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595B1 - phone having moving-memu and method moving memu - Google Patents

phone having moving-memu and method moving memu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595B1
KR100532595B1 KR10-2003-0049314A KR20030049314A KR100532595B1 KR 100532595 B1 KR100532595 B1 KR 100532595B1 KR 20030049314 A KR20030049314 A KR 20030049314A KR 100532595 B1 KR100532595 B1 KR 100532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rotation
depth
mode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3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10269A (en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595B1/en
Publication of KR20050010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2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59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와 같이 하나의 메뉴에 서브 메뉴들이 포함된 구조의 사용자 메뉴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메뉴 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menu moving method including a user menu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sub-menus in one menu such as large category, medium category, and small category.

종래에는 트리 구조하에서 원하는 메뉴나 기능으로 이동하고자 할때는 반드시 대분류까지 이동한 다음 원하는 메뉴나 기능으로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related art, when a user wants to move to a desired menu or function under a tree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move to a large category and then move to a desired menu or func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장 낮은 소분류들의 기능(leaf)들로만 회전메뉴가 구성되거나 깊이(depth)별로 인식하여 각 분류별로 회전메뉴가 구성되게 하여 원하는 메뉴나 기능으로 신속하게 편리하게 이동 가능하게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moved to the desired menu or function by configuring the rotation menu only by the functions of the lowest sub-classes (leaf) or by the depth (repth) to configure the rotation menu for each category Let's do it.

Description

이동메뉴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메뉴 이동 방법{phone having moving-memu and method moving memu}Terminal and menu moving method including a moving menu {phone having moving-memu and method moving memu}

본 발명은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와 같이 하나의 메뉴에 서브 메뉴들이 포함된 구조의 사용자 메뉴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메뉴 이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장 낮은 소분류들의 기능(leaf:리프, 이하 '리프'라고 함)들로만 회전메뉴가 구성되거나 깊이(depth:뎁스, 이하 '뎁스'라고 함)별로 인식하여 각 분류별로 회전메뉴가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개선된 이동메뉴를 포함한 단말기 및 메뉴 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menu moving method including a user menu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sub-menus in one menu, such as a large category, a middle category, and a small category. In particular, the functions of the lowest sub-classes (leaf: leaf, `` leaf '') It is related to a terminal and a method of moving a menu including an improved moving menu comprising only a rotating menu composed of only a rotation menu configured for each category by recognizing by a depth (depth: 'depth').

휴대폰, PDA,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들에는 사용자가 그 단말기가 가진 기능을 활용 가능하게 하는 다양하고 많은 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들이 제공된다. User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and personal computers, are provided with a large number of user interface menus that enable the user to utilize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러한 메뉴들은 하나의 메뉴 아래 여러 서브 메뉴가 존재하는 형태로 표시된다.In general, these menus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several sub-menus under one menu.

도 1은 종래의 단말기 메뉴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단말기 메뉴는 제 1단계 메뉴(대분류)(110), 제 2단계 메뉴(중분류)(120) 및 제 3단계 메뉴(소분류)(130)로 구성된다. 각 단계별 메뉴는 트리구조로 이뤄진다.1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erminal menu, and the terminal menu of FIG. 1 includes a first stage menu (large classification) 110, a second stage menu (medium classification) 120, and a third stage menu (small classification) ( 130). Each step menu has a tree structure.

즉, 한 메뉴 아래 서브메뉴들이 존재하고 그 서브메뉴들 각각이 다시 자신들의 서브메뉴들을 가진 형식으로 된 구조가 트리구조이다.In other words, there is a tree structure in which submenus exist under one menu, and each submenu has its own submenus again.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단말기에서 메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와 같이 단계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바로가기의 구성으로 기능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 In order to move the menu in the conventional terminal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was possible to move step by step or to move between function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hortcut, such as large category → medium category → small category.

