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284B1 - 결제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결제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284B1
KR100470284B1 KR10-2002-0086527A KR20020086527A KR100470284B1 KR 100470284 B1 KR100470284 B1 KR 100470284B1 KR 20020086527 A KR20020086527 A KR 20020086527A KR 100470284 B1 KR100470284 B1 KR 100470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contactless
contact
card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9292A (ko
Inventor
김선섭
Original Assignee
(주)넥스지텔레콤
김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지텔레콤, 김선섭 filed Critical (주)넥스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2-008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28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9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3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H04M17/301Code input or reading
    • H04M17/305Wireless codes, e.g. Bluetooth or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2017/25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H04M2017/2506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code input or reading
    • H04M2017/2531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code input or reading wireless, e.g. Bluetooth,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1)는, 접촉식으로 활성화되는 접촉식-칩(11)과 비접촉식으로 활성화되는 비접촉식-칩(12)이 구비된 스마트칩(10); 상기 비접촉식-칩(12)에 연결된 RF 안테나(20); 및 휴대전화기(1)의 CPU(1A)와 상기 비접촉식-칩(1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접촉식-칩(12)과 상기 RF 안테나(20)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비접촉식-칩(12)과 외부 인터페이스장치(2)의 통신을 선택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상기 비접촉식-칩(12)을 사용가능상태와 사용불가능상태 상태로 상호 전환하는 결제제어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제어장치(30)는 결제를 관리하는 관리서버가 이동통신을 통해 전송한 사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CPU(1A)에 의해 제어된다. 바람직하게 접촉식-칩(11)과 비접촉식-칩(12)은 단일의 기판(13)에 장착되고, 결제제어장치(30)는 접촉식-칩(11) 및 비접촉식-칩(12)과 함께 기판(13)에 배치된다. 결제제어장치(30)로는 비접촉식-칩(12)과 RF 안테나(20)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단속시킴으로써 비접촉식-칩(12)을 작동상태 또는 비-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칭회로, 비접촉식-칩(12)과 RF 안테나(2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단락시켜 비접촉식-칩(12)을 작동상태 또는 비-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칭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제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Cellular Phone Having Settlement-Controllable Smart Chip}
(기술분야)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결제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저장기능, 연산기능 및 보안기능을 가지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 운영체계, 보안모듈, 메모리 등을 구비한 IC칩(스마트칩)이 장착되어 있는 스마트카드는, 통신, 금융, 교육, 행정, 교통 등 사회 전체 분야에서 정보의 기록, 신원확인, 결제 등의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카드는 그 분류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지만, IC칩(스마트칩)의 데이터가 읽히는 방식에 따라 크게 접촉식카드, 비접촉식카드 및 겸용카드로 구분할 수 있다.
접촉식카드는 이를 수용하는 인터페이스장치(Interface Device: 카드판독기, 리더기)에 삽입되었을 때 카드의 접점이 인터페이스장치의 접점에 접촉됨으로써 카드가 활성화되는 형태의 카드를 말하고; 비접촉식카드는 정보처리 기능에 필요한 연산소자와 기억소자는 접촉식카드와 동일하지만 카드내의 IC칩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공급은 카드 내의 코일(RF안테나)을 통해 이루어지고 인터페이스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전자유도방식(유도기전력)을 이용하는 형태의 카드를 말하며; 겸용카드는 접촉식카드와 비접촉식카드의 기능을 모두 지원하는 형태로서, 콤비카드(Combi card)와 하이브리드 카드(Hybrid card)가 있다.
콤비카드와 하이브리드 카드는 접촉/비접촉식을 모두 지원하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하이브리드 카드는 하나의 카드 내에 물리적으로 접촉식 카드와 비접촉식 카드가 독립된 형태로 존재하고, 콤비카드는 하나의 카드 내에서 접촉/비접촉식 카드가 공유할 수 있는 부분들을 상호 공유한다.
