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743B1 -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 Google Patents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743B1
KR100507743B1 KR10-2003-0053525A KR20030053525A KR100507743B1 KR 100507743 B1 KR100507743 B1 KR 100507743B1 KR 20030053525 A KR20030053525 A KR 20030053525A KR 100507743 B1 KR100507743 B1 KR 100507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illar
purlin
longitudinal direction
ra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5057A (ko
Inventor
이승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미륭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미륭산업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53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74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5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질의 필름을 피복부재로 사용하는 온실의 골조구조로서, 마주하는 두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이 두 측면과 인접하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장방형의 요부가 형성된 기둥, 상기 기둥의 요부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끼워지는 도리, 상기 기둥의 측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양 편에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이 고정판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상기 도리를 지지하는 평판으로 이루어진 접합철물, 홈과 개구부가 정면과 배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리에 기둥과 나란하게 결합되는 중간기둥, 및 상기 도리와 중간기둥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측면골조; 상기 측면골조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중간골조; 양 측면의 끝이 상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절곡된 배수로와 이 배수로의 측면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복수개의 중공 각봉으로 이루어진 물받이, 상기 기둥과 도리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물받이를 지지하는 받침부재, 상기 각봉에 결합되는 서까래, 및 일정한 각도로 하향 경사진 2개의 고정쇠가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어 서로 다른 각봉에 결합된 상기 서까래의 끝에 각각 끼워지는 서까래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지붕골조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온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FRAME STRUCTURE OF VENLO-TYPE GREENHOUSE}
본 발명은 경질의 필름을 이용한 온실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실의 골조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된 벤로(Venlo)형 온실의 골조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비닐하우스를 통해 철이 지난 농산물을 재배하여왔다. 그러나, 비닐하우스의 피복부재는 외력에 약해 강풍과 강우에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리나 경질필름을 피복부재로 사용하는 온실이 보급되었다.
온실은 유리나 경질필름을 피복부재로 사용함으로 강풍과 강우에 강한 장점이 있다. 반면, 위와 같은 피복부재를 지탱하기 위해 보다 튼튼한 골조구조를 설치해야 하고, 이에 따른 비용과 설치시간이 많이 투여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온실의 한 형태로 벤로형 온실이 있다. 벤로형 온실은 3.2m 정도의 온실너비에 약 70cm 정도의 지붕 높이를 갖는 지붕이 낮은 소형 온실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벤로형 온실은 규모가 작아서, 비교적 설치비용이 적게 소용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각 골조의 연결이 용접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설치가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온실에 사용되는 골조는 부식을 염려하여 아연도금된 재료를 사용하는데, 용접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다 보니 도금이 벗겨져 용접된 부위에서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골조부재간의 결합이 용접이 아닌 볼트체결로 이루어지는 조립이 용이한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질의 필름을 피복부재로 사용하는 온실의 골조구조로서, 마주하는 두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이 두 측면과 인접하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장방형의 요부가 형성된 기둥, 상기 기둥의 요부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끼워지는 도리, 상기 기둥의 측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양 편에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이 고정판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상기 도리를 지지하는 평판으로 이루어진 접합철물, 홈과 개구부가 정면과 배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리에 기둥과 나란하게 결합되는 중간기둥, 및 상기 도리와 중간기둥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측면골조; 상기 측면골조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중간골조; 양 측면의 끝이 상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절곡된 배수로와 이 배수로의 측면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복수개의 중공 각봉으로 이루어진 물받이, 상기 기둥과 도리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물받이를 지지하는 받침부재, 상기 각봉에 결합되는 서까래, 및 일정한 각도로 하향 경사진 2개의 고정쇠가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어 서로 다른 각봉에 결합된 상기 서까래의 끝에 각각 끼워지는 서까래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지붕골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의 골조부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는 기둥이고 (b)는 도리이며 (c)는 중간기둥이고 (d)는 서까래이며 (e)는 트러스를 도시한 것이다.
기둥(10)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측이 빈 사각기둥형태이다. 기둥(10)의 앞면과 뒷면에는 홈(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에는 장방형의 요부(12)가 역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리(20)는 상기 기둥(10)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내측이 빈 사각기둥형태이다. 도리(20)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두 줄의 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도리(20)는 수직하게 세워진 두 기둥(10)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중간기둥(30)은 일 측면이 개방된 사각기둥형태이다. 중간기둥(30)의 앞면에는 홈(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31)의 맞은편, 즉 뒷면에는 소폭으로 열린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홈(31)의 크기는 기둥(10)의 앞/뒷면에 형성된 홈(11)의 크기와 동일하다. 개구부(32)는 홈(31)과 마찬가지로 중간기둥(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기둥(30)의 양 끝은 사선으로 잘려져 있다. 이렇게 양 끝이 사선으로 잘려진 중간기둥(30)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태를 이룬다. 중간기둥(30)은 상기 도리(20)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결합된다.
