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146B1 -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146B1
KR100539146B1 KR10-2003-0061821A KR20030061821A KR100539146B1 KR 100539146 B1 KR100539146 B1 KR 100539146B1 KR 20030061821 A KR20030061821 A KR 20030061821A KR 100539146 B1 KR100539146 B1 KR 100539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fall
initial
main body
purifica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025A (ko
Inventor
오재일
최영화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블루그린링크(주)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14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1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1)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형성된 교량 관통공(2)에 장착되어 그 관통공(2)의 하측 배출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집수관(3)을 통해 하수관거로 강우수를 배출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에 초기 강우수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하측 개구부에 중앙관 삽입공(1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벽과 소정 이격되어 그 본체(10)의 심부 및 중앙관 삽입공(12)에 수직하게 삽입설치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에 지속 강우수 유입구(21)가 형성되고, 측벽에 초기 정화 강우수 유입구(22)가 관통형성되며, 하측 개구부에 정화수 배출구(23)가 형성된 중앙관(20)과; 상기 본체(10)의 내벽과 상기 중앙관(20)의 초기 정화 강우수 유입구(22) 상측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 초기 강우수 정화부(30)와; 상기 초기 강우수 정화부(3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필터 카트리지(40)를; 포함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를 제시함으로써, 교량의 상면에 고이는 강우수에 관한 오염물질의 제거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집중호우로 인한 강우수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AINFALL ON BRIDGE}
본 발명은 교량(도하용 교량, 고가 도로 등)의 상면에 고인 강우수를 정화하여 하수관거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우수에 관한 오염물질의 제거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집중호우로 인한 강우수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초기 강우수에 관하여만 정화 필터링을 수행하고 지속 강우수는 그대로 자유 월류되도록 하는 구조의 강우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우수 배출 및 정화장치는 강우시 도로, 교량 등의 상면에 고이는 빗물을 하수관거를 향해 배출하기 위한 시설로서, 도로, 교량 등의 건설시 노면 배수를 위해 반드시 설치하도록 시설기준상에 명시되어 있으며, 모래, 낙엽, 기타 오염물질의 하수관거 유입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정의 정화시설이 구비되기도 한다.
도 7은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교량(1)의 상면에 형성되는 도로는 빗물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 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소정 하향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며, 그 가장자리부에는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형성된 교량 관통공(2)이 형성되고, 강우수 정화장치(100)는 그 교량 관통공(2)에 삽입설치된다.
강우수 정화장치(100)의 상측 개구부는 강우수의 유입을 위해 개방된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하측 개구부는 그 배출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집수관(3)을 통해 하수관거로 강우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집수관(3)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우수 정화장치(100)의 내부에는 오염물질의 수거를 위한 필터 카트리지(101)가 구비되기도 한다.
한편, 교량의 도로 상면 등에 쌓여 있던 오염물질(모래, 낙엽, 타이어 분진, 먼지 등)은 강우시 빗물에 씻겨져서 강우수 정화장치(100)를 통해 집수관(3)으로 유입되는데, 그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분포를 살펴보면, 초기 강우수의 경우에만 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포함되어 있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지속 강우수의 경우에는 오염물질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로 상면 등의 오염물질은 대부분 초기 강우수에 씻겨져서 강우수 정화장치(100)로 유입되므로, 그 이후 강우수 정화장치(100)로 유입되는 지속 강우수는 오염물질을 거의 포함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100)는 강우수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구성을 취하고 있었는 바,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즉, 초기 강우수와 지속 강우수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강우수가 일률적으로 필터 카트리지(101)를 통과하여 집수관(3)에 유입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었는 바, 장마와 같은 집중호우가 일어나는 경우, 강우수 정화장치(100)가 과부하를 견디지 못하여 하수가 역류하는 현상 등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교량의 