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046B1 - Air curtain equipment for subway and the method for forming air curtain - Google Patents

Air curtain equipment for subway and the method for forming air curt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046B1
KR100529046B1 KR10-2003-0070419A KR20030070419A KR100529046B1 KR 100529046 B1 KR100529046 B1 KR 100529046B1 KR 20030070419 A KR20030070419 A KR 20030070419A KR 100529046 B1 KR100529046 B1 KR 100529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urtain
curtain
exhaust port
sub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4497A (en
Inventor
김신도
이희관
Original Assignee
김종민
오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민, 오상국 filed Critical 김종민
Priority to KR10-2003-007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046B1/en
Publication of KR2005003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4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046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10Ai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30Velocity
    • F24F2110/32Velocity of the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승강장과 본선구간간의 공기흐름을 차단시키는 지하철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커튼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way air curtain device for blocking the air flow between the subway platform and the main line section and an air curtain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에서는, 지하철 승강장측 본선구간부 양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배기구 및 흡기구, 상기 배기구에 연결된 제 1 공기배출수단 및 상기 흡기구에 연결된 제 1 공기흡수수단으로 이루어진 제 1 에어커튼; 상기 제 1 에어커튼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흡기구 측 벽에 설치되는 배기구 및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배기구측 벽에 설치되는 흡기구, 상기 배기구에 연결된 제 2 공기배출수단 및 상기 흡기구에 연결된 제 2 공기흡수수단으로 이루어진 제 2 에어커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개시신호에 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공기배출수단과 제 1 및 제 2 공기흡수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1 에어커튼과 상기 제 2 에어커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지하철 에어커튼장치가 개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air curtain comprising an exhaust port and an inle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bway platform side main line section and facing each other, a first air exhaust mean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and a first air absorbing means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An exhaust port provided on the inlet port side wall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air curtain, and an inlet port provided on the exhaust port side wall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second air discharge mean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A second air curtain composed of second air absorbing means connected to the inle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the second air curtain by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air discharge means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absorbing means in response to a start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 air curtain device is disclosed.

Description

지하철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커튼 형성방법{Air curtain equipment for subway and the method for forming air curtain}Subway curtain system and air curtain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Air curtain equipment for subway and the method for forming air curtain}

본 발명은 지하철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커튼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역사 승강장과 본선구간간 공기의 유통을 차단하여 오염된 공기의 승강장내 유입을 막고, 승강장내의 냉난방 효율을 높일 뿐 아니라 비상시 본선구간을 대피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하철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커튼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way air curtain device and a method for forming an air curtain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the inflow of polluted air into the platform by blocking the flow of air between the historic platform and the main line section, and to increase the cooling and heating efficiency of the platform.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way air curtain device and an air curtain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so that the main line section can be used as an evacuation route in an emergency.

지하철은 출퇴근용 기타 여행용으로 이용되는 대중교통수단으로서, 이용자에게 사용상 편의를 제공하여야 할 뿐 아니라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관계로 지하철 역사 기타 부대시설이 깨끗하고 쾌적하게 유지, 관리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지하철은 지하에 건설됨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 등 비상시의 경우 환기 등의 문제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The subway is a public transportation used for commuting and other travel, and should not only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but also maintain and manage subway history and other facilities cleanly and comfortably because it is used by many people. In addition, as the subway is built underground,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problems such as ventil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이러한, 지하철내에서의 대기환경에 관한 제반 문제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어진 기술은 지하철 역사내의 공기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환기시설이 대부분이다. 상기 환기시설은 승강장의 공기를 지상으로 배출시키거나, 지상의 공기를 지하역사로 송출시키고, 또한 지하역사의 공기를 희석, 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In such a general problem regarding the atmospheric environment in the subway, the conventionally used technology is most of the ventilation facilities installed for the air ventilation in the subway station. The ventilation facility discharges the air of the platform to the ground, or sends the ground air to the underground station, and also serves to dilute and purify the air of the underground sta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환기시설은, 승강장 내부의 공기만을 환기 내지 정화시키는 기능을 할 뿐, 복수의 지하철 역사 사이에 존재하는 터널(이하 "본선구간"이라 한다)을 통해 들어오는 공기에 대해서는 무방비 상태에 있다. 특히, 열차가 본선구간을 통해 역사로 들어오거나, 역사로부터 출발하는 경우 발생하는 바람(이하 "열차풍"이라 한다)에 의해 본선구간 내에 존재하는 오염된 가스, 분진 등이 역사내 승강장으로 불어오게 되는 경우에는 승강장 내부 공기의 환기, 정화만으로는 바람직한 실내 공기 환경을 이룰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승강장의 냉난방설비의 가동시 상기 열차풍 등에 의해 승강장과 본선구간간의 공기유통이 이루어지게 되어 냉난방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승강장내의 화재발생 등에 의해 발생하는 매연이 본선구간으로 확산되는 경우에는 상기 환기시설만으로는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비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ventilation facility only functions to ventilate or purify only the air inside the platform, and is unprotected against air that enters through a tun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ain line section”) existing between a plurality of subway stations. have. In particular, when the train enters the history through the main line section, or when the train departs from the histo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in wind"), the polluted gas and dust present in the main section will blow into the platform in the history.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achieve a desirable indoor air environment only by ventilation and purification of air inside the landing.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irflow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main line is made by the train wind and the like when the cooling and heating facility of the platform is operated. In addition, when the smoke generated by the occurrence of fire in the landing area is spread to the main line s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efficiently prepared for the ventilation facility alon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 본선구간에 존재하는 오염된 공기가 열차풍에 의해 역사내 승강장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이러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 내지는 정화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승강장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토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역사내 승강장의 냉난방 효율을 높이고, 지하철 화재발생 등에 의해 발생하는 매연이 본선구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켜 이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ontaminated air existing in the subway main line section from entering the platform in the history by the train wind, and to maintain the pleasant environment of the platform by circulating the polluted air to the outside or purifying it. It is. In addition, to improve the heating and cooling efficiency of the station in the station, and to prevent the soot generated by subway fires to flow into the main line section to effectively respond to th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하철 승강장측 본선구간부 양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배기구 및 흡기구, 상기 배기구에 연결된 제 1 공기배출수단 및 상기 흡기구에 연결된 제 1 공기흡수수단으로 이루어진 제 1에어커튼;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xhaust port and an inle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platform section side of the subway platform side,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and the first air absorbing means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First air curtain;

