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863B1 - Electrical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863B1
KR100520863B1 KR10-1998-0012745A KR19980012745A KR100520863B1 KR 100520863 B1 KR100520863 B1 KR 100520863B1 KR 19980012745 A KR19980012745 A KR 19980012745A KR 100520863 B1 KR100520863 B1 KR 100520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or
guide member
contact
contact terminal
passag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7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훈 이 종
씨. 워크 3세 켐퍼
엠. 스픽클러 존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riority to KR10-1998-001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8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863B1/en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래시 메모리 카드와 같이 오목형 접점을 가지는 전자 소자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본 커넥터는 상기 카드를 사용하여 전자 소자의 벽을 통해 카드가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부유 안내 부재는 카드를 수납하고 커넥터 접촉 단자를 향해 접근 및 이격되는 간극 이동을 허용한다. 압축 커넥터의 단순화된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단자 수납 통로의 측벽에 단자의 다점 결합을 채택하여 설치 전에 하우징에 접촉 단자를 고정시킨다.A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ncave contact such as a flash memory card is disclosed. The connector allows the card to be inserted substantially straight through the wall of the electronic element using the card. The floating guide member accommodates the card and allows clearance movements to be approached and spaced towards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s. A simplified form of a compression connector is disclosed. It adopts a multipoint coupling of the terminals on the side wall of the terminal receiving passage to fix the contact terminals to the housing before installation.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ELECTRICAL CONNECTOR}Electrical connector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특히 집적 회로 카드와 같이 휴대형이고 교환 가능한 전자 소자를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ical connectors, in particular connector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portable and replaceable electronic elements, such as integrated circuit cards, to a circuit board.

사용자가 교환 가능한 전자 장치, 특히 컴팩트 플래시 카드로 알려진 소형 집적 회로는 전자 카메라와 다른 전자 부품용으로 사용자가 교환 가능한 메모리 혹은 프로그램 소스로 개발되어 왔다. 한 가지 표준 카드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와 바닥면을 가지는 소형 직사각형 카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 바닥면에는 카드의 정면 엣지 근처에 형성된 리세스에 위치한 접촉 패드가 배열되어 있다. 파워서플라이 Vcc와 접지 접점은 카드의 선단 엣지와 일체로 된다. 카드 상에 접촉부를 리세스 배열로 하면 설계가 어렵다. 카드 커넥터의 접촉 소자에 대해 심한 손상과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카드 바닥의 정면부가 접촉부에 맞닿는 것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한가지 접근 방법이 미국 특허 제4,820,186호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제시된 기본적인 접근 방법은 카드를 회전성 캐리어로 미끄럼 운동시키고 커넥터 접점에 대해 카드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단점은 수납 부품이 카드의 수납과 회전을 위한 구조에 적합하도록 상당한 표면적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User-exchangeable electronic devices, particularly small integrated circuits known as compact flash cards, have been developed as user-exchangeable memory or program sources for electronic cameras and other electronic components. One standard card consists of a small rectangular card with a substantially flat top and bottom surface. At its bottom is arranged a contact pad located in a recess formed near the front edge of the card. The power supply V cc and the ground contact are integrated with the leading edge of the card. Designing a recess in the contact arrangement on the card is difficult. In order to prevent severe damage and abrasion to the contact element of the card connector, it is desirable to avoid contact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ard bottom with the contact portion. One approach to overcome this difficulty is illustrated in US Pat. No. 4,820,186. The basic approach proposed in this patent is to slide the card into the rotatable carrier and to rotate the card relative to the connector contacts. The dis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receiving component to have a significant surface area to be suitable for the structure for storing and rotating the card.

부품 제조자의 관점에서 보아, 더 바람직한 방법은 카드 수납 슬롯을 통해 부품에 카드를 직선으로 미끄럼 삽입하는 것이다. 그러한 직선 미끄럼 삽입 작동을 구현하는 커넥터는 미국 특허 제4,874,323호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제시된 커넥터는 비교적 복잡하고 다수의 이동 부품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 커넥터에는 비교적 고가의 제작비용이 든다.From the part manufacturer's point of view, a more preferred method is to slide the card straight into the part through the card receiving slot. A connector implementing such a straight sliding insert operation is shown in US Pat. No. 4,874,323. However, the connector presented in this patent is relatively complicated and has a large number of moving parts. As a result, these connectors are relatively expensive to manufacture.

본 발명은 비교적 설계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제작비가 저렴한 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d connector having a relatively simple design, high reliability and low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컴팩트 I/C 카드와 같은 전자 소자를 수납하는 부유 프레임을 포함한다. 소자를 수납하는 부유 카드는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다. 카드가 부유 소자로 직선 이동할 때, 횡 방향의 힘이 카드와 부유 캐리어에 작용해서 카드를 커넥터의 접촉 단자와 접촉하도록 위치시킨다. 모떼기된 안내 부재를 이용해 카드의 후방 단부를 들어올려서 카드를 제거할 수 있다.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floating frame for receiving electronic elements such as compact I / C cards. The floating card for storing the element is mounted in the base. When the card is linearly moved to the floating element, lateral forces act on the card and the floating carrier to position the car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connector. The chamfered guide member can be used to lift the rear end of the card to remove the card.

