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895B1 - Apparatus For Changing Background-picture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hanging Background-picture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895B1
KR100513895B1 KR10-2003-0042701A KR20030042701A KR100513895B1 KR 100513895 B1 KR100513895 B1 KR 100513895B1 KR 20030042701 A KR20030042701 A KR 20030042701A KR 100513895 B1 KR100513895 B1 KR 100513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sktop
display
mobile communication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01134A (en
Inventor
김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42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895B1/en
Publication of KR2005000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1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89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사진을 폴더 개폐시마다 자동으로 변경해 줄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hanging the background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pictur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every time a folder is opened or closed.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폴더 개폐시마다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사진을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해 줌으로써, 폴더 개폐와 같은 간단한 동작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해 줄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동적인 느낌을 줄 수 있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hanges the desktop display pictu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whenever the folder is opened and clo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display the desired picture as the desktop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with a simple operation such as opening or closing a fold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sktop display change service that can give a dynamic feeling.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사진 변경을 위해 복잡한 버튼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 절약 및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perform a complicated button operation for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pi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saving time and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장치{Apparatus For Changing Background-picture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Apparatus For Changing Background-picture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사진을 폴더 개폐시마다 자동으로 변경해 줄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top displa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changing a desktop displa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utomatically change a picture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every time a folder is opened or closed.

최근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휴대폰, 인터넷폰, IMT-2000 단말기, PDA폰 등과 같이 통신 기능과 화상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가 장착되면서 사진 촬영이 가능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kind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communication functions and image display functions such as mobile phones, Internet phones, IMT-2000 terminals, PDA phones, etc. are widely used. This is evolving into a possible form.

그리고,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사진을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해 주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한 후에 해당되는 사진을 촬영된 순서대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된 사진 중에서 특정 사진을 선택하여 카메라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해 줌으로써 제공되는 기능이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provides a desktop display function that displays a picture taken using the camera as a wallpaper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which is taken after the picture is taken using the camera. It is a function provided by setting them to be stored in the memory in order and selecting a specific picture from the stored pictures to be displayed as the desktop on the camera display window.

그런데, 전술한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기능에 있어, 단말기 메모리에 다수의 사진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닫힘(Close) 상태에서 첫번째 사진이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이후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오픈(Open)하였다가 다시 닫더라도 첫번째 사진이 그대로 디스플레이 되는 단조롭고 정적인 기능만을 제공한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desktop display function, it is assumed that when a plurality of pictures are stored in the terminal memory, the first picture is set to be displayed as the wallpaper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in a folder clos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after, even if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ned and closed again, only the monotonous and static function of displaying the first picture as it is provided is provided.

따라서, 종래에는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사진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 메뉴를 이용하여 여러 단계를 거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사진이 저장된 폴더로 이동한 후에 이를 차례로 확인하고, 이러한 확인 절차를 통해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고자 하는 사진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새로 촬영한 사진을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절차를 통해 해당되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기능을 반복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when a user wants to change a pictur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as the desktop, the terminal user directly moves to a folder in which the picture to be displayed as the desktop is stored in several steps using the terminal menu, and then checks them in turn.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selecting a picture to be displayed on the desktop through the confirmation procedure. Also, if you want to display a newly taken picture as the desktop, you need to repeatedly set the corresponding desktop display function through the above procedure. There was discomfort.