상기 제 1 에어커튼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흡기구측 벽에 설치되는 배기구 및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배기구측 벽에 설치되는 흡기구, 상기 배기구에 연결된 제 2 공기배출수단 및 상기 흡기구에 연결된 제 2 공기흡수수단으로 이루어진 제 2 에어커튼;An exhaust port provided on the inlet port side wall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a predetermined spaced distance from the first air curtain, an inlet port provided on the exhaust port side wall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second air discharge mean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A second air curtain composed of second air absorbing means connected to the inlet;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개시신호에 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공기배출수단과 제 1 및 제 2 공기흡수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1 에어커튼과 상기 제 2 에어커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지하철 에어커튼장치를 제공한다.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the second air curtain by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air discharge means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absorbing means in response to a start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Provide air curtain device.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 풍속감지센서가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속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에어커튼과 제 2 에어커튼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wind speed sensor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the second air curtain according to a signal sensed by the wind speed sensor.

그리고,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제 1 공기흡수수단과 제 2 에어커튼의 제 2 공기흡수수단은, 각각 상기 제 1 , 제 2 공기흡수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하는 제 1 , 제 2 정화기가 결합되며, 상기 제 1 , 제 2 정화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air absorbing means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the second air absorbing means of the second air curtain respectively include first and second purify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air absorbing means. Purifier is coupled, the first and second purifier is preferab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또는, 상기 제 2 에어커튼의 제 2 공기흡수수단에는, 상기 제 2 공기흡수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하는 제 2 정화기가 결합되고, 상기 제 2 정화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제 1 공기흡수수단은, 상기 제 2 에어커튼의 제 2 공기배출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에어커튼의 제2정화기는 상기 제1 에어커튼의 제 1 공기배출수단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the second air absorbing means of the second air curtain, a second purifier for injecting and purify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ir absorbing means is coupled, the second purifie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he first air absorbing means of the first air curtain is connected with the second air exhausting means of the second air curtain, and the second purifier of the second air curtain is connected with the first air exhausting means of the first air curtain. It is desirable to be.

또는,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제 1 공기배출수단(11)에는, 상기 제 1 공기배출수단(11)으로 공기를 정화시켜 유입시키는 제 1 정화기(18)가 결합하고,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제 1 공기흡수수단(17)은, 상기 제 2 에어커튼(20)의 제 2 공기배출수단(21)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에어커튼(20)의 제 2 공기흡수수단(27)에는, 상기 제 2 공기흡수수단(27)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시켜 환기시키는 환기장치(29)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a first purifier 18 coupled to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11 of the first air curtain 10 to purify and introduce air into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11 is coupled to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11. The first air absorption means 17 of the air curtain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discharge means 21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and the second air absorption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is performed. Preferably, the means 27 is coupled to a ventilator 29 for introducing and venting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ir absorbing means 27.

그리고, 상기 제 1 공기배출수단과 상기 제 2 공기배출수단은, 각각 송풍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air exhausting means and the second air exhausting means each comprise a blower.

또는, 상기 제 1 공기배출수단과 상기 제 2 공기배출수단은, 각각 압축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means each comprise a compressor.

그리고,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배기구와 흡기구의 중간부에 해당하는 본선구간 중심부에 설치되는 제 1 송풍장치; 및 상기 제 2 에어커튼의 배기구와 흡기구의 중간부에 해당하는 본선구간 중심부에 설치되는 제 2 송풍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blower installed at a center of a main line section corresponding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an exhaust port and an inlet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a second blower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ain lin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of the second air curtain.

