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766B1 - 홍삼제조용 건조기 - Google Patents

홍삼제조용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766B1
KR100485766B1 KR10-2002-0071853A KR20020071853A KR100485766B1 KR 100485766 B1 KR100485766 B1 KR 100485766B1 KR 20020071853 A KR20020071853 A KR 20020071853A KR 100485766 B1 KR100485766 B1 KR 100485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red ginseng
air
dryer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543A (ko
Inventor
장동일
방승훈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2-0071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7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실과, 건조실 내에서 인삼을 적재하는 채반과, 상기 건조실 내로 공기가 출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 및 공기유출구와, 상기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공기를 순환 구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홍삼제조용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1) 외부에서 상기 공기유입구(30)와 공기유출구(40) 사이를 연결하는 송풍관(45)과;
보일러(16)를 매개로 상기 송풍관(45)의 도중에 연결되는 물공급 탱크(17)와;
상기 건조실(11)에 설치된 온도센서(18) 및 습도센서(47)와;
상기 온도센서(18) 및 습도센서(47)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이는 컴퓨터(19)와;
상기 컴퓨터(19)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보일러(16)의 배출구를 개폐하거나 히터(25)를 온오프하는 컨트롤러(20)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건조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홍삼의 건조속도를 적정하게 함으로써 제조홍삼의 터짐을 억제하고 적정 갈변반응을 생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홍삼제조용 건조기{A Dryer for Manufacturing Red Ginseng}
본 발명은 홍삼제조용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되는 인삼을 회전시키면서 온도와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홍삼제조용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홍삼(紅蔘)이나 백삼(白蔘)은, 보통 인삼을 채삼하여 증숙(蒸熟)한 후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서 제조된다. 즉, 인삼을 본포(本圃)에서 채취하여 세척한 후, 수삼(水蔘)의 상태로 출하하거나, 장기 저장이 가능하도록 단지 건조시킨 후 유통시키기도 하지만, 대개는 증숙과정을 거쳐 홍삼으로 가공하거나 표피를 벗겨낸 후 건조한 백삼의 상태로 가공하여 유통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삼은 육질부가 굵고 크기 때문에 건조가 늦고 불균일하다. 또한, 건조상태에 따라서 품질의 차이가 크게 되므로, 인삼의 건조에는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고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현재까지의 홍삼제조용 건조기는, 건조실의 내부에 고정된 인삼 대차에 채반을 올려놓고 건조실 내에 열풍을 송풍함으로써 건조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부압식 홍삼제조용 건조기가 한국특허출원 제1999-3403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간략히 소개하도록 한다.
도 8과 도 9에는 종래의 부압식 홍삼제조용 건조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일반적인 건조실(101)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당한 용량의 흡출팬(102)이 설치되어 있어, 건조실(101)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게 조정(부압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건조실(101)은 인삼, 고추, 한약재 및 조제한약의 건조에 적합한 용량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실(101)의 외곽을 형성하는 벽은 통상적인 단열벽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건조실(101)의 측부에는 온도조절용의 환기구(103)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건조실(101) 내부의 온도상태에 따라 자동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건조실(101)의 상부에는 흡출팬(102)이 설치되어 있어, 밀폐된 건조실(101)의 공기를 흡출하여,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배출하고 건조실의 압력을 외부보다 적당히 낮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부압식 건조기는 인삼, 고추, 산나물 등 농산물이나 한약재 또는 환약과 같은 조제한약 등 건조 대상물의 용도에 따라 흡출팬(102), 환기구(103) 등의 크기나 용량을 적절히 조정하여 설치하게 되어 있다.
또한, 건조실(101) 내부의 양 측부에는 방열관(10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열관(104)은 전열면적이 큰 특수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건조실(101)의 내부에는 내부 순환팬(105)과, 상기 방열관(104)과 인삼대차(106) 사이에 설치된 차단벽(108)이 설치되어 있어, 공기가 방열관(104)의 상부로부터 방열관(104)을 거쳐서 아래로 내려와 인삼대차(106)의 아래로부터 채반(107)에 열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인삼에 직접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홍삼제조용 건조기는 습도조절기능이 없기 때문에 건조속도의 제어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조 홍삼의 터짐이나 과갈변반응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조실 내에서 고온의 공기는 상부에, 저온의 공기는 하부에 분포하기 때문에, 건조실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흐름이 정체되는 부분도 있어 건조상태 자체가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또한, 작업공정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작업공정 중에 발생될 수 있는 터짐 현상, 즉 발생시간 및 원인을 명확히 알아낼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건조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홍삼의 건조속도를 적정하게 함으로써, 제조홍삼의 터짐을 억제하고 적정 갈변반응을 생성하는데 있다.
