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010B1 - rice cleaning machine - Google Patents

rice clean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010B1
KR100495010B1 KR10-2002-0003541A KR20020003541A KR100495010B1 KR 100495010 B1 KR100495010 B1 KR 100495010B1 KR 20020003541 A KR20020003541 A KR 20020003541A KR 100495010 B1 KR100495010 B1 KR 100495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milling
roll
chamber
adjust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5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63013A (en
Inventor
정명구
황성구
Original Assignee
정명구
황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구, 황성구 filed Critical 정명구
Priority to KR10-2002-0003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010B1/en
Publication of KR20030063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0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0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Abstract

목적 : 본 발명은 장치의 규모를 키우지 않고도 정미 가공도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내부에는 초기 투입되는 현미가 존치될 수 있는 공간이 없는 구조로 개선한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rice milling machine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adjusted rice milling process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device, and there is no space in which the initially introduced brown rice can exist.

구성 : 본 발명의 정미기는, 중공상의 공급스크류가 정미실의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하측은 정미실의 중앙으로 위치하는 정미롤과 일체로 되어서, 공급되는 현미를 상기 정미실의 금망과 마찰되게 하여 표면의 강층이 제거되게 하는 정미기로서, 상기 정미롤(7)의 하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된 꼭지점(23)을 가지는 코운부(25)로 형성되고, 이 코운부(25)는 배출구(27)의 도중에서 어저스트 콘(9)과 상하로 대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정미롤(7)의 외주면에는 그 방사방향에 일치하는 선단부의 일측면(a)이 볼록 곡면(R)을 경유하여 반대측의 비스듬한 경사면(b)으로 이어지는 제강돌기(19)를, 다수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어저스트 콘(9)은 가이드 포스트(33)를 타고 승강 이동되는 승강부재(31)를 보유하고, 이 승강부재(31)는 고정축(39)을 지점으로 요동되는 레버(41)에 연결된 요크(37)와 연계되어 종동하게 되며, 상기 레버(41)는 슈트(29)의 일측에 비치된 감지센서(51)의 출력신호로 회전 제어되는 정역모터(47)에 의해 종동되는 이동부재(45)와 연계되어서, 상기 슈트(29)로 배출되는 백미의 색 변화에 따른 상기 감지센서(51)의 신호 변화로, 상기 정역모터(47)의 회전방향과 회전수가 제어되고, 이에 따라 상기 어저스트 콘(9)의 위치가 승강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27)의 개방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Structure: The rice 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feed screw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illing chamber, and the lower side thereof is integrated with a milling roll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illing chamber so that the supplied rice rice is rubbed with the gold mesh of the milling chamber. As a rice polishing machine for removing the steel layer on the surface, the lower end of the rice roll 7 is formed of a corner portion 25 having a vertex 23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corner portion 25 is an outlet 27. It is arranged up and down opposite to the adjust cone (9) in the middl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t roll (7), one side (a) of the tip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pposite side via the convex curved surface (R) In addition to having a plurality of steelmaking projections 19 leading to an oblique inclined surface b, the adjust cone 9 has a lifting member 31 which is lifted and moved by a guide post 33. The member 31 swings the fixed shaft 39 to the point. Is driven in association with the yoke 37 connected to the lever 41, the lever 41 is a stationary motor 47 is rotationally controlled by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or 5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hute 29 In connection with the movable member 45 driven by the, by the signal change of the sensor 51 according to the color change of the white rice discharged to the chute 29,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stationary motor 47 The position of the adjust cone 9 is moved up and down so that the opening degree of the outlet 27 can be adjusted.

Description

정미기 {rice cleaning machine}Rice cleaning machine {rice cleaning machine}

본 발명은 현미에서 강층(糠層)을 제거하는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미과정이 진행되는 정미실(精米室)의 길이를 단축시켜 소요 동력을 줄이고 정미실 내에서 정백미(精白米)가 받는 압력이 줄어 들게 할 수 있는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polisher for removing a steel layer from brown rice, and more specifically, to reduce the required power b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rice milling process in which the rice milling process is performed, It is about a rice mill that can reduce the pressure received.

벼의 도정(搗精)은 벼 낟알로부터 왕겨와 강층을 제거하고 백미를 생산하는 작업으로서, 이 도정공정에는 벼 낟알에서 왕겨를 제거하고 현미를 생산하는 제현과정(製玄過程)과 현미로부터 강층을 제거하고 백미를 생산하는 정미과정(精米過程)이 있다. 이에 청결미를 생산하는 연미과정(硏米過程)을 더 추가하기도 한다.Rice milling is the process of removing rice hulls and steel layers from rice grains and producing white rice. In this milling process, rice flour is removed from rice grains and rice mills are produced to produce rice rice. There is a milling process (精 米 過程) to remove and produce white rice. In addition, the process of adding clean rice to produce clean rice (硏 米 過程) is sometimes added.