상면에 고이는 강우수에 관한 오염물질의 제거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집중호우로 인한 강우수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량(1)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형성된 교량 관통공(2)에 장착되어 그 관통공(2)의 하측 배출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집수관(3)을 통해 하수관거로 강우수를 배출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에 초기 강우수 유입구(11)가 형성되고 바닥판에 중앙관 삽입공(1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어 그 본체(10)의 심부 및 중앙관 삽입공(12)에 삽입설치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에 지속 강우수 유입구(21)가 형성되고, 측벽에 초기 정화 강우수 유입구(22)가 관통형성되며, 하측 개구부에 정화수 배출구(23)가 형성된 중앙관(20)과; 상기 본체(10)의 외벽 내주면과 상기 중앙관(20)의 초기 정화 강우수 유입구(22) 상측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 초기 강우수 정화부(30)와; 상기 초기 강우수 정화부(3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필터 카트리지(40)를; 포함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40)는 심부에 상기 중앙관(20)의 삽입공(4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의 내벽과 상기 중앙관(20)의 외벽에 밀착되어 상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카트리지(40)는 내주면이 상기 중앙관(20)의 외주면을 둘러 밀착되도록, 심부에 상기 중앙관(20)의 삽입공(41a)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본체(10)의 외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도록 장착된 내측 필터(40a)와; 상기 내측 필터(40a)의 상측 또는 하측에 장착되고, 외주면이 상기 본체(10)의 외벽 내주면을 둘러 밀착되며, 내주면이 상기 중앙관(20)의 외주면과 소정 이격되도록 심부에 중앙관(20)의 관통공(41b)이 형성된 외측 필터(40b)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내측 필터(40a)와 상기 본체(10)의 외벽 내주면 사이의 공간, 상기 외측 필터(40b)와 상기 중앙관(20) 외주면 사이의 공간 및 상기 내측 필터(40a)와 외측 필터(40b) 사이의 공간에 의해 지그재그 유로구조가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정화장치가 교량 관통공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정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정화장치의 원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필터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5는 필터 카트리지의 원리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침전통이 구비된 실시예의 부분절결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교량(1)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형성된 교량 관통공(2)에 장착되어 그 관통공(2)의 하측 배출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집수관(3)을 통해 하수관거로 강우수를 배출하는 구조를 취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에 초기 강우수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하측 개구부에 중앙관 삽입공(1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벽과 소정 이격되어 그 본체(10)의 심부 및 중앙관 삽입공(12)에 수직하게 삽입설치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에 지속 강우수 유입구(21)가 형성되고, 측벽에 초기 정화 강우수 유입구(22)가 관통형성되며, 하측 개구부에 정화수 배출구(23)가 형성된 중앙관(20)과; 상기 본체(10)의 내벽과 상기 중앙관(20)의 초기 정화 강우수 유입구(22) 상측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 초기 강우수 정화부(30)와; 상기 초기 강우수 정화부(3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필터 카트리지(40)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점선 화살표(a)는 초기 강우수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실선 화살표(b)는 지속 강우수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심부에 중앙관(20)이 장착된 2중의 관 구조를 취하고, 그 상측 개구부가 초기 강우수 유입구(11)와 지속 강우수 유입구(21)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유량이 적은 초기 강우수의 경우는 점선 화살표(a)가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와 중앙관(20)의 사이 공간이 형성하는 초기 강우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고, 비교적 유량이 많은 지속 강우수의 경우는 자유 월류에 의해 실선 화살표(b)가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관(20)의 상측 개구부인 지속 강우수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다.
초기 강우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초기 강우수는 초기 강우수 정화부(30)에 설치된 필터 카트리지(4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그 필터 카트리지(40)의 하측에 형성된 초기 정화 강우수 유입구(22)를 통해 중앙관(20)으로 유입된 후, 정화수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된다.
지속 강우수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지속 강우수는 중앙관(20)을 통과하여 그대로 정화수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된다.