또한, 본선구간 내부에 설치되며, 흡기장치, 배기장치 그리고 여과장치를 포함하는 강제 급,배기시설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orced supply and exhaust facility installed in the main line section, including an intake device, an exhaust device, and a filtration devic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하철 승강장측 본선구간 양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배기구 및 흡기구를 구비한 제 1 에어커튼; 상기 제 1 에어커튼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흡기구측 벽에 설치되는 배기구 및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배기구측 벽에 설치되는 흡기구를 구비한 제 2 에어커튼; 상기 제 1 에어커튼과 상기 제 2 에어커튼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지하철 에어커튼장치를 이용한 에어커튼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제 2 에어커튼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지하철 터널 내부에 소용돌이 바람을 형성함으로써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지하철 에어커튼을 이용한 에어커튼 형성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curtain having an exhaust port and an inle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bway platform side main line section facing each other; A second air curtain provided with an exhaust port provided on the inlet port side wall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curtai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air curtain forming method using a subway air curtain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air curtain and the second air curta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the exhaust port of the second air curtain It provides an air curtain forming method using the subway air curtain to form an air curtain by forming a vortex wind inside the subway tunnel by the air discharged through.

여기서, 본선구간 내부의 풍속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풍속에 따라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배기구 및 상기 제 2 에어커튼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tep of sensing the wind speed inside the main line section;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the exhaust port of the second air curtain according to the wind spe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에어커튼장치의 일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승강장 끝단부의 바깥쪽 본선구간부의 양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공기출입을 위한 배기구(12) 및 흡기구(16)를 구비한 제 1 에어커튼(10),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각각의 배기구(12)측 및 흡기구(16)측 터널벽에 상기 배기구(12) 및 흡기구(16)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흡기구(26) 및 배기구(22)를 구비한 제 2 에어커튼(20), 상기 제 1 , 제 2 에어커튼(10,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 상기 제어부(30)에 연결된 풍속감지센서(40)로 이루어져 있다.One embodiment of the subway air curtai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nd 2, the exhaust port 12 for the air inlet is installed so as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 walls of the outer main line section of the end of the subway platform And the exhaust port 12 and the intake port 16 on the first air curtain 10 having the intake port 16, the exhaust wall 12 side and the inlet port 16 tunnel wall of the first air curtain 10, respectivel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curtains 10 and 20 having an inlet port 26 and an exhaust port 22 which are install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30), the wind speed sensor 4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

제 1 에어커튼(1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배출수단(11), 상기 제 1 공기배출수단(11)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본선구간 중심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12), 상기 배기구(1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포함하여 본선구간 내부의 공기를 흡수하는 흡기구(16), 상기 흡기구(16)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수시키는 제 1 공기흡수수단(17), 상기 제 1 공기흡수수단(17)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 1 정화기(18)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12)는 지하철 입구 또는 출구측 외부의 본선구간부 일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구(16)는 상기 배기구(12)의 반대편인 타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구(12)와 흡기구(16)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air curtain 10 includes an exhaust port 12 for discharging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11 and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11 to the center of the main line section. Intake port 16 for absorbing air in the main line section, including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12, first air absorbing means 17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16 to absorb the air, the first It consists of a first purifier 18 for purify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absorbing means (17). Here, the exhaust port 12 is installed on one side wall of the main line section outside the subway inlet or outlet side, the inlet 16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wall opposite the exhaust port 12, and the exhaust port 12 and The inlet port 16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제 2 에어커튼(2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공기배출수단(21)과 배기구(22), 흡기구(26)와 제 2 공기흡수수단(27) 그리고 정화기(28)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 1 에어커튼(10)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상기 제 2 에어커튼(20)이 터널부 측벽에 설치되는 방향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에어커튼(10)과 반대방향으로 하여,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배기구(12)가 설치된 터널부 일측벽에 제 2 에어커튼(20)의 흡기구(26)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흡기구(16)가 설치된 터널부 타측벽에 제 2 에어커튼(20)의 배기구(22)가 설치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the second air curtain 20 includes a second air discharge unit 21 and an exhaust port 22, an intake port 26, a second air absorption unit 27, and a purifier 28. And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air curtain 10. Howev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air curtain 20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tunnel, the tunnel in which the exhaust port 12 of the first air curtain 10 is provided is opposite to the first air curtain 10. The inlet port 26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is provided on one side wall, and the exhaust port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tunnel part where the inlet port 16 of the first air curtain 10 is installed. 22) to be installed.