또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주 연령층이 유행에 민감하고 속도변화에 매우 빠르게 대처하는 10대와 20대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정적인 느낌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기능만으로는 이들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해 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given the fact that the main age groups who u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quipped with cameras are teenagers and 20s who are sensitive to the trends and respond to changes in speed very quickly, the static desktop display function satisfies their needs.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폴더 개폐시마다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사진을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해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automatically change a desktop display picture according to information selected by a terminal user whenever a folder is opened or clo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폴더 개폐에 따른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동작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해 줌과 동시에 동적인 느낌을 줄 수 있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function for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old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can display a desired picture as a wallpaper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with a simple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give a dynamic feeling It is to provide a desktop display change ser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폴더 개폐와 같은 간단한 동작만으로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당되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사진 변경을 위해 복잡한 버튼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도록 함과 동시에 이를 위한 시간 절약 및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with a simple operation such as opening and closing the fold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not to perform a complicated button operation for changing the corresponding desktop display picture and at the same time To save time and reduce battery consum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영상 정보와 단말기 동작 수행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 설정 및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영상 정보의 선택을 위한 키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키 입력부와;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영상 정보를 제공받아 버퍼링하고 이를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해 주는 영상 출력부와; 통화 및 일반 기능과 함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 설정 및 디스플레이 변경용 영상 선택과 같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영상들을 폴더 개폐시마다 하나씩 판독하여 영상 출력부에 제공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is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a wallpaper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and various programs for performing the terminal operation; A key input unit providing a key input function for setting a desktop display change mode and selecting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a desktop on a terminal display window; An image output unit for receiving and buffering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a desktop and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as a desktop;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such as setting the desktop display change mode and selecting images for display change, along with call and general functions, and outputs images by reading the wallpaper display chang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unit one by one when opening and closing folde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changing a desktop displa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terminal control unit provided to a unit.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된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이나 유/무선을 통한 다운로드 또는 수신 기능을 이용해 상기 단말기 외부로부터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영상 정보의 입력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described display change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above-mentioned mobile terminal is configured to input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esktop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y using a photograph taken with a camera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download or reception function through wire / wireless.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input unit that provides a processing function.

그리고, 상기 영상 출력부는, 새도우 메모리 또는 OSD(On Screen Display) 메모리를 이용하여 단말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바탕화면용 영상 정보를 버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output unit may be configured to buffer image information for the background screen provid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using a shadow memory or an on screen display (OSD) memory.

또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영상 정보는, 해당되는 영상 정보를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영상으로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바탕화면 플래그 및 그 영상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may be stored together with a background flag indicating whether to use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as the image for changing the background display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image.

나아가, 상기 단말 제어부는, 단말기 폴더가 개폐되는지를 확인하여, 해당되는 폴더 개폐시마다 상기 메모리부를 액세스하여 바탕화면 플래그가 활성 상태인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영상들을 하나씩 차례로 판독하여 영상 출력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terminal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terminal folder is opened or closed, accesses the memory unit every time the corresponding folder is opened and closed, and sequentially reads the desktop display images having the desktop flag active one by one and provides them to the image output unit. It is don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적인 바탕화면 사진 디스플레이 기능 즉,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을 폴더 개폐시마다 동적으로 변경해 주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입력부(11)와, 메모리부(12)와, 키 입력부(13) 및 영상 출력부(14)가 단말 제어부(15)를 중심으로 연동하는 구성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ynamic desktop picture display func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a desktop display change function that dynamically changes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desktop every time the folder is opened and closed,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is As shown in FIG. 1, the image input unit 11, the memory unit 12, the key input unit 13, and the image output unit 14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erminal control unit 15 is interlocked.

영상 입력부(11)는 카메라와 영상 처리부로 이루어져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사진 정보의 입력 처리 기능 즉, 각종 사진 촬영 및 촬영된 사진의 입력 처리 기능과 유/무선을 통해 단말기 외부로부터 각종 사진 정보를 다운로드 받거나 수신받아 입력 처리해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image input unit 11 includes a camera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and inputs a picture processing function for displaying pictur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a desktop, that is, taking various pictures and input processing functions of the taken pictures and downloading various pictur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Provides the function to receive or receive the input.

메모리부(12)는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으로 구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수행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영상 입력부(11)를 통해 촬영된 사진이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또는 수신받은 사진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각 사진 정보는 첨부한 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되는 사진 정보를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영상으로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바탕화면 플래그 및 그 영상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The memory unit 12 is composed of a RAM, a flash memory, and the like, and downloads or receives pictures or images taken through various programs and the image input unit 11 for performing oper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ave picture informa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each photo information is stored together with a background flag indicating whether to use the corresponding photo information as the image for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image.

