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128B1 -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Mobile Terminal As an Input Device to a Comput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Mobile Terminal As an Input Device to a Compu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128B1
KR100483128B1 KR10-2002-0009764A KR20020009764A KR100483128B1 KR 100483128 B1 KR100483128 B1 KR 100483128B1 KR 20020009764 A KR20020009764 A KR 20020009764A KR 100483128 B1 KR100483128 B1 KR 100483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wireless terminal
wireless
application server
key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7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43564A (en
Inventor
홍범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레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레카
Publication of KR20030043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5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12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를 가시거리 내에서 게임이나 이벤트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서비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입력 장치로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program by using the wireless terminal as an input device of an application system serving a variety of application programs such as a game or an event within a visible distance.

본 발명의 시스템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가능하고 식별용 ID를 가지고 있되,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장소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상기 수행 과정 또는 상기 수행 결과를 시청하면서 키 입력을 하면, 입력된 상기 키의 키 코드를 포함하는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essible to the appli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s an ID for identification, wherein the user executes or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t the specific place. And a wireless terminal for generating a key code input signal including a key code of the input key and transmitting the key code input signal to the application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따라서, 무선 단말기를 가상의 입력 장치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입력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나 해상도, 그래픽 등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wireless terminal can be used as a virtual input device to control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re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size, resolution, graphics, etc. of the display of the input device.

Description

무선 단말기를 가시거리 내에 있는 컴퓨터의 입력 장치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Mobile Terminal As an Input Device to a Computer}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Mobile Terminal As an Input Device to a Computer}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를 가상의 입력 장치로 사용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 게임이나 이벤트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가시거리 내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무선 단말기를 가상의 입력 장치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키 코드를 입력하게 함으로써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s a virtual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application system provides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game or an event, a user views an application within a visible distance of a display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by inputting a key code into an displayed application using a wireless terminal as a virtual input device.

근래, 셀룰러 폰, PCS 폰 또는 개인 휴대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과 같은 무선 단말기는 무선 단말기에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내장하여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적극 활용되고 있다.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를 획득하거나 무선 통신 서비스 업체나 기타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게임이나 이벤트와 같은 각 종 콘텐츠를 서비스 받을 수 있다. Recently, wireless terminals such as cellular phones, PCS phones, 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ve been actively utilized to use the wireless Internet by embedding a wireless Internet browser in the wireless terminal. A user of a wireless terminal may use a wireless terminal to make a call, access to the Internet, obtain various information, or may play a game or event provid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r other Internet service provider. You can receive species content.

무선 단말기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창이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LCD 창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그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단말기에 마련된 LCD 창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에는 제약이 따르며 유선을 통하여 인터넷 정보를 획득하는 컴퓨터의 모니터처럼 한번에 다량의 정보를 확인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The wireless terminal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window, so that the user can execute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through the LCD window and obtain information provided therefrom.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LCD window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is limited, there are limitations in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cannot be checked at one time as a monitor of a computer that acquires Internet information through a wire.

또한,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무선 단말기의 LCD 창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고 단말기 성능의 제약이 있으므로, 대형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는 복잡한 어플리케이션이나 컬러 혹은 많은 그래픽 처리가 필요한 게임은 서비스 받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plays a game using a wireless terminal, since the size of the LCD window of the wireless terminal is limit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is limited, a complex application requiring a large display or a game requiring color or a lot of graphics processing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received.

