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758B1 - 하이브리드 냉각탑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758B1
KR100526758B1 KR10-2002-0077397A KR20020077397A KR100526758B1 KR 100526758 B1 KR100526758 B1 KR 100526758B1 KR 20020077397 A KR20020077397 A KR 20020077397A KR 100526758 B1 KR100526758 B1 KR 100526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air
heat
cooling wat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568A (ko
Inventor
서종대
Original Assignee
서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대 filed Critical 서종대
Priority to KR10-2002-007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7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Conden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11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를 가지며, 내부에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기구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케이싱 내에 배기구와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어, 냉각수 및 공기가 대향유동하며 상호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부와; 제1열교환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제1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와 급기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호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부와; 제1열교환부와 제2열교환부 사이에 마련되어,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를 유동하는 냉각수 및 공기를 안내하는 유동안내부재와;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에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살수부와; 배기구로 비산되는 물방울을 케이싱 내로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를 거쳐 냉각된 냉각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집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냉각수의 낙수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고, 냉각탑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며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냉각탑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냉각탑{HYBRID COOLING TOWE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설비 및 냉동. 냉장장치 등에서 냉동기나 산업용 열교환기기는 제거되어야 하는 폐열을 수반하며, 이 폐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냉각매체를 이용하여 폐열을 대기로 방출하여야 한다. 냉각탑의 냉각방식은 피냉각 유체보다 온도가 낮은 대기상의 공기를 강제 대류시키어 현열냉각을 하는 공랭식 냉각과 냉각수와 공기의 접촉에 의한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각하는 증발식 냉각으로 구분되며, 냉각탑은 어떤 다른 냉각장치보다 경제적이고 냉각효과가 크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냉각탑은 냉각수와 공기의 유동형태에 따라 대향류형(counterflow type) 냉각탑과 직교류형(cross flow type) 냉각탑으로 구분되며, 냉각수의 유동 방식은 필러를 거쳐 순환하는 개방식과 밀폐된 냉각코일내를 유동하는 피냉각유체를 냉각하는 밀폐식으로 나누어지며, 냉각은 냉각매체를 물로 하여 증발냉각을 이루는 수냉식과 공기만으로 냉각을 하는 공랭식으로 구분된다. 근래에는 열교환 영역의 증대를 위한 대향류형 필러와 직교류형 필러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냉각탑과 백연방지를 위해 필러와 밀폐된 냉각코일을 구성한 습식과 건식의 열교환부를 갖는하이브리드 냉각탑이 새로운 기술로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향류형 필러와 직교류형 필러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냉각탑은 살수부 아래에 제1열교환부인 대향류형 필러를 설치하고, 대향류형 필러의 하부영역에 제2열교환부인 직교류형 필러를 설치하며, 직교류형 필러는 대개 상호 대향하게 설치되고 중앙 영역에는 공기의 유동과 내부점검을 위한 공기유동 영역을 필수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살수부에서 살수된 냉각수와 급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각 필러를 거치면서 상호 열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있어서는, 대향류형 필러에서 열교환된 냉각수가 상호 대향하게 설치되는 직교류형 필러 중앙의 공기유동영역으로 직접 낙수되므로 집수조내에 저수된 냉각수와 마찰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냉각수가 집수조 표면에 낙수되지 않도록 직교류 필러의 내측면과 대향류 필러의 저면을 격리 영역으로 하여 '∧'자 형태의 물받이 판을 설치하고, 대향류형 필러의 저면과 직교류형 필러의 상부면 사이에 공기유동 공간 없이 직접 밀착하여 배치하므로 인해, 냉각수 유동의 편중과 급기구로부터 직교류형 필러를 거쳐 대향류형 필러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균일하지 아니할 뿐만이 아니라 냉각탑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저항이 증대되어 냉각탑의 열교환 효율 저하와 송풍팬의 동력 상승으로 운전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직교류형 필러와 밀폐된 냉각코일을 구성한 습식의 직교류 냉각탑 형태의 하이브리드 냉각탑은, 냉각코일의 상부층 또는 중간층 또는 하부층에 살수순환펌프를 통해 살수되는 냉각수의 냉각을 위해 직교류형 필러를 구성하여 냉각코일내를 유동하는 피냉각유체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제한된 열교환 영역내에서 직교류형 필러와 냉각코일의 구성과 지지가 복잡하고 별도의 수적음 감소장치를 하지 않는 한 낙수소음을 저감하기 어려우며, 원가와 운전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백연방지 목적으로 이용되는 대향류형 필러와 밀폐된 냉각코일을 구성한 습식과 건식의 대향류 냉각탑 형태의 하이브리드 냉각탑은 살수부의 상부 케이싱 일측을 개구하여 공기유입구를 형성하고 공기유입구에 밀착하여 밀폐된 냉각코일을 설치하며, 유입되는 외기와 냉각 열교환설비로부터 순환되는 고온의 냉각수는 냉각코일을 유동하면서 열교환을 이루고, 냉각코일을 통과한 고온의 건조공기는 대향류형 필러를 거쳐 열교환을 이루고 송풍팬을 향해 유동되는 습공기와 혼합되어 습기를 저감시키며, 냉각코일을 거친 냉각수는 연이어 살수부의 냉각수 유입관과 살수노즐을 통해 대향류 필러에 살수된다. 