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971B1 - 리튬 파우치 셀을 내장한 리튬 전지 구조 - Google Patents

리튬 파우치 셀을 내장한 리튬 전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971B1
KR100523971B1 KR10-2002-7003776A KR20027003776A KR100523971B1 KR 100523971 B1 KR100523971 B1 KR 100523971B1 KR 20027003776 A KR20027003776 A KR 20027003776A KR 100523971 B1 KR100523971 B1 KR 100523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lithium battery
outer cover
cove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333A (ko
Inventor
제이콥스제임스케이
다스굽타상카
Original Assignee
일렉트로바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로바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렉트로바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77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리튬 전지는 습기 침입 및 전해질 탈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제1 커버(54) 내에 넣어져 상호 접속된 복수 개의 파우치 셀(10)을 포함한다. 제1 커버(54)는 실질적으로 습기 불투과 방식으로 밀봉되어 있는 견고한 외측 커버에 의하여 포위되어 있다. 상기 제1 커버를 통하여 양극 리드(46), 음극 리드(48) 및 탐지 리드(50)가 밀봉 방식으로 연장하여 충전 탐지 및 제어 회로 기판(52)에 접속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은 외측 커버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해도 좋다. 외측 커버상과 그 외측에 있는 음극 단자와 양극 단자(72, 74)는 실질적으로 유체 밀봉 방식으로 상기 외측 커버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에 각각 접속된다.

Description

리튬 파우치 셀을 내장한 리튬 전지 구조{LITHIUM BATTERY STRUCTURE INCORPORATING LITHIUM POUCH CELLS}
본 발명은 단일 셀형 및 다중 셀형 리튬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복수 개의 포일로 포장된 셀 또는 셀들을 그러한 전지 내에 내장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있어서 리튬 이온 전지와 리튬 전극을 구비한 전지 모두를 지칭하는 리튬 전지는 실질적으로 습기와 산소를 불투과시키는 방식으로 밀봉되어 전해질과의 바람직하지 못한 반응을 피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하나의 셀, 또는 각 셀이 대개는 분리되어 밀봉되는 복수 개의 상호 접속된 리튬 "셀"을 포함한다. 셀룰러폰과 같은 용도의 경우, 단일 셀이 대개의 전원이다.
리튬 전지는 대개 비수성(非水性) 전해질로 동작한다. 이 전해질은 해리성 리튬염을 함유하는 고체 폴리머일 수 있지만, 종종 그 전해질은 리튬염이 용해되어 있는 액체이다. 그 액체는 일반적으로 다층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다공성 폴리머 분리 라미네이트에 함침되기도 하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다공성 분리 라미네이트 자체가 리튬염을 함유하는 폴리머 라미네이트인 경우도 있다. 리튬염이 용해되는 용액은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다른 알킬기 함유 카보네이트나 유사한 유기 화합물로서, 비등점이 50℃ 이상이고 실온에서 매우 낮은 증기압을 갖는다. 전해질층은 전극 사이에 배치된다. 박막 리튬 전지는 적어도 3층으로 구성되며, 층상 구조는 전류 담체(current carriers)와 함께 유연한 폴리머 라미네이터 용기 내에 감싸여 있으며, 따라서 이 용기가 파우치를 형성한다.
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리튬 전지를 밀봉하는 한 가지 방법 및 본 명세서에서 "밀봉 파우치 셀"이라고 불리는 것은 플라스틱 라미네이트로 덮힌 포일 파우치 내에 셀을 넣는 것이며, 포일은 통상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구조가 밀봉 파우치 셀의 일부 절제 사시도인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전체가 도면 부호 10으로 지시되어 있는 셀은 각기 포일 파우치(22) 내에 양극 전극(12), 음극 전극(14) 및 전해질(16), 그리고 양극 및 음극 "집전 장치" 또는 "리드"(18, 20)를 구비한다. 리드(18, 20)는 양극 전극(12)과 음극 전극(14) 각각과 파우치(22)의 외부와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킨다.
포일 파우치(22)는 내면(24)에 폴리머 라미네이트가 피복되어 전해질(16)로부터 포일을 보호함과 아울러, 양극 전극(12)과 음극 전극(14), 그리고 리드(18, 20) 사이의 단락(短絡)을 방지한다. 포일 파우치(22)는 또한 그것의 외면에 폴리머 라미네이트가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일 파우치(22)는 3개의 가장자리부(26)를 따라 가열 봉합된다. 제4의 가장자리부(28)는 파우치를 구성하는 포일을 절첩하여 형성되며, 따라서 가열 봉합은 불필요하다. 리드(18, 20)가, 특히 가열 봉합 중에, 포일과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가열 봉합 전에 상기 가장자리부(26) 근처의 각 리드(18, 20) 위에 별도의 절연 슬리브(30)를 배치한다. 절연 슬리브(30)는 시일을 형성하여야 하며 습기 침입이나 전해질 탈출을 위한 경로로서 작용하지 말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그러한 시일을 "기밀 밀봉"이라 한다.