한편, 통상적인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는 게임을 즐기기에 충분한 크기이지만, 일정 장소에 모인 다수의 사람들이 게임 진행 과정을 시청하기에는 그 크기가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게임을 수행하는 사람은 컴퓨터에 부속된 키보드를 사용하여 명령을 입력해야 하므로 컴퓨터의 키보드가 놓여진 자리를 이탈하여 게임을 수행할 수 없으며 하나의 키보드를 가지고는 다수의 사람들이 동시에 게임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of a typical computer is large enough to play a game, but it is not large enough for a large number of people who gather at a certain place to watch the game progress, and the person who plays the game uses a keyboard attached to the computer. Since it is necessary to input a command using a computer, it is impossible to play a game away from the place where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is plac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single keyboard does not allow a large number of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game at the same time.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가시거리 내에서 게임이나 이벤트 등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가상 입력 장치로서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wireless terminal as a virtual input device of an application system that provides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such as a game or an event within a visible distan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어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각기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식별용 ID를 가지며,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특정 장소에 있는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기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 과정 또는 수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가능하고 식별용 ID를 가지고 있되,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장소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상기 수행 과정 또는 상기 수행 결과를 시청하면서 키 입력을 하면, 입력된 상기 키의 키 코드를 포함하는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controll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has an ID for identification, a plurality of application servers for driv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which are disposed at a location that can be viewed by a user in a specific place, and which display an execution process or an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server in association with a corresponding application server; And an identification ID that is accessible to the appli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rein the user views the execution process or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pro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t the specific place. And a key terminal,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generates a key code input signal including a key code of the input key and transmits the key code input signal to the application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It is don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어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 특정 장소에 모여있는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 과정 또는 수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가능하되,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장소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상기 수행 과정 또는 상기 수행 결과를 시청하면서 키 입력을 하면, 입력된 상기 키의 키 코드를 포함하는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단말기; 상기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유선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상기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controll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n appli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for driv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 display device arranged at a location where users gathered at a specific place can watch, and displaying a process or a result of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applica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appli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f the user enters the key while watching the execution process or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pro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the specific place, input A wireless terminal for generating a key code input signal including a key code of the key and transmitting the key code input signal to the application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A client computer connectable to the Internet by wire by a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providing the client computer with an application program which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is identical to the application program provided by the application server to the client computer, and has information about a user of the client computer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And an information provision server for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each application server and a user of the client compu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 및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구동 및 제어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 과정 또는 수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키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 코드 입력 신호를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제공하는 무선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 중에서 서비스 받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 과정 또는 수행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d)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상기 수행 과정 또는 상기 수행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가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e)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server for driving and controll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execution process or result of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server, display on the display device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lication using the wireless terminal in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having a wireless terminal for providing a key code input signal for inputting a key code to the application program to the application server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in the (a) at the wireless terminal, accessing the application server; (b) selecting, at the wireless terminal,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to be serviced amo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provided by the application server; (c) at the application server,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elected by the wireless terminal to display an execution process or an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program on the display device; (d) transmitting the key code input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application server while displaying the execution process or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program on the display device; And (e) receiving, at the application server, the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received key code input sig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 및 도 2는 각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제 1 및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1 and 2 respectively show a first and a second embodiment of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단말기를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입력 장치로 사용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100 using a wireless terminal as an input device of an appl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 디스플레이 장치(120), 무선 단말기(130) 및 관리 서버(140)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applic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lication server 110, a display device 120, a wireless terminal 130, and a management server 140.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각기 인터넷(160)에 연결되어 있고, 스낵바, 카페, 프랜차이즈 업체, 커피숍, PC 방, 게임방 등과 같은 실내 공간이나 옥외에서 사용자들이 모여있는 장소에 각기 배치된 컴퓨터이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무선으로 키 코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의해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테트리스와 같은 게임 프로그램, 아바타 꾸미기나 동물 육성과 같은 오락 프로그램, 광고에 수반된 이벤트, 예컨대, 단답 형식의 퀴즈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식별용 ID를 가지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서버 식별용 ID는 각각의 무선 단말기(130)에서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를 식별하는 정보로서 사용된다. The application server 11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160, respectively, and is a computer arranged in a place where users gather in an indoor space or outdoors, such as a snack bar, a cafe, a franchise company, a coffee shop, a PC room, a game room, and the like. The application server 110 driv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that enable a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to wirelessly input key codes. The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application server 110 may include a game program such as Tetris, an entertainment program such as avatar decorating or animal rearing, an event accompanying an advertisement, for example, a quiz program in a short answer format. In addition, the application server 110 has an ID for identifying an application server, and the ID for identifying an application server is used a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corresponding application server 110 in each wireless terminal 130.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스낵바, 카페, 프랜차이즈 업체, 커피숍, PC 방, 게임 방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있는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며,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의해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20)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의 연동은 유선,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무선 또는 위성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가시거리 내에 있는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에게 보여지며,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시청하면서, 자신의 무선 단말기(130) 상의 키 보드를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 및 조작하기 위한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전송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대형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대형 모니터,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 또는 옥외의 광고 전광판 및 축구장이나 야구장의 전광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20)로서 빔 프로젝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은 스크린이나 건축물의 벽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20 is disposed at a location that can be viewed by a user in a specific place such as a snack bar, a cafe, a franchise company, a coffee shop, a PC room, a game room, and the like, in connection with the application server 110. Display the application that is powered by. The interworking between the display device 120 and the application server 110 may be performed through a wired or broadcast wireless or satellite. The screen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120 is shown to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within the viewing distance, and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watches the displayed screen, and displays a key on his wireless terminal 130. The board generates a key code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application server 110. The display device 120 is basically equipped with a speaker that outputs the sound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a large LCD (Liquid Crystal Display), a large monitor, a beam projector (Beam Projector) or outdoor advertising billboards and soccer fields or Includes the scoreboard of the ballpark. When the beam projector is used as the display device 120, the display screen may be a screen or a wall of a building.

각각의 무선 단말기(130)는 기본적으로 무선을 이용하여 인터넷(160)상의 정보를 검색 및 표시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내장하고 있으며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하여 가상 입력 장치와 같은 무선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130)는 전술한 특정 장소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시청하면서, 무선 단말기(130)의 키 보드 상에 배치된 키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 및 조작하기 위한 가상 입력 장치로서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무선 단말기(130)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키 코드 입력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면, 이 키 코드 입력 신호는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무선 통신망(150)과 인터넷(160)을 경유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로 전달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그 키 코드 입력 신호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 및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Each wireless terminal 130 has a built-in wireless Internet browser that can search and display information on the Internet 160 by using wireless, and download a program for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virtual inpu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browser. can do. In addition, while viewing the screen displayed by the display apparatus 120 at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lace, the wireless terminal 130 operates a key arranged on the keyboard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to display the screen of the display apparatus 120. It is used as a virtual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an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In other words, when the wireless terminal 130 wirelessly outputs a key code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program, the key code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0 and the Internet 160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server 110, and the application server 110 controls and manipulates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key code input signal.

본 발명에서, 가상 입력 장치라는 의미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연결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대신 무선 단말기(130)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의 입력 장치 중의 하나로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 장치, 예컨대, 무선 단말기(130)의 키 보드 내지는 키 패드를 의미한다. 가상 입력 장치는, 예를 들면, 무선 단말기(130)의 키 보드에 배치된 키를 조작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 예컨대, 테트리스와 같은 게임에 등장하는 블럭을 상하좌우 이동 및 회전시키는 조작이나, 전투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에게 공격 행위를 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단말기(130)는 셀룰러 폰, PCS 폰, 개인 휴대 통신 단말(PDA)을 포함하며, 무선 단말 ID,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서비스 업체로부터 할당받은 무선 통신 전화번호 또는 회원 ID를 가지고 있다. 무선 통신 전화번호 또는 회원 ID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각각의 무선 단말기(130)를 식별하는 정보로서 사용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virtual input device" refers to an application program using the wireless terminal 130 as one of the input devices of the application server 110 instead of controlling the application program by using th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server 110. Means a device or a keypad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to perform the control. For example, the virtual input device may move a block appearing in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server 110, for example, a game such as Tetris, by manipulating a key disposed on a keyboard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The rotating operation or the character appearing in the combat game can be instructed to attack. The wireless terminal 130 includes a cellular phone, a PCS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has a wireless terminal ID,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or member ID assign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or member ID is used as information identifying each wireless terminal 130 in the application server 110.