따라서, 저온의 대기온도에서 냉각탑 운전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백연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냉각코일로부터 유동되는 고온의 건조공기와 대향류 필러로부터 유동되는 고온의 습공기를 적절히 혼합시키는 공기혼합장치와 냉각코일의 외장에 따른 구조물 등의 부설로 인해 구조가 복잡해지고 원가 또한 크게 상승되며, 별도의 수적음 감소장치를 하지 않는 한 낙수소음을 저감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의 낙수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고, 냉각탑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며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탑 내에 습식과 건식으로 운전할 수 있는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흡수용액을 냉각 흡수하는 흡수기 등의 피냉각유체의 전열관을 냉각탑 내에 구성하여, 냉각효율의 향상과 원가 및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있어서,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를 가지며, 내부에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배기구와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어, 냉각수 및 공기가 대향유동하며 상호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와 상기 급기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호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2열교환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를 유동하는 냉각수 및 공기를 안내하는 유동안내부재와;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에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살수부와; 상기 배기구로 비산되는 물방울을 상기 케이싱 내로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를 거쳐 냉각된 냉각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집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냉각탑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동안내부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향 경사를 이루며 배치되는 복수의 유동안내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안내부재는 상기 제1열교환부 하부에 구성된 한쌍의 제2열교환부 사이의 공기유동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제1열교환부로부터 상기 제2열교환부의 공기유동 영역으로 향하는 냉각수와 상기 급기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열교환부와 공기유동 영역을 거쳐 상기 제1열교환부로 향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동안내부재는 제1열교환부 하부의 상기 제2열교환부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열교환부로부터 상기 집수조로 향하는 냉각수를 상기 제2열교환부로 안내하며 상기 급기구로부터 상기 제2열교환부를 거쳐 상기 제1열교환부로 향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양흡입 설치에 제약이 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편흡입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있어서 급기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의 상부 일측 또는 좌우측에 상기 케이싱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를 향해 공기가 하향 유동되는 상부급기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열교환부는 대향류형 필러, 피냉각 유체를 냉각하는 냉각수 전열관, 응축기 전열관, 흡수기 전열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열관은 습식과 건식 겸용인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격벽으로 구획된 건식 열교환부와, 급기구와, 건식 전열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은 개방형으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13)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7)를 가지며 내부에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11)과, 급기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기구(17)로 배출시키는 송풍팬(19)과, 케이싱(11) 내에 배기구(17)와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어 냉각수 및 공기가 대향유동하며 상호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부로서 대향류형 필러(21)와, 대향류형 필러(21)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대향류형 필러(21)를 통과한 냉각수와 급기구(13)로 유입된 공기가 상호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부로서 내측 단부에 출구루버(24)가 형성된 직교류형 필러(23)와, 대향류형 필러(21)와 직교류형 필러(23) 사이에 마련되어 대향류형 필러(21) 및 직교류형 필러(23)를 유동하는 냉각수 및 공기를 안내하는 유동안내부재(37a)와, 대향류형 필러(21) 및 직교류형 필러(23)에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살수부(41a)와, 배기구(17)로 비산되는 물방울을 케이싱(11) 내로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51)와,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를 거쳐 냉각된 냉각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집수조(53)를 포함한다.
케이싱(11)은 내부에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며 통형상을 가진다. 케이싱(11)의 양측벽에는 공기가 케이싱(11) 내로 급기되는 급기구(13)가 마련되어 있으며, 케이싱(11)의 상부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17)가 마련되어 있다. 급기구(13)에는 케이싱(11)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루버(15)가 마련되어 있다.
배기구(17)에는 급기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기구(17)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19)이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11) 내의 상단 영역, 즉 배기구(17)와 인접한 영역에는 냉각수 및 공기가 대향 유동하며 상호 열교환하는 하나의 대향류형 필러(21)가 마련되어 있다. 대향류형 필러(21)에는 직교류형 필러(23)로부터 배기구(17)로 향하는 공기가 수직 상향 유동함과 동시에, 후술할 살수부(41a)의 살수노즐(45)로부터 분사된 고온의 냉각수가 수직 하향 유동하여, 이에 고온의 냉각수와 공기가 상호 대향하면서 증발 열교환하여 냉각수는 냉각된다.
대향류형 필러(21)의 하부에는 대향류형 필러(2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한쌍의 직교류형 필러(23)가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직교류형 필러(23)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 급기구(13)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향류형 필러(21)를 통과한 냉각수 및 급기구(13)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직교류형 필러(23)에서 상호 교차하면서 증발 열교환되어, 냉각수는 냉각된다. 여기서, 직교류형 필러(23)를 거쳐 집수조(53)로 향하는 냉각수의 낙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직교류형 필러(23)의 저부 영역은 집수조(53)에 침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대향류형 필러(21) 저면과 한쌍의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부면 사이에는 냉각수 및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부(3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유동공간부(31)와 공기유동영역(33) 사이에는 대향류형 필러(21)로부터 공기유동영역(33)를 향하는 냉각수와 공기유동영역(33)으로부터 대향류형 필러(21)로 향하는 공기의 유동을 양방향으로 안내하는 유동안내부재(37a)가 마련되어 있다.