즉,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현재 특정한 대분류의 서브 메뉴에 해당하는 소분류(M111)에서 다른 대분류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메뉴(M203)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키 조작에 의하여 대분류까지 이동을 했다가 루트(대분류)를 중심으로 이동하여(M1 →M2) 다시 이동하고자 하는 서브메뉴(M203)로 이동하거나(즉, M111 → M101 → M1 → M2 →M203 과정으로 이동) 현재 소분류 상태에서 종료키를 이용하여 종료를 한 후 바로가기를 선택하여 원하는 서브메뉴로 이동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1, in order to move from the sub-category M111 corresponding to the sub-category of a specific major category to the sub-menu M203 included in another major category, the terminal is moved to the major category by key operation of the terminal. Move to the center of the route (M1 → M2) and move to the submenu (M203) to be moved again (ie, move to M111 → M101 → M1 → M2 → M203) After exiting, select shortcut and move to desired submenu.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트리구조 하에서 메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루트(대분류)를 거쳐 이동하거나 바로가기등을 거쳐야 원하는 기능으로 이동할 수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ove a menu under a tree structure, the menu can be moved to a desired function only by moving through a route or by a shortcut.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특정분류가 많아 질수록 이동을 위해 단축번호 또는 키를 여러번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긴다. 특히, 근래 휴대폰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소분류 기능간의 이동이 빈번하게 되어 그 불편함이 더욱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such a structure, as the specific classification increas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lect a shortcut number or a key several times for movement occurs.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are diversified and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comfort increases more frequently and the discomfort becomes more frequ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일반회전 메뉴 외에도 뎁스(depth)별로 회전메뉴를 구성하거나 가장 소분류의 기능(leaf)들을 회전메뉴로 구성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기능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해 리프 회전메뉴와 뎁스 회전메뉴등 개선된 이동메뉴를 포함하고 있는 단말기 및 메뉴 이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general rotation menu to configure the rotation menu for each depth (depth) or to configure the function (leaf) of the smallest category to the function to move to the rotation menu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and a menu moving method including an improved moving menu such as a leaf rotating menu and a depth rotating menu in order to move conveniently and quickly.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개선된 이동메뉴를 포함하고 있는 단말기에 관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a terminal including an improved mobile menu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s follows.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와 같이 하나의 메뉴에 서브 메뉴들이 포함된 구조의 사용자 메뉴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In a terminal including a user menu having a submenu included in one menu such as a major category, a medium category, and a small category,

가장 낮은 소분류들의 리프(leaf)들로만 회전메뉴가 구성되거나 뎁스(depth)별로 인식하여 각 분류별로 회전메뉴가 구성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Rotation menu is configured only with the leaf of the lowest sub-category,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 menu for each category by recognizing the depth (depth).

한편, 상기 각 회전메뉴가 포함된 단말기에서 메뉴 이동 방법에 관한 본 발명의 구성수단은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menu moving method in the terminal including the respective rotating menu is as follows.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와 같이 하나의 메뉴에 서브 메뉴들이 포함된 구조의 사용자 메뉴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In a terminal including a user menu having a submenu included in one menu such as a major category, a medium category, and a small category,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 부팅이 있으면 일반 회전메뉴, 리프(leaf) 회전메뉴, 뎁스(depth) 회전메뉴를 구성하는 단계와;Configuring a general rotation menu, a leaf rotation menu, and a depth rotation menu when the terminal is booted by the user;

상기 각각의 회전메뉴를 구성한 후 일반 회전메뉴 모드로 동작을 하다가 사용자에 의하여 리프 회전메뉴 모드 또는 뎁스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 요구가 있으면 리프 또는 뎁스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After the respective rotation menus are configured, operating in a general rotation menu mode and switching to a leaf or depth rotation menu mode when a user requests to switch to a leaf rotation menu mode or a depth rotation menu mode;

