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492B1 - Assemble structure cavity & air-duct for microwave oven - Google Patents

Assemble structure cavity & air-duct for microwave ov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492B1
KR100504492B1 KR10-2002-0086907A KR20020086907A KR100504492B1 KR 100504492 B1 KR100504492 B1 KR 100504492B1 KR 20020086907 A KR20020086907 A KR 20020086907A KR 100504492 B1 KR100504492 B1 KR 100504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air duct
cavity
guide wall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61125A (en
Inventor
이상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6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492B1/en
Priority to US10/628,285 priority patent/US6909078B2/en
Priority to EP03017400.7A priority patent/EP1434008B1/en
Priority to CA002437488A priority patent/CA2437488C/en
Priority to CNB031577059A priority patent/CN1322269C/en
Publication of KR2004006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1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49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내부에 에어덕트를 장착시 별도의 고정부재없이 단순형합구조로 조립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정시간을 단축하고 부품수를 줄인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duct assembly structure of a microwave oven, which shortens the process time and reduces the number of parts by allowing the assembly of the air duct inside the cavity of the microwave oven in a simple combination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fixing member.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대략 직사각형의 패널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벽과; 상기 가이드벽 중 캐비티 전면으로 향하는 전방 가이드벽 상단에 형성되며 패널면과 평행한 수평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벽의 소정개소에서 하측만 가이드벽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를 축으로 일부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후크를 구비한 에어덕트와,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guide wall formed on the side of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panel; A horizontal support par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guide wall toward the front of the cavity and parallel to the panel surface; An air duct having a hook fixed to the guide wall only at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wall, the hook being formed to be partially rotatable about the fixing part;

내측부 전면 상측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후크형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후크삽입홀을 구비한 캐비티를 포함하고,A cavity having a hook insertion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forming portion of the air duct, and formed horizontally above the inner front surface;

상기 에어덕트의 후크가 상기 캐비티의 후크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후크의 접촉턱이 덕트결합프레임의 상면을 가압하고, 수평지지부가 덕트결합프레임의 하면을 가압하여 덕트결합프레임이 후크와 수평지지부사이에 끼이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와 에어덕트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The hook of the air duct is inserted into the hook insertion hole of the cavity, and the contact jaw of the hook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duct coupling frame, and the horizontal support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duct coupling frame so that the duct coupling frame is connected between the hook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It provides a cavity and air duct assembly structure of the microwave ove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tructure sandwiched in.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와 에어덕트 조립구조{Assemble structure cavity & air-duct for microwave oven}Assemble structure cavity & air-duct for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의 내부 에어덕트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wave ove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nal air duct assembly structure of a microwave oven.

일반적으로 전자 레인지(MWO : microwave oven)는 고주파(초당 약 2,450MHz)를 가열원으로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In general, a microwave oven (MWO) is a device for cooking food by the heat of intermolecular friction generated by disturbing the molecular arrangement of food by using a high frequency (about 2,450 MHz per second) as a heating source.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general microwave oven.

도 1 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레인지는 통상 전면 케이스(11) 및 아웃케이스(12) 그리고, 외관 프레임(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10)와,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20) 그리고,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microwave oven generally includes a main body 10 including a front case 11 and an outer case 12, an exterior frame 13, a cavity 20 forming a cooking chamber,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ic equipment room 30 in which various electric equipment parts are installed.

이 때, 상기 전면 케이스(11)는 본체(10)의 전면을 이루며, 캐비티(20) 내부의 개폐를 위한 캐비티 도어(1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front case 11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is provided with a cavity door 1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vity 20.

또한, 상기 외관 프레임(13)은 본체(10)의 저면 및 후면을 이루면서 상기 아웃케이스(12) 및 상기 전면 케이스(11)와 함께 상기 캐비티(20) 및 전장실(3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In addition, the exterior frame 13 forms the bottom and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and together with the outer case 12 and the front case 11 to protect the cavity 20 and the electric compartment 30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do.

그리고, 상기 전장부품이라 함은 마이크로 웨이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31)과, 상기 마그네트론(31)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트랜스(32), 그리고, 상기 본체(10) 내부의 각종 전장부품을 냉각하는 송풍팬(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lectrical component is a magnetron 31 that generates microwaves, a high voltage transformer 32 that supplies a high voltage to the magnetron 31, and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inside the body 10.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blowing fan 33.

상기 캐비티(20)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Inside the food is cooked in the cavity 20 is made of a shape as shown in FIG.

