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125B1 - 전자펜을이용한문자입력장치및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펜을이용한문자입력장치및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125B1
KR100477125B1 KR1019970052997A KR19970052997A KR100477125B1 KR 100477125 B1 KR100477125 B1 KR 100477125B1 KR 1019970052997 A KR1019970052997 A KR 1019970052997A KR 19970052997 A KR19970052997 A KR 19970052997A KR 100477125 B1 KR100477125 B1 KR 100477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window
data
character
electronic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065A (ko
Inventor
오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5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125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전자펜; 상기 전자펜을 통해 사용 언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 선택창, 상기 전자펜을 통해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선택창, 상기 언어 선택창을 통해 한글 입력을 선택한 경우,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각각 입력받는 초성 문자창, 종성 문자창, 종성 문자창을 포함하는 세분화된 문자 입력창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문자 입력부; 상기 전자펜이 상기 문자 입력부를 터치하여 발생하는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펜의 터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가 설정 범위안에 포함되는 지를 판단하고, 발생하는 데이터가 설정 범위안에 포함될 경우, 상기 문자 입력부로 데이터가 입력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가 입력된 문자창의 종류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문자 입력 제어부; 및 문자 입력 제어부와 연결되어, 입력창에 쓰여지는 데이터를 해당 상태로 출력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전자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 각 해당 입력창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하나의 완성된 데이터를 출력하므로, 처리 데이터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켜 사용되는 메모리 장치의 용량을 줄일 수 있고, 데이터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문자를 입력할 경우, 각 입력창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각각 처리하므로 좀더 여러개의 필체를 처리할 수 있어 문자의 인식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이 발명은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자펜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는 입력창을 다수개로 분할하여 하나의 완성된 문자로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고 각 개별적으로 입력되는 문자 구성 요소마다 데이터 처리하여 하나의 문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장치의 입력 장치로는 키보드가 주로 사용되어, 원하는 문자가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키보드를 능숙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키보드의 자판의 위치를 모두 정확하게 기억하고, 정해진 손가락으로 정확하게 해당하는 자판을 선택해야 한다. 그러므로 능숙하고 정확하게 키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의 숙달 동작과 연습이 필요하다. 때문에 키보드의 사용이 능숙하지 못한 경우는 데이터의 입력 속도가 느리고 오타 등의 잘못된 데이터가 입력되어, 컴퓨터의 작업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키보드의 점유 면적이 크기 때문에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불편함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키보드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자펜이나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입력 장치를 대신하는 컴퓨터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전자펜을 이용할 경우, 직접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나 숫자를 정해진 장치 위에 쓰면 되므로, 커다란 어려움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하는 데이터의 입력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자펜을 이용하여 컴퓨터로의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 문자가 입력되는 입력창은 종래에는 하나로 이루어져 있었다.
따라서 하나의 완전한 문자로 데이터의 처리 동작을 실행해야 하므로,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고 긴 데이터 처리 시간이 요구된다.
즉, 만약 한글을 입력할 경우, 한글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한글을 입력할 경우, 초성과 중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모든 글자와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모든 글자 중에서, 현재 입력되는 하나의 문자를 정확하게 판정하여 출력해야 한다.
그러므로 입력되는 문자를 비교하기 위한 수천개의 글자에 해당하는 비교 데이터를 필요로 하고, 수천개의 비교 데이터 중에서 정확하게 현재 입력되는 문자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수천개의 비교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의 메모리 장치가 요구되며, 일일이 많은 데이터 양 중에서 하나의 해당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많은 시간의 데이터 처리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전자펜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경우, 한 문자의 입력 시간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정상적인 문자 입력을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설정된 시간안에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 입력 훈련을 거쳐야 한다.