두번째 목적은, 건조실 내부의 구역에 따라 온도, 습도 및 풍속을 균일하게 하는데 있다.
세번째 목적은, 작업실 내의 공정을 영상처리장치를 이용하여 감시함으로써, 제조과정 중 발생하는 터짐현상의 시간 및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는데 있다.
상기한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홍삼제조용 건조기는,
건조실과, 건조실 내에서 인삼을 적재하는 채반과, 상기 건조실 내로 공기가 출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 및 공기유출구와, 상기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공기를 순환 구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홍삼제조용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 외부에서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송풍관과;
전기보일러를 매개로 상기 송풍관의 도중에 연결되는 물공급 탱크와;
상기 건조실에 설치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이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보일러의 배출구를 개폐하거나 히터를 온오프하는 컨트롤러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두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홍삼제조용 건조기는, 상기 채반이 상기 건조실에 대하여 상하 순환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채반은, 상기 건조실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서로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스프로킷과, 상기 양 스프로킷을 전동하는 전동수단에 의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2개의 스프로킷은, 상기 건조실 내에 설치된 상하 지지막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상하 지지막대가 건조실의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하면, 채반의 전후 이동이 자유로와 홍삼 적재작업이 용이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건조실의 내부면과, 상기 상하 지지막대의 단부에는 레일과 바퀴의 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더욱이, 상기 송풍관의 도중에는 제습용 팬(fan)이 부가적으로 설치되면, 상기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홍삼제조용 건조기는, 상기 건조실의 외부에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는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에 모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반은 건조실의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홍삼제조용 건조기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과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홍삼제조용 건조기에서의 건조실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홍삼제조용 건조기는, 건조실(11)과, 이 건조실(11) 내에서 인삼을 적재하는 채반(27)과, 상기 건조실(11)에 설치된 공기유입구(30) 및 공기유출구(40)와, 상기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5)와, 공기를 순환 구동시키는 송풍팬(3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종래의 건조기와 공통적인 부분이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서 건조실(11) 내에 설치되는 채반(27)은 상하 방향으로 순환하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건조실(11)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2개의 스프로킷(23)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스프로킷(23)에는 체인(22)이 연결되어 있어, 서로 동력이 연속적으로 전달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인(22)의 둘레에는 복수의 채반(27)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어서, 체인(22)이 순환함에 따라 인삼이 적재된 채반(27)도 함께 순환하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1개의 스프로킷(23)을, 벨트나 체인 등의 적절한 전동수단(22)을 매개로 구동모터(21)에 연결시킨다. 이 때, 도 4(b)에서와 같이, 스프로킷(23), 전동수단(22) 및 채반(27)을 함께 상기 구동모터(21)에 연결하기 위한 회전축(44)을 동심의 2중 축으로 구성하여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상하 지지막대(55)의 상단 및/또는 하단과 건조식(11) 내부면에 레일과 바퀴의 쌍(60) 등을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적재시에는 건조실(11)로부터 채반(27)을 빼내고, 적재가 완료되면 다시 건조실(11) 내로 밀어넣을 수 있어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이 때, 상기 가이드(60)의 이동을 소정의 거리에서 멈추게 하는 스토퍼(stopper)(미도시)가 건조실(11) 내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21)는 변속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채반(27)이 0∼10rpm범위에서 회전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건조 채반(27)은 1채반 당 6년근 수삼을 5지씩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크기는 300mm ×500mm 정도이다. 또한, 채반(27)의 재료로는 수삼과 성질이 다소 유사한 대나무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건조실(11)의 크기는, 6년근 1등급 수삼의 크기를 고려하여 700mm ×700mm ×1500mm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체 외각은 50mm의 두께로 단열처리되어 있다.