스마트카드의 활용분야의 하나인 교통카드는, 초기에 선불제 전자화폐의 하나로서 비접촉식 IC칩과 RF 안테나를 내장시킨 플라스틱카드형태의 비접촉식 카드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런 선불제 비접촉식 교통카드는 충전소에서 충전할 대금을 선불로 지불하여 해당 금액을 카드에 충전시켜 두고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마다 카드를 카드판독기(교통요금징수기)에 비접촉식으로 접근시켜 근거리 무선 통신시킴으로써 저장된 금액에서 해당 교통요금이 감하여 지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카드형태의 선불제 전자화폐는, 사용자가 별도로 카드를 마련하여 소지하여야 하고, 카드에 금액을 충전하기 위해서 충전소에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런 배경 하에서, 교통요금 등을 신용으로 후불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IC칩이 내장된 교통카드 겸용 신용카드가 등장하는 한편, 이런 스마트카드를 플라스틱카드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 특히 그 보유량이 날로 확대되어 생활필수품이 된 휴대전화기에 내장하는 것과 같은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스마트카드를 적용한 휴대전화기의 예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비카드를 내장한 커머스-폰(Commerce-Phone)이 제안되었다. 커머스-폰에는 단자(111)를구비한 카드소켓(110)이 마련되어 있고, 카드소켓(110)에는 콤비카드(120)가 탈착식으로 내장된다. 상기 콤비카드(120)에는 각종 인증이나 교통요금 등의 결제를 위한 신용카드에 관한 정보가 내장되어 있어서, 카드판독기와 비접촉 접근을 통해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휴대전화기로 각종 요금을 신용으로 결제할 수 있다. 도면부호 130은 전원으로서의 배터리이다.
커머스-폰(100)에 적용되는 표준화된 콤비카드(12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준화된 단자배치를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콤비카드(120)의 단자사이드는 C1 내지 C8의 총 8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C1은 전원공급단자(Vcc), C2는 초기화 입력단자(RESET), C3은 클럭단자(CLK), C4는 비사용 예비단자(N/C), C5는 접지단자(GND), C6은 프로그램 전압단자(Vpp: 현재 사용되지 않음), C7은 직렬 데이터 입출력단자(I/O), C8은 비사용 예비단자(N/C)이다.
콤비카드가 장착된 커머스-폰(100)은, 콤비카드(120)에 결제금융기관의 인증 알고리즘, 신용카드번호 등 결제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통상적으로 휴대전화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6개의 접촉단자(C1, C2, C3, C5, C6, C7)가 휴대전화기의 카드소켓에 마련된 단자들과 접속상태로 되어 그 결제 기능 수행에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휴대전화기 CPU의 제어를 받게 되며, 그 C4와 C8 단자는 RF안테나에 접속되어 교통요금징수기와 같은 카드판독기에의 접근시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콤비카드와 카드판독기 사이에 무선 RF 통신을 통한 요금결제 작동을 한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36900 참조). 이런 콤비카드 적용 휴대전화기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추가함으로써 카드결제기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신용결제도 실용화 가능하다.
