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421B1 -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 Google Patents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421B1
KR100526421B1 KR10-2003-0011892A KR20030011892A KR100526421B1 KR 100526421 B1 KR100526421 B1 KR 100526421B1 KR 20030011892 A KR20030011892 A KR 20030011892A KR 100526421 B1 KR100526421 B1 KR 100526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opening
slit
head
w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3666A (ko
Inventor
임재광
Original Assignee
임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광 filed Critical 임재광
Priority to KR10-2003-0011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421B1/ko
Publication of KR2003002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25B13/461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 B25B13/462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the ratchet parts engaging in a direction radial to the tool operating axis
    • B25B13/463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the ratchet parts engaging in a direction radial to the tool operating axis a pawl engaging an externally toothed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4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ring ja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8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open jaw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칫형 렌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칫이 설치되는 헤드에 슬릿을 형성하여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측면방향에서도 진입이 가능한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는 파지를 위한 막대 형상의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원형의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의 내측으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설치되고, 둘레면에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개구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내설되며, 원주상의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너트를 물리는 조오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복수의 래칫톱니가 형성된 래칫부; 및 상기 래칫부와 맞물릴때 일측면은 상기 래칫부의 래칫톱니의 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래칫부의 래칫톱니의 측면과 경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톱니가 상기 래칫부의 슬릿의 폭 이상의 간격을 갖도록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일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톱니와 양측면이 서로 반대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걸림톱니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의 일측에서 힌지고정되는 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OPEN END RATCHET WRENCH}
본 발명은 래칫형 렌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칫부와 래칫부가 설치되는 헤드에 소정의 폭을 갖는 슬릿을 형성하여 상, 하 방향 뿐만 아니라 측면방향에서도 진입이 가능한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에 관한 것이다.
나사부를 갖는 부재에 대해 어떠한 작업물, 예를 들면, 너트, 볼트 등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작업물에 토크를 주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작업물에 토크를 주는 수단으로는 래칫형 렌치와 개방 단부를 갖는 초승달형 렌치가 있다. 래칫형 렌치는 일반적으로 폐쇄된 단부를 갖는 것으로서, 작업물을 완전히 감싸고 작업물의 장착 위치에 따라 작업물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진입하게 된다. 반면에 개방 단부를 갖는 렌치는 작업물의 측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다.
개방 단부를 갖는 렌치는 특히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또는 작업물의 측부로만 접근 가능한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개방 단부를 갖는 렌치는 그 측부에서만 접근 가능한 유압 또는 연료 라인의 인라인 피팅을 조이고 풀어주는 데에 그 가치가 극대화된다.
일반적으로 개방 단부를 갖는 초승달 형상의 렌치는 래칫팅 메커니즘을 결여하고 있다. 따라서, 조이거나 풀어줄 경우, 렌치는 작업물을 비교적 작은 각도를 회전시킨 후 상기 작업물로부터 이탈해야 한다. 그 후 다시 작업물과 계합하여 다시 회전시키는 작업을 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작업물이 완전히 조여지거나풀어질 때까지 다수회 반복된다.