커넥터에는 하우징 내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도록 압축형 접촉 단자가 배열된다. 커넥터의 하우징의 통로에 미끄러져 수납 가능한 압축 접촉 단자 구조를 사용해서 단순화된 커넥터 구조가 생긴다. 접촉 통로의 엣지에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는 단자부와, 단자를 수납하는 통로의 측벽과 단자 간에 다중점 마찰 접촉에 의해 단자가 하우징에 유지된다.The connector is arranged with a compressive contact terminal for sliding in the housing. A simplified connector structure results from the use of a compressed contact terminal structure that slides into the passageway of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The terminal is held in the housing by a multipoint frictional contact between the terminal port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edge of the contact passage and the side wall of the passage containing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본 발명은 컴팩트 플래시 카드로 알려진 소형 I/C 카드용 커넥터 구조에 대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장치의 표면에 형성된 리세스에 접촉부를 배열하는 다른 형태의 전자 장치에도 응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spect to a connector structure for a small I / C card known as a compact flash car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other types of electronic devices in which contacts are arranged in recess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vice.

도1에 도시된 대로, 커넥터(20)의 양호한 실시예는 종래의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회로 기판(22)에 장착된다. 커넥터(20)는 기판(22)에 위치해서 플래시 메모리 카드와 같이 가벼운 전자 장치가 사용되는 전자 부품의 벽(24)에 인접하게 된다. 직사각형 슬롯(26)은 벽(24)에 형성되어서 카드가 벽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벽(24)은 커넥터로 삽입된 카드를 사용자가 잡을 수 있게 해주는 확대 개구(28)도 포함한다. 플래시 카드(C)는 커넥터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20 is mounted to a circuit board 22, such as a conventional printed circuit board. The connector 20 is located on the substrate 22 and is adjacent to the wall 24 of the electronic component where a light electronic device such as a flash memory card is used. Rectangular slots 26 are formed in the wall 24 to allow the card to pass through the wall. The wall 24 also includes an enlarged opening 28 that allows the user to grasp the card inserted into the connector. The flash card C is coupled to the connector.

도2를 참조하면, 커넥터(20)는 베이스(30)와 포스트(34)에 의해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부유 안내 부재(32)를 포함한다. 접촉 단자 하우징(36)은 베이스와 결합된다. 베이스(30)와, 부유 안내 부재(32)와, 접촉 하우징(36)은 절연 폴리머를 주조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36)은 프레임(30)과는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것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2에 도시된 대로, 보조 접촉부(66)가 베이스(30)에 장착되어서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정면 엣지 상에 제공되는 접지 접촉부와 파워서플라이 Vcc를 결합시킨다.Referring to FIG. 2, the connector 20 includes a floating guide member 32 movably mounted to the base by the base 30 and the post 34. The contact terminal housing 36 is coupled with the base. The base 30, the floating guide member 32, and the contact housing 36 are preferably formed by casting an insulating polymer. The housing 36 is preferably formed separately from the frame 30 bu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it. As shown in Figure 2, it is mounted on the auxiliary contact 66, base 30 couples the power supply V cc and the ground contacts are provided on the front edge of the flash memory card.

도3은 베이스(30)를 더욱 자세하게 도시한다. 베이스(30)는 두 개의 이격된 교차 부재(44a, 44b)와 두 개의 대향된 프레임 측면(42)으로 형성된 프레임(40)을 포함한다. 직립 후방벽(46)은 프레임(40)의 후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한 쌍의 캠 블록(38)은 벽(46)의 대향하는 단부에 장착되고 프레임의 정면 단부를 향해 연장한다. 캠 블록(38)은 캠 블록의 하면에 형성된 경사진 캠 표면(39)을 포함한다. 캠 표면(39)이 평탄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곡선일 수도 있다. 후방벽(46)은 보조 접촉부(66)(도2)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48)를 포함한다. 프레임(40)은 접촉 하우징(36)을 수납할 정도의 크기로 된 개구(50)가 형성된 접촉 하우징 수납부(49)도 포함한다.3 shows the base 30 in more detail. The base 30 includes a frame 40 formed of two spaced crossing members 44a and 44b and two opposing frame sides 42. An upstanding rear wall 46 is formed adjacent the rear end of the frame 40. The pair of cam blocks 38 are mounted at opposite ends of the wall 46 and extend towards the front end of the frame. The cam block 38 includes an inclined cam surface 39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m block. Although cam surface 39 is shown flat, it may be curved. The back wall 46 includes a recess 48 for receiving an auxiliary contact 66 (FIG. 2). The frame 40 also includes a contact housing accommodating portion 49 having an opening 50 sized to accommodate the contact housing 36.