유동안내부재(37a)는, 대향류형 필러(21) 및 직교류형 필러(23)를 유동하는 냉각수 및 공기를 소정의 목적 방향으로 안내와 공기유동영역(33) 내로 냉각수가 누출되는 막는 물막이벽(미도시)을 갖는 복수의 유동안내판(39)을 가진다.
유동안내판(39)들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 직교류형 필러(23)를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이에, 유동안내부재(37a)는 전체적으로 계단형상을 이룬다.
대향류형 필러(21)의 상부에는 대향류형 필러(21) 및 직교류형 필러(23)에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살수부(41a)가 마련되어 있다. 살수부(41a)는, 고온의 냉각수가 유입되어 고온의 냉각수를 분배 공급하는 냉각수 분배관(43)과, 냉각수 분배관(43)에 설치되어 대향류형 필러(21)의 상단을 향해 고온의 냉각수를 압력 살수하는 다수의 살수노즐(45)을 갖는다.
대향류형 필러(21)와 송풍팬(19) 사이에는 엘리미네이터(51)가 마련되어 있으며, 엘리미네이터(51)는 배기구(17)로 비산되는 물방울을 냉각탑 내로 회수하는 작용을 한다.
직교류형 필러(23)의 하부에는 직교류형 필러(23)를 거쳐 냉각된 냉각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집수조(53)가 마련되어 있다.
집수조(53)의 하부에는 집수된 냉각수를 저장하여 열교환설비(미도시)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조(55)가 마련되어 있으며, 배출조(55)내의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57)를 통해 열교환설비로 공급되고, 열교환설비에서 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수는 냉각탑으로 재순환하게 된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59는 작업자가 냉각탑을 점검 및 보수하기 위해 출입하는 점검문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송풍팬(19)을 작동시키면, 송풍팬(19)의 송풍작용에 의해 급기구(1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직교류형 필러(23)를 통해 상향 및 수평방향으로 통과하면서 대향류형 필러(21)를 거쳐 집수조(53)를 향해 하향 유동하는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을 하게 된다. 한편, 직교류형 필러(23)를 수평방향으로 통과하는 공기는 공기유동영역(33)을 통해 유동안내부재(37a)의 각 유동안내판(39) 사이로 유동하여 대향류형 필러(21)를 향해 상향 유동하게 되며 대향류 필러(23)를 통해 공기유동영역(33)으로 향하는 냉각수는 유동안내부재(37a)의 각 유동안내판(39)의 면을 타고 직교류형 필러(23)로 유동된다. 이 때, 직교류형 필러(23)를 통해 공기유동영역(33)으로 향하는 공기는 유동안내부재(37a)에 의해 대향류형 필러(21)로 균일하게 유동되며, 이에 전반적으로 냉각탑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저항이 감소하여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직교류형 필러(23)를 통과한 공기는 대향류형 필러(21)로 유동하여 다시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한 후 배기구(17)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냉각수 분배관(43)에 공급되는 고온의 냉각수는 살수노즐(45)에 의해 대향류형 필러(21)의 상단에 고르게 압력 살수된다. 대향류형 필러(21)에 살수된 고온의 냉각수는 직교류형 필러(23)를 향해 수직 하향 유동하면서 직교류형 필러(23)로부터 배기구(17)를 향해 수직 상향 유동하는 공기와 증발 열교환하여, 1차 냉각된다. 대향류형 필러(21)에서 1차 냉각된 냉각수는 직교류형 필러(23)를 수직 하향 유동하면서 급기구(13)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증발 열교환하여, 2차 냉각된다. 그리고, 대향류형 필러(21)를 통과하여 공기유동영역(33)으로 향하는 1차 냉각된 냉각수는 집수조(53)를 향해 바로 낙수하지 않고 유동안내부재(37a)의 유동안내판(39)들을 따라 하향 유동하면서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단으로 공급된다. 이 때, 냉각수의 낙수로 인한 소음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직교류형 필러(23)에서는 냉각수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냉각탑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
2차 냉각된 냉각수는 집수조(53)에 집수되며, 집수된 냉각수는 배출조(55)를 거쳐 냉각수 배출구(57)를 통해 열교환설비로 공급되며, 열교환설비(미도시)로부터 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수는 냉각탑으로 재순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대향류형 필러와 직교류형 필러 사이에 대향류형 필러와 직교류형 필러를 유동하는 냉각수 및 공기를 안내하는 유동안내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직교류형 필러를 거쳐 대향류형 필러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균일하게 되어 냉각탑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저항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각 필러에서의 냉각수와 공기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여 냉각탑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며 운전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대향류형 필러(21)와 직교류형 필러(23)가 조합된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대향류형 필러(21)의 열교환 영역의 확대에 따른 원활한 공기유동을 위해 대향류형 필러(21)의 소정 저부영역이 '∧'자 형상으로 절취되어 유동안내부재(37a)에 장착공간을 마련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제 1열교환부는 냉매, 부동액, 냉각수 등의 피냉각유체를 냉각하며, 대기온도와 냉각부하에 따라 습식(냉각수를 살수하여 증발냉각)과 건식(공기만 유동시키어 냉각)운전이 가능한 밀폐형으로서, 냉매, 냉각수 등의 피냉각유체를 전술한 제1실시예의 대향류형 필러(21) 대신에 피냉각 유체가 유동하는 관상체로 이루어진 한쌍의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이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은 한쌍의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부영역에 대응 배치되어 있다.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은 피냉각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27) 및 배출구(29)를 가진다.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의 유입구(27)는 냉각수 분배관(43)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배출구(29)는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부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직교류형 필러(23)는 습,건식 냉각전열관(25) 내의 피냉각 유체로부터 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송풍팬(19)을 작동시키면, 송풍팬(19)의 송풍작용에 의해 급기구(1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직교류형 필러(23)거쳐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의 표면으로 유동하면서 살수노즐(45)을 통해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의 표면과 직교류형 필러(23)로 하향 유동하는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을 하게 된다. 