(164)에 의해 (후미부의 직선형 후퇴 이동에 비하여) 증폭된다.
래치볼트 헤드(22)는 후미부(162)의 판(168)에서 슬라이딩하는 샤프트(166)를 포함한다. 종래 스프링(도시 안됨)은 후미부(162)에 대해 래치볼트 헤드를 연장상태(도 6에서와 같이)로 유지한다. 상기 스프링들 및 후미부(162)에 대한 헤드(22)의 운동은 공지되어 있으며, 도어가 폐쇄상태로 스윙할 때 래치볼트 헤드(22)가 후퇴위치를 향해 내부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데 필요하며, 래치볼트는 핸들의 이동을 필요로 하지 않고 도어 프레임을 타격한다.
본 발명에서, 핸들에 의한 래치볼트의 후퇴 중에, 헤드 및 후미부는 종래 기술의 디자인과 같이 단일체로서 이동하지 않는다. 대신에, 리트랙터 암 및 리트랙터 링크(170)는 래치볼트의 헤드 및 후미부 사이에 삽입된다. 리트랙터 링크(170)는 래치볼트 후미부(162)와 리트랙터 암(164) 사이에 연결된다. 리트랙터 링크(170)는 피봇(172)에 의해 래치볼트 후미부(162)에 연결되고, 피봇(174)에 의해 리트랙터 암(164)에 연결된다.
상기 리트랙터 암(164)은 피봇(176)에 의해 고정형 래치볼트 프레임(20)에 연결된다. 리트랙터 암(164)의 팁(180)이 샤프트(166)의 슬롯(182) 내부에 끼워진다. 이동 피봇(174)이 고정 피봇(176)에서 떨어진 것 보다 리트랙터 암의 팁(180)이 고정 피봇(176)에서 더 멀리 있기 때문에, 후미부(162)의 후퇴 운동이 증폭되고, 래치볼트(22)의 샤프트(166) 및 헤드가 종래 장치에서 요구한 것 보다 상당히 작은 캠(160)의 각회전에 의해 완전 후퇴위치로 이동된다. 리트랙터 링크는 리트랙 터 암에 작용하여 래치로드의 직선형 운동을 증폭시키므로, 레버 핸들이 45도 이하로 회전될 때 래치볼트가 완전 후퇴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이 특별한 양호한 실시예와 연결되어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상기 설명에 비추어 기술에 숙련된 자는 여러 가지 대안,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내에서 그러한 대안, 변경 및 수정을 포용할 것이다.

Claims (26)

  1. 도어에 장착하기 위한 로크 기구에 있어서,
    베어링을 구비하며, 도어의 제1 구멍내에 끼우기에 적합한 로크 코어와;
    도어의 에지에서부터 도어의 제1 구멍까지 연장하는 도어의 제2 구멍내에 끼우기에 적합한 래치볼트 프레임과, 상기 래치볼트 프레임내에서 연장위치와 후퇴위치 사이로 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한 래치볼트를 포함하는 래치 기구와;
    로크 코어의 베어링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회전시키기 위해 슬리브의 샤프트부에 장착되는 레버 핸들과;
    상기 슬리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볼트 프레임은 로크 코어에 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며, 도어의 제2 구멍과 결합되고, 래치볼트 프레임과 로크 코어 사이의 견고한 결합이 도어에 대한 로크 코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고,
    상기 슬리브는 베어링으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슬리브가 회전될 때 래치볼트를 연장위치와 후퇴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래치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로킹부재는 잠금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슬리브에서 외부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러그는 레버 핸들 및 슬리브가 로크 코어 및 래치볼트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잠금위치에서 로크 코어와 결합하는 로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는 슬리브에서 외부로 대향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로킹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러그는 로크 코어 및 래치볼트 프레임에 대하여 레버 핸들 및 슬리브가 회전하지 않도록 잠금위치에서 로크 코어와 결합하는 로크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는 래치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슬리브가 로킹부재를 회전시키고, 로킹부재가 래치 드라이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래치 드라이버는 로킹부재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 래치볼트를 연장위치와 후퇴위치 사이로 구동하기 위해 래치 기구와 결합함으로써 슬리브와 래치 기구 사이의 작동 연결을 형성하고, 래치 드라이버는 로킹부재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래치 기구로부터 분리되는 로크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는 이 로킹부재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키 피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키 피동부재는 로킹부재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래치로드가 키 실린더에 의해 후퇴되도록 래치 기구와 결합하는 로크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 프레임은 레버 핸들에 의해 슬리브에 1000 인치-파운드의 토크가 적용되는 중에 로크 코어의 상당히 큰 회전을 방지하도록 로크 코어에 충분히 견고하게 부착되는 로크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 프레임은 튜브인 로크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코어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스프링은 수평위치에 또는 수평위치 보다 위에 레버 