관리 서버(14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대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며, 무선 단말기(13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무선 단말기(130)를 가상 입력 장치로서 구동시키기 위한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준다.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은 무선 단말기(130)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 예컨대, 게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키 입력 등과 같이 무선 단말기(130)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및 키 코드 입력 신호의 포맷 등을 규정한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무선 단말기(130)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로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전송할 때, 도 3에 도시된 포맷과 같이,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서버 ID, 무선 단말기 ID, 키 코드로 구성된 일련의 키 코드 입력 신호를 형성하는 기능과 키 코드의 변환 기능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키 코드의 변환 기능은, 예컨대, 무선 단말기(130)의 키 보드에서 응용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캐릭터나 이동체를 좌로 이동시키는 키, 예컨대, 좌방향 이동 키('??')를 눌러 생성되는 키 코드가 1 바이트로서 '00000001'인 경우, 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 약정된 2 비트의 '01'이라는 키 코드로 부호화 또는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키 코드 변환 기능에 의해 무선 단말기(130)에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키 코드 입력 신호의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40)는 무선 단말기(130)로부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키 코드 입력 신호 중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 ID를 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의 실제 IP 주소로 변환하여 무선 단말기(130)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를 접속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management server 140 periodically updat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with respect to the application server 110, and executes a virtual input device program for driving the wireless terminal 130 as a virtual input device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Download and update it periodically. The virtual input device program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30 and the application server 110, such as a key input used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for example, a game provided by the wireless terminal 130 in the application server 110. Protocols defining the format of data and key code input signals, and the like. This protocol, when the wireless terminal 130 transmits a key code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program to the application server 110, as shown in Figure 3, the key code input signal, the application server ID, wireless terminal And a function of forming a series of key code input signals consisting of an ID and a key code, and a function of converting a key code. Here, the key code conversion function is generated by, for example, pressing a key for moving a character or a moving object appearing in an application program to the left, for example, a leftward moving key '??' on a keyboard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When the key code is '00000001' as 1 byte, it means that the key code is encoded or converted into a 2-bit key code '01' contracted with the application server 110. This key code conversion function can reduce the amount of data of the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140 converts the application server ID from the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to the actual IP address of the application server 110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terminal 130. And the application server 110 to be connected.

도 1의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서는 관리 서버(140)가 구비되어 있 어서 무선 단말기(130)가 관리 서버(140)의 지원을 받아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접속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관리 서버(140)가 없는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130)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의 IP 주소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무선 단말기(130)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직접 접속되게 할 수도 있다. In the wireless application system 100 of FIG. 1, a management server 140 is provided. Although the wireless terminal 130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server 110 with the support of the management server 140, otherwise, if there is no management server 140, the wireless terminal 130 in the application server 110 By directly inputting the IP address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server 110.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은 무선 단말기(130)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일대일로 접속하는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전체적인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구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wireless appl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130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server 110 in a one-to-one manner, and it is easy to construct an overall wireless application system. Has the advantage.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200)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200)은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서 인터넷(160)에 연결된 정보 제공 서버(210)와 컴퓨터 단말(220)이 더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applic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210 and a computer terminal 220 connected to the Internet 160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 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에 예시된 정보 제공 서버(210)는 유선을 이용하는 사용자, 즉, 모뎀이나 초고속 인터넷 접속 장치를 통하여 인터넷(150)에 접속하는 데스크 탑 컴퓨터나 랩탑 컴퓨터 등의 컴퓨터 단말(220)의 유선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제공하는 것과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유선 사용자에 대한 응용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예컨대, 게임 전적, 게임 등급, 게임 진행에 의해 획득한 포 인트 등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정보 제공 서버(210)에 저장된 유선 사용자의 정보는 유선 사용자와 무선 사용자가 동일인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무선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접속하여 무선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서비스 받을 수 있거나 컴퓨터 단말(220)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210)에 접속하여 유선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서비스받을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210 illustrated in FIG. 2 is a wired user, that is, a wired user of a computer terminal 220 such as a desktop computer or a laptop computer that accesses the Internet 150 through a modem or a high-speed Internet access device. Provides the same application as tha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server 110, and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for the wired user, for example, the game record, the game rating, and the game progression. It has information about int. Information of the wired user stored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210 may be shared with the application server 110 when the wired user and the wireless user are the same. Accordingly, users may access the application serv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wireless terminal 130 to receive an application program wirelessly, or may access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210 using the computer terminal 220 to wire the service. You can also get the application service.

전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20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 정보 제공 서버(210)를 이용하는 무선 사용자와 유선 사용자가 동일한 경우에 그 사용자에 관한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wireless applic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share information about the user when the wireless user and the wired user using the application server 110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210 are the same. Has the advantage.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입력 장치로서 사용되는 무선 단말기(130)가 무선 통신망(150)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키 코드를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와 달리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술 또는 무선 랜(Wireless LAN)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키 코드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130 used as an input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inputting a key code to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server 1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0. Alternatively, the key code may be input to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server 110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or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technology.

블루투스는 각종 전자 기기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이 필요없이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로서, 차세대 근거리 무선 네트워킹의 표준 기술 중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블루투스는 세계 공통으로 별도의 허가없이 이용할 수 있는 2.4 G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애물이 있어도 음성 및 데이터의 송수신이 양호하다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 무선 단말기(130)에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불루투스 통신 모듈이 내장된 무선 단말기(130)에서 키 코드 입력 신호를 2.4 GHz 대역의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내장된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로 제공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무선 단말기(130)의 키 코드 입력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Bluetooth is a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enables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t high speed using radio frequency without the need for a physical cable for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has emerged as one of the standard technologies of next-generation short-range wireless networking. Bluetooth uses the 2.4 GHz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ISM) frequency band, which can be used without permission in the world, so that voice and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ell even under obstacles. Therefore,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of 2.4 GHz band is provided in the application server 110 and the wireless terminal 13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key code inpu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in whic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is embedded. Whe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to the embedded application server 110, the application server 110 may control the application pro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20 according to the key code input signal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will be.