그리고, 직교류형 필러(23)를 통과하여 수평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유동안내부재(37a)의 각 유동안내판(39) 사이로 유동하여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을 향해 상향 유동하게 되며,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을 유동하는 공기는 다시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한후 배기구(17)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직교류형 필러(23)로부터 습,건식 냉각전열관(25)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은 유동안내부재(37a)에 의해 균일하게 되어, 전반적으로 냉각탑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저항이 감소하여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냉각수 분배관(43)으로 유입된 고온의 냉각수는 살수노즐(45)에 의해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의 표면에 고르게 압력 살수된다.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의 표면에 살수된 고온의 냉각수는 직교류형 필러(23)로부터 배기구(17)를 향해 수직 상향 유동하는 공기와 상호 열교환하여 증발냉각을 일으키면서 습,건식 냉각전열관(25) 내를 유동하는 피냉각 유체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피냉각 유체가 냉각되며, 냉각 유체는 배출구(29)를 통해 열교환설비(미도시)로 공급되고 열교환설비(미도시)로부터 열을 흡수한 고온의 피냉각 유체는 유입구(27)을 통해 습,건식 냉각전열관(25)로 재순환된다. 습,건식 냉각전열관(25) 내를 유동하는 피냉각 유체의 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수는 급기구(13)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직교류형 필러(23)를 유동하면서 증발 열교환하여 냉각된 후 집수조(53)에 집수되고 다시 집수조(53)의 배출구(미도시)와 살수부(41a)를 연결하는 순환배관(미도시)과 살수 순환펌프(미도시)를 통해 살수부(41a)로 재살수된다. 이 때,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을 통과하여 공기유동영역(33)으로 향하는 고온의 냉각수는 집수조(53)를 향해 바로 낙수하지 않고, 유동안내부재(37a)의 유동안내판(39)들을 따라 하향 유동하면서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단으로 공급됨으로써, 냉각수의 낙수로 인한 소음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직교류형 필러(23)에서는 냉각수와 공기 열교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냉각탑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케이싱 일측에 급기구(13)를 갖으며, 대향류형 필러(21)하부에 직교류형 필러(23)가 구성되고 대향류형 필러(21)의 일측 저부와 직교류형 필러(23)의 내측 단부와 케이싱(11) 사이를 공기유동영역(33)으로 하며, 공기유동영역(33) 상부에는 대향류형 필러(21)의 일측 저부에서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부면으로 경사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공기와 냉각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안내부재(37b)를 갖는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전술한 도 4의 제4실시예와는 달리 제1열교환부로서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이 마련되고,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의 하부에 직교류형 필러(23)가 구성되고,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의 일측 저부와 직교류형 필러(23)의 내측 단부와 케이싱(11) 사이를 공기유동영역(33)으로 하며, 공기유동영역(33) 상부에는 습,건식 냉각 전열관(25)의 일측 저부에서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부면으로 경사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공기와 냉각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안내부재(37b)를 갖는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제4실시예와 제5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급기구(13)로 구성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케이싱(11)의 좌우측에 급기구를 부가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4실시예와 제5실시예들에서는 배기구(17)와 송풍팬(19)이 케이싱(11)의 천정부 일측에 구성되는 것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케이싱(11)의 천정부의 중앙 또는 다른 일측에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건식 열교환부(70)와 건식 냉각전열관(75)을 가지며, 대향류형 필러(21)와 직교류형 필러(23)로 조합된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건식 열교환부(70)를 구성하며 건식 냉각전열관(75)을 향해 공기를 하향 유동시키는 상부급기루버(72)를 더 포함한다.
상부급기루버(72)는 케이싱(11)의 상부 일측에 개구된 상부급기구(미도시) 내에 마련된다.
상부급기루버(72)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건식 냉각전열관(75)과, 배기구(17)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대향류형 필러(21)를 가지며, 건식 냉각전열관(75)과 대향류형 필러(21)의 열교환 영역은 격벽(74)에 의해 상호 구획되어 있다. 건식 냉각전열관(75)은 피냉각유체의 유입구(76)와 배출구(77)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송풍팬(19)을 작동시키면, 송풍팬(19)의 송풍작용에 의해 급기구(1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직교류형 필러(23)를 통해 상향 및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면서 대향류형 필러(21)를 거쳐 집수조(53)를 향해 하향 유동하는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을 하게 된다. 한편, 직교류형 필러(23)를 수평으로 유동한 공기는 유동안내부재(37b)의 유동안내판(39)들 사이를 통하여 대향류형 필러(21)를 향해 상향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직교류형 필러(23)로부터 대향류형 필러(21)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은 유동안내부재(37b)에 의해 균일하게 되어, 전반적으로 냉각탑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부급기루버(72)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유동영역(73)을 통해 건식 냉각전열관(75)로 하향 유동하면서 건식 냉각전열관(75) 내를 유동하는 피냉각유체와 열교환한 후, 직교류형 필러(23)를 통과한 공기와 합류하여 대향류형 필러(21)로 유동하게 된다.