즉,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본체(10), 중앙관(20) 및 필터 카트리지(30)의 구조 및 위치를 적절히 구성함으로써, 초기 강우수의 유로(a)와 지속 강우수의 유로(b)를 자연스럽게 구분 형성하였는 바, 별다른 동력원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실질적으로 정화가 필요한 초기 강우수만이 필터 카트리지(40)와 같은 정화 구조를 통과하여 정화수 배출구(23)로 배출되고, 실질적으로 정화가 필요하지 않은 지속 강우수는 곧바로 정화수 배출구(23)로 배출되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초기 강우수에 관한 정화 기능은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실질적으로 정화가 불필요한 지속 강우수는 정화와 관계없이 곧바로 정화수 배출구(23)를 향하여 배출되도록 하므로, 결과적으로 강우수 정화장치 전체의 과부하가 방지되어 집중호우가 있는 경우라도 하수역류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초기 강우수 정화부(30)에 장착되는 필터 카트리지(40)는 그 초기 강우수 정화부(30)를 통과하는 초기 강우수에 대한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겠으나, 강우수 정화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 강우수에 관한 필터링은 생략하더라도, 비교적 유량이 적은 초기 정화수에 대하여는 완전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 바, 본체(10)의 내벽과 중앙관(20)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초기 강우수 정화부(30)를 통과하는 초기 강우수가 빠짐없이 필터링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의 필터 카트리지(40)는 심부에 상기 중앙관(20)의 삽입공(4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의 내벽과 상기 중앙관(20)의 외벽에 밀착되어 상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터 카트리지(40)는 초기 강우수 정화부(30)에 장착되어 필터링된 강우수를 초기 정화 강우수 유입구(22)를 통해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 초기 강우수 유입구(22)보다 상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필터 카트리지(40)가 소정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초기 강우수 정화부(30)의 내벽에는 필터 카트리지(40)를 상측으로 지지하기 위한 돌출턱(31)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 카트리지(40)는 소정 시간 정화기능을 수행한 후, 상측의 초기 강우수 유입구(11)를 통해 새로운 필터 카트리지(40)로 교체되는 구성을 취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카트리지(40) 상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초기 강우수 유입구(11) 부근으로 연장형성된 손잡이부(42)를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는 교량 관통공(2)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것이 요구되는 바, 본체(10)의 초기 강우수 유입구(11)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교량 관통공(2)의 상측 개구부의 주변부에 장착되도록, 상기 초기 강우수 유입구(11)의 외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정화장치 장착부(50)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정화장치 장착부(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정화장치가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는 구성인 한, 어떠한 구조를 취하더라도 관계없으나, 초기 강우수 유입구(11) 및 지속 강우수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강우수에 대한 저항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판형 구조로서 소정 간격으로 볼트공(51)이 형성되고, 그 볼트공(51)을 관통하여 교량(1)의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볼트(52)를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불투수 노면의 상면에 축적되는 오염물질은 그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나타내는데, 그 오염물질을 정화하는데 적정한 반응물질을 충진하여 필터 카트리지를 구성함으로써 효과적인 정화가 가능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면의 씻김 현상에 의해 빗물에 포함되는 오염물질 중 침전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필터 카트리지를 통해서만 제거될 수 있는 성분의 예로서는 유기물 성분, 물보다 밀도가 높은 기름 물질, 납, 아연 등과 같은 중금속 물질, 동절기에 제설제로서 사용되는 염화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물 성분, 기름 물질의 경우는 펄라이트, 입상 활성탄, 식물성 리그닌 등을 충진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고, 중금속의 경우는 제올라이트, 양이온 교환 수지, 키토산 등을 충진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제설제로서 주로 사용되는 염화 칼슘 오염물질은 염소 이온과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모두 환경에 유해한 물질이므로 동시에 제거될 수 있어야 하는 바, 양이온/음이온 교환 수지를 충진함으로써 정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초기 강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침전에 의해 정화될 수 있는 종류(모래, 자갈 등)와 필터에 의해서만 정화될 수 있는 종류(유기물 성분,물보다 밀도가 높은 기름 물질, 납, 아연 등과 같은 중금속 물질, 동절기에 제설제로서 사용되는 염화 칼슘 등)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정화장치는 후자에 해당하는 오염물질의 정화에는 적절하지만, 전자에 해당하는 오염물질의 양이 많을 경우 필터 카트리지의 표면이 그 오염물질에 의해 덮이게 되어 지속 강우수에 대한 적절한 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2가지 실시예를 제시한다.
첫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카트리지(40)를 내측 필터(40a)와 외측 필터(40b)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그 사이의 공간에 의해 지그재그 유로구조를 형성하는 실시예를 제시한다.
내측 필터(40a)는 내주면이 상기 중앙관(20)의 외주면을 둘러 밀착되도록, 심부에 상기 중앙관(20)의 삽입공(41a)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본체(10)의 외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도록 장착된다.