그리고 사람마다의 필체가 다양하여 모든 필체를 지원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의 범위 안에서 문자 입력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자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 입력창을 대수개의 창으로 세분화하여 각 창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만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전자펜;
상기 전자펜을 통해 사용 언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 선택창,
상기 전자펜을 통해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선택창,
상기 언어 선택창을 통해 한글 입력을 선택할 경우,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각각 입력받는 초성 문자창, 종성 문자창, 조성 문자창,
을 포함하는 세분화된 문자 입력창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부;
상기 전자펜이 상기 문자 입력부를 터치하여 발생하는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펜의 터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가 설정 범위안에 포함되는 지를 판단하고, 발생하는 데이터가 설정 범위안에 포함될 경우, 상기 문자 입력부로 데이터가 입력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가 입력된 문자창의 종류에 따른 선택한 후, 선택된 입력창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각 입력창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사용되는 언어의 종류나 문자의 종류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문자 입력 제어부; 및
문자 입력 제어부와 연결되어, 입력창에 쓰여지는 데이터를 해당 상태로 출력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는, 상기 언어 선택창을 통해 한글 입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초성 문자창, 종성 문자창, 종성 문자창을 통해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입력받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a) 문자 입력부나 화면 표시부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문자 입력부(이때, 문자 입력부는 상기 전자펜을 통해 사용 언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 선택창, 상기 전자펜을 통해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선택창, 상기 언어 선택창을 통해 한글 입력을 선택한 경우,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각각 입력받는 초성 문자창, 종성 문자창, 종성 문자창을 포함함)나 화면 표시부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전자펜의 터치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좌표값을 판독하는 단계와;
(c) 상기 판독된 좌표값을 판단하여, 상기 전자펜의 터치 위치에 해당하는 입력창을 선택하여, 선택된 입력창에 따라 입력되는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원하는 언어의 종류나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와;
(d) 상기 전자펜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의 좌표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엔, 상기 전자펜을 포인터로 작동시키는 단계와;
(e) 상기 전자펜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의 좌표값이 설정된 좌표값 안에 포함되나, 각 입력창의 설정 좌표값 안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엔, 각 입력창의 경계면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발생한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문자 입력부의 언어 선택창을 통해 한글 입력이 선택된 경우,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입력받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인터럽트 신호는 전자펜이 문자 입력부나 화면 표시부에 터치되면 발생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분화된 입력창의 예시 화면도이고,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1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면,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포인터로 작동하는 전자펜(1)과,
제1∼제5입력창(21∼25)으로 세분화되어 있고, 상기 전자펜(1)을 이용하여 각 해당 입력창(21∼25)에 원하는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쓰여지고, 사용되는 언어의 종류나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는 문자 입력부(2)와,
상기 전자펜(1)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부(2)의 각 해당 입력창(21∼25)에 데이터가 입력되면, 각 해당하는 입력창(21∼25)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하나의 완성된 문자나 숫자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입력 제어부(3)와,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3)를 통해 각 입력창(21∼25)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문자 입력부(2)는 상기 화면 표시부(4) 중 일부분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3에 도시된 것처럼 문자 입력부(2)를 5개의 입력창(21∼25)으로 세분화시키고, 각 접점을 X축과 Y축으로 구분하여, 도시한 것과 같은 좌표들을 각 해당 접점에 부여하여, 전자펜(11)에 의한 문자 입력부(2)의 터치 위치에 따라 각 해당하는 X축과 Y축의 데이터를 발생한다.
도3a 내지 도3c를 참고로 하여, 해당 입력창의 인식 동작과 데이터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도3a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 문자 입력 제어부(3)의 동작이 시작되면(S10), 문자 입력 제어부(3)는 문자 입력부(2)나 화면 표시부(4)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
전자펜(1)이 문자 입력부(2)나 화면 표시부(4)에 터치(touch)되면 문자 입력부(2)나 화면 표시부(4)는 문자 입력 제어부(3)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므로,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펜(1)에 의한 문자 입력부(2)나 화면 표시부(4)의 터치 동작에 의해,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전자펜(1)의 터치 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좌표값을 판독한다(S12).
그러나 전자펜(1)에 의한 문자 입력부(2)나 화면 표시부(4)의 터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엔, 계속해서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12)에서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으로 전자펜(1)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를 판독하면,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전자펜(1)의 터치 동작으로 발생하는 X축의 값과 Y축의 값이 설정 범위 안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13).
설정된 범위안에 발생하는 데이터의 X축 값과 Y축 값이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전자펜(1)이 문자 입력부(2)가 아닌 화면 표시부(4)의 어느 일정 부분을 터치한 상태로 판단하여, 전자펜(1)이 포인터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S14).입력 동작을 종료한다(S100).
그러나 발생하는 데이터의 X축과 Y축 범위가 설정 범위안에 포함될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Y축의 값을 판단한다.