도 14은 종래의 래칫형 렌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래칫형 렌치는 파지부(70)와 헤드(72), 헤드(72)에 설치된 래칫부(73) 및 래칫부(73)의 회전을 제어하는 폴부(74)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던 래칫형 렌치는 래칫부(73)와 래칫부(73)가 설치되는 헤드(72)가 폐쇄된 구조를 갖고, 파지부(70)의 타측에는 사용의 편리를 위해 개방 단부를 갖는 렌치(71)를 결합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폐쇄형 래칫 렌치는 죄거나 풀어주는 작업의 종료시까지 작업물에서 렌치를 이탈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점은 편리하지만, 작업물의 단부로부터 래칫의 개구를 통해 진입해야 하므로, 연료 라인과 같이 단부로부터의 진입이 곤란한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워 래칫이 없는 개방 단부 렌치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래칫이 없는 개방 단부형 렌치는 이와 반대로 작업물로의 진입은 용이한 반면에 죄거나 풀어주는 작업의 종료시까지 렌치와 작업물과의 계합과 이탈이 계속하여 반복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와 래칫부에 소정의 폭을 갖는 슬릿을 형성하고, 슬릿 때문에 래칫부가 헤드에서 헛돌지 않도록 슬릿의 폭을 넘어서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톱니를 형성한 폴부를 구비한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지를 위한 막대 형상의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원형의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의 내측으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설치되고, 둘레면에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개구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내설되며, 원주상의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너트를 물리는 조오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복수의 래칫톱니가 형성된 래칫부; 및 상기 래칫부와 맞물릴때 일측면은 상기 래칫부의 래칫톱니의 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래칫부의 래칫톱니의 측면과 경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톱니가 상기 래칫부의 슬릿의 폭 이상의 간격을 갖도록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일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톱니와 양측면이 서로 반대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걸림톱니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의 일측에서 힌지고정되는 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파지를 위한 막대 형상의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원형의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의 내측으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설치되며, 둘레면에 복수의 상부 삽입구와 복수의 하부 삽입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개구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내설되며, 원주상의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너트를 물리는 조오가 형성되며 외측면에 복수의 래칫톱니가 형성된 래칫부; 및 상기 래칫부와 맞물릴때 일측면은 상기 래칫부의 래칫톱니의 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래칫부의 래칫톱니의 측면과 경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톱니가 상기 래칫부의 슬릿의 폭 이상의 간격을 갖도록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일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톱니와 양측면이 서로 반대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걸림톱니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중앙의 일측에 상기 지지돌기의 양측에서 걸림이 가능한 돌출부가 형성된 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파지부의 타측에는 너트 및 볼트를 죌 수 있는 고정식 조오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헤드에 설치된 상기 지지돌기는 힌지고정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폴부는 중앙의 일측에 상기 지지돌기를 향하여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폴부는 상기 돌출부의 양측이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래칫부의 상기 조오는 너트를 물기 위해 사각, 육각, 팔각 또는 톱니형 내측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헤드에는 상기 래칫부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슬릿이 형성된 환형의 라이닝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는 크게 파지부(1), 파지부(1)의 일측에 형성된 헤드(10), 헤드(10)에 내장되어 너트를 죄거나 풀어주는 래칫부(20), 라이닝(50) 및 래칫부(20)의 회전을 제어하는 폴부(40)로 구성된다.
도 2는 도1의 파지부와 헤드의 부분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렌치를 쥐기 위한 파지부(1)는 막대형상이며, 파지부(1)의 일단에는 회전하면서 볼트나 너트를 죄어주는 래칫부(20)가 설치될 헤드(10)가 형성되고, 파지부(1)의 타측에는 고정된 상태에서 볼트나 너트를 풀거나 죄기 위한 고정식 조오(2)가 형성된다. 고정식 조오(2)는 내측면(4)이 원주상으로 톱니가 형성된 형상을 채택하였으나, 이는 톱니형 볼트머리 등을 죄거나 풀기 위한 형상을 채택한 것으로서,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각, 육각, 팔각 등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헤드(10)는 래칫부(20)가 내장될 수 있도록 원형의 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1)의 내측 하단에는 삽입된 래칫부(2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턱(12)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11)의 내측 상단에는 래칫부(20)와 헤드(10) 내측의 마찰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는 라이닝(50)을 고정하기 위한 라이닝 결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10)의 둘레로서 파지부(1)의 축선을 연장한 부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렌치를 작업물의 측부로부터 삽입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갖는 슬릿(14)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10)의 둘레면에서 슬릿(14)을 지나서 양쪽 하단에는 삽입된 폴부(40)의 양측이 노출되도록 폴부 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폴부 삽입구(15)는, 개구(11)로부터 폴부 삽입구(15)까지 걸쳐 설치되는 폴부(40)가 위치할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개구(11) 내측의 일부분으로 관통되어 있다.
개구(11) 하단의 파지부(1)의 상면에는 폴부(40)를 힌지 고정하기 위한 힌지축 관통공(3)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래칫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의 헤드(10)에 설치되어 너트나 볼트를 죄고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래칫부(20)는 내측으로 조오부(22)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래칫톱니(23a)가 형성된다. 래칫부(20) 또한 렌치가 측부로부터 진입할 수 있도록 둘레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슬릿(21)이 형성되어 있다.
