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091B1 -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 Google Patents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091B1
KR100517091B1 KR10-1998-0710885A KR19980710885A KR100517091B1 KR 100517091 B1 KR100517091 B1 KR 100517091B1 KR 19980710885 A KR19980710885 A KR 19980710885A KR 100517091 B1 KR100517091 B1 KR 100517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hrh
leuprolide
formulation
stable
peptid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22449A (en
Inventor
신씨아 엘. 스티븐슨
샐리 에이. 타오
스티븐 제이. 프리스트렐스키
제레미 씨. 라이트
조 레오나르드
보니 제이.(에켄호프 제임스 비.(ECKENHOFF James B.:사망)의 상속인) 에켄호프
Original Assignee
앨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앨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앨자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1998-071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091B1/en
Publication of KR20000022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4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0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61K38/09Luteinis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i.e.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에서 펩티드 화합물의 안정한 수액 제제에 관한 것이다. 이들 안정한 제제는 물 중 약 10% 이상의 펩티드를 함유한다. 이들은 승온에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특히 약물의 장기 투여용 이식형 전달 장치에서 유용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table infusion formulations of peptide compounds at high concentrations. These stable formulations contain at least about 10% peptide in water. They can be stored for long periods at elevated temperatures and are particularly useful in implantable delivery devices for long term administration of drugs.

Description

펩티드의 수성 제제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본 출원은 35 U.S.C. 119(e) 하에 미국 특허 출원 제60/021,199호(1996.7.3)를 우선권으로 청구하고, 그 내용을 본원에 참고로 포함하였다.This application claims 35 U.S.C. Priority is claimed to US Patent Application No. 60 / 021,199 (1996.7.3) under 119 (e),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은 고농도에서 펩티드 화합물의 안정한 수성 제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table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 compounds at high concentrations.

하기 문헌들은 명세서의 관련 부분에서 각괄호([]) 내에 숫자로 참조하였다.The following references are referred to numerically within square brackets ([]) in the relevant parts of the specification.

1. 졸라덱스(Zoladex; 고세렐린 아세테이트 이식물), Physician's Desk Reference, 50판, p 2858-2861 (1996).1.Zoladex (Goserelin Acetate Implant), Physician's Desk Reference, 50th edition, p 2858-2861 (1996).

2. 미국 특허 제3,914,412호 (1975.10.21.).2. US Pat. No. 3,914,412 (October 21, 1975).

3. 미국 특허 제4,547,370호 (1985.10.15.).3. U.S. Patent 4,547,370 (October 15, 1985).

4. 미국 특허 제4,661,472호 (1987.4.28.).4. US Pat. No. 4,661,472 (April 28, 1987).

5. 미국 특허 제4,689,396호 (1987.8.25.).5. U.S. Patent 4,689,396 (August 25, 1987).

6. 미국 특허 제4,851,385호 (1989.7.25.).6. US Pat. No. 4,851,385 (1989.7.25.).

7. 미국 특허 제5,198,533호 (1993.3.30.).7. US Pat. No. 5,198,533 (1993.3.30.).

8. 미국 특허 제5,480,868호 (1996.1.2.).8. US Pat. No. 5,480,868 (1996.1.2.).

9. 국제 특허 공개 제WO92/20711호 (1992.11.26.).9.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WO92 / 20711 (Nov. 26, 1992).

10. 국제 특허 공개 제WO95/00168호 (1995.1.5.).10.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WO95 / 00168 (1995.1.5.).

11. 국제 특허 공개 제WO95/04540호 (1995.2.16.).11.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WO 95/04540 (1995.2.16.).

12. "Stability of Gonadorelin and Triptorelin in Aqueous Solution", 브이.제이. 헬름(V.J. Helm), 비.더블유. 멀러(B.W. Muller), Pharmaceutical Research, 7/12, p 1253-1256 (1990).12. "Stability of Gonadorelin and Triptorelin in Aqueous Solution", V.J. VJ Helm, B. Double You. BW Muller, Pharmaceutical Research , 7/12, p 1253-1256 (1990).

13. "New Degradation Product of Des-Gly10-NH2-LH-RH-Ethylamide (Fertirelin) in Aqueous Solution", 제이. 오까다(J. Okada), 티. 세오(T. Seo), 에프. 가사하라(F. Kasahara), 케이. 다께다(K. Takeda), 에스. 곤도(S. Kondo), J. of Pharmaceutical Sciences, 80/2, p 167-170 (1991).13. "New Degradation Product of Des-Gly 10 -NH 2 -LH-RH-Ethylamide (Fertirelin) in Aqueous Solution", J. J. Okada, T. T. Seo, F. F. Kasahara, K. K. Takeda, S. S. Kondo, J. of Pharmaceutical Sciences , 80/2, p 167-170 (1991).

14. "Characterization of the Solution Degradation Product of Histrelin, a Gonadtropin Releasing Hormone (LHRH) Agonist", 에이.알. 오일러(A.R. Oyler), 알.이. 날디(R.E. Naldi), 제이.알. 로이드(J.R. Lloyd), 디.에이. 그래든(D.A. Graden), 씨.제이. 쇼(C.J. Shaw), 엠.엘. 코터(M.L. Cotter), J. of Pharmaceutical Sciences, 80/3, p 271-275 (1991).14. "Characterization of the Solution Degradation Product of Histrelin, a Gonadtropin Releasing Hormone (LHRH) Agonist", A. R. AR Oyler, R. E. RE Naldi, J. R. JR Lloyd, D.A. DA Graden, C.J. CJ Shaw, M. L. Ml Cotter, J. of Pharmaceutical Sciences , 80/3, p 271-275 (1991).

15. "Parenteral Peptide Formulations: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Native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and Hydrophobic Analogues in Aqueous Solution", 엠.에프. 파월(M.F. Powell), 엘.엠. 샌더스(L.M. Sanders), 에이. 로저슨(A. Rogerson), 브이. 시(V. Si), Pharmaceutical Research, 8/10, p 1258-1263 (1991).15. "Parenteral Peptide Formulations: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Native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and Hydrophobic Analogues in Aqueous Solution", M.F. MF Powell, L.M. LM Sanders, A. A. Rogerson, V. V. Si, Pharmaceutical Research , 8/10, p 1258-1263 (1991).

16. "Degradation of the LHRH Analog Nafarelin Acetate in Aqueous Solution", 디.엠. 존슨(D.M. Johnson), 알.에이. 프리차드(R.A. Pritchard), 더블유.에프. 테일러(W.F. Taylor), 디. 콘리(D. Conley), 지. 쥬니가(G. Zuniga), 케이.지. 맥그리비(K.G. McGreevy), Intl. J. of Pharmaceutics, 31, p 125-129 (1986).16. "Degradation of the LHRH Analog Nafarelin Acetate in Aqueous Solution", D.M. DM Johnson, R. A. RA Pritchard, W.F. WF Taylor, D. D. Conley, G. G. Zuniga, K. G. KG McGreevy, Intl. J. of Pharmaceutics , 31, p 125-129 (1986).

17. "Percutaneous Absorption Enhancement of Leuprolide", 엠.와이. 푸 루(M.Y. Fu Lu), 디. 리(D. Lee), 지.에스. 라오(G.S. Rao), Pharmaceutical Research, 9/12, p 1575-1576 (1992).17. "Percutaneous Absorption Enhancement of Leuprolide", M. Y. MY Fu Lu, D. D. Lee, G.S. GS Rao, Pharmaceutical Research , 9/12, p 1575-1576 (1992).

18. 루트레풀스(Lutrepulse; IV 주사용 고나도렐린 아세테이트), Physician's Desk Reference, 50판, p 980-982 (1996).18. Lutrepulse (gonadorelin acetate for IV injections), Physician's Desk Reference, 50th edition, p 980-982 (1996).

19. 팩트렐(Factrel; 피하 또는 IV 주사용 고나도렐린 HCl), Physician's Desk Reference, 50판, p 2877-2878 (1996).19. Factrel (gonadorelin HCl for subcutaneous or IV injection), Physician's Desk Reference, 50th edition, p 2877-2878 (1996).

20. 루프론(Lupron; 피하 주사용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Physician's Desk Reference, 50판, p 2555-2556 (1996).20. Lupron (leuprolide acetate for subcutaneous injection), Physician's Desk Reference, 50th edition, p 2555-2556 (1996).

21. 루프론 데포(Lupron depot; 데포 현탁제용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Physician's Desk Reference, 50판, p 2556-2562 (1996).21. Lupron depot (leuprolide acetate for depot suspending), Physician's Desk Reference, 50th edition, p 2556-2562 (1996).

22. "Pharmaceutical Manipulation of Leuprorelin Acetate to Improve Clinical Performance", 에이치. 도구찌(H. Toguchi), J. of Intl. Medical Research, 18, p 35-41 (1990).22. "Pharmaceutical Manipulation of Leuprorelin Acetate to Improve Clinical Performance", H .. H. Toguchi, J. of Intl. Medical Research , 18, p 35-41 (1990).

23. "Long-Term Stability of Aqueous Solutions of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Assessed by an In-Vitro Bioassay and Lipid Chromatography", 와이.에프. 쉬(Y.F. Shi), 알.제이. 쉐린스(R.J. Sherins), 디. 브라이트월(D. Brightwell), 제이.에프. 갈레리(J.F. Gallelli), 디.씨. 채터지(D.C. Chatterji), J. of Pharmaceutical Sciences, 73/6, p 819-821 (1984).23. "Long-Term Stability of Aqueous Solutions of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Assessed by an In-Vitro Bioassay and Lipid Chromatography", Y. F. YF Shi, R. J. RJ Sherins, D. D. Brightwell, J. F. JF Gallelli, D.C. Chatterji, J. of Pharmaceutical Sciences , 73/6, p 819-821 (1984).

24. "Peptide Liquid Crystals: Inverse Correlation of Kinetic Formation and Thermodynamic Stability in Aqueous Solution:, 엠.에프. 파월, 제이. 플라이트만(J. Fleitman), 엘.엠. 샌더스, 브이. 시, Pharmaceutical Research, 11/9, p 1352-1354 (1994).24. "Peptide Liquid Crystals: Inverse Correlation of Kinetic Formation and Thermodynamic Stability in Aqueous Solution :, M.F. Powell, J. Fleitman, L.M. Sanders, V.C., Pharmaceutical Research, 11 / 9, p 1352-1354 (1994).