상기 리프 회전메뉴 또는 뎁스 회전메뉴 모드에서 동작을 하다가 사용자에 의하여 일반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 요구가 있으면 일반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operating in the leaf rotation menu or the depth rotation menu mode and switching to the normal rotation menu mode when the user requests to switch to the normal rotation menu mode.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동작과 가장 적절한 실시예를 상술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operation and the most suitabl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단말기에는 리프 회전메뉴 및 뎁스 회전메뉴 모드를 포함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리프 회전메뉴는 가장 낮은 소분류에 해당하는 기능(leaf)들로 연결되어 회전메뉴를 구성하게 되고, 뎁스 회전메뉴는 각각의 동일 뎁스에 해당하는 메뉴들끼리 연결되어 회전메뉴를 구성하고 있다.The terminal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f rotation menu and a depth rotation menu mode. Referring to FIG. 2, the leaf rotation menu is connected to th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lowest subclass to form a rotation menu. The depth rotation menu is connected to menus corresponding to the same depths to form a rotation menu.

현재 뎁스(depth)3에 해당하는 '노래방 보관함' 에서 같은 뎁스(depth)3에 해당하는 '일반모드'로 이동하려고 한다고 가정하자.Suppose you want to move from the 'karaoke lock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depth 3 to the 'normal mode' corresponding to the same depth 3.

종래에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노래방 보관함' →'노래방' →'재미난 기능' →'일정관리' →'편리한 기능' →'모드전환 기능' →'일반모드' 의 진행을 거쳐 이동해야 했다. Conventionally, the function keys had to be moved through the process of 'karaoke locker' → 'karaoke room' → 'funny function' → 'schedule management' → 'convenient function' → 'mode switching function' → 'normal mode'.

그러나,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하여 뎁스(depth)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해서 신속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quickly and quickly by switching to the depth rotation menu mode by the user.

즉, 현재 '노래방 보관함'에서 사용자가 뎁스 회전메뉴로 전환하기 위하여 기능키(#키,*키 등)를 눌르면 일반 회전메뉴 모드(다른 기능으로 이동시 반드시 최상위 메뉴로 이동하여 원하는 기능으로 이동하는 모드)에서 뎁스 회전메뉴로 전환되어 단말기 표시부(LCD)에 '노래방 보관함', '일반모드', '비지니스 모드', '슬립모드'가 디스플레이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presses a function key (# key, * key, etc.) to switch to the depth rotation menu in the current 'karaoke locker', it is a mode to move to the desired function by moving to the top menu when moving to another function. ), The depth rotation menu is switched to display 'karaoke box', 'normal mode', 'business mode', and 'sleep mode'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LCD).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업/다운 키를 이용하여 '일반모드'로 곧바로 이동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가정하에서는 단 한번의 다운키로 일반 모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the displayed state, the user can directly move to the 'normal mode' using the up / down keys. Under the above assumption,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normal mode with a single down key.

한편, 뎁스(depth) 2에 해당하는 '노래방' 메뉴에서 '메모'메뉴로 이동하고자 할때도 뎁스 회전메뉴로 전환한 다음 업/다운 키를 이용하여 곧바로 이동하고자 하는 '메모' 메뉴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you want to move to the 'note' menu from the 'karaoke' menu corresponding to the depth (depth) 2, you can switch to the depth rotation menu, and then use the up / down keys to move to the 'note' menu will be.

만약, 현재 뎁스(depth)2에 해당하는 '노래방'에서 뎁스(depth)3에 해당하는 '일반 메뉴'로 이동하고자 할때는 뎁스 회전메뉴로 전환하여 '모드전환기능' 메뉴로 이동한 다음 이를 선택한 후 '일반모드'로 이동할 수가 있을 것이다. If you want to move from the 'karaoke room'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depth 2 to the 'normal menu' corresponding to the depth 3, switch to the depth rotation menu, go to the 'mode switching function' menu, and then select it. You will be able to go to 'Normal Mode'.

상기와 같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메뉴나 기능에서 원하는 메뉴나 기능으로 이동하고자 할때 같은 뎁스에 해당한다면 뎁스 회전메뉴로 전환하여 곧바로 이동할 수가 있고, 이동하고자 하는 메뉴나 기능이 현재 메뉴나 기능과 다른 뎁스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뎁스 회전메뉴를 이용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메뉴나 기능을 포함하는 메뉴나 기능 또는 이동하고자 하는 메뉴나 기능에 포함되는 메뉴나 기능으로 이동한 다음 이를 선택한 후 특정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If you want to move to the desired menu or function from the currently located menu or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f you correspond to the same depth, you can switch to the depth rotation menu and move immediately, and the menu or function to be moved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 menu or function. Even if applicable, move to the menu or function including the menu or function to be moved using the depth rotation menu or to the menu or function included in the menu or function to be moved, select it, and then use the specific function key to You can move to the function.