조오부(22)는 너트나 볼트머리와 직접 결합하는 부분으로 래칫부(20)의 내측면에 너트나 볼트머리와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치에 사용된 래칫부(20)의 조오부(22)의 형상은 톱니형상을 채택하였으나, 사용환경에 따라 사각형, 육각형, 사다리꼴 등의 다양한 형상을 채택할 수 있다.
래칫톱니(23a)는 래칫부(2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폴부(40)에 형성된 걸림톱니(41a, 42a)(41a)와 결합하게 된다. 래칫톱니(23a)는 래칫부(2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외측면의 중간에 형성된다. 따라서 래칫부(20)의 하단은 헤드(10)의 턱(14)에 걸리지 않고 래칫톱니(23a)만이 걸리게 되며 상단에는 라이닝(50)이 안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라이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0)에는 래칫부(20)가 안치되고, 그 위에 래칫부(20)를 구속하면서 래칫부(20)와 헤드(1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안내하는 동시에 상호간의 마찰을 완충하는 라이닝(50)이 설치된다. 환형의 라이닝(50)은 둘레의 일측에 소정 간격의 슬릿(51)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52)은 매끈하게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헤드(10)의 라이닝 결합홈(13)에 결합하기 위하여 둘레를 따라 결합돌기(53)가 형성되어 있다.
라이닝(50)은 헤드(10)에 삽입되는 동시에 래칫부(20)의 상부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라이닝(50)의 내경은 래칫부(20)의 상부의 외경보다 약간 큰 값을 갖고 라이닝(50)의 결합돌기(53)까지의 외경은 헤드(10)의 개구(11)보다는 약간 작아서 삽입시에 충격을 가하여 밀어 넣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래칫부와 폴부의 물림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부(40)는 V자형으로서 일측으로 복수의 걸림톱니(41a, 42a)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일측에 형성된 걸림톱니(41a, 42a)와 대칭되게 복수의 걸림톱니(46a, 47a)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에는 폴부(40)를 파지부(1)에 힌지 고정하기 위한 힌지축(미도시)이 관통되는 힌지축 관통부(44)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 관통부(44)의 중심을 하방으로 연장한 선상에는 양측으로 동일한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돌출된 돌출부(43)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폴부 삽입구(15)의 중간에 위치하는 개구(11)의 내측으로는 2mm내지 3mm의 지름과 약 5mm정도의 깊이를 갖는 지지돌기 수용홈(6)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돌기 수용홈(6)에는 스프링(7)의 일단이 고정되어 설치되며, 스프링(7)의 타단에는 지지돌기(8)가 고정된다. 지지돌기(8)는 폴부(40)의 돌출부(43)의 양측 경사면 중의 각각의 면에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부(40)의 걸림톱니(42a)는 양측면의 경사각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데, 일면(42b)은 래칫부(20)의 래칫톱니(23a)와 맞물릴 때 래칫부(20)의 래칫톱니(23a)의 좌측면(23b)과 완전히 포개어져 접촉하도록 대략 수직한 경사를 갖고, 그 반대면(42c)은 상기 래칫톱니(23a)의 좌측에 위치하는 래칫톱니의 우측면(23c)과 하단에서만 접촉하고 그 우측면(23c)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폴부(40)의 돌출부(43)의 좌측 경사면(45)이 지지돌기(8)에 의해 탄성지지될 때 폴부(40)의 우측에 형성된 걸림톱니(41a, 42a)가 래칫부(20)의 래칫톱니(23a)와 결합하게 되며, 우측 경사면이 지지될 때는 그 반대의 경우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래칫부의 슬릿부분과 폴부의 물림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부(40)의 걸림톱니(41a, 42a)가 형성하는 폭(B)은 래칫부(20)가 회전하여 슬릿(21)이 폴부(40)에 위치하더라도 걸림톱니(41a, 42a)가 래칫톱니(23a)에 걸리도록 슬릿(21)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는 파지부(101), 파지부(101)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식 조오(102), 파지부(101)의 타측에 형성된 헤드(110), 헤드(110)에 내장되는 래칫부(120), 라이닝(150) 및 폴부(1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래칫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조오부(122)의 형상이 다르고, 헤드(110) 및 폴부(14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10은 도 9의 파지부와 헤드 부분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01)는 일단에 헤드(1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정식 조오(10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치의 헤드(110)는 원형의 개구(111)와 개구(111)의 둘레면의 일측에 슬릿(114)이 형성되며, 개구(111)의 내측 하단에는 턱(112)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라이닝 결합홈(113)이 형성된다. 다만 제1실시예의 헤드와 달리 헤드(110)의 둘레면에서 슬릿(114)과 가까운 곳에는 각각 상부 삽입구(115a)가 형성되고, 상부 삽입구(115a)를 지나서 하방으로 각각 하부 삽입구(115b)가 형성되며, 힌지축 관통공이 없다.
