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328B1 -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328B1
KR100474328B1 KR10-2002-0022543A KR20020022543A KR100474328B1 KR 100474328 B1 KR100474328 B1 KR 100474328B1 KR 20020022543 A KR20020022543 A KR 20020022543A KR 100474328 B1 KR100474328 B1 KR 100474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rotating drum
drum
communicatio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4066A (ko
Inventor
박영환
홍경섭
정춘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3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8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작용을 수행하는 제1회전드럼을 구비한 세탁기부와; 상기 터브의 외부 일측에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회전드럼을 구비한 건조기부와; 일단은 상기 터브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제2회전드럼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연통관과; 일단은 상기 제2회전드럼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연통관과; 상기 터브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연통관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제2회전드럼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2회전드럼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2연통관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터브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제2회전드럼으로 유입되기 전 공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용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DRUM TYPE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용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세탁될 의류 등의 세탁 및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세탁기와 함께 의류 건조기의 사용이 늘고 있다.
세탁기는 전동기를 주 동력원으로 하고, 세탁조내에 세탁물과, 세제 및 물을 함께 수용하여 세탁물, 세제 및 물이 상호 작용하도록 세탁, 헹굼 및 탈수의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세탁물에 묻어 있는 오염이 제거되도록 한다.
의류건조기는 건조될 세탁물이 수용된 건조통의 내부에 열풍이 유입되도록 하여 세탁물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탁기(111) 및 의류건조기(131)는 세탁 및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호 인접된 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세탁기(11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13)과, 케이싱(113)의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117)와, 터브(117)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설치되는 회전드럼(123)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13)의 전면 중앙영역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형성되며, 출입구의 연부에는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15)가 구비되어 있다.
터브(117)는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개방영역이 출입구에 대응되게 케이싱(1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터브(117)의 상측 및 하측에는 터브(117)를 완충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부재(119) 및 댐퍼(121)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영역에는 회전드럼(123)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드럼구동모터(125)가 설치되어 있다. 터브(117)의 하부 일측에는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관(120) 및 배수펌프(12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회전드럼(123)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고 터브(117)의 내부에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회전축이 배치되도록 수용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에는 드럼구동모터(125)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의류건조기(131)는, 전면에 건조될 의류 등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싱(133)과,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싱(133)에 결합되는 도어(134)와, 케이싱(13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설치되는 회전드럼(135)과, 회전드럼(135)의 외부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일단은 회전드럼(135)의 후방영역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면 하부영역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공기유동관(137)과,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139)과, 회전드럼(135) 및 송풍팬(139)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41)와, 공기유동관(137)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회전드럼(135)의 유입전에 가열되도록 하는 히터(143)와, 세탁물의 습기를 함유한 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45)와, 응축기(145)를 냉각시키는 냉각팬(147)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세탁기(111)에 의해 세탁 및 탈수가 완료된 의류가 의류건조기(131)의 회전드럼(135)의 내부에 수용되고, 구동모터(141)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드럼(135) 및 송풍팬(139)이 구동을 개시하게 된다. 송풍팬(139)에 의해 회전드럼(135)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공기는 공기유동관(137)을 따라 유동되고, 회전드럼(135)의 유입전에 히터(143)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고온의 공기는 회전드럼(135)의 내부에서 의류 등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함유하여 다시 회전드럼(135)의 외부로 인출된다. 