상기 건조실(11)에는 공기유입구(30)와 공기유출구(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자는 건조실(11) 외부에서 송풍관(4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건조실(11)을 지나온 공기는 공기유출구(40)를 통해 나오게 되지만, 그대로 밖으로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다시 공기유입구(30)를 향해 들어가게 되어. 폐쇄순환방식 (closed system)을 구성한다)(도 4(b) 참조).
공기는 공기유입부(30)의 입구에 설치된 송풍팬(33)에 의해 건조실(11)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팬으로, 직경이 500mm, 풍량이 120m3/min, 정압이 25mmAq인 축류 팬이 사용되었으며, 건조실(11) 내에서의 풍속은 2m/s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균일한 공기유입을 위해서, 공기유입구(30)로부터 건조실(11)까지 가이드(31) 및 다공판(32)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다공판(32)은 유입공기의 속도를 줄이는 기능도 가진다.
또한, 상기 송풍관(45) 도중에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열히터(25)가 설치되어 있어, 공기유입구(30)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열히터(25)로서 10kWh의 용량을 사용하였는데, 정밀한 온도제어를 위해 4kWh, 6kWh를 함께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송풍관(45)의 도중에는 제습용 팬(46)이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건조실(11)의 습도가 과도하게 높을 때 구동하여 제습하게 되어 있다.
한편, 건조실(11) 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공기유출구(40)와 공기유입구(30) 사이의 송풍관(45)에는 물공급 수단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 수단은, 물공급 탱크(17)와 전기보일러(16)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조실(11)의 습도가 낮을 때, 물공급 탱크(17)의 물이 전기보일러(16)에 의해 데워지고, 이 때 발생되는 증기가 상기 송풍관(45)으로 공급되게 되어 있다. 이 때, 전기보일러(16)에는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 후술하는 컴퓨터(19) 및 제어장치(20)에 의해 보일러(16)에 설치된 증기 배출구(미도시)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전기보일러(16)로의 물공급 및 보일러 내부의 압력 조절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상적인 수량계(미도시)와 압력밸브(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건조실(11)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온도센서(18) 및 습도센서(47)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유입구(30)와 공기유출구(40)에 모두 설치하였지만, 건조실(11) 내부의 적당한 지점에 설치하여도 좋다. 온도센서(18)로서 2개의 열전대(thermocouple)를 사용하였으며, 습도는 별도의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전대를 건구온도계로서 이용하고 그 옆에 습구온도계를 함께 설치하여 건구 및 습구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건ㆍ습구 온도와의 관계에 의해 상대습도를 측정하였다.
도 5와 도 6에는 상기 습도와 온도를 측정하여 소정의 값으로 유지시키는 공정이 나타나 있다.
습도의 조절공정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습도센서(47)로부터 습도가 측정되면, 이 값을 신호변환기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바꾼 다음, D/A 보드를 통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19)로 입력하고, 컴퓨터(19)에 의해 계산된 값이 A/D 보드를 통해 컨트롤러(20)로 들어가게 된다. 컨트롤러(20)에서는 그 신호를 받아 습도가 소정치보다 낮을 때는 전기 보일러(16)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켜서 수분을 공급하는 한편, 습도가 높을 때는 송풍관(45)의 도중에 있는 제습용 팬(46)을 구동함으로써 습도를 줄이게 된다.
한편, 온도의 조절공정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열전대에 의해 온도를 측정하고, 이 값을 신호변환기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바꾼 다음, D/A 보드를 통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19)에 입력하며, 컴퓨터(19)는 소정값과 비교함으로써 그 비교 결과에 따라 A/D 보드를 통해 컨트롤러(20)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에 따라, 비교결과가 신호 조절기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바뀌고, 이 신호가 증폭되어 히터(25)를 소정의 온도가 될 때까지 온(on) 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건조실(11) 내의 온도가 소정값으로 유지되게 된다.
