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154B1 -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154B1
KR100527154B1 KR10-2003-0033115A KR20030033115A KR100527154B1 KR 100527154 B1 KR100527154 B1 KR 100527154B1 KR 20030033115 A KR20030033115 A KR 20030033115A KR 100527154 B1 KR100527154 B1 KR 100527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in pump
doctor
server
insuli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695A (ko
Inventor
최수봉
Original Assignee
최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봉 filed Critical 최수봉
Priority to KR10-2003-0033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154B1/ko
Priority to JP2004127152A priority patent/JP4404682B2/ja
Publication of KR2004010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154B1/ko
Priority to US11/546,110 priority patent/US7231263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95Strip shaped analyte sensors for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145 or A61B5/15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206Exchange of parameters, data, programs between two station, station and central or host or remot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126Hyperlink, access to program modules and to hardware modules in www, web server, brow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린펌프(500)와 혈당측정기(600) 및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에 각각 블루투스칩(700)을 내장하고, 각 블루투스칩(700)은 컴퓨터 본체(810) 매인보드에 설치한 블루투스 통신장치(300)를 매개로 아이디로 구분하여 송수신하며, 컴퓨터본체(810)와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는 인슐린펌프 사용자 관리용 서버(900)와 인터넷 접속하고,
서버(900)는 사용자 접속시 로그인한 다음 의사인지 판단하는 제 1 단계(S1); 이어 서버(900)는 의사가 아니면 간호사로 판단하고, 등록한 아이디를 가진 해당병원 환자의 혈당자료를 개인정보단말기(400)에 제공하여 개인정보 단말기(400)에서 인슐린 주입량을 가변 조정토록 지령하는 제 2 단계(S2); 상기 단계(S1)에서 의사이면 주치의 인지를 확인하여 주치의가 아니면 주치의 변경을 수행하는 제 3 단계(S3); 및 주치의 인 경우와 주치의로 변경한 경우 기존의 아이디별 혈당 측정치와 상기 단계(S2)의 인슐린 주입량을 판단하여 새로운 처방을 인터넷 및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환자의 아이디를 가진 해당 인슐린펌프를 가동시키는 제 4 단계(S4)를 순차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 이다.

Description

인터넷을통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insulin pump by bluetooth protocol}
본 발명은 인슐린펌프와 혈당측정기에 무선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칩(모듈)을 내장하여 상호 교신으로 인슐린펌프를 구동토록 하고, 별도의 블루투스 통신장치와 개인휴대정보 단말기를 서버와 연계하여 개별 인슐린펌프와 혈당측정기를 제어 가능토록 하는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대표적인 문명병인 당뇨병은 세계 인구 약 60억 중 1억 이상이 이병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한국은 2백만명 정도가 당뇨 환자로 추정하고 있고 내과 환자의 10% 정도가 당뇨 환자이다. 지금까지 당뇨는 완치되는 병이 아니라 조절되는 병으로 인식하고 있다. 조절에 실패하면 각종 합병증으로 생명을 잃게 된다. 이와 같은 당뇨병으로 인한 국내 사망률도 인구 10만명당 11.5명(1990년 통계)으로 늘어나 공포의 병으로 다가왔다.
당뇨병은 혈당치가 공복시 140mg/dl이 넘거나 식사시간 2시간후 200mg/dl 이상인 병이다. 이같이 혈당치가 높아지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 규명된 이유로는 당을 동화하는 인슐린에 이상이 있다는 것 정도이다. 인슐린의 이상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 세포가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해 내지 못해 인슐린이 부족한 상태이거나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는 인슐린을 정상적으로 분비하지만 어떤 이유에서 이 인슐린의 작용이 떨어져서 혈당 동화를 적정한 선까지 해내지 못하는 이른바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 혈당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현재 당뇨병 치료 방법으로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인슐린 주사법으로 대별되며, 췌장 이식도 시도되고 있다.