리튬 전지가 습기 및 대기 부식에 민감하다고 하는 명백한 이유 때문에, 폴리머 파우치는 폴리머 라미네이트의 가장자리부 둘레에, 대개는 압력과 열을 가함으로써 봉합된다. 폴리머 라미네이트를 다른 폴리머 라미네이트에 가열 봉합하면, 매우 만족스러운 접합이 이루어지지만 폴리머층 사이에서 빠져 나와 있는 금속 리드 또는 집전 장치로 인하여 불완전한 봉합이 이루어지며, 가능하기로는 확고한 시일을 얻기 위한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해액의 침출을 초래하기도 한다.
밀봉 파우치 셀은 그것들의 구조 및 비교적 얇은 프로파일과 관련하여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강성이 더 큰 외피 내에 내장된 셀보다는 더 쉽게 손상된다. 이는, 누설을 통한 손상이 잠재적으로는 매우 비용이 많이 들고 전체적으로 허용될 수 없는 고가의 전자 장치에 리튬 전지, 특히 재충전형 리튬 전지가 사용됨에 따라 중요한 문제를 제기한다.
리드(18, 20)는 일반적으로 금속, 대개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니켈의 탭 형태를 취하는데, 이들은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어떤 전압 강하 없이 상당량의 전류를 수용할 만큼 충분한 두께 및 치수를 가져야 한다. 이는 포일 파우치를 금속 탭이 빠져 나오는 영역 둘레에서 봉합하는 데에 적어도 두 가지의 문제를 제기한다. 그 첫 번째 문제는 가열 봉합 중에 금속 탭이 열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봉합 온도의 제어가 확실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또한, 금속 탭은 그것의 두께 때문에 불균일한 압력을 초래하는데, 이 또한 봉합 불확실성의 원인이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리튬 셀은 습기 또는 산소의 침입이나 셀로부터의 전해질의 탈출에 견딜 수 없다. 그러한 누설은 셀에게는 치명적이고, 또한 전지나 셀을 사용하는 장비를 손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포일 파우치의 금속에 평행한 폴리머 시일 영역인 폴리머 시일 표면을 통한 물분자 또는 산소의 확산을 통해서 또 다른 문제들이 발생한다. 금속을 통한 물분자 및 산소 분자의 확산은 극히 낮지만, 폴리머 바디를 통한 물분자 및 산소 분자의 확산은 매우 상당하다. 그러므로, 폴리머 봉합 표면을 통한 이러한 파괴적인 확산은 셀의 성능을 열화시키고 수명 단축을 초래한다. 리튬 셀의 용례가 전기 자동차든, 랩탑 컴퓨터든, 또는 셀룰러폰이든 긴 수명이 요구되지만 물이나 산소의 침입을 통한 어떤 셀의 파손을 견딜 수 없다. 또한, 다중 셀로 제조된 전지 스택(battery stack)에 있어서도, 단일 셀의 조기 파손은 전체 전지 팩에 치명적으로 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포일 파우치로 형성된 리튬 셀 및 전지는 그것의 연구 및 상용화에 수십억 달러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상업적 성공도 거두지 못하였다.
도 1은 선행 기술 파우치 셀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전지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전지의 관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인 충격에 대하여 내구성이 있고 누설에 대하여 적어도 이중으로 밀봉되어 있는 리튬 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적으로 강하고 습기의 침입 및 전해질의 탈출에 대하여 효율적인 시일을 형성하는 리튬 전지 외피를 제공하는 것이다.
리튬 전지는 습기의 침입 및 전해질 탈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제1 커버 내에 내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된 전해질 수용 파우치 셀을 구비하고 있다. 파우치 셀로부터는, 제1 커버 내의 봉합 구멍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양극과 음극의 리드가 연장하고 있다. 실질적 강성인 외측 커버가 실질적으로 습기 불투과 방식으로 상기 제1 커버를 포위한다. 외측 커버는 전해질과는 실질적으로 비반응성이며, 적어도 어느 정도의 기계적인 보호 및 습기에 대한 시일을 제공한다. 외측 커버 및 그 외측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는 실질적으로 유체 밀봉 방식으로 외측 커버를 통해서 연장하고 있는 개별적인 도체에 의하여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에 각각 접속된다.
리튬 전지는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에 접속된 충전 탐지 및 제어 회로 기판, 그리고 또한 복수 개의 파우치를 소정의 배열로 상호 접속하는 어떤 중간 리드(interconnection lead)를 포함해도 좋다. 충전 탐지 및 제어 회로 기판은 외측 커버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선택적으로, 충전 탐지 및 제어 회로를 파우치와 제1 커버 사이에 배치해도 된다.