캐비티(20)의 내부는 통상 직육면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캐비티 내부에서 음식물이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조리된다. The interior of the cavity 20 generally consists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food is cooked by microwaves in the cavity.

상기 캐비티(20) 내부의 천장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덕트(2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에어덕트(22)는 외부공기를 캐비티(20) 내부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통상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다. An air duct 22 is mounted on the ceiling inside the cavity 20 as shown. The air duct 22 serves to circulate external air into the cavity 20 and is usual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상기 에어덕트(22)에는 그릴형태의 송풍구(22a)와 흡기구(22b)가 각각 설치되어 있되 에어덕트 내부의 청소성이 용이하도록 캐비티 천장부와 조립가능한 구조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 에어덕트(22)는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전장부내의 열기를 식힌 공기가 캐비티(20) 내부 측면을 통해 유입된 후 에어덕트(20)의 전면 송풍그릴(22a)을 통과하여 캐비티(20) 내부를 순환한 후 에어덕트(22)의 후면 흡기그릴(22b)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써, 도어(14)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고 캐비티(20) 내부에서 조리된 음식물에 의한 냄새 및 연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The air duct 22 is provided with a grille blower 22a and an inlet 22b, respectively, but is fastened to the cavity ceiling to be easily assembled in the air duct. The air duct 22 sucks air from the outside and cools the heat in the electrical equipment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cavity 2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ront blowing grill 22a of the air duct 20 to allow the air to flow into the cavity 20. After circulating the inside of the air duct 22 is sucked into the rear intake grill (22b)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prevent condensation on the door 14 and to the food cooked in the cavity 20 It is a member that serves to release the smell and smoke caused to the outside.

도 3 은 상기 에어덕트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상기 에어덕트 조립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duct assembly structur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fter the air duct assembly.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덕트(22)를 캐비티(20) 내부에 장착시 별도의 스크류(23)를 이용하여 캐비티(20) 내부의 전면 상측에 형성된 덕트결합프레임(24)에 결합시킨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air duct 22 is coupled to the duct coupling frame 24 formed on the front side inside the cavity 20 by using a separate screw 23 when mounting in the cavity 20.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별도의 고정부재인 스크류(23)를 이용함에 따라 부품수가 증가할 뿐 아니라 작업자가 에어덕트(22)를 정렬시켜 스크류로 직접 조여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However, the use of the screw 23, which is a separate fix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the operator has to align the air duct 22 and tighten directly with a screw, which causes a complicated proces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내부에 에어덕트를 장착시 별도의 고정부재없이 단순형합구조로 조립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정시간을 단축하고 부품수를 줄인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when the air duct is mounted in the cavity of the microwave oven, it is possible to assemble in a simple combination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fixing member to shorten the process time and reduce the number of part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reduced air duct assembly structure of a microwave ove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략 직사각형의 패널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벽과; 상기 가이드벽 중 캐비티 전면으로 향하는 전방 가이드벽 상단에 형성되며 패널면과 평행한 수평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벽의 소정개소에서 하측만 가이드벽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를 축으로 일부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후크를 구비한 에어덕트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wall formed on the side of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panel; A horizontal support par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guide wall toward the front of the cavity and parallel to the panel surface; An air duct having a hook fixed to the guide wall only at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wall, the hook being formed to be partially rotatable about the fixing part;

내측부 전면 상측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후크형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후크삽입홀을 구비한 캐비티를 포함하고,A cavity having a hook insertion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forming portion of the air duct, and formed horizontally above the inner front surface;

상기 에어덕트의 후크가 상기 캐비티의 후크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후크의 접촉턱이 덕트결합프레임의 상면을 가압하고, 수평지지부가 덕트결합프레임의 하면을 가압하여 덕트결합프레임이 후크와 수평지지부사이에 끼이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와 에어덕트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The hook of the air duct is inserted into the hook insertion hole of the cavity, and the contact jaw of the hook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duct coupling frame, and the horizontal support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duct coupling frame so that the duct coupling frame is connected between the hook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It provides a cavity and air duct assembly structure of the microwave ove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tructure sandwiched in.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결합구조 구성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과 일치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 도면부호를 그대로 인용하기로 한다. The air duct coupling structure of 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prior to describ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prior art will be referred to.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 에어덕트 조립구조 중 에어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duct of the microwave air duct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덕트(40)는 대략 캐비티(20) 내부면에 대응되는 직사각형의 패널(41)의 사방측면에 가이드벽(42)(43)(44)(45)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벽 중 전방 가이드벽(42)과 우측 가이드벽(43)에는 다수의 슬릿(5)이 그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방 가이드벽(45)에는 캐비티 후면의 홈에 맞물리는 돌출부(45a)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ir duc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guide walls 42, 43, 44, 45 formed on four sides of a rectangular panel 41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20. It consists of a composition. A plurality of slits 5 are formed in a grill shape on the front guide wall 42 and the right guide wall 43 among the guide walls, and the protrusion 45a engaging the groov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vity in the rear guide wall 45. Is formed.