직교류형 필러(23) 및 건식 냉각전열관(75)을 통과한 공기는 대향류형 필러(21)로 유동하여 다시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한 후, 배기구(17)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대향류형 필러(21)의 상부에 구성되는 제1살수부(41a)에 냉각수 분배관(43)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냉각수는 살수노즐(45)에 의해 대향류형 필러(21)의 상단에 고르게 압력 살수되고, 건식 냉각전열관(75)의 하부에 구성된 제2살수부(41b)에 냉각수 분배관(46)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냉각수는 살수노즐(47)에 의해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단에 고르게 압력 살수된다. 대향류형 필러(21)에 살수된 고온의 냉각수는 직교류형 필러(23)를 향해 하향 유동하면서 상부급기루버(72)로부터 유입되어 건식 냉각전열관(75)을 하향 유동하는 공기와 건식 냉각전열관(75) 내를 유동하는 피냉각유체가 냉각 열교환하며, 또한, 대향류형 필러(21)에 살수된 고온의 냉각수는 직교류형 필러(23)를 향해 하향 유동하면서 직교류형 필러(23) 및 건식 냉각전열관(75)으로부터 배기구(17)를 향해 상향 유동하는 공기와 증발 열교환하여, 1차 냉각된다. 대향류형 필러(21)에서 1차 냉각된 냉각수는 직교류형 필러(23)를 하향 유동하면서 급기구(13)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증발 열교환하여, 2차 냉각된다. 한편, 대향류형 필러(21)를 통과하여 공기유동영역(33)으로 향하는 1차 냉각된 냉각수는 집수조(53)를 향해 바로 낙수하지 않고 유동안내부재(37b)의 유동안내판(39)들을 따라 하향 유동하면서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단으로 공급된다.
2차 냉각된 냉각수는 집수조(53)에 집수되며, 집수된 냉각수는 배출조(55)를 거쳐 냉각수 배출구(57)를 통해 열교환설비(미도시)로 공급되며, 열교환설비로부터 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수는 냉각탑으로 재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수의 낙수로 인한 소음과 배출공기에서 발생되는 백연이 저감될 뿐만이 아니라 건식 냉각 전열관(75)을 용이하게 구성하여 열교환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냉각탑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고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서, 전술한 제6실시예와는 달리, 제1열교환부로서 습,건식 냉각전열관(25)과 건식 냉각전열관(75)과 하나의 직교류형 필러(23)가 조합된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상부급기루버(72)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건식 냉각전열관(75)과, 배기구(17)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을 가지며, 건식 냉각전열관(75)과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의 열교환 영역은 격벽(74)에 의해 상호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송풍팬(19)을 작동시키면, 송풍팬(19)의 송풍작용에 의해 급기구(1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직교류형 필러(23)를 통해 상향 및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을 거쳐 집수조(53)를 향해 하향 유동하는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을 하게 된다. 한편, 직교류형 필러(23)를 수평으로 유동한 공기는 유동안내부재(37b)의 유동안내판(39)들 사이로 통하여 습,건식 냉각전열관(25)를 향해 상향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직교류형 필러(23)로부터 대향류형 필러(21)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은 유동안내부재(37b)에 의해 균일하게 되어, 전반적으로 냉각탑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부급기루버(72)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유동영역(73)을 통해 건식 냉각전열관(75)로 하향 유동하면서 건식 냉각전열관(75) 내를 유동하는 피냉각유체와 열교환한 후, 직교류형 필러(23)를 통과한 공기와 합류하여 습,건식 냉각전열관(25)으로 유동하게 된다.
직교류형 필러(23) 및 건식 냉각전열관(75)을 통과한 공기는 습,건식 냉각전열관(25)으로 유동하여 다시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한 후, 배기구(17)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의 상부에 구성되는 제1살수부(41a)에 냉각수 분배관(43)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냉각수는 살수노즐(45)에 의해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의 상단에 고르게 압력 살수되고, 건식 냉각전열관(75)하부에 구성된 제2살수부(41b)에 냉각수 분배관(43b)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냉각수는 살수노즐(47)에 의해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단에 고르게 압력 살수된다. 습,건식 냉각전열관(25)에 살수된 고온의 냉각수는 직교류형 필러(23)를 향해 수직 하향 유동하면서 상부급기루버(72)로부터 유입되어 건식 냉각전열관(75)을 하향 유동하는 공기와 건식 냉각전열관(75) 내를 유동하는 피냉각유체가 냉각 열교환하며, 또한, 습,건식 냉각전열관(25)에 살수된 고온의 냉각수는 직교류형 필러(23)를 향해 수직 하향 유동하면서 직교류형 필러(23) 및 건식 냉각전열관(75)으로부터 배기구(17)를 향해 상향 유동하는 공기와 증발 열교환하여, 1차 냉각된다. 습,건식 냉각전열관(25)에서 1차 냉각된 냉각수는 직교류형 필러(23)를 하향 유동하면서 급기구(13)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증발 열교환하여, 2차 냉각된다. 한편,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을 통과하여 공기유동영역(33)으로 향하는 1차 냉각된 냉각수는 집수조(53)를 향해 바로 낙수하지 않고 유동안내부재(37b)의 유동안내판(39)들을 따라 하향 유동하면서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단으로 공급된다.