25. "Solution Behavior of Leuprolide Acetate, an LHRH Agonist, as Determined by Circular Dichroism Spectroscopy", 엠.이. 파워스(M.E. Powers), 에이. 아데제이(A. Adejei), 엠.와이. 푸 루, 엠.씨. 매닝(M.C. Manning), Intl. J. of Pharmaceutics, 108, p 49-55 (1994).25. "Solution Behavior of Leuprolide Acetate, an LHRH Agonist, as Determined by Circular Dichroism Spectroscopy", M. E. ME Powers, A. A. Adejei, M. Y. Fu Lu, M. MC Manning, Intl. J. of Pharmaceutics , 108, p 49-55 (1994).

26. "Preparation of Three-Month Depot Injectable Microspheres of Leuprorelin Acetate Using Biodegradable Polymers", Pharmaceutical Research, 11/8, p 1143-1147 (1994).26. "Preparation of Three-Month Depot Injectable Microspheres of Leuprorelin Acetate Using Biodegradable Polymers", Pharmaceutical Research , 11/8, p 1143-1147 (1994).

상기 각 문헌, 특허 또는 특허 출원들의 기재 내용은 각각의 개별 문헌, 특허 및 특허 출원의 언어를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참조로 포함하는 것과 동일한 정도로 그 전문을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하였다.The disclosures of each of these documents, patents or patent applications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to the same extent as to specifically and individually include the language of each individual document, patent and patent application.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GnRH)으로도 알려져 있는 황체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LHRH)은 구조식 pGlu-His-Trp-Ser-Tyr-Gly-Leu-Arg-Pro-Gly-NH2의 데카펩티드이다. 이는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며, 뇌하수체 상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황체형성 호르몬(LH)과 난포 자극 호르몬(FSH)을 분비시킨다. LH와 FSH는 생식선을 자극하여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합성하도록 한다. 효능제로서 작용하는 LHRH 관련 펩티드와 길항제로서 작용하는 LHRH 관련 펩티드를 포함하여 LHRH의 수많은 유사체가 알려져 있다 [1-15]. LHRH 유사체는 전립선암, 양성 전립선비대승, 자궁내막 증식증, hysteromyoma, metrofibroma, 조기 사춘기 또는 유방암과 같은 호르몬 의존성 질병의 치료에서와 피임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8]. 지속 방출 투여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생산을 억제하도록 반복 투여된 후 이용가능한 수용체의 숫자를 감소시키는 효능제 LHRH 관련 화합물과 내인성 LHRH의 지속적인 억제를 위해 연속 투여해야 하는 길항제 LHRH 관련 화합물 모두에 대해 바람직하다 [8].The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LHRH), also known as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is a decapeptide of the structural pGlu-His-Trp-Ser-Tyr-Gly-Leu-Arg-Pro-Gly-NH 2 . It is secreted by the hypothalamus and binds to receptors on the pituitary gland, releasing luteinizing hormone (LH)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LH and FSH stimulate the gonads to synthesize steroid hormones. Numerous analogues of LHRH are known, including LHRH related peptides acting as agonists and LHRH related peptides acting as antagonists [1-15]. LHRH analogs are known to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hormone-dependent diseases such as prostate cancer,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endometrial hyperplasia, hysteromyoma, metrofibroma, early puberty or breast cancer and as contraceptives [8]. Sustained release administration is preferred for both agonist LHRH related compounds that reduce the number of available receptors after repeated administrations to inhibit the production of steroid hormones and antagonist LHRH related compounds that must be administered continuously for sustained inhibition of endogenous LHRH [ 8].

약물, 특히 펩티드 약물의 지속적인 비경구 전달은 많은 잇점을 제공한다. 매우 다양한 약물 또는 다른 유익한 활성제를 지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식형 장치의 사용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장치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034,229호; 동 제5,057,318호 및 동 제5,110,596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특허의 전문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한다. Ongoing parenteral delivery of drugs, particularly peptide drugs, offers many advantages. The use of implantable devices to continuously deliver a wide variety of drugs or other beneficial actives is well known in the art. Typical device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 No. 5,034,229; 5,057,318 and 5,110,596. The entirety of each of these patents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일반적으로, LHRH 관련 화합물을 포함하는 펩티드의 경구 생체이용률은 낮다 [16-17].In general, oral bioavailability of peptides comprising LHRH related compounds is low [16-17].

비경구 주입용으로 사용되는 LHRH, 그의 유사체 및 관련 화합물의 현재 시판되는 수성 제제는 비교적 저농도의 LHRH 관련 화합물 (0.05 내지 5㎎/㎖)을 함유하며, 또한 만니톨 또는 락토스와 같은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18-20]. LHRH 관련 화합물의 그러한 제제는 냉장 보관해야하거나, 실온에서 단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다.Current commercially available aqueous formulations of LHRH, analogs and related compounds used for parenteral infusion contain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of LHRH related compounds (0.05-5 mg / ml), and may also contain excipients such as mannitol or lactose. [18-20]. Such formulations of LHRH related compounds may be refrigerated or stored for a short time at room temperature.

1 내지 3개월에 걸쳐 지속 방출시키기 위해 투여되는 LHRH 관련 화합물의 이용가능한 데포 제제는, 피하 주입될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D,L-락트산과 글리콜산 공중합체의 매트릭스에 분산시킨 15% LHRH 관련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 [1] 및 D,L-락트산과 글리콜산 공중합체의 외피로 둘러쌓인 LHRH 관련 화합물과 젤라틴의 코어를 포함하는 미세입자로 이루어진 제제를 포함한다. 이들 미세입자는 피하 또는 근육내 주입하기 위해 희석제 중에 현탁시킨다 [21, 26]. 이들 제품은 실온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해야 한다. LHRH 관련 화합물의 수성 제제는 화학적 및 물리적 불안정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방사선 조사후 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16, 22-25].Available depot formulations of LHRH related compounds administered for sustained release over one to three months include 15% LHRH related compounds dispersed in a matrix of D, L-lactic and glycolic acid copolymers provided in a cylindrical form to be injected subcutaneously. Formulations [1] and formulations comprising microparticles comprising a core of gelatin and an LHRH-related compound surrounded by an envelope of a D, L-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copolymer. These microparticles are suspended in diluent for subcutaneous or intramuscular injection [21, 26]. These products should be stored at temperatures below room temperature. Aqueous formulations of LHRH related compounds are known to exhibit chemical and physical instability as well as to degrade after irradiation [12-16, 22-25].

안정한 것으로 나타난 제제(t90 약 5년)는 실온(25℃) 보다 높지 않은 온도에서 보관된 매우 낮은 농도(25㎍/㎖)의 완충된 (10mM 완충액, 이온 강도 0.15) 수용액이었다 [15].The formulation that appeared to be stable (t 90 approximately 5 years) was an aqueous solution of buffered (10 mM buffer, ionic strength 0.15) at a very low concentration (25 μg / ml) stored at a temperature not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25 ° C.) [15].

펩티드의 안정한 고농도 수성 제제가 필요하다.There is a need for stable, high concentration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발명의 개요><Overview of invention>

본 발명은 약 10% 이상의 농도의 물 중 펩티드 화합물의 용액인 안정한 수성 제제를 제공한다. 이들 안정한 고농도 제제는 승온(예를 들면, 37℃)에서 장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고, 약물의 장기간 전달(예를 들면, 1 내지 12개월 또는 그 이상)을 위한 이식형 전달 장치에서 특히 유용하다. 수성 제제는 임의로 완충제, 부형제, 에탄올(EtOH), 계면활성제 또는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ble aqueous formulation which is a solution of peptide compound in water at a concentration of at least about 10%. These stable high concentration formulations can be stored for extended periods at elevated temperatures (eg 37 ° C.) and are particularly useful in implantable delivery devices for prolonged delivery of drugs (eg 1-12 months or more). Aqueous formulations may optionally include buffers, excipients, ethanol (EtOH), surfactants or preservatives.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약 10%(w/w) 이상의 펩티드 화합물과 물을 함유하는, 펩티드 화합물의 안정한 수성 제제를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ble aqueous formulation of a peptide compound containing at least about 10% (w / w) peptide compound and water.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약 10%(w/w) 이상의 펩티드 화합물을 물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펩티드 화합물의 안정한 수성 제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stable aqueous formulation of a peptide compound comprising dissolving at least about 10% (w / w) peptide compound in water.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약 10%(w/w) 이상의 펩티드 화합물과 물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성 제제 유효량을 펩티드 화합물의 투여에 의해 경감될 수 있는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펩티드 화합물의 투여에 의해 경감될 수 있는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invention comprises administering to a patient suffering from a disease that can be alleviated by the administration of a peptide compound, a stable aqueous formulation effective amount comprising at least about 10% (w / w) peptide compound and water It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 patient suffering from a disease that can be alleviated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peptide compound.

도 1은 역상 HPLC (RP-HPLC)로 측정한, 80℃에서 2개월 후 40%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수용액의 안정성을 도시한다.1 shows the stability of 40% aqueous solution of leuprolide acetate after 2 months at 80 ° C., measured by reverse phase HPLC (RP-HPLC).

도 2는 도 1에서와 동일한 샘플을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에 주입한 도면이다. 이 도면은 응집물이 매우 적고, 존재하는 응집물이 이량체와 삼량체 생성물로 이루어지며, 더 이상의 응집이 없음을 보여준다.FIG. 2 is a diagram injecting the same sample as in FIG. 1 into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C). This figure shows that there are very few aggregates, the aggregates present consist of dimers and trimer products, and there is no further aggregation.

도 3은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의 40% 수용액으로부터 류프롤리드의 손실을 보여주는 아레니우스(Arrhenius) 플롯이다.3 is an Arrhenius plot showing the loss of leuprolide from a 40% aqueous solution of leuprolide acetate.