이 정미과정에 사용되는 것이 정미기로서, 이 정미기는 현미의 강층, 즉 과피, 종피 및 호분층을 기계적인 힘, 즉 마찰력, 찰리력, 절삭력 및 충격력으로 제거한다.The rice mill is used in this rice milling process, and the rice mill removes the steel layers of the brown rice, i.e., the rind, the seed skin and the whistle layer by mechanical forces, that is, the frictional force, the charlie force, the cutting force and the impact force.

현미의 표면에 작용하는 접촉압력이 일정치 이상에 이르게 되면 접촉면은 미끄러지지 않고 표면 마찰력에 의하여 현미의 강층에 형성되는 전단응력 때문에 강층이 얇은 조각 상태로 벗겨진다.When the contact pressure acting on the surface of the brown rice reaches a certain value or more, the contact surface does not slip and the steel layer is peeled off in a thin state because of the shear stress formed in the steel layer of the brown rice by surface friction.

종래 범용화 된 정미기의 일 예로서, 정미실의 중앙에 연마석을 구비한 정미롤이 비치되고, 그 주위는 금망(screen)으로 둘러싸인 구조의 입식 정미기가 공지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ly used rice mill, a rice mill with a polishing stone in the center of the rice mill is provided, and a standing rice mill with a structure surrounded by a screen is known.

이 방식의 입식 정미기는, 정미롤과 동축 설치된 공급스크류의 구동에 의해 투입구에서 현미가 공급되어 금망과 정미롤의 제강돌기 사이에서 마찰되어 표면의 강층이 제거되게 하고 있으나, 이러한 정미 과정에서 그 가공도는, 정미실에서 현미의 체류 시간에 비례하여 조절되게 하고 있어서, 정미실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게 설정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정미롤의 길이도 길어지게 됨은 물론, 구동에 따른 소요 동력도 크게 설정해야 했다.또한 이렇게 정미에 요구되는 크기 이상으로 각 부분을 설정하면, 정미 과정에서 정백미로 가해지는압력도 커지게 되어, 가공되는 백미에서 발생되는 쇄미(碎米)의 양이 증대되는 경향을 보인다.In this type of standing rice mill, brown rice is supplied from the inlet by driving the feeding screw installed coaxially with the rice roll, and the steel layer on the surface is removed by friction between the steel mesh of the metal net and the rice roll. In addition, the rice mill is adjusted in proportion to the residence time of the brown rice in the rice room, so that the length of the rice mill room has to be set longer than necessary, thereby lengthening the length of the rice mill roll, as well as the power required by driving In addition, if each part is set beyond the required size, the pressure exerted on the polished rice is also increased, and the amount of debris generated from the processed rice is increased. Seems.

또 다른 문제로서, 상기 입식 정미기는 정미롤 선단과 이에 대향하는 출구측 사이에 불필요하게 일정 공간이 존치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이 공간에는 정미를 처음 시작할 때 투입되는 현미의 일부가 체류하여 잔존하고 있다가, 조금씩 정미된 백미에 섞여 나가게 되어, 정미기를 가동하고 상당 기간동안은 백미의 품질을 열화시키게 작용한다.As another problem, the standing rice mill has a structural problem in which a predetermined space is unnecessarily maintained between the tip of the net rice roll and the exit side opposite thereto. In this space, a part of the brown rice introduced at the beginning of rice milling remains and remains. After a while, it is mixed with the polished white rice, and it operates the rice mill and works for a long time to deteriorate the quality of the r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장치의 규모를 키우지 않고도 정미 가공도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내부에는 초기 투입되는 현미가 존치될 수 있는 공간이 없는 구조로 개선한 정미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rice milling machine tha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adjusted without having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evic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re is no space for the initial input of brown rice.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상의 공급스크류가 정미실의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하측은 정미실의 중앙으로 위치하는 정미롤과 일체로 되어서, 공급되는 현미를 상기 정미실의 금망과 마찰되게 하여 표면의 강층이 제거되게 하는 구성으로 된 정미기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feed screw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rice mill, the lower side is integral with the rice roll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ice mill, the supplied brown rice and the gold net of the rice mill It is composed of a rice polisher configured to be rubbed so that the steel layer on the surface is removed.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정미기는, 상기 정미롤의 하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된 꼭지점을 가지는 코운부로 형성되고, 이 코운부는 배출구의 도중에서 어저스트 콘과 상하로 대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정미롤의 외주면에는 그 방사방향에 일치하는 선단부의 일측면이 볼록 곡면을 경유하여 반대측의 비스듬한 경사면으로 이어지는 제강돌기를, 다수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어저스트 콘은 가이드 포스트를 타고 승강 이동되는 승강부재를 보유하고, 이 승강부재는 고정축을 지점으로 요동되는 레버에 연결된 요크와 연계되어 종동하게 되며, 상기 레버는 슈트의 일측에 비치된 감지센서의 출력신호로 회전 제어되는 정역모터에 의해 종동되는 이동부재와 연계되어서, 상기 슈트로 배출되는 백미의 색 변화에 따른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 변화로, 상기 정역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수가 제어되고, 이에 따라 상기 어저스트 콘의 위치가 승강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방도를 조절하게 되는 구성으로 된다.In more detail, the rice 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corner having a vertex of the lower end of the net roll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corner is disposed up and down facing the adjust cone in the middle of the outle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 one side surface of the tip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adial direc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eelmaking protrusions leading to the oblique inclined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via the convex curved surface, and the adjust cone is moved up and down by a guide post. Retaining member, the elevating member is driven in conjunction with a yoke connected to a lever swinging a fixed shaft point, the lever being driven by a forward and reverse motor which is rotationally controlled by an output signal of a sensing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hute.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signal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color change of the white rice discharged to the chute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member,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reverse motor are controlled, whereby the position of the adjust cone is moved up and down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outlet.