인슐린 주사법은 인슐린 의존형 당뇨 환자에게 사용되는 치료 방법이지만 인슐린 비의존형의 환자에게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인슐린 주사법은 하루에 1-2회 인슐린 주사를 맞는 것이 보편화된 방법이지만 인체 내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양은 일정하지 않아 식사시간을 전후로 세 번은 많이 분비되고 그 외 시간에는 적게 분비되기 때문에 인체 내의 인슐린 분비량의 평균치를 주입할 수밖에 없는 이러한 1-2회 주사법으로는 식후에는 인슐린이 모자라 고혈당이 되고 반대로 밤에는 인슐린 양이 많아 저혈당이 된다. 즉, 인슐린 공급이 비정상적으로 되어 몸이 비정상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인슐린 주사법이 당뇨 합병증의 예방에 도움이 되지 못했던 원인도 이같이 정상인의 인슐린 분비량 변화를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개선된 치료 방법으로 제안된 것이 인슐린의 주입 량을 컴퓨터에 의하여 조절함으로써 인체 내의 정상적인 인슐린 분비와 가깝게 만들어주는 이른바 인슐린 펌프(기계적 인공췌장기)와 췌장의 베타 세포 이식 수술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장시간 주사용 자동 주사기(인슐린 펌프, 인슐린 주사기, 인슐린 자동 주사기 등으로 호칭됨)는 주사 시린지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시린지 피스톤을 푸시 하는 푸시 수단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는 일본 공개 실용 소화 52-3292호와 미국 특허 제 4,417,889호를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법이 복잡하여 노약자가 사용하는 데에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소형화한 국내특허등록 제 0307191호의 인슐린펌프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개발된 바 있다. 이는 도 1 과 같이 사용 후 시린지에 주사액을 재충전할 때 회전축을 하우징에서 분리시킨 후 위치를 쉽게 눈으로 보면서 세팅한 다음 정 위치에서 회전축과 푸시판이 하우징과 결합 가능토록, 연결구(2)와 연결된 도관(1)을 사용한 주사기는 덮개(110)를 통하여 연결되고, 덮개(110)는 하우징(120)의 상단에 실링 가능토록 결합된다. 상기 덮개(110)에 대응하는 하우징(120)에는 시린지(21)와 피스톤(122), 피스톤 푸시 수단(150) 및 동력 제공 수단(130)을 통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131)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0)에는 제어 기판(도시하지 않음) 을 지령하는 제어 보턴부(123)와 제어 상태를 표시하는 엘시디 등의 디스플레이부(124)와, 전원을 제공하는 바테리를 고정시키는 바테리 덮개(125)와, 리셋 기능을 수행하는 리셋 버튼(121)을 포함한다.(140)는 바닥 덮개이다.
도 2 는 이러한 주사기의 제어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제어용 지시를 하는 제어보턴부(123)와, 제어보턴부(123)의 조작을 인식하는 마이컴 기능의 제어부(170)와, 인식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4)와,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165)과,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 출력에 의하여 모터(168)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167)와, 모터 구동부(167)에 의하여 회전력이 제어되는 모터(168)와, 모터(168)의 회전력을 감지하는 포토커플러(169)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의 바람직한 일 예로는 동일 기능의 제 1 및 제 2 제어부(171,172)로 구성하여 적어도 하나가 이상이 생겨도 기능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함이 좋다. 상기 제어부(171,172)에 도시한 단자(P1-P5 및 P1`-P2`)는 데이터 및/또는 버스라인과 연결되는 포트이다. 상기 모터(68)는 스테핑 모터, 서보 모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도 3 은 일반적인 혈당측정기(200)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로, 혈당측정기(200)는 측정램프(211)를 제어하고 측정램프(211)를 통한 측정치를 인식하도록 변환시키는 제어부(210)와, 측정램프(211)가 측정램프공(221)을 통해 노출되도록 안치되며 측정프로브(230)를 끼움 결합시키는 삽입공(222)을 가지는 측정하우징(223)및, 상기 측정프로브(230)의 끼움 결합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측정하우징(223)에 탄발 설치한 고정돌기(22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측정프로브(230)는 고정돌기(224)에 끼움결합 하는 끼움공(231)과, 측정프로브(230)를 삽입공(222)에 끼움 결합시 측정램프(2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한 광투과공(233) 및 상기 광투과공(233)을 덮는 측정판(235)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240)은 측정하우징(223)을 고정 결합하는 하우징이다.
도 4 는 도 3 의 제어부(2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마이컴(250)의 지령 및 측정램프(211)의 측정치를 수신하는 기능의 제어부(210) 구성을 나타낸다. 제어부(210)는 마이컴(250)의 일 단자(P7)를 통한 출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212)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212)의 변환 출력을 기초로 측정램프(211)의 발광램프(211-1)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213)와, 발광램프(211-1)를 통한 발광을 측정판(235)을 통하여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램프(211-2)로 이루어진 측정램프(211)와, 측정램프(211)의 수광램프(211-2)를 통한 수신광을 수신 증폭시키는 램프신호 수신부(214)와, 램프신호 수신부(214)의 수신 출력을 디지털 변환 시켜 마이컴(250)의 단자(P7)로 제공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15)로 이루어진다.
도 5 는 도 3 및 도 4 의 구성을 통해 측정한 혈당치의 일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한편, 근거리에서 유선 통신이나 적외선 통신을 대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개념으로 블루투스 표준안(BLUETOOTH PROTOCOL)이 에릭슨(ERICSSON)사에 의해 제안되었는데, 보이스 및 데이터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인 상기 블루투스 통신 기법은 차후에 통신 단말기 분야에 널리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 이러한 블루투스를 통신기법을 휴대폰에 적용하여 공공장소에서의 휴대폰 울림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를 해결하려는 기술이 국내특허등록 제 0341988호로 등록되었는바, 이는 도 6 및 도 7 과 같다.
도 6은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장치와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휴대폰의 간략 구성도로서,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블루투스 통신장치(300)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거리 이내에 있는 모든 휴대폰(400)을 찾아 약속된 매너모드 전환을 위한 제어동작을 무선 전송 동작을 통해 수행한다. 이때, 상기 블루투스 통신장치(300)가 마스터(MASTER)가 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장치(300)의 통신 거리 이내에 있는 모든 휴대폰이 슬레이브(SLAVE)가 된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장치(300)가 제어 가능한 휴대폰(400)은 블루투스 모듈(410)을 자체에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도 7 은 상기 블루투스 통신장치(300)의 블록구성도로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장치(300)는 RF 송신부(310), RF 수신부(320), 기저대역(BASEBAND) 처리부(330) 및 통신 제어부(340)로 구성된다. 상기 RF 송신부(310), RF 수신부(320), 기저대역(BASEBAND) 처리부(330) 는 송수신부(350)를 이룬다.