핸들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로크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코어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상기 복귀스프링은 상기 원통형 로크 코어의 내부면과 굴곡 접촉상태로 배치되는 다수의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는 로크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 프레임은 로크 코어를 통과하여 연장하고, 상기 복귀스프링은 2쌍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4개의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코일 스프링의 쌍들은 래치볼트 프레임의 대향 측면에 배치되는 로크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로즈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로즈는 어떠한 복귀스프링 기구를 포함하지 않는 로크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즈는 관통볼트식 레버 핸들용 로크기구에 사용된 종래 로즈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로크 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기구는,
    래치볼트를 후퇴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트랙터 기구와;
    한 단부에서 래치볼트 프레임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며 대향단부에서 래치볼트와 접촉하는 리트랙터 암과, 상기 리트랙터 기구와 상기 리트랙터 암 사이로 연장하는 리트랙터 링크를 구비하는 래치 후퇴 증폭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레버 핸들이 45도 이하로 회전될 때 래치볼트를 후퇴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리트랙터 기구에 연결되는 로크 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코어는 레버 핸들이 정지되어 있을 때 로크 코어에 대한 레버 핸들의 각도상 장착방위를 한정하고, 상기 래치볼트 프레임은 로크 코어에서의 레버 핸들의 각도상 장착방위에 대하여 180도 미만의 각도에서 로크 코어와 결합하고, 레버 핸들은 도어의 제2 구멍과 래치볼트 프레임이 수평에 있을 때 수평면 위의 영보다 큰 각도에서 유지되는 로크 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핸들은 슬리브에 대한 레버 핸들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도록 슬리브의 샤프트부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상기 슬리브는 이 슬리브를 수용하는 베어링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대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확대부는 보유칼라에 의해 베어링의 정면(face surface)과 접촉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확대부는 로크 코어에 대한 슬리브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도록 베어링의 정면과 협동하는 로크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칼라는 로킹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노치는 보유칼라가 제거되지 않도록 로킹핀과 결합하는 로크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핀은 로크 코어내로 연장하는 로크 기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핀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 코어는 보유칼라가 로크 코어에 대해 배치되도록 로킹핀의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핀의 헤드는 보유칼라가 로크 코어에 대해 배치된 후에 로크 코어의 오목부에서 외부로 연장하여 보유칼라의 로킹 노치내로 연장하는 로크 기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핀은 로크 코어에 대해 래치볼트 프레임을 유지하도록 래치볼트 프레임내로 연장하는 로크 기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코어는 원통형 센터 코어와 한 쌍의 베어링 캡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베어링 캡중 하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제2 베어링을 구비하는 로크 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캡들은 제거식 체결구에 의해 로크 코어에 연결되는 로크 기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코어의 베어링내의 슬리브의 회전식 장착은 로크 기구를 위한 회전축선을 한정하고, 상기 래치볼트 프레임은 로크 코어를 통해 연장하여 로크 기구의 회전축선의 대향측면에서 로크 코어와 결합하는 로크 기구.
  22. 도어에 장착하기 위한 로크 기구에 있어서,
    베어링을 구비하며, 도어의 제1 구멍내에 끼우기에 적합한 로크 코어와;
    도어의 에지에서부터 도어의 제1 구멍까지 연장하는 도어의 제2 구멍내에 끼우기에 적합한 래치볼트 프레임과, 상기 래치볼트 프레임내에서 연장위치와 후퇴위치 사이로 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한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를 후퇴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드랙터 기구와, 래치 후퇴 증폭기를 포함하는 래치 기구와;
    레버 핸들이 45도 이하의 회전범위로 회전될 때 래치볼트를 후퇴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리트랙터 기구에 연결되며 로크 코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 후퇴 증폭기는, 한 단부에서 래치볼트 프레임에 피봇식으로 부착되고 대향 단부에서 래치볼트에 접촉하는 리트랙터 암과, 상기 리트랙터 기구와 상기 리트랙터 암 사이에서 연장하는 리트랙터 링크를 구비하는 로크 기구.