프레임(40)의 전방 단부에는 카드 래치(52)의 대향하는 쌍이 프레임 측면(42)과 일체로 주조된다. 카드 멈춤부(54)의 대향하는 쌍은 래치(52)에 인접하게 위치하는데, 도시된 대로, 프레임(40)과 일체로 주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구멍(55)은 프레임(40)의 각 코너에 형성되어서 커넥터를 회로 기판(22)(도1)과 같은 회로 기판 상에 고정시킨다.At the front end of the frame 40, opposite pairs of card latches 52 are integrally cast with the frame side 42. Opposite pairs of card stops 54 are located adjacent to latch 52, which is preferably cast integrally with frame 40, as shown. The mounting holes 55 ar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frame 40 to fix the connector on the circuit board such as the circuit board 22 (Fig. 1).

도4는 부유 안내 부재(32)의 특징을 도시한다. 안내 부재는 교차봉(56)과 두 개의 대향하며 전방으로 연장하는 암(58)을 포함한다. 안내 암(58)은 마주보는 채널을 형성하는 하부 안내 레일(60)과 상부 안내 레일(62)을 포함하는 대향하는 한쌍의 안내 레일을 말단부에 가진다. 도7a에 도시된 대로, 하부 안내 레일은 실질적으로 프레임(40)과 평행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안내 레일은 도7a에 나타난 각 ??만큼 경사진다. 견부 구멍은 교차 부재(56)의 각 단부에 배열된다. 구멍은 칼라(collar)를 가지는 장착 핀(34)의 본체에 미끄러져 수납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도1 및 도2 참조). 구멍(64)은 상단부 근처에서 확대되어 핀(34)의 칼러를 수납한다. 구멍은 하단부에서도 확대되어 압축 스프링(68)(도7a)과 같은 편향 소자를 수용한다. 포스트(34)는 기계 스크류와 너트 조립체(70)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서 커넥터(20)를 인쇄 회로 기판(22) 상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전술한 배열에 의해 안내 부재(32)는 베이스(40)에 대해 부유해서 장착되어 도7a에 도시된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를 향하거나 베이스로부터 이격되게 움직일 수 있다. 압축 스프링(68)은 안내 부재(32)를 프레임(40)으로부터 이격되게 편향시킨다.4 shows the features of the floating guide member 32. The guide member includes a cross rod 56 and two opposing forwardly extending arms 58. Guide arm 58 has a pair of opposing guide rails at the distal end that includes a lower guide rail 60 and an upper guide rail 62 forming opposite channels. As shown in FIG. 7A, the lower guide rail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rame 4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guide rail is inclined by the angle ?? shown in Fig. 7A. Shoulder holes are arranged at each end of the cross member 56. The hole is formed to a size large enough to slide in the main body of the mounting pin 34 having a collar (see Figs. 1 and 2). The hole 64 is enlarged near the upper end to receive the collar of the pin 34. The hole is also enlarged at the lower end to receive a deflection element such as compression spring 68 (FIG. 7A). The post 34 is secured by fasteners such as machine screw and nut assemblies 70 and used to secure the connector 20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2. The arrangement described above allows the guide member 32 to be floatingly mounted relative to the base 40 to move toward or away from the base in the vertical direction shown in FIG. 7A. The compression spring 68 biases the guide member 32 away from the frame 40.

도5는 전자 부품에 장착된 커넥터(20)의 평면도이다. 커넥터(20)는 부품의 벽(24)에 형성된 카드 슬롯(26)과 정렬하여 장착된다. 회로 기판(22)은 개구 혹은 슬롯(26)에 인접한 절개부(23)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22)을 이렇게 절개함으로써 사용자는 개구(28)를 통해 손가락을 삽입해서 카드(C)의 상면 및 하면을 잡을 수 있다.5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or 20 mounted on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connector 20 is mounted in alignment with the card slot 26 formed in the wall 24 of the component. The circuit board 22 includes a cutout 23 adjacent the opening or slot 26. By thus cutting the circuit board 22, the user can insert a finger through the opening 28 to grasp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card C.