2차 냉각된 냉각수는 집수조(53)에 집수되며, 집수된 냉각수는 배출조(55)를 거쳐 냉각수 배출구(57)를 통해 열교환설비(미도시)로 공급되며, 열교환설비로부터 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수는 냉각탑으로 재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수의 낙수로 인한 소음과 배출공기에서 발생되는 백연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응축기 등의 습-건식 냉각전열관(25)과 건식 냉각전열관(75)을 용이하게 구성하고 습식과 건식운전이 가능하게 하여 열교환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냉각탑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고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제6실시예와 제7실시예들에서는 각 하나의 급기구(13)와 상부급기루버(72)가 구성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케이싱(11)의 좌우측에 급기구(13)와 상부급기루버(72)를 부가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습식 열교환부(80)와 건식 열교환부(70)를 구성하며, 습식과 건식운전, 습식 운전 및 건식운전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이하, 습식 열교환부(80)의 살수부(41a)와 대향류형 필러(21)와, 유동안내부재(37a)와 직교류형 필러(23) 등의 구성과 작용의 설명은 전항의 설명과 유사하게 때문에 생략하고, 건식 열교환부(70)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싱(11)의 열교환 영역 내의 일측은 건식 열교환부(70)가 마련되고 타측은 습식 열교환부(80)가 마련되며, 각 열교환부(70, 80)는 격벽(74)에 의해 상호 구획된다. 건식 열교환부(70)의 하부에는 공기를 유입하여 배기구(17)을 향해 유동시키는 저부급기구(미도시)가 구성되며, 저부급기구(미도시) 내에는 건식 열교환 영역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공기유입 댐퍼(71)가 마련되어 있다. 건식 열교환부(70)의 건식 열교환 영역(78)에는 피냉각유체의 유입구(76)와 배출구(77)를 갖는 건식 냉각전열관(75)이 수용 설치되고, 건식 냉각전열관(75)을 통해 열교환을 이룬 고온의 건조공기를 케이싱(11)의 천정부(미도시)와 격벽(74) 사이에 마련된 공기 유동 개구부(미도시)와 배기구(17)를 향해 원활하게 유동시키는 공기유동안내부재(79)가 케이싱(11)의 천정부의 일측과 격벽(74)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송풍팬(19)을 작동시키면, 송풍팬(19)의 송풍작용에 의해 공기유입 댐퍼(7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건식 냉각전열관(75)를 통해 유동하면서 건식 냉각전열관(75) 내를 유동하는 피냉각유체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피냉각유체가 냉각 또는 응축되어 열교환설비(미도시) 또는 열원장치(미도시)로 재순환 되며, 냉각 열교환과정을 마친 고온의 건조공기는 공기유동안내부재(79)를 통해 공기배출구(17)를 향해 유동되며 송풍팬(19) 하부의 공기유동 공간에서 습식 열교환부(80) 내의 대향류형 필러(21)를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습공기와 혼합되어 배기구(17)로 배출된다.
따라서, 냉각수의 낙수로 인한 소음과 배출공기에서 발생되는 백연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응축기 등의 건식 냉각전열관을 용이하게 구성하고 습식과 건식운전이 가능하게 하여 열교환 면적이 증대되어 냉각탑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고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은 전술한 제8실시예와는 달리 습식 열교환부 대신에 습,건식 열교환부(90)를 구성하는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습, 건식 열교환부(90)영역에는 냉매, 부동액, 흡수액, 냉각수 등의 피냉각유체를 냉각하며, 대기온도와 냉각부하 따른 제어에 의해 습식(냉각수를 살수하여 증발냉각) 또는 건식(공기만 유동시키어 냉각)운전이 가능한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이 마련되어 있다. 습,건식 냉각전열관(25)는 한쌍의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부영역에 대응 배치되어 있다.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은 피냉각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27) 및 배출구(29)를 가진다.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의 유입구(27)는 냉각수 분배관(43)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배출구(29)는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부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습식 운전일 경우 급기구(1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직교류형 필러(23)의 상향 및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을 거쳐 집수조(53)를 향해 하향 유동하는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을 하게 된다.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을 유동하면서 열을 흡수한 고온의 습공기는 건식 열교환부(7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건조공기와 혼합되어 배기구(17)로 배출된다.
그리고, 건식 운전일 경우 냉각수의 살수펌프(미도시)는 정지되고 이어 살수노즐(45)로부터의 살수도 차단되며 급기구(1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의 표면을 유동하면서 습,건식 냉각전열관(25) 내를 유동하는 피냉각유체와 냉각 열교환하며 열을 흡수한 고온의 건조공기는 배기구(17)로 배출된다.