서까래(40)는 위 다른 부재와 마찬가지로 사각기둥형태이며, 양 측면에는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서까래(40)는 온실지붕에 얹어지는 피복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트러스(25)는 일 측면이 편평하고 반대 면에는 홈(26)이 형성된 지지부재로 측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27)이 형성되어 있다. 트러스(25)는 후술할 브래킷(90)을 매개로 기둥(10)에 결합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의 (a)는 접합철물이고 (b)는 물받이며 (c)는 받침부재이고 (d)는 서까래연결부재이며 (e)는 브래킷을 도시한 것이다.
접합철물(50)은 고정판(51)과 평판(55)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판(51)은 너비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일 측에 복수개의 체결공(5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판(55)위에는 상기 고정판(51) 2개가 서로 대칭되게 결합된다. 고정판(51)은 각각의 몸체에 형성된 체결공(52)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일정거리를 유지한 형태로 평판(55)에 접합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접합철물(50)은 기둥(10)에 도리(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받이(60)는 배수로(61)와 이 배수로(61)에 결합되는 각봉(65)으로 이루어져 있다. 배수로(61)는 위로 열린 형태로 배수로(61)의 양 측면은 상방으로 평행하다가 위로 가면서 크게 벌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배수로(61)의 바닥면은 소량의 물도 한곳으로 모을 수 있도록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져 있다. 배수로(61)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각봉(65)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결합되어 있다. 이 각봉(65)은 상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다른 부재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비워져 있다. 이 빈 공간에는 서까래(40)가 끼워진다.
받침부재(70)는 물받이(60)를 지지하는 받침대(71)와 기둥(10)의 윗면에 끼워지는 끼움부(72)로 이루어져 있다. 받침대(71)의 양 끝은 물받이(60)의 바닥면 경사와 동일한 각도로 구부러져 있어 물받이(6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끼움부(72)는 상기 기둥(10)의 단면과 일치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부재(70)가 기둥(10)의 윗면에 끼워지면 쉽게 이탈되거나 흔들리지 않는다. 한편, 상기 받침대(71)의 밑면은 받침부재(70)가 기둥(10) 윗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기둥(10)의 단면보다 넓다.
서까래연결부재(80)는 일정각도로 경사진 2개의 고정쇠(81)가 대칭으로 결합된 것이다. 양 고정쇠(81)에는 서까래(40)가 외측으로 끼워진다.
브래킷(90)은 결합판(91)과 지지판(93)으로 이루어져 있다. 결합판(91)은 장방형의 금속판이다. 결합판(91)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체결공(92)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결합판(91)에는 2개의 지지판(93)이 수직으로 결합된다. 결합된 지지판(93)은 결합판(9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결합판(91)과 용접된 지지판(93)의 끝부분은 돌출된 부분보다 넓게 형성되어 지지판(93)이 지탱하는 하중에 의해 발생된 모멘트를 충분히 견디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지지판(93)에는 복수개의 체결공(9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둥, 도리 및 중간기둥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기둥(10)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장방형의 요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부(12)에 도리(20)의 측부가 끼워진다. 한편, 도리(20)의 너비는 상기 요부(12)의 너비와 동일하여 요부(12)에 끼워진 도리(20)는 요부(12)를 따라 기둥(10)의 상하방향으로만 자유롭게 이동된다. 접합철물(50)은 이와 같이 상하로 이동되는 도리(20)를 밑에서 받쳐준다. 접합철물(50)은 볼트를 매개로 기둥(10)에 고정된다. 볼트는 접합철물(50)의 체결공(52)을 관통하여 기둥(10)에 체결된다. 도리(20)는 측면에 형성된 홈(21)이 전후방을 향하도록 기둥(10)에 끼워지는 것이 좋다.
접합철물(5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평판(55)과 이 평판(55) 위에 결합된 2개의 고정판(51)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판(55)은 도리(20)를 밑에서 받치는 역할을 하고, 고정판(51)은 도리(20)가 측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2개의 고정판(51)간의 거리는 도리(20)의 너비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리(20)는 상기 접합철물(50)에 의해 기둥(10)과 기둥(10)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도리(20)는 접합철물(50)을 매개로 기둥(10)에 설치되므로 도리(20)의 길이가 기둥(10)과 기둥(10)의 요부(12)간 거리와 일치될 필요는 없다. 이는 도리(20)의 길이가 조금 짧아도 접합철물(50)의 고정판(51)과 평판(55)에 의해 충분히 지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리(20)에는 중간기둥(30)이 결합된다. 중간기둥(30)의 앞면에는 기둥(10)의 홈(11)과 동일한 형태의 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맞은 편에는 소정너비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기둥(30)의 양 끝은 뒤쪽으로 경사지게 절개되어 있어 뒤쪽에 형성된 개구부(32)가 앞쪽으로 노출된다. 중간기둥(30)은 이처럼 노출된 개구부(32)를 통해 체결부재(75)가 끼워짐으로써 도리(20)에 결합된다. 기둥(10)과 중간기둥(30)의 앞면에는 피복부재가 부착되므로, 중간기둥(30)의 앞면과 기둥(10)의 앞면은 동일평면상에 위치된다.