제2실시예에 따른 렌치의 래칫부(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오부의 형상이 2개의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래칫부와 동일하며, 제2실시예의 라이닝(150)은 제1실시예의 라이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를 구성하는 폴부(140)는 양측으로 헤드(110)의 둘레면의 곡선과 유사한 형상의 팔(47)이 형성되며, 일측의 팔(47)에는 2개의 걸림톱니(141a, 142a)가 래칫부(120)의 슬릿의 폭 보다 큰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타측의 팔에는 상기 걸림톱니(141a, 142a)와 대칭되게 2개의 걸림톱니(146a, 147a)가 형성된다. 폴부(140)는 헤드(110)의 하부 삽입구(115b)를 따라 직선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폴부(140)의 하단면(144)은 수평면으로 형성된다. 다만 그 하단면(144)의 중앙은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되도록 돌출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래칫부와 폴부의 물림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10)의 개구(111) 내측에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지지돌기 삽입홈(106), 지지돌기 삽입홈(106)에 스프링(107)으로 고정되는 지지돌기(108)가 형성된다. 폴부(140)의 수평선상에서 이동하도록 돌출부(143)를 제외한 폴부(140)의 하단면(144)은 수평면으로 형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래칫부의 슬릿부분과 폴부의 물림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부(120)가 회전하여 슬릿(121)이 폴부(140)의 걸림톱니(142a)의 하나에 위치하더라도 다른 걸림톱니(141a)에 의해 래칫부(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래칫부(120)의 슬릿(121)의 폭보다 큰 간격으로 걸림톱니(141a, 142a)가 떨어져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작동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래칫부와 폴부의 물림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의 폴부(40)를 좌측으로 밀어부치면 돌출부(43)가 지지돌기(8)를 타고 넘어가며, 이때 지지돌기(8)는 돌출부(43)의 좌측 경사면(45)을 강하게 밀어부치게 된다. 따라서 폴부(40)의 우측에 형성된 걸림톱니(41a, 42a)가 래칫부(20)의 래칫톱니(23a)에 결합된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부(20)의 래칫톱니(23a)와 폴부(40)의 걸림톱니(42a)의 결합상태에서 걸림톱니의 우측면(42b)은 래칫톱니의 좌측면(23b)과 접하고, 걸림톱니의 좌측면(42c)은 좌측의 인접한 래칫톱니의 우측면(23c)과 접하게 된다.