도2에서, 접촉 단자 하우징(36)은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접촉 단자를 생략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6은 접촉 하우징(36)과 접촉 단자(72a, 72b)의 양호한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하우징(36)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이 본체는 양 측벽(74)과 다수의 횡단벽(76)을 가진다.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앙벽(78)도 포함하고, 이 벽은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한다. 벽(78)은 하우징의 바닥에서 깔대기 형상부(80)에 의해 측벽(74)을 향해 외측으로 펼쳐진다. 이러한 구조로 접촉 단자를 수납하는 일련의 대향하는 통로(82)가 형성된다. 통로(82)는 실질적으로 직선이면서 매끄러운 제1 측벽(84)과 제2 측벽(86)을 포함한다. 벽(84, 86)은 실질적으로 평행이다. 각 통로의 하단부에서 각진 면(88)은 깔대기 형상부(80)에 의해 형성된다.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개구(90)는 각 측벽(74)의 바닥 엣지를 따라 형성된다. 단자 하우징(36)에는 카드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면(92)과 회로 기판 상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면(94)이 형성된다. 고정 및 위치 결정 펙(peg)(96)은 하우징(36)의 바닥에서 돌출하여 하우징을 회로 기판에 고정시킨다.In Fig. 2, the contact terminal housing 36 is shown with the contact terminals omitted to simplify the drawing. 6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tact housing 36 and the contact terminals 72a, 72b. The housing 36 includes a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has both side walls 74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walls 76. The housing also includes a central wall 78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wall is substantially centrally located. Wall 78 extends outwardly toward sidewall 74 by funnel shape 80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In this structure a series of opposing passages 82 are formed which receive contact terminals. Passage 82 includes a substantially straight and smooth first sidewall 84 and second sidewall 86. The walls 84 and 86 are substantially parallel. At the lower end of each passageway an angled face 88 is formed by the funnel shape 80. A transversely extending opening 90 is formed along the bottom edge of each sidewall 74. The terminal housing 36 is provided with a mating surface 92 for engaging with the card and a mounting surface 94 for mounting on the circuit board. Fixing and positioning pegs 96 protrude from the bottom of housing 36 to secure the housing to the circuit board.

횡단벽(76)의 상부는 측면(74) 위로 연장하고 경사진 측면 엣지(77)가 제공된다. 엣지(77)는 예를 들어, 삽입하는 동안 카드의 정면 엣지가 결합될 경우, 카드가 하우징(36) 위에서 위쪽으로 향하도록 카드(C)의 도입면을 제공한다. 엣지(77)는 카드(C)가 커넥터(20)에 삽탈되는 동안 접촉 단자(72)를 보호하기도 한다.The top of the transverse wall 76 extends over the side 74 and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ide edge 77. The edge 77 provides an introduction surface of the card C such that the card faces upwards over the housing 36 when the front edge of the card is engaged, for example, during insertion. Edge 77 also protects contact terminal 72 while card C is inserted into connector 20.

접촉 단자(72a, 72b)의 쌍은 대향하는 통로(82)에 배열된다. 도6에 도시된 대로, 이 접촉 단자는 실질적으로 서로 경면 대칭이다. 그러므로, 접촉 단자(72b) 만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접촉 단자(72b)는 면(86)에 대해 편향된 만곡부(98)를 포함한다. 제1 레그(102)는 부분(98)에서 만곡부(104)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부까지 연장한다. 제2 레그(106)는 접촉부(104)에서 상부 만곡부(108)까지 연장한다. 만곡부(108)의 외면은 측면(74)의 벽(84)에 결합한다. 제3 레그(110)는 상부 만곡부(108)부터 하부 만곡부(112)까지 연장한다. 도시된 대로, 만곡부(112)의 외측 곡선 면은 면(86, 88)의 접합부에 인접한다. 제4 레그(114)는 만곡부(112)에서부터 회로 기판 결합 접촉 패드(116)까지 연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36)이 기판에 장착되고 보유 펙(96)에 의해 고정되면, 제4 레그(114)는 점선 위치로 편향된다. 이 편향은 회로 기판 상의 접촉 패드(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접촉 만곡부(116)를 눌러주는 스프링 힘을 만들어 낸다. 또한, 접촉 패드(116)는 도시된 압접 형태 대신 표면 장착 땜납 미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Pairs of contact terminals 72a and 72b are arranged in opposing passages 82. As shown in Fig. 6, these contact terminals are substantially mirror mirror with each other. Therefore, only the contact terminal 72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Contact terminal 72b includes a bent portion 98 deflected with respect to face 86. The first leg 102 extends from the portion 98 to the contact formed by the curved portion 104. The second leg 106 extends from the contact 104 to the upper bend 108. The outer surface of the curvature 108 couples to the wall 84 of the side 74. The third leg 110 extends from the upper curved portion 108 to the lower curved portion 112. As shown, the outer curved face of the curvature 112 is adjacent to the junction of the faces 86, 88. The fourth leg 114 extends from the bend 112 to the circuit board mating contact pad 116. In the embodiment shown, when the housing 36 is mounted to the substrate and secured by the retention pegs 96, the fourth leg 114 is deflected to the dashed position. This deflection creates a spring force that presses the contact curve 116 against a contact pad (not shown) on the circuit board. In addition, contact pads 116 may include surface mount solder tails instead of the press contact form shown.