체결부재(75)는 볼트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다만, 체결부재(75)의 머리는 볼트와 달리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재(75)는 도리(20)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된다. 이 도리(20)에는 중간기둥(30)이 올려진다. 이때, 중간기둥(30)의 개구부(32)로 체결부재(75)의 머리가 돌출되게 한다. 그러면, 체결부재(75)의 머리가 개구부(3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게 누워지면 중간기둥(30)이 도리(20)에 고정되고, 체결부재(75)의 머리가 개구부(32)의 길이방향으로 세워져 있으면 중간기둥(30)이 도리(20)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동작은 중간기둥(30)의 양 끝이 경사지게 절개되어 체결부재(75)가 노출되어 있음으로 정면에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75)의 설치간격은 피복부재의 크기를 고려하여 정해진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기둥과 트러스가 브래킷을 매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기둥(10)의 요부(12)에는 브래킷(90)이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있다. 이 브래킷(90)은 볼트를 매개로 기둥(10)의 상부에 고정된다. 브래킷(90)에 형성된 2개의 지지판(93)에는 트러스(25)가 각각 끼워져 있다. 이때, 트러스(25)는 각각의 홈(26)이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지지판(93)에 끼워지며 볼트를 매개로 고정된다. 트러스(25)의 홈(26)는 2개의 트러스(25)를 연결하는 복수의 브레이싱(35)이 사선방향으로 교번하여 결합된다.
도 5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받침부재, 물받이, 서까래연결부재 및 서까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받침부재(70)는 밑면에 돌출된 끼움부(72)에 의해 기둥(10)의 윗면에 단단히 고정된다. 물받이(60)는 이 받침부재(70)의 받침대(71)에 얹어져 지지된다. 물받이(60)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중공 각봉(65)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각봉(65)의 내측에는 서까래(40)가 끼워진다. 각봉(65)에 결합된 서까래(40)는 각봉(65)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다. 이 서까래(40)에는 피복부재가 결합되어 지붕을 형성한다. 서까래(40)의 홈(41)에는 피복부재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가 끼워지므로 홈(41)이 위로 향하게 각봉(65)에 끼워지는 것이 좋다.
물받이(60)의 배수로(61)는 지붕을 타고 내려온 빗물의 이동통로이다. 따라서, 상기 배수로(61)는 한 쪽으로 빗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앞면 혹은 뒷면을 향하여 조금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물받이(60)의 양 끝을 지지하는 받침부재(7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배수로(61)가 기울어지게 하였다.
서로 마주보는 서까래(40)는 가상으로 교차되는 부분에서 용마루를 형성한다. 서까래연결부재(80)는 이와 같이 마주보는 2개의 서까래(40)를 연결한다. 서까래연결부재(80)는 경사진 2개의 고정쇠(81)가 결합된 것으로서 고정쇠(81)의 외측으로 서까래(40)가 끼워진다.
도 6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각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온실의 측면골조와 이 측면골조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골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의 (a)는 측면골조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중간골조를 나타낸 것이다.
측면골조는 온실의 앞면과 뒷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기둥(10)과 이 기둥(10)의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도리(20) 그리고 이 도리(20)에 기둥(10)과 나란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중간기둥(30)으로 이루어진다. 중간골조는 측면골조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온실의 외형을 이루는 2개의 기둥(10)사이에 트러스(25)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온실의 폭이 커질수록 기둥(10)의 숫자가 늘어나고 온실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측면골조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골조의 수가 늘어난다.
한편, 측면골조와 중간골조의 기둥(10)과 트러스(25)에는 받침부재(70)가 설치된다. 이때, 트러스(25)에 결합되는 받침부재(70)는 트러스(25)의 윗면에 잘 안착될 수 있도록 끼움부(72)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받침부재(70)는 서까래(40)와 물받이(60)의 자중에 의해 고정된다. 물받이(60)의 각봉(65)에는 온실의 지붕을 형성하는 서까래(40)가 결합되고, 서까래(40)의 상단에는 서까래연결부재(80)가 끼워져 용마루를 형성한다.