도 4는 80℃에서 약 3개월 후 40%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수용액의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을 도시한다.4 shows the chemical and physical stability of 40% aqueous solution of leuprolide acetate after about 3 months at 80 ° C.

도 5는 37℃, 50℃, 65℃ 및 80℃에서 3 내지 6개월에 걸친 40% 수용액으로부터 유사 1차 운동에 일치하는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의 손실을 도시한다.FIG. 5 shows the loss of leuprolide acetate consistent with pseudo first order movement from 40% aqueous solution over 3-6 months at 37 ° C., 50 ° C., 65 ° C. and 80 ° C. FIG.

도 6은 37℃에서 9개월 후 40%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수용액의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을 도시한다.6 shows the chemical and physical stability of 40% aqueous solution of leuprolide acetate after 9 months at 37 ° C.

도 7은 80℃에서 14일 후 아세테이트 완충액 및 만니톨 중 30% 고세렐린 용액의 안정성을 도시한다.FIG. 7 shows the stability of 30% goserelin solution in acetate buffer and mannitol after 14 days at 80 ° C. FIG.

도 8은 37℃에서 6개월에 걸쳐 안정하게 유지된 류프롤리드(370㎎/㎖)의 겔화 및 비겔화 수성 제제를 도시한다.FIG. 8 shows gelled and ungelled aqueous formulations of leuprolide (370 mg / ml) that remained stable over 6 months at 37 ° C.

본 발명은 고농도(즉, 약 10% 이상)의 펩티드 화합물을 물에 용해시키면 안정한 수성 제제를 형성하게 되는 예기치 않은 발견에 관한 것이다. 저온(4-25℃)에서 보관해야 하는 EDTA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부형제를 함유하는 희석 완충 수용액인 공지의 펩티드 화합물의 수성 제제는 산/염기 촉매 가수분해, 탈아미드화, 라세미화 및 산화 반응과 같은 분해 경로를 통해 분해 생성물을 형성한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에 청구하는 제제는 승온(예를 들면, 37℃ 내지 80℃)에서 고농도의 펩티드 화합물을 안정화시켜, 그렇지 않으면 가능하지 않을 이식형 전달 장치로 펩티드를 전달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nexpected finding that dissolving high concentrations (i.e., at least about 10%) of peptide compounds in water forms stable aqueous formulations. Aqueous formulations of known peptide compounds, which are dilution buffered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excipients such as EDTA or ascorbic acid, which must be stored at low temperatures (4-25 ° C.), can be used for acid / base catalyzed hydrolysis, deamidation, racemization and oxidation reactions. Decomposition products are formed through decomposition pathways. In contrast, the formulations claimed in the present invention stabilize high concentrations of peptide compounds at elevated temperatures (eg, 37 ° C. to 80 ° C.), allowing the delivery of peptides to implantable delivery devices that would otherwise not be possible.

표준 펩티드 및 단백질 제제는 희석 수용액으로 이루어진다. 펩티드 제제의 2가지 중요한 측면은 약물 분자의 가용화와 안정화를 포함한다. 펩티드의 안정성은 보통 pH, 완충액 유형, 이온 강도 및 부형제 (EDTA, 아스코르브산 등)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성취된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에서는, 고농도의 펩티드를 물 중에 제형화시켜 안정한 용액을 제공한다.Standard peptide and protein preparations consist of dilute aqueous solutions. Two important aspects of peptide preparations include solubilization and stabilization of drug molecules. Stability of peptides is usually achieved by changing one or more of pH, buffer type, ionic strength and excipients (EDTA, ascorbic acid, etc.). 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high concentration of peptide is formulated in water to provide a stable solution.

본 발명은 화학적 및 물리적 분해 모두에 대해 펩티드 제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고농도의 펩티드를 수용액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in the use of a high concentration of peptide in aqueous solution to stabilize the peptide formulation against both chemical and physical degradation.

A. 정의:A. Definition :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다음의 의미를 갖는다:The terms used herein have the following meanings:

용어 "화학적 안정성"은 산화 또는 가수분해와 같은 화학 경로로 생성되는 분해 생성물이 허용되는 비율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37℃에서 2개월 후 약 20% 이하의 분해 생성물이 형성되면 제제가 화학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간주한다.The term "chemical stability" means that the decomposition products produced by chemical pathways, such as oxidation or hydrolysis, are formed in an acceptable proportion. Specifically, formulations are considered chemically stable if up to about 20% of degradation products are formed after two months at 37 ° C.

용어 "물리적 안정성"은 응집물(예를 들면, 이량체, 삼량체 및 그 이상의 형태)이 허용되는 비율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37℃에서 2개월 후 약 15% 이하의 응집물이 형성되면 제제가 물리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간주한다.The term "physical stability" means that agglomerates (eg, dimers, trimers and higher forms) are formed in an acceptable proportion. Specifically, the formulation is considered physically stable if less than about 15% aggregates form after 2 months at 37 ° C.

용어 "안정한 제제"는 37℃에서 2개월 (또는 승온에서 동등한 조건) 후 약 65% 이상의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이 남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한 제제는 상기 조건 하에 약 80% 이상의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안정한 펩티드를 유지하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안정한 제제는 멸균 방사선 조사(예를 들면, 감마, 베타 또는 전자 빔) 후 분해를 나타내지 않는 것이다.The term "stable formulation" means that at least about 65% of chemical and physically stable compounds remain after 2 months (or equivalent conditions at elevated temperature) at 37 ° C. Particularly preferred formulations are those which retain at least about 80% chemically and physically stable peptides under these conditions. Particularly preferred stable formulations are those which do not exhibit degradation after sterile irradiation (eg gamma, beta or electron beam).

용어 "펩티드" 및(또는) "펩티드 화합물"은 아미드(CONH) 결합으로 함께 결합된 약 50개 이하의 아미노산 잔기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이들 중 임의의 하나의 유사체, 유도체, 효능제, 길항제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이 용어에 포함된다. 이 용어는 또한 D-아미노산, D- 또는 L-배위로 변형되거나 유도된 아미노산 또는 천연 아미노산 및(또는) 그의 구조의 일부로서 펩토미메틱(peptomimetic) 단위를 갖는 펩티드 및(또는) 펩티드 화합물을 포함한다. The term “peptide” and / or “peptide compound” means a polymer of up to about 50 amino acid residues bonded together by an amide (CONH) bond. Analogs, derivatives, agonists, antagonists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f any one of these are included in this term. The term also encompasses peptides and / or peptide compounds having peptomimetic units as part of their structure or amino acids modified with or derived from D-amino acids, D- or L-configuration do.

용어 "LHRH-관련 화합물"은 황체화 호르몬 방출 호르몬(LHRH) 및 그의 유사체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의미한다. 옥타-, 노나- 및 데카펩티드의 LHRH 효능제 및 길항제가 용어 LHRH 관련 화합물에 포함되며, 천연 LHRH도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LHRH 관련 화합물은 LHRH, 류프롤리드, 고세렐린, 나파렐린 및 기타 공지된 활성 효능제 및 길항제를 포함한다 [1-21].The term “LHRH-related compound” means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LHRH) and its analogs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LHRH agonists and antagonists of octa-, nona- and decapeptides are included in the term LHRH related compounds, including natural LHRH. Particularly preferred LHRH related compounds include LHRH, leuprolide, goserelin, naparelin and other known active agonists and antagonists [1-21].

용어 "고농도"는 약 10%(w/w) 이상, 특정 LHRH 관련 화합물의 최대 용해도 이하를 의미한다.The term "high concentration" means at least about 10% (w / w), up to the maximum solubility of certain LHRH related compounds.

용어 "부형제"는 희석제 또는 비히클로서 첨가되거나 형태 또는 조도를 제공하기 위해 첨가된 제제 중의 다소간의 불활성 물질을 의미한다. 부형제는 EtOH와 같은 용매 (이는 약물을 제제에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트윈(Tween) 20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이는 약물을 제제 중에 가용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및 벤질 알코올 또는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과 같은 방부제 (이는 미생물 생장을 방지하거나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와 구별된다.The term "excipient" means more or less inert material in a formulation which is added as a diluent or vehicle or added to provide form or roughness. Excipients include solvents such as EtOH (which are used to dissolve the drug in the formulation), nonionic surfactants such as Tween 20 (which are used to solubilize the drug in the formulation) and benzyl alcohol or methyl or propyl parabens. And preservatives, which are used to prevent or inhibit microbial growth.

용어 "완충능"은 용액 중의 산/염기 쌍의 혼합물의 존재로 인해, 산 또는 알칼리를 용액에 첨가할 때 그렇지 않으면 일어날 임의의 pH 변화를 감소시키는 용액의 능력을 의미한다.The term "buffering ability" means the ability of a solution to reduce any pH change that would otherwise occur when an acid or alkali is added to the solution due to the presence of a mixture of acid / base pairs in the solution.

용어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는 산성 수소를 포함하지 않고 수소 결합 공여자로서 작용하지 않는 극성 용매를 의미한다.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의 예로는 디메틸술폭시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헥사메틸포스포로트리아미드(HMPT) 및 n-메틸 피롤리돈이 있다.The term "polar aprotic solvent" means a polar solvent that does not contain acidic hydrogen and does not act as a hydrogen bond donor. Examples of polar aprotic solvents are dimethyl sulfoxide (DMSO), dimethylformamide (DMF), hexamethylphosphorotriamide (HMPT) and n-methyl pyrrolidone.