제어부(30)는, 개시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 제 2 에어커튼(10,20)의 각 공기배출수단(11,21), 공기흡수수단(17,27) 그리고 정화기(18,28)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고, 풍속감지센서(40)는 본선구간 내부의 공기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신호를 보내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풍속감지센서(40)로부터 입력된 풍속에 관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커튼(10,20)의 작동을 단계별로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비상시의 경우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단계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air discharge means 11, 21, the air absorbing means 17, 27, and the purifiers 18, 28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urtains 10, 20 according to the start signal.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 wind speed sensor 40 detects the air speed inside the main line section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 Here,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urtains 10 and 20 step by step based on a signal relating to the wind speed input from the wind speed sensor 40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step by manual operation in case of emergenc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에어커튼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먼저, 제어부(3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제 1 에어커튼(10) 및 제 2 에어커튼(20)이 작동하게 되고, 이러한 작동은 항시 유지되도록 하여 승강장과 본선구간간의 공기유통을 계속적으로 차단시키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ubway air curtai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That is, firs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30, the first air curtain 10 and the second air curtain 20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30, such operation is maintained at all times to maintain the platform and the main ship It will continue to block the air flow between the sections.

그리고, 풍속감지센서(40)가 본선구간 내부의 풍속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30)로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30)는 상기 신호를 바탕으로 적정한 제어신호를 제 1 , 제 2 에어커튼(10,20)에 보내어 그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감지된 풍속에 따라 본선구간 내부의 공기가 지하철 승강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데 적당한 세기의 바람을 일으키도록 상기 제 1 , 제 2 에어커튼(10,20)을 단계적으로 작동시킨다. 제어부(30)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은 제 1 , 제 2 에어커튼(10,20)에서는 제 1 , 제 2 공기배출수단(11,21)이 작동되어 각 배기구(12,21)를 통해 일정 세기를 갖는 바람을 본선구간 내부로 방출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 1 , 제 2 공기흡수수단(17,27)이 작동되어 터널내부로부터 각 흡기구(16,26)로 일정 흡입력을 갖는 공기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n, when the wind speed sensor 40 detects the wind speed inside the main line section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30, the controller 30 sends a proper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air curtains 10. 20 to control its opera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30 gradually steps the first and second air curtains 10 and 20 to generate a wind of moderate intensity to block the air inside the main line section from entering the subway platform according to the sensed wind speed. It works. In the first and second air curtains 10 and 2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30, the first and second air discharge means 11 and 21 are operated to obtain a predetermined intensity through each of the exhaust ports 12 and 21. The winds they carry are discharged into the main line section.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air absorption means 17 and 27 are operated to allow air absorption having a predetermined suction force from the inside of the tunnel to each intake port 16 and 26.

여기서, 상기 제 1 , 제 2 공기배출수단(11,21)은, 본선구간의 폭이 좁거나 열차풍의 세기가 약한 경우에는 저용량 fan으로 작동되는 송풍기로 족하나, 본선구간의 폭이 넓거나 열차풍의 세기가 강한 경우에는 에어컴프레서를 구비하는 압축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 제 2 공기배출수단(11,21)에 구비되는 상기 송풍기 또는 에어펌프는 열차풍이 미치는 풍속 및 풍압에 대응할 수 있도록 fan 또는 펌프기어 등의 회전수를 인버터 제어 등의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air discharge means (11, 21), if the width of the main line section is narrow or the strength of the train wind is low, the fan blower is operated as a low capacity fan, but the width of the main line section is wide or the train wind If the strength is high, a compressor having an air compressor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blower or the air pump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air discharge means (11, 21)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fan or pump gear, such as the inverter or the like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nd speed and wind pressure of the train wind Take control.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에어커튼장치가 설치되어질 지하철역사 승강장 입출구 부근의 본선구간부에서 측정한 풍속의 일례는 다음 그래프와 같이 나타난다.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역사의 승강장에서 열차가 출발한 때로부터 측정한 시간을, 세로축은 풍속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an example of the wind speed measured at the main line s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subway station platform entrance to which the subway air curtai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stalled is shown as the following graph. In the graph,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time measured from the departure of the train at the station of history,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wind speed.

상기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차풍에 의한 최대풍속은 약 11m/s 정도로 나타나며, 이 정도의 풍속을 차단 제어하기 위한 지하철 에어커튼장치의 최대 발생 풍속은 20m/s 이상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 제 2 공기배출수단(11,21)으로서 압축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어부(30)에 의한 제 1 , 제 2 에어커튼(10,20)의 발생풍속 제어는 0m/s에서 20m/s이상을 한계로하여 다수의 단계로 나누어 이루어지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graph, the maximum wind speed due to the train wind is about 11 m / s, the maximum generated wind speed of the subway air curtain device for blocking the wind speed of this degree is preferably 20 m / s or more.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se a compressor as the first and second air discharging means 11 and 21, and control the generated wind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urtains 10 and 20 by the controller 30. It is desirable to be divided into a number of steps with a limit of more than 20m / s at 0m / s.