상기 정미롤이 하측 코운부와 어저스트 콘의 꼭지점은 상호 대칭 방향으로 배치되는것이며, 이러한 배치는 배출구의 내부에서 데드 스페이스가 생기지 않게 한다.The vertices of the lower corner and the cone of the adjuster are arranged in the symmetrical direction, this arrangement prevents the dead space inside the outlet.

이에 따라 최초에 현미를 투입하였을 때, 배출구 부근에서 투입된 현미가 체류되지 않고 전부 외부로 배출되어, 이후의 정미 공정에서 배출되는 백미에는 현미가 섞이지 않아 균질한 백미를 제공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brown rice is initially added, the brown rice introduced near the discharge port is not retained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brown rice discharged in a subsequent rice milling process does not mix brown rice to provide a homogeneous white ri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미기는 정미롤의 하단에 코운부를 구비하여 정미실의 하단측 배출구 부근에 데드 스페이스가 생기지 않게 되고, 또 현미의 정미도는 어저스트 콘의 승강 이동을 통한 백미의 배출량 조절을 통하여, 현미가 정미실에 체류하는 시간으로 조절하는 것이므로, 상기 정미롤을 불필요하게 길게 설정하지 않아도 ㄱ품질의 정미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 전체의 크기를 적당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장치에 요구되는 동력도 불필요하게 대형화 되지 않아 제조 원가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Thus, the rice 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rner at the bottom of the milling roll so that dead space does not occur near the bottom exit of the rice milling chamber, and the milling degree of brown rice adjusts the amount of white rice discharged by moving up and down the adjust cone. Through this, the brown rice is adjusted to the time to stay in the rice milling room, so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quality rice without setting the rice roll unnecessarily long, thereby setting the size of the entire device to an appropriate size, and further the device In addition, the power required for the production is not unnecessarily enlarged, thus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본 발명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Advantag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의 종단면도로서, 장치의 내부 중앙에는 금망(1)에 의하여 정의되는 정미실(3)이 마련되고, 그 상측 중심에는 현미를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스크류(5)가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공급스크류(5)에서 일체로 정미실(3)의 내측으로 연장 위치하여 상기 금망(1)의 내주면과 대치하는 정미롤(7)이 배열됨과 아울러, 이 정미롤(7)의 하측방에는 상기 정미롤(7)에서 정미된 백미의 시간당 배출량을 제어하여 분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저스트 콘(9)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rice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rice mill 3 is defin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apparatus, and a feeding screw 5 for conveying brown rice is arranged in an upper center thereof. In addition, in the supply screw (5) integrally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netting chamber (3), the netting roll (7) is arranged to 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old mesh (1) and the netting of the netting roll (7) In the lower side, the adjust cone 9 which controls the hourly discharge of the polished rice polished by the said rice-roll 7 is installed, and is comprised.

여기서 금망(1)은 타공된 스테인레스판이며, 이것은 정미롤(7)을 내장시킬 수 있는 크기로 밴딩되어서 실질적으로 정미실(3)을 형성하는 것이다.Here, the gold screen 1 is a perforated stainless steel plate, which is bent to a size to accommodate the net roll 7 to substantially form the netting chamber 3.