도시된 대로, 하우징(36)과 단자(72a, 72b)가 압축 커넥터를 형성해서 압축력이 화살표(D)의 방향으로 접촉 단자에 작용하면 단자는 통로(82)로 삽입된다. 단자는 삽입됨에 따라, 구역(108, 112)에서 휘어져서 주로 편측 지지 레그(106, 110)의 편향을 야기하고, 그렇게 해서 접촉부(104)를 접촉 패드에 대해 눌러주는 수직력을 야기하는 스프링 힘을 만들어 낸다. 면(88)은 단자(72b)가 통로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해서 만곡부(112)의 위치를 안정시킨다. 전술한 대로, 회로 기판 접촉부(116)는 개구(90)를 통해 측부(74) 너머의 횡방향으로 측방 연장된다. 이리하여, 하우징(36)이 기판에 장착될 떼, 단자는 측벽(74)에 의해 통로(82)를 벗어나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 단자가 통로로 삽입될 때에도 레그(102, 106)는 벽(84, 86)에 대해 스프링 예비 하중을 만들어 내도록 만곡부(104)에 대해 편향된다. 그러므로, 만곡부(98, 108, 112)는 통로 내에 다중점 마찰 접촉을 제공해서 장착 전에 단자를 하우징(36)에 유지한다.As shown, the housing 36 and the terminals 72a, 72b form a compression connector so that when the compressive force acts on the contact terminal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82. As the terminal is inserted, it bends in the zones 108 and 112 to cause the deflection of the one-sided support legs 106 and 110, thereby creating a spring force that causes a vertical force to press the contact 104 against the contact pad. Make it up The surface 88 prevents the terminal 72b from moving axially along the passage to stabilize the position of the curved portion 112. As noted above, the circuit board contact 116 extends laterally beyond the side 74 through the opening 90. Thus, when the housing 36 is mounted to the substrate, the terminals are prevented from moving axially out of the passage 82 by the side wall 74. In addition, the legs 102 and 106 are deflected with respect to the bend 104 to produce spring preloads against the walls 84 and 86 even when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passageway. Therefore, the bends 98, 108, 112 provide multipoint frictional contact in the passageways to hold the terminals in the housing 36 prior to mounting.

도7a 내지 도7c는 카드(C)를 커넥터(20)에 결합하는 순서를 도시한다. 도7a는 부품 벽(24)의 슬롯(26)을 통과해 삽입된 후 초기 위치에서의 카드(C)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카드는 화살표(F)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하부 안내 레일(60)에 의해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안내된다. 카드의 길이 방향의 측면 엣지는 카드가 삽입될 때 래치(52)를 편향시킨다. 카드(C)는 카드의 바닥 정면 엣지를 따라서 리세스(118)를 가진다. 접촉 패드(120)는 리세스(118)에 배열된다. 접촉부는 카드의 하부 정면으로부터 거리 t만큼 이격되어 있다. 리세스(118)는 접촉 단자(72)와 접촉 패드(120) 간에 접촉이 이루어지기 전에 제거되어야 하는 정면부(122)를 형성한다. 도시된 대로, 카드(C)는 각진 면(124)을 카드의 상부 엣지를 따라 포함한다. 각 캠 블록(38)은 캠 표면(39)과 하부 래치면(126)을 포함한다.7A to 7C show the procedure for coupling the card C to the connector 20. Figs. FIG. 7A shows the card C in its initial position after being inserted through the slot 26 of the part wall 24. In this position, the card moves fo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and is guided substantially forward by the lower guide rail 60. The longitudinal side edge of the card biases the latch 52 when the card is inserted. Card C has a recess 118 along the bottom front edge of the card. Contact pads 120 are arranged in recesses 118. The contact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face of the card by a distance t. The recess 118 defines a front portion 122 that must be removed befor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terminal 72 and the contact pad 120 is made. As shown, card C includes an angled face 124 along the upper edge of the card. Each cam block 38 includes a cam surface 39 and a lower latch surface 126.

도7b는 사용자가 계속해서 화살표(F) 방향으로 카드(C) 상에 삽입력을 가하는 결합 순서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카드의 정면 엣지 상의 경사면(124)은 캠 블록(38)의 캠 표면(39)을 결합한다. 이 단계에서, 리세스(118)의 정면 엣지는 커넥터 하우징(36)을 제거한다. 면(124)과 캠 표면(39)이 결합하게 되면 카드(C)와 안내 부재(32)는 베이스(40)를 향해 하향 이동해서 스프링(68)을 압축해준다.Fig. 7B shows the next step in the joining sequence in which the user continues to apply the insertion force on the card C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In this position, the inclined surface 124 on the front edge of the card engages the cam surface 39 of the cam block 38. In this step, the front edge of the recess 118 removes the connector housing 36. When the face 124 and the cam surface 39 are engaged, the card C and the guide member 32 move downward toward the base 40 to compress the spring 68.