상기 RF 송신부(310)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330)에서 생성한 무선 송신용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 증폭시켜 송신한다.
상기 RF 수신부(320)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의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330)로 인가한다.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330)는 상기 통신 제어부(340)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HCI(HOST CONTROL INTERFACE) 데이터 패킷에 억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RF 송신부(310)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하고, 상기 RF 수신부(32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HCI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통신 제어부(340)로 인가한다.
통신 제어부(340)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330)로부터 들어오는 슬레이브인 휴대폰들의 문의(Inquiry) 응답메시지(문의 응답 데이터 패킷) 수신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폰 각각과 컨넥션(Connection)을 설정한 후, 휴대폰의 경보모드를 매너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각각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특히 인슐린펌프와 혈당측정기 간의 무선 교신 기술이 사용되지 않고 환자가 따로 따로 사용하는 관계로 이를 동시에 사용하는 환자들에게 불편을 제공한다.
또한 최근에는 피디에이(PDA;Personal Digital Assitant(개인휴대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제어방식의 기술이 국내공개특허 2002-0076202호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개인휴대정보 단말기가 지닌 무선 통신의 이점을 이용하여 단순히 설정된 루틴을 수행하는 것이어서 실시간으로 양방향으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가 어렵고, 따라서 이를 인슐린 펌프에 적용하는 것은 더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슐린펌프와 혈당측정기와 개인휴대정보 단말기 사이에 상호 블루투스칩에 의한 무선 교신을 가능토록 하여 혈당측정기의 측정치에 연동하여 인슐린펌프가 실시간으로 작동 가능토록 할 뿐만아니라 인터넷을 통항 서버의 작동으로 멀리 떨어진 주치의도 인터넷이나 개인휴대정보 단말기를 통하여한 인슐린펌프 사용환자의 주입량이나 모드의 설정을 가능토록 하는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 펌프 제어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슐린펌프 와 혈당 측정기 및 개인휴대정보 단말기에 블루투스모듈(칩)을 각각 내장하고, 블루투스모듈은 블루투스통신을 제어하는 블루투스통신장치를 컴퓨터 본체에 설치하여, 인터넷을 통한 서버의 제어로
서버는 의사인지를 확인하는 제 1단계, 환자의 아이디에 해당하는 혈당데이터를 제공받아 인슐린 펌프를 구동토록 하는 제 2 단계, 의사이고 주치의가 아닌 경우 주치의를 변경하는 제 3 단계, 의사이고 주치의인 경우 해당아이디의 혈당치 및 기존 주입량 등을 기초로 새로운 주입량을 원격 지령하는 제 4 단계를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은 인슐린펌프와 혈당측정기 및 개인휴대정보 단말기에 각각 블루투스칩을 내장하고, 각 블루투스칩은 컴퓨터 본체 매인보드에 설치한 블루투스 통신장치를 매개로 아이디로 구분하여 송수신하며, 컴퓨터본체와 개인휴대정보 단말기는 인슐린펌프 사용자 관리용 서버와 인터넷 접속하고,
서버는 사용자 접속시 로그인한 다음 의사인지 판단하는 제 1 단계;
의사가 아니면 간호사로 판단하여 환자의 혈당자료를 입력받아 인슐린 주입량을 가변 조정토록 지령하는 제 2 단계;
의사이면 주치의 인지를 확인하여 주치의가 아니면 주치의 변경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주치의 인 경우와 주치의로 변경한 경우 기존의 혈당 측정치와 인슐린 주입량을 판단하여 새로운 처방을 인터넷 및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환자의 아이디를 가진 해당 인슐린펌프를 가동시키는 제 4 단계를 순차 수행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블록 구성도로, 블루투스모듈(700)을 각각 내장한 인슐린 펌프(500), 혈당측정기(600) 및 휴대폰 또는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와,
상기 블루투스모듈(700)과 송수신 가능토록 간호사 등이 사용하는 컴퓨터 본체(810)의 메인보드에 별도로 설치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송수신부(350)와 통신제어부(340)로 이루어진 블루투스 통신장치(300)와,
상기 블루투스 통신장치(300)를 수용하는 본체(810)와, 모니터(820)와 키보드(830)로 이루어진 컴퓨터(8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810)는 모뎀을 통하여 인터넷망과 접속하고, 인터넷망에는 서버(900)와 서버(900)에 로그인 하여 접속하는 주치의 개인의 컴퓨터(801)가 접속하는 구성을 이룬다. 상기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는 가입한(예를 들어 011, 016) 인터넷서비스 프로바이더(ISP)(910)를 통한 상대방(예를 들어 주치의)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와 호접속하여 통신하는 구성을 이룬다.