  23. 도어에 장착하기 위한 로크 기구에 있어서,
    레버 핸들과;
    도어의 제1 구멍내에 끼워지기에 적합하며, 상기 레버 핸들을 지지하며, 상기 레버 핸들이 정지해 있을 때 로크 코어에 대해 레버 핸들의 각도상 장착방위를 한정하는 로크 코어와;
    도어의 에지에서부터 도어의 제1 구멍까지 연장하는 도어의 제2 구멍내에 끼우기에 적합한 래치볼트 프레임과, 상기 래치볼트 프레임내에서 연장위치와 후퇴위치 사이로 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하는 래치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 프레임은 도어의 제1 구멍에 대해 로크 코어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로크 코어에 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며, 로크 코어에서의 레버 핸들의 각도상 장착방위에 대하여 180도 미만의 각도에서 로크 코어와 결합하고, 레버 핸들은 도어의 제2 구멍과 래치볼트 프레임이 수평에 있을 때 수평면 위의 영보다 큰 각도에서 유지되는 로크 기구.
  24. 도어에 장착하기 위한 로크 기구에 있어서,
    레버 핸들과;
    도어의 제1 구멍내에 끼워지기에 적합하며, 상기 레버 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레버 핸들을 수평위치에서 또는 수평위치 보다 위에서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로크 코어와;
    도어의 에지에서부터 도어의 제1 구멍까지 연장하는 도어의 제2 구멍내에 끼 우기에 적합한 래치볼트 프레임과, 상기 래치볼트 프레임내에서 연장위치와 후퇴위치 사이로 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하는 래치 기구와;
    로크 코어에 연결된 로즈를 포함하고,
    상기 로즈는 도어의 제1 구멍을 덮기에 충분하지만 관통볼트 구멍을 덮기에 불충분한 직경을 가지며, 어떤 복귀 스프링도 포함하지 않으며,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데 필요한 것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로크 기구.
  25. 도어에 장착하기 위한 로크 기구에 있어서,
    레버 핸들과;
    도어의 제1 구멍내에 끼워지기에 적합하며, 로크 코어의 대향측면에 배치되며 도어의 내측면 및 외측면과 일치하는 내측 베어링 및 외측 베어링을 포함하는 로크 코어와;
    도어의 에지에서부터 도어의 제1 구멍까지 연장하는 도어의 제2 구멍내에 끼우기에 적합한 래치볼트 프레임과, 상기 래치볼트 프레임내에서 연장위치와 후퇴위치 사이로 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하는 래치 기구와;
    상기 외측 베어링에 장착된 외측 보유칼라와;
    상기 로크 코어의 외측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슬리브가 회전될 때 래치볼트를 연장위치와 후퇴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래치 기구에 연결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외측 베어링으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샤프트부와, 외측 베어링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핸들이 슬리브에 대해 레버 핸들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도록 슬리브의 샤프트부에 단단히 장착되고,
    상기 확대부는 외측 보유칼라에 의해 외측 베어링의 정면과 접촉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로크 코어에 대한 슬리브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도록 베어링의 정면과 협동하는 로크 기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베어링에 장착된 내측 보유칼라와;
    헤드를 가지며, 로크 코어를 통해 연장하는 로킹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외측 보유칼라는 외측 보유칼라가 제거되지 않도록 로킹핀의 헤드와 결합하는 로킹 노치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코어는 외측 보유칼라가 로크 코어에 대해 배치되도록 로킹핀의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보유칼라는 외측 보유칼라가 외측 베어링에 대해 배치된 후에 내측 보유칼라가 내측 베어링에 배치될 때 로킹핀의 헤드를 로크 코어의 오목부로부터 외부로 밀어 외측 보유칼라의 로킹 노치내로 밀어넣기 위해 로킹핀의 헤드로부터 로킹핀의 대향 단부와 접촉하는 로크 기구.