키 입력부(13)는 다수의 숫자 및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 설정 및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사진 정보의 선택을 위한 키 입력 기능을 제공한다.The key input unit 13 includes a plurality of numbers and function keys, and provides a key input function for setting a background display change mode and selecting pictur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a background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영상 출력부(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창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종 문자 및 메뉴 정보와 영상 정보 등을 출력해 주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단말 제어부(15)로부터 제공되는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사진 정보를 버퍼링하고 이를 단말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해 준다. 이때 영상 출력부(14)는 새도우 메모리(shadow memory) 또는 OSD(On Screen Display) 메모리를 이용하여 단말 제어부(15)로부터 제공되는 바탕화면용 사진 정보를 버퍼링한다. The image output unit 14 may be configured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display window, and outputs various texts, menu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is provided as a desktop provid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5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buffers the pictur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nd displays it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In this case, the image output unit 14 buffers the background pict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5 using a shadow memory or an OSD (On Screen Display) memory.

단말 제어부(15)는 통화 및 일반 기능(전화번호 관리, 스케쥴, 음성 다이얼링, 벨 모드 선택 등)과 함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 설정 및 디스플레이 할 사진 선택 등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되,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고자 선택된 사진들을 폴더 개폐시마다 하나씩 차례로 판독하여 영상 출력부(14)에 제공함으로써 폴더 개폐시마다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사진을 변경해 주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기능을 제공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15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such as setting the display mode of the desktop display and selecting a picture to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all and general functions (telephone number management, scheduling, voice dialing, ring mode selection, etc.). It provides a background display change function that changes the photo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by reading the selected photos to be displayed one by one every time the folder is opened and closed and providing them to the image output unit 14.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다수의 바탕화면용 사진 정보가 메모리부(12)에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때 바탕화면용 사진에는 영상 입력부(11)를 통해 촬영된 사진과 단말기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또는 수신받은 사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렇게 바탕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될 사진 정보들은 영상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된 후에 단말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첨부한 도면 도 2와 같이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 선택의 편의를 위해 해당되는 사진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메모리부(12)에 저장된다.First, in order to be provided with the desktop display change service, a plurality of desktop picture information should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2. At this time, the desktop picture is taken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and the picture taken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1. The downloaded or received picture may be included. The picture information to be used for the display of the desktop is inputted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1 and then the control is controlled by the terminal controller 15. For convenience of selecting a photo to be changed, it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2 togeth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photo.

또한,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바탕화면용 사진 정보가 메모리부(12)에 저장된 후에는 해당되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를 설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 설정은 단말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때 실제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사진 정보 즉,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 정보들을 선택하게 된다(스텝 S31). In addition, after the picture information for the desktop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2 in connection with providing the desktop display change service, the corresponding desktop display change mode should be set. ), And select photo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the actual desktop, that is, photo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step S31).

즉, 단말기 사용자는 키 입력부(13)로 단말기 메뉴를 검색하여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때 단말 제어부(15)는 단말기 사용자의 키 입력부(13)에 구비된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또는 입력)되는 숫자 또는 기능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를 영상 출력부(14)를 통해 단말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해 주게 되며,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를 보면서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That is, the terminal user searches the terminal menu with the key input unit 13 to set the desktop display change mode,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15 selects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3 of the terminal user. Alternatively, a menu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r function button to be inputted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4, and the terminal user watches the menu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and changes the desktop display mode with a simple button operation. Will be set.

그리고,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가 설정된 후에는 실제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사진 정보 즉,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 정보를 선택받게 되는데, 이를 위해 단말 제어부(15)는 단말기 표시창에 현재 저장되어 있는 바탕화면용 사진 또는 그 사진에 대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해 주게 되며,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된 사진 또는 그 식별 정보들을 체크하여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을 선택하게 되고, 이때 단말 제어부(15)는 메모리부(12)를 액세스하여 첨부한 도면 도 2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에 대한 바탕화면 플래그를 활성 상태 예컨데, '1'로 셋팅하게 된다.After the desktop display change mode is set, the photo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the actual desktop, that is, the photo display change photo information is selected. For this purpose, the terminal controller 15 displays the desktop currently stored i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The user's picture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cture is displayed, and the terminal user checks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lects a picture for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15 stores the memory. As shown in FIG. 2, the background flag for the picture selected by the terminal user is set to an active state, for example, '1'.