도 9 는 인슐린 펌프에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결합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 인슐린펌프의 구동을 지시하는 제어보턴부(123)와, 제어보턴부(123)의 조작을 인식하는 마이컴 기능의 제어부(170)와, 인식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4)와,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165)과,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 출력에 의하여 모터(168)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167)와, 모터 구동부(167)에 의하여 주사기 피스톤 구동용 회전력이 제어되는 모터(168)와, 모터(168)의 회전력을 감지하는 포토 커플러(169)를 가지는 인슐린펌프 제어회로에서, 인슐린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170)에 블루투스모듈을 인식하고 제어토록 하는 기능을 프로그램으로 부가하며, 제어부(170)의 일 단자(P6)에는 블루투스모듈(700)을 연결시켜 블루투스모듈(700)을 제어토록 하고;
블루투스모듈(700)은 제어부(170)의 지령을 받거나 제어부(170)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마이컴(710)과, 마이컴(710)의 지령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740)에서 데이터패킷에 헤더 등을 부가하여 보내온 신호를 변조하여 아에프 신호로 송신하는 알에프 송신부(720)와, 다른 블루투스모듈(700)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검파하여 수신하는 알에프 수신부(730)와, 마이컴(710)의 지령(데이터 패킷)을 기초로 헤더 등을 부가하여 무선 송신을 위한 송신데이터패킷으로 변경하여 알에프 송신부(720)로 보내고, 수신데이터 패킷에 송신자의 아이디와 데이터를 인식하여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마이컴(710)으로 보내는 기저대역 처리부(740)로 이루어진다.
도 10 은 본 발명을 이루는 혈당측정기의 구성 블록도로, 혈당을 측정하도록 마이컴(250)과, 미이컴(250)의 지령에 따라 측정램프(211)를 구동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2)와, 램프구동부(213)와, 측정램프(211)의 측정치를 인식하는 램프신호 수신부(214)와, 램프신호수신부(214)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컴(25)으로 보내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5)로 이루어지는 혈당측정기에서,
마이컴(250)의 일 단자(P8)에 블루투스모듈(700)을 연결하고, 마이컴(250)은 블루투스모듈(70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인슐린펌프를 구동하는 입력수단과 타 블루투스모듈으로 부터의 신호를 받아 설정된 구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블루투스모듈(700) 자체는 도 9 와 같은 구성이기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블록 구성 예시도로, 서버는 사용자 접속시 로그인한 다음 의사인지 판단하는 제 1 단계(S1);
이어 서버(900)는 의사가 아니면 간호사로 판단하고 등록한 아이디를 가진 해당병원 환자의 혈당자료를 개인정보단말기(400)에 제공하여 개인정보단말기(400)에서 인슐린 주입량을 가변 조정토록 지령하는 제 2 단계(S2);
상기 단계(S1)에서 의사이면 주치의 인지를 확인하여 주치의가 아니면 주치의 변경을 수행하는 제 3 단계(S3); 및
주치의 인 경우와 주치의로 변경한 경우 기존의 아이디별 혈당 측정치와 상기단계(S2)의 인슐린 주입량을 판단하여 새로운 처방을 인터넷 및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환자의 아이디를 가진 해당 인슐린펌프를 가동시키도록 지령하는 제 4 단계(S4)를 서버에서 순차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단계(S2)는 서버(900)에서 간호사로부터 환자의 아이디와 등록 병원의 데이터를 개인정보단말기(400)로 다운 제공하는 제 2-1 단계(S2-1);
이어 환자의 혈당측정 데이터를 아이디로 구분하여 함께 서버(900)에서 입력받는 제 2-2 단계(S2-2);
해당 아이디에 대응하는 환자가 가진 인슐린펌프에 상기 혈당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판단하여 대응 주입량을 서버(900)에서 지령하는 제 2-3 단계(S2-3);
혈당 측정기 및 인슐린 펌프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데이터를 해당 아이디 별로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병원컴퓨터 본체(810)에 갱신 저장하도록 서버(900)에서 저장하는 제 2-4 단계(S2-4)를 순차 수행한다.
상기 제 4 단계(S4)는 주치의 환자의 데이터를 다운시키는 제 4-1단계(S4-1),
주치의가 판단하여 입력하는 인슐린 주입량의 설정치가 있는지 확인하는 제 4-2단계(S4-2), 및
인슐린 주입량의 설정이 있으면 본체에 이를 지령하는 제 4-3단계(S4-3)를 서버에서 수행하고;
본체는 지령을 해당 아이디의 인슐린 펌프에 전달하는 제 4-4단계(S4-4)를 순차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블루투스모듈(700)을 인슐린펌프(500)와 혈당측정기(600) 및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에 내장시키고, 동시에 이들 기기(500,600,400)와 통신하는 블루투스 통신장치(300)와 블루투스 통신장치(300)를 수용하고 기기(500,600,400)와 교신하는 컴퓨터(800)를 구비한다. 또한 서버(900)는 본체(810)와 모뎀을 통하여 인터넷망으로 접속하고 서버(900)는 인슐린펌프(500) 및 혈당측정기(600) 및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의 아이디를 구분하여 저장 및 인식하고, 이를 가능토록 서버에 접속하면 사용자의 아이디를 기초로 해당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제공토록 한다. 이는 인터넷서비스프로바이더(910)를 매개로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끼리 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서버(900)와 접속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 받도록 수행한다.