더욱이, 건조실(11)의 하부에는 단열유리 및 이 단열유리를 통해 촬영하는 CCD카메라(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 영상처리보드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영상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컴퓨터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공정은 모두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서는, 컴퓨터 화면의 메뉴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상에서 <process> 메뉴의 <1차 건조>를 실행시키기만 하면, 지정된 온도와 습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건조기 내부의 조건이 조절된다. 또한, 일정시간 간격으로 CCD 카메라로부터 나오는 건조실 내부의 영상정보가 저장되므로, 작업과정중 불량 홍삼이 제조되는 원인과 시간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다음 번 제조공정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표 1]에는, 소정의 목표 온도 및 습도를 입력했을 경우, 1차 건조시간인 22시간 동안 건조기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계측한 결과를 나타낸다. 계측은 매 30초마다 수행하였으며,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였다.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온도와 습도가 매우 균일하다
또한, 도 3의 건조실(11)의 6지점을 정하여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목표 온도를 50℃, 60℃, 70℃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온도분포가 상하 위치에 관계없이 매우 균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의 건조실(11)의 6지점을 정하여 풍속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목표 풍속을 2m/s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풍속의 분포가 위치에 관계없이 매우 균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홍삼제조용 건조기에 의해 나오는 수율을 측정하기 위해, 홍삼을 직접 건조하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재료로는, 경기도 안성에서 구입된 1등급, 2등급삼 각 30지와, 경기도 포천에서 구입한 1등급, 2등급삼 각 30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증삼은 오토클레이브에 의해 5시간 증자되었고, 그 후 온도 75℃, 상대습도 65%, 풍속 2m/s의 조건으로 열풍건조하였으며, 2차 건조는 2주간 양건하였다. 그 결과가 아래 [표 4]에 나타나있다. 이에 따르면, 천지삼의 수율은 평균 18.8% 정도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홍삼의 건조속도를 적정하게 함으로써 제조홍삼의 터짐이나 과갈변반응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삼을 적재하는 채반을 건조실 내부에서 순환시킴으로써, 건조실 내부의 구역에 따라 온도 및 습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실 내의 공정을 영상처리장치를 이용하여 감시함으로써, 제조과정 중 발생하는 터짐현상의 원인을 규명하여, 건조조건을 정확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삼제조용 건조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홍삼제조용 건조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건조실 내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건조실 내부의 채반 회전장치의 작동구성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5는, 건조실 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건조실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컴퓨터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 홍삼제조용 건조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홍삼제조용 건조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1... 건조실
16... 전기보일러
17... 물공급 탱크
18... 온도센서
19... 제어용 컴퓨터
20... 컨트롤러
21... 구동모터
22... 체인
23... 스프로킷
24... 스프로킷 전동수단
25... 히터
27... 채반
30... 공기유입구
31... 가이드
32... 다공판
33... 송풍팬
40... 공기유출구
46... 제습용 팬
47... 습도센서
101... 건조실
102... 흡출팬
103... 환기구
104... 방열관
105... 순환팬
106... 대차
107... 채반
108... 차단벽

Claims (9)

  1. 건조실과, 건조실 내에서 인삼을 적재하는 채반과, 상기 건조실 내로 공기가 출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 및 공기유출구와, 상기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공기를 순환 구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홍삼제조용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1) 외부에서 상기 공기유입구(30)와 공기유출구(40) 사이를 연결하는 송풍관(45)과;
    전기보일러(16)를 매개로 상기 송풍관(45)의 도중에 연결되는 물공급 탱크(17)와;
    상기 건조실(11)에 설치된 구동모터(21)와;
    상기 건조실(11) 내부의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상하 지지막대(55)와;
    상기 건조실(11)내에서 서로 간격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21)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상하 지지막대(55)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2개의 스프로킷(23)과;
    상기 2개의 스프로킷(23)을 전동하는 전동수단(22)에 의해 상하로 순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채반(27)과;
    상기 건조실(11)에 설치된 온도센서(18) 및 습도센서(47)와;
    상기 온도센서(18) 및 습도센서(47)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이는 컴퓨터(19)와;
    상기 컴퓨터(19)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보일러(16)의 배출구를 개폐하거나 히터(25)를 온오프하는 컨트롤러(20)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제조용 건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1)의 내부면과, 상기 상하 지지막대(55)의 단부에는 레일과 바퀴(60)의 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제조용 건조기.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45)의 도중에는 제습용 팬(4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제조용 건조기.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1)의 일부가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고, 그 외부에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제조용 건조기.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18)와 습도센서(47)는 공기유입구(30)와 공기유출구(40)에 모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제조용 건조기.
