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530B1 -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530B1
KR100528530B1 KR10-2000-0079095A KR20000079095A KR100528530B1 KR 100528530 B1 KR100528530 B1 KR 100528530B1 KR 20000079095 A KR20000079095 A KR 20000079095A KR 100528530 B1 KR100528530 B1 KR 100528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seed layer
region
forming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804A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530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71Layers specifically deposited to enhance or enable the nucleation of further layers, i.e. se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01L21/3212Planarisation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7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Smoothing; Plan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01L21/76879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by selective deposition of conductive material in the vias, e.g. selective C.V.D. on semiconductor material, p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이중 상감(Dual damascene) 구조의 메탈 배선을 형성하는 과정에 메탈 배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증착되는 시드 막질의 측벽 또는 보텀을 제거하여 메탈의 성장이 일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한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기판 상의 듀얼 상감 구조로 식각된 영역에 금속 재질의 배선을 형성하며, 식각된 영역의 보텀과 측벽에 확산 방지막을 증착하는 단계; 확산 방지막 상에 구리 재질의 시드 레이어를 증착하는 단계; 시드 레이어의 측벽을 제거하는 단계; 식각된 영역 내에 잔류된 시드 레이어를 일방향으로 성장시켜서 상기 영역을 구리 재질로 채우는 단계; 및 상기 영역에 형성된 배선을 평탄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탈 배선의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a metal layer of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상감(Dual damascene) 구조의 메탈 배선을 형성하는 과정에 메탈 배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증착되는 시드 막질의 측벽 또는 보텀을 제거하여 메탈의 성장이 일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메탈 배선의 신뢰성을 개선시킨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바이스의 내부에는 전기적 동작을 위한 소자와 이들을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배선 등이 디자인되어 있으며, 배선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가장 일반적으로 구리가 이용된다.
또한, 배선의 효율성을 위하여 이중 상감 구조가 제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중 상감 구조의 배선은 식각된 공간에 확산 방지막 증착, 시드 레이어 증착, 구리 채움 및 평탄화 과정이 수행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과 같이 기판(10)에 이중 상감 구조의 공간(12)이 형성되고, 여기에 도 2와 같이 확산 방지막(14)이 증착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확산 방지막(14)의 상부에는 일정한 두께의 구리 시드 레이어(16)가 증착되며, 그 후 나머지 공간에 구리가 배선(18) 형성을 위하여 채워지고, 일정한 두께를 제거하는 평탄화 공정이 수행되어 도 4의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4의 수순으로 진행되는 배선 형성 방법에 의하면, 시드 레이어(16)가 형성된 후 구리 재질의 배선(18)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측벽과 보텀(bottom) 지역 모두에서 증착이 발생되된다. 그 결과 그레인 사이즈(grain size)가 작아지고, 배선(18) 내에 전기영동 현상에 따른 수명 감소 요인으로 작용되는 그레인 바운더리(grain boundary)가 다수 형성된다.
또한 측벽에서 구리의 성장이 일어나기 때문에 배선(18)은 구리의 뱀부(bamboo) 구조로 형성되기 어렵다.
따라서, 배선(18)의 전기영동 현상에 따른 수명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 상감 구조에서 시드 레이어를 측벽 또는 보텀에 제한하여 형성시켜서 금속을 증착시켜서 배선을 형성하여 증착이 일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기영동 현상에 따른 배선의 신뢰성을 개선시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은, 기판 상의 듀얼 상감 구조로 식각된 영역에 금속 재질의 배선을 형성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에 있어서,상기 식각된 영역의 보텀과 측벽에 확산 방지막을 증착하는 단계;상기 확산 방지막 상에 구리 재질의 시드 레이어를 증착하는 단계;상기 시드 레이어의 보텀을 건식식각하여 측벽에만 시드 레이어를 남기는 단계;상기 영역 내에 잔류된 시드 레이어를 측방향으로 성장시켜서 상기 영역을 구리 재질로 채우는 단계; 및상기 영역에 형성된 배선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과,상기 구리 재질의 시드 레이어는 플라즈마 진공 증착 방법으로 증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듀얼 상감 구조를 갖는 금속 재질의 배선이 전기영동 현상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수 있도록 공정을 개선시킨 것이다.
본 발명은 시드 레이어를 보텀에만 형성하는 제 1 실시예와 시드 레이어를 측벽에만 형성하는 제 2 실시예로 갖는다.
시드 레이어를 보텀에만 형성하는 제 1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9의 순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과 같이 듀얼 상감 구조로 기판(20)에 배선을 위한 공간(22)이 식각되어 형성된다.
그 후 도 6와 같이 배선을 위한 공간(22)에는 확산 방지막(24)이 증착되고, 그에 따라서 확산 방지막(24)은 측벽과 보텀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확산 방지막(24)의 상부에 도 7과 같이 구리 재질의 시드 레이어(26)가 플라즈마 증착 방법으로 증착되며, 그 후 도 8와 같이 시드 레이어(26)는 습식 식각에 의하여 식각이 진행되어서 측벽이 제거된다.
시드 레이어(26)은 증착 공정과 배선을 위한 공간(22)의 구조적 특성상 측벽보다 보텀에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며, 측벽의 시드 레이어(26)가 식각되어 확산방지막(24)의 측벽으로 드라나는 시점을 식각종료점으로 설정하여 습식 시각이 진행된다. 이 경우 등방성 식각이 해당된다.
이와 같이 측벽의 시드 레이어(26)가 제거된 후 구리 재질의 시드 레이어(26) 상에만 선택적으로 구리를 성장시켜서 배선을 위한 공간(22)을 채운 후 화학적 물리적 폴리싱 공정을 수행하여 평탄화시키면 도 9와 같이 배선이 완성된다.
이때 구리 재질의 배선은 상부 방향으로 성장되므로 큰 그레인 사이즈와 작은 그레인 바운더리를 갖는다. 또한 뱀부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기 영동 현상에 대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또한, 시드 레이어를 측벽에만 형성하는 제 2 실시예는 도 10 내지 도 14의 순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과 같이 듀얼 상감 구조로 기판(30)에 배선을 위한 공간(32)이 식각되어 형성된다.
그 후 도 11와 같이 배선을 위한 공간(32)에는 확산 방지막(34)이 증착되고, 그에 따라서 확산 방지막(34)은 측벽과 보텀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확산 방지막(34)의 상부에 도 12와 같이 구리 재질의 시드 레이어(36)가 플라즈마 증착 방법으로 증착되며, 그 후 도 13와 같이 시드 레이어(36)는 건식 식각에 의하여 식각이 진행되어서 보텀이 제거된다.
시드 레이어(26)는 배선을 위한 공간(22)의 구조적 특성상 건식식각에 의하여 보텀 부분이가 식각되며, 보텀의 확산방지막(24)이 드라나는 시점을 식각종료점으로 설정하여 건식 시각이 진행된다. 이 경우 방향성 식각이 해당된다.
이와 같이 보텀의 시드 레이어(26)가 제거된 후 구리 재질의 시드 레이어(26) 상에만 선택적으로 구리를 성장시켜서 배선을 위한 공간(22)을 채운 후 화학적 물리적 폴리싱 공정을 수행하여 평탄화시키면 도 14와 같이 배선이 완성된다.
이때 구리 재질의 배선은 측 방향으로 성장되므로 제 1 실시예와 같이 큰 그레인 사이즈와 작은 그레인 바운더리를 갖는다. 또한 뱀부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기 영동 현상에 대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상감 구조의 배선을 형성할 때 배선 영역 내부에 채워지는 구리를 일방향으로 성장시켜서 배선이 큰 그레인 사이즈와 작은 그레인 바운더리를 갖고 뱀부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기영동 현상에 대한 특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Claims (4)