외측 커버는 플라스틱 재료여도 좋다. 그 플라스틱 재료는, 외측 커버 및 그것의 외측에 액체가 출현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전해질의 액체 부분이 그것의 증발 속도를 초과하는 속도로 그 플라스틱 재료를 통해서 확산할 수 있게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전지는 도 2 및 도 3에서 전체가 도면 부호 40으로 지시되어 있다. 리튬 전지(40)는 중간 리드(42)에 의하여 소정의 배열로 상호 접속된 복수 개의 밀봉 파우치 셀(10)(전술한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형태의 것)을 구비한다. 3개의 파우치 셀(10)이 도시되어 있지만, 어떤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개수를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몇 개의 리튬 전지가 단 하나의 파우치 셀(10)을 필요로 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파우치 셀에 대한 기준은 전체적인 구조에 의하여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다면 독자적인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호 접속부들은 전압 및 저장 용량 조건에 따라 직렬, 병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더 강성인 구조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각 파우치 셀(10)을 싸는 포일 파우치(22)와 유사한 또 다른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포일 파우치여도 좋은 제1 커버(44) 내에 파우치 셀(10)을 넣는다. 제1 커버(44)는 습기 침입 및 전해질 탈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어야 한다. 제1 커버(44)는 가열 봉합이 가능한 플라스틱이어도 좋고 또 1층 이상이어도 좋다. 제1 커버(44)는 파우치(22) 중 어떤 것이 누설되기 시작한다면 백업부(backup)로서 작용한다.
제1 커버(44)가 2개의 파우치 셀(10)을 수용하고 있는 경우, 전해질의 탈출은 각각의 포장 밀봉된 제1 커버(44) 마다 2 mg/일(day)의 중량 손실 미만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커버(44)가 3개 이상의 파우치셀(10)을 수용하고 있는 경우, 중량 손실은 그에 비례하여 더 커질 수 있다. 습기의 침입은 각 파우치 셀(10) 마다 0.2 mg/일 미만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파우치 셀(10)을 개방하고 칼-피셔 적정(Carl-Fischer titration)에 의하여 각 파우치에 흡수된 물을 측정함으로써, 실험을 토대로 습기의 침입을 측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양극 리드(46)와 음극 리드(48)가 일련의 파우치 셀(10)로부터 기밀 밀봉 방식으로 제1 커버(44)를 관통하여 연장한다. 통상, 도 2의 탐지 리드(50)도 또한 중간 리드(42)로부터 제1 커버(44)를 관통하여 연장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전지(40)는 하나보다 더 많은 파우치 셀(10)을 수용한다. 탐지 리드(50)는 충전 탐지 및 제어 회로 기판(52)에 접속되는데, 이 회로 기판을 위한 2개의 선택적인 지점이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논의된다.
제1 커버(44) 내에 단 하나의 파우치 셀이 수용되는 경우, 양극 리드(46)와 음극 리드(48)는 통상 밀봉 파우치 셀(10)의 양극 리드(18)와 음극 리드(20)의 각 연장부이다. 따라서, 그러한 구조에 있어서, 양극 리드(18)와 음극 리드(20)는 "이중 밀봉되는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다. 제1 커버(44)가 파우치 셀(10)의 파우치(22)와 양극 리드(18) 및 음극 리드(20) 각각과의 사이의 어떤 전해질 누설을 수용하도록 저장조로서 작용한다.
제1 커버(44)는 도 3에서 전체가 도면 부호 54로 지시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강성이 있는 외측 커버에 의해 추가로 에워싸여 있어도 좋다. 외측 커버(54)는 측벽(56), 제1 단부벽(58) 및 제2 단부벽(60)을 구비한다. 제1 단부벽(58)은 제1 접합부(62)에서 측벽(56)에 봉합된다. 제2 단부벽(60)은 제2 접합부(64)에서 측벽(56)에 봉합된다. 외측 커버(54)는 주로 리튬 전지의 기계적인 보호를 위한 것이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장벽으로서 작용하여 전해질의 탈출과 습기의 침입을 방지한다.
외측 커버(54)는 강성 플라스틱, 반강성 플라스틱, 주형성형 에폭시, 고무 화합물 또는 금속 박스일 수 있다. 금속 박스를 선택하는 경우, 그 박스가 전체에 걸쳐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라이닝을 구비하거나, 양극 리드(46)와 음극 리드(48)가 외측 커버(54)로부터 빠져 나오는 곳에서 양극 리드(46) 및 음극 리드(48) 둘레에 절연 슬리브(30)와 같은 플라스틱 절연 슬리브(30)를 사용해도 좋다.