KR10-2002-0071853A 2002-11-19 2002-11-19 홍삼제조용 건조기 KR100485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853A KR100485766B1 (ko) 2002-11-19 2002-11-19 홍삼제조용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853A KR100485766B1 (ko) 2002-11-19 2002-11-19 홍삼제조용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543A KR20040043543A (ko) 2004-05-24
KR100485766B1 true KR100485766B1 (ko) 2005-04-28

Family

ID=37339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853A KR100485766B1 (ko) 2002-11-19 2002-11-19 홍삼제조용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7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561B1 (ko) * 2012-01-04 2013-10-2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연속형 건조 및 증삼기
KR101416900B1 (ko) 2013-11-14 2014-07-09 채형원 수직이동형 건조 및 증삼기와 이를 이용한 홍삼제조시스템
KR20200017065A (ko) 2018-08-08 2020-02-18 김문철 건조물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932B1 (ko) * 2004-10-15 2006-09-19 김정호 인삼증숙장치
KR100882869B1 (ko) * 2007-09-05 2009-02-10 정하동 흑마늘 숙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14006B1 (ko) * 2011-08-22 2013-10-01 대명이엔지(주) 감 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943A (ja) * 1991-08-12 1993-02-23 Yasushi Ogawa 干柿用乾燥機
JPH0739357A (ja) * 1993-08-02 1995-02-10 Hakodate Seimo Sengu Kk 熱風乾燥装置
JPH09299020A (ja) * 1996-05-13 1997-11-25 Yasushi Ogawa 干柿用乾燥機
KR20040031402A (ko) * 2002-10-05 2004-04-13 유영미 농수산물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943A (ja) * 1991-08-12 1993-02-23 Yasushi Ogawa 干柿用乾燥機
JPH0739357A (ja) * 1993-08-02 1995-02-10 Hakodate Seimo Sengu Kk 熱風乾燥装置
JPH09299020A (ja) * 1996-05-13 1997-11-25 Yasushi Ogawa 干柿用乾燥機
KR20040031402A (ko) * 2002-10-05 2004-04-13 유영미 농수산물 건조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 8. 충남대학교, pp.39~51 참조, 이하 ''인용발명'' 이라 함)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561B1 (ko) * 2012-01-04 2013-10-2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연속형 건조 및 증삼기
KR101416900B1 (ko) 2013-11-14 2014-07-09 채형원 수직이동형 건조 및 증삼기와 이를 이용한 홍삼제조시스템
KR20200017065A (ko) 2018-08-08 2020-02-18 김문철 건조물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543A (ko) 200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563B1 (ko)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KR101118671B1 (ko) 원적외선방사히터가 구비된 오징어건조장치
KR100485766B1 (ko) 홍삼제조용 건조기
CN106722507A (zh) 一种酥脆红枣加工方法及适应该方法的联合干燥机
WO20140833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operational safety and effectiveness of cross-flow grain dryers
US3302297A (en) Dry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24159Y1 (ko) 농수산물 건조기
JP5635952B2 (ja) 乾燥装置
KR20130021744A (ko)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
KR100970572B1 (ko) 음식물 처리 장치
CN206150339U (zh) 一种往复式热风烘干机
KR100703952B1 (ko) 감압식열풍건조기
KR20150107301A (ko)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식품 건조기
KR102265293B1 (ko) 피건조물 상태 확인 가능한 하이브리드 감압식 히트펌프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피건조물의 건조 방법
CN108020052A (zh) 一种粮食烘干水含量在线检测装置
EP3755154B1 (en) Plant and method for drying foodstuffs
KR200411042Y1 (ko) 홍삼제조용 건조기
CN209300195U (zh) 一种连续式米粉老化干燥装置
KR200240692Y1 (ko) 곡물건조장치
KR101606267B1 (ko) 식품 건조기
JP3216503U (ja) 自動乾燥装置
CN110296584A (zh) 一种中药饮片烘干灭菌装置
CN215603061U (zh) 一种咖啡豆烘焙装置
CN221104739U (zh) 一种米粉生产老化自动控制装置
JPH10197150A (ja) 多連式きのこ乾燥装置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