  1. 기판 상의 듀얼 상감 구조로 식각된 영역에 금속 재질의 배선을 형성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각된 영역의 보텀과 측벽에 확산 방지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확산 방지막 상에 구리 재질의 시드 레이어를 증착하는 단계;
    상기 시드 레이어의 보텀을 건식식각하여 측벽에만 시드 레이어를 남기는 단계;
    상기 영역 내에 잔류된 시드 레이어를 측방향으로 성장시켜서 상기 영역을 구리 재질로 채우는 단계; 및
    상기 영역에 형성된 배선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재질의 시드 레이어는 플라즈마 진공 증착 방법으로 증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
KR10-2000-0079095A 2000-12-20 2000-12-20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 KR100528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095A KR100528530B1 (ko) 2000-12-20 2000-12-20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095A KR100528530B1 (ko) 2000-12-20 2000-12-20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804A KR20020049804A (ko) 2002-06-26
KR100528530B1 true KR100528530B1 (ko) 2005-11-15

Family

ID=2768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095A KR100528530B1 (ko) 2000-12-20 2000-12-20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5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563A (ko) * 1998-06-29 2000-01-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제조방법
KR20000035543A (ko) * 1998-11-19 2000-06-26 이데이 노부유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43063A (ko) * 1998-12-28 2000-07-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20000042153A (ko) * 1998-12-24 2000-07-15 서평원 이중 광궤환 구조를 갖는 이득 고정 광증폭 장치
KR20000043910A (ko) * 1998-12-29 2000-07-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US6156648A (en) * 1999-03-10 2000-12-05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fabricating dual damasce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563A (ko) * 1998-06-29 2000-01-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제조방법
KR20000035543A (ko) * 1998-11-19 2000-06-26 이데이 노부유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42153A (ko) * 1998-12-24 2000-07-15 서평원 이중 광궤환 구조를 갖는 이득 고정 광증폭 장치
KR20000043063A (ko) * 1998-12-28 2000-07-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20000043910A (ko) * 1998-12-29 2000-07-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US6156648A (en) * 1999-03-10 2000-12-05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fabricating dual damasc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804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2485B2 (en) Isolation trench fill using oxide liner and nitride etch back technique with dual trench depth capability
TWI412121B (zh) 具埋入式字元線之裝置及其製造方法
US7514348B2 (en) Sidewall coverage for copper damascene filling
US6632742B2 (en) Method for avoiding defects produced in the CMP process
US9570397B1 (en) Local interconnect structure including non-eroded contact via trenches
CN208819860U (zh) 浅沟槽隔离结构和半导体器件
TW201209966A (en) Split word line fabrication process
US10720359B2 (en) Substrate and method
JPH0347740B2 (ko)
US9837305B1 (en) Forming deep airgaps without flop over
US20050136615A1 (en) Methods of forming polished material and methods of forming isolation regions
US7867841B2 (en) Methods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s with extended active regions
CN112466878A (zh) 一种半导体器件制作方法、半导体器件和三维存储器器件
US9754788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structure including planarizing a polysilicon layer over an array area and a periphery area
KR100528530B1 (ko) 반도체 디바이스의 배선 형성 방법
US11450610B2 (en) Vertical semiconductor devices
US6977216B2 (en) Method for forming metal wire in semiconductor device
US6706589B2 (en) Manufacturing of capacitors with metal armatures
JPH02143527A (ja) 配線形成方法
US20050158963A1 (en) Method of forming planarized shallow trench isolation
JPH08203997A (ja) 半導体素子の金属配線形成方法
KR0176151B1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
KR100586551B1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 제조방법
KR10068096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2003303821A (ja)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