따라서 도 11 과 같이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와 인슐린펌프(500)와 혈당측정기(600)가 블루투스통신장치(300)를 매개로 본체(810)에 데이터를 해당 아이디 별로 제공하면(도면에는 인슐린펌프(500)와 혈당측정기(600)를 일조만 도시하였으나, 해당아이디를 각각 가지는 다른 환자용의 것도 당연히 사용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체(810)는 메인보드의 데이터버스를 통하여 인식하고 모뎀을 통하여 인터넷망과 접속하고 서버(900)와 로그인으로 인증받은 다음, 접속한다.
이 경우 로그인이 되면 서버(900)는 접속자가 의사인지를 판단한다(제 1 단계(S1)). 의사 이면 주치의 인지를 확인하고 주치의가 아니면 주치의로 변경한다(제 3 단계(S3)).
상기 단계(S1)에서 의사가 아니면, 제 2 단계(S2)를 수행한다.
제 2 단계(S2) 는 인슐린 펌프(500)를 사용하는 것으로 등록된(블루투스모듈(700)을 통하여 서버(900)에 기 등록된) 아이디를 기초로 한 환자별 아이디와 등록 병원의 데이터를 간호사등이 사용하는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에 다운 제공하는 제 2-1 단계(S2-1);
이어 환자의 혈당측정 데이터를 아이디로 구분하여 함께 서버(900)에서 입력받는 제 2-2 단계(S2-2);
해당 아이디에 대응하는 환자가 가진 인슐린펌프(500)에 상기 혈당측정기(600)를 통한 혈당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판단하여 대응 주입량을 지령하는 제 2-3 단계(S2-3);
혈당 측정기(600) 및 인슐린 펌프(500)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데이터를 해당 아이디 별로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서버(900)의 메모리부에 갱신 저장하는 제 2-4 단계(S2-4)를 순차 수행한다. 따라서 해당하는 환자의 아이디를 기초로 구분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인슐린펌프이 주입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3)에서 주치의 이면 주치의 환자의 데이터를 서버에서 본체(810)나 주치의가 가진 개인휴대정보 단말기(예를 들어 단말기(400'))로 제공하는 제 4-1단계(S4-1);
주치의가 제공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판단하여 인슐린 주입량의 설정 변경 지령을 서버(900)로 지령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4-2단계(S4-2);
주치의의 인슐린 주입량의 설정이 있으면 서버(900)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본체(810)에 이를 지령하는 제 4-3단계(S4-3);
본체(810)의 지령을 블루투스 통신장치(300)를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의 블루투스모듈(700)을 통하여 전달받고, 다시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를 통하여 해당하는 아이디의 인슐린펌프(500)를 구동시켜 인슐린펌프가 작동하도록 기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인슐린펌프와 혈당측정기 및 개인휴대정보에 각각 블루투스모듈을 내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를 두어 인터넷으로 상호 접속하여 서버의 제어를 받도록 하며, 개인휴대정보 단말기를 통한 제어를 가능토록 하여 간호사가 환자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서버에 보내면, 서버를 통하여 주치의가 접속하여 환자에게 인슐린 주입량을 통보하면, 인터넷으로 환자의 인슐린 주입을 원격 실시간 제어를 가능토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대의 인슐린펌프와 혈당측정기 및 개인휴대정보 단말기에 아이디를 부여하고 본체에서 블루투스 통신장치를 설치하여 교신을 제어토록 하며, 중앙의 블루투스 통신장치는 서버 기능의 컴퓨터와 연계하여 각각의 혈당치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대응하는 처방을 대응 인슐린펌프에게 지령하여, 간호사는 인접하는 환자의 아이디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서버로 공급하면 멀리 있는 주치의는 인터넷이나 개인휴대 정보단말기를 통하여 제어 가능하므로 환자에게 갈 필요없이 일시에 또는 개별로 환자에게 주입량을 서버로 보내면 서버는 이를 기초로 병원별 환자별로 제어를 가능토록 하여 환자 관리의 효율성과 신속한 처방을 가능토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슐린펌프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제어 블록 구성도,
도 3 은 일반적인 혈당측정기의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혈당측정기의 블록 구성도,
도 5 는 혈당치에 대응하는 인슐린 주입량을 나타낸 타임차트,
도 6 은 일반적인 블루투스 통신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7 은 도 6 에 보인 블루투스 통신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블록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인슐린펌프 구성 블록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혈당측정기의 구성 블록도,
도 11 은 본 발명을 서버에서 수행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블루투스 통신장치 310;알에프 송신부 320;알에프 수신부 330;기저대역 처리부 340;통신제어부 350;송수신부 500;인슐린펌프 600;혈당측정기 700;블루투스모듈 800;컴퓨터 810;본체 820;모니터 830;키보드 900;서버

Claims (3)

  1. 인슐린펌프(500)와 혈당측정기(600) 및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에 각각 블루투스모듈(700)을 내장하고, 각 블루투스모듈(700)은 컴퓨터 본체(810) 매인보드에 설치한 블루투스 통신장치(300)를 매개로 아이디로 구분하여 송수신하며, 컴퓨터본체(810)와 개인휴대정보 단말기(400)는 인슐린펌프 사용자 관리용 서버(900)와 인터넷 접속하고,
    서버(900)는 사용자 접속 시 로그인한 다음 의사인지 판단하는 제 1 단계(S1);
    이어 서버(900)는 의사가 아니면 간호사로 판단하고, 등록한 아이디를 가진 해당병원 환자의 혈당자료를 개인정보단말기(400)에 제공하여 개인정보단말기(400)에서 인슐린 주입량을 가변 조정토록 지령하는 제 2 단계(S2);
    상기 단계(S1)에서 의사이면 주치의인지를 확인하여 주치의가 아니면 주치의 변경을 수행하는 제 3 단계(S3); 및