제 1 및 제 2 에어커튼(10,20)의 작동에 의한 승강장 부근 본선구간내 공기의 흐름은,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다. 먼저, 열차가 본 지하철 에어커튼장치와 이격된 거리에서 움직임에 따라 열차풍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에어커튼(10)과 제 2 에어커튼(20)에 의해 형성된 이중의 차단막에 의해 상기 차단막 사이 공간에 소용돌이 바람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소용돌이 바람에 의해, 본선구간 내부로부터 승강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열차가 본 지하철 에어커튼장치를 통과하는 과정인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의 양측면부 공간에서 각각 소용돌이 바람이 발생하게 된다. 즉, 제 1 에어커튼(10)의 배기구(12)로부터 제 2 에어커튼(20)의 흡기구(26)로 이어지는 소용돌이 바람과, 제 2 에어커튼(20)의 배기구(22)로부터 제 1 에어커튼(10)의 흡기구(16)로 이어지는 소용돌이 바람이 발생하여 공기유입을 상당부분 차단할 수 있다.The flow of air in the main line section near the platform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urtains 10 and 20 is as shown in Figs. 3A and 3B. First, in the case where the train generates a win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at a distance away from the subway air curtain device, the double air formed by the first air curtain 10 and the second air curtain 20, as shown in Figure 3a Swirl wind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barrier films by the barrier film. Therefore, by the vortex wind, it is possible to block the air flowing into the platform from the inside of the main line section. In the case of the train passing through the subway air curtain device, as shown in FIG. 3B, vortex winds are generated in spaces on both sides of the train, respectively. That is, the vortex wind leading from the exhaust port 12 of the first air curtain 10 to the intake port 26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and the first air curtain from the exhaust port 22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The vortex wind leading to the intake port 16 of (10) can be generated to block the air inflow to a large ext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에어커튼(10,20)에 의해 발생하는 소용돌이 바람에 의해 승강장과 본선구간간의 공기흐름을 차단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장 내의 냉난방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하여 상기 공기흐름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승강장내의 화재 등의 경우 발생하는 매연 또한 상기 소용돌이 바람에 의해 본선구간과 차단되므로 승강장 내에 설치된 환기장치에 의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본선구간에 상기 매연이 확산되지 못하므로 승객이 본선구간으로 대피할수 있도록하는 기능도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blocking the air flow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main line section by the vortex wind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air curtain (10, 20). As a result, the heating and cooling state in the landing is maintained, thereby preventing heat loss due to the air flow. In addition, the smoke generated in the case of a fire in the landing area is also cut off from the main line section by the vortex wind, it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landing, and the smoke is not spread in the main line section, so passengers It also functions to evacuate to the main line section.

한편, 상기 지하철 에어커튼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에어커튼(10,2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본선구간의 중심부에 위치한 기둥부에 별도의 제 1 및 제 2 송풍장치(14,24)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송풍장치(14,24)는, 배기구(12,22) 및 흡기구(16,26)를 통해 발생하는 바람이 공기중으로 진행함에 따라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보완하는 장치로서, 본선구간의 중심부에까지 높은 풍속을 유지하여 열차풍에 의한 공기흐름의 차단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기능을 한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subway air curtain, as shown in Figure 4,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ain line section to facilitate the flow of air blown by the first and second air curtain (10, 20)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4 and 24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pillar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4 and 24 are devices that compensate for a decrease in speed as the wind generated through the exhaust ports 12 and 22 and the inlets 16 and 26 proceeds to the air. Maintains high wind speeds up to the center of the section, maximizing the blocking effect of air flow by train wind.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에어커튼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고, 상기 일 실시예의 경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subway air curtai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Here, the code overlapping with the embodiment will be used as it is, and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case of the embodiment will be omitted.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공기순환식 차단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구성으로서, 상기 일 실시예와 달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에어커튼(10')에 제 1 정화기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반면 제 1 공기흡수수단(17)이 제 2 에어커튼(20')의 제 2 공기배출수단(21)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에어커튼(20')의 제 2 정화기(28)는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제 1 공기배출수단(11)에 연결되어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onfiguration for forming an air-circulating barrier film, and unlike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first air curtain 10 ′ is not provided with the first purifier. While the first air absorbing means 17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exhausting means 21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 the second purifier 28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is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11 of the first air curtain 10 '.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에어커튼(10',20')의 작동에 의한 본선구간부 내부 공기의 흐름은, 도 6 에 나타난 바와 같다. 즉,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이 본선구간부 내부에 소용돌이 바람이 형성되는 외에, 제 1 에어커튼(1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제 2 에어커튼(20')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 2 에어커튼(20')의 제 2 정화기(28)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제 1 에어커튼(10')으로 유입되어 공기가 중간에 정화과정을 거치면서 순환식으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소용돌이 바람에 의해 본선구간 내부로부터 승강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할 뿐 아니라, 정화기를 한 대만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이고, 순환식으로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에어커튼장치에 별도로 필요로 하는 부대시설이 감소하게 되어 설비면에서 보다 컴팩트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low of air inside the main line s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urtains 10 'and 20'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shown in FIG. That is, in addition to the vortex wind is formed inside the main line section as in one embodimen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curtain (10 ')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curtain (20'), the second air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purifier 28 of the curtain 20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curtain 10' so that the air flows circulating while the air is purifie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block the air flowing into the platform from the main section by the vortex wind, but also more economical in terms of using only one purifier, the subway air cur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cyclically Since the additional facilities required for the device are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to achieve a more compact structure in terms of equipment.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에어커튼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에서도, 상기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고, 상기 일 실시예의 경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subway air curtai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used as they are, and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of the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omitted.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환기 내지 여과기능을 강화한 차단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구성으로서, 도 7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에어커튼(10")의 제 1 공기배출수단(11)에 제 1 정화기(18)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공기배출수단(11)으로 정화된 공기를 유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제 1 공기흡수수단(17)은 상기 제 2 에어커튼(20")의 제 2 공기배출수단(21)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공기흡수수단(17)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 2 공기배출수단(21)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제 2 에어커튼(20")의 제 2 공기흡수수단(27)에는, 상기 제 2 공기흡수수단(27)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시켜 환기시키는 환기장치(29)가 별도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환기장치(29)는 지하철 역사내에 존재하는 기존의 환기시설로서 이용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onfiguration for forming a blocking membrane with enhanced ventilation or filtration func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11 of the first air curtain 10 " A first purifier 18 is provided to introduce the purified air into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11. The first air absorbing means 17 of the first air curtain 10 "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discharge means 21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ir absorbing means 17 flows into the second air discharge means (21). The second air absorbing means 27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 is separately provided with a ventilator 29 for introducing and venting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ir absorbing means 27. At this time, the ventilation device 29 can be used as an existing ventilation facility existing in the subway station.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에어커튼 장치 전체로 유입되는 공기 및 장치 전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각각에 대해 정화 내지 환기를 시킴으로써 승강장 입출구의 공기 환경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by purifying or ventilating each of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curtain device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whole device serves to improve the air environment of the landing entrance more effectively do.

