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691B1 - Horizontal food mixer - Google Patents

Horizontal food mix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691B1
KR100521691B1 KR10-2003-0080961A KR20030080961A KR100521691B1 KR 100521691 B1 KR100521691 B1 KR 100521691B1 KR 20030080961 A KR20030080961 A KR 20030080961A KR 100521691 B1 KR100521691 B1 KR 100521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ank
stirring blade
planting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106905A (en
Inventor
나가이아키오
나가가와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나카이 키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이 키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이 키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9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6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 날(blade) 축과 그 베어링 부분의 교환·세정 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위생(sanitary) 사양의 수평형 푸드 믹서(horizontal food mixer)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rizontal food mixer of a sanitary specification that can easily exchange and clean the stirring blade shaft and its bearing portion.

거치대(30)에 축가(軸架)된 상면 개구형 식재 수용 탱크(35)의 내부를 전후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교반 날 축(60)의 전단부가 입력축(66)으로서, 그 탱크(37)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돌출된 식재 교반 작용 유닛(A)과, 상기 거치대(30)와 별개로 독립된 거치 구동 박스(77)에 내장된 교반 날 축용 구동 모터(87)로부터의 동력 추출축(106)이 그 구동 박스(77)로부터 상기 입력축(66)과 대응하는 후측을 향하여 돌출된 구동 유닛(M)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유닛(M)측의 동력 추출축(106)과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입력축(66)을 커플링(120)에 의해서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하였다.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extending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pening-type plant material receiving tank 35 axially attached to the holder 30 is an input shaft 66, from the tank 37.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from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A which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drive motor 87 for the stirring blade shaft built in the mounting drive box 77 independent from the said holder 30 is the same. The drive unit M which protrudes toward the rear side corresponding to the said input shaft 66 from the drive box 77 is provided,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and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of the said drive unit M side are provided. Of the input shaft 66 was detachably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upling 120.

Description

수평형 푸드 믹서{Horizontal food mixer} Horizontal food mixer

본 발명은 야채 샐러드나 저민 고기, 중국식 만두의 도구, 고기구이와 조미한 국물, 그 밖의 각종 식재를 교반하기 위한 수평형 푸드 믹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food mixer for stirring vegetable salads, minced meat, tools of Chinese dumplings, yakiniku and seasoning broth, and other various ingredients.

본 출원인은 종래부터 도 13 내지 도 18과 같은 수평형 푸드 믹서를 실시하고 있다. 이것으로는 전체로서 1개의 교반 날 축(1)이 식재 수용 탱크(2)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있고, 그 전후 양 단부가 각각 메탈(3)과 오일 시일(oil seal; 4)을 구비한 베어링 플랜지 유닛(5)에 의해서, 그 식재 수용 탱크(2)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상태에 있다. The present applicant has conventionally implemented a horizontal food mixer as shown in Figs. As a whole, one stirring blade shaft 1 penetrates the planting tank 2 horizontally as a whole, and both bearings are provided with metal 3 and an oil seal 4 at both front and rear ends thereof. By the flange unit 5, it is in the state rotatably supported by the planting container 2.

더구나, 이러한 베어링 상태에 있는 교반 날 축(1)의 전후 양 단부는 상기 식재 수용 탱크(2)와 하나의 기어 케이스(6, 7)에 의해서 포위되어 있는 것 외에, 그 구동측 기어 케이스(6)의 중심부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돌출하는 베어링 케이스(8)가 교반 날 축 회전용의 구동 모터(9)를 내장한 거치 구동 박스(10)로 삽입된 내부에 있어서, 베어링 플랜지(1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Moreover,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tirring blade shaft 1 in such a bearing state are surrounded by the plant material receiving tank 2 and one gear case 6, 7, and the driving side gear case 6. The bearing flange 11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drive box 10 in which the bearing case 8 integrally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center toward the front side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drive box 10 incorporating the drive motor 9 for rotating the stirring blade shaft. Is supported by

다른 한편, 남는 종동측 기어 케이스(7)의 중심부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돌출되는 축통(12)이 식재 수용 탱크(2)의 전도 작동 기구(F)를 내장한 탱크 지지 박스(13)로 삽입된 내부에 있어서, 역시 베어링 플랜지(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haft 12 which integrally protrudes toward the rear side from the center of the remaining driven side gear case 7 to the tank support box 13 incorporating the felling operating mechanism F of the plant material receiving tank 2. In the inserted interior, it is also supported by bearing flanges 14.

그리고, 그 탱크 지지 박스(13)로부터 노출되는 탱크 전도 핸들축(15)의 수동 조작 핸들(16)을 회동 조작하면, 그 전도 핸들축(15)상의 웜 기어(17)와 웜 휠(18)의 맞물림을 통해, 식재 수용 탱크(2)가 상기 베어링 케이스(8)와 축통(12)의 수평인 동일 축선(X-X) 주위로 전도하여, 교반 작용 후의 식재를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n, when the manual operation handle 16 of the tank conduction handle shaft 15 exposed from the tank support box 13 is rotated, the worm gear 17 and the worm wheel 18 on the conduction handle shaft 15 are rotated. Through engagement of the planting container 2, the planting tank 2 is allowed to fall around the same axis XX, which is horizontal to the bearing case 8 and the shaft 12, to take out the planting material after the stirring action.

또한, 상기 베어링 케이스(8)내의 볼 베어링(19)에 의해 교반 날 축(1)과 평행하게 베어링된 입력 기어축(20)이 상기 구동측 기어 케이스(6)내로 향하는 후단부와, 반대의 식재 수용 탱크(2)로부터 동일하게 구동측 기어 케이스(6)내로 향하는 교반 날 축(1)의 대응적인 전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전동 기어(21, 22)가 각각 끼워져서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구동 박스(10)내의 구동 모터(9)로부터 전동 체인(23)과 입력 기어축(20) 및 전동 기어(21, 22)를 거쳐서, 상기 교반 날 축(1)이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an input gear shaft 20 bearing in parallel with the stirring blade shaft 1 by the ball bearing 19 in the bearing case 8 is opposite to a rear end facing the drive side gear case 6. The gears 21 and 22 meshed with each other are integrally integrated in the corresponding front end portions of the stirring blade shaft 1 facing the plant-containing tank 2 into the drive-side gear case 6 in the same manner. The stirring blade shaft 1 is rotationally driven from the drive motor 9 in the box 10 via the electric chain 23, the input gear shaft 20, and the gears 21, 22.

그 경우, 도면 예에서는 상기 교반 날 축(1)이 병렬하는 2축식의 푸드 믹서를 도시하고, 그것을 위해 교반 날 축(1)의 좌우 한 쌍이 종동측 기어 케이스(7)내로 향하는 후단부에는 서로 맞물려서 등속 회전하는 감속 기어(24, 25)의 좌우 한 쌍도 감착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In that case, the drawing example shows the biaxial type food mixer in which the said stirring blade axis | shaft 1 paralleled, and for that purpose, the left and right pair of stirring blade axis | shaft 1 turned to the rear-end part which faces in the driven gear case 7 mutually. The left and right pairs of the reduction gears 24 and 25 which are engaged and rotate at constant speed are also attached and integrated.

또한, 상기 교반 날 축(1)과 복수의 교반 날(26)은 별개로 독립되어 있고, 그 각 교반 날(26)의 보스(boss; 27)가 교반 날 축(1)으로 통과되어 들어간 후, 가압 볼트(28)에 의해서 설치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Moreover, the said stirring blade shaft 1 and the some stirring blade 26 are independent independently, and after the boss 27 of each stirring blade 26 passes through the stirring blade shaft 1, It is provided by the pressurizing bolt 28, and is integrated.

이러한 종류의 수평형 푸드 믹서에서는 식재의 교반 작용 상, 교반 날 축(1)과 그 교반 날(26)의 설치 부분 및 교반 날 축(1)의 베어링 부분이 특히 오염되어 손상되기 쉽고, 또한 소모되기 쉬운 것이 통례이므로, 상기 종래품의 구성으로서는 도 16으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그 교반 날 축(1)이 1개의 식재 수용 탱크(2)를 관통하고 있으며, 그 전후 양 단부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5)도 기어 케이스(6, 7)에 포위되어 있기 때문에, 푸드 믹서의 사용자에 있어서, 상기 교반 날 축(1)과 그 베어링 부분 및 교반 날(26) 등을 식재 수용 탱크(2)로부터 분해하여 세정하거나, 교환하는 것은 극히 어려운 일이고, 식품 위생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In this type of horizontal food mixer, the stirring blade shaft 1,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stirring blade 26 and the bearing portion of the stirring blade shaft 1 are particularly contaminated and damaged easily due to the stirring action of the food. As it is common to be easy to do so, as the structure of the said prior art, as shown in FIG. 16, the stirring blade axis | shaft 1 has penetrated one plant material accommodation tank 2, and the bearing flange unit 5 of the front and back both ends is also Since it is surrounded by the gear cases 6 and 7, the user of a food mixer disassembles and washes the said stirring blade shaft 1, its bearing part, the stirring blade 26, etc. from the plant storage tank 2,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exchange them, and it is not preferable for food hygiene.

또한, 전후 양 단부에 기어 케이스(6, 7)가 부속되어 일체화된 식재 수용 탱크(2)와, 상기 구동 모터(9)를 내장한 거치 구동 박스(10) 및 상기 탱크 전도 작동 기구(F)를 내장한 탱크 지지 박스(13)는 역시 그 구동 박스(10)내 및 탱크 지지 박스(13)내에서의 베어링 플랜지(11, 14)를 개재하여, 전체적으로 장착되어 일체화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 인접하는 상호간에서도 분리하여 분해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있어서 매우 곤란하고, 거치된 바로 아래의 바닥 청소 작업이나 거치 사용 장소의 변경 등도 안락하고 편리하게 할 수 없다. In addition, the gear case (6, 7) is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both ends, the planting container (2), the mounting drive box (10) incorporating the drive motor (9) and the tank conduction operation mechanism (F) The tank support box 13 incorporating the above is also provided in the drive box 10 and the tank support box 13 via the bearing flanges 11 and 14 as a whole, so that the tank support box 13 is integrated.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user to separate and disassemble the adjacent ones, and the floor cleaning work just below the mount or the change of the place of use of the mount cannot be comfortably and conveniently.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도모하고, 그것을 위한 수평형 푸드 믹서로서, 거치대로부터 일체적으로 세워지는 탱크 지지 프레임과 탱크 지지 박스의 마주 보는 전후 상호간에, 상면 개구형의 식재 수용 탱크가 축가되고, 또한 그 식재 수용 탱크의 내부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의 교반 날 축의 전단부가 입력축으로서, 상기 식재 수용 탱크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전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편, 동일하게 교반 날 축의 후단부가 연장축으로서, 역시 식재 수용 탱크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후측 방향으로 돌출된 식재 교반 작용 유닛과,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fundamentally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horizontal food mixer therefor, a top-opening type food container tank is stacked between the tank support frame and the tank support box that are integrally erected from the holder. 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stirring blade shaft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inside of the food container tank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s the input shaft, while the rear end of the stirring blade shaft is similarly extended. As a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also protrudes in the rearward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planting tank,

그 식재 교반 작용 유닛측의 상기 거치대와 별개로 독립되는 거치 구동 박스에 내장되어 설치된 교반 날 축 회전용 구동 모터로부터의 동력 추출축이 그 구동 박스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식재 교반 작용 유닛측의 상기 입력축과 대응하여 위치하는 후측을 향하여 돌출된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The power extraction shaft from the agitator blade rotation drive motor built in a stationary drive box separate from the holder on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side ha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drive box and the input shaft on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side. A drive unit projecting toward the rear side correspondingly located,

그 구동 유닛측의 동력 추출축과 상기 식재 교반 작용 유닛측의 입력축을 커플링에 의해서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ower extraction shaft on the drive unit side and the input shaft on the side of the plant stirring action unit are detachab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coupling.