또한, 금망(1)의 타공(11)은 정미실(3)로 공급되는 현미가 정미롤(7)에 의해 휘둘려질 때에, 현미의 표면과 마찰을 일으켜서 강층을 찰리시킴과 동시에, 제거된 미강을 정미실(3)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로 작용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erforated 11 of the gold mesh 1, when the brown rice supplied to the netting room 3 is swung by the net roll 7, causes friction with the surface of the brown rice to scratch the steel layer and simultaneously remove the removed rice bran. It acts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of the netting chamber (3).

한편, 현미 가공 시에 발생하는 미강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정미실(3)에는 풍압을 작용시키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moothly discharge the rice bran generated at the time of brown rice processing, the wi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milling chamber 3.

풍압을 일으키는 방법은 흡인식과 압송식이 있으며 본 발명에는 양자 모두 적용 가능하고, 예로서 압송식, 즉 공급스크류(5)의 내부 통로를 통해 송풍되는 바람이, 정미롤(7)의 외주로 불어 나와 정미실(3)과 금망(1)의 타공(11)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게 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There are two methods of generating wind pressure: suction and pressure feeding, and both of them are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ind blowing through the inner passage of the feeding screw 5 is blown ou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et roll 7. It is in such a way that it exhausts to the outside through the perforation 11 of the rice cleaning room 3 and the metal mesh 1.

공급스크류(5)는 벨트(13)를 통해 전달되는 모터(15)의 동력으로 종동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현미는 장치의 상측 소정 개소에 마련되는 투입구(17)를 통해 공급된다.The supply screw 5 is driven to rotate by the power of the motor 15 transmitted through the belt 13, the brown rice is supplied through the inlet 17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device.

상기 공급스크류(5)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정미롤(7)은, 외주면에 적어도 4개의 제강돌기(19)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제강돌기(19)에 인접하는 부위로는 상기 공급스크류(5)의 내부 통로를 통해 급송되는 바람의 출구로서, 분풍구(21)가 길게 열려져 있다.At least four steelmaking protrusions 19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t roll 7 which is integrally extended to the supply screw 5, and the feed screw is provid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steelmaking protrusion 19. As the outlet of the wind fed through the inner passage of (5), the blowhole 21 is opened for a long time.

정미롤(7)의 하단은 소정 각도의 꼭지점(23)을 가진 코운부(25)로 형성되어서 상기 어저스트 콘(9)의 상단 꼭지점과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어저스트 콘(9)과 코운부(25)가 대치하고 있는 위치는 배출구(27)의 도중으로 설정되어, 상기 정미실(3)의 하측방에 데드 스페이스가 생기지 않게 함으로써, 투입되는 현미는 전부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lower end of the net roll 7 is formed of a corner 25 having a vertex 23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vertex of the adjust cone 9. The position where the corner part 25 opposes is set in the middle of the discharge port 27, and the brown rice thrown in is discharged | emitted by not making dead space generate | occur | produce below the said refinery room 3.

상기 꼭지점(23)의 각도는 그 크기가 작을수록 효과적이지만 작을수록 정미실(3)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것을 감안하면 100°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꼭지점(23)의 각도가 1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정미롤(7)의 하단에 현미가 존치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The angle of the vertex 23 is smaller the size is effective, but considering that the smaller the length of the rice chamber 3 is longer is preferably formed within a range not exceeding 100 °. This is because, when the angle of the vertex 23 exceeds 100 °,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presence of brown rice at the lower end of the net roll 7 does not appear significantly.

또 한편으로 상기 어저스트 콘(9)은 정미를 외부로 인도시키기 위한 슈트(29)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just cone 9 is surrounded by a chute 29 for guiding the netting to the outside.