이와 같이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가 설정되고, 해당되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 정보의 선택이 완료된 후에는 단말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해당되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단말 제어부(15)는 폴더 개폐시마다 메모리부(12)를 액세스하여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 정보를 차례로 판독하여 즉, 바탕화면 플래그가 활성 상태('1')인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사진 정보를 차례로 판독하여 영상 출력부(14)에 제공함으로써 폴더 개폐시마다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사진을 변경해 주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desktop display change mode is set and selection of the corresponding desktop display change photo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corresponding desktop display change service is provided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15. 15 accesses the memory unit 12 every time the folder is opened and closed, and sequentially reads the photo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that is, sequentially reads the desktop display photo information with the desktop flag active ('1'). By providing the output unit 14 provides a desktop display change service for changing a picture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as a desktop screen every time a folder is opened or closed.

이를 위해, 단말 제어부(15)는 먼저 메모리부(12)에 저장되어 있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 정보 중에서 첫번째 사진 정보를 판독하여 영상 출력부(14)에 제공하게 되며, 이에 영상 출력부(14)는 단말 제어부(15)로부터 제공되는 첫번째 사진 정보를 자체 새도우 메모리나 OSD 메모리에 버퍼링한 후에 이를 단말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해 주게 된다(스텝 S32).To this end, the terminal controller 15 first reads the first picture information from the picture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stored in the memory unit 12 and provides the picture information to the image output unit 14. ) Buffers the first pict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5 in its own shadow memory or the OSD memory and displays it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step S32).

이후, 단말 제어부(15)는 단말기의 폴더가 개폐되는지를 확인하여(스텝 S33), 해당되는 단말기의 폴더가 개폐되는 경우 메모리부(12)를 검색하여 다음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 정보를 판독한 후에 이를 영상 출력부(14)로 제공하게 된다.Thereafter, the terminal controller 15 checks whether the folder of the terminal is opened or closed (step S33). When the folder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s opened and closed, the terminal controller 15 searches the memory unit 12 to read the next desktop display change photo information. This is then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unit 14.

그리고, 영상 출력부(14)는 단말 제어부(15)로부터 제공되는 다음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 정보를 새도우 메모리나 OSD 메모리에 버퍼링한 후에 이를 단말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해 줌으로써, 단말 제어부(15)와 영상 출력부(14)가 상호 연동하면서 폴더 개폐시마다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사진을 변경해 주게 된다(스텝 S34).In addition, the image output unit 14 buffers the next desktop display change pict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erminal control unit 15 in the shadow memory or the OSD memory and then displays it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thereby displaying the image with the terminal control unit 15. The output unit 14 changes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as the background screen each time the folder is opened and closed with each other (step S34).