실시예 Example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5는 야채 샐러드나 저민 고기 등의 각종 식재를, 그 수용 탱크 내에서의 전체적으로 남김없이 교반하기 위해 적합한 2축식의 수평형 푸드 믹서를 예시하고 있고, 이것은 식재 교반 작용 유닛(A)과 그 구동 유닛(M)으로부터 조립되어 있지만, 도 6 내지 도 12와 같이 서로 분리하여 분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S. 1 to 5 are biaxial horizontal foods suitable for stirring various ingredients such as vegetable salads and sliced meats in the receiving tank as a whole. Although the mixer is illustrated, this is assembled from the plant stirring action unit A and its drive unit M, but it can separate | separate from each other like FIG. 6-12.

우선,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언급하면, 도면 부호 3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거의 H 자형으로서, 금속 각(角)파이프재로부터 장착되어 일체화된 거치대이고, 그 하면에 축지된 합계 4개의 브레이크 부착 자재 차륜(31)에 의해서, 작업 바닥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First, referring to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lant-stirring action unit (A), reference numeral 30 is a substantially H-shaped when viewed in a plan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a holder mounted and integrated from a metal angle pipe material. In total, the work wheels can be conveniently moved by the four material wheels 31 with brake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도면 부호 32는 상기 거치대(30)의 전단부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돌출된 좌우 한 쌍의 위치 결정 가이드 핀이고, 구동 유닛(M)측의 후술하는 핀 수용 플랜지와 대응 합치하여, 그 핀 수용 플랜지로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게 삽입된다. Reference numeral 32 is a pair of left and right positioning guide pins which integrally protrude toward the front side from the front end of the cradle 30, and correspondingly coincide with the pin receiving flange described later on the drive unit M side. 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flange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removed freely.

또한, 도면 부호 33은 동일하게 거치대(30)의 전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세워진 탱크 지지 프레임으로서, 금속 각파이프재로 도 8과 같이 프레임이 부착되어 구축되어 있고, 그 상단부에 고착 일체화된 부시가 부착된 베어링 플랜지(34)가 후술하는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측 지축을 수용한다.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33 is a tank support frame, which is integrally erected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cradle 30, and is constructed by attaching the frame as shown in FIG. The bearing flange 34 with the attached bush accommodates the front support shaft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described later.

도면 부호 36은 상기 탱크 지지 프레임(33)의 중도 높이 위치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걸쳐진 수평의 보강 바로서, 그 중앙부에는 로크 핀 수용 구멍(37)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고, 구동 유닛(M)측의 후술하는 로크 핀과 대응 합치하여, 그 로크 핀을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게 수용된다. Reference numeral 36 denotes a horizontal reinforcement bar fixed to the mid-height position of the tank support frame 33 and horizontally extending, and having a lock pin receiving hole 37 opened in the center thereof, the drive unit M side Corresponding to the lock pin described later, the lock pin can be freely inserted and removed.

도면 부호 38은 그 로크 핀 수용 구멍(37)의 인접 위치에 끼워 고정된 레버 회동 지점축이고, 이것에 의해서 로크 레버(39)의 중도부가 상기 보강 바(36)로, 기복적인 회동 조작 자유롭게 피벗 부착되어 있다. 또한, 그 로크 레버(39)의 선단부는 계지 훅(40)으로서 조형되어 있고, 구동 유닛(M)측의 후술하는 로크 핀에 절단된 키 홈으로 결합·이탈 자유롭게 계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Reference numeral 38 denotes a lever pivot point shaft fixed to an adjacent position of the lock pin receiving hole 37, whereby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ock lever 39 pivots freely on the reinforcing bar 36 by the reinforcement bar 36. It is. Further, the tip end of the lock lever 39 is molded as the locking hook 40, and the locking lever 39 can be engaged and detached freely by a key groove cut into the lock pin described later on the drive unit M side.

다른 한편, 도면 부호 41은 금속판으로부터 세로형 직방체로 조립하여 일체화된 탱크 지지 박스로서, 그 거치대(30)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마주 보는 상향 일체적으로 세워져 있고, 이것에는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도 작동 기구(F)가 내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41 denotes a tank support box which is assembled by a vertical rectangular parallelepiped from a metal plate and is integrally erected upwardly facing the tank support frame 33 from the rear end of the cradle 30. The conduction actuating mechanism F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is provided in a built-in manner.

결국, 그 탱크 전도 작동 기구(F)는 도 7, 도 9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탱크 지지 박스(41)의 중도 높이 위치를 좌우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여 수평으로 걸쳐지는 전도 핸들축(42)과, 그 중도부에 끼워져서 일체화된 웜 기어(43)와, 그 웜 기어(43)로 바로 위의 위치로부터 맞물린 웜 휠(4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 핸들축(42)이 수동 조작 핸들(45)에 의해서, 탱크 지지 박스(41)의 횡측 외방으로부터 회동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As a result, the tank felling actuation mechanism F, as evident from Figs. 7 and 9, has a felling handle shaft 42 which horizontally extends through the mid-height position of the tank support box 41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worm gear 43 fitt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a worm wheel 44 engaged with the worm gear 43 from a position immediately above, wherein the felling handle shaft 42 is a manual handle 45; By this, rotation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lateral outward of the tank support box 41.

더구나, 그 웜 휠(44)의 회동 지축(46)은 상기 전도 핸들 축(42)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의 연장 상태로서, 탱크 지지 박스(41)의 전면을 관통하고 있고, 그 휠 회동 지축(46)의 볼 베어링이 부착된 베어링 플랜지 유닛(47)이 탱크 지지 박스(41)의 전면으로, 내측으로부터 복수의 볼트(48)에 의해서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면 부호 49는 그 탱크 지지 박스(41)의 전면에 뒤를 덧대어 일체화된 보강 플레이트이다. Moreover, the pivot axis 46 of the worm wheel 44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duction handle shaft 42 and penetrates the front surface of the tank support box 41, and the wheel pivot axis A bearing flange unit 47 with a ball bearing of 46 is provided a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ank support box 41 by a plurality of bolts 48 from the inside. Reference numeral 49 denotes a reinforcing plate integrat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tank support box 41 integrally.

도면 부호 50은 동일하게 휠 회동 지축(46)의 시일 플레이트이고, 도면 부호 51은 상기 전도 핸들축(42)을 갖는 좌우 한 쌍의 베어링 메탈 부착 커버 플랜지이고, 그 모두 탱크 지지 박스(41)로 복수의 볼트(52)에 의해서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면 부호 53은 그 탱크 지지 박스(41)의 좌우 양측면에 뒤를 덧대어 일체화된 보강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다. Reference numeral 50 is the same as the seal plate of the wheel pivot support shaft 46, and reference numeral 51 is a cover flange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bearing metals having the conductive handle shaft 42, all of which are supported by the tank support box 41. It is provided and fixed by the some bolt 52. Reference numeral 53 denotes a reinforcing plate which is integrated by cover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ank support box 41.

먼저 한번 언급한 식재 수용 탱크(35)는 스테인리스 강판으로부터, 도 3, 도 4와 같은 좌우 한 쌍의 연속하는 원호 저면을 구비한 의사(擬似) 도립 원통 둥근 천정형(barrel vault)으로 조형되어 있고, 그 평평한 전후 양면의 중앙부로부터는 전측 지축(54)과 후측 지축(55)의 한 쌍이 모두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The planting tank 35 mentioned first is molded from a stainless steel sheet into a pseudo inverted cylindrical round vault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continuous arc bottoms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air of the front support shaft 54 and the rear support shaft 55 protrude integrally from the central portions of the flat front and rear surfaces.

그리고, 그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측 지축(54)이 상기 탱크 지지 프레임(33)의 부시가 부착된 베어링 플랜지(34)에 수용되어 있는 한편, 동일하게 후측 지축(55)은 상기 웜 휠(44)의 회동 지축(46)과 착탈 자유롭게 플랜지 접합되어 있고, 그 휠 회동 지축(46)에 의한 후방으로의 일체적인 연장 상태로서, 상기 탱크 지지 박스(41)의 볼 베어링이 부착된 베어링 플랜지 유닛(47)에 수용되어 있다. 도면 부호 56, 57은 상기 후측 지축(55)의 후단부와 휠 회동 지축(46)의 전단부로부터 각각 일체적으로 돌출되는 직경이 큰 원형 플랜지이고, 그 접합 상태가 착탈 자유로운 볼트(58)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The front bearing 54 of the plant holding tank 35 is accommodated in the bearing flange 34 with the bush of the tank supporting frame 33, while the rear bearing 55 is similarly the worm wheel. A bearing flange with a ball bearing of the tank support box 41 attached to the pivot shaft 46 of the tank 44 in a detachable manner and integrally extended to the rear by the wheel pivot shaft 46. Housed in the unit 47. Reference numerals 56 and 57 denote large circular flanges which protrude integrally from the rear end of the rear support shaft 55 and the front end of the wheel pivot support shaft 46, respectively. It is to be tightened by.

그 경우,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측 지축(54)과 후측 지축(55) 및 웜 휠(44)의 회동 지축(46)은 도 3, 도 7과 같이 전부 동일 축선(X-X)상에 위치하고 있고, 그 때문에 상기 탱크 전도 작동 기구(F)의 전도 핸들축(42)을 회동 조작하면, 식재 수용 탱크(35)가 그 동일 축선(X-X)의 주위로 360도 방향 변환하게 되고, 그 전도한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교반 작용 후의 식재를 새지 않고 안락하게 꺼낼 수 있으며, 탱크 내의 세정 작업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면 부호 59는 식재 수용 탱크(35)의 한 쪽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되는 전후 한 쌍의 손잡이이다. In that case, the front axis 54 and the rear axis 55 of the planting tank 35 and the pivot axis 46 of the worm wheel 44 are all located on the same axis XX as shown in FIGS. 3 and 7. Therefore, when the felling handle shaft 42 of the tank felling operation mechanism F is rotated, the plant material receiving tank 35 is rotated 360 degrees around the same axis XX, The planting material after the agitation action can be taken out comfortably from the planting tank 35 without leaking, and the cleaning operation in the tank can also be made convenient. Reference numeral 59 denotes a pair of front and rear handles integrally projecting from one side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도면 부호 60은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의 원호 저면과 대응 위치하면서, 전후 방향으로의 병렬 상태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교반 날 축으로서, 모두 스테인리스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그 각각의 양 단부에 가압 일체화된 전후 한 쌍의 소켓(61, 62)도 포함하는 전체 길이(L)가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길이(예를 들면 약 620mm)로 거의 동일하게 치수화되어 있고, 그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으로부터 교반 날 축(60)을 지장 없이 출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서,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폭(W)은 일 예로서 약 420mm이고, 동일하게 전 수용량은 약 100 리터이다. Reference numeral 60 denotes a pair of left and right stirring blade shafts extending in parallel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le correspondingly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arc bottom surface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all made of stainless steel pipes, The total length L, which also includes a pair of front and back sockets 61 and 62, which are pressure-integrated, is approximately equally dimensioned to the opening length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for example, about 620 mm), and the plant accommodation is accommodated. The stirring blade shaft 60 can be taken in and out without a proble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tank 35. Incidentally, the opening width W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is, for example, about 420 mm, and the total capacity is about 100 liters.