B. 제제의 제조:B. Preparation of the formulation :

본 발명은 승온에서 장기간 동안 안정한 펩티드 화합물의 고농도 액체 수성 제제에 관한 것이다. 펩티드와 단백질의 표준 희석 수성 제제에서는 안정성을 얻기 위해 완충제 유형, 이온 강도, pH 및 부형제 (예를 들면, EDTA 및 아스코르브산)의 조정을 필요로한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제제는 물에 용해시킨 고농도(약 10%(w/w)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펩티드 화합물의 안정화를 얻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igh concentration liquid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 compounds that are stable for extended periods at elevated temperatures. Standard dilute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and proteins require adjustment of buffer type, ionic strength, pH, and excipients (eg, EDTA and ascorbic acid). In contrast,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stabilization of the peptide compound by using a high concentration (about 10% (w / w) or more) of the compound dissolved in water.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는 펩티드 및 펩티드 화합물의 예로는 생물 활성을 갖는 펩티드, 또는 질병이나 다른 병리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펩티드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안지오텐신 I 및 II, 심방 나트륨배설촉진 펩티드, 봄베신, 브래디키닌, 칼시토닌, 세레벨린, 다이노프핀 A, 알파 및 베타 엔돌핀, 엔도텔린, 엔케팔린, 내피 성장 인자, 페르티렐린, 난포 고나도트로핀 방출 펩티드, 갈라닌, 글루카곤, 고나도렐린, 고나도트로핀, 고세렐린, 성장 호르몬 방출 펩티드, 히스트렐린, 인슐린, 류프롤리드, LHRH, 모틸린, 나파렐린, 뉴로텐신, 옥시토신, 소마토스타틴, 섭스턴스 P, 종양 괴사 인자, 트립토렐린 및 바소프레신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물질의 유사체, 유도체, 길항제, 효능제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peptides and peptide compounds that can be formulat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eptides having biological activity, or peptides that can be used to treat diseases or other pathological conditions. Examples include adrenal cortical stimulating hormones, angiotensin I and II, atrial sodium excretory peptides, bombesin, bradykinin, calcitonin, cesulin, dynophine A, alpha and beta endorphins, endothelin, enkephalins, endothelial growth factor, Fertirelin, Follicle gonadotropin releasing peptide, Galanine, Glucagon, Gonadorrelin, Gonadotropin, Goserelin, Growth hormone releasing peptide, Hysterlin, Insulin, Leuprolide, LHRH, Motilin, Na Parelin, neurotensin, oxytocin, somatostatin, substance P, tumor necrosis factor, tryptorelin and vasopressin. Analogs, derivatives, antagonists, agonists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f these substances can also be used.

제제화할 특정 펩티드 화합물에 따라, 이온 강도와 pH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자들은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의 바람직한 수성 제제가 낮은 이온 강도와 약 4 내지 약 6의 pH를 갖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Depending on the specific peptide compound to be formulated, ionic strength and pH need to be considered. For example, 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preferred aqueous formulations of leuprolide acetate have low ionic strength and a pH of about 4 to about 6.

본 발명의 제제와 방법에서 유용한 펩티드 화합물은 염, 바람직하게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유용한 염은 당업계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무기산, 유기산,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와의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염은 아세트산염이다.Peptide compounds useful in the formulations and methods of the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form of salts, preferably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Useful salts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nclude salts with inorganic acids, organic acids, inorganic bases or organic bases. Preferred salts are acetate salts.

친수성이며 물에 쉽게 용해되는 펩티드 화합물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당업계의 기술자는 수용해도를 기초로 어떠한 화합물이 유용할 것인지 쉽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며, 즉, 화합물은 약 10%(w/w) 이상으로 물에 용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또한 제약학적 유효량이다. 특히 바람직한 펩티드 화합물은 류프롤리드 및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를 포함한 LHRH 관련 화합물이다.Peptide compounds that are hydrophilic and readily soluble in water are preferred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be able to determine which compound will be useful based on water solubility, ie the compound should be dissolved in water at least about 10% (w / w). Preferably, it is also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Particularly preferred peptide compounds are LHRH related compounds, including leuprolide and leuprolide acetate.

펩티드의 비율은 화합물, 치료할 질환, 화합물의 용해도, 예상 투여량 및 투여 지속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내용을 본원에 참고로 인용한 문헌[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길만(Gilman) 등, 7판 (1985)] 및 문헌[Pharmaceutical Sciences, 레밍턴(Remington), 18판 (1990)]을 참조하시오) 펩티드 화합물의 농도는 약 10%(w/w) 이상에서 화합물의 최대 용해도까지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한 범위는 약 20 내지 약 60%(w/w)이다. 현재 더 바람직한 범위는 약 30 내지 약 50%(w/w)이고,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약 35 내지 약 45%(w/w)이다.The proportion of peptides can vary depending on the compound, the disease to be treated, the solubility of the compound, the expected dose and the duration of administration. (See, e.g.,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 Gilman et al., 7th edition (1985)) and Pharmaceutical Sciences , Remington, 18th edition (1990) The concentration of the peptide compound may range from about 10% (w / w) or more up to the maximum solubility of the compound. The preferred range is about 20 to about 60% (w / w). Currently more preferred ranges are from about 30 to about 50% (w / w) and the most preferred range is from about 35 to about 45% (w / w).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안정한 제제는 단순히 원하는 양의 치료 유효량의 원하는 펩티드 화합물을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지만, pH를 조정할 수도 있다.In general, stable formulations of the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simply dissolving a desired amount of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desired peptide compound in water, but the pH may also be adjusted.

완충제, 부형제, EtOH와 같은 용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가용화제 및 방부제를 펩티드의 제약 제제에 첨가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음이 당업계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문헌[Pharmaceutical Sciences, 레밍턴, 18판 (1990]을 참조하시오) 그러한 활성제를 본 발명에서 청구하는 제제에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I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may be beneficial to add buffers, excipients, solvents such as EtOH, solubilizers such as nonionic surfactants and preservatives to 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the peptide. (See, eg, Pharmaceutical Sciences , Remington, 18th Edition (1990)) Such active agents can optionally be added to the formulations claimed in the present invention.

C. 방법:C. Method :

본 발명자들은 펩티드 화합물의 안정한 수성 제제가 고농도(약 10% 이상)의 제제화할 펩티드 화합물을 물에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We have found that stable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 compounds can be prepared by dissolving peptide compounds to be formulated at high concentrations (at least about 10%) in water.

본 발명자들은 이들 펩티드 화합물 제제, 특히 LHRH 관련 화합물인 류프롤리드의 제제를 승온에서 가속 노화시키고, 제제의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을 측정함으로써 안정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이들 연구 결과(예를 들면, 표 III 및 도 1, 2 및 6에 도시함)는 이들 제제가 37℃에서 약 1년 또는 그 이상의 보관 조건에서 안정하였음을 증명한다.We tested these peptide compound formulations, especially those of LHRH related compounds, leuprolide, by accelerated aging at elevated temperatures and measuring the chemical and physical stability of the formulations. These findings (eg, Table III and shown in FIGS. 1, 2 and 6) demonstrate that these formulations were stable at 37 ° C. for about 1 year or longer storage conditions.

본 발명자들은 또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한 펩티드 화합물 제제를 2.5 메가라드 감마 방사선 조사시킨 후 안정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표 IV에 나타낸 결과는 이들 제제가 그러한 방사선 조사 후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안정하게 유지되었음을 보여준다. 전자 빔 방사선 조사시킨 제제도 또한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We also tested the stability of peptide compound formulations prepared as described herein after 2.5 megarad gamma irradiation. The results shown in Table IV show that these formulations remained chemically and physically stable after such irradiation. Electron beam irradiated formulations have also been found to be stable.

하기 표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펩티드 제제, 구체적으로 류프롤리드, 고세렐린, LHRH, 안지오텐신 I, 브래디키닌, 칼시토닌, 인슐린, 트립시노겐 및 바조프레신을 물에 용해시킨 (또는 용해시키려고 시도한) 다음, 이들을 승온에서 가속 노화시킴으로써 안정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제제들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Ea=22.2㎉/몰로 가정한 37℃에서의 반감기로서 표 I에 제시하였다. 시험한 다양한 펩티드는 물에 가용성이었고, 시험 조건 하에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물 중 특정 펩티드의 용해도와 생성된 용액의 안정성은 당업계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일상적인 절차를 이용하여 쉽게 측정된다.As shown in Table I below, we dissolve (or dissolve) various peptide preparations, specifically leuprolide, goserelin, LHRH, angiotensin I, bradykinin, calcitonin, insulin, trypsinogen and vazopressin. Were then tested for stability by accelerated aging at elevated temperatures.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s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Table I as half-lives at 37 ° C. assuming E a = 22.2 mm 3 / mol. The various peptides tested were soluble in water and remained stable under test conditions. The solubility of certain peptides in water and the stability of the resulting solutions are readily determined using routine procedur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물 중에 제제화된 펩티드의 안정성Stability of Peptides Formulated in Water 제제Formulation 반감기*(온도)Half-life * (temperature) 40% 류프롤리드40% leuprolide 9.7년 (37℃)9.7 (37 ℃) 40% 고세렐린40% goserelin 19.3개월 (80℃)19.3 months (80 ℃) 20% LHRH20% LHRH 2.5년 (65℃)2.5 years (65 ℃) 20% 안지오텐신 I20% Angiotensin I 불용성 겔 (65℃)Insoluble Gel (65 ℃) 20% 브래디키닌20% Bradykinin 8.5개월 (65℃)8.5 months (65 ℃) 40% 칼시토닌40% calcitonin 불용성 (80℃)Insoluble (80 ℃) 20% 칼시토닌20% calcitonin 9.6개월 (80℃)9.6 months (80 ℃) 5% 칼시토닌5% calcitonin 23.5개월 (50℃)23.5 months (50 ℃) 20% 인슐린20% insulin 불용성 겔 (65℃)Insoluble Gel (65 ℃) 40% 트립시노겐40% Trypsinogen 불용성 겔 (65℃/80℃)Insoluble Gel (65 ℃ / 80 ℃) 20% 트립시노겐20% Trypsinogen 불용성 겔 (65℃)Insoluble Gel (65 ℃) 40% 바소프레신40% Vasopressin 분해됨 (80℃)Decomposed (80 ℃) 20% 바소프레신20% Vasopressin 14.3년 (65℃)14.3 years (65 ℃) * Ea=22.2㎉/몰로 가정한 37℃에서의 반감기 * Half-life at 37 ° C assuming E a = 22.2 mW / mol

37℃에서 6개월 동안 보관된 물 중 40% 류프롤리드 제제는 용액으로부터 펩티드의 총 손실로 측정할 때 선형 분해를 나타냈다. 이들 데이터를 분석하면, 활성화 에너지(Ea)는 22.2㎉/몰이고, t90은 13.8개월이었고, 이는 승온에서 이들 제제의 안정성을 보여준다.The 40% leuprolide formulation in water stored at 37 ° C. for 6 months showed linear degradation as measured by the total loss of peptide from solution. Analyzing these data, the activation energy (E a ) was 22.2 dl / mol and t 90 was 13.8 months, which shows the stability of these formulations at elevated temperatures.