양극 리드(46)와 음극 리드(48)는 제2 접합부(64)를 통하여, 바람직하기로는 밀봉 방식으로 연장한다. 양극 리드(46)와 음극 리드(48)는 각기 어떤 탐지 리드(도 2에는 도면 부호 50으로 표시되고,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처럼 충전 탐지 및 제어 회로 기판(52)에 접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양극 리드(46)와 음극 리드(48)는 이들 사이의 단락을 피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회로 기판(52)은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측 커버(54) 내에 배치되어도 좋다. 별법으로는,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2)은 외측 커버(54)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은데, 이 경우 어떤 충전 탐지 리드 또한 밀봉 방식으로 제2 접합부를 관통하여야 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경우, 회로 기판(52)을 리튬 전지(4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탐지 리드(50)에 대한 외부 접속부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제1 접합부(62)와 제2 접합부(64)를 밀봉하는 방법은 외측 커버(54)의 재료에 좌우되게 된다. 외측 커버(54)가 납땜 가능한 재료라면(예를 들어, 주석이나 구리), 양극 리드(46) 및 음극 리드(48)와 같은 어떤 리드 및 어떤 탐지 리드(50)가 제2 접합부(62)를 통해서 연장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1 접합부(62)는 납땜 결합부이고, 제2 접합부(64)는 실질적으로 납땜 결합부일 수 있다. 통상, 어떤 리드 둘레에, 에폭시 또는 다른 밀봉재와 같은 대안적인 밀봉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외측 커버(56)가 플라스틱 재료인 경우, 제1 접합부(62)와 제2 접합부(64)를 각각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또는 어떤 다른 적절한 방법(가령 가열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물론 제2 접합부(64)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어떤 리드를 적절히 고려한다.
각 파우치 셀(10)과 제1 커버(44)가 습기 침입과 전해질 탈출에 대하여 밀봉됨에 따라, 외측 커버(54)가 사용되는 경우, 이 외측 커버를 산소 침입에 대해서도 밀봉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외측 커버(54)는 제1 커버(44)에 대한 기계적인 보호부로서 작용하고, 파우치 셀(10) 및 제1 커버로부터의 어떤 전해질의 탈출을 방지한다. 단일한 외측 커버(54)에는 파우치 셀(10)을 수용하는 하나 보다 더 많은 커버(44)가 내장될 수도 있다.
외측 커버(54)는, 이 외측 커버(54)의 외측에 어떤 액체가 출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해질의 액체 부분이 그 액체의 증발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제어된 속도로서 그 외측 커버를 통해서 확산되게 할 수 있는 재료일 수 있다. 제어된 확산을 허용하는 적절한 플라스틱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에틸 아크릴 폴리머가 있다. 제어된 확산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다른 플라스틱을 선택해도 좋다.
외측 커버(54)가 금속인 경우, 외측 커버(54)와 그 안에 수용된 어떤 소자와의 사이의 어떤 바람직하지 못한 우연한 전기 소통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 표면(66)에 비전도성 피막을 도포할 수 있다. 별법으로는, 각 제1 커버(44)를 플라스틱으로 감싸거나 밀봉할 수 있다.
제1 접합부(62)와 제2 접합부(64) 각각의 또 다른 시일로서, 외측 커버(54)의 단부가 고무 화합물(70) 내에 싸여 있어도 좋으며, 실제 전체의 외부 커버가 성형된 고무 또는 플라스틱 오버레이(overlay) 내에 싸여 있을 수 있다. 외측 커버(54)가 금속인 경우, 전술한 방식으로 전해질의 액체 부분의 제어된 확산을 허용하기 위하여, 고무 화합물(70)을 선택해도 좋다. 고무 화합물(70)은 추가적인 시일로서 작용하며, 또한 제1 접합부(62)와 제2 접합부(64) 위에 완충부를 제공하여 기계적인 손상을 방지한다. 회로 기판(52)은 고무 처리 피막(70)에 성형될 수 있다.
양극 단자(72)와 음극 단자(74)는 각각 고무 화합물(70)의 외부에 마련되어 리튬 전지(40)에 대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상의 것은 한정의 의미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전지 구조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정확한 설명에 대한 변형이 떠오를 수도 있다.

Claims (22)

  1. 습기의 침입 및 전해질의 탈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제1 커버 내에 내장되고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복수 개의 밀봉된 전해질 수용 파우치 셀과,
    상기 파우치 셀로부터 습기 및 산소 밀봉 방식으로 상기 제1 커버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와,
    실질적으로 습기 불투과 방식으로 상기 제1 커버를 포위하며, 상기 전해질과는 실질적으로 비반응성으로 실질적으로 강성(剛性)인 외측 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장하는 개별적인 도체에 의하여 상기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에 각기 접속되는, 상기 외측 커버 외측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를 구비하는 리튬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파우치 셀은 중간 리드에 의하여 상호 접속되고,
    상기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는 충전 탐지 및 제어 회로 기판에 접속되며,
    상기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도 또한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고,
    복수 개의 상기 중간 리드와 상기 회로 기판 사이에서 탐지 리드가 연장하고 있는 것인 리튬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탐지 및 제어 회로 기판은 상기 외측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인 리튬 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탐지 및 제어 회로 기판은 상기 외측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인 리튬 전지.
  5.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는 상기 전해질의 액체 부분이 외측 커버로부터 증발할 수 있는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그 외측 커버를 통해서 확산할 수 있게 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인 리튬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플라스틱 라미네이트가 덮인 금속 포일이고, 상기 외측 커버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아크릴 플라스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인 것인 리튬 전지.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는 적어도 그 내면에 비전도성 피막이 피복되어 있는 것인 리튬 전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는 금속이고, 적어도 그 내면에 비전도성 피막이 피복되어 있는 것인 리튬 전지.