    이어 주치의 인 경우와 주치의로 변경한 경우 기존의 아이디별 혈당 측정치와 상기 단계(S2)의 인슐린 주입량을 판단하여 새로운 처방을 인터넷 및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환자의 아이디를 가진 해당 인슐린펌프를 직접 가동시키는 제 4 단계(S4)를 순차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ㅣ펌프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S2)는 서버(900)에서 환자의 아이디와 등록 병원의 데이터를 개인정보단말기(400)로 다운 제공하는 제 2-1 단계(S2-1);
    이어 환자의 혈당측정 데이터를 아이디로 구분하여 함께 서버(900)에서 입력받는 제 2-2 단계(S2-2);
    해당 아이디에 대응하는 환자가 가진 인슐린펌프에 상기 혈당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판단하여 대응 주입량을 서버(900)에서 지령하는 제 2-3 단계(S2-3);
    혈당 측정기 및 인슐린 펌프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데이터를 해당 아이디 별로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변원컴퓨터 본체(810)에 갱신 저장하도록 서버(900)에서 지령하는 제 2-4 단계(S2-4)를 순차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S4)는 주치의 환자의 데이터를 다운시키는 제 4-1단계(S4-1),
    주치의가 판단하여 입력하는 인슐린 주입량의 설정치가 있는지 확인하는 제 4-2단계(S4-2), 및
    인슐린 주입량의 설정이 있으면 본체에 이를 지령하는 제 4-3단계(S4-3)를 서버에서 순차 수행하고;
    본체는 지령을 해당 아이디의 인슐린 펌프에 전달하는 제 4-4단계(S4-4)를 순차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
KR10-2003-0033115A 2003-05-23 2003-05-23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 KR100527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115A KR100527154B1 (ko) 2003-05-23 2003-05-23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
JP2004127152A JP4404682B2 (ja) 2003-05-23 2004-04-22 インターネットを介したインシュリンポンプ制御方法
US11/546,110 US7231263B2 (en) 2003-05-23 2006-10-10 Method for controlling insulin pump through inter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115A KR100527154B1 (ko) 2003-05-23 2003-05-23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695A KR20040100695A (ko) 2004-12-02
KR100527154B1 true KR100527154B1 (ko) 2005-11-08

Family

ID=3353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115A KR100527154B1 (ko) 2003-05-23 2003-05-23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31263B2 (ko)
JP (1) JP4404682B2 (ko)
KR (1) KR1005271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924A (ko) * 2014-03-21 2015-10-05 (주)인와이저 인슐린 통합정보관리 플랫폼을 이용한 혈당관리 시스템
WO2016069475A1 (en) * 2014-10-27 2016-05-06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9886556B2 (en) 2015-08-20 2018-02-06 Aseko, Inc. Diabetes management therapy advisor
RU2737339C2 (ru) * 2016-03-04 2020-11-27 Ф. Хоффманн-Ля Рош Аг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ивания уровня глюкозы у больного диабетом 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бора режима разомкнутого или замкнутого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вве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US11081226B2 (en) 2014-10-27 2021-08-03 Aseko, Inc. Method and controller for administering recommended insulin dosages to a pati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11781C (zh) * 2001-08-20 2007-04-25 因弗内斯医疗有限公司 无线糖尿病管理装置及使用该装置的方法
US8460243B2 (en) 2003-06-10 2013-06-11 Abbott Diabetes Care Inc. Glucose measuring module and insulin pump combination
US7722536B2 (en) 2003-07-15 2010-05-25 Abbott Diabetes Care Inc. Glucose measuring device integrated into a holster for a personal area network device
KR100567837B1 (ko) * 2003-10-24 2006-04-05 케이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혈당측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결합되는 인슐린펌프와, 인슐린 펌프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시스템
US20060010098A1 (en) 2004-06-04 2006-01-12 Goodnow Timothy T Diabetes care host-client architecture and data management system
ITBO20050002A1 (it) * 2005-01-04 2006-07-05 Giacomo Vespasiani Metodo e sistema per la gestione interattiva di dati relativi ad una terapia insulinica in autocontrollo per un paziente diabetico
US20080009680A1 (en) * 2005-06-24 2008-01-10 Hassler William L Jr Remote monitoring and adjustment of a food intake restriction device
ES2352978T3 (es) * 2005-04-06 2011-02-24 Mallinckrodt, Inc. Sistemas y métodos para gestionar la información relacionada con fluidos médicos y recipientes para los mismos.