상기 어저스트 콘(9)의 하측부는 승강부재(31)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은 가이드 포스트(33)에 동축상으로 연계되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승강부재(31)의 상측부는 핀축(35)을 통해 요크(37)로 끼워지고, 상기 요크(37)는 고정축(39)을 지점으로 요동되는 레버(41)의 상단부와 축 연결되어서 종동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41)는 스프링(43)을 경유하여 이동부재(45)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이동부재(45)는 정역모터(47)의 출력스크류(49)에 나사 맞춤 되어서 횡방향으로 연동하게 되어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adjust cone 9 is formed by the elevating member 31, which is coaxially connected to the guide post 33 so as to be able to elevate and mov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elevating member 31 The upper side is fitted into the yoke 37 through the pin shaft 35, and the yoke 37 is driven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ever 41 which swings the fixed shaft 39 as a point. 41 is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45 via the spring 43, while the movable member 45 is screw-fitted to the output screw 49 of the stationary motor 47 is interlock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이러한 구성은 정역모터(47)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에 따라 이동부재(45)가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스프링(43)을 통하여 레버(41)의 하측을 연동시켜 줄 수 있고, 또 연동되는 레버(41)는 상측부를 통해 요크(37)의 위치를 변화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어저스트 콘(9)의 높이가 조절되고, 이것에 의해 정미실(3)의 배출구(27)는 그 개폐도가 조절되므로 여기를 통해 배출되는 현미의 양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어, 정미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configuration can be linked to the lower side of the lever 41 through the spring 43 while the moving member 45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tationary motor 47, The lever 41 changes the position of the yoke 37 through the upper part, and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adjust cone 9 is adjusted, whereby the opening 27 of the netting chamber 3 has its opening and closing degree. Since the adjustment is made to control the amount of brown rice discharged through he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refinement.

상기 배출구(27)의 개폐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정미롤(7)이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에 따라 종동 회전하게 되면, 이 제강돌기(19)는 정미실(3)의 내부를 휘저어 투입된 현미가 금망(1)의 내주면과 마찰되게 작용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outlet 27 is adjusted, when the net roll 7 is driven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ure 2, the steelmaking projection (19) is introduced by stirring the inside of the netting chamber (3) Brown rice acts to rub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old screen (1).

상기 제강돌기(19)는 정미실(3)의 내부를 휘저을 때에 현미와 접촉되는 면은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The steelmaking projections 19 are formed in a round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rown rice when the inside of the netting chamber 3 is stirred.

한편, 금망(1)에는 타공(11)이 형성되어 있어서 현미의 외피에 붙어 있는 강층과 마찰될 때, 이를 깎아 제거하게 되고, 깎여진 강층은 타공(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정미롤(7)의 내부를 경유하여 분풍구(21)로 송풍되는 바람을 타고 금망(1)의 외측방으로 제거된다.On the other hand, the perforated 11 is formed in the gold mesh (1) when the friction with the steel layer attached to the shell of the brown rice, it is shaved off and removed, the cut steel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erforated 11, As described above, the wind blown to the blowhole 21 via the inside of the net roll 7 is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gold mesh 1.

즉, 제강돌기(1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미롤(7)의 방사방향에 일치하는 선단부의 일측면(a)에서 반대측의 다른면은 비스듬한 경사면(b)으로 형성하여 미강의 퇴적이 적극 억제되게 하고, 또 일측면(a)과 경사면(b)이 접하는 부분은 볼록 곡면(R)으로 형성되어서, 현미에 대해 금망(1)과 마찰될 수 있는 압력을 가할 수 있되, 그 현미의 외피를 깎아 낼 수는 없게 하여 정미 중에 쇄미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3, the steelmaking projection 19, the other side of the opposite side from the one side (a) of the tip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net roll 7 is formed as an oblique inclined surface (b) of the rice bran The deposition is actively suppressed, and the portion where one side (a) and the inclined surface (b) contact each other is formed with a convex curved surface (R), so that a pressure that can rub against the gold screen (1) against the brown rice can be applied. The sheath of brown rice cannot be cut off, so the delicacy does not occur during the rice milling.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배출구(27)에 이어지는 슈트(29)의 하측 통로 상에는 감지센서(51)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상기 정역모터(47)의 회전방향과 회전수를 제어함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것이다.Referring again to FIG. 1, a sensing sensor 51 is disposed on the lower passage of the chute 29 that leads to the outlet 27, which is an electrical signal necessary to control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stationary motor 47. Will occur.

즉, 정역모터(47)는 감지센서(51)가 슈트(29)를 타고 배출되는 정미량을 계측하고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그 회전 방향과 회전수가 제어되면서 깨끗한 정미가 지속적으로 행해지게 제어되는 것이다.That is, the stationary motor 47 is controlled so that the clean sensor is continuously performed while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speed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gnal generated by the detection sensor 51 measuring the amount of net discharged on the chute 29. will be.

도 4는 상기 감지센서(51)에 의한 정역모터(47)의 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컨트롤러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감지센서(51)는 광센서가 채용되어 있고, 여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정역모터(47)가 제어되는 것이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troller capable of implementing control of the stationary motor 47 by the sensor 51, and the sensor 51 is an optical sensor, and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51. The stationary motor 47 is controlled.