한편, 무선 랜은 컴퓨터들 사이 또는 컴퓨터와 기타 통신 시스템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무선 고주파(Radio Frequency)나 빛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의미한다. 무선 랜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한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정보망이 형성되므로 이동이 자유롭고 확장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컴퓨터들 또는 서버와 컴퓨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2.4 G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1 내지 2 Mbps의 데이터 전송율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선 단말기(130)에 무선 랜 모듈(도시 안됨)을 탑재하고, 무선 랜 모듈이 탑재된 무선 단말기(130)에서 액세스 포인트(도시 안됨)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 단말기(130)에서 출력된 응용 프로그램에 키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 코드 입력 신호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로 제공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무선 단말기(130)의 키 코드 입력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wireless LAN refers to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at wirelessly performs data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computers or between a computer and other communication systems using radio frequency or light. The wireless LAN system is free to move, easy to expand and maintain, since the information network is form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 access point, and 1 to 2 Mbps using a frequency of 2.4 GHz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uters or servers and computers. Perform data communication at the data rate. Therefore, a wireless LAN module (not shown) is mounted on the wireless terminal 13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ireless terminal module is mounted to the application server 110 through an access point (not shown). Can be connected. Therefore, when a key code input signal for inputting a key code to the application program output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is provided to the application server 110, the application server 110 is applied to the key code input signal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Accordingly, the application pro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20 may be controlled.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의 상세 블럭 구성도가 도시된다. 4,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application server 110 is shown.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 통신 처리부(410), 코드 변환부(420),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0)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440)를 구비한다. The application server 110 includes an application communication processor 410, a code converter 420, an application controller 430, and an application screen processor 440.

어플리케이션 통신 처리부(410)는 무선 단말기(130)와 키 코드 입력 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 무선 단말기(130)와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은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소켓(Socket)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인터넷(160)을 통하여 접속되는 각각의 무선 단말기(130)와의 통신을 위한 서버 소켓을 형성하고, 이 소켓을 통하여 해당하는 무선 단말기(13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processor 410 transmits and receives a key code input signal and data with the wireless terminal 130.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pplication server 110 and the wireless terminal 130 is performed by a socket (Socket) method well known in the art. That is, the application server 110 forms a server socket for communication with each wireless terminal 130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160, and communicates with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130 through the socket.

수신 코드 변환부(420)는 무선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키 코드 입력 신호 중에 포함된 키 코드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0)에서 인식 가능한 키 코드로 복호화 또는 변환한다. 그러나, 무선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키 코드가 부호화되어 있지 않다면 그 키 코드를 그대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0)로 제공한다. The reception code conversion unit 420 decrypts or converts the key code included in the key code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into a key code recognizable by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430. However, if the key code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is not encoded, the key code is provided to the application controller 430 as it is.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0)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수신 코드 변환부(420)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단말기(130)의 키 코드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0)는 응용 프로그램, 예컨대,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나 이동체 등에 대하여 무선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상하좌우 이동 및 회전을 위한 키 코드 입력 신호에 따라 캐릭터나 이동체의 이동 좌표를 계산하고, 무선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캐릭터나 이동체의 공격 명령에 따라 공격 명령을 처리하며, 채팅 문자를 처리한다.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430 driv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nd controls the appli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key codes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received through the reception code conversion unit 420. For example, the application controller 430 moves the character or the moving object according to a key code input signal for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and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with respect to an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a character or a moving object appearing in a game. The coordinates are calculated, the attack command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attack command of the character or the moving object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and the chat character is processed.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440)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0)와 디스플레이 장치(120)와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0)에 의해 처리되는 이동 좌표, 공격 명령 및 채팅 문자 처리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캐릭터나 이동체에 대한 화면 처리를 수행한다. The application screen processing unit 440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430 and the display device 120 to display a character or a moving object on a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movement coordinates, an attack command, and chat text processing processed by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430. Perform screen processing for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130)의 상세 블럭 구성도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5,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is shown.

무선 단말기(130)는 무선 통신망(150)을 통한 음성 통화 및 무선 인터넷 통신을 위한 통화 처리부(510), 무선 통신망(150)과 인터넷(160)을 통하여 관리 서버(140)에 접속하여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520),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 및 조작하기 위한 키 코드를 발생하는 키 패드부(530),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40),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가상 입력 장치부(550) 및 무선 단말기(13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무선 단말 제어부(560)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terminal 13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40 through the call processing unit 5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0 and the Internet 160 for voice calls and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0, a virtual input device. A wireless internet browser 520 for downloading a program, a keypad 530 for generating a key code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an application, a display 540 for display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server 110, The virtual input device program includes a virtual input device unit 550 for generating a key code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a wireless terminal control unit 560 for overall control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가상 입력 장치부(550)는 무선 단말기(130)의 제조 시에 메모리(도시안됨)에 탑재되거나 관리 서버(14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메모리에 탑재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모듈로서 키 패드 연동부(552), 입력 코드 변환부(554), 어플리케이션 서버 연동부(556)로 구성된다. The virtual input device unit 550 is a software function module that can be mounted in a memory (not shown)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or downloa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40 and mounted in the memory. ), An input code conversion unit 554, and an application server interworking unit 556.

키 패드 연동부(552)는 무선 단말기(130)의 키 패드부(530)에서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키 코드를 받아들이고, 이를 입력 코드 변환부(554)로 전달한다. The keypad interlocking unit 552 receives a key code corresponding to the key pressed by the keypad 530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and transmits the key code to the input code converting unit 554.

입력 코드 변환부(554)는 키 패드 연동부(552)로부터 입력된 키 코드를 어플 리케이션 서버(110)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키 코드로 변환한다. 예컨대, 키 패드부(530)에서 응용 프로그램, 예컨대,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나 이동체를 좌로 이동시키는 키('??')를 눌러 생성되는 키 코드가 1 바이트로서 '00000001'인 경우, 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 약정된 키 코드인 2 비트의 '01'이라는 코드로 부호화 또는 변환한다. 이와 달리, 입력 코드 변환부(5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키 코드를 부호화하지 않은채로 그대로 어플리케이션 서버 연동부(556)로 제공할 수도 있다. The input code conversion unit 554 applies the key code input from the keypad interlocking unit 552 to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server 110 converts the key code into a form that can be recognized. For example, when a key code generated by pressing a key ('??') for moving an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a character or a moving object left in the key pad unit 530, is '00000001' as 1 byte, the application is executed. Encoding or converting into a two-bit '01' code, which is a key code agreed with the server 110. Alternatively, the input code conversion unit 552 may provide the application server interworking unit 556 without encoding the key code as described above.