KR1020037009777A 2001-01-29 2002-01-16 고강도 레버 핸들 로크 기구 KR100541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72,268 US6626018B2 (en) 2001-01-29 2001-01-29 High strength lever handle lock mechanism
US09/772,268 2001-01-29
PCT/US2002/001356 WO2002061221A1 (en) 2001-01-29 2002-01-16 High strength lever handle lock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587A KR20030077587A (ko) 2003-10-01
KR100541181B1 true KR100541181B1 (ko) 2006-01-12

Family

ID=2509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777A KR100541181B1 (ko) 2001-01-29 2002-01-16 고강도 레버 핸들 로크 기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6626018B2 (ko)
EP (1) EP1356176B1 (ko)
JP (1) JP4038126B2 (ko)
KR (1) KR100541181B1 (ko)
CN (1) CN1296591C (ko)
AT (1) ATE534785T1 (ko)
AU (1) AU2002236783B2 (ko)
BR (1) BR0206787B1 (ko)
CA (1) CA2435341C (ko)
HK (1) HK1060165A1 (ko)
IL (2) IL156938A0 (ko)
MX (1) MXPA03006564A (ko)
NO (1) NO337572B1 (ko)
NZ (1) NZ527010A (ko)
WO (1) WO20020612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345B1 (ko) * 2018-09-28 2019-11-04 박한나 스마트한 기능의 방화문용 도어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6018B2 (en) * 2001-01-29 2003-09-30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High strength lever handle lock mechanism
US6860129B2 (en) * 2001-01-29 2005-03-01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Security classroom function lock mechanism
TW539028U (en) * 2002-07-29 2003-06-21 Tong Lung Metal Ind Co Ltd Clutch structure of locks
US6908126B2 (en) * 2002-10-15 2005-06-21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Enhanced security catch assembly for retaining a handle on a spindle
US6916053B2 (en) * 2003-06-03 2005-07-12 Globe Union Industrial Corp. Latch lock
KR100542188B1 (ko) * 2003-08-26 2006-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350555B2 (en) * 2003-10-02 2008-04-01 Betteli, Inc. Hong Kong Storm door with a lift-up lock case mortise and method of use
US6857297B1 (en) * 2003-10-29 2005-02-22 Path Line (Ng's) Holding Limited Lock enhancing device
US6979029B2 (en) * 2003-12-10 2005-12-27 Shen Mu-Lin Lock with increased torque-resisting capacity
US7077437B2 (en) * 2004-03-26 2006-07-18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Mortise lock integrated trim assembly with a retracting spindle
US7389661B2 (en) * 2004-09-24 2008-06-24 Viviano Robert J Keyless deadbolt door lock assembly
US7900978B2 (en) * 2006-02-02 2011-03-08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Return spring assembly for a lock mechanism
KR100726008B1 (ko) * 2006-05-26 2007-06-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100881291B1 (ko) * 2007-03-08 2009-02-11 주식회사 세왕테크 장착이 용이한 도어록 구조
US8087272B1 (en) * 2007-11-26 2012-01-03 Korban Fouad F Locking mechanism
AU2009240836B2 (en) * 2008-12-02 2015-05-21 Assa Abloy Australia Pty Limited Adjustable Cylindrical Lock Set
US20100275661A1 (en) * 2009-05-04 2010-11-04 Chung-Liang Lin Operational Device for Lock
US8419087B2 (en) * 2010-03-26 2013-04-16 Newfrey, Llc Mortise lock with dual reverse/lockout mechanism
US20110278865A1 (en) * 2010-05-17 2011-11-17 Ryan Jr Gerald G Door Latch