이와 같은,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휴대전화기에 의한 결제에 후불제를 적용한 경우, 접근시킨 휴대전화기와의 이동통신으로 카드판독기가 사용자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인식하여 그 금액정보와 함께 관리서버(이동통신사 또는 금융회사 등)로 전송하게 되고, 관리서버에서는 이를 정해진 결산기간(예, 월 단위)의 사용금액을 집계하여 이용자에게 청구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런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휴대전화기 결제에 후불제가 채용되는 경우, 결제의 비정상적인 사용을 제한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즉,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후불제로 지급한 사용요금을 결제일에 결제하지 아니하고 연체하여 그 사용을 정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전화기의 분실 신고를 하여 타인의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결제서비스사용을 취소한 경우 등,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히 특정 휴대전화기의 결제기능을 정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러나, 비접촉식 칩이란 것이 전원공급 없이 외부 인터페이스장치에 접근하면 RF 안테나의 유도기전력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기 때문에, 결제기능을 가진 휴대전화기의 사용제한관리는, 그것이 단지 비접촉식카드이든 접촉식과 비접촉식이 겸비된 콤비카드이든, 관리서버(결제를 관리하는 서버)가 그때그때 결제마다 사용제한여부를 판단할 수 없으며, 따라서 관리서버가 해당 휴대전화기의 식별코드를 블랙리스트 데이터(B/L 데이터)로 구축하여 카드판독기(요금징수기)에 정기적(예, 1일 단위, 1주일 단위) 또는 부정기적으로 전송하고, 카드판독기는 요금지불을 위해 근접된 휴대전화기로부터 판독된 식별코드가 사용제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독된 경우에, 해당 휴대전화기를 사용한 결제를 거부하는 방법으로 관리하여 왔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블랙리스트 관리 시스템은, 그 운영에 있어서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그 대표적인 문제점의 하나는,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블랙리스트 데이터가 증가하게 되어 카드판독기들마다 커진 용량의 블랙리스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보다 큰 용량의 메모리를 장착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들이 휴대전화기 기종을 변경할 때마다 폐기되는 기종을 블랙리스트로 올려 결제수단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블랙리스트 데이터가 양산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카드판독기의 메모리 용량 증가의 부담은 더욱 가중된다. 이와 같은 메모리용량 증가는 그 자체로서 비용상승의 요인이 되고, 또한 휴대전화기를 카드판독기에 접근시키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에 블랙리스트의 해당여부를 판단하고 요금을 결제해야하는 신속한 처리속도유지에 부담이 되고 결국 처리속도를 높이기 위한 추가 비용을 유발시킨다.
또 다른 문제점은, 새로운 블랙리스트 대상자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추가한 새로운 블랙리스트 데이터를 수많은 카드판독기에 실시간으로 업그레이드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즉, 월 단위로 파악되는 사용요금 연체에 관련된 블랙리스트 데이터는 매월 정해진 시점에 카드판독기에 일관 전송하여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지만, 갑작스런 휴대전화기 분실신고에 의한 블랙리스트 데이터의 업데이트 등은, 해당 데이터를 카드판독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휴대전화기분실신고 이후 해당 블랙리스트 데이터가 카드판독기에 업그레이드될 때까지의 기간동안은 부정결제를 막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콤비카드를 적용하는 종래의 커머스-폰은, 적용되고 있는 콤비카드가지니는 본질적인 한계로 인하여 그 사용상에 문제점이 있다. 즉, 대한민국에 구축된 RF 인프라는 필립스사(Philips)가 개발한 콤비칩의 로직에 맞도록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필립스사의 콤비칩만을 적용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지만, 필립스사의 콤비칩은 접촉식 부분의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고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한정되어 있어서 다양하게 운영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카드의 다른 대표적인 용도의 하나는 휴대전화기의 로밍(roamin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입자 확인모듈로서 사용되는 것이고, 이런 휴대전화기 가입자 확인모듈용 스마트카드로서는 예를 들어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가입자 확인모듈로서의 스마트카드는 휴대전화기와의 정보공유를 위해 기본적으로 접촉식카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휴대전화기 가입자 확인모듈로서의 스마트카드는, 휴대전화기의 사용범위확대와 휴대전화기의 전송속도 향상에 따라 보다 많은 저장용량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128K 바이트 이상의 높은 메모리 용량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기존의 커머스-폰에 장착되고 있는 필립스사의 콤비카드는, 그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여 USIM 카드와 같은 가입자 확인모듈로서 확장하여 사용하기에 부적합 할 뿐만 아니라, 블랙리스트 관리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랙리스트 데이터를 카드판독기에 전송하여 실행하므로, 상기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지금까지 스마트카드가 적용된 휴대전화기들은, 그 스마트카드의 기능이 단지 휴대전화기 가입자 확인을 위한 것이거나 또는 결제를 위한 것으로 이분되어 있었을 뿐, 양자의 기능이 모두 적용된 경우가 없었다.