본 발명자들은 또한 예기치 않게 본 발명의 특정 펩티드 제제가 세균발육저지성 (즉,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함)이고, 살균성 (즉, 박테리아를 죽임)이며 살포자성 (즉, 포자를 죽임)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특히, 50-400㎎/㎖의 류프롤리드 제제가 세균발육저지, 살균 및 살포자 활성을 나타냈다. 샘플의 안정성은 박테리아의 혼합(spiking)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이는 사멸되거나 용해된 박테리아로부터 방출된 효소가 생성물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이는 이들 제제가 효소 활성에 도움이 되지 않았음을 증명한다.We also unexpectedly find that certain peptide formulations of the invention are bacteriostatic (ie, inhibit bacterial growth), bactericidal (ie, kill bacteria) and sparger (ie, kill spores). . In particular, 50-400 mg / ml leuprolide formulations showed bacteriostatic, bactericidal and sparse activity. The stability of the sample was not affected by the spiking of bacteria, indicating that enzymes released from killed or lysed bacteria did not adversely affect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This proves that these agents did not help with enzyme activity.

몇몇 펩티드, 예를 들면, 칼시토닌 및 류프롤리드는 수용액으로 제제화될 때 응집, 겔화 및 섬유화를 나타내어 물리적으로 불안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류프롤리드는 펩티드 농도를 증가시키거나, 염을 도입하거나, 부드럽게 교반함으로써 겔로 유도될 수 있다. 물리적 안성정을 개선시키면 이식형 약물 전달 시스템을 이용하는 투여를 포함한 비경구 투여가 더 쉬워질 수 있다.Several peptides, such as calcitonin and leuprolide, are known to be physically unstable, exhibiting aggregation, gelling and fibrosis when formulated in aqueous solutions. For example, leuprolide can be induced into the gel by increasing peptide concentration, introducing a salt, or gently stirring. Improving physical stability may make parenteral administration easier, including administration using an implantable drug delivery system.

예기치 않게, 류프롤리드, 고세렐린 및 칼시토닌과 같은 특정 펩티드의 수성 제제에 DMSO와 같은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첨가하면 제제의 겔화를 방지함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는 명백하게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가 펩티드를 베타 시트 구조로 다시 접히지 않는 랜덤한 코일/알파 나선 배위로 형성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용매는 겔화 방지 효과를 갖는다.Unexpectedly, the addition of polar aprotic solvents such as DMSO to aqueous formulations of certain peptides such as leuprolide, goserelin and calcitonin has been found to prevent gelation of the formulation. This is clearly because the non-aqueous polar aprotic solvent forms the peptide in a random coil / alpha helix configuration that does not fold back into the beta sheet structure. Therefore, these solvents have an antigelling effect.

또한, 37℃에서 6주간 보관한 류프롤리드(370㎎/㎖)의 겔화 및 비겔화 수성 제제를 연구하면 RP-HPLC로 분석할 때와 유사한 화학적 안정성 프로파일을 보여주었다. 결과를 도 8에 도시하였다. 유사하게, 액체 및 겔화(교반에 의한) 수성 류프롤리드 제제(370㎎/㎖)의 안정성을 각각 37℃에서 시험관내 및 래트에서 생체내 연구하였다. 결과를 표 II에 제시하였고, 이는 겔화 제제와 액체 제제가 모두 18주에 걸쳐 안정하게 유지되었음을 보여준다.In addition, the study of gelled and ungelled aqueous formulations of leuprolide (370 mg / ml) stored for 6 weeks at 37 ° C. showed similar chemical stability profiles as analyzed by RP-HPLC.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Similarly, the stability of liquid and gelling (by stirring) aqueous leuprolide formulations (370 mg / ml) was studied in vivo and in rats at 37 ° C.,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II, which shows that both the gelling and liquid formulations remained stable over 18 weeks.

액체 및 겔화 수성 류프롤리드 제제의 안정성 연구Stability Study of Liquid and Gelled Aqueous Lyuprolide Formulations 연구Research 시간 (주)Time (Note) 액체 (잔류%)Liquid (residual%) 겔화 (잔류%)Gelation (% remaining) 장기간 안정성Long-term stability 66 98.0098.00 장기간 안정성Long-term stability 1212 91.5091.50 장기간 안정성Long-term stability 1818 93.5093.50 래트Rat 44 94.8094.80 래트Rat 66 93.5093.50 래트Rat 1212 92.3092.30 래트Rat 1818 92.6092.60

본 발명의 주요 측면은 고농도의 펩티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이 고온에서 장기간 동안 안정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제제는 수송하고(하거나) 실온 이상의 온도에서 장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들은 또한 이식형 전달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The mai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peptide compounds are stable for long periods at high temperatures. Thus, these formulations are advantageous in that they can be transported and / or stored for extended periods at temperatures above room temperature. They are also suitable for use in implantable delivery devices.

다음 방법들을 이용하여 하기 실시예에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The study in the following examples was carried out using the following methods.

1.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용액의 제조 1. Preparation of leuprolide acetate solution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예를 들면, 말린크로트(Mallinckrodt, 미저리주 세인트 루이스)에서 구입함)를 측량하여 측량된 양의 비히클 (멸균 증류수, 에탄올/물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물)에 적절한 농도(w/w)로 첨가한 다음, 가볍게 교반하여 용해시켰다.Ljuprolide acetate (e.g., purchased from Mallinckrodt, St. Louis, Missouri) was weighed into a quantity of vehicle (sterile distilled water, ethanol / water or water containing a nonionic surfactant) Appropriate concentration (w / w) was added followed by light stirring to dissolve.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류프롤리드 유리 염기 함량은 37% 유리 염기인 분석 효능값의 증명서로부터 계산하였다. 이는 지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40%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였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the leuprolide free base content was calculated from a certificate of analytical potency value of 37% free base. This was 40% leuprolide acetate except as indicated.

2. 저장기의 제조 2. Manufacture of reservoir

이식형 약물 전달 장치 (예를 들면, 본원에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출원 제08/595,761호에 개시된 것)의 저장기에 적절한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용액을 충전시켰다. 이어서, 충전된 장치를 안정성 시험하였다. 제제를 중합체 마개로 각각의 단부를 막은 티탄 또는 중합체 저장기에 충전시켰다. 이어서, 충전된 저장기를 폴리호일 백 내에 밀봉시키고, 안정성 시험 오븐에 넣었다.Appropriate leuprolide acetate solution was charged to the reservoir of an implantable drug delivery device (eg, as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No. 08 / 595,761,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charged device was then tested for stability. The formulations were filled with titanium plugs or polymer reservoirs plugged at each end with a polymer stopper. The filled reservoir was then sealed in a polyfoil bag and placed in a stability test oven.

이들 장치의 저장기 내부의 제제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완전히 격리시켜야 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rmulations inside the reservoirs of these devices must be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3. 역상-HPLC (RP-HPLC) 3. Reversed-HPLC (RP-HPLC)

모든 안정성 샘플은 샘플 분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냉장된 자동 샘플채취기(4℃)를 갖춘 구배 용출 역상 HPLC 분석을 이용하여 류프롤리드 농도와 피크 면적%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용된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은 아래에 나열하였다.All stability samples were analyzed for leuprolide concentration and peak area percent using gradient elution reverse phase HPLC analysis with refrigerated autosampler (4 ° C.) to minimize sample degradation. The chromatographic conditions used are listed below.

<RP-HPLC 크로마토그래피 조건>RP-HPLC Chromatography Conditions

설명Explanation 파라미터parameter 칼럼column 하이실(HaiSil) C18, 4.6×250㎜, S/N 5103051HaiSil C18, 4.6 × 250mm, S / N 5103051 유속Flow rate 0.8㎖/분0.8 ml / min 주입 용적Injection volume 20㎕20 μl 검출detection 210㎚210 nm 류프롤리드 보유 시간Lyuprolide Retention Time 25 내지 30분25 to 30 minutes 이동상Mobile phase A = 100mM 인산나트륨, pH 3.0B = 90% 아세토니트릴/물A = 100 mM sodium phosphate, pH 3.0B = 90% acetonitrile / water 구배gradient minute 00 55 2525 4040 4141 4646 46.146.1 5050 B%B% 1515 26.526.5 26.526.5 6565 8585 8585 1515 1515

전형적으로 0.1 내지 1.2㎎/㎖ 사이의 4 내지 6가지의 상이한 농도 수준의 류프롤리드 표준품(물 중)을 안정성 샘플과 함께 시험하였다. 안정성 샘플을 표준품 세트 사이에 40개 이하의 샘플이 있도록 표준품 세트와 함께 취급하였다. 빈 부피와 실행 45분 사이의 모든 피크를 적분하였다. 류프롤리드 표준품에 대해 적분된 피크 면적을 농도의 함수로서 플롯팅하였다. 이어서, 선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안정성 샘플에 대한 류프롤리드 농도를 계산하였다. 류프롤리드 피크에 대한 피크 면적%, 류프롤리드 전에 용출된 모든 피크의 합("다른 것(others)"으로 표지함) 및 류프롤리드 후에 용출된 모든 피크의 합("응집물"로 표지함)을 또한 기록하고, 샘플 시점의 함수로서 플롯팅하였다.Typically between 4 and 6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s of leuprolide standard (in water) between 0.1 and 1.2 mg / ml were tested with stability samples. Stability samples were handled with the standard set so that there were no more than 40 samples between the standard sets. All peaks between the empty volume and 45 minutes of run were integrated. The integrated peak area for the leuprolide standard was plotted as a function of concentr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used to calculate leuprolide concentrations for the stability samples. % Peak area for leuprolide peaks, sum of all peaks eluted before leuprolide (labeled "others"), and sum of all peaks eluted after leuprolide (labeled "aggregates") ) Was also recorded and plotted as a function of sample time point.