따라서 Y축의 데이터가 제1접점(Y1)과 제2접점(Y2) 사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15), 발생된 Y축 데이터의 값이 제1접점(Y1)과 제2접점(Y2) 사이에 존재할 경우엔 도2의 제1∼제5입력창(21∼25)창 중에서 첫 번째 행에 해당하는 제1∼제3입력창(언어 선택창, 문자 입력1, 문자 입력2,21∼23)에 대한 문자 입력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그러나 Y축의 데이터가 제1접점(Y1)과 제2접점(Y2) 사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Y축의 제2접점(Y2)과 제3접점(Y3) 사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16).
판독된 Y축의 데이터가 제2접점(Y2)과 제3접점(Y3) 사이에 존재할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도2의 제1∼제5입력창(21∼25) 중에서 두 번째 행에 해당하는 제4 및 제5입력창(특수/숫자/그래픽 입력, 문자 입력3, 특수 문자 입력, 숫자 입력, 24,25)에 대한 문자 입력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그러나 Y축의 데이터가 제2접점(Y1)과 제3접점(Y2) 사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Y축의 발생 데이터는 제1∼제5입력창(21∼25)들을 구분하기 위한 경계선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판정하고, 에러 상태로 처리하여 입력 데이터를 무시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에러 보정 동작을 실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오동작을 보정한다(S17).
다음으로 도3b를 참고로 하여 입력창 중에서 첫 번째 행에 해당하는 제1∼제3입력창(언어 선택창, 문자 입력1, 문자 입력2, 21∼23))에 대한 문자 입력 제어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자펜(1)의 터치 동작에 의해 발생되어 판독된 Y축의 데이터가 Y축의 제1접점(Y1)과 제2접점(Y2) 사이에 존재할 경우, 문자 입력 제어부(3)는 X축의 데이터가 제1접점(X1)과 제2접점(X2) 사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21).
전자펜(1)의 터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X축의 데이터가 상기 범위(X1<X<X2) 안에 포함될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전자펜(1)에 의한 터치 동작에 의해 제1입력창(21)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발생된 상태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제1입력창(21)의 선택 동작을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 즉, 영문이나 한글 등의 문자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실행하여, 원하는 언어로의 문자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22).
그러나 상기 단계(S21)에서 판단된 X축의 데이터가 제1접점(X1)과 제2접점(X2) 사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X축의 데이터가 제2접점(X2)과 제3접점(X3) 사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23).
전자펜(1)의 터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X축의 데이터가 상기 범위(X2<X<X3) 안에 포함될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전자펜(1)에 의해 제2입력창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발생한 상태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입력되는 문자, 즉 한글의 경우엔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을 각 해당하는 비교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를 화면 표시부(4)로 출력하므로, 전자펜(1)에 의해 쓰여진 데이터가 화면 표시부(4)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S24).
그러나 상기 단계(S23)에서 판단된 X축의 데이터가 제2접점(X2)과 제3접점(X3) 사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X축의 데이터가 제3접점(X3)과 제4접점(X4) 사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25).
전자펜(1)의 터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X축의 데이터가 상기 범위(X3<X<X4) 안에 포함될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전자펜(1)에 의해 제3입력창이 선택된 상태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입력되는 문자, 즉 한글의 경우엔 중성에 해당하는 모음을 각 해당하는 비교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를 화면 표시부(4)로 출력하여, 전자펜(1)에 의해 쓰여진 데이터가 화면 표시부(4)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S26).
그러나 상기한 범위내에 전자펜(1)에 의해 발생되는 X축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X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입력창들을 구분하기 위한 경계선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판정하고, 에러 상태로 처리하여 입력 데이터를 무시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에러 보정 동작을 실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오동작을 보정한다(S27).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어 동작(S21∼S27)에 의해 첫 번째 행에 해당하는 제1∼제3입력창(21∼23)의 제어 동작을 실행하여, 전자펜(1)에 의해 쓰여진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c를 참고로 하여 두 번째 행에 존재하는 제4 및 제5입력창(특수/숫자/그래픽 입력, 문자 입력, 특수 문자, 숫자 입력,24,25)의 선택 동작을 설명한다.