또한, 단말 제어부(15)는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사진을 변경해 준 후에는 다시 단말기의 폴더가 개폐되는지를 확인하는 스텝 S33의 동작을 수행하되, 이때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 설정이 해제되는지를 확인하여(스텝 S35), 해당되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3으로 귀환하여 단말기의 폴더가 개폐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폴더 개폐시마다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사진을 변경해 주게 되며, 해당되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해당되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In addition, after changing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as the background screen, the terminal control unit 15 performs the operation of step S33 to check whether the folder of the terminal is opened and closed again, but at this time, the background display change mode by the terminal user. Check if the setting is released (step S35), and if the corresponding desktop display change mode is not released, return to step S33 to repeatedly check whether the folder of the terminal is opened or closed. The photo displayed on the desktop is changed. When the corresponding desktop display change mode is released, the corresponding desktop display change operation is terminated.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12)에 5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진 정보(예컨대, 사각, 삼각, 원, 별, 역삼각)가 저장되어 있고, 이 중에서 3개의 사진 정보(예컨대, 사각, 원, 별)를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으로 선택하였다고 가정한 경우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말 제어부(15)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우선 메모리부(12)에 저장되어 있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 정보 중에서 첫번째 사진 정보인 사각형 사진 정보(□)를 판독하여 영상 출력부(14)에 제공함으로써 해당되는 사각형 사진을 단말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해 주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five desktop display photo information (for example, square, triangle, circle, star, and inverted triangle)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ferring to FIG. 4 to which the desktop display chang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ree photo information (for example, square, circle, and star) is selected as the picture for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When the desktop display change mode is set, first, the rectangular picture information (□), which is the first picture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desktop display change pic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2 and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unit 14. The rectangular picture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이후, 단말기 사용자가 폴더를 오픈하였다가 닫게 되면, 단말 제어부(15)는 메모리부(12)에 저장되어 있는 다음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 정보인 원형 사진 정보(O)를 판독하여 영상 출력부(14)에 제공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폴더를 한번 개폐한 후에는 원형 사진을 단말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해 주게 되며, 또한 단말기 사용자가 다시 폴더를 오픈하였다가 닫게 되면, 단말 제어부(15)는 메모리부(12)에 저장되어 있는 다음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 정보인 별 모양 사진 정보(☆)를 판독하여 영상 출력부(14)에 제공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폴더를 두번째 개폐한 후에는 별 모양 사진을 단말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해 주게 된다.Then, when the terminal user opens and closes the folder, the terminal control unit 15 reads the circular photo information O, which is the next desktop display change photo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2, to display the image output unit ( 14), the terminal user displays the circular picture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after the terminal user opens and closes the folder once, and when the terminal user opens and closes the folder again, the terminal controller 15 stores the memory unit 12. Reads the star shape photo information (☆), which is the photo information for the next desktop display change, stored in the) and provides the image output unit 14 to the image output unit 14.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이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사용자가 폴더를 또다시 오픈하였다가 닫게 되면, 단말 제어부(15)는 메모리부(12)에 저장되어 있는 다음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사진 정보인 사각형 사진 정보(□)를 판독하여 영상 출력부(14)에 제공함으로써 사각형 사진을 단말기 표시창에 다시 디스플레이 해 주게 되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Similarly, when the terminal user opens and closes the folder again, the terminal control unit 15 reads the square photo information (□), which is the photo information for the next desktop display change, stored in the memory unit 12, and displays the image. By providing the output unit 14 to display the rectangular picture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again, by repeating this operation to provide a background display change ser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바탕화면으로 사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해 주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사진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애니메이션 등 단말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의 모든 영상 정보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폴더 개폐시마다 바탕화면 디스플레이를 변경시키지 않고 특정 시간대나 몇 번의 폴더 개폐시마다 또는 원터치 방식과 같은 간단한 키 조작만으로 바탕화면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icture information is displayed as the desktop.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icture but may be applied to all image information in the form of displayable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such as an image and animation. In addition, instead of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every time the folder is opened or closed, the desktop display may be changed by a simple key operation such as a specific time zone, a few folder openings, or a one-touch metho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폴더 개폐시마다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사진을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해 줌으로써, 폴더 개폐와 같은 간단한 동작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해 줄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동적인 느낌을 줄 수 있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hanges the desktop display pictu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every time the folder is opened and clo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an be displayed,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sktop display change service that can give a dynamic feeling.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사진 변경을 위해 복잡한 버튼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 절약 및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perform a complicated button operation for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pi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saving time and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장치를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hanging a desktop displa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desktop displa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서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진 정보를 예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picture information for a background display stored in a memory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동작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background display change ope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영상 입력부 12 : 메모리부11: Image input unit 12: Memory unit