상기 에어덕트(40)의 전방 가이드벽(42)에는 캐비티(20)의 내부전면 상측에 형성된 덕트결합프레임(25:도 7참조)에 조립되도록 조립구조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조립구조를 도 6에 확대도시하였다. An assembly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front guide wall 42 of the air duct 40 so as to be assembled to the duct coupling frame 25 (see FIG. 7) formed above the inner front surface of the cavity 20. 6 is shown enlarged.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어덕트(40)의 전방 가이드벽(42) 소정개소에는 후크(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6)는 에어덕트(40)의 안정된 결합을 위하여 적어도 2개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6, a hook 6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ront guide wall 42 of the air duct 40. At least two hooks 6 are preferably formed for stable coupling of the air duct 40.

상기 후크(6)의 하측은 전방 가이드벽(42)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상기 고정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소정의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에어덕트(40)가 플라스틱재인 특성상 탄성력을 지닌다. The lower side of the hook (6) is integrally fixed to the front guide wall 42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predetermined rotation around the fixed portion as an axis, the air duc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stic material It is elastic in nature.

상기 전방 가이드벽(42)의 상단부에는 패널면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지지부(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6)는 수평지지부(7)와 연결된 부분이 없어 수평지지부(7)와 별도로 유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The upper end of the front guide wall 42 is formed with a horizontal support 7 extending horizontally in parallel with the panel surface. The hook 6 has no part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upport 7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flowing separately from the horizontal support 7.

특징적인 것은 상기 후크(6)의 헤드부(61) 중 접촉턱(61a) 저면과 수평지지부의 상면은 약간의 유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격의 높이는 후술하는 캐비티(20)의 덕트결합프레임(25)의 두께와 일치하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Characteristic is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ct jaw (61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the head portion 61 of the hook 6 is formed with a slight play, the height of the play is the duct coupling frame of the cavity 20 to be described later (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s equal to or smaller than 25).

이하 상술한 후크구조를 구비한 에어덕트(40)가 캐비티(20) 내부에 결합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air duct 40 having the hook structure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cavity 20 will be described.

도 7a 는 상기 본 발명의 에어덕트(40)가 캐비티 내부에 조립되기 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b는 조립된 후의 단면도이다.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duc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being assembled into the cavity, and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after being assembled.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캐비티(20) 내부의 전면 상측부에는 수평으로 형성된 덕트결합프레임(25)이 인출되어 있고, 상기 덕트결합프레임(25)의 소정개소에는 본 발명의 후크(6)가 관통되는 후크삽입홀(25a)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7a, a horizontally formed duct coupling frame 25 is drawn out from the upper front portion inside the cavity 20, and the hook 6 of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throug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uct coupling frame 25. Hook insertion hole 25a is formed.

상기 에어덕트(40)의 후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캐비티(20)의 후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위치를 정한다음 에어덕트(40)의 전면부를 들어올려 후크(6)가 덕트결합프레임(25)의 후크삽입홀(25a)로 삽입되도록 한다. Insert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rear of the air duct 40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rear of the cavity 20 to determine the position, and then lift the front part of the air duct 40 so that the hook 6 of the duct coupling frame 25 It is to be inserted into the hook insertion hole (25a).