한편,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각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승강장과의 공기흐름이 차단되는 본선구간내 공기의 여과를 위해서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선구간 일측벽에 설치된 흡기장치(51), 상기 흡기장치의 맞은편인 타측벽에 설치된 배기장치(52), 상기 흡기장치(51) 및 배기장치(52)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여과장치(53)를 포함하는 강제 급,배기시설(50)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ilter the air in the main line section in which air flow with the platform is blocked, as shown in Figure 8, the intake apparatus 51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main line section And a forced exhaust / exhaust facility 50 including an exhaust device 52 provided on the other side wall opposite to the intake device, and a filtration device 53 installed inside each of the intake device 51 and the exhaust device 52.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열차풍 차단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지하철 터널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된 공기가 열차풍에 의해 승강장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이러한 오염된 공기를 열차풍 차단 장치에 의해 외부로 배출 내지는 정화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승강장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승강장과 본선구간간의 공기흐름을 차단시킴으로써, 역사내 승강장의 냉난방 효율을 높이고, 지하철 화재발생 등에 의해 발생하는 매연이 본선구간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시켜 이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ubway train wind blocker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contaminated air existing in the subway tunnel to enter the platform by the train wind, the polluted air to the outside by the train wind blocker By discharging or purifying and circulating, there is an effect of maintain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of the landing. In addition, by blocking the air flow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main line section, the air-conditioning efficiency of the platform in the st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smoke generated by subway fires, etc.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main line section, thereby effectively responding to this. have.

도 1 은 본 발명인 지하철 에어커튼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bway air curtain device,

도 2 는 도 1 의 설치 외관을 나타내는 상태도,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stallation of FIG. 1;

도 3a 및 도 3b 는 도 1 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3a and 3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도 4 는 도 1의 다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operating state of FIG.

도 5는 본발명인 지하철 에어커튼장치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Figure 5 is an overall configura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bway air curtai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는 도 5 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FIG. 5;

도 7은 본발명인 지하철 에어커튼장치의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Figure 7 is an overall configura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bway air curtai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도 1 , 도 5 또는 도 7 의 다른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other components of FIG. 1, 5, or 7.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제 1 에어커튼 11 : 제 1 공기배출수단10: first air curtain 11: first air discharge means

12 : 배기구 16 : 흡기구12 exhaust port 16 intake port

17 : 제 1 공기흡수수단 18 : 제 1 정화기17: first air absorbing means 18: first purifier

20 : 제 2 에어커튼 21 : 제 2 공기배출수단20: second air curtain 21: second air discharge means

22 : 배기구 26 : 흡기구22: exhaust port 26: intake port

27 : 제 2 공기흡수수단 28 : 제 2 정화기27: second air absorbing means 28: second purifier

29 : 환기장치 30 : 제어부29 ventilation device 30 control unit

40 : 풍속감지센서 50 : 강제 급,배기시설40: Wind speed sensor 50: Forced supply and exhaust facility