도면 부호 63은 복수의 교반 날로서, 모두 평평한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둥근 막대형의 설치 아암(64)이 각 교반 날 축(60)의 원주면으로 전부 삽입되고, 또한 용접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교반 날 설치 상의 틈이나 요철 등이 발생하지 않고, 위생적인 사용과 완전한 세정 작업에 도움이 된다. 단, 식재 수용 탱크(35)내의 전후 양 단부에 위치하는 1쌍씩의 교반 날(63)만은 식재가 통과하는 원형의 빠짐 구멍(65)을 구비하고 있다. Reference numeral 63 denotes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all of which are made of flat stainless steel plate, and the round rod-shaped mounting arms 64 are all inserted in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stirring blade shaft 60, and welded together. . Therefore, a gap, unevenness | corrugation, etc. on agitation blade installation do not generate | occur | produce, and it is useful for sanitary use and a complete washing operation. However, only the pair of stirring blades 63 which are located in the front-back both ends in the plant storage tank 35 is equipped with the circular missing hole 65 which planting material passes through.

그 경우, 각 교반 날(63)은 도 7, 도 12와 같은 평면에서 보아, 교반 날 축(60)의 긴변 중심선(회전축선)과 예각(α)과 교차하는 관계인 경사 상태에 있고, 더구나 양 교반 날 축(60)의 좌우 상호간에서는 그 교반 날(63)의 경사 상태가 역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In that case, each stirring blade 63 is in the inclined state which intersects the long side centerline (rotational axis line) of the stirring blade axis 60 and the acute angle α as seen in the same plane as in FIGS. 7 and 1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the inclination state of the stirring blade 63 is set in the reverse direction.

이러한 병렬하는 교반 날 축(60)의 2개에 대한 교반 날(63)의 반대측을 향한 배열에 의해서, 식재를 도 3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한쪽의 교반 날 축(60)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교반 날 축(60)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자연히 순환시키고, 그 식재의 전체를 남김없이 교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양 교반 날 축(60)상의 교반 날(63)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By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tirring blade 63 with respect to two of these parallel stirring blade shafts 60, as shown by the arrow of FIG. 3, along the one stirring blade shaft 60 of the planting material is shown. It conveys forward, and it circulates naturally so that it may convey backward along the other stirring blade shaft 60, and the whole planting material can be stirred free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tirring blades 63 on the two stirring blade shafts 60 are arr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도면 부호 66은 상기 교반 날 축(60)과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짧은 입력축이고, 식재 수용 탱크(35)의 평평한 전면을 관통하고 있고, 그 후단부가 각각 교반 날 축(60)의 상기 전측 소켓(61)으로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도록 삽입되고, 또한 고정 비스(67)를 개재하여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Reference numeral 66 denotes a pair of left and right short input shafts corresponding to the stirring blade shaft 60, penetrating the flat front surface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and the rear ends thereof are the front sockets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respectively. It is inserted so as to be able to freely plug in and out with 61, and is connected so that it may rotate integrally via the fixing screw 67. As shown in FIG.

또한, 각 입력축(66)이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L1)만큼 돌출하는 전단부에는 구동 유닛(M)측의 후술하는 커플링과 맞물리는 각진 형의 키 볼록자(68)가 가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n angled key convex 68 engaged with a coupling described later on the drive unit M side is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each input shaft 66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L1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 Is processed and formed.

도면 부호 69는 각 입력축(66)을 지지하는 부시와 오일 시일이 내장된 베어링 플랜지 유닛으로서,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면으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돌출된 상하 한 쌍의 스터드 볼트(stud bolt; 70)와, 그 체결 너트(71)에 의해서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면으로 도 8과 같이 외측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Reference numeral 69 denotes a bearing flange unit having a bush and an oil seal for supporting each input shaft 66,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stud bolts protruding integrally toward the front si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plant holding tank 35. The bolt 70 and its fastening nut 71 are detachably installed and fixed from the outsid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as shown in FIG. 8.

다른 한편, 도면 부호 72는 동일하게 교반 날 축(60)과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짧은 연장축으로서, 식재 수용 탱크(35)의 평평한 후면을 관통하고 있고, 그 전단부가 각각 교반 날 축(60)의 상기 후측 소켓(62)으로 자유롭게 빼고 꽂을 수 있게 삽입된 후, 역시 고정 비스(73)를 통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72 is a pair of left and right pairs of short extension shafts corresponding to the stirring blade shaft 60 in the same manner, penetrating the flat rear surface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and the front end portions thereof are the stirring blade shaft 60, respectively.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rear socket 62 of the) so as to be freely pulled out and plugged in, it is also connected to be rotated integrally through the fixing screw (73).

도면 부호 74는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L2)만큼 돌출되는 각 연장축(72)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부시와 오일 시일이 내장된 베어링 플랜지 유닛이고, 상기 입력축(66)측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69)과 동일하게, 식재 수용 탱크(35)의 후면으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돌출된 상하 한 쌍의 스터드 볼트(75)와, 그 체결 너트(76)에 의해서 식재 수용 탱크(35)의 후면으로, 도 10과 같이 역시 외측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Reference numeral 74 denotes a bearing flange unit in which a bush and an oil seal are mounted to support the rear end of each of the extension shafts 72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planting tank 35 by a predetermined length L2, and the input shaft 66 In the same manner as the bearing flange unit 69 on the side, the plant material is accommodated by the pair of upper and lower stud bolts 75 protruding integral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plant material accommodation tank 35 toward the rear side and the fastening nut 76 thereof. To the rear surface of the tank 35, as shown in FIG. 10, it is also detachably installed and fixed from the outside.

그 때문에, 도 12의 분해 상태로부터 시사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66)측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69)과 연장축(72)측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74)을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분리하고, 그 세정이나 교환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 외에, 또한 상기 입력축(66)과 전측 소켓(61)의 고정 비스(67)나, 연장축(72)과 후측 소켓(62)의 고정 비스(73)를 모두 분리하고, 그 입력축(66)과 연장축(72)을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빼냄으로써, 이들의 교환은 물론, 상기 교반 날(63)이 부속 일체화되어 있는 교반 날 축(60)도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추출하여, 그 세정이나 교환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Therefore, as suggested from the disassembled state of FIG. 12, the bearing flange unit 69 on the input shaft 66 side and the bearing flange unit 74 on the extension shaft 72 side are separated from the plant material receiving tank 35. In addition, the cleaning and replacement of the input shaft 66 and the front socket 61 can be performed, and the fixed shaft 67 of the extension shaft 72 and the rear socket 62 can be used. By removing all the 73 and removing the input shaft 66 and the extension shaft 72 from the plant storage tank 35, the stirring blade shaft which the said stirring blade 63 is integrally attached as well as these replacement | exchange is carried out. The 60 may also be extracted from the plant storage tank 35 to facilitate operations such as cleaning and replacement thereof.

다음에, 구동 유닛(M)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도면 부호 77은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식재 수용 탱크(35)보다도 높이가 높은 세로형 직방체로서, 금속판으로 조립하여 일체화된 거치 구동 박스이고, 그 각진 모서리부로부터 아래로 내려오는 합계 4개의 래그통(脚筒; 78)에는 거치 높이와 수평도를 승강 조정할 수 있는 접지 시트(79)가 각각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어 있다. Next, when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drive unit M is demonstrated, 77 is a vertical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ich is higher than the plant material accommodation tank 35 by the side of the said stirring action unit A, and is a metal plate integrated mounting. It is a drive box, and the ground sheet 79 which can raise and lower a mounting height and a horizontal degree is respectively screwed together and fastened to four lag cylinders 78 which descend | fall down from the angled edge part.

도면 부호 80은 상기 구동 박스(77)의 후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내려진 스커트 플레이트이고, 여기에는 도 7, 도 11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위치 결정 가이드 핀(32)을 수용하는 플랜지(81)의 좌우 한 쌍의 복수의 볼트(82)에 의해서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단, 반대로 구동 유닛(M)측의 구동 박스(77)로부터 위치 결정 가이드 핀(32)을 후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하는 한편, 그 가이드 핀 수용 플랜지(81)를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에 설치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Reference numeral 80 denotes a skirt plate which is integrally lower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rive box 77, which houses the positioning guide pin 32 on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as is apparent from FIGS. It is provided and fixed by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 pairs of bolts 82 of the flange 81. However, on the contrary, the positioning guide pin 32 protrudes toward the rear side from the drive box 77 on the drive unit M side, and the guide pin receiving flange 81 is provided on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It may be fixed to the cradle 30 of the installation.

도면 부호 83은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로크 핀 수용 구멍(37)으로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도록 삽입되는 로크 핀으로서, 그 베이스 플레이트(84)가 구동 박스(77)의 중도 높이 위치로 복수의 볼트(85)에 의해서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면 부호 86은 그 로크 핀(83)의 원주면에 절단된 키 홈이고, 여기에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의 로크 레버(39)의 계 훅(40)이 결합·이탈 자유롭게 계지된다. Reference numeral 83 denotes a lock pin inserted into the lock pin receiving hole 37 on the side of the stirring action unit A so as to be freely inserted and removed, and the base plate 84 is provided at a plurality of intermediate height positions of the drive box 77. It is installed and fixed by the bolt 85 of the. Reference numeral 86 denotes a key groove cut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 pin 83, and the locking hook 39 of the lock lever 39 on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is engaged and detached freely.

그 경우, 반대로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의 탱크 지지 프레임(33)의 보강 바(36)로부터 로크 핀(83)을 전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하는 한편, 그 로크 핀 수용 구멍(37)과 로크 레버(39)를 구동 유닛(M)측의 구동 박스(77)로 대응 설치하여도 지장이 없다. In that case, on the contrary, the lock pin 83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from the reinforcing bar 36 of the tank support frame 33 on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and the lock pin receiving hole 37 and the lock are provided. Even if the lever 39 is installed as a drive box 77 on the drive unit M side, there is no problem.

어떻든, 이러한 로크 핀(83)과 좌우 한 쌍의 위치 결정 가이드 핀(32)에 의해,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 및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그 구동 유닛(M)측의 거치 구동 박스(77)를 위치 결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유닛(M)측의 후술하는 동력 추출축과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 있어서의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을, 자연히 정확한 심내기(centering)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In any case, by such a lock pin 83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positioning guide pins 32, the cradle 30 and the tank support frame 33 on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and the drive unit M thereof Since the stationary drive box 77 on the) side is positioned, the input shaft of the power extraction shaft described later on the drive unit M side and the stirring blade shaft 60 on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 66 can naturally be maintained in the correct centering state.

도면 부호 87은 상기 구동 박스(77)내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 교반 날 축 회전용의 구동 모터(3상 200V, 0.75Kw의 캐드 모드)이고, 여기서 전측을 향하는 출력축(88)에는 출력 스프로킷(sprocket; 89)이 끼워져서 일체화되어 있다. Reference numeral 87 denotes a drive motor (three-phase 200V, 0.75 Kw cad mode) for agitating the blade shaft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rive box 77, wherein an output sprocket is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88 facing forward. 89) is inserted and integrated.