4.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4.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C)

선택된 안정성 샘플을 냉장된 자동 샘플채취기(4℃)를 갖춘 이소크래틱(isocratic) 용액 SEC 분석을 이용하여 피크 면적%와 분자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용된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을 하기에 나열하였다.Selected stability samples were analyzed for peak area percent and molecular weight using an isocratic solution SEC analysis with refrigerated autosampler (4 ° C.). The chromatographic conditions used are listed below.

<SEC 크로마토그래피 조건><SEC Chromatography Conditions>

설명Explanation 파라미터parameter 칼럼column 파마시아 펩티드(Pharmacia Peptide), HR 10/30, 10×300㎜Pharmacia Peptide, HR 10/30, 10 × 300 mm 유속Flow rate 0.5㎖/분0.5 ml / min 주입 용적Injection volume 20㎕20 μl 검출detection 210㎚210 nm 류프롤리드 보유 시간Lyuprolide Retention Time 약 25분About 25 minutes 이동상Mobile phase 100mM 인산암모늄, pH 2.0, 200mM 염화나트륨, 30% 아세토니트릴100 mM ammonium phosphate, pH 2.0, 200 mM sodium chloride, 30% acetonitrile

크기 배제 칼럼에 대한 빈 부피 및 총 부피는 분자량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하였다. 바이오라드(BioRad) 고분자량 표준품 및 0.1% 아세톤을 사용하여 각각 빈 부피와 총 부피를 측정하였다. 바이오라드 표준품에서의 제1 피크와 아세톤 피크에 대한 보유 시간을 기록하였고, 이를 하기 등식을 이용하여 부피 단위로 환산하였다. 이들 값은 특정 SEC 칼럼 및 HPLC 시스템에 대해 일정하므로, 빈 부피 및 총 부피는 SEC 칼럼 또는 HPLC 시스템을 변화시킬 때마다 다시 측정하였다. 이어서, 표준품을 실행시킨 후 안정성 샘플을 실행하였다. 표준품 혼합물은 약 0.2㎎/㎖의 다음 펩티드: 부르신 (Bursin; MW=449), WLFR 펩티드 (MW=619), 안지오텐신 (MW=1181), GRF (MW=5108) 및 사이토크롬 C (MW=12394)를 함유하였다. 이들 표준품은 류프롤리드 분자량을 포괄하고, 모두 류프롤리드와 유사하게 염기성 pH (9.8-11.0)를 가지므로 선택하였다.Empty volume and total volume for the size exclusion column were needed to calculate the molecular weight. Empty volume and total volume were measured using BioRad high molecular weight standards and 0.1% acetone, respectively. Retention times for the first and acetone peaks in Biorad standards were recorded and converted to volume units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Since these values are constant for a particular SEC column and HPLC system, the empty volume and total volume were measured again each time the SEC column or HPLC system was changed. The stability sample was then run after running the standard. The standard mixture contains about 0.2 mg / ml of the following peptides: Bursin (Mur = MW = 449), WLFR peptide (MW = 619), Angiotensin (MW = 1181), GRF (MW = 5108) and Cytochrome C (MW = 12394). ). These standards were chosen because they encompass the leuprolide molecular weight and all have a basic pH (9.8-11.0) similar to leuprolide.

모든 피크에 대해 피크 면적%를 기록하였다. 분리된 종류에 대한 분자량을 하기 등식들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Peak area% was recorded for all peaks. The molecular weight for the isolated species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s.

Vs = 유속(㎖/분)×샘플 피크 보유 시간 (분)V s = flow rate (ml / min) × sample peak retention time (minutes)

Vo = 유속(㎖/분)×빈 부피 보유 시간 (분)V o = flow rate (ml / min) × empty volume retention time (minutes)

Vt = 유속(㎖/분)×총 부피 보유 시간 (분)V t = flow rate (ml / min) × total volume retention time (minutes)

상기 식들에서,  In the above formulas,

Vs = 표준품 또는 샘플 부피Vs = standard or sample volume

Vo = 빈 부피Vo = empty volume

Vt = 총 부피Vt = total volume

각각의 펩티드 표준품의 피크에 대해 Vs를 계산하였다. 이어서, 앞서 측정한 Vt 및 Vo에 대한 값을 이용하여 각각의 펩티드 표준품에 대한 Kd를 계산하였다. Kd-1에 대한 logMW의 플롯으로부터의 선회귀 곡선을 이용하여 안정성 샘플에서 각각의 피크에 대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안정성 샘플에 대한 피크 면적%를 또한 기록하였다.Vs was calculated for the peak of each peptide standard. The Kd for each peptide standard was then calculated using the values for Vt and Vo measured earlier. The regression curve from the plot of logMW for Kd −1 was used to determine the molecular weight for each peak in the stability sample. Peak area% for stability samples was also recorded.

5. 장치 및 재료 5. Device and materials

RP-HPLC 및 SEC에 대해 사용한 장치와 재료는 다음과 같다:The equipment and materials used for RP-HPLC and SEC are as follows:

717 자동 샘플채취기, 626 펌프, 6000S 컨트롤러, 900 포토다이오드 배열 검출기 및 414 굴절률 검출기로 이루어진 워터스 밀레니엄(Waters Millennium) HPLC 시스템 (워터스 크로마토그래피(Waters Chromatography (매사추세츠주 밀포드)).Waters Millennium HPLC system (Waters Chromatography, Milford, Mass.), Consisting of 717 automated samplers, 626 pumps, 6000S controllers, 900 photodiode array detectors, and 414 refractive index detectors.

48-위치 및 96-위치에 대한 HPLC 바이알 (워터스 크로마토그래피, 매사추세츠주 밀포드).HPLC vials for 48-position and 96-position (Waters Chromatography, Milford, Mass.).

하이실 C18, 120 A, 5㎛ 4.6×250㎜ HPLC 칼럼 (히긴즈 어낼리티칼(Higgins Analytical,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뷰).Hisil C18, 120 A, 5 μm 4.6 × 250 mm HPLC column (Higgins Analytical, Mountain View, CA).

파마시아 펩티드, HR 10/30 SEC 칼럼 (파마시아 바이오테크(Pharmacia Biotech, 뉴저지주 피스캐터웨이).Pharmacia peptide, HR 10/30 SEC column (Pharmacia Biotech, Peacecatter, NJ).

6. 순도 6. Purity

안정성 샘플을 RP-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류프롤리드 피크에 대한 곡선하면적÷모든 피크의 곡선하면적의 합이 순도%이다. [순도% 데이터(실시예 5, 6 및 7)와 함께 제시된 농도%에 대한 데이터는 결정적이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들 실험에서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분석 방법은 신뢰할 수 없다.]Stability samples were analyzed using RP-HPLC. The area under the curve for the leuprolide peaks ÷ the sum of the area under the curve for all peaks is% purit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ata for the concentration percentages presented with the% purity data (Examples 5, 6 and 7) are not critical. The analytical method used to measure% concentration in these experiments is not reliable.]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실시예 1Example 1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제제의 가속 안정성 연구Accelerated Stability Study of Leproprolide Acetate Formulations

멸균 증류수, 에탄올/물 (70/30) 또는 10% 트윈(Tween) 20을 갖는 물 중 40%(w/w)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약 37% 류프롤리드 유리 염기에 상당함) 제제를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하여,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이식형 약물 전달 장치의 저장기를 충전시키기 위해 사용하였다. 일부 저장기는 중합체 물질로 제조된 반면, 일부는 티탄으로 제조되었다.A 40% (w / w) leuprolide acetate (equivalent to about 37% leuprolide free base) formulation in sterile distilled water, ethanol / water (70/30) or water with 10% Tween 20 is described above. Prepared as is, and also used to fill reservoirs of implantable drug delivery devices as described above. Some reservoirs are made of polymeric material, while some are made of titanium.

충전된 장치를 배양기 (프리시전 사이언티픽(Precision Scientific) 또는 텔코(Thelco)) 중에서 7일 동안 승온(80-88℃)에서 보관시켜 가속 노화시켰다. 이는 활성화 에너지(Ea)가 22.2㎉/몰인 것으로 가정하면 37℃에서 약 1.5년 또는 실온(25℃)에서 약 4년에 해당한다.The charged device was accelerated aging by storing at room temperature (80-88 ° C.) for 7 days in an incubator (Precision Scientific or Thelco). This corresponds to about 1.5 years at 37 ° C. or about 4 years at room temperature (25 ° C.), assuming an activation energy (E a ) of 22.2 mA / mol.

샘플을 상기한 바와 같이 RP-HPLC 및 SEC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노화된 제제의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을 측정하였다.Samples were analyzed using RP-HPLC and SEC as described above to determine the chemical and physical stability of the aged formulation.

하기 표 III에 제시한 결과는 이들 수성 제제가 LHRH 관련 화합물인 류프롤리드의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었음을 증명한다. 각각의 경우, 65% 이상의 류프롤리드가 유지되었다. 그러나, 다량의 EtOH를 갖는 제제가 연구 중에 저장기로부터 휘발되었고, 이는 EtOH와 같은 휘발성 용매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제제를 승온에서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 트윈 20을 함유한 제형은 이들 가용화제를 함유하지 않은 수용액보다 더 안정하지는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The results presented in Table III below demonstrate that these aqueous formulations were able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leuprolide, an LHRH related compound. In each case, at least 65% of leuprolide was maintained. However, formulations with large amounts of EtOH have been volatilized from the reservoir during the study, indicating that prolonged storage at elevated temperatures of formulation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volatile solvents such as EtOH can be problematic. Formulations containing nonionic surfactant 10% Tween 20 have not been found to be more stable than aqueous solutions that do not contain these solubilizers.