콤비카드가 적용된 기존의 커머스-폰의 경우, 콤비카드의 접촉단자와 휴대전화기의 접촉을 통해 콤비카드 자체가 휴대전화기 가입자 확인모듈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 개발되어 있는 콤비카드(필립스사 제품)는 가입자 확인모듈용으로가 아닌 순수 결제용으로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저장용량이 최대 32K 바이트 정도에 불가하여 콤비카드에 가입자 확인모듈 기능과 RF 무선 결제 기능을 모두 수용시킬 수 있기까지는 아직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에 개발된 커머스-폰이 지니는 블랙리스트 관리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요금을 후불로 지불할 수 있고 사용자들에 대한 블랙리스트 관리를 휴대전화기의 이동통신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실적으로 저장용량과 운영범위에 한계가 있는 콤비카드 대신에 충분한 용량의 메모리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가능한 다른 형태의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를 제공함으로써, 커머스-폰의 기능을 확장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휴대전화기의 전체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예시적인 스마트칩의 단자배치도,
도3은 도2의 스마트칩이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휴대전화기의 요부 블록도,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른 예시적인 스마트칩의 블록도,
도5는 탈착식 스마트카드를 구비한 일반적인 커머스-폰의 외부 사시도,
도6은 일반적인 표준화된 콤비카드의 단자배치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전화기 1A: CPU 1B: 키입력부
1C: 모니터 1D: 메모리 1E: 통신부
1F: 오디오부 1G: 전원부 2: 인터페이스장치(리더기)
10: 스마트칩 11: 접촉식-칩 12: 비접촉식-칩
13: 기판 20: RF 안테나 30: 결제제어장치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칩, RF 안테나 및 결제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가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칩은 휴대전화기의 CPU와 접촉되어 활성화되는 접촉식-칩과 비접촉식으로 활성화되는 비접촉식-칩이 구비되며, 상기 RF 안테나는 상기 비접촉식-칩에 연결된다. 상기 스마트칩으로서는 하이브리드칩과 콤비칩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제제어장치는, 상기 휴대전화기의 CPU와 상기 비접촉식-칩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비접촉식-칩과 상기 RF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비접촉식-칩과 외부 인터페이스장치의 통신을 선택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상기 비접촉식-칩을 사용가능상태와 사용불가능상태 상태로 상호 전환한다. 상기 결제제어장치는 결제를 관리하는 관리서버가 이동통신을 통해 전송한 사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CPU에 의해 제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식-칩과 상기 비접촉식-칩은 단일의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결제제어장치는 상기 접촉식-칩 및 상기 비접촉식-칩과 함께 상기 기판에 배치된다.
상기 결제제어장치로서는 상기 비접촉식-칩과 상기 RF 안테나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단속시킴으로써 상기 비접촉식-칩을 작동상태 또는 비-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단속 스위칭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결제제어장치로서는, 상기 비접촉식-칩과 상기 RF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단락시켜 상기 비접촉식-칩을 작동상태 또는 비-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단락 스위칭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1)는 기본적으로 통상적인 휴대전화기와 마찬가지로, 그 이동통신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컨트롤러: 1A), 각종 데이터와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1B), 휴대전화기의 사용에 관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1C, 예 LCD), 휴대전화기의 전반적인 작동에 관한 프로그램과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D),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이동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테나와 듀플렉서 등을 구비한 통신부(1E), 통화를 위한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비하는 오디오부(1F),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G)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키입력부(1B)를 이용하여 소정의 데이터와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모니터(1C)를 