고온의 공기와 함께 인출된 공기중의 수분은 응축기(145)를 경유하면서 응축되어 배출되고, 수분이 저감된 건조한 공기는 공기유동관(137)을 따라 유동하여 히터(143)에 의해 가열된 후 회전드럼(135)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건조행정이 진행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의류건조기(131)에 있어서는, 건조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고가인 별도의 응축기(145) 및 냉각팬(147)을 마련하도록 되어 있어, 비용이 상승되며 응축기(145)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147)의 구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등 사용에 불편이 따르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용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작용을 수행하는 제1회전드럼을 구비한 세탁기부와; 상기 터브의 외부 일측에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회전드럼을 구비한 건조기부와; 일단은 상기 터브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제2회전드럼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연통관과; 일단은 상기 제2회전드럼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연통관과; 상기 터브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연통관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제2회전드럼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2회전드럼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2연통관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터브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제2회전드럼으로 유입되기 전 공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드럼의 건조작용 수행시 상기 제1회전드럼이 상기 터브의 내부의 세탁수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세탁기부에 구비된 급수밸브 및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터브의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밸브 및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연통관에 설치되어 각 행정별로 상기 제1연통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연통관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은, 내부에 상기 세탁기부를 수용하는 제1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의 일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건조기부를 수용하는 제2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상기 제1연통관 및 제2연통관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질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세탁기부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건조기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4의 Ⅶ-Ⅶ 및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4의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는, 세탁물을 세탁 및 탈수하는 세탁기부(11)와, 세탁된 의류 등을 건조시키는 건조기부(31)와, 세탁기부(11) 및 건조기부(31)가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제1연통관(41) 및 제2연통관(5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세탁기부(1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케이싱(13)과,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케이싱(13)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15)와, 터브(15)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회전드럼(17)과, 제1회전드럼(17)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회전드럼구동모터(19)를 구비하고 있다. 터브(15)의 상측 및 하측에는 터브(15)를 완충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부재(21) 및 댐퍼(23)가 구비되어 있으며, 터브(15)의 저부영역에는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관(25) 및 배수펌프(27)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1케이싱(13)의 전면 중앙영역에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입구의 일측 연부에는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4)가 구비되어 있다.
건조기부(3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케이싱(33)과, 제2케이싱(3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배치되는 제2회전드럼(35)을 구비하고 있다. 제2케이싱(33)의 전면 중앙영역에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입구의 일측 연부에는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34)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터브(15)의 하부 후방영역에는 제1연통관(41)의 일단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제1연통관(41)의 타단은 제1케이싱(13) 및 제2케이싱(33)을 통과하여 제2회전드럼(35)의 후방 상부영역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제1연통관(41)에는 제1연통관(4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1연통관개폐밸브(43)가 구비되어 있다.
제2케이싱(33)의 내부 제1연통관(41)에는 터브(15)로부터 공기를 인출하여 인출된 공기가 제2회전드럼(3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송풍팬(45)이 설치되어 있으며, 송풍팬(45)의 일측에는 제2회전드럼(35)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회전드럼구동모터(4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송풍팬(45) 및 제2회전드럼(35)은 단일의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송풍팬(45)의 하류영역에는 공기가 제2회전드럼(35)에 유입되기전 가열될 수 있도록 히터(49)가 구비되어 있다.
제2회전드럼(35)의 전방 상부영역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2연통관(51)의 일단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제2연통관(51)의 타단은 제2케이싱(33) 및 제1케이싱(13)을 통과하여 터브(15)의 전방 상부영역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1연통관(41) 및 제2연통관(51)은 세탁기부(11) 및 건조기부(31)의 구동시 진동이 상호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고무부재, 연질의 합성수지부재 등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치적 특성을 가지는 본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는,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부(55)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부(55)에는 터브(15)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57)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55)에는 각 행정별로 제1회전드럼구동모터(19)와, 급수밸브(26)와, 배수펌프(27)와, 송풍팬(45)과, 히터(49)와, 제2드럼구동모터(47)와, 제1연통관개폐밸브(43)를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이들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세탁기부(11)에서 세탁행정이 진행되기 전, 제어부(55)는 제1연통관(41)이 차단되도록 제1연통관개폐밸브(43)를 제어하고, 탈수행정이 진행되면 제1회전드럼(17)과 세탁수가 상호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회전될 수 있게 터브(15)의 내부에 세탁수가 잔류되도록 수위감지부(27)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배수펌프(27)를 제어한다.