리프(leaf) 회전메뉴는 가장 소분류에 해당하는 기능끼리 연결하여 회전메뉴를 구성한 것이므로 '노래방 보관함'에서 '일반모드'로 이동하고자 할때 리프 회전메뉴로 전환하여 쉽고 빠르게 '일반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Leaf rotation menu is composed of the rotation menu by connecting th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smallest category, so when you want to move from 'karaoke locker' to 'normal mode', you can switch to leaf rotation menu easily and quickly to 'normal mode' have.

한편, 뎁스(depth)3에 해당하는 '노래방 보관함'에서 뎁스(depth)2에 해당하는 '모드 전환기능'으로 이동하고자 할때 일단 리프 회전메뉴로 전환하여 '일반모드'로 이동을 한 다음에 '일반모드'의 상위 메뉴인 '모드 전환기능'으로 이동할 수가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you want to go to the 'mode chang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epth (depth) 2 from the 'karaoke library' corresponding to the depth (depth 3), first switch to the leaf rotation menu to move to the 'normal mode' You will be able to move to the mode switch function, the upper menu of the normal mode.

즉, 최상위 메뉴로 이동한 다음 원하는 메뉴나 기능으로 이동할 필요 없이 원하는 메뉴나 기능으로 곧바로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move directly to the desired menu or function without having to go to the top menu and then the desired menu or function.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메뉴 이동 방법에 대한 가장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most specific a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nu moving metho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 부팅이 있으면(S10) 일반 회전메뉴, 리프(leaf) 회전메뉴, 뎁스(depth) 회전메뉴를 구성하게 된다(S20). 즉, 종래처럼 트리 구조에 맞추어서 각 메뉴나 기능들이 링크되는 것 뿐만 아니라 동일한 분류에 해당하는 메뉴나 기능(동일한 뎁스에 해당하는 메뉴나 기능)들이 연결되거나 가장 하위메뉴에 해당하는 기능들끼리 링크되어 뎁스(depth) 회전메뉴, 리프(leaf) 회전메뉴를 구성하게 된다. First, if the terminal is booted by the user (S10), a general rotation menu, a leaf (leaf) rotation menu, and a depth rotation menu are configured (S20). That is, not only menus or functions are linked to the tree structure as in the related art but also menus or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same category (menus or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same depth) are linked or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sub-menus are linked. This will configure the depth rotation menu and the leaf rotation menu.

상기와 같이 각각의 회전메뉴를 구성한 후 사용자에 의하여 메뉴이동을 하다가(이때 초기 동작 모드는 일반 회전메뉴 모드로 동작함)(S30) 원하는 메뉴나 기능으로 신속하고 빠른 이동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리프 회전메뉴 모드 또는 뎁스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한다(S40, S50). After configuring each rotating menu as described above, the menu is moved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initial operation mode operates in the normal rotating menu mode). Switch to rotation menu mode or depth rotation menu mode (S40, S50).

이때, 리프 회전메뉴 모드나 뎁스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의 기능키를 선택함에 의하여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switch to the leaf rotation menu mode or the depth rotation menu mode, it may be possible by selecting an arbitrary function key by the user.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리프/뎁스 회전메뉴로 전환되면 리프 회전메뉴 또는 뎁스 회전메뉴 모드에서 계속 동작을 하면서(S50) 원하는 메뉴나 기능으로 이동을 할 수가 있고(S60, S70), 사용자에 의하여 일반 회전메뉴 모드로 다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키 선택에 의하여 일반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S60 →S70).When the user switches to the leaf / depth rotation menu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move to a desired menu or function while continuing to operate in the leaf rotation menu or the depth rotation menu mode (S50), and by the user (S60, S70). When the user wants to switch to the rotation menu mode again, the user switches to the normal rotation menu mode by selecting a key (S60 → S70).