통해 관련 정보를 모니터하며, 상기 메모리(1D)에 필요한 데이터들이 저장 및 삭제하고, 상기 통신부(1E)를 통해 이동통신을 실행하며, 이런 모든 작동은 상기 컨트롤러(1A)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휴대전화기(1)에는, 접촉식-칩(11)과 비접촉식-칩(12)이 구비된 스마트칩(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마트칩(10)은 도5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카드의 형태로 제작되어 휴대전화기(1)에 마련된 카드소켓에 탈착식으로 장착되어 휴대전화기에 마련된 단자와 접속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휴대전화기에 일체로 내장할 수도 있다(도1에서 점선 화살표표시는 탈착식으로 장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스마트칩(10)은 접촉식-칩(11)과 비접촉식-칩(1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접촉식-칩(11)과 비접촉식-칩(12)이 구비된다는 것은 그것이 하이브리드칩 형식이든 콤비칩 형태이던 접촉식-칩(11)과 비접촉식-칩(12)을 구비하면 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2와 같은 콤비칩 형태나 도4의 하이브리드 칩 형태로 단일의 기판(13)에 내장하여 휴대전화기에 탈착할 수 있는 카드 형식으로 제작하는 것은 물론, 접촉식-칩(11)과 비접촉식-칩(12)을 물리적으로 이격시켜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접촉식-칩(11)은 휴대전화기(1)의 CPU(1A)와 접촉됨으로서 활성화되는 IC칩이며, 하이브리드칩일 경우에 예를 들어 삼성전자 등에서 공급하는 저장용량(예, 128K 바이트 이상)이 큰 6핀의 접촉식 스마트카드용 칩을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는 USIM과 같은 가입자 확인모듈을 포함한 많은 저장용량을 요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접촉식-칩(11)은, 휴대전화기(1)에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술한 SIM 카드, USIM 카드, UIM 카드, RUIM 카드 등의 가입자 확인모듈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 인증정보, 보안정보, 로밍 모듈, 제어 프로그램, 휴대전화기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진 각종 정보 등, 휴대전화기의 로밍에 관련된 각종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스마트칩(10)이 탈착식인 경우에, 접촉식-칩(11)은 기존의 가입자 확인모듈과 마찬가지로 휴대전화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단자들이 휴대전화기의 단자들에 접속상태로 되면서 활성화되고, 휴대전화기의 CPU(1A)의 제어를 받게 된다.
상기 비접촉-칩(12)은 통상의 비접촉식 스마트카드에 적용하는 칩(예를 들어 RF Mifare 표준 2핀 칩)을 사용할 수 있고, 외부 인터페이스장시(2)와의 근접시키면 RF 안테나의 작용으로 활성화되어 외부 인터페이스장치(2: 예, 교통요금징수기)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결제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접촉-칩(12)은 접촉식-칩(11)과 메모리를 공유하는 콤비칩 방식이나 독립적인 하이브리드칩 방식으로 존재한다.
비접촉식-칩(12)에는 RF 안테나(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RF 안테나(20)는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로 RF 무선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안테나로서, 외부 인터페이스장치(2)에의 접근시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교통요금과 같은 각종 요금 결제에 관련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상의 RF 루프안테나이다. RF 안테나(20)는 휴대전화기(1)에 적용된 전자파차단작용을 최소로 받을 수 있는 폴더 상판이나 배터리 등에 장착되며, 스마트칩(10)이 탈착식인 경우에 스마트칩(10)을 휴대전화기에 장착하면 비접촉식-칩(12)은 전기적으로 RF 안테나(20)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1)는, 접촉식 칩(11)과 비접촉식-칩(12)을 모두 포함하는 스마트칩(10)을 구비함에 따라, 고유의 이동통신 기능 이외에, 비접촉식-칩(12)에 의해 각종 결제를 실현할 수 있고, 스마트칩(10)을 탈착식으로 구성하고 메모리용량이 큰 접촉식-칩(11)을 사용하면, 전화번호, 사진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등의 저장을 위해 많은 저장용량을 요하는 휴대전화기 로밍 서비스(예, USIM 카드)도 적용 받을 수 있다.
상기 RF 안테나(20)는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1)로 RF 무선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안테나로서, 인터페이스장치(2: 요금징수기, RF 판독기)에의 접근시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교통요금과 같은 소정의 요금 결제에 관련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상의 루프안테나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RF 안테나(20)는 휴대전화기(1)에 적용된 전자파차단작용을 최소로 받을 수 있는 폴더 상판이나 배터리 등에 내장할 수 있다.