이때 후크(6)의 헤드부(61)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후크의 헤드부(61)는 후크삽입홀(25a)에 삽입시 뒤로 약간 밀리게 된다. 상기 후크(6)는 에어덕트(40)의 전방 가이드벽(42)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약간의 회동이 가능하므로 고정부를 축으로 하여 뒤로 밀린다. At this time, since the head 61 of the hook 6 is inclined, the head 61 of the hook is slightly pushed back when inserted into the hook insertion hole 25a. One side of the hook 6 is fixed to the front guide wall 42 of the air duct 40, and a slight rotation is possible around the fixed portion, so that the fixed part is pushed back toward the axis.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크(6)가 후크삽입홀(25a)을 관통하게 되면, 뒤로 밀렸던 후크(6)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앞쪽으로 전진한다. 에어덕트(40)의 전방가이드벽(42) 상단에 형성된 수평지지부(7)는 후크(6)가 후크삽입홀(25a)을 관통시 덕트결합프레임(25)의 저면을 지지하게 되고, 후크의 헤드부(61) 접촉턱(61a)이 덕트결합프레임(25)의 상면을 압착함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 As shown in FIG. 7B, when the hook 6 penetrates through the hook insertion hole 25a, the hook 6 pushed back moves forward agai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7 formed on the top of the front guide wall 42 of the air duct 40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duct coupling frame 25 when the hook 6 passes through the hook insertion hole 25a. The assembly is completed by pressing the head 61 of the contact jaw 61a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uct coupling frame 25.

결국 후크(6)의 헤드부 접촉턱(61a)과 전방 가이드벽(42)의 수평지지부(7) 사이에 덕트결합프레임(25)이 끼이게 되어 안정된 결합상태가 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duct coupling frame 25 is sandwiched between the head contacting jaw 61a of the hook 6 and the horizontal support 7 of the front guide wall 42, thereby becoming a stable coupling state.

상기 후크(6)는 에어덕트 전방 가이드벽(42)에 적어도 2곳 이상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우로 안정된 결합이 가능하고, 결합된 에어덕트(40)는 후크(6)에 의해 캐비티(20) 전면으로 향하는 힘을 유지하게 되므로 전후방으로도 안정된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Since at least two hooks 6 are formed on the air duct front guide wall 42, stable coupling is possible from side to side, and the combined air ducts 40 are moved to the front of the cavity 20 by the hooks 6. Since the force is maintained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in the front and rear.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 에어덕트와 캐비티의 덕트결합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단순형합구조로 안정된 조립을 할 수 있으며, 작업속도가 향상되어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By constructing the duct coupling frame of the air duct and the cavity having the coupl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table assembly with a simple coupling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fixing member, the work speed can be improved and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구성요소의 위치, 형태 및 재질을 다양하게 변경적용할 수 있슴은 자명하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for express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various changes in the position, shape, and material of the components may be appli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내부에 에어덕트를 결합하는 구조를 단순형합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종래 조립에 필요한 스크류 등을 제거하여 비용 및 부품을 절감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st and parts by eliminating the screw and the like required for the conventional assembly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coupling the air duct in the cavity of the microwave oven to a simple combination structure.

또한, 단순형합구조로 조립되므로 작업속도가 향상되어 공정지연이 없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since it is assembled in a simple combination structure, the working speed is improved, there is no process delay, and thus productivity is improved.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general microwave oven.

도 2 는 종래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avity of a conventional general microwave oven.

도 3 은 종래 캐비티내에 에어덕트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air duct is coupled to the conventional cavity.

도 4 는 종래 캐비티와 에어덕트가 조립된 후 조립부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assembly after the conventional cavity and air duct is assembled.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의 에어덕트 조립구조에서 에어덕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duct in the air duct assembly structure of the cavity of 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상기 도 4 의 에어덕트 중 후크부를 도시한 요부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ok part of the air duct of FIG. 4;

도 7a 와 도 7b 는 각각 에어덕트가 캐비티의 덕트결합프레임에 결합되기 전과 결합된 후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7A and 7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before and after the air duct is joined to the duct coupling frame of the cavity, respectively.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40: 에어덕트 41: 패널40: air duct 41: panel

42: 전방가이드벽 43: 우측가이드벽42: front guide wall 43: right guide wall

45: 후방가이드벽 5: 슬릿45: rear guide wall 5: slit

45a: 후방가이드벽 돌출부 20: 캐비티45a: rear guide wall protrusion 20: cavity

6: 후크 61: 후크 헤드부6: hook 61: hook head portion

61a: 후크 헤드부 접촉턱 7: 수평지지부61a: hook head contact jaw 7: horizontal support

25: 덕트결합프레임 25a: 후크삽입홀25: duct coupling frame 25a: hook insertion hole

Claims (4)