도7c는 커넥터에서 카드(C)의 최종 결합 위치를 도시한다. 이 단계에서 카드(C)의 경사면(124)은 캠 표면(39)에서 떨어지게 되고, 카드의 정면 엣지는 하부 래치면(126)에 의해 래치된다. 리세스(118)는 단자 하우징(36)과 정렬되고, 접촉 단자(72)는 통로(82) 내에 끼워져 카드의 접촉 패드(120)를 결합하도록 접촉력을 만들어 낸다. 안내 부재(32)는 스프링(68)을 완전히 압축하면서 실질적으로 프레임(40)에 대면하여 위치한다. 카드(C)의 후단부는 래치(52)의 래치면(52a) 아래를 지나서 수직 위치에 고정된다. 이 위치에서 보조 접촉부(66)도 역시 편향되고, 카드의 정면 엣지를 따라 배열된 접지 접촉 패드와 파워서플라이 Vcc를 결합한다. 카드 멈춤부(54)는 카드가 커넥터를 벗어나서 후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7c shows the final engagement position of the card C in the connector. At this stage the inclined surface 124 of the card C is off the cam surface 39 and the front edge of the card is latched by the lower latch surface 126. The recess 118 is aligned with the terminal housing 36, and the contact terminal 72 fits in the passage 82 to create a contact force to engage the contact pad 120 of the card. The guide member 32 is positioned substantially facing the frame 40 while fully compressing the spring 68. The rear end of the card C is fixed in the vertical position beyond the latch surface 52a of the latch 52. In this position the auxiliary contact 66 is also deflected, joining the power supply V cc with a ground contact pad arrang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card. The card stop 54 prevents the card from moving out of the connector in the rearward direction.

카드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개구(28)를 통해 카드의 배면 단부를 잡아서 카드를 안내면(62)을 향해 상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흔들어서 래치(52)를 편향시키고 그렇게 해서 카드 멈춤부(54)를 제거하면 된다. 카드 정면 엣지에 대해 이러한 상향 회전은 상부 안내 레일(62)의 모떼기에 의해 가능하다. 이 위치에서 카드는 후방으로 자유롭게 움직여서 캠 블록(38)의 하부 래치면(126)이 슬롯(26)을 통해 후방으로 카드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o remove the card, the user grasps the back end of the card through the opening 28 and rotates or shakes the card upwards toward the guide surface 62 to deflect the latch 52 and thereby remove the card stop 54. Just do it. This upward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card front edge is possible by chamfering the upper guide rail 62. In this position the card is free to move backwards so that the lower latch surface 126 of the cam block 38 can remove the card backward through the slots 26.

발명이 다양한 형상의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지어 설명되었지만 다른 유사한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고 큰 변화 없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명된 실시예에 수정과 부가가 가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따라 그 범위가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various shapes, other similar embodiments may be used and modifications and additions may be made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to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major change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but its scope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전술한 배열은 부품의 측벽의 슬롯을 통해 카드(C)가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삽입되게 하고 또한 커넥터의 접촉 단자를 보호해 주어서 반복되는 카드의 삽입과 제거에도 커넥터 접속에 손상을 주지 않고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 해서 커넥터의 구조와 조립을 간단하게 하고 제작비를 낮춘다.The above arrangement allows the card C to be inserted substantially straight through the slot in the side wall of the component and also protects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connector so that repeated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card does not damage the connector connection many times. Can be. In addition, the connector minimizes the number of parts,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assembly of the connector and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도1은 부품에 사용하기 위해 장착된 커넥터를 도시하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카드 커넥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d connect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onnector mounted for use in a component.

도2는 도1에 도시한 커넥터의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도3은 도2에 도시된 커넥터의 베이스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도4는 도2에 도시된 커넥터의 카드 안내 부재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rd guide member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ure 2;

도5는 도1에 도시된 커넥터와 장착 구조의 평면도.Fig. 5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or and mounting structure shown in Fig. 1;

도6은 도1에 도시된 커넥터에 사용되는 접촉 단자와 접촉 단자 하우징의 단면도.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contact terminal housing used for the connector shown in Fig. 1;

도7a 내지 도7c는 도1의 커넥터로 카드를 삽입하는 연속하는 세 단계를 도시한 도면.7A-7C show three consecutive steps of inserting a card into the connector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커넥터 20: connector

28 : 확대 개구28: enlarged opening

30 : 베이스30: base

32 : 안내 부재32: guide member

34 : 포스트 34: Post

36 : 접촉 단자 하우징36: contact terminal housing

40 : 프레임40: frame

44a, 44b : 교차부재44a, 44b: cross member

C : 카드C: card

54 : 카드 멈춤부54: card stop

58 : 안내 암58: guide arm

60, 62 : 안내 레일60, 62: guide rail

Claims (28)