어플리케이션 서버 연동부(556)는 입력 코드 변환부(554)에 의해 변환된 키코드와 함께 무선 단말 식별용 ID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ID를 조합하여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키 코드 입력 신호를 무선 통신망(150) 및 인터넷(160)을 경유하여 관리 서버(140)로 전송한다. 이때, 무선 단말기(130)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 ID 대신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의 실제 IP 주소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130)에서 생성된 키 코드와 무선 단말 식별용 ID가 조합된 키 코드 입력 신호가 관리 서버(140)를 통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의 IP 주소로 연결된다. The application server interworking unit 556 generates a key code input signal by combining the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ID and the application server ID together with the key code converted by the input code conversion unit 554, and generates the generated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ssion to the management server 14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0 and the Internet 160. In this case, when the wireless terminal 130 inputs the actual IP address of the application server 110 instead of the application server ID, the key code input signal combining the key code generated by the wireless terminal 130 and the ID for identifying the wireless terminal is combined. Is connected to the IP address of the application server 110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140.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140)의 상세 블럭 구성을 도시한다. FIG. 6 show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management server 140 shown in FIG.

관리 서버(140)는 라우팅 서버(610), 웹 서버(620),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630) 및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640)를 구비한다. The management server 140 includes a routing server 610, a web server 620, a virtual input device program database 630, and an application program database 640.

라우팅 서버(610)는 무선 단말기(130)로부터 무선 통신망(150) 및 인터넷(160)을 통하여 전송되는 키 코드 입력 신호 중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 ID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의 실제 IP 주소로 변환하여 무선 단말기(130)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접속되게 한다. 그러나, 무선 단말기(130)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의 실제 IP 주소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 무선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키 코드 입력 신호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직접 제공된다. The routing server 610 converts an application server ID into an actual IP address of the application server 110 among key code input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0 and the Internet 160. 130 to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server 110. However, when the wireless terminal 130 directly inputs the actual IP address of the application server 110, a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is directly provided to the application server 110.

웹 서버(620)는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630) 및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640)를 관리한다. The web server 620 manages the virtual input device program database 630 and the application program database 640.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630)에는 무선 단말기(130)에 탑재되는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630)에 저장된 가상 입력 장치용 프로그램은 무선 단말기(130)로부터의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웹 서버(620)의 제어하에 무선 단말기(130)에 다운로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130)에 다운로드되는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은 관리 서버(140)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지만, 이동 통신 서비스업체로부터 직접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다. The virtual input device program database 630 stores a virtual input device program mounted on the wireless terminal 130, and the virtual input device program stored in the virtual input device program database 630 is download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mobile terminal 130 is downloaded to the wireless terminal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web server 6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input device program downloaded to the wireless terminal 130 may be downloa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40, or may be downloaded direct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640)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구동되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640)에 저장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은 웹 서버(620)의 제어하에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다운로드되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640)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과 함께 구동되는 각종 광고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광고 프로그램은 웹 서버(620)의 제어하에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다운로드되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된다. The application database 640 stores various applications running on the application server 110, and various applications stored in the application database 640 are downloaded to the application server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web server 620. It is update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In addition, the application database 640 stores various advertisement programs driven together with the application programs running on the application server 110, the advertisement program is downloaded to the application server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web server 620 It is update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도 6과 관련하여, 관리 서버(140)가 라우팅 서버(610) 및 웹 서버(620)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라우팅 서버(610)와 웹 서버(620)를 각기 별개의 서버로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With reference to FIG. 6, although the management server 140 is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comprised of a routing server 610 and a web server 620, as is well known in the art, the routing server 610 and the web server 620 are described. ) May be configured as separate servers.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8, and 9 as follows.

도 7은 각각의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user of each wireless terminal 130 accesses an application server 110.

먼저, 각각의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접속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서비스 받고자 하는 경우, 무선 단말기(130)의 무선 단말 제어부(560)는 무선 단말기(130) 내에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700). First, when a user of each wireless terminal 130 wants to access an application server to receive an application program, the wireless terminal controller 560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is a virtual input device in the wireless terminal 130. It is checked whether a program exists (step S700).

이때, 무선 단말기(130) 내에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으면, 무선 단말 제어부(560)는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620)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140)에 접속하여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도록 한다(단계 S710). In this case, if the virtual input device program does not exist in the wireless terminal 130, the wireless terminal controller 560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140 using the wireless internet browser 620 to download the virtual input device program ( Step S710).

그 다음,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부(640)에 표시되는 가상 입력 장치 프로그램의 아이콘(도시 안됨)을 선택하고 이를 클릭하면, 가상 입력 장치부(550)가 구동되어 도 9a에 예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20) 또는 무선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부(540)에 제공된다(단계 S720).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제공되는 화면을 주 화면으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무선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부(540)상의 화면을 보조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Next, when the user selects an icon (not shown) of the virtual input device pro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40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and clicks it, the virtual input device unit 550 is driven and illustrated in FIG. 9A.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540 of the display apparatus 120 or the wireless terminal 130 (step S720). Accordingly, the user may use the screen provided on the display device 120 as the main screen and use the screen on the display unit 540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as the sub screen as necessary.

도 9a의 화면에는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의 번호를 입력하세요."라는 지시문과 함께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번호를 입력하는 공간이 제공된다. 여기서 접속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스낵바, 카페, 프랜차이즈 업체, 커피숍, PC 방, 게임방 등의 특정 장소나 옥외에서 가시거리 내에 있는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들에게 응용 프로그램을 서비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이며, 서버의 번호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게 할당된 ID이다. In the screen of FIG. 9A, a space for inputting a number of an application server is provided together with a directive of "Enter a number of a server to be connected." Here, the application server to be connected is an application server 110 that serves an application to users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in a specific place or outdoors, such as a snack bar, cafe, franchise, coffee shop, PC room, game room, etc. ), And the server number is an ID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server 110.