실시예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골조부재가 중간부재를 통해 용이하게 조립되는 방식이므로, 현장작업이 용이하고 많은 작업자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일손이 부족한 농촌에서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강풍과 강우에 강한 온실을 저렴한 비용으로 농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벨로형 온실의 골조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의 골조부재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둥, 도리 및 중간기둥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기둥과 트러스가 도 2에 도시된 브래킷을 매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서까래와 도 2에 도시된 받침부재, 물받이, 서까래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각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온실의 측면골조와 이 측면골조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골조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둥 20 : 도리
25 : 트러스 30 : 중간기둥
40 : 서까래 50 : 접합철물
60 : 물받이 70 : 받침부재
80 : 서까래연결부재 90 : 브래킷

Claims (5)

  1. 경질의 필름을 피복부재로 사용하는 온실의 골조구조로서,
    마주하는 두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이 두 측면과 인접하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장방형의 요부가 형성된 기둥, 상기 기둥의 요부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끼워지는 도리, 상기 기둥의 측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양 편에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이 고정판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상기 도리를 지지하는 평판으로 이루어진 접합철물, 홈과 개구부가 정면과 배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리에 기둥과 나란하게 결합되는 중간기둥, 및 상기 도리와 중간기둥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측면골조;
    상기 측면골조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중간골조;
    양 측면의 끝이 상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절곡된 배수로와 이 배수로의 측면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복수개의 중공 각봉으로 이루어진 물받이, 상기 기둥과 도리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물받이를 지지하는 받침부재, 상기 각봉에 결합되는 서까래, 및 일정한 각도로 하향 경사진 2개의 고정쇠가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어 서로 다른 각봉에 결합된 상기 서까래의 끝에 각각 끼워지는 서까래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지붕골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로(Venlo)형 온실의 골조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도리는 일 측면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중간기둥은 양 끝이 사선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도리에 체결된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중간기둥의 개구부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장방형의 머리를 갖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골조는 길이방향으로 장방형의 요부가 형성된 기둥; 체결공이 형성된 결합판과 이 결합판의 상하에 각각 수평으로 수직하게 결합되고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2개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의 요부에 결합되는 브래킷; 일 측면에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지지판에 이 홈이 마주보는 형태로 끼워져 고정되는 트러스; 및 상기 트러스의 홈에 사선방향으로 교번하여 결합되는 브레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KR10-2003-0053525A 2003-08-01 2003-08-01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KR100507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525A KR100507743B1 (ko) 2003-08-01 2003-08-01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525A KR100507743B1 (ko) 2003-08-01 2003-08-01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057A KR20050015057A (ko) 2005-02-21
KR100507743B1 true KR100507743B1 (ko) 2005-08-10

Family

ID=3722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525A KR100507743B1 (ko) 2003-08-01 2003-08-01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7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060B1 (ko) * 2008-03-25 2010-03-10 성훈경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
CN102396402B (zh) * 2011-11-16 2013-05-15 郑毅 超跨距温室大棚
KR101536482B1 (ko) * 2013-12-26 2015-07-15 주식회사 포스코 독립하중지지 기둥구조
KR101658953B1 (ko) * 2014-05-08 2016-09-22 (주) 에이케이파밍시스템 비닐하우스
CN106171649B (zh) * 2016-07-05 2019-07-19 伯恩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大棚
CN109220393B (zh) * 2018-09-27 2021-05-25 中冶东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可防止天沟处积雪的多跨拱形大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057A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7743B1 (ko)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KR102157128B1 (ko) 조립이 용이한 용마루 구조
CN212295806U (zh) 一种装配式大棚
CN214853122U (zh) 一种新型温室大棚主体
JP5004263B2 (ja) 多連棟型耐候性温室
JP2003306973A (ja) 大型パイプハウス構造用アーチ及び大型パイプハウス構造
KR100235289B1 (ko) 조립식 텐트 하우스
JPH0625534Y2 (ja) 屋根組構造
JP2007327170A (ja) Alc自立塀
JPH0230573Y2 (ko)
US4976076A (en) Building structure
JP7338227B2 (ja) 屋外勾配屋根構造
CN212696872U (zh) 一种新型玻璃房结构
CN215223442U (zh) 一种温室大棚组合结构
JPH0210163Y2 (ko)
JPS644967Y2 (ko)
KR200186455Y1 (ko) 유리 하우스용 골조의 구조
JP2010281053A (ja) 簡易建物
JPS647135Y2 (ko)
JP2007315068A (ja) 鉄骨造の山形屋根構造体
JPS6328274Y2 (ko)
JP3022662B2 (ja) 手摺及び手摺の施工方法
JP3022658B2 (ja) 手 摺
JPS6212751Y2 (ko)
JPH0647055Y2 (ja) ドー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