  9. 측벽과 제1 및 제2의 대향측 단부벽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강성인 박스 내에 배치되는 기밀 밀봉된 제1 커버 내에 복수 개의 밀봉 파우치 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벽은 제1 접합부에서 상기 측벽에 봉합되며,
    상기 제1 단부벽과 제1 접합부는 적어도 상기 제1 접합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단부벽 및 상기 측벽을 밀봉 결합시키는 고무 처리 피막 내에 싸여 있고,
    상기 제2 단부벽은 제2 접합부에서 상기 측벽에 밀봉 접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밀봉 파우치 셀은 중간 리드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에 상호 접속되고,
    상기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는 제1 커버를 관통하여 기밀 밀봉 방식으로, 그리고 상기 제2 접합부를 관통하여 적어도 습기 밀봉 방식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단부벽과 제2 접합부는 고무 처리 피막 내에 싸여 있고,
    상기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는 상기 제2 단부를 싸고 있는 상기 고무 처리 피막을 통해서 연장하는 개별적인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 리튬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는 충전 탐지 및 제어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도 또한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고,
    복수 개의 중간 리드와 상기 회로 기판 사이에서 탐지 리드가 연장하며,
    상기 탐지 리드는 기밀 밀봉 방식으로 상기 제1 커버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것인 리튬 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탐지 및 제어 회로 기판은 상기 박스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리튬 전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박스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박스의 제2 단부를 싸고 있는 상기 고무 처리 피막 내에 싸여 있는 것인 리튬 전지.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납땜 가능한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기 제1 단부는 땜납에 의하여 상기 측벽에 봉합되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양극 리드, 음극 리드 및 탐지 리드가 상기 제2 접합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곳을 제외하고는 상기 측벽에 땜납으로 봉합되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양극 리드, 음극 리드 및 탐지 리드가 상기 제2 접합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곳에서 상기 측벽에 접착 밀봉되어 있는 것인 리튬 전지.
  14.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처리 피막은 상기 전해질이 그것 증발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상기 셀로부터 상기 피막을 통해서 확산할 수 있게 하는 고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리튬 전지.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처리 피막은 상기 전해질이 그것의 증발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상기 셀로부터 상기 피막을 통해서 확산할 수 있게 하는 고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리튬 전지.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내표면을 갖는 것인 리튬 전지.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내표면을 갖는 것인 리튬 전지.
  18.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인 리튬 전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처리 피막은 상기 전해질이 그것의 증발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상기 셀로부터 상기 고무 처리 피막을 통해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고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리튬 전지.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02-7003776A 1999-09-24 2000-09-22 리튬 파우치 셀을 내장한 리튬 전지 구조 KR100523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04,603 1999-09-24
US09/404,603 US6296967B1 (en) 1999-09-24 1999-09-24 Lithium battery structure incorporating lithium pouch cel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333A KR20020077333A (ko) 2002-10-11
KR100523971B1 true KR100523971B1 (ko) 2005-10-26

Family

ID=2360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776A KR100523971B1 (ko) 1999-09-24 2000-09-22 리튬 파우치 셀을 내장한 리튬 전지 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96967B1 (ko)
EP (1) EP1222708B1 (ko)
JP (1) JP4079639B2 (ko)
KR (1) KR100523971B1 (ko)
CN (1) CN1193447C (ko)
CA (1) CA2290878C (ko)
DE (1) DE60004254T2 (ko)
TW (1) TW515121B (ko)
WO (1) WO20010243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069B1 (ko) * 1999-09-08 2003-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파우치를 외장재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4433650B2 (ja) 2001-10-03 2010-03-17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単電池及びリチウム二次単電池の接続構造体
JP2003151528A (ja) * 2001-11-14 2003-05-23 Nec Tokin Tochigi Ltd 密閉型電池
JP4214450B2 (ja) * 2002-06-03 2009-01-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モジュール
US8445130B2 (en) 2002-08-09 2013-05-21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Hybrid thin-film battery
US20070264564A1 (en) 2006-03-16 2007-11-15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Thin film battery on an integrated circuit or circuit board and method thereof
US8394522B2 (en) 2002-08-09 2013-03-12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Robust metal film encapsulation
US8021778B2 (en) 2002-08-09 2011-09-20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lectrochemical apparatus with barrier layer protected substrate
US7993773B2 (en) 2002-08-09 2011-08-09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lectrochemical apparatus with barrier layer protected substrate
US8431264B2 (en) 2002-08-09 2013-04-30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Hybrid thin-film battery
US8404376B2 (en) 2002-08-09 2013-03-26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Metal film encapsulation
US8236443B2 (en) 2002-08-09 2012-08-07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Metal film encapsulation