도면 부호 90은 동일하게 구동 박스(77)내의 중도 높이 위치에 고정 지지된 가대로서, 채널홈형강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기어 케이스(91)의 회동 지점축이 되는 베어링 케이스(92)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베어링 플랜지(93)가 복수의 볼트(94)에 의해서 병렬 상태로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면 부호 95는 그 전후 한 쌍의 베어링 플랜지(93)에 공통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이고, 도면 부호 96은 동일하게 베어링 플랜지(93)의 세트 컬러이다. Reference numeral 90 denotes a mount which is fixedly supported at the mid-high position in the drive box 77, and is made of channel groove steel, and on its upper surface is rotated the bearing case 92 serving as the pivot point axis of the gear case 91. A pair of front and rear bearing flanges 93 which are freely supported are provided and fixed in parallel by a plurality of bolts 94. Reference numeral 95 is a base plate common to the pair of bearing flanges 93 before and after, and reference numeral 96 is a set color of the bearing flange 93 in the same manner.

또한, 도면 부호 97은 상기 베어링 케이스(92)내의 볼 베어링(98)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전동 기어축으로서, 상기 구동 모터(87)의 출력축(88)과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전단부에는 상기 출력 스프로킷(89)과 대응하여 위치하는 전동 스프로킷(99)이 동일하게 전동 기어축(97)의 후단부에는 직경이 작은 전동 기어(100)가 각각 끼워져서 일체화되어 있다. Reference numeral 97 denotes an electric gear shaft rotatably supported by the ball bearing 98 in the bearing case 92,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output shaft 88 of the drive motor 87, In the front end thereof, the electric sprockets 99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prockets 89 are similarly fitted to the rear ends of the electric gear shafts 97 so that the small electric gears 100 are respectively integrated.

또한, 기어 케이스(91)의 회동 지점축이 되는 베어링 케이스(92)에 의해 지지된 전동 기어축(97)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의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후 양 지축(54, 55) 및 휠 회동 지축(46)의 동일 축선(X-X)상에 대응 위치하고 있고, 그 축선(X-X)상에 있어서 회전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electric gear shaft 97 supported by the bearing case 92 serving as the pivot point shaft of the gear case 91 has a planting tank 35 on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 Are located on the same axis XX of both front and rear axes 54 and 55 and the wheel pivot axis 46, and rotate on the axis XX.

도면 부호 101은 그 전동 스프로킷(99)과 상기 출력 스프로킷(89)의 상하 상호간에 감겨진 전동 체인이고, 도면 부호 102는 그 전동 체인(101)의 텐셔너이고, 상기 가대(90)로부터 수하하는 설치 플레이트(103)로, 여유있게 움직일 수 있도록 축지되어 있다. 또한, 그 텐셔너(102)의 설치 플레이트(103)는 도 11과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 긴 구멍(104)과 복수의 볼트(105)를 개재하여, 상기 가대(90)의 전면으로 슬라이딩 조정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Reference numeral 101 denotes a transmission chain wound up and down between the transmission sprocket 99 and the output sprocket 89, and reference numeral 102 denotes a tensioner of the transmission chain 101, and is provided to be loaded from the mount 90. The plate 103 is supported so as to be able to move freely. In addition, the mounting plate 103 of the tensioner 102, as shown in Figure 11, through the sliding guide long hole 104 and the plurality of bolts 105, the sliding adjustment to the front of the mount 90 is freely installed. have.

상기 기어 케이스(91)는 금속판으로부터 전면에서 보았을 때의 원반형으로 조립하여 일체화되어 있고, 그 전면의 중심부에 상기 베어링 케이스(92)의 후단부가 복수의 볼트(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일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단, 그 기어 케이스(91)의 후면은 벗겨서 개구시킬 수 있고, 그 기어 케이스(91)의 내부에 상기 전동 기어축(98)상의 전동 기어(100)가 향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The gear case 91 is assembled from a metal plate in a disc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is integrated. The rear end of the bearing case 92 is integrally rotated through a plurality of bolts (not shown) in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It is equipped to do so. However,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gear case 91 can be peeled off and opened, and the gear 100 on the transmission gear shaft 98 is directed inside the gear case 91.

도면 부호 106은 상기 전동 기어축(97)을 중심으로 하고, 이것과 평행하게 배분되어 병렬된 좌우 한 쌍의 동력 추출축이고, 그 기어 케이스(91)를 관통하여, 또한 구동 박스(77)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L3)만큼 돌출되어 있다. 그 돌출된 양 동력 추출축(106)은 도 7과 같이,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의 양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과 마주보고 대응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Reference numeral 106 denotes a pair of left and right power extraction shafts centered on the electric gear shaft 97 and distributed in parallel thereto, penetrating through the gear case 91 and furth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drive box 77. It protrudes by a fixed length L3 from. The protruding both power extraction shaft 106 is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corresponding to the input shaft 66 of both stirring blade shafts 60 on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as shown in FIG.

더구나, 그 좌우 어느 한쪽의 동력 추출축(106)이 기어 케이스(91)의 내부로 향하는 중도부에는 상기 전동 기어축(97)상의 전동 기어(100)와 맞물리는 중간 전동 기어(107)와, 이것보다도 직경이 큰 감속 기어(108)의 전후 한 쌍이 스페이서(109)를 개재하여 끼워져서 일체화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ower gear 107 meshing with the transmission gear 100 on the transmission gear shaft 97 is provided at the middle part in which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of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faces the inside of the gear case 91; A pair of front and rear of the reduction gear 108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is is integrated through the spacer 109 and integrated.

그리고, 남는 다른쪽의 동력 추출축(106)이 동일하게 기어 케이스(91)의 내부로 향하는 중도부에는 전동 기어축(97)의 회전 축선(X-X)상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어(108)와 맞물리는 동일한 감속 기어(110)가 끼워져서 일체화되어 있고, 이러한 기어 케이스(91)내의 기어 전동 기구(G)를 개재하여, 상기 동력 추출축(106)의 좌우 한 쌍이 구동 모터(87)에 의해 상반 방향으로 등속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Then, the remaining power extraction shaft 106 equally faces the reduction gear 108 on the rotational axis XX of the electric gear shaft 97 in the middle portion where the remaining power extraction shaft 106 faces the inside of the gear case 91. The physics is integrated with the same reduction gear 110, and the left and right pairs of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are inverted by the drive motor 87 via the gear transmission mechanism G in the gear case 91. It is designed to rotate at a constant speed in the direction.

그 경우, 상기 구동 박스(77)의 후면은 기어 케이스 장착구(111)로서, 그 기어 케이스(91)보다도 직경이 큰 원형으로 개구 형성된 후, 링형의 커버 플레이트(112)에 의해서 덮여 있다. 도면 부호 113은 그 구동 박스(77)의 후면에 대한 커버 플레이트(112)의 설치 볼트(114)는 그 커버 플레이트(112)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부속되어 일체화된 시일 수용 링이고, 도면 부호 115는 그 시일 수용 링(114)의 개구 직경과 거의 대응하는 크기의 원형인 시일 플레이트이고, 그 주변 가장자리부가 상기 시일 수용 링(114)의 내부로 가압되어 일체화된 수밀용의 탄성 시일(116)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수용된 밀봉 상태에 있다. In this case, the rear surface of the drive box 77 is a gear case mounting hole 111, and is formed by an opening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gear case 91 and then covered by a ring cover plate 112. Reference numeral 113 denotes an installation bolt 114 of the cover plate 112 with respect to the rear surface of the drive box 77, which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opening edge of the cover plate 112, and is a seal receiving ring. A circular seal plate having a size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diameter of the seal receiving ring 114,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which is pressed into the seal receiving ring 114 by an integrally sealed watertight elastic seal 116;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accommodated.

또한, 각 동력 추출축(106)의 전단부는 상기 기어 케이스(91)의 전면에 설치되어 고정된 볼 베어링 부착 베어링 플랜지(117)에 의해, 동일하게 각 동력 추출축(106)의 중도부는 그 기어 케이스(91)의 후면과 상기 구동 박스(77)의 시일 플레이트(115)에 걸쳐서 끼워진 베어링 케이스(118)내의 볼 베어링(119)에 의해, 모두 회전 자유롭게 베어링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each power extraction shaft 106 is provided by a bearing flange 117 with a ball bearing installed and fixed in front of the gear case 91, and the middle portion of each power extraction shaft 106 is similarly the gear. All are rotatably bearing by the ball bearing 119 in the bearing case 118 fitted over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91 and the seal plate 115 of the said drive box 77.

또한, 각 동력 추출축(106)이 구동 박스(77)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L3)만큼 돌출하는 후단부에는 상기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과 전동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120)이 삽입되어서 덮여 있다. 그 커플링(120)의 후단부에는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의 입력축(66)의 키 볼록자(68)와 맞물리는 각진 형의 키 홈(121)이 대응 형성되어 있다. 단, 그 자웅 관계를 반대로서, 상기 키 볼록자(68)를 커플링(120)의 후단부로, 이것과 맞물리는 키 홈(121)을 상기 입력축(66)의 전단부로 각각 가공하여 형성하여도 물론 좋다. In addition, a coupling 12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put shaft 66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to a rear end portion of each of the power extraction shafts 106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rive box 77 by a predetermined length L3. ) Is inserted and covered. At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120, an angular key groove 121 engaging with the key convex 68 of the input shaft 66 on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is correspondingly formed. However, the key convex 68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120 and the key groove 121 meshing with the front end of the input shaft 66 may be formed by reversing the male relationship. Of course good.

더구나, 각 동력 추출축(106)의 원주면으로부터는 노크 핀(122)이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편, 그 노크 핀 수용 구멍(123)이 각각 커플링(120)의 원주면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거의 L 자형으로서 절단되어 있다. Moreover, the knock pin 122 protrudes integrally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power extraction shaft 106, while the knock pin receiving holes 123 respectively have a planar view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120. It is cut as an almost L shape at the time.

결국, 그 노크 핀 수용 구멍(123)은 도 5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커플링(120)의 긴변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진퇴 가이드 긴 구멍 부분(123a)과, 그 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결되는 진퇴 로크 구멍 부분(123b)을 구비하고 있고, 그 노크 핀 수용 구멍(123)의 진퇴 가이드 긴 구멍 부분(123a)으로 상기 동력 추출축(106)의 노크 핀(122)을 수용한 결합 상태에서는 커플링(120)을 그 진퇴 가이드 긴 구멍 부분(123a)을 따라서 일정 스트로크(S, 예를 들면 약 70mm)만큼 진퇴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그 커플링(120)의 키 홈(121)을 상기 입력축(66)의 키 볼록자(68)에 대하여,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s a result, the knock pin receiving hole 123, as is evident from Fig. 5, is a retraction guide elongated hole portion 123a extending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oupling 120, and bent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thereof. And a retraction lock hole portion 123b whi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receives the knock pin 122 of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with the retraction guide elongation portion 123a of the knock pin receiving hole 123. In this state, the coupling 120 can be slid forward an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stroke S (for example, about 70 mm) along the retraction guide long hole portion 123a, and the key groove 121 of the coupling 120 is moved. The key convex 68 of the input shaft 66 can be operated so as to be freely inserted and removed.

그리고, 상기 커플링(120)을 입력축(66)을 향하여 후방으로 진출시키고, 그 키 홈(121)을 입력축(66)의 키 볼록자(68)와 맞물린 후, 동일하게 노크 핀 수용 구멍(123)의 진퇴 로크 구멍 부분(123b)으로 상기 동력 추출축(106)의 노크 핀(122)을 수용한 계지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이 더 이상 커플링(120)이 입력축(66)으로부터 이탈할 우려는 없고, 그 입력축(66)과 동력 추출축(106)이 커플링(120)을 개재하여,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전동 연결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Then, the coupling 120 is advanced backward toward the input shaft 66, and the key groove 121 is engaged with the key convex 68 of the input shaft 66, and then the knock pin receiving hole 123 is similarly. In the locked state in which the knock pin 122 of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is accommodated as the forward and backward lock hole portion 123b of FIG. 3, the coupling 120 may no longer be separated from the input shaft 66 as shown in FIG. 3. The input shaft 66 and the power extracting shaft 106 are maintained in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which can be integrally rotated via the coupling 120.

추가로 언급하면, 상기 L자형의 노크 핀 수용 구멍(123)은 그 양 커플링(120)의 좌우 상호간에서, 역방향의 대칭 형태로 절단되어 있고, 상기 동력 추출축(106)과 나아가서는 교반 날 축(60)의 좌우 한 쌍이 도 4와 같이 상반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과의 관계 상, 그 노크 핀(122)이 스스로 커플링(120)의 상기 진퇴 로크 구멍 부분(123b)으로 수용하여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As mentioned further, the L-shaped knock pin receiving hole 123 is cut in a symmetrical form in a reverse direc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uplings 120, and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and further the stirring blade. Since the left and right pairs of the shafts 60 are rotationally driven in the upper direction as shown in FIG. 4, the knock pins 122 receive and lock themselves into the receding lock hole portions 123b of the coupling 120. It is.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구동 유닛(M)측의 동력 추출축(106)으로부터 노크 핀(122)을 돌출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그 노크 핀 수용 구멍(123)이 절단된 커플링(120)을 동력 추출축(106)의 돌출 후단부로 삽입하여 덮고 있지만, 그 동력 추출축(106)과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입력축(66)과, 커플링(120)을 개재하여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되는 한, 그 커플링(120)을 전후의 역방향으로서,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돌출하는 입력축(66)의 전단부로 삽입하여 덮는 동시에, 그 노크 핀 수용 구멍(123)에 수용하여 결합된 노크 핀(122)을 상기 입력축(66)의 원주면에 돌출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Furth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knock pin 122 is protruded and installed from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on the drive unit M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coupling 120 in which the knock pin receiving hole 123 is cut off is provided. Although inserted and covered by the protruding rear end of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the input shaft 66 on the side of the stirring action unit A, and the coupling 120 are detachab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via the coupling 120. As long as it is, the coupling 120 is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input shaft 66 protruding from the planting tank 35 on the side of the stirring action unit A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and the knock pin receiving hole. It is also possible to protrude and install the knock pin 122 accommodated in the 123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put shaft 66.

또한, 도 1, 도 2, 도 6, 도 11의 도면 부호 124는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을 덮는 안전 커버이고, 금속 선재로부터 탱크 내를 투시할 수 있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직사각형으로 프레임 구축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행거축(125)이 고정되어 수평으로 걸쳐져 있다. 도면 부호 126은 상기 안전 커버(124)를 개폐하는 좌우 한 쌍의 개폐 아암이고, 그 전단부가 상기 행거축(125)의 좌우 양 단부에 피벗 부착되어 있는 한편, 동일하게 기단부는 상기 구동 박스(77)의 상단부 부근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걸쳐지는 수평인 회동축(127)의 좌우 양 단부에 끼워져서 일체화되어 있다. 1, 2, 6, and 11, reference numeral 124 denotes a safety cove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plant material receiving tank 35, and is a rectangle when viewed from a plane that can see the inside of the tank from a metal wire. The frame is constructed, and the hanger shaft 125 is fixed to the center part and is horizontally spread. Reference numeral 126 denotes a pair of left and right opening and closing arm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afety cover 124, the front end portion of which is pivotally attached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hanger shaft 125, while the proximal end thereof is the drive box 77 as well. It is fitted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horizontal rotating shaft 127 that extends horizontally through the vicinity of the upper end of the c).

도면 부호 128은 상기 행거축(125)의 좌우 양 단부로 나사 결합되어 체결된 한 쌍의 클램프 레버이고, 이것을 체결하여 조작함으로써, 안전 커버(124)를 도 1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과 거의 평행한 덮음 상태로 고정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부호 129는 상기 개폐 아암(126)의 어느 한쪽에 부속되어 일체화된 손잡이로서, 이것에 의해 개폐 아암(126)을 상기 회동축(127)의 지점 주위로 기복 조작하게 된다. Reference numeral 128 denotes a pair of clamp levers which are screwed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hanger shaft 125 and fastened. By fastening and manipulating these, the safety cover 124 i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It is possible to fix and hold in a covering stat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storage tank 35. Reference numeral 129 denotes a handle attached to and integrated with one of the opening and closing arms 126, thereby ca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arm 126 to be undulated around the point of the pivot shaft 127.

그 경우, 회동축(127)이 상기 구동 박스(77)의 내부로 향하는 중도부에서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거의 L자형을 이루는 위치 결정 스토퍼 플레이트(130)가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안전 커버(124)가 식재 수용 탱크(35)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그 스토퍼 플레이트(130)의 1변면이 상기 구동 박스(77)의 후면에 계지하고, 그 안전 커버(124)를 돌려서 세워진 개방 상태를 고정하여 유지한다. In that case, the positioning stopper plate 130, which is almost L-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integrally protrudes from the midway portion where the rotation shaft 127 faces the inside of the drive box 77, and the safety cover. When 124 opened the plant storage tank 35, one side of the stopper plate 130 is latched on the rear side of the drive box 77, and the safety cover 124 is turned to fix the standing open state. Keep it.

다른 한편, 안전 커버(124)가 식재 수용 탱크(35)를 덮었을 때에는 동일하게 스토퍼 플레이트(130)의 타변면이 상기 구동 박스(77)의 후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돌출하는 전장품 설치용의 중간 벽면(131)으로 계지하고, 그 안전 커버(124)의 돌려 넘으뜨린 덮음 상태를 고정하여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부호 (β)는 상기 개폐 아암(126)의 기복적인 회동 각도를 도시하고 있고, 예를 들면 약 120도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afety cover 124 covers the plant material receiving tank 35,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topper plate 130 is similarly used for the installation of electrical equipment, which protrudes inward from the rear side of the drive box 77. It latches to the intermediate wall surface 131, and is made to fix and hold | cover the overturned state of the safety cover 124 overturned. Reference numeral β denotes the undulating rotational ang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arm 126, for example, about 120 degrees.

더구나, 이와 같은 덮음 상태에 있는 스토퍼 플레이트(130)를 검지하는 근접스위치(132)가 그 스토퍼 플레이트(130)로 도 11과 같이 향하도록 되어 있고, 이것으로부터의 검지 출력 신호를 받았을 때에만, 상기 구동 모터(87)의 시동 스위치를 온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Moreover, the proximity switch 132 which detects the stopper plate 130 in such a covering state is directed to the stopper plate 130 as shown in FIG. 11, and only when the detection output signal from this is received. The start switch of the drive motor 87 can be turned on.

또한, 도시한 실시예는 2축식의 푸드 믹서로서, 좌우 한 쌍의 교반 날 축(60)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을 1축식의 푸드 믹서로서, 그 1개의 교반 날 축(60)이 도립 원통 둥근 천정형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입력축(66)과, 상기 전동 기어축(97)으로부터 구동 박스(77)의 후면을 관통하여 일체적으로 돌출하는 동력 추출축(106)을 역시 커플링(120)에 의해서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하여도 좋다. In addition, although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a biaxial food mixer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stirring blade shafts 60, this is a single-axis food mixer in which one stirring blade shaft 60 rounds an inverted cylinder. The input shaft 66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eiling planting tank 35 and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electric gear shaft 97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drive box 77 are also coupled. The ring 120 may be detachab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그 경우, 상기 기어 전동 기구(G)와 그 기어 케이스(91)의 설치를 생략하고, 상기 전동 기어축(97)의 베어링 케이스(92)를 구동 박스(77)의 후면으로 회동 자유롭게 지지함으로써, 그 베어링 케이스(92)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역시 식재 수용 탱크(35)를 전도시킬 수 있고, 이러한 1축식의 수평형 푸드 믹서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In that case, installation of the gear transmission mechanism G and the gear case 91 is omitted, and the bearing case 92 of the transmission gear shaft 97 is rotatably suppor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rive box 77, With the bearing case 92 as the pivot point, the plant storage tank 35 can also be inverted, and such a single-axis horizontal food mixer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푸드 믹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그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 및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구동 유닛(M)측의 거치 구동 박스(77)가 좌우 한 쌍의 위치 결정 가이드 핀(32)과 로크 핀(83)의 합계 3점에서 위치 결정되고, 또한 그 로크 핀(83)에 대한 로크 레버(39)의 계지에 의해, 확고하게 조립되어 일체화 일체화되어 있다. 1 and 3 show a state of use of the horizontal food mi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30 and the tank support frame 33 on the side of the plant stirring action unit A, and the drive unit M The stationary drive box 77 on the side is positioned at a total of three points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positioning guide pins 32 and the lock pins 83, and the lock lever 39 relative to the lock pins 83 is positioned. By locking, it is firmly assembled and integrated.

그리고, 이러한 심내기 상태로 유지된 구동 유닛(M)측의 상기 동력 추출축(106)과, 교반 작용 유닛(A)측에 있어서의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과는 커플링(120)을 개재하여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전동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치 구동 박스(77)내의 구동 모터(87)로부터 취출된 동력에 의해서, 식재 수용 탱크(35)내의 교반 날 축(60)을 도 4와 같이 상반 방향으로, 예를 들면 약 40rpm의 일정 속도로서 등속 회전할 수 있고, 야채 샐러드나 저민 고기, 중국식 만두 도구, 그 밖의 각종 식재를 그 교반 날(63)에 의해 효율 좋게, 더구나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교반 작용 할 수 있는 것이고, 그 사용 중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은 안전 커버(124)로의 덮음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And it couples with the said power extraction shaft 106 on the drive unit M side maintained in such a planting state, and the input shaft 66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on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Sinc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so that it may rotate integrally via 120, the stirring blade shaft 60 in the plant holding tank 35 is driven by the power taken out from the drive motor 87 in the said mounting drive box 77. ) Can be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as shown in FIG. 4 at a constant speed of about 40 rpm, for example, and the vegetable salad, minced meat, Chinese dumpling tool, and various other ingredients are efficiently carried out by the stirring blade 63.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niformly agitate as a whole, and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plant material receiving tank 35 is in the covering state with the safety cover 124 during its use, safety can be ensured.

또한,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의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후 양 지축(54, 55) 및 웜 휠(44)의 회동 지축(46)과, 구동 유닛(M)측의 전동 기어축(97)은 도 3과 같이, 전부 동일 축선(X-X)상에 대응 위치하고 있고, 그 전동 기어축(97)의 베어링 케이스(92)가 기어 케이스(91)의 회동 지점축이 되도록, 가대(90)로 베어링 플랜지(93)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 외에, 상기 동력 추출축(106)이 그 기어 케이스(91)와 구동 박스(77)의 후면을 형성하고 있는 시일 플레이트(115)로, 베어링 플랜지(117)와 베어링 케이스(118)의 전후 1대씩에 의해서, 상대 회전할 수 있는 감합 상태로도 베어링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on axis 46 of the front and rear axes 54 and 55 of the plant material receiving tank 35 and the worm wheel 44 on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and the electric gear shaft of the drive unit M side ( As shown in FIG. 3, the mount 90 is located on the same axis XX, and the bearing case 92 of the transmission gear shaft 97 is the pivot point shaft of the gear case 91. In addition to being supported via the furnace bearing flange 93,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is a seal plate 115 that forms the rear surface of the gear case 91 and the drive box 77. Eac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117 and the bearing case 118 is also bearing in a fitting state capable of relative rotation.

그 결과, 탱크 전도 작동 기구(F)의 전도 핸들축(42)을 그 수동 조작 핸들(45)에 의해서, 탱크 지지 박스(41)의 횡측 외방으로부터 회동 조작하면, 상기 구동 유닛(M)측에서는 전동 기어축(97)의 베어링 케이스(92)와 기어 케이스(91) 및 시일 플레이트(115)가 더불어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는 식재 수용 탱크(35)가 그 전부 상기 동일 축선(X-X)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고, 그 적당한 각도의 하측을 향하여 전도시킨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교반 작용 후의 상기 식재를 새지 않고 안락하게 취출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conduction handle shaft 42 of the tank conduction actuation mechanism F is rotated by the manual operation handle 45 from the lateral outward of the tank support box 41, the drive unit M is electrically driven. The bearing case 92 of the gear shaft 97, the gear case 91, and the seal plate 115 together, on the side of the stirring action unit A, the planting tank 35 are all centered on the same axis XX. It rotates, and it can take out comfortably, without leaking the said plant material after the stirring action from the plant material accommodation tank 35 which fell to the lower side of the appropriate angle.

또한, 도 1, 도 3의 사용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레버(39)를 회동 조작하고, 그 로크 핀(83)에 대한 계지를 해제하는 한편, 상기 동력 추출축(106)상의 커플링(120)을 도 3의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위적으로 전방으로 물리고, 그 키 홈(121)과 상기 입력축(66)에 있어서의 키 볼록자(68)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교반 작용 유닛(A)과 구동 유닛(M)을 도 6, 도 7과 같이 분리하여 분해할 수 있다. Further, the lock lever 39 is rotated from the use state of FIGS. 1 and 3 to release the lock on the lock pin 83, and the coupling 120 on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is removed. As shown by the broken line of FIG. 3, the stirring action unit A is made by artificially biting forward and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key groove 121 and the key convex 68 on the input shaft 66. And drive unit M can be separated and disassembled as shown in FIGS. 6 and 7.

그 경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에는 브레이크가 부착된 자재 차륜(31)이 축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교반 작용 유닛(A)을 구동 유닛(M)부터 편리하게 분리하고, 적당한 장소까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그래서 상기 탱크 전도 작동 기구(F)의 전도 핸들축(42)을 회동 조작함으로써, 그 전도한 식재 수용 탱크(35)부터 식재를 역시 새지 않도록 꺼내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거치 사용 장소에서의 바로 아래의 바닥 청소 작업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In that case, since the material wheel 31 with a brake is hold | maintained by the cradle 30 on the side of the stirring action unit A, by this, the stirring action unit A is conveniently removed from the drive unit M by this. Can be moved freely to a suitable place, and thus, by rotating the felling handle shaft 42 of the tank felling operation mechanism F, it is also possible to take out the planting material from the inverted planting holding tank 35 without leaking. In addition, it is also convenient to clean the floor directly under the place of use.

특히,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의 교반 날 축(60)이나 교반 날(63), 그 교반 날 축(60)을 식재 수용 탱크(35)에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 플랜지 유닛(69, 74) 등은 오염되어 손실되기 쉽고, 또한 소모되기 쉬운 것이 통례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교반 작용 유닛(A)을 구동 유닛(M)부터 분리하여 분해한 후, 교반 날 축(60)에 있어서의 입력축(66)측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69)과, 동일하게 연장축(72)측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74)을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빼내고, 또한 고정 비스(67, 73)도 분리함으로써, 그 입력축(66)과 연장축(72)을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빼내면, 교반 날 축(60)을 그 복수의 교반 날(63)도 부속되어 일체화된 상태로서,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으로부터 지장 없이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전체적인 분해 상태를 도 12에 시사하는 바와 같이, 푸드 믹서의 사용자라도 고도의 기능이나 특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분해하고, 그 식재 수용 탱크(35)와 상기 여러 가지 부재가 정기적인 세정 작업이나, 보수 점검·교환 등의 작업을 편리하고 완전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위생 효과에 현저하게 뛰어나다. In particular, bearing flange units 69 and 74 which hold | maintain the stirring blade shaft 60, the stirring blade 63, and the stirring blade shaft 60 of the said stirring action unit A to the plant material accommodation tank 35, etc. Silver is contaminated and easy to be lost, and is conventionally easy to be consum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stirring action unit A is separated from the drive unit M and disassembled, and then the input shaft in the stirring blade shaft 60 is removed. By removing the bearing flange unit 74 on the extension shaft 72 side from the plant material accommodation tank 35 similarly to the bearing flange unit 69 on the 66 side, and also removing the fixing screws 67 and 73, When the input shaft 66 and the extended shaft 72 are pulled out from the plant storage tank 35, the stirring blade shaft 60 is also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63, and the plant storage tank 35 is integrated. Since it can be taken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without any trouble, the overall disassembly state is suggested in FIG. As described above, even the user of the food mixer can be easily disassembled without requiring a high level of function or a special tool, and the plant holding tank 35 and the various members have regular cleaning operations, maintenance inspection and replacement operations, and the like. It can be done conveniently and completely, and it is remarkably excellent in hygiene effect.

또한, 상기 교반 작용 유닛(A)과 구동 유닛(M)과의 분리 분해 조작을, 역순서로 행함으로써, 도 6, 도 7의 분해 상태로부터 도 1, 도 3의 사용 상태로 조립되어 일체화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Moreover, by performing the disassembly and disassembly operation of the said stirring action unit A and the drive unit M in reverse order, it can be assembled and integrated from the disassembly state of FIG. 6, FIG. 7 to the use state of FIG. 1, FIG. Of course it i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푸드 믹서의 구성에서는 거치대(30)로부터 일체적으로 세워지는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탱크 지지 박스(41)의 마주 보는 전후 상호 간에, 상면 개구형의 식재 수용 탱크(35)가 축가되고, 또한 그 식재 수용 탱크(35)의 내부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수평의 교반 날 축(60)의 전단부가 입력축(66)으로서,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일정 길이(L1)만큼 앞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편, 동일하게 교반 날 축(60)의 후단부가 연장축(72)으로서, 역시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일정 길이(L2)만큼 후측 방향으로 돌출된 식재 교반 작용 유닛(A)과,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food mi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opening type planting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tank support frame 33 and the tank support box 41 which are integrally erected from the holder 30.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stirring blade shaft 60 which extends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ontainer tank 35 becomes shaft-shaft, and the said food container tank 35 is an input shaft 66. While protruding forward by a certain length L1 from the front, while the rear end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is similarly protruded in the rearward direction by the predetermined length L2 from the planting tank 35 as the extension shaft 72.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A),

그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상기 거치대(30)와 별개로 독립하는 거치 구동 박스(77)에 내장되어 설치된 교반 날 축 회전용 구동 모터(87)로부터의 동력 추출축(106)이 그 구동 박스(77)로부터 일정 길이(L3)만큼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상기 입력축(66)과 대응하여 위치하는 후측 방향으로 돌출된 구동 유닛(M)을 구비하고,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from the agitator blade rotation drive motor 87 installed in a stationary drive box 77 independent of the holder 30 on the side of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A is installed. It is provided with the drive unit M which protruded in the rear direction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said input shaft 66 by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A side by the fixed length L3 from the drive box 77,

그 구동 유닛(M)측의 동력 추출축(106)과 상기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입력축(66)을 커플링(120)에 의해서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첫머리에 말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확실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on the drive unit M side and the input shaft 66 on the side of the plant stirring action unit A are detachab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upling 120, the prior art mentioned at the beginn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urely solve the problem.

즉,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따르면,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와 구동 유닛(M)측의 거치 구동 박스(77)와, 물리적으로 별개로 독립되어 있는 동시에, 그 구동 박스(77)에 내장되어 설치된 구동 모터(87)로부터의 동력 추출축(106)과,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을 형성하는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이 양 유닛(A, M)의 외측에 있어서, 커플링(120)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교반 날 축(60)의 회전 구동에 의해서 식재 수용 탱크(35)내의 식재를 교반 작용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30 on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A) side and the cradle drive box (77) on the drive unit (M) side are physically and independent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from the drive motor 87 installed in the box 77 and the input shaft 66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forming the stirring action unit A are both units A, Outside the M), since the coupling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detached freely, the planting material in the planting tank 35 can be stirred by the rotational drive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더구나,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한 종래품과 달리, 상기 동력 추출축(106)과 입력축(66)의 전동 연결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그 교반 작용 유닛(A)과 구동 유닛(M)을 도 6, 도 7과 같이 분리하여 분해할 수 있고, 그 결과 특히 오염되어 손실되기 쉬운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식재 수용 탱크(35)나 교반 날 축(60) 등을 상기 구동 유닛(M)측으로부터 분리하여 분해한 상태에 있어서, 용이하게 편리하게 세정 작업할 수 있는 것 외에, 그 거치 사용 장소에서의 바로 아래의 바닥 청소 작업도 안락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Moreover, unlike the conventional products shown in FIGS. 13 to 18, the stirring action unit A and the drive unit M are shown by releasing the electric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and the input shaft 66. 6, 7 can be separated and disassembled, and as a result, the plant holding tank 35, the stirring blade shaft 60, etc. on the side of the stirring action unit A, which are particularly contaminated and easily lost, are driven. In the state which separated and disassembled from the sid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carry out washing operation easily and conveniently, the floor cleaning operation | movement just under the mounting use place can be performed comfortably.

또한, 청구항 2의 구성을 채용하면,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과, 상기 구동 유닛(M)측의 구동 박스(77)로부터 후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동력 추출축(106)이 좌우 한 쌍의 위치 결정 가이드 핀(32)에 의해 스스로 심내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입력축(66)과 동력 추출축(106)을 누구나 용이하고 정확하게 전동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oreover, if employ | adopting the structure of Claim 2, the input shaft 66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which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from the planting container 35 on the said stirring action unit A side, and the said drive unit M Since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projecting in the rearward direction from the drive box 77 on the side is held in a self-drained state by a pair of left and right positioning guide pins 32, the power extraction shaft and the power extraction are performed. There is an effect that anyone can easily and accurately drive the shaft 106.

청구항 3의 구성을 채용하면,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구동 유닛(M)측의 구동 박스(77)를 그 로크 핀(83)의 키 홈(86)에 대한 로크 레버(39)의 계지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안정하게 조립하여 일체화할 수 있어, 그 사용 중에 이탈할 우려는 없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claim 3, the tank support frame 33 on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and the drive box 77 on the drive unit M side are connected to the key groove 86 of the lock pin 83. By locking the lock lever 39,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integrate physically and stably, and there is no fear of detachment during its use.

특히, 청구항 4의 구성을 채용하면, 전후 한 쌍의 고정 비스(67, 73)를 분리하고, 교반 날 축(60)의 전측 소켓(61)과 입력축(66)을 분해하는 한편, 동일하게 교반 날 축(60)의 후측 소켓(62)과 연장축(72)을 분해함으로써, 그 교반 날 축(60)을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으로부터 꺼낼 수 있고, 이것의 교환이나 세정 작업 등을 점점 더 편리하고 완전하게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configuration of claim 4 is employed, the front and rear pairs of fixed screws 67 and 73 are separated, and the front socket 61 and the input shaft 66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are disassembled while stirring the same. By disassembling the rear socket 62 and the extended shaft 72 of the blade shaft 60, the stirring blade shaft 60 can be taken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and the replacement and cleaning operations thereof are performed. Can make it more and more convenient and complete.

청구항 5의 구성을 채용하면, 상기 교반 날 축(60)을 그 교반 날(63)이 부속되어 일체화된 상태로서,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빠르고 편리하게 꺼낼 수 있는 것 외에, 그 교반 날(63)은 교반 날 축(60)으로의 삽입 상태로 용접되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도 13 내지 도 18의 종래품과 달리, 교반 날 축(60)의 원주면에 요철이나 교반 날(63)과의 틈 등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 중의 식품 위생 효과나 세정 효과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claim 5, the stirring blade shaft 60 is in a state where the stirring blade 63 is attached and integrated, so that the stirring blade shaft 60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taken out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Since 63) is welded and integrated in the inserted state into the stirring blade shaft 60, unlike the conventional products of FIGS. 13 to 18,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is uneven and the stirring blade 63 and It does not generate | occur | produce a crack, and it is helpful in the improvement of the food hygiene effect and the washing effect during use.

청구항 6의 구성을 채용하면, 상기 입력축(66)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69)이나 연장축(72)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74)도, 식재 수용 탱크(35)의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그 교환이나 세정 작업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claim 6, the bearing flange unit 69 of the input shaft 66 and the bearing flange unit 74 of the extension shaft 72 are also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The exchange and washing work can be performed conveniently.

또한, 청구항 7의 구성을 채용하면, 식재 수용 탱크(35)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교반 날 축(60)을, 공통의 구동 모터(87)에 의해 기어 전동기구(G)와 커플링(120)을 개재하여, 일거 동시에 상반 방향으로 등속 회전시킬 수 있고, 탱크 내의 식재를 한층 더 효율 좋게 교반 작용할 수 있는 동시에, 그것을 위한 필요 구성으로서도 합리화되는 효과가 있다. Moreover, when employ | adopting the structure of Claim 7, the gear transmission mechanism G uses the common drive motor 87 for the left and right pair of stirring blade shaft 60 extend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plant storage tank 35. Through and the coupling 120,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constant velocity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the same time, and to effect the stirring of the planting material in the tank more efficiently, and also to rationalize as a necessary configuration therefor.

청구항 8의 구성을 채용하면, 구동 유닛(M)측의 구동 박스(77)로부터 분리하여 분해한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식재 수용 탱크(35)를 적당한 경우에 있어서 전도 작동시킬 수 있고, 그 교반 작용 후의 식재를 꺼내는 작업이나, 식재 수용 탱크(35)의 세정 작업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claim 8, the planting container 35 on the stirring action unit A side separated and disassembled from the drive box 77 on the drive unit M side can be electrically operated in a suitable case. The operation | work which takes out the planting material after the stirring effect, and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 movement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also have the effect which can be performed conveniently.

청구항 9의 구성을 채용하면, 거치 구동 박스(77)의 승강 조정 가능한 접지 시트(79)에 의해서, 그 구동 박스(77)측의 동력 추출축(106)과 식재 수용 탱크(35)측의 입력축(66)을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여 심내기할 수 있는 외에, 거치대(30)의 브레이크 부착 자재 차륜(31)에 의해서, 구동 유닛(M)으로부터 분리하여 분해된 교반 작용 유닛(A)을, 사용자가 희망하는 적당한 장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고, 편리성이 점점 더 향상된다. If the structure of Claim 9 is employ | adopted,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of the drive box 77 side, and the input shaft of the planting container 35 side by the grounding sheet 79 which can raise and lower the mounting drive box 77 will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easily position and plant the 66, the stirring action unit A separated from the drive unit M and disassembled by the brake wheel material 31 of the cradle 30 is user.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moved to a suitable place where the desired, convenience is increasing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푸드 믹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horizontal food mi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2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확대 단면도이지만, 그 전동 기어 기구와 식재 수용 탱크는 약 90도만큼 전개한 단면 평면도로서 표시하고 있는 도면.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but the electric gear mechanism and the plant holding tank are shown as a sectional plan view developed by about 90 degrees.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4-4 of FIG. 3.

도 5는 도 3의 일부를 추출하여 도시하는 확대도.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 3 taken out;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식재 교반 작용 유닛과 그 구동 유닛을 분리하여 분해한 상태의 도 1에 대응하는 정면도. 6 is a front view corresponding to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plant stirring a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drive unit are separated and disassembled.

도 7은 도 6의 확대 단면도이지만, 도 3과 동일하게 전동 기어 기구와 식재 수용 탱크는 약 90도만큼 전개한 단면 평면도로서 표시하고 있는 도면.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but similarly to FIG. 3, the electric gear mechanism and the plant storage tank are shown a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bout 90 degrees.

도 8은 식재 교반 작용 유닛을 추출하여 도시하는 도 7의 좌측면도. Fig. 8 is a left side view of Fig. 7 showing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도 9는 도 7의 9-9선에 따르는 일부 파탄의 측면도. 9 is a side view of some breakages along line 9-9 of FIG.

도 10은 도 7의 10-10선 단면도.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0-10 of FIG.

도 11은 구동 유닛을 추출하여 도시하는 도 7의 우측면도. FIG. 11 is a right side view of FIG. 7 showing the drive unit;

도 12는 식재 수용 탱크에 대한 교반 날 축이나 베어링 부분의 전체적인 분해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평면도. Fig. 12 is a sectional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disassembled state of the stirring blade shaft and the bearing portion for the plant holding tank.

도 13은 종래의 수평형 푸드 믹서를 도시하는 정면도.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orizontal food mixer.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 14 is a plan view of FIG.

도 15는 도 13의 확대 단면도. 1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3.

도 16은 도 15의 단면 평면도. 16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FIG. 15.

도 17은 도 15의 좌측면도. FIG. 17 is a left side view of FIG. 15; FIG.

도 18은 도 15의 일부를 파탄한 우측면도. 18 is a right side view of a portion of FIG. 15 broke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30: 거치대 31: 자재 차륜30: holder 31: material wheel

32: 위치 결정 가이드 핀 33: 탱크 지지 프레임32: positioning guide pin 33: tank support frame

34: 베어링 플랜지 35: 식재 수용 탱크 34: bearing flange 35: planting tank

37: 로크 핀 수용 구멍 38: 레버 회동 지점축 37: Lock pin receiving hole 38: Lever pivot point shaft

39: 로크 레버 40: 계지 훅 39: lock lever 40: locking hook

41: 탱크 지지 박스 42: 전동(轉動) 핸들축 41: tank support box 42: electric handle shaft

43: 웜 기어 44: 웜 휠43: worm gear 44: worm wheel

45: 수동 조작 핸들 46: 휠 회동 지축45: manual operation handle 46: wheel pivot

47: 베어링 플랜지 유닛 54: 전측 지축47: bearing flange unit 54: front bearing

55: 후측 지축 60: 교반 날 축55: rear support shaft 60: stirring blade shaft

61: 전측 소켓 62: 후측 소켓61: front socket 62: rear socket

63: 교반 날 64: 설치 아암63: stirring blade 64: mounting arm

66: 입력축 67: 고정 비스66: input shaft 67: fixed screw

68: 키 볼록자 69: 베어링 플랜지 유닛68: key convex 69: bearing flange unit

72: 연장축 73: 고정 비스 72: extended shaft 73: fixed screw

74: 베어링 플랜지 유닛 77: 구동 박스 74: bearing flange unit 77: drive box

79: 접지 시트 81: 핀 수용 플랜지79: grounding sheet 81: pin receiving flange

83: 로크 핀 86: 키 홈 83: lock pin 86: key groove

87: 구동 모터 89: 출력 스프로킷87: drive motor 89: output sprocket

90: 가대 91: 기어 케이스 90: mount 91: gear case

92: 베어링 케이스 93: 베어링 플랜지 92: bearing case 93: bearing flange

97: 전동 기어축 99: 전동 스프로킷97: electric gear shaft 99: electric sprocket

100: 전동 기어축 101: 전동 체인100: electric gear shaft 101: electric chain

106: 동력 추출축 107: 중간 전동 기어106: power extraction shaft 107: intermediate drive gear

108: 감속 기어 110: 감속 기어 108: reduction gear 110: reduction gear

112: 커버 플레이트 114: 시일(seal) 수용 링112: cover plate 114: seal receiving ring

115: 시일 플레이트 116: 탄성 시일115: seal plate 116: elastic seal

117: 베어링 플랜지 118: 베어링 케이스117: bearing flange 118: bearing case

120: 커플링 121: 키 홈 120: coupling 121: key groove

122: 노크 핀(knock pin) 123: 노크 핀 수용 구멍122: knock pin 123: knock pin receiving hole

124: 안전 커버 126: 개폐 아암 124: safety cover 126: opening and closing arm

A: 식재 교반 작용 유닛 F: 탱크 전도 작동 기구A: Plant stirring mechanism F: Tank conduction mechanism

G: 기어 전동 기구 M: 구동 유닛G: Gear Drive Mechanism M: Drive Unit

S: 진퇴 스트로크 X-X: 회전 축선 S: Retraction Stroke X-X: Rotational Axis

Claims (9)

거치대(30)로부터 일체적으로 세워지는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탱크 지지 박스(41)의 마주 보는 전후 상호간에, 상면 개구형의 식재 수용 탱크(35)가 축가(軸架)되고, 또한 그 식재 수용 탱크(35)의 내부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의 교반 날 축(60)의 전단부가 입력축(66)으로서,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일정 길이(L1)만큼 전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편, 동일하게 교반 날 축(60)의 후단부가 연장축(72)으로서, 역시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일정 길이(L2)만큼 후측을 향하여 돌출된 식재 교반 작용 유닛(A)과,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tank support frame 33 and the tank support box 41, which are integrally erected from the holder 30, the top opening-type planting tank 35 is shafted,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stirring blade shaft 60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planting tank 35 as the input shaft 66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L1 from the planting tank 35. On the other hand, the rear end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as the extension shaft 72,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A) also protruded toward the rea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L2) from the plant material tank (35), 그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상기 거치대(30)와 별개로 독립되는 거치 구동 박스(77)에 내장되어 설치된 교반 날 축 회전용 구동 모터(87)로부터의 동력 추출축(106)이 그 구동 박스(77)로부터 일정 길이(L3)만큼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상기 입력축(66)과 대응하여 위치하는 후측을 향하여 돌출된 구동 유닛(M)을 구비하고,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from the agitator blade rotation drive motor 87 installed in a stationary drive box 77 independently of the holder 30 on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A side is installed. And a drive unit M protruding from the drive box 77 toward the rear si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haft 66 on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A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L3, 그 구동 유닛(M)측의 동력 추출축(106)과 상기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입력축(66)을 커플링(120)에 의해서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The horizontal type food mix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of the drive unit M side and the input shaft 66 of the plant stirring action unit A side are detachab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upling 120. . 제 1 항에 있어서,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와, 구동 유닛(M)측의 거치 구동 박스(77)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좌우 한 쌍의 위치 결정 가이드 핀(32)을 돌출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그 가이드 핀 수용 플랜지(81)를 남는 다른쪽에 대응 설치하고, The left and right pair of positioning guide pins 3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ft and right pairs of positioning guide pins 32 are mounted from either one of the holder 30 on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A side and the holder drive box 77 on the drive unit M side. While protruding and installing, the corresponding guide pin receiving flange 81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remaining,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 핀(32)을 그 수용 플랜지(81)로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게 삽입함으로써,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입력축(66)과 구동 유닛(M)측의 동력 추출축(106)을 자연히 심내기 상태로 유지하도록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By inserting the positioning guide pin 32 so that the receiving flange 81 can be freely inserted and removed, the input shaft 66 on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A side and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on the drive unit M side 106 are inserted. Horizontal food mix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o maintain the natural planting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구동 유닛(M)측의 거치 구동 박스(77)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원주면에 키 홈(86)이 절단된 로크 핀(83)을 돌출하여 설치하고, The key groove 86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y one of the tank support frame 33 of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A side, and the stationary drive box 77 of the drive unit M side. Protrude and install the cut lock pin (83), 남는 다른쪽에 그 로크 핀 수용 구멍(37)을 대응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로크 핀(83)의 키 홈(86)으로 결합·이탈 자유롭게 계지되는 로크 레버(locking lever; 39)를 피벗 부착하고, The locking pin receiving hole 37 is formed correspondingly on the other side remaining, and at the same time, a locking lever 39 which is freely engaged with and detached from the key groove 86 of the lock pin 83 is pivotally attached. 상기 로크 핀(83)을 그 수용 구멍(37)으로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도록 삽입한 후, 그 로크 핀(83)의 키 홈(86)으로 로크 레버(39)를 계지시킴으로써, 상기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구동 유닛(M)측의 구동 박스(77)를 장착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is inserted by inserting the lock pin 83 into the receiving hole 37 so as to be freely inserted and removed, and then locking the lock lever 39 with the key groove 86 of the lock pin 83. A horizontal food mixer, in which the tank support frame 33 on the (A) side and the drive box 77 on the drive unit (M) side are mounted and integrated. 제 1 항에 있어서, 교반 날 축(60)의 양 단부에 전후 한 쌍의 소켓(61, 62)을 고착하여 일체화하고, 그 양 소켓(61, 62)도 포함하는 교반 날 축(60)의 전체 길이(L)를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치수화함으로써, 그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으로부터 교반 날 축(60)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정하는 동시에, 2. The stirring blade shaft (6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and rear pairs of sockets (61, 62) are fixed and integrated at both ends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and the sockets (61, 62) are also included. By dimensioning the entire length L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pening length of the planting container 35, it is determined that the stirring blade shaft 60 can be withdraw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planting container 35,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일정 길이(L1)만큼 전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입력축(66)과, 동일하게 일정 길이(L2)만큼 후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축(72)과의 한 쌍을, 모두 상기 교반 날 축(60)과 별개로 독립시키고, Both the input shaft 66 protruding toward the front side by the predetermined length L1 from the planting tank 35 and the pair of the extension shaft 72 protruding in the rearward direction by the predetermined length L2 are both. Independent from the stirring blade shaft 60, 그 입력축(66)의 후단부를 상기 교반 날 축(60)의 전측 소켓(61)으로, 상기 연장축(72)의 전단부를 동일하게 교반 날 축(60)의 후측 소켓(62)으로, 각각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도록 삽입한 후, 고정 비스(67, 73)에 의해 전동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The rear end of the input shaft 66 is the front socket 61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and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shaft 72 is the same as the rear socket 62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A horizontal food mix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 is connected by a fixing screw (67, 73) after inserting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removed. 제 1 항에 있어서, 스테인리스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교반 날 축(60)의 양 단부로 전후 한 쌍의 소켓(61, 62)을 가압하여 일체화하고, 그 양 소켓(61, 62)도 포함하는 교반 날 축(60)의 전체 길이(L)를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치수화함으로써, 그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으로부터 교반 날 축(60)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정하는 동시에, 2. The stirring blade shaf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ir of front and rear sockets (61, 62) are pressurized and integrated with both ends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made of stainless steel pipe, and both sockets (61, 62) are also included. By dimensioning the total length L of 60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pening length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the stirring blade shaft 60 can be settled from the opening upper surface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At the same time,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교반 날(63)의 설치 아암(64)을 상기 교반 날 축(60)의 원주면으로 삽입 상태로 용접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A horizontal food mix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arm (64) of the stirring blade (63) made of stainless steel sheet is welded and integrated in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제 1 항에 있어서, 식재 수용 탱크(35)부터 일정 길이(L1)만큼 전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과, 동일하게 일정 길이(L2)만큼 후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교반 날 축(60)의 연장축(72)을 각각 식재 수용 탱크(35)로 외측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고정된 베어링 플랜지 유닛(69, 74)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The input shaft 66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which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by the predetermined length L1 from the planting tank 35, and protrudes toward the rear side by the predetermined length L2 similarly. The extension shaft 72 of the stirring blade shaft 60 was supported by the bearing flange units 69 and 74 which were detachably installed and fixed from the outer side to the plant material receiving tank 35, respectively, in a rotatable state. Horizontal food mixer. 제 1 항에 있어서, 거치 구동 박스(77)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동력 추출축(106)을 병렬하는 좌우 한 쌍으로서, 그 구동 박스(77)에 내장되어 설치된 구동 모터(87)로부터 기어 전동 기구(G)에 의해, 상반 방향으로 등속 회전시키도록 정하는 한편, 2. The gear transmiss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ft and right pair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protruding toward the rear side from the stationary drive box 77, and are gear-driven from the drive motor 87 installed in the drive box 77. While the mechanism G decides to rotate at constant speed in the opposite direction, 교반 날 축(60)도 상기 동력 추출축(106)과 대응하여 위치하는 좌우 한 쌍으로서, 그 전단부의 입력축(66)과 상기 동력 추출축(106)의 좌우 1쌍씩을 각각 커플링(120)에 의해 전동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The stirring blade shaft 60 is also a left and right pair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and the coupling shaft 120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pairs of the input shaft 66 and the power extraction shaft 106 at the front end thereof. Horizontal food mix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connection by. 제 1 항에 있어서, 거치대(30)로부터 일체적으로 세워지는 탱크 지지 박스(41)의 중도 높이 위치로, 탱크 전도 핸들축(42)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걸치고, 그 전도 핸들축(42)상의 웜 기어(43)와 이것에 맞물리는 웜 휠(44)로 이루어지는 탱크 전도 작동 기구(F)를, 상기 탱크 지지 박스(41)에 내장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The intermediate height position of the tank support box 41, which is integrally erected from the cradle 30, is horizontally pierced through the tank conduction handle shaft 42, and on the conduction handle shaft 42. The tank conduction operation mechanism F including the worm gear 43 and the worm wheel 44 meshing with the worm gear 43 is installed in the tank support box 41 and installed therein. 그 탱크 지지 박스(41)에 베어링된 상기 웜 휠(44)의 회동 지축(46)과, 식재 수용 탱크(35)의 후측 지축(55)을 착탈 자유롭게 플랜지 접합하는 한편, 동일하게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측 지축(54)을 탱크 지지 프레임(33)에 베어링시키고, While the rotation axis 46 of the worm wheel 44 bearing the tank support box 41 and the rear axis 55 of the plant storage tank 35 are detachably flange-bonded, the plant storage tank ( The front bearing 54 of the bearing 35 on the tank support frame 33, 상기 전도 핸들축(42)을 탱크 지지 박스(41)의 횡측 외방으로부터 회동 조작함으로써,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를 그 전측 지축(54)과 후측 지축(55)의 동일 축선(X-X) 주위로 전도시킬 수 있도록 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By rotating the conduction handle shaft 42 from the lateral outward of the tank support box 41, the plant holding tank 35 is moved around the same axis XX of the front axis 54 and the rear axis 55. Horizontal food mix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o be inv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에 복수의 브레이크가 부착된 자재 차륜(31)을 축지하는 한편, 구동 유닛(M)측의 거치 구동 박스(77)에 거치 높이와 수평도의 승강 조정 가능한 접지 시트(7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The material wheel 31 with a plurality of brakes is held on the mounting table 30 on the planting stirring action unit A side, and the mounting drive box 77 on the driving unit M side is held. Horizontal food mix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height adjustable horizontal seating sheet 79 is installed.
KR10-2003-0080961A 2003-06-09 2003-11-17 Horizontal food mixer KR1005216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3742 2003-06-09
JP2003163742A JP3740135B2 (en) 2003-06-09 2003-06-09 Horizontal food mix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905A KR20040106905A (en) 2004-12-18
KR100521691B1 true KR100521691B1 (en) 2005-10-17

Family

ID=3409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961A KR100521691B1 (en) 2003-06-09 2003-11-17 Horizontal food mix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40135B2 (en)
KR (1) KR1005216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278B1 (en) * 2014-09-18 2016-10-13 류동일 Ingredient mixing device
CN107212058B (en) * 2017-07-26 2018-06-15 安徽省东升食品有限公司 A kind of energy-saving minced meat processing unit (plant)
CN114158964B (en) * 2021-12-06 2023-11-03 温州大学 Multifunctional cold dish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00007A (en) 2005-01-06
KR20040106905A (en) 2004-12-18
JP3740135B2 (en)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0473B2 (en) Bowl scraper and related attachment system for mixing machine
JPS61234827A (en) General-purpose cooker for crushing, mixing, refining and emulsifying food
JPH0755123B2 (en) Food processing equipment
JPH07508895A (en) Mixer with vertically movable ball support
JP4098335B2 (en) 2-axis horizontal food mixer
KR101063964B1 (en) Spice Stirring Device
KR100521691B1 (en) Horizontal food mixer
CN104441003B (en) The food cutting attachment of driving release mechanism including driving cutting tool rotation
JP3950877B2 (en) Inclined shaft mixer
EP3528677A1 (en) Electrical household food-preparation appliance comprising a power supply base
KR20110011210A (en) Knead doughing machine
US3450180A (en) Mixer-chopper
CN114568979A (en) Quick-release structure of stirring head of kitchen utensil
US3945309A (en) Cooking apparatus for loose food products
KR101297977B1 (en) The spiral agitator for slush apparatus
CN216800106U (en) Mix filling minced steak all-in-one
US2604307A (en) Commercial ice-cream freezer
CN207327108U (en) Vegetable-chopper with agitating function
KR101099104B1 (en) Apparatus to remove bulbar skin
US4927087A (en) Ice shaving system
CN216171994U (en) Chilli sauce chopping and mixing device
CN216606389U (en) Hot pepper seed rinsing device
CN114392813A (en) Mix filling minced steak all-in-one
CN220328490U (en) Vacuum stirrer
JP2004238168A (en) Screw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