외측 필터(40b)는 상기 내측 필터(40a)의 상측 또는 하측에 장착되고, 외주면이 상기 본체(10)의 외벽 내주면을 둘러 밀착되며, 내주면이 상기 중앙관(20)의 외주면과 소정 이격되도록 심부에 중앙관(20)의 관통공(41b)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상기 내측 필터(40a)와 상기 본체(10)의 외벽 내주면 사이의 공간, 상기 외측 필터(40b)와 상기 중앙관(20) 외주면 사이의 공간 및 상기 내측 필터(40a)와 외측 필터(40b) 사이의 공간에 의해 지그재그 유로구조가 형성되므로, 오염물질에 대한 효과적인 필터링을 수행하면서도, 필터 카트리지의 표면이 오염물질에 의해 덮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지그재그 유로구조를 취하는 경우, 강우수의 이동경로 및 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강우수에 함유된 오염물질과 필터 카트리지의 정화 소재 사이의 접촉시면적 및 시간이 증대되므로, 반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함께 상기 교량 관통공(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로서, 내부에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바닥판(61)에 상기 본체(10)의 관통공(62)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초기 강우수 유입구(11)의 외측에 형성된 상측 개구부에 초기 침전물 함유 강우수 유입구(63)가 형성되고, 외벽 내주면과 상기 본체(10)의 외벽 외주면 및 상기 바닥판(61) 사이의 공간에 의해 초기 침전물 함유 강우수의 침전부(64)가 형성된 침전통(60)이 더 구비된 구조를 제시한다.
침전통(60)은 정화장치 본체(10)의 외부를 둘러 설치되는 구조로서, 상측에 초기 침전물 함유 강우수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초기 침전물 함유 강우수의 침전부가 형성된다.
초기 강우수는 상기 초기 침전물 함유 강우수 유입구를 통해 침전통(60)의 침전부를 거쳐 본체(10)의 초기 강우수 유입구(11)로 유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초기 강우수가 함유한 오염물질 중 침전에 의해 정화될 수 있는 종류의 물질이 침전통(60)의 침전부에 침전됨으로써 제거되고, 이러한 오염물질이 제거된 초기 강우수가 초기 강우수 유입구(11)로 유입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필터 카트리지(40)에 의한 정화과정을 거치게 된다.
비교적 유량이 많은 지속 강우수의 경우는 자유 월류에 의해 중앙관(20)의 상측 개구부인 지속 강우수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며, 그 원리는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초기 강우수에 함유된 오염물질 중 침전 가능한 물질은 침전통(60)에 의해, 그렇지 않은 물질은 필터 카트리지(40)에 의해 정화되도록 하는 이중정화방식을 채택하였는 바, 간단한 구성을 취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강우수의 정화가 가능해 지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은 천공이 가능한 교량에 본 발명에 의한 정화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침전통(60)을 통과하여 본체(10)로 유입되는 초기 강우수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한편, 강우수에 부유하여 본체(10)로 유입되는 잔여 오염물질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의 초기 강우수 정화부(30) 상측 공간의 외벽에 관통형성된 그물 구조의 거름부(70)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침전통(60)의 깊이를 깊게 함으로써 집적가능한 침전물의 양을 증대시키면서도, 초기 강우수 유로의 동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우가 지속되는 경우, 침전통(60)의 침전부(64)에 집적된 부유성 오염물질이 강우수에 의해 지속 강우수 유입구(21)로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화장치 덮개(80)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화장치 덮개(80)는 상기와 같은 부유성 오염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면서도, 지속 강우수가 그 상면을 타고 흘러 지속 강우수 유입구(21)로 유입되는 흐름을 보다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아울러 갖는다.