US7179562B2 (en) * 2003-02-14 2007-02-20 Quallion Llc Battery electrode assembl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US7189477B2 (en) * 2003-04-10 2007-03-13 Sion Power Corporation Low temperature electrochemical cells
US8728285B2 (en) 2003-05-23 2014-05-20 Demaray, Llc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KR100553200B1 (ko) * 2003-06-19 2006-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US7354680B2 (en) 2004-01-06 2008-04-08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olytes for lithium sulfur cells
US7646171B2 (en) 2004-01-06 2010-01-12 Sion Power Corporation Methods of charging lithium sulfur cells
US7019494B2 (en) 2004-01-06 2006-03-28 Moltech Corporation Methods of charging lithium sulfur cells
US7358012B2 (en) 2004-01-06 2008-04-15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olytes for lithium sulfur cells
US7316868B2 (en) * 2004-02-11 2008-01-08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olytes for lithium-sulfur electrochemical cells
US7959769B2 (en) 2004-12-08 2011-06-14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Deposition of LiCoO2
CN101931097B (zh) 2004-12-08 2012-11-21 希莫菲克斯公司 LiCoO2的沉积
EP1839348B1 (en) * 2004-12-24 2013-05-08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0880389B1 (ko) * 2004-12-24 200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BRPI0519442B8 (pt) * 2004-12-24 2023-01-10 Lg Chemical Ltd Conjunto de placas sensoras montado em um módulo de bateria e módulo de bateria incluindo o referido conjunto
KR100686807B1 (ko) 2005-03-25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US8852791B2 (en) * 2005-03-28 2014-10-07 Samsung Sdi Co., Ltd.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sleeve and method of fabricating
JP4208865B2 (ja) * 2005-07-07 2009-01-14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及び電池パック
US9687186B2 (en) 2005-07-21 2017-06-27 Steadymed Ltd. Drug delivery device
IL175460A (en) 2006-05-07 2011-05-31 Doron Aurbach Drug delivery device
JP4561542B2 (ja) * 2005-09-02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0709881B1 (ko) * 2005-09-28 2007-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8062708B2 (en) 2006-09-29 2011-11-22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Masking of and material constraint for depositing battery layers on flexible substrates
US8197781B2 (en) 2006-11-07 2012-06-12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Sputtering target of Li3PO4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8268488B2 (en) 2007-12-21 2012-09-18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Thin film electrolyte for thin film batteries
KR20100102180A (ko) 2007-12-21 2010-09-20 인피니트 파워 솔루션스, 인크. 전해질 막을 위한 표적을 스퍼터링하는 방법
JP5705549B2 (ja) 2008-01-11 2015-04-22 インフィニット パワ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薄膜電池および他のデバイスのための薄膜カプセル化
US8350519B2 (en) 2008-04-02 2013-01-08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Passive over/under voltage control and protection for energy storage devices associated with energy harvesting
US8906523B2 (en) 2008-08-11 2014-12-09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nergy device with integral collector surface for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ing and method thereof
JP5536638B2 (ja) * 2008-09-05 2014-07-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EP2332127A4 (en) 2008-09-12 2011-11-09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NERGY DEVICE HAVING AN INTEGRATED CONDUCTIVE SURFACE FOR DATA COMMUNICATION VIA ELECTROMAGNETIC ENERGY AND ASSOCIATED METHOD
WO2010042594A1 (en) 2008-10-08 2010-04-15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Environmentally-powered wireless sensor module
US20110052969A1 (en) * 2009-09-01 2011-03-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ell tab joining for battery modules
EP2474056B1 (en) 2009-09-01 2016-05-04 Sapurast Research LLC Printed circuit board with integrated thin film battery
US9634295B2 (en) * 2010-01-15 2017-04-25 Pellion Technologies, Inc. Expandable battery pack containment device for pouch battery cells
US20110236732A1 (en) * 2010-03-23 2011-09-29 International Battery, Inc. Package for large format lithium ion cells
DE102010021148A1 (de) 2010-05-21 2011-11-2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utelzellenbatterieanordnung und entsprechendes Herstellungsverfahren und Verwendung
JP2013528912A (ja) 2010-06-07 2013-07-11 インフィニット パワ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充電可能高密度電気化学素子
US8343650B2 (en) 2010-08-11 2013-0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odular plate carrier concept for mounting and embedded cooling of pouch cell battery assemblies
JP2013538424A (ja) 2010-08-24 2013-10-10 ビーエイエスエフ・ソシエタス・エウロパエア 電気化学セルでの使用のための電解質材料
JP2013541976A (ja) 2010-09-27 2013-11-21 ステディメッド, エルティーディー. サイズ効率的な薬物送達デバイス
JP5899744B2 (ja) * 2010-11-18 2016-04-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定置用電力システム及び定置用電力装置の製造方法
WO2012114162A1 (en) 2011-02-26 2012-08-30 Etv Energy Ltd. Pouch cell comprising an empty -volume defining component