13 : 키 입력부 14 : 영상 출력부13 key input unit 14 image output unit

15 : 단말 제어부 15: terminal control unit

Claims (5)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영상 정보와 단말기 동작 수행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storing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a wallpaper on a terminal display window and various programs for performing a terminal operation;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 설정 및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영상 정보의 선택을 위한 키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키 입력부와;A key input unit providing a key input function for setting a desktop display change mode and selecting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a desktop on a terminal display window;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영상 정보를 제공받아 버퍼링하고 이를 단말기 표시창에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해 주는 영상 출력부와;An image output unit for receiving and buffering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a desktop and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as a desktop; 통화 및 일반 기능과 함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모드 설정 및 디스플레이 변경용 영상 선택과 같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영상들을 폴더 개폐시마다 하나씩 판독하여 영상 출력부에 제공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장치.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such as setting the desktop display change mode and selecting images for display change, along with call and general functions, and outputs images by reading the wallpaper display chang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unit one by one when opening and closing folders. Device for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terminal control unit provided to the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된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이나 유/무선을 통한 다운로드 또는 수신 기능을 이용해 상기 단말기 외부로부터 바탕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영상 정보의 입력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장치.And a video input unit providing an input processing function of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esktop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y using a photographing or downloading or receiving function using a camera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for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 출력부는, 새도우 메모리 또는 OSD(On Screen Display) 메모리를 이용하여 단말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바탕화면용 영상 정보를 버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장치.And the image output unit buffers background im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a terminal controller using a shadow memory or an on screen display (OSD) memor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영상 정보는, 해당되는 영상 정보를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용 영상으로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바탕화면 플래그 및 그 영상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장치.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stored together with a background flag indicating whether to use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as the image for changing the background display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Desktop display chang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 제어부는, 단말기 폴더가 개폐되는지를 확인하여, 해당되는 폴더 개폐시마다 상기 메모리부를 액세스하여 바탕화면 플래그가 활성 상태인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영상들을 하나씩 차례로 판독하여 영상 출력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장치.The terminal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terminal folder is opened or closed, accesses the memory unit every time the folder is opened and closed, and sequentially reads the desktop display images having the desktop flag active one by one and provides them to the image output unit. Device for changing the desktop displa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3-0042701A 2003-06-27 2003-06-27 Apparatus For Changing Background-picture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138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701A KR100513895B1 (en) 2003-06-27 2003-06-27 Apparatus For Changing Background-picture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701A KR100513895B1 (en) 2003-06-27 2003-06-27 Apparatus For Changing Background-picture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134A KR20050001134A (en) 2005-01-06
KR100513895B1 true KR100513895B1 (en) 2005-09-07

Family

ID=3721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701A KR100513895B1 (en) 2003-06-27 2003-06-27 Apparatus For Changing Background-picture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8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360B1 (en) * 2003-08-28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video image continuousl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44271B1 (en) * 2005-02-15 2008-07-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of Standby Screen
KR101140212B1 (en) 2006-07-11 2012-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displaying a phrase on a wall pap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ini planar fun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20080042354A (en) 2006-11-09 200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switching images for idle screen, method of rotating images for idle scree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4462B1 (en) * 2007-01-05 2008-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 method for displaying an idle screen on a mobile terminal depending on its sit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134A (en)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1808A1 (en) A method of displaying speed dials on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366547B2 (en) Communications apparatus that displays data in a standby screen
US2006021145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JP4581788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function selection activation method used therefor
US20030063090A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ndling animations
US20090303257A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0513895B1 (en) Apparatus For Changing Background-picture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132902B2 (en) Mobile termina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mobile terminal device
JP2007141064A (en) Portable terminal and menu display switching method
US2005006911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country codes
KR10122464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uman data management function and method of human data displaying the same
JP2004007488A (en) Fold-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12988296A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040098133A (en) Method of setting background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640540B1 (en) Method of setting background pi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26368B1 (en) Method for setting the panorama using a image that store in mobile phone
JP2003188946A (en) Cellular phone terminal and its function setting method
KR20020056976A (en) Method for displaying magnification window on screen of display in portable terminal
JP2001245030A (en) Screen picture setting method for portable telephone set, and portable telephone set using the screen picture setting method
KR100602711B1 (en) Display device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font zoom in/out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192225A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0381138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JP2005063356A (en) Information processor
KR100560908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mobile phone
JP2012128686A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