본 발명은 교량의 상면에 고이는 강우수에 관한 오염물질의 제거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집중호우로 인한 강우수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정화장치가 교량 관통공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정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정화장치의 원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필터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5는 필터 카트리지의 원리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침전통이 구비된 실시예의 부분절결사시도
도 7은 종래의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량 2 : 교량 관통공
3 : 집수관 10 : 본체
11 : 초기 강우수 유입구 12 : 중앙관 삽입공
20 : 중앙관 21 : 지속 강우수 유입구
22 : 초기 정화 강우수 유입구 30 : 초기 강우수 정화부
31 : 돌출턱 40 : 필터 카트리지
40a : 내측 필터 40b : 외측 필터
41 : 중앙관 관통공 42 : 손잡이부
50 : 정화장치 장착부 60 : 침전통
70 : 거름부 80 : 정화장치 덮개
a : 초기 강우수의 유로 b : 지속 강우수의 유로

Claims (3)

  1. 교량(1)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형성된 교량 관통공(2)에 장착되어 그 관통공(2)의 하측 배출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집수관(3)을 통해 하수관거로 강우수를 배출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에 초기 강우수 유입구(11)가 형성되고 바닥판에 중앙관 삽입공(1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어 그 본체(10)의 심부 및 중앙관 삽입공(12)에 삽입설치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에 지속 강우수 유입구(21)가 형성되고, 측벽에 초기 정화 강우수 유입구(22)가 관통형성되며, 하측 개구부에 정화수 배출구(23)가 형성된 중앙관(20)과;
    상기 본체(10)의 외벽 내주면과 상기 중앙관(20)의 초기 정화 강우수 유입구(22) 상측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 초기 강우수 정화부(30)와;
    상기 초기 강우수 정화부(3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필터 카트리지(40)를; 포함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40)는 심부에 상기 중앙관(20)의 삽입공(4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의 내벽과 상기 중앙관(20)의 외벽에 밀착되어 상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40)는
    내주면이 상기 중앙관(20)의 외주면을 둘러 밀착되도록, 심부에 상기 중앙관(20)의 삽입공(41a)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본체(10)의 외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도록 장착된 내측 필터(40a)와;
    상기 내측 필터(40a)의 상측 또는 하측에 장착되고, 외주면이 상기 본체(10)의 외벽 내주면을 둘러 밀착되며, 내주면이 상기 중앙관(20)의 외주면과 소정 이격되도록 심부에 중앙관(20)의 관통공(41b)이 형성된 외측 필터(40b)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내측 필터(40a)와 상기 본체(10)의 외벽 내주면 사이의 공간, 상기 외측 필터(40b)와 상기 중앙관(20) 외주면 사이의 공간 및 상기 내측 필터(40a)와 외측 필터(40b) 사이의 공간에 의해 지그재그 유로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2003-0061821A 2003-09-04 2003-09-04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539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821A KR100539146B1 (ko) 2003-09-04 2003-09-04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821A KR100539146B1 (ko) 2003-09-04 2003-09-04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025A KR20050024025A (ko) 2005-03-10
KR100539146B1 true KR100539146B1 (ko) 2005-12-26

Family

ID=3723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821A KR100539146B1 (ko) 2003-09-04 2003-09-04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1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468B1 (ko) * 2006-03-23 2006-06-20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교량용 초기우수 정화장치
KR100721237B1 (ko) * 2006-06-26 2007-05-23 김원주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380B1 (ko) * 2005-05-28 2007-03-09 나상철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590467B1 (ko) 2006-03-23 2006-06-20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미생물을 이용한 도로배수의 초기정화장치
CN103669198A (zh) * 2013-12-04 2014-03-26 中山弘博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高架桥上的雨水回收装置
KR101683816B1 (ko) * 2015-03-27 2016-12-21 주식회사 브리오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07288032A (zh) * 2017-08-10 2017-10-24 温州市华昌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桥梁排水***及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468B1 (ko) * 2006-03-23 2006-06-20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교량용 초기우수 정화장치
KR100721237B1 (ko) * 2006-06-26 2007-05-23 김원주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025A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578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905693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0486105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920689B1 (ko)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1746524B1 (ko) 비점오염물 저감을 위한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KR20100006204U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420222B1 (ko) 강우수 정화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강우수 정화모듈
KR100536654B1 (ko) 도로용 집수구의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0904081B1 (ko)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539146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726157B1 (ko) 매립시설 침출수 정화장치 및 방법
KR100814790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638526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정수장치
KR100690380B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1137443B1 (ko) 관로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0662520B1 (ko) 강우수 정화장치
KR20070095855A (ko) 교량용 강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시설(SH System)
KR200393332Y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799513B1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