US8735002B2 (en) 2011-09-07 2014-05-27 Sion Power Corporation Lithium sulfur 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insoluble nitrogen-containing compound
JP6142466B2 (ja) * 2011-05-25 2017-06-07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
US9136509B2 (en) 2011-05-27 2015-09-15 Apple Inc. Battery cell with an integrated pouch metal foil terminal
TWI431837B (zh) * 2011-06-27 2014-03-21 Delta Electronics Inc 儲能元件封裝結構
US8709645B2 (en) 2011-07-01 2014-04-29 Apple Inc. Battery pouch sheet edge insulation
JP5743276B2 (ja) * 2011-09-26 2015-07-01 Fdk株式会社 電池ユニット
EP2825225B1 (en) 2012-03-15 2018-05-09 Steadymed Ltd. Enhanced infusion-site pain-reduction for drug-delivery devices
ES2715311T3 (es) 2012-03-19 2019-06-03 Steadymed Ltd Mecanismo de conexión de fluido para bombas tipo parche
DE102012204962A1 (de) 2012-03-28 2013-10-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Lithium-Ionen-Batterie
US9401501B2 (en) 2012-05-18 2016-07-26 24M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77289B2 (en) 2012-12-17 2017-02-21 Sion Power Corporation Lithium-ion electrochemical cell,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3560212A (zh) * 2013-09-23 2014-02-05 东莞市海拓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水功能的动力电池
JP5871021B2 (ja) 2014-02-17 2016-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WO2015167698A2 (en) * 2014-04-17 2015-11-05 George Kreigler Iii An energy storage apparatus
WO2016004079A1 (en) * 2014-06-30 2016-01-07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for a cordless power tools
CN112803057A (zh) 2014-11-05 2021-05-14 24M技术公司 具有半固体电极的电化学电池及其制造方法
US10463847B2 (en) 2015-06-11 2019-11-05 Steadymed Ltd. Infusion set
KR102606052B1 (ko) * 2015-06-18 2023-11-27 24엠 테크놀로지즈, 인크. 단일 파우치 배터리 셀들 및 제조 방법들
CN105118943B (zh) * 2015-08-31 2017-08-04 昆山斯格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叠片式锂电池及其外壳封装方法
EP3182481A1 (en) 2015-12-17 2017-06-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uch bag battery cells
KR102645178B1 (ko) * 2016-01-05 2024-03-06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이차전지
US10367175B2 (en) 2016-04-22 2019-07-30 Bosch Bettery Systems LLC Multicavity battery module
US10930978B2 (en) 2017-01-27 2021-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functional ion pouch battery cell frame
US11189872B2 (en) 2017-01-27 2021-11-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functional pouch battery cell frame
US10700323B2 (en) 2017-08-23 2020-06-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directed vent gas expulsion in battery cells
US10446819B2 (en) * 2017-09-27 2019-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ed vent gas expulsion in battery cells
US20190140220A1 (en) * 2017-11-07 2019-05-09 Pacesetter, Inc. Battery with electrically insulating container
US11742525B2 (en) 2020-02-07 2023-08-29 24M Technologies, Inc. Divided energy electrochemical cell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CN111864151B (zh) * 2020-09-01 2022-07-19 安徽汉马锂电科技有限公司 一种软包锂电池组组装结构
CN112310337B (zh) * 2020-09-28 2022-03-15 深圳市诚捷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贴胶工艺、贴胶装置及双面贴胶装置
CN117154242B (zh) * 2023-10-31 2024-01-23 国祥航空有限公司 一种固态锂电池封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49090C (fi) 1972-11-10 1975-03-10 Pentti Juuse Tamminen Galvaaninen levykeparisto.
DE2336114C3 (de) * 1973-07-16 1979-01-0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Biogalvanische Metall-Sauerstoff-Zelle
US4092464A (en) 1976-07-19 1978-05-30 P. R. Mallory & Co. Inc. Flexible cells and batteries formed therefrom
US4069578A (en) 1977-01-24 1978-01-24 Polaroid Corporation Method for sealing battery
US4125680A (en) 1977-08-18 1978-11-14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Bipolar carbon-plastic electrode structure-containing multicell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169920A (en) 1978-12-11 1979-10-02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Hermetically sealed electrochemical battery
US4374186A (en) 1981-04-29 1983-02-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olymer packaged cell in a sack
US5619117A (en) * 1982-06-07 1997-04-08 Norand Corporation Battery pack having memory
US4678725A (en) 1983-05-11 1987-07-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Inc. Hermetically sealed storage battery
DE3373748D1 (en) 1983-06-23 1987-10-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lat battery
JPS6049568A (ja) * 1983-08-27 1985-03-18 Hitachi Maxell Ltd 固体電解質電池
JPS60205958A (ja) 1984-03-29 1985-10-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蓄電池
EP0160491B1 (en) 1984-04-26 1990-04-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nclosed lead storage batter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S61114464A (ja) 1984-11-09 1986-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蓄電池
US4554221A (en) 1985-01-23 1985-11-19 Dsl Dynamic Sciences Limited Rechargeable battery pack
NL8600729A (nl) 1986-03-21 1987-10-16 Philips Nv Batterij, omvattende een of meer elektrochemische cellen met een negatieve elektrode uit een alkalimetaal.