승온에서 7일 후 40%(w/w)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수성 제제의 안정성Stability of 40% (w / w) leuprolide acetate aqueous formulation after 7 days at elevated temperature 온도 (℃)Temperature (℃) 저장기 재료Reservoir material 제제Formulation 7일째 류프롤리드%Day 7 Leproprolide% 8888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6868 8888 티탄titanium 물 중 40%40% in water 7171 8888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66* 66 * 8888 중합체polymer EtOH/H2O(70/30) 중 40%40% in EtOH / H 2 O (70/30) 85** 85 ** 8888 중합체polymer 10% 트윈 20 중 40%10% Tween 20% 40 6565 8080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8383 8080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8080 8080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7878 8080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7979 8080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8383 8080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7777 8080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7979 8080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7474 8080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8888 * 10% 증발 * 10% evaporation ** 60% 증발 ** 60% evaporation

실시예 2Example 2

방사선 조사된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제제의 안정성 연구Stability Study of Irradiated Leprolide Acetate Formulations

물 중 40%(w/w)의 표준(received)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37% 류프롤리드 유리 염기에 상당함)의 제제를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하여,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약물 전달 장치의 저장기를 충전시키기 위해 사용하였다. 일부 저장기는 중합체 물질로 제조된 반면, 일부는 티탄으로 제조되었다.A formulation of 40% (w / w) received leuprolide acetate (equivalent to 37% leuprolide free base) in water wa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and also stored in a drug delivery device as described above. Used to fill the group. Some reservoirs are made of polymeric material, while some are made of titanium.

충전된 장치에 2.5 메가라드 감마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샘플을 스테리제닉스(Sterigenics; 캘리포니아주 터스틴)에 수송하여, 배취 방식으로 감마 방사선 조사하였다 (코발트 60). 이어서, 샘플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가속 노화시켰다. "콜드(cold)"로 표지한 샘플은 수송하여 드라이 아이스 상에서 방사선 조사하였다. 0일 및 7일에 샘플을 취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RP-HPLC와 SEC로 분석하여 방사선 조사된 제제의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을 측정하였다.The filled device was irradiated with 2.5 megarad gamma radiation. Samples were transported to Sterigenics (Turstin, CA) and gamma irradiated in a batch mode (cobalt 60). The sample was then accelerated aging as in Example 1. Samples labeled "cold" were shipped and irradiated on dry ice. Samples were taken on days 0 and 7 and analyzed by RP-HPLC and SEC as described above to determine the chemical and physical stability of the irradiated formulation.

하기 표 IV에 제시한 결과는 이들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제제가 방사선 조사후 안정함을 나타낸다. 모든 경우, 65% 이상의 류프롤리드가 유지되었고, 응집물 형성 수준은 낮았다.The results presented in Table IV below show that these leuprolide acetate formulations are stable after irradiation. In all cases, at least 65% of leuprolide was maintained and the level of aggregate formation was low.

2.5 메가라드 감마 방사선 조사후 40%(w/w)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수성 제제의 안정성Stability of 40% (w / w) leuprolide acetate aqueous formulation after 2.5 megarad gamma irradiation 저장기 재료Reservoir material 제제Formulation 방사선 조사Irradiation 7일째 류프롤리드% (RP-HPLC)Day 7 leuprolide% (RP-HPLC) SECSEC 0일0 days 7일7 days 단량체%Monomer% 이/삼량체%Di / trimeric% 단량체%Monomer% 이/삼량체%Di / trimeric%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있음has exist 7575 90.490.4 1.21.2 80.980.9 3.93.9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없음none 7575 99.899.8 0.20.2 82.482.4 3.13.1 중합체polymer 물 중 40%40% in water coldcold 7979 89.489.4 0.20.2 80.380.3 3.13.1 티탄titanium 물 중 40%40% in water 있음has exist 8383 98.598.5 1.11.1 84.984.9 22 티탄titanium 물 중 40%40% in water 없음none N.D.N.D. 99.699.6 00 96.696.6 00 티탄titanium 물 중 40%40% in water 있음has exist 8181 98.898.8 0.90.9 94.794.7 2.42.4 티탄titanium 물 중 40%40% in water 없음none 8282 99.999.9 00 9595 1.91.9 티탄titanium 물 중 40%40% in water 있음has exist 7373 99.199.1 0.90.9 88.388.3 33 티탄titanium 물 중 40%40% in water 있음has exist 7979 9999 0.80.8 94.394.3 3.43.4 티탄titanium 물 중 40%40% in water 있음has exist 7474 98.698.6 0.50.5 90.990.9 3.63.6

실시예 3Example 3

물 중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의 장기간 가속 안정성 연구Long-term accelerated stability study of leuprolide acetate in water

상기한 바와 같이 40%(w/w)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수용액을 제조하여 저장기에 담고, 80℃에서 2개월 동안 보관하고, 분석하였다. 도 1 (RP-HPLC)과 도 2 (SEC)에 나타낸 결과는, 2개월 후 14.6%의 화학적 분해물과 5.1%의 물리적 응집물을 갖는 81.1%의 류프롤리드가 회수되었음을 보여준다.A 40% (w / w) leuprolide acetate aqueous solution wa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placed in a reservoir, stored at 80 ° C. for 2 months,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n in Figure 1 (RP-HPLC) and Figure 2 (SEC) show that after 2 months 81.1% of leuprolide with 14.6% chemical degradation and 5.1% physical aggregate was recovered.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용액 (물 중 40%(w/w))을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하여 담고, 보관하고 분석하였다. 도 4는 3개월에 걸쳐 회수된 류프롤리드, 그의 화학적 및 물리적 분해 생성물의 플롯이다. 또한, 이들 3가지 요소의 합을 질량 균형으로서 제시한다. 결과는 모든 펩티드 물질을 무손상 류프롤리드로서 또는 분해된 종류로서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안정성 연구에서 알려지지 않은 분해 과정이나 분해 생성물을 빠뜨리지 않았음을 나타낸다.The leuprolide acetate solution (40% (w / w) in water) wa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stored, stored and analyzed. 4 is a plot of leuprolide, its chemical and physical degradation products, recovered over three months. In addition, the sum of these three elements is presented as mass balance. The results show that all peptide materials can be described as intact leuprolides or as degraded species, indicating that no degradation processes or degradation products were unknown in stability studies.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용액 (물 중 40%(w/w))을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하여 담고, 37℃, 50℃, 65℃ 또는 80℃에서 보관한 후, RP-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5는 3 내지 6개월에 걸쳐 이들 용액으로부터 류프롤리드의 손실을 도시하며, 류프롤리드 분해가 유사 1차 운동에 일치함을 나타낸다. 또한, 하기 논의하는 바와 같이 도 3은 물 중 류프롤리드 분해가 선형 아레니우스 운동에 일치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가속 안정성 연구는 류프롤리드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37℃로 다시 외삽하기 위한 타당한 기법이다.The leuprolide acetate solution (40% (w / w) in water) was prepared and contained as described above, stored at 37 ° C., 50 ° C., 65 ° C. or 80 ° C. and analyzed using RP-HPLC. 5 shows the loss of leuprolides from these solutions over 3 to 6 months, showing that leuprolide degradation is consistent with pseudo-first-order movement. In addition, as discussed below, FIG. 3 shows that leuprolide decomposition in water is consistent with linear Areneus motion. Therefore, accelerated stability studies are a valid technique for evaluating the stability of leuprolide and extrapolating it back to 37 ° C.

40%(w/w)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수용액을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하여, 저장기에 담고, 37℃, 50℃, 65℃ 또는 80℃에서 보관한 후, RP-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문헌[Physical Pharmacy: Physical Chemical Principles in the Pharmaceutical Sciences, 3판, 마틴(Martin) 등, 14장(1983)]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계산하였고, 이는 이들 용액의 Ea가 22.2㎉/몰이고, t90이 13.8개월임을 보여주었다.A 40% (w / w) aqueous solution of leuprolide acetate wa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placed in a reservoir, stored at 37 ° C., 50 ° C., 65 ° C. or 80 ° C., and analyzed using RP-HPLC. The results were calculated as described in Physical Pharmacy: Physical Chemical Principles in the Pharmaceutical Sciences , 3rd edition, Martin et al., Chapter 14 (1983), which had E a of 22.2 kV / mol, t 90 was shown to be 13.8 months.

데이터를 하기에 나타냈고, 데이터의 아레니우스 플롯을 도 3에 제시하였다.The data is shown below and an Arrhenius plot of the data is shown in FIG. 3.

water Kobs (개월-1)Kobs (month -1 ) t1/2 (개월)t 1/2 (month) 3737 7.24×10-37.24 × 10-3 95.795.7 5050 3.21×10-23.21 × 10-2 21.621.6 6565 0.1110.111 6.36.3 8080 0.6550.655 1.11.1 Ea = 22.2 ㎉/몰E a = 22.2 dl / mol

실시예 4Example 4

물 중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의 장기간 안정성 연구Long-term stability studies of leuprolide acetate in water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하여 분석한 40%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수용액의 화학적 안정성을 도 6에 제시한다. 37℃에서 9개월 후, 10% 미만 (8.4%)의 화학 분해 생성물 (도면에서 "초기(early)"로 나타냄, RP-HPLC 프로파일 기준)과 5% 미만 (3.5%)의 물리적 응집물 (도면에서 "후기(late)"로 나타냄, RP-HPLC 데이터에 기준하지만, SEC 데이터와 거의 일치함)을 갖는 85% 이상 (88.3%)의 류프롤리드가 존재하였다.The chemical stability of 40% aqueous solution of leuprolide acetate prepared and analyz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 6. After 9 months at 37 ° C., less than 10% (8.4%) of chemical degradation products (shown as “early” in the figure, based on the RP-HPLC profile) and less than 5% (3.5%) of physical aggregates (in the figure) There was at least 85% (88.3%) of leuprolide with “late”, based on RP-HPLC data, but almost consistent with SEC data).

실시예 5Example 5

고세렐린의 가속 안정성 연구Accelerated Stability Study of Goserelin

3% 만니톨을 함유하는 아세테이트 완충액(pH 5.0, 0.0282M) 중 30%(w/w) 고세렐린 제제를 유리 앰플 중에서 80℃에서 14일 동안 보관한 후, 상기한 바와 같이 순도에 대해 분석하였다.30% (w / w) goserelin preparation in acetate buffer (pH 5.0, 0.0282M) containing 3% mannitol was stored for 14 days at 80 ° C. in glass ampoules and analyzed for purity as described above.