한편, 탈수행정이 종료되고 탈수된 의류 등이 제2회전드럼(35)의 내부에 수용되고, 건조행정이 개시되면 제어부(55)는 급수밸브(26)를 개방하여 제1회전드럼(17)이 세탁수에 약간 잠길 수 있을 정도로 세탁수를 추가 공급하며, 제1연통관(41)이 개방되도록 제1연통관개폐밸브(43)를 제어하고, 송풍팬(45), 제2회전드럼구동모터(47), 히터(49) 및 제1회전드럼구동모터(19)이 각각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송풍팬(45)이 구동을 개시하면 터브(15)로부터 인출된 공기는 제1연통관(41)을 따라 유동되고, 히터(49)에 의해 가열되어 제2회전드럼(35)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고온의 공기는 제2회전드럼(35)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의류 등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함유하여 제2회전드럼(35)의 외부로 배출되고 제2연통관(51)을 따라 유동하여 터브(15)의 내부로 유입된다.
터브(15)의 내부로 유입된 상대적으로 고온 다습한 공기는 물과 접촉되면서 회전하는 제1회전드럼(17)과 접촉되면서 열교환되고 공기중의 수분은 응축된다. 수분이 제거되어 상대적으로 저온의 건조한 공기는 제1연통관(41)을 따라 유동하여 히터(49)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고온의 건조한 공기는 다시 제2회전드럼(35)의 내부로 유입되어 의류 등의 수분을 증발시켜 고온 다습한 상태로 되어 제2연통관(51)을 따라 유동하여 터브(15)의 내부로 유입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건조행정이 진행된다.
건조행정이 완료되면 제어부(55)는 배수펌프(27)를 제어하여 터브(15)의 내부의 세탁수가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세탁행정시 세탁수가 제1연통관(4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제1연통관개폐밸브(43)를 제어하여 제1연통관(41)이 차단되도록 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의 제1연통관 및 제2연통관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탁기부(11) 및 건조기부(31)와, 일단은 터브(15)의 상부영역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회전드럼(35)의 상부영역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연통관(41)과, 일단은 제2회전드럼(35)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터브(15)의 저부영역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연통관(5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0)은 세탁물 또는 의류가 세탁기부(11) 및 건조기부(31)에 각각 출입할 수 있도록 전면에 한 쌍의 개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개구에는 도어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제2연통관(51)의 하부영역에는 제2연통관(5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2연통관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2연통관개폐밸브는 제어부(55)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건조행정이 개시되면 제어부(55)는 제2연통관(51)이 개방되도록 제2연통관개폐밸브(57)를 제어하고, 송풍팬(45), 히터(49), 제2회전드럼(35), 제1회전드럼(17)이 각각 구동되도록 한다. 송풍팬(45)이 구동을 개시하면 터브(15)로부터 공기가 인출되고, 인출된 공기는 제1연통관(41)을 따라 유동되고 히터(49)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고온의 공기는 제2회전드럼(35)의 내부에서 증발된 수분을 함유하여 제2연통관(51)을 따라 유동하여 터브(15)의 내부로 유입된다.