휴대전화기(1)의 CPU(1A)는, 기본적으로 휴대전화기의 고유기능인 이동통신에 관련된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접촉식-칩(11)의 이용자 확인기능 등을 키입력부(1B), 모니터(1C), 메모리(1D) 및 통신부(1E) 등을 이용하여 제어 및 모니터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전화기(1)의 키입력부(1B)를 조작하여 상기 모니터(1C)에 표시된 메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1A)를 통해 상기 스마트칩(10)을 제어하면, 휴대전화기의 교체나 통신사업자의 변동에 따른 로밍 작업은 물론 결제에 관련된 사용내역조회, 충전, 신용결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1)는 결제제어장치(30)를 포함한다. 결제제어장치(30)는 휴대전화기(1) 사용자의 비접촉식-칩(12)에 의한 결제를 사용가능상태와 사용불가능상태로 상호 전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1)를 사용하여 요금을 지불한 사용자가 그 요금을 결제하지 아니하고 연체하여 그 결제기능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전화기의 분실신고를 하여 그 습득자에 의한 부당한 사용을 차단을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사용자 스스로가 결제기능사용을 취소한 경우 등,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히 비접촉식-칩(12)에 의한 결제 등의 기능의 사용을 정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상기 관리서버는 이동통신을 통해 해당 휴대전화기(1)에 사용제어신호를 전송하고, CPU(1A)가 이런 사용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결제제어장치(30)를 사용제어신호에 맞게 작동시킴으로써 비접촉식-칩(12)을 사용가능상태와 사용불가능상태로 상호 전환시키고, 결국 휴대전화기(1)에 의한 비정상적인 결제를 차단한다.
결제제어장치(30)는 휴대전화기(1)의 CPU(1A)와 비접촉식-칩(1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사용제어신호에 의한 CPU(1A)의 명령에 따라 비접촉식-칩(12)과 RF 안테나(20)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비접촉식-칩(12)과 외부 인터페이스장치(2)의 통신을 선택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비접촉식-칩(12)을 사용가능상태와 사용불가능상태 상태로 상호 전환하게 된다.
결제제어장치(30)는 CPU(1A) 등과 함께 휴대전화기(1)의 본체 쪽에 배치할 수도 있고(도3 참조), 접촉식-칩(11) 및 비접촉식-칩(12)과 함께 기판(13)에 일체로 배치할 수도 있다(도4 참조). 도2와 도3은 스마트칩(10)이 콤비칩 형태인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하이브리드칩 형태인 예를 도시한 것이다.
결제제어장치(30)로서는 비접촉식-칩(12)과 RF 안테나(20)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단속(접속/분리)시킴으로써 상기 비접촉식-칩(12)을 작동상태 또는 비-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칭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도2와 도3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판(13)에 앞서 도6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국제규격 ISO7816에 맞도록 C1-C8의 단자가 마련되어 있고, 접촉식-칩(11)은 단자 C1, C2, C3, C5, C6, C7에 접속되어 있고, 비접촉식-칩(12)은 단자 C4, C8에 접속되어 있으며, 단자 C4, C8에는 RF 안테나(20)가 접속된다.
여기에서 결제제어장치(30)로서의 (단속)스위칭회로는, 휴대전화기(1)의 본체 쪽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CPU(1A)와 단자 C4, C8 사이를 연결하여, CPU(1A)의 명령에 따라 비접촉식-칩(12)과 RF 안테나(20)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단속(접속/분리)시킴으로써 비접촉식-칩(12)을 작동상태 또는 비-작동상태로 전환시킨다. 즉, 단속 스위칭회로가 연결되면 RF 안테나(20)가 정상적으로 유도기전력이 발생되고 단속 스위칭회로가 분리되면 유도기전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휴대전화기(1)의 전원차단으로 인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본 (단속)스위칭회로는 비접촉식-칩(12)과 RF 안테나(20)를 분리상태로 유지한다. 물론, 본 구체예에서, 비접촉식-칩(12), RF 안테나(20) 및 결제제어장치(30)의 접속에는 상기 단자들 중에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C6단자를 활용할 수 도 있다.