도 7에 나타낸 결과는 9일 후 약 65%의 고세렐린이 남아있음을 보여준다.The results shown in FIG. 7 show that about 65% of goserelin remains after 9 days.

실시예 6Example 6

고세렐린 제제의 안정성 연구Stability Study of Goserelin Formulations

3% 만니톨을 함유하는 아세테이트 완충액, 또는 염(0.9% NaCl)을 함유하는 아세테이트 완충액 중 40-45%(w/w) 고세렐린 제제를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하여, 중합체 용기 중에 넣었다.40-45% (w / w) goserelin formulation in acetate buffer containing 3% mannitol, or acetate buffer containing salt (0.9% NaCl) wa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and placed in a polymer container.

용기를 배양기 중에서 37℃에서 1개월 동안 보관하였다.The vessel was stored for 1 month at 37 ° C. in an incubator.

RP-HPLC를 이용하여 샘플을 분석하여, 노화시킨 제제의 화학적 안정성을 측정하였다.Samples were analyzed using RP-HPLC to determine the chemical stability of the aged formulation.

하기 나타낸 결과는 이들 수성 제제가 LHRH 관련 화합물인 고세렐린의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었음을 증명한다. 각각의 경우, 98% 이상의 고세렐린이 유지되었다.The results shown below demonstrate that these aqueous formulations were able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Goserelin, an LHRH related compound. In each case, at least 98% goserelin was maintained.

약물drug 비히클Vehicle 순도 %Purity% 농도 %Concentration% 고세렐린Goserelin 아세테이트 완충액/만니톨Acetate buffer / mannitol 98.198.1 54.254.2 고세렐린Goserelin 아세테이트 완충액/염Acetate buffer / salt 98.098.0 50.150.1

실시예 7Example 7

나파렐린 제제의 안정성 연구Stability Study of Naparelin Preparation

3% 만니톨을 함유하는 아세테이트 완충액 중 15%(w/w) 나파렐린 제제를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하여, 중합체 용기 중에 넣었다.A 15% (w / w) naparelin preparation in acetate buffer containing 3% mannitol wa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and placed in a polymer container.

용기를 배양기 중에서 37℃에서 1개월 동안 보관하였다.The vessel was stored for 1 month at 37 ° C. in an incubator.

RP-HPLC를 이용하여 샘플을 분석하여, 노화시킨 제제의 화학적 안정성을 측정하였다.Samples were analyzed using RP-HPLC to determine the chemical stability of the aged formulation.

하기 나타낸 결과는 이들 수성 제제가 98% 이상의 나파렐린이 유지되는 바와 같이, LHRH 관련 화합물인 나파렐린의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었음을 증명한다.The results shown below demonstrate that these aqueous formulations were able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LHRH related compound, naparelin, as more than 98% of naparelin was maintained.

약물drug 비히클Vehicle 순도 %Purity% 농도 %Concentration% 나파렐린Nafarelin 아세테이트 완충액/만니톨Acetate buffer / mannitol 98.898.8 18.318.3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태양을 수행하는 상기한 방식의 변경은 본원에 설명한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따라 당업계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며, 단지 본 발명의 실례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Modifications of the foregoing manner of carrying out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The foregoing examples do not limit the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Claims (27)

a) 류프롤리드, LHRH 및 고세렐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LHRH-관련 펩티드 화합물 20 내지 40%(w/w); 및a) 20-40% (w / w) LHRH-related peptid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uprolide, LHRH and goserelin; And b) 물b) water 을 함유하고, 37℃에서 3개월 이상 안정한 펩티드 관련 화합물의 안정한 수성 제제.A stable aqueous formulation of peptide related compounds containing, and stable at 37 ° C. for at least 3 months. 제 1 항에 있어서, 30 내지 40%(w/w)의 펩티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제.A formu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ich contains 30 to 40% (w / w) peptide compound. 제 1 항에 있어서, 방사선 조사후 안정한 제제.The formulation of claim 1, which is stable after irradiation. 제 1 항에 있어서, 80℃에서 2개월 이상 안정한 제제.The formu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ich is stable for at least 2 months at 80 ° C. 제 1 항에 있어서, 37℃에서 1년 이상 안정한 제제.The formu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ich is stable for at least 1 year at 37 ° C. 제 1 항에 있어서, 이식형 약물 전달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제.The formulation of claim 1 suitable for use in an implantable drug deliver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완충제, 부형제, 용매, 가용화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제제.The formulation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ffers, excipients, solvents, solubilizers and preservatives. 제 1 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멸균 증류수 중 30% 내지 40%(w/w)의 LHRH-관련 화합물인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제제.2. The formulation of claim 1 consisting essentially of leuprolide acetate which is 30% to 40% (w / w) LHRH-related compound in sterile distilled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겔을 형성하는 제제.The formulation of claim 1, which forms a gel. 제 1 항에 있어서,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추가로 함유하는 제제.The formulation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nonaqueous polar aprotic solven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가 DMSO 또는 DMF인 제제.The formulation of claim 10, wherein said non-aqueous polar aprotic solvent is DMSO or DMF. 류프롤리드, LHRH 및 고세렐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LHRH-관련 펩티드 화합물 20 내지 40%(w/w)를 물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에 따른 안정한 수성 제제의 제조 방법.A process for preparing a stable aqueous formu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ich comprises dissolving 20-40% (w / w) of LHRH-related peptid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uprolide, LHRH and goserelin. 제 12 항에 있어서, 30 내지 40%(w/w)의 펩티드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30-40% (w / w) of the peptide compound is dissolved. 제 12 항에 있어서, 완충제, 부형제, 용매, 가용화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d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ffers, excipients, solvents, solubilizers and preservatives. 제 12 항에 있어서, 30% 내지 40%(w/w)의 LHRH-관련 화합물인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를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키는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leuprolide acetate, which is 30% to 40% (w / w) of LHRH-related compound, is dissolved in sterile distilled water. 제 12 항에 있어서,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dding a non-aqueous polar aprotic solvent.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가 DMSO 또는 DMF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non-aqueous polar aprotic solvent is DMSO or DMF. 류프롤리드, LHRH 및 고세렐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LHRH-관련 펩티드 화합물의 투여에 의해 경감될 수 있는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제1항에 따른 제제를 사용하는 방법.Using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claim 1 for the prepara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 patient suffering from a disease that can be alleviated by the administration of an LHRH-related peptid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uprolide, LHRH and goserelin. Way.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비경구 투여용인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mposition i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장기간 연속 투여용인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mposition is for long term continuous administration.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이식형 약물 전달 장치를 사용하여 투여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composition is administered using an implantable drug delivery devic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전립선암이고, 상기 펩티드 화합물이 류프롤리드인 방법.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said disease is prostate cancer and said peptide compound is leuprolid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이식형 약물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여 투여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mposition is administered using an implantable drug delivery system.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전립선암이고, 상기 펩티드 화합물이 LHRH 길항제인 방법.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said disease is prostate cancer and said peptide compound is an LHRH antagonist. a) 류프롤리드, LHRH 및 고세렐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LHRH-관련 펩티드 화합물 20 내지 40%(w/w); 및a) 20-40% (w / w) LHRH-related peptid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uprolide, LHRH and goserelin; And b) 물b) water 을 함유하고, 통상의 세균발육저지제, 살균제 또는 살포자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균발육저지, 살균 또는 살포자 활성을 나타내는 펩티드 화합물의 안정한 수성 제제.A stable aqueous preparation of a peptide compound containing a compound which exhibits bacterial growth inhibitory, bactericidal or dust spreader activity without using conventional bacterial growth inhibitors, fungicides or dust spray agents. 류프롤리드, LHRH 및 고세렐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LHRH-관련 펩티드 화합물 20 내지 40%(w/w)을 물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되, 단, 통상의 세균발육저지제, 살균제 또는 살포자제는 첨가하지 않는 제 25 항에 따른 안정한 수성 제제의 제조 방법.Dissolving 20-40% (w / w) LHRH-related peptid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uprolide, LHRH and goserelin in water, provided that conventional bacteriostatic agents, fungicides or spray agent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stable aqueous formulation according to claim 25 which is not added. 류프롤리드, LHRH 및 고세렐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LHRH-관련 펩티드 화합물의 투여에 의해 경감될 수 있는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제 25 항에 따른 제제를 사용하는 방법.Use of an agent according to claim 25 for the prepara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 patient suffering from a disease that can be alleviated by administration of an LHRH-related peptid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uprolide, LHRH and goserelin. Way.
KR10-1998-0710885A 1996-07-03 1997-07-01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KR1005170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885A KR100517091B1 (en) 1996-07-03 1997-07-01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021,199 1996-07-03
KR10-1998-0710885A KR100517091B1 (en) 1996-07-03 1997-07-01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449A KR20000022449A (en) 2000-04-25
KR100517091B1 true KR100517091B1 (en) 2005-11-25

Family

ID=4367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885A KR100517091B1 (en) 1996-07-03 1997-07-01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09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08403A (en) * 1977-11-04 1979-06-06 Christie R B Parsons J A Peptide Compositions
WO1996007398A2 (en) * 1994-09-02 1996-03-14 Societe De Conseils De Recherches Et D'applications Scientifiques, S.A. Sustained release of peptides from pharmaceutical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08403A (en) * 1977-11-04 1979-06-06 Christie R B Parsons J A Peptide Compositions
WO1996007398A2 (en) * 1994-09-02 1996-03-14 Societe De Conseils De Recherches Et D'applications Scientifiques, S.A. Sustained release of peptides from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449A (en)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6582A (en)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EP0921808B1 (en) Non-aqueous polar aprotic peptide formulations
EP0909175B1 (en) Non-aqueous protic peptide formulations
US6066619A (en) Non-aqueous protic peptide formulations
KR100517091B1 (en)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KR100594519B1 (en) Non-Aqueous Protic Peptide Formulations
AU775395B2 (en) Non-aqueous polar aprotic peptide formulations
AU2004242540B2 (en) Aqueous formulations of peptides
KR100593221B1 (en) Non-aqueous polar aprotic peptide for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