건식 열교환부(80)와 습,건식 열교환부(90)을 통해 배기구(17)로 배출되는 고온 저습도의 혼합공기는 백연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직교류형 필러(23)로부터 습,건식 냉각전열관(25)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은 유동안내부재(37a)에 의해 균일하게 되어, 전반적으로 냉각탑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습,건식 냉각전열관(25)을 통과하여 공기유동영역으로 향하는 냉각수는 집수조(53)에 바로 낙수하지 않고 유동안내부재(37a)의 유동안내판(미도시)들의 경사면을 따라 하향 유동하면서 직교류형 필러(23)의 상단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냉각수의 우회흐름을 차단하고 냉각수의 낙수로 인한 소음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냉각수와 공기의 열교환 면적이 증대되어 냉각탑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며 운전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8실시예와 제9실시예들에서는 배기구와 송풍팬이 케이싱의 천정부 일측에 구성되는 것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케이싱의 천정부 중앙 또는 다른 일측에도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제8실시예와 제9실시예들에서는 습,건식 열교환부가 건식 열교환부 보다 더 큰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각 열교환부의 냉각부하에 따라 크기가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제8실시예와 제9실시예들에서는 습,건식 열교환부와 건식 열교환부의 급배기를 하나의 송풍팬으로 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건식 열교환부만 운전할 경우를 대비하여 보다 경제적인 방법으로서 건식 열교환부 전용 송풍팬을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8실시예서는 습식과 건식 겸용 냉각 열교환기를 지그재그형 냉각 코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구조 및 형태의 냉각 전열관과 열교환 핀(fin)등의 전열면적이 고려된 냉각 전열관의 적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전술한 전체항의 실시예들에서는 흡입식 송풍팬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압입송풍식 송풍팬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대기와 직접 접하는 급기구, 상부급기루버 및 공기유입 댐퍼와 배기구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각 급기구와 배기구에 덕트연결 부재를 구성하고 배기구 또는 배기덕트에 고정압 팬을 배치하여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냉각탑을 실내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전체항의 실시예들에서는 냉각수와 공기 유동의 안내를 양방향으로 하는 것과 일방향으로 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3방향 또는 4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전체항의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유동안내부재의 구조와는 달리 유동안내판에 다수의 물막이 돌기가 구성된 통기구와 통기구 상부에서 소정의 영역으로 냉각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 캡을 구성하는 구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다른 형태와 구조를 갖는 냉각수 및 공기의 유동안내 부재도 본 발명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습,건식 열교환부와 직교류형 필러로의 유동하는 냉각수 및 공기를 안내하는 유동안내부재를 공기유동 영역에 마련함으로써, 열교환 영역 내에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균일하게 되어 냉각탑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저항과 낙수소음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열교환 면적이 증대하여 냉각탑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며 운전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수의 낙수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고, 습식과 건식으로 운전할 수 있는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흡수기 등의 피냉각유체의 전열관을 냉각탑 내에 용이하게 구성하여 냉각효율의 향상과 원가 및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케이싱 13 : 급기구
17 : 배기구 19 : 송풍팬
21 : 대향류형 필러 23 : 직교류형 필러
25 : 습, 건식 냉각전열관 31 : 유동 공간부
33 : 공기유동영역 37a,37b : 유동안내부재
39 : 유동안내판 41a,41b : 살수부
51 : 엘리미네이터 53 : 집수조
70 : 건식 열교환부 72 : 상부 급기루버
75 : 건식 냉각전열관 80 : 습식 열교환부
90 : 습,건식 열교환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있어서,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를 가지며, 내부에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배기구와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어, 냉각수 및 공기가 대향유동하며 상호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와 상기 급기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호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에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살수부와;
    상기 배기구로 비산되는 물방울을 상기 케이싱 내로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를 거쳐 냉각된 냉각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집수조와;
    상기 제1열교환부 하부의 상기 제2열교환부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열교환부로부터 상기 집수조로 향하는 냉각수를 상기 제2열교환부로 안내하며 상기 급기구로부터 상기 제2열교환부를 거쳐 상기 제1열교환부로 향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냉각탑.
  5.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있어서,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를 가지며, 내부에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배기구와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어, 냉각수 및 공기가 대향유동하며 상호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와 상기 급기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호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2열교환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를 유동하는 냉각수 및 공기를 안내하는 유동안내부재와;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에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살수부와;
    상기 배기구로 비산되는 물방울을 상기 케이싱 내로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를 거쳐 냉각된 냉각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집수조와;
    상기 케이싱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를 향해 공기가 하향 유동되는 상부급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냉각탑.
  6. 삭제
  7.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있어서,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를 가지며, 내부에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배기구와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어, 냉각수 및 공기가 대향유동하며 상호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와 상기 급기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호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2열교환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를 유동하는 냉각수 및 공기를 안내하는 유동안내부재와;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에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살수부와;
    상기 배기구로 비산되는 물방울을 상기 케이싱 내로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를 거쳐 냉각된 냉각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집수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열교환부는 대향류형 필러, 피냉각 유체를 냉각하는 냉각수 전열관, 응축기 전열관, 흡수기 전열관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전열관은 습식과 건식 겸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냉각탑.