이 때 걸림톱니의 우측면(23b)은 래칫톱니의 좌측면(42b)과 완전히 포개어져서 래칫부(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반면에 걸림톱니의 좌측면(42c)은 다음의 래칫톱니의 우측면(23c)과 경사진 채로 접하고 있으므로, 래칫부(20)는 반시계 방향으로 걸림톱니의 좌측면(42c)을 나사산을 타듯이 타고 넘어갈 수 있고 따라서 래칫부(2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가능하다. 래칫부(2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래칫톱니(23a)가 폴부(40)의 걸림톱니(41a, 42a)를 타고 넘어갈때, 지지돌기(8)의 스프링(7)이 압축되어 폴부(40)는 약간 하강하다가 래칫톱니(23a)가 걸림톱니(41a, 42a)를 넘은 후에는 다시 폴부(4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폴부(40)를 렌치의 우측으로 밀어부치면 동일한 원리에 의해 래칫부(20)는 시계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고 반시계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래칫부의 슬릿부분과 폴부의 물림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부(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래칫부(20)의 슬릿(21)이 폴부(40)에 위치하면, 래칫부(20)의 슬릿(21)의 우측의 첫번째 래칫톱니의 좌측면(23b)은 폴부(40)의 우측 바깥쪽에 형성된 걸림톱니의 우측면(41b)에 접하게 되고, 래칫부(20)의 슬릿(21)의 좌측의 첫번째 래칫톱니의 우측면(23c)은 폴부(40)의 우측의 안쪽에 형성된 걸림톱니의 좌측면(42c)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래칫부(20)의 슬릿(21)이 폴부(40)에 위치하더라도 래칫부(20)는 헛돌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치의 경우에도 폴부와 래칫부의 결합에 의해 래칫부의 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반대방향의 회전을 허용하지 않는 것은 제1실시예에 따른 렌치의 경우와 동일하며, 다만 폴부와 래칫부의 결합이 폴부의 수평방향의 미끄러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다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치에서 파지부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식 조오는 래칫부에 의한 조임을 완료한 후에 렌치를 이탈시키고자 할 때 슬릿부분을 통해서만 이탈할 수 있으므로, 소정의 각도만큼 풀어준 다음 풀어진 것을 간단하게 고정식 조오를 이용하여 죄어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파지부의 타측에 고정식 조오를 형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파지부의 형상을 하나의 구조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파지부로서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파지부에 내장되는 각 부품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를 구성하는 폴부는 걸림톱니가 양측에 2개씩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걸림톱니를 양측에 3개 내지 4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래칫부의 래칫톱니와 폴부의 걸림톱니의 형상은 사각형과 삼각형을 채택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래칫톱니의 외측단을 둥글게 형성하거나, 걸림톱니의 형상으로 양측의 경사각을 다르게 하는 사다리꼴 등의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래칫부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코일스프링에 고정된 지지돌기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아크형으로 굽어진 판스프링을 사용하여 아크부의 끝단을 폴부의 돌출부가 눌러 넘도록 하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에 의하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도 단축되는 래칫형 렌치를 작업물의 단부로부터의 진입이 어려운 경우에도 측부로부터 진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간의 크기와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에서, 래칫부에 형성된 슬릿 때문에 헤드에서 래칫부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부에 슬릿의 폭과 같거나 더 큰 폭의 범위를 갖도록 복수의 걸림톱니를 형성하였으므로 측부로부터 진입이 가능한 렌치를 간단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래칫부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구성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일체로 형성된 폴부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렌치의 방향전환을 반복하여도 고장이 잘 일어나지 않는 내구성을 지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파지부와 헤드의 부분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래칫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라이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래칫부와 폴부의 물림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래칫부의 슬릿부분과 폴부의 물림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파지부와 헤드의 부분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래칫부와 폴부의 물림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의 래칫부의 슬릿부분과 폴부의 물림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은 종래의 래칫형 렌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 손잡이 2: 고정식 렌치
10: 헤드 11: 개구
14: 슬릿 20: 래칫부
23a: 래칫톱니 40: 폴부
41a: 걸림톱니 50: 라이닝

Claims (7)

  1. 파지를 위한 막대 형상의 파지부(1);
    상기 파지부(1)의 일측에 형성되며, 원형의 개구(11) 및 상기 개구(11)의 일측에 형성된 슬릿(14)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11)의 내측으로 스프링(7)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돌기(8)가 설치되며, 상기 개구(11)의 둘레면에 복수의 삽입구(15)가 형성된 헤드(10);
    상기 개구(11)의 내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원주상의 일측에 슬릿(21)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너트를 물리는 조오부(22)가 형성되며 외측으로 복수의 래칫톱니(23a)가 형성된 래칫부(20); 및