서버의 번호를 입력하라는 지시에 따라, 무선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부(540) 상의 서버 번호 입력 공간에 서버의 ID, 예컨대, '2873452'가 입력되면, 무선 단말기(130)의 가상 입력 처리 장치부(550)에서 도 3에 예시된 포맷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 ID와 해당 무선 단말기 ID가 조합된 키 코드 입력 신호가 무선 통신망(150) 및 인터넷(160)을 경유하여 관리 서버(140)로 전달된다(단계 S730). When the server ID, for example, '2873452' is input to the server number input space on the display unit 540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to input the server number, the virtual input processing apparatus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In unit 550, a key code input signal in which the application server ID and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ID are combined in the format illustrated in FIG. 3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4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0 and the Internet 160 ( Step S730).

그 다음, 관리 서버(140)에서 무선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된 키 코드 입력 신호 중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ID가 IP 주소로 변환되어 무선 단말기(130)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의 접속이 이루어진다(단계 S740). Next, the application server ID in the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is conver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40 to an IP address, thereby 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30 and the application server 110 (step S740). .

이후,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제공되는 도 9b의 화면을 참조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한다(단계 S750). Thereafter,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selects an application program by referring to the screen of FIG. 9B provided by the application server 110 (step S750).

도 9b의 화면 역시 무선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부(540)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20)에도 디스플레이되며, 이 화면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1. 게임 "과 "2. 채팅" "3. 퀴즈" 항목이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게임 항목을 선택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서비스되는 각종 게임을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보면서 즐길 수 있고, 채팅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들끼리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보면서 채팅을 즐길 수 있으며, 퀴즈 항목을 선택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통하여 제공하는 각종 퀴즈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The screen of FIG. 9B is also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s well as the display unit 540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The screen includes the words "1. Game" and "Welcome to the application server". 2. Chat "3. Quiz" item is provided. Here, when the user selects a game item as an application, the application Various games serviced by the server 110 can be enjoyed while viewing the display device 120, and if a chat item is selected, users can enjoy chatting while watching the display device 120, and if a quiz item is selected, The server 110 may participate in various quiz programs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120.

본 발명은 스낵바, 카페, 프랜차이즈 업체, 커피숍, PC 방, 게임방 등의 특정 장소 또는 옥외에 배치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동일 장소에 있는 다수의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시스템이지만,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동시에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사용자의 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선택된 몇 사람의 사용자씩 번갈아 가면서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를 이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한번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종료될 때까지의 서비스 기간마다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들의 신청을 받아 응용 프로그램을 서비스 받을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들을 선택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각각의 서비스 기간마다 이벤트를 수반한 광고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hares a display device 120 disposed at a specific place such as a snack bar, a cafe, a franchise company, a coffee shop, a PC room, a game room, or outdoors, among users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130 at the same place. Although the system is limited, the number of users who can simultaneously receive a single application program is limited, so it is necessary to alternately use the selected application user service. Therefore, the application server 110 receives the user's application of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at each service period until one or more applications are started and terminated at the same time to receive the users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to receive the application program service. Choose.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server 110 may provide an advertisement program accompanying an event for each service period.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서비스 받을 사용자가 선택되고, 이들 사용자에 의해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각각의 무선 단말기(130)의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에 키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 코드 입력 신호, 예컨대, 게임의 경우에는 그 게임에 등장하는 이동체나 캐릭터에 대하여 이동 명령이나 공격 명령 또는 채팅 문자 등을 무선 단말기(130)의 키 패드부(530)를 누름으로써 생성한다(단계 S760). When a user to be serviced with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server 110 is selected and the application is selected by these users, the user of each wireless terminal 130 inputs a key code for inputting a key code into the application. In the case of a signal, for example, a game, a moving command, an attack command, a chat character, or the like is generated for a moving object or a character appearing in the game by pressing the keypad 530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step S760).

그 다음, 무선 단말기(130)의 키 패드부(530)에서 생성된 키 코드는 입력 코드 변환부(554)에 의해 부호화된다(단계 S770). 이 때, 키 패드부(530)에서 생성된 키 코드는 입력 코드 변환부(554)에 의해 부호화되지 않고 그대로 어플리케이션 서버 연동부(556)로 제공될 수도 있다. Then, the key code generated in the key pad section 530 of the wireless terminal 130 is encoded by the input code converting section 554 (step S770). In this case, the key code generated by the key pad unit 530 may be provided to the application server interworking unit 556 without being encoded by the input code conversion unit 554.

이후, 입력 코드 변환부(554)에 의해 부호화된 키 코드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연동부(556)에 의해 도 3에 예시된 포맷으로 구성되어 무선 통신망(150)과 인터넷(160)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로 전송된다(S770). Subsequently, the key code encoded by the input code conversion unit 554 is configured in the format illustrated in FIG. 3 by the application server interworking unit 556 to provide the application server 11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0 and the Internet 160. ) Is transmitted (S770).

도 8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서 무선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된 키 코드 입력 신호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in the application server 110.

도 7에서 설명된 과정을 통하여 무선 단말기(130)와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단계 S800)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20)는 무선 단말기(130)에서 선택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한다(단계 S810). In a state where connection is made with the wireless terminal 130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step S800),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420 of the application server 110 drives an application program selected by the wireless terminal 130 (step S810).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응용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중에 무선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된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수신된 키 코드 입력 신호는 무선 단말 연동부(410)를 거쳐 수신 코드 변환부(420)로 제공된다(단계 S820). The application server 110 receives the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is running, and the received key code inpu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interworking unit 410 and receives the code conversion unit 420. (Step S820).

이 때,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0)는 키 코드 입력 신호에 포함된 키 코드가 부호화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830), 부호화되어 있다면 단계(S840)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S850)로 진행한다.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430 determines whether the key code included in the key code input signal is encoded (step S830), and if so, proceeds to step S840, otherwise proceeds to step S850.

단계(S840)에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0)는 수신 코드 변환부(420)를 이용하여 수신된 키 코드를 원래의 키 코드로 복호화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In operation S840, the application controller 430 decrypts the received key code to the original key code by using the reception code converter 420.