더 상세하게, 감지센서(51)는 정미되어 배출되는 백미의 색깔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전기적 신호제1, 제2 비교기(53)(55)로 동시에 인가되며, 그 인가된 신호가 각 비교기(53)(55)에 설정된 기준치보다 이상인 하이인 때는, 제1 비교기(53)에서, 또 반대로 로우인 때는 제2 비교기(55)에서 신호가 출력되어 각각 릴레이(57)의 정회전 접점(57a), 또는 역회전 접점(57b)을 스위칭 온 시켜서, 상기 정역모터(47)로 인가되는 전류의 극성을 변환시키는 과정을 통해 회전방향을 제어하고, 또한 감지센서(51)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기준치 범위이거나 기준치 범위로 접어 들면, 양 비교기(53)(55)에서의 출력이 정지되어, 상기 릴레이(57)는 정역모터(47)로 공급되는 전원을 끊어주게 되므로, 상기 정역모터(47)는 정지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51 generates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polished and discharged white rice and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comparators 53 and 55. When the signa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set in each of the comparators 53 and 55, the signal is output from the first comparator 53 and, conversely, low, from the second comparator 55 so as to set the relay 57. The rotation direction is controlled by switching on the rotation contact 57a or the reverse rotation contact 57b to change the polar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47, and also output from the detection sensor 51. If the signal is a reference value range or the reference value range, the output from both comparators 53 and 55 is stopped, so that the relay 57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tationary motor 47, so that the stationary motor 47 is stoppe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정미기에 의해 현미를 백미로 정미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refining brown rice into white rice by the rice polish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riefly as follows.

먼저, 모터(15)가 구동되면 벨트(13)로 연결된 공급스크류(5)가 구동되고, 이에 의하여 투입구(11)를 통해 공급되는 현미는 공급스크류(5)를 타고 정미실(3)로 공급된다.First, when the motor 15 is driven, the supply screw 5 connected to the belt 13 is driven, whereby the brown rice supplied through the inlet 11 is supplied to the netting chamber 3 via the supply screw 5. .

공급스크류(5)의 구동은 일체로 결합된 정미롤(7)의 구동을 초래하므로, 제강돌기(19)는 정미실(3)로 입장하는 현미를 휘저어 금망(1)과 마찰되게 하여, 표피의 제강층이 제거되게 작용한다.Since the driving of the supply screw 5 causes the driving of the netting roll 7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he steelmaking projection 19 stirs the brown rice entering the netting chamber 3 and rubs it with the gold mesh 1 so that It serves to remove the steelmaking layer.

제거된 제강층은 금망(1)의 타공(11)에서 미강으로 남겨지고, 이것은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removed steelmaking layer is left as rice bran in the perforation 11 of the gold mesh 1, whic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blowing wind.

이러한 과정으로 정미된 백미는 자중에 의하여 정미실(3)의 배출구(27) 측으로 모이고 어저스트 콘(9)에 의해 열려진 배출구(27)에서 슈트(29)로 낙하하여 연속 배출된다.The polished rice in this process is collected by the self-weight to the discharge port 27 side of the netting chamber 3 and falls to the chute 29 from the discharge port 27 opened by the adjust cone 9 and is continuously discharged.

감지센서(51)는 상기 슈트(29)를 통해 배출되는 백미의 색을 체크한다.The detection sensor 51 checks the color of the white rice discharged through the chute 29.

감지센서(51)에 의해 체크된 백미의 색깔이, 원하는 분도에 이르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정미되었을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역모터(47)가 구동되어서 어저스트 콘(9)의 위치를 승강 조절하여, 배출구(27)의 통로 면적을 증감함에 따라 배출되는 백미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며, 그 조절은 배출되는 백미의 색이 적정 분도에 이를 때 까지 지속된다.When the color of the white rice checked by the detection sensor 51 does not reach the desired degree or is too refined, the stationary motor 47 is driven as described above to raise and lower the position of the adjust cone 9, As the passage area of (27) is increased or decreased, the amount of white rice discharged is controlled, and the adjustment is continued until the color of the white rice discharged is reached to an appropriate degre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는, 정미롤의 하측부가 코운부로 형성되고, 그 대향측에는 역방향으로 경사진 어저스트 콘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구성이므로, 정미실의 하부에 현미가 존치할 수 있는 데드 스페이스가 없고, 또한 어저스트 콘의 승강 조절은 슈트를 통해 배출되는 백미의 색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에 의해 어저스트 콘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정미된 백미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정미실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고 짧게 변화되게 하는 것으로, 자동적으로 현미의 정미가 최적의 상태로 되게 하는 것이므로, 정미실의 길이를 짧게 설계하여도 좋은 백미를 얻을 수 있고, 또 정미실의 크기를 최적화 함으로써 여타 필요 동력 등의 손실도 적어 쇄미의 발생량도 극히 적어지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Thus, since the rice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rice-rolling roll is formed as a nose portion, and the opposite con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brown rice can exis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ice-rice chamber. There is no space, and the adjustment control of the adjust cone adjusts the amount of polished polished rice as the position of the adjust cone is changed by the sensor which detects the color of white rice discharged through the chute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The long time of staying at is changed short and short, and the rice is automatically brought to the optimum state. Therefore, you can get a good white rice even if you design the length of the rice mill shortly. The loss of power, etc. is less, and the amount of debris is extremely sm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rice poli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정미실의 평단면도.FIG. 2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rice milling chamber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정미롤의 부분 확대도.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net roll;