한편, 리프 회전메뉴 모드나 뎁스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는 항상 현재의 뎁스별, 리프별 인덱스(index) 값을 계산한다. 일반 회전메뉴 모드에서 리프/뎁스 회전메뉴 전환 요구가 있는 경우 현재 메뉴나 기능과 링크되어 있는 해당 뎁스(분류)나 리프(기능)들을 연결시켜 디스플레이를 시켜주기 위해서이다.On the other hand, before switching to the leaf rotation menu mode or the depth rotation menu mode, the current index value for each depth and leaf is calculated. When the leaf / depth rotation menu switching request is requested in the normal rotation menu mode, the corresponding depth (classification) or leaf (function) linked with the current menu or function is connected to display.

상기와 같은 인덱스(index) 값의 계산은 리프/뎁스 회전메뉴 모드에서 동작할 때도 항상 계산함은 당연하다. 왜냐하면 다시 일반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하는 트리에서 메뉴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Naturally, the above-mentioned index value is always calculated even when operating in the leaf / depth rotation menu mode. This is because the menu can be moved in the tree if it is required to switch back to the normal rotation menu mode.

이상과 같이 효과적으로 메뉴이동을 하기 위해 일반 회전메뉴 모드, 리프 회전메뉴 모드, 뎁스 회전메뉴 모드 상호간에 전환과정을 거치면서 가장 손쉽고 신속한 메뉴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order to effectively move the menu as described above, the normal rotation menu mode, leaf rotation menu mode, the depth rotation menu mode through the switching process between the most easy and quick menu movement is possibl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한 실시예가 가능한 본 발명은 트리구조하에서 일반 회전메뉴 모드 뿐만 아니라 뎁스별 또는 기능별로 연결하여 회전메뉴를 구성한 개선된 이동메뉴를 포함한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현재의 특정 메뉴나 기능에서 원하는 메뉴나 기능으로 이동하고 할때 항상 상위메뉴로 이동해야할 필요없이 원하는 메뉴나 기능으로 곧바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메뉴이동에 있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enabl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including an improved moving menu in which a rotating menu is configured by connecting each depth or function as well as a general rotating menu mode under a tree structure. When I move from a function or a desired menu or function, it is possible to move quickly to a desired menu or function without having to move to the upper menu all the tim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ve quickly and conveniently in the menu movement.