터브(15)로 유입된 공기는 터브(15)의 내부의 물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드럼(17)과 접촉되어 신속하게 열교환되어 응축되어 수분이 제거된다. 수분이 제거된 저온의 건조한 공기는 제1연통관(41)을 따라 유동하여 히터(49)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고온의 건조한 공기는 제2회전드럼(35)의 내부로 유입되어 수분을 함유하여 제2회전드럼(35)의 외부로 배출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건조행정이 진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탁기부 및 건조기부와, 세탁기부 및 건조기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제1연통관 및 제2연통관과, 공기가 세탁기부 및 건조기부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팬과,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고가인 응축기 및 응축기의 냉각팬을 마련하여 비용이 상승됨에도 불구하고 건조성능이 낮고 구동시 소음이 발생되던 종래와는 달리, 비용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 및 제어부 등의 단일화를 통하여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한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의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세탁기부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건조기부의 종단면도,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4의 Ⅶ-Ⅶ 및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4의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의 제1연통관 및 제2연통관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세탁기부 13 : 제1케이싱
15 : 터브 17 : 제1회전드럼
19 : 제1회전드럼구동모터 27 : 배수펌프
31 : 건조기부 33 : 제2케이싱
35 : 제2회전드럼 41 : 제1연통관
43 : 제1연통관개폐밸브 45 : 송풍팬
47 : 제2회전드럼구동모터 49 : 히터
51 : 제2연통관 55 : 제어부
57 : 수위감지부

Claims (6)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작용을 수행하는 제1회전드럼을 구비한 세탁기부와; 상기 터브의 외부 일측에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회전드럼을 구비한 건조기부와; 일단은 상기 터브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제2회전드럼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연통관과; 일단은 상기 제2회전드럼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연통관과; 상기 터브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연통관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제2회전드럼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2회전드럼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2연통관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터브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제2회전드럼으로 유입되기 전 공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드럼의 건조작용 수행시 상기 제1회전드럼이 상기 터브의 내부의 세탁수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세탁기부에 구비된 급수밸브 및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밸브 및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관에 설치되어 각 행정별로 상기 제1연통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연통관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내부에 상기 세탁기부를 수용하는 제1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의 일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건조기부를 수용하는 제2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관 및 제2연통관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질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KR10-2002-0022543A 2002-04-24 2002-04-24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KR100474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543A KR100474328B1 (ko) 2002-04-24 2002-04-24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543A KR100474328B1 (ko) 2002-04-24 2002-04-24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066A KR20030084066A (ko) 2003-11-01
KR100474328B1 true KR100474328B1 (ko) 2005-03-08

Family

ID=3238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543A KR100474328B1 (ko) 2002-04-24 2002-04-24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364B1 (ko) 2004-11-01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및 건조 장치
KR101297991B1 (ko) * 2006-09-07 2013-08-2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건조 복합기의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0855001B1 (ko) * 2007-04-17 2008-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 및 건조 장치
KR100879572B1 (ko) * 2007-08-06 2009-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
KR20090016350A (ko) * 2007-08-10 200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급수호스 커넥터
KR101476178B1 (ko) * 2007-11-19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을 이용하는 세탁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0195A (ja) * 1988-11-18 1990-05-29 Fujitsu General Ltd 洗濯機
KR930025679U (ko) * 1992-05-25 1993-12-20 이한승 세탁 건조기
EP0747523A1 (de) * 1995-06-10 1996-12-11 Miele & Cie. GmbH & Co. Wäschebehandlungsgerät zum Waschen und Trocknen von Wäsche
KR0172877B1 (ko) * 1995-12-11 1999-05-01 구자홍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EP1029961A2 (en) * 1999-02-16 2000-08-23 IAR-SILTAL S.p.A. Combined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0195A (ja) * 1988-11-18 1990-05-29 Fujitsu General Ltd 洗濯機
KR930025679U (ko) * 1992-05-25 1993-12-20 이한승 세탁 건조기
EP0747523A1 (de) * 1995-06-10 1996-12-11 Miele & Cie. GmbH & Co. Wäschebehandlungsgerät zum Waschen und Trocknen von Wäsche
KR0172877B1 (ko) * 1995-12-11 1999-05-01 구자홍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EP1029961A2 (en) * 1999-02-16 2000-08-23 IAR-SILTAL S.p.A. Combine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066A (ko)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5418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EP2290154B1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CN100500974C (zh) 具有干燥功能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100760762B1 (ko) 건조 세탁기
JP4108984B2 (ja) 洗濯乾燥機及び衣類乾燥機
US20060195989A1 (en) Washing machine and suds removal method thereof
KR20060061974A (ko)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JP2005177505A (ja) 乾燥機兼用洗濯機
US7043944B2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KR100474328B1 (ko)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JP5430638B2 (ja) 洗濯乾燥機
JP4523260B2 (ja) ドラム型洗濯及び乾燥装置
KR100739614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방법
KR100733298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100659309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0657474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0131285Y1 (ko) 건조세탁기
KR100400749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0127663Y1 (ko)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KR0129661Y1 (ko)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KR101176117B1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382507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413454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JPH02249584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418900B1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