대략 직사각형의 패널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벽과; 상기 가이드벽 중 캐비티 전면으로 향하는 전방 가이드벽 상단에 형성되며 패널면과 평행한 수평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벽의 소정개소에서 하측만 가이드벽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를 축으로 일부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후크를 구비한 에어덕트와; A guide wall formed on the side of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panel; A horizontal support par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guide wall toward the front of the cavity and parallel to the panel surface; An air duct having a hook fixed to the guide wall only at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wall, the hook being formed to be rotatable partially on the fixing part; 내측부 전면 상측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후크형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후크삽입홀을 구비한 캐비티를 포함하고;A cavity having a hook insertion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forming portion of the air duct, and formed horizontally above the inner side front surface; 상기 에어덕트의 후크가 상기 캐비티의 후크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후크의 접촉턱이 덕트결합프레임의 상면을 가압하고, 수평지지부가 덕트결합프레임의 하면을 가압하여 덕트결합프레임이 후크와 수평지지부사이에 끼이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와 에어덕트 조립구조 The hook of the air duct is inserted into the hook insertion hole of the cavity, and the contact jaw of the hook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duct coupling frame, and the horizontal support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duct coupling frame so that the duct coupling frame is connected between the hook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Cavity and air duct assembly structure of the microwave ove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tructure sandwiched i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에어덕트의 전방 가이드벽에는 다수의 슬릿이 그릴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와 에어덕트 조립구조Cavity and air duct assembly structure of the microwave oven,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guide wall of the air duc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its in the grill form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크의 헤드부와 수평지지부는 수직간격의 유격이 형성되며, 상기 유격의 높이는 덕트결합프레임의 두께와 일치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와 에어덕트 조립구조The head portion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the hook is formed with a vertical gap clearance, the height of the clearance is the cavity and air duct assembly structure of the microwave oven,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uct coupling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크는 에어덕트의 전방 가이드벽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어 안정된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와 에어덕트 조립구조The hook and the air duct assembly structure of the microwave ove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hooks are installed on the front guide wall of the air duct to form a stable coupling.
KR10-2002-0086907A 2002-12-27 2002-12-30 Assemble structure cavity & air-duct for microwave oven KR1005044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907A KR100504492B1 (en) 2002-12-30 2002-12-30 Assemble structure cavity & air-duct for microwave oven
US10/628,285 US6909078B2 (en) 2002-12-27 2003-07-29 Cooking chamber assembly in microwave oven
EP03017400.7A EP1434008B1 (en) 2002-12-27 2003-07-31 Cooking chamber assembly in microwave oven
CA002437488A CA2437488C (en) 2002-12-27 2003-08-18 Cooking chamber assembly in microwave oven
CNB031577059A CN1322269C (en) 2002-12-27 2003-08-29 Cooking chamber module in microwave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907A KR100504492B1 (en) 2002-12-30 2002-12-30 Assemble structure cavity & air-duct for microwave ov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125A KR20040061125A (en) 2004-07-07
KR100504492B1 true KR100504492B1 (en) 2005-08-03

Family

ID=3735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907A KR100504492B1 (en) 2002-12-27 2002-12-30 Assemble structure cavity & air-duct for microwave ov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49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125A (en)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2476A (en) Oven
KR100694254B1 (en) An air flow system for micro wave oven
US6737622B1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KR100504492B1 (en) Assemble structure cavity & air-duct for microwave oven
JP2002228156A (en) Electrical component chamber structure of microwave oven
KR100402578B1 (en) An air flow system for micro wave oven
KR19990062782A (en) Microwave oven with gas discharge guide
JP2966658B2 (en) Cooker
KR100766023B1 (en) A air duct mounting structure for microwave oven
KR100553046B1 (en) Microwave oven
JP2825400B2 (en) Cooker
KR100286178B1 (en) Microwave
KR200189009Y1 (en) Device for ventilating cavity air for microwave oven
KR19990033943A (en) microwave
KR100996351B1 (en) Trim kit assembly for microwave oven
KR200189531Y1 (en) Microwave oven
KR100621253B1 (en) A fixing structure of ventilation of Cabity for Microwave oven
KR100377740B1 (en) Built-in type microwave oven
KR100468122B1 (en) Microwave Oven
KR100582294B1 (en) A assembly of ventilation duct in electric room for Microwave oven
KR200337670Y1 (en) A structure of Blow-fan for Microwave oven
KR20000015936U (en) Microwave oven
KR20010060670A (en) Built-in type microwave oven
KR20000004984U (en) Decorative plate fixing structure of microwave oven
KR20020040987A (en) A main PCB mounting apparatus for micro wave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