도4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판(13)에는 C1 내지 C8의 단자가 마련되어 있고, 접촉식-칩(11)은 단자 C1, C2, C3, C5, C6, C7에 접속되어 있고, 비접촉식-칩(12)은 단자 C4, C8에 접속되어 있으며, 단자 C4, C8에는 RF 안테나(20)가 접속된다. 본 구체예에서 결제제어장치(30)로서의 (단속)스위칭회로는, 접촉식-칩(11)과 비접촉식-칩(12) 사이의 기판(13)에 일체로 장착되고, 전기적으로 C5와 C6(Vpp 단자이지만, 기존 콤비칩에서 사용되지 않고 있는 빈 단자임)을 통해 CPU(1A)와 연결되고 C4와 C8을 통해 비접촉식-칩(12) 또는 RF 안테나(20)에 연결되며, CPU(1A)의 명령에 따라 비접촉식-칩(12)과 RF 안테나(2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단락시켜 비접촉식-칩(12)을 작동상태 또는 비-작동상태로 전환시킨다.
즉, (단락)스위칭회로가 비접촉식-칩(12) 또는 RF 안테나(20)를 쇼트 시키면비접촉식-칩(12) 또는 RF 안테나(2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단락 스위칭회로가 쇼트상태를 해제시키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CPU(1A)로부터 제어를 받기 위한 결제제어장치(30)의 상기 단자들에의 연결은 상기 C5와 C6 이외에 다른 단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전화기(1)의 전원차단으로 인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본 (단란)스위칭회로는 비접촉식-칩(12) 또는 RF 안테나(20)를 쇼트 상태로 유지한다.
물론, 이상 설명한 것과는 반대로, 도2와 도3의 예에 단락 스위칭회로를 적용하고 도4의 예에 단속 스위칭회로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도2와 도3의 구체예에서 결제제어장치(30)를 스마트칩(10)에 일체로 포함시킬 수도 있고, 도4의 구체예에서 결제제어장치(30)를 스마트칩(10)에서 분리하여 휴대전화기(1)의 본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하, 관리서버로부터의 이동통신을 통한 결제제어장치(30)의 제어를 설명한다. 정상적인 상태로서 관리서버로부터 이동통신을 통해 휴대전화기(1)에 전송된 사용제어신호가 사용가능신호일 때, 사용가능신호를 받은 CPU(1A)는 결제제어장치(30)로서의 스위칭회로를 접속상태 또는 비-쇼트 상태로 되도록 명령함으로써, 비접촉식-칩(12)과 RF 안테나(2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인터페이스장치(2)와 RF 통신으로 결제기능을 실행한다.
반대로 비접촉식-칩(12)의 결제 기능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때, 관리서버는 비접촉식-칩(12)의 결제기능사용을 제한하는 사용제어신호를 해당 휴대전화기로 전송하고, 사용불가능제어신호를 받은 CPU(1A)는 스위칭회로를 개방상태 또는 쇼트상태가 되도록 명령하며, 스위칭회로가 개방 또는 쇼트 됨에 따라 비접촉식-칩(12)이나 RF 안테나(20)가 작동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휴대전화기(1)를 인터페이스장치(2)에 접근시켜도 결제작동을 하지 않게 된다. 휴대전화기(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있을 때에도 스위칭회로가 개방 또는 쇼트 됨에 따라 비접촉식-칩(12)이나 RF 안테나(20)가 작동하지 않는다.