특히, 이동하고자 하는 특정 기능이 동일한 뎁스로 바로 옆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나 뎁스가 다르더라도 이동하고자 하는 특정메뉴나 기능이 현재의 메뉴나 기능과 바로 연결되어 있고 동일한 뎁스에 해당하는 메뉴나 기능의 하위메뉴이거나 상위메뉴일때 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In particular, even when a specific function to be move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ame depth or the depth is different, the specific menu or function to be move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urrent menu or function, and the menu or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ame depth is It has a more favorable effect when it is a sub menu or an upper menu.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에 포함되는 메뉴이동을 위한 트리구조.1 is a tree structure for moving the menu included in the conventional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뎁스/리프 회전메뉴가 포함된 트리구조.2 is a tree structure including a depth / leaf rotation menu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메뉴 이동방법에 관한 절차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moving metho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와 같이 하나의 메뉴에 서브 메뉴들이 포함된 구조의 사용자 메뉴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In a terminal including a user menu having a submenu included in one menu such as a major category, a medium category, and a small category, 가장 낮은 소분류(leaf)들의 기능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메뉴와, 뎁스별로 인식하여 동일 뎁스의 메뉴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메뉴로 구성된 이동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nd a movement menu comprising a rotation menu configured to move by the functions of the lowest sub-classes and a rotation menu configured to move by menu of the same depth by recognizing the depth.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와 같이 하나의 메뉴에 서브 메뉴들이 포함된 구조의 사용자 메뉴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In a terminal including a user menu having a submenu included in one menu such as a major category, a medium category, and a small category,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 부팅이 있으면 일반회전메뉴, 가장 낮은 소분류(leaf)들의 기능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리프 회전메뉴, 동일 뎁스(depth)의 메뉴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뎁스 회전메뉴를 구성하는 단계와;When the terminal is booted by the user, configuring a general rotation menu, a leaf rotation menu configured to be moved according to the functions of the lowest leafs, and a depth rotation menu configured to be moved by menus of the same depth; 상기 각각의 회전메뉴를 구성한 후 일반 회전메뉴 모드로 동작을 하다가 사용자에 의하여 리프 회전메뉴 모드 또는 뎁스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 요구가 있으면 리프 또는 뎁스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After the respective rotation menus are configured, operating in a general rotation menu mode and switching to a leaf or depth rotation menu mode when a user requests to switch to a leaf rotation menu mode or a depth rotation menu mode; 상기 리프 회전메뉴 또는 뎁스 회전메뉴 모드에서 동작을 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메뉴로 이동하는 메뉴이동 단계와;A menu moving step of moving to a menu to be moved by operating in the leaf rotation menu or depth rotation menu mode; 사용자에 의하여 일반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 요구가 있으면 일반 회전메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이동방법.Switching to the normal rotation menu mode if the user requests to switch to the normal rotation menu mod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일반 회전메뉴 모드, 리프 회전메뉴 모드, 덱스 회전메뉴 모드에서 각각 동작하는 경우 항상 해당하는 뎁스(depth)와 리프(leaf)의 인덱스(index) 값을 계산하는 과정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이동방법.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alculating a corresponding depth and an index value of a leaf when operating in the general rotation menu mode, leaf rotation menu mode, and dex rotation menu mode, respectively. How to navigate the menu.
KR10-2003-0049314A 2003-07-18 2003-07-18 phone having moving-memu and method moving memu KR1005325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314A KR100532595B1 (en) 2003-07-18 2003-07-18 phone having moving-memu and method moving memu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314A KR100532595B1 (en) 2003-07-18 2003-07-18 phone having moving-memu and method moving mem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269A KR20050010269A (en) 2005-01-27
KR100532595B1 true KR100532595B1 (en) 2005-12-01

Family

ID=3722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314A KR100532595B1 (en) 2003-07-18 2003-07-18 phone having moving-memu and method moving memu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5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580B1 (en) * 2004-09-2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menu navigation between different level
FR2890516A1 (en) 2005-09-08 2007-03-09 Thomson Licensing Sas METHOD FOR SELECTING A BUTTON IN A GRAPHIC BAR, AND RECEIVE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739800B1 (en) * 2006-03-07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A menu navigation device of a mobile electron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269A (en)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2622B1 (en) Transparent layer application
US7984381B2 (en) User interface
RU2642505C2 (en) Mobile device with user interface
US8127254B2 (en) Unlocking a touch screen device
US8185149B2 (en) User programmable switch
KR101078141B1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composite menu information
TWI279720B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JPH08237338A (en) Roller bar menu access equipment for cellular telephone set and its method
JP2001320466A (en) Menu retrieva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978347A (en) Structured display system with system defined transitions
KR20080079191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in sliding-type mobile phone
JP2004178363A (en) Terminal device
JP2006505025A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xpandable menus
EP4224299A1 (en) Menu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09146860A1 (en) User interface, device,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method for switching operating modes upon pressing a volume key
RU2366113C2 (en) Configuration of functional kets
CN104636233A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power consumption state of mobile terminal
KR100532595B1 (en) phone having moving-memu and method moving memu
KR20010064793A (en) Method for operating menu in mobile station
TWI410858B (en) Device and method of shortcut key for the status bar on a android mobile apparatus
KR101196742B1 (en) Method for hierarchical user interface using multi demensional graphic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110034A (en) A shorten key control method of the PDA by a comsumer definition
KR101215312B1 (en) Method for sett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KR20020061958A (en) Method for displaying a multi vision using one more personal data assistant
US20040088535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lecting computer system settings for various operating circumst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