  8. 하이브리드 냉각탑에 있어서,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를 가지며, 내부에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배기구와 인접한 영역에 마련되어, 냉각수 및 공기가 대향유동하며 상호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와 상기 급기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호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2열교환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를 유동하는 냉각수 및 공기를 안내하는 유동안내부재와;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에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살수부와;
    상기 배기구로 비산되는 물방울을 상기 케이싱 내로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교환부를 거쳐 냉각된 냉각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집수조와;
    격벽으로 구획된 건식 열교환부와, 건식 전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냉각탑.
KR10-2002-0077397A 2002-12-06 2002-12-06 하이브리드 냉각탑 KR100526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397A KR100526758B1 (ko) 2002-12-06 2002-12-06 하이브리드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397A KR100526758B1 (ko) 2002-12-06 2002-12-06 하이브리드 냉각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569U Division KR200315236Y1 (ko) 2003-03-04 2003-03-04 하이브리드 냉각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568A KR20040049568A (ko) 2004-06-12
KR100526758B1 true KR100526758B1 (ko) 2005-11-09

Family

ID=3734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397A KR100526758B1 (ko) 2002-12-06 2002-12-06 하이브리드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7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1009A1 (en) 2018-10-17 2020-04-23 Verdus Technologies Pte. Ltd. Cool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oling a waterflow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261B1 (ko) * 2012-07-06 2015-03-19 주식회사 경인기계 지하 공간용 환기 장치를 이용하는 냉각탑 및 열교환 시스템
KR101645960B1 (ko) * 2014-08-14 2016-08-05 주식회사 경인기계 냉각탑 및 냉각 시스템
KR101583444B1 (ko) * 2015-03-18 2016-01-07 (주)풍천엔지니어링 백연저감 밀폐식 직교류냉각탑 및 이를 이용한 외기냉방시스템
CN108332574A (zh) * 2018-03-12 2018-07-27 蕉岭县飞扬机电有限公司 一种冷却塔
CN108662916B (zh) * 2018-05-24 2024-04-09 山东贝诺冷却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冷却塔
CN109282689B (zh) * 2018-11-09 2020-11-06 四川中乙制冷设备有限公司 冷却塔喷水管结构
KR102054006B1 (ko) * 2019-06-28 2019-12-12 주식회사 이피에스솔루션 배가스 응축 및 다단 열회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6261U (ko) * 1976-04-12 1977-10-17
KR19990064525A (ko) * 1999-03-30 1999-08-05 김재돌 하이브리드형 냉각탑
KR20010017120A (ko) * 1999-08-07 2001-03-05 서종대 압력 살수식 직교류형 냉각탑
KR20010020085A (ko) * 1999-08-05 2001-03-15 서종대 대향류형과 직교류형의 조합유동형 냉각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6261U (ko) * 1976-04-12 1977-10-17
KR19990064525A (ko) * 1999-03-30 1999-08-05 김재돌 하이브리드형 냉각탑
KR20010020085A (ko) * 1999-08-05 2001-03-15 서종대 대향류형과 직교류형의 조합유동형 냉각탑
KR20010017120A (ko) * 1999-08-07 2001-03-05 서종대 압력 살수식 직교류형 냉각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1009A1 (en) 2018-10-17 2020-04-23 Verdus Technologies Pte. Ltd. Cool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oling a waterflow
EP3867586A4 (en) * 2018-10-17 2022-07-13 JS Creates Pte Ltd COOLING DEVICE AND METHOD FOR COOLING A WATER STREAM
US11852417B2 (en) 2018-10-17 2023-12-26 Js Creates Pte. Ltd. Cool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oling a waterf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568A (ko) 200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3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porative cooling of a cooling fluid
RU212569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теплообмена
CN101634476B (zh) 一种闭式蒸发冷却高温冷水机组
KR20110094503A (ko) 복합식 냉각장치
KR20110047623A (ko) 열교환용 충진재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 냉각탑
CN103502760A (zh) 冷却流体的蒸发冷却装置及方法
KR20140078351A (ko) 히트펌프가 구비된 가열탑
KR100526758B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KR20130060694A (ko) 냉각탑
KR20140075399A (ko) 가열탑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설비
KR200315236Y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KR20060127550A (ko) 이동형 수냉식 에어컨
JPH1078265A (ja) 空冷吸収式空調機
KR100730295B1 (ko) 냉각탑
CN102997346A (zh) 一种新型高能效降温型除湿机
TWM615724U (zh) 複合式消霧冷卻水塔
KR20140005681A (ko) 지하 공간용 환기 장치를 이용하는 냉각탑 및 열교환 시스템
KR101895937B1 (ko) 압입송풍형 대향류냉각탑
KR20080024598A (ko) 알루미늄 루버를 적용한 4면 흡입형 대향류 냉각탑
CN201199078Y (zh) 空调器
KR20190107460A (ko) 외기를 이용한 자가응축 수단을 구비한 용수절감 냉각탑
KR101121173B1 (ko) 열교환용 충진재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 향류형 냉각탑
KR100283743B1 (ko) 하이브리드형 냉각탑
KR100479838B1 (ko) 실내용 냉각탑
KR100443725B1 (ko) 히트파이프를 구비한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