관리서버는 휴대전화기 및 그 사용자들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는 한편,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로서 사용자들에 대한 신용(결제기능 사용 가능성 여부)에 대한 데이터(블랙리스트 데이터)도 함께 구축하고 있으며, 휴대전화기로 전송하는 사용제어신호로서는 SMS(Short Messaging Serv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는, 대용량의 메모리를 적용할 수 있는 접촉식-칩(11)과 RF 무선 결제를 할 수 있는 비접촉식-칩(12)을 함께 구비하는 스마트칩(10)을 포함하는 한편, 비접촉식-칩(12)에 의한 RF 무선 결제를 제어할 수 있는 결제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콤비카드에 내포된 저용량에 따른 운영상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RF 무선 결제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마트칩(10)을 USIM 카드와 같은 가입자 확인모듈로서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커머스-폰의 활용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접촉식으로 활성화되는 접촉식-칩(11)과 비접촉식으로 활성화되는 비접촉식-칩(12)이 구비된 스마트칩(10);
    상기 비접촉식-칩(12)에 연결된 RF 안테나(20); 및
    휴대전화기(1)의 CPU(1A)와 상기 비접촉식-칩(1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접촉식-칩(12)과 상기 RF 안테나(20)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비접촉식-칩(12)과 외부 인터페이스장치(2)의 통신을 선택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상기 비접촉식-칩(12)을 사용가능상태와 사용불가능상태 상태로 상호 전환하는 결제제어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제어장치(30)는 결제를 관리하는 관리서버가 이동통신을 통해 전송한 사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CPU(1A)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제어장치(30)는, 상기 접촉식-칩(11) 및 상기 비접촉식-칩(12)과 함께 단일의 기판(13)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제어장치(30)는 상기 비접촉식-칩(12)과 상기 RF 안테나(20)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단속시킴으로써 상기 비접촉식-칩(12)을 작동상태 또는 비-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칭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제어장치(30)는 상기 비접촉식-칩(12)과 상기 RF 안테나(2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단락시켜 상기 비접촉식-칩(12)을 작동상태 또는 비-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칭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KR10-2002-0086527A 2002-12-30 2002-12-30 결제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KR100470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527A KR100470284B1 (ko) 2002-12-30 2002-12-30 결제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527A KR100470284B1 (ko) 2002-12-30 2002-12-30 결제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292A KR20030019292A (ko) 2003-03-06
KR100470284B1 true KR100470284B1 (ko) 2005-02-05

Family

ID=2773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527A KR100470284B1 (ko) 2002-12-30 2002-12-30 결제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51B1 (ko) * 2007-03-07 2011-04-1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휴대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38B1 (ko) * 2004-03-09 2007-04-27 김용필 다수의 스마트칩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KR100686713B1 (ko) * 2005-03-28 2007-0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스마트 카드의 잠금/해제 기능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51B1 (ko) * 2007-03-07 2011-04-1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휴대 단말
US8239324B2 (en) 2007-03-07 2012-08-07 Ntt Docomo. Inc.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292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9946B2 (en) Contactless recharging of mobile terminal battery
US8867988B2 (en) Performing contactless applications in battery off mode
JP3718236B2 (ja) チップカード、および外部機器・チップカード間の通信の方法
CZ294690B6 (cs) Čipová karta
KR100476157B1 (ko) 사용제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카드
US8056804B2 (en) Reader/writer device for noncontact IC card, communication system and noncontact communication method
KR100318046B1 (ko) 알에프(rf) 안테나를 내장한 핸드폰
KR100470284B1 (ko) 결제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KR20020084043A (ko) 스마트카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
KR200303569Y1 (ko) 스마트카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
KR20000051010A (ko) 접촉/비접촉 인식방식 및/또는 선불/후불 방식의 신용카드 시스
KR100456344B1 (ko) 휴대폰 내장형 다중교통카드 시스템 및 그 사용제한방법
KR200294720Y1 (ko) 여러가지 전자화폐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
KR20030007304A (ko) 비접촉식 아이씨칩의 사용제어장치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US20060079296A1 (en) Voltage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voltage supply device
KR20050061009A (ko) 휴대폰으로의 전자화폐 자동충전방법 및 그 휴대폰
KR100390280B1 (ko) 스마트칩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의 결제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63810Y1 (ko) 스마트칩의 알에프 안테나 선택모듈
KR100711238B1 (ko) 다수의 스마트칩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KR200291332Y1 (ko) 다방식 결제수단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
KR200179192Y1 (ko) 비접촉식 전자 칩이 내장된 휴대전화기
KR200352457Y1 (ko) 다수의 스마트칩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KR20040022297A (ko) 멀티교통카드 롬데이타가 탑재된 콤비형 교통카드 및 그설정방법
KR20050122133A (ko) 스마트칩의 알에프 안테나 선택모듈
KR200342777Y1 (ko)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