Claims (11)

지하철 승강장측 본선구간부 양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배기구(12) 및 흡기구(16), 상기 배기구(12)에 연결된 제 1 공기배출수단(11) 및 상기 흡기구(16)에 연결된 제 1 공기흡수수단(17)으로 이루어진 제 1 에어커튼(10);An exhaust port 12 and an intake port 16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platform section side of the subway platform side,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11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12 and the first air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16. A first air curtain 10 composed of absorbing means 17; 상기 제 1 에어커튼(1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흡기구(16)측 벽에 설치되는 배기구(22) 및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배기구(12)측 벽에 설치되는 흡기구(26), 상기 배기구(22)에 연결된 제 2 공기배출수단(21) 및 상기 흡기구(26)에 연결된 제 2 공기흡수수단(27)으로 이루어진 제 2 에어커튼(20);An exhaust port 22 provided at a side wall of the inlet port 16 of the first air curtain 10 and an exhaust port 12 of the first air curtain 1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curtain 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econd air curtain 20 which consists of an inlet port 26 provided on the side wall, a second air outlet means 21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22, and a second air absorber means 27 connected to the inlet port 26. ;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개시신호에 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공기배출수단(11,21)과 제 1 및 제 2 공기흡수수단(17,27)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1 에어커튼(10)과 상기 제 2 에어커튼(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로 이루어진 지하철 에어커튼장치.The first air curtain 10 and the first air ar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air discharging means 11 and 21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absorbing means 17 and 27 in response to a start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 control unit 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wo air curtain 20; Subway air curtain device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30)에 풍속감지센서(40)가 추가적으로 연결되고,Wind speed sensor 40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풍속감지센서(40)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에어커튼(10)과 제 2 에어커튼(2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에어커튼장치.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ir curtain (10) and the second air curtain (20)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detected by the wind speed sensor 4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제 1 공기흡수수단(17)과 제 2 에어커튼(20)의 제 2 공기흡수수단(27)은, 각각 상기 제 1 , 제 2 공기흡수수단(17,27)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하는 제 1 , 제 2 정화기(18,28)가 결합되며, 상기 제 1 , 제 2 정화기(18,28)는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에어커튼장치.The first air absorbing means (17) of the first air curtain (10) and the second air absorbing means (27)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of the first air curtain (10), respectively. And first and second purifiers 18 and 28 for injecting and purging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ir absorbing means 17 and 27, and the first and second purifiers 18 and 28 are the control unit. Subway air curtai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ed by (3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 2 에어커튼(20)의 제 2 공기흡수수단(27)에는,In the second air absorbing means 27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상기 제 2 공기흡수수단(27)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하는 제 2 정화기(28)가 결합되고, 상기 제2정화기(28)는 상기 제어부(30)에의해 제어되며,A second purifier 28 is introduced to purif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ir absorbing means 27, and the second purifier 28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제 1 공기흡수수단(17)은, 상기 제 2 에어커튼(20)의 제 2 공기배출수단(21)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에어커튼(20)의 제 2 정화기(28)는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제 1 공기배출수단(11)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에어커튼장치.The first air absorbing means 17 of the first air curtain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discharging means 21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and the first air absorbing means 17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is formed. 2 Purifier (28) is a subway air curtai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11) of the first air curtain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제 1 공기배출수단(11)에는, 상기 제 1 공기배출수단(11)으로 공기를 정화시켜 유입시키는 제 1 정화기(18)가 결합하고,A first purifier 18 is coupled to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11 of the first air curtain 10 to purify and introduce air into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11,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제 1 공기흡수수단(17)은, 상기 제 2 에어커튼(20)의 제 2 공기배출수단(21)과 연결되고,The first air absorbing means 17 of the first air curtain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discharge means 21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상기 제 2 에어커튼(20)의 제 2 공기흡수수단(27)에는, 상기 제 2 공기흡수수단(27)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시켜 환기시키는 환기장치(29)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에어커튼장치.The second air absorbing means 27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the ventilation device 29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air inlet and ventilated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ir absorbing means 27 Air curtain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배출수단(11)과 상기 제 2 공기배출수단(21)은,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11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means 21, 각각 송풍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에어커튼장치.Subway air curtai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nsisting of a blow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배출수단(11)과 상기 제 2 공기배출수단(21)은,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air discharge means 11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means 21, 각각 압축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에어커튼장치.Subway air curtai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nsisting of a compress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 1 에어커튼(10)의 배기구(12)와 흡기구(16)의 중간부에 해당하는 본선구간 중심부에 설치되는 제 1 송풍장치(14); 및A first blower (14)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ain line section corresponding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exhaust port (12) and the inlet port (16) of the first air curtain (10); And 상기 제 2 에어커튼(20)의 배기구(22)와 흡기구(26)의 중간부에 해당하는 본선구간 중심부에 설치되는 제 2 송풍장치(24);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에어커튼장치.And a second air blower (24)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ain lin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exhaust port (22) and the inlet port (26) of the second air curtain (20). . 삭제delete 지하철 승강장측 본선구간 양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배기구 및 흡기구를 구비한 제 1 에어커튼; 상기 제 1 에어커튼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흡기구측 벽에 설치되는 배기구 및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배기구측 벽에 설치되는 흡기구를 구비한 제 2 에어커튼; 상기 제 1 에어커튼과 상기 제 2 에어커튼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지하철 에어커튼장치를 이용한 에어커튼 형성방법에 있어서,A first air curtain having an exhaust port and an intake port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 walls of the subway platform side main line section; A second air curtain provided with an exhaust port provided on the inlet port side wall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curtai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air curtain forming method using a subway air curtain device consisting 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air curtain and the second air curtain,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제 2 에어커튼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지하철 터널 내부에 소용돌이 바람을 형성함으로써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지하철 에어커튼을 이용한 에어커튼 형성방법.Air curtain forming method using the subway air curtain to form an air curtain by forming a vortex wind inside the subway tunnel b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of the second air curtain .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본선구간 내부의 풍속을 감지하는 단계와;Sensing wind speed inside the main line section; 상기 풍속에 따라 상기 제 1 에어커튼의 배기구 및 상기 제 2 에어커튼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에어커튼을 이용한 에어커튼 형성방법.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of the first air curtain and the exhaust port of the second air curtain according to the wind speed.
KR10-2003-0070419A 2003-10-09 2003-10-09 Air curtain equipment for subway and the method for forming air curtain KR1005290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419A KR100529046B1 (en) 2003-10-09 2003-10-09 Air curtain equipment for subway and the method for forming air curt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419A KR100529046B1 (en) 2003-10-09 2003-10-09 Air curtain equipment for subway and the method for forming air curt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497A KR20050034497A (en) 2005-04-14
KR100529046B1 true KR100529046B1 (en) 2005-12-27