도 4는 모터를 제어하는 회로도.4 is a circuit diagram for controlling a moto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금망 3 : 정미실1: gold network 3: rice room

5 : 공급스크류 7 : 정미롤9 : 어저스트 콘 11 : 타공13 : 벨트 15 : 모터DESCRIPTION OF SYMBOLS 5 SUPPLIED SCREW 7 RICE RICE 9 ADJUST CONE 11 BORING 13: BELT 15 MOTOR

17 : 투입구 19 : 제강돌기21 : 분풍구 23 : 꼭지점17: inlet 19: steelmaking projection 21: blowhole 23: vertex

25 : 코운부 27 : 배출구25: corner 27: outlet

29 : 슈트 31 : 승강부재29: chute 31: elevating member

33 : 가이드 포스트 35 : 핀축33: guide post 35: pin shaft

37 : 요크 39 : 고정축41 : 레버 43 : 스프링37: yoke 39: fixed shaft 41: lever 43: spring

삭제delete

45 : 이동부재 47 : 정역모터49 : 출력스크류 51 : 감지센서45: moving member 47: forward and reverse motor 49: output screw 51: detection sensor

53, 55 : 비교기 57 : 릴레이53, 55: comparator 57: relay

Claims (1)

중공상의 공급스크류가 정미실의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서 그 하측에 일체로 연장된 정미롤이 상기 정미실의 중앙으로 위치하고, 상기 공급스크류에 의해 공급되는 현미는 상기 정미실에서 정미롤의 제강돌기에 의해 그 주변을 둘러싸는 금망과 마찰되면서 표면의 강층이 제거되고, 상기 정미실의 하측을 통해 배출되는 구성으로 된 정미기에 있어서,A hollow feed screw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milling chamber so that the milling roll integrally extended below i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illing chamber, and the brown rice supplied by the feed screw is formed by the steelmaking process of the milling roll in the milling chamber. In the rice cleaning machine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eel layer on the surface is removed while rubbing with the surrounding gold net, and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rice chamber, 상기 정미롤(7)의 하단부는 소정의 각도로 된 꼭지점(23)을 가지는 코운부(25)로 형성되고, 이 코운부(25)는 배출구(27)의 도중에서 어저스트 콘(9)과 상하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미롤(7)의 외주면에 방사방향으로 다수 배치되는 제강돌기(19)는, 그 방사방향에 일치하는 일측면(a)이 볼록 곡면(R)을 경유하여 반대측의 비스듬한 경사면(b)으로 이어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어저스트 콘(9)은 하측에 가이드 포스트(33)를 타고 승강 이동되는 승강부재(31)를 구비하고, 이 승강부재(31)는 상기 슈트(29)를 통해 배출되는 백미의 색 변화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51)에 의해 회전방향과 회전수가 제어되는 정역모터(47)의 출력스크류(49)와 나사 맞춤된 이동부재(45)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어저스트 콘(9)의 위치를 승강 이동시켜서 상기 배출구(27)의 개방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The lower end of the net roll 7 is formed with a corner 25 having a vertex 23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corner 25 having an adjust cone 9 in the middle of the outlet 27. The steelmaking protrusions 19 which are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are arranged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t roll 7 have one side surface a corresponding to the radial direction via the convex curved surface R. In addition to being form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b), the adjust cone (9) is provided with a lifting member (31) which is moved up and down on the guide post 33, the lifting member (31) Moving member screwed with the output screw 49 of the stationary motor 47,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are controlled by the detection sensor 51 for detecting the color change of the white rice discharged through the chute 29 and outputs a signal In conjunction with the positional movement of 45, the position of the adjust cone 9 is moved up and down to Rice 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allows one to control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outlet (27).
KR10-2002-0003541A 2002-01-22 2002-01-22 rice cleaning machine KR1004950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541A KR100495010B1 (en) 2002-01-22 2002-01-22 rice clean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541A KR100495010B1 (en) 2002-01-22 2002-01-22 rice clean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013A KR20030063013A (en) 2003-07-28
KR100495010B1 true KR100495010B1 (en) 2005-06-13