US4719159A (en) 1986-05-19 1988-01-12 Eastman Kodak Company Sealed lithium battery
FR2621175B1 (fr) 1987-09-29 1989-12-01 Accumulateurs Fixes Generateur electrochimique amorcable mettant en oeuvre des couples lithium/oxyhalogenure
US4997732A (en) 1989-03-30 1991-03-05 Mhb Joint Venture Battery in a vacuum sealed enveloping material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5017441A (en) 1989-08-08 1991-05-21 Elgin Molded Plastics, Inc. Battery pack
US5057385A (en) 1990-12-14 1991-10-15 Hope Henry F Battery packaging construction
US5744261A (en) 1992-05-21 1998-04-28 Wilson Greatbatch Ltd. Insulating inclosure for lithium batteries
US5368958A (en) 1992-08-20 1994-11-29 Advanced Energy Technologies Incorporated Lithium anode with conductive for and anode tab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5326653A (en) 1992-10-29 1994-07-05 Valence Technology, Inc. Battery unit with reinforced current collector tabs and method of making a battery unit having strengthened current collector tabs
US5358539A (en) 1992-10-29 1994-10-25 Valence Technology, Inc. Method for making a battery assembly
JP3349529B2 (ja) 1992-11-05 2002-11-25 東芝電池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5368959A (en) 1993-03-30 1994-11-29 Valence Technology, Inc. Current collec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and batteries
US5445856A (en) 1993-11-10 1995-08-29 Chaloner-Gill; Benjamin Protective multilayer laminate for covering an electrochemical device
US5487958A (en) 1993-12-06 1996-01-30 Tura; Drew Interlocking frame system for lithium-polymer battery construction
US5603157A (en) 1994-03-02 1997-02-18 Micron Communications, Inc. Methods of producing button-type batteries and a plurality of battery terminal housing members
US5422200A (en) 1994-07-27 1995-06-06 Hope; Stephen F. Battery packaging construction for alkali metal multicell batteries
DE19529880A1 (de) 1995-08-14 1997-02-2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ochenergiebatterie mit mehreren Einzelzellen
US5637418A (en) * 1996-02-08 1997-06-10 Motorola, Inc. Package for a flat electrochemical device
JPH09288996A (ja) 1996-04-23 1997-11-04 Sumitomo Electric Ind Ltd 非水電解質電池
US5736271A (en) * 1996-06-28 1998-04-07 Telxon Corporation Battery pa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5731100A (en) 1997-02-06 1998-03-24 Doulgas Battery Manufacturing Company Battery cover
US6146778A (en) * 1997-07-25 2000-1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id-state energy storage module employing integrated interconnect board
ES2263189T3 (es) 1997-11-05 2006-12-01 Philips Consumer Communications France Unidad de bateria y dispositivo portatil alimentado por bateria que incluye dicha unidad de bater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24303A1 (en) 2001-04-05
KR20020077333A (ko) 2002-10-11
US6296967B1 (en) 2001-10-02
EP1222708A1 (en) 2002-07-17
EP1222708B1 (en) 2003-07-30
DE60004254D1 (de) 2003-09-04
CA2290878A1 (en) 2001-03-24
DE60004254T2 (de) 2004-04-22
JP4079639B2 (ja) 2008-04-23
CA2290878C (en) 2003-09-23
TW515121B (en) 2002-12-21
CN1376320A (zh) 2002-10-23
JP2003510790A (ja) 2003-03-18
CN1193447C (zh)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3971B1 (ko) 리튬 파우치 셀을 내장한 리튬 전지 구조
KR100561284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JP3430472B2 (ja) リチウム電池集成体
US9034498B2 (en) Secondary battery
KR20040054128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JP5402547B2 (ja) リード部材、リード部材付蓄電デバイス及びリード部材の製造方法
WO1997040539A1 (en) Non-aqueous electrolyte cell
KR20030042578A (ko)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TWI389373B (zh) 引線構件及其製法、與非水電解質蓄電裝置
WO1997040540A1 (en) Non-aqueous electrolyte cell
EP2355210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501416B1 (ko) 전지 박스
KR20140094205A (ko) 이차 전지
JP3632062B2 (ja) 薄型ポリマー電池
JP2010033888A (ja) 非水電解質電池用リード線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
KR101436641B1 (ko) 진공의 수분차단방지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45902A (ko) 전지의 외장재
KR101308242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JP3092123B1 (ja) 非水電解質電池用封入袋
EP1039563B1 (en) A method for treating contact leads on electrochemical cells so as to achieve improved hermeticity and hermetically sealed electrochemical cells derived therefrom.
JP2000311666A (ja) 電気化学電池の接続リードを処理して気密性を向上させる方法ならびに該方法により得られる気密シール電気化学電池
KR100551395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제조 방법
JP2005216659A (ja) リチウム2次電池
KR100303842B1 (ko)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US20230107727A1 (en) Pouch Type Rechargeable-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