US20110289987A1 (en) * 2010-05-26 2011-12-01 Tong Lung Metal Industry Co., Ltd.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US20120234059A1 (en) * 2011-03-16 2012-09-20 Viviano Robert J Symmetrical uni-directional single action centered cylinder keyless deadbolt door lock assembly for right or left hand hung doors
US9493965B2 (en) * 2011-03-16 2016-11-15 Easy Lock, LLC. Symmetrical uni-directional single action centered cylinder keyless deadbolt door lock assembly for right or left hand hung doors
GB201111190D0 (en) * 2011-06-30 2011-08-17 Agco Int Gmbh Tractor cabs
US9212506B2 (en) 2012-03-08 2015-12-15 Schlage Lock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spring torque of a lock chassis
US9394722B2 (en) 2013-01-15 2016-07-19 Townsteel, Inc. Attack-thwarting cylindrical lockset
US8844330B2 (en) 2012-03-14 2014-09-30 Townsteel Inc. Cylindrical lockset
US9528300B2 (en) 2012-03-14 2016-12-27 Townsteel, Inc. Cylindrical lockset
US9121200B2 (en) * 2012-08-15 2015-09-01 Hampton Products International Corporation Lockable lockset operable by either axial or rotational knob movement
US9422742B2 (en) 2013-04-09 2016-08-23 Keith Pardoe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anaging swinging doors
US9447610B2 (en) 2013-09-16 2016-09-20 Hampton Products International Corporation Lockset operable by pivoting actuator about a first axis or a second axis
US9212507B2 (en) 2013-09-16 2015-12-15 Hampton Products International Corporation Lockset operable by pivoting actuator about a first axis or a second axis
US10837199B2 (en) 2014-09-05 2020-11-17 Hampton Products International Corporation Cylindrical latch bolt assembly having beveled blocking surface
CN107075877B (zh) 2014-09-05 2018-11-13 汉普顿产品国际公司 具有能够通过推动手柄进行致动的闩锁栓的手柄套件
US10240362B2 (en) 2014-09-05 2019-03-26 Hampton Products International Corporation Keyed lockset operable by pivoting actuator about a first axis or a second axis
DE102014221043B3 (de) * 2014-10-16 2016-02-04 Eagleburgmann Germany Gmbh & Co. Kg Bohrspüleinrichtung mit vormontiertem Wechseleinsatz
US10724270B2 (en) 2015-01-09 2020-07-28 Schlage Lock Company Llc Exit trim with simplified lever handing
US9718334B2 (en) 2015-04-09 2017-08-01 Kevin Paul Means Assembly and method for supporting and locking movable solar panels
GB2555644B (en) * 2016-11-08 2022-03-02 P Brownbill Kenneth Door fitting
WO2018151698A1 (en) 2016-12-09 2018-08-23 Best Access Solutions, Inc. Door handle set having a supplemental child-resistant lock
US11035149B2 (en) 2017-11-03 2021-06-15 Schlage Lock Company Llc Modular cylindrical lockset
CN109779390B (zh) * 2017-11-10 2020-11-06 郑大宏 锁具的结合结构
AU2019202084B2 (en) * 2018-04-02 2020-10-22 Assa Abloy Korea A driving assembly for a lever-type door lock
CN109184345B (zh) * 2018-09-27 2024-01-30 深圳市迈悍德实业有限公司 一种锁芯结构及锁具
CN109137436B (zh) * 2018-09-29 2023-11-28 浙江华光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便携翻转的熨烫板组件及挂烫机
EP3887620A1 (en) * 2018-11-27 2021-10-06 Arconic Technologies LLC Cam assisted handle system
US11905735B2 (en) * 2020-10-19 2024-02-20 Schlage Lock Company Llc Key-operable lockset
CN112681888A (zh) * 2020-12-31 2021-04-20 北京晶钢科技有限公司 一种锁具
CN114055376B (zh) * 2021-11-23 2023-10-31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昭通供电局 一种地脚螺栓紧固扳手用数显扭力套筒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49472A (en) * 1916-10-16 1917-12-11 Charles A Painter Jr Automobile-door latch.