US9089713B2 (en) 2005-08-31 2015-07-28 Michael Sasha John Methods and systems for semi-automatic adjustment of medical monitoring and treatment
US8870742B2 (en) 2006-04-06 2014-10-28 Ethicon Endo-Surgery, Inc. GUI for an implantable restriction device and a data logger
US20080177149A1 (en) * 2006-06-16 2008-07-24 Stefan Weinert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patient information from which diabetes therapy may be determined
US7706896B2 (en) * 2006-09-29 2010-04-27 Nellcor Puritan Bennett Llc User interface and identification in a medical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080228056A1 (en) 2007-03-13 2008-09-18 Michael Blomquist Basal rate testing using frequent blood glucose input
US20080269673A1 (en) * 2007-04-27 2008-10-30 Animas Corporation Cellular-Enabled Medical Monitoring and Infusion System
US7751907B2 (en) 2007-05-24 2010-07-06 Smiths Medical Asd, Inc. Expert system for insulin pump therapy
US8221345B2 (en) 2007-05-30 2012-07-17 Smiths Medical Asd, Inc. Insulin pump based expert system
US10702174B2 (en) 2007-06-27 2020-07-07 Integra Lifesciences Corporation Medical monitor user interface
EP2031527A1 (en) * 2007-07-27 2009-03-04 Sensile Pat AG Portable medical device
US20090177147A1 (en) 2008-01-07 2009-07-09 Michael Blomquist Insulin pump with insulin therapy coaching
US8986253B2 (en) 2008-01-25 2015-03-24 Tandem Diabetes Care, Inc. Two chamber pumps and related methods
DK2252956T3 (en) * 2008-03-03 2019-03-25 Hoffmann La Roche INSULIN PUMP WITH REPLACEMENT OPPORTUNITIES
US20090271021A1 (en) * 2008-04-28 2009-10-29 Popp Shane M Execution system for the monitoring and execution of insulin manufacture
US10089443B2 (en) 2012-05-15 2018-10-02 Baxter International Inc. Home medic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for therapy prescription and tracking, servicing and inventory
US8057679B2 (en) 2008-07-09 2011-11-15 Baxter International Inc. Dialysis system having trending and alert generation
US20100040490A1 (en) * 2008-08-12 2010-02-18 Anis Rahman Volumetric Infusion Pump and Method
AU2010278894B2 (en) 2009-07-30 2014-01-30 Tandem Diabetes Care, Inc. Infusion pump system with disposable cartridge having pressure venting and pressure feedback
US20110082711A1 (en) 2009-10-06 2011-04-07 Masimo Laboratories, Inc.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organizer for monitoring glucose levels
US8882701B2 (en) * 2009-12-04 2014-11-11 Smiths Medical Asd, Inc. Advanced step therapy delivery for an ambulatory infusion pump and system
US9662438B2 (en) * 2010-02-05 2017-05-30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control of medical devices
US8793623B2 (en) 2011-01-27 2014-07-29 Carefusion 303, Inc. Associating devices in a medical environment
US8361031B2 (en) 2011-01-27 2013-01-29 Carefusion 303, Inc.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devices in a medical environment
US10136845B2 (en) 2011-02-28 2018-11-27 Abbott Diabetes Care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analyte monitoring devices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US9114054B2 (en) 2011-07-24 2015-08-25 Oakwell Distribution, Inc. System for monitoring the use of medical devices
US9180242B2 (en) 2012-05-17 2015-11-10 Tandem Diabetes Care, Inc. Methods and devices for multiple fluid transfer
US9555186B2 (en) 2012-06-05 2017-01-31 Tandem Diabetes Care, Inc. Infusion pump system with disposable cartridge having pressure venting and pressure feedback
US9238100B2 (en) 2012-06-07 2016-01-19 Tandem Diabetes Care, Inc. Device and method for training users of ambulatory medical devices
US10357606B2 (en) 2013-03-13 2019-07-23 Tandem Diabetes C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insulin pumps and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US9173998B2 (en) 2013-03-14 2015-11-03 Tandem Diabetes C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cclusions in an infusion pump
US9636070B2 (en) 2013-03-14 2017-05-02 DePuy Synthes Products,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medical parameters for a patient
US10016561B2 (en) 2013-03-15 2018-07-10 Tandem Diabetes Care, Inc. Clinical variable determination
US9180243B2 (en) 2013-03-15 2015-11-10 Tandem Diabetes Care, Inc. Detection of infusion pump conditions
EP3130369B1 (en) * 2014-04-08 2019-10-09 PHC Holdings Corporation Pharmaceutical injection device, and medical support system and medical support method employing same
JP2015213548A (ja) * 2014-05-08 2015-1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薬液投与装置、コントローラー、薬液投与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WO2016019133A1 (en) 2014-07-30 2016-02-04 Tandem Diabetes Care, Inc. Temporary suspension for closed-loop medicament therapy
CN104524664B (zh) * 2014-12-12 2018-06-26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胰岛素注射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
PL3242699T3 (pl) * 2015-01-08 2021-09-13 Novo Nordisk A/S Moduł bezprzewodowej transmisji danych dla urządzeń do wstrzykiwania leków
CN104667368B (zh) * 2015-03-06 2017-08-15 上海交通大学 控制与计算分离的胰岛素泵动态控制实现方法