전자펜(1)의 터치 동작에 의해 발생되어 판독된 Y축의 데이터가 Y축의 제2접점(Y2)과 제3접점(Y3) 사이에 존재할 경우, 문자 입력 제어부(3)는 X축의 데이터가 제1접점(X1)과 제2접점(X2) 사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1).
전자펜(1)의 터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X축의 데이터가 상기 범위(X1<X<X2) 안에 포함될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전자펜(1)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가 제4입력창(24)에서 발생한 상태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전자펜(1)에 의한 선택 동작에 의해, 특수 문자나, 숫자, 또는 그래픽중 해당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선택하여, 특수 문자나 숫자 또는 그래픽의 입력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S32).
그러나 상기 단계(S31)에서 판단된 X축의 데이터가 제1접점(X1)과 제2접점(X2) 사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X축의 데이터가 제2접점(X2)과 제3접점(X4) 사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3).
전자펜(1)의 터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X축의 데이터가 상기 범위(X2<X<X4) 안에 포함될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전자펜(1)에 의해 제5입력창이 선택된 상태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문자 입력 제어부(3)는 입력되는 문자, 한글의 경우엔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을 각 해당하는 비교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를 화면 표시부(4)로 출력하여, 전자펜(1)에 의해 쓰여진 데이터가 화면 표시부(4)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S34).
이때, 제5입력창(25)으로 입력되는 데이터가 ? 마크일 경우나, 제5입력창(25)으로 전자펜(1)을 이용하여 다시 한번 클릭할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도움말" 메시지를 화면 표시부(4)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좀더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전자펜(1)의 터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X축의 데이터가 상기 단계(S31,S32)에서 설정한 범위안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엔, 문자 입력 제어부(3)는 X축의 발생 데이터를 입력창들을 구분하기 위한 경계선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판정하고, 에러 상태로 처리하여 입력 데이터를 무시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에러 보정 동작을 실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오동작을 보정한다(S35).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입력창(21)과 제4입력창(21)의 선택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 즉, 한글, 영문, 일어 등 언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또 특수 문자나, 숫자 또는 그랙픽 중 원하는 항목의 선택으로 데이터의 종류도 사용자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3 및 제5입력창(22,23,25)으로 각각 입력되는 데이터를 각 해당 입력창(22,23,25)에 입력되는 있는 데이터 중에서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의 선별 동작을 통해, 하나의 완전한 문자가 아닌 각각 입력창(22,23,25)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화면 표시부(4)로 표시하여 하나의 완성된 문자가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전자펜(1)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 각 해당 입력창(21∼25)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처리한 후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하나의 완성된 데이터를 출력하므로, 처리 데이터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켜 사용되는 메모리 장치의 용량을 줄일 수 있고, 데이터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문자를 입력할 경우, 각 입력창(21∼25)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각각 처리하므로 좀더 여러개의 필체를 처리할 수 있어 문자의 인식율이 향상된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분화된 입력창의 예시 화면도이고,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Claims (3)

  1.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전자펜;
    상기 전자펜을 통해 사용 언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 선택창,
    상기 전자펜을 통해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선택창,
    상기 언어 선택창을 통해 한글 입력을 선택한 경우,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각각 입력받는 초성 문자창, 종성 문자창, 종성 문자창
    을 포함하는 세분화된 문자 입력창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문자 입력부;
    상기 전자펜이 상기 문자 입력부를 터치하여 발생하는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펜의 터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가 설정 범위안에 포함되는 지를 판단하고, 발생하는 데이터가 설정 범위안에 포함될 경우, 상기 문자 입력부로 데이터가 입력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가 입력된 입력창의 종류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문자 입력 제어부; 및
    문자 입력 제어부와 연결되어, 입력창에 쓰여지는 데이터를 해당 상태로 출력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는,
    상기 언어 선택창을 통해 한글 입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초성 문자창, 종성 문자창, 종성 문자창을 통해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입력받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2. (a) 문자 입력부나 화면 표시부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문자 입력부(이때, 문자 입력부는 상기 전자펜을 통해 사용 언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 선택창, 상기 전자펜을 통해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선택창, 상기 언어 선택창을 통해 한글 입력을 선택한 경우,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각각 입력받는 초성 문자창, 종성 문자창, 종성 문자창을 포함함)나 화면 표시부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전자펜의 터치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좌표값을 판독하는 단계와;
    (c) 상기 판독된 좌표값을 판단하여, 상기 전자펜의 터치 위치에 해당하는 입력창을 선택하여, 선택된 입력창에 따라 입력되는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원하는 언어의 종류나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와;
    (d) 상기 전자펜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의 좌표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엔, 상기 전자펜을 포인터로 작동시키는 단계와;
    (e) 상기 전자펜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의 좌표값이 설정된 좌표값 안에 포함되나, 각 입력창의 설정 좌표값 안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엔, 각 입력창의 경계면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발생한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문자 입력부의 언어 선택창을 통해 한글 입력이 선택된 경우,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입력받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는,
    상기 전자펜이 상기 문자 입력부나 화면 표시부에 터치되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제어 방법.