US1739710A (en) * 1927-01-03 1929-12-17 Briggs Mfg Co Remote-control-lever assembly for door latches
US1755434A (en) * 1929-04-29 1930-04-22 Ellingson Elling Doorknob-locking device
US2211130A (en) * 1938-01-05 1940-08-13 Packard Motor Car Co Door latch mechanism
US2657567A (en) * 1951-10-23 1953-11-03 Nat Brass Co Lost motion cartridge for keys in knob locks
US2912846A (en) * 1956-10-08 1959-11-17 American Hardware Corp Door lock
US2998274A (en) * 1959-09-14 1961-08-29 Fred J Russell Latch bolt hold-back
US3157042A (en) * 1963-03-29 1964-11-17 Folger Adam Motor-driven or operated locks, and the like
CH416362A (de) * 1963-12-09 1966-06-30 Koehler Karl Eingelassenes Türschloss
FR1505609A (fr) * 1966-10-24 1967-12-15 Motep Moulage Tech Plastique Serrure
US3708191A (en) * 1971-06-23 1973-01-02 Schlage Lock Co Auxiliary spring unit for locks
US3954292A (en) * 1975-06-04 1976-05-04 Amerock Corporation Door latch with turnable lock button
US4236396A (en) * 1978-10-16 1980-12-02 Emhart Industries, Inc. Retrofit lock
US4564229A (en) * 1983-04-18 1986-01-14 Tre Corporation Latch assembly having selectable backset distance
US4575137A (en) * 1983-07-25 1986-03-11 Jans & Heinsdorf Gmbh Latch mechanism and locking adaptor
US4641867A (en) * 1985-07-22 1987-02-10 Geringer Arthur V Door closure assembly
US4641866A (en) * 1985-11-12 1987-02-10 Von Duprin, Inc. Lever handle door trim
US4676083A (en) * 1986-03-07 1987-06-30 Sedley Bruce S Locking mechanism with actuator
US4869083A (en) * 1988-04-26 1989-09-26 Sargent Manufacturing Corporation Cylindrical lever handle lock
CA2008489C (en) * 1990-01-24 1997-03-11 Chao Ching Shen Cylindrical lever type lock structure for handicapped people
US5269162A (en) * 1990-10-12 1993-12-14 Emhart Inc. Cylinder lock
KR940010077B1 (ko) * 1992-04-21 1994-10-21 홍성일 의약용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JPH06105020B2 (ja) * 1992-06-09 1994-12-21 ホッペ・アーゲー ラッチ及びロックアップシステム
US5421178A (en) * 1993-01-19 1995-06-06 Best Lock Corporation Motorized lock actuator for cylindrical lockset
US5727406A (en) 1996-02-29 1998-03-17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Lever assembly for high torque load
US5983683A (en) * 1998-02-06 1999-11-16 Shen; Mu-Lin Adapter device for a key-in-lever type lock
US6101856A (en) 1998-12-14 2000-08-15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Free-wheeling lever handle lock mechanism
US6626018B2 (en) * 2001-01-29 2003-09-30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High strength lever handle lock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345B1 (ko) * 2018-09-28 2019-11-04 박한나 스마트한 기능의 방화문용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236783B2 (en) 2005-03-17
BR0206787B1 (pt) 2012-11-27
CA2435341C (en) 2007-04-17
MXPA03006564A (es) 2003-09-25
BR0206787A (pt) 2004-03-02
US6626018B2 (en) 2003-09-30
CN1527900A (zh) 2004-09-08
EP1356176A1 (en) 2003-10-29
NO20033354L (no) 2003-09-23
ATE534785T1 (de) 2011-12-15
US20030131640A1 (en) 2003-07-17
CA2435341A1 (en) 2002-08-08
HK1060165A1 (en) 2004-07-30
CN1296591C (zh) 2007-01-24
NO337572B1 (no) 2016-05-09
US6735993B2 (en) 2004-05-18
IL156938A0 (en) 2004-02-08
IL156938A (en) 2009-06-15
EP1356176A4 (en) 2009-02-18
NZ527010A (en) 2005-08-26
WO2002061221A1 (en) 2002-08-08
EP1356176B1 (en) 2011-11-23
US20020100301A1 (en) 2002-08-01
KR20030077587A (ko) 2003-10-01
JP2004536242A (ja) 2004-12-02
JP4038126B2 (ja) 2008-01-23
NO20033354D0 (no) 200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181B1 (ko) 고강도 레버 핸들 로크 기구
US6860129B2 (en) Security classroom function lock mechanism
AU2002236783A1 (en) High strength lever handle lock mechanism
US6279360B1 (en) Cylindrical lock with simpler positioning assembly
US5657653A (en) Dual lock with simultaneous retraction of latch and deadbolt by inside lever and uncoulpler between driving spindle and the lever
US5526659A (en) Door locking handle assembly
NZ567630A (en) Improvements in ironmongery
BG64399B1 (bg) Обков за прозорци и/или врати
US6802194B1 (en) Clutch mechanism for a lock
KR950010293B1 (ko) 관상의 자동 데드볼트 래치(Deadbolt Latch)
US6178794B1 (en) Lever handle controller
US4268075A (en) Lock of the dead bolt type
AU684509B2 (en) Non-handed, concealed-screw lock mounting mechanism
JPS62228575A (ja) 錠装置
US7152891B2 (en) Field-reversible locking mechanism
AU2003255260B2 (en) Security classroom function lock mechanism
GB222635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ockable handle assemblies
JP2003003702A (ja) サムタ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