Family

ID=3723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419A KR100529046B1 (en) 2003-10-09 2003-10-09 Air curtain equipment for subway and the method for forming air curt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0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998B1 (en) * 2014-11-13 2017-09-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acility for preventing smoke spread using air knif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38B1 (en) * 2007-10-24 2010-08-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cleaning system using subway wi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system
KR101364152B1 (en) * 2012-11-16 2014-02-18 (주)비엔텍아이엔씨 System for blocking pressure wave in underground platform, and underground train station having such system
KR101364963B1 (en) * 2012-11-16 2014-02-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ystem for blocking pressure wave in underground platform, and underground train station having such system
KR102597355B1 (en) * 2016-11-03 2023-11-06 한국전력공사 Distribution apparatus for ventilation gas of underground electrical conduit and method thereof
CN111878150B (en) * 2020-06-29 2022-04-19 西安建筑科技大学 Highway tunnel reduces air invasion volume with from air curtai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998B1 (en) * 2014-11-13 2017-09-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acility for preventing smoke spread using air kni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497A (en)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7932Y1 (en) Air curtain apparatus for subway station
US4765231A (en) Smoke exhau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886350B1 (en) Intelligent selective supply and exhaust system for tunnel ventilation
KR101088341B1 (en) A double direction ventilation system for tunnel and method for it
KR20130130693A (en) Method and system for tunnel ventilation in normal conditions and in conditions of fire
KR101588434B1 (en) Longitudinal ventilation facilities for road tunnel with maintenance easily
KR101710459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and exhausting air in transverse or semi-transverse tunnels
KR100529046B1 (en) Air curtain equipment for subway and the method for forming air curtain
CN111764948B (en) Highway tunnel crowd disaster prevention system
SE515895C2 (en) Air filtration device, method and system
JP2008231731A (en) Tunnel ventilation control system
KR102353414B1 (en) Dust eliminator of fire detector
KR101653381B1 (en) Wingless for tunnel ventilation
JP4638376B2 (en) Security equipment
EP1783323A1 (en) Ventilation system for covered traffic ways
KR100717772B1 (en) Impulse ventilation system for vacating smoke or poison gas
KR102337826B1 (en) Transverse tunnel structure installed in long tunnel and smoke exhaust method for the same
KR102240826B1 (en) Auto Ventilation System for Subway
CN208330435U (en) A kind of Tunnel Ventilation System having both escape and fire-proof function
KR102145788B1 (en) Pressure-difference Reducer System for Elevator and Method Thereof
KR20210012228A (en) Clean Booth For Public Transit Platform
KR101086118B1 (en) Transverse ventilation methods for tunnel having supply air duct used for supplying air and ventilating smoke
KR20130124037A (en) System for getting rid of smoke of the flat form of the subway station
JPH09210423A (en) Air conditoning system
CN206160370U (en) Elevartor shaft air quality gover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