전자 소자를 회로 기판에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커넥터이며,A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element to a circuit board, 베이스와,Bass, 전자 소자를 삽입 경로에 따라 움직이도록 안내하는 안내 부재와,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electronic element to move along the insertion path;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하는 장착 구조와,A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the guide member on the base; 상기 안내 부재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된 전기 접촉부와,Electrical contacts spaced laterally relative to the guide member, 전자 소자에 의해 결합 가능하며, 상기 삽입 경로에서 안내 부재를 따라 전자 소자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안내 부재를 전기 접촉부로 움직이게 하는 작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And an actuating means engageable by an electronic element, said actuating means moving said guide member to an electrical contact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electronic element along the guide member in said insertion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촉부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 구조는 전기 접촉부에 대해 접근 및 이탈 방향으로 횡방향 운동을 하도록 안내 부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electrical contact is mounted to the base, and the mounting structure mounts a guide member to perform transverse movement in the approaching and disengaging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electrical conta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조가 안내 부재를 전기 접촉부로부터 이격되게 편향시키는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3.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mounting structure includes an element for biasing the guide member away from the electrical contact. 제3항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고, 상기 편향 소자는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게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4. An electrical connector as in claim 3 wherein an electrical contact engages said base and said biasing element urges said guide member away from said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이 전자 소자에 의해 결합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캠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said actuating means comprises a cam surface mounted to said base in a position joined by an electronic element. 제1항에 있어서, 전자 소자를 상기 전기 접촉부와 결합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래치 부재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atch member for retaining electronic components in engagement with the electrical contacts. 제6항에 있어서, 래치 부재가 상기 삽입 경로의 측면 엣지를 따라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7. An electrical connector as in claim 6 wherein a latch member is arranged along the side edge of the insertion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가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1 안내 레일에 대해 각을 이루며 배열된 제2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guide member includes a first guide rail and a second guide rail arrang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rail. 제8항에 있어서, 제1 안내 레일이 상기 베이스에 인접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9. An electrical connector as in claim 8 wherein a first guide rail is arranged adjacent said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리세스 구역과 상기 리세스에 배열된 복수의 접촉부를 갖는 적어도 한 개의 주요 면을 가지는 패키지를 포함하는 이동가능한 전자 소자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member is configured to receive a movable electronic element comprising a package having a recessed region and at least one major face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in the reces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경로가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insertion path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안내 부재로부터 상기 전자 소자를 이동시켜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소자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guide member includes a structure for moving the electronic element from the guide member to separate the element from the connector. 전자 소자를 회로 기판에 접속시키는 전기 커넥터이며,A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element to a circuit board,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도록 된 베이스와,A base adapted to be mounted on a circuit board, 상기 전자 소자를 삽입 경로를 따라 움직이도록 안내하는 안내 부재와,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electronic element to move along an insertion path;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기 접촉 단자와,A plurality of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coupled to the base, 상기 삽입 경로에 횡방향으로 상기 접촉 단자에 대해 접근 및 이격하도록 상기 안내 부재를 장착하는 장착 구조와,A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the guide member to approach and to the contact terminal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the insertion path;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편향시키는 수단과,Means for biasing the guide member away from the contact terminal; 상기 전자 소자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접촉 단자를 향해 편향시키는 수단과,Means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to bias the guide member toward the contact terminal;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접촉 단자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삽입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전자 소자에 결합 가능한 캠 표면과,A cam surface engageable with the electronic element during movement along the insertion path to move the guide member toward the contact terminal; 상기 단자에 인접하여 상기 안내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전자 소자를 결합하도록 위치한 래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And latch means positioned to engage the electronic element to hold the guide member adjacent the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회로 기판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경로를 따라 삽입하는 동안 상기 전자 소자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guide member comprises: a first member for guiding the electronic element during insertion along a path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ircuit board; and a second member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가 한 쌍의 대향하는 안내 채널과 상기 안내 채널에 결합하는 교차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5. 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3 wherein the guide member includes a pair of opposing guide channels and a cross member coupled to the guide channe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는 접촉 단자 하우징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contact terminal housing coupled to the base,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acts are arranged in the housing.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7. The electrical connector of claim 16 wherein the housing is detachable from the bas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 상기 하우징을 수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8. An electrical connector as in claim 17 wherein said base includes an opening for receiving said housing. 결합면과 장착면을 형성하는 하우징과,A housing forming a mating surface and a mounting surface; 상기 결합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양측면을 가지는 하우징 내의 접촉 단자 수납 통로와,A contact terminal accommodating passage in the housing extending from the mating surface and having both sides; 통로의 한 단부에 인접하는 결합면 접촉부, 상기 통로의 양측면 중 제1 측면에 결합하는 제1 측면 결합부, 제1 측면 결합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통로 양측면 중 제2 측면에 결합하는 제2 측면 결합부, 그리고 상기 통로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의 양측면 중 한 측면 너머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기판 결합 접촉부를 가지는 긴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통로 내에 위치하는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A mating surface contact portion adjacent to one end of the passage, a first side engaging portion engaging with a first side of both sides of the passageway, an agent spac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irst side engaging portion, and engaging with a second side of both sides of the passageway; And an elongated body having a side engagement portion and a substrate engaging contact extending laterally from one side of the passageway from the second end of the passageway to one of the two sides of the passageway, the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contact terminal located within the passageway.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중 하나가 상기 장착 면에 인접하게 위치한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0. An electrical connector as in claim 19 wherein one of said sides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positioned adjacent said mounting surfac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의 측면은 실질적으로 직선이고, 상기 경사진 부분은 상기 통로의 대향면을 향해 경사진 벽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1.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20, wherein the one side is substantially straight and the inclined portion comprises a wall portion inclined toward an opposite surface of the passageway.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가 통로로 접힐 수 있는 압축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0. An electrical connector as in claim 19 wherein said contact terminal comprises a compressive elastic member that is foldable into a passageway.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가 만곡부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두 개의 상호 편측 지지 암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접촉 단자의 측면 결합 부분 중 한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3.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22 wherein the contact terminal comprises at least two mutually unilateral support arms extending from the bent portion, wherein the bent portion comprises one of the side engaging portions of the contact terminal.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판 결합 접촉부가 연장하는 상기 하우징의 장착면에 위치한 측면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0. The electrical connector as in claim 19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side opening positioned in a mounting surface of the housing in which the substrate mating contact extend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벽은 실질적으로 직선이며 평행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접촉 단자의 각 측면 결합부는 상기 측벽 중 하나에 결합하며, 상기 접촉 단자는 통로로 종방향 축선을 따라서 압축 탄성이며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0. The wall of claim 19 wherein the walls of the passageway have substantially straight and parallel portions, each side engaging portion of the contact terminal engaging one of the sidewalls, wherein the contact terminal is compressively elastic along a longitudinal axis to the passageway.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folded. 결합면과 장착면을 형성하는 하우징과,A housing forming a mating surface and a mounting surface; 상기 결합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양측면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 내의 접촉 단자 수납 통로와,A contact terminal accommodating passage in the housing extending from the mating surface and having both sides; 상기 통로의 한 단부에 인접한 결합면 접촉부와, 상기 통로의 양측면 중 제1 측면에 결합하는 제1 측면 결합부와, 제1 측면 결합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통로의 양측면 중 제2 측면에 결합하는 제2 측면 결합부와, 상기 통로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기판 결합 접촉부를 가지는 긴 본체를 구비하고, 통로에 위치되는 접촉 단자를 포함하고, A mating surface contact portion adjacent to one end of the passageway, a first side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a first side of both sides of the passageway, and a second side of both sides of the passageway longitudinally spaced from the first side engaging portion; An elongated body having a second side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and a substrate engaging contact extending from the second end of the passage, the contact terminal being positioned in the passage, 상기 제1 및 제2 측면 결합부는 상기 접촉 단자를 상기 통로내에 마찰식으로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engagement portions frictionally retain the contact terminal in the passag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가 통로 내로 접힐 수 있는 압축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7. An electrical connector as in claim 26 wherein said contact terminal comprises a compressive elastic member that can be folded into a passageway.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가 만곡부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두 개의 상호 편측지지 암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접촉 단자의 측면 결합부 중 한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28. The electrical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27 wherein the contact terminal comprises at least two mutually unilateral support arms extending from the bent portion, wherein the bent portion comprises one of the side engaging portions of the contact terminal.
KR10-1998-0012745A 1997-04-11 1998-04-10 Electrical connector KR1005208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745A KR100520863B1 (en) 1997-04-11 1998-04-10 Electrical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38,902 1997-04-11
KR10-1998-0012745A KR100520863B1 (en) 1997-04-11 1998-04-10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0863B1 true KR100520863B1 (en) 2005-12-21