    상기 래칫부(20)와 맞물릴때 일측면은 상기 래칫부(20)의 래칫톱니(23a)의 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래칫부(20)의 래칫톱니(23a)의 측면과 경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톱니(41a, 42a)가 상기 래칫부(20)의 상기 슬릿(21)의 폭 이상의 간격을 갖도록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일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톱니(41a, 42a)와 양측면이 서로 반대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걸림톱니(46a, 47a)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10)의 일측에서 힌지고정되며 중앙 하부에 돌출부(43)가 형성된 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10, 110)에 설치된 상기 지지돌기(8, 108)는 상기 개구(11, 111)의 중심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폴부(40, 140)의 상기 돌출부(43, 143)는 상기 지지돌기(8, 108)를 향하도록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헤드(10, 110)에는 상기 래칫부(20, 120)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슬릿(51)이 형성된 환형의 라이닝(50, 1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2. 파지를 위한 막대 형상의 파지부(101);
    상기 파지부(101)의 일측에 형성되며, 원형의 개구(111) 및 상기 개구(111)의 일측에 형성된 슬릿(114)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111)의 내측으로 스프링(107)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돌기(108)가 설치되며, 둘레면에 복수의 상부 삽입구(115a)와 복수의 하부 삽입구(115b)가 형성된 헤드(110);
    상기 개구(111)의 내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원주상의 일측에 슬릿(114)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너트를 물리는 조오부(126)가 형성되며 외측면에 복수의 래칫톱니(123)가 형성된 래칫부(120); 및
    상기 래칫부(120)와 맞물릴때 일측면은 상기 래칫부(120)의 상기 래칫톱니(123)의 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래칫부(120)의 상기 래칫톱니(123)의 측면과 경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톱니(141, 142)가 상기 래칫부(120)의 상기 슬릿(121)의 폭 이상의 간격을 갖도록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일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톱니(141, 142)와 양측면이 서로 반대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걸림톱니(146a, 147a)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중앙의 일측에 상기 지지돌기(108)의 양측에서 걸림이 가능한 돌출부(143)가 형성된 폴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10, 110)에 설치된 상기 지지돌기(8, 108)는 상기 개구(11, 111)의 중심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폴부(40, 140)의 상기 돌출부(43, 143)는 상기 지지돌기(8, 108)를 향하도록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헤드(10, 110)에는 상기 래칫부(20, 120)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슬릿(51)이 형성된 환형의 라이닝(50, 1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 101)의 타측에는 너트 또는 볼트를 죌 수 있는 고정식 조오(2, 10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부(140)는 상기 돌출부(143)의 양측으로 수평한 내측면(1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부(20, 120)의 상기 조오부(22, 122)는 너트를 풀거나 조이기 위해 사각, 육각, 팔각 또는 톱니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7. 삭제
KR10-2003-0011892A 2003-02-26 2003-02-26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KR100526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892A KR100526421B1 (ko) 2003-02-26 2003-02-26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892A KR100526421B1 (ko) 2003-02-26 2003-02-26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652U Division KR200315403Y1 (ko) 2003-02-26 2003-02-26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666A KR20030023666A (ko) 2003-03-19
KR100526421B1 true KR100526421B1 (ko) 2005-11-08

Family

ID=2773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892A KR100526421B1 (ko) 2003-02-26 2003-02-26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004A (ko) * 2004-12-17 2006-06-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동스패너
KR102554045B1 (ko) * 2021-10-05 2023-07-11 한기발전기계(주) 미분기용 렌치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666A (ko)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0697A (en) Ratchet wrench
US6732614B2 (en) Easy-to-manufacture and easy-to-assemble ratcheting-type wrench
US4602534A (en) Ratchet wrench
JP5668148B2 (ja) アイボルト
US6722234B2 (en) Easy-to-operate and easy-to-assemble ratcheting-type wrench
US4744273A (en) Fastener retaining attachment for wrench sockets
US7059218B1 (en) Driving member securing device for hand tools
US4151763A (en) Combination adjustable open-end and box-end wrench
EP1620232A1 (en) A wrench
US5417129A (en) Ratchet wrench including toothless drive
KR100526421B1 (ko)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JP2004530568A5 (ko)
US4738168A (en) Wrench
US9254989B2 (en) Heavy duty ratchet
JP2010007809A (ja) ねじの緩み止め機構及び該機構を備えたシャックル
KR200315403Y1 (ko)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US6220124B1 (en) Fire hydrant wrench
US6550357B1 (en) Wrench connector
US6076433A (en) Ratchet wrench operable in forward, reverse and neutral modes
KR200486379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US5960679A (en) Ratcheting open-end wrench
KR100719228B1 (ko) 자동 스패너
US20050268751A1 (en) Gearless one way drive
US8931374B2 (en) Socket wrench
JP3200689U (ja) ボックスレン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