KR1019970052997A 1997-10-16 1997-10-16 전자펜을이용한문자입력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477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997A KR100477125B1 (ko) 1997-10-16 1997-10-16 전자펜을이용한문자입력장치및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997A KR100477125B1 (ko) 1997-10-16 1997-10-16 전자펜을이용한문자입력장치및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065A KR19990032065A (ko) 1999-05-06
KR100477125B1 true KR100477125B1 (ko) 2005-08-17

Family

ID=3730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997A KR100477125B1 (ko) 1997-10-16 1997-10-16 전자펜을이용한문자입력장치및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992B1 (ko) * 1999-09-09 2002-11-29 김우생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차트 기록내용 처리방법
KR100352170B1 (ko) * 2000-05-02 2002-09-12 최인철 지문 입력 센서를 이용한 숫자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403127B1 (ko) * 2001-05-07 2003-10-30 (주)네이스텍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방식에따른 입력창 변환 방법
KR100414143B1 (ko) * 2001-10-30 2004-01-13 미래통신 주식회사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KR100443694B1 (ko) * 2001-12-24 2004-08-09 주식회사 디오텍 전자 잉크 데이터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KR100656779B1 (ko) * 2005-03-05 2006-12-19 송우찬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4174A (ko) * 1991-12-06 1993-07-22 이헌조 온라인 필기체 문자인식방법
KR930023867A (ko) * 1992-05-29 1993-12-21 이헌조 온라인 한글 필기체 문자의 인식방법
KR970049353A (ko) * 1995-12-29 1997-07-29 김광호 컴퓨터의 펜 입력 장치
KR19990011911A (ko) * 1997-07-25 1999-02-18 구자홍 한글 문자 자소 분리 인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4174A (ko) * 1991-12-06 1993-07-22 이헌조 온라인 필기체 문자인식방법
KR930023867A (ko) * 1992-05-29 1993-12-21 이헌조 온라인 한글 필기체 문자의 인식방법
KR970049353A (ko) * 1995-12-29 1997-07-29 김광호 컴퓨터의 펜 입력 장치
KR19990011911A (ko) * 1997-07-25 1999-02-18 구자홍 한글 문자 자소 분리 인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065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3464B1 (en) Multiple pen stroke character set and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with immediate response
US6104317A (en) Data entry device and method
CN100511263C (zh) 一种用于具有图形书写识别用户界面的电子装置的方法
US5956021A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for a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uses a touch screen
KR100197037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KR20050119112A (ko) 터치 스크린용 명료 텍스트 입력 방법 및 감소된 키보드시스템
EP1988444A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3870192B (zh) 一种基于触摸屏的输入方法和装置、汉语拼音输入法和***
EP0661619A1 (en) A data input device with a display keyboard
JPH06242885A (ja) 文書編集方法
JP2005535975A (ja)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を利用した文字入力方法
KR19990087081A (ko) 화면표시식 키이입력장치
US91891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030073477A (ko)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651396B1 (ko)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0477125B1 (ko) 전자펜을이용한문자입력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882324B1 (ko) 키보드 지원 문자 입력 장치
US5614926A (en) Word processor with a handwriting text processing function
KR20100069089A (ko)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10165146A (ja)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の表示方法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KR20010073976A (ko) 정보기기용 필기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JP5913771B2 (ja) タッチ式ディスプレイの入力システムおよび入力パネルの表示方法
JP3317379B2 (ja) 表示画面入力装置
JPH047318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