이후, 단계(S850)에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0)는 무선 단말기(130)로부터의 전송된 키 코드 입력 신호에 포함된 키 코드를 응용 프로그램에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이동체나 캐릭터를 제어하도록 하거나 채팅 문자를 표시한다. Subsequently, in step S850, the application controller 430 inputs a key code included in the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30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reby displaying the application pro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20. Show control of moving objects or characters, or display chat characters.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스크 탑 컴퓨터나 인터넷 서버 등에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무선 단말기를 입력 장치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나 해상도, 그래픽 등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wireless appl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pplications are driven by a desktop computer or an Internet server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various application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wireless terminal as an input device. Since it can be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constraints such as the size, resolution, graphics of the display of the wireless terminal.

또한, 인터넷 콘텐츠, 게임 및 이벤트를 즐길 경우, 본 발명의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주화면으로 사용하고,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보조 화면으로 사용하여 인터넷 콘텐츠, 게임 및 이벤트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enjoying the Internet content, games and events, using the screen provided by the wireless appl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main screen, using the display of the wireless terminal as an auxiliary screen can enjoy the Internet content, games and events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스템에는 가상 입력 장치로서 여러개의 무선 단말기가 연결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이는 가시거리 범위 내에서는 이들 무선 단말기를 어느 위치에서나 가상 입력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하나의 시스템에 하나의 입력 장치만을 일정 거리 내에서만 연결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ystem providing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can be connected as a virtual input device, and these wireless terminals can be used as virtual input devices at any position within the visible range of the display device. As a result, in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connecting only one input device to a system within a certain dista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키 코드 입력 신호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of a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shown in FIGS. 1 and 2;

도 4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상세 블럭 구성도,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단말기의 상세 블럭 구성도, 5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관리 서버의 상세 블럭 구성도, 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management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ccessing an application server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키 코드 입력 신호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a wireless terminal in an applic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는 도 7과 관련하여 무선 단말기에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9A and 9B illustrate screens provided to a wireless terminal in relation to FIG. 7.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200 :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110 : 어플리케이션 서버 100, 200: wireless application system 110: application server

120 : 디스플레이 장치 130 : 무선 단말기 120: display device 130: wireless terminal

140 : 관리 서버 150 : 무선 통신망 140: management server 150: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60 : 인터넷 210 : 정보 제공 서버 160: the Internet 210: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Claims (19)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어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In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controll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각기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식별용 ID를 가지며,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A plurality of application servers, each connected to the Internet, each having an identification ID, for driv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특정 장소에 있는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기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 과정 또는 수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which are disposed at a location that can be viewed by a user in a specific place, and which display an execution process or an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server in association with a corresponding application server; And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가능하고 식별용 ID를 가지고 있되,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장소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상기 수행 과정 또는 상기 수행 결과를 시청하면서 키 입력을 하면, 입력된 상기 키의 키 코드를 포함하는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단말기 It is accessible to the appli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s an ID for identification, while the user watches the execution process or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pro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t the specific place. When a key is input, the wireless terminal generates a key code input signal including the key code of the input key and transmits the key code input signal to the application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Wireless application system comprising a.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어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In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controll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 An appli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configured to drive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특정 장소에 모여있는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 과정 또는 수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device arranged at a location where users gathered at a specific place can watch, and displaying a process or a result of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application device;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가능하되,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장소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상기 수행 과정 또는 상기 수행 결과를 시청하면서 키 입력을 하면, 입력된 상기 키의 키 코드를 포함하는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과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단말기;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appli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f the user enters the key while watching the execution process or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pro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the specific place, input A wireless terminal for generating a key code input signal including a key code of the key and transmitting the key code input signal to the application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상기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유선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A client computer connectable to the Internet by wire by a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상기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정보 제공 서버 Connected to the Internet, providing the client computer with the same application program as the application program provided by the application server to the client computer, and having information about a user of the client computer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Providing server for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server and the user of the client comput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Wireless application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식별용 ID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가 전달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The identification ID of each application server is used to designate a specific application server to which the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is transmitted.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은, The wireless application system,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식별용 ID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IP 주소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되도록 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And a management server for converting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application server into an IP address of the application server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pecific application server.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식별용 ID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application server is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of the application server.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용 ID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무선 단말기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wireless terminal is used by the application server to identify the wireless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용 ID는 상기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업체로부터 할당받은 무선 통신 전화번호 또는 회원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or member ID assigned by a service compan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입력되기 위한 키 코드와 함께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식별 ID, 상기 무선 단말 식별 ID가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And the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is a combination of the application server identification ID and the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ID together with a key code to be input to the application progra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The application server, 상기 무선 단말기와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통신 처리부; An application communication process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key code input signal and data with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및 An application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 An application screen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controller;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Wireless application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무선 단말기는,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무선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화 처리부; A call processor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data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server;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 및 조작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작키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조작키에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키 코드를 생성하는 키 패드부; A keypad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the application program and generating a key code corresponding to a key selected from the operation key; 상기 키 패드부 상에서 생성된 키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키 코드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가상 입력 장치부; 및 A virtual input device unit generating a key code input signal for inputting a key code to the application pro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key code generated on the key pad unit; And 상기 통화 처리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키 패드부 및 상기 가상 입력 장치부를 제어하는 무선 단말 제어부 A wireless terminal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all processor, the display, the keypad, and the virtual input device.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Wireless application system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가상 입력 장치부는, The virtual input device unit, 상기 무선 단말기의 상기 키 패드부에서 생성된 키에 대응하여 생성된 키 코드를 수신하는 키 패드 연동부; 및 A keypad interlock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key code generated corresponding to a key generated in the keypad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상기 키 패드 연동부에서 수신된 키 코드와 함께 무선 단말 식별 ID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식별 ID를 조합하여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인터넷을 경유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식별 ID를 갖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연동부 The key code input signal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ID and the application server identification ID together with the key code received by the keypad interworking unit. Application server interworking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application server having the application server identification ID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Wireless application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은 상기 인터넷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무선 단말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간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대역을 갖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claim 1 or 2,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communication band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serv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Internet. Application syste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은 상기 무선 단말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간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대역을 갖는 무선 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The wireless appl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communication band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serv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의 연동은 유선,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무선 또는 위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Interworking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application server is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via a wireless or satellite using a wired, broadcasting method.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 및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구동 및 제어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 과정 또는 수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키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 코드 입력 신호를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제공하는 무선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n application server for driving and controll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process or a result of executing the application program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server, and inputting a key code to the application pro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lication using the wireless terminal in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having a wireless terminal for providing a key code input signal for the application server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a)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a) at the wireless terminal, accessing the application server; (b)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 중에서 서비스 받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단계; (b) selecting, at the wireless terminal,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to be serviced amo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provided by the application server; (c)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 과정 또는 수행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at the application server,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elected by the wireless terminal to display an execution process or an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program on the display device; (d)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상기 수행 과정 또는 상기 수행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가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d) transmitting the key code input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application server while displaying the execution process or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program on the display device; And (e)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단계 (e) receiving, at the application server, the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received key code input sig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 제어 방법. Application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application system comprising a.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방법은, The method, 상기 단계 (b) 이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신청하는 무선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참여할 무선 단말기를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 제어 방법. Prior to the step (b), the application serv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lecting a wireless terminal to participate in the application from among the wireless terminals applying to participate in the application program application control of the wireless application system Way.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가 전달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서버 식별용 I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 제어 방법. And the application server has a server identification ID used to designate a specific application server to which the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is transmitted.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무선 단말기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단말 식별 ID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 제어 방법. And wherein said wireless terminal has a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ID used by said application server to identify said wireless terminal.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or 18,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상기 키 코드 입력 신호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입력되는 키 코드와 함께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식별 ID, 상기 무선 단말 식별 ID가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 제어 방법. The key cod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is combined with the application server identification ID and the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ID together with the key code input to the application program.
KR10-2002-0009764A 2001-11-27 2002-02-23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Mobile Terminal As an Input Device to a Computer KR1004831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207A KR20010110400A (en) 2001-11-27 2001-11-27 Methodology and system for utilizing mobile terminal as a input device to the system located in visibility range.
KR1020010074207 2001-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564A KR20030043564A (en) 2003-06-02
KR100483128B1 true KR100483128B1 (en) 2005-04-14