KR102549261B1 (ko) 2015-06-25 2023-06-28 감브로 룬디아 아베 분산형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의료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JP6949023B2 (ja) * 2015-12-17 2021-10-1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アミン含有ポリマー、その分散液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US10569016B2 (en) 2015-12-29 2020-02-25 Tandem Diabetes C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closed loop and open loop control of an ambulatory infusion pump
US10541987B2 (en) 2016-02-26 2020-01-21 Tandem Diabetes Care, Inc. Web browser-based device communication workflow
BR112019012719A2 (pt) 2016-12-21 2019-11-26 Gambro Lundia Ab sistema de dispositivo médico incluindo infraestrutura de tecnologia de informação tendo domínio de agrupamento seguro suportando domínio externo
USD853583S1 (en) 2017-03-29 2019-07-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Hand-held device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5099A (en) * 1992-09-09 1999-08-10 Sims Deltec, Inc. Drug pump systems and methods
US6689091B2 (en) * 1996-08-02 2004-02-10 Tuan Bui Medical apparatus with remote control
US7933780B2 (en) * 1999-10-22 2011-04-26 Telaric,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nfusion pump or the like
JP2004532664A (ja) * 2000-12-21 2004-10-28 インシュレ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医療機器の遠隔制御装置及び方法
KR100444661B1 (ko) * 2001-07-11 2004-08-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촉매 컨버터의 제조방법
US20030208113A1 (en) * 2001-07-18 2003-11-06 Mault James R Closed loop glycemic index system
US20040068230A1 (en) * 2002-07-24 2004-04-08 Medtronic Minimed, Inc. System for providing blood glucose measurements to an infusion device
US8512276B2 (en) * 2002-07-24 2013-08-20 Medtronic Minimed, Inc. System for providing blood glucose measurements to an infusion device
US20040122353A1 (en) * 2002-12-19 2004-06-24 Medtronic Minimed, Inc. Relay device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system and a fluid delivery system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070B1 (ko) * 2014-03-21 2016-01-07 주식회사 인와이저 인슐린 통합정보관리 플랫폼을 이용한 혈당관리 시스템
KR20150110924A (ko) * 2014-03-21 2015-10-05 (주)인와이저 인슐린 통합정보관리 플랫폼을 이용한 혈당관리 시스템
US11081226B2 (en) 2014-10-27 2021-08-03 Aseko, Inc. Method and controller for administering recommended insulin dosages to a patient
WO2016069475A1 (en) * 2014-10-27 2016-05-06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9892234B2 (en) 2014-10-27 2018-02-13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10128002B2 (en) 2014-10-27 2018-11-13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11694785B2 (en) 2014-10-27 2023-07-04 Aseko, Inc. Method and dosing controller for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10403397B2 (en) 2014-10-27 2019-09-03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11678800B2 (en) 2014-10-27 2023-06-20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9886556B2 (en) 2015-08-20 2018-02-06 Aseko, Inc. Diabetes management therapy advisor
US11574742B2 (en) 2015-08-20 2023-02-07 Aseko, Inc. Diabetes management therapy advisor
US10380328B2 (en) 2015-08-20 2019-08-13 Aseko, Inc. Diabetes management therapy advisor
RU2737339C2 (ru) * 2016-03-04 2020-11-27 Ф. Хоффманн-Ля Рош Аг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ивания уровня глюкозы у больного диабетом 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бора режима разомкнутого или замкнутого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вве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32891A1 (en) 2007-02-08
US7231263B2 (en) 2007-06-12
JP2004344649A (ja) 2004-12-09
JP4404682B2 (ja) 2010-01-27
KR20040100695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154B1 (ko) 인터넷을 통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
KR100521855B1 (ko) 무선교신이 가능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
US2005026166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sulin pump using Bluetooth protocol
US5376070A (en) Data transfer system for an infusion pump
US6768425B2 (en) Medical apparatus remote control and method
KR100567837B1 (ko) 혈당측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결합되는 인슐린펌프와, 인슐린 펌프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시스템
EP1985322A1 (en) Cellular-enabled medical monitoring an infusion system
ES2640349T3 (es) Adaptador de comunicación para dispositivos médicos o terapéuticos ambulantes
US8882666B1 (en) Personal health monitoring and/or communication system
US6641533B2 (en) Handheld personal data assistant (PDA) with a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70231846A1 (en) Glucose meter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070231209A1 (en) Test strip calibration system for a glucose meter, and method
US20040122353A1 (en) Relay device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system and a fluid delivery system
KR100555108B1 (ko) 무선교신이 가능한 인슐린펌프 제어방법
JP4568523B2 (ja) 無線交信が可能なインシュリンポンプ通信システム
KR102200139B1 (ko) 연속혈당측정기의 동작 제어 장치
KR20080011772A (ko) 생체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P2020534601A (ja) 患者に在宅ケア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30072058A1 (en) Electronic appliance
WO2003014903A2 (en) An operating button with a transparent part for optical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