Family

ID=3221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541A KR100495010B1 (en) 2002-01-22 2002-01-22 rice clean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0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267B1 (en) * 2020-07-03 2020-10-15 주식회사 세농테크 Screen with rice-polishing function and rice clean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WO2021225273A1 (en) * 2020-05-04 2021-11-11 주식회사 세농테크 Metal mesh having rice-polishing function and rice mill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178B1 (en) * 2004-09-07 2006-10-11 주식회사 영일기계 Grain ejection device
CN115025833B (en) * 2022-06-13 2024-02-02 安徽慧视金瞳科技有限公司 Rice mill capable of reducing broken rice rat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942A (en) * 1979-01-10 1983-05-19 스타이나 캔스태드,로즈마리 아이젠링 2-phenem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850002904U (en) * 1983-04-29 1985-05-30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ower switch
US4583455A (en) * 1984-05-14 1986-04-22 Salete Garces Felipe Screen and rotor assembly for grain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and whitening machines
US4829893A (en) * 1988-08-04 1989-05-16 Satake Engineering Co., Ltd. Cereal-grain polishing apparatus
US5586492A (en) * 1991-08-17 1996-12-24 Graef; Dieter O. Apparatus for the wetting of cereals with a liquid
JPH11165086A (en) * 1997-12-05 1999-06-22 Kubota Corp Milled rice discharge gate device for rice milling machine
KR19990034213U (en) * 1998-01-16 1999-08-25 이진구 Standing Rice Mill
US6161473A (en) * 2000-03-09 2000-12-19 Suzuki; Kisaku Rice wash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942A (en) * 1979-01-10 1983-05-19 스타이나 캔스태드,로즈마리 아이젠링 2-phenem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850002904U (en) * 1983-04-29 1985-05-30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ower switch
US4583455A (en) * 1984-05-14 1986-04-22 Salete Garces Felipe Screen and rotor assembly for grain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and whitening machines
US4829893A (en) * 1988-08-04 1989-05-16 Satake Engineering Co., Ltd. Cereal-grain polishing apparatus
US5586492A (en) * 1991-08-17 1996-12-24 Graef; Dieter O. Apparatus for the wetting of cereals with a liquid
JPH11165086A (en) * 1997-12-05 1999-06-22 Kubota Corp Milled rice discharge gate device for rice milling machine
KR19990034213U (en) * 1998-01-16 1999-08-25 이진구 Standing Rice Mill
US6161473A (en) * 2000-03-09 2000-12-19 Suzuki; Kisaku Rice wash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273A1 (en) * 2020-05-04 2021-11-11 주식회사 세농테크 Metal mesh having rice-polishing function and rice mill comprising same
KR102166267B1 (en) * 2020-07-03 2020-10-15 주식회사 세농테크 Screen with rice-polishing function and rice clean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013A (en) 200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5010B1 (en) rice cleaning machine
CN210058360U (en) Real-time flow intelligent control rice polishing machine
JPH1033997A (en) Hulling apparatus
KR101821667B1 (en) Apparatus for polishing rice
US6565023B2 (en) Apparatus for comminuting, grinding and dispersing flowable grinding stock
JPH11121420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cleaning substrate
JP7354615B2 (en) Eyeglass lens processing equipment
JP3644806B2 (en) Substrate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CN113977338A (en) Inclined guide rail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JP3162147B2 (en) Rice processing equipment
JP4366258B2 (en) Rice milling machine
JPH01194945A (en) Vertical shaft-type rice polishing machine
KR20210074504A (en) Apparatus for polishing Embryo-retaining polished rice of Rice
SU768459A1 (en) Apparatus for grinding cereal
JP2000139730A (en) Rice polishing machine
KR19990012504U (en) Brown Rice and Rice Milling Device
JP2004322056A (en) Coin-op rice husking rice-cleaning apparatus
SU1544497A2 (en) Disintegrator for flushing clayey materials
JPH04137738U (en) rice milling machine
SU900847A1 (en) Machine for washing frozen material
JP2001096177A (en) Rice polishing/washing apparatus
SU899128A1 (en) Disintegrator for washing clayey materials
JPH04145954A (en) Rice milling machine
JPH04341349A (en) Dehulling roll control apparatus of huller
JPH05168959A (en) Roll wear warning device of rice hu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