Family

ID=295715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207A KR20010110400A (en) 2001-11-27 2001-11-27 Methodology and system for utilizing mobile terminal as a input device to the system located in visibility range.
KR10-2002-0009764A KR100483128B1 (en) 2001-11-27 2002-02-23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Mobile Terminal As an Input Device to a Comput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207A KR20010110400A (en) 2001-11-27 2001-11-27 Methodology and system for utilizing mobile terminal as a input device to the system located in visibility ran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11040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453B1 (en) 2005-08-03 2006-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pplication run on personal computer by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1348139B1 (en) 2012-09-14 2014-01-16 (주)네오위즈게임즈 Method connecting of mobile device and user terminal,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370B1 (en) * 2003-11-21 2010-08-20 (주)에이치시티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wireless terminal as a input device of a Remote Screen Control System
KR100783665B1 (en) * 2005-05-18 2007-12-10 신성수 The interactive method of information service using wireless devices and display devices
KR100837072B1 (en) * 2007-03-15 2008-06-11 박찬호 Marketing method and internet portal contents ser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p-based dispaly device
KR101014792B1 (en) * 2008-12-31 2011-02-14 정관선 Outdoor lighting device
KR101602461B1 (en) 2009-09-22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phone
KR102011360B1 (en) 2012-09-10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on device and apparatus thereto
KR101417439B1 (en) * 2012-11-30 2014-07-08 중소기업은행 Virtual desktop system and method
KR101506266B1 (en) * 2014-02-13 2015-03-26 주식회사 하이로시 Smart digital score board
KR102243532B1 (en) * 2019-02-08 2021-04-22 주식회사 센스톤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devices using virtual code based on unique valu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493A (en) * 2000-09-06 2000-12-05 임동희 The method for using a PDA as a controling terminal for a PC on wireless internet.
KR20010000287A (en) * 2000-09-06 2001-01-05 이사영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comput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10067976A (en) * 2001-04-12 2001-07-13 이경일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computer using intern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493A (en) * 2000-09-06 2000-12-05 임동희 The method for using a PDA as a controling terminal for a PC on wireless internet.
KR20010000287A (en) * 2000-09-06 2001-01-05 이사영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comput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10067976A (en) * 2001-04-12 2001-07-13 이경일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computer using intern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453B1 (en) 2005-08-03 2006-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pplication run on personal computer by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1348139B1 (en) 2012-09-14 2014-01-16 (주)네오위즈게임즈 Method connecting of mobile device and user terminal,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400A (en) 2001-12-13
KR20030043564A (en)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1940B2 (en)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display system and content display method
US8892087B2 (en) Cell phone multimedia controller
US9024734B2 (en) Remote control device, a far-end device, a multimedia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83128B1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Mobile Terminal As an Input Device to a Computer
US10362158B2 (en)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30237185A1 (en) Mobile rich media information system
US20040259577A1 (en) System and method of simulating interactivity with a broadcoast using a mobile phone
CN113542825B (en) Screen projection display method, system,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50113068A1 (en) Barcode, sound and collision for a unified user interaction
KR1007644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connection to pc
KR100777178B1 (en) Method for internet multiuser game using personal computer and wireless terminals simultaneously
KR20020061341A (en) The remote gaming system with various microrobot on internet
EP1282271A1 (en) Interactive information delivery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an interactive information delivery system
KR100652623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network game execution method
KR100783665B1 (en) The interactive method of information service using wireless devices and display devices
KR100360952B1 (en) Method to provide service of maze game by portable terminals
KR100944057B1 (en) Wireless Computer Input-Output Equipment
KR20060116455A (en) Method for playing the game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7935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tyle coordinating service using b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150133573A (en) Advertisement-system in the mobile messenger screen
KR20030092407A (en) On-line Gam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Internet
KR20050104196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helping for attainment of one&#39;s go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