Family

ID=4367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745A KR100520863B1 (en) 1997-04-11 1998-04-10 Electrical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86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2351A (en) * 1983-07-06 1986-07-22 Tokyo Tatsuno Co., Ltd. Device for reading and writing IC-external storage cards
EP0333530A2 (en) * 1988-03-18 1989-09-20 Framatome Connectors Connectral Connecting housing for microcircuit cards
US4961710A (en) * 1988-04-08 1990-10-09 Hosiden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2351A (en) * 1983-07-06 1986-07-22 Tokyo Tatsuno Co., Ltd. Device for reading and writing IC-external storage cards
EP0333530A2 (en) * 1988-03-18 1989-09-20 Framatome Connectors Connectral Connecting housing for microcircuit cards
US4961710A (en) * 1988-04-08 1990-10-09 Hosiden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060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contacts
US4708415A (en) Electrical connectors
KR970001617B1 (en) Edge card connector with latch/eject mechanism
US6609922B2 (en) Connector for substrate
EP0564955B1 (en) Edge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4780603A (en) Integrated circuit card and connector arrangement using same
US5320541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hich cooperate with the edge of a circuit board
US4824387A (en) Biased floating connector
US665980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guiding means
US7918683B1 (en) Connector assemblies and daughter card assemblies configured to engage each other along a side interface
US7179095B1 (en) Matrix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EP0510995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liable terminals
US7150650B2 (en) Card connector with bottom plate
US7232320B2 (en) Card connector
JPH07288153A (en) Electric connector with discharging device
KR19990011622U (en) Convenience Corner Card Connector
KR10025989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tail aligning device
US7377814B2 (en) Card connector
US6450824B1 (en) Connector including movable cover
JP3325050B2 (en) Connector assembly
KR20000022915A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for a pga package and terminals therefore
US603325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uide and latch
US20060134989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20080227317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a